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124
연구보고 01- 2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2001. 12 책임연구자 : 한동준 ( 방송진흥원 인력센터 연구원) 공동연구자 : 강익희 ( 방송진흥원 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보조연구원 : 이유선 (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한국방송진흥원 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Upload: others

Post on 16-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연구보고 01-2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2001. 12

책임연구자 : 한동준 (방송진흥원 인력센터 연구원)

공동연구자 : 강익희 (방송진흥원 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보조연구원 : 이유선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대학원 석사과정)

한국방송진흥원KOREAN BROADCASTING INSTITUTE

Page 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요 약 문

1. 연구목적

본 보고서는 디지털방송제작의 핵심인력의 파악 및 방송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분

석을 일차적인 목표로 하며, 이를 기존의 방송제작인력 교육체계현황에 비추어서 유

용한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는다.

2. 핵심인력조사

우선 방송산업의 핵심인력은 제작, 기술, 마케팅, 뉴미디어 등의 주요부문으로 구

분하여 방송전문가조사를 실시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작부분의 경우는 지상파 PD, 카메라맨, 전문MC, 구성작가와 비디오저널리스트

기술부문은 CG담당, 특수효과전문가, 방송시스템엔지니어, 음향엔지니어, 디지

털 영상편집가,

마케팅부문에는 영상마케팅 매니저, 영상음반 저작권 전문가, 영상자료 관리

매니저

새로운 뉴미디어 부문에서는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디자이너와 방송인력양

성전문가 등이 핵심인력직종으로 선정되었다.

전문가들의 핵심인력의 평가는 주로 역할의 중요성, 기술수준 혹은 직종에 대

한 높은 수요를 반영하며 임금인상과 같은 경제적 보상은 크게 고려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3. 교육요구도조사

방송현업인들의 교육요구도조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육의 필요성과 참석여부

응답자들의 약 87%가 교육과 연수가 시급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교육기회가 주

어지면 응답자의 약 58.3%가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여 교육요구도 및 적극성

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남.

선호하는 교수방법

실습·제작워크숍 등이 주로 선호되었으며 전통적인 강의식 교육은 선호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대안적 교육방식으로 많이 논의되는 E- Learning에 대한

선호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났음.

교육요구도분석결과

- 방송제작기술 중 편집분야의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다. 그 다음으로 영상기술,

조명, 컴퓨터그래픽, 촬영, 특수효과의 순서로 나타남.

- 제작,연출분야에서는 연출기법의 전반적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TV영상문법과 VJ관련 제작기법에 관한 요구가 높음.

- 촬영, 영상분야에서는 고화질 카메라나 6mm 카메라의 활용, VJ촬영기법이나

디지털카메라 설정 등에 관한 교육요구도가 높음.

- 편집분야에서는 디지털편집에 대한 교육요구가 가장 높은데 이는 넌리니어편집

(아비드, 프리미어 편집기술) 및 활용기술에 대한 교육요구 또한 높음.

- 기술분야에서는 디지털방송의 송출이나 부가사업의 기술적 방법에 대한 교육요

구가 높음.

- 조명분야는 크게 야외조명사용과 스튜디오 조명사용법에 대한 교육요구로 양분

된다. 특히 야외조명시 필터사용법도 지적되고 있으며 야외대형쇼나 역사드라마

조명, HDTV제작시 조명법 등의 교육요구도가 높음.

이상과 같은 여러 제작부문의 교육요구도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주요 교

육요구도가 높은 분야는 대부분 방송제작에서 숙련(skill)이 가장 요구되는 분

야이며 최근의 디지털화로 인해서 숙련의 내용에 큰 변화가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음. 따라서 방송현업인들의 교육요구도는 방송제작의 디지털화에 의해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음.

Page 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4. 교육기관현황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은 방송사 자체연수원 또는 부설 아카데미, 대학 및 대학원,

대학 부설 아카데미, 사설 아카데미, 공공기구 아카데미 등으로 분류할 수 있음.

방송사 자체 연수원 형태

국내 방송사 중 KBS와 MBC는 자체 연수원을 갖추고 소속사 직원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두 방송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방송사들은 자체 연수원 시설은 전무한 상태이고, 교육과정 운영도 미미한 상황이다.

SBS를 비롯한 지역민방, 케이블 PP 및 SO, 라디오 방송사, 그리고 신생 위성방송의

PP 등은 장기적인 연수계획을 갖지 못하고 외부교육기관 위탁교육과 자체 OJT 형

태의 직무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대학원 형태

방송 또는 영상관련 대학원은 서강대 영상대학원, 중앙대 첨단영상전문대학원, 연

세대 영상대학원 등이 있으며, 방송영상 고급 문화를 창출하기 위한 영상엘리트 육

성을 목표로 멀티미디어 환경의 콘텐츠웨어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대학 및 부설 아카데미 형태

국내 대학 중에 방송영상 교육과정을 특화해 선도적으로 출발한 대표적인 기관으

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영상원과 동아방송대학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경성대학교,

전북대학교 등이 영상특성화 대학을 설치하였으며, 이화여대, 한양대, 상명대, 연세대

등 몇몇 대학이 대학부설 방송아카데미를 설치하여 방송관련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방송사 부설 아카데미 형태

KBS, MBC, SBS 등 공중파 3사는 10여년 전에 부설 방송아카데미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 방송의 디지털화와 발맞춰 디지털관련 교육과정을 추가 개설

하고 있다. 공중파 3사 외에 중앙방송, 한겨레신문사 등에서도 방송관련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사설 아카데미 형태

대학 등 제도권 교육에서 방송과 관련한 실무교육이 미흡한 시기에 민간영역에서

Page 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방송아카데미를 설립하여 방송의 대안교육 기능을 해왔으나 그 동안 여러 사설아카

데미들의 부침이 있었다. 이는 방송실무교육이 고가의 방송장비와 시설, 전문적인 교

수요원, 과학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등이 필요하며, 또한 교육과정 이수 후 취업이라

는 난제들로 인한 것이기도 하다.

공공기구 아카데미 형태

공적 영역의 방송교육기관으로는 언론재단의 한국미디어교육센터, 독립제작사협회

의 디렉터스쿨, 서울시립 청소년문화센터의 스스로넷, 방송영상산업진흥원의 디지털

방송영상랩 등이 있다.

이들 공적영역의 교육기관들은 대부분 방송발전기금이나 국고, 서울시 예산 등 공

적자금의 지원을 받아 교육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공

적 기능을 하고 있다.

5. 결론 및 정책적 대안

본 연구의 결과 중 디지털기술 의존도가 높은 직무에 대한 높은 교육요구는

현업인들에 대한 교육이 효과적이지 못하고 비체계적인 것을 보여줌.

비체계적인 교육체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 단기적으로는 예비인력양성보다는 현업제작인력의 재교육을 활성화하거나 강

화하여야 함.

- 장기적으로는 인력양성의 주체는 자금력이 풍부한 공적기관이나 주요 방송사

들이어야 하며, 교과과정은 비선형편집기술, HDTV관련 제작기술, 컴퓨터그래

픽, 특수효과 등을 중심으로 수립되어야 함.

디지털방송의 등장에 따른 새로운 영역의 직무 - 마케팅, 저작권 전문가, 방송

인력양성전문가 등을 양성하는 교과과정도 인력양성정책의 주요한 항목이 되

어야 함.

Page 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목 차

Ⅰ. 서 론 1

Ⅱ. 디지털 방송환경에서의 방송핵심인력 3

1. 방송산업의 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 정의 3

2) 핵심인력의 변화 3

(1) 직업변화의 요인 4

(2) 방송산업에서의 핵심인력 5

3) 핵심인력파악을 위한 조사 7

(1) 델파이조사의 설계 7

(2) 조사결과의 분석 8

(3) 조사결과의 함의 10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11

1. 교육요구도분석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 11

1) 개념 및 유용성 11

2) 유형 12

3) 측정과 분석절차 13

(1) 측정방법 13

(2)분석절차 14

2. 연구설계 및 방법 14

1) 표본 15

2) 설문지 구성 17

Page 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3. 분석결과 18

1) 조직에서의 직무만족도 18

2) 제작과정에서의 개인에 대한 평가 20

3) 교육연수현황 21

(1) 교육연수의 실태 21

(2) 교육 및 연수에 대한 평가 25

(3) 숙련방법 27

4) 직무수요평가 28

(1) 교육요구 분야 : 자기평가 28

(2) 전문인력 요구분야 : 산업전체 29

5) 교육요구분석 결과 31

(1) 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 31

(2) 교육 및 연수 참가에 대한 태도 32

(3) 교육방법 32

(4) 중요한 교육 및 연수 분야 33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38

1.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의 특성 38

1) 교육기관의 유형 38

2) 유형별 특성 38

(1) 방송사 자체 연수원 형태 38

(2) 대학원 형태 38

(3) 대학 및 부설 아카데미 형태 39

(4) 방송사 부설 아카데미 형태 39

(5) 사설 아카데미 형태 39

(6) 공공기구 아카데미 형태 40

(7) 국내 방송관련 교육의 문제점 40

가) 예비인력 대상 교육기관의 한계성 40

나) 현업인 재교육기관의 미비 41

다) 디지털 환경변화에 필요한 교육의 부족 41

Page 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2. 대학원 형태 42

1) 서강대 영상대학원 42

(1) 교육기관의 성격 42

(2) 교육 체계 운영 42

(3) 교육 커리큘럼 구성 43

(4) 디지털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44

2) 중앙대 첨단영상전문대학원 48

(1) 교육기관의 성격 48

(2) 교육 체계 운영 48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49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구성 49

3) 연세대 영상대학원 52

(1) 교육기관의 성격 52

(2) 조직형태 및 구성 52

(3) 교육지표 52

(4) 교육 체계 운영 53

(5)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53

(6)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54

3. 대학 및 대학부설 아카데미 형태 55

1)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55

(1) 교육기관의 성격 55

(2) 교육지표 55

(3) 교육 체계 운영 55

(4)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56

(5)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57

2) 동아방송대학 59

(1) 교육기관의 성격 59

(2) 교육 체계 운영 60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61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62

Page 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3) 이화 방송아카데미 63

(1) 교육기관의 성격 63

(2) 교육 체계 운영 63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63

4) 한양대 디지털방송 아카데미 64

(1) 교육기관의 성격 64

(2) 교육 체계 운영 65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66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67

4. 방송사 및 언론사 부설 아카데미 68

1) KBS-서강 방송아카데미 68

(1) 교육기관의 성격 68

(2) 조직형태 및 구성 68

(3) 교육 체계 운영 68

(4)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69

(5)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과정 70

2) MBC 아카데미 71

(1) 교육기관의 성격 71

(2) 조직형태 및 구성 71

(3) 교육 체계 운영 71

가) 방송아카데미 72

나) 학점은행제 73

(4)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73

가)방송아카데미 73

나)학점은행제 75

(5)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76

3) SBS 방송아카데미 77

(1) 교육기관의 성격 77

(2) 교육 체계 운영 78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79

Page 1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80

4) 한겨레 문화센터 83

(1) 교육기관의 성격 83

(2) 교육 체계 운영 83

(3)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84

5) 중앙방송 아카데미 85

(1) 교육기관의 성격 85

(2) 교육 체계 운영 85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85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86

5. 사설 아카데미 87

1) 서울국제방송아카데미 87

(1) 교육기관의 성격 87

(2) 교육 체계 운영 87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88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88

2) 한국영상방송아카데미 88

(1) 교육기관의 성격 88

(2) 교육 체계 운영 89

(3) 전반적인 교육커리큘럼 구성 89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90

3) 한국방송아카데미 91

(1) 교육기관의 성격 91

(2) 교육 체계 운영 91

가) 방송전문학사학부 91

나) 방송취업연수과정 92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92

가) 방송전문학사학부 92

나) 방송취업연수과정 94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95

Page 1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4) VFX 디지털 영상원 95

(1) 교육기관의 성격 95

(2) 교육 체계 운영 96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96

(4) 디지털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96

6. 공공기구 부설 아카데미 97

1) 한국미디어교육센터 97

(1) 교육기관의 성격 97

(2) 교육 체계 운영 97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98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98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99

참고문헌 101

<부록> 103

부록1 : 방송핵심제작인력 교육요구도 조사 설문지 103

Page 1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표 목 차

<표 Ⅱ- 1> 제작부문 방송산업핵심인력 8

<표 Ⅱ- 2> 기술부문 핵심제작인력 8

<표 Ⅱ-3> 마케팅부문 핵심인력 9

<표 Ⅱ-4> 뉴미디어부문 핵심인력 9

<표 Ⅲ- 1> 응답자의 매체별 직무별 구성 15

<표 Ⅲ- 2> 응답자의 조직규모별 구성 16

<표 Ⅲ-3> 응답자의 경력분포 16

<표 Ⅲ-4> 응답자의 연령분포 17

<표 Ⅲ-5> 응답자의 학력분포 17

<표 Ⅲ-6>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도 (전매체) 18

<표 Ⅲ-7>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도 (지상파) 19

<표 Ⅲ-8>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도 (케이블) 19

<표 Ⅲ-9> 응답자 자신의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평가 20

<표 Ⅲ- 10> 응답자 자신의 조직내 능력발휘 정도 20

<표 Ⅲ- 11> 응답자 자신의 업무량에 대한 평가 21

<표 Ⅲ- 12> 응답자의 교육·연수 수혜정도 22

<표 Ⅲ- 13> 직무관련 교육·연수참여여부 22

<표 Ⅲ- 14> 자사 연수·교육 횟수 23

<표 Ⅲ- 15> 자사외 국내 교육연수 참여 23

<표 Ⅲ- 16> 해외 연수·교육 참여횟수 23

<표 Ⅲ- 17> 최근 2년간 연수·교육시기 24

<표 Ⅲ- 18> 국내 연수·교육 기관분포 25

<표 Ⅲ- 19> 교육연수의 유용성평가 25

Page 1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표 Ⅲ- 20> 교육·연수의 유용한 점 26

<표 Ⅲ- 21> 교육·연수의 문제점 26

<표 Ⅲ- 22> 방송제작지식을 습득하는 방법 27

<표 Ⅲ- 23> 방송제작기술을 습득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28

<표 Ⅲ- 24> 응답자가 가장 필요한 능력 28

<표 Ⅲ- 25> 제작단계에서 중요한 업무 29

<표 Ⅲ- 26> 전문성결여 직무 (중복응답) 30

<표 Ⅲ- 27> 가장 전문성이 결여된 직무 30

<표 Ⅲ- 28> 매체별 가장 전문성이 결여된 직무 31

<표 Ⅲ- 29> 응답자의 교육·연수 필요정도 31

<표 Ⅲ-30> 응답자의 교육·연수 참가의향 32

<표 Ⅲ-31> 선호하는 교육방법 33

<표 Ⅲ-32> 교육·연수가 시급한 제작분야(중복응답) 33

<표 Ⅲ-33> 교육·연수가 가장 시급한 제작부문 34

<표 Ⅲ-34> 매체별 교육·연수가 가장 필요한 제작부문 34

<표 Ⅲ-35> 교육요구도 : 방송제작부문 35

<표 Ⅲ-36> 교육요구도 : 촬영·영상부문 35

<표 Ⅲ-37> 교육요구도 : 편집부문 36

<표 Ⅲ-38> 교육요구 : 방송기술부문 36

<표 Ⅲ-39> 교육요구도 : 조명부문 37

<표 Ⅳ- 1> 서강대 영상대학원 개설과정 43

<표 Ⅳ- 2> 서강대 영상대학원 교육과정 개요 43

<표 Ⅳ-3> 영상미디어학과 TV전공 44

<표 Ⅳ-4> 영상미디어학과 TV전공 개설과목 44

<표 Ⅳ-5> 영상미디어학과 인터렉티브 미디어 전공 45

<표 Ⅳ-6> 영상미디어학과 인터렉티브 미디어 전공 개설과목 45

<표 Ⅳ-7> 영상예술학과 커리큘럼 49

<표 Ⅳ-8> 영상공학과 커리큘럼 51

<표 Ⅳ-9> 연세대 영상대학원 교육과정 개요 53

Page 1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표 Ⅳ- 10> 영상원 교육과정 개요 56

<표 Ⅳ- 11> 영상원 학과별 이수과목 57

<표 Ⅳ- 12> 영상원 멀티미디어영상과 커리큘럼 58

<표 Ⅳ- 13> 동아방송대학 계열구분 60

<표 Ⅳ- 14> 동아방송대학 계열별 개설과목 61

<표 Ⅳ- 15> 동아방송대학 디지털 관련 과목구성 62

<표 Ⅳ- 16> 이화방송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64

<표 Ⅳ- 17> 한양대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66

<표 Ⅳ- 18> KBS-서강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69

<표 Ⅳ- 19> MBC방송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72

<표 Ⅳ- 20> MBC 아카데미 학점은행제 학과별 교육내용 73

<표 Ⅳ- 21> MBC 아카데미 개요 74

<표 Ⅳ- 22> MBC 아카데미 학점은행제 교육과정 개요 76

<표 Ⅳ- 23> SBS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79

<표 Ⅳ- 24> SBS아카데미 디지털관련 교육과정 81

<표 Ⅳ- 25> 한겨레 문화센터 VJ과정 교육개요 84

<표 Ⅳ- 26> 중앙방송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86

<표 Ⅳ- 27> 서울국제방송아카데미 방송연출제작과의 교육과정 88

<표 Ⅳ- 28> 한국영상방송아카데미의 교육과정 개요 89

<표 Ⅳ- 29> 한국방송아카데미 학부교육과정 개요 93

<표 Ⅳ-30> VFX CG 과정 개요 96

<표 Ⅳ-31>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98

Page 1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

Ⅰ. 서 론

디지털기술의 도입은 방송제작에 큰 변화를 가져왔으며 또한 앞으로도 많은 변화

를 가져올 전망이다. 특히 위성방송의 등장과 지상파의 디지털 전환으로 인해 디지

털 제작환경으로의 변화는 국내 방송제작에 있어서도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디

지털 방송제작은 제작시스템, 제작조직 및 제작에 포함되는 작업(work)의 성격을 변

화시키는데, 새롭게 정의된 제작작업을 담당할 인력의 문제는 인력이 방송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더불어 디지털 제작환경이 요구하는 새로운 작업을 고려한다면 더

욱 중요하게 될 전망이다.

디지털 전환은 방송제작시스템의 통합, 팀중심의 유연한 조직의 등장 그리고 기획

과 하드웨어운영의 긴밀한 협조 등의 변화를 수반하며 비디오저널리스트, 일인제작

시스템 등의 다기능적(multi- skilled) 새로운 방송인력의 수요 또한 증가시킨다. 더

나아가 비선형적인 편집시스템의 등장은 제작인력의 창의성과 예술적 감성에의 의

존도를 한층 더 강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임박한 디지털방송의 개시를 앞두고 디지털 제작인력의 수급은 매우 중요한 정책

적 문제이며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 제작인력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인력개발을 위한 노력은 절실하다고 할 것이다. 디지털 제작인력

의 원활한 수급을 위한 국내 방송계의 노력은 이제 막 시작되었으며 이를 체계적인

교육과정개발의 필요성은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디지털시대의 방송산업의 경쟁력은 보다 양질의 프로그램 컨텐츠의 제작에 있다

고 할 때 이를 담당하는 전문적이고 숙련된 제작 인력의 확보는 그 무엇보다도 중

요하다고 하겠다. 기존의 방송제작인력의 교육과정수립을 위한 기존연구는 <방송프

로듀서 전문성제고를 위한 교육시스템 개발연구 (한국방송개발원, 1998)>와 <디지털

방송영상제작 교육 커리큘럼개발연구 (한국방송진흥원, 2000)> 등이 있다. 앞의 책은

방송제작인력 중 PD에 대한 세밀한 직무분석과 이에 따른 교육과정구성이라는 유용

Page 1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2

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지만 디지털 제작환경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뒤의 책

은 디지털제작환경에 필요한 비선형 영상편집, 가상스튜디오 및 e- learning의 제작내

용을 소개하고 있지만, 제작기술체계에 대한 소개에 초점을 맞추고 핵심인력 및 이

들의 직무분석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본 보고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면서 디지털 방송제작에 핵심인력(core

workers)을 일차적으로 파악하여 더 나아가 디지털 방송시대의 방송제작에 필요한

교육내용이 무엇인가를 조사하게 될 것이다. 조사결과는 디지털 방송제작인력의 교

육에 필요한 교육과정의 수립에 필수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이후에 논의될 보고서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2장에서는 디지털 방송환경에서의

핵심방송인력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델파이 전문가 조사의 결과를 살펴보게 될 것

이다. 제3장에서는 전문가 조사에 의해 확인된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개념과 조사방법론 및 조사결과에 대해서 살펴보게 될 것이다. 제4장에

서는 국내에서 실행되고 있는 방송인력교육의 기관과 교육체계를 살펴보고 제5장에

서는 실천적이고 정책적인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Page 1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3

Ⅱ. 디지털 방송환경에서의 방송핵심인력

1. 방송산업의 핵심인력

1) 핵심인력의 정의

한 산업의 핵심인력(core workers)은 그 산업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

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노동자들 및 그들이 담당하고 있

는 업무(job)을 의미한다. 이는 유망직종(good jobs)이라는 개념과 중복되기도 하는

데,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1)의 보고서에 의하면 향후 3년간 일자리의 수가 많이

늘어 날 것으로 기대되고, 다른 직업에 비해 높은 소득이 예상되며, 사회적 평판이

높을 것으로 보이는 직종을 유망직종이라고 한다. 하지만, 핵심인력은 직종의 높은

수요, 고임금 등에 관한 특성은 공유하고 있지만, 산업의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도의

측면에서 유망직종과 차이가 난다.

따라서 여기서는 핵심인력을 ① 직무의 중요성 ② 직무의 기술수준 ③ 직무에 대

한 수요의 정도 ④ 직무의 임금수준에 따라서 구분하고자 한다. 방송산업의 핵심인

력은 기존의 영상매체 뿐만 아니라 위성방송, 애니메이션 등을 포괄하는 새롭게 정

의된 방송산업에서 직무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요구되는 기술수준이 높고, 직업에 대

한 수요가 증가하거나, 임금수준의 상승추세가 두드러진 직업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2) 핵심인력의 변화

핵심인력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직업 및 직무의 변화1)가 발생하는 과정을

1) 직무(job), 직업(occupation) 및 일(work)의 개념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일은 일반

적으로 여가에 반의어로 쓰이며 타인에게 가치있는 재화 또는 서비스를 생산하는 모

든 행위를 지칭한다. 직업은 한시적이든 일정기간에 고용되어 일하는 것을 의미하며

공통의 특성을 갖는 모든 직업의 총체를 의미하는 포괄적인 개념인 반면 직무는 고용

Page 1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4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대사회에 들어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른 사회변화가 가속화되어 시장경쟁 체제

의 형성, 대중소비사회의 도래와 더불어 직업의 전문화 및 분업화가 촉진되었다. 특

히 기술과 소비형태의 변화로 인해 높은 기술과 고학력의 노동력이 더욱 필요하게

되었고 직업내용에 있어서는 같은 직업종사자라도 과거에 비해 더 큰 능력이 요구

되게 된다.

(1) 직업변화의 요인

현대사회에서의 직업변화는 그 양과 속도에 있어서 예측하기 힘들 정도이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는 대략 10년을 주기로 직업사전이 간행되었는데 매 10년마다 약 1/4

의 직업이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행된 미국의 직업사전을 보면 약

30,000종의 직업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중에서 지난 10년 동안에 3,500종이 없어지고

2,100개의 새로운 직종이 생겼다. 1995년에 우리 나라에서 발표된 직업의 종류는 모

두 11,537개로 이는 1985년 조사된 10,451개 보다 1,086개가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새로운 직업이 생기고 과거의 직업이 없어지기도 하면서 직업

세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직업능력개발원 2001).

직업의 변화는 직업환경의 변화에 의해서 일어나는데 경제학적 분석에서는 노동

시장에서의 수요와 공급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해하며, 이러한 노

동시장의 기제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산업구조의 변화 및 기술적인 발전 등을 지적

하고 있다 (Bosworth et al. 1996). 최근의 산업구조의 변화는 지식기반경제로의 전

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이는 지식과 정보 등의 지적자본이 경제발전을 결정하

는 핵심요소가 되며 이의 창출분배 활용 등이 경제활동의 핵심이 될 뿐 아니라 정

보와 지식이 부를 창출하는 주된 자원이 되는 경제 체제를 의미한다. 지식기반경제

에서는 노동력에 대한 수요의 패턴도 크게 바뀌어 숙련노동 즉 지식노동에 대한 수

요는 급격히 증가하는 반면에 비숙련 노동에 대한 수요는 급감하게 된다. 또한 제조

업부문의 일자리는 줄어들지만 컴퓨터나 의약 등 고기술 및 과학에 관련된 부문의

일자리는 증가한다. 결국에는 제조업이건 서비스부문이건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생산성 향상과 고용증대를 꾀하게 된다.

관계 등은 고려치 않으며 어떤 특정한 맥락에서 수행되는 기술적 사회적 행위를 의미

한다 (http:/ /was.pe.kr/ ).

Page 1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Ⅱ. 디지털 방송환경에서의 방송핵심인력 5

기술적인 변화는 노동과정의 변화를 수반하고 직무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초래한

다. 21세기 급속한 기술발전의 흐름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기술집약적,

지식집약적 직업이 증가할 것이다. 즉, 새로운 기계의 발명과 컴퓨터의 발전에 따른

사용의 보편화로 인하여 산업전반에 걸쳐 자동화됨으로써 예전의 숙련작업들이 자

동화기계로 대체되는 등 단순한 성격의 일들은 계속해서 감소하게 될 것이고, 새로

운 기술을 창출하고, 창의적인 지식을 요구하는 직업들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워드

프로세서의 등장은 타자수의 업무를 대신하게 되고, 컴퓨터 출판이 정착되면서 식자

원과 고무판 제작원이 점차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

둘째, 기술은 점점 더 고도화·지능화·복합화되는 추세를 보일 것이고. 새로운

기술의 상용화 속도는 급상승하며 활발해질 것이다. 이와 같이 첨단기술의 지속적인

개발과 활용이 증대됨에 따라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보급·활용하는 첨단관련 직

업들이 증가할 것이다.

셋째, 기술의 활용도가 우세한 기술이 타기술과 결합되어 새로운 형태의 기술이

탄생되는 기술의 융합화가 빈번하게 이루어 질 것이다. 이와 동시에 정보통신 기술

과 같은 개별기술들이 네트워크하여 시스템기술로 통합되는 기술의 복합화가 진전

될 것이다.

넷째, 소프트웨어 기술의 발전에 따라 소프트관련 산업이 서비스산업과 결합된 형

태의 영화와 오락 등의 비중이 급상승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섯째, 기술의 발전속도, 확산속도가 빨라짐에 따라 기술의 영향력이 크게 증대

될 것이다. 특히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따라 개발도상국은 손쉽게 기술정보를

입수하는 등 기술개발속도가 빨라질 것이며, 반면에 선진국은 자국의 이익보호를 위

한 기술보호주의 정책 (지적재산권, 물질특허)을 강화하게 된다.

이와 같은 기술발전의 특징은 직업의 세계에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기술발전 그

자체는 신기술관련 인력수요를 증가시킬 것이며, 기술의 생명주기의 단축은 창의적

능력의 소유자를 필요로하는 구조로 발전할 것이다.

(2) 방송산업에서의 핵심인력

방송산업은 21세기 지식기반경제에서 매우 중요한 중추산업의 하나이다. 산업구조

적인 측면에서는 영화, 방송,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하는 방송영상산업은 문화산업으

로 분류되기도 하는데 물질적인 생산물이 아닌 지식과 정보 등의 무형적인 생산물

Page 2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6

을 통해서 부가가치를 생산하며 시장의 범위도 국가에서 글로벌수준으로 확대되면

서 더욱 중요한 산업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또한 지식기반경제의 기술적인 발전인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 등을 활용하여 제작함으로써 새로운 기술과 관련된 인력수

요를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디지털기술에 따른 기존의 방송영상산업의

사업영역의 확대는 새 영역에서의 인력수요를 창출하고 있다. 예를 들면, 방송통신융

합에 의해 케이블 텔레비전에서는 방송관련 인력보다는 정보통신기술과 관련된 인

력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방송진흥원 2001).

