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19
.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Upload: others

Post on 27-Mar-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65 -

Ⅴ.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Page 2: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66 -

1. 사업 결과 요약

○ 농업인 교육계획을 농업인교육의 자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지역실정에

맞게 수립하여 지역특화 소득작목 육성을 위한 생산과 유통에 대한 전문

교육, 지역지도자로서의 리더십 및 지역농업 네트워크 구축을 위하여

경기농업대학 등 농업인대학 18개소 운영, 품목별상설교육, GAP 교육 등

농업전문교육 46천명을 실시하여 최고농업경영인을 육성할 수 있었으며,

농촌지역사회의 발전을 선도할 수 있는 리더로 양성하였음.

○ 지난 해 영농현장에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애로기술 해결을 위해 공무원을

대상으로 농업정책, 6차산업, 농업재해보험등 공통과목과 식량작물, 원예․

특작 등 5개 과정 전문분야로 나눠 130명을 대상으로 교육을 추진하였고,

농업인을 대상으로는 25개시군 35,760명에게 교육하여 농업의 경쟁력을

증대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으며, 경기 농업의 특성에 맞춘 소비자농업교육

병행 추진으로 소비자와 농업인의 상생․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였음.

○ 도내 유일의 농기계 전문교육 기관으로서 기계화 영농종사자 및 신규

농업기계 구입 농업인, 여성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기계화영농사반 5회

161명, 여성농업인반 1회 18명, 보충․심화반 2회 50명, 농산업기계 정비반

10명에 대해 교육을 실시하여 지역의 기계화영농을 선도할 핵심 전문

기술지도자로 양성하였으며, 도․시군 농기계교관(17명)을 대상으로 신개발

기종의 연구동향 파악 및 생산공장 견학 등 현지연찬교육을 실시하고

16개시군에서 농한기에 농업인 13,940명을 대상으로 농기계 전문교육을

실시하였음.

○ 새로 개발된 농기계의 지속적인 보급을 위해 최신 농기계교육 훈련 장비

13종 26대를 지원하였음.

○ 귀농․귀촌(희망)자에게 체계적인 기초영농기술교육과 농업정보를 제공하여

안정적인 농업․농촌 정착을 유도하기 위해서 도원에서는 귀농․귀촌

준비반, 귀농적응반, 찾아가는 귀촌반 등 5개 과정을 개설하여 378명을

교육하였고, 6개 시군에서는 176명 교육을 실시하였음.

Page 3: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67 -

2. 사업 총괄표

구 분 사 업 명 실 적(명) 비 고

농업인전문교육

농업인대학 교육 1,757 18개대학(도원포함)

새해농업인 실용교육 35,760 25개시군

품목별 상설교육 17,514 20개시군

도시민소비자영농교육 9,484 20개시군

GAP교육 1,916 9개시군

농업인

농업기계교육

기계화영농사 교육 161 기계화영농사증수여

여성농업인반 농업기계교육 18 여성농업인

전문 농업기계교육 50 기계화영농사수료자

농기계 정비 전문반 10실수여자및

교육수료자

농업기계 교관현지연찬교육 17 시군농기계 담당자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13,940 16개시군농업기술센터

농업기계 교육훈련장비 지원 26대 15개시군농업기술센터

귀농․귀촌 교육

귀농․귀촌(희망)자

영농기술교육378 귀농․귀촌(희망)자

귀농․귀촌 교육 및

현장실습238 4개시군농업기술센터

Page 4: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68 -

3. 지도 과제별 추진결과

농업전문교육

가. 농업인대학 운영

(1) 목 적

○ 지역농업의 특화 발전에 필요한 품목별 장기 기술교육을 실시하여

작지만 강한 농업 실현을 위한 전문 경영인으로 양성

○ 농업현장의 애로 기술 해결은 물론 전문농업분야에 대한 이론의

체계화로 지식 기반사회에 적합한 농업인력으로 양성

(2) 추진방법

○ 지역별 특화품목을 중심으로 대학 당 1~3개 과정 운영

○ 중장기 심화교육 : 6개월~1년, 100시간 이상

○ 교육수료 후 자율학습모임, 컨설팅 지원 등 지속적인 사후관리

○ 과정 학습평가 및 철저한 학사관리로 교육의 질 향상

(3) 추진결과

과 정 명교육기간

(월)

