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12
57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9 , pp. 575~586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2010. Vol. 39, pp. 575~586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중철 (동신대학교)·최승오·*배종진 (한남대학교)·윤성진·강경희 (고려대학교) 이 연구는 2009년도 한남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 [email protected] Ⅰ. 서 1. 연구의 필요성 65세 이상 고령자 중 30~45%는 매년 1회 이상의 낙 상을 경험하며, 낙상을 경험한 고령자 중 약 20%는 6개 월 내에 또 다시 낙상사고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양윤준, 2007). 이처럼 고령자에게서 빈번하게 발 생되는 낙상은 골절이나 염좌 등과 같은 외상을 일으켜 근골격계의 기능 소실을 야기하고 일상생활에 제한을 주어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뿐만 아니라 고관절 골절과 같은 골절상으로 인한 장기간의 침상 안정 등은 이차적 합병증을 유발하여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한다(Kauffman, 1990). 그리고 여성 노인의 경우 폐경으로 인해 연령증 가에 따른 근골격계의 기능 소실률이 남성 노인보다 현 저히 높아 낙상으로 인한 골절률과 그에 따른 합병증 발 생률이 더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uffman, 1990). 한편, 1960년대 까지 낙상에 대한 중재는 주로 합병증 에 대한 치료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1960년대 이 후 낙상은 환경이나 신체적 요인에 의해 예측 가능하며,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인식 되면서 낙상 사고의 발생 원 인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고자 하는 중재 연구들이 이 루어지고 있다(Fuller, 2000). 먼저, 낙상 유발 인자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낙상은 동적균형능력 및 관절가동성의 저하, 고유수용성 능력의 저하, 유연성 및 하지근력 감소로 인한 보행이상 및 이전 의 낙상 경험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Gauchard, Gangloff, Jeanel & Perrin, 2003; Shumway- Cook et al., 1997; Province et al., 1995; Wolfson et al., 1988). 그리고 이러한 기능적 체력의 감소로 인해 노인 에게서 제일 먼저 나타나는 운동장애가 보행능력의 저하 인데, 보행특성 중 보행속도, 보행거리, 보행수는 신체의 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이상보행은 낙상을 유발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낙상 발생률에 관한 연구에서 보행시에 낙상 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 그 밖에 계단 내려가기, 일어서기, 방향 전환 순으로 나타났다고 보고되고 있다 (권오윤, 최홍식, 민경진, 1998; Nevitt et al., 1991). 이와 같은 낙상 유발 인자들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활동량이 감소됨으로서 야기되는 비활동적 생활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 이에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서 근기능을 향상시켜

Upload: others

Post on 24-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75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39호, pp. 575~586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2010. Vol. 39, pp. 575~586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중철 (동신대학교)·최승오·*배종진 (한남대학교)·윤성진·강경희 (고려대학교)

이 연구는 2009년도 한남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음.

* [email protected]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65세 이상 고령자 중 30~45%는 매년 1회 이상의 낙

상을 경험하며, 낙상을 경험한 고령자 중 약 20%는 6개

월 내에 또 다시 낙상사고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양윤준, 2007). 이처럼 고령자에게서 빈번하게 발

생되는 낙상은 골절이나 염좌 등과 같은 외상을 일으켜

근골격계의 기능 소실을 야기하고 일상생활에 제한을

주어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뿐만 아니라 고관절 골절과

같은 골절상으로 인한 장기간의 침상 안정 등은 이차적

합병증을 유발하여 사망에 까지 이르게 한다(Kauffman,

1990). 그리고 여성 노인의 경우 폐경으로 인해 연령증

가에 따른 근골격계의 기능 소실률이 남성 노인보다 현

저히 높아 낙상으로 인한 골절률과 그에 따른 합병증 발

생률이 더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auffman, 1990).

한편, 1960년대 까지 낙상에 대한 중재는 주로 합병증

에 대한 치료에만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1960년대 이

후 낙상은 환경이나 신체적 요인에 의해 예측 가능하며,

예방이 가능한 것으로 인식 되면서 낙상 사고의 발생 원

인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고자 하는 중재 연구들이 이

루어지고 있다(Fuller, 2000).

먼저, 낙상 유발 인자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낙상은

동적균형능력 및 관절가동성의 저하, 고유수용성 능력의

저하, 유연성 및 하지근력 감소로 인한 보행이상 및 이전

의 낙상 경험 등에 의해 유발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Gauchard, Gangloff, Jeanel & Perrin, 2003; Shumway-

Cook et al., 1997; Province et al., 1995; Wolfson et al.,

1988). 그리고 이러한 기능적 체력의 감소로 인해 노인

에게서 제일 먼저 나타나는 운동장애가 보행능력의 저하

인데, 보행특성 중 보행속도, 보행거리, 보행수는 신체의

균형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어 이상보행은 낙상을 유발

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낙상 발생률에 관한 연구에서 보행시에

낙상 발생률이 가장 높았으며, 그 밖에 계단 내려가기,

일어서기, 방향 전환 순으로 나타났다고 보고되고 있다

(권오윤, 최홍식, 민경진, 1998; Nevitt et al., 1991). 이와

같은 낙상 유발 인자들은 연령의 증가와 함께 활동량이

감소됨으로서 야기되는 비활동적 생활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 이에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서 근기능을 향상시켜

