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33
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www.firstep.or.kr 기술시장정보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색인어 : 다중 PCB, LED, 백색 LED, 디지털 조명, 조명 LED, 카메라폰 조명, LED 램프) 2008. 3. 28 정보제작기관() : 밸류애드 사경환([email protected]) 본 자료는 기술평가정보 유통 활성화를 지원할 목적으로 작성된 것으로서,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신뢰할만한 자료로부터 얻은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법적 책임소재에 대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또한,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 출처가 기술평가정보 유통시스템임을 밝혀야 합니다.

Upload: others

Post on 12-Jul-2020

9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기술정보유통의 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www.firstep.or.kr

기술시장정보

박형 다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색인어 : 다 PCB, LED, 백색 LED, 디지털 조명, 조명

LED, 카메라폰 조명, LED 램 )

2008. 3. 28

정보제작기 (명) : ㈜밸류애드

사경환([email protected])

본 자료는 기술평가정보 유통 활성화를 지원할 목 으로 작성된 것으로서, 본 자료에

수록된 내용은 신뢰할만한 자료로부터 얻은 것이나, 그 정확성이나 완 성을 보장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본 자료는 어떠한 경우에도 법 책임소재에 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한, 본 보고서의 내용을 인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그 출처가 기술평가정보

유통시스템임을 밝 야 합니다.

Page 2: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목 차

I. 기술성 분석 ························································································1

1. 기술(제품)의 특징 ·····························································································1

2. 기술 동향 ············································································································2

가. 백색 LED의 구 방법 ····························································································2

나. LED 국내 기술수 ································································································3

다. 보유 기술 동향 ········································································································3

라. 기술(제품)의 응용분야 ···························································································5

마. 기술(제품)의 특허동향 ···························································································6

3. 경쟁 신규 체기술 황 ··········································································8

가. 경쟁기술 황 ··········································································································8

나. 신규 체기술 ····································································································8

II. 시장성 분석 ······················································································9

1. 시장 특징 ············································································································9

가. 조사 범 ··················································································································9

나. 시장 개요 특성 ··································································································9

다. 시장진입장벽 ··········································································································13

2. 시장 황 ··········································································································14

가. 국내시장 동향 ········································································································14

나. 국외시장 동향 ········································································································17

3. 환경 분석 ··········································································································27

가. 경쟁 황 ················································································································27

나. 정책ㆍ법 환경 ····································································································27

다. 업체 황 ················································································································28

참고문헌 ·········································································································29

Page 3: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표 차 례

<표 1-1> 필룩스 LED램 보유 기술 ···························································································3

<표 1-2> 삼성 기 LED램 보유 기술 ·······················································································4

<표 2-1> 발 다이오드의 산업분류 범 ···················································································9

<표 2-2> 백색 LED의 HS Code ····································································································9

<표 2-3>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의 지역별 주요지표 ·········································10

<표 2-4>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의 지역별 주요지표 분석 ·······························11

<표 2-5> 국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 제조업의 산업동향 ··························12

<표 2-6> 국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 제조업 산업분석 ······························12

<표 2-7> 세계 LED 시장 유율 ·································································································14

<표 2-8> 국내 발 다이오드의 시장 황 ·················································································15

<표 2-9> 국내 발 다이오드의 시장 황 분석 ·······································································15

<표 2-10> 기타 발 다이오드 수출입 실 (한국) ····································································16

<표 2-11>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 황 (한국 2007년) ····························16

<표 2-12> 백색 LED 소자 시장 황 ·······················································································18

<표 2-13> 지역별 카메라폰의 상매출 매 수 ···································································18

<표 2-14> 국가별 고휘도 LED 개발 로젝트 황 ·····························································19

<표 2-15> 기타 발 다이오드 수출입 실 (미국) ····································································20

<표 2-16> 백색 LED 련의 국가별 수출입 황(미국 - 2007년) ·······································20

<표 2-17> 기타 발 다이오드 수입 실 (일본) ········································································21

<표 2-18> 백색 LED 련의 국가별 수입 황(일본 - 2007년) ···········································22

<표 2-19> 기타 발 다이오드 련 수출입 동향( 국) ··························································22

<표 2-20>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 황( 국 - 2007년) ···························23

<표 2-21> 기타 발 다이오드 련 성(省)별 수출입 황( 국 - 2007년) ························24

<표 2-22> 기타 발 다이오드 련 수출입 동향(EU) ·····························································25

<표 2-23>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 황(EU - 2007년) ·····························26

Page 4: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그 림 차 례

<그림 1-1> 국내 백색 LED 출원동향 ···························································································6

<그림 1-2> 미국 백색 LED 출원동향 ···························································································7

<그림 1-3> 일본 백색 LED 출원동향 ···························································································7

<그림 2-1>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의 국 비 지역별 주요지표 비 ·········11

<그림 2-2> 국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 제조업 산업분석 그래 ············13

<그림 2-3>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분석(한국 - 2007년도) ·······················17

<그림 2-4>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분석(미국 - 2007년도) ·······················21

<그림 2-5>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분석( 국 - 2007년도) ·······················24

<그림 2-6> 기타 발 다이오드 련 성(省)별 수출입분석( 국 - 2007년도) ····················25

<그림 2-7>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분석(EU - 2007년) ·····························26

Page 5: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 -

I. 기술성 분석

1. 기술(제품)의 특징

LED조명이란, 말 그 로 조명의 원으로 LED를 사용한 것을 말하며, LED조명

이 가져오는 효과로 가장 큰 것은 기존 백열 구 형 구의 짧은 수명과

높은 력소비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LED램 는 백열램 , 형 램 , 고압방 램 , 할로겐램 , 무 극램 와는 매우

