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graphene ad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5
[Research Paper] 대한금속재료학회지 (Korean J. Met. Mater.), Vol. 55, No. 2 (2017), pp.110~114 DOI: 10.3365/KJMM.2017.55.2.110 110 TiO 2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그래핀 첨가 영향 손인진 *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수소연료전지 연구센터 Effect of Graphene Ad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O 2 In-Jin Shon * Division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the Research Center of Hydrogen Fuel Cel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54896, Republic of Korea Abstract: Despite of the many attractive properties of TiO2, its low fracture toughness limits many industrial applications. To improve its fracture toughness, the approach commonly utilized has been the addition of a second phase, to form composites, and to make nanostructured composites. In this regard, highly dense nanostructured TiO2 and TiO2-graphene composites were consolidated within one min at 1000 . The effect of graphene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of TiO2-graphene composites was investigated. (Received July 18, 2016; Accepted August 18, 2016) Keywords: sintering, composite materials, nanomaterials, mechanical properties 1. 서 TiO2는 광촉매, 광전자 디바이스, 화학적 센서 및 광학코 팅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1-4]. 하지만, TiO2는 연성-취성 이 온도 이하에서 파괴인성이 나뿐 단점이 있다 [5]. 따라서 공업적으로 널리 사용하기 위해서는 TiO2의 파괴인성을 상 시켜야 한다. 재료의 파괴인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반적으로 제 이상을 첨가해서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과 미세조직을 나노구조로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복합재료는 구성하고 있는 상들이 균열 전파를 억제시키기 때문에 파괴 인성이 단상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6,7]. 2004년에 개발된 그래핀은 전기적 성질과 열적 특성이 우수하고, 밀도 가 낮고, 경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TiO2에 첨가해서 복합재료 를 제조시 기계적 성질 (경도, 파괴인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8-13]. 나노구조 재료는 결정립이 조대한 재료보 다 경도와 파괴인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14-16]. 최근에 TiO2 나노분말은 고 에너지 볼 밀링에 의해 제조 되었다 [5]. 소결전 분말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여도 기존 결 방법에서는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소결 *Corresponding Author: In-Jin Shon [Tel: +82-63-270-2381, E-mail: [email protected]] Copyright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중에 입자 성장이 일어나서 나노구조의 소결체를 제조하기 어렵다. 나노구조의 TiO2 소결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입자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제이상의 첨가와 동시에 저온에서 빠른 시간에 소결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발된 고주파 유도 가열 소결장치는 여러 종류의 나노구조 복합재료, 나노 구조 세라믹재료를 제조하였다 [17-19]. 본 연구에서는 TiO2와 그래핀 분말을 고 에너지 볼 밀링으 로 혼합과 동시에 나노분말을 제조한다. 제조한 나노분말들 을 고주파유도가열 소결장치로 가열하여 짧은 시간에 TiO2 TiO2-그래핀 나노 복합재료를 제조하고자 한다. 제조한 재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 (경도, 파괴인성)평가한 , 그래핀이 기계적 성질과 미세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한다. 2.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초기 원료분말로 사용한 TiO2는 알파 회사 (미국)에서 구입하였고, 분말의 크기는 400메시 이하이며 도는 99.6%이었다. 그래핀은 미국 XG-Science (grade C-750) 에서 구입하였고, 판상형 (platelet) 분말의 길이와 두께와 2 μm2 nm 이하였다. TiO2, TiO2-1 vol% 그래핀, TiO2-3

Upload: others

Post on 19-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Effect of Graphene Ad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Okjmm.org/upload/pdf/KJMM-2017-55-2-110.pdf · 2017-02-02 · 를 제조시 기계적 성질 (경도, 파괴인성)을

[Research Paper] 대한금속・재료학회지 (Korean J. Met. Mater.), Vol. 55, No. 2 (2017), pp.110~114DOI: 10.3365/KJMM.2017.55.2.110

110

TiO2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그래핀 첨가 영향

손인진*

전북대학교 신소재공학부 수소연료전지 연구센터

Effect of Graphene Ad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O2

In-Jin Shon*Division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the Research Center of Hydrogen Fuel Cell,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54896, Republic of Korea

Abstract: Despite of the many attractive properties of TiO2, its low fracture toughness limits many industrial applications. To improve its fracture toughness, the approach commonly utilized has been the addition of a second phase, to form composites, and to make nanostructured composites. In this regard, highly dense nanostructured TiO2 and TiO2-graphene composites were consolidated within one min at 1000 ℃. The effect of graphene on the microstructure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hardness and fracture toughness) of TiO2-graphene composites was investigated.

