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 p고등학교 …µœ종...

31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9, Vol. 27, No. 4, pp. 379~409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진 동 섭(서울대학교 교 ) 김 효 정(서울대학교 박사과정) 한 은 정(서울대학교 박사과정) 김 연 성(서울대학교 박사과정) 김 윤 희(서울대학교 석사과정) 윤 세 정(서울대학교 석사과정) 요 약 학교컨설팅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은 학교컨설팅의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학교컨설 팅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 기존 선행 연구는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구 방법 측면에서 학교컨설팅이 학교 현장에 정착될 때의 실제 맥락을 드러내기 어려운 양적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연구 대상 측면에서 컨설팅 경험이 없거나 간접 경험한 교사를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고등학교에서 수행된 학교컨설팅 사례에 기초 하여, 컨설팅에 직접 참여한 학교 구성원이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대하여 가지 는 인식을 면담과 관련 문헌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는 학교컨설팅의 개념에 대하여 의뢰인에게 필요한 도 움을 주는 활동”, “교사 간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컨설턴트의 자질로는 의뢰인 중심으로 도움을 제공하는 태도 및 헌신, 대화 기술 등을 들 었으며,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자질로는 대인 관계 기술 및 의사소통 능력, 적절한 정보 제공 및 전문성을 갖춘 컨설턴트 섭외 능력 등을 들었다. 수행된 컨설팅에 대하여, P고등학교 구성 원들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컨설팅이 종료된 이후에도 자발적으로 교수 학습을 개선하고자 하 는 노력이 이루어지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고 기술하였다. 그리고 컨설팅 과정 중의 어려움으 로는 학교 내부 관리자와 외부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의견 차이, 학교장과 학교컨설턴트와의 관계 형성의 어려움 등을 지적하고 있었다. [주제어] 학교컨설팅,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 학교컨설팅의 효과, 학교컨설팅 과정의 어려움

Upload: others

Post on 02-Sep-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敎育行政學硏究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009, Vol. 27, No. 4, pp. 379~409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진 동 섭(서울대학교 교 수)

    김 효 정(서울대학교 박사과정)

    한 은 정(서울대학교 박사과정)

    김 연 성(서울대학교 박사과정)

    김 윤 희(서울대학교 석사과정)

    윤 세 정(서울대학교 석사과정)

    요 약

    학교컨설팅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은 학교컨설팅의 효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학교컨설

    팅에 관한 인식을 분석한 기존 선행 연구는 연구 방법과 연구 대상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연

    구 방법 측면에서 학교컨설팅이 학교 현장에 정착될 때의 실제 맥락을 드러내기 어려운 양적

    분석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연구 대상 측면에서 컨설팅 경험이 없거나 간접 경험한 교사를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P고등학교에서 수행된 학교컨설팅 사례에 기초

    하여, 컨설팅에 직접 참여한 학교 구성원이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대하여 가지

    는 인식을 면담과 관련 문헌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는 학교컨설팅의 개념에 대하여 “의뢰인에게 필요한 도

    움을 주는 활동”, “교사 간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학교컨설턴트의 자질로는 의뢰인 중심으로 도움을 제공하는 태도 및 헌신, 대화 기술 등을 들

    었으며,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자질로는 대인 관계 기술 및 의사소통 능력, 적절한 정보 제공

    및 전문성을 갖춘 컨설턴트 섭외 능력 등을 들었다. 수행된 컨설팅에 대하여, P고등학교 구성

    원들의 만족도는 높았으며, 컨설팅이 종료된 이후에도 자발적으로 교수 학습을 개선하고자 하

    는 노력이 이루어지는 등의 변화가 있었다고 기술하였다. 그리고 컨설팅 과정 중의 어려움으

    로는 학교 내부 관리자와 외부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의견 차이, 학교장과 학교컨설턴트와의

    관계 형성의 어려움 등을 지적하고 있었다.

    [주제어] 학교컨설팅,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 학교컨설팅의 효과, 학교컨설팅 과정의 어려움

  • 380 敎育行政學硏究

    Ⅰ. 서 론

    학교컨설팅은 “학교 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일정한 전문성을 가진 사람들이 학교와 학

    교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독립적인 자문 활동(진동섭, 2003: 51)”이다. 현재 학

    교 현장에는 2000년을 전후하여 학교컨설팅 유례(類例)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 들어, 단

    위 학교에서 컨설팅 관련 기관에 컨설팅을 의뢰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한국교육

    신문, 2009.6.1, 2009.8.9), 단위 학교가 자체적으로 교내 학교컨설팅을 수행한 사례도 소

    개된 바 있다(한겨레, 2008.11.23). 학교컨설팅에 대한 학교 현장의 관심은 한국교육개발

    원에서 주관한 “2009 학교컨설팅 비용 지원 대상자 공모 사업”에서 전국 91개 학교 및

    교사 모임이 신청한 것에서도 드러난다.

    이러한 예들은 학교컨설팅 확산의 일면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것만으로는 학교컨설팅

    의 활성화, 혹은 현장 정착 등을 단언하기에는 이르며, 그것이 진행되는 실제 모습과 사

    례에 관한 연구가 후속되어야 한다. 학교컨설팅의 세부 절차와 과정을 기술한 선행 연

    구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컨설팅 사업(최상근 외, 2000; 김정원․이인효․정수현,

    2001; 김정원 외, 2002)과 김도기(2005)의 연구가 있다. 그리고 단위 학교가 자발적으로

    의뢰하여 수행된 컨설팅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로는 이승호(2008), 이재덕․허은정

    (2009) 등이 있다. 학교컨설팅은 그 확산 정도에 비해, 실제 사례에 기반한 연구는 적은

    편인데, 이는 컨설팅 자체의 속성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학교컨설팅의 원리

    중 하나인 전문성의 원리에 따르면, 컨설턴트는 의뢰인의 이익을 존중하고 기밀을 유지

    하는 윤리 의식을 가져야 한다(진동섭․김효정, 2007). 따라서 의뢰인의 동의 없이 컨설

    팅 과정이나 결과를 공개할 수 없다. 그리고 학교컨설팅이 진행된 학교 맥락에 대한 이

    해를 바탕으로 하여 해당 컨설팅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학교컨설팅의 주요 관

    련자로 참여하는 것이 필요한데, 학교 문화의 특성상 외부 연구자의 참여를 허락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컨설팅에 실제로 참여한 학교 구성원이 학교컨설팅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학교컨설팅을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느꼈는지 등은 이

    론적으로 분석되어야 할 작업이다. 학교컨설팅에 대한 교원의 인식을 묻는 질문지 조사

    는 소수 이루어졌으나(김병주․이임숙․민병조, 2008; 최선영․노석구, 2008), 실제로 수

    행된 컨설팅 사례에 기초한 인식 연구는 거의 없다. 일반 교원들을 대상으로 한 학교컨

    설팅 인식 조사는 학교컨설팅의 잠재적 관련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기 위해서는 컨설팅이

    수행된 맥락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컨설팅을 직접 경험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을 살

    펴볼 필요가 있다.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81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에 기초

    하여, 관련 문헌 분석과 면담을 통해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학

    교컨설팅에 대한 인식은 개념 모형의 구성 요소(목표, 과업, 주요 관련자), 절차, 제반 여

    건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다. 관련 인식을 다양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팅 개념 모형의 주요 구성 요소인 개념과 주요 관련자에 대한

    인식을 우선적으로 분석하였다.1) 요컨대,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로 수행된 P고등학교

    컨설팅 사례를 통해, 학교컨설팅의 개념과 주요 관련자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는 것에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정리한다.

    둘째,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들이 자신의 경험에 기반하여 가지게 된 인

    식을 면담 내용, 관련 자료 등을 통해 분석한다.

    셋째, 분석 내용에 기초하여 학교컨설팅의 개념과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을 논의한다.

    Ⅱ. 이론적 배경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연구의 초점은 P고등학교 컨설팅의 주요 관련자가 학교컨설팅

    의 개념과 주요 관련자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따라

    서 본 장에서는 관련 문헌 자료 및 면담 자료 분석의 기초가 되는 학교컨설팅의 개념,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에 관해 살펴본 후, 학교컨설팅 인식에 관한 선행 연구를 개관

    하였다.

    1.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

    학교컨설팅에 관한 학문적․실제적 관심은 2000년 전후로 빠른 속도로 확산되었으며

    (진동섭, 2006), 학교컨설팅의 개념에 대해서도 컨설팅장학, 학교컨설팅, 학교경영컨설팅,

    수업컨설팅 등 다양한 용어로 소개되고 있다. 각각의 개념마다 학교컨설팅을 정의하는

    맥락에 차이가 있으며, 따라서 강조점도 조금씩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팅의 목

    표, 주체, 주요 과업 등을 포괄적으로 정의하고 있는 진동섭(2003)의 정의에 기초하여,

    후속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1) 본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팅의 개념과 주요 관련자에 한정하여 관련 인식을 분석하였으나,

    추후 후속 연구에서는 관련된 다양한 요인에 대한 인식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

  • 382 敎育行政學硏究

    학교 컨설팅은 학교 교육을 개선하기 위하여, 일정한 전문성을 갖춘 사람들이 학교와

    학교 구성원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독립적인 자문 활동으로서, 경영과 교육의 문제를

    진단하고, 대안을 마련하며, 문제 해결 과정을 지원하고, 교육 훈련을 실시하며, 문제 해

    결에 필요한 인적․물적 자원을 발굴하여 조직화하는 일이다(진동섭, 2003: 51).