Page 2: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76 이중철·최승오·배종진·윤성진·강경희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스트레칭운동이 여성 노인들의 고유수용성

능력과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누구나 간

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정운동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보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본 연구의 대상자는 C지역 소재 4개 경로당의 여성 회

원 60명으로 운동군 30명, 통제군 30명이다. 이들은 고

혈압이나 당뇨와 같은 특별한 질환으로 약물 투여가 없

는 65세 이상의 여성노인들로 연구에 참여하는 것을 동

의한 자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질병이나 개인적 사정으

로 실험도중 탈락한 7명(실험군 6명, 대조군 7명)을 제

외한 총 4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신체

적 특성은 <표 1>과 같다.

유연성, 고유수용성 능력, 보행기능 등을 개선하는 것이

고령자들의 낙상예방과 삶의 질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

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낙상 예방을 위한 운동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

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스위스볼을 이용한 운동은 볼

의 특성인 불안정성으로 인해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활

동이 반사 신경, 지각능력 및 균형감각 등을 향상시키고,

탄력밴드를 이용한 운동은 근력 및 균형을 향상시켜 낙

상 발생률을 감소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김종우, 한승

완, 김재구, 2006). 하지만, 이러한 운동들은 도구를 필요

로 하며, 고령자가 혼자 운동을 할 수 있기 까지 도구 사

용에 대한 일정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스위스 볼의

경우 지면과의 접촉하는 면이 불안정하여 근기능 및 반

사신경 등이 저하되어 빠르게 자세를 조절할 수 없는 고

령자가 혼자서 운동을 실시할 때 상해를 유발할 수도 있

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보완할 수 운동으로 스트레칭 운

동이 권장되고 있다(Bokovy & Blair, 1994). 스트레칭운

동이란, 근육의 수축과 신전을 반복하여 실시하는 것으

로 간단하면서 어느 곳에서나 수시로 시행할 수 있다. 또

한 스트레칭은 관절 유연성뿐만 아니라 근긴장과 근유

착을 줄이고 혈액순환을 증가시키며 환경적응력도 향상

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Rejeski & Mihalko, 2001). 또

한, Lord 등(2002)은 스트레칭 운동 프로그램 참가가 균

형과 이동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지

만 개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제안하였고 스트레칭, 균

형 운동 등이 근력과 보행 속도를 개선시킨다고 보고하

였다. 이러한 결과는 스트레칭 운동이 고유수용성 및 보

행기능 향상에 있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하지

만,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한 스트레칭에 대한 효과 비교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스트레칭 운동이 고령자

의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희소한 실정이다.

이에 스트레칭 운동이 고령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보

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향상에 있어 효과가 있는지에 대

해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표 1. 피험자의 신체적 특성

집단 n 연령(yrs) 신장(cm) 체중(kg)

Exercise 24 68.4±2.54 149.2±5.3 55.2±4.32Control 23 67.3±3.72 147.8±5.7 54.1±3.89

2. 실험처치

규칙적인 스트레칭운동 참여가 노인들의 고유수용성

능력과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두 개

경로당의 여성 노인 24명을 운동군에, 나머지 두 개 경로

당의 여성 노인 23명을 통제군에 배정한 후, 운동군은 스

트레칭운동을 주 3회 16주 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실

험설계는 <그림 1>과 같다.

Page 3: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77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3. 운동프로그램

본 실험의 처치를 위해 프로그램의 지도는 노인 운동

지도 경력이 3년 이상인 노인전담지도자가 담당하였으

며, 운동 프로그램은 16주 동안 주 3회, 60분간 실시하였

다. 그리고 본 운동 전·후 10분간 가볍게 걷기와 호흡법

을 습득하는 시간을 가졌으며, 운동 중 피검자의 피로증

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운동 후 10분의 휴식시간을 제공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행한 운동프로그램의 내용은 <

표 2>와 같다.

4. 측정항목 및 방법

1) 보행기능 검사(부분거리 보행분석 ; Temporal

Distance Gait Analysis)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보행기능 검사는 정해진 일정 거

리를 걷게 하여 보행속도, 보폭 등과 같은 보행특성을 측

정하는 것으로 부분거리 보행분석법(Temporal distance

gait analysis)을 사용하였다. 길이 4m, 폭 60cm의 백색

종이를 바닥에 고정시킨 후 피험자의 발바닥에 잉크를

묻혀 자연스럽게 걷도록 하여 보행속도, 분속 수, 보장을

측정하였다. 각 변인에 대한 뜻은 아래와 같다.

- 보행속도(Gait Velocity) : 보행한 거리를 소요된 시

간으로 나눈 값(m/min)

- 분속수(Cadence) : 보행한 거리에 찍힌 발자국 수를

시간으로 나눈 값(step/min)

- 보장(Step Length) : 발뒤꿈치에서 다른 쪽 발뒤꿈치

까지의 간격(cm)

2) 고유수용성 검사(proprioceptive test)

정적 평형능력 검사는 눈을 뜬 상태에서 롬버그 검사

(Romberg’s test)를 시행하였고, 동적 평형능력 측정은

8-feet walk test와 직선보행 테스트(Tandem Gait Test)

를 시행하였다.