†(Received July 18, 2016; Accepted August 18, 2016)

Keywords: sintering, composite materials, nanomaterials, mechanical properties

1. 서 론

TiO2는 광촉매, 광전자 디바이스, 화학적 센서 및 광학코

팅재료로 사용하고 있다 [1-4]. 하지만, TiO2는 연성-취성 천

이 온도 이하에서 파괴인성이 나뿐 단점이 있다 [5]. 따라서

공업적으로 널리 사용하기 위해서는 TiO2의 파괴인성을 항

상 시켜야 한다. 재료의 파괴인성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일

반적으로 제 이상을 첨가해서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방법과

미세조직을 나노구조로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복합재료는

구성하고 있는 상들이 균열 전파를 억제시키기 때문에 파괴

인성이 단상보다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6,7]. 2004년에

개발된 그래핀은 전기적 성질과 열적 특성이 우수하고, 밀도

가 낮고, 경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TiO2에 첨가해서 복합재료

를 제조시 기계적 성질 (경도, 파괴인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8-13]. 나노구조 재료는 결정립이 조대한 재료보

다 경도와 파괴인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14-16].

최근에 TiO2 나노분말은 고 에너지 볼 밀링에 의해 제조

되었다 [5]. 소결전 분말의 크기가 매우 미세하여도 기존 소

결 방법에서는 고온에서 장시간 가열해야 하기 때문에 소결

*Corresponding Author: In-Jin Shon[Tel: +82-63-270-2381, E-mail: [email protected]]Copyright ⓒ The Korean Institute of Metals and Materials

중에 입자 성장이 일어나서 나노구조의 소결체를 제조하기

어렵다. 나노구조의 TiO2 소결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입자

성장을 억제시킬 수 있는 제이상의 첨가와 동시에 저온에서

빠른 시간에 소결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발된 고주파

유도 가열 소결장치는 여러 종류의 나노구조 복합재료, 나노

구조 세라믹재료를 제조하였다 [17-19].

본 연구에서는 TiO2와 그래핀 분말을 고 에너지 볼 밀링으

로 혼합과 동시에 나노분말을 제조한다. 제조한 나노분말들

을 고주파유도가열 소결장치로 가열하여 짧은 시간에 TiO2

와 TiO2-그래핀 나노 복합재료를 제조하고자 한다. 제조한

재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 (경도, 파괴인성)을 평가한

후, 그래핀이 기계적 성질과 미세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고자 한다.

2. 실험방법

본 연구에서는 초기 원료분말로 사용한 TiO2는 알파 회사

(미국)에서 구입하였고, 분말의 크기는 400메시 이하이며 순

도는 99.6%이었다. 그래핀은 미국 XG-Science (grade C-750)

에서 구입하였고, 판상형 (platelet) 분말의 길이와 두께와 각

각 2 μm와 2 nm 이하였다. TiO2, TiO2-1 vol% 그래핀, TiO2-3

Page 2: Effect of Graphene Ad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Okjmm.org/upload/pdf/KJMM-2017-55-2-110.pdf · 2017-02-02 · 를 제조시 기계적 성질 (경도, 파괴인성)을

손인진 111

Fig. 1. FE-SEM images and EDS of TiO2 powder + x vol% graphene powder milled for 10 h : (a) x=0 and (b) x=5.

Fig. 2. XRD patterns of TiO2 powder + x vol% graphene powder milled for 10h : (a) x=0, (b) x=1, (c) x=3, (d) x=5.

vol% 그래핀, TiO2-5 vol% 그래핀 조성에 맞도록 TiO2와 그

래핀 분말 무게를 계산한 후 측량하였다. 각 분말 조합물을

분말들을 아르곤 분위기하에서 스테인레스 용기에 넣고 250

rpm으로 10시간 동안 직경이 10 mm인 WC-Co 볼로 고 에너

지 밀링하였다. 고 에너지 볼 밀링한 분말들을 흑연 다이 (내

경 10.5 mm, 높이 40 mm, 외경 35 mm)에 충진하였다. 고주

파 유도가열 소결장치 내부를 진공분위기로 만든 후, 분말에

80 MPa의 일축 압력을 가하였다. 그 후 유도전류를 흑연 다

이와 분말에 수축길이의 변화가 거의 없을 때 (소결이 완료되

었다고 판단됨)까지 가하였다. 수축길이 변화는 수직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리니어 게이지 (LVDT)이용하였고, 흑연 다

이 표면 온도는 광 온도계로 측정하여 수축길이와 온도를 기

록하였다. 고주파유도 소결장치의 개략도는 참고문헌[20]에

나타내었다.