    학교컨설팅은 의뢰인 및 학교컨설턴트를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학교컨설팅에 관한 초

    기 연구라고 할 수 있는 홍창남(2000), 진동섭(2003)의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

    자를 의뢰인과 학교컨설턴트 양자로 제시하였다. 그러나 김도기(2005)의 연구에서 컨설

    팅장학 관리자의 개념이 제기되었고, 이후 진동섭․김효정(2007), 진동섭․홍창남․김도

    기(2009)의 연구에서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개념이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할 때, 학교컨설팅의 주요 관련자는 [그림 1]과 같이 의뢰인, 학교컨설턴트,

    학교컨설팅 관리자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림 1] 학교컨설팅의 주요 관련자

    출처: 진동섭․김효정(2007)

    의뢰인은 자발적인 필요에 따라 학교컨설팅을 의뢰한 사람으로서, 대표적인 예는 학

    교와 학교 구성원이다(진동섭․김효정, 2007: 29). 그러나 학교컨설팅의 영역이 수업이나

    학교 경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교육 전문직, 교육 행정 조직, 교육 연수

    및 연구 기관의 구성원들 역시 학교컨설팅의 의뢰인이 될 수 있다(진동섭․홍창남․김

    도기, 2009: 34).

    학교컨설턴트는 의뢰인의 과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지식, 기술, 경험을 갖춘 전문가

    (진동섭․김효정, 2007: 29), 특별한 훈련을 통해 전문적 자격을 갖춘 사람(김정원 외,

    2001: 26)을 의미한다. 이에 따르면, 학교컨설턴트의 핵심 요건은 다양한 경험 및 훈련을

    통해 갖추어진 전문성이다.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은 당면 과제에 관해 갖고 있는 지식,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83

    기술, 경험을 의미하는 내용적 전문성과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과정, 절

    차, 도구에 관한 지식, 기술, 경험인 방법적 전문성을 포함한다(진동섭, 2003: 진동섭․김

    효정, 2007). 그 외에도 의뢰인, 학교컨설팅 관리자 등과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신뢰

    롭고 편안한 관계를 유지하는 인간 관계 능력, 학교 컨설팅의 기반을 확립하기 위한 인

    내심과 사명감이 요청된다(진동섭․홍창남․김도기, 2009: 35-36).

    학교컨설팅 관리자는 학교컨설팅의 전반적인 과정을 관장하고, 원활한 학교컨설팅 진

    행을 지원하는 전문가이다(진동섭․홍창남․김도기, 2009). [그림 1]에서 알 수 있듯이,

    의뢰인과 학교컨설턴트는 의뢰 과제를 매개로 하여 만나게 되는데, 의뢰인이 자신의 과

    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학교컨설턴트를 직접 알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에 선행

    연구에서는 적절한 학교컨설턴트를 연결해 주고, 진행 과정을 지원해 줄 수 있는 학교

    컨설팅 관리자의 역할과 필요성을 논의하여 왔다(진동섭․김효정, 2007; 김효정, 2008;

    이승호, 2008; 이재덕․허은정, 2009). 컨설팅 상황에 따라, 학교컨설팅 관리자는 내부 학

    교컨설팅 관리자와 외부 학교컨설팅 관리자로 구분되기도 한다. 전자는 학교 내부 상황

    을 잘 알고 있는 교사로 교내 학교컨설팅 과정을 조정하는 내부 관리자이고, 후자는 학

    교 외부에서 컨설턴트를 연결해 주고, 컨설팅 과정을 지원하는 일반적 의미의 학교컨설

    팅 관리자이다(이재덕․허은정, 2009).

    2. 학교컨설팅에 관한 인식 연구

    학교컨설팅은 의뢰인, 학교컨설턴트, 학교컨설팅 관리자 간 상호 작용의 결과이다. 따

    라서 그 효과는 주요 관련자가 상호 작용 과정 속에서 무엇을 체험하고, 어떤 인식을 가

    지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이에, 여러 선행 연구에서는 학교 구성원들이 학교

    컨설팅에 대하여 가지는 인식 및 태도를 다루어 왔다.2)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식 연구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첫째, 학교 구성원 및 컨설팅 관련자의 학교컨설팅 관련 요구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이다. 이들 연구는 주로 학교컨설팅의 필요성, 효과, 그리고 학교컨설팅을

    수행할 때 필요한 교육 영역에 대한 인식을 주로 다루고 있다. 김정원 외(2001)의 연구

    2) 최근 각급 교육 행정 기관에서는 단위 학교 지원 및 교원 전문성 개발 기제로서 다양한

    명칭의 학교컨설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현장 교원들의 컨설팅 활동을 장려

    하기 위하여 컨설팅 관련 현장 연구 대회 등을 시행하고 있다. 현장 연구 대회에서 배출

    된 컨설팅 보고서에서는 학교컨설팅 사례뿐만 아니라, 그 실행 과정에서의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도 다루고 있다. 이는 학교컨설팅이 수행되는 학교 현장을 이해함에 있어서 중

    요한 자료임에 분명하나, 학문적 논의로 다루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팅에 관한 인식을 다룬 선행 연구를 검토함에 있어서, 다수 배출되고 있는 현장

    연구 보고서는 제외하였다.

  • 384 敎育行政學硏究

    에 따르면, 학교장․교감․학교 운영 위원들은 컨설팅 활동이 학교 운영 및 교육 활동

    을 개선할 것이라 생각하고 있었으나 컨설팅에 적극적이지는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진동섭 외(2008)는 학교컨설턴트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학교 현장에서 컨설팅 활

    동을 하고 있는 교원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 요구 우선 순위를 연구한 바 있다. 그 결과,

    컨설턴트들은 공통 영역에서는 대인 관계 기법을, 수업컨설팅 영역에서는 수업 분석 기

    법을, 학교경영컨설팅 영역에서는 조직 진단 기법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학교컨설팅을 수행할 때 필요한 중요한 자질로 대인 관계나 수업분석, 조직

    진단 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지도, 의뢰 희망 영역, 필요성, 만족도, 학교컨설팅의 활성

    화를 위한 전제 조건 등에 대한 학교구성원의 인식 연구이다. 이 연구들은 연구 자체의

    목표가 학교컨설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에 두고 있어, 전자의 연구에

    비해 보다 직접적인 인식을 분석하고 있다. 최선영․노석구(2008)는 초등과학과 수업컨

    설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연구한 결과, 초등과학 수업컨설팅에 관하여 잘 알고 있

    는 교사는 적었으나, 기회가 있다면 컨설팅에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는 비교적 높은 것

    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이재덕․허은정(2009)과 이윤(2008)은 직접 의뢰인 및 컨설턴트로

    활동한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컨설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들 연구에서는 학교

    컨설팅 결과로서의 만족도와 컨설팅 종료 후 변화에 대한 인식(이재덕⋅허은정, 2009),

    컨설팅이 필요한 영역, 컨설팅 과정의 난점, 컨설팅 만족 및 불만족 사유(이윤, 2008) 등

    에 초점을 두었다. 그리고 김병주․이임숙․민병조(2008)는 교육청에서 추진한 컨설팅장

    학에 참여한 학교의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3) 여기에서

    는 컨설팅장학의 개념뿐만 아니라 방법, 절차 등에 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는 노력

    과 함께 컨설팅장학 요원의 교과 전문성 확보가 필요함을 제언하고 있다.

    3) 시․도교육청과 시․군․구교육청에서는 다양한 명칭의 학교컨설팅 유사 활동을 추진하

    고 있다. 학문적 논의에서 개념적으로 볼 때, 컨설팅장학은 학교컨설팅과 분명히 구분되는

    활동이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구분되지 않고 쓰이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컨설팅장학

    참여 학교 교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 조사도 선행 연구로 검토하였다.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85

    구 분 세부 내용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요구 분석 과정에서

    나타난 인식 연구

    ∙ 학교컨설팅의 필요성

    ∙ 학교컨설팅의 효과

    ∙ 학교컨설팅 수행 핵심 영역

    ∙ 학교장, 교감,

    학교운영위원

    ∙ 학교컨설턴트

    ∙ 김정원 외(2001)를 제

    외하고는, 질문지 조

    사 방법을 활용함.인식 자체를 목적으로

    한 연구

    ∙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지도

    ∙ 학교컨설팅 의뢰 희망 영역

    ∙ 학교컨설팅 만족도, 불만족도

    ∙ 학교컨설팅 종료 후 변화

    ∙ 학교컨설팅 활성화를 위한

    전제 조건

    ∙ 일반 교사

    ∙ 컨설팅 직접

    경험자

    ∙ 컨설팅 간접

    경험자

    * 김정원 외(2001), 김병주․이임숙․민병조(2008), 이윤(2008), 이재덕․허은정(2009), 진동섭

    외(2008), 최선영․노석구(2008)의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요약, 정리한 것임.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식 관련 선행 연구

    이상의 내용을 살펴보면, 그 수가 많지는 않으나 학교컨설팅에 대한 학문적․실제적

    관심이 확산됨에 따라 학교 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인식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선행 연구는 몇 가지 측면에서 한계가 있다. 첫째,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식을 주로 질문지를 활용한 양적 연구법을 활용하여 조사하였다. 질문지 조사는 학교

    컨설팅에 대한 학교 현장의 전반적인 인식을 살펴볼 수 있고, 많은 학교 구성원들을 대

    상으로 효율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노석준 외, 2008). 그러나 질문지 조사

    를 통해 드러나는 인식은 피상적인 수준에 그칠 수 있으며, 겉으로 나타나는 인식 이면

    에 내재된 단위 학교 맥락은 드러내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김영천, 2007). 특히 학교컨

    설팅은 기존의 단위 학교 지원 활동 및 전문성 개발 활동에 대한 대안으로 논의되고 있

    는데, 이것이 학교 현장에 학교 현장에 정착될 때에는 기존의 활동이 이루어지는 맥락

    안에서 진행된다. 따라서 학교 구성원이 학교컨설팅에 대해 가지는 인식은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것보다 더 복잡할 가능성이 크다. 그러므로 개별 사례를 토대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여, 특수한 사회적 맥락에 대해 좀 더 깊이 탐구할 필요가 있다(김정환, 2003; 김

    병주․이임숙․민병조, 2008; Hatch, 2002).

