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역사정비...

6
2012년도 한국철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KSR2012A309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역사정비 방안 Unification of Urban Design Policies for TOD based on Railway Station 이상근 * , 이경철 * Sang-Keun Lee * , Kyung-Chul Lee * Abstract Even though the civic center community reorganized from the private car base to public transportation, it need to satisfy the factors as like the traffic safety, the crime prevention, the improvement of comfortable convenience, the cares for week person which are contributed to maintain the traffic function harmoniously and activate the local economy. Also these factors are included the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factors and the common topics in contrast to the principles and the detailed targets. In this study, the plan of railway station based on the public transit is suggested which are arranged the developing factors of TOD and the various policies under implying to Korea. Keywords : TOD, Traffic Calming, CPTED, Universal Design 도심부가 승용차 중심의 사회에서 대중교통 중심사회로 개편되어도 원활한 교통기 능을 유지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교통안전, 방범, 방재, 미관증진, 적편리성 향상,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등의 요소가 충족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소들 일반적으로 교통정온화 기법’, ‘CPTED’, ‘유니버설 디자인각종 도시정책 교통정 책을 통해 정비되고 있으며, 기본원리 세부목표에 있어서 대중교통지향형 개발의 요소 들과 공통의 내용을 포함한다. 연구에서는 국내 도입중인 각종 도시 교통정책의 본개념과 대중교통지향형개발의 개발요소를 정리하여 요소들을 상호 연계한 대중교통 중심의 역사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대중교통지향형개발, 교통정온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유니버설디자인 1. 서 론 보행친화적 설계와 고밀도복합개발을 통하여 승용차 중심의 사회를 대중교통 보행중심의 사회로 전환하는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도심부 교통혼잡 환경오염으로 대표되는 도시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미국 유럽 각국의 도시·교통정책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내에서는 대중교통 이용활성화에 따른 친환경 이미지 제고와 에너지 절감효과에 주목하여 사개량 역세권 개발의 주요논리로서 활용하고 있다. 대중교통 이용활성화가 철도역세권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은 TOD국내적용의 당위성을 뒷받침하는 주된 근거 하나라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기존 승용차 이용자를 대중교통 이용자(보행자)전환하여 역세권 방문인구를 증대시키는 것은 TOD 도입의 목표이며, 동시에 전제조건이 된다.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녹색교통물류시스템공학연구소 융복합연구단

Upload: others

Post on 28-Dec-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역사정비 방안railway.or.kr/file/conference/2012_02/down/KSR2012A309.pdf · 2.1 TOD 계획요소와 적용공간 2.1.1 TOD 계획요소

2012년도 한국철도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KSR2012A309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역사정비 방안

Unification of Urban Design Policies for TOD based on Railway Station 이상근*, 이경철*

Sang-Keun Lee*, Kyung-Chul Lee*

Abstract Even though the civic center community reorganized from the private car base to public transportation, it need to satisfy the factors as like the traffic safety, the crime prevention, the improvement of comfortable convenience, the cares for week person which are contributed to maintain the traffic function harmoniously and activate the local economy. Also these factors are included the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factors and the common topics in contrast to the principles and the detailed targets. In this study, the plan of railway station based on the public transit is suggested which are arranged the developing factors of TOD and the various policies under implying to Korea. Keywords : TOD, Traffic Calming, CPTED, Universal Design 초 록 도심부가 승용차 중심의 사회에서 대중교통 중심사회로 개편되어도 원활한 교통기능을 유지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교통안전, 방범, 방재, 미관증진, 쾌적편리성 향상,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등의 요소가 충족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일반적으로 ‘교통정온화 기법’, ‘CPTED’, ‘유니버설 디자인’ 등 각종 도시정책 및 교통정책을 통해 정비되고 있으며, 기본원리 및 세부목표에 있어서 대중교통지향형 개발의 요소들과 공통의 내용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도입중인 각종 도시 및 교통정책의 기본개념과 대중교통지향형개발의 개발요소를 정리하여 각 요소들을 상호 연계한 대중교통 중심의 역사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대중교통지향형개발, 교통정온화,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유니버설디자인

1. 서 론

보행친화적 설계와 고밀도복합개발을 통하여 승용차 중심의 사회를 대중교통 및 보행중심의 사회로 전환하는 대중교통지향형개발(TOD)은 도심부 교통혼잡 및 환경오염으로 대표되는 도시