다른 특성을 지닌다. 백열램 , 형 램 , 고압방 램 , 할로겐램 , 무 극램 등

은 모두 필라멘트를 원(light source)으로 사용해 빛을 내는 구조로 만들어져 있으

나 LED램 에는 필라멘트가 없다. 이것은 다른 램 들이 필라멘트에 류를 흐르

도록 하고, 여기서 나오는 빛을 원으로 사용하는 발 원리와는 달리 LED램 가

(光) 반도체에 기 에 지를 주입하면 빛 에 지로 바 는 원리를 이용하기 때문

이다. 이 게 기를 바로 빛으로 환하기 때문에 LED램 는 효율이 높다. 백열램

의 필라멘트에 기를 통하면 필라멘트가 섭씨 2000도까지 달궈지면서 열과 함께

빛을 낸다. 이 때 에 지의 90%가 열로 발산되며, 나머지 10%가 빛으로 이용된다.

결국 백열램 의 빛 효율은 10%에 불과한 셈이다.

LED램 는 이론 으로 발생되는 기에 지를 100% 빛 에 지로 환시킬 수

가 있다. 련 업계에서는 2010년이면 LED램 의 실제효율이 약 90%에 이를 것으

로 보고 있는데, 그만큼 에 지 효율이 높은 것이다. 실제로 보는 LED램 의 효율

은 백열램 의 10배, 형 램 의 2배 정도이다. 같은 빛을 내기 해 백열램 의 10

분의 1, 형 램 의 2분의 1 정도의 에 지만 있으면 된다는 얘기이다.

수명이 길다는 것도 LED램 의 장 이다. 백열램 의 경우, 1000~1500시간 ,

할로겐램 는 3000시간 , 형 램 가 2400~1만시간 정도지만 LED램 의 수명은 6

만~10만 로 반 구 이다. 그만큼 램 유지와 보수에 들어가는 비용을 일 수

있다.

그러나 LED램 의 가장 큰 장 은 역시 다양한 빛을 자유자재로 낼 수 있다는

이다. LED램 는 색, 청색, 녹색에서 백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빛을 낼 수가

있다. 색, 녹색, 청색의 LED 하나하나가 256가지 컬러를 구 하기에 3색의 LED

를 조합하면 256X256X256=1670만 가지의 컬러가 나온다. 이 게 다양한 컬러를

내는 램 는 LED램 가 유일하다. 따라서 LED램 와 LED조명은 다채로운 컬러

연출이 요구되는 장소에서 먼 사용되었다. 그 표 인 분야가 건물의 사드를

비롯한 옥외 경 조명, 사인조명과 같은 곳이다.

하나의 장 은 램 의 크기가 매우 작다는 것이다. LED 칩(chip) 하나의 크

기는 가로 0.3mm, 세로 0.3mm, 높이 0.1mm 정도에 불과하며 1mm 이하인 칩 32

개를 조합하여 형 램 수 의 밝기를 낼 수가 있다. 1mm보다 작은 램 들이 모

여 빛을 내므로 조명기구의 크기나 모양이 얼마든지 작고 다양해질 수가 있다.

Page 6: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 -

이외에 LED램 의 장 은 다양하지만 특히 LED램 가 조명이 추구하는 이상

인 특징을 모두 갖추고 있다는 이다. 높은 빛 효율, 높은 에 지 약성, 작은 사

이즈, 그리고 다양한 컬러, 이 모든게 가능한 것이 LED램 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LED램 의 용범 는 계속 확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주택조명에서 상업조명, 사

인조명, 옥외 경 조명, 도로조명, 터 조명, 생활건강조명, LED아트 등 조명의

분야로 확산되는 추세이다. 특히 가로등과 보안등, 터 조명 같은 분야가 LED조명

의 새로운 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뿐만아니라 백색 LED램 의 등장과 LED램

의 효율과 수명의 지속 개선으로 거실등이나 침실등과 같은 주택의 메인 조명

(main lighting)분야에서도 단계 교체가 이 지고 있다.

2. 기술 동향

기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백색LED의 경우, 조명시장에 용할 수 있는 고

휘도 제품개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으로 칩의 형화, 발 효율의 개선, 류

고출력화, 방열 패키지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와 함께 국내 업체는 일본의 Nichia가 가지고 있는 패키징 특허를 회피하기

한 여러 방식의 패키지 디자인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가. 백색 LED의 구 방법

재 세계 으로 진행되고 있는 GaN 백색 LED의 제작 방법은 크게 네 가지

로 나 수 있다. 단일 칩 형태로 청색 는 UV LED 칩 에 형 물질을 결합하

여 백색을 얻는 각각의 방법과 멀티 칩 형태로 두 개나 혹은 세 개의 칩을 서로 조

합하여 백색을 얻는 두 가지 방법으로 각각 나뉜다.

하나의 칩에 형 체를 목시키는 방법은 1993년 후반에 들어 고휘도 청색 LED

의 상용화가 이 지면서 청색LED를 여기 원(excitation lighting source)으로 사용

하여 YAG(Yttrium Aluminum Garnet)라는 노란색 형 물질을 통과시키는 방법을

용한 백색LED가 처음으로 등장하 다.

그러나 이 방법은 청색과 노란색의 장 간격이 넓어 색 분리로 인한 섬 효과

를 일으키기 쉽고, 주변온도에 따라 색 변환 상이 생길 수 있는 단 이 있었다.

이에 색 형 물질을 첨가하여 발 스펙트럼을 넓 서 단 을 보완하고자 하

으나 UV LED가 여기 원으로 사용되면서 단일 칩 방법으로 조명용 백색LED

원 구 을 한 가장 우수한 방법으로 두되고 있다.