    둘째,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식을 묻는 대상이 일반 교사인 경우가 많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선영․노석구(2008)는 컨설팅 경험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그 대상을 표집하여

    인식 조사를 하였으며, 김병주․이임숙․민병조(2008)는 교육청 주도로 진행된 컨설팅장

    학을 통해, 컨설팅을 간접 경험한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학교 구성원은 잠재적인

    학교컨설팅 관련자라는 점에서 이들의 인식도 중요하다. 그러나 잠재적인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의 인식과 실제로 수행된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의 인식은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 잠재적인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의 응답자가 학

    교컨설팅에 관한 명확한 상(像)을 가지고 그에 대한 인식을 응답하였다고 보기 어렵다.

  • 386 敎育行政學硏究

    즉, 응답자들이 기존의 학교 지원 및 교원 전문성 신장 활동과 학교컨설팅을 유사 활동

    으로 생각하고 그에 기반한 인식을 중심으로 답하였을 가능성이 크다. 이와 같은 왜곡

    을 막기 위해서는 인식 조사의 대상을 학교컨설팅을 “자신의 일”로 직접 경험한 학교구

    성원으로 한정하여, 보다 밀도 있는 조사를 할 필요가 있다.

    Ⅲ. 연구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07년 4월부터 2008년 1월까지 진행된, 경기도 P고등학교 컨설팅 주

    요 관련자의 인식을 분석하였다.4) 컨설팅의 수행 과정에 연구자의 일부가 직접 참여하

    였으며, 주요 관련자인 의뢰인 1인, 학교컨설턴트 2인, P고등학교 내부 관리자 1인을 대

    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5) 그리고 면담을 주 연구 방법으로 하되, 보완적으로 컨설팅

    실행 과정에서 산출된 관련 문서를 함께 분석하였다.6) P고등학교에서는 5개 교과 및 생

    활 지도(총 6명 교사) 영역에 대한 컨설팅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기술․

    가정 1개 교과를 선택하여, 그와 관련된 주요 관련자로 한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면담 대상자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구 분 성별 학교급담당

    과목

    교직

    경력학부 전공 비 고

    의뢰인 A교사 여 고등학교기술

    가정8개월 식품 영양학과

    ∙식품영양학과 전공,

    가정교육과 교직 이수

    컨설

    턴트

    B교사 남 중학교 기술 11년 기술교육과

    ∙ 전국기술교사모임 소속

    교사

    ∙ 서울시수업지원단원

    C교사 남 고등학교 기술 10년 기술교육과∙전국기술교사모임 소속 교사

    ∙경기기술교과연구회 운영

    컨설팅

    관리자

    (내부관리자)

    D부장교사여 고등학교 상업 28년 무역학과

    ∙ 상업정보 교직 이수

    ∙ P고등학교 교육연구 부장

    (외부관리자)

    컨설팅연구

    조직

    ○○○○컨설팅연구회 회원 2인7)

    면담 대상자의 특성

    4) 경기도 P고등학교 컨설팅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Ⅳ. P고등학교 컨설팅 개관” 부분 참조.

    5)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 중 학교컨설팅 관리자인 ◯◯◯◯ 컨설팅 연구회는 학교컨설팅

    전체 일정을 관장함과 동시에, 연구자로서 본 논문의 작성에 참여하였다. 즉, 면담 대상자

    가 아닌 피면담자로서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6) 보완적으로 살펴본 컨설팅 관련 문서로는 컨설팅 의뢰서, 컨설팅 일지, 컨설팅 보고서, 컨

    설팅 진행 과정에서 컨설팅 주요 관련자가 주고받은 이메일 등이다.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87

    면담지는 반구조화된 질문지로서, 연구진에서 직접 개발하였다. 연구진은 선행 연구

    및 컨설팅 관련 자료 분석, 연구진 내의 토론 등을 거쳐서 면담지 초안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면담지는 현직 교사 및 학교 컨설팅 관련 전문가의 검토를 받아 수정하였다.

    면담 조사는 2008년 8월-11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면담 내용은 녹음하였으며, 면담 대

    상자의 동의를 얻어 녹취하고 전사하였다. 관련 자료의 분석을 위하여, 전사 내용과 관

    련 문서를 여러 차례 읽으며 의미 있는 내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컨설

    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대하여, 각각의 면담 대상자는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면담 내용을 이메일과 유선 통화 등의 방법으로 재확

    인하였다.

    Ⅳ. P고등학교 컨설팅 개관

    이 장에서는 P고등학교 컨설팅의 맥락을 이해하기 위하여, 컨설팅의 의뢰 배경, 주요

    관련자, 진행 절차 등을 중심으로 간단히 개관하였다.8)

    1. 의뢰의 배경

    P고등학교 컨설팅은 저경력 교사를 지원해 줄 수 있는 선배 교사가 부족한 학교 여건

    에 대한 문제 의식에서 시작되었다. 2007년 컨설팅 의뢰 당시, P고등학교는 교장, 교감

    을 제외한 총 교사 37명 중 초임 교사가 8명, 경력 5년 이하 교사가 13명으로 전체의

    57% 정도가 저경력 교사였다. 특정 교과의 경우 순회 교사제가 운영되고 있었기 때문

    에, 인근 학교 내에서도 동교과 선배 교사를 찾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에 그 동안 형

    식적으로 진행되던 초임 교사 교내 장학 방식으로는 저경력 교사들에게 실효성 있는 도

    움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문제 의식을 느끼게 되었고, 그에 대한 해결 방안을 찾게 되었

    다. P고등학교의 교육연구부장인 D부장교사는 P고등학교의 학교 여건이 주는 어려움과

    형식적인 교내 장학의 문제점을 함께 해결할 수 있는 길이 학교컨설팅에 있다고 보고

    컨설팅을 의뢰하였다.9)

    7) 본 연구의 사례인 P고등학교 컨설팅은 학교컨설팅 연구 조직 중 하나인 ○○○○컨설팅

    연구회 회원 2인이 외부 관리자 역할을 수행하였다. 외부 관리자의 경우 “교사”로서 학교

    컨설팅에 참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컨설팅 주요 관련자(의뢰인, 컨설턴트, 내부

    관리자)들과 같은 기준으로 표의 내용을 기술하기엔 어려움이 있다.

    8) 이하의 내용은 한국교육개발원과 한국교육신문사가 공동으로 기획한 �school consulting-

    학교를 바꾸다�연재 기획 기사 중 “초임 교사 상황 잘 이해할 현장 교원 섭외가 관건” 기

    사에 소개된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기사입력: 2009. 4. 30,

    http://www.hangyo.com/app/news/article.asp?idx=28731).

  • 388 敎育行政學硏究

    2. 주요 관련자

    컨설팅 기간은 2007년 4월-2008년 1월로서, 약 10개월 동안 진행되었다. 본 컨설팅의

    주요 관련자를 살펴보면, 의뢰인은 P고등학교이며, 학교컨설턴트는 교과 및 생활 지도

    전문가 7인, 학교컨설팅 관리자는 ○○○○컨설팅연구회이다. [그림 1]의 학교컨설팅 주

    요 관련자의 이론적 틀에 따라, 이들 간의 관계를 도식화하면 아래 그림과 같다.

    [그림 2] P고등학교 컨설팅 주요 관련자

    의뢰인은 P고등학교이며, D부장교사는 P고등학교의 교원 전문성 개발을 책임지고 있

    는 교육연구부장으로서 6명의 초임 교사를 대표하여 컨설팅을 의뢰하였다.10) 컨설팅 의

    뢰는 개인 수준, 소집단 수준, 조직 수준 등 다양한 수준에서 이루어진다(김효정, 2008).

    예를 들어, 교수․학습에 관한 과제를 교사 개인이 자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

    뢰할 수도 있고, 학교 조직 내 교사 전문성 개발의 맥락에서 학교 교사들의 수업 개선을

    위하여 학교 조직이 의뢰할 수도 있다.11) P고등학교 컨설팅은 후자에 해당된다. D부장

    교사는 P고등학교에서 교원 전문성 개발에 관한 책임을 지고 있는 구성원으로서, 학교

    9) P고등학교 컨설팅은 경기도 교육청 「Good School Best Teacher(GSBT)」 사업의 지원

    을 받아 추진되었다. GSBT 사업은 “좋은 학교, 잘 가르치는 교사” 지원에 중점을 두고

    추진한 프로그램으로서, 이 사업을 희망하는 학교에서는 “좋은 학교, 잘 가르치는 교사”를

    위한 과제를 정하고, 단위 학교가 중심이 되어 과제를 추진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교육

    청에서는 과제 추진에 필요한 인적 자원과 물적 자원을 지원하고 있다. P고등학교 컨설팅

    은 GSBT 사업 예산 중 일부를 활용하여 이루어졌다.

    10) D부장교사는 6명의 초임 교사를 대표하여 컨설팅을 의뢰함과 동시에, P고등학교 내 컨

    설팅 진행 과정을 내부에서 관리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였다.

    11) 학교컨설팅의 의뢰 수준은 학교컨설팅 진행 절차, 주요 관련자 간의 관계, 뿐만 아니라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가 학교컨설팅에 대해 가지는 인식 등에 영향을 미친다. P고등학

    교의 컨설팅은 개별 교사 수준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학교 조직 수준에서 의뢰된 과

    제라는 특수성이 있다. 학교컨설팅 의뢰 수준에 관한 자세한 논의는 김효정(2008) 참조.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89

    를 대표하여 컨설팅을 의뢰한 것이다. 그리고 여기에서 수학, 윤리, 음악, 국어, 기술․

    가정, 생활 지도에 관한 컨설팅이 제공되었다.

    학교컨설턴트는 컨설팅이 의뢰된 6개 영역에 대한 전문가 7인으로 구성되었다.12) 컨

    설턴트는 학교컨설팅 관리자인 ○○○○컨설팅연구회에서 섭외하였는데, 교원 6인, 연구

    원 1인이었다. 이들 컨설턴트는 해당 교과 지도서 및 교과서 집필, 모의고사 및 교원 임

    용 고사 출제, 교육 방송 교재 집필, 교원 대상 강의 경력 등을 통해 전문성을 검증받은

    컨설턴트들이었다.