(1) 롬버그 테스트(Romberg s test)

피험자는 William(1999)의 검사 방법을 응용하여 평편

한 지면에 시선은 정면을 바라본 상태로 양손을 허리에

붙이고 한쪽 다리는 고관절과 무릎관절을 90°굴곡시켜

검사쪽 하지로 서있게 한 다음 시간을 1/100(초) 단위로

측정하여 균형 유지시간을 2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피험자 선정 -실험집단 : 24명대조집단 : 23명

동의서 작성 - 설문지 및 참가동의서

사전검사- 고유수용성 능력 및

보행기능

실험처치 - 주 3회, 스트레칭운동 60분

사후검사 -고유수용성 능력 및

보행기능

그림 1. 실험절차

표 2. 16주간의 운동프로그램

분류 항 목 운동내용 비고

준비운동

걷기 - 팔다리 흔들며 천천히 걷기10분

발 운동 - 돌리기, 주무르기

본운동

어깨

- 엎드려 어깨 뻗기

20분

- 가슴 앞으로 팔꿈치 당기기

- 손 뒤로 모으기

- 머리 뒤로 팔꿈치 당기기

- 누워 머리 당기기

- 낙타 자세

- 고양이 자세

- 등 뒤로 깍지 끼고 안쪽으로 조이기

허리

- 누워 무릎 당기기

20분

- 두 무릎 함께 당기기

- 누워 허리 비틀기

- 코브라 자세

다리

- 누워 다리 펴서 당기기

- 누워 종아리 당기기

- 다리 모아 서혜부 스트레칭

- 앉아 다리 모으고 상체 기울이기

정리운동

걷기 - 팔다리 흔들며 빨리 걷기10분

복식호흡 - 누워서 복식 호흡/휴식

* 운동기간/빈도/시간 : 16주/주3회/1일 60분* 각 동작 유지시간 및 반복횟수 : 15초/2회(1~6주), 20초/2회(7~16주)* 동작 간 휴식 : 20초

Page 4: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78 이중철·최승오·배종진·윤성진·강경희

(2) 8-feet walk test

2.44m 거리 지점에 반환표지물을 위치시키고 한쪽

에는 등받이가 있는 의자를 뒤로하여 위치시켰다. 피험

자는 의자에 앉은 후 출발신호와 함께 가능한 빠른 걸

음으로 뒤로 돌아 한쪽 반환지점을 돌아와 제자리에 앉

는다. 동일한 방법으로 두 번째 시도에서는 반대쪽 반환

지점을 돌아 제자리에 앉도록 하였다. 2회 측정하여 빠

른 기록을 1/100(초) 단위로 기록하였다(Anna, Piotr,

Magorzata & Piotr, 2006).

III. 연구결과

16주간의 스트레칭운동 참여가 여성 노인들의 보행기

능과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행기능 검사

16주간의 스트레칭운동 참여 전·후 보행속도, 분속

수, 보장으로 보행기능 검사를 실시하고 각 변인의 평균

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결과는 <표 3>와 같다.

2.44m 1.22m

그림 2. 8-feet walk test

(3) 직선보행 테스트(Tandem Gait Test)

3m 길이의 일직선 표식을 따라서 피험자가 한쪽발의

엄지발가락에 다른 쪽 발뒤꿈치를 연속적으로 붙여 가

능한 빨리 전방으로 진행시켰다. 출발 신호와 동시에 초

시계를 작동시키고 중간에 선을 이탈하거나 균형을 잃

는 시간도 측정시간에 포함 시켰다. 2회 측정 후 빠른 기

록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5. 자료처리

16주간의 운동 전·후 운동군과 통제군의 보행기능

하위 요인 3개 변인과 고유수용성 검사 하위 요인 3개의

변인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실험실시 조건 상 피험자를 무작위 배치할 수 없었

기 때문에 실험 전의 사전 점수를 통계 결과에 반영하고

자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주효

과인 실험처치에 효과가 있을 경우 집단 간 차이를 규명

하기 위해 각 집단의 최소자승평균치(LSM:least squares

mean)를 산출하여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

준(α)는 .05로 설정하고 해석하였다.

표 3. 보행기능의 평균과 표준편차

변인 집단 사전 사후 T P

보행속도대조군 34.94±3.01 34.56±4.04 -0.26 0.77실험군 36.53±2.35 38.19±2.76 4.57 0.01

분속수대조군 25.32±2.72 25.72±2.77 0.19 0.78실험군 25.09±2.49 25.88±2.63 2.09 0.04

보장대조군 28.95±4.27 29.04±4.57 0.37 0.76실험군 30.13±4.13 30.99±4.08 2.01 0.07

보행기능의 하위 요인인 보행속도, 분속 수, 보장 변인

에 대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프로그램 참여 전

과 후를 비교한 결과 보장을 제외하고 실험군 기록이 향

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전 대조군과 실험군의 보행기능 차이를

감안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설정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행속도

보행한 거리를 시간으로 나눈 보행속도에 대해 공변

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4>와 같다.