졸업인원

(명)교육과정

18개 대학 1,757 53과정

1 경 기 농 업 대 학 3~10 80곤충산업과, 농업강사양성과,

농업CEO양성과

2 가 평 클 린 농 업 대 학 4~12 126친환경농업과, 생태농촌관광과

농업CEO과

3 고 양 벤 처 농 업 대 학 3~12 61친환경농업반,

원예조경창업심화반

4 김포 엘리트농업대학 3~12 160CEO대학원, 친환경농업

그린원예과, 특용작물, 발효식품

Page 5: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69 -

(4) 금후계획

○ 지역특성에 맞는 평생농업교육 시스템 구축

○ 중장기적으로 운영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로 지속성 확보

과 정 명교육기간

(월)

졸업인원

(명)교육과정

5 남양주 그린농업대학 3~12 156

채소과, 과수과, 가정원예과,

관광농업과, 미래농업과,

식문화과

6 안 산 농 업 아 카 데 미 4~11 45 풀꽃그림, 전통주

7 안 성 녹 색 농 업 대 학 3~11 77한우핵군반, 유기채소반,

블루베리반

8 양 주 B I O 농 업 대 학 4~11 87생활농업과, 농업마케팅과,

농업경영CEO양성과

9 양 평 환 경 농 업 대 학 2~11 118전문농업과, 신규농업과,

농산가공과

10 여주 2 1 C농업인대학 3~11 116농촌체험관광과, 농산물가공과,

도시농업과

11 연 천 연 천 농 업 대 학 3~11 66귀농귀촌과, 사과전문과,

농산물가공과

12 용 인 용 인 그 린 대 학 3~11 108최고농업과, 그린생활과,

신규농업인

13 이 천 농 업 생 명 대 학 3~11 91생활농업과, 친환경농업과,

농업마케팅과

14 파주 녹색농업인대학 2~9 60농촌관광반, 도시농업반,

농산물가공반

15 평택 슈퍼오닝농업대학 3~11 92친환경농업과, 화훼과,

농산물가공과

16 포 천 그 린 농 업 대 학 3~12 109 그린경영과정, 농업마케팅과정

17 화성 그린농업기술대학 3~11 117농업경영CEO대학원, 그린경영,

농업마케팅

18 광 주 클 린 농 업 대 학 3~11 88 친환경농업, 도시농업

Page 6: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0 -

나. 경기농업대학 운영

(1) 목 적

○ 21세기 경기농업을 이끌어갈 유능한 인재를 발굴, 집중교육하여 전문

기술과경영능력을갖춘미래농업을선도하는엘리트농업인인재양성

(2) 추진방향

○ 공통과목과 전문(전공)과목으로 교육과정 편성 운영

○ 강의, 토의, 분임, 실습, 현장견학 등 다양한 교육방법을 도입 및

적용하여 교육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으로 교육운영

○ 출결관리, 역량진단, 교육평가 등을 실시하여 교육생의 역량강화

○ 한마음운동회, 현장견학, 졸업여행 등 교육생 단합 및 화합을 위한

교육행사 추진

(3) 추진내용 및 결과

○ 교육기간 : 2014. 2. 26(입학식) ~ 11. 12(졸업식)

○ 교육과정 : 곤충산업과, 농업강사양성과, 농업CEO양성과

○ 교육시간 및 횟수 : 120시간, 60회(과정별 20회)

○ 교육내용

- 곤충산업과 : 곤충산업이해, 곤충자원별 사육기술 등

- 농업강사양성과 : 스피치, 교안작성, 강의기법, PPT 작성 등

- 농업CEO양성과 : 리더십, 농업경영 및 마케팅, 사업계획서 등

○ 교육인원

(단위: 명)

