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통계교육의 e-learning 컨텐츠...

25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통계교육의 e-learning 컨텐츠 개발 황현식 * , 박영옥 ** , 이석훈 *** < 요 약 > 웹(Web)을 주된 사용자 환경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의 e-learning은 시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로우며 반복학습이 가능하다 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공무원 및 통계관련업무 종사 자들을 대상으로 한 통계관련교육의 e-learning 컨텐츠(Contents) 개발에 대해서 다루었다. 통계관련 과목의 특성 때문에 교육생들은 계속적으로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통계적 사 고방식”의 교육목표를 지식의 전달보다는 수강자들의 통계수강 의 욕 고취에 두고 원리를 주로 설명하였다. 개발 컨텐츠의 독특한 특 징으로는 대화식으로서 강사를 분장한 캐릭터가 교육생으로 분장 캐릭터 두 명과 대화를 하면서 수업을 이끌어가도록 하였으며, 기술적으로는 애니매이션과 텍스트를 적절히 혼합하였다. 두 번의 과정을 진행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양한 분석 결과를 실었 다. 많은 교육생들이 새로운 컨텐츠에 만족하였으나 보완해야 할 과제도 도출되었다. 원고작성이나 구현에 시간이 비교적 많이 소요 되었지만, 통계관련 교육의 학습내용을 잘 전달할 수 있는 의미있 는 작업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핵심단어 : e-learning, 통계교육 * 통계청 통계교육원 교육운영과 전임교수 ([email protected]) **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통계학부 강사 ([email protected]) *** 충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수학통계학부 교수([email protected])

Upload: others

Post on 21-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일반인을 상으로 한 통계교육의

e-learning 컨텐츠 개발

황 식*, 박 옥**, 이석훈***

< 요 약 >

웹(Web)을 주된 사용자 환경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의

e-learning은 시공간의 제약에서 자유로우며 반복학습이 가능하다

는 장 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공무원 통계 련업무 종사

자들을 상으로 한 통계 련교육의 e-learning 컨텐츠(Contents)

개발에 해서 다루었다. 통계 련 과목의 특성 때문에 교육생들은

계속 으로 어렵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을 감안하여, “통계 사

고방식”의 교육목표를 지식의 달보다는 수강자들의 통계수강 의

욕 고취에 두고 원리를 주로 설명하 다. 개발 컨텐츠의 독특한 특

징으로는 화식으로서 강사를 분장한 캐릭터가 교육생으로 분장

한 캐릭터 두 명과 화를 하면서 수업을 이끌어가도록 하 으며,

기술 으로는 애니매이션과 텍스트를 히 혼합하 다. 두 번의

과정을 진행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양한 분석 결과를 실었

다. 많은 교육생들이 새로운 컨텐츠에 만족하 으나 보완해야 할

과제도 도출되었다. 원고작성이나 구 에 시간이 비교 많이 소요

되었지만, 통계 련 교육의 학습내용을 잘 달할 수 있는 의미있

는 작업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핵심단어 : e-learning, 통계교육

* 통계청 통계교육원 교육운 과 임교수 ([email protected])

** 충남 학교 자연과학 학 수학통계학부 강사 ([email protected])

*** 충남 학교 자연과학 학 수학통계학부 교수([email protected])

Ⅰ. 서론

통계 련 교육의 필요성은 통계청을 포함하여 통계조사를 담당

하는 각 기 담당자, 기타 여러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그

어느 때보다도 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통계 련 교육 수

요가 증가 추세에 있으며 그 이유로는 통계에 한 심이 확산되

고(Gal(2002)), 업무에 직 사용하거나 보고서나 논문의 작성 등에

필요한 것으로 악되고 있다. 그 지만 직장에 근무하는 일반인들

을 한 효율 인 통계교육은 쉽지 않아 보인다(Yilmaz(1996)). 통

계학을 공하지 않은 일반인들은 학에서 기 통계학을 수강한

정도일 뿐이라고 가정할 수 있는데, 이마 도 어렵고 힘들었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통계학을 학부에서 체계 으로 배운 직장인들의 경우에도 배운

지 오래되고, 자신이 필요한 모듈만을 학습하려는 경향 때문에 동

시에 모두를 고려하는 수업은 격한 요구수 의 차이로 수업을

진행하기가 어렵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통계학의 특성상 이

론교육만으로는 개념을 악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실 으로 많

이 사용하는 통계패키지의 교육이 도움을 다고 여겨지지만, 실습

교육은 한정된 시간에 한정된 인원에게만 교육할 수 있다는 제약

이 있다.

정보기술의 발 과 인터넷 기반 시설의 향상은 통계학교육 방

법에도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웹(Web)을 주된 사용자

환경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의 e-learning은 시공간의 제약에서 자

유로우며 반복학습이 가능하다는 장 이 있다. 한 교수 입장에서

도 자신의 강의를 스스로 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의 진도

를 원하는 수 까지 맞출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 지식을

필요로 하는 일반인을 상으로 한 통계 련 과목의 e-learning을

실 하는데 있어서 효율 인 방안을 제시해본다. 그리고 통계교육

원에서 구 한 과정과 그 성과를 토 로 e-learning에 의한 통계교

육 방향을 제시해 보기로 한다.

