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11
1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전전전 ) Prof. Kee-Joe Lim [email protected] , 261-2424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ttp://www.cbucc.com 2013/3/1

Upload: purity

Post on 07-Feb-2016

11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Prof. Kee-Joe Lim [email protected] , 261-2424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ttp://www.cbucc.com 2013/3/1. 전기물성 개요. Why ? 각종 재료의 전기적 성질을 재료의 최소 구성단위인 원자 , 분자 및 집합체 입장 ( 원자론적 입장 ) 에서 통일적 해석 , 이해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1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전기물성 )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전기물성 )

Prof. Kee-Joe [email protected], 261-2424

School of Electrical and Computer EngineeringChungbuk National University

http://www.cbucc.com2013/3/1

Page 2: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2

전기물성 개요• Why ?

– 각종 재료의 전기적 성질을 재료의 최소 구성단위인 원자 , 분자 및 집합체 입장 ( 원자론적 입장 ) 에서 통일적 해석 , 이해

– 재료의 선정 , 신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지식• What ?

– 유전적 (dielectric) 성질– 전기전도 (conduction)– 자기적 (magnetic) 성질– 광학적 (optical) 성질

Page 3: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3

전기전자공학에서의 재료의 역할전기전자공학에서의 재료의 역할• Goal/objectives of EEE

소정의 입력을 소정의 출력으로 변환하는 소자 , 기기 및 시스템을 경제적 , 사회요구에 따라 설계하고 , 적당한 물질을 사용하여 하드웨어를 실현하며 , 그 최적 운용법을 제시함 .

• Trend- 회로이론 적용하여 L,C,R 등의 부품 조합하여 기기 , 소자 설계 , 제작- 부품은 기존 물질중 설계요구에 최적인 것을 선정 , 경험적인 방법- 현상론적인 Maxwell 의 전자기학 , Newton 역학에 의해 전계 , 자계 , 전류 등의 거시적 관계 논의- 물 질 은 유 전 율 , 투 자 율 , 도전율 등의 물질상수로 대표되며 , 내부와의 관계는 다루지 않음

- 양자역학 , 통계역학의 결합으로 物性論으로 발전

- 물질의 거시적 특성량을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 , 분자 , 전자 등의 미시적 입장에서 통일적인 설명 , 이해

- 설계요구에 맞는 소자를 물성론에 입 각 하 여 적 당 한 분 자 , 원 자 를 배열하여 원하는 신물질을 개발하고 신소자 창조

- 발생론적인 접근

Page 4: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4

우리의 EE 산업구조 취약성

은 ? 우리의 EE 산업구조 취약성

은 ?

생산 ( 조립 )

기기 , 시스템설계

부품 , 소자

재료

SW( 최적 운용 )

• 부품 소재 특별법 , 부품 소재 신뢰성평가센터부품소재산업진흥원 (www.kmac.or.kr) 설립

기술선진국 우리나라

Page 5: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5

한국은 양자강 가마우찌 신세… [ 일 경제학자 ]

Page 6: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6

Page 7: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7

물성공학과 재료물성공학과 재료

• 물성론 – 거시적 특성량과 미시적인 원자 , 분자 , 전자구조와의

관계– 특성량을 미시적 입장에서 통일적 해석 , 이해– 양자역학 , 통계역학에 근거– 물질의 특성량 ( 유전율 , 투자율 , 도전율 등 ) 과 외부 pa-

rameter( 온도 , 압력 , 주파수 , 전압 등 ) 간의 관계 이해

• 물성공학에 의한 재료 개발– 경험론적 , 현상론적 접근이 아닌 발생론적 접근– 원자 , 분자 , 전자구조 배열 조절에 의한 신 재료 개발

Page 8: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8

Page 9: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9

Page 10: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10

강의개요• 담당교수

임 기조연구실 46-458, 261-2424 조교 / 심재용 /[email protected]://www.cbucc.com( 공지사항 , 강의자료 ,

Q&A)연구분야 ; 1. 전기 전자 신기능 재료 ,

소자 개발 2. 고전압 , 절연설계 ,절연열화진단 기술 개발 3. 압전세라믹스 및 응용소자 개발 ( 압전모터 , 변압기 , 진동자 등 )

• 교재– 강의자료 (PPT, 기타 )(Lab.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 A.J.Dekker ,Electrical

engineering materials– S.O.Kasap, Priciples of

Electronic Materials and Devices, McGraw-Hill

• 강의일정– 종합정보시스템 참조

• 성적– 중간시험 35%, 기말시험

35%, 발표토론 10%, 보고서15%, 출석 5%

( 발표토론은 기말보고서로 대체함 )

Page 11: Electrical Properties of Materials ( 전기물성 )

11

강의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