문제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미국 및 유럽 각국의 도시·교통정책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특히, 국내에서는 대중교통 이용활성화에 따른 친환경 이미지 제고와 에너지 절감효과에 주목하여 역사개량 및 역세권 개발의 주요논리로서 활용하고 있다. 대중교통 이용활성화가 철도역세권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은 TOD의 국내적용의 당위성을 뒷받침하는 주된 근거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기존 승용차 이용자를 대중교통 이용자(보행자)로 전환하여 역세권 방문인구를 증대시키는 것은 TOD 도입의 목표이며, 동시에 전제조건이 된다.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녹색교통물류시스템공학연구소 융복합연구단

Page 2: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역사정비 방안railway.or.kr/file/conference/2012_02/down/KSR2012A309.pdf · 2.1 TOD 계획요소와 적용공간 2.1.1 TOD 계획요소

TOD에는 지역의 고밀 복합개발, 환승편의성 및 보행환경 증진 등과 함께 승용차 접근을 불편하게 하는 방안이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승객이 승용차 이용에 따른 편리성을 포기하고 대중교통을 적극 이용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는 그에 상응하는 가치가 대중교통 승·하차 및 환승, 보행이동, 철도역세권 방문 등의 과정에서 충분히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

이 있다. 교통안전, 방범, 방재, 디자인,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 등의 요소들은 대중교통에 대한 이용자의 이용의지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가적인 가치라고 할 수 있으며, ‘교통정온화 기법’, ‘CPTED’ ,‘유니버설디자인’, ‘공공디자인’등의 각종 도시정책 및 교통정책을 통해 정비되고 있다. 이러한 각 기법의 기본원리 및 목표는 TOD의 구성요소 및 목표와 많은 연관성을 가지며, 각 기법의 적용대상지로서 철도역사 내부 및 주변이 고려되

기도 한다. 철도역사를 중심으로 하는 TOD를 성공적으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TOD 구성요소

와 부가적인 설계요소가 철도역사 및 역사주변부지, 접근보행로에 종합적으로 적용되어 보행자의 접근편의성과 만족도를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중교통지향형개발

의 개발요소와 국내 도입중인 각종 도시 및 교통정책의 기본개념을 정리하여 각 설계요소가 상호 연계된 종합적인 정비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2. TOD 및 각종 도시·교통정책의 기본개념의 연계

2.1 TOD 계획요소와 적용공간

2.1.1 TOD 계획요소

Peter Calthrope(1993)에 의해 제안된 TOD는 5Ds(Density, Diversity, Design, Distance to transit, Destination Accessibility) 의 계획요소로 구성되며, 주요 대중교통수단이 철도일 경우 RTOD(Rail Transit Oriented Development)로, 버스일 경우 BTOD(Rail Transit Oriented

Fig. 1 Concept of this study

Page 3: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역사정비 방안railway.or.kr/file/conference/2012_02/down/KSR2012A309.pdf · 2.1 TOD 계획요소와 적용공간 2.1.1 TOD 계획요소

Development)로 구분된다. RTOD는 도심부에서 간선대중교통(LRT, HRT)정류장을 대중교통네트워크에 직접 연결하는

는 ‘도시형 TOD’와 연관성을 가지며, BTOD는 BRT 정류장을 중심으로 근린생활권을 형성하

고, 주거지역공공, 문화, 교육, 근린공원을 연계하는 ‘근린주구형 TOD’와 연관성을 가진다. 이 두 형태의 TOD는 적용지역의 위치와 최소 주거 밀도, 복합적 토지이용 비율 등에서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중심상업지역과 2차지역에서의 계획기준, 교통체계 구성, 주차방안 등에

서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된다. 또한, 이러한 TOD 개발은 도시계획분야에서 제시하는 콤팩트시티와 같은 맥을 같이한다.

콤팩트시티의 원칙은 ① 높은 거주, 고용밀도, ② 복합적 토지이용, ③ 낮은 자동차 의존 통행, ④ 생활권 내 다양한 거주자와 공간 점유, ⑤ 명확한 경계에 의한 독자적 지역공간 형성, ⑥ 사회적 공평성, ⑦ 높은 자족성과 자율적 지역운영으로 정리될 수 있다. 미국의 TOD 개발사례에서는 ‘도시재생의 수단’, ‘교통계획 및 토지이용계획과의 유기적 연

계’, ‘교통체계 운영’, ‘보행자 중심의 보행환경’, ‘교통수요 억제정책’의 5가지 개발특성이 도출될 수 있으며, 일본에서는 TOD의 유사개념으로서 트랜짓 빌리지(TV : Transit Village)의 개념이 적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able 1에 TOD 계획요소 및 미국과 일본에서의 TOD 적용

요소를 재구성하여 제시하였다[3,4].