이와 같은 상황에서 방송산업의 핵심인력을 선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그것은 과연 핵심인력이 존재하는 가의 문제와 방송환경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변화의 속도를 고려할 때 어떤 특정한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핵심인력이

라고 부를 수 있는가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미국의

IT산업에서의 핵심인력에 대한 논의를 비교의 대상으로 삼을 수 있다.

미국 상무성(1999)의 디지털인력(Digital Work Force)이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미

국의 IT산업의 핵심인력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 IT업계에서는 매우 고도로

숙련된 인력에 대한 수요가 급속하게 증가해왔다. 또한 기술(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의 급속한 발전은 IT기술, 경력, 산업적 지식을 고루갖춘 숙련노동자에 대한 스팟수

요(spot demand)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IT 핵심인력은 컴퓨터과학자

(computer scientists), 컴퓨터 엔지니어, 시스템분석가, 및 컴퓨터 프로그래머 등이

다. 이러한 핵심인력은 노동시장에 대한 파악은 노동시장에서 필요한 인력에 대한

개발과 이들의 효율적인 활용, 더 나아가 산업경쟁력의 확보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것이라고 하겠다.

방송산업의 핵심인력에 대한 경험적인 연구는 아직 없다. 기존에는 방송산업에서

의 핵심역량은 방송컨텐츠의 제작과 관련된 직종으로 이해되어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송컨텐츠에 대한 기획과 제작이 중요하여 많은 경우 프로듀서, 카메라맨

등의 중요성이 널리 부각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디지털 방송환경의 등장은

방송제작 뿐만 아니라 가치사슬에서의 방송유통의 중요성을 증대시켜 유통전문가가

더욱 필요한 상황이라는 것을 제기하고 있다 (여현철, 2001). 또한 방송과 통신의 융

합 및 새로운 형태의 매체 (인터넷, 홈쇼핑, 쌍방향방송) 등의 등장으로 인해 새로운

인력이 더욱 필요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방송산업의 핵심인력을 살펴보는

것은 향후 효율적인 인력관리 및 개발을 위해 절실한 것이라고 하겠다.

Page 2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Ⅱ. 디지털 방송환경에서의 방송핵심인력 7

3) 핵심인력파악을 위한 조사

본 연구는 방송산업의 핵심인력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방법으로 델파이조사(Delphi Survey)를 사용하였다.

델파이 조사는 미래에 대한 예측을 하는데 사용되며 원거리 브레인스토밍으로

불릴 만큼 여러 사람의 두뇌를 합치는 민주적 수합방법이다. 델파이 조사는 전문가

집단의 아이디어를 신속히 수집하기 위하여 동일 대상자에게 여러 차례 계속하여

질문지를 보내어 실시한다. 질문의 횟수가 거듭될수록 연속적인 질문이 전화보고와

함께 이뤄지므로 전문가들의 의견을 근접시킬 수 있다.

(1) 델파이조사의 설계

델파이조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진행된다. 우선 방송산업의 직종에 대한 문헌

및 관련 자료를 분석하여 핵심직업에 대한 기준을 확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

를 작성하여 그 타당성을 전문가의 사전조사를 통해서 검증받는다.

문헌 및 관련자료분석

: 조사방법 및 핵심직업의 기준확정

전문가사전조사

: 설문지에 대한 전문가의 사전조사

델파이1·2차조사

: 핵심직종의 선정

조사결과의 분석

그런 연후에 두 번에 걸친 방송영상산업관련 전문가들에 의한 핵심직종의 선정조

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 전문가는 총 15명으로 매체별로는 지상파 12명, 케이블

2명, 방송정책담당기관 1명으로 지상파의 비중이 많으며, 분야별로는 제작부문이 7명,

기술 및 장비 4명, 편성·기획·경영이 3명, 정책 1명으로 구성되어 매체별보다는 고

른 분포를 보인다.

Page 2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8

1차 조사결과 전문가들은 설문에 제시된 직종 중 21개를 선정하였고 또한 새로

추가한 26개 직업을 반영하여 총 47종의 유망핵심인력 후보군을 제시하여 제 2차

조사에서 제작부문, 기술부문, 애니메이션, 마케팅, 뉴미디어, 신직업군 부문으로 나

누어서 각 부문별 핵심직종을 선정하였다.

(2) 조사결과의 분석

<표 Ⅱ- 1> 제작부문 방송산업핵심인력

구분 빈도 중요도 수요증가 기술수준 임금상승

지상파PD 12 0 0

카메라맨 10 0

전문MC 9 0 0 0

구성작가 7 0

비디오저널리스트 7 0

제작부문의 경우 핵심직종으로 선정된 직업은 지상파 PD, 카메라맨, 전문MC, 구

성작가와 비디오저널리스트 등이었다. 지상파 PD, 카메라맨, 전문MC는 높은 기술수

준을 요하기 때문에, 구성작가, 비디오저널리스트 및 전문MC는 그 수요가 늘고 있

다는 사실이 핵심인력으로 선정된 이유라고 할 수 있다.

<표 Ⅱ-2> 기술부문 핵심제작인력

구분 빈도 중요도 수요증가 기술수준 임금상승

컴퓨터그래픽전문가 12 0 0

특수효과전문가 8 0

방송엔지니어 8 0 0

음향엔지니어 7 0 0

디지털영상편집가 6 0

Page 2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Ⅱ. 디지털 방송환경에서의 방송핵심인력 9

기술부문의 경우는 CG담당, 특수효과전문가, 방송시스템엔지니어, 음향엔지니어,

디지털 영상편집가 등으로 나타났다. 기술부문의 경우는 모든 직종이 높은 기술수준

을 요구하는 이유를 들었지만, 다른 직무에 비해 디지털 영상편집가는 기술수준보다

는 수요증가가 핵심인력으로서의 선정이유라고 할 수 있다. 대다수의 방송관련 전문

가들은 CG전문가, 방송엔지니어, 음향엔지니어는 그 중요성이 매우 높다고 지적하고

있다.

<표 Ⅱ-3> 마케팅부문 핵심인력

구분 빈도 중요도 수요증가 기술수준 임금상승

영상마케팅매니저 12 0 0 0

영상음반저작권전문가 7 0 0

연상자료관리매니저 5 0

마케팅부문에서는 영상마케팅 매니저, 영상음반 저작권 전문가, 영상자료 관리

매니저 등이 중요성 때문에 핵심인력으로 선정되었다. 특히 영상마케팅과 저작권에

관한 전문가들은 그 수요가 매우 증가하며 마케팅부문은 높은 수준의 기술수준을

요구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표Ⅱ- 4> 뉴미디어부문 핵심인력

구분 중요도 수요증가 기술수준 임금상승

데이터방송컨텐츠

디자이너11 0 0

웹캐스터 5 x x

방송인력양성전문가 6 0 0 0

새로운 뉴미디어 등과 같은 부문에서는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디자이너가 매

우 중요하고 또한 수요가 증가하는 직종이며, 방송인력양성전문가 또한 매우 중요한

직종으로 선정되었다.

Page 2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0

(3) 조사결과의 함의

이러한 결과로 비추어볼 때, 방송산업의 핵심인력은 그것이 수행하는 역할의 중요

성은 물론이거니와 높은 기술을 요구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이 대부분이며, 그

다음으로는 직종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는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다고 할 수 있다. 본 전문가 조사에서는 임금의 급격한 상승은 전문가들이 핵심인력

으로 고려할 때 크게 고려되지 않는 사항들로 나타났다.

Page 2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1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1. 교육요구도분석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

1) 개념 및 유용성

교육요구분석 (tranining needs analysis)은 보통 산업, 교육계에서 훈련대상자들의

현상태를 파악하고 좀더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해 실시하는 과정이다. 이는 인력자

원개발(Human Resource Development )의 한 부분으로서 훈련생들을 위한 교육 프

로그램을 고안하거나 훈련생들의 현 업무에 대한 불만이나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

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목적을 갖는 교육요구분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요구(needs)라는 개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된다.

요구는 다음의 두 가지로 이해된다. 첫째는 현재의 요구수준과 미래에 바라는 수

준과의 차이, 둘째는 현실(what is)과 당위(what ought to be)간의 차이 즉 현실에

서 발생하는 것과 이상적으로 되어져야만 할 것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요구분석(needs analysis)은 이러한 격차를 과학적으로 측정하고 평가

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여기에는 훈련자들의 지식, 기술, 태도, 정보 등의 다차원적인

분석이 수반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 하에 교육요구분석은 직무수행에 필요

한 지식, 기술, 태도의 수준과 현재 부여된 직무에 대한 종업원의 지식, 기술, 태도의

수준 차이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이다. 교육요구를 더욱 세분화시키면 누가, 언제, 어

디서, 어떠한 방법으로, 어떠한 교육교구를 사용할지로 볼 수 있으며 이것을 바탕으

로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이나 기술, 태도의 수준과 현재 부여된 직무에 대한 종업

원의 지식, 기술, 태도의 수준차이를 통해 요구분석이 가능해질 수 있다 (김형철

1996).

교육요구분석의 유형은 연구의 주체, 분석수준, 분석방법 등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난다. 첫째, 연구의 주체(initiators)는 연구를 시작한 사람으로 연구책임자 혹은

연구 제안자(기업 경영인)로 구별되기도 한다. 보통 가능한 주체는 조직의 대표, 훈

Page 2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2

련자, 훈련생이다. 둘째, 연구분석수준에 따라 미시적, 거시적 수준의 구별이 가능하

다. 사업전략수집 등과 같은 조직차원의 거시적 수준에서 개인적 수행의 미시적 수

준이 가능하다. 셋째는 분석방법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수요자가 이끄

는 접근방식이나 공급자가 이끄는 접근방식마다 구체적인 기법이 달라진다. 관찰이

나 인터뷰, 질문지 등이 그 예인데 비즈니스 측정, 과정측정, 훈련자에 의한 측정, 자

기측정 등이 각 수준마다 해당되는 기법이다.

이러한 요구분석은 기업의 이윤, 능률, 전문적 효과, 개인적 능률 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외에 Ondari- Okemwa(2000)는 교육요구분석의 네 가지 유용한 점을 지적하

고 있다.

첫째, 훈련자들의 실질적인 훈련요구를 확인할 수 있고

둘째, 잘못 정해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셋째, 효율적이고 생산적인 훈련을 위한 계획과 기법, 도구들을 제공하며

넷째, 훈련자들에게 주어진 교육이 훈련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훈련이

라는 것을 확신시켜준다.

2) 유형

앞서 제시한 것처럼 교육요구도분석은 요구분석차원 및 주체와 용도에 따라서 여

러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먼저 요구분석의 차원에 따라 조직적, 조작적, 개인별 분

석으로 나눌 수 있다 (Agnaia 1996).

① 조직적 분석: 교육이 조직 내 어디서 사용될 수 있는지를 알게 한다. 즉 수준

별, 부서별, 직업군 등을 파악할 수 있게 하며 조직의 목표나 풍토, 인력자원을

연구하고 분석한다.

② 조작적 분석: 특정 직업에 대한 자료수집에 관련되며 지식이나 기술, 태도 등

에 관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확인한다.

③ 개인별 분석: 개인들의 교육요구를 확인시켜주며 목표기록이나 상황측정, 관찰

측정 등이 분석에서 사용된다.

한편, 교육요구분석의 주체에 따라 다음의 공급자 및 수요자 중심의 접근으로 분

류되기도 한다 (Chiu et al. 1997).

① 공급자 주도모델

이 접근은 훈련자가 교육요구와 조직수준에 따른 측정범위를 확인하기 위해 훈련

Page 2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13

자 자신의 책임에 따라 이뤄지는 경우이다. 직업을 맡고 있는 당사자들에게 훈련요

구를 확인하고 기술모델을 적용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그러나 관리 경험이 없

는 경우 훈련자는 실제적인 작업상의 문제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의 특징이나 행동특성들에 대해 훈련자의 선입관이 끼여들 소지도 있다.

② 수요자주도 모델

첫째, 비지니스지향은 기업의 계획에 따른 교육요구를 측정하는 경우이다.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적자원을 어떻게 발전시킬 수 있을지에 대해 조직이 결정

내리는 합리적 과정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수요자가 이끄는 접근으로서 최고경영자

가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할 때 조직의 비젼이나 흐름 속에서 계획을 세울 수 있으

며 하향전달식이라는 특징이 있다.

둘째, 과정지향으로 비즈니스중심이 전체 조직에 초점을 둔다면 이 모델은 좀더

국소적인 부서나 부분에 초점을 둔다. 비즈니스 과정의 새로운 기술이 포함되는 경

우 교육요구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새 작업과정이 확인될 때 교육

요구분석이 뒤따른다.

셋째, 훈련생중심 모델은 기존 수요자가 이끄는 모델과는 달리 상향식으로서 기업

의 작업능률보다는 피고용인들의 요구에 따른 자기측정 발전식으로 이뤄진다. 자기

평가는 훈련생들의 개발요구를 정확히 반영하고 요구측정의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

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훈련생들의 훈련요구만이 반영된다는 약점이 있다.

이러한 모델을 통해 교육요구도 조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주체, 연구

대상의 수준, 분석방법 및 분석결과의 네 가지를 살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핵심적 주

체는 교육요구도 조사를 실시하는 주체를 의미하고 연구대상의 수준은 조직적 차원

인지 혹은 개인적 수준인지 혹은 양자 모두인지를 의미한다. 분석결과는 기업의 이

윤추구 혹은 개인의 자기계발에 사용될 수 있다.

3) 측정과 분석절차

(1) 측정방법

교육요구측정의 방법은 다양하다. 여기에는 인터뷰, 서베이, 관찰 등이 사용되는데

사용되는 방법은 자료분석의 용이성, 기회비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특히 정확하

Page 2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4

고 신뢰성이 보장받는 양질의 자료가 모아지고 교육프로그램에 긍정적 태도를 갖게

하면서 자료가 모아질 때 교육요구측정은 더욱 효과적이다.

(2)분석절차

교육요구분석의 일반적인 절차는 카우프만과 잉글리쉬(Kaufman and English)가 제시

한 체계접근적인 개념으로 설명된다. 이들은 우선 문제의 확인(input ), 해결방안에

관한 필요성 결정(process), 문제해결전략 선택(Product ), 실시(output), 효과검증

(outcome) 수정(feedback)의 6단계를 제시한다 (김형철 1996).

① 문제를 알아가고 해결하는 단계 : 현재결과와 바람직한 결과 사이의 차이가 결

정되고 문제해결과정에서 수단과 목적의 구별이 필요해진다.

② 대안을 찾는 단계 : 현재 결과와 바람직한 결과사이의 간격이 알려지고 우선순

위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계획의 실행 가능성을 탐색한다.

③ 대안 중 전략선택 단계 : 가장 높은 가능성 중 적절한 수단을 선택하게 된다.

④ 선택한 방법들을 보충하는 단계 : 사용할 수 없는 방법이 선택된 경우, 새로 고

안된 방법들을 적용하거나 선택한다.

⑤ 수행효과를 결정하는 단계 : 작업환경에서 사용되었다면 이행한 것과 이행하지

않은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방법들의 효율성을 점검한다.

⑥ 수정단계 : 각 단계서 성취된 것들을 점검하고 적절한 수정을 한다.

2. 연구설계 및 방법

본 절에서 논의될 방송인력의 교육요구분석은 방송인력 전체 중 핵심제작인력으

로 제한하였다. 분석대상의 이러한 제한은 조사의 경제적, 시간적인 제약뿐만 아니라

연구목적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방송진흥원의 인력개발사업이 주로 제작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탓이기도 하다.

분석은 설문조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표본은 지상파, 케이블, 독립제작사 등으로

부터 추출하였다. 기본적인 조사절차 및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Page 2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15

1) 표본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 교육요구도 조사는 2001년 10월 한달 동안 매체별로는

지상파와 케이블방송회사, 그리고 독립제작사에서, 직무별로는 PD, 조명과 음향, CG,

카메라, 기자와 아나운서, 기술관련 직책 등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표본의 선정은

매체, 직무 및 지역(서울과 지방)을 고려한 비례층화표집 방법을 사용하였다. 표본은

총 255명이었으며 조사는 전적으로 이메일을 사용하였다. 응답률은 약 45%로서 약

115명이 분석대상이 되었다.

<표 Ⅲ- 1> 응답자의 매체별 직무별 구성

구분매체

총계지상파 PP SO 독립

제작사 기타

PD 22 33.9 7 25.9 10 66.7 3 50 0 42 36.5

CA 15 23.1 5 18.5 1 6.7 2 33.3 1 50 24 20.9조명,음향

6 9.2 1 3.7 0 0 0 7 6.1

보도 6 9.2 2 7.4 0 0 0 8 7.0

기술 15 23.1 12 44.4 4 26.7 1 16.7 1 50 33 28.7

기타 1 1.5 0 0 0 0 1 0.9

총계 65 100 27 100 15 100 6 100 2 100 115 100

매체별비율 56.5 23.5 13.0 5.2 1.7

응답자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성별구성비를 보면 남성이 87%, 여성이

13%로 남성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매체별 구성을 살펴보면 지상파가 56.5%로 가장

많고, 케이블은 PP와 SO를 포함하여 36.5%로 나타났다. 직무별로는 아래의 표에 나

타난 것처럼 PD가 36.5%로 가장 많고, 기술이 28.7%, 카메라맨이 20.9%로 구성되어

있다. PD 중 지상파 PD가 48.9%, 프로그램 공급업자의 PD가 16.7%, 종합유선방송

PD가 23.8%를 차지하여 지상파의 비중이 높다. 카메라맨, 조명·음향, 보도 등의 직

무는 지상파의 비중이 압도적이지만, 기술부문은 PP와 SO 등의 케이블방송의 비중

이 지상파보다 높게 구성되어있다.

조직규모별 응답자를 살펴보면 종업원규모 50인에서 100인 미만의 소규모 방송사

가 30.4%로 가장 많으며, 50인 미만의 아주 작은 규모의 방송사도 약 14%를 차지하

Page 3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6

고 있다. 전체 표본의 약 72%가 종업원수 300인 미만의 중소규모의 방송사에 근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경력분포를 살펴보면 3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숙

련 제작자들이 76.5%를 차지하고 있으며, 1년 미만의 비숙련 제작자들의 경우는

3.5%에 불과하다. 연령은 20대 후반과 30대가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의 비율이 87%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학력은 대부분이 전문대이상의 의 학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고 4년제 대학졸업이 가장 많았다.

<표 Ⅲ-2> 응답자의 조직규모별 구성

조직규모 빈도 백분율(%)

1∼9인 1 .9

10∼49인 15 13.0

50∼99인 35 30.4

100∼299인 31 27.0

300∼499인 11 9.6

500∼999인 15 13.0

1000인이상 6 5.2

무응답 1 .9

총계 115 100.0

<표 Ⅲ- 3> 응답자의 경력분포

경력 빈도 백분율(%)

1년미만 4 3.5

1년이상3년미만 23 20.0

3년이상5년미만 15 13.0

5년이상10년미만 46 40.0

10년이상15년미만 18 15.7

15년이상 9 7.8

총계 115 100.0

Page 3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17

<표 Ⅲ- 4> 응답자의 연령분포

연령대 빈도 백분율(%)

20대초반(21∼25) 3 2.6

20대후반(26∼30) 34 29.6

30대초반(31∼35) 42 36.5

30대후반(36∼40) 21 18.3

40대이상 15 13.0

총계 115 100.0

<표 Ⅲ- 5> 응답자의 학력분포

최종졸업학교 빈도 백분율 (% )

고등학교 3 2.6

전문대 13 11.3

4년제대학 87 75.7

대학원이상 12 10.4

총계 115 100.0

2) 설문지 구성

교육요구도조사에 사용될 설문지는 소속사의 개괄, 직무환경과 직무인식, 방송제

작인력의 교육에 대한 인식 및 현황파악,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 인적사항 등 총 다

섯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사의 개괄에 대한 질문을 통해 직장과 직무, 회사규모를 조사할 수 있도록 하

였으며, 직무환경과 직무인식에 대한 부분에서는 본인이 판단하는 방송제작능력과

업무량, 업무의 중요성, 전문성이 필요한 제작분야 등을 질문하였고 직무를 임금이나 안

정성, 근무환경, 개인의 발전가능성 등의 항목을 5점 척도로 구성하여 만족도를 측정

하였다.

방송제작자들이 인식하는 교육의 현황, 문제점들을 파악하기 위해 교육의 시급한

정도, 참가의향과 교육혜택 등을 질문하였다. 특히 교육참가의향을 통해 불참하는 이

유와 참가하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하였으며 교육받기에 편리한 시간과

교육방식을 추가로 질문하여서 교육 프로그램에 실질적으로 반영되도록 하였다. 또

한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시급한 교육 영역을 보기에서 시급한 정도대로 선택

Page 3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8

하도록 하였다. 교육받은 경험이 현업수행에 도움이 되는지 여부 역시 도움이 된 이

유와 안된 이유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도록 하였다.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분야는 응답자들의 원하는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교육받고 싶은 분야와 내용을 기술하거나 요구

도가 높은 영역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방송 제작기술이나 방송관련 법규,

정보화 시대의 사회문화적 변화, 멀티미디어 시대의 방송 등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적사항에서는 통계처리를 위한 배경으로서 고용형태와 성별, 경력,

연령, 학력 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2).

① 응답자의 직장에 대한 질문 3문항

② 직무환경과 직무인식 관련 6문항

③ 방송 제작인력의 교육에 대한 인식, 현황파악 관련 15문항

④ 교육내용에 대한 요구분야 관련 3문항

⑤ 인적사항 6문항

3. 분석결과

개인요구도분석은 첫째, 개인의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둘째, 조직환경에

대한 평가 등을 살펴본 뒤, 자신의 기대와 현실과의 차이를 반영하는 교육요구에 대

해 살펴볼 것이다.

1) 조직에서의 직무만족도

<표 Ⅲ- 6>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도 (전매체)

구분 임금 고용안정성 직무만족도 근무환경 인사고과 발전가능성 인간관계

아주만족 3.5 4.3 16.5 4.3 1.7 3.5 7.0약간만족 20.9 31.3 36.5 20.0 10.4 14.8 28.7

보통 40.0 43.5 30.4 24.3 42.6 36.5 50.4약간불만족 21.7 16.5 15.7 37.4 30.4 36.5 12.2

아주불만족 13.0 3.5 0.0 13.0 12.2 7.8 0.0

무응답 0.9 0.9 0.9 0.9 2.6 0.9 1.7

2) 설문지는 부록에 첨부하였다.

Page 3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19

전체 응답자의 경우 임금에 대해 불만을 가진 비율이 34.7%로 나타나 만족스럽다

는 응답자의 비율 24.4% 보다 약 10%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나 임금수준에 대해 불

만족인 경우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근무환경, 인사고과 및 발전가능성에 있

어서도 만족스럽다는 비율보다는 불만을 가진 비율이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다. 다

만 고용안정성과 직무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만족스러워 하는 것으로 나

타난다.

<표 Ⅲ- 7>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도 (지상파)

구분 임금 고용안정성 직무만족도 근무환경 인사고과 발전가능성 인간관계아주만족 4.7 3.1 18.8 4.7 1.6 4.7 6.3약간만족 28.1 39.1 40.6 23.4 12.5 12.5 28.1

보통 42.2 39.1 26.6 23.4 39.1 34.4 50.0약간불만족 17.2 15.6 14.1 34.4 35.9 40.6 14.1아주불만족 7.8 3.1 0.0 14.1 7.8 7.8 0.0

<표 Ⅲ- 8> 조직 및 직무에 대한 만족도 (케이블)

구분 임금 고용안정성 직무만족도 근무환경 인사고과 발전가능성 인간관계아주만족 2.4 4.8 14.3 4.8 2.4 2.4 7.1약간만족 9.5 21.4 31.0 16.7 9.5 21.4 31.0

보통 40.5 47.6 35.7 26.2 47.6 35.7 52.4약간불만족 28.6 21.4 19.0 38.1 21.4 31.0 9.5아주불만족 19.0 4.8 0.0 14.3 19.0 9.5 0.0

직무 및 조직에 관한 만족도를 지상파와 케이블 - PP와 SO를 포괄하여 - 로 구

분하여 살펴보면, 매체간의 차이점이 나타난다. 매체간의 비교를 통해서 알 수 있는

것은 지상파종사자들이 케이블 종사자들에 비해 임금, 고용의 안정성, 직무만족도 등

에 대해 만족하는 비율이 훨씬 높다는 것 사실이다. 이는 케이블산업의 고용관계 가

지상파에 비해 매우 열악한 사실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특이한 점은 지상파 종사자가 개인의 발전가능성에 대해서는 케이블종사자

보다 보다 더욱 회의적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사실은 케이블방송보다는 지상파방송

에 종사하는 인력들이 개인 능력의 성장과 자기발전에 대해 더욱 회의적이라는 사

실을 의미한다. 이는 앞서 지적한 지상파 종사자들의 고용 안정성과 직무 만족도가

케이블종사자들보다도 훨씬 높다는 사실과는 배치되는 결과라고 할 수도 있지만, 불

만을 현실과 당위와의 격차라고 이해한다면 새로운 매체환경에서 지상파 종사자들

의 자기 개발 혹은 발전에 대한 욕구가 더욱 현저하다는 사실을 의미할 수 도 있다.

Page 3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20

2) 제작과정에서의 개인에 대한 평가

<표Ⅲ- 9> 응답자 자신의 업무수행능력에 대한 평가

구분 빈도 백분율(%)

항상만족 5 4.3

대체로만족 73 63.5

그저그렇다 29 25.2

대체로부족 5 4.3

항상부족 2 1.7

무응답 1 .9

총계 115 100.0

방송제작인력의 본인에 대한 평가는 업무수행능력,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가의 정도, 업무량에 대한 평가로부터 살필 수 있다. 먼저 자신의 업무수행능력에 대

해서는 만족한다는 응답이 67.8%로 대부분의 경우가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반면, 부정적인 응답은 6.1%에 불과하다.

<표 Ⅲ- 10> 응답자 자신의 조직내 능력발휘 정도

구분 빈도 백분율(%)

매우그렇다 5 4.3

그렇다 49 42.6

보통이다 46 40.0

아니다 14 12.2

매우아니다 0 0

무응답 1 0.9

총계 115 100.0

제작과정에서 개인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가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이 42.6%,

부정적인 응답이 12.2%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 내에서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잘 수

행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age 3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21

<표 Ⅲ- 11> 응답자 자신의 업무량에 대한 평가

구분 빈도 백분율(%)

매우적다 1 .9

적은편 4 3.5

적당함 31 27.0

많은편 62 53.9

매우많다 16 13.9

무응답 1 .9

총계 115 100.0

또한 많은 응답자들이 수행하는 업무량이 과도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량이 많다고 응답한 사람은 67.8%이고, 그렇지 않다는 응답이 4.4%에 불과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국내 방송제작 인력들은 과도한 업무를 담당하고 있음

에도 불과하고 자신의 업무수행능력에 대해서는 만족하고 있으며 이것이 조직 내에

서 잘 발휘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

3) 교육연수현황

국내 방송제작인력의 교육·연수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서 교육·연수의 수혜현

황, 교육기관 등을 살펴보았고, 교육·연수의 유용성과 문제점, 향후의 교육·연수에

대한 태도 등을 살펴보았다.