Ⅱ. e-learning의 장단

온라인 학습, 가상학습, 사이버교육, 원격교육, 웹기반학습

(WBT, Web Based Training), e-learning 등으로 혼용하여 사용되

는 용어는 각각 차이가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웹을 기반으로 하는

온라인 학습을 통칭하여 e-learning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본 장에

서는 e-learning의 장 과 단 을 살펴보기로 한다.

e-learning의 장 은 첫째, 집합교육과 비교하여 학습자에게 교

육의 융통성을 부여한다. 즉 시간과 공간상의 제약을 탈피하여 자

유스러운 달이 가능하다는 이다. 직무와 병행하여 학습이 가능

할 뿐 아니라 학습자 주도의 자율 이고 개별화된 학습이 가능하

다. 둘째, 교수 측면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의 달과 일 성 유

지가 가능하다.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해 다양한 의사소통과 상호작

용이 가능하여 직원에게 상시 인 교육을 시킬 수 있다(송

수(2000)). 셋째, 체 인 비용이 게 들며 복교육의 번거로

운 작업에서 벗어날 수 있다. 집합교육은 정해진 장소로 이동하여

교육이 수행되므로 교육비 이외에 이동 숙박을 한 부 비용

이 소요되지만, e-learning은 이러한 비용을 감할 수 있으며 장

기 으로 인건비와 시설비 감의 효과가 있다. 넷째, 쉽게 학습자

료의 달과 교정이 가능하며, 학습자의 컨텐츠 사용 비용이 렴

하다. 실제로 통계교육원의 2005년도 e-learning과정은 무료로 운

하 으며 다른 공무원 교육기 도 무료이거나 아주 렴한 비용으로

수강 가능하다.

e-learning의 단 으로는 첫째, 학습자가 진짜 학습자인지를 구

별하기 어려워 평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면 면 수업

이 아니라 학습에 소홀할 수 있으며 강사 입장에서는 학습 진도의

모니터링이 사실상 힘들다. 강의만 들었다고 체 인 교육목표가

달성되었다고 단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셋째, 컨텐츠 구성 방

법에 따라 개발기간이 비교 오래 소요되며 소규모 학습자를

상으로 운 하기에는 고비용이다. 한 학습과정 개발과 통신

컴퓨터 제반 설비의 구축에 기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넷째, 컨

텐츠의 설계가 잘 구성되어지지 않으면 교수와 학습자 간의 상호

작용이 힘들 뿐만 아니라 오히려 학습 의욕을 하시킬 수 있다(오

인경(1998), 이수경 외(2000)). 인터넷이란 매체에 합한 교수-학

습 설계를 용하지 않고 기술 인 면에 을 두어 설계․개

발․실행됨으로서 단 이 부각되기도 한다(강경종(2004)). 즉 통

인 집합교육의 로그램을 단순히 “ 산화된 교재”로 바꾸어 수

업하는 로그램 설계의 부재가 학습효과 면에서 단 이다. 질문에

한 답변이 실시간에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도 상호작용을 해하

는 한 가지 요인이 된다.

Ⅲ. e-learning의 구성요소

e-learning 시스템의 원활한 구축과 가동을 해서는 다양한 요

소의 결합이 필요하다. e-learning의 구성요소는 크게 H/W, S/W,

인 요소 등이다. 통계교육원의 사례를 구체 으로 살펴보면 <표

1>과 같다.

<표 1> e-learning의 구성요소

구분 구성요소 역 할 통계교육원 담당 황

요소

기획 교육목 에 부합하는 e-learning의 범 를 결정 기획운 과

교수

교과분석, 강의계획서작성, 강의내용원고작성, 멀티

미디어 자료제공, 스토리보드 검수, 학습자평가,

Q/A

임교수

외부 학교수

통계청직원

시스템

Server 리, 네트워크 리, 운 시스템 리, DB

리, 기술지원

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교육센터

학사

운학사 리, 교육생 리, 과정 과목 리 산통계교육

학습자 학습의 주체 체 공무원 상

컨텐츠

개발

교과분석, 수업설계, 스토리보드작성, 멀티미디어

개발, 로그램개발, 수정 보완, LMS에 컨텐츠

탑재

외부용역

튜터

운 자

공지사항 리, 과제물 리, 평가 리,

학습진도 리, 학습안내, Q/A 산통계교육

H/W

컴퓨터 본체, 학습에 필요한 각종주변장치 등 학습자 개별 비

네트워크 LAN/WAN 기존망 이용

기타장비 성방송시스템, 원격회의시스템 등 설비없음

웹사이트학습자의 가상 학습공간, 토론방, 자우편, 게시

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교육센터

S/W

컨텐츠 학습자의 학습내용 외부용역

작도구 컨텐츠 작도구 외부용역

LMS 학사․학습 리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교육센터

기타 기타 통제용 소 트웨어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교육센터

통계교육원은 e-learning을 담하는 별도의 조직은 없으며,

산통계교육 (교수 1, 직원 2)에서 집합교육과 같이 담당하고 있다.

