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인성방광지침서 - uroweb · 2015. 2. 25. · 인 쇄 2011년 5월 17일 발 행 2011년...

61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편저

Upload: others

Post on 30-Jan-2021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편저

  • 인 쇄 2011년 5월 17일

    발 행 2011년 5월 26일

    지은이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

    www.kocon.or.kr

    펴낸곳 에이플러스기획

    서울시용산구원효로1가 44-22 1층

    TEL: 02-582-8572, 704-8574

    E-mail: [email protected]

    출판등록 129-82-63511

    ISBN 978-89-966437-2-2-93510

    이책의판권은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에있습니다.

    이책내용의전부또는일부를사용하시려면반드시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의서면동의를받으셔야합니다.

    본 신경인성방광 지침서는 유럽비뇨기과학회 (EAU)의 신경인성 하부요로증상 지침서의 번역에 기초하여 만들어졌으며 EAU의 사전승인을 득하였습니다. 본 지침서는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의 주관하에 만들어졌으며내용의정확성에관하여 EAU 및 Guidelines Office는책임이없습니다.

    We appreciate the courtesy of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EAU) and theirGuidelines Office. This Korean translation of EAU Neurogenic LUTS guidelineswas carried out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Korean Continence Society. EAUand their Guidelines Office cannot assume any responsibility for the correctnessof the translation provided.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우리비뇨기과의사들에게신경인성방광은언젠가는정복해야할난제로남아

    있습니다. 특히수련과정중에는이질환군에대해충분한진료경험을가지기는

    힘든 면이 있습니다. 흔히 신경인성방광은 만성 질환이므로 환자가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동안요실금, 배뇨장애로삶의질이크게훼손되기도하고신장손상과

    요로감염 등의 문제로 치명적인 상황이 되기도 합니다. 따라서 임상진료에서 신

    경인성방광 환자들에 있어 개별적으로 진단과 장기적인 치료계획 등을 수립하는

    것은쉬운문제가아닙니다.

    본 학회에서는신경인성방광에대한이러한임상진료과정의어려움을해소하

    고나아가올바른진료를위해본진료지침서를출간하게되었습니다. 첫출판이

    라많은어려움이있었지만무사히출판까지마칠수있도록그간모든노력을다

    하여주신김형지간행위원장을포함하여실무를맡아헌신하신여러간행위원님

    들의노고에깊이감사드리고모든회원님들과함께축하드립니다.

    본진료지침서는그동안의신경인성방광진단과치료에관해보고된많은지

    식을 정리하고 임상적인 해석과 제안을 담은 유럽비뇨기과학회 가이드라인을 번

    역하고일부보완한것입니다. 본 신경인성방광진료지침서는이질환군을치료

    하는 모든 비뇨기과 의사들에게 적절한 진료 지침을 제공할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습니다. 이를 계기로 신경인성방광 환자들의 치료와 장기적인 관리의 수준도

    한층더향상될것으로확신합니다. 의학지침이모든환자들에게일괄적으로동

    일하게 적용될 수는 없겠으나 본 진료 지침서를 참고하여 신경인성방광 환자 치

    료에도움을받으실것으로믿습니다.

    다시한번헌신적인노력으로출판을성공적으로이루어내신여러선생님들께

    감사를드립니다.

    2011년 5월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회장 김 덕 윤

    발 간 사

  •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에서는 그 동안 배뇨장애와 요실금 분야의 학문적 수

    준과진료적정성을높이기위해이분야의최고전문가들이집필한교과서를비

    롯한 많은 서적을 발간해 왔습니다. 특히 임상적으로 어려운 질환으로 인식되어

    져 온 신경인성방광에 대한 진료 지침서를 금번에 발간함으로써 여러 비뇨기과

    선생님들의진료에다시한번큰도움을줄것으로생각하며이에발간을축하드

    립니다.

    신경인성방광은여러다양한원인질환들에의해유발되고병태생리가복잡하

    고난해하여 그동안알맞은진단과정및적절한치료를시행하기에어려운측면

    이 있었습니다. 본 진료 지침서는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신경인성방광의

    진단 과정부터 치료 과정까지 중요 분야를 선정하고 자세한 지침을 제공하여 많

    은임상의사들이유용하게활용할수있을것으로생각됩니다.

    우리나라는의학수준의발전과더불어다양한질환에대한국민들의관심이증

    대되고 있고 신경인성방광 환자 수는 고령화 사회와 더불어 증가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

    신경인성방광환자들의배뇨증상은개개인의신체적, 사회적및정신적건강에

    지대한영향을미치고있음이이미잘알려져있습니다. 특히치료와관리를위한

    사회적비용도만만치않습니다. 지금까지적정한임상진료지침이부재하여보

    다 양질의 치료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에 상세한 신경인성방광 진

    료지침의필요성이높아지고있던즈음에본지침서발간을보게되어환자들을

    위해여간다행스러운일이아닐수없습니다.

    아무쪼록본지침서가임상진료에 유용하게사용될수있기를바라며이분야

    를진료하시는선생님들께적극추천해드립니다.

    2011년 5월

    대한비뇨기과학회회장 정 문 기

    대한배뇨장애요실금학회에서는 그 동안 배뇨장애 요실금 교과서, 여성요실금

    보전치료, 과민성방광지침서 (1, 2판)등을발간하여배뇨장애의연구와치료에표

    준이될수있도록노력하였습니다.

    최근에는신경인성방광에대하여연구와치료법을우리현실에맞게정리한지

    침서발간의필요성을느끼고있었습니다. 이에학회에서는신경인성방광지침서

    를발간하게되었습니다.

    이번 지침서에 유럽비뇨기과학회 (EAU) 가이드라인의 하부 요로증상 지침서

    의번역을기초로하여보다객관적인임상적인해석과치료에도움이되도록정

    리하였습니다. 특히“올바른자가도뇨사용설명서”를수록하여의료현장에계

    신선생님들에게실질적인환자진료에도움이되고자노력하였습니다.

    유럽비뇨기과학회 가이드라인을 기초자료로 신경인성방광 지침서를 준비하면

    서 연구자료와 치료법을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발간한다는 것이 생각보다 쉽지

    않았습니다. 불모지나다름없는신경인성방광지침서발간에원고를집필하여주

    신간행위원회여러분에게경의를표하는바입니다.

    또한“올바른자가도뇨사용을위한설명서”집필하여주신최종보교수님이

    하저자선생님에게진심으로감사드립니다. 끝으로신경인성방광지침서발간에

    전폭적인지지를해주신김덕윤회장님에게감사드립니다.

    2011년 5월

    간행이사 김 형 지

    추 천 사 서 문

  • 김덕윤 (대구가톨릭의대비뇨기과)

    김태효 (동국의대비뇨기과)

    김형지 (단국의대비뇨기과)

    문경현 (울산의대비뇨기과)

    오승준 (서울의대비뇨기과)

    여정균 (인제의대비뇨기과)

    이건철 (인제의대비뇨기과)

    이성호 (한림의대비뇨기과)

    이용석 (가톨릭의대비뇨기과)

    정재민 (고신의대비뇨기과)

    가나다순

    저 자

    김선옥 (전남의대비뇨기과)

    김현우 (가톨릭의대비뇨기과)

    여정균 (인제의대비뇨기과)

    임승화 간호사 (서울대비뇨기과)

    정성진 (서울의대비뇨기과)

    최종보 (아주의대비뇨기과)

    가나다순

  • 98

    제 1 장 서론 11

    Ⅰ배뇨계해부생리학 12

    Ⅱ신경인성방광의위험인자및역학 18

    Ⅲ용어표준화 30

    Ⅳ신경인성방광분류 30

    제 2 장 진단 37

    Ⅰ병력 38

    Ⅱ신체검사 43

    Ⅲ요역동학검사 49

    Ⅳ신경인성방광의전형적소견 59

    제 3 장 치료 67

    Ⅰ서론 68

    Ⅱ비침습보존치료 69

    Ⅲ최소침습치료 74

    Ⅳ수술치료 80

    제 4 장 방광요관역류의 치료 95

    제 5 장 삶의 질 99

    제 6 장 추적관찰 105

    Ⅰ가이드라인 106

    Ⅱ요로감염의정의 107

    Ⅲ자율신경반사이상 107

    부록: 올바른 자가 도뇨 사용을 위한 설명서 110

    목 차

  • Ⅰ배뇨계해부생리학

    Ⅱ신경인성방광의위험인자및역학

    Ⅲ용어표준화

    Ⅳ신경인성방광분류

    제 1 장

    서 론

  • 12 13

    제 1 장 서론

    I 배뇨계해부생리학

    (Anatomy and physiology of voiding systems)

    배뇨장애에대한다양한치료법들을선택함에있어서요로계의

    해부생리학을이해하는것은매우중요한선행조건이다. 신경인성

    방광의배뇨장애중부적절한요배출이나높은방광내압력등은직

    접적으로신장손상을야기하므로요로계를편의상상부와하부요

    로로나누어설명하지만치료자는항상상하부요로를하나의단일

    체계로이해하여야한다.

    1. 상부요로 (Upper urinay tract)

    신장은 신실질과 집뇨계로 나누어지며 신실질은 소변을 배출,

    농축하고 집뇨계로 배설한다. 연동운동을 통해 요관을 통과한 소

    변은 방광에 저장된다. 어떠한 이유이건 요관확장은 비효율적 소

    변흐름을 야기하고 확장부위보다 근위부에서 요배출을 지연시킨

    다. 이로인해확장이더심해지고시간경과에따라수신증으로이

    어진다. 요관이 방광에 연결되는 부위에서 요관은 방광의 근육층

    과점막하층사이를 1~2cm 정도사선으로주행하여방광내로개

    구한다. 이러한 점막하 터널형태를 통해 소변은 방광내로만 흐르

    고요관으로의역류가방지된다. 방광내압력의증가는동시에점

    막하요관을압박하게되어일방통행밸브로기능하게되는것으

    로이러한형태는요관역류를방지하는데중요하다. 그러나, 지속

    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방광내 (방광벽) 압력이 존재할 경우 이는

    신장으로부터의요배출을방해하게된다.