(1) 교육연수의 실태

응답자들은 교육 및 연수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연수

의 수혜정도에 대한 질문에서 응답자들의 약 65%가 부정적이었으며 받고있다의 긍

정적인 것은 15%에 불과했다. 이는 국내 방송제작인력에 대한 교육 및 연수가 기대

하는 바대로 제대로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것을 반영한다.

3) 여기서 제시되지는 않았지만 매체별 분석에서도 지상파종사자와 케이블종사자사이에서도 이점

에 대해서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Page 3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22

<표 Ⅲ- 12> 응답자의 교육·연수 수혜정도

구분 빈도 백분율(%)

전혀못받음 17 14.8

못받는편 57 49.6

보통 29 25.2

받는편 9 7.8

아주많이받는받는편 2 1.7

무응답 1 .9

총계 115 100.0

국내 방송제작 인력의 교육·연수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지난 3년간 직무와 관

련된 교육 및 연수를 받았는가의 여부를 살펴보았다. 본인이 수행하고 있는 직무관

련 연수 및 교육의 최근 3년 간의 수혜여부에 대해 응답자의 87.8%가 있다고 응답

했다.

교육 주체별로 자사, 자사이외 국내연수, 해외연수 등으로 구별하여 살펴보면, 자

사이외의 국내연수 및 교육이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자사이

외의 교육 및 연수의 경우는 지난 3년 동안 1번 이상 받은 사람의 비율이 약 65%인

데 반해, 자사내의 교육 및 연수는 32.2%로 나타난다. 해외연수 및 교육은 지난 3년

동안 1번 이상인 경우가 단 6.1%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평균 1년에 1번

이상을 의미하는 3번 이상의 교육 및 연수의 비율은 사내와 사외의 차이가 거의 없

는 것으로 나타나며 지난 3년간 1번인 경우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응답자 중 연수받은 시점을 살펴보면 지난 3년 중 올해가 가장 많은 비

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 및 연수가 최근에 집중되었음을 알 수 있다.

<표Ⅲ- 13> 직무관련 교육·연수참여여부

구분 빈도 백분율(%)

있다 101 87.8

없다 13 11.3

무응답 1 .9

총계 115 100.0

Page 3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23

<표 Ⅲ- 14> 자사 연수·교육 횟수

구분 빈도 백분율(%)

0번 60 52.2

1번 22 19.1

2번 8 7.0

3번 6 5.2

5번 1 .9

무응답 18 15.7

총계 115 100.0

<표Ⅲ- 15> 자사외 국내 교육연수 참여

구분 빈도 백분율 (% )

0번 27 23.5

1번 54 47.0

2번 14 12.2

3번 6 5.2

4번 1 .9

무응답 13 11.3

총계 115 100.0

<표 Ⅲ- 16> 해외 연수·교육 참여횟수

구분 빈도 백분율(%)

0번 86 74.8

1번 7 6.1

무응답 22 19.1

총계 115 100.0

Page 3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24

<표 Ⅲ- 17> 최근 2년간 연수·교육시기

구분 빈도 백분율(%)

2000년상반기(2000/ 1월∼6월) 9 7.8

2000년하반기(2000/7월∼12월) 15 13.0

2001년상반기(2000/ 1월∼6월) 19 16.5

2001년하반기(2000/7월∼12월) 33 28.7

무응답 39 33.9

총계 115 100.0

이상의 결과는 국내 제작인력의 교육 및 연수는 대부분 자사외 국내교육을 지난

3년 동안 1번만 받은 것으로 나타나며, 그것도 최근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최근 3년 내 교육 및 연수를 받은 경우, 국내연수기관으로는 방송진흥원을 대표적

으로 들 수 있다. 연수기관을 밝힌 응답자 73명중 62명이 방송진흥원(방송개발원)에

서 교육을 받았다고 하였으며 그외 소속사를 통한 교육경험자가 7명을 뒤따르고 있

다. 또한 한국언론재단이나 언론위원회, 방송기술원, 컴픽스 등 4명이 공공기관 등의

교육경험을 들고 있다. 자사이외의 해외연수기관은 일본의 후지TV, NHK, SONY와

영국의 BBC의 연수기관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교육 및 연수의 기회가 부족한 이유로 인적자원개발에 대한 경영진의 태도

를 들 수 있는데 많은 응답자들이 자신이 소속된 조직의 경영진이 교육 및 연수를

포함한 인적자원재발에 대한 투자에 소극적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이라는 부정적인 견해가 약 34%이었으며, 긍정적인 견해는 21.7%로 나타

났다.

Page 3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25

<표 Ⅲ- 18> 국내 연수·교육 기관분포

연수받은 기관 빈도 백분율(%)

방송진흥원 62 84.9

소속사

MBC 2 2.7

SBS 1 1.4

YTN 2 2.7

SBS방송아카데미 1 1.4

EBS 1 1.4

기타

한국언론재단 1 1.4

언론위원회 1 1.4

방송기술원 1 1.4

컴픽스 1 1.4

총계 73 100

(2) 교육 및 연수에 대한 평가

<표 Ⅲ- 19> 교육연수의 유용성평가

구분 빈도 백분율(%)

전혀도움안됨 0 0

별도움안됨 8 7.0

그저그렇다 16 13.9

약간도움됨 46 40.0

아주도움됨 29 25.2

무응답 16 13.9

총계 115 100.0

교육·연수의 효과에 대한 질문에서 도움이 되지 않았거나 그저 그렇다의 비율은

20.9%인 반면 효과가 있었다는 긍정적인 응답은 65.2%로 나타나 대부분의 응답자

들은 교육효과의 측면에서 긍정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Page 4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26

<표 Ⅲ-20> 교육·연수의 유용한 점

교육참여의 유용한점 빈도 백분율(%)실무지식과 기초개념의 습득 29 41.5

실무적용가능 21 30

방송환경변화의 이해 14 20

기타 6 8.5

총계 70 100

교육이나 연수의 참여가 현업수행에 도움되었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총 70명이었

으며, 이들의 대다수는 연수 및 교육이 실무지식과 기초개념의 습득할 수 있었으며,

교육받은 내용이 실무에 적용되어 유용했다는 점 등 실무지식의 획득과 실무에의

적용가능성에서 교육의 유용한 점을 지적하였다. 많은 응답자들이 교육내용이 실무

지식의 개념파악, 구체적인 기법습득, 신지식의 습득, 실무적용가능 등을 교육 연수

의 유용성이라고 지적하였다.

이외에 방송환경변화에 대한 이해를 지적한 응답자도 유용성을 지적한 응답자 중

약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송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고 디지털 방

송환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이 대다수였다. 그밖에 현업인들과의 인적

교류 및 정보교환의 가능성과 업계의 문제점 파악 등의 교육내용과는 무관한 유용

성을 지적한 응답자도 있었다.

<표 Ⅲ- 21> 교육·연수의 문제점

교육이 유용하지 못했던 점 빈도 비율(%)

실무와 무관 13 59.1

교육방법의 문제 5 22.7

자사내 장비부족,현실적 한계 4 18.2

총계 22 100

교육과 연수가 유용하지 않았다고 지적한 응답자는 22명으로 나타났다. 이 들의

가장 큰 불만은 교육내용이 실무와 무관하다는 것이 가장 많았다. 강의가 방송업계

의 현황을 반영하지 못하고 해외모델과 같은 현실과는 유리된 경우가 많다는 것을

Page 4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27

지적하고 있다. 또한 교육방법의 문제점을 지적한 응답자도 많았는데 지나치게 강의

와 이론위주이며 실습시간이 부족했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자사교육의 경우 회사

내 교육에 필요한 장비설비의 문제 등과 같은 현실적인 한계를 지적하기도 하였다.

또한 교육내용에서 지상파 위주, 서울 위주라는 문제점도 제기되었다.

(3) 숙련방법

응답자들은 자신의 전문분야의 지식습득을 주로 비공식적인 도제교육, 전문서적,

자력에 의해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복응답의 경우는 업무수행 중 스스로 체득

하는 것, 비공식적인 도제교육, 관련 전문서적 자료를 혼자 공부하여 얻는 것으로 나

타났다. 사내외 교육프로그램은 비록 다른 방법보다는 많지만 앞의 비공식적 자력에

의한 방법보다는 빈도수에 있어 크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입사전의 교육과

정이나 사내 공식적 OJT는 매우 적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방송

산업의 교육의 특성을 나타내주는 것이기도 하지만 사내외 교육프로그램의 위축은

지속적인 기술변화에 따른 교육의 필요성에 비추어볼 때 효율적인 인력개발을 위해

서는 극복되어야 할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표 Ⅲ-22> 방송제작지식을 습득하는 방법

순위 습득방법 중복응답

1 업무수행중 스스로 체득 65

2 비공식적 도제교육(선배,동료) 56

3 관련 전문서적, 자료 49

4 사내외의교육프로그램 24

5 방송,신문,잡지등 언론매체 19

6 입사전받은 교육경험 6

7 직장내 공식적 OJT 2

8 기타 1

무응답 6

Page 4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28

<표 Ⅲ- 23> 방송제작기술을 습득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순위 직무 빈도 비율(%)

1 비공식적도제교육 32 27.8

2 전문서적 31 27.0

3 스스로 27 23.5

4 사내외프로그램 13 11.3

5 언론매체 6 5.2

6 이전교육경험 4 3.5

무응답 2 1.7

총계 115 100.0

4) 직무수요평가

방송제작인력 중 어떤 직무를 담당하는 인력이 필요한 지에 대한 탐구는 교육·

연수의 주요 내용을 탐색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응

답자 스스로가 평가한 직무수요의 내용과 응답자의 산업전체에 대한 직무수요를 통

해서 이를 살펴볼 것이다.

(1) 교육요구 분야 : 자기평가

<표 Ⅲ- 24> 응답자가 가장 필요한 능력

순위 직무 빈도 백분율(%)

1 새로운 제작기술에 대한 이해 46 40.0

2 창의적 프로그램기획,연출기법 34 29.6

3 인문,자연과학 등 특정분야에 대한 전문적식견

13 11.3

4 일반교양, 시사 5 4.3

5 기타 4 3.5

6 인간관계,리더쉽 등 조직인으로서의 소양 3 2.6

7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 2 1.7

7 VJ로서의 자질 2 1.7

무응답 6 5.2

총계 115 100.0

Page 4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29

방송제작관련 업무에 관한 본인의 능력 중 가장 필요한 부분에 대한 질문에 대해

응답자의 40%가량이 새로운 제작기술에 대한 이해를 꼽았으며, 창의적인 프로그램

기획, 연출기법에 관한 능력이 약 30%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디지털기술의

도입에 따른 제작기술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교육요구가 가장 시급

한 것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또한 기획과 연출기법에 대한 강조는 매체환경의 변

화와는 큰 관련이 없는 제작에 있어 기본적인 지식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또한 강

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전문인력 요구분야 : 산업전체

<표Ⅲ- 25> 제작단계에서 중요한 업무

구분 빈도 백분율(%)

기획,구성단계 85 73.9

제작 15 13.0

편집,완성단계 6 5.2

편성단계 6 5.2

무응답 3 2.6

총계 115 100.0

대부분의 응답자들은 제작단계에서 제일 중요한 부문은 기획·구성단계라고 지적

하였다. 기획·구성의 사전제작단계의 중요성을 지적한 응답자의 비율은 73.9%로서

다른 제작단계에 비해 그 중요성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제작단

계는 13%, 사후제작인 편집 및 완성은 5.2%에 불과한 응답자만이 제일 중요한 것으

로 응답했다.

제작업무 중 전문성이 결여된 직무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응답자

들에게 전문성 결여 직무 상위 5개에 대한 중복응답의 경우는 제작행정, 편성, 컴퓨

터 그래픽, 조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장 전문성이 결여된 직무에 대한 응답

은 편성, 컴퓨터 그래픽, 방송엔지니어, 제작행정으로 방송엔지니어 만을 제외하고는

앞의 결과와 순위 무관하게 동일하게 나타나 이들 부문의 전문성이 많은 방송 현업

인들에 의해서 문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Page 4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30

<표Ⅲ-26> 전문성결여 직무 (중복응답)

우선순위 직무 중복응답

1 제작행정 51

2 편성 46

컴퓨터그래픽 46

4 조명 43

5 제작지원 42

6 외주제작담당 36

7 방송엔지니어 34

7 방송미술 34

8 방송진행 29

9 음향 24

10 기자 23

11 편집 18

12 카메라 15

13 중계기술 13

14 영상 11

15 기타 1

무응답 61

<표 Ⅲ- 27> 가장 전문성이 결여된 직무

순위 직무 빈도 백분율(%)

1 편성 14 12.2

2 컴퓨터그래픽 12 10.4

제작행정 12 10.4

4 방송엔지니어 10 8.7

5 제작지원 9 7.8

6 조명 8 7.0

7 외주제작담당 6 5.2

8 음향 4 3.5

9 방송진행 4 3.5

Page 4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31

<표 Ⅲ- 28> 매체별 가장 전문성이 결여된 직무

지상파 빈도 비율 케이블 빈도 비율편성 8 13.3 컴퓨터그래픽 6 14.6제작행정 7 11.7 방송엔지니어 6 14.6제작지원 6 10.0 편성 5 12.2조명 4 6.7 제작행정 5 12.2컴퓨터그래픽 4 6.7 조명 3 7.3방송엔지니어 4 6.7

한편 응답자의 매체별 전문성이 결여된 직무에 대한 응답을 살펴보면, 지상파종사

자의 경우는 편성을 지적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제작행정과 제작

지원(소품, 의상, 무대장치 등)을 지적하고 있다. 이는 지상파의 경우는 편성, 제작행

정 및 지원을 담당하는 전문인력에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한편, 케이블산업에서는 컴퓨터 그래픽, 방송엔지니어, 편성, 제작행정에 관

한 전문가가 부족한 것을 지적하고 있으며 이는 지상파와는 달리 제작에 있어서 기

술적인 분야에 대한 전문가의 필요성이 보다 많이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러한 차이에도 불구하고 편성, 제작행정 및 제작지원 등과 같이 비기술적이면서 제

작에 있어 기본적인 업무를 담당하는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지적은 이러한 직무에

대한 수요 또한 상존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5) 교육요구분석 결과

(1) 교육 및 연수의 필요성

<표 Ⅲ-29> 응답자의 교육·연수 필요정도

구분 빈도 백분율(%)

전혀시급하지않다 0 0

시급하지않다 3 2.6

보통 11 9.6

시급하다 60 52.2

아주시급하다 40 34.8

무응답 1 .9

총계 115 100.0

Page 4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32

우선 교육과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응답자들은 매우 필요하고 시급하다고 생각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연수의 시급성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들의 87%가 교육연수

가 시급하며 매우 시급하다는 응답자의 비율도 34.8%로 나타났다.

(2) 교육 및 연수 참가에 대한 태도

<표 Ⅲ-30> 응답자의 교육·연수 참가의향

구분 빈도 백분율(%)

절대로 참가하지 않겠다 0 0

별로 참가하고 싶지 않다 2 1.7

원치않으나 회사가 권하면함 1 .9

가능한 참석 67 58.3

꼭 참석하겠다 44 38.3

무응답 1 .9

총계 115 100.0

교육연수의 기회가 주어진다면 거의 모든 응답자가 가능한 참석하겠다는 교육에

대한 적극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8.3%가 가능하면 참석하겠다라고

응답했으며, 꼭 참석하겠다는 매우 적극적인 응답자들도 38.3%나 되었다.

(3) 교육방법

교수방법은 교육의 내용에 따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방송제작의 교육은 그 특성

상 실습, 제작워크숍 등의 방법이 많이 사용되며, 본 조사의 응답자들 또한 이러한

방법을 제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은 세미나와 토론으로 나타나 전통

적인 강의식 교육에 대한 비선호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최근 많은 논의

가 되고 있는 웹을 통한 사이버교육 혹은 E-Learning에 대한 선호는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이러한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부족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육방법 중 실습과 워크숍 다음으로 해외연수가 선호되었는데, 이는 앞서 살펴본

해외연수의 부재와 더불어 방송제작인력의 새로운 제작기술을 습득을 위한 해외에

서의 연수 및 교육에 대한 높은 관심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Page 4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33

<표 Ⅲ-31> 선호하는 교육방법

구분 빈도 비율(%)

전통적인 강의식 3 2.6

E- Learnig,사이버교육 4 3.5

비디오교육 2 1.7

세미나,토론 9 7.8

실습,제작워크숍 64 55.7

해외연수 30 26.1

무응답 3 2.6

총계 115 100.0

(4) 중요한 교육 및 연수 분야

<표Ⅲ-32> 교육·연수가 시급한 제작분야(중복응답)

우선순위 직무 응답자중복빈도1 편집 512 영상기술 452 조명 423 컴퓨터그래픽 414 촬영 375 특수효과 246 음향 237 방송미술 158 제작지원 139 방송기술일반 11

10 중계기술 1011 기타 812 라디오기술 2

무응답 23

제작인력의 교육요구에 대한 분석은 중복응답과 가장 교육요구가 많은 분야에

대한 동시적인 분석을 통해서 살펴보았다. 두 가지 분석에서 모두 방송제작기술 중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분야는 편집이다. 사실 이 분야는 방송의 디지털화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친 부분이며 가장 큰 변화가 일어난 부분이기도 하다. 이러한 견지에

서 편집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가장 크다는 것은 그리 놀랄만한 일은 아니라고

Page 4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34

할 수 있다. 편집이외에 교육요구도가 높은 분야는 중복응답의 분석에서는 영상기술,

조명, 컴퓨터 그래픽, 촬영, 특수효과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분야의 결과분석은 촬영, 컴퓨터 그래픽, 조명, 영상기술, 특수효과로 나타나 순서의

차이는 있지만 분야는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분야는 대부분 방송제작에서

숙련(skill)이 가장 요구되는 분야이며 최근의 디지털화로 인해서 숙련의 내용에 큰

변화가 있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표 Ⅲ-33> 교육·연수가 가장 시급한 제작부문

순위 직무 빈도 백분율(%)

1 편집 23 20.0

2 촬영 15 13.0

컴퓨터그래픽 15 13.0

3 조명 11 9.6

영상기술 11 9.6

특수효과 11 9.6

<표Ⅲ-34> 매체별 교육·연수가 가장 필요한 제작부문

지상파 빈도 비율 케이블 빈도 비율편집 15 24.6 편집 8 19.5촬영 12 19.7 조명 7 17.1컴퓨터그래픽 8 13.1 영상기술 7 17.1특수효과 7 11.5 컴퓨터그래픽 6 14.6

매체별 교육요구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방송산업전체와 큰 차이가 없다. 편집은 매

체별 차이와 상관없이 교육연수가 가장 필요한 분야이다. 지상파의 경우는 촬영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케이블TV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며, 케이블의 경우는 조명과

영상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지상파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상에서 살펴본 교육요구내용을 주관식 질문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방송제작인력들이 요구하는 교육내용에 대해서 보다 자세히 살필 수

있다. 주관식 내용은 교육요구도의 일반적인 질문과 동시에 주어졌기 때문에 위에서

확인된 교육요구의 분야와는 약간 달리 방송제작부문, 촬영·영상부문, 편집, 방송기

술, 조명분야를 대상으로 보다 구체적인 교육요구의 내용을 살펴보았다.

응답자들의 각 분야별 교육요구내용을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age 4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35

<표 Ⅲ- 35> 교육요구도 : 방송제작부문

순위 교육요구내용 빈도1 연출방법의 전반적 이해 92 TV영상문법의 이해 73 VJ관련 제작기법 4

4디지털장비와 관련된 연출방법

2다채널시대 대비 효과적 기획, 연출방법아이디어 개발

기타

ㆍ방송언어사용법ㆍ연출기법ㆍ스텝지휘ㆍ인터넷방송과 광고제작ㆍ쇼, 행사, 이벤트연출기법

1

소계 31

제작·연출분야에서는 연출기법의 전반적 이해를 돕는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

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TV영상문법과 VJ관련 제작기법에 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그외 기타 제작, 연출분야에 대한 교육요구도는 디지털 기술과 관련

된 교육요구로서 디지털장비와 관련된 연출방법, 다채널시대를 대비하는 연출방법

등이 있다. 특히 디지털장비로 이루어지는 연출자 자세나 디지털 라디오를 이해할

수 있는 제작실습 등이 지적되는 점으로 비추어 볼 때 급변하는 방송환경에 대한

제작자들의 교육요구도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장비실습과 활용에 대한 교육 프로그

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표 Ⅲ-36> 교육요구도 : 촬영·영상부문

순위 교육요구내용 빈도1 HD카메라촬영기법 4

2

6mm촬영기법

2VJ 디지털카메라촬영비디오기초와 이론카메라톤, 편집

기타

ㆍ카메라일반ㆍ이미지촬영ㆍ수중촬영ㆍ드라마촬영기법ㆍ카메라조정ㆍ영상제반내용ㆍ디지털카메라셋팅, 셋팅결과체크

1

소계 19

Page 5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36

촬영·영상분야에서는 디지털방송시대의 도래를 짐작할 수 있는 교육내용이 요구

됨을 알 수 있다. 즉 고화질 카메라나 6mm 카메라의 활용, VJ촬영기법이나 디지털

카메라 설정 등에 대한 응답자들의 교육요구는 총19명중 10명이 지적함에 따라 방

송환경의 변화속도를 맞춰갈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육요구가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외에 카메라 활용에 대한 일반적 내용이나 이미지촬영, 수중촬영, 드

라마촬영 등에 해당하는 각각의 기법에 대한 교육요구도 지적되고 있다.

<표 Ⅲ-37> 교육요구도 : 편집부문

순위 교육요구내용 빈도

1 넌리니어편집 및 활용기술 9

2 편집제반내용 3

기타 영상언어, 영상문법 각1

소계 14

편집은 가장 교육요구도가 높은 분야이다. 이 분야에서의 교육요구도는 디지털편

집에 대한 교육요구가 가장 높은데 이는 넌리니어편집(아비드, 프리미어 편집기술),

및 활용기술에 대한 교육요구가 많으며, 편집일반 및 영상언어 및 문법에 대한 교육

요구도 포함된다.

<표 Ⅲ-38> 교육요구 : 방송기술부문

순위 교육요구내용 빈도

1 디지털방송의 개념과 실무 9

2 방송기술의 전반적 내용 4

3 송출, 중계방송법 3

4 HDTV 중계기법 2

비디오 엔지니어링 2

하드웨어 시스템 이해 2

Page 5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Ⅲ. 교육요구조사의 방법 및 결과 37

기술분야에서 나타나는 교육요구내용은 디지털방송의 개념과 실무에 대한 내용이

크게 차지한다. 응답자들은 디지털방송의 송출이나 부가사업의 기술적 방법에 대한

교육요구를 지적하고 있으며 지상파, 케이블, 위성방송과 관련된 체계적인 디지털기

술지식에 대한 필요성도 함께 지적되고 있다. 이외에도 송출관련 내용으로 TV신호

이해나 기준신호분석, 신호조정실무를 지적한 응답자도 있었다.

<표 Ⅲ-39> 교육요구도 : 조명부문

순위 교육요구내용 빈도

1야외조명기법

2스튜디오 조명

기타

ㆍ야외대형쇼

ㆍ역사드라마 조명

ㆍ필터의 적절한 사용법

ㆍHDT V제작시 효과적 조명

1

소계 8

조명분야는 크게 야외조명사용과 스튜디오 조명사용법에 대한 교육요구로 양분된

다. 특히 야외조명시 필터사용법도 지적되고 있으며 야외대형쇼나 역사드라마 조명,

HDTV제작시 조명법 등이 기타 교육요구내용으로 응답되고 있다.

Page 5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38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1.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의 특성

1) 교육기관의 유형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은 방송사 자체연수원 또는 부설 아카데미, 대학 및 대학

원, 대학 부설 아카데미, 사설 아카데미, 공공기구 아카데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유형별 특성

(1) 방송사 자체 연수원 형태

국내 방송사 중 KBS와 MBC는 자체 연수원을 갖추고 소속사 직원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형태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두 방송사를 제외한 대부분의

방송사들은 자체 연수원 시설은 전무한 상태이고, 교육과정 운영도 미미한 상황이다.

SBS를 비롯한 지역민방, 케이블 PP 및 SO, 라디오 방송사, 그리고 신생 위성방송의

PP 등은 장기적인 연수계획을 갖지 못하고 외부교육기관 위탁교육과 자체 OJT 형

태의 직무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KBS, MBC를 비롯한 국내 방송사의 연수현황은 본원 보고서에 수차례 분석한 바

있어 본 보고서에는 다루지 않기로 한다.

(2) 대학원 형태

방송 또는 영상관련 대학원은 서강대 영상대학원, 중앙대 첨단영상전문대학원, 연

세대 영상대학원 등이 있으며, 방송영상 고급 문화를 창출하기 위한 영상엘리트 육

성을 목표로 멀티미디어 환경의 콘텐츠웨어 중심의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Page 5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39

개설전공도 영상미디어학, 미디어공학, 인터넷 저널리즘, 인터렉티브 미디어, 애니

메이션, 컴퓨터그래픽스, 가상환경, 디지털영상, 게임, 예술공학, 영상디자인 등 대학

과 사설 아카데미에서는 다루기 힘든 전공들을 설치하고 있다.

IT산업과 연계된 과정을 비롯해 디지털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전공과

교과목들을 개설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3) 대학 및 부설 아카데미 형태

국내 대학 중에 방송영상 교육과정을 특화해 선도적으로 출발한 대표적인 기관으

로 한국예술종합학교의 영상원과 동아방송대학을 들 수 있다. 그 외에도 경성대학교,

전북대학교 등이 BK21사업과 연계하여 영상특성화 대학을 설치하였으며, 대부분의

방송관련학과들이 방송이론 위주의 교육에서 방송관련 실습과정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이화여대, 한양대, 상명대, 연세대 등 몇몇 대학이 대학부설 방송아카데미를

설치하여 대학생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방송관련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다.

(4) 방송사 부설 아카데미 형태

KBS, MBC, SBS 등 공중파 3사는 10여년 전부터 부설 방송아카데미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는데 최근 방송의 디지털화와 발맞춰 디지털관련 교육과정을 추가 개설

하고 있다. 공중파 3사 외에 중앙방송, 한겨레신문사 등에서도 방송관련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5) 사설 아카데미 형태

대학 등 제도권 교육에서 방송과 관련한 실무교육이 미흡한 시기에 민간영역에서

방송아카데미를 설립하여 방송의 대안교육 기능을 해왔으나 그 동안 여러 사설아카

데미들의 부침이 있었다. 방송실무교육을 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방송장비와 시설, 전

문적인 교수요원, 과학적인 교육과정의 설계 등이 필요하며, 또한 교육과정 이수 후

취업이라는 난제들로 인한 것이기도 하다.

Page 5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40

(6) 공공기구 아카데미 형태

공적 영역의 방송교육기관으로는 언론재단의 한국미디어교육센터, 독립제작사협회

의 디렉터스쿨, 서울시립 청소년문화센터의 스스로넷, 방송영상산업진흥원의 디지털

방송영상랩 등이 있다.

이들 공적영역의 교육기관들은 대부분 방송발전기금이나 국고, 서울시 예산 등 공

적자금의 지원을 받아 교육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공

적 기능을 하고 있다.

한국미디어교육센터의 방송관련 교육과정은 실직언론인 교육과정으로 출발하여

각급 학교나 단체에 강사요원을 파견하고 있으며, 디렉터스쿨은 영화아카데미를 모

델로 하여 엘리트 방송제작인력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스스로넷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영상에 대한 바른 이해와 미디어를 활용하는 방

법 등을 교육하고 있으며, 디지털방송영상랩은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범방송계의 현

업인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제작실무교육을 수행하고 있다.

(7) 국내 방송관련 교육의 문제점

가) 예비인력 대상 교육기관의 한계성

사설 방송아카데미를 비롯해서 예비인력 대상의 교육기관들은 3개월-6개월의 단

기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는데 이는 방송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을 위

해서는 턱없이 부족한 기간이다.