Fig. 2 TOD Principles of U.S and Japan

2.1.2 TOD 요소의 적용공간

TOD요소가 적용되는 공간적 범위는 앞서 설명한 TOD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겠지만, 크게 도시차원, 근린차원, 건축차원의 3개 레벨에서 검토될 수 있다. 도시차원에서는 주요간

선교통과 업무·상업시설 및 고밀주거지역의 연계를 다루며, 근린차원에서는 버스정류장 및 주변 쇼핑센터 및 점포, 병원 등의 연계가 다루어 진다. 또한 건축차원에서는 건축물의 형태, 배치, 재료 등 공공교통과 연계된 디자인 측면을 다룬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사를 중심으

Page 4: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역사정비 방안railway.or.kr/file/conference/2012_02/down/KSR2012A309.pdf · 2.1 TOD 계획요소와 적용공간 2.1.1 TOD 계획요소

로 하는 TOD를 중심으로 보행활성화를 유도하는 종합적인 정비방안을 다루고 있으며, TOD 요소의 적용공간으로서 보행자 활용범위를 중심으로 역사내부, 역사광장(트랜짓몰), 접근보

행로, 접근도로의 4공간으로 구분하여 설정하였다.

2.2 각종 도시 및 교통정책의 기본개념 및 적용방안

2.2.1 교통 정온화 기법 (Traffic Calming)

교통정온화 기법은 네덜란드의 델프트시에서 발상된 개념으로서 주택지 내에서 최소한의 자동차 통행만을 인정하여 구급차, 소방차의 진입은 가능하도록 하면서 주민의 생활기능을 보호

하고 보행자편의를 최대한 확보하는 기법이다. 기법적용구역 내에서 운전을 어렵게 하는 물리

적, 시각적, 제도적 방식을 적용하여 통과교통량과 차량의 과속을 방지한다. 교통량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차단(직진차단)기법과 협착(Choker : 진입부의 차도를 좁히고, 수목 및 상징물을 설치)기법이 활용되며, 주행속도를 억제하기 위해서는 굴절 및 굴곡기법(chicane: 주행로에 S자 모양

의 커브가 연속해서 이어져 있는 부분)을 활용하기도 한다. 역사주변의 접근도로에서 승용차 차량의 접근에 페널티를 주고, 대중교통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차량접근을 어렵게 하는 협착, 굴절 및 굴곡기법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트랜짓몰 주변에 보행자 편의를 향상하기 위한 방편으

로서 보도블럭을 이용한 도로면 포장, 고원식 교차로, 고원식 횡단보도 등을 적용할 수 있다.

Fig. 3 Traffic Calming Measures

2.2.2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 (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대중교통수단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보행자들이 대중교통 수단으로 접근하는 공간 및 승, 하차하는 공간에서 발생하는 범죄에 대한 위협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있다. 미국 및 유럽,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 도입되어 범죄예방 효과가 입증되고 있는 CPTED는 건축설계나 도시계획 등

Page 5: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역사정비 방안railway.or.kr/file/conference/2012_02/down/KSR2012A309.pdf · 2.1 TOD 계획요소와 적용공간 2.1.1 TOD 계획요소

공간환경의 범죄에 대한 방어적인 디자인을 통하여 범죄발생의 기회를 줄이고, 주민의 범죄피

해에 대한 두려움 해소, 안전한 공간으로서의 인식부여 등을 목표로 하는 종합적인 범죄예방 전략이다. CPTED는 범죄가 발생하기 어려운 환경을 조성하는 설계기법이며, 기본개념으로서 자연적 감시, 자연적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용성 증대, 유지관리 등이 제시된다. 보행자 및 주변상인의 주변 가시권이 확보되어 은폐장소가 최소화 되는 자연적감시와 이용자들을 일정한 공간으로 유도 및 통제하는 자연적 접근통제는 CPTED의 가장 핵심적인 원칙이며, 역사내부, 역사 주변광장 및 트랜짓 몰, 역사 접근 보행로 등 전반에 걸쳐 적용될 수 있다.