    2. 하부요로 (Lower urinary tract)

    해부학적으로방광은배뇨근과삼각부로나누어진다. 배뇨근은

    평활근 다발로 구성되며 서로 그물망처럼 얽혀있다. 방광경부 근

    처에서배뇨근은세가지층으로구분되며이중환상근층은방광경

    부에서 기능적 괄약근으로 작동하게 된다. 삼각부는 방광의 하부

    기저층에요관구로부터방광경부에걸쳐위치한다. 전통적으로요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 14 15

    도는두가지괄약근을갖고있다고이해되어왔으며내요도및외

    요도괄약근 (횡문괄약근)이 그것이다. 내요도괄약근은 진정한 의

    미의해부학적괄약근은아니며남녀모두에서방광경부와근위부

    요도의 연결부위를 지칭한다. 그 구성은 방광으로부터 내려오는

    평활근과결합조직의환상분포로이루어진다. 내요도괄약근이기

    능적괄약근으로분류되는이유는방광충만에따라점진적으로긴

    장도가 올라가서 요도압력을 방광내압력보다 높게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이평활근섬유는점막하층을따라요도로연결되어외

    요도괄약근위까지내려온다. 내요도괄약근은자율신경지배를받

    는데알파교감신경수용체가밀집되어분포하며자극시수축하여

    요도폐쇄를야기한다.

    외요도괄약근은 천수 S2-S4에서 기시한 음부신경 (pudendal

    nerve)이지배신경으로체성신경지배를받으므로의지에따라수

    축하여 요도를 폐쇄할 수 있다. 남성에서 외요도괄약근은 막양부

    요도에서 보이는 다수의 근섬유 다발로 구성되며 일부 근섬유는

    방광경부까지이어진다. 여성에서횡문골격근섬유는요도근위부

    2/3를 환상으로둘러싸고있다. 외요도괄약근은신경학적손상이

    없는환자에서수의적조절하에있다. 척수손상에서외요도괄약근

    조절능력이소실되는경우는흔히있을수있으며방광수축시괄약

    근이 이완되지 않으면 (배뇨근-괄약근 협조장애) 방광내 고압이

    형성되고신장손상으로이어질수있다. 이와반대로천수손상등

    이 있을 경우에는 괄약근 수축력이 저하되어 요실금이 야기되는

    경우도있다.

    3. 하부요로신경해부

    (Neuroanatomy of the lower urinary tract)

    방광의저장및배출은하부요로에대한부교감, 교감, 체성신경

    이라는 3가지 신경지배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기능이며 여

    기에중추신경계로부터의조정작용이추가된다. 원심성부교감신

    경 (운동성)은천수신경2, 3, 4번에서기시한다. 원심성천수신경

    은골반신경 (pelvic nerve)을통해방광에흥분성신호를전달한

    다. 방광의 부교감신경 수용체는 콜린성으로 불리우는데 그 이유

    는 후신경절 신경전달물질이 주로 아세틸콜린이기 때문이다. 이

    수용체는방광전체에걸쳐분포하는데자극을받으면방광수축을

    야기한다. 방광과 요도에 대한 원심성 교감신경은 흉추신경 11번

    부터요추신경2번에걸친중간외측회색질기둥(intermediolateral

    gray column)에서 시작되는데 방광에 억제성 신호를 전달한다.

    이곳에시작된교감신경신호는비교적짧은거리를이동하여요

    추부척추주위 (paravertebral) 교감신경절로전달된다. 이곳에서

    시작된기다란후신경절신경섬유를통해교감신경신호는하복신

    경 (hypogastric nerve)을거쳐방광과요도의알파, 베타아드레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 16 17

    날린수용체로전달된다. 교감신경체계에서주된후신경절신경전

    달물질은 norepinephrine이다. 원심성 교감신경 자극은 방광저

    장을촉진하는데이는아드레날린수용체의아형별분포위치의차

    이에 기인한다.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는 방광의 상부 (체부)에

    주로분포하며베타수용체의자극은평활근이완을야기하여방광

    벽이 이완된다. 이에 비해 알파수용체는 방광기저부와 전립선부

    요도에고농도로분포하며알파수용체의자극은요도괄약근과전

    립선의평활근수축을야기하므로이는방광출구저항을증가시키

    게된다. 신경인성배뇨장애가있을경우에는이러한수용체의위

    치나밀도, 민감도에변화가일어날수있다. 척수손상후알파수용

    체가외요도괄약근으로침범하여들어가서알파수용체자극에의

    한괄약근반응이보고되었고또다른예로는방광출구폐색이지속

    된경우방광의베타수용체가알파수용체로변화될수있다고제

    기되는것등이다. 또한신경병변등으로인해평활근이탈신경화

    되면신경전달물질에대한민감도가증가하는데이를탈신경초민

    감성 (denervation supersensitivity)이라한다. 결과적으로 이러

    한방광에서는적은양의약물로도큰영향이나타날수있다. 방

    광의구심성 (감각성) 신경체계중에서가장중요한구심성신경전

    달은골반신경을통하여천수로유입되는데구심성신경섬유는두

    가지로 나누어진다. 하나는 유수화(myelinated) A-delta신경섬

    유이고또하나는무수화(unmyelinated) C-fiber이다. A-delta

    fiber는 방광팽창에 따라 단계적으로 반응하며 정상배뇨에 꼭 필

    요하다. 무수화 C-fiber는 silent C-fiber라고불리우는데그이

    유는정상적상황에서는방광팽창에반응하지않고정상배뇨에필

    수적이지않기때문이다. 그러나, 방광벽에화학적또는냉온자극

    이 가해지면 활성화되어 C-fiber를 통해 자극이 전달된다. 또한,

    천수상부의척수손상에서도C-fiber가활동하여방광팽창에반응

    하고비억제성불수의적방광수축을야기할수있다고동물실험으

    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사실은 C-fiber 신경독소로 알려진

    capsaicin과 resiniferatoxin으로 C-fiber를 차단하였을때 비억

    제성방광수축이현저히차단됨으로써재입증되었다.

    4. 배뇨중추 (Voiding centers)

    배뇨촉진과억제는3가지주요중추즉, 천수 (sacral)배뇨중추

    와뇌교 (pontine)배뇨중추그리고고위중추 (대뇌피질)의조절에

    의한다. 천수배뇨중추 (S2-S4)는주로반사중추의역할로서방광

    충전을천수배뇨중추로전달하는구심성신경전달과천수배뇨중추

    로부터원심성부교감신경을통한방광수축을야기한다. 뇌교배뇨

    중추는방광수축시요도괄약근을이완시키는협동작용을주로담

    당한다. 천수상부척수손상시뇌교배뇨중추의신호전달이차단되

    는데 이 경우 배뇨근-괄약근 협조장애 (detrusor sphincter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 18 19

    dyssynergia)가 흔히 나타나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고위중추인

    대뇌피질이배뇨에미치는총체적효과는천수배뇨중추에대한억

    제성으로나타난다. 천수상부척수손상이나대뇌피질병변시대뇌

    피질의이러한억제효과가차단되기때문에흔히방광용량감소와

    비억제성배뇨근수축이일어나게된다.

    II 신경인성방광의위험인자및역학

    (Risk factors and epidemiology)

    신경인성방광은하부요로를조절하는신경계에영향을주는다

    양한질환이나사건에의해야기될수있고이렇게야기되는하부

    요로기능장애는신경학적병변의위치와범위에의해결정된다.

    뇌종양

    뇌종양의 24%에서 하부요로기능장애를 일으킨다. Posterior

    fossa에 종양이 있는 환자의 30% (46/152)에서 배뇨곤란이 있었

    으며요실금은 3명 (1.9%)에서만나타났다. 요폐는뇌교신경교종

    (pontine glioma)환자의71% (12/17)에서발견되었다.

    치매

    치매에의해야기되는하부요로기능장애를노화및다른동반질

    환에의해야기되는방광변화에의한하부요로기능장애와감별하

    는것은쉽지않은일이다. 따라서, 치매에의해야기되는요실금의

    실제유병률은알려져있지않다. 그러나, 요실금은치매가없는노

    인보다치매노인에게서훨씬더흔히나타난다. 알츠하이머병이나

    Lewy body치매, Binswanger, Nasu-Hakola병이나 Pick병과

    같이치매가나타나는질환들은흔히비특이적하부요로기능장애

    를일으킨다. 알츠하이머병환자에서요실금은 23~48%에서나타

    나며요실금의시작은대개알츠하이머병의진행과연관되어나타

    난다. 치매관련요실금의남녀비는1:15로여성에서많다.

    정신지체

    정신지체의 증상정도에 따라 12~65%의 환자에서 하부요로기

    능장애가보고되어진다.

    뇌성마비

    30~40%에서하부요로기능장애가보고된다.

    정상압뇌수종

    하부요로기능장애와관련하여서는증례보고만있다.

    기저핵병리 (파킨슨병, 헌팅톤병, 샤이드래거증후군)

    파킨슨병에서하부요로기능장애가동반되는비율은 37.9~70%

    이다. 상대적으로드문질환인Shy-Drager증후군에서는거의모

    든환자에서하부요로기능장애를보이고 73%에서요실금이나타

    난다. Hattori 등은파킨슨병의60%에서배뇨증상을보인다고하

    였으나Gray 등은파킨슨병에서의하부요로기능장애가질병특이

    적이지않고단지노화에따른변화와관련될뿐이라고하였다. 최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 20 21

    근의대조군설정연구들에서는검증된설문지를사용하여하부요

    로증상의 유병률을 27~63.9%로 보고하고 있으며 요실금을 포함

    하는 비검증설문지를 사용할 경우 남성에서 53%, 여성에서 63%

    의 유병률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비율은 정상대조군보다 유의

    하게높은수치이다. 파킨슨병환자에서배뇨장애는대부분운동장

    애가나타난후에나타났다.

    뇌혈관질환

    뇌혈관질환의 20~50%에서 편측마비와 함께 요실금을 동반한

    신경인성 하부요로기능장애가 나타나며 발병후 시간경과에 따라

    유병률은낮아진다. 1996년연구를보면발병3개월후뇌혈관질환

    환자의53%에서심각한배뇨장애를보였고적절한치료없이발병

    6개월시점에서는20~30%의환자가여전히요실금을보였다. 가

    장흔한방광내압소견은배뇨근과반사였다. 뇌간 (brainstem) 혈

    관질환환자 39명을대상으로한보고에서는배뇨증상이약 50%

    에서나타났다. 야간뇨와배뇨곤란이28%, 요폐가21%, 요실금이

    8%에서나타났다. 이외에다양한뇌간병변에서배뇨장애의증례

    가보고되었다.