방송사 부설 방송아카데미의 경우에 연간 수백 명의 수료생 중 극소수만 자사에

흡수하고 있으며, 그나마도 2, 3년간의 한시적인 계약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는 우리나라 주요 방송사의 채용제도에 기인하는 것인데 방송에 대한 개인의 능력

과 소양보다는 영어, 상식 등의 시험을 통한 채용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최근 몇몇

방송사에서 인턴제나 실기테스트, 그룹면접 등 다양한 방식을 시도하고는 있지만 방

송계 전체로 보면 아직은 미미한 상태이다.

그러나 케이블TV, 위성방송 등의 뉴미디어 출현과 지역민방의 출범 등에 맞춰 제

도권 교육에서 소화해내지 못한 방송인력을 양산하여 적시에 공급한 순기능을 간과

할 수는 없다. 지금도 이들 매체에 방송아카데미 출신들이 상당수 포진하여 제역할

을 하고 있다. 하지만 해마다 방송아카데미에서 배출되는 수천 명의 수료자수에 비

하면 소수에 불과하다.

Page 5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41

나) 현업인 재교육기관의 미비

방송계를 지망하는 젊은층의 수요가 워낙 많기 때문에 예비인력 대상 방송아카데

미의 수가 많은 편이나, 사설아카데미는 근본적으로 수익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방송현업인 대상의 방송직무교육은 민간영역에서 소화하기에는 채산성이 맞지 않아

전무한 상태이다.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KBS만 자사 연수센터를 보유하여 방송직무교육을 실시하고

있고, MBC의 경우는 연수원은 있으나 방송실무교육시설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질

않아 제작실무는 대부분 OJT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방송영상산업진흥원의 디지털방송영상랩이 범방송계를 대상으로 현업인 재교육을

실시하는 유일한 기관인데 그나마도 2만∼3만여 명에 달하는 방송현업인 중 연간

300-400명의 재교육을 소화하는데 그치고 있다.

다) 디지털 환경변화에 필요한 교육의 부족

방송의 디지털화는 장비의 변화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제작체계가 아날로그

에서 디지털로 바뀌면서 프로그램의 기획과 제작과정 자체에도 변화가 올 수밖에

없다.

비선형편집의 경우 기존의 T ape 방식에서는 엄두도 낼 수 없는 혁명적인 변화를

수반하고 있으며, HDTV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영상의 화면구성, 세트, 분

장, 의상, 조명 등이 판이하게 달라져야 한다. 또한 디지털방송에서는 방송콘텐츠만

이 아니고 데이터방송, T - commerce 등 부가서비스 방송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아직까지 디지털방송에 대한 체계적인 재교육이 충분히 시행되고 있질 못한 것이

현실이다. 민간영역은 물론이고 방송사 자체적으로도 새로운 제작시스템에 대한 현

업인 재교육은 미미한 형편이다.

기존 방송에서는 없었던 새로운 기술과 방송제작방식이 필요하기 때문에 디지털

방송에 대한 재교육이 필수적인데 이는 방송사와 민간영역, 공적영역 모든 차원에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특히 방송현업인 디지털 재교육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HDTV제작장비, 버츄얼 스

튜디오, 비선형편집기 등 고가의 첨단 디지털장비와 교육시설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방송영상산업진흥원과 같은 공적기구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Page 5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42

2. 대학원 형태

1) 서강대 영상대학원4)

(1) 교육기관의 성격

서강대 영상대학원은 정부의 두뇌한국 21 계획에 의해 전문 분야의 특성화와 산

학 연계 활동을 강화하기 위해 영상 분야의 특수 대학원으로 선정된 곳이다. 따라서,

지식 사회의 중요 영역인 영상과 통신이 융합한 새로운 미디어 환경의 발전을 위해

특수 전문 교육과 산학협동 프로젝트에 중점을 두는 것이 그 특징이다. 여러 가지

학문을 결합한 접근방법(multi disciplinary approach)을 통해서 디지털 정보화 및 멀

티미디어 문화 발전에 필요한 미래지향적인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산학협동 프로젝

트를 통해서 전문인력의 창의력을 키우고 있다. 구체적인 목표는 각종 미디어 컨텐

츠의 개발, 즉 방송, 영화, 광고, 애니메이션, 게임, 인터페이스 등 여러 분야에서 질

높은 강의와 실습을 실시하며 프로젝트 참여를 통해서 효과적 이용 방법을 습득시

키는 것이다.

또한 국고 지원금과 산학협동 프로젝트 수입을 통해 학생들에게 연구비를 지급하며,

70%이상의 학생들에게 등록금 면제 혜택을 주고 있다. 교수와 학생이 공동팀을 구

성하여 해외 연구기관과 공동세미나를 개최하고, 국제 학술대회, 작품전시회, 영화제

등에 참가토록 하며, 우수한 학생에게는 외국 유학 연수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2) 교육 체계 운영

학위과정으로는 석사학위과정과 박사학위과정, 석ㆍ박사 통합과정이 있으며 학과

는 영상미디어학과, 미디어공학과, 광고PR영상학과의 3개학과가 있다. 현재는 140여

명의 석사과정생과 박사과정생이 있으며, 7명의 전임교수와 10여명의 계약교수 및

협력교수진으로 구성되어 있다.

석사학위과정의 입학정원은 68명이고 박사학위과정은 10명이다. 수업은 주간에 실

시하며 매학기 초에 입학을 하게 된다.

4) www .sogang.ac.kr/ ~gsmc

Page 5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43

<표Ⅳ- 1> 서강대 영상대학원 개설과정

학과 학위과정 분야

영상미디어학과M.F.A 영화제작

M.A/ Ph.D TV제작 및 이론, 인터렉티브 미디어

미디어공학과 M.S/Ph.D 컴퓨터그래픽스, 애니메이션, 게임, 컴퓨터비젼

광고ㆍPR영상학과 M.A/ Ph.D 광고, PR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표 Ⅳ- 2> 서강대 영상대학원 교육과정 개요

학과 석사전공 박사전공

영상미디어학과

영화제작전공

T V 전공

인터렉티브 미디어 전공

영상미디어학과의 박사과정은

전통적인 방송, 뉴미디어, 인터

렉티브 미디어 분야 연구

미디어공학과

CG/ 애니메이션전공

인터넷/ 게임전공

HCI/ 컴퓨터비젼전공

석사전공과 동일

광고ㆍPR영상학과광고전공

PR전공석사전공과 동일

방송관련 학과의 각 과정별 필수 과목은 다음과 같다.

▶영상미디어 학과 (영화/TV, 인터렉티브 미디어 전공 MA과정)

방송과 뉴테크놀로지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방법

정보사회론

사이버스페이스와 저널리즘

인터넷 저널리즘

Page 5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44

▶미디어공학과

미디어 기술입문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

(4) 디지털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방송관련학과 중 영상미디어학과 내 TV전공과 인터렉티브 미디어 전공이 디지털

미디어 과정을 다루고 있다.

<표Ⅳ- 3> 영상미디어학과 TV전공 개요

구분 개요

TV전공

디지털시대에 급속도로 변화하는 매체환경에서 TV프로그램 제작과 방

송 전반에 대하여 연구한다. 디지털이 방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방

송제작, 방송프로그램, 방송경영, 방송광고, 수용자 등의 측면에서 연구

함과 동시에 디지털 기술과 장비를 이용한 방송용 컨텐츠를 기획, 제작

한다. 특히 디지털기술로 매체가 통합되는 현상에서 디지털위성방송,

Webcasting 등의 뉴미디어 컨텐츠도 함께 연구한다.

<표 Ⅳ-4> 영상미디어학과 TV전공 개설과목

과목 교육내용

방송과

뉴테크놀로지

위성, 케이블, 인터넷 방송 등 새로운 방송 미디어, 특히 뉴 테크

놀로지와 관련된 새로운 개념, 이론 및 이슈를 토론의 주제로 삼

는다.

디지털편집

워크샵

학생들이 디지털 장비를 이용한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비선형 편집시스템을 이용하여 필름 또는

비디오의 후반작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돕는 코스이다.

Page 5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45

<표 Ⅳ- 4>에서 계속

과목 교육내용

텔레비젼의

디지털편집

비선형(nonlinear) 편집기를 이용한 TV 프로그램의 편집기술을 배

운다.

인터넷

저널리즘

인터넷 신문, 잡지는 구독자와의 상호작용, 검색기능, 수시의 업데

이트 등 기능상의 장점과 누구든 세계인을 상대로 인터넷 신문이

나 잡지를 운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면을 이용한 기존 신문이

나 잡지의 형태와는 많은 차이가 있는 인터넷 컨텐츠이다. 이 과

목에서는 매체의 변화에 따른 인터넷 저널리즘의 형태와 특징을

알아보고 그에 대한 문제점, 사회에 끼치는 영향과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 등을 연구한다.

<표 Ⅳ- 5> 영상미디어학과 인터렉티브 미디어 전공

구분 개요

인터렉티브

미디어전공

디지털 매체 환경을 맞이하여 모든 정보/오락물은 인터넷을 통하

여 교류하는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 전공에서는 새로운 산업분

야인 게임, 에듀테인먼트, webzine, webcasting, webnewspaper 등이

새로운 시대에 맞추어 진행, 발전되는 과정을 연구하며 다양한 컨

텐트를 활용한 웹 사이트를 기획,제작할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표 Ⅳ- 6> 영상미디어학과 인터렉티브 미디어 전공 개설과목

과목 교육내용

커뮤니케이션

실습

컴퓨터, 오디오, 비디오 장비를 직접 다루어 보게 하여 매체의 특

성과 장비의 기본적인 사용법을 익히게 하는 교과목으로서 디지

털 매체 활용의 기초가 됨

프로젝트

관리

인력구성, 일정관리, 자금의 관리, 클라이언트와의 접촉, 새로운 기

술의 습득 방법 등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사항

들을 알아본다. 특히 디지털 미디어 관련 프로젝트의 관리, 회사의

창립, 회사를 키워 가는 과정에서의 문제들을 다룬다.

Page 6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46

<표Ⅳ- 6>에서 계속

과목 교육내용

컴퓨터

그래픽

디자인

웹 사이트, CD 등의 특성에 맞는 2D 디자인과 포맷 등을 실제 제

작을 통하여 습득

컴퓨터

그래픽

애니메이션

전자매체 또는 광고, 특수효과 등을 위한 3D 그래픽 디자인 및 애

니메이션의 제작을 한다.

디지털 영상

시스템

디지털 영상 제작을 위한 시스템의 종류 및 구조를 이해하고 이

론과 실습을 통하여 표현하고자 하는 디지털 영상의 분야에 최적

화 된 시스템을 구축 활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한다.

디지털

비디오

프러덕션

디지털 영상 시스템을 이용하여 TV, 영화, 컴퓨터 동영상 등의

제작에 필요한 이론을 바탕으로 각 분야의 디지털 비디오 제작

실습을 한다

디지털 영상

특수효과

근래 영화, TV 등의 매체에 사용되는 디지털 영상 특수효과에 대

한 소개와 제작에 대한 실습과정이다.

디지털

오디오

전자매체 및 디지털 영상에 필수적인 사운드 디자인, 더빙에 필요

한 MIDI 활용기법, 시스템의 구조 등을 연구, 다양한 종류의 디지

털 오디오를 제작

방송과

뉴테크놀로지

위성, 케이블, 인터넷 방송 등 새로운 방송 미디어, 특히 뉴 테크

놀로지와 관련된 새로운 개념, 이론 및 이슈를 다룸

멀티미디어

비평론

학생들 간에 그룹을 구성, 현재의 시장과 수요자 조사 분석 등을

기반으로 웹 사이트, CD 등을 기획하여 각 그룹별 프로젝트의 기

획안을 발표하고 프로젝트의 기술, 컨텐츠, 상업성, 유용성 등을

분석 비평하여 그에 따른 수정 기획안으로 프로토타입을 제작한

다. 디지털 매체의 제작에 있어 상업적인 측면을 고려한 아이템

개발능력이 수업목표

정보화

시대의 방송

오늘날의 방송은 대화형 디지털 매체의 출현으로 훨씬 다양하고

사용자 중심으로 발전해 가고 있다. 이 수업을 통해서 디지털 매

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방송과 그 방송의 특징, 적합한 컨텐

츠 등을 분석

Page 6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47

<표Ⅳ- 6>에서 계속

과목 교육내용

콘텐츠

기획론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컨텐츠 기획과정에 필요한 시장조사, 자료

수집, 자료의 데이터화 등의 과정을 연구하고 매체의 특성을 최

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획이 이루어지도록 디지털 매체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컨텐츠 기획과정을 연구

표현이론

그래픽 디자인의 기본이 되는 이론과 철학을 다루는 과목으로

2D, 3D 이미지 와 영상의 표현에 있어 그래픽 디자인을 통한 커

뮤니케이션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표현이론을 연구

디지털

네트워크

인터넷의 활용에 필수적인 네트워크의 구조 및 기본이론 등을 다

루고 실습을 통하여 네트워크의 특징에 가장 이상적인 소프트웨

어와 하드웨어의 설치방법을 연구

지적 재산권

근래에 들어 지적 재산권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그

러나 디지털 미디어에 관련된 지적 재산권은 그에 대한 이해나

기준이 뚜렷하지 않아 국내외 적으로 많은 분쟁의 소지를 안고

있다. 수업을 통하여 현재 법 체제상의 디지털 미디어에 관련된

지적재산권에 대한 주요 내용을 파악하고 여러 사례의 분석을 통

하여 현실적인 지적재산권의 기준, 분쟁 해결방법 등을 알아본다.

HCI(Human

ComputerInteraction)

현재 기본적인 입력방법으로 인식되어 있는 키보드, 마우스 등의

도구를 탈피하여 전자매체 활용 분야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입력

방법을 연구 제작

디지털

문화론

디지털 영상시대의 문화에 대하여 인문사회학 그리고 예술적 차

원에서 다양한 논의를 전개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이론차원에서 인터넷을 이용한 통신에 관한 이슈들

을 분석한다.

Page 6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48

2) 중앙대 첨단영상전문대학원5)

(1) 교육기관의 성격

중앙대학교내 전문대학원으로서 교육부가 시행하는 두뇌한국 21사업의 일환으로

영상특화분야에 선정되었다. 1999년에 첨단영상산업분야의 전문인력 양성과 연구결

과의 산업화를 목적으로 한 첨단영상전문대학원을 신설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영상예술학과의 영화영상, 애니메이션디자인전공과 영상공학과의 컴퓨터그래픽스 및

가상환경, 영상정보기술 등 4개의 독립전공과 예술과 공학영역을 연계한 특수효과영

상, 영상애니메이션, 복합영상미디어디자인, 영상미디어처리 등의 다양한 복수연계전

공을 통하여, 공학계 학생에게는 예술적감성을 그리고 예술계 학생에게는 공학적감

각을 교육하여 영상산업에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목표중심의 유기적인 사업단구성 및 연구과제도출, 광범위한 산학협동 그

리고 적극적인 벤처창업지원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참여 및 기여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크게 교육부문과 연구/개발부문으로 나뉘어있는데 이중 교육부문의 영상공학과는

현재 석ㆍ박사 총 62명이 재학중이고 영상은 영상예술학과는 석ㆍ박사 총 97명이

재학중이다.

(2) 교육 체계 운영

영상예술학과는 영화영상, 애니메이션 분야의 예술 전문인을 배출한다. 이론전문

석사와 제작전문석사(MFA), 이론전문박사학위를 수여하며 영상공학과에서는 이론과

실습을 겸비한 영상공학 전문인을 배출하고자 한다. 독립전공으로 영화영상, 애니메

이션, 예술공학, 컴퓨터 그래픽스/가상환경, 디지털영상/인터넷/게임 전공이 있으며

연계전공으로는 특수효과영상, 영상애니메이션, 복합영상미디어디자인, 영상미디어치

리 전공을 들 수 있다. 즉 두 개의 학과가 실제로는 유기적인 관련을 맺어 협동 프

로젝트나 심화연구과정을 통해 상호보완하는 셈이다.

박사 20명, 석사 60명 총 80명의 입학정원을 갖추고 있으며 모든 학과 모든 학위

과정은 2년이다.

5) http:/ / w ww .gsaim .cau.ac.kr/

Page 6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49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공통과목에서는 관련 전공분야의 기초과목, 현장실습, 전문가 초빙을 통한 세미나

등을 진행한다. 구체적인 전공별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다.

▶영상예술학과

영화영상 전공 : 영상매체론, 영화이론 세미나, 영화사 연구, 시나리오 창작,

멀티미디어 등

애니메이션 전공 : 게임디자인과 캐릭터, 애니메이션 연출론, 디지털 프로젝트 등

▶영상공학과

컴퓨터 그래픽스 /가상환경 전공: 컴퓨터 그래픽스, 가상현실, 컴퓨터 비젼,

햅틱스 입문 등

디지털영상/인터넷/게임 전공: 영상 컨텐츠 분석, 감성공학, 영상처리론, 3차원

영상표현기술 등

예술공학전공 : 비선형 편집, 멀티미디어표현기술, 비디오 작품제작, 디지털

영상미술 등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구성

영상예술학과와 영상공학과의 전공과목에서 각각 디지털 미디어 관련 커리큘럼을

구성하고 있다.

<표 Ⅳ-7> 영상예술학과 커리큘럼

전공 전공교과과정

영화

영상

/

애니

메이

영화학연구방법론I,II, 영화이론 세미나 Ⅰ,Ⅱ,Ⅲ,Ⅳ, 영화작가론I,Ⅱ,Ⅲ,

Ⅳ, 영상매체 비평세미나Ⅰ,Ⅱ,Ⅲ,Ⅳ, 영화사연구 IⅠ,Ⅱ,Ⅲ,Ⅳ, 한국영화

론 Ⅰ,Ⅱ,Ⅲ,Ⅳ, 영화서사이론 I,Ⅱ, 문화연구 Ⅰ,Ⅱ,Ⅲ,Ⅳ, 영화정책연구,

영화산업연구, 영상미디어 비평, 모션 그래픽스, 영상디자인과 세미나,

3D와 조형표현, 영상이미지와 색채, 영상시각 기호학, 인터페이스 디자인

이해I,Ⅱ, 디자인 세미나I,Ⅱ,Ⅲ, 영상처리론, 영상디자인연구Ⅰ,Ⅱ,Ⅲ,Ⅳ,

영상이론, 영화사연구I,Ⅱ, 매체분석 세미나, 멀티미디어 연구, 비쥬얼 커

뮤니케이션, 영화작가론I,Ⅱ, 영화학연구 방법론I,

Page 6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50

<표 Ⅳ-7>에서 계속

전공 전공교과과정

영화

영상

/

애니

메이

영화장르연구, 영화스타일연구, 기록영화연구, 영화정책론, 실험영화연구,

한국영화사연구, 제3세계 영화론, 민족/국가 영화I,Ⅱ, 영화기술사연구,

애니메이션의 역사, 사지의 시각적 개념, 디지털 이미징 세미나, 오디오

비주얼 컨셉, 멀티미디어 특론, 디지털 영상기초, 영상처리, 영상처리와

컴퓨터 그래픽스, 컴퓨터 그래픽스 기초, 컴퓨터 응용, 현대물리의 철학적

이해, 정보통신 시스템, 멀티미디어 정보통신, 평면 및 입체조형, 영상미

디어 마케팅, 멀티미디어 컨텐츠 기획론, 멀티미디어 제작, 유닉스 프로그

래밍, 고급애니메이션 이해, 3차원 조명과 고급 모델링, 스토리 구성학 I,Ⅱ,

애니메이션 연출론, 사운드 워크숍, 애니메이션 조형실기, 애니메이션 영

상미학론, 영상이벤트 기획론, 동작표현 연출론, 테크니컬 일러스트레이

션, 세미나, 애니메이션연구, 특수효과론, 인터렉티브 캐릭터, 게임디자인

과 캐릭터, 가상현실, 데꾸빠쥬론, 제작/기획연구, 영화음향연구, 영화영

상연구, 영화마케팅연구, 애니메이션 연구, 영상 산업론, 영상저작권과 지

적소유권, 영화재정, 영화연출론, 비디오작품제작, 영화사운드디자인, 시

나리오연구, 촬영실습, 촬영연구, 편집연구, 조명연구, 프로덕션디자인,

프리프로덕션연구, 전공별기술연구Ⅰ,Ⅱ,Ⅲ,Ⅳ,Ⅴ,Ⅵ, 영화연기연출워크숍,

현장실습I,Ⅱ,Ⅲ, 영화제작실습Ⅰ,Ⅱ,Ⅲ,Ⅳ,Ⅴ,Ⅵ, 시나리오창작 I,Ⅱ,Ⅲ,

Ⅳ,Ⅴ,Ⅵ, 졸업작품시나리오창작, 졸업작품 프리프로덕션, 졸업작품프로덕

션, 졸업작품 포스트프로덕션, 영상음악 발상론, 세미나, 캐릭터 디자인

연구, 디자인 세미나Ⅰ,Ⅱ,Ⅲ,Ⅳ, 시나리오연구 I, 애니메이션제작I,Ⅱ,Ⅲ,

영상디자인 편집, 3D캐릭터 디자인, 음향디자인, 영상언어와 색채분석,

모션 그래픽스 I,Ⅱ, 특수영상효과연구, 전공연구I,Ⅱ,Ⅲ, 멀티미디어 콘

텐츠, 영상 미디어 마케팅, 애니메이션 비평, Web디자인 기획론, 스토리

구성학, 영상 미디어 비평, 3D 조형론, 시각 기호학, 미디어 마케팅, 인터페

이스 방법론, 컨텐츠 기획론, 영상미학

Page 6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51

<표 Ⅳ- 8> 영상공학과 커리큘럼

전공 전공교과과정

컴퓨터

그래픽스

/

가상환경

/

디지털영상

/

인터넷

/

게임

/

예술공학

컴퓨터 그래픽스/가상환경 실습 I,Ⅱ , 영상기반 렌더링 및 대화형

시각화 기법, 비사실적 렌더링기법, 모션 플랫폼을 이용한 동적 시

뮬레이션 해석, 다중 투영에 의한 몰입형 가상환경연구, 계산 기하

학, 영상처리론, 컴퓨터그래픽스, 시각화기법, 형상 모델링, 그래픽

스 렌더링기법, 컴퓨터 애니메이션, 공학 애니메이션, 가상현실,

컴퓨터 그래픽스 특론, 컴퓨터 그래픽스 워크숍, 가상환경 개론,

가상현실과 영상, 영상 및 동영상 디자인, 3D 컴퓨터 애니메이션

과 영상기술, 멀티미디어 프로그래밍, 로봇공학개론, 햅틱스 입문,

고급 모델링 기법, 고급 렌더링기법, 고급애니메이션, 프렉탈 기하

학, 인간과 기계의 상호작용, 인간과 기계의 통신, 컴퓨터 비젼 특

론, 컴퓨터 그래픽 디자인 응용, 영상정보처리실습I,Ⅱ, 영상기반

3차원 객체인식 및 움직임해석I,Ⅱ, 인물의 움직임분석 및 추적연

구 I,Ⅱ, 대용량병렬처리 프로젝트I,Ⅱ, 광미디어 및 영상처리 프로

젝트I,Ⅱ, 전공연구 I,Ⅱ,Ⅲ, 영상통신, 광학기술 I,Ⅱ, 광전자공학

I,Ⅱ, 감성공학, 영상컨텐츠 분석, 영상합성, 음성처리 및 디지털오

디오, 컴퓨터 비젼, 패턴인식, 특수영상제작, 인터페이스 디자인,

2차원 신호처리, 영상부호화, 영상이해, 영상복원, 영상필터링 이

론, 디지털비디오 시스템, 디지털 영상 시스템설계, 영상통신 이론,

비디오 신호처리, 최적 영상 처리론, 멀티미디어 응용, 멀티미디어

사용자 인터페이스, 광통신공학 I,Ⅱ, 3차원 홀로그램, 3차원 영상

기술, 병렬 광 접속기술, 병렬 광 접속시스템, 광시스템 공학, 문

자인식, 한글인식, 영상복원 특론, 영상처리 특론, 영상 통신 특론,

영상정보 저장 및 검색, 광 기술 특론, 3차원 영상 특론, 병렬 광

접속 특론, 광시스템 공학 특론

Page 6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52

3) 연세대 영상대학원6)

(1) 교육기관의 성격

연세대학교내 전문대학원으로서 기존 영상교육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활용

에만 치우치는 기술중심 교육이었다는 인식하에 컨텐트 부재를 해결하기 위한 컨텐

트웨어 중심의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즉 영상을 매개로 하는 문화 산업이 문화와

산업, 예술과 테크놀러지의 결합으로 새롭게 개편되고 있는 현실속에서 영상산업과

문화정책과의 밀접한 연계를 꾀할 수 있는 집단적 프로젝트를 체계적으로 추진하고

자 한다. 특히 대학원내 각 전공영역과 연구소, 영상산업 현장과 직접적인 관계를 맺

어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는 문화생산의 기초를 다진다. 또한 기자재와 교육공간, 산

업현장과의 유기적 연결을 꾀하고 프로젝트 수행과정 자체를 전문가 육성의 교육

과정으로 삼는다.

(2) 조직형태 및 구성

10명의 교수진과 3개의 전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3) 교육지표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은 경쟁력 있는 고급문화를 창출하는 영상 엘리트 육성의

요람으로 멀티미디어 환경의 컨텐트웨어 중심의 교육을 추구한다. 또한 문화적 도구

로서의 영상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전문가를 배출하고 영상을 활용하여 고유의 문

화적 정체성을 확보하는 전략을 수립하며, 영상을 매개로 하는 문화, 산업, 정책에

관한 전문 연구기관을 지향한다.

궁극적으로 영상 엘리트를 육성하는 동시에 영상분야의 교육계, 문화계, 산업계를

주도할 전문가 집단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6) http:/ / w ww .artware.tv/ start/ main.asp

Page 6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53

(4) 교육 체계 운영

3개의 학과 즉 방송영상 제작학과와 영상디자인, 멀티미디어 저널리즘이 각각 기

초필수, 전공필수, 전공선택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5)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세 학과의 기초필수 과목은 영상커뮤니케이션론 , 미디어조사방법이 개설되어

있으며 전공필수과목은 방송영상기획론 , 저널리즘 기초이론 , 영상디자인원론으로

역시 동일하다.

전공필수와 전공선택과목은 다음과 같다.