멀티 칩 형태로 백색LED를 구 하기 하여 처음에는 RGB의 3개 칩을 조합하

여 제작하여 사용했으나 각 칩마다 동작 압의 불균일성과 주변 온도에 따라 각각

칩의 출력이 변해 색 좌표가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 다.

Page 7: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3 -

최근에는 보색 계를 갖는 2개의 LED를 결합하여 만드는 BCW(Binary

Complementary) LED가 출 했는데, 조명 효율이 형 등에 가까울 정도로 개선되

었다. LED의 조명 효율이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로 비춰 향후 몇 년후에

는 형 등보다 높은 효율을 갖는 LED 조명등의 출 이 망된다.

나. LED 국내 기술수

LED에 한 기술개발은 발 성능 신뢰도 향상과 가격화의 방향으로 추진

되어 왔다. 이를 하여 LED chip의 구조, 재료, 제조공법, 패키징 구동회로 등

의 분야에서 기술개발이 진행되었다.

국내 LED 기술수 은 변환율 60lm/W 수 으로 해외업체와 다소 기술격차를

보이고 있고, 니치아, 루미 즈 등 해외 LED 업체의 경우 100lm/W 이상의 시제품

을 출시하고 있어 국내 LED 기술은 해외선발업체 비 75% 수 으로 평가되고

단된다. 국내 웨이퍼 업체들은 자체 으로 에피 성장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일본,

만에 비해서는 뒤쳐지는 수 이고, 범용 LED 패키징의 경우 해외업체와 에피 성

장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나 일본, 만에 비해서는 뒤쳐지는 수 이고, 범용 LED 패

키징의 경우 해외업체와 등한 수 이나, 고휘도 LED의 경우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백색 LED의 경우 니치아의 특허공세에 응할 수 있는

기술개발에 노력하여 왔으나, 니치아의 형 체와 등한 특성을 가진 형 체 개발

은 어려운 상황이다.

다. 보유 기술 동향

국내 LED램 를 생산하는 업체 표 인 몇 군데의 최근 기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필룩스

기   간 기술명 결과 기 효과

2007.01.10 ~ 2007.06 "LED-PLANT(ST0200-00)" LED FLOWER용 화분

2007.05.10 ~ 2007.09 "LED-FLOWER-01(ST0201-00)" LED-PLANT용 꽃

<표 1-1> 필룩스 LED램 보유 기술

Page 8: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4 -

2) 삼성 기

기   간 기술명 결과 기 효과

2005.09휴 폰 액정 원용 고휘도(1.2칸델

라) 백색 LED출시

- 특허 고휘도 구 문제로 량 수입

하던 제품 국산화

- 6천볼트까지 정 기 방지(ESD)

2006.06

경 조명용 고출력 LED'SUNNIX'

본격 양산 LCD TV용 LED BLU본

격 양산

- 두께 1.4mm로 타사제품의 50% 수 에

불과한 박형

- 고효율, 긴수명, 친환경 특성으로 네

온, 형 등 등 체

2006.09 LCD TV용 LED BLU본격 양산- 색재 성ㆍ응답속도 등 특성 우수해

CCFL 체할 차세 BLU

2007.01모바일용 고휘도(1.7칸델라) 백색

LED 개발

- 휴 폰 LCD 원용 0.6㎜ 두께의 1.7

칸델라(cd) 백색LED

2007.06 LCD TV용 White LED BLU 출시

- LED칩 사용량 3분의 1로 감소, 가격

40% 낮춤

- LCD TV 모든 사이즈에 응 가능한

풀라인업 구축

2008.03 정 일반조명용 고출력 LED출시

- 2와트 고출력 LED로 일반조명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

- 독자 형 체 용해 자연 의 90%

수 까지 구

<표 1-2> 삼성 기 LED램 보유 기술

3) 서울반도체

국내 백색 LED 생산업체인 서울반도체의 재까지 연구 개발 실 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조명용 알 Power LED 개발

◦Z LED 개발

◦White특허 획득

◦LCD BLU용 Side View Type Top LED 개발

◦7 Color LED 개발

◦Full color Dot matrix 개발

◦고휘도 LED Lamp 개발(교통신호등용 등)

◦- 조명용 ACRICHE 개발

Page 9: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5 -

4) 루미마이크로

국내 백색 LED 생산업체인 루미마이크로의 재까지 연구 개발 실 을 살펴보

면, 다음과 같다.

○ 800um 측면 발 백색 LED 개발완료

○ 2Pin 5 cl(칸델라) 백색 Flash LED 개발완료

○ 6Pin 박막형 고휘도 Flash 백색 LED 개발완료

○ 1W Power LED ( White, Blue, Green, Amber, Red ) 개발완료

○ 0.4t 측면 발 백색 LED 개발완료

○ LCD TV용 32인치 LED BLU(Back Light Unit) 원 모듈(Module) 개발완료

○ Super Luminosity White LED 〔35*28*1.2T〕개발완료

○ 측발 형 발 다이오드를 이용한 조명 장치 그 제조 방법

○ 측면발 을 이용한 기 자제품의 버튼장치 그 제조 방법

○ 발 다이오드 실장용 시블 속회로기 그 제조 방법

○ 잉크 인쇄방식 측면발 을 이용한 기 자제품의 버튼장치 제조 방법

라. 기술(제품)의 응용분야

LED는 빛은 장에 따라 자외선(100~400nm), 가시 선(400~700nm) 외선

(700~1,000,000nm)으로 크게 분류가 되며 그 응용분야와 사용범 도 장에 따라

달라진다.