    학교컨설팅 관리자 역할은 ○○○○컨설팅연구회 회원 2인이 수행하였다. 컨설팅 주

    요 구성원이 학교컨설팅에 관하여 깊이 있게 숙지하고 있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학

    교컨설팅 관리자는 컨설팅의 전반적인 과정을 관장하고 대부분의 진행 단계를 함께 하

    는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13)

    3. 컨설팅 진행 절차

    P고등학교의 컨설팅은 학교컨설팅의 기본적인 5단계 절차인 ①준비→②진단→③해결

    방안 구안 및 선택→④실행→⑤종료 단계에 따라 진행되었다. 앞서 P고등학교 컨설팅

    주요 관련자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해당 컨설팅의 대상은 6명의 교사였다. 따라서 P고

    등학교의 의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6개의 소컨설팅이 진행되었다. 과제의 특성, 의

    뢰인과 학교컨설턴트가 협의한 컨설팅 방향 등에 따라 컨설팅 기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10개월 동안의 진행 일정은 [그림3]과 같다. 본 연구의 사례인 기술․가정과 컨설팅에

    관한 내용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14)

    12) 본 연구의 대상인 기술․가정과의 경우, 컨설턴트를 2명 섭외하여 팀 컨설팅이 진행되도록

    하였다.

    13)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적극적 역할과 소극적 역할에 관한 자세한 논의는 김효정(2008) 참

    조.

    14) 기술․가정과 컨설팅에 관한 아래의 내용은 학교컨설팅 관리자인 ○○○○컨설팅 연구

    회의 P고등학교 컨설팅 관련 문서(학교컨설팅 계획서, 학교컨설팅 의뢰서, 컨설턴트 및

    의뢰인 워크숍 자료 등)에 근거하여 작성하였다.

  • 390 敎育行政學硏究

    기 간 P고등학교 컨설팅 진행 내용

    2007년 4월P고등학교 컨설팅 착수

    수학과 컨설팅

    5월윤리과컨설팅

    6월음악과컨설팅

    7월

    ․컨설턴트 워크숍․의뢰인 워크숍8월

    9월국어과컨설팅

    기술․가정과 컨설팅

    생활지도 컨설팅

    10월

    11월

    12월

    2008년 1월 P고등학교 컨설팅 평가

    [그림 3] P고등학교 컨설팅 전체 진행 일정

    ▪ 준비

    A교사의 컨설팅 과제에 관한 컨설팅 의뢰서는 8월 중에 접수되었다. A교사는 기술

    관련 단원인 “건설 기술의 기초”에 관하여 수업 공개를 하고자 하였는데, 본인이 기술

    교육 뿐만 아니라, 기술 자체에 관한 기초 지식이 부족한 상황임을 밝히고 도움을 요청

    하였다. 따라서 기술 교과 교수법에 관한 도움과 기술 내용 자체에 관한 도움이 함께 필

    요한 상황이었다. 학교컨설팅 관리자인 ○○○○컨설팅연구회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고

    려하여 기술과 교수법에 관한 지원을 해줄 수 있는 교사(B교사)와 고등학교 기술 교과

    내용에 관한 지원을 해줄 수 있는 교사(C교사)를 2명 섭외하여 팀 컨설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8월 말, 의뢰인과 컨설턴트 워크숍이 진행된 후 9월초부터 의뢰인과

    학교컨설턴트의 첫 만남이 시작되었다. 구체적인 의뢰 내용은 아래와 같다.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91

    1. 의뢰 문제

    의뢰 문제 기술 분야에 대한 수업 방식 및 기초, 전문지식 지도

    의뢰 문제의 구

    체적 진술 및

    의뢰 이유

    4. 건설기술의 기초

    - 다소 딱딱하게 진행될 수 있는 기술 수업을 좀 더 부드럽고 생활에 유용하

    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도록 수업을 진행하고 싶습니다(기술에 주로 적용

    할 수 있는 수업방식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 더불어 교사인 저 스스로도 기술 분야를 공부하고 수업하는 것이 2학기가

    처음이라 많이 긴장됩니다. 기술 분야의 좋은 자료를 구할 수 있는 사이

    트, 교구 활용 등에 관하여 알고 싶습니다.

    2. 희망 컨설턴트

    ♠ 의뢰인은 가정 전공자로 2007년 신규 임용된 여교사 입니다. 학창시절에 여학생은 가정, 남학생

    은 기술을 배웠기 때문에 기술에 대한 기초 지식이 많이 부족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기술 파트

    를 학생들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쉽게 가르치는 방법, 재밌게 가르치는 방법에 대한 조언을 많이

    해 주실 수 있는 분이셨으면 합니다.

    ♠ 너무 딱딱하신 분보다는 유하신 분이였으면 좋겠고, 기술 파트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에 대해 도

    움이 되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A교사가 작성한 기술․가정과 컨설팅 의뢰서 내용 중)

    ▪ 진단

    의뢰인의 상황과 의뢰 과제에 관한 진단은 주로 학교컨설턴트와 의뢰인의 면담을 통

    해 진행되었다. 기술․가정교사 수업 설계의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학교컨설턴트들

    은 학생들의 사전 학습 정도, 수업 이해를 위한 노력 정도, 남녀 성비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였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것은 기술 교과에 대한 A교사의 선행

    지식 수준이었다. 즉, 비전공자가 기술 내용을 가르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였

    다. 그리고 교사가 수업할 교과 내용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연 수업을 보는 것이 중

    요하다고 판단하고, C교사의 시연 수업을 함께 참관하기로 계획하였다.

    1. 컨설팅의 초점

    해당 컨설팅은 ①수업 내용에 대한 컨설팅과 ②수업 방법에 대한 컨설팅으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

    다. 두 측면의 컨설팅 중에서 보다 중요한 것(혹은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전자이기 때문에, 수업 내용

    에 대한 교사의 고민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의뢰인이 비전공자임을 고려할 때, 수업 내용에 대한 이

    해의 중요성은 보다 크다고 볼 수 있다.

    ① 비전공자가 이 내용을 가르친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수업을 계획하는 것이 필요함.

    - 가장 중요한 것은 수업을 하는 교사가 수업 내용을 가장 잘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

    ② 의뢰인이 수업 내용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연 수업을 보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컨설턴트 시

    연 수업을 참관할 수 있는 차시로 수업 공개 차시를 수정함.

    - 수정전: UCC로 보여주는 가솔린 기관의 구조

    - 수정후: 건설 기술의 이해

    (B, C교사가 작성한 컨설팅 보고서 중 진단 관련 부분)

    위와 같은 진단 결과를 토대로 하여, 기술․가정교사의 수업 내용과 수업 방법의 방

  • 392 敎育行政學硏究

    향을 설정함과 동시에 기술 교사로서의 자기 개발을 위한 연수 및 기술 교사 모임에 관

    한 소개가 함께 진행되었다.

    ▪ 해결 방안 구안 및 선택

    해결 방안 구안 및 선택 단계는 A교사의 수업을 2명의 컨설턴트(B교사, C교사)가

    “공동으로 계획”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C교사의 시연 수업을 의뢰인과

    컨설턴트가 함께 참관한 후, C교사의 수업 자료와 수업 내용을 재구조화하는 작업을 진

    행하였다. 논의의 결과 ①“신문지로 교량 만들기”라는 본시 수업 이전에 진행되어야 하

    는 1-3차시 수업 계획, ②본시 수업 도입․전개․종료의 주요 내용, ③지도안 작성시 주

    의 사항, ④기자재 준비 및 기타 주의 사항 등이 정리되었다.

    이후에도 학교컨설턴트 2인은 본시 수업에 한정된 내용뿐만 아니라, 기술 교과 전반

    에 관한 내용을 함께 지도하였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시 수업 설계의 초점이 비전

    공자가 기술 교과를 가르치는 것에 있었기 때문에, 본시 수업에 한정된 단편적인 내용

    으로는 A교사에게 실효성 있는 도움을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었기 때문이다. 교수 학습

    자료에 관한 안내(수업 자료의 문제점 진단, 자료의 구체적인 유형 진단, 교과와 자료의

    적합성 판단, 수업 및 교과와 관련된 독서 지도 자료 제시, 수업 및 교과와 관련된 도서

    목록 안내)와 기술 교과서 내용에 관한 안내가 구체적으로 이루어졌다.

    ▪ 실행

    A교사의 공개 수업에는 B교사, C교사와 학교컨설팅 관리자, P고등학교 저경력 교사

    및 내부 관리자 등이 참석하였다. 본시 수업은 신문지로 교량을 만들고, 그 교량으로 재

    하 실험을 하여 교량의 튼튼함을 알아보는 내용이었다. 컨설턴트들은 수업 내용을 비디

    오 촬영하면서 수업을 참관하였는데, 교수 학습 목표 달성 측면, 수업 시간 운영 측면,

    교사의 발화 측면, 수업 계획과 실행의 일치 정도, 기타 수업 환경과 시설 측면에서 구

    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서는 체크리스트 형태의 교수 학습 참관록을 지양하고, 세

    부 기준별 참관 의견, 우수한 점, 개선이 필요한 부분, 총평 등을 서술식으로 작성하였

    다. A교사의 수업 공개가 종료된 후, 학교컨설턴트는 본시 수업과 수행 평가 연계에 관

    하여 지속적으로 조언하였다. 이는 본 컨설팅의 목적이 기술․가정교사의 공개 수업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교사로서의 역량 함양에 초점이 있다는 것과 관련된다.

    ▪ 평가

    컨설팅이 종료된 후, 학교컨설팅 평가가 이루어졌다. 기술․가정교사는 학교컨설팅의

    전반적인 과정과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매우 만족하였다. 그리고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93

    2명의 학교컨설턴트는 A교사의 향후 활동에 대한 조언이 담긴 보고서를 제출하였다. 여

    기에서는 의뢰 과제가 가정 전공 교사가 기술 영역을 담당해야 하는 현실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어려움이었음을 언급하고, 기술․가정교사로서 가져야 하는 태도, 향후 수

    업의 초점, 전문성 개발 방법 및 태도 등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조언하였다.