<표 Ⅳ- 9> 연세대 영상대학원 교육과정 개요

과목 전공선택

방송영

상제작

학과

다큐멘터리 기획론/ 다큐멘터리의 역사/ 다큐멘터리 작가론/ 다큐멘터리

와 멀티미디어/ 다큐멘터리와 영화/ 다큐멘터리와 사진/ 다큐멘터리와

미술/ 다큐멘터리와 문화연구/ 다큐멘터리의 쟁점/ 영상미학/ 디지털 기

록방법론/ 방송영상제작1,2/ 방송조명/ 멀티미디어 방송음악/ 방송드라

마연구/ 드라마컨텐츠/ 컨텐츠연출/ 보도영상촬영/ 디지털미디어 편집/

스토리텔링1,2/ 스튜디오제작1,2/ 야외제작1,2/ 영상연기/ 드라마제작/

다큐멘터리제작/ 영상인류학/ 전공세미나1,2

영상디

자인

전공세미나1,2/ 미디어 퍼포먼스/ 미디어아트/ 이미지와 관점/ 문화컨텐

츠연구/ 예술컨텐츠연구/ 문화인식론/ 영상기호학/ 21세기 예술론/ 멀

티미디어 사진/ 현대사진/ 실험사진/ 사진워크샵/ 미술과 사진/영화와

예술/ 영화와 문화/ 영화의 쟁점/ 연극과 멀티미디어/ 연극과 가상현실/

연극과 무용/ 무용의 이해/ 디지털 공간과 몸/ 멀티미디어 연출연구/ 디

자인 워크샵/ 북 디자인/ 리얼타임 스튜디오/ 가상현실의 컨텐드웨어/

애니메이션/ 조형공간/ 영상공간체험/빛과 사물/ 빛과 색/ 환경디자인/

건축의 시공간/ 인터페이스디자인/ 영상음악1,2/ 테크니컬워크샵1,2,3/

인간과 자연1,2/ 아트웨어디자인/ 컨텐트웨어와 문화정책/ 컨텐트웨어와

문화산업/ 문화상품기획/ 독립프로젝트연구1,2/ 온라인 스튜디오

Page 6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54

<표 Ⅳ- 9>에서 계속

과목 전공선택

멀티미

디어

저널

리즘

전공세미나1,2/ 멀티미디어의 이해/ 멀티미디어와 법/ 멀티미디어 저널

리즘의 윤리/ 멀티미디어 저널리즘 비교연구/ 멀티미디어 보도론/ 멀티

미디어와 정보사회/ 멀티미디어 저작권/ 멀티미디어 저널리즘과 경영론/

멀티미디어 저널리즘과 광고/ 멀티미디어와 홍보/ 멀티미디어 저널리즘

과 전자상거래/ 멀티미디어 산업론/ 디지털저널리즘 정치학/ 디지털저널

리즘 사회학/ 저널리즘 역사/ 멀티미디어와 과학저널리즘/ 멀티미디어와

스포츠저널리즘/ 멀티미디어와 비즈니스저널리즘/ 멀티미디어와 사진저

널리즘/ 멀티미디어와 비디오저널리즘/ 디지털문화론/ VJ연구방법1,2/

디지털뉴스의 제작/ 멀티미디어 활용연구/ 방송프로덕션1,2/ 전자출판론

/ 전자신문론/ 전자잡지론/ 인터넷방송론/ 인터넷워크샵

(6)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영상대학원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과정을 별도로 제공하기 보다 각 학과에서 방송,

문화산업의 변화를 적극 수렴하는 차원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관련된 과목을 개설하

고 있다. 예를 들어 방송영상제작학과에서는 디지털 기록방법론이나 멀티미디어 방

송음악 , 디지털미디어 편집 등이 있으며 영상디자인학과에서는 멀티미디어 사진 ,

멀티미디어 연출연구 , 디지털 공간과 몸 등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저널리즘학과

는 멀티미디어와 관련된 법, 보도론, 광고, 산업론, 다양한 저널리즘이 구성되어 있으

며 디지털저널리즘 정치학 , 디지털저널리즘 사회학 , 디지털 문화론 등을 소개하고

있다.

Page 6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55

3. 대학 및 대학부설 아카데미 형태

1)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7)

(1) 교육기관의 성격

한국예술종합학교내의 영상원은 5개의 전공으로 구성된 단과대학 형식의 교육기

관이다. 일반대학의 학사과정이라 할 수 있는 예술사과정과 석사과정이라고 볼 수

있는 예술전문사과정으로 나뉘어져서 영상작품을 제작할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

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기성 영화제작과정에 대한 참여실습 등으로

수업내용과 연관된 현장학습으로 비평적 시각과 실무제작 능력을 갖춘 인력을 육성

하고자 한다. 한국예술종합학교가 기존 예술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

해 세워진 것이기 때문에 영상원 역시 국내최초의 국립영상학교로서 실기위주의 교

육을 실행하고 있고 졸업 후 영상학사 학위를 수여하고 있다.

(2) 교육지표

영상원의 구체적인 교육목표는 현대적 테크놀로지에 바탕을 둔 영상매체, 즉 영화ㆍ

비디오 및 멀티미디어,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영상작품들을 창의적으로 만들 수 있는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있다. 대학예술교육의 정상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다각적인

지적, 기술적, 미학적 교육을 대학 수준에서 체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영상작

품이 여러 사람들의 협동으로 만들어지는 점을 감안해서 전학과가 공통 필수과목을

수강하게 되고 이후 전공실기를 중심으로 한 심화과정에서 공동으로 작품제작을 수

행하게끔 하고 있다.

(3) 교육 체계 운영

일반 대학 교과과정처럼 5개의 학과가 공통필수, 전공필수, 일반선택, 전공선택과

목을 이수해야 하며 예술사는 최저 140학점, 예술전문사는 36학점(2년제), 60학점(3

년제)를 이수해야 졸업이 가능하다. 또한 부전공이수자는 부전공학과에서 24학점을

이수해야 하며 예술원의 인정과목에 한해 타 교육기관의 학점을 인정하는 제도를

7) http:/ / w ww .knua.ac.kr/

Page 7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56

실시하고 있다.

영상원 교육과정의 특징으로 모든 교과과정을 실습 위주로 편성되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단순한 기능적 실습에 치우치지 않기 위해 영상작품에 대한 비

평적 분석 및 실기 이론교육을 병행함으로써 창조적인 영상예술작품을 만들 수 있

는 균형적인 교육을 배려하고 있다. 또한 세계적인 조류를 호흡하고 작품제작 현장

과의 관계를 긴밀히 연계시키는 노력의 일환으로 저명 예술인과 국내방송, 영화, 애

니메이션 등 영상관련 전문가들을 초빙하는 객원강의를 병행하기도 한다.

(4)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4년 동안의 교육과정 속에서 1학년은 기초전공 교양과정을 거치고 2학년부터 4학

년 1학기까지는 전공과정, 4학년 2학기는 졸업작품 준비과정을 거치게 된다. 영상원

내 5개 학과인 영화과, 방송영상과, 영상디자인과, 영상만화과, 영상이론과는 공통필

수 과목으로 이미지의 역사 , 영화의 이해 , 이미지와 텍스트 , 디지털 문화입문을 수강

해야 한다. 각 학과는 10여개의 전공필수 과목과 전공선택과목을 수강해야 하며 일반선

택과목으로 영어회화가 있다. 각 과목에 대한 개요와 이수과목은 다음과 같다.

<표 Ⅳ- 10> 영상원 교육과정 개요

과목 개요

영화과영화산업의 각 분야별 즉 영화, 촬영, 음향, 편집, 시나리오,프로덕션디자인 등에서 영상전문인력 육성 목표

방송영상과

다큐멘터리, 에듀테인먼트 프로그램, 엔터테인먼트, 인포테인

먼트 프로그램 등 다양한 장르를 특화교육, 프로그램 포맷의

기획/제작에 대한 전문성 교육

멀티미디어영상과

디지털영상 전문가의 배출지향, 필름, 텔레비전, 애니메이션

분야와의 유기적 연관성 제고하고 디지털영상시대에 요구되는

영상표현 능력과 개념습득

애니메이션과

만화형식에 기초한 조형실습과 신기술을 운용할 수 있는 영상

만화 프로듀서의 육성 목표, 기획실습뿐만 아니라 문화이론과

미학이론, 커뮤니케이션이론 등의 기초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

이고 뉴미디어와의 결합을 가능케 한다.

영상이론과영화연구, 문화연구, 시각문화연구와의 학제간 연구를 통해 미디어

전반에 대한 이론가, 평론가, 문화 기획가의 전문인 양성 목표

Page 7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57

영화과는 27개의 전공필수과목과 27개의 전공선택과목으로 총 54개의 전공과목이

있으며 멀티미디어과는 15개의 전공필수과목, 그리고 21개의 전공선택과목으로 총

36개의 전공과목을 갖고 있다. 애니메이션과는 14개의 전공필수과목과 15개의 전공

선택과목으로 총 29개의 전공과목이 있으며 영상이론과에서는 12개의 전공필수과목,

29개의 전공선택과목으로 총 41개의 전공과목을 마련하고 있다. 방송영상과는 17개

의 전공필수과목과 28개의 전공선택과목, 총 45개의 전공과목이 있다.

<표 Ⅳ- 11> 영상원 학과별 이수과목

과목 전공필수 전공선택

영화과

촬영기초, 편집분석, 연출론,

네러티브프로덕션, 연출고급,

음향중급, 편집고급, 시나리오

고급

서사이론기초, 컴퓨터실습, 연기연

출,작가연구, 영화음악, 배급구조의

이해, C.G, 매체통합WS1,2

방송영상과

방송의 이해, 비디오 촬영기

초, 다큐멘터리 워크샵, TV프

로그램 연출, 인터넷방송 실습

프로그램의 포맷과 개념, TV의 언

어, 비디오 촬영기초, 영상기호학,

프레임과 시퀀스, 방송과 제도, 분

장실습

멀티미디어영

상과

디자인기초, 비디오기초, 멀티

미디어, 영상제작, 3D그래픽

스, 복합매체워크샵

드로잉, 타이포와 이미지, 컴퓨터의

개념과 이해, 인터넷과 웹, 특수영

상효과, 3D그래픽스, 디지털문화

연구, 프로덕트매니지먼트

애니메이션과

그래픽디자인, 컴퓨터그래픽,

애니메이션기초, 스토리보드,

인체의 구조

소리의 이해, 북디자인, 동작표현연습,

애니매이션기획, 만화기호학,카툰,

컴퓨터하드웨어연구

영상이론과

한국영화사, 세계영화사, 영상

제작워크샵, 현대영화이론의

쟁점, 영화기획입문

대중문화연구, 세계영화사, 감독연구,

실험영화사, 러시아영화사, 영상산

업과 정책, 한국감독연구, 연출을

위한 비평,

(5)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영상원은 미디어환경의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멀티미디어영상과를 통해 디

Page 7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58

지털매체에 대한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기초과정에서는 다양한 영상언어와 표

현양식을 포괄적으로 이해하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즉 시청각언어 각각의 특수성과

상호연계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동시에 기본적인 장비를 자유롭게 다룰 수 있도

록 한다. 궁극적으로 컴퓨터 그래픽스 및 특수영상효과, 디지털영상의 기획과 제작

전반에 걸친 창의성과 제작능력을 극대화하고자 하는데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영상

과의 전공과목은 다음과 같다.

<표 Ⅳ- 12> 영상원 멀티미디어영상과 커리큘럼

과목 전공필수 전공선택

멀티미디

어영상과

소리1,2.

사진기초.

실험사진

디자인기초1,2.

비디오기초

실험비디오. 디자인1,2

멀티미디어1,2. 영상디자인1

3D그래픽스기초

드로잉1,2. 이미지표현기법1.2

타이포와 이미지1.2. 멀티미디어영상입

문1.2. 컴퓨터의 개념과 이해. 사진의

역사. 사운드제작1,2. 인터넷과 웹1,2.

영상표현기법1,2. 영상디자인2

조형공간의 기호학. 특수영상효과1,2.

멀티미디어세미나1,2

독립프로젝트. 현장실습

멀티미디

어영상과

영상제작1,2

멀티미디어프로젝트1,2

3D그래픽스1.2

복합매체워크샵1,2

졸업작품세미나1,2

영상제작3,4. 3D그래픽스3,4

프로젝트기획워크샵

프로덕트매니지먼트

디지털문화연구

포트몰리오제작

이외에도 영상원에서는 디지털미디어 관련 과목을 개설하고 있는데 2001년도에

개설된 다음 몇가지를 구체적으로 들 수 있다.

컴퓨터그래픽스 : 디지털 아티스트가 되기 위한 기본 소양으로 컴퓨터 사용기술

과 컴퓨터 그래픽스 이론을 습득하여 전통적인 아날로그적 방법을 디지털로 전

환하여 응용할 수 있는 기반 완성. 컴퓨터 실습과 강의로 진행된다.

디지털편집 : 응용편집과 장면전환 스타일을 구축하는데 1,2의 각 단계를 통해

기초와 심화과정을 거친다. 시청각 교재와 아비드 실습을 병행한다.

디지털 영상제작 : 분명한 커뮤니케이션 전달을 목적으로 하나 새로운 영상언어

Page 7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59

논법 개발을 실제 영상물 제작을 통해 연구하며 보다 앞선 개념의 영상언어 개

발을 목표로 한다. Special Effect를 이용한 교재를 통해 첨단효과를 연구하며

1,2 두 단계가 있다.

믹싱 : 영화 장르와 스타일에 따른 사운드의 역할과 믹싱개념을 익히고 믹싱방

법 즉 모노, 돌비, 스테레오, 디지털포맷 등과 상황에 따른 믹싱 테크닉을 익힌

다. 극영화 믹싱 워크샵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Digital Film Making : 디지털 영상제작 이론을 연구하고 디지털 편집 실무 이

해와 활용을 도모한다. AFTER EFFECT 5.0을 이용하여 디지털 특수효과와 디

지털 합성 연구 및 실무활용을 익히며 MAC 용 저예산 NLE TOOL 인 FINAL

CUT PRO 와 필름 매치백 프로그램인 FILM LOGIC을 이용하여 35mm/ 16mm

필름 편집 메커니즘을 실습한다. 영상물 편집 소프트웨어를 활용하고 제작실습

으로 수업을 진행한다.

그래픽스 3D : 3차원 그래픽스의 전반적 이해와 디자인 방법 및 애니메이션 기

법을 공부하고 기존 영상물에서 만들어진 작품을 분석하여 한가지 소프트웨어

에 국한되는 것이 아닌 총체적인 감각을 높인다. 역시 1,2과정으로 심화단계를

거친다.

2) 동아방송대학8)

(1) 교육기관의 성격

동아방송대학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선정한 방송특성화 대학으로서 전문적인 방송ㆍ영

상 인력을 육성하는 2∼3년제 교육기관이다. 방송사 수준의 디지털방송ㆍ영상 장비

와 첨단 방송시설, 그리고 주문식 교육 시스템을 도입해 활발한 산학협력체제를 완

비해 교육과 취업의 연계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2002학년도부터 심층적인 연구,

기간이 필요한 일부학과는 3년제로 전환, 운영되어 학생들의 전문성, 창의성을 심화

시키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인 교육목표를 살펴보면 ① 방송환경 변화에 대비한 미래지향적 교육 ②

첨단기자재를 토대로 실습중심의 전문화교육 ③ 산학협력체제 활성화를 통한 전문

방송인 양성 ④ 경쟁력있는 일인 다기능의 전천후 방송인 육성 등을 들 수 있다.

8) http:/ / w ww .dab - c.ac.kr/

Page 7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60

(2) 교육 체계 운영

1997년 2월 신입생 810명을 선발한 것을 시작으로 영상음악과, 인터넷방송과, 게

임공학과 등의 방송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적인 학과신설과 함께 주문식 교육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ISU), 중국 북경광파학원(BBI)과의 3

학년 편입학을 비롯한 학사프로그램은 국제교류를 통한 학문적 지원의 배경이 되고

있다. 총 13개의 계열이 있으며 각 학과마다 세부전공이 나뉘어지고 있다

<표 Ⅳ- 13> 동아방송대학 계열구분

학제 구분 계열 전공

3년제 공학

방송기술계열방송제작기술전공방송시스템전공방송IT전공

영상제작계열연출전공촬영전공편집전공

정보통신계열소프트웨어개발전공무선인터넷전공인터넷프로그램전공

인터넷방송계열웹마스터전공인터넷방송시스템전공

2년제

공학

음향제작계열방송영상음향전공음악녹음전공PA전공

미디어디자인계열웹디자인전공편집미술전공디지털애니메이션전공

게임제작계열게임디자인전공게임프로그램전공

예능

방송연예과 방송연예전공

연극영화계열연극전공영화전공

영상음악과 영상음악전공

방송극작과 방송극작전공

사회실무방송보도제작계열

비디오저널리즘전공다큐멘터리전공

광고홍보계열광고제작전공홍보이벤트전공

Page 7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61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각 계열마다 세부전공이 있고 취업과의 연계를 위한 실무교육이 마련되어 있다.

구체적인 개설과목들은 다음과 같다.

<표 Ⅳ- 14> 동아방송대학 계열별 개설과목

계열(학과) 개요 교과과목

방송

기술

방송에서 표현되는 영상

과 음향을 송출하기 위

한 전반적 기술습득

방송기술개론, 영상제작론 및 실습, 전자공학

개론, 오디오공학, 비디오공학, 디지털공학, 조

명론, 방송시스템디자인론 외

영상

제작

영상제작에 요구되는 제

작기술과 기본적 소양습득

방송편성론, 방송문장론, 감독연출론, 영상학,

사진학, 영상편집이론, ENG카메라, 조명, 음향

장비, 스튜디오제작실습 외

음향

제작

멀티미디어 시대에 대비

하고 고품질의 음향제작

을 위한 음향, 음악성의

교육목표

전공필수: 음향기술론, 음향편집론, 음향공학,

음악이론, 공학수학, 디지털음향이론

전공선택: 라디오음향제작, 영상음향제작, 음성

학, 청음훈련, 특수음악, 디지털회로이론

미디어

디자인

사물에 대한 크리에이티

브와 컴퓨터기술의 접목

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

창조

컴퓨터그래픽, 맥컴퓨터입문, 컴퓨터 애니메이

션, 웹 디자인 평면구성, 기초 게임프로그래밍,

2D페인팅, 디지털 포토그래픽 외

정보

통신

정보통신망 구축·관리

를 위한 전문인 양성

회로이론, 통신공학, 정보통신개론, 인터넷 프

로그래밍, 무선인터넷, Visual C++ 외

인터넷

방송

인터넷방송에 대한 인력

수요에 부응하는 전문인

력 양성

인터넷기초, 컴퓨터네트워크, C프로그래밍, 웹

설계기초, 운영체제, 자료구조론 등

게임

제작

게임산업체와 산학연계

하여 게임제작 실무능력

배양

게임디자인전공: 시나리오 기획, 디자인연출,

영상그래픽 및 효과음 등

게임프로그램전공: 프로그래밍 언어,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밍 과목

Page 7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62

<표 Ⅳ- 14 계속>에서 계속

영상

음악

영상음악 및 실용음악의

교육을 통해 다양한 장

르의 음악을 자유롭게

구사하는 전문인 양성

전공필수: 전공실기, 재즈화성학, 컴퓨터음악,시창, 청음, 전통음악이론, 기초리듬연구 등

전공선택: 합주, 합창, 실용음악편곡, 영상음악

분석, 드라마음악제작실습 등

방송

극작과

문학적 재능과 방송제작

현장에 대한 이해를 갖

춘 전문방송극작가 양성

방송극작가, 교양, 오락 구성작가, 희곡작가,게임스토리 작가, 광고 카피라이터 등

방송보

도제작

책임있는 보도와 신뢰성

있는 메시지 전달을 위

한 방송제작능력을 갖춘

인재양성

커뮤니케이션에 관한 이론과 실습, 기사취재방

법, 영상편집, 취재 및 메시지분석, A/V 기기

활용교육 등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동아방송대학은 디지털 미디어 과정을 별도로 신설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각 계열

별 이수과목은 디지털미디어와 관련된 학과 과목을 마련해놓고 있다. 예를 들어서

방송기술계열은 첨단 장비를 다루기 위한 능력을 갖추기 위해 디지털공학이나 컴

퓨터공학 ,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 등을 개설해놓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

은 다음과 같다.

<표 Ⅳ- 15> 동아방송대학 디지털 관련 과목구성

계열 교육내용

방송기술계열 디지털공학/ 컴퓨터공학/ 컴퓨터를 이용한 제어

정보통신계열 회로이론, DB이론, Oracle, WAP, Visual Basic 등

인터넷방송계열인터넷기초, 웹설계기초, 인터넷방송기술, 인터넷광고제작,

데이터베이스 실습, 윈도 프로그래밍, 멀티미디어제작 등

음향제작계열 디지털음향이론, 디지털회로이론

미디어디자인계열컴퓨터그래픽, 컴퓨터애니메이션, 디지털포토그래픽, 3D애니

메이션, 2D페인팅, 컴퓨터창작기법 등

Page 7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63

3) 이화 방송아카데미9)

(1) 교육기관의 성격

이화방송아카데미는 여성전문 방송인력을 양성하고 인력수급을 위해 1995년에 설

립된 교육기관이다. 이대 소속 가상교육지원 전담기관인 멀티미디어 교육원의 한 부

서로서 이화인터넷방송국과 함께 뉴미디어에 걸맞는 여성전문 교육을 하고 있으며

소수의 수강생을 대상으로 취업준비를 위한 집중적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 교육 체계 운영

방송계 취업을 준비하기 위해 단기간에 걸친 집중적인 교육을 실시한다. 년 2회

여름과 겨울방학 기간 중 8주 과정으로 진행되어 주 9시간의 훈련을 거쳐서 짧은

시간 내에 현장에서 필요한 실무지식과 경험을 쌓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또한 각

장르에서 현업으로 활동하고 있는 실무진을 초빙하여 담당강사의 책임하에 수강생

의 진도와 수준에 맞는 강의가 진행하도록 하는 책임강사제를 실시하고 있다.

교육과정은 크게 아나운서 과정과 구성작가 과정이 있으며 각각 30명 내외로 4년

제 대학 여자 재학생 및 졸업생을 대상으로 서류전형과 면접으로 수강생을 선발한

다. 강사진은 대부분 현업방송인이며 아나운서 과정은 7명, 구성작가 과정은 4명으로

총 11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교과과정의 전반적인 개요와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다.

9) http:/ / mei.ewha.ac.kr/ ebs/ ebs.htm

Page 7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64

<표 Ⅳ- 16> 이화방송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과정 개요 교과내용

아나운서

과정

뉴스앵커, MC, 리포터 등

방송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전문 진행자를 훈련 양성한다.

교육은 실무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방송언어, 발성, 호흡, 진행태도 등을

강도 높은 실습을 통해 훈련한다

방송과 언어/ 표준발음과 낭독

언어훈련 및 3분 스피치

뉴스앵커 실기이론 및 실습

MC 실기이론 및 실습

리포팅 실기이론 및 실습

3분 스피치 실습/ 방송국 견학

방송분장 이론 및 실습

종합실습 평가 및 졸업작품 제작

구성작가

과정

방송프로그램 전반에 대한 이해와

실무능력을 겸비하는데 역점을 두

고 있는 만큼, 각 장르별로 아이템

찾기, 촬영 및 편집 구성안과 멘트

작성, 영상에 대한 효과적인 대본

작성 요령 등을 강사의 1:1 지도

아래, 실제 방송작가 공채시험에서

필요한 소양과 곧바로 현업에서

활동할 수 있는 수준의 소양을 갖

출 수 있도록 실습을 통해 훈련한다.

각 쟝르별 프로그램 유형 및 구성

프로그램 구성 및 대본 분석

(토크, 시사, 생활정보 프로그램/ 예

능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구성안 및 대본 작성 실습

졸업문집 제작

4) 한양대 디지털방송 아카데미10)

(1) 교육기관의 성격

한양대학교내 한양교육미디어센터 부서로 학습자 중심의 개방적이고 현장 중심적

인 상호주의적 교육지원을 위한 영상방송 전문교육기관이다. 수강생들이 6개월 동안

방송 실무를 익히도록 하며 공간적 시간적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온라인 동영상

강좌와 오프라인 실습강좌를 제공하고 있다. 궁극적으로 구체적인 현장 실습을 통하

10) http:/ / ww w .hycba .ac.kr/

Page 7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65

여 실무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방송 전문인을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 온라

인과 오프라인 수업의 상호보완을 꾀하며 팀별 실습 위주의 수업을 진행한다. 각 방

송사 실무진들에 의해 강사진이 구성되어 있으며 방송사 및 방송관련단체, 협력업체

에 수료생들의 취업을 적극 추천한다.

(2) 교육 체계 운영

교육 체계는 전문과정과 교양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과정내 연출, 방송카메

라, 드라마작가, 구성작가, 비디오 저널리스트, 디지털편집, 아나운서의 6개 전공이

개설되어 있다.

▶교육운영 : 교양과정은 2개월로 편성되어있고 전문과정은 6개월로 편성되어 있

다. 개인 PC로 일주일에 2번 www.hycba.ac.kr (www.hydba.ac.kr로 변경예정)에

접속하여 강의를 수강하고 off- line 강의와 특강 수업이 게시판에 공지되면 공지

사항을 보고 수업에 참가하게 된다.

교양과정은 기존 오프라인 개념의 강의에서 고가의 수강료와 오프라인 강의만을

실시하기 때문에 방송에 관심있는 다양한 사람들 중 일부밖에는 수용하지 못했던

현실적인 단점을 보완하고 시간과 공간적 제약이 없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강의를

듣는 방식으로 진행이 된다. 반면 전문과정은 이 같은 온라인 동영상 강좌에 오프라

인으로 강의실과 실습장에서 실무수업을 받게 된다.

한편 전문과정의 경우 기수별로 수강신청을 받게 된다. 6개월 단위로 새로운 기수

를 모집하게 되고 아카데미 모든 과정은 2주 강의 분량씩 업로드 되며, 예전 강의는

새로운 강의가 업로드 될 때 지워지기 때문에 들으실 수 없게 된다.

▶교육방법 : On-Line과 Off-Line 강의를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들 수 있는데

off- line 강의의 경우 전임강사들과 현장 실습과 특강 위주로 진행되는 면대면

교육을 뜻한다. 각 과정별로 on - line 강의를 하고 실습강의는 방송 현장견학

및 협력업체를 방문하여 off- line강의를 하게 된다.

Page 8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66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교양과정 개설과정으로는 연출, 비디오저널리스트, 드라마작가, 구성작가, 카메

라가 있으며 주 2회 온라인 동영상 원격 강의로 진행된다.

▶전문과정 개설과정은 연출, 아나운서, 디지털편집, 드라마작가, 구성작가, 카메

라이며 역시 주 2회 온라인 동영상으로 강의가 진행된다. 강의실에서는 전임강

사에 의해 주말교육이 실시되고, 촬영현장에서 각 조별 작품활동지원이 이뤄진

다. 또한 전시회를 개최함으로써 작품 발표회 및 외부인사 평가의 품평회를 실시

하고 졸업 후에도 인적관리 개념의 온라인 구인/구직시스템을 운영한다.

<표 Ⅳ- 17> 한양대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전공 개요 교육내용

연출

연출 교육은 프로그램 기획, 촬영, 편집, 구성 등 각 분야별 이론교육(4개월)을 받은 후 집중적인 실전제작의 졸업작품 2개월의 제작기간을 갖게 된다

PD론/ 방송 메커니즘의 이해프로그램 기획원리 및 기획서 작성방송대본 작성요령/ 화면촬영의 기본조명의 기본개념/ 프로그램 유형별 기획과제작/ 편집 유형/ 5차원의 음향세계/ 방송현장 실습/ 방송제작 실습

방송카메라

카메라 교육은 TV 프로그램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포맷(드라마, 쇼, 다큐멘터리, 뉴스 등)에요구되는 이들 카메라워크를 배우는 것 외에도 특수활영(스테디캠, 지미집, 크레인, 항공 촬영 등)에 관한 특강 실시

방송제작의 이해/ 영상미학/ 프로그램 기획과 구성/ 렌즈의 이론과 노출/ ENG 구조와특성ENG 편집/ 조명의 실체/ ENG 카메라 실습작품 제작 및 발표

구성작가

구성작가 교육은 다큐멘터리, 교양, 코미디, 꽁트, 쇼 프로그램의 구성과 원고작성 위주로 교육을 하며, 생방송 실습과 졸업작품 기간을 통해 자신이 직접구성한 구성안이 프로그램화되는 과정을 지켜보고 반응을 검토한다.