소결한 TiO2와 TiO2-그래핀 시편의 상대밀도는 아르키메

데스 방법으로 시편의 부피를 측정한 후 밀도를 측정하여 계

산하였다. 소결한 시편들은 다이아몬드 페이스트와 알루미

나 분말로 시편을 경면 연마한 후, 연마한 시편의 결정상은

Cu 타겟을 사용하여 X-선 회절도형 분석으로 결정하였고, 미

세조직과 성분은 EDS가 부착된 전계방출 주사전자현미경

(FE-SEM)으로 관찰 및 분석하였다. 분말의 크기와 소결한

시편의 결정립 크기는 X-선 회절피크의 반가폭을 측정한 후,

Suryanarayana 식으로 계산하였다 [21]. TiO2와 TiO2-그래핀

복합재료의 경도와 파괴인성은 경면 연마된 시편을 비커스

경도계로 1 kgf 하중으로 15초간 유지하여 압흔을 형성시킨

후, 형성된 압흔의 면적과 하중으로부터 경도를 계산하였고,

균열 길이로부터 파괴인성을 계산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그림 1은 TiO2와 TiO2-그래핀 분말을 10시간 고 에너지 볼

밀링한 분말의 주사전자현미경 미세조직과 EDS 분석 결과

를 나타낸 것이다. 밀링한 분말의 크기는 매우 작고, 분말들

이 상호 응집되어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밀링한 TiO2-5

vol% 그래핀 혼합분말의 EDS 분석에서는 Ti, O 와 C 피크만

관찰되었고, 볼이나 용기로부터 오염될 수 있는 철이나 텅스

텐피크는 관찰되지 않았다. 10시간 고 에너지 볼 밀링한

TiO2와 TiO2-그래핀 분말의 X-선 회절 시험한 결과는 그림 2

에 나타내었다. 모든 피크는 TiO2 이었고, 피크의 반가폭은

컸다. 피크 반가폭이 큰 것은 볼 밀링에 의해 TiO2 분말 크기

가 매우 작아졌고, 분말에 스트레인이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밀링한 TiO2, TiO2-1 vol% 그래핀, TiO2-3 vol% 그래핀,

Page 3: Effect of Graphene Ad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Okjmm.org/upload/pdf/KJMM-2017-55-2-110.pdf · 2017-02-02 · 를 제조시 기계적 성질 (경도, 파괴인성)을

11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제55권 제2호 (2017년 2월)

Fig. 3. Variations of temperature and shrinkage displacement with heating time during the sintering of TiO2 powder + x vol% graphene powder by HFIHS.

Fig. 4. XRD patterns of TiO2 + x vol% graphene samples sintered at 1000 ℃ : (a) x=0, (b) x=1, (c) x=3, (d) x=5.

Fig. 5. Plot of Br (Bcrystalline +Bstrain ) cosθ versus sinθ for TiO2 in TiO2 + x vol% graphene samples sintered at 1000 ℃ : (a) x=0, (b) x=1, (c) x=3, (d) x=5.