    Ⅴ. P고등학교 컨설팅 주요 관련자의 인식

    이 장에서는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가 가지는 학교컨설팅의 개념, 학교컨설턴트 및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자질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면담 과정에서 드러난, 학

    교컨설팅으로 인한 변화와 학교컨설팅 진행 과정의 어려움도 함께 정리하였다.

    1. 학교컨설팅의 개념에 관한 인식

    2000년을 전후하여 학교컨설팅이 급속히 확산되어 왔으나, 기존의 학교 지원 활동이

    나 교원 전문성 개발 활동에 익숙한 학교 구성원들에게 “학교컨설팅”이라는 개념은 생

    소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학교컨설팅의 개념에 대한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의 인식은

    어떠한지, 그리고 각 관련자의 인식 차이는 없는지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학교컨설

    팅 개념에 관한 인식 분석에 앞서, P고등학교 컨설팅 주요 관련자의 컨설팅 관련 사전

    경험을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구 분 컨설팅 관련 사전 경험 비 고

    A교사

    ∙컨설팅에 관한 직접적인 경험은 없음.

    ∙ P고등학교에서 진행된 컨설팅 중, A교사보

    다 먼저 컨설팅을 받은 동료 교사의 컨설

    팅을 간접적으로 경험함.

    ∙ A교사의 컨설팅에 앞서, 4명의 교

    사(수학, 윤리, 음악, 국어)가 먼저

    컨설팅을 받았음.

    B교사∙교육청 주도 수업컨설팅의 컨설턴트로 활

    동함.∙서울시 수업 지원단 활동

    C교사 ∙컨설턴트로 활동한 사전 경험은 없음.

    D부장교사∙컨설팅 공개 강좌, 관련 강의 등을 들은

    경험이 있음.

    P고등학교 주요 관련자의 학교컨설팅 관련 사전 경험

  • 394 敎育行政學硏究

    가. 의뢰인에게 필요한 도움을 주는 활동

    A교사는 학교컨설팅 착수 단계에는 학교컨설팅 개념을 기존의 전문성 개발 활동인

    동료 장학과 유사한 활동으로 인식하였다.

    처음에 우리 학교에서 컨설팅을 받는다고 했을 때, 동료 장학으로서의 컨설팅 개념

    정도가 알고 있는 전부였어요(A교사-면담).

    A교사는 P고등학교 4명의 교사가 먼저 컨설팅을 받았기 때문에 그 컨설팅 과정을 지

    켜보면서 컨설팅에 대한 간접 경험을 하였다. 이와 같은 간접 경험은 A교사의 학교컨설

    팅 개념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었다.

    다른 선생님들이 컨설팅을 받는 것을 보면서, 처음에는 너무 부담스러운 것이라 생각

    만 했어요. 너무 생소한 일이라서 갈팡질팡하기도 하고……. 그런데 K 선생님이 컨설턴

    트 선생님과 좋은 관계로 도움을 주고받는 것을 보고 생각이 조금 바뀌었던 것 같아

    요.15) 처음엔 제 전공이었던 가정과 관련된 단원으로 수업 공개를 하려다가, 이왕에 컨

    설팅을 받아야 한다면 나에게 정말 필요한 도움을 받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아서. 그래서

    아무것도 몰랐던 건설 단원으로 수업 공개 차시를 정했어요(A교사-면담).

    처음에는 동료 장학과 학교컨설팅을 유사한 활동으로 생각하였던 A교사에게 본인의

    컨설팅 경험에 비추어 볼 때, 학교컨설팅과 다른 지원 활동(장학, 연수, 학교 평가 등)이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다고 생각하는지 물었다. 이에 대하여, A교사는 다른 전문성

    개발 활동과 비교할 때, 학교컨설팅이 보다 의뢰인 중심적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다.

    장학이든, 학교컨설팅이든 전문성 신장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는 공통점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질적인 차이점은 반드시 존재하는 것 같아요. 일대일과 일대 다수의

    활동은 결과가 다를 수밖에 없지 않나요? 의뢰인의 특성에 맞는 컨설팅이 가능하고, 거

    의 즉각적인 피드백도 가능하고, 또 다른 어떤 활동보다 쌍방향 의사소통이 원활하기

    때문에 좀 더 효과적인 것 같아요(A교사-면담).

    컨설팅에 관한 사전 경험이 거의 없는 A교사가 경험한 컨설팅은 “나에게 정말 필요

    한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전문성 신장 활동이었다. 그런데 “컨설팅을 받아야 한다면”이

    15) K교사는 1학기 때 수행된 음악과 컨설팅을 받은 P고등학교 교사이다(연구자 주).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95

    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컨설팅을 필요한 도움을 자발적으로 요청할 수 있는 활동이

    라기보다는 학교 조직 수준에서 주어지는 활동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P고등학교

    컨설팅이 교사 개인 수준에서 의뢰된 과제가 아니라, 학교 조직 수준에서 의뢰된 과제

    라는 점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는 학교컨설팅의 “고안된 자발성”과 관련하여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A교사의 위와 같은 대답에서 학교컨설팅을 “의뢰인 개개인에게 맞추어진 전문성 개

    발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교사가 학교컨설팅의 특성으로 인식

    한 “일대일” 활동, “즉각적인 피드백”, “쌍방향 의사 소통” 등은 비단 학교컨설팅만의

    고유한 특성은 아니다. 그러나 직접 컨설팅을 받은 A교사의 입장에서는 그러한 특성이

    보다 두드러진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P고등학교 내에서 컨설팅이 진행되는 전체 과정을 관장한 D부장교사는 학교컨설팅의

    개념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컨설팅은 의뢰인이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인가를 끄집어내서 정말 도움이 되는 것을 주

    는 활동이잖아요. 사실 실제로 교내 수업 연구 협의회 때 컨설팅을 받은 것치고는 별로

    라는 평을 받기도 했어요. (……) 하지만 컨설팅은 실적 중심이 아니잖아요? 만약 장학

    처럼 실적 중심이었다면, 남들이 보기에 오히려 더 나은 결과를 볼 수도 있었을 거라 생

    각해요(D부장교사-면담).

    D부장교사는 학교컨설팅을 “의뢰인이 필요로 하는 것에 대한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동시에 실적 중심 활동이 아닌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인식하였다.

    학교 관리자나 다른 교사들에게는 “컨설팅을 받은 것치고는 별로”라는 평을 받은 수업

    으로 “실적”은 좋지 못했으나, A교사에게 필요한 것을 충족시켜 주었던 활동이라 생각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나. 교사들이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

    A교사에게 도움을 제공한 2명의 컨설턴트는 학교컨설팅에 대해서 “서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통로”로 인식하고 있었다.

    A선생님 때문에 생긴 문제가 아니니까. 기술 교과가 참 문제가 많아. 가정 선생님이

    기술도 가르쳐야 하고, 기술 선생님도 가정도 가르쳐야 하고. 학교에 기술 교사랑 가정

    교사가 모두 있으면, 따로 따로 하면 되는데 그렇지 않는 데가 더 많으니까. 나도 가정

  • 396 敎育行政學硏究

    가르쳐 봤는데, 정말 죽겠더라구. 서로 도와야지 뭐. 컨설팅이 뭔지는 아직 잘 모르겠지

    만, 이런 통로라도 있어서 (A교사가) 도움 받을 수 있으면 다행이지 뭐(B교사-면담).

    B교사는 중학교 기술․가정 교사로서, 가정을 가르칠 때 자신이 느꼈던 막막함을 먼

    저 토로하였다. A교사의 어려움을 공감하는 입장에서, 컨설팅을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로 인식하고 있었다. 2명의 컨설턴트는 A교사가 겪고 있는 어려움의 원인

    을 현재의 교사 양성 및 임용 체제, 팀티칭에 대한 관리자의 이해 부족 등에서 찾고 있

    었다. 그러나 이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권한과 책임을 개인 교사가 가지고 있지 않은

    영역이다. B교사는 학교컨설팅을 현재의 여건에서 A교사가 현실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

    는 통로로 생각하고 있었다.

    2. 학교컨설턴트의 자질에 관한 인식

    가. 의뢰인 중심의 도움 제공과 헌신

    A교사는 어떤 사람이 훌륭한 컨설턴트라고 생각하느냐라는 질문에 대하여 아래와 같

    이 답하였다.16)

    의뢰자가 원하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는 사람이다. 자칫하면 컨설턴트는 도움을 주는

    입장으로 자신의 기준에 맞는 컨설팅이 전개될 수도 있겠으나 그런 컨설팅은 별 도움이

    되지 못한다. 또한 자신의 시간을 의뢰자에게 나눠 주는 것에 대해 아낌이 없는 사람이

    라면 충분히 훌륭한 컨설턴트라고 생각한다(A교사-이메일)

    A교사는 훌륭한 컨설턴트의 자질로 ①의뢰인 중심의 도움 제공, ②의뢰인에 대한 헌

    신 등을 들었다. A교사가 생각하는 훌륭한 학교컨설턴트의 모습은 해당 컨설팅에 대한

    A교사의 평가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진단 후 문제해결 방안에 관한 협의는 충분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학교컨설팅 관리자

    가 의뢰인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셔서 고등학교 기술 과목의 내용을 맡아 주실 컨설턴

    트 분(C교사)을 소개해 주셔서 내용적인 측면의 도움을 많이 받았으며, 다른 한 분의 컨

    16) 해당 컨설팅이 종료된 후, 학교컨설팅 관리자인 ○○○○컨설팅 연구회 회원은 A교사에

    게 컨설팅 진행 과정에서 특히 만족스러웠던 점과 불만족스러웠던 점, 컨설턴트에 대한

    평가 등에 관하여 기술해 줄 것을 요청하였다. 아래의 평가는 이메일을 통해 회신한 A교

    사의 평가 결과이다.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97

    설턴트(B교사)로부터는 수업 방법적인 측면을 도움 받도록 하였던 점이 감동을 주기까

    지 했다(A교사-이메일).