프로그램구성 개론/ 각 장르별 프로그램 대본분석/ 영상제작론 및 제작실습/ 촬영개론및 편집 실습/ 일반구성과 종합구성의 개념다큐멘터리 - 프롤로그에서 에필로그까지/쇼 프로그램 - 전주에서 후렴까지/ 모니터및 기획안 작성법/ 졸업작품 제작 및 발

Page 8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67

<표 Ⅳ- 17>에서 계속

전공 개요 교육내용

드라마

작가

프로 의식과 사물을 다른 각도

에서 보는 연습, 항상 메모하고

되풀이하며 끊임없이 자기 발전

을 하는 작가를 목표

방송 작가란? /방송 작가의 글 쓰기

드라마 시스템/ 드라마 고찰/ 방송 대본 분석

대본 쓰기 실습/ 실습 평가 및 분석

졸업작품 제작 및 발표

아나운

신뢰감을 주는 자기 연출과 어

떤 프로그램이 주어지더라도 소

화해 낼 수 있는 순발력과 자신

감을 갖출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반복 촬영실습과 연기교육이 실시

방송 언어론/ 표준어와 방언/ MC와 뉴스 앵

커론/ 나레이션 실습/ 뉴스 캐스터/ 스포츠

캐스터 실습/ 리프팅 요령/ 애드립 요령/ 기

사 작성법/ 종합 워크샵 / 방송 문장론

제작 실습 및 분석/ 졸업작품 제작 및 발표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디지털관련 과정은 비디오저널리스트와 디지털편집을 들 수 있다. 최근 수요가 급

증하는 비디오저널리스트는 원맨 프로듀서, 다큐멘터리스트, 인디펜던트 프로듀서,

시민저널리스트를 포함한다. 기획, 연출, 촬영, 편집, 대본, 취재, 조명 등 4∼5명이

팀을 이뤄 제작하던 기존의 프로그램과는 달리 이 모든 과정을 혼자서 처리하는 비

디오 저널리스트는 독립적인 만큼 여러 분야에서 원맨제작 시스템을 갖출 수 있는

실무중심 교육을 실시한다. 구체적인 교육내용으로는 기사 작성법, 6mm 디지털 카

메라 구조, 6mm카메라 사용법, 화면의 구도, 디지털 미디어 뉴스기획, 6mm 디지털

카메라 실습, 작품 제작 및 발표 등이 있다.

디지털 편집과정은 고화질 HDTV와 인터넷방송 등의 방송계의 변화를 인지하는

동시에 최첨단 기술을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 편집의 기초와 이론을 토대로 작품 제

작 실습을 통해 디지털시대를 대비한다.

아날로그 편집의 기초와 이론, 디지털 편집의 기초와 이론, 아비드 편집의 이해,

음향 제작 실습, 기초 사진론, TV론, 편집실습, 졸업작품 제작 및 발표 등의 교육내

용이 포함된다.

Page 8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68

4. 방송사 및 언론사 부설 아카데미

1) KBS- 서강 방송아카데미11)

(1) 교육기관의 성격

KBS-서강 아카데미는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부설 방송아카데미로 1994년 서강

대학교와 KBS 영상사업단(현 KBS 미디어)이 공동으로 설립한 방송전문 교육기관

이다. 산학 협동으로 이루어진 방송아카데미는 실습위주의 교육과 기자재 사용의 여

유를 강점으로 하여 직장인, 대학생,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방송실무 교육을 실시하

고 있다.

(2) 조직형태 및 구성

서강대와 KBS가 공동으로 설립한 방송 전문 교육기관으로서 교수진은 95% 이상

이 KBS와 각 방송 현장의 실무진들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방송현장의 실무진들의

강의로 인해 강사들의 현장업무가 끝나는 오후에 정규수업이 진행이 되며 이론과

실습 교육과의 병행을 통해 즉각적인 현장응용이 가능하도록 목표를 두고 있다.

(3) 교육 체계 운영

KBS-서강 아카데미는 미래의 방송인을 위한 방송영상 관련 10여 개의 과정을 개

설하여 오후 6시 30분부터 9시 40분까지 주 3일 수업을 23주간 진행하고 있다. 직장

인과 대학생, 일반인들의 지원을 받고 서류전형과 면접을 통한 전형을 거치는데, 일

반적인 지원자격은 방송현장의 지원자격과 동일하다. 즉 드라마 작가는 나이와 학력

의 제한이 없는 반면 방송제작이나 보도, 방송진행자 과정 등은 정규대졸 및 정규대

3년 이상으로 제한하고 있다.

개설과정은 다음 13개의 과정이 있다. ①방송 기자 ②디지털 미디어 저널리스트

③아나운서 ④홈쇼핑, MC, 리포터 ⑤구성작가 ⑥드라마 작가 ⑦드라마 작가 고급

⑧번역작가 ⑨연출 ⑩라디오 방송제작 ⑪카메라 영상 ⑫디지털 비디오 저널리스트

⑬디지털 영상 그래픽

11) http:/ / gscom.sogang.ac.kr/ broadcasting/ broad_main.htm

Page 8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69

<표 Ⅳ- 18> KBS-서강 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구분 과정 수업 수강료(원)

취재보도

과정

방송기자 주3일 2,079,000

디지털 미디어저널리스트 주3일 2,079,000

방송진행자

과정

아나운서 주3일 2,079,000

홈쇼핑,MC,리포터 주3일 2,079,000

방송작가

과정

구성작가 과정 주3일 2,079,000

드라마작가 과정 주3일 1,890,000

번역작가과정 주3일 1,890,000

드라마 작가 고급과정 주1일 800,000

방송제작

과정

연출 주3일 2,079,000

라디오 방송제작 주3일 2,079,000

카메라 영상 주3일 2,079,000

디지털비디오 저널리스트 주3일 2,079,000멀티미디어

과정디지털영상그래픽 주3일 2,415,000

(4)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교과과정은 크게 취재보도 과정, 방송진행자 과정, 방송작가 과정, 방송제작과정,

멀티미디어 과정의 6개 과정으로 구분된다. 각 과정의 세부과정을 살펴보면 취재보

도 과정 내에 방송기자와 디지털 미디어 저널리스트가 있고 방송진행자 과정은 아

나운서, 홈쇼핑, MC, 리포터가 있다. 방송작가 과정은 구성작가, 드라마 작가, 번역

작가, 드라마 작가 고급과정이 포함되며 방송제작 과정은 연출, 라디오 방송제작, 카

메라 영상, 디지털 비디오 저널리스트과정이 있다. 멀티미디어 과정은 디지털 영상그

래픽과정이 포함된다.

대표적인 과정들을 살펴보면 우선 방송기자 과정은 영상 매체적 특성이 강조되

는 저널리즘적 영역에 부합되는 기자 인력을 양성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개인적 자질 연마와 영상의 특성을 확보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세부적인 교육과

목에서는 기자 리포팅 요령 및 실습, 현장 뉴스 보도 연습, 텔레비전 보도와 다큐멘

터리 실습 등을 통해 영상에 대한 기본적인 감각을 제공하는데 주력한다.

방송진행자로서 아나운서 교육은 방송관련 지식습득과 태도, 발성 등의 기초훈련,

뉴스앵커, 리포터의 진행 실습을 통해 방송 테크닉을 습득한다. 정규수업 외에 스튜

Page 8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70

디오 자율실습과 졸업작품 준비를 병행한다. 홈쇼핑, MC, 리포터과정에서는 방송 프

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는 전문성 육성에 중점을 두고 특히 홈쇼핑 호스트 교육은

마케팅 지식을 기반으로 한 이론적 이해와 쇼핑 호스트 실습에 주안점을 둔다.

방송작가 과정 내에서 구성작가 과정은 방송프로그램 각 장르에 대해 기획에서

대본작성까지의 전 과정을 익히고 철저한 제작실습을 거친다. 종합구성프로그램, 다

큐멘터리, 쇼프로그램, 코미디, 라디오 등의 각 영역에 해당하는 대본 쓰기, 촬영 및

편집실습 등의 교육이 진행된다.

연출과정은 영상 언어의 이해, 프로그램의 특성과 카메라 실습, 장르별 프로그램

의 제작요령의 교육이 있으며 종합구성물 제작실습과 팀별 졸업작품제작 과정이 특

징이다. 카메라 영상과정은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에 적합한 영상을 얻어낼 수 있는

감각을 키우는데 중점을 두고 ENG구조와 실습. 6mm카메라 실습, HDTV의 이해,

드라마 프로그램 제작실습과정이 있으며 수업외 6주차부터 자율수업으로 이루어지

기도 한다.

(5)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과정

KBS-서강 아카데미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과정이 별도로 있지는 않지만 교육과정

내 디지털 관련 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취재보도 과정에서 디지털 미디어 저널리스

트 과정은 언론사내 온라인 사업부서나 인터넷 관련 기업에 취직을 희망하고, 실무

를 익히고자 하는 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즉 디지털 도구를

활용하는 보도요령이나 디지털 미디어제작, 디지털 미디어 구축 및 기획, 디지털 미

디어 현장학습 등의 교육내용이 있다.

특히 디지털미디어 저널리즘 과정은 크게 디지털미디어 총론, 디지털미디어 기획,

디지털미디어 제작, 디지털미디어운용, 디지털미디어 활용 취재보도 등 5개 주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주제마다 디지털미디어의 현황, 방송국의 온라인 사업개

요, 콘텐츠 기획이나 미디어 비즈니스 모델기획, 미디어 시스템 셋업, 디자인 셋업,

동영상 취재, 디지털도구 활용한 취재요령 등의 커리큘럼을 갖고 있다.

방송제작 과정 내에서는 디지털 비디오 저널리스트 과정이 있으며 이 과정은 혼

자서 취재, 촬영, 편집, 원고작성 등의 방송제작을 디지털비디오 카메라를 통해 완수

하는 전문적인 저널리스트를 육성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정규수업에서 다루는 내

용은 비디오 저널리스트의 현황과 과제, 디지털비디오 카메라 촬영법, 비디오 저널리

스트 취재방법론, 기획방법론, 조사방법론, 인터넷방송개요 등이 있다.

Page 8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71

멀티미디어 과정에서 다루는 디지털영상 그래픽 과정은 현장에서 원하는 인력을

육성하는데 역점을 둔다. 즉 3D 컴퓨터그래픽이나 게임제작, 영화 특수영상제작분야

의 수요가 급증함에도 불구하고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점에서 실제 방송사에서 원

하는 인력을 공급하기 위한 실무 교육을 중점으로 진행하고 있다. 구체적인 교육내

용은 2D 디지털 영상편집의 이해. 2D 애니메이션 기초와 제작, Bone의 이해와 동물

애니메이션 실습, 캐릭터 스튜디오, Motion Capture 데이터 활용, Live 페인트 합성. Live

Rotoscope, 디지털영상 편집, DVD제작. 팀작업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2) MBC 아카데미12)

(1) 교육기관의 성격

문화방송이 100% 출자한 MBC 아카데미는 1991년 개원한 MBC방송문화원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1994년 MBC문화센터를 개원한 이후 1995년 (주)MBC아카데미로

상호변경을 했다. MBC아카데미는 6개월 방송 아카데미 과정과 전문대학졸업과 동

등한 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하는 학점은행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일반인들의 자기계

발을 위한 문화센터를 비롯한 어학교육, 어린이 교육, 이벤트 등의 교육문화사업으로

사회교육 역할도 하고 있다.

(2) 조직형태 및 구성

MBC 아카데미는 MBC자회사 형태로 사장과 이사외에 기획사업부, 문화사업부,

방송교육부, 경영관리부, 기획개발부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사업부는 외부협력사업이

나 이벤트사업을 맡고 있으며 문화사업부는 롯데백화점의 문화센터를 운영하고 방

송교육부는 방송아카데미, 학점은행제를 담당한다. 그외에 인사, 총무, 회계 등을 맡

고 있는 경영관리부와 온라인 방송교육, 출판 등을 맡고 있는 기획개발부로 이루어

져 있다.

(3) 교육 체계 운영

크게 방송아카데미와 학점은행제로 나눌 수 있다.

12) http:/ / ww w .mbcacademy .co.kr/

Page 8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72

가) 방송아카데미

주간과정과 야간과정, 뮤직스쿨로 구성되어 있다. 뮤직스쿨은 (주)엠 베이스와

MBC아카데미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교육과정인데 주간과정과 뮤직스쿨이 6개월 과

정인 반면 야간과정은 5개월 과정이다.

<표Ⅳ- 19> MBC방송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구분 과정 교육부문 수강료(원) 교육시간

주간과정

연출기획ㆍ드라마ㆍ교양ㆍ예능ㆍ라디오ㆍ보도

2,400,000 주3일 3시간

TV카메라 ENGㆍSTUDIO카메라 2,500,000 주5일 3시간

아나운서아나운서ㆍ리포터ㆍMCㆍ뉴스캐스터

2,500,000 주3일 3시간

제작기술편집ㆍ음향ㆍ조명ㆍ영상ㆍ송출ㆍCMㆍCF

2,500,000 주5일 3시간

주간과정

구성작가교양ㆍ오락ㆍ다큐멘타리ㆍ시트콤ㆍ보도ㆍ코미디ㆍ라디오

2,300,000 주3일 3시간

드라마작가 드라마ㆍ시나리오ㆍ단막극 2,300,000 주3일 3시간

성우영화ㆍ만화더빙ㆍCMㆍ라디오드라마ㆍ나레이션

2,400,000 주3일 3시간

코디메이크업메이크업ㆍ헤어ㆍ방송의상연출ㆍ토탈코디

2,300,000 주4일 3시간

이벤트프로듀서이벤트기획ㆍ전시ㆍ박람회ㆍ문화관광ㆍ공연연출기획

2,200,000 주3일 3시간

야간과정

디지털비디오저널리스트

기획ㆍ연출ㆍ촬영ㆍ편집ㆍ더빙ㆍ구성 1,990,000주3일 2시간

40분

방송전문진행자 MCㆍ쇼호스트ㆍ리포터ㆍVJ 1,990,000주3일 2시간

40분

구성작가교양ㆍ오락ㆍ다큐멘터리ㆍ시트콤ㆍ보도ㆍ코미디ㆍ라디오

1,990,000주3일 2시간

40분

코디메이크업메이크업ㆍ헤어ㆍ방송의상연출ㆍ토탈코디

1,990,000주3일 2시간

40분

뮤직스쿨

레코딩엔지니어

오디오믹싱ㆍ음반제작ㆍ녹음 3,100,000 주3일 3시간

음반 프로듀서 가요음반ㆍ드라마 음반제작 실무 2,300,000 주2일 4시간

미디 작ㆍ편곡 작곡ㆍ편곡 2,500,000 주3일 3시간

Page 8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73

나) 학점은행제

교육부에 의해 학점인정인가를 취득한 교육기관의 성격을 갖는다. 방송전문기술과

전문학사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2년 이상의 교육기간과 80학점 이상의 학점을 이수

해야 하며 교양과목(20학점 이상)은 MBC아카데미와 학점교류약정을 체결한 한양대

학교 사회교육원에서 취득할 수 있다. 각 학과별 매 학기에 1회 이상의 방송현장 실

습강의를 편성하여 현장감각을 키우며 학생 자치활동비 지급과 장학금제도를 실시

하고 있다. 방송음향학과와 방송영상학과 2개의 학과가 개설되어 있으며 40명씩 모

집한다. 전공과목 수업은 주5일 진행되며 교양과목은 한양대학교에서 토요일 오후2

시부터 진행된다.

<표 Ⅳ-20> MBC 아카데미 학점은행제 학과별 교육내용

학과명 교육내용취득

학위

방송음향

일반교양, 디지털오디오개론, 방송음향실습, 음향공학, 음향기기,

전자공학, 컴퓨터음악, TV연출론, 방송개론, 무선통신공학, 음향

설계, 전기회로이론 등 공업

전문

학사방송영상

일반교양, TV공학, TV카메라개론/실습, 영상미학,

영상편집 개론/실습, TV연출론, 멀티미디어개론,

방송개론, 색채학, 전자공학 등

(4)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가) 방송아카데미

각 과정별로 이론교육과 실습교육, 종합워크숍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방송제작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실무교육이 진행된다. 이론적 바탕 위에 프로그램 제작에 대

한 기능배양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 교육생들이 팀을 구성하여 졸업작품을 만

드는 기회가 교육에 포함되어 있다.

Page 8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74

<표 Ⅳ- 21> MBC 아카데미 개요

과정 부문 교육내용

연출

이론교육

방송개론, TV연출론, 방송제작론, 방송기술론, 프로그

램 기획/구성, TV편성론, 카메라개론, 방송음향. 방송

조명, 영상편집론 등

전문실습드라마, 다큐멘터리, 라디오, 예능 등 분야별 프로그

램기획, 제작실습

종합워크숍 팀별로 비드라마, 드라마제작

아나운서

이론교육방송언어론, 방송용어, 연기론, 발성, 기사작성, TV연

출론, TV음향, 카메라개론, 취재보도론

전문실습아나운서, 앵커, MC, DJ, 리포터, 인터뷰, 나레이터,

헤어실습 등

종합스튜디오제작 팀별 제작

TV카메라

이론교육카메라개론, ENG개론, 다큐촬영론, TV음향, TV조명

보도촬영론

전문실습드라마, 다큐멘터리, 쇼, 교양, 스포츠 등 스튜디오와

야외촬영

종합워크숍 팀별 드라마, 비드라마 제작

제작기술

이론교육영상기술, 조명, 음향, 편집, TV제작, 디지털기술과

방송기기, 카메라개론, 방송개론

전문실습조정실 운영실습, 프로그램별 조명ㆍ영상ㆍ오디오믹싱

ㆍ편집실습 등

종합워크숍 팀별로 드라마ㆍ비드라마 각 1편씩 제작

Page 8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75

<표 Ⅳ- 21>에서 계속

구성작가

이론교육

방송의 이해, 아이디어발상법, 방송촬영, 방송기술론, 영

상편집, 대본작성법, 프로그램구성론, 다큐멘터리구성,

생활정보프로구성, 유아프로구성, 보도프로구성, 시사고

발프로구성, 종합스튜디오 구성, 시트콤구성, 코미디구성,

토크쇼구성, 라디오프로 구성

구성실습교양, 예능, 시사, 코미디, 시트콤, 보도프로그램 등의 구

성실습

종합실습

연출, 아나운서, TV카메라, 방송기술, 구성작가, 드라마

작가 과정이 제작팀 구성하여 뮤직비디오, 드라마, 비드

라마를 각 1편씩 제작하고 종합스튜디오 형태의 프로그

램으로 편성제작

드라마작가

이론교육

방송편성, 방송심의. 방송촬영, 소재와 인물선택, 지문과

대사, TV드라마 기획제작법, 미니시리즈작법, TV단막극

작법, 시나리오 작법, 라디오드라마 작법, 코미디작법,

시트콤 작법

작법실습 단막극, 특집극, 미니시리즈, 연속극 등

종합실습

연출, 아나운서, TV카메라, 방송기술, 구성작가, 드라마

작가 과정이 제작팀 구성하여 뮤직비디오, 드라마, 비드

라마를 각 1편씩 제작하고 종합스튜디오 형태의 프로그

램으로 편성제작

나) 학점은행제

교육내용은 표준교육과정표(전공필수6과목, 전공선택25과목)에 따르며 구체적인

전공과목들은 다음과 같다.

Page 9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76

<표 Ⅳ-22> MBC 아카데미 학점은행제 교육과정 개요

학과 전공필수과목 전공선택과목

방송영상

학과

영상미학

TV공학

TV카메라 개론

영상편집 개론

TV카메라 실습Ⅰ

영상편집 실습Ⅰ

영상기기 개론, 영화개론, 사진예술론, 색채론,

표현특수연구, 영상기획론, 전자공학, 방송개론,

TV연출론, 디지털오디오 개론, 디지털비디오 개

론, 조명기술, 디지털공학, 디지털신호처리, 음향

기기 개론, 멀티미디어 개론, 전기회로 이론, 정

보사회와 뉴미디어, 전자계측, 정보통신 개론, 무

선통신 개론, 컴퓨터그래픽, 뉴 미디어론, TV카

메라실습Ⅱ, 영상편집 실습Ⅱ, 음향기기 실습

방송음향

학과

음향공학

전자공학

디지털오디오 개론

음향기기 개론

컴퓨터음악

방송음향 실습Ⅰ

음향기술, 음향효과론, 음악개론, TV공학, 전기

회로이론, 전기자기학, 자동제어, 디지털비디오

개론, 음향설계, 전자계측, 방송개론, TV연출론,

라디오연출론, 안테나공학, 무선통신공학, 위성통

신개론, 정보통신개론, 디지털신호처리, 영상기기

개론, 통신영어와 법규, 전자계산기 공학, 전기회

로 이론,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ISDN개론, 컴퓨

터 음악실습, 음향녹음실습, 전자음향실습, 디지

털오디오 편집실습, 방송음향실습Ⅱ

(5)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방송아카데미의 교육과정에서는 디지털 미디어 과정이 별도로 있지 않다. 제작기

술과정에서 디지털기술에 관련된 이론교육이 있고 학점은행제 학과교육에서는 몇몇

과목을 찾아볼 수 있다.

▶방송영상학과내 디지털미디어 관련 커리큘럼

표현특수연구 : CG 등을 이용한 영상의 특수한 표현 처리 이해

디지털오디오개론 :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시스템에 관한 이론

디지털비디오개론 :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시스템에 관한 이론

Page 9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77

디지털공학 : 디지털 논리회로의 이해

디지털 신호처리 : 영상·음성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학적 이론

멀티미디어 개론 : 다양한 미디어의 성격과 기술적 통합기법의 이해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 정보사회에서의 뉴미디어의 역할과 발전 이해

정보통신개론 : 정보화시대의 다양한 디지털 통신망 구성,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의 이해

컴퓨터그래픽 : 컴퓨터 영상처리의 이해와 그래픽 도구의 사용법

뉴미디어론 :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의 매체에 대한 종합적 이론

▶방송음향학과내 디지털미디어 관련 커리큘럼

컴퓨터음악 : 전자악기를 이용한 음악/MIDI의 이해

정보통신개론 : 정보화시대의 다양한 디지털 통신망 구성, 프로토콜, 데이터

통신의 이해

디지털신호처리 : 영상·음성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수학적 이론

컴퓨터음악실습 : 전자악기를 이용한 컴퓨터 음악/ MIDI의 실습

전자음향실습 : PC와 비선형편집에 관한 이론 및 편집실습

3) SBS 방송아카데미13)

(1) 교육기관의 성격

SBS 방송아카데미는 96년 2월 다매체, 다채널시대에 요구되는 방송전문인력을 양

성할 목적으로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는 전문방송학원이다.

SBS방송아카데미는 수강생들이 6개월이라는 단기간에 방송실무를 익혀서 현업

근무가 가능하도록 주당 최고 30시간까지의 정규교육시간을 갖추고 있으며 실무경

험을 쌓은 각 과정 담임교수들과 전문지식을 갖춘 외부 강사들의 강의로 진행된다.

특히 실습교육에 있어서 SBS 방송아카데미는 마이크로방송이라는 교육프로그램

을 통해 생방송을 제작하게 된다. 즉 2개월의 기본이론교육을 마친 각 과정의 수강

생들이 새로이 조를 편성하여 기획, 촬영, 편집, 더빙, 연출, 방송 등의 방송제작과정

에 참여하여 매일 1시간 10분 프로그램인 「생방송 여기는 방송아카데미」를 만들

게 되는 것이다.

13) http:/ / ww w .sbsacademy.co.kr/

Page 9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78

한편 학생들에게 많은 양의 교육시간을 할애하고 있는데 이론교육시간의 경우,

MIDI & Digital Recording과정은 주 평균 30시간을 교육하며, 특수영상과정, 모션그

래픽과정, 디지털영상연출과정은 주24시간, PD, 카메라, 방송기술, 분장, 아나운

서.MC, 영상무대디자인, 영상조명, 인터넷방송PD 과정 등은 주 평균 18시간, 구성작

가, 시트콤작가, 드라마 작가, 외화번역 더빙, 과정은 주평균 12시간을 교육하고 있

다. 이는 타 방송 아카데미들에 비해 대체로 교육시간이 1.5∼2배에 달하는 교육시간

을 갖는 셈이다.

실기교육시간 경우엔 제작프로그램 양이 많아 기획, 촬영, 편집, 더빙, 생방송 및

강평 등 실습시간의 더욱 많아져(오후8∼10시경까지 시설, 장비 사용) 타기관에 비

해 2∼2.5배의 총교육시간을 갖고 있다.

그외 방송 디지털화에 대비하여 다양한 과정을 신설하고 있다. 디지털 영상 연출

과정을 비롯하여 영상 조명, 영상무대디자인 과정이 98년 하반기에 신설되었고 2000

년 초에는 드라마수요 증가에 따른 드라마작가과정을 신설하였고, 2000년 후반엔 인

터넷방송의 폭발적인 증가에 대처한 인터넷 방송 PD 과정을 신설하였으며 2002년

상반기(13기생)부터는 방송분야 외에도 날로 수요가 팽창하는 각종 문화행사에 필요

한 전문인력 배양이 절실히 요구되어 새로이 문화연출학부 를 신설한다. 이 학부내

에는 공연연출과정, 컨벤션기획과정, 이벤트PD과정, 문화컨텐츠기획과정, 홍보과정,

캐릭터마케팅과정, 스포츠에이전시과정, 매니지먼트과정, 컨벤션도우미과정 등 9개

과정을 신설하였다.

(2) 교육 체계 운영

교육 체계는 방송학부와 문화연출학부로 나뉘어져 있다. 이중 방송학부는 16개의

교육과정으로 6개월간 학과별 주2일, 3일, 5일 교육시간을 갖는다.

이외에 몇가지 특징들을 찾아보면 다음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 방송의 특징

방송 내용보다 규모나 시간은 짧지만 학생들이 직접 실제 방송국과 똑같은 프로

그램을 제작하여 방송직후 그 결과를 담임 교수의 강평을 통해 교육을 받는, 본격적

인 실기교육으로서 3개월간 계속된다.

마이크로 방송은 주3∼4일 생방송되며(동시에 인터넷 방송도 실시) 프로그램 내

용은 드라마(시트콤), 쇼 오락프로, 다큐멘터리, 시사프로(카메라출동), 뉴스, 교양프

Page 9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79

로(현장탐방 및 아카데미 오락관), 외화(영어, 일어) 더빙 프로그램, 뉴스, 일기예보,

오늘의 영상, TV에세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마이크로 방송에는 아카데미 내

각 과정의 모든 학생들이 각자 참여하며, 또한 각자 학생들은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제작해 봄으로서, 방송제작의 전반적이면서도 다양한 경험을 갖게 된다.

PD과정의 예를 들면 PD 과정 학생 1인이 마이크로 방송기간(3개월)중에 드라마

(시트콤), 쇼 오락, 다큐멘터리, 카메라출동, 현장탐방, 아카데미 오락관 등 6가지 프

로그램을 각 1회씩 단독 연출, 제작, 방송을 하게 되는 것 외에 생방송 연출(CP 및

MD실습)1회와 조연출(AD, FD)실습 1회, 그리고 마이크로 방송이 끝난후 마지막 1

개월간은 자기가 선택한 본격적인 졸업작품 1개를 제작 출품하게 되어 있다.