LED는 빛과 마찬가지로 장별로 개발이 가능하며 재 국내외 선진업체들이

장별 LED를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첫째, 가시 선 LED는 재 가장 많이 개발된 역으로 표시소자, 조명

Illumination 분야 등에 리 응용되고 있으며 채택 범 도 빠르게 늘고 있다. ( 재

실 가능한 장은 400~700nm)

둘째, Blue LED는 장이 짧아 Blue를 이용한 메모리는 기존 CD의 메모리보

다 몇 배의 장능력을 갖는 제품들에 쓰여질 것으로 망된다.

셋째, 외선 LED분야는 LED 장 가 증가, 통신, 검출기(자동개 폐기 등),

외선 사진기, 조, 감정, 근육치료, 농산품 건조기, 공기정화, 탈취 등 다양한 수

요시장이 생성가능하고, 특히 근거리 통신용 IR LED는 은 비용으로 인해 각

을 받을 것으로 상된다. ( 재 실 가능한 장은 750~4600nm)

넷째, 자외선(UV) LED분야는 불과 2~3년 까지만 해도 405nm가 자외선 LED

의 유일한 장 역 이었으나 재에는 200~405nm까지의 장 가 개발됨에 따라

응용가능 시장이 넓어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UV LED시장이 기단계에 있어

기존제품을 체하는데 시간이 걸릴 것으로 상되며 향후 살균(물, 공기), 폐수처

Page 10: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6 -

리, 탈취, 의료용, 피부병 치료, 폐감별, 조명, 섬유/화학산업, 환경센서 등에 용

가능하게 됨에 따라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망된다.

마. 기술(제품)의 특허동향

1) 국내

국내 백색 LED 련 특허 동향을 살펴보면, 1994년 LG에서 첫 출원을 시작하여

1999년부터 출원이 증가하 으며 2002년에는 31건으로 증가하 다.

2003년과 2004년에는 미공개건을 감안할 때 2002년 보다 많은 수의 출원이 상

된다.

0

5

10

15

20

25

30

35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그림 1-1> 국내 백색 LED 출원동향

자료출처 : 한국특허정보원, “백색 발 다이오드의 기술동향”

Page 11: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7 -

2) 미국

0

5

10

15

20

25

2000이전 2000 2001 2002 2003 2004

<그림 1-2> 미국 백색 LED 출원동향

자료출처 : 한국특허정보원, “백색 발 다이오드의 기술동향”

미국의 경우 2000년 이 까지 미미한 특허등록률을 보이다가 2000년 이후 IT 산

업 발달로 인하여 등록건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3) 일본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그림 1-3> 일본 백색 LED 출원동향

자료출처 : 한국특허정보원, “백색 발 다이오드의 기술동향”

Page 12: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8 -

일본은 1991년 이 까지만 하더라도 10건 미만의 출원건수를 보이다가 1992년부

터 꾸 한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2001년에는 80건에 육박하는 최다 출원건수를

기록하 다.

2002년에도 60건을 상회하는 출원건수를 보이고 2003년 이후 미공개 출원건수를

감안할 때 IT 업계의 성장에 발맞춰 꾸 한 출원건수를 유지할 것으로 망된다.

3. 경쟁 신규 체기술 황

가. 경쟁기술 황

재까지 조명(램 )의 주류는 백열 구와 형 램 가 표 이며, 상업용 옥

외용으로 HID(high intensity discharger)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형 램 의 경우 백열 구에 비해 수명과 효율면에서 우수하지만, 순시 등, 조

,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안고 있으며 HID는 램 의 시동 재시동 등에 한

과제가 남아 있다. 이들 기술은 재 가격경쟁력 휘도의 문제로 LED에 비해 다

소 우 를 하고 있지만, LED의 휘도가 개선된다면, 이들 시장의 부분을 LED가

체할 수 있을 것으로 망된다.

나. 신규 체기술

재 LED와 함께 두되고 있는 신세 의 원으로서는 무 극 램 , UHP 램

, EL 램 , CNT 램 등이 있으며, 형태 으로는 기존의 형 램 의 발 방식을

이용한 면 원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무 극 램 의 경우 수십[W]에서 수[kW] 까지 넓은 범 로 개발이 가능

할 뿐 아니라 장수명의 안정 발 이 가능하여 차후 고가격, EMI 등의 문제가 해

결된다면 백열 구, 할로겐 구는 물론이고 형 램 와 기존의 HID 램 의 역

도 상당부분 이들을 체하며 원에서 하나의 주류를 형성할 것으로 보인다.

한, LED와 더불어 재는 휘도가 걸림돌로 되어 있는 EL 램 는 그 발 속

도로 보아 가까운 장래에 주류 원으로 부상할 것으로 상된다.

Page 13: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9 -

II. 시장성 분석

1. 시장 특징

가. 조사 범

발 다이오드는 국내 분류상 분류로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 제조

업, 세분류에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 제조업에 속하는 품목으로 본 보

고서에서는 아래의 범 에 한하여 분석을 실시한다.

산업분류 코드 산 업

D32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 제조업

D32111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 제조업

D32111103 발 다이오드

<표 2-1> 발 다이오드의 산업분류 범

자료출처 : 통계청, “산업분류코드” 이용. ㈜밸류애드 가공.

국내외 수출입 분석을 해 백색 발 다이오드의 수출입 코드 조사 결과 본 보

고서에서는 “8541-40-2090 기타 발 다이오드”에 한정하여 미국, 일본, 국, EU의

국가별 수출입 분석을 실시하 다.

품목번호 품목명

8541 침, 다이스와 단되지 않은 웨이퍼

40 감 성 반도체 디바이스 발 다이오드

20 90 기타 발 다이오드

<표 2-2> 백색 LED의 HS Code

나. 시장 개요 특성

LED 산업은 고가의 장비와 문 인력을 필요로 하고, 기 시설투자비가 높고

장기간의 기술 축 이 필요한 기술 집약 산업으로, 각국은 략산업으로 지원 . 보

호하고 있다.