TiO2-5 vol% 그래핀 분말에서 TiO2 분말의 크기를 x-선 반가

폭의 크기를 측정하여Suryanarayana 식[21]으로 계산한 결과

각각 67, 58, 46, 28 nm 이었다. 그림 3은 밀링한 TiO2와

TiO2-그래핀 분말에 80 MPa의 기계적 압력과 유도전류를 분

말에 가했을 때, 가열 시간에 따른 수축길이 변화와 온도 변

화를 나타낸 것이다. 유도전류를 압분체에 가했을 때, 가열시

간 약 10초까지 열팽창 현상을 보이다가 수축길이는 10초 이

상의 가열시간에서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약 970 ℃ 이상에

서는 수축길이 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것은 분말의 치밀화가

완료되었음을 나타낸 것이다. 1000 ℃로 가열한 시편의 X-선

회절 도형은 그림 4에 나타내었다. X-선 회절도형에서는

TiO2 (Rutile) 피크만 관찰되었다. 그림 5는 1000 ℃로 소결한

TiO2와 TiO2-그래핀 시편에서, TiO2 결정립 크기를

Suryanarayana 식[21]으로 계산하기 위해서 Sinθ 에 따른 Br

Cosθ 값을 표시한 것이다. 절편의 값으로부터 구한 소결한

TiO2, TiO2-1 vol% 그래핀, TiO2-3 vol% 그래핀, TiO2-5

vol.% 그래핀에서 TiO2 결정립 크기는 각각 210, 163, 140,

98 nm이었다. 이것은 TiO2 결정립 크기가 그래핀 첨가에 따

라 감소함을 의미한다. 그래핀이 소결도중에 TiO2의 성장을

억제시킨다고 생각된다. 그래핀이 결정립 미세화에 미치는

영향은 미세조직 관찰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1000 ℃로 소

결한 시편의 파단면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미세조직

은 그림 6에 나타내었다. TiO2 결정립 크기는 그래핀을 첨가

함에 따라 현저히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다. 그래핀을 첨가하

지 않은 순수한 TiO2 미세조직에서도 결정립이 매우 미세함

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가열온도가 낮고, 가열속도가 빠르고,

가열시간이 짧아서 시편이 고온에 노출될 시간이 작아서

Page 4: Effect of Graphene Ad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Okjmm.org/upload/pdf/KJMM-2017-55-2-110.pdf · 2017-02-02 · 를 제조시 기계적 성질 (경도, 파괴인성)을

손인진 113

Fig. 6. FE-SEM images of fracture surface of TiO2 + x vol% graphene samples sintered at 1000 ℃ : (a) x=0, (b) x=1, (c) x=3, (d) x=5.

Fig. 7. Vickers hardness indentation of TiO2 + x vol% graphene samples sintered at 1000 ℃ : (a) x=0, (b) x=1, (c) x=3, (d) x=5.

TiO2 결정립 성장이 어렵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고 에

너지 볼 밀링한 TiO2 나노분말을 초기분말로 사용했기 때문

으로 생각된다. 고 에너지 볼 밀링한 분말은 분말 표면적과

분말에 도입된 스트레인 증가로 소결에 대한 구동력이 크고,

이온들이 상호 확산 할 수 있는 분말 접촉점 증가로 소결이

쉽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1000 ℃로 소결한 TiO2, TiO2-1

vol% 그래핀, TiO2-3 vol% 그래핀, TiO2-5 vol% 그래핀 시편

의 상대밀도는 각각 100, 100, 99.7와 99.5% 이었다. 모든 시

편의 파단면에서는 균열이 결정립계를 따라 전파하는 입계

파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것은 결정립계의 결합이 결정립

내 보다 약하기 때문에 균열이 결정립계를 따라 전파하기 때

문으로 생각된다.

TiO2와 TiO2-그래핀 복합재료의 경도와 파괴인성은 1 kgf

하중으로 비커스 경도계로 측정하였다. 경도는 압흔자국의

면적을 계산하여 결정하였고, 파괴인성은 압흔자국 모서리

에서 발생된 균열의 길이를 측정한 후 Niihara 식[22]으로 결

정하였다. 1000 ℃로 소결한 TiO2, TiO2-1 vol% 그래핀,

TiO2-3 vol% 그래핀, TiO2-5 vol% 그래핀 시편의 경도와 파

괴인성은 각각 742, 780, 867, 916 kg/mm2이고 2.1, 2.3, 2.5,

3.0 MPa·m1/2 이었다. TiO2의 경도와 파괴인성은 그래핀을 첨

가함에 따라 동시에 증가하였다. 이 이유는 첫 번째로 그래핀

첨가에 의한 TiO2 결정립 크기의 미세화와 두 번째로 그래핀

이 균열 전파를 억제시키기는 효과를 생각할 수 있다. 일반적

으로 경도는 Hall-Patch식에 의해 결정립 크기가 작을수록 증

가한다. 본 연구에서 TiO2의 결정립 크기는 그래핀 첨가로 현

저히 작아졌다. 그래핀 첨가가 세라믹의 파괴인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여러 연구자들이 연구한 결과, 그래핀이 균열 전

파를 억제시키기 때문에 파괴인성을 향상시킨다고 발표하였

다 [23,24]. TiO2의 경우에도 그래핀이 균열 전파를 억제시켜

서 파괴인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결 론

그래핀과 TiO2가 혼합된 분말을 고 에너지 볼밀링으로 나

노분말을 제조하였다. 이들 밀링한 분말을 고주파유도 가열

로 1분 이내의 짧은 시간 내에 소결하였다. 소결한 시편의 미

세조직과 기계적 성질(경도, 파괴인성)을 조사 및 분석한 결

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 에너지 볼 밀링으로 TiO2 나노 분말을 제조하였다.