▶인터넷 방송의 특징

SBS아카데미는 독립 인터넷 방송국을 개국하여 2001년도 1월부터 방송을 시작했

다. 인터넷 방송PD과정 학생들이 주체로 그들의 실습작품과 마이크로 방송프로그램,

디지털영상연출과정의 작품들 외에 다양한 콘텐츠로 방송되며 SBS의 인터넷 방송

국인 SBSi와 제휴하여 실습교육협조를 통해 프로그램의 기획, 제작의 폭을 넓히고

있다.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방송제작관련 교육과정과 구체적인 커리큘럼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표 Ⅳ-23> SBS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과정 교육내용

PD

1주 : 한국의 방송, 방송개론, TV조명, TV편성론

2주 : TV카메라,TV미술, TV음악, 방송기술, TV외화더빙, TV분장

3주 : TV아나운스/ MC론, TV CG, 다큐멘터리 기획, 구성, 연출

4주 : 생활정보프로그램 기획,구성,연출, 쇼.버라이어티 프로그램 기

획 구성 연출, 시트콤.코미디 기획,구성,연출, TV 프로그팸 제

작 일반, TV드라마론, 드라마제작의 과정과 실제

5주 : TV연출론, 드라마연출, 영상문법, 콘티작성

6주 : 콘티 실습

7주 : 편집론, ENG 카메라 촬영기법 및 실습, ENG 편집 실습

8주 : 종합편집운용,실습,더빙연출,실습,스튜디오,부조정실 연출, 실습

Page 9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80

<표 Ⅳ- 23>에서 계속

과정 교육내용

카메라

카메라개론 /영상언어문법 / 영상제작법/ 카메라 렌즈, 헤드/ VCR/ 조

명실습/ 방송개론/ 기술개론/ 연출개론/ 구도/ 다큐멘터리 영상제작법/

보도영상제작법/ 영상비평/ 편집이론/ ENG 카메라 실습/ STUDIO 카

메라 실습

구성작가구성작가론/ 매체의 이해/ 영상이론/ 뉴미디어와 작가의 역할

종합구성 프로그램/ 다큐멘터리/ 쇼오락 프로그램/ 코미디

영상조명

프로그램 제작 기술/ 방송 기술의 이해/ 조명의 기초

영상 조명 장비/ 카메라 제작 기술/ Light 기법

조명 효과 장비 이론 및 실습/ 3∼5 인물 조명/ 드라마 조명

쇼 조명/ 보도, 교양 조명/ 음악 조명/ 야외 조명/ 세트 조명

무대 조명/ SBS 스튜디오 파견실습

영상무대

디자인

TV 디자인과 미술제작 시스템(스튜디오 메커니즘/카메라의 이해 /스튜

디오 조명과 로케이션/ 의상,특수분장에 대한 접근/ 영상편집) TV 무대

디자인 기초, 비쥬얼 프리젠테이션(Autocad2000/ 파워포인트/ 일러스트

레이터/포토샾/ 3D MAX)

방송기술

영상 측정/ 영상 편집 기술/ 디지털 방송/ 라디오 부조정실 시스템 /

TV 부조정실 제작 기술/ 라디오 부조정실 제작 기술/ ENG 편집 기술/

TV 중계/ 위성 방송/ 영상 제작 기술(실습)/ 더빙 제작 기술/ 디지털

방송 기술/ 종합편집 기술/ 인터넷 방송/ CATV 방송/ 현장 실습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SBS방송아카데미는 신설교육과정을 통해 디지털 미디어 과정을 강화하고 있는데

방송학부 안에 특수영상 그래픽, MIDI & Digital Recording, 디지털 영상연출, 인터

넷방송PD 에 관한 교육과정이 있다. 이들 교육과정은 디지털 방송시대의 개막을 앞

두고 관련 고급장비의 이용을 전제로 하여 활용능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교육 커리

큘럼을 구성하고 있다.

Page 9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81

<표 Ⅳ-24> SBS아카데미 디지털관련 교육과정

학과 과목 교육내용

특수

영상

그래픽

1. Basic design

2. Motion graphics broadcast design/ promos design

3. Commercial graphics

4. T elevision Commercial 프로젝트 진행기법

5. Visual FX : Matte painting, Video painting, Motion

tracking, Motion Stabilize, Color Correction, 3D

Tracking, 특수효과기법(3D), morphing, warping

6. Digital video editing

7. 3D animation

미디

디지털

레코딩

1.

음악이론

화성학과 코드의 성질 응용, Vocing의 여러 가지 방법. 대리

화음을 통한 코드의 활용법.

2.

음향이론

주파수와 음파, Envellope, Effecter, Com/Lim, Tube/ Gate,

계통도, Analogue/Digital, PCM, OMS/DAE, 녹음기의 구

조/기능, Pre/Post , Balance/Unbalance, CD Format ,

Sync, T imecode, MIC, Speaker, 입체음향, Modulation,

Send/Return, 동시녹음, 효과제작, 등 사운드의 녹음과 믹싱

에 필요한 기초이론 교육

3.

영상이론/

방송이론

영상매체의 역사, 각종 영상매체의 분석, 시청자별 프로그램의

성격파악, 영상과 음악의 공감각, 대중의 매체수용특성 등에

대한 연구로, 연출의도에 따른 배경음악 제작을 위한 영상이론

교육

4.

재즈이론

Mode의 종류(교회선법의 활용과 실습), 고급 현악 편곡,

Scale의 다양한 종류와 응용. 에 드립의 방법과 tow - five의

활용, 고급전조, 각국의 민속음계 연구 등 음악이론 교육.

5.

미디실습

미디의 개념이해를 통해, Studio Vison / Cake Walk 등

IBM / MAC의 시퀀싱 프로그 램을 운용하고, 각종 이벤트

데이터의 활용법 교육.

6.

음향실습

사운드 편집, 각종 소스의 마이킹, 악기별 T one Control,

Track Down실습, Protools Control, Patch Bay활용 등

실제 녹음과 믹싱과정 전반에 대한 실습과 졸업작품 CD제작.

Page 9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82

<표 Ⅳ-24>에서 계속

디지털

영상연

프로그램 제작 : 방송제작사, 프로그램 제작과정, 영상표현, 프로그램 유

형, 큐시트

영상제작 기술의 이해( 방송의 역사, 방송설비, 전파기술, 텔레비전 원

리, CATV방송, 위성방송, 인터넷방송)

아카데미 방송설비(TV 스튜디오, TV 부조정실, 라디오스튜디오, 종합편

집실, ENG편집실)

영상카메라 제작기술(ENG카메라, 휴대용 카메라 (6mm), 촬영 테크닉)

영상편집기술 (ENG편집, 종합편집)

컴퓨터그래픽 (타이틀그래픽, 컴퓨터그래픽)

디지털영상편집(디지털영상기술, 음향기술, 편집기술, 타이틀기술,

2D기술)

디지털영상장비(Digisute 편집장비, 타이틀, SW, 프로그램 타이틀 및

로고, 3D Effect )

애니메이션, 3D Studio, Light Wave 3D

인터넷

방송PD

인터넷 방송 개론/ 시스템설치 및 OS, 인터넷 방송 시스템

미디어 변천 및 응용/ 인터넷 비즈니스/ 컨텐츠 개발론/ 벤치마킹

6mm 사용법/ Web 사이트 기획론/ 홈페이지 제작 기법 (Photoshop,

드림위버, 플래시)

ENG 사용법 / 편집/ 스트리밍이해

웹 프로그래밍/ 제작 사전작업 / 의미화의 작용

영상표현의 방법연구 / 촬영 / 편집 및 믹싱 / 음향, 음악

내러티브 구조/ 기획의 차별성

디지털 동영상편집 (프리미어)/ 정보물 기획촬영, 편집강평

홍보물 기획촬영, 편집/ 인물다큐 기획촬영, 편집

뮤직비디오 기획촬영, 편집/ WMT / 네트워크 서버운영

Web 사이트 기획 / Web 사이트 기획 Presentation

인터넷 방송국 운영 및 구축/ 인터넷 라디오 방송/ 데이터베이스

Real System / 응용/ 인터넷 방송국 개국 프로젝트

Page 9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83

4) 한겨레 문화센터14)

(1) 교육기관의 성격

한겨례신문사 문화센터는 사회변화에 따라 다양한 정보와 문화를 접하고 배움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는 일종의 사회교육기관이다. 1995년 3월에 개관하여 현재 130

여개 강좌에 연인원 3만여명이 수강하고 있고 문화, 정보, 환경, 영상 등의 각 영역

에 대해 다양한 강좌와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전문학교와 전문강좌를 통해 전

문성을 키우는 동시에 건강, 예술, 교육, 여성취업, 교양 등의 실용강좌를 통해 문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수강자를 주축으로 한 동호회를 지원하여 주

체적이고 창조적인 문화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이외에도 어린이 교육비디오 도서관

사업과 도서대여사업(회원대상) 등을 운영하여 영상교육을 진행하기도 한다.

(2) 교육 체계 운영

문화센터가 벌이는 교육사업은 크게 전문학교, 전문강좌, 생활강좌, 컴퓨터강좌, 특

강 등으로 구성된다. 각 강좌별 수강료나 수업시간은 다양하다. 1년에 4회(봄

- 3월, 여름-6월, 가을-9월, 겨울- 12월)에 개강하고 보통 주2일 수업을 진행하며 3∼4개

월간 진행된다. 구체적인 강좌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전문학교 : 학교 내에서는 배우기 어려운 오랜 경력의 현장실무자들의 현장실

무자들의 생생한 노하우를 습득·체화하여 문화예술분야 창작에 있어 독립적

인 활동이 가능한 아마추어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학교 밖 학교

전문강좌 : 인문, 사회, 문화 및 직능분야의 해당 전문가와 일반 대중이 만나는

자리로 지식과 정보를 함께 나누며, 생활속에서 각자가 필요로 하는 전문성 향

상을 돕는 강좌

생활강좌 : 바쁜 현대인들이 잠시나마 생활 속의 여유를 찾아,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생활의 질을 높이는 기회를 주는 강좌들과 다음 세대의 교육을 실천적

으로 모색하는 장을 만들어 주는 강좌들로 구성

컴퓨터강좌 : 정보화시대에 필수자산인 컴퓨터활용능력을 향상시켜 시대의 변

화와 빠르기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강좌

14) http:/ / ww w .hanter21.co.kr/ navi/ index .hcl

Page 9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84

(3)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한겨례 문화센터에서 개설된 디지털미디어 관련 과정은 전문학교내 디지털비디오

저널리스트 과정을 들 수 있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비디오저널리스트로서의 활동을 위한 기본소양과 실무능력을

배우는 강좌로서 비디오저널리즘에 대한 이해를 비롯하여 미니다큐멘터리를 만들기

위한 기본과정과 디지털비디오카메라의 조작법, 촬영실습, 디지털 영상편집 등 실습

위주의 강좌를 진행한다. 특강을 통해 비디오저널리스트들의 활동에 대한 평가, 웹캐

스팅, 퍼블릭 액세스 등에 대해서도 살펴보는 시간을 준비하고 있다.

600.000의 수강료로 약 3개월간 주2일 2시간 진행되며 2명의 전문 강사에 의해 진

행된다. 세부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다.

<표 Ⅳ- 25> 한겨레 문화센터 VJ과정 교육개요

구분 강의순 세부내용

Part 1.

비디오

저널리즘

의 이해

1 오리엔테이션 : 비디오 저널리스트의 개념, 역사, 현황2 VJ연출의 기초3 영상제작의 4단계4 편집의 이해 : 리니어편집을 통한 커트편집의 이해5 야외촬영 실습6 디지털 영상편집의 이해 : 프리미어 기본툴의 이해7 현장실습 및 평가 Ⅰ8 디지털 영상편집의 이해 : 캡쳐 & 엔코딩9 현장실습 및 평가 Ⅱ10 미디어 액세스권의 확보와 퍼블릭 액세스의 방향11 1차 프로젝트 시사회

Part 2.

디지털비

디오

제작실무

12 비디오 저널리스트들의 활동현황과 평가13 VJ 연출론14 Post Production : Digital Effect15 미니다큐 만들기Ⅰ16 디지털 미디어의 이해와 웹캐스팅17 미니다큐 만들기 Ⅱ18 방송작가 특강19 미니다큐 만들기 Ⅲ20 2차 프로젝트 시사회21 VJ 특강22 최종시사 및 수료식

Page 9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85

5) 중앙방송 아카데미15)

(1) 교육기관의 성격

논픽션 TV Q채널에서 VJ전문과정을 개설하였다. 뉴미디어 시대의 도래와 함께

영상분야의 전문인력인 VJ를 양성하고 수준높은 영상물 제작능력을 배양하는데 목

표를 두고 있다.

VJ라는 개념을 처음으로 국내에 도입시킨 Q채널 <아시아리포트>VJ들이 실습위

주의 현장용 강의를 진행하고 가편집실은 물론 수강생에게 중앙방송 Q채널 종합편

집실을 개방한다. 또한 우수 수료자에 대해서 Q채널에 졸업작품을 방영하는 기회를

부여한다.

(2) 교육 체계 운영

주3일 2시간동안 총 54시간 10주간의 교육이 진행되며 35명 정원을 모집한다. 수

강료는 80만원이다.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비디오 저널리스트 시스템 운용에 필요한 방송실무를 중심으로 커리큘럼을 구성

하였는데 프리미어 등의 non- linear 편집 시스템을 가르치지 않는다. 기술적으로 숙

지하는 데에만 상당한 시간이 필요한 관계로 시간 대비 효율이 떨어진다고 판단하

여 기존 1대1 편집기를 이용한 linear편집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한다. 오히려 1:1 편

집실습 및 방송제작현장인 Q채널 종합편집실에서 편집감독과 함께 하는 종합편집

등 기존 방송시스템의 경험을 통해 작품제작원리의 숙지를 강조한다.

특히 1차 실습과 2차 실습으로 나누어 조별 공동작품 제작과 개인별 작품 제작경

험을 갖도록 하고 있다. 1차 실습기간에는 5분- 10분 분량의 미니다큐를 팀별 촬영 5

일과 편집 2일을 거치고 2차 실습기간에는 1인당 1작품씩 10분내의 미니다큐를 제

작하여 개인별 촬영 3일과 편집 2일을 거치게 된다. 개인 작품제작시에는 Q채널 종

합편집실을 이용할 수 있다.

15) http:/ / ww w .qchannel.co.kr/ vj/ index .asp

Page 10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86

<표 Ⅳ- 26> 중앙방송아카데미 교육과정 개요

주별 교육내용 강의내용

1 VJ이해1 VJ란 무엇인가

2 VJ이해2 VJ의 현황과 미래향방

3 작품기획 작품기획론

4 촬영구성 촬영구성론

5 촬영1 6mm디지털카메라개론

6 촬영2 기본카메라앵글, 카메라워킹

7 촬영3 촬영원본을 중심으로한 연구

8 촬영4 인터뷰론

9 특강1 인디다큐의 방향

10 편집구성 편집구성론

11 편집1 가편집의 개념, 촬영과 편집과의 상관성

12 특강2 방송다큐의 실제

13 합숙워크샵(2일간) 1차워크샾 평가 조별토론

14 편집2 편집순서 및 촬영본의 편집예1

15 편집3 편집순서 및 촬영본의 편집예2

16 편집4 완성작을 중심으로 한 편집예1

17 편집5 완성작을 중심으로 한 편집예2

18 특강3 6mm 디지털영화

19 녹음구성 녹음구성론

20 후반작업 후반작업 개괄

21 2차워크샵평가1 1차분 작품평가

22 2차워크샵평가2 2차분 작품평가

23 2차워크샵평가3, 수료식 3차분 작품평가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중앙방송아카데미는 디지털 미디어 과정을 별도로 개설하고 있지는 않지만 비디

오저널리스트 과정이 디지털시대에 적합한 1인 제작시스템이고, 이에 활용하는 카메

라도 6mm 디지털 카메라이다. 단지 디지털 제작에 있어 비선형편집은 매우 중요한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아나로그 시대의 방식을 고수하는데 대해 아쉬움이 있다.

Page 10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87

5. 사설 아카데미

1) 서울국제방송아카데미16)

(1) 교육기관의 성격

1990년 한국영상예술원으로 개원하여 1998년 서울국제방송아카데미로 개명한 방

송전문 교육학원이다. 방송학원 최초로 정부공식인가를 받은 학원으로서 방송 연출,

제작, 매니지먼트에 관한 교육과정이 있고 수강생들의 취업알선도 하고 있다. 방송전

문 인력교육외에 대전 엑스포의 <거리의 볼거리>, 서울 정도 600년 <한양입성 행렬

>, 서울 시민의 날 행사 등 이벤트를 유치하여 기획, 연출을 맡기도 하였다.

(2) 교육 체계 운영

크게 방송연출제작과와 매니저과로 나뉘어 총 29명의 실무 교수진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진다. 방송 전문인을 양성하기 위해 주로 현장 위주의 체험학습, 전담교수제실

시, 영상장비 실습 등을 통해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방송연출제작과

방송사 취업시 바로 실무현장에서 쓰일 수 있는 인력양성을 목표로 한다. 방송제

작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 대해 방송 기자재의 원리를 배우고 현장에서 연출자와

촬영 감독의 요구를 빠르게 수용할 수 있는 커리큘럼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개인별

평가 카드 작성으로 수업태도 및 학습 능력 등을 체크하여 학생관리 시스템을 시행

하고 있다.

▶매니저과

캐스팅 디렉터와 마케팅 전략의 능력을 갖춘 매니저 양성, 체계적인 연예관리와

이미지 메이킹을 통해 스타의 효용 가치를 극대화시키는 전문매니저 양성을 목표로

한다. 현장에서 활동시 바로 투입될 수 있도록 준비시키며 연예인 매니저, 가수 매니

저, 스포츠매니저, 코디매니저를 양성하고 있다.

16) http:/ / ww w .siba.co.kr/

Page 10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88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방송연출제작과는 연출, ENG카메라, 스튜디오 카메라, 편집, 음향, 조명의 학과가

있으며 연출 및 기타 이론 편집 실기, 스튜디오 실습, 뉴스제작, 다큐멘터리 제작, 뮤

직비디오 제작 등을 수업내용으로 다룬다. 주3일 2시간 30분씩 6개월의 과정으로 진

행되며 수강료는 180만원이다. 구체적인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다.

<표 Ⅳ-27> 서울국제방송아카데미 방송연출제작과의 교육과정

교육과정 커리큘럼

1개월방송개론/ 영상론/ CATV의 이해/ 프로그램 각론/ 방송용어해설/

방송기술 총론/ 연출과 카메라

2개월TV카메라의 이해/ 카메라실습/ 야외 촬영/ 편집론, 편집실습/ 스위쳐

실습/ 조명론, 조명실습

3개월CUE- Sheet 및 콘티연구/ 무대미술 음향론, 실습 / 프로그램 기획

서- 작성법/ CF/ 연출의 실제

4개월 좌담프로/ 제작/ 촬영/ 꽁트제작/ 뮤직비디오/ 콘티수정/ 편집

5개월다큐란?/ 시사평,다큐콘티수정/ 다큐촬영/ 촬영/편집/ 드라마의 실체

녹음/ 시사평/ 콘티수정

6개월 촬영/ 편집/ 시사평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서울국제방송아카데미에는 별도의 디지털미디어 교육과정을 개설해 놓고 있지는

않으나 방송연출제작과에서 작품제작을 통해 디지털 제작과정을 익힌다.

2) 한국영상방송아카데미17)

(1) 교육기관의 성격

한국영상 방송아카데미는 공중파방송국, 케이블 방송사, 위성방송국, 기업체 사내

17) http:/ / ww w .kacademy .co.kr/ main.html

Page 10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89

방송국, 프로덕션 등 제작업체에서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제작인력을 양성하는 방송

취업 전문교육원이다. 수료생 전원 방송업계 취업을 목표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교육과정과 스파르타식 교육으로 현장에 즉시 투입가능한 실무형 인력양성에 힘쓰

고 있다. 특히 교육과정 졸업후 방송유학의 기회를 제공하는데, 교육교류 협력학교인

일본 동방(TOHO)방송예술 전문학교에 유학을 알선하기도 하며, 현장에 바로 투입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제작사에 교육원의 교육과 병행한 파견연수제를 교육기간에

실시하기도 한다.

(2) 교육 체계 운영

방송 취업 전문 교육은 크게 연출, 카메라, 방송기술, 진행자, 구성작가의 5개 과정

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행자과정을 제외(3개월)하고 모두 6개월 과정으로서 주3일

수업(진행자 과정은 주2일)이며 방송연출/제작/구성작가 과정은 1차 서류심사와 2차

면담으로 수강생을 선발한다. 그리고 진행자과정은 1차 서류심사와 2차 실시 테스트

를 실시하는데 자질있는 수강생을 선발한다는 원칙을 두고 있다.

(3) 전반적인 교육커리큘럼 구성

<표 Ⅳ- 28> 한국영상방송아카데미의 교육과정 개요

과정 개요 교육 커리큘럼

방송

연출

프로그램 기획/연출, 촬영, 편

집, 구성 등 각 분야별 이론교

육(5개월)을 받은후 1개월간

집중적인 실전제작의 졸업작품

제작기간을 갖는다

방송프로그램 제작론/ 기획론/ 종합구

성론/ 편집실습/ 카메라실습/ 조명/ 음

향실습/ 멀티미디어개론/ 영화제작론/

타큐멘터리/ 드라마제작론/ 비디오저널

리스트(6mm제작)/ 생방송실습 등

Page 10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90

<표 Ⅳ- 28>에서 계속

과정 개요 교육 커리큘럼

방송카

메라

프로그램 기획/연출, 촬영, 편

집, 구성 등 각 분야별 이론교

육(5개월)을 받은후 1개월간

집중적인 실전제작의 졸업작품

제작기간을 갖는다

방송개론 및 연출론, 스튜디오 카메라

이론/ 실습, 영상미학, 사진학, 영상구

성 실습, 6mm/ VHS 카메라 이론, 베

타캠 카메라 이론 및 실습, ENG 카메라

이론 및 실습 등의 교육과목이 있다.

방송기

(편집,음

향,조명,

연출)

디지털기술의 발전과 다채널 다

매체의 방송환경변화 속에서 다

양한 기자재에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제작기술교육을 실시

연출론, 영상미학, 촬영론, 사진학, 편

집이론 및 실습, 디지털 편집 실습/ .

미디어 개론, TV음향론, 조명론, 구성

론, VJ론, 영화제작론, 스튜디오와 부

조 실습, 인터넷 방송의 이해와 제작

시스템 등

진행자

(아나운

서,리포

터,성우)

메시지를 정확히 전달하고 프로

그램을 매끄럽게 이끌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반복 촬영

실습과 연기교육이 실시

표준발음 연습, 방송언어, 뉴스원고 작

성법, 리포팅 실습, 언어교정, 성과 호

흡법, 포트폴리오 제작 및 스튜디오 진

행 실습 등의 교육내용이 있다.

구성

작가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기획

하고 원고를 작성하기 위한 능

력을 배양한다. 프로그램의 구

성과 원고작성 위주로 교육을

하며 생방송 실습과 졸업 작품

기간을 통해 방송후의 결과와

반응을 검토

프로그램구성 개론, 각 장르별 프로그

램 대본분석, 영상제작론 및 제작실습,

촬영개론 및 편집 실습, 일반구성과 종

합구성의 개념, 모니터 및 기획안 작성

법 등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디지털 미디어 관련 과정이 별도로 있지는 않지만 디지털기술의 변화가 가장 민

감하게 받아들여지는 방송기술 과정에서 즉각적인 현장 투입을 위한 교육이 실시되

Page 10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91

고 있다. 즉 많은 기자재를 활용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수급을 위해 현업 강사진을

통한 제작 기술 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디지털 편집 실습과 미디어 개론, 인터넷

방송의 이해와 제작시스템 등의 커리큘럼을 마련하고 있다.

3) 한국방송아카데미18)

(1) 교육기관의 성격

한국방송아카데미는 전문학사취득을 목적으로 방송분야의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대학학위(학점은행)교육기관이다. 교육부의 학점인정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대학학위인정교육기관으로 지정받았으며 방송 실무에 바로 투입될 수 있는 실기 위

주의 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있다. 특히 다양한 교육활동을 지원하고 있는 점이 특징

인데, 동아리 활동이나 대학생들의 방송 프로그램 경연대회, 장학금제도(최고 이백만

원에서 최저 삼십만원까지) 그리고 저명 강사들의 특강이나 학생들의 진로, 취업상

담을 돕는 학생생활연구소 등이 그 예라고 볼 수 있다. 그외에 미국, 호주의 방송스

쿨, 일본의 동경방송학교와의 교육 시스템 교류와 전교생 대상으로 영어, 일어 회화,

인터넷(희망자)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2) 교육 체계 운영

교육 체계는 전문학사 학위를 수여하기 위한 과정과 방송계 취업을 목적으로 한

연수과정의 두 가지로 나뉜다.

가) 방송전문학사학부

▶전문학사 학위를 갖기 위해서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일정기준 이상의 교과과

정을 이수해야 한다. 특히 한국방송아카데미에서는 대학학위 취득과 방송계취

업을 동시에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일정기간은 방송프로제작 전반에 관

한 기본 필수 교육을 공통으로 받아야 한다. 따라서 2학년 1학기때부터 전공

(연출, 카메라, 음향, 작가, 분장, 방송그래픽, 광고, 이벤트, 연기자 등)을 선택

교육받게 된다.

18) http:/ / ww w .kbatv .co.kr/

Page 10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92

▶수업연한은 전문대학 학점취득 이수과정(2년)과 취업실무 실습기간 (6개월)을

합해 2년6개월로 하되 전문학사 학위만을 취득목적으로 하는자는 80학점을

이수하고 2년으로 한다.

이외에 고려대학교와 연계교육으로 교양과목을 수강할 수 있으며 강의는 월∼금

요일까지 교양과목, 방송전공과목, 방송실습 등 매일 3∼6시간 가량 받게 된다.

▶학기별 구체적인 이수과목은 다음과 같다. 1,2학기중 실기필수교육 공통필수

과목의 방송프로그램 기획, 카메라 쵤영, 음악, 편집, 조명 등 방송프로그램제

작에 전반적 기본방송을 교육받게 되며, 3,4,5학기에는 방송연출, 카메라, 편집,

음향, 조명, 방송분장, 방송작가, 무대디자인, 광고, 이벤트, 방송진행자, 멀티미

디어 등으로 전공을 선택하여 교육받는다.

나) 방송취업연수과정

방송취업연수과정은 6개월간 15개의 전공으로 주3일 3시간씩 진행된다. 고졸 학력

이상을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면접, 신체검사를 통해 수강생을 선발하며 졸업후 방송

계 취업을 목적으로 한다.

▶세부전공 : 방송제작, 방송연출, 방송음악/음향, 방송그래픽, 방송멀티미디어,

성우/아나운서/리포터, 매니저, 방송연기자/모델, 방송작가, 광고기획/이벤트,

방송코디/메이크업/분장, 무대디자인, 게임제작, 웹디자인/웹마스터, 프로그래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가) 방송전문학사학부

방송전문학사학부내 커리큘럼은 총 32개 과목이 있으며 방송제작과 관련된 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다.