한 e-learning에 필수 인 학사 리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서버를 포함한 H/W, 필요 S/W 등은 앙

공무원교육원 사이버교육센터(http://cyber.coti.go.kr)를 공동 활용

하고 있다. 이는 막 한 산과 인력이 소요되는 e-learning의

H/W 구축 사업을 앙공무원교육원으로 집 하여 공무원교육기

모두가 편리하게 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만 교육

생의 수가 매우 많거나 집합교육이 곤란하여 e-learning의 비 이

상 으로 높은 정보통신공무원교육원, 서울특별시공무원교육원,

철도인재개발원 등은 각자의 서버를 가지고 운 하고 있다. 공무원

교육기 은 주로 정보화과정, 외국어과정, 자격증 련과정, 각 기

의 문과정 등의 e-learning을 운 한다.

통계교육원의 e-learning 황을 요약하자면, H/W와 S/W가 필

요없이 컨텐츠의 개발을 외부용역으로 개발하고 공동활용한 별도

의 사이트(http://sti.coti.go.kr)를 할당받아 교육운 만을 담하는

형태이다. 본 논문의 구 컨텐츠인 “통계 사고방식”도 여기에

탑재하 다. 수강을 원하는 일반인은 별도의 수강신청 차를 거쳐

이용할 수 있도록 하 다.

Ⅳ. 통계 련 과목의 e-learning

1. 황 소개

기의 통계 련 e-learning은 텍스트 심의 미약한 컨텐츠로

인하여 강의 수업의 보조자료 정도로 인식하는 정도 으나, 지 은

컨텐츠 작도구와 고속 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집합 교육을

체할 수 있을 정도의 수 높은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다.

학교육의 경우에는 통계학과 실습과목을 e-learning 컨텐츠로

구 하는 작업으로서 이기원 외(2003)이 ASP와 웹폴더를 이용하여

구 한 바 있다. 방송통신 학교의 통계학개론 컨텐츠는 통계패키

지 S-Link를 웹상에서 실습해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JAVA를 이

용하여 직 시뮬 이션할 수 있는 로그램을 연결시켜 이해를

도운 에서 매우 의미있는 작업이라고 보인다(이정진 외(2004)).

웹기반 자교재, 컴퓨터 시뮬 이션, 웹기반 통계 로그램을

통계교육에 활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Mills(2002), Stone(1998), West 외(1998)). 한 일부 학교에서

는 담당 교수들이 직 작도구(컨텐츠제작 S/W)를 이용하여 동

상 강의를 실시하고 있다. 한범수 외(2005)는 구성주의 교수학

습방법과 정보기술을 용하여 데이터의 실시간 집계와 상호작용

을 가능하게 한 방안을 연구하여 실제수업에 용한 바 있다. 활발

한 학에서의 용에 견주어 일반인을 한 통계교육에의

e-learning 용은 매우 보 이다. 일부 민간기업체에서는 생산

성향상과 연결된 6시그마, 통계 품질 리 등의 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며 성인교육의 특성상 업무에 을 맞추어 제작되었다.

일반인을 한 통계 련 교육의 특성은 비교 어렵다고 인식

이 되어있을 뿐만 아니라, 업무에 용할 때 구체 으로 용할 지

침의 연결이 어렵다. 따라서 다른 과목에 비해 컨텐츠의 개발이 난

해할 수 있다. 이런 이 흥미를 하시켜 집합교육에 비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어서 보다 짜임새있는 컨텐츠의 개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 학교육의 경우에는 학 을 부여하는 강제성 효과가

있지만 일반인교육에서는 다소 느슨한 각 조직의 교육훈련평정

수로 이를 체하고 있어 개인의 학습열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

다.

2. 통계교육원 컨텐츠 개발 기본 략

<표 1>과 같이 기존의 e-learning 컨텐츠를 분석한 본 연구

은 “통계 사고방식”의 개발을 하여 다음과 같이 기본 략을

세웠다.