2. 소결한 시편에서 TiO2 결정립 크기는 TiO2에 그래핀 첨

가량이 증가할수록 작아졌다. 이것은 소결중 그래핀이 TiO2

의 결정립 성장을 억제시키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3. TiO2와 TiO2-그래핀 시편의 파단면에서 균열이 결정립

계를 따라 전파하는 입계 파괴 현상을 보였다. 이것은 결정립

계의 결합이 결정립내 보다 약하기 때문에 균열이 결정립계

를 따라 전파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4. TiO2의 경도와 파괴인성은 그래핀을 첨가함에 따라 모

두 증가하였다. 이것은 TiO2에 그래핀 첨가로 TiO2의 결정립

미세화와 그래핀이 균열전파를 억제시키는 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Page 5: Effect of Graphene Addition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iOkjmm.org/upload/pdf/KJMM-2017-55-2-110.pdf · 2017-02-02 · 를 제조시 기계적 성질 (경도, 파괴인성)을

114 대한금속・재료학회지 제55권 제2호 (2017년 2월)

감사의 글

이 논문은 2015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

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2015R1D1A1A0

1056600) 그리고 본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MOTIE)와 한국

에너지기술평가원(KETEP)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 과제

입니다.(No.20164030201070)

REFERENCES

1. K. Iketani, R. D. Sun, M. Toki, K. Hirota, and O. Yamaguchi, J. Phys. Chem. Solids 64, 507 (2003).

2. C. J. Barbé, F. Arendse, P. Comte, M. Jirousek, F. Lenzmann, V. Shklover, and M. Grätzel, J. Am. Ceram. Soc. 80, 3157 (1997).

3. C. Garzella, E. Comini, E. Bontempi, L. E. Depero, C. Frigeri, and G. Sberveglieri, Sensor. Actuat. B 83, 230 (2002).

4. D. J. Kim, S. H. Hahn, S. H. Oh, and E. J. Kim, Mater. Lett. 57, 355 (2002).

5. I.-J. Shona, G.-W. Lee, J.-M. Doh, and J.-K. Yoon, J. Ceram. Process. Res. 14, 292 (2013).

6. I.-J. Shon, H.-G. Jo, and H. Kwon, Int. J. Refract. Met. H. 48, 187 (2015).

7. I.-J. Shon, H.-G. Jo, B.-S. Kim, J.-K. Yoon, and K.-T. Hong, Korean J. Met. Mater. 53, 474 (2015).

8. M. Liu, C. Chen, J. Hu, X. Wu, and X. Wang J. Phys. Chem. C 115, 25234 (2011).

9. L. Zhang, W. Liu, C. Yue, T. Zhang, P. Li, Z. Xing, and Y. Chen, Carbon 61, 105 (2013).

10. L.-C. Tang, Y.-J. Wan, D. Yan., Y.-B. Pei, L. Zhao, Y.-B. Li, L.-B. Wu, J.-X. Jiang, and G.-Q. Lai, Cabon 60, 16 (2013).

11. A. K. Geim and K. S. Novoselov, `Nat Mater. 6, 183 (2007).

12. C. Lee, X. Wei, J. W. Kysar, and J. Hone, Science 321, 385 (2008).

13. A. A. Balandin, S. Ghosh, W. Bao, I. Calizo, D. Teweldebrhan, F. Miao, and C. N. Lau, Nano Lett. 8, 902 (2008).

14. M. Sherif El-Eskandarany, J. Alloys Compd. 305, 225 (2000).

15. I. J. Shon, H. S. Kang, J. M. Doh, and J. K. Yoon, Met. Mater. Int. 21, 345 (2015).

16. B. R. Kang, J. K. Yoon, K. T. Hong, and I. J. Shon, Met. Mater. Int. 21, 698 (2015).

17. S.-M. Kwon, N.-R. Park, J.-W. Shin, S.-H. Oh, B.-S. Kim, and I.-J. Shon, Korean J. Met. Mater. 53, 555 (2015).

18. B.-R. Kang, J.-k. Yoon, K.-T. Hong, and I.-J. Shon, Met. Mater. Int. 21, 698 (2015).

19. B.-R. Kang and I.-J. Shon, Korean J. Met. Mater. 53, 320 (2015).

20. B.-W. Kwak, S.-J. Oh, B.-S. Kim, J.-K. Yoon, and I.-J. Shon, Korean J. Met. Mater. 54, 180 (2016).

21. C. Suryanarayana and M. G. Norton, X-ray diffraction: a practical approach, Plenum Press, New York (1998).

22. K. Niihara, R. Morena, D. P. H. Hasselman, J. Mater. Sci. Lett. 1, 13 (1982).

23. Harshit Porwal, Peter Tatarko, Salvatore Grasso, Jibran Khaliq, Ivo Dlouhy, and Mike J. Reece, Carbon 64, 359 (2013).

24. Lenka Kvetková, Annamária Duszová, Pavol Hvizdoš, Ján Dusza, Péter Kun, Csaba Balázsi, Scripta Materialia 66, 793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