LED 시장의 평균 성장율은 13% 정도로 2009년 68억달러 수 으로 망되며,

2007년도를 기 으로 데스크탑, 노트북 PC, LCD TV 등의 분야에서는 연 28%의 성

장 망되며, 유럽을 심으로 했던 자동차용 고휘도 LED시장도 미국 등지로 역

Page 14: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0 -

을 넓히며 2007년부터는 동제품의 채택이 본격화 될 것으로 상. 주요 응용 제품

으로는 안개등, daytime running lamp, 헤드램 등. 그러나 휴 폰용 키패드 시장

규모는 2007년을 정 으로 수요 감소 추세이다.

최고의 성장율을 보일 응용분야는 조명으로 연평균 40% 가까운 가 른 성장세

를 보일 것으로 상됩니다. LED 업체들은 조명용 LED 시장에서 백색 LED 4

기술 트 드 즉 '칩의 형화', 발 효율 개선', ' 류·고출력화', '방열 패키지 기

술' 해결에 개발력을 집 하고 있다.

1) 국내 산업 동향

백색 LED는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 제조업에 속하며, 2006년도 국내

의 련 제조업 동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시도별사업체수

(개)월평균

종사자수 (명)여액

(백만원)출하액

(백만원)주요생산비

(백만원)부가가치 (백만원)

국 5,291 395,545 11,608,107 146,689,517 79,847,629 66,916,694

경기 2,531 189,876 5,773,835 59,079,332 29,405,029 29,568,157

인천 770 19,043 406,080 2,756,312 1,646,775 1,111,784

서울 720 19,706 520,309 3,896,705 2,497,503 1,436,911

경북 360 58,285 1,789,752 40,111,094 22,560,913 17,713,988

경남 194 15,072 408,320 6,010,431 4,608,487 1,356,140

충북 161 22,941 672,520 7,130,767 3,517,071 3,694,777

충남 141 35,323 1,109,983 18,877,565 9,992,168 8,819,029

부산 103 8,164 217,258 1,113,340 573,406 539,794

86 3,536 93,945 600,191 331,712 276,756

구 85 7,943 182,974 1,946,592 1,177,741 766,774

주 67 5,831 141,670 1,203,741 354,054 854,200

북 28 4,029 83,423 625,195 384,726 249,103

울산 20 4,271 173,228 2,388,131 2,056,058 317,339

강원 16 550 8,956 65,708 38,431 28,716

남 9 975 25,854 884,413 703,555 H183,226

<표 2-3>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의 지역별 주요지표

자료출처 : 통계청, “ 국, 지역별 연간산업”, 2008.

경기지역의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 련 사업체수가 국의 47.8%인

2,531개소로 가장 많았고,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의 출하액이 가장 높은

지역은 2006년 연간 590,793억원을 기록한 경기지역으로 국 비 40.3%를 차지하

으며, 국내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의 부가가치가 가장 높은 지역은 경

기지역으로 국 비 44.2%(295,682억원)로 조사되었다.

Page 15: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1 -

순사업체수 출하액 부가가치

지역국 비 비 지역

국 비 비 지역

국 비 비

1 경기 47.8% 경기 40.3% 경기 44.2%

2 인천 14.6% 경북 27.3% 경북 26.5%

3 서울 13.6% 충남 12.9% 충남 13.2%

4 경북 6.8% 충북 4.9% 충북 5.5%

5 경남 3.7% 경남 4.1% 서울 2.1%

6 충북 3.0% 서울 2.7% 경남 2.0%

7 충남 2.7% 인천 1.9% 인천 1.7%

8 부산 1.9% 울산 1.6% 주 1.3%

9 1.6% 구 1.3% 구 1.1%

10 구 1.6% 주 0.8% 부산 0.8%

11 주 1.3% 부산 0.8% 울산 0.5%

12 북 0.5% 남 0.6% 0.4%

13 울산 0.4% 북 0.4% 북 0.4%

14 강원 0.3% 0.4% 남 0.3%

15 남 0.2% 강원 0.0% 강원 0.0%

<표 2-4>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의 지역별 주요지표 분석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2.

0.0%

10.0%

20.0%

30.0%

40.0%

50.0%

60.0%

경기

인천

서울

경북

경남

충북

충남

부산

대전

대구

광주

전북

울산

강원

전남

사업체수 출하액 부가가치

<그림 2-1> 자부품, 상, 음향 통신장비의 국 비 지역별 주요지표 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2.

Page 16: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2 -

2) 국내 제조업 동향

국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 제조업과 련한 산업동향을 살펴보기

해 통계청의 “ 업․제조업[산업총조사]”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구분 연도 제조업(A) 자부품, 상,음향

통신장비(B)B/A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C) C/A C/B

사업체수(개)

2004 113,310 4,886 4.31% 229 0.20% 4.69%

2005 117,205 5,111 4.36% 217 0.19% 4.25%

2006 119,181 5,291 4.44% 271 0.23% 5.12%

월평균

종사자수(명)

2004 2,798,192 353,773 12.64% 18,160 0.65% 5.13%

2005 2,865,549 383,501 13.38% 15,030 0.52% 3.92%

2006 2,910,935 395,545 13.59% 16,820 0.58% 4.25%

여액

(백만원)

2004 65,678,362 9,113,041 13.88% 477,338 0.73% 5.24%

2005 71,090,901 10,751,745 15.12% 379,949 0.53% 3.53%

2006 75,121,902 11,608,107 15.45% 447,781 0.60% 3.86%

출하액

(백만원)