첫째, 개발되는 컨텐츠의 목표는 기존에 개발된 도구들과 달리

컨텐츠가 독립 으로 사고방식을 하는 것이 아니라 통계 기법

이나 사고방식에 한 습득동기 강화, 호기심 자극, 기존 통계에

한 부담감 감소 등에 두었다. 이는 기존의 여러 컨텐츠가 컨텐츠

나름 로는 높은 수 의 완성도를 갖추고 있는 반면에 활용자들

입장에서는 계속 으로 어렵게 인식되고 있다는 을 심각하게 인

지하고, 목표를 지식의 달보다는 수강자들의 통계수강 의욕의 고

취에 두었다. 컨텐츠의 활용 상과 그 내용을 2단계로 구성하 는

데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차 상 : 일반 공무원

2차 상 : 통계분석 련 업무 종사자

1차 내용 : 통계 사고방식, 기술통계

2차 내용 : 통계 의사결정 입문

둘째, 컨텐츠를 활용하리라 기 되는 수강자들은 자의반 타의반

으로 수강하는 성향의 공무원 부류의 일반인들로서 집합교육을 받

게 되거나, 받을 가능성이 있는 사람으로 설정하 다.

3. 세부 략

다음 네 가지의 세부 략을 세워 컨텐츠를 개발하고자 하 다.

첫 번째, 통계학개론의 모든 내용을 수록하지는 않고 필요한 장

을 재구성하여 14차시로 하 다. 하루에 1차시를 수강한다고 했을

때 14일이 필요한 미니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부분의 공무원교

육기 에서는 30차시 정도를 한 과정으로 운 하고 있는데 14차시

만으로 구성한 이유는 통계학의 이론만으로 1개월을 수강한다는

것이 무리라고 단한 이유에서이다. 그리고 “통계 사고방식”이

라는 다소 흥미를 유발하는 과정이름과 함께 각 장의 제목 부여에

도 신경을 썼다. <표 2>는 교육목표와 목차이다.

<표 2> 통계 사고방식의 교육목표 목차

교육목표 통계에 한 반 인 기본지식을 이해함

교육내용

차시 단원명

1 통계학이란?

2 왜 표본조사인가?

3 자료를 정리해야 하는데

4 자료를 요약한다는 것은

5 그래 가 필요합니다.

6 정규분포가 그 게 요한가?

7 확률분포란?

8 표본평균의 분포도 알아야 하는가?

9 로 로 알아보는 통계학

10 지수란 무엇인가?

11 통계 추정이란?

12 통계 의사결정

13 분할표는 무엇인가?

14 통계패키지의 활용

두 번째, 이석훈 외(2002)이 그들의 서 “통계와 확률지도론”에

서 사용한 질의 응답 형태를 활용하여 화식으로 강사를 분장한

캐릭터가 교육생으로 분장한 캐릭터 두 명과 화를 하면서 수업

을 이끌어가도록 하 다. 자주 나오는 질문과 궁 한 사항을 학생

캐릭터가 질문함으로서 자연스럽게 이해하도록 하 으며, 기술 으

로는 애니매이션과 텍스트를 히 혼합하 다. 이 부분이 기존의

통계 련 컨텐츠와는 다른 새로운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컨텐츠의

제작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교정이 어렵다는 단 이 있는 반면에

잘 짜여진 구성은 통계학 이론을 습득하는데 용이하다는 단에

의해서이다.

세 번째, 수식이나 공식은 가능한 쓰지 않으면서 왜 필요한 가

에 해서 원리를 주로 설명하 다. 결과를 완벽히 이끌어내기보다

는 기본지식을 충족하되 호기심을 유발하여 집합교육에 와서 그

내용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 다.

네 번째로는 일반인들을 상으로 하는 교육임을 고려하여

Edutainment(Education+Entertainment)를 가미하여 수업이 지루하

지 않도록 구성하 다. 통계칼럼이나 한 유머, 그리고 수업을

도와주고 호기심있게 근할 수 있는 평가문제를 개발하려고 노력

하 다. 그 외 엑셀을 이용해서 간단한 그래 를 그려보거나 로

를 통한 통계학의 복습, 통계패키지를 비교하여 어떤 패키지를 사

용하는 것이 한가에 한 논의 등을 추가하 다.

Ⅴ. 컨텐츠의 구 과 운

1. 컨텐츠 구

컨텐츠의 구 은 먼 원고를 작성하여 계약 체결된 개발 업체

에 달하여 스토리보드를 작성하게 하고, 이것의 교정과 검수가

끝나면 애니매이션과 텍스트가 혼합된 최종 컨텐츠로 만드는 순서

를 거치게 된다. 본 컨텐츠의 개발 S/W로는 애니매이션을 구 하

기 한 래쉬(FLASH)를 주로 사용하 다. 수강자들은 별도의

S/W 설치가 필요없이 인터넷 라우 만 있으면 가능하도록 하

다. <표 3>은 강사가 작성한 원고의 한 형태이다.

<표 3> 원고작성 , “4차시, 자료를 요약한다는 것은”

학생 1) 언젠가 들은 말인데 그게 그런 뜻이었군요. 그러니까 제가 4인가구의 생

활비를 조사한 자료가 양쪽으로 좀 빨리 내려가다가 좀 천천히 내려가

는 그런 동산과 같은 형태의 히스토그램으로 나타낼 것이라고 생각했으

니까. 결국 는 4인가구의 생활비는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가정한 것이

로군요. 그 게 가정을 했으니까 는 170만원 쓰는 가정 부분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군요. 평균과 표 편차의 정보만으로는 그 게 말할 수

는 없는 거 군요.