구분 계 곤충산업과 농업강사양성과 농업CEO양성과

입학인원 91 31 30 30

졸업인원 80 30 25 25

Page 7: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1 -

다. 새해농업인 실용교육

(1) 목 적

○ 지난해 성과평가와 새해 영농계획 수립, 연구 개발된 새로운 기술 및 경영․

유통에 대한 실용교육으로 농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

○ 농정시책 홍보와 FTA 대응기술 교육을 통한 일체감 조성으로 농업인의

자신감 고취 및 당면 현안과제 해결

○ 핵심영농기술 등을 농업인에게 신속히 보급하여 자율적 대응능력 제고

(2) 추진내용

○ 교육기간 : 2014. 1월 ~ 2월(영농기술, 농촌자원, 농업경영분야)

○ 교육실시 : 시군농업기술센터소장

○ 중점방향

- 영농현장의문제점을해결하기위한핵심실천사항위주의교육서비스제공

- 농업재해, 농약안전사용기준 및 기후변화대응, 돌발 병해충 방제 등 안전

농축산물 생산기술

- 고품질 농산물 생산, 노동력 절감과 친환경 영농기술 등 신개발 기술

- 농촌활력 증진을 위한 농촌자원 개발․활용기술

○ 성공적인 새해농업인 실용교육 추진을 위한 도원 및 시군 농촌진흥

공무원 대상 도단위 전문강사요원 교육 실시 : 25개 시군 180명

(3) 추진결과 : 25개시군 35,760명

○ 추진실적

구 분교육인원(명)

교육횟수계 획 누계실적

계 39,765 35,760 320

영농기술 32,655 28,722 248

농촌자원 5,030 4,343 50

농업경영 2,080 2,695 22

(4) 금후계획

○ FTA 등 급변하는 농업환경에 경쟁력을 갖춘 경기농업인 양성 전문

교육으로 추진

Page 8: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2 -

라. 품목별 상설교육

(1) 목 적

○ 시군별 주력품목에 대하여 주요 영농시기별로 실천과제교육을 연중

실시함으로써 지역 농축산물의 경쟁력 향상

(2) 추진방향

○ 품목별 농업인 조직을 대상으로 소집단 중심의 전문교육 실시

○ 전문지도사의 조직육성 담당지도와 교육운영 지원

○ 여성농업인 대상 품목교육, 자율적 학습활동 현장교육 실시

○ 품목별 경영능력 향상에 필요한 기술정보자료의 작성

(3) 추진결과

○ 품목별상설교육 추진실적 : 20개시군 17,514명

고양 부천 용인 안산 남양주 평택 시흥 화성 파주 김포 이천

221 91 512 302 947 1,401 245 2,678 570 1,422 759

구리 양주 안성 포천 여주 동두천 양평 가평 연천 계

178 840 1,225 979 345 450 2,842 782 725 17,514

(4) 금후계획

○ 지역별 중점육성품종을 선정하여 FTA 및 이상기후 등 농업환경 변화에

능동적,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교육체계 구축

○ 수출품목에 대한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기술교육, 유통․ 마케팅

교육 중점 추진

Page 9: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3 -

마. 농산물우수관리 제도교육(GAP)

(1) 목 적

○ 고품질 안전농산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위해 농산물우수관리

(GAP)인증을 받고자 하는 농업인을 대상으로 기본교육 실시

(2) 추진방향

○ GAP농업인 교육과정을 별도로 개설하거나, 농업특성화 기술교육,

품목별 상설교육 등과 연계하여 실시

(3) 추진내용

○ 농산물우수관리 및 농산물이력추적관리제도 관련 규정 교육

○ 농약안전사용 교육

○ 작목별 재배기술교육

○ 새기술실용화교육 등 타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추진

(4) 추진결과 : 9개시군 1,916명

시군 계 용인 안산 평택 화성 양평 양주

인원 1,916 711 37 47 586 451 84

(5) 금후계획

○ GAP 교육에 대한 농업인 홍보를 강화하여 교육 미이수로 인한 피해가

없도록 작목별 영농시기를 고려하여 교육 추진

○ 변화하는 농산물관리제도 등에 대해서 적시교육 실시

Page 10: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4 -

농업인 농업기계 교육

바. 농업기계 교육훈련장비 지원

(1) 목 적

○ 새로 개발된 농업기계의 지속적인 보급에 따른 최신 농업기계교육

훈련장비를 지원하여 농업인의 농업기계 취급조작 및 정비수리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농업기계화 영농을 촉진하고 교육의 내실화에 기여