Fig. 4 Principle of CPTED

2.2.3 유니버설 디자인 (Universal Design)

메이스(R. Mace) 가 주창한 유니버설 디자인은 장애 및 국적, 연령에 상관없이 모든 사람이 무리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도구, 시설, 설비를 설계하는 것을 말한다. 7가지 디자인 원칙으로

서는 ‘공평한 사용 (equitable use)’, ‘사용상의 융통성 (Flexibility in Use)’,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Simple and Intuitive Use)’,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 (Perceptible Information)’, ‘오류에 대한 포용

력 (Tolerance for Error)’, ‘적은 물리적 노력 (Low Physical Effort)’, ‘접근과 사용을 위한 충분한 공간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이 제시된다. 유니버설 디자인은 역사 내, 외부에서 배리

어프리의 형식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IT기술 등과 접목되어 다양한 형식으로 적용되고 있다. 역사내부, 역사 주변광장 및 트랜짓 몰, 역사접근 보행로의 계단, 화장실, 기타 노상시설 및 정보제공 사인시스템 등이 유니버설 디자인에 의해 정비될 수 있으며, 외국인과 교통약자들이 불편없이 시설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공간의 시설들이 기능과 사용법, 외관 등의 측면에서 통일성을 갖추어야 하며, 보행자가 접근할 수 있는 전반적인 공간에서 배려

되어야 대중교통 이용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2.3 요소 및 공간별 적용방안 종합

2.3.1 역사 내부

환승의 편의성과 보행의 쾌적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역사내부에서는 교통약자를

배려하는 무빙워크, 통로, 화장실, 조정된 폭의 개찰구 등의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되어야

하며, 승객의 직관적인 유동흐름을 유도하기 위하여, 기존 사인체계의 정비와 더불어 공간

Page 6: 대중교통이용 활성화를 위한 통합적 역사정비 방안railway.or.kr/file/conference/2012_02/down/KSR2012A309.pdf · 2.1 TOD 계획요소와 적용공간 2.1.1 TOD 계획요소

및 주요 활동이 일어나는 장소에서의 조명변화 및 음향서비스 등이 배려되어야 한다. 역사

내부 보행객의 쾌적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조명의 적절한 조도를 유지해야 하며, 조명과

자연채광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 등을 모색할 수 있다. 또한, 보행객의 많은 시선 자체가

범죄발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하나의 도구가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시야가 차단되는 공

간을 최소화 시킬 필요성이 있다.

2.3.2 역사광장 (트랜짓몰)

역사광장(트랜짓몰)에서는 신속하고 쾌적한 보행 및 환승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통약자 배려, 교통사고로부터의 보행자 안전확보 및 범죄발생 억제 등 많은 부가적인 요소가 중점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공간이다. 특히 트랜짓몰에 접근하는 승객이 보행시 통과교통에 의해 교통사고

를 당하지 않도록 하며, 주변의 도로에서는 과속억제의 효과가 있는 시케인, 협착 등의 교통 정온화 기법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보도블록으로 포장된 도로, 고원식 교차로, 고원식 횡단보도 등을 설치하고, 표지판 및 노면사인 등을 적극 활용하여 역사주변 도로 전체에서 운전

자가 주의하여 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2.3.3 접근보행로 및 접근도로

접근보행로에서는 통근목적의 보행자와 산책목적의 보행자가 동시에 만족될 수 있는 보행로 구성이 필요하며, 트랜짓몰에서의 적용요소와 마찬가지로 교통약자 배려, 교통사고로부터의 보행자 안전확보 및 범죄발생 억제 등 많은 부가적인 요소의 적용이 필요로 된다. 특히 야간 보행에 있어서의 안전성 향상방안이 필요로 되는 공간이므로, 보행자의 쾌적성과 이용편리성을 증대시키는 가로수 및 노상시설물의 설치시에 시야와 조도가 확보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호고

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주변의 접근도로에서는 보행자의 횡단 시 통과차량에 위한 사고

위험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교통정온화 기법이 도입되어야 한다.

3.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사를 중심으로 하는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인 역사 정비

방안으로서 ‘교통정온화 기법’, ‘CPTED’, ‘유니버설 디자인’ 등 각종 도시정책 및 교통정책의 요소를 TOD 개발에 적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각 정책의 적용 사례와 세부기법의 정리 및 기법간 융합 적용을 통해 실제 역사정비 시 활용될 수 있는 실제적인 정비방안을 제시하도록 한다.

참고문헌

[1] D. Banister (2008) 2007 The sustainable mobility paradigm, Transport Policy, 15, pp. 73–80. [2] J. Park (2008) Impacts Analysis of TOD Planning Elements on Transit Ridership in Seoul Rail Station

Areas, Han-yang Univ. [3] H.J. Ahn, W.K. Bae, J.J RYU (2010) Case study of Transit-Oriented Development for the activation of

Station-Oriented Neighborhood, Urban Design Institute, (6), pp. 543-553. [4] C.W. SEO, (2006) The Case Study of Japanese TOD, Urban Review of Urban Design Institute, pp.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