통선생) 어려운 내용을 잘 이해해 가는 거 같네요. 무슨 얘기하다 이리로 왔나

요?

학생 2) 평균과 표 편차 말고 다른 요약값이요.

통선생) 특별한 것은 아니 요. 여러분들도 생각할 수 있는 것들인데 이 게 한

번 생각해 시다. ‘4인 도시 근로자의 한달 생활비’ 자료가 여러분에게

있다면 평균과 표 편차 말고 무슨 값이 궁 합니까?

학생 2) 최 값, 최소값이요. 도 체 많이 쓰는 사람이 얼마나 쓰나 궁 하지 않

는가요?

학생 1) 앙값이요. 딱 간에 있는 사람...

학생 2) 상류층들의 생활비요.

통선생) 상류층이라 함은 구를 말하는가요?

학생 1) 상 25% 이상 어때요?

통선생) 말이 되는군요. 그럼 하 25%도 구하면 하류층의 경계선이 되겠네요.

지 우리가 말한 다섯 개의 값을 다섯숫자요약(Five Number

Summary)이라고 합니다.

원고의 특징은 Ⅳ장 3 의 세부 략 부분에서도 언 한 바와

같이 학생과 강사의 화 형태를 갖추었고, 강사의 일 된 입장은

수강자들이 등장하는 학생을 통하여 그들의 상식이나 직 을 활용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컨데, 이 원고에서와 같이 최 값, 최소

값, 앙값의 개념을 수강자들 스스로 찾아낼 수 있도록 하여 백분

수라는 용어는 몰라도 백분 수의 필요성과 활용방법에 해서

는 수강자들이 모두 알고 있었다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통계에 한 막연한 부담감을 극복하도록 하며, 통계 용어에 한

친 감을 갖도록 한다. 한편, 학교교육에 의하여 익숙해진 수리

공식의 암기경향에서 벗어나도록 하기 하여 수식의 계산과정보

다도 결과의 해석에 의미를 갖도록 하 다. 컨데, 평균이나 표

편차라는 값의 계산, 유도과정보다는 평균이나 표 편차라는 값의

의미를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학생 캐릭터들로 하여 토의하

게 하여 재 수강자들이 오해 는 몰이해하고 있는 것을 부담스

럽지 않게 해 주면서 그 의미를 소개해 주어서 실제 장에서 사

용할 수 있는 자신감을 주도록 하 다. 물론 이러한 시도가 더 효

과 이냐 라는 논의는 가능하지만, 이 교안의 1차 상이 일반 공

무원 는 그와 비슷한 수 의 일반인들이라는 과, 그리고 표

편차 같은 용어를 학창시 수학시간에 부담스러운 공식으로만 배

웠다는 사실만 기억할 뿐, 실제 의미는 잘 모르면서도 실에서는

자주 하는 난처한 상황 속에 있다는 들을 고려하 다. 따라서

하나의 실험 시도라고 단하여 이와 같은 정신을 견지하며 내

용을 만들었다.

컨텐츠 구 에 어려웠던 은 통계학의 비 문가인 컨텐츠 개

발자와 성우가 제작을 하여 통계용어의 표 과 발음을 교정하는

작업이 쉽지 않은 것이었다. 한 기치 못한 표 상의 오류를 발

견하지 못해서 나 에 교정하는 과정이 힘들었다. 왜냐하면 애니매

이션 자체와 녹음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쉽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컨텐츠에서는 원고를 기술한 강의부분은 교수가 직

녹음을 하 다.

<그림 1>과 <그림 2>는 구 된 컨텐츠 화면의 이다.

<그림 1> 화식 애니메이션 구 화면

<그림 1>은 강사와 학생들의 화 화면으로서 우측에 화

내용의 요 이 창으로 나타나도록 하 고, <그림 2>는 강사의 질

문 모습으로서 질문이 제기되면 수강자가 시간을 갖고 생각할 수

도 있고, 바로 다음 화면으로 이 하여 학생들의 답을 들을 수

있도록 하 다.

<그림 2> 화식 질문 구 화면

세부 략 하나인 Edutainment를 고려하기 하여, 화내용

에 학습과 계된 한 유머를 섞어 편집하 다. 각 차시를

시작하거나 시간이 길어지는 간에는 격언, 음악 등의 요소를

첨가하여 수강자들이 부담없이 학습을 지속하도록 배려하 다.

한 9차시에서는 로 를 주제로 한 재미있는 소재로서 통계학 반

부의 복습을 하도록 유도하 다.