(2) 추진방향

○ 지역영농여건에맞고생력화를촉진하는최신신기종교육장비중심지원

○ 다목적 작업과 생력화율이 높은 신기종 조기확보로 교육의 효율성 제고

○ 마을별 농업기계 전문기능인력 양성으로 농업의 경쟁력 향상

(3) 추진내용

○ 지역영농 여건에 맞고 생력화를 촉진하는 최신 신기종 교육장비 구입

○ 농업인 등 대상으로 고장진단 및 자가 정비, 부품교체 요령

실습교육마을별 농업기계 전문기능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장비 확보

(4) 추진결과 : 15개시군 26대

사 업 명 사업량 시도별 사 업 내 용○ 일반기종 교육장비 26대 ○교체및신기종신규확보- 다기능복합파종기 1 안성 - 최신기종 위주로 구입- 휴립(이랑만들기)복토기 1 김포 - 농업용- 농용로우더(스키드로더) 1 평택 - 농업용- 농용굴삭기 3 포천,파주,여주 - 농업용- 다목적 이식기(자주식) 1 이천 - 농업용- SS방제기 1 광주 - 농업용- 동력제초기(무인, 승용) 2 남양주,파주 - 농업용- 보행관리기 3 용인, 남양주, 연천 - 농업용- 파이프 벤딩성형기 2 양주, 양평 - 농업용- 콩예취기 2 남양주, 안성 - 자주식- 콩탈곡기 3 남양주,화성,가평 - 자주식- 땅속작물수확기 4 남양주,파주,포천,연천 - 트랙터 부착형- 트랙터 2 연천,포천 - 농업용

Page 11: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5 -

사. 기계화영농사 교육

(1) 목 적

○ 기계화 영농종사자 또는 희망자를 대상으로 농업기계 전문기술 교육을 실시하여

지역의 기계화영농을 선도할 핵심전문기술지도자로 양성

(2) 추진내용

○ 도내 주 보급 농업기계 작동원리 및 취급조작, 점검․ 정비와 핵심

기술 안전사고 예방 기술 강화

○ 농업기계 고장수리 및 안전사용과 교통사고 예방 교육

○ 교육 수료자에 대한 기계화영농사증 수여로 성취감 부여

(3) 추진결과 : 4기 161명(기계화영농사증발급)

구 분 기 간 인원(명) 교육장소 비 고

1기 2014.3.3~14 33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2기 2014.3.17~28 21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3기 2014.4.07~4.18 30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4기 2014.6.9.~6.20 27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5기 2014.10.6~21 18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6기 2014.11.3.~14 32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Page 12: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6 -