Page 10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93

<표 Ⅳ-29> 한국방송아카데미 학부교육과정 개요

과목 교육내용

TV공학TV방송의 개요, TV신호와 방송방식, TV카메라, 영상제작을 위

한 영상장비의 기초, 영상장비의 측정, TV수신기술

TV카메라

개론

카메라워크에 대한 설명, 카메라 위치선정과 주의점, 카메라 앵글

의 종류와 사용법, 카메라 테크닉, 카메라조작종류, 렌즈, 필터사

용법, 화면구성의 기본원칙

TV카메라

실습1)

카메라구성실습, 카메라 녹화기 사용법, 카메라 색보정, 줌인, 줌

아웃 요령, 필터 사용법실습, Group Shot기법, 야외촬영기법

영상미학영상미학개념, 영상미학의 발전사, 영상미학의 특성과 종류, 영상

미디어와 문화

영상편집

개론

영상편집개념, 마스터 로그의 작성과 운용, 컨트롤 트랙/타임코드

/ 편집기 이해, 온라인과 오프라인 편집, 화상처리개념, 화상편집

영상편집

실습

OFF- Line편집개요와 실습, On- Line 편집개요와 실습, 뮤직비

디오 편집실습

TV연출론TV오락의 요소, 드라마와 대본, 배역찾기, 출연인물과 성격형성,

TV에서의 영상화, 극적 긴장 연출, 뉴스프로그램 연출

TV카메라

응용실습(Ⅱ)드라마제작, 쇼, 다큐멘터리, 뉴스, 연예와 오락, 스포츠

TV커머셜TV광고 제작의 일반과정, 표현전략, Creative Concept전개,

Creative work plan, 연출과정, 편집과정

디지털공학

개론

숫자체계와 코드, 논리소자와 부울대수, 순차논리, 연산회로, IC

논리계열, MSI

디지털

신호처리

시스템의 선형 차분 방정식과 주파수 응답특성, z변환의 정의와

성질, 연속신호의 푸리에 변환, 디지털 필터의 종류와 개념

Page 10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94

<표 Ⅳ- 29>에서 계속

과목 교육내용

디지털

오디오개론

디지털 신호처리 개념, 데이터 리덕션, 디지털 인터페이스, 디지털

기록과 전송원리, 디지털 음향기기의 종류와 동작이론

멀티미디어

개론

멀티미디어 응용, 시청각 정보전달의 메커니즘, 저장매체, 인터넷

과 멀티미디어, 가상현실

방송개론 방송편성의 이해, 보도제작의 이해, 방송기술, 뉴미디어 종류와 전망

영상기획론영상과 텔레비젼의 관계, 영상과 카메라, 영상과 조명, 영상과 무

대디자인, 영상과 연기, 영상과 연출

영상편집

실습(Ⅱ)

편집장비, 테이프의 기록과 편집, 타임코드, 편집실제, 커트편집과

디졸브 편집 실습, Non- Linear 편집실습

영상편집

응용실습

편집 Conti 작성, EDL, Off-Line Editing, Effect&Composing,

On- Line Editing, Editing Review

음향기기

개론

마이크로폰, 스피커, 파워앰프, 데이프 레코더, 디지털 녹음/재생/

편집기기, 믹싱콘솔, 효과기, 오디오신호측정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뉴미디어와 멀티 미디어의 특성, 새로운 방송계 뉴미디어, 뉴미디

어와 매스미디어 산업, 뉴미디어와 인간 커뮤니케이션

조명기술 조명의 기초지식, 조명의 분류, 인공광원과 조명기기, 조명의 실제

뉴미디어론CATV와 뉴미디어, 종합디지털 방송, 뉴미디어 방송환경, 뉴미디

어 전망, 커뮤니케이션 위성, 텔레비젼 첨단영상하이비젼

컴퓨터

그래픽

Color 의 원리, 반사모델, 광선역 추적법, 음영 계산보간법, 렌더링

파이프라인

표현특수

연구

시각효과의 디자인, ILM의 피조물들, 애니메이션FX, 축소모형의

촬영술, 모형제작 실습

영상기기

개론

케이블 보상 증폭기, 색온도 보정 증폭기, Linear Matrix 회로,

페데스탈, 영상조정설비, 영상 스위처

나) 방송취업연수과정

방송취업연수과정내 방송제작과 관련된 교육과정으로 방송제작, 방송연출, 방송음

악/음향, 방송무대디자인, 방송멀티미디어, 비디오저널리스트 과정을 들 수 있다. 교

육과정의 개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Page 10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95

방송제작 : 방송에 대한 기초이해와 ENG기자재의 사용법을 배운다.

방송연출 : 새로운 방송영상기법에 대한 연구 및 제작, 연출기능의 개발을 위

해 다큐, 드라마, 쇼, 뉴스 등을 직접기획, 제작실습

방송음악/음향 : 방송음악과 음향을 디지털 시대에 맞추어 철저한 교육으로 창

조적인 전문 방송음악/음향인이 될 수 있도록 교육

방송무대디자인 : 직접 무대를 디자인하고 실습/제작하여 방송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분석, 평가, 창작 할 수 있도록 구성

방송멀티미디어 : 방송멀티미디어 과정은 각 방송사에서 필수적으로 사용하는

CG및 CD-ROM, 멀티타이틀 등을 숙지

비디오저널리스트 : 방송에 대한 기초이해와 ENG 및 스튜디오 카메라 등 기

자재의 정확한 사용법을 배우며 새로운 방송영상기법에 대한 연구 및 제작, 연

출기능의 개발을 위해 다큐, 드라마, 쇼, 뉴스 등을 직접기획, 제작실습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한국방송아카데미는 전문학사 학부과정과 취업연수과정에서 디지털관련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디지털공학개론과 디지털신호처리 , 디지털오디오개론 , 멀티미디

어개론 등에서 디지털의 기초적인 개념을 다루고 있고 정보사회와 뉴미디어 뉴미

디어론 에서는 케이블TV/위성방송/인터넷방송 등의 급변하는 방송환경을 소개하고

앞으로의 전망을 제시하고 있다. 이외에도 멀티미디어 과정에서는 멀티미디어 시스

템과 제작, 웹 서비스 등을 다루고 있으며 비디오저널리스트과정에서는 조명과 카메

라의 실습, 영상편집의 실제와 연출실습을 다루고 있다.

4) VFX 디지털 영상원19)

(1) 교육기관의 성격

미국 헐리우드 영화에서 쓰이는 최신 영상기법을 가르치는 사설기관으로서 전문

가를 초빙해서 영화CG 특수효과를 배울 수 있도록 한다. 헐리우드 영화 CG 특수효

과의 양대 산맥인 ILM과 디지털 도메인에서 활동해온 강사를 통해 교육과 헐리우드

취업알선까지 전담하고 있다. 단순한 CG가 아닌 고난이도의 특수효과를 배울 수 있

다는 점을 강조한다.

19) http:/ / ww w .visualfx .co.kr/

Page 11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96

(2) 교육 체계 운영

3학기 1년과정이며 학기당 4개월(16주)의 과정을 거친다. 매년 1월, 5월, 9월에 개

강한다.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컴퓨터 그래픽과 프로그래밍, 영어, 이론수업외에 외국 CG 전문가 초청특강도 실

시한다.

(4) 디지털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컴퓨터그래픽은 8개의 과목을 개설하고 있으며 프로그래밍은 C, C++, Unix 등의

3개 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컴퓨터 그래픽의 각 과목에 대한 개요는 다음과 같다.

<표Ⅳ- 30> VFX CG 과정 개요

과목 개요

3 Dimensional

Modeling

3D 소프트웨어 내에서 조형물(실존, 비실존)을 만드는 작업이며

3D모델링을 하는 전문가를 Modeler라고 한다.

3 Dimensional

Animaion

3D 모델링에서 만들어진 조형물에 살아있는 듯 움직임을 주는

작업이며 3D 에니메이션을 하는 전문가는 Animator라 한다.

Lighting &

Rendring

3D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만들어진 조형물을 실제 정면에 존재하

는 것처럼 보이도록 덱스처를 입히고 빛을 조절해 이미지로 완성

하는 작업이며 이런 전문가를 TD(T echnical Director)라고 부

른다.

Rotoscoping실사예 CG 3D 조명물을 합성할 때 필요한 Matte를 움직임에

따라 그리는 작업으로 이런 전문가는 Rotoscoper라 한다.

Page 11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Ⅳ. 국내 방송관련 교육기관 현황 97

<표Ⅳ-30>에서 계속

Matte

Painting

실존하지 않는 장면을 그림으로 재현해 내는 작업을 말하며 이런

전문가는 Matte Fainter라 한다.

CG Camera

Tracking

실사의 카메라 움직임을 3D소프트웨어 x,y,z 공간과 매치시키는

작업으로 이런 전문가는 Match Mover라 한다.

CG T exture

Pain

3D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T ex ture를 그리는 작업으로 3D

Paint er 라고 부른다.

Compositing각기 준비된 2D , 3D이미지를 사실적으로 합성하는 작업

을 말하며 이런 전문가는 Composit er라고 부른다.

6. 공공기구 부설 아카데미

1) 한국미디어교육센터20)

(1) 교육기관의 성격

한국미디어교육센터는 문화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한국언론재단, 한국방송광고공사,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 한국기자협회,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한국방송프로듀서연

합회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미디어 교육전문 공익기관이다.

주로 미디어 교육을 위한 강사 파견이나 신문제작의 실무지도 및 지면분석을 하

기도 하고 각종 신문에 대한 실무지원 및 기자연수 프로그램을 운영하기도 한다.

특히 전직 언론인과 언론사들을 위해 온라인을 통한 구인구직 등록과 검색시스템

을 운영하여 고용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교육 체계 운영

한국미디어교육센터는 신문, 방송과 관련된 기관·단체를 지원한다. 구체적인 지

원대상은 다음을 들 수 있다.

20) http:/ / ww w .pressjob.co.kr/ main.htm

Page 11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98

각급 학교, 사회복지관, 시민ㆍ사회단체 등 미디어 교육을 희망하는 기관과 단체

신문, 잡지, 회보 등을 발간하는 기관 및 단체

초·중·고 및 대학의 신문, 방송반

실무 지도 및 기자 교육이 필요한 지역신문, 전문신문, 잡지사 등

이러한 기관이나 단체 등에 대해 강사를 파견하는데 강사들은 신문사 및 방송국

에서 10년이상 근무했던 전직 언론인들 중 센터에서 실시하는 강사파견 교육을 받

은 분들에 한해 미디어 강사로 선발하게 된다. 또한 미디어 강사들의 원고를 모아

칼럼뱅크를 운영하기도 한다.

(3) 전반적인 교육 커리큘럼 구성

미디어 교육은 크게 미디어강사파견과 저널리즘 스쿨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저

널리즘 스쿨은 기자학교, 잡지사보 아카데미, 비디오저널리스트과정으로 구분되어 있

는데 저널리즘 스쿨은 수강생의 편의를 위해 저녁시간에 진행되며 현장중심의 실무

강의위주로 진행된다. 특히 각 과정별 수료작품집을 만들어서 실무경험을 교육과정

속에서 익히기도 한다.

(4)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세부 구성

디지털 미디어 과정과 관련된 교육은 비디오저널리스트 과정을 들 수 있다. 약

2달간 주2일 총 5시간을 수업받으며 VJ에 관심있는 일반인을 상대로 한다. 수강료는

15만원이고 30명을 정원으로 한다. 또한 1인 1작품 완성을 교육목표로 하기 때문에

실습과 이론교육의 병행으로 진행된다. 세부적인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다.

<표 Ⅳ- 3 1> 디지털 미디어 과정 커리큘럼

과정 과목

비디오저널리

스트 과정

VJ론/ 카메라의 기초/ VJ현황과 전망/ 촬영실습/ 기획론/ 촬영실

습/ 대본구성/ 제작기획안 작성/ 취재실습/ 편집이론 및 실기/ 후

반작업/ 작품제작(편집 및 보충 촬영)/ 시사회

Page 11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99

Ⅴ. 결론 및 정책 제언

방송의 디지털화가 방송산업의 교육요구 및 인력수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은 효율적 인력활용을 위한 정책수립에 매우 중요하다. 컴퓨터로 대표되는 정보산

업기술과 같은 새로운 기술의 도입은 고학력 고숙련노동자에 대한 수요를 상대적으

로 증가시키는 숙련편향적 노동수요를 결과하는 것은 이미 많은 연구에 의해서 확

인된 바이며 방송산업에서의 이러한 노동수요패턴은 직접적인 경험적 증거는 부족

하지만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인 특정부문에 대한 교육요구에서 나타난다. 여기서

특정부문은 디지털기술이 적용되어 직무내용이 크게 변화한 직무를 의미하는데 이

는 보다 신기술의 영향을 많이 받는 고도의 숙련이 요구되는 직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디지털방송시대를 맞는 국내 방송산업의 인력정책은 교육요구

가 점증하는 부문을 확인하고 교육과정도 이 부문에 집중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방송제작 현업인들에 대한 교육요구도 조사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디지털기술에 크게 의존하는 직무들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매우 높다

는 것이다. 방송제작기술 중 넌리니어편집 이외에 조명, 컴퓨터 그래픽, 디지털카메

라사용, 특수효과, HDTV 기술 등 디지털기술이 본격적으로 도입된 부문에 대해서

만 교육요구가 집중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방송제작 현업인에 대한 디지털

제작방식의 재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재교육의 부실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교육체계의 비체계성과 비효율성

탓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예비인력대상 교육기관의 부실, 방송인력채용관행의 문제

점 - 제작과 관련된 능력보다는 일반교양 및 학력위주의 선발 - 현업인에 대한 자

사연수의 부족 (KBS제외)과 체계적인 OJT의 부재에 기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디지털방송 제작기술에 대한 교육요구와 이를 충족시킬 효과적

인 교육프로그램의 부재라는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이 고려되

어야 한다.

첫째, 디지털방송제작 교육은 기존방송제작과는 다른 새로운 기술과 요소들이 필

요하기 때문에 재교육이 필수적이다. 디지털방송제작을 위해서는 예비인력의 양성보

Page 11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00

다는 현업 제작인력에 대한 재교육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기존의 현업 제작인력

의 재교육을 활성화하거나 강화하는 방안은 방송사 자사 연수센터의 기능을 강화하

는 방식이나 기존 현업인 재교육기관인 방송진흥원의 디지털방송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둘째, 디지털방송제작인력의 수급불일치를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

음과 같은 점들이 고려되어야 한다.

① 인력양성의 주체

디지털 방송제작교육은 엄청난 규모의 자원이 소요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비교

적 자금력이 빈약한 방송사부설아카데미, 사설아카데미 등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디지털 방송제작 인력양성의 주된 주체가 되기는 어렵다. 결국 디지털시대의 방송인

력양성의 주체는 공적자금에 의해 충분한 예산이 지원되는 공적기관이 되어야 한다.

물론 풍부한 자금력을 갖는 몇몇 메이저 방송사들은 자체 연수시설의 확충을 통해

인력양성의 주체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② 커리큘럼 구성방향

디지털방송 제작교육은 본 연구의 교육요구도 조사에서 확인된 바대로 디지털기

술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직무에 교육과정구성에서 우선 고려되어야 한다.

교과과정은 비선형편집기술과 활용, HDTV관련 제작기술 - 특히 촬영, 컴퓨터 그래

픽, 특수효과, 데이터방송 어플리케이션 디자이너 등을 집중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

다.

셋째, 디지털 방송의 등장은 새로운 미디어와 새로운 직무영역에 대한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핵심방송인력조사의 결과로부터 마케팅·저작권 전문가,

방송인력양성전문가 등이 새로운 중요한 직종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

다. 이러한 특수한 인력의 수급방식은 기존의 방송제작인력의 수급방식과는 달라야

할 것이다. 이들 직무에 대한 교육체계가 없는 상황에서는 공식적인 방송인력교육기

관에서가 아닌 경영학, 법학, 인적자원관리 등의 전문적 영역에서 경험을 가진 전문

가를 방송산업영역으로 유인하는 것이 방송예비인력풀에서 교육시키는 것보다 보다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공식적인 교육체계내에 이들을 위

한 교육과정이 수립되어야 할 것이다.

Page 115: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01

참고문헌

강만석외, 1995, 『방송전문인 연수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방송

개발원 연구보고서95- 20

김선준, 2000, 『영업직무 핵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고려대학

교 석사논문

김형철, 1996, 『유통기업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판매사원 교육요구분

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여현철, 2001 케이블T V PP시장 인력현황과 수요 , 『방송21』 방송위원회

제17호.

이정선, 1994, 『직무수행능력분석을 통한 산업교육과정 요구분석』, 연세대

학교 석사논문

한국기술교육대학교ㆍ한국노동연구원, 2000, 『신산업분야 훈련직종 및 프로

그램 개발을 위한 훈련수요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방송진흥원 2001 『디지털시대 방송산업 노동시장의 구조와 변화』 연

구보고서

Alm ehdi A . Agnaia, 1996, A ssessm ent of managem ent training needs

and selection for training : the case of Libyan companies ,

Int ernational Journal of Manpow er , Vol. 17

No. 3

Ezra Ondari- Okemwa, 2000, Training needs of practising professional librarians

in the Kenyan public university libraries: a critical analy sis , Library

Management , Vol. 21

No. 5

Page 116: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02

R. J . Q. Castley , 1996, T he sectoral approach to the assessment of skill

needs and training requirement s , Int ernational Journal of Manpow er ,

Vol. 17 No. 1

Ronald J . Burke, 1996, T raining needs at different organizational lev els

within a profes sional services firm , Indu strial and Comm ercial

T raining , Vol. 28 No. 5

U .S . Departm ent of Comm erce. 1999. T he Digital W ork F orce.

W arren Chiu , David T hompson , W ai- ming Mak and K . L . Lo, 1999,

Re- thinking training needs analy sis : A proposed fram ew ork for

literature review , Per sonnel Review , Vol. 28 No. 1/ 2

Page 117: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03

<부록>

부록1 : 방송핵심제작인력 교육요구도 조사 설문지

Ⅰ. 다음은 귀하가 일하시는 곳(직장)에 대한 질문입니다.

1. 귀하가 일하고 계시는 사업체명:

▶직장 또는 사업체 이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귀하가 하시는 직무는 무엇입니까?

▶하고 있는 일의 종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1. 현재 일하고 계시는곳(직장)의 회사 전체 종업원 수는 얼마나 됩니까? ( )

① 1∼9인 ② 10∼49인 ③ 50∼99인

④ 100∼299인 ⑤ 300∼499인 ⑥ 500∼999인

⑦ 1000인 이상

Ⅱ. 다음은 방송 제작인력의 직무환경과 직무인식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3. 귀하는 방송 제작과정에서 귀하의 능력을 잘 발휘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매우 그렇다 ② 그렇다 ③ 보통이다 ④ 아니다 ⑤ 매우 아니다

4. 귀하는 자신의 방송관련 업무수행능력에 대해서 스스로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 )

① 항상 만족한다 ② 대체로 만족하는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대체로 부족한 편이다 ⑤ 항상 부족하다

5. 현재 귀하가 담당하고 있는 방송관련 업무량은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십니까? ( )

① 매우 적은 편이다 ② 적은 편이다 ③ 적당하다 ④많은 편이다 ⑤ 매우 많은 편이다

6. 귀하는 다음 방송제작 관련 업무중 무엇이 가장 중요한 점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

① 기획 구성단계 ② 제작단계 ③ 편집 완성단계 ④ 편성단계

Page 118: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04

7. 귀하가 생각하시기에 귀하의 소속사에서 방송제작자로서의 전문성이 부족하다고 느끼는 직종

을, 전문성이 부족한 순서대로 5개를 선택하십시오.

(가장 부족한 것을 1로 명기하십시오)

① 제작 ( ) ② 편성 ( ) ③ 외주제작담당 ( )

④ 기자 ( ) ⑤ 카메라 ( ) ⑥ 편집 ( )

⑦ 음향 ( ) ⑧ 조명 ( ) ⑨ 영상 ( )

⑩ 컴퓨터그래픽 ( ) ⑪ 방송미술 ( )⑫ 제작지원 ( )

(분장 ,의상소품 )

⑬ 방송엔지니어 ( ) ⑭ 중계기술 ( ) ⑮ 제작행정 ( )

방송진행

(아나운서 ,M C) (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8. 귀하는 현재 주로 일하는 곳(직장)과 관련하여 아래의 각 항목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십

니까? 본인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곳에 표시하여 주십시오.

직무만족 사항아주

만족한다

약간

만족한다

보통이

약간

불만족이다

아주

불만족이다

(1) 임금 또는 보수 ① ② ③ ④ ⑤

(2) 취업의 안정성 ① ② ③ ④ ⑤

(3) 하고 있는 일 (직무 )의 내용 ① ② ③ ④ ⑤

(4) 근무환경 ① ② ③ ④ ⑤

(5) 인사고과의 공정성 ① ② ③ ④ ⑤

(6) 개인의 발전가능성 ① ② ③ ④ ⑤

(7)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① ② ③ ④ ⑤

(8) 복지후생제도 ① ② ③ ④ ⑤

Page 119: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부록 105

Ⅲ. 다음은 방송 제작인력의 재교육에 대한 인식, 현황 및 문제점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9. 귀하는 현재 방송전문인으로서 재충전을 위한 교육ㆍ연수의 혜택을 어느 정도 받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

① 전혀못받고있다 ② 못받는편이다 ③ 보통이다 ④ 받는편이다 ⑤ 아주많이받는편이다

10. 귀하는 방송계 전반적인 상황을 고려할 때, 현시점에서 제작인력의 재충전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ㆍ연수의 활성화가 어느 정도 시급하다고 생각하십니까? ( )

① 전혀 시급하지않다 ② 시급하지 않다 ③ 보통이다 ④ 시급한 편이다 ⑤ 아주 시급하다

11. 만일 귀하가 방송 제작인력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전문 교육ㆍ연수과정에 대한 참가

기회가 주어진다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 )

① 절대로 참가하지 않겠다 - - - - - - - - - - - - - - - - - - - - - -

② 별로 참가하고 싶지 않다 - - - - - - - - - - - - - - - - - - - - - ☞11- 1번으로 가십시오

③ 참가하고 싶지 않으나 회사가 권하면 참석하겠다 - -

④ 가능한 한 참가하고 싶다 - - - - - - - - - - - - - - - - - - - - - ┒┃┃┃☞11- 2번으로 가십시오

⑤ 꼭 참석하겠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1- 1. (질문 11에서 ①, ②, ③에 응답하신분만) 적극적으로 참가하고 싶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1- 2.

(1) (질문 11에서 ④, ⑤에 응답하신 분만) 참가하고 싶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이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age 120: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06

(2) (질문 11에서 ④, ⑤에 응답하신 분만) 참가하고 싶다면 귀하가 1년중 가장 편리한 시간

은 언제입니까?

① 1월 ( ) ⑦ 7월 ( )

② 2월 ( ) ⑧ 8월 ( )

③ 3월 ( ) ⑨ 9월 ( )

④ 4월 ( ) ⑩ 10월( )

⑤ 5월 ( ) ⑪ 11월( )

⑥ 6월 ( ) ⑫ 12월( )

(3) (질문 11에서 ④, ⑤에 응답하신 분만) 참가하고 싶다면 귀하가 가장 선호하는 교육방

법은 무엇입니까? ( )

① 전통적인 강의식 방법

② e- learnig 혹은 사이버교육

③ 비디오 교육

④ 세미나, 토론

⑤ 제작워크숍(실습)

⑥ 해외연수

12. (프리랜서인 분은 제외) 소속사 경영진이 재교육, 워크숍 등 인적 자원 개발의 투자에 어

떠한 자세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 )

① 아주 소극적이다 ② 소극적인 편이다 ③ 그저 그렇다 ④ 적극적인 편이다 ⑤ 아주 적극적이다

13. 다음의 제작기술 영역중 귀하가 생각하시기에, 가장 시급하게 해야할 교육ㆍ연수의 영역을

시급한 순서대로 3개만 선택하십시오. (가장 시급한 것을 1로 명기하십시오)

① 편집 ( ) ② 촬영 ( ) ③ 조 명 ( )

④ 음향 ( ) ⑤ 영상기술 ( ) ⑥ 라디오기술 ( )

⑦ 컴퓨터그래픽 ( ) ⑧ 방송미술 ( ) ⑨ 제작지원 (의상 , 분장, 소품) ( )

⑩ 특수효과 ( ) ⑪ 중계기술 ⑫ 방송기술일반

⑬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

Page 121: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부록 107

14. 귀하는 방송제작에 필요한 전문지식과 기능을 주로 어떻게 체득하십니까?

(아래의 보기에서 2가지를 선택하여 순서대로 1, 2로 명기하십시오. 보기에 없는 경우 기타

에 간단히 기술하십시오)

① 사내외의 교육프로그램 (강의 , 워크숍, 세미나 )을 통해서 ( )

② 직장내의 공식적 OJT 을 통해서 ( )

③ 비공식적 도제교육을 통해서 (선배, 동료 등) ( )

④ 관련 전문서적이나 자료를 통해서 ( )

⑤ 업무수행중에 스스로 체득함 ( )

⑥ 방송 , 신문 , 잡지 등 언론매체를 통해서 ( )

⑦ 입사전에 받았던 교육경험에 의존함 ( )

⑧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15. 귀하는 지난 3년간 직무와 관련된 교육ㆍ연수를 받으신 적이 있습니까? ( )

① 있다 ② 없다 - - - > 16번으로 가십시오

15- 1. (있으시다면) 다음의 내용을 작성해 주십시오(최근 3년간만 계산)

▶자사연수__________회

▶자사이외의 국내연수

_______회(연수기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해외연수______회(연수기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가장최근에 연수를 받은 시점 : ________년 ______월

15- 2. (있으시다면) 받으셨던 교육ㆍ연수가 전반적으로 현업수행에 얼마나 도움이 되셨습니까 ( )

① 전혀 도움이 안되었다 ② 별로 도움이 안되었다 ③ 그저 그렇다

④ 약간 도움이 되었다 ⑤ 아주 도움이 되었다

Page 122: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108

15-3. (15- 2번에서 ①, ②, ③에 응답하신 분만)도움이 안되었거나 그저 그렇다면 그 이유는 무

엇입니까?

(이유: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5-4. (15-2번에서 ④, ⑤에 응답하신 분만)도움이 되었다면 구체적으로 어떤 점이 그렇습니까?

(도움이 된점 : )

Ⅳ. 다음은 방송 핵심 제작인력 재교육의 분야 및 내용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16. 귀하는 현재, 방송분야와 직종에 관계없이 어떤 내용의 교육ㆍ연수를 가장 받고 싶은지를

<답변 예>와 같이 기술해 주십시오.

<답변 예 : 분야 ( 연출 ) 교육내용 ( TV영상문법의 이해)

분야 ( 조명 ) 교육내용 (야외조명시 필터사용법) >

우선순위 1) 분 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교육내용(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분 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교육내용(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분 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교육내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17. 귀하는 현재 방송제작에 관한 자신의 능력중 가장 부족한 점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 )

(보기에 없는 경우 기타에 간단히 기술하십시오)

① 창의적인 프로그램 기획ㆍ연출기법

② 대중문화에 대한 이해

③ 인문과학, 자연과학 등 특정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식견

④ 일반 교양 및 시사

⑤ 새로운 제작기술에 대한 이해

⑥ 인간관계, 리더쉽 등 조직인으로서의 소양

⑦ VJ로서의 자질

⑧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Page 123: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부록 109

18. 방송환경의 변화 와 관련하여 귀하에게 지적 교육요구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무엇입니까?

(아래의 보기에서 2가지를 선택하여 순서대로 1, 2로 명기하십시오. 보기에 없는 경우 기타

에 간단히 기술하십시오)

① 방송의 디지털화 등 방송제작기술의 변화 ( )

② 다매체ㆍ다채널시대 (위성 , 케이블 등)의 도래로 인한 변화 ( )

③ 통합방송법 등 방송관련 법규 및 제도의 변화 ( )

④ 시장개방시대의 방송경영 및 제작환경의 변화 ( )

⑤ 정보화시대의 사회구조와 문화적 환경의 변화 ( )

⑥ 멀티미디어 시대의 방송과 통신의 융합에 관련된 변화 ( )

⑦ 대중문화 및 국민의식의 변화 ( )

⑧ 기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 )

Ⅴ. 다음은 귀하의 인적사항에 대한 질문입니다.

19. 귀하의 고용형태는 다음중 어느 것입니까?

① 정규직 ② 계약직

20. 귀하는 지금 하고 계신 일의 총 경력이 얼마나 되십니까?

(만________년 __________개월)

21. 귀하의 연령은 몇세입니까? (만_______세)

22. 귀하의 성별은? ( )

①남 ②여

23. 귀하의 최종학력은 무엇입니까? ( )

① 고등학교 ② 전문대학 ③ 4년제 대학 ④ 대학원 석사 ⑤ 대학원 박사

24. 귀하의 최종학력의 전공은 무엇입니까? (__________________전공)

♠ 귀하의 성실한 응답에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

Page 12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 1. 방송산업의핵심인력 3 1) 핵심인력의정의 3 2) 핵심인력의변화 3 (1) 직업변화의요인 4

연구보고 01- 24

디지털방송 핵심제작인력의 교육요구도 조사

2001년 12월 일 인쇄2001년 12월 일 발행

발 행 인 이 경 자발 행 처 한국방송진흥원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923- 5전화 : 3219-5400 FAX : 2649-7312

이 책은 방송위원회가 조성 및 관리 운용하는 방송발전기금을 지원받아 펴낸 책입니다.본 연구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연구진과한국방송진흥원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본 보고서의 내용은 본원이 운영하는 인터넷 홈페이지(http :/ / w w w .kbi.r e.kr )를 통해 온라인으로 받아보실수 있습니다.

발간물관리번호 R1000- B50- 012407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