2. 컨텐츠의 운

본 컨텐츠를 수강하면 공무원교육평정 수 2 을 부여하게 된

다. 구체 으로는 진도율 60% 과제물 20%, 평가 16%, 참여도 4%

로 평가하여 80 이상이 되는 교육생에게 수를 부여하 다. 참

여도는 질문이나 답변을 하여 극 인 참여를 유도한 장치로 포

함시켰다. 이론상으로는 14일이면 진도율 100%를 달성하게 되지만,

28일을 교육기간으로 지정하여 출장 는 개인 인 사정으로 수강

할 수 없는 사정을 고려하 다. 그 지만 하루에 2차시까지만 수강

하도록 제한하여 짧은 기간에 다 수강할 수 없도록 하 다. 과제물

과 평가문제는 진도를 고려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실무와

연 된 주 식 문항으로 출제하 다. 이 결과 실제로 수료율은 신

청 160명, 수료 120명으로 75% 정도 다.

Ⅵ. 설문분석결과

“통계 사고방식” 수강은 체 공무원 희망자를 상으로

실시하고 두 번의 설문결과를 분석하 다. 수강은 120명이 하 지

만 107명이 응답하 으며 객 식은 5 척도로 측정하 다. 설문결

과를 바로 해석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경향을 볼 때에는 좋은 참

고자료가 될 수 있다고 단하여 분석결과를 <표 4>와 <표 5>로

제시하 다.

체로 정 인 응답이 많았는데, 구체 으로 살펴보면 학습목

표와의 일치성이 3.93, 교육과정 만족도가 3.82 정도로 통계교육원

에서 실시하는 많은 집합교육과 거의 동일하 다. 한 향후에

e-learning 과정을 수강할 생각이 있느냐라는 질문에는 4.19의 평

을 보여 e-learning의 정 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학

습의 용이성은 다른 항목에 비해 다소 수가 낮은데 운 진이 해

석하기에는 각 화면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 꼭 버튼을 러

넘어가도록 설계한 것이 부정 인 효과를 것이라 보여진다. 다

른 컨텐츠의 경우에는 듣고만 있어도 차시가 끝나는 방식을 채택

한 반면에 “통계 사고방식”은 교육생이 무언가를 실행해야만 넘

어가도록 설계하 다. 향후 어떠한 방식이 할지는 과목에 따라

고민해야 할 숙제이다.

<표 4> 설문조사결과 1

설문항목

매우그 다

그 다 보통이다그 지

않다

매우그 지

않다 평

5 4 3 2 1

학습목표와의일치성

17 68 19 3 0 3.93

(15.9%) (63.6%) (17.8%) (2.8%) (0.0%)

학습의 용이성10 40 38 16 3

3.36 (9.3%) (37.4%) (35.5%) (15.0%) (2.8%)

시스템의 안정성25 49 23 10 0

3.83 (23.4%) (45.8%) (21.5%) (9.3%) (0.0%)

과제물의 성20 57 28 2 0

3.89 (18.7%) (53.3%) (26.2%) (1.9%) (0.0%)

평가의 성20 52 29 6 0

3.80 (18.7%) (48.6%) (27.1%) (5.6%) (0.0%)

학습내용이외에 보충자료 참고여부

7 52 19 28 13.34

(6.5%) (48.6%) (17.8%) (26.2%) (0.9%)

운 자의 상호작용도움여부(답변, e-mail)

16 49 37 5 03.71

(15.0%) (45.8%) (34.6%) (4.7%) (0.0%)

학습기간(4주)의 정성17 64 18 8 0

3.84 (15.9%) (59.8%) (16.8%) (7.5%) (0.0%)

향후 e-learning 과정수강여부

32 67 4 4 04.19

(29.9%) (62.6%) (3.7%) (3.7%) (0.0%)

교육과정 만족도17 57 30 3 0

3.82 (15.9%) (53.3%) (28.0%) (2.8%) (0.0%)

학습내용 이외의 보충교재 참고여부도 평 이 3.34로 비교 낮

은데 실제로 수강하는 사람의 부분은 컨텐츠 자체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다른 책이나 사이트를 참조하면서 공부하기를 기 하기는

힘든 것 같다. 교육생을 탓하기 보다는 더 자세한 컨텐츠를 제작해

야 한다는 일종의 부담으로 생각하고 있다.

<표 5>를 보면 부가 인 결과가 요약되어 있다. 수강이유는

부분 업무에 연 되어있음을 알 수 있고, 부분의 차시집 시간은

20분에서 30분 정도라고 단할 수 있다. 이 에 e-learning을 수

강하지 않은 사람의 비율이 매우 높아 공무원들의 경우 아직은 집

합교육에 익숙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표 5> 설문조사결과 2

과정학습

시간

근무시간내 근무시간외 주말, 휴일근무시간내

와 주말,휴일근무시간외

와 주말,휴일계

31 32 1 25 18 107

(29.0%) (29.9%) (0.9%) (23.4%) (16.8%) 100%

과정수강

이유

핵심역량

개발업무에 도움 업무에 필요

교육 수취득

일상에 도움 계

23 47 14 19 4 107

(21.5%) (43.9%) (13.1%) (17.8%) (3.7%) 100%

이 에

e-learning 수강여부

없다 1회 2회 3회 4회 이상 계

65 25 10 3 4 107

(60.7%) (23.4%) (9.3%) (2.8%) (3.7%) 100%

차시집

시간

10분 20분 30분 40분 계

11 43 37 16 107

(10.3%) (40.2%) (34.6%) (15.0%) 100%

기타 자유응답 설문에 응답한 교육생들의 답변 공통된 사

항을 정리하면 <표 6>과 같다.