아. 여성농업인반 교육

(1) 목 적

신규 농기계구입 실수요자 및 부녀자에게 기대조작 및 경정비,

안전사용 등의 교육으로 농촌 노동력 보충인력 육성

(2) 중점방향

○ 교육대상자가 원하는 기종 및 교육내용 사전 조사

- 교육대상에 따라 기종별, 단계별 체계적인 교육 실시

○ 안전사고 예방 교육 병행 실시

(3) 추진내용

○ 관리기 및 경운기 조작방법 및 안전이용기술 교육

○ 영농정보교환 및 기초정비 교육

○ 농업기계 안전이용기술 병행 실시

○ 주요기종에 대한 작동원리 및 운전취급조작, 점검․정비기술

(4) 추진결과 : 18명

구 분 기 간 인원(명) 교 육 장 소 비 고

여성

농기계반2014. 4. 1~ 4 18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

(5) 금후계획

○ 여성농업인 농업기계교육 참여 유도를 위한 시간 조정 및 고장이

많은 부문의 정비수리기술에 대한 실기실습 강화

○ 개인별 실기평가를 통하여 미진한 부분은 반복교육으로 성과 거양

Page 13: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7 -

자. 심화반 교육

(1) 목 적

○ 기계화영농사반 교육수료자중 보강이 필요한 농업인을 대상으로 주요

기종 전기․유압장치 교육을 통해 농기계에서 사용되는 작동 원리를

이해함으로서 기계화영농사 실력증진

(2) 추진방향

○ 교육대상자가 원하는 기종 및 교육내용 사전 조사

- 교육대상에 따라 기종별, 단계별 체계적인 교육 실시

○ 안전사고 예방 교육 병행 실시

(3) 추진내용

○ 전기기초 및 유압장치 작동원리

○ 전기제어방식 및 전기회로의 이해, 전기안전

○ 유압기기의 용도 및 특성 이해

○ 유압회로를 통한 제어방식 이해

○ 실습을 통한 전기․유압 회로 구성

(4) 추진결과 : 50명

(5) 금후계획

○ 기계화영농사 현장 점검능력 향상을 위한 농업기계 전문교육 프로

그램 개발

구 분 기 간 인원(명) 교 육 장 소 비 고

1기 2014. 7. 7.~10. 26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2기 2014.11.18.~21. 24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Page 14: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8 -

차. 농기계 정비 전문반 교육

(1) 목 적

○ 기계화영농사반 교육수료자중 농업인을 대상으로 특정기종의 전기․전자

유압뿐만 아니라 기종에 대한 전반적 정비와 점검등 현장 수리가 가능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함

(2) 추진방향

○ 교육대상자가 원하는 기종 및 교육내용 사전 조사

- 교육대상에 따라 기종별, 단계별 체계적인 교육 실시

○ 정비위주의 집중교육으로 추진

(3) 추진내용

○ 경운기, 트랙터, 이앙기, 콤바인 정비기술 교육

○ 3인 1조로 편성 실습위주로 추진

○ 엔진 주요 부위 정비 기술교육

○ 고장이 잦은 부위 정비 및 응급 조치 사항

○ 자가 정비 능력 위주의 교육으로 추진

(4) 추진결과 : 10명

(5) 금후계획

○ 자격증 취득 및 자가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지속개발 하여

운영하고 전문인력으로 양성하고자 함

구 분 기 간 인원(명) 교 육 장 소 비 고

1기 2014. 11.24.~27. 10 경기농업기술교육센터 -

Page 15: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79 -

카. 농업기계 교관 현지연찬 교육

(1) 목 적

○ 시․군 농업기계사업에 추진 내용을 공유하고 새로운 농업기계 교육

방향과 정보교류를 통해 농기계 담당자의 역량강화와 농기계의 다양한

방향 모색

(2) 추진방향

○ 농업기계 교육사업 추진 우수사례 벤치마킹

○ 농업기계 교육관계자 기술능력 배양 및 교육사업 추진 협의

○ 시군 순회 연찬으로 기술센터 간 유대강화 및 원활한 업무 정보교환

(3) 추진내용

○ 나주시농업기술센터 임대사업장 견학

○ 최신 농업기계 보관창고 및 교육관 신축과정 교육

○ 신기종 및 기술동향 교육, 생산시스템 교육

○ 농기계 교육 지원 및 추진 정보교환 등

(4) 추진결과 : 17명

구 분 기 간 인원(명) 교 육 장 소 비 고

1기 2014. 12.1~2. 17

도원

안동시농업기술센터

아세아텍 제작업체

-

(5) 금후계획

○ 시군 농업기계 담당 교관 및 현장 실무자의 교육역량 강화

Page 16: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80 -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1) 목 적