    탈수초화 (Demyelination) 질환

    다발성경화증은50~90%에서신경인성하부요로기능장애를야

    기한다. 배뇨증상과상관없이연속적으로등록된다발성경화증환

    자들에서배뇨장애의유병률은33~52%를보였고이는환자의활

    동제한상태와 연관성을 보였다. 환자가 보행을 하지 못하게 되면

    하부요로기능장애가 100%에서나타났다. 하부요로기능장애가다

    발성경화증의 최초 증상으로 나타나는 비율은 2~12%였고 다른

    연구에서는이비율을34%까지보고하고있다. 하부요로기능장애

    는대개발병후10년이내에나타났다.

    척수병변

    척수병변은외상성, 혈관성, 선천성혹은타질환으로야기된다.

    미국의 경우 인구 백만명당 30~40명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는

    빈도이고이중대부분의환자에서하부요로기능장애가발생한다.

    영국의 경우 척추이분증이나 다른 선천성 신경관 결손질환이

    10~69세인구에서만명당 8~9명에서발생하고 25~29세연령에

    서가장높은유병률을보이며미국의경우천명출생당 1명의빈

    도이다. 척수수막류에서 방광-요도의 기능장애의 유병률은 명확

    하게알려져있지않으나대다수연구에서90~97%정도로높다고

    보고하고있다. 이러한환아의절반정도는배뇨근-괄약근협조장

    애(DSD)를보인다.

    추간판질환

    환자의 28~87%에서 신경인성 하부요로기능장애가 보고된다.

    추간판탈출증에의한말총증후군의빈도는드물고모든요추부추

    간판탈출증의 1~5%정도에서만 나타난다. 말총증후군 없이도 하

    부요로기능장애를보이는경우도보고된다.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 22 23

    척추관협착증, 척추수술

    척추관협착증으로 인한 하지통을 호소하는 환자의 절반정도에

    서하부요로기능장애증상을보이는데주된증상은불완전배뇨감,

    요주저, 요실금, 야간뇨그리고요로감염등이다. 이러한증상들은

    간과되거나원발성비뇨기과질환에의한것으로여겨질수있는데

    환자들의 61~62%에서 하부요로기능장애를 나타낸다. 척추관협

    착증에서 신경인성방광의 유병률은 경막 (dural sac)의 단면적보

    다는 전후직경에 보다 밀접하게 관련된다. 척추수술의 경우

    38~60%의환자에서하부요로기능장애와연관되어있다.

    말초신경병증

    당뇨는미국의경우전인구의2.5%에서보일정도로흔한대사

    질환이고무증상기간을포함하면유병률은이보다더높을수있

    다. 당뇨에서 이차성 신경병증을 정의하는 기준은 없지만 일반적

    으로절반정도에서체신경병변 (somatic neuropathy)을보이며

    이러한환자의 75~100%는신경인성하부요로기능장애를나타낸

    다. 당뇨환자는다양한말초신경병증을보이는데당뇨병성방광병

    증 (diabetic cystopathy)은 인슐린의존성당뇨병의경우성별과

    나이에관계없이 43~87%정도로보고되고경구혈당제를복용하

    는2형당뇨병의경우에는25%에서보고된다.

    알코올남용은지속되면말초신경병증을야기한다. 이빈도는보

    고에 따라 5~15%에서부터 64%까지 다양하다. 신경인성 하부요

    로기능장애는 간경화를 동반한 환자에서 보다 흔히 나타난다. 자

    율신경중교감신경보다는부교감신경이더많은침범을받는다.

    이외흔하지않은말초신경병증으로다음과같은질환들이있다.

    - Porphyria: 방광확장이12%정도에서일어난다.

    - Sarcoidosis: 신경인성하부요로기능장애는드물다.

    - 요천추부, 외성기헤르페스: 요천추부피부분절 (dermatome)

    이 침범된환자들만을대상으로하였을때 28%의하부요로기

    능장애를 보이며 전체적인 발병률은 4%정도이다. 신경인성

    하부요로기능장애는대부분일과성이다.

    - Guillain Barre 증후군: 배뇨장애의유병률은 25%에서 80%

    이상까지다양하게보고되지만대부분시간경과에따라호전

    된다. 급성기동안의유병률은불명확한데이기간동안은대개

    도뇨관을유치하고있기때문이다.

    전신홍반루푸스

    신경계침범이 환자의 절반정도에서 일어난다. 하부요로기능장

    애의증상이나타날수있으나유병률에관한보고는드물고1%정

    도라고추정되고있다.

    HIV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배뇨장애는 HIV감염환자의 12%에서 보고되는데 주로 병이 진

    행된환자에서나타난다.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 24 25

    척추마취

    척추마취도신경인성하부요로기능장애를야기할수있지만이

    에관한유병률보고는없다.

    인위적병변

    직장의복회음절제술 (abdomino-perineal resection)은약절

    반에서신경인성하부요로기능장애를야기하는것으로알려져있

    다. 한연구에의하면이러한배뇨장애는단지 10%에서만장기간

    지속된다고하였는데호전되는이유가신경학적병변의시간경과

    에따른치유때문인지성공적인방광재활때문인지는분명치않다.

    신경보존을위한외과적예방이중요하다고보고되었다. 신경인성

    하부요로기능장애는단순자궁절제술후에도보고되었고자궁경부

    암에대한근치적자궁절제술이나골반방사선치료후에는8~57%

    에서나타난다고보고되었다. 이경우역시외과적예방이중요하

    다. 근치적전립선절제술후에도골반저의신경학적기능장애가보

    고된다.

    Table 1: Definitions useful in clinical practice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Acontractility, detrusor See below under voiding phase

    Acontractility, urethral sphincter See below under voiding phase

    Autonomic dysreflexia Increase of sympathetic reflex due

    to noxious stimuli with symptoms or

    signs of headache, hypertension,

    flushing face and perspiration

    Capacity See below under storage phase

    Catheterization, indwelling Emptying of the bladder by a

    catheter that is introduced (semi-)

    permanently

    Catheterization, intermittent (IC) Emptying of the bladder by a

    catheter that is removed after

    the procedure, mostly at regular

    intervals

    Aseptic IC The catheters remain sterile, the

    genitals are disinfected, and

    disinfecting lubricant is used

    Clean IC Disposable or cleansed re-usable

    catheters, genitals washed

    Sterile IC Complete sterile setting,

    including sterile gloves, forceps,

    gown and mask

    Intermittent self-catheterization (ISC) IC performed by the patient

    Compliance, detrusor See below under storage phase

    Condition Evidence of relevant pathological

    processes

    Diary, urinary Record of times of micturitions and

    voided volumes, incontinence

    episodes, pad usage, and other

    relevant information

    Frequency volume chart (FVC) Times of micturitions and voided

    volumes only

    Micturition time chart (MTC) Times of micturitions only

    Filling rate, physiological Below the predicted maximum:

    body weight (kg)/4 in mL/min

    Hesitancy Difficulty in initiating micturition:

  • 26 27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delay in the onset of micturition

    after the individual is ready to pass

    urine

    Intermittency Urine flow stops and starts on one

    or more occasions during voiding

    Leak point pressure (LPP) See below under storage phase

    Lower motor neuron lesion (LMNL) Lesion at or below the S1-S2 spinal

    cord level

    Neurogenic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NLUTD) secondary to confirmed pathology

    of the nervous supply

    Observation, specific Observation made during specific

    diagnostic procedure

    Overactivity, bladder See below under symptom syndrome

    Overactivity, detrusor See below under storage phase

    Rehabilitation, LUT Non-surgical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for LUT dysfunction

    Sign To verify symptoms and classify

    them

    Sphincter, urethral, non-relaxing See below under voiding phase

    Symptom Subjective indicator of a disease or

    change in condition, as perceived

    by the patient, carer, or partner that

    may lead the patient to seek help

    from healthcare professionals

    Upper motor neuron lesion (UMNL) Lesion above the S1-S2 spinal cord

    level

    Voiding, balanced Voiding with physiological detrusor

    pressure and low residual: In

    patients with NLUTD (

  • 28 29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Reduced

    Symptom and history Awareness of bladder filling but no

    definite desire to void

    Urodynamics Diminished sensation throughout

    bladder filling

    Absent No sensation of bladder filling or

    desire to void

    Non-specific Perception of bladder filling as

    abdominal fullness, vegetative

    symptoms, or spasticity

    Definitions valid after urodynamic confirmation only

    Cystometric capacity Bladder volume at the end of the

    filling cystometry

    Maximum cystometric capacity Bladder volume at strong desire to

    void

    High-capacity bladder Bladder volume at cystometric

    capacity far over the mean voided

    volume, estimated from the bladder

    diary, with no significant increase in

    detrusor pressure under non-

    anaesthetized condition

    Normal detrusor function Little or no pressure increase during

    filling: no involuntary phasic

    contractions despite provocation

    Detrusor overactivity Involuntary detrusor contractions

    during filling; spontaneous or

    provoked

    Phasic detrusor overactivity Characteristic phasic contraction

    Terminal detrusor overactivity A single contraction at cystometric

    capacity

    High pressure detrusor overactivity Maximal detrusor pressure > 40 cm H2O

    Overactivity volume Bladder volume at first occurrence

    of detrusor overactivity

    Detrusor overactivity incontinence Self-explanatory

    Leak point pressure

    Detrusor leak point pressure (DLPP) Lowest value of detrusor pressure

    at which leakage is observed in the

    absence of abdominal strain or

    detrusor contraction

    Abdominal leak point pressure Lowest value of intentionally

    increased intravesical pressure that

    provokes leakage in the absence of

    a detrusor contraction

    Detrusor compliance Relationship between change in

    bladder volume ( V) and change in

    detrusor pressure ( pdet):

    C= V/ pdet (ml/cm H2O)

    Low detrusor compliance C= V/ pdet

  • 30 31

    III 용어표준화(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진료지침을활용함에있어서용어의정확한이해및사용은필

    수적이다. 다음의표에서정리된표준용어들은유럽비뇨기과학회

    (European Association of Urology; EAU)에서 발행한 진료지

    침으로 국제요실금학회(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ICS)의표준화보고에기초하여작성되었다.