<표 4>에서와 같이 보행속도에 대해 사전검사 점수

를 공변인으로 설정하여 실험처치에 대한 효과를 알아

본 결과 전체적인 모형에 대한 신뢰도는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각 처리 내에서 사전검사에 대한 보행속도 회귀

Page 5: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79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직선의 공통 기울기가 유의하게 나타나 공변량분석의

가정이 적절하였다.

공변인으로 설정한 사전검사 수치는 실험처치 후의

사후검사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전검사 점수를 감안한 상태에서 실험처치에 대한 주

효과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

으로 나타났다(p<.11).

각 집단을 대표하는 최소자승평균치(LSM ; least

squares mean)을 구하고 유의성 검정을 한 결과는 <

표 5>와 같다. 최소자승평균은 실험집단이 25.32, 대조

집단이 24.73로 보행속도에 대한 각 집단의 최소자승평

균치는 0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과 대조

집단의 최소자승평균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는 단측검정이 적절한 해석이므로 결과적으로 유의도는

0.05(0.10×1/2)로 실험집단이 대조집단보다 보행속도

가 빨라졌다고 할 수 있다.

다. 각 처리 내에서 사전검사에 대한 분속 수 회귀직선의

공통 기울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공변량분석

모형 가정이 적절하였다.

공변인으로 설정한 사전검사 수치는 실험처치 후의

사후검사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사전검사 점수를 감안한 상태에서도 실험처치에 대한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각 집단을 대표하는 최소자승평균치을 구하고 유의성

검정을 한 결과는 <표 7>과 같다.

<표 7>에서와 같이 최소자승평균은 실험집단이

37.70, 대조집단이 36.06으로 분속 수에 대한 각 집단의

최소자승평균치는 0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

단과 대조집단의 최소자승평균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2). 즉, 실

험집단이 대조집단에 비해 분속 수가 많아진 것으로 나

타났다.

표 4. 보행속도의 공변량분석

Source SS df MS F Pr>F

공변인 227.47 1 227.47 142.0 .00주효과 4.22 1 4.22 2.65 .10설 명 240.24 2 120.12 75.01 .00오 차 75.27 47 1.60수정합 315.52 49

표 5. 집단별 최소자승평균치

집단 최소자승평균 표준오차 t 값 유의도

실험 25.32*** 0.231.65 0.1

대조 24.73*** 0.28

*** : p<.001

표 6. 분속 수의 공변량분석

Source SS df MS F Pr>F

공변인 301.25 1 301.25 57.97 .00주효과 32.01 1 32.01 6.16 .01설 명 355.11 2 177.55 34.17 .00오 차 244.24 47 5.19수정합 599.36 49

표 7. 분속 수 집단별 최소자승평균치

집단 최소자승평균 표준오차 t 값 유의도

실험 37.70*** 0.41-2.48 0.02

대조 36.06*** 0.51

*** : p<.001

2) 분속 수(step/min)

1분 동안의 걸음걸이 횟수를 측정한 분속 수에 대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6>과 같다.

<표 6>에서와 같이 분속 수에 대해 공변량분석을 실

시한 결과 전체적인 모형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

3) 보장

평소 걸음걸이에서 앞발과 뒷발의 보폭 길이를 측정

한 보장에 대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에서와 같이 보장에 대한 공변량분석을 실시

한 결과 전체적인 모형에 대한 신뢰도는 높게 나타났으

Page 6: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80 이중철·최승오·배종진·윤성진·강경희

며 각 처리 내에서 사전검사에 대한 보장 회귀직선의 공

통 기울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공변량분석

모형 가정이 적절하였다.

공변인으로 설정한 보장의 사전검사 수치는 실험처

치 후의 사후검사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

타났으며 사전검사를 감안한 상태에서 실험처치에 대한

주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장은 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에도 대조집단과 비교했을 때 변화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다.

1) 롬버그 테스트

롬버그 검사 기록의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8. 보장의 공변량분석

Source SS df MS F Pr>F

공변인 588.84 1 588.44 83.83 .00주효과 1.21 1 1.21 0.17 .67설 명 655.58 2 327.79 46.66 .00오 차 330.14 47 7.02수정합 985.72 49

2. 고유수용성 능력의 변화

운동 프로그램 참여 전·후 고유수용성능력을 알아보

기 위해 롬버그검사, 8-feet walk test, 직선보행검사를

실시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한 결과는 <표 9>와

같다. 고유수용성 하위 요인인 외발서기와 8-feet walk

검사가 운동군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났다.

실험 전 대조집단과 실험집단의 고유수용성 능력의

차이를 감안하여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설정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

과는 다음과 같다.