○ 신규 농기계 구입농가 또는 여성농업인 등 희망 농업인에게 농기계의

사용기술 및 경정비, 안전사용 등의 실기실습 교육으로 농기계

이용률 제고

(2) 추진방향

○ 교육대상에 따라 기종별, 단계별로 체계적인 교육실시

○ 농업기계관련 생산업체 및 지역 유관기관과 협력추진

○ 현장이용기술 교육 시 여성농업인교육 운영 또는 여성교육생 우선 선정

○ 안전사고 예방 교육 병행 실시

(3) 추진내용

○ 지역현장에서 필요한 신기종 농업기계 시연회

○ 수리점에서 거리가 먼 오지 마을 농업기계 기초 점검교육

○ 찾아가는 현장이용기술 및 정비교육

○ 지역별 순회교육 일정 수립하여 내방교육 및 현장교육

○ 안전사고 예방 교육

(4) 추진결과 : 16개시군 13,940명

○ 현장애로해결교육 : 2,883명

분계

남양주

계 2,883 479 69 175 346 145 81 180 100 113 213 300 102 100 300 100 80

○ 순회교육, 농기계 안전교육, 기타 : 11,057명

분계

택화성 광주 이천

계 11,057 795 929 350 250 1010 1620 100 1510 100 1964 337 960 200 932

Page 17: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81 -

귀농․귀촌교육

파. 귀농․귀촌 희망자 영농기술교육

(1) 목 적

○ 귀농․귀촌(희망)자에게 체계적인 기초 영농기술교육과 농업정보제공

○ 실습, 현장견학을 통해 지속적인 관심 증대 및 성공적인 농업․농촌

정착 유도

(2) 추진방향

○ 귀농․귀촌 교육프로그램 개발 운영으로 체계적 기초영농교육 지원

○ 전문 농업인 및 성공 귀농인과의 네트워크 구축 지원을 통한 정보교류

○ 이론과 현장실습교육을 통해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교육운영

○ 수요자중심의 교육편으로 교육시간 및 교육과정 다양화

(3) 추진 내용 및 결과

○ 교육기간 : 2014년 3월~11월

○ 교육과정 : 귀농․귀촌 준비반, 귀농적응반, 찾아가는 귀촌반

○ 교육내용 : 귀농․귀촌 정책, 품목별영농기술, 현장견학 등

○ 교육인원 및 횟수 : 378명, 68회

1) 귀농․귀촌 준비반

- 교육횟수 및 시간 : 24회(기당 8회, 금~토)

- 교육기간 및 인원 : 3. 28 ~ 10. 18 / 3기 126명

2) 귀농적응반

- 교육횟수 및 시간 : 30회(기당 10회, 월~금)

- 교육기간 및 인원 : 3. 24 ~ 9. 26 / 3기 126명

3) 귀농 마스터반

- 교육횟수 및 시간 : 6회(기당 3회, 월~금)

- 교육기간 및 인원 : 6. 26 ~ 11. 1 / 2기 63명

Page 18: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82 -

4) 귀농 버섯반

- 교육횟수 및 시간 : 3회(기당 3회, 월~금)

- 교육기간 및 인원 : 5. 12 ~ 5. 14 / 1기 25명

5) 경기농업 귀촌반

- 교육횟수 및 시간 : 5회(기당 5회, 월~토)

- 교육기간 및 인원 : 9. 22 ~ 9. 26 / 1기 38명

(4) 금후계획

○ 귀농․귀촌을 통한 일자리 창출 유도 및 농촌경제 활성화에 기여

○ 농업의 가치 이해 및 도․농상생의 기회 마련

Page 19: 농업인 교육훈련 사업 - nongup.gg.go.kr†업인교육.pdf · òö 타. 농업기계 현장이용 기술교육 및 순회수리 교육 É Ê` +± f1 Èk8 ;E·xy ;E Ê fj:J

- 183 -

하. 귀농․귀촌 교육 및 현장실습

(1) 목 적

○ 귀농․귀촌(희망)자에게 체계적인 기초 영농기술교육과 농업정보제공

하고 단계별 현장실습 교육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농업․농촌에 정착할 수

있도록 유도

(2) 추진방향

○ 귀농․귀촌자 중심 품목별 영농정착기술교육

○ 선도농업인(농업법인)또는 성공 귀농인의 농장에 입소하여 영농기술을

습득하고 안정적 농촌정착 과정 전수

○ 귀농자-귀농지역(시군)-전문 농업인과의 멘토링제 운영

○ 현장실습장 운영을 농산업분야 창업(일자리 창출)으로 연계

(3) 추진 결과

○ 귀농․귀촌 교육 : 4개 시군 238명

구분 계 화성 이천 파주 여주

인원(명) 238명 96명 50명 50명 42명

○ 귀농현장실습 : 6개 시군 16명

구분 계 평택 화성 이천 여주 파주 연천

인원(명) 16명 1명 2명 3명 3명 2명 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