    IV 신경인성방광분류(Classification)

    배뇨장애에대한다양한분류체계중기능적분류와국제요실금

    학회의분류는저장기와배뇨기로나누어각각을방광과출구 (요

    도)로나누고이를다시세분하는분류체계를사용한다. 요역동학

    검사상분류체계는요역동학검사결과에바탕을두고배뇨근과괄

    약근의 소견에 따라 세분하는 분류를 사용한다. 신경인성방광에

    대한분류체계로는가장많이알려진Lapides분류와이외Bors-

    Comarr분류그리고Hald-Bradley분류체계가있다.

    다양한 분류체계가 존재하지만 실제 임상에 적용하기에는 많은

    단점이따랐다. 본책에서는이들분류중실용적이라고판단되는기

    능에따른분류(Table 3.) 및EAU지침에서제시한Madersbacher

    분류체계(Fig. 1)에대하여설명한다.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the urethra and/or periurethral

    striated musculature

    Post-micturition phase

    Feeling of incomplete emptying (symptom only)

    Post-micturition dribble

    : involuntary leakage of urine shortly after finishing the micturition

    Pain, discomfort or pressure sensation in the lower urinary tract and genitalia that

    may be related to bladder filling or voiding, may be felt after micturition, or be

    continuous

    Symptom syndrome: combination of symptoms

    Overactive bladder syndrome: urgency with or without urge incontinence, usually

    with frequency and nocturia

    Synonyms: Urge syndrome, urgency-frequency syndrome

    This syndrome is suggestive for LUTD

  • 32 33

    Table 3. The extended functional classification

    FFiigguurree 11.. Maderbacher 분류체계와전형적인신경학적병변위Maderbacher

    분류는실제임상에사용하기에추천된다 (Grade of recommendation: B).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신경학적 병변이나 손상

    방광출구폐색(근원성)불수의적 수축

    염증성

    과활동성 특발성

    (overactivity) 신경학적 병변이나 손상

    유순도 감소 섬유화

    특발성

    복합성

    과민성

    (hypersensitivity)

    골반저근 활동성 감소(?)

    복합성

    복압성요실금(GSI)

    내요도괄약근

    기능부전(ISD)

    복합성(GSI and ISD)

    복합성

    염증/감염

    신경학적

    정신적

    특발성

    요도지지 결손

    골반저 이완, 과운동성

    신경학적 병변이나 손상

    섬유화

    신경인성

    근원성

    정신적

    특발성

    전립선 폐색

    방광경부 협착

    남성 요도협착

    여성 요도압박, 섬유화

    평활근 괄약근 기능부전

    횡문근 괄약근 기능부전

    dysfunctional voiding

    배출

    장애

    저장

    장애

    방광문제

    방광문제

    출구문제

    복합성

    해부학적

    기능적

    출구문제

  • 34 35

    참고문헌

    1. Wein AJ. Pathophysiology and classification of voiding dysfunction.

    In: Wein AJ, Novick AC, Partin AW, Peters CA, eds. Campbell-Walsh

    urology. 9th edn. Philadelphia: WB Saunders, 2007, pp. 1973-1985.

    2. Abrams P, Cardozo L, Fall M, Griffiths D, Rosier P, Ulmsten U, van

    Kerrebroeck P, Victor A, Wein A. The standardis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Report from the Standardis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Neurourol

    Urodyn 2002;21(2):167-78.

    3. Wyndaele JJ, Castro D, Madersbacher H, Chartier-Kastler E, Igawa

    Y, Kovindha A, Radziszewski P, Stone A, Wiesel P. Neurologic

    urinary and faecal incontinence. In: Abrams P, Cardozo L, Khoury S,

    Wein A, eds. Incontinence. Plymouth: Health Publications,

    2005:1061-2.

    4. Consortium for Spinal Cord Medicine. Bladder management for

    adults with spinal cord injury: a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health-

    care providers. J Spinal Cord Med 2006;29(5):527-3.

    5. Khan Z, Starer P, Yang WC, Bhola A. Analysis of voiding disorders

    in patients with cerebrovascular accidents. Urology 1990;35(3):265-

    70.

    6. Litwiller SE, Frohman EM, Zimmern PE. Multiple sclerosis and the

    urologist. J Urol;1999;161(3): 743-57.

    7. Burns AS, Rivas DA, Ditunno JF. The management of neurogenic

    bladder and sexual dysfunction after spinal cord injury. Spine

    2001;26(24):S129-S136.

    8. Shapiro S. Medical realities of cauda equina syndrome secondary to

    lumbar disc herniation. Spine 2000;25(3):348-51.

    9. Chen PH, Hsueh HF, Hong CZ. Herpes zoster-associated voiding

    dysfunction: a retrospective study and literature review. Arch Phys

    Med Rehabil 2002;83(11):1624-8.

    10. Bradley WE, Timm GW, Scott FB. Innervation of the detrusor muscle

    and urethra. Urol Clin North Am 1974;1(1):3-27.

    11. Madersbacher H. The various types of neurogenic bladder

    dysfunction: an update of current therapeutic concepts. Paraplegia

    1990;28(4):217-29.

    12. Fernandes ET, Reinberg Y, Vernier R, Gonzalez R. Neurogenic

    bladder dysfunction in children: review of pathophysiology and

    current management. J Pediat 1994;124(1):1-7.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1 장 서론

  • Ⅰ병력

    Ⅱ신체검사

    Ⅲ요역동학검사

    Ⅳ신경인성방광의전형적소견

    제 2 장

    진 단

  • 38 39

    제2 장 진단

    신경인성방광환자의진단을위해서는병력청취, 신체검사와신

    기능검사, 요검사와같은기본적인검사이외에도배뇨일지, 방사

    선검사, 내시경검사, 요역동학검사등다양한종류의검사가필요

    하다.

    I 병력

    1. 일반 병력

    신경학적이상을일으킬수있는선천성, 외상성, 대사성질환과

    요로감염의경력과이와관련된수술경력등에대한문진이필요

    하다. 이외에도하부요로의기능에영향을줄수있는약물복용여

    부와 생리상태, 성기능과 장기능 그리고 산과병력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야한다.

    가족력이나유전적요인이기록되어야하고신경인성방광을유

    발할수있는대사질환이나신경학적질환에대한증상이동반되

    었는지에대해서구체적으로조사해야한다.

    통증, 감염, 혈뇨, 발열등과같은증상들은정확한진단을위한

    중요한단서가될수있다.

    일반병력에대한문진시필수적인내용들은다음과같다.

    신경학적이상을유발할수있는선천적질환

    신경학적이상을유발할수있는대사성질환

    수술적치료를포함한이전의치료경력

    현재복용중인약물

    흡연, 음주, 약물중독등의생활습관

    요로감염

    삶의질

    기대수명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40 41

    2. 특별 병력

    1) 요로계병력

    요로계병력은저장증상과배뇨증상이포함되어야하며신경인

    성방광증상의시작과성상(nature)이기술되어야한다.

    신경인성방광에특이한증상과징후들에대한평가가필수적이

    며신경인성방광의발생전과비교하여증상을평가하는것이중

    요하다.

    다음의진단항목들은가능한자세히기술되어야한다.

    하부요로증상

    배뇨형태(voiding pattern)

    요실금

    방광감각

    배뇨방법과종류(mode and type of voiding)

    병력청취의보조방법으로설문지, 배뇨일지, 패드검사를이용할

    수있다. 설문지는배뇨증상및삶의질에대한내용을점수화하여

    치료효과를평가할때유용하게이용되며국제적으로인정된여러

    종류의설문지가이용되고있으며배뇨일지는3-5일간배뇨에관

    한여러사항을기록하는것으로주간과야간의배뇨횟수와배뇨

    량, 그리고요실금과요절박의횟수및정도에대한객관적인자료

    를제공하며패드검사는요실금의정도를확인하는객관적인방법

    이다.

    2) 장 (bowel)에 대한병력

    신경인성방광을가지고있는환자는이와연관된하부소화기관

    (lower gastrointestinal tract)의 신경학적 이상을 호소하는 경

    우가 많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신경인성방광 환자에서는 배변과

    관련된장증상을반드시평가해야하며이러한증상들은신경학적

    이상이발생하기전과비교해야한다.

    다음진단항목은상세히기술되어야한다.

    항문-직장증상

    배변형태

    변실금

    직장감각

    배변방법과종류(mode and type)

    3) 성기능에대한병력

    신경인성방광환자에서 신경이상으로 인해 성기능이 저하된 경

    우가있으며다음항목이상세히기술되어야한다.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42 43

    성기능장애의증상

    성기능

    생식기의감각

    발기

    오르가즘

    사정

    4) 신경학적병력

    신경학적원인이요로증상을유발할수있기때문에이와관련

    된신경학적증상인시각변화, 감각변화, 운동약화, 보행장애등

    을확인하는것이중요하며증상에대한다음항목들을자세히알

    아봐야한다.

    선천적, 후천적신경이상

    신경학적증상의종류(somatic and sensory)

    신경학적증상의시작, 변화

    신경학적증상에대한치료

    경직이나자율신경반사부전(spasticity or autonomic

    dysreflexia) - T6 이상병변

    척수손상환자에서는 증상으로 요로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것은

    정확하지않다.

    3. 병력청취에대한지침 (Guideline for history taking)

    1) 신경인성방광발생이전과이후의증상에대한광범위한병력청취가필

    수적이다.

    2) 특별한 진단을 시사할 수 있는 통증, 감염, 혈뇨, 그리고 발열과 같은

    특이증상유무에주의를기울여야한다.

    3) 배뇨, 배변, 성기능 그리고 신경기능과 이러한 기능에 대해 손상을 줄

    수있는상태에대한광범위한병력청취가필요하다.

    II 신체검사

    신경인성방광환자의 평가를 위해서는 일반적인 신체검사 이외

    에도비뇨기계의신경학적검사가시행되어야한다.