표 9. 평형성 요인의 평균과 표준편차

변인 집단 사전 사후 T P

외발서기대조군 9.77±5.36 9.86±4.91 -0.18 0.82실험군 11.31±4.23 12.37±5.06 -3.04 0.01

8-feetwalk

대조군 31.79±5.74 31.30±5.52 1.33 0.26실험군 31.34±4.34 29.27±4.23 2.44 0.02

직선보행대조군 15.16±2.91 15.27±2.88 -0.54 0.59실험군 13.67±2.00 13.33±1.94 1.84 0.06

표 10. 롬버그 검사의 공변량분석

Source SS df MS F Pr>F

공변인 1100.7 1 1100.7 149.2 .00주효과 42.28 1 42.28 5.72 .02설 명 1254.9 2 627.49 85.06 .00오 차 346.72 47 7.37수정합 1601.7 49

롬버그 검사 기록에 대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

로 설정하여 실험처치에 대한 효과를 알아본 결과 전체

적인 모형에 대한 신뢰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각 처

리 내에서 사전검사에 대한 외발서기 기록 회귀직선의

공통 기울기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공변인으로 설정한 사전검사 수치는 실험처치 후의

사후검사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나

사전검사 점수를 감안한 상태에서 실험처치에 대한 주

효과를 알아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p<.02). 각 집단을 대표하는 최소자승평

균치을 구하고 유의성 검정을 한 결과는 <표 11>과 같

다. 최소자승평균은 실험집단이 11.44, 대조집단이 9.54

로 보행속도에 대한 각 집단의 최소자승평균치는 0이 아

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의 최소자승

평균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p<.02). 즉, 실험집단이 스트레칭운동 후

에 보행속도가 대조집단보다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집단별 최소자승평균치

집단 최소자승평균 표준오차 t 값 유의도

실험 11.44*** 0.492.39 0.02

대조 9.54*** 0.61

*** : p<.001

2) 8-feet 걷기 검사 기록

집단 간 8-feet walk test 기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Page 7: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81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2>와 같다.

8-feet 걷기 검사 기록에 대해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

인으로 설정하여 실험처치에 대한 효과를 알아본 결과

전체적인 모형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각 처

리 내에서 사전검사에 대한 8-feet 걷기 검사 기록 회귀

직선의 공통 기울기가 유의하게 나타나 공변량분석의

가정이 적절하였다. 같다.

3m 직선보행 검사에 대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형에 대한 전체적인 신뢰도는 높게 나타났다(p<.01).

각각의 집단에 대한 처리 내에서도 사전검사에 대한 직

선보행 회귀직선의 공통 기울기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3m 직선보행 검사의 사전검사 점수는 사후검사에 영

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실험집단과 대조군이 프로그램

시행 전에 동일 집단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한 공

변인을 감안해 실험처치의 주효과를 알아본 결과 통계

적으로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보다 자세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최소자승평균을 산출하고 집단 간 차이

를 비교한 결과는 <표 15>와 같다.

표 12. 8-feet walk 검사 공변량분석

Source SS df MS F Pr>F

공변인 1243.02 1 1243.02 373.8 .00주효과 23.43 1 23.43 7.05 .01설 명 1429.9 2 714.97 215.0 .00오 차 156.27 47 3.32수정합 1586.21 49

표 14. 직선보행 검사 기록의 공변량분석

Source SS df MS F Pr>F

공변인 251.01 1 251.01 375.0 .01주효과 1.92 1 1.92 2.87 .09설 명 291.60 2 145.80 217.8 .00오 차 31.45 47 0.66수정합 323.06 49

표 13. 집단별 최소자승평균치

집단 최소자승평균 표준오차 t 값 유의도

실험 29.95*** 0.342.65 0.01

대조 31.39*** 0.41

*** : p<.001

표 15. 집단별 최소자승평균치

집단 최소자승평균 표준오차 t 값 유의도

실험 14.01*** 0.151.69 0.09

대조 14.42*** 0.18

*** : p<.001

공변인으로 설정한 사전검사 수치는 실험처치 후의

사후검사에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전검사 점수를 감안한 상태에서도 실험처치에 대한

주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1).

각 집단을 대표하는 최소자승평균치을 구하고 유의성

검정을 한 결과는 <표 13>과 같다.

<표 13>에서와 같이 최소자승평균은 실험집단이

29.95, 대조집단이 31.39로 두 집단의 최소자승평균을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p<.01). 즉, 실험집단이 운동 프로그램 적용 후

8-feet 걷기 검사 기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3) 직선보행 검사

운동 프로그램이 직선보행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

아보기 위해 공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표 14>와

<표 15>에서와 같이 3m 직선보행의 최소자승평균

은 실험집단이 14.01, 대조집단이 14.42로 직선보행 기

록에 대한 각 집단의 최소자승평균치는 0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집단과 대조집단의 최소자승평균을 비

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다(p<.09)

위의 유의도는 양측검증으로 단순히 차이만을 나타낸

유의수준이나 본 연구에서는 크다 또는 작다를 규명해

야 하는 단측검정이 적절한 해석이므로 결과적으로 유

의도는 0.045(0.09×1/2)로 실험집단이 대조집단보다

3m 직선보행 속도가 빨라졌다고 할 수 있다.

Page 8: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82 이중철·최승오·배종진·윤성진·강경희

Ⅳ. 논 의

본 연구의 목적은 65세 이상 여성 노인 47명을 대상으

로 16주, 주 3회, 60분 동안 규칙적인 스트레칭운동을 실

시하여 고유수용성 능력과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여성노인에서 발생하는 낙상은 외상이나 골절 등을

일으켜 기능을 손상시키고(Kauffman, 1990), 일상생활

에서 제한을 주어 삶의 질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이

차적인 합병증으로 인해 사망에 이르게 까지 할 수 있

다(Sattin, 1992). 연령이 증가하고 유연성과 평형능력

이 저하되면, 전반적인 균형조절 능력이 감퇴되어 낙상

의 발생률이 높아지게 된다(Patla, Winter, Frank, Walt &

Preasad, 1990).