2004 788,633,397 134,834,171 17.10% 4,039,086 0.51% 3.00%

2005 848,484,057 140,470,302 16.56% 2,903,298 0.34% 2.07%

2006 909,066,529 146,689,517 16.14% 3,400,537 0.37% 2.32%

부가가치

(백만원)

2004 301,862,779 63,432,835 21.01% 1,906,788 0.63% 3.01%

2005 312,791,992 64,234,629 20.54% 1,228,598 0.39% 1.91%

2006 326,844,321 66,916,694 20.47% 1,649,138 0.50% 2.46%

1인당 월평균

여액(만원)

2004 195.6 214.7 1.10 219.0 1.12 1.02

2005 206.7 233.6 1.13 210.7 1.02 0.90

2006 215.1 244.6 1.14 221.8 1.03 0.91

<표 2-5> 국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 제조업의 산업동향

자료출처 : 통계청, “ 업․제조업[산업총조사]”, 2008. 1.

구 분사업체수 (개소) 종사자수 (명) 출하액 (백만원)

연평균 연평균성장율 연평균 연평균성장율 연평균 연평균성장율

2000-2006 222 5.19% 15,613 -0.22% 2,778,346 5.51%

2004-2006 239 8.78% 16,670 -3.76% 3,447,640 -8.24%

<표 2-6> 국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 제조업 산업분석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1.

Page 17: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3 -

0

50

100

150

200

250

300

2004 2005 2006

(사업체수:개소)

0

500,000

1,000,000

1,500,000

2,000,000

2,500,000

3,000,000

3,500,000

4,000,000

4,500,000

(출하액:백만원)

사업체수(개) 출하액(백만원)

<그림 2-2> 국내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 제조업 산업분석 그래

자료출처 : 통계청, “ 업․제조업[산업총조사]”, 2008. 1.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유사반도체를 제조하는 사업체수는 2006년도 271개소,

월평균 종사자수는 16,820명, 1인당 월평균 여액은 222만원으로 매년 성장하 고,

2006년도 출하액은 34,005억원으로, 2005년도에 비해 17.13% 증가하 으나, 2004년

에 비해서는 감소하는 출하액의 둔화추세를 엿볼수 있다.

다. 시장진입장벽

백색 LED는 기존 조명시장을 체하기 한 제품으로 재 소형 심의 조명분

야에 시장이 확 되고 있으나, 향후 '칩의 형화', ‘발 효율 개선’, ' 류·고출력

화', '방열 패키지 기술' 해결을 통해 일반 가정용 조명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상된

다.

백색 LED는 다이오드, 반도체 제조회사에서 생산가능한 제품으로 기존의 조명제

조업체에서는 백색 LED 생산을 해서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며, 련 제품의 생

산 노하우, 인력이 필요하다.

Page 18: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4 -

2. 시장 황

LED 가격은 매 2년마다 50% 이상 하락하며, 밝기는 100% 증가함에 따라 응용

가능시장이 기존 백색가 (세탁기, 에어콘, 냉장고 등), 휴 폰 시장에서 자동차,

형 LCD Backlight 조명시장으로 확 되고 있다.

재 백색 LED의 용이 가장 활성화되어 있는 시장은 Mobile시장으로, 향후

친환경 에 지 약과 연 된 LED 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상되어, 일반조명시

장, 자동차용 원, LCD TV BLU, 노트북 PC BLU 기타 시장으로의 LED 용

이 확 가 상된다.

국내 LED의 수요는 부분 휴 폰의 Keypad BLU, 액정화면 BLU 래쉬 모

듈입니다. 일본의 니치아社가 세계 시장의 1/4을 차지할 정도로 강세를 보이고 있

으며, 도요다고세이(일), 오스람(독), 루미 즈(미), 크리(미)등 빅5가 체 시장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국내에도 삼성 기, LG이노텍, 서울반도체 등의 기업에서부터 루미마이크로,

럭스피아 등의 소업체들까지 시장에 참여하고 있는데 이러한 많은 업체들의 경쟁

은 품질보다는 가격 경쟁 부문에서 상 으로 심한 상황이다.

만업체들의 진출과 형화 추세도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데, 국가별 유율에서

만이 21%로 39%의 일본을 근 추격(2006년)하 으며, 2007년 이후 디스 이

백라이트에 LED 채택이 늘어남에 따라 디스 이에서 강세를 보이는 만업체들

의 유율이 계속 증가할 것으로 상된다. 한 청색 칩 등에서 세계 시장 유율

이 35~80%정도이며, 유럽 미국 업체들과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하여 시장에 진

출하고 있다.

회사명니치아

(일)

오스람

(독)

스탠리

(일)

시티즌

(일)

애질런트

(미)

루미 즈

(미)

에버

라이트( )

서울

반도체(한)기타

유율 21.50% 9.60% 7.90% 7.30% 7.00% 5.20% 3.30% 2.50% 35.70%

<표 2-7> 세계 LED 시장 유율

자료출처 : Deutsche Bank. 2007.02

가. 국내시장 동향

1) 국내 시장 규모

국내 백색 LED 시장에 한 통계조사 자료가 부족한 계로 정확한 시장 유율

Page 19: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5 -

을 추정하기가 어려우나 서울반도체가 반도체 응용부품의 20% 이상을 유하고

있어 국내 업계 1 이며, 뒤를 이어 루미마이크로, 럭스피아 등으로 추정된다.

국내 발 다이오드의 시장 황을 살펴보기 해 통계청의 “ 업․제조업통계조

사 보고서[품목편]”를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품 목 구 분 2003 2004 2005 2006년 비

증감율

발 다이오드

사업체수(개소) 26 39 53 62 17.0%

생산액(백만원) 301,591 368,694 463,191 418,462 -9.7%

출하액(백만원) 306,617 366,174 464,366 406,988 -12.4%

<표 2-8> 국내 발 다이오드의 시장 황

자료출처 : 통계청, “ 업․제조업통계조사 보고서[품목편]”, 2008. 1.