<표 6> 자유 응답설문 주요결과

항목 응답

e-learning의 장․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편리성(55)

․ 반복교육이 가능(10)

e-learning의 단․ 질문/답변이 실시간에 이루어지지 않아 곤란함(9)

․ 집합교육에 비해 이해가 어려운 것 같음(8)

통계 사고방식

수강에서 불편한

․ 부교재 출력이 되지않는 5개 차시의 보완요구(20)

․ 실무 제의 추가필요(15)

․ 과제나 평가문제를 먼 제시하거나 쉽게 출제바람(14)

․ 동 상 강의가 있었으면 함(10)

․ 부교재를 한꺼번에 다운로드 가능하도록 바람(7)

․ 용어사 의 추가 요구(4)

․ 내용이 어려움(4)

e-learning의 바람직한

강의형태

․ 재의 애니메이션텍스트 혼합강의(35)

․ 동 상 강의 필요(20)

차후 e-learning

개설희망과정

․ 통계패키지과정(15)

․ 엑셀자료분석과정(10)

․ 외국어과정(8)

․ 사회조사분석사 자격증과정(10)

e-learning 개선의견

․ 다양한 교육과정 개설 요구(10)

․ 업무에 직결되는 과정 개설 요구(9)

․ - -고 으로 세분화하여 개설 요구(5)

․ 호기심 유발에 한 더 많은 아이디어 개발 요구(2)

e-learning의 가장 큰 장 으로는 시간과 공간에서의 제약이

없는 편리성과 반복교육의 가능을 들었다. 바로 이 이

e-learning의 활성화되는 요한 이유라고 단할 수 있다. 교육생

이 생각하는 e-learning의 단 으로는 강사와 교육생 간의 상호작

용이 원활하지 않는 을 가장 많이 지 하 다. 최 한 실시간에

한 응이 이루어지도록 보완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를 들어

문제은행식 e-mail 응답, 휴 폰 문자메시지를 이용한 시스템

응이 요구되며 운 자의 입장에서 질문과 답변이 가능한 시간을

정해 실시간으로 응답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하겠다.

본 과정에 한 불편한 으로는 부교재를 보다 편하게 출력

해서 보기를 원하는 응답이 많았다. 교육생들은 모니터를 보면서

수업하는 것보다는 출력된 교재를 가지고 수업하는 데 익숙해 있

음을 반증한다. 공통교재를 먼 우편으로 반송하는 방법, 체 부

교재를 다운로드하여 출력할 수 있는 방안 등을 보완해야 할 필요

가 있다. 실무 제를 추가하여 구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은 제의

부족도 있지만 실무와의 연 성을 이해하지 못하는데서 오는 불만

이라고 보인다. 직장을 가진 일반인의 교육훈련은 철 히 실무와

연 이 되어있어야 교육효과가 높은데(황 식(2003)), 연 성을 충

분히 설명하지 못하 다고 보여진다. 한편, 화식 컨텐츠의 내용

을 쉽게 이해하는 사람이 많은 반면에 여 히 어렵다는 응답도 있

었다. 과제나 평가문제에 부담을 가진 일부 학습자도 있었다.

과정을 복습하는 차원에서 출제한 문제들이 컨텐츠 만으로는 해결

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강의형태로 제시한

동 상 강의는 컨텐츠 작도구가 부신 발 을 거듭하고 있어

강사가 직 이를 운용하여 제작하는 기술이 가능하므로 앞으로

충분히 용할 수 있으리라고 보여진다.

여러 가지 다양한 불만 의견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육생들은 격

려와 심을 가져주었으며 통계 련 교육의 새로운 형식에 해

만족하는 사람이 더 많았다.

Ⅶ. 결론 토의

통계교육원에서 일반 공무원을 상으로 e-learning을 실시하고

분석한 반 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에 한 인식의 강화가 필요하다. 과연 공 자

입장에서 효과가 있을까를 생각하면서 반신반의하게 운 한다면

그 효과는 반감될 수 밖에 없다. 한 교육수요자인 교육생들의 인

식도 요하다. 먼 교육의 질이 우선해야겠지만 극 인 교육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e-learning에 필요한 문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효과

인 교육개발 운 을 해서는 문 인 기획 , 교수설계자, 내

용 문가, 튜터(Tutor) 등의 담 이 필요하다. 집합교육의 교재를

산화하는 정도의 e-learning은 실질 인 도움이 되질 못한다.