    한 달여 동안 주말에는 컨설턴트를 만나서 기술의 내용 부분과 수업 방법 측면을 거

    의 과외하다시피 했다. 수업의 내용, 방법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매우 많이 받았으며 수

    업에 필요한 자료도 충분히 제공해주었다. 이러한 컨설팅이 실제 기술 수업에 많은 도

    움을 주고 있다(A교사-이메일).

    컨설팅이 진행되는 과정 내내 즐거웠다. 아마도 컨설턴트, 컨설팅 관리자와 친밀한 유

    대감이 형성되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도와주시는 입장이신데도 기꺼이 시간을 내어

    주시고, 불평불만 없이 즐거운 마음으로 임해주셨기에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다.

    서로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지만, 그보다는 좀 더 나은 교육을 위한 협력자의 관계였다

    고 생각한다(A교사-이메일).

    이상의 내용을 볼 때, A교사는 두 명의 컨설턴트로부터 수업 내용 측면과 수업 방법

    측면에서 흡족한 도움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교사가 가진 컨설턴트에 대한 만

    족감은 이와 같은 학교컨설턴트의 내용적 전문성에 기반하고 있다. 두 컨설턴트는 기술

    수업에 대하여 의뢰인이 가지고 있는 어려움을 파악하여, 기술 내용을 학습하고 동시에

    가르쳐야 하는 A교사의 위치를 정확히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의뢰

    과제 해결에 관한 전문성에 더하여, “친밀한 유대감”, “기꺼이 시간을 내어 주는” 헌신

    적인 태도 등이 학교컨설턴트에 대한 만족감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나. 대화 기술

    D부장교사는 P고등학교 교육연구부장의 입장에서 학교컨설턴트에게 필요한 자질로

    대화 기술을 들었다.

    저는 컨설턴트가 의뢰인이나 학교 관리자의 마음에 들 수 있도록 그런 기술이 좀 있

    었으면 좋겠어요. 대화하고 교류하는 방법에 대한 상담도 필요할 것 같고……(D부장교

    사-면담).

    전술한 바와 같이, P고등학교의 컨설팅은 학교 조직 수준에서 의뢰된 컨설팅이다. 따

    라서 학교 관리자의 협조와 이해가 필수적이다. 학교 내에서 전체적인 과정을 관장한 D

  • 398 敎育行政學硏究

    부장교사는 학교 관리자가 학교컨설턴트를 신뢰하고, 학교컨설팅에 긍정적인 관심을 가

    지고 지원하도록 설득할 수 있는 적절한 대화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하였다.

    3.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자질에 관한 인식

    가. 대인 관계 기술 및 의사소통 능력

    P고등학교 구성원인 A교사와 D부장교사, 2명의 컨설턴트에게 훌륭한 학교컨설팅 관

    리자가 갖추어야 하는 자질에 관하여 물어보았다. 이들 주요 관련자가 가장 첫 번째로

    꼽는 자질은 대인 관계 기술과 의사소통 능력이었다.

    의뢰자와 컨설턴트의 관계가 빠른 시일 내에 어색함이 사라지도록 할 줄 아는 사람,

    컨설팅의 각 단계 단계마다 진행 상태를 파악하고 중간 점검을 할 줄 아는 부지런한 사

    람(A교사-이메일).

    컨설팅을 처음 시작할 때의 ‘첫 만남’이 중요해요. 특히 교장이 컨설팅에 비호의적인

    경우, 이러한 인상을 바꾸어 줄 수 있어야 해요. 의뢰인이나 학교 관리자의 마음에 들

    수 있도록 대화하고 교류하는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봐요. (…중략…) 또 컨설턴트나

    의뢰인과 친하게 지내는 것도 중요하죠(D부장교사-면담).

    P고등학교 컨설팅이 실행될 당시, P고등학교 내에 학교컨설팅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가 갖추어지지 못 한 상황이었으므로 D부장교사는 내부 관리자로서 많은 어려움이 있

    었다는 점을 토로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학교컨설팅 관리자가 학교 내 컨설팅 진행 과정

    의 “중간자” 역할을 하는 내부 관리자의 어려움을 들어주면서, 동시에 자신(내부 관리자)

    의 의견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이를 효과적으로 설득하는 능력도 중요하다고 말하였다.

    나. 적절한 정보 제공 및 전문성을 갖춘 컨설턴트 섭외 능력

    D부장교사와 학교컨설턴트는 학교컨설팅 관리자가 갖추어야 하는 중요한 자질로 컨설

    팅 과정에서 필요한 정보 및 자원 제공, 과제에 따른 적절한 컨설턴트 섭외 등을 들었다.

    전문적인 컨설턴트를 많이 알고 섭외하는 능력도 기본일 거고……. (D부장교사-면담).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399

    컨설턴트에게 학교 특성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들이 필요한 것 같습

    니다. 초기에 학교컨설팅 관리자가 적절한 자료를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합

    니다(B교사-이메일).

    컨설팅이 의뢰자 1인과 컨설턴트 1인의 관계로 이루어진다면 다양성의 한계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의뢰자 1인에 컨설턴트 2~3명이 이루어진 구성으로 컨설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면 매우 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의뢰인의 문제를 잘 파악하고, 적절한 컨설턴트 팀

    을 구성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C교사-이메일).

    의뢰인은 교사 개인임과 동시에, P고등학교의 구성원이다. 따라서 P고등학교의 맥락

    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만 해당 컨설팅이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관

    련하여 컨설턴트들은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중요한 자질로 학교 특성 이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자료 제공을 언급하였다. 또한 D부장교사와 컨설턴트는 의뢰 과제에 대

    한 진단에 기초하여 적절한 컨설턴트를 섭외하거나, 여기서 나아가 팀을 구성하는 것

    역시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중요한 자질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학교컨설팅으로 인한 변화

    가. 만족도 증가

    전반적으로 P고등학교 주요 관련자들은 해당 컨설팅에 대해 만족하였다. 학교 구성원

    들의 변화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내부 관리자인 D부장교

    사에게 학교컨설팅 이후 P고등학교에 나타난 변화에 관하여 질문하였다.

    D부장교사는 자신이 초임 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 장학 지도를 했던 때보다, 컨설

    팅을 받은 초임 교사들의 상대적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 선생님은 컨설팅 끝나고 나서도 또 했으면 좋겠다고 했어요. 그리고 다른 선생님

    들도 내가 지도할 때보다 더 좋아하는 것 같았어요(D부장교사-면담).

    여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으나, 가장 대표적인 이유로는 초임 교사가 담

    당한 교과에 대한 전문성을 갖춘 컨설턴트가 도움을 제공한다는 것을 들 수 있다. 교육

    연구부장 1명이 담당 교과가 다양한 초임 교사를 모두 지도하기에는 전문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에 비해 일대일 관계로, 보다 충분한 시간과 전문성을 갖춘 컨설턴

  • 400 敎育行政學硏究

    트가 의뢰인을 지도할 때 그 만족도는 더 높아지게 된다. D부장교사는 컨설팅을 통해

    자신의 부담도 덜었다고 기술하였다. 교육연구부장의 주된 업무 중 하나가 해당 학교

    교원의 전문성 신장에 관한 장학 업무이다. D부장교사는 초임 교사가 많은 P고등학교의

    특성상 임상 장학 지도 업무가 과중했다는 말을 하였다. 이는 아래와 같은 D부장교사의

    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컨설팅이 없었을 때 신규 선생님들의 연구 수업을 혼자 지도했을 때에 비하면, 나의

    희생과 봉사가 훨씬 줄어들었죠. 그 땐 정말 너무 힘들었어요. 중간에 포기하고도 싶었

    고요(D부장교사-면담).

    나. 의뢰인의 자발적인 교수 학습 방법 개선 노력

    D부장교사는 컨설팅을 통해 초임 교사들이 많이 변화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의뢰인

    들의 변화와 관련된 대표적인 예로 자발적인 교수 학습 방법 개선 노력을 들었다. 제보

    자에 따르면, 의뢰인들은 컨설턴트에게서 배운 수업 방법, 자료 수집 방법 등을 활용하

    여 컨설팅이 종료된 후에도 다양하게 노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변한 건 그 선생님들이죠. 지금도 스스로 노력하는 모습이 보여요. 연수도

    듣고 책도 사고, 자기네들(함께 컨설팅을 받은 교사들)끼리 모여서 수업 방법에 대해 이

    야기도 해요. 얼마나 예쁜데요(D부장교사-면담).

    올해도 신규 선생님들이 수업 연구를 하거든요. 안 그래도 제가 메신저로 그 때 선생

    님들께 좀 도와주면 어떻겠냐고 보내려고 하는데, 세상에 그 선생님들이 저한테 메시지

    를 보냈더라구요. 자기네들이 후배 선생님들 수업 연구를 도와주고 있다고요(D부장교사-

    면담).

    5. 학교컨설팅 진행 과정상의 어려움

    가. 외부 컨설팅 관리자와 내부 컨설팅 관리자의 의견 충돌

    ○○○○컨설팅연구회는 P고등학교 컨설팅 착수 당시, 학교 구성원에 대한 교육을 우

    선 실시하고자 하였다. P고등학교 컨설팅이 시작된 2007년에는 단위 학교 중심의 학교

    컨설팅 의뢰가 전무했던 시기였는데, 학교 구성원이 학교컨설팅에 대한 이해 정도가 낮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401

    을 경우 성공적인 컨설팅이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반면, 내부 관리자인 D부장교

    사는 학교컨설팅에 대한 교육보다는 실제 컨설팅 수행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컨설팅을 하기 전에 연구회 측에서는 개념, 원리, 절차 등에 대해 연수를 해야 한다고

    하셨어요. 하지만 초임 선생님들은 마음이 급하셨고 상황도 좋지 않았죠. 솔직히 저는

    이론보다 실제를 우선으로 여기는 입장이에요. 실제를 하면서 이론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해요. 그 때 컨설팅 받은 선생님들은 나보다 컨설팅에 대해 지금 현재 훨씬 잘 느끼

    고 알고 있어요. 만약 이론을 먼저 더 강조했더라면 해당 교사들이 짜증을 냈을 거에요

    (D부장교사-면담).