    1. 일반적인신체검사

    환자의육체적, 정신적장애에주의를기울여야하며이러한장

    애는 엉덩이나 팔다리의 경직으로 인한 활동장애 (impaired

    mobility)로인해발생할수있다.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44 45

    상위레벨에서신경이상이있는경우앉을때나일어설때급격

    한혈압저하가나타나는경우가있고정신장애환자의경우방광충

    전감각에대해서주관적으로표현하는것이불가능할수도있다.

    복부의관찰과직장수지검사그리고골반장기탈출증여부에대

    한신체검사가필수적이다. 방광은충만되어있지않은경우만질

    수없으며배뇨후에도방광이만져지면만성요폐를의미한다. 직

    장수지검사를통해괄약근의긴장도및감각을평가할수있으며

    남성의경우전립선에대한평가가가능하다.

    2. 비뇨기계신경학적검사

    1) 일반적인신경학적신체검사

    신체 및 상하지, 그리고 손의 감각과 운동 기능에 대한 평가가

    필수적이다. 하복부의 팽창과 성기와 회음부의 피부상태에 대한

    평가가반드시시행되어야한다.

    Fig.1. Dermatomes of spinal cord levels L2-S4

    Fig.2. Urogenital and other reflexes in lower spinal cord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46 47

    Fig.3. Innervation overview of bladder and bowel. Afferent and efferent

    nerves in the different peripheral nerves and central nervous system

    are shown

    Fig.4. Overview of peripheral nerves innervating the lower urinary tract

    2) 특수한비뇨기계신경학적신체검사

    비뇨기계신경학적신체검사는신경인성방광환자에서필수적이

    다. 회음부의감각 (Fig.1)에대한평가와천수반사활동에대한몇

    몇의검사 (Fig.2)가 여기에해당한다. 감각손실의양상은척수신

    경의지배영역을따라나타나기때문에이를통해신경이상부위

    를알수있다.

    천수반사활동에 대한 대표적인 검사가 구부해면체반사이며 이

    를통해S2-S4 척수신경의통합성을확인할수있다.

    다음항목에대한신체검사가반드시시행되어야한다.

    신체양측의S2-S5에대한감각

    반사

    항문괄약근긴장도

    항문괄약근과골반저에대한자발적수축

    임상적인 신경증상과 신경인성방광은 일부 형태의 신경병증에

    서는밀접하게연과되어있지만그렇지않은경우도많다. 예로서

    척수수막탈출증과다발성외상성척수손상환자에서는임상증상과

    신경인성방광의형태가일치하지않는경우가많지만단일부위의

    외상성척수손상에서는일치도가높다.

    흉추와 요추의 골절로 인한 척수손상환자에서 신경인성방광의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48 49

    형태는감각에대한평가로예측할수없다. 이러한환자에서발가

    락의발바닥쪽굽힘이항문과외요도괄약근의자발적인수축과밀

    접한연관이있지만신경인성방광의형태에대한구별은불가능하

    다.

    3. 필수검사

    요검사

    혈액의화학적분석

    배뇨일지

    배뇨후잔뇨측정, 요류검사(최소한2~3번의측정이필요)

    패드검사

    방사선검사

    4. 신체검사에대한지침

    (Guideline for physical examination)

    1) 환자의장애는향후검사를계획할때고려되어야한다.

    2) 신경학적 상태는 가능한 자세히 기술하며 비뇨기계 영역의 감각과 반

    사에대한검사는반드시시행해야한다.

    3) 항문괄약근과골반저기능은광범위하게평가해야한다.

    4) 요검사, 혈액의 화학적 분석, 배뇨일지, 배뇨후잔뇨검사, 요류검사, 요

    실금 정도에 대한 검사와 비뇨기계에 대한 방사선검사는 반드시 시행

    해야한다.

    III 요역동학검사

    1. 서론

    신경인성방광환자에서 하부요로계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필수적이며요역동학검사는환자의증상을재현하여하부요

    로계의이상을객관적으로평가할수있는유일한방법이다.

    요역동학검사시행시의주의사항

    환자가최대한편안하게검사를받을수있는환경이중요하다.

    검사에대한충분한설명과환자의협조가필수적이다.

    검사는최대한무균적으로시행되어야한다.

    하부요로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은 적어도 48시간 이전에

    중단해야한다.

    요로감염이있는경우검사를연기하는것이좋다.

    심장판이상, 인공삽입물경력등이있는경우예방적항생제가필요

    하다.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50 51

    요역동학검사시에발생할수있는기술적오류에대한고려가필요

    하다.

    자율신경반사이상이있는경우검사중혈압에대한지속적인관찰

    이필요하다.

    모든요역동학검사는국제요실금학회의권고에따라시행되고기록

    되어야한다.

    2. 요역동학검사

    1) 배뇨일지

    배뇨일지는 하부요로의 평가를 위한 준객관적인(semi-

    objective) 방법이며진단적검사로강력히추천되는방법이다. 정

    확한진단을위해서최소한2~3일간의기록이필요하다.

    가능한병적소견

    잦은 빈도의 빈뇨, 매우 적거나 많은 배뇨량, 야간뇨, 요절박,

    요실금

    2) 요류검사, 배뇨후잔뇨검사

    비교적 비침습적인 방법이고 침습적인 요역동학검사를 시행하

    기전에필수적으로시행되어야하며배뇨기능에대한기본적이지

    만중요한정보를제공한다.

    정확한검사를위하여최소한2~3회정도반복검사가필요하다.

    배뇨시부적절한자세나요류의갈라짐에따른요속및요류형

    태의변화는검사를해석할때고려되어야한다.

    가능한병적소견

    낮은요속, 적은배뇨량, 간헐적요류, 요주저, 배뇨후잔뇨

    3) 충전방광내압측정술

    충전방광내압측정술은 방광충전 시 계속적으로 방광내압을 측

    정하는검사로하부요로의저장기능을정확히알아보기위한유일

    한 방법이나 단독으로 시행하는 것은 제한점이 있으며 배뇨시의

    방광내압측정과가능하다면비디오요역동학검사를같이시행함으

    로써더욱정확한검사가가능하다.

    이러한검사는방광충전시에하부요로기능을알기위해필수적

    이다.

    방광은방광충전시작시에반드시비워져있어야하며빠른충

    전이나실온과비슷한생리식염수를이용하게되면방광을자극할

    수있기때문에체온에가까운생리식염수를이용하여생리적속

    도로방광을충전해야한다.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52 53

    방광의 저장기능의 이상이 의심되나 기본적인 방광충전내압측

    정술에서이상이없는경우감추어진배뇨근기능의이상을유도하

    기위해유발시험법을이용할수있고이를위하여빠른충전과실

    온의생리식염수등을이용할수있다.

    충전방광내압측정술을 통하여 다음 네가지의 방광기능에 대한

    정보를얻을수있다.

    방광용적

    방광감각

    방광유순도

    비억제성방광수축여부

    정상충전방광내압측정술소견

    전형적인 충전방광내압측정술의 그래프는 다음 네가지 시기로

    구분된다.

    1. 방광충전의시작과함께방광압력이일정한방광압까지급격

    히상승하는시기

    2. 방광충전시방광벽의점탄성(viscoelasticity)을반영하고긴

    장도를나타내는시기

    3. 방광이 충분히 충전되어 방광벽의 구조가 최대한 신장된 후

    부가적인충전에의한방광내압의증가시기

    4. 배뇨기로서방광의자발적인수축시기

    정상방광용적은 400~500mL 정도이며 방광내압은 충전이 끝

    날시기까지기저값에서 6~10cnH2O를넘지않는정도의압력이

    일정하게유지된다.

    비억제성방광수축은 방광충전기에 관찰되지 않는 것이 정상소

    견이며또한정상방광에서는유발시험법에의해저장기에방광수

    축이발생하지않는다.

    가능한병적소견

    배뇨근과활동성, 낮은방광유순도, 방광의이상감각, 요실금, 이

    완되거나기능부전요도

    4) 배뇨근요누출압 (Detrusor leak point pressure, DLPP)

    배뇨근요누출압은배뇨근수축없이요도를통해요누출이일어

    나는 최소의 방광압력으로 정의되며 방광에 대한 요도의 저항을

    반영하며방광에서의저장압력의측정치이다.

    이러한 검사로 신경인성방광환자에서 상부요로에 대한 위험도

    나이차적인방광손상의위험정도를평가할수있다. 배뇨근요누

    출압은방광충전시기에상부요로손상의위험과더욱밀접한연관

    이있을것으로추정되는방광내압이상승되는기간에대한정보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54 55

    를제공해주지못하기때문에선별검사로만이용되어야하며높

    은 배뇨근요누출압을 보이는 경우 비디오요역동학검사가 권장된

    다.

    5) 압력요류검사 (Pressure flow study, PFS)

    압력요류검사는배뇨시기에배뇨근과요도/골반저의조화된기

    능을알아보기위해방광압력과요속을동시에측정하는방법으로

    배뇨기능을 정량화하여 분석하기에 가장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검사는충전방광내압측정술과비디오요역동학검사와같이시행하

    게되면훨씬유용하다.

    압력요류검사는 배뇨기에 하부요로기능의 평가를 위해서 필수

    적이다.

    가능한병적소견

    무수축성/저활동성 배뇨근, 배뇨근괄약근협조장애, 비이완성요

    도, 배뇨후잔뇨

    신경인성방광환자에서의폐색은대부분배뇨근괄약근협조장애,

    비이완성요도, 비이완성방광경부에 의한 것으로 압력요류검사와

    함께 비디오요역동학검사를 시행하게 되면 폐색부위도 알 수 있

    다.

    6) 근전도검사 (Electromyography, EMG)

    근전도검사는 외요도괄약근, 요도주변의 횡문근, 항문괄약근,

    골반저근의활동성을측정하는방법이며다양한기구들의사용으

    로부터발생하는오류들로인해정확한해석이어려운경우가많

    다. 요역동학검사시행시근전도검사는신경인성방광환자가골반

    저를조절할수있는능력과외요도괄약근과방광의협동이잘이

    루어지는지에대해알아보는데가장유용하게이용된다.