본 연구에서는 여성 노인들의 낙상을 방지하고 궁극

적으로 삶의 질을 개선시키고자 스트레칭운동을 적용하

여 낙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고유수용성 능력

과 보행기능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

다. 아무리 좋은 운동도 안전하게 지속시킬 수 있어야 하

며 무리한 운동은 상해의 위험으로 인해 운동의 효과를

나타낼 수 없게 된다. 특히,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한 운

동은 안정성과 효과성이 인정되어야 하고 특별한 장소

와 용구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실시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스트레칭은 여성 노인들에게 흥미를

유도하면서 안전하게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운동

이라 판단된다.

위와 같이 노화로 인해 유발될 수 있는 고유수용성

능력의 감소를 개선시키고 이를 미리 예방하기 위해서

는 관절의 가동범위를 늘리는 것이 효과적이며 관절

가동범위를 늘리기 위한 운동으로서 규칙적인 저강도

스트레칭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Chappelear, Landin,

Linnemeier, Noble & Rothbaum, 1985)

Sattin(1992)은 60세 이상의 노인 중 30%~50%, 80

세 이상의 노인의 40%가 매년 한번 이상의 낙상을 경험

한다고 보고하였는데, 특히 여성노인은 연령증가와 폐

경 등으로 인한 골량 감소와 더불어 고관절의 약 90%

가량이 낙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Nevitt, Johnell, Black, Ensrud & Genant, 1994).

노인에서 균형능력의 저하는 독립적인 기능적 활동

저하를 유발하여 추락과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게 된

다.(Province et al, 1995). 또한 노안은 노인의 생리적 예

비능력을 저하시켜 예기치 않게 생기는 상황에 잘 대처

하지 못하게 만드는데, 보행능력의 저하 역시 상해의 위

험을 증가시키게 된다(Sattin, 1992).

여성노인이 낙상 없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삶을 영위

하기 위해서는 보행 능력은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다.

보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평형성은 크게 정적평형성

(static balance)과 동적평형성(dynamic balance)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정적평형능력은 자세를 유지할 때 균형

을 유지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지지 기저면(base of

support) 내에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을 두어 신체

가 움직이지 않게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이고, 동적평형

능력은 신체가 움직일 때 균형을 유지하는 것으로 신체

가 움직이는 동안 무게중심을 기저면 내에 두어 원하는

자세를 유지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균형 능력은 노화로

인한 신체적 능력 저하로 정적평형능력은 70대 후반까

지는 잘 유지되나, 동적평형능력은 60대 이후 급속도로

감소한다(Kang, 2001).

보행능력은 평형능력과 적절한 근력 및 근지구력과

신체 각 부위의 협응력이 요구되는 동작이다. 본 연구에

서는 평형성 측정 항목으로 정적 평형성과 동적 평형성

모두를 측정하고 스트레칭운동이 이러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정적 평형성인 외발서기와 동적 평

형성인 8-feet walk 검사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칭운동과 같은 근신경 활성자극이 평형성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일

직선상에서 발을 연속적으로 붙이면서 걷는 직선보행

검사에서는 효과가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Means,

Page 9: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83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 참 고 문 헌 ●

국민일보 2005년 4월 18일자.

권오윤, 최흥식, 민경진(1998). 지역사회 노인의 전도발생 특성

과 운동훈련이 전도노인의 근력과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

보건협회학술지, 24(2), 27-40.

김민정(2001). 발목 근력강화 운동이 노인의 낙상예방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병곤, 김태호(2008). 노인의 정상 보행과 보행보조기를 사용

한 보행 시 속도변화에 따른 하지 근 활성도 변화. 대한정형도

Rodell, O’Sullivan & Cranford(1996)은 스트레칭, 걷기,

자세조정, 협응력 강화 등이 포함된 운동 프로그램이 평

형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았지만 개선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제안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도 이

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즉, 직선보행 검사는 매우

정교한 신경근 조절과 평형성 능력이 요구되는 동작으

로 개인에 따라 향상 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보행 속도가 늦춰

지는데(Woo et al., 1995), 보행 속도의 저하는 보폭의

감소 때문이다 이러한 감소는 보조 감소, 방향전환 시

간 연장, 두발지지시간 연장 등과 관계가 있다(Elble et

al., 1991). 노화에 따른 보행속도의 감소와 보폭의 감소

는 보행 주기에서 두발의 지지 시간을 길게 하여 균형 능

력을 증진시켜 안전한 보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이

지만(Winter et al., 1990), 결국 이것이 보행의 불안정성

과 관련이 되어져 낙상의 요인이 된다(Gabell & Nayark,

1984).