    학교 구성원의 학교컨설팅에 대한 이해 정도는 학교컨설팅의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친

    다. 그런데 컨설팅에 대한 이해가 전무한 상태에서 컨설팅에 대한 연수가 선행되는 것

    은 P고등학교 교직원들이 컨설팅에 대해 또 하나의 짐, 혹은 이론적인 연구 등의 부정

    적인 인상을 가지는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하였다. 반면, 학교컨설팅 관리자는

    학교컨설팅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없이 학교컨설팅을 추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생

    각하고 교내 연수를 우선 추진하고자 하는 입장이었다. 이 상황과 같이 학교컨설팅 관

    리자와 학교 내부 관리자의 의견이 상충될 경우, 학교컨설팅의 일관된 진행이 어려울

    수 있다.

    나. 교장과 컨설턴트의 우호적 관계 수립의 어려움

    본 사례에서 컨설턴트는 기술 분야에 대한 내용적 전문성과 방법적 전문성을 지닌 외

    부 교사였다. 학교관리자인 교장은 이들 외부 인사가 학교 전체의 분위기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까 염려하였고, 이에 대해 내부 관리자는 중간자로서 이러한 갈등 관계를

    조정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교장 선생님 입장에서는 (컨설팅을) 허락은 하셨지만, 자꾸 사람들이 왔다 갔다 하니

    까 좋으실 리가 없죠. 거기다가 이번에는 두 명이고, 컨설턴트 비용도 두 명에게 지급되

    니까. 그 비용에 대해서도……. 비용만큼 A교사 선생님이 수업을 잘 했느냐 뭐 이런 것

    도 따지고 싶어 하시고. 그런 것 때문인지 두 분 컨설턴트와 좋은 관계로 못 지내신 것

    같아요(D부장교사-면담).

  • 402 敎育行政學硏究

    P고등학교의 교장은 학교 내 외부인 출입, 컨설팅 비용 지급 등에 대하여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컨설턴트인 B교사와 C교사는 P고등학교 교장이 기술 교

    과의 특수성과 가정 교사가 기술을 가르치는 상황의 어려움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관리자의 교과 특성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교 환경에서 기술 교과 수업의 진행의 어려

    움이 나타났다. 기술 및 가정 교과는 체험 활동 중심의 교과로 실천적 경험을 통해 인지

    적, 정의적 변화를 기대하는 교과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교과의 다양성을 인지하는

    관리자의 의식 변화가 필요하다(B교사, C교사-학교컨설팅 최종 보고서).

    기술⋅가정 교과의 구조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즉, 가정 전공 교사 기

    술 영역을 담당해야 하는 현실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이는 학교 특성을

    고려할 때 팀티칭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부분이다. 관리자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가정 전공자에게 컨설팅 몇 번을 통해서 기술 영역의 내용을 잘 가르치도록

    요구하는 것은 학문적 근거로 볼 때 불가능한 일이다. 교육은 교사의 질을 넘지 못한다

    (B교사, C교사-학교컨설팅 최종 보고서).

    Ⅵ. 논 의

    본 연구는 2007년 수행된 P고등학교 컨설팅 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들이 학교컨설팅의 개념, 훌륭한 학교컨설턴트 및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자질 등

    에 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아래에서는 본 연구의 사례인 P고등

    학교 컨설팅이 가지는 의의를 간단히 정리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컨설팅 관련

    자의 인식에 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1. P고등학교 컨설팅 사례의 의의

    P고등학교 컨설팅 사례가 가지는 의의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정리해 볼 수 있다.

    하나는 학교컨설팅 측면의 의의이며, 다른 하나는 교육 행정 측면의 의의이다.

    첫째, P고등학교 컨설팅 사례는 학교컨설팅이 학교 현장에서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

    을 보여주었다는 의의가 있다. 학교컨설팅이 학교 현장에 자리잡는 데 있어서, 주된 장

    애 요인으로 논의되었던 것이 학교 조직의 폐쇄적인 문화였다. 학교 특유의 개인주의적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403

    문화, 폐쇄적 문화가 자신의 문제를 자발적으로 드러내고 도움을 주고받는 컨설팅의 방

    향과 배치된다는 것이다. P고등학교의 컨설팅에서도 외부인의 출입에 대하여 학교 관리

    자가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는 난점이 있었다. 그러나 컨설팅의 직접적 관련자인 A교사

    와 D부장교사, 그리고 두 명의 컨설턴트는 컨설팅에 대한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위의 분석 내용에 비추어보면, P고등학교 컨설팅 사례에서는 ①문제를

    드러내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자발적인 학교 구성원과

    ②다양한 경험을 바탕으로 의뢰인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전문적인 컨설턴트의 모습

    이 담겨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재정 지원과 같은 기본적인 조건이 선행되어야 하겠으

    나, 이는 학교컨설팅 주요 원리인 자발성의 원리와 전문성의 원리가 가지는 현장 적합

    성을 다소간 검증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둘째, P고등학교 컨설팅 과정과 컨설팅으로 인한 변화는 교육 행정의 범위에서 볼 때

    교사 전문성 개발 및 교사 학습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교사가 실천적인 전문성을 소유

    한다는 것은 교육 현장의 문제를 인식하고, 자신의 가치관이나 상황 전반에 대한 종합

    적인 분석을 토대로 최선의 방안을 찾고 이를 끊임없이 재평가하여 보다 나은 방안을

    구축해 가는 능력을 갖춘다는 것을 의미한다(조부경․김정화, 2000; 조재식, 2002; 허영

    주, 2007). 이는 교사가 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문제나 쟁점들을 동료 교사들, 교사 교육

    자들과 함께 협의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교사의 학습을 지원하여야 한다는 논의와

    도 관련이 있다(Borko, 2004). 최근 이러한 교육현장에 기반을 둔 학습, 교육 현장의 문

    제나 사례 중심의 학습, 교사들의 협력학습이 현직 교사 교육의 새로운 방법으로 모색

    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 P고등학교에서 수행된 학교컨설팅은 교사가 자신의

    문제를 다른 교사들과 함께 해결해가는 과정을 통해 실천적 전문성을 갖추어 나가는 현

    직 교육의 대안적 모습이라고도 볼 수 있을 것이다.

    2.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의 인식에 관한 논의

    첫째,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들은 학교컨설팅을 “의뢰인을 위한 맞춤식 활동”, “교사

    들 간의 전문성 교류 활동의 장(場)”에 초점을 두어 인식하고 있었다. 선행 연구에서 논

    의되었던 학교컨설팅의 개념에는 학교컨설팅의 목적, 주체, 과업 등을 모두 포괄하고 있

    으나(진동섭, 2003; 진동섭․홍창남, 2006; 진동섭․김효정, 2007; 진동섭․홍창남․김도

    기, 2009), 현장에서 학교컨설팅을 수행하는 의뢰인, 학교컨설턴트, 학교컨설팅 관리자가

    이러한 학교컨설팅의 개념을 모두 포괄하여 인식하는 것은 아니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관련자들이 학교컨설팅의 개념 중 특히 어떠한 내용에 보다 주목하고 있는지를 살펴보

    았다. 연구 결과, 컨설팅 대상 교사와 학교 내부 관리자는 의뢰인이 “정말 필요한 도움”

  • 404 敎育行政學硏究

    을 받을 수 있는 전문성 신장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 “정말 필

    요한 도움”은 의뢰인에게 개별적으로 맞추어진 전문성 개발 활동이라는 의미를 포함한

    다. 특히 본 사례의 경우, 의뢰인인 A교사가 가정 교육에 관한 직전 교육만 받은 상태

    에서 기술과 수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었으므로 이러한 도움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한 상

    황이었다고 할 것이다.17) 한편 학교컨설턴트는 학교컨설팅이 “교사가 서로 도움을 줄

    수 있는 통로”라는 점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이는 진동섭․이윤식․유현숙(2003)에서

    대다수의 교사들이 도움을 받고자 하는 대상으로 동료 교사를 희망하고 있는 것과 그

    맥을 같이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교컨설팅이 현장의 어려움을 공유하고 있는 동료

    교사 간에 서로 정보를 교류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장(場)으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인식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교컨설턴트의 자질로 내용적 전문성뿐만 아니라, 방

    법적 전문성과 헌신적 태도가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학교컨설턴트의 자질은 크게

    내용적․기술적․태도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내용적 측면은 의뢰된 과제

    와 관련된 전문성이다. 수업에 관한 컨설팅을 수행한 본 사례에서는 수업 내용 및 수업

    방법에 관한 전문성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기술적 측면은 학교컨설턴트가

    일반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술로, “대화 기술”을 비롯한 적절한 의사소통 능력이 중시되

    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기존의 학교컨설팅 연구에서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의 영

    역 중 하나인 '방법적 전문성'과도 밀접하게 연관되며(진동섭, 2003; 진동섭․홍창남,

    2006; 진동섭․김효정, 2007; 진동섭․홍창남․김도기, 2009), 대화 기술의 중요성을 강조

    한 정수현(2008)의 연구와도 그 맥을 같이 한다. 학교컨설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의뢰

    인의 적극적 태도뿐만 아니라 학교관리자의 협조와 지원이 중요한데, 이들을 설득하고

    컨설팅을 이끌어갈 수 있는 적절한 대화 기술이 중요한 자질로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턴트가 내용적․방법적 전문성뿐만 아니라, 학교컨설턴트로서의

    기본적인 태도, 즉, 배려, 헌신 등의 자질도 갖추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박상완(2008)도 Block(1999)의 논의를 바탕으로 하여, 학교컨설턴트의 자질로서

    컨설팅 내용에 대한 전문 지식, 인간관계 기술, 컨설팅 기술뿐만 아니라 신뢰와 진정성

    에 대해 논한 바 있다. 이는 학교컨설턴트의 자질에 관한 향후 연구에서 의뢰인에 대한

    배려, 헌신, 신뢰, 진정성 등의 태도적 요건을 포함하여야 함을 시사해 준다.