    가능한병적소견

    특별한 자극 (방광충전, 과반사성수축, 배뇨시작, 기침, 발살바

    등)으로인한부적절한활동의증가

    7) 요도내압검사 (Urethral pressure measurement)

    요도내압검사는요도전장에걸쳐요도내압력을측정하는검사

    로안정시나복압증가시, 그리고배뇨시에시행할수있다. 신경인

    성방광환자에서는 요도내압검사의 역할은 제한적이며 병적 소견

    을시사하는기준에대한일치된의견은없다.

    8) 비디오요역동학검사 (Video-urodynamics)

    방사선검사와동반되어시행되는충전방광내압측정술과압력요

    류검사는 신경인성방광환자에서 요역동학검사의 gold standard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56 57

    이다.

    가능한병적소견

    충전방광내압측정술과 압력요류검사에서의 병적 소견, 상부요

    로와하부요로의해부학적이상

    9) 휴대용요역동학검사 (Ambulatory urodynamics)

    자연적인 방광충전을 통해서 하부요로활동을 재현함으로써 하

    부요로기능을평가하는검사이다. 이러한검사는기존의요역동학

    검사가환자의증상을재현하지못할때고려되어야하며가능한

    병적 소견은 충전방광내압측정술과 압력요류검사에서의 병적 소

    견과같다.

    휴대용압력요류검사를 통해 실제 방광용적을 추정하기는 어렵

    다.

    10) 요역동학검사에서의유발시험법

    (Provocative test during urodynamcis)

    하부요로의기능이상은기침, 유발배뇨 (triggered voiding)에

    의해서유발될수있다.

    얼음물검사 (Ice-water test)

    차가운생리식염수와빠른충전을이용한방광내압측정술이다.

    얼음물검사는 상위운동신경원병변과 하위운동신경원병변을 구분

    해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상위운동신경원병변이 있는 경우

    배뇨근이 정상적이라면 배뇨근 수축이 발생하지만 하위운동신경

    원병변이 있는 경우 배뇨근 수축이 발생하지 않는다. 얼음물검사

    는소아에서위양성의결과를나타낼수있고다른환자에서도상

    위운동신경원병변과 하위운동신경원병변을 100% 감별하지는 못

    한다.

    베타네콜과민반응검사 (Bethanechol hypersensitivity test)

    베타네콜과민반응검사는 무수축성방광에서 신경성원인과 근육

    성원인을감별해주는검사이며베타네콜과민반응검사양성 (베타

    네콜의피하주입후배뇨근압력이15cmH2O 이상증가)은방광의

    구심신경이나원심신경또는원위척수신경의차단을시사하지만

    실제신경인성방광의진단에있어서모호한결과를보이는경우가

    많다고알려져있다.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58 59

    3. 특별한비뇨기계신경학적검사

    (Specific uro-neruophysiological test)

    다음검사는신경학적검사의일종으로권고된다.

    1) 골반저근과 요도괄약근, 항문괄약근에 대한 신경생리학적 기반

    에서의 근전도 (EMG of pelvic floor muscles, urethral

    sphincter and/or anal sphincter in a neurophysiological

    setting)

    2) 음부신경에 대한 신경전도검사 (nerve conduction study of

    pudendal nerve)

    3) 구부해면체와항문반사궁에대한반사지연측정

    (reflex latency measurements of bulbocavernous and anal

    reflex arcs)

    4) 음핵과 귀두로부터의 유발반응검사 (evoked responses from

    clitoris or glans penis)

    5) 방광과 요도에 대한 감각검사 (sensory testing on bladder

    and urethra)

    4. 요역동학검사와비뇨기계신경학적검사에대한지침

    (Guidelines for urodynamics and uro-neurophysiology)

    1) 요역동학검사는하부요로의기능적이상여부를알기위해필수

    적이다(Grade of recommendation: A).

    2) 배뇨일지의작성이권고된다(Grade of recommendation: B).

    3) 침습적요역동학검사전에비침습적검사가필수적이다(Grade

    of recommendation: A).

    4) 비디오요역동학검사는침습적요역동학검사가필요한신경인성

    방광환자에서gold standard이며가능하다면충전방광내압측정

    술의시행후에압력요류검사가반드시시행되어야한다(Grade

    of recommendation: A).

    5) 생리적충전율과체온에가까운생리식염수의사용은필수적이다

    (Grade of recommendation: A).

    6) 특별한비뇨기계신경학적검사

    (specific uro-neurophysiologic test)들은선택적으로시행할

    수있다(Grade of recommendation: C).

    IV 신경인성방광의전형적소견

    충전시기

    감수성저하또는과민반응(hyposensitive or hypersensitive)

    무감각(vegetative sensations)

    낮은유순도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60 61

    고용량의방광

    배뇨근과활동성(자발적또는유발에의한)

    무수축성괄약근

    배뇨시기

    무수축성배뇨근

    배뇨근괄약근협조장애

    비이완성요도

    비이완성방광경부

    이러한 징후들은 환자의 하부요로증상이 신경인성방광에 의한

    것을시사하며추가적인신경학적검사가필요하다.

    참고문헌

    1. Bors E, Turner RD. History and physical examination in neurological

    urology. J Urol 1960;83:759-67.

    2. Thuroff JW, Chartier-Kastler E, Corcus J, Humke J, Jonas U,

    Palmtag H, Tanagho EA. Medical treatment and medical side effects

    in urinary incontinence in the elderly. World J Urol

    1998;16(Suppl1):S48-S61.

    3. Stohrer M, Goepel M, Kondo A, Kramer G, Madersbacher H, Millard

    R, Rossier A, Wyndaele JJ.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in

    neurogenic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with suggestions for

    diagnostic procedures.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Standardization Committee. Neurourol Urodyn 1999;18(2):139-58.

    4. Linsenmeyer TA, Oakley A. Accuracy of individuals with spinal cord

    injury at predicting urinary tract infections based on their symptoms.

    J Spinal Cord Med 2003;26(4):352-7.

    5. Wyndaele JJ, De Sy WA. Correlation between the findings of a

    clinical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the urodynamic dysfunction in

    children with myelodysplasia. J Urol 1985;133(4):638-40.

    6. Wyndaele JJ.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neurological data and

    urodynamic function in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Spinal Cord

    1997;35(4):213-6.

    7. Keshtgar AS, Rickwood AM. Urological consequences of incomplete

    cord lesions in patients with myelomeningocele. Br J Urol

    1998;82(2):258-60.

    8. Wyndaele JJ. Is impaired perception of bladder filling during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

  • 62 63

    cystometry a sign of neuropathy? Br J Urol 1993;71(3):270-3.

    9. Kirchhof K, Fowler CJ. The value of the Kurtzke Functional Systems

    Scales in predicting incomplete bladder emptying. Spinal Cord

    2000;38(7):409-13.

    10. Weld KJ, Dmochowski RR. Association of level of injury and

    bladder behavior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pinal cord injury.

    Urology 2000;55(4):490-4.

    11. Schurch B, Schmid DM, Kaegi K. Value of sensory examination in

    predicting bladder function in patients with T12-L1 fractures and

    spinal cord injury.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83-9.

    12. Schurch B. The predictive value of plantar flexion of the toes in the

    assessment of neuropathic voiding disorders in patients with spine

    lesions at the thoracolumbar level. Arch Phys Med Rehabil

    1999;80(6):681-6.

    13. Ochoa B. Can a congenital dysfunctional bladder be diagnosed

    from a smile?. The Ochoa syndrome updated. Pediatr Nephrol

    2004;19(1):6-12.

    14. Reynard JM, Peters TJ, Lim C, Abrams P. The value of multiple

    free-flow studies in men with lower urinary tract symptoms. Br J

    Urol 1996;77(6):813-8.

    15. Sonke GS, Kiemeney LA, Verbeek AL, Kortmann BB, Debruyne FM,

    de la Rosette JJ. Low reproducibility of maximum urinary flow rate

    determined by portable flowmetry. Neurourol Urodyn 1999;18(3):183-

    91.

    16. Schafer W, Abrams P, Liao L, Mattiasson A, Pesce F, Spangberg A,

    Sterling AM, Zinner NR, van Kerrebroeck P;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Good urodynamic practices: uroflowmetry,

    filling cystometry, and pressure-flow studies. Neurourol Urodyn

    2002;21(3):261-74.

    17. Abrams P, Cardozo L, Fall M, Griffiths D, Rosier P, Ulmsten U, van

    Kerrebroeck P, Victor A, Wein A. The standardis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report from the Standardis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Neurourol

    Urodyn 2002;21(2):167-78.

    18. Homma Y, Ando T, Yoshida M, Kageyama S, Takei M, Kimoto K,

    Ishizuka O, Gotoh M, Hashimoto T. Voiding and incontinence

    frequencies: variability of diary data and required diary length.

    Neurourol Urodyn 2002;21(3):204-9.

    19. McGuire EJ, Cespedes RD, O’Connell HE. Leak-point pressures.

    Urol Clin North Am 1996;23(2):253-62.

    20. Linsenmeyer TA, Bagaria SP, Gendron B. The impact of

    urodynamic parameters on the upper tracts of spinal cord injured

    men who void reflexly. J Spinal Cord Med 1998;21(1):15-20.

    21. Krongrad A, Sotolongo JR Jr. Bladder neck dysynergia in spinal

    cord injury. Am J Phys Med Rehabil 1996;75(3):204-7.

    22. Weld KJ, Graney MJ, Dmochowski RR. Clinical significance of

    detrusor sphincter dyssynergia type in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pinal cord injury. Urology 2000;56(4):565-8.

    23. Rossier AB, Fam BA. 5-microtransducer catheter in evaluation of

    neurogenic bladder function. Urology 1986;27(4):371-8.

    24. Al-Ali M, Haddad L. A 10 year review of the endoscopic treatment

    of 125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with vesical outlet obstruction:

    does bladder neck dyssynergia exist? Paraplegia 1996;34(1):34-8.

    25. Lose G, Griffiths D, Hosker G, Kulseng-Hanssen S, Perucchini D,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64 65

    Schafer W, Thind P, Versi E. Standardisation Sub-Committe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Standardisation of urethral

    pressure measurement: report from the Standardisation Sub-

    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Neurourol

    Urodyn 2002;21(3):258-60.