부분거리 측정 방법이 재활의 결과를 평가하고 양적

인 정보를 얻는데 유익하다고 보고하였으며, 부분거리

측정법이 비용 면에서 저렴하고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

는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부분거리 측정법을 이

용한 보행 분석들 중 정확하고 신뢰성이 있는 방법으로

는 Ink Foot-Print방법이 있다. Ink Foot-Print를 이용한

보행분석의 검사-재검사 신뢰도 계수는 속도와 분속 수

에서 0.99였다고 보고하였다(Kerrigan et al, 1998). 따라

서 본 연구에서의 측정 방법으로 부분거리 보행 분석법

중 Ink Foot-Print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16주간 규칙적인 스트레칭운동을 실시한

후 향상 정도를 측정한 결과 보장(Step length)과 분속

수(Cadence)가 동시에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보행속도

가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성 노인의

스트레칭운동은 보행의 역학적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보행기능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킨다는 것을 의미한

다. 많은 연구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노인들의 신체

활동을 증가시키면서 평형성과 보행 속도를 증가시킨다

고 보고하고 있다(Mills, 1994 ; Sauvage et al., 1992). 그

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이 탄성밴드나 무게 저항 등을 이

용하여 보행기능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는데, 본 연구에

서의 상대적으로 안전한 스트레칭 운동만으로도 자연스

럽게 노인들의 흥미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측면을 고려할 때 기타 운동에 비해 보다 효과

적이고 안전한 것이라 생각한다.

Ⅴ. 결 론

65세 이상 여성 노인 60명을 대상으로 16주 동안 주 3

회, 60분간의 스트레칭을 실시하고 정적 및 동적 평형성과

보행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트레칭운동은 여성 노인들의 정적 고유수용성능

력인 외발서기(Romberg‘s test) 능력과 동적 고유수용성

능력인 8-feet walk, 직선보행능력(Tandem Gait) 능력

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스트레칭운동은 여성 노인들의 보장(step length)과

분속 수(cadence)를 증가시켜 보행속도를 증가시킨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규칙적인 스트레칭운동은 고유수용성능력을 증가시키고

보행 기능을 향상시켜 결과적으로 낙상을 예방하고 보다

활기찬 삶을 살아가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Page 10: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84 이중철·최승오·배종진·윤성진·강경희

수치료학회지, 14(2), 60-67.

김종우, 한승완, 김재구(2006). 요골반부와 하지 근육에 대한 탄

성저항 운동이 노인들의 보행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

국발육발달학회지, 14(3), 13-26.

보건복지부(2003). 보건복지백서.

통계청(2004). 인구분포조사. 서울: 통계청.

양윤준(2007). 건강검진 : 다른 질환들(치매, 골다공증, ED 등),

Medical Postgraduates, 35(2), 100-102.이상민, 서충진(2005). 농촌 여성 노인 체력 평가 기준치 개발.

한국체육학회지, 44(5), 871-881.

Akuthota V. & Nadler S. F.(2004). Core strengthening. Arch Phys Med Rehabil, 85(3 Suppl 1), S86-92.

American College of Sport Medicine(2000). Guideline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6th edi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Anna R., Piotr K., Magorzata W. & Piotr, D.(2006). The Fullerton Fitness Test as an index of fitness in the elderly. Medical Rehabilitation, 10(2), 9-16.

Bokovy, J. L. & Blair, S. N.(1994). Aging & exercise & health perspective. Journal of Agining and Physical Activity, 2(3), 243-260.

Braddom, R. L.(1996).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Philadelphia ; W. B. Saunders Company, 764-766.

Campbell, A., Borrie, M. J. & Spears, G. F.(1989). Risk factorsforfalls in a community-based prospective study of people 70 years and older. Journal of Gerontology, 44, 112-117.

Chappelear, J., Landin, R. J., Linnemeier, T. J., Noble, R. J. & Rothbaum, D. A.(1985). Exercise testing and training of the elderly patient. Cardiiovasc Clinic, 15(20), 201-218.

David, E.(2001). Fall risk factors in the hospital setting :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7, 38-45.

Elble R. J., Thomas S. S., Higgins C.,Colliver J.(1991). Stride-dependent changes in gait of older people. J Neurol, 238, 1-5.

Ferine G. R., Gryfe C. I., Holliday P. J. and Llewellyn A.(1982). The relationship of posture sway in standing to the incidence of falls in geriatric subjects. Age Aging, 11(1), 11-16.

Fuller, G. F.(2000). Falls in the elderly. American Academy of Family Physcians, 61, 2159-2168.

Gabell A., Nayark U. S. L.(1984). The effect of age on variability in gait. H Herontol, 39, 662-666.

Gauchard G.C., Gangloff P., Jeandel C., Perrin P.P.(2003). Influence of regular proprioceptive and bioenergetic physical

activities on balance control in elderly women.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58(9), M846-50.

Glodberg, B. A., Scarlat, M. M. & Harryman, D. T.(1999). Mana-gement of the stiff shoulder. Journal of Orthopaedic Science, Official Journal of the Japanese Orthopaedic Association, 4, 462-471.

Kang, K, H., Jeong, H, C. & Jeon, M. Y.(2001). A survey study on fall-realted fracture in hospitalized elderly patient. Journal of Keukdong College, 251-264.