구 분

사업체수 생산액(백만원) 출하액(백만원)

연평균연평균

성장율연평균

연평균

성장율연평균

연평균

성장율

2003-2006 45 33.60% 387,985 11.54% 386,036 9.90%

2004-2006 51 26.09% 416,782 6.54% 412,509 5.43%

<표 2-9> 국내 발 다이오드의 시장 황 분석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1.

국내 발 다이오드의 2006년도 사업체수는 62개소, 생산액은 4,185억원, 출하액

은 4,070억원으로, 2005년까지는 성장추세 으나, 2006년에 들어서면서 생산액과 출

하액이 감소하는 둔화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LED 산업이 치열한 가격경쟁력 심으로 체제가 변화하고 있는것을 말하

지만, 백색 LED 산업은 지속 인 성장 추세로 문가들은 분석하고 있다.

2) 국내 수출입 동향

백색 LED와 련된 수출입 황을 살펴보기 해 수출입 코드를 검색하여 련

이 높거나 유사한 품목으로 “HS Code 8541-42-2090 기타 발 다이오드”로 한정하

여 분석을 실시하 다.

본 수출입 황은 세청의 수출입 통 통계로, 체 업체 동향으로 추정할 수

는 없다.

Page 20: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6 -

구 분 2005 2006 2007 2008(2)

수출액 183,536 194,170 311,393 48,368

증가율 -10.85% 5.79% 60.37% ─

수입액 539,085 499,681 603,644 113,140

증가율 -8.54% -7.31% 20.81% ─

<표 2-10> 기타 발 다이오드 수출입 실 (한국)

(단 : 천불)

자료출처 : 세청, “수출입 통계”, 2008.

한국의 기타 LED의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수출동향을 살펴보면, 2005년의

183,536천불이 가장 낮은 수출을, 2007년의 311,393천불이 가장 높은 수출을 기록하

고, 수입의 경우 2006년의 499,681천불이 가장 낮은 수입을, 2007년의 603,644천불

이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하 다. 최근의 수입과 수출을 비교해보면, 수입이 수출보

다 133.91% 높았다.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액 비 국가명 액 비

1 국 130,604 41.94% 국 236,285 39.14%

2 홍콩 88,402 28.39%일본 152,458 25.26%

3 만 22,160 7.12% 만 96,510 15.99%

4 일본 21,081 6.77%말 이지아 46,446 7.69%

5 미국 9,464 3.04%미국 36,650 6.07%

6 독일 8,333 2.68%홍콩 11,598 1.92%

7 말 이지아 5,078 1.63%태국 10,583 1.75%

8 이탈리아 4,359 1.40%싱가포르 9,100 1.51%

9 멕시코 3,806 1.22%독일 2,337 0.39%

10 헝가리 2,762 0.89%필리핀 599 0.10%

합계 10개국 합 296,049 95.07% 10개국 합 602,566 99.82%

체 311,393 100.0% 체 603,644 100.0%

<표 2-11>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 황 (한국 2007년)

(단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Page 21: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7 -

홍콩,28.39%

대만,7.12%

기타,17.62%

중국,41.94%

중국,39.14%

기타,19.43%

대만,15.99%

일본,25.26%

수출국 분석 수입국 분석

<그림 2-3>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분석(한국 - 2007년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3) 향후 망

LED 원이 본격 인 조명 원으로 그 응용분야가 확 됨에 따라 국내 기

업은 기존에 확보한 핵심기술을 토 로 문 기술인력의 확보 등을 통해 기존의 미

해결 과제인 LED 원 가격 개선, 효율의 개선 , 백색 LED의 CRI 개선, 백색

LED의 CCT편차 축소, LED 원의 열 특성 개선 발열문제 개선, LED 원의

형 모듈화 등을 추진할 수 있는 .장기 고휘도 Power LED 기술개발 계획

(3Watt, 5Watt,10Watt )을 세워 향후에 확 될 조명 련 시장(경 조명, 자동차

조등, 가로등 등)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시장 선 과 매출신장을 기 하고 있다.

나. 국외시장 동향

1) 국외 시장 규모

디지털 기기용 부품 시장의 경우 LED와 이미지센서가 표 으로 채용되고

있는데, LED의 경우 백색 고휘도가 본격 으로 출시됨에 따라 LCD BLU와 휴 폰

용 Flash, Key Pad를 심으로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Page 22: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8 -

구 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총생산량 815 1,220 1,498 1,756 2,068

총 매 액 478.6 644.9 711.3 752.4 794.5

<표 2-12> 백색 LED 소자 시장 황

(단 : 백만개, 백만불)

자료출처 : Fuji Chimera, 2007

재 카메라폰에는 백색 LED가 용되고 있어 세계 카메라폰의 매 수를 통

해 백색 LED의 성장 추세를 살펴볼 수 있다.

Gartner Dataquest 자료에 의하면, 모든 지역에서의 카메라폰의 증가가 상되

어, 향후 백색 LED 수요도 증할 것으로 상된다.

구 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Western

Europe9,778 37,865 74,658 95,263 105,429 122,864

North

America6,484 33,125 52,658 74,417 93,589 105,607

Japan 42,225 46,111 47,032 49,134 48,578 46,560

Asia/Pacific

(일본제외)15,731 38,955 69,412 102,553 132,087 165,913

Rest of

World3,658 23,222 30,955 46,367 61,861 84,004

Total 77,878 179,278 274,715 367,735 441,546 524,949

<표 2-13> 지역별 카메라폰의 상매출 매 수

(단 : 천 )

자료출처 : Gartner Dataquest, 2007

Page 23: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19 -

국  가 로젝트명 사업기간 사업비 사업목표 내용

미  국

Next

Generation

Light

Initiative

2002 ∼ 2020 연간 5천만불

200lm/W 최종목표로,

2025년까지 일반 조명

구의 50%를 LED를

이용한 백색 소자로

일  본Light For The

21st Century1998 ∼ 2008 연간 62억 엔

4개 학, 13개 업체, 1

개 력외가 참여.