    26. Rivas DA, Chancellor MB. Neurogenic vesical dysfunction. Urol Clin

    North Am 1995;22(3):579-91.

    27. Madersbacher HG. Neurogenic bladder dysfunction. Curr Opin Urol

    1999;9(4):303-7.

    28. van Waalwijk van Doorn E, Anders K, Khullar V, Kulseng-Hanssen

    S, Pesce F, Robertson A, Rosario D, Schafer W. Standardisation of

    ambulatory urodynamic monitoring: report of the Standardisation

    Sub-Committee of the International Continence Society for

    Ambulatory Urodynamic Studies. Neurourol Urodyn 2000;19(2):113-

    25.

    29. Geirsson G, Fall M, Lindstrom S. The ice-water test-a simple and

    valuable supplement to routine cystometry. Br J Urol 1993;71(6):681-

    5.

    30. Geirsson G, Lindstrom S, Fall M. Pressure, volume and infusion

    speed criteria for the ice-water test. Br J Urol 1994;73(5):498-503.

    31. Nitt WW. Cystometry and abdominal pressure monitoring. In Mitti

    VW (ed): Practical Urodynamics). Philadelphia, WB Saunders, 1998,

    pp 38-61.

    32. Blaivas JG, Labib KB, Michalik SJ. Failure of bethanecol

    denervation supersensitivity as a diagnostic aid. J Urol

    1980;123:199.

    33. Chancellor MB, Lavelle J, Ozawa H, Jung SY, Watanabe T, Kumon

    H. Ice-water test in the urodynamic evaluation of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Tech Urol 1998;4(2):87-91.

    34. Ronzoni G, Menchinelli P, Manca A, De Giovanni L. The ice-water

    test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the neurogenic bladder. Br J

    Urol 1997;79(5):698-701.

    35. Lapides J. Neurogenic bladder. Principles of treatment. Urol Clin

    North Am 1974;1(1):81-97.

    36. Riedl CR, Stephen RL, Daha LK, Knoll M, Plas E, Pfluger H.

    Electromotive administration of intravesical bethanechol and the

    clinical impact on acontractile detrusor management: introduction

    of a new test. J Urol 2000;164(6):2108-11.

    37. Bemelmans BL, Hommes OR, Van Kerrebroeck PE, Lemmens WA,

    Doesburg WH, Debruyne FM. Evidence for early lower urinary tract

    dysfunction in clinically silent multiple sclerosis. J Urol

    1991;145(6):1219-24.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2 장 진단

  • Ⅰ서론

    Ⅱ비침습보존치료

    Ⅲ최소침습치료

    Ⅳ수술치료

    제 3 장

    치 료

  • 68 69

    제3 장 치료

    I 서론

    신경인성방광의치료목표와그우선순위는다음과같다(1-4):

    1. 상부요로보호

    2. 요자제향상

    3. 하부요로기능의(부분적인) 회복

    4. 환자의삶의질향상

    이외추가적고려사항은환자의활동력, 비용대비효율, 기술적

    복잡성, 가능한합병증등이다. 상부요로기능의보존은매우중요

    하다. 신부전은사고후생존한척수손상환자의주된사망원인이었

    다. 따라서, 신경인성방광의치료에서다음과같은치료지침이만

    들어졌다 : 저장기와 배뇨기 모두 배뇨근압은 안전한 범위내에서

    유지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해당 환자군에서 비뇨

    기적원인으로인한사망률을현저히낮출수있었다. 요실금의치

    료는환자의사회재활에중요하며이를통해삶의질을상당히개

    선할수있다. 요실금치료는또한요로감염예방에도중요하다. 만

    약완전요자제가달성되지못한다면사회적으로수용가능한요실

    금해결법을사용할수있다. 모든치료결정에서그러하듯환자의

    삶의 질은 주요한 부분이다. 고배뇨근압을 저장기에 보이는 환자

    (배뇨근 과활동성, 낮은 배뇨근 유순도) 및 배뇨기에 보이는 환자

    (배뇨근-괄약근협조장애, 다른원인의방광출구폐색)들에서는주

    요치료목표를잔뇨가증가하더라도능동적이고공격적인고압방

    광을수동적인저압저장소로전환시키는것으로하여야한다.

    II 비침습보존치료

    1. 방광배출기능촉진 (Assisted bladder emptying)

    방광을완전히비우지못하게되는상황은요로감염과요실금의

    심각한 위험인자이고 소변의 저장기 동안에 방광 내압을 높이는

    결과를초래한다.

    Crede법: 유감스럽게도 현재도 사용되고 있는 이 방법은 주로

    척수수막류가있는유아나어린소아, 그리고사지마비환자에서도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3 장 치료

  • 70 71

    간혹 사용된다. 이 방법은 높은 압력을 발생하므로 상부요로손상

    을유발할수있다.

    Valsalva법: Crede법이나Valsalva법모두장기합병증을피하

    기어려우며약해져있는골반저기능이더욱악화될수있고이미

    존재하는요실금도악화시킨다.

    Triggered reflex voiding: 천수나 요추의 dermatome(피부

    절)을자극하면배뇨근의수축반사를일으킬수있다. 이환율이치

    료첫 10년동안높으므로엄격한요역동학적인조절이반드시필

    요하다.

    2. 하부요로재활 (Lower urinary tract rehabilitation)

    Behavioural modification techniques: 이 방법은요자제를호

    전시키기위해사용되는데즉각적인배뇨와방광훈련, 생활습관개

    선등을포함한다.

    골반저근육운동: 이방법의목적은요자제의확보이다. 이방법

    은신경인성하부요로장애환자들에게도움이된다.

    골반저전기자극치료: 이방법은골반저근육운동의효과를높이

    거나환자들에게어떻게하면골반저를수축하는지가르치는데도

    움이된다.

    바이오피드백: 이방법은배뇨의패턴을조절하는데도움이된다.

    3. 약물치료 (Drug treatment)

    아직 한 가지의 이상적인 약물치료 방법이 존재하지는 않지만

    여러 가지 병합치료가 좋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Level of

    evidence: 1a, Grade of recommendation: A).

    항콜린제가 신경인성 배뇨근 과활동성에서 가장 유용한

    약제로 이용되고 있다 (Level of evidence: 1a, Grade of

    recommendation: A).

    이약물은무스카린수용체에결합하므로무스카린수용체길항

    제라고도불린다. 항콜린제는배뇨근과활동성을감소시키고방광

    의 유순도를 증가시키는데 이용된다 (Level of evidence: 1a,

    Grade of recommendation: A).

    신경인성배뇨근과활동성환자들은특발성환자들보다더많은

    용량의 항콜린제를 필요로 한다 (Level of evidence: 1b, Grade

    of recommendation: A).

    그러나이때문에나타나는부작용으로더일찍치료가중단되

    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Level of evidence: 1b, Grade of

    recommendation: A).

    Oxtbutin (Level of evidence: 1a, Grade of recommendation:

    A), trospium chloride, tolterodine (Level of evidence: 1a,

    Grade of recommendation: A), propiverine은효과가있는약물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3 장 치료

  • 72 73

    치료제로알려져있다. 이약물들은환자들에게오랜기간치료제

    로사용하더라도효과가좋고환자의순응도와안전성도좋은것

    으로 알려져 있다. 비교적 최근에 개발된 darifenacin과

    solifenacin도신경인성과활동성방광환자들에게치료제로사용

    되고 있다. Phosphodiesterase inhibitor는 pilot study에서 배

    뇨근 과활동성에 월등한 효과를 보인 약제로 미래에 항콜린제의

    대체약제나부가약제로사용될것이다. Desmopression과의추가

    치료도치료효과를높일것이다.

    배뇨근 저활동성: bethanechol chloride나 distigmine

    bromide와같은콜린계약물이배뇨근의수축과방광배출에도움

    이된다고알려져있으나일반적으로임상에서일상적으로쓰이지

    는 않는다. 단독치료 보다는 알파차단제와의 병합치료가 더 유용

    하다고 알려져 있다. 결론적으로 배뇨근 저활동성 환자에서 효과

    가입증된약물은없다고하겠다 (Level of evidence: 2a, Grade

    of recommendation: B).

    방광출구저항감소: 알파차단제 (비선택적그리고선택적)가일

    부 방광출구저항과 잔뇨, 자율신경반사이상(autonomic

    dysreflexia)을 감소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Level of

    evidence: 2a, Grade of recommendation: B).

    방광출구저항 증가: 몇 가지 약제들이 경미한 복압성 요실금에

    서효과적이라고알려져있으나신경인성하부요로환자에서효과

    가있다는결과를보이기는쉽지않아보인다.

    4. 전기 신경조정술 (Electrical neuromodulation)

    요도괄약근과골반저의강력한수축과물리적행동은반사적으

    로배뇨를억제할수있다. 음부신경의구심성전기자극은배뇨반

    사를강하게억제하고배뇨근수축도억제한다. 이러한자극은척

    수와상부척수경로에서의흥분성과억제성에의한향상성의균형

    을잡는것을도와준다. 비록후부경골신경에대한신경자극이신

    경인성환자들에게사용되기는하였지만이러한치료가신경인성

    하부요로환자들에게이득이있는지에대한증거는아직없다.

    5. 외부기구, 외집뇨기 (External appliances)

    집뇨장치가 포함된 콘돔카테터는 남자 환자들에게는 현실적인

    방법이다. 또한 요실금 패드 또한 신뢰할 만한 해결책이다. 양쪽

    경우모두에서감염의위험성에대해서는면밀하게관찰해야하겠

    다. 음경 clamp는 방광내압을 과도하게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절대적인금기이다.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3 장 치료

  • 74 75

    6. 비침습보존치료의지침

    1) 모든 치료의목표는상부요로의보호이다.

    2) 과민성 배뇨근에 대한 치료의 중심은 항콜린제이다 (Level of

    evidence: 1, Grade of recommendation: A).

    3) 하부요로재활훈련은선택적인경우에만효과적이다.

    4) 콘돔카테터나 패드는 사회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요실금을 감소

    시킬수있다.

    5) 방광배출을 돕는 모든 방법은 최대한 주의를 기울여 시행한다.

    (Grade of recommendation: A).