셋째, 양방향 상호작용이 원활한 수업설계 운 이 필요하다.

설문분석에서도 밝혔듯이 재의 질문답변시스템의 운 은 개선할

필요가 있다. 강사와 학습자 간에 상호작용을 개선할 수 있도록

앙공무원교육원 사이버교육센터의 LMS 보완 등이 요구된다.

“통계 사고방식”을 비롯한 통계 련과정의 e-learning 개발에

요구되는 시사 은 다음과 같다.

화식 컨텐츠는 통계 련교육의 새로운 시도로서 원고작성이

나 구 에 비교 많은 시간을 할애한 반면에 학습내용을 잘 달

하는 성과가 있었다. 문 강사가 원고제작 뿐 아니라 녹음까지 하

여 최 한 오류를 이려고 노력했지만 교정이 어려운 단 은 극

복하기 어려웠다. 향후에는 효율 인 컨텐츠 작도구를 히 혼

용하여 보다 쉽게 제작하고, 교정이 쉬운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

다.

앞으로의 연구과제로는 설정한 기본 략의 성과를 측정하여 다

음 컨텐츠의 개발이나 과정을 운 할 때 하게 반 하는 것이

다. 강의 목표를 확인한다는 에서 의미있는 작업으로 보여진다.

향후 일반인들을 상으로 한 통계 련 과목의 컨텐츠가 개발되기

를 기 하며, 활발한 논의가 있었으면 한다.

< 참고문헌 >

강경종(2004), “ 문 학에서의 사이버교육 기반 교육 로그램 개

발 운 에 한 방향성 탐색”, 『직업교육연구』23(1),

21~43.

송 수(2000),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 응하는 HRD(인 자

원개발)의 방향과 략”, 『기업교육연구』2(1), 53~69.

오인경(1998), “웹기반 교육에서의 진자의 역할 필요능력”,

『기업교육연구』1(1), 125~142.

이건웅(2002), “사례분석을 통해 본 한국기업의 e-Learning 구축

략”, 『산업경제연구』15(2), 305~318.

이기원, 이윤환(2003), “ASP와 웹 폴더를 활용한 통계학 실습교

과목의 E-Learning 구 ”, 『응용통계연구』16(2), 441~454.

이수경, 권진희(2000), “웹기반훈련(WBT) 로그램 분석을 통한

가상 교육 발 략 탐색”, 『교육공학연구』16(4), 137~

154.

이석훈, 김응환(2002),『통계와 확률지도론』, 경문사.

이정진, 이태림, 김성수, 이 희(2004), “원격교육을 한 통계교육

시스템 개발”, 『한국통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163~166.

한범수, 한경수(2005),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eaching

Simple Random Sampling by using Constructivism and

Information Technology”, 『한국통계학회논문집』12(1),

229~240.

황 식, 김정란(2003), “통계의 성인교육에 한 소고 - 통계연수부

를 심으로”, 『한국통계학회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49~54.

Gal, I.(2002), “Adults’ Statistical Literacy: Meanings,

Components, Responsibilities”, International Statistical

Review : 70(1), 1~51.

Mills, J. D.(2002), “Using Computer Simulation Methods to

Teach Statistics :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 10(1).

Stone, R. A.(1998), “The Blind Paper Cutter : Teaching About

Variation, Bias, Stability, and Process Control”, The

American Statistician : 52(3), 244~247.

West, R., Ogden, R., and Rossini, A.(1998), “Statistical Tools on

the World Wide Web”, The American Statistician : 52(3),

257~262.

Yilmaz, M. R.(1996), “The Challenge of Teaching Statistics to

Nonspecialists”, Journal of Statistics Education : 4(1).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in Statistics Education for Adults

Hwang, Hyun-Sik* ․ Park, Young-Ok** ․ Lee, Suk-Hoon***

< ABSTRACT >

Internet based e-learning, which uses WEB as the main

user environment is available repeated learning and free

from time and space limits. This study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contents in Statistics Education

for general official and statistics relational duty persons. It

describes mainly the principles of statistics, targeting on

"Statistical Thinking" which is set to the stimulation of much

enthusiasm for the statistics rather than knowledge of the

statistics. It considers the trainees' problem that they have

thought it difficul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tatistics. It

has the special feature that three characters lead the class.

One is a teacher and the others are two trainees.

Technically it uses both animation and text. It gives the

various analyses about the survey after the double

* Professor, Training Management Division, Statistical Training Institut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Daejeon, Korea. ([email protected])

** Lecturer, Division of Mathematics & Statist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email protected])

*** Professor, Division of Mathematics & Statistic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email protected])

procedure. Many of trainees are satisfied with the new

contents, but there are things to improve. Finally, it can be

estimated to be a meaningful work as the good way to

conveying the contents of Statistics Education, as though it

spends lots of time in implementing or making notes.

Key Words : e-learning, Adult education, Statistics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