    셋째,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의 인식에 기초하여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자질에 관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연구 결과, 학교컨설팅 주요 관련자들은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자

    질로 전문적인 컨설턴트 섭외 능력, 대인 관계 기술, 컨설팅 진행 과정 조절 능력 및 관

    17) 의뢰 과제는 기술⋅가정과 교사 양성 및 임용에 관한 제도적 제약과도 관련이 있는 문

    제이다. 그러나 이는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범위는 아니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하지

    않는다.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405

    련 정보․자원 제공 등을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학교컨설턴트의 전문성과 자질에만 초점을 두어 왔기 때문에(박상완, 2008; 이윤,

    2008; 진동섭․홍창남․김도기, 2008), 학교컨설팅관리자의 자질 및 역할에 대해서 체계

    적으로 논의된 바가 없다. 그러나 학교컨설팅 관리자는 의뢰인이 과제를 의뢰하는 직접

    적인 통로가 되며, 학교컨설팅의 전반적인 과정을 조정․지원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컨

    설팅 관련자라고 볼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외부 학교컨설팅 관리자의 능력 및 자

    질이 주요 관련자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중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학교

    컨설팅관리자의 자질이나 전문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학교컨설팅으로 인한 변화가 무엇인가”에 관한 주요 관련자의 인식을 볼 때,

    컨설팅의 효과는 의뢰인의 학습 형태로 지속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학교컨

    설팅의 학습성의 원리에 따른 것이라 볼 수 있다. P고등학교의 사례에서 A교사의 의뢰

    과제인 “기술 수업에 대한 어려움”은 한 번의 컨설팅으로 해결될 수 없었다. 수업에 대

    한 전문성은 단기간의 컨설팅으로 해결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A

    교사는 B교사와 C교사가 자신의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있으며, 이에 대하여 헌신적으

    로 도움을 제공하였다는 점에 대하여 크게 만족하고 있었다. 그리고 컨설턴트와의 상호

    작용 과정에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컨설팅이 종료된 이후에도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자발적으로 노력하고 있었다. 학교컨설팅 사례에 관한 한 선행 연구에서는 컨설

    팅 종료 후 나타난 대표적인 변화로 의뢰인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을 언급한

    바 있다(이재덕․허은정, 2009). 본 연구에서도 주된 변화로 컨설팅 대상 교사 스스로가

    전문성 신장을 위해 노력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컨설팅 대상 교사

    가 컨설팅 과정에서 학습한 내용, 컨설턴트로부터 도움 받은 내용을 후배 교사와 공유

    하고자 한 것도 두드러진 변화이다. 이를 통해 학교컨설팅을 통한 지속적인 전문성 개

    발 가능성과 학교컨설팅의 주된 원리 중 하나인 학습성 원리의 구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다섯째, 학교컨설팅 과정에서의 갈등 관리 전략과 관련 사례에 관한 연구가 후속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긍정적 효과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

    졌다. 그러나 본 연구의 인식 분석 결과에 따르면 학교컨설팅은 이상(理想)이 아니라, 학

    교 현장에서 적용되는 실천 활동이다. 따라서 그것의 실행 과정상 어려움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경영컨설팅의 경우, 계약 단계에서 고객의 동기가 낮은 경우

    가 많으며, 컨설팅의 수행에 저항하기도 하는 점 등이 주된 어려움으로 지적된다(Block,

    1999). 학교컨설팅 사례를 분석한 본 연구에서도 학교 관리자와 컨설턴트의 관계 형성이

    어렵다는 점, 외부 컨설팅관리자와 내부 컨설팅관리자 간에 의견 충돌이 있을 수 있다

    는 점이 실행 과정상의 어려움으로 밝혀졌다. 이는 컨설팅 과정에서 해당 학교에 대한

  • 406 敎育行政學硏究

    컨설턴트와 컨설팅 관리자의 이해 정도, 이들의 의사소통 능력 및 대인 관계 능력 등이

    컨설팅 수행과 그 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주요 관련자의 인식

    을 토대로 볼 때, 의뢰인과 컨설턴트, 외부 컨설팅관리자와 내부 컨설팅관리자 간의 갈

    등 관리도 앞으로 학교컨설팅이 해결해야 할 중요 과제임을 시사해 준다.

    Ⅶ. 요약 및 제언

    본 연구에서는 학교컨설팅에 대한 실제적 관심이 증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학교컨

    설팅을 직접 경험한 학교 구성원이 학교컨설팅의 개념과 주요 관련자의 자질에 대하여

    가지는 인식을 분석하였다. 학교컨설팅에 대한 학교 구성원의 인식은 학교컨설팅의 효

    과에 큰 영향을 미친다.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식을 다룬 선행 연구는 많지 않은데, 그

    연구들은 잠재적인 학교컨설팅 관련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논문

    에서는 2007년 실제로 수행된 한 고등학교 사례에 기초하여, 학교컨설팅 의뢰인, 내부

    관리자, 학교컨설턴트가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의 자질에 대해 가지는 인식

    을 분석하고 관련 논의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인식 분석 및 이 결과의 의

    의에 관한 논의는 실천적 지침으로서의 학교컨설팅이 가지는 가능성을 명확히 하고, 학

    교컨설팅에 관하여 후속되어야 하는 이론적 과제를 제시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

    대한다.

    학교컨설팅의 인식에 관한 후속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학교컨설팅 사례가

    지속적으로 축적될 필요가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학교컨설팅에 대한 인식은 주요 구

    성 요소, 절차, 제반 여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데 이는 지속적인 사례 축

    적과 함께 후속되어야 할 이론적 작업이다. 둘째, 보다 심층적인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가 후속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설팅을 경험한 주요 관련자를 대상으로 한 면

    담을 중심으로 하여 질적인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문화기술적인 관찰과 심층 면담이

    후속된다면, 본 연구의 결과를 보다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셋째, 학교컨설팅의 본질

    을 규정하는 학교컨설팅 원리를 기준으로, 학교컨설팅 사례와 관련 학교 구성원의 인식

    을 분석함으로써 학교컨설팅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보다 심화시킬 필요가 있다.

  • 학교컨설팅의 개념 및 주요 관련자에 관한 인식 연구- P고등학교 학교컨설팅 사례를 중심으로 407

    참고문헌

    김도기(2005). 컨설팅장학에 관한 질적 실행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병주․이임숙․민병조(2008). 컨설팅장학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분석.

    초등교육연구, 21(1), 347-369.

    김영천(2007). 질적연구방법론 I. 서울: 도서출판 문음사.

    김정원․이인효․정수현(2001). 학교 교육 개혁 지원을 위한 학교컨설팅 사업(Ⅱ). 한국

    교육개발원 RR 2001-07.

    김정원․유균상․강영혜․정수현․김미숙․손연아․박은실․박영훈․이윤미․이명실

    (2002). 학교 교육 개혁 지원을 위한 학교컨설팅 사업(Ⅲ). 한국교육개발원 RR

    2002-06.

    김정환(2003). 교육연구 및 통계방법. 서울: 원미사.

    김효정(2008). 초등학교에서의 학교컨설팅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분

    과자료집 Ⅲ, 949-969.

    노석준․문승태․장선철(2008). 교육연구방법 및 통계. 서울: 동문사.

    박상완(2008).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과제. 교육행정학연구, 26(2),

    343-362.

    이승호(2008). 학교경영컨설팅에 따른 교원 의사소통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이재덕․허은정(2009). 학교경영컨설팅 사례 연구: M고등학교 기숙사 운영 컨설팅 사

    례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7(2), 281-303.

    이윤(2008). 초등영어 수업컨설팅 실태 분석. 초등영어교육, 14(2), 45-71.

    정수현(2008). 대화 개념에 근거한 학교컨설팅 방법론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6(2),

    391-414.

    조부경․김정화(2000). 유아교사 양성대학 전공 강좌에서 이론과 교수 경험의 통합운영

    에 대한 예비교사, 지도교사 및 담당교수의 반응 분석. 유아교육연구, 20(1),

    139-162.

    조재식(2002). 교육과정 실행과 교사의 일: 현상학적 접근. 교육과정연구, 20(1),

    229-252.

    진동섭(2003). 학교컨설팅. 서울: 학지사.

    진동섭․이윤식․유현숙(2003). 교원 전문성 신장을 위한 학교지원체제 구축 방안 연

    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진동섭(2006). 한국 학교 개혁의 방향과 과제. 동아시아 국가의 교육 혁신 동향과 과제-

    부산대학교 BK21 국제화 지향 교육 혁신 전문 인력 양성 사업단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25-44.

  • 408 敎育行政學硏究

    진동섭․홍창남(2006). 학교 조직의 특성에 비추어 본 학교컨설팅의 가능성 탐색. 한국

    교원교육연구, 23(1), 373-396.

    진동섭․김효정(2007). 학교컨설팅의 원리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3(1), 25-50.

    진동섭․이재덕․허은정․이승호․김시영․임아란․위은주(2008). 학교컨설턴트 교육내

    용의 요구 분석. 한국교육, 35(3), 125-143.

    진동섭․홍창남․김도기(2009). 학교경영컨설팅과 수업컨설팅. 서울: 교육과학사

    최상근․임연기․김정원․류방란․신상명․이윤미․최돈형(2000). 학교 교육개혁 지원

    을 위한 학교컨설팅 사업(I).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0-15.

    최선영․노석구(2008). 초등과학 수업 컨설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초등과학교

    육연구, 27(1), 23-30.

    허영주(2007). 현직교사교육프로그램에의 실천학습(action learning)의 도입 가능성과 한

    계 분석. 교육과정연구, 25(4), 207-228.

    홍창남(2002). 학교경영컨설팅의 개념 모형 탐색.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Borko, H(2004).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eacher learning: Mapping the terrain.

    Educ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