    III 최소침습치료

    1. 도뇨법 (Catheteterization)

    자가혹은타인에의한간헐적도뇨는신경인성하부요로기능장

    애 환자들에 대한 치료에서 표준 치료법이다. 특히 배뇨근저활동

    성이나무수축성방광에서효과적이며배뇨근과활동성환자에있

    어서는과활동성을조절해줄수있다. Guttmann and Frankel이

    제안한 무균 (sterile) 간헐적도뇨는 Lapides등이 도입한 청결

    (clean) 간헐적도뇨에 비해 요감염과 세균뇨를 유의하게 낮출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시행하기에는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무균

    (aseptic) 간헐적도뇨는 간헐적도뇨관의 외부오염을 현저히 줄이

    므로적절한대안이될수있다. 불충분한환자교육과신경인성하

    부요로기능장애환자의요감염에대한취약성이요감염에대한주

    요인자이다. 도뇨법의 하루 평균 횟수는 4~6회가 적당하고 카테

    터의크기는 12~14Fr이어야한다. 이보다적은횟수는회당도뇨

    소변량의증가를초래하여요로감염위험이증가하며도뇨를이보

    다더자주하게되면교차감염과다른합병증의위험성이커진다.

    도뇨시의 방광용적은 400mL 미만이어야 한다. 적절한 환자교육

    과 손상을 주지않는 시술법, 감염예방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합

    병증발생을줄일수있다. 경요도도뇨관유치는요로감염이나다

    른합병증을일으킬가능성이높으며상치골방광루유치도이보

    다는 덜하지만 위험성을 갖고 있다. 실리콘 카테터가 가피형성이

    덜된다는장점이있고신경인성하부요로기능장애환자들이많이

    갖고있는고무알레르기에도도움이된다.

    본책의부록에올바른자가도뇨사용을위한설명서가있다.

    2. 도뇨법지침 (Guidelines for catheterization)

    1) 간헐적도뇨는 방광을 비우지 못하는 환자들에게 있어서 표준치료이

    다 (Level of evidence: 2, Grade of recommendation: A).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3 장 치료

  • 76 77

    2) 환자들은간헐적도뇨의기술과위험성에대해교육을잘받아야한

    다.

    3) 무균(aseptic) 간헐적도뇨가최선의방법이다

    (Level of evidence: 2, Grade of recommendation: B).

    4) 도뇨관의굵기는 12~14Fr가 되어야한다

    (Grade of recommendation: B).

    5) 간헐적도뇨의빈도는하루 4~6회가적당하다

    (Grade of recommendation: B).

    6) 방광용적이 400mL 미만이되도록해야한다

    (Grade of recommendation: B).

    7) 경요도와 상치골 도뇨관 유치는 예외적인 경우에만 주의 깊게 시행

    되어야 하며 자주 카테터를 교체하여야 한다. 실리콘 카테터가 더

    선호되며 2~4주 마다 교체해야 한다. 반면 라텍스 카테터는 1~2

    주마다교체해야한다 (Grade of recommendation: A).

    3. 방광내약물주입법 (Intravesical drug treatment)

    방광의과활동성을막기위해항콜린제를방광내로직접주입할

    수있는데이방법은항콜린제의부작용을줄일수있어서유용하다.

    이 방법으로 방광에만 치료약물을 고농도로 분포시킬 수 있으며

    electromotive drug administartion (EMDA)을 이용할시에는보

    다 더 집중시킬수 있다. Vanilloid, capsaicin, resiniferatoxin은

    C-섬유를탈감작해서신경섬유가재생될때까지몇개월간배뇨근

    과활동성을 감소시킨다. 용량은 capsaicin 1~2mMol을 30% 알콜

    100mL에 섞거나, 10~100nMol resiniferatoxin을 10% 알콜

    100mL에 섞어 30분 간 작용시키게 된다. resiniferatoxin은

    capsaicin에 비해 1000배 더 효능이 있고 주입시 통증이 덜하며

    capsaicin에반응하지않는 환자들에게효과가있다. 여러임상시

    험을통해 resiniferatoxin은 botulinum toxin A의배뇨근주입법

    에비해제한적인임상효능을가지고있는것으로알려져있다.

    4. 방광내전기자극법 (Intravesical electrostimulation)

    방광내전기자극법은방광충만감각과배뇨에대한요급을향상

    시키며 배뇨근의 자발적 통제를 회복시키게 된다. 매일 90분간

    10mA 강도로 2ms 동안, 20Hz의 빈도로적어도 1주일간사용하

    게된다. 말초병변이있는환자가최고의대상군이되며배뇨근이

    온전해야하며적어도몇개의구심성연결이배뇨근과뇌사이에

    존재해야한다. 또한자극하는전극의위치와방광의충만이중요

    한변수가된다. 하지만결과들은아직도애매모호한부분이많다

    (Level of evidence: 3, Grade of recommendation: C).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3 장 치료

  • 78 79

    5. 방광내보튤리늄주입법

    (Botulinum toxin injections in the bladder)

    보튤리늄 독소는 가역적이지만 오래 작용하여 9개월 동안이나

    화학적으로신경제거작용이가능하다. 보튤리늄독소A는신경인

    성하부요로질환환자들을대상으로한연구에서효과가있는것

    으로알려져있다. 또한독소의반복투여는효과의상실없이도가

    능한 것으로 보인다. 전신적인 근육의 약화현상이 가능한 부작용

    이다. 독소주입후의조직학적구조변화에대한연구는아직없는

    실정이다.

    6. 방광경부와요도에대한시술

    (Bladder neck and urethral procedures)

    방광출구저항의감소는상부요로를보호하기위해필요하다. 이

    를위해서는방광경부나괄약근의절개, 요도내스텐트삽입과같

    은수술적중재나화학적괄약근탈신경 (denervation)과같은방

    법들이 필요하다. 시술후 요실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외집뇨기로

    관리하게된다.

    보튤리늄독소의괄약근내주입법: 배뇨근괄약근협조장애환자

    들에있어서효과적으로사용할수있다. 이러한협조장애는수개

    월간사라지게되며추후에반복적인투여가필요로하다. 이치료

    효과는높으며부작용은적다.

    풍선확장술: 더이상추천되지않는방법이다.

    괄약근절개술: 괄약근에대한단계적절개로요도닫힘기능의완

    전한 상실없이도 방광출구저항이 감소될 수 있다. 레이저를 이용

    한시술이장점이있어보인다. 이절개술은많은환자들에있어서

    반복적으로일정한간격을두고서시행해야하는데이방법은효

    과가높고심각한부작용이발생하지않는다. 이차적으로방광경

    부가좁아지는수가있으나이런경우에는방광경부절개술이도움

    이될수있다.

    방광경부절개술: 이 시술은 이차적으로 발생한 방광경부의 섬유

    성 변화가 있을 때에만 이용된다. 배뇨근이 비후해져서 방광경부

    가두꺼워지면이시술은의미가없다.

    스텐트삽입술: 요도스텐트삽입술은요자제를획득할수있다. 비

    록결과가괄약근절개술과비슷하고술기시간이짧고입원기간의

    감소를볼수있지만, 비용이나가능한합병증, 재시술등이제한인

    자로남는다.

    방광출구저항의 증가: 요자제를 향상시킬 수 있다. urethral

    bulking agent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신경인성하부요로환자들에

    서비교적조기에요자제의상실들이보고되었다.

    urethral inserts: 여성요실금환자들에대한치료로써이용되는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3 장 치료

  • 80 81

    요도마개나밸브는신경인성하부요로환자들에게는이용되지않는

    다. 저활동성 혹은 무수축성 배뇨근 환자들에 대한 요도보형물의

    삽입시도결과는기대에미치지못했다.

    7. 최소 침습적치료의지침

    (Guidelines for minimal invasive treatment)

    1) 도뇨법치료지침은페이지 73~74에 기술된내용을따른다.

    2) 배뇨근에 대한 보튤리늄 독소 주사는 신경인성 배뇨근 과활동성을 줄

    이는데 가장 효과적인 최소침습적인 치료이다 (Level of evidence: 1,

    Grade of recommendation: A).

    3) 괄약근절개술은 배뇨근-괄약근협조장애 환자에 대해 표준치료이다

    (Level of evidence: 2, Grade of recommendation: A).

    4) 방광경부절개술은 섬유화된 방광경부환자들에 대해 효과적이다 (Level

    of evidence: 3, Grade of recommendation: B).

    IV 수술치료

    1. 요도와방광경부시술법

    (Urethral and bladder neck procedures)

    방광 출구 저항 증가는 방광에 소변이 차는 동안 높은 방광 내

    압력을일으킬위험이있고, 소변을보는동안더높은방광내압

    력을 유발시키기도 한다. 괄약근성 요실금을 치료하기 위한 시술

    은배뇨근활성이조절가능하거나임상적으로의미있는역류가

    없을때적합하다. 이러한시술은요도와방광경부가좋은상태여

    야하며대부분시술후에간헐적도뇨가필요하다.

    요도슬링 (Urethral sling): 다양한수술재료들이사용되고있

    으며좋은수술결과를보고하고있다. 여성에서는이미확립된시

    술이지만 남성에서는 인공 요도 괄약근 (artificial urinary

    sphincter) 시술이우선적으로선호된다.

    인공요도괄약근 (Artificial urinary sphincter): 이시술은신

    경인성 하부요로 질환 환자에서 임상 시험을 거쳤다. Light와

    Scott이처음소개하였고이후신형기구들이나오면서좀더나은

    시술법으로발전하고있다.

    기능적 괄약근 확대술 (Functional sphincter augmenta-

    tion): 박근 (gracilis muscle)을 방광경부나근위요도로이동시

    켜전기자극에의한근육수축을이용하여기능하는자가이식괄

    약근을만들가능성을보여주었다. 이러한시술은요도폐쇄를조

    절하는기능을회복시킬가능성이있다.

    방광 경부와 요도 재건술 (Bladder neck and urethra

    reconstruction): 소아방광외번증 (bladder exstrophy) 환자에

    신경인성방광 지침서 제 3 장 치료

  • 82 83

    서 방광 경부 재건술 (Young-Dees-Leadbetter bladder neck

    reconstruction )과 Salle 술식으로보완된방광경부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