Kauffman, T.(1990). Impact of aging-related musculoskeletal and postural changes on fall. Top Geriatr Rehabil., 5, 34-43.

Kerrigan, D. C., Todd, M. K. & Della Croce. U.(1998). Biomechanical gait alterations independent of speed in the healthy elderly: Evidence for specific limiting impairments. Arch Phys Med Rehabil, 79(3), 317-322.

Kondo, I., Hosokawa, K., Soma, M., Iwata, M. & Maltais, D. (2001). Protocol to prevent shoulder-hand syndrome after stroke. Archive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2, 1619-1623.

Lord, S. R., Clark, R. D. & Webster, W.(1991). Physical factors associated with falls in an elderly population. Journal American Geriatrics Society, 39, 1194-1200.

Lord, S. R., Murray, S. M., chapman, K., Munro, B. & Tiedemann, A.(2002). Sit-to-Stand performance depends on sensation, speed, balance, and psychological status in addition to strength in older people. Journal of Gerontology, 57(8), 539-543.

Maki, B. E.(1997). Gait changes in older adults : predictors offalls or indicators offear. J Am Geriatr Soc, 45, 313-320.

Means, K. M., Rodell, D. E., O’Sullivan, P. S. & Cranford, L. A.(1996). Use of an obstacle course to assess balance and mobility in the elderly, Am. J.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77(10), 1030-1036.

Mills, E. M.(1994). The effect of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on muscle strength, flexiblity and balance among sedentary elderly persons. Nursing Research, 43(4), 207-211.

Nevitt, M. C., Cummings, S. R. & Hudes, E. S.(1991). Risk factors for injurious falls : A prospective study. J Gerontol, 46(5), Ml64-170.

Nevitt, M. C., Johnell, O., Black, D. M., Ensrud, K., Genant, H. K. & Cummings, S. R.(1994). Bone mineral density predicts non-spine fractures in very elderly women. Study of Osteoporotic Fractures Research Group. Osteoporos Int, 4(6), 325-31.

Nitz, J. C. & Choy, N. L.(2004). The efficacy of a specific

Page 11: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85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

balance-strategy training programme for preventing falls among older people: a pilot randomised controlled trial. Age Ageing, 33(1), 52-8.

Province, M. A. et al.(1995). The effects of exercise on falls in elderly patients. JAMA, 273(17), 1341-1347.

Rejeski, W. J. & Mihalko, S. L.(2001).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 and Medical Science, 56(2), 23-35.

Sattin, R. W.(1992). Falls among older persons : a public health perspective. Annu Rev Public Health, 13, 489-508.

Sauvage, L. R. Jr., Myklebust, B. M., Crowpan, J., Novak, S., Millington, P., Hoffman, M. D., Hartz, A. J. & Rudman, D.(1992). A clinical trial of strengthening and aerobic exercise to improve gait and balance in elderly male nursng home residents. Am J Phys Med Rehabil, 71(6), 333-342.

Shumway-Cook, A., Baldwin, M., Polissar, N. L. & Gruber,

W.(1997). Predicting the probability for fall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Phys Ther, 77, 812-819.

Tinetti, M. E., Williams, T. F. & Mayewski, R.(1986). Fall risk index for elderly patients based on number of chronic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Medicine, 80(3), 429-434.

Winter, D. A., Patla, A. E. & Frank, J. S.(1990). Biomechanical walking changes in the fit and healthy elderly. Phys Ther, 70, 340-347.

William, E. P.(1999). Rehabilitation Techniques in Sports Medicine, 3rd ed, 120-121.

Wolfson, L. I., Whipple, R. & Amerman, P.(1986). Stressing the postural response : a quantitative method for resting balance.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335, 845-846.

Woo, J., Ho, S. C., Lau, J., Chan, S. G. & Yuen, Y. K.(1995). Age-associated gait changes in the elderly : pathological or physiological.

Page 12: 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고유수용성 …210.101.116.28/W_files/ftp41/16303094_pv.pdf고령여성들의 스트레칭 운동이 보행기능 및

586 이중철·최승오·배종진·윤성진·강경희

ABSTRACT

Effect of Stretching Exercise on the Proprioceptive and Gait Ability in Elderly Women

Lee, Jung-Chul·Choi, Seong-Oh·Bae, Jong-Jin·Yoon, Sung-Jin·Kang, Kyung-He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roprioceptive and gait ability in

elderly women who was 16-week stretching exercise program. Forty-seven elderly women were classified

to two group. One experimental group(n=24) had taken part in stretching exercise program 3 days per

week and the other control group(n=23) had not taken. The results of inspection were as following ; ①

the static proprioceptive ability(Romberg‘s test) was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p<.05). ② the dynamic static proprioceptive ability(8-feet walk and Tandem Gait Tes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two group, time. ③ the gait ability(Temporal Distance Gait Analysis) was

significant different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p<.05). ④ Both proprioceptive and the gait ability

related to itself in elderly women. As a conclusion, the regular stretching exercise program might enhance not

only proprioceptive and gait ability but also reduce a danger of falling in elderly women.

Key Words: elderly women, proprioceptive ability, gait ability, stretching exercise, falling

접 수 일 : 2009. 11. 30

게재확정일 : 2010.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