120lm/W 원개발 목

 만

Next

Generation

Illumiation

Light Source

2002 ∼ 2005 -반도체 단지 조성

기반 구축

한  국차세 성장동

력산업2004 ∼ 2008 총 3,185억원

2013년, 120lm/W 원

개발목표

<표 2-14> 국가별 고휘도 LED 개발 로젝트 황

2) 국외 수출입 동향

가) 미국

미국의 백색 LED와 련한 수출입 황 악을 한수출입 코드를 검색을 해

련성이 높거나 유사한 품목인 “8541-40-2000 Light-emitting diodes (led`s)”로 한

정하여 분석한 결과

미국이 기타 LED 련분야에서 수출한 황을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살펴보면,

2007년의 666,767천불이 가장 낮은 수출을, 2005년의 738,374천불이 가장 높은 수출

을 기록하 고, 수입의 경우 2005년의 661,831천불이 가장 낮은 수입을, 2006년의

828,589천불이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하 다. 최근의 수입과 수출을 비교해보면, 수

입이 수출보다 27.45% 높았다.

Page 24: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0 -

구 분 2005 2006 2007 2008(1)

수출액 738,374 690,941 666,767 49,896

증가율 10.95% -6.42% -3.50% ─

수입액 661,831 828,589 799,633 63,593

증가율 7.18% 25.20% -3.49% ─

<표 2-15> 기타 발 다이오드 수출입 실 (미국)

(단 : 천불)

자료출처 : 무역 회, “무역통계”, 2008.

미국의 기타 LED 련의 2007년도 국가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체 수출액은

666,767천불을 기록하 고, 멕시코가 152,829천불로 2007년도 체 수출액의 22.92%

로 가장 높은 비 을 나타내었고, 말 이시아가 84,404천불(12.66%), 홍콩 61,510 천

불(9.23%)의 순으로 분석되었고, 2007년도 국가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체 수입액

은 799,633천불 일본이 234,117천불로 2007년도 체 수입액의 29.28%로 가장 높

은 비 을 나타내었고, 말 이시아가 217,582천불(27.21%), 화인민공화국 153,462

천불(19.19%)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액 비 국가명 액 비

1 멕시코 152,829 22.92%일본 234,117 29.28%

2 말 이시아 84,404 12.66%말 이시아 217,582 27.21%

3 홍콩 61,510 9.23% 화인민공화국 153,462 19.19%

4 한국 47,474 7.12% 만 46,191 5.78%

5 일본 44,670 6.70%태국 38,067 4.76%

6 국 42,720 6.41%독일 20,344 2.54%

7 카나다 41,690 6.25%멕시코 19,384 2.42%

8 싱가폴 29,773 4.47%필리핀 13,538 1.69%

9 랑스 26,887 4.03%한국 13,239 1.66%

10 화인민공화국 18,297 2.74%카나다 8,693 1.09%

합계 10개국 합 550,254 82.53% 10개국 합 764,617 95.62%

체 666,767 100.0% 체 799,633 100.0%

<표 2-16> 백색 LED 련의 국가별 수출입 황(미국 - 2007년)

(단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Page 25: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1 -

말레이시아, 12.66%

홍콩,9.23%

기타,37.72%

멕시코,22.92% 일본,

29.28%

기타,19.94%

중화인민공화국,19.19%

말레이시아, 27.21%

수출국 분석 수입국 분석

<그림 2-4>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분석(미국 - 2007년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나) 일본

일본의 백색 LED와 련한 수출입 황을 살펴보기 해 수출입 코드를 검색하

여 련이 높거나 유사한 품목으로 “854140010 Light emitting diodes triacs, other

than photosensitive devicesr than silicon transistors”의 HS 코드로 한정하 다.

구 분 2005 2006 2007 2008(1)

수입액 83,927 85,255 76,319 6,739

증가율 10.71% 1.58% -10.48% -91.17%

<표 2-17> 기타 발 다이오드 수입 실 (일본)

(단 : 백만엔)

자료출처 : 무역 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2008, 3. ㈜밸류애드 재구성.

일본의 기타 발 다이오드의 수입 경우 2007년의 76,319백만엔이 가장 낮은 수입

을, 2006년의 85,255백만엔이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하 다.

Page 26: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2 -

구분수 입

말레이시아, 24.17%

기타,39.53%

미국,15.75%

중국,18.59%

국가명 액 비

1 말 이시아 18,448 24.17%

2 국 14,191 18.59%

3 미국 12,017 15.75%

4 만 11,060 14.49%

5 태국 6,618 8.67%

6 필리핀 5,043 6.61%

7 홍콩 2,964 3.88%

8 한민국 2,736 3.58%

9 인도네시아 1,190 1.56%

10 싱가폴 559 0.73%

합계 10개국 합 74,826 98.04%

체 76,319 100.0%

<표 2-18> 백색 LED 련의 국가별 수입 황(일본 - 2007년)

(단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일본의 기타 발 다이오드의 2007년도 국가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체 수입액은

76,319백만엔 말 이시아가 18,448백만엔으로 2008년도 체 수입액의 24.17%로

가장 높은 비 을 나타내었고, 국이 14,191백만엔(18.59%), 미국 12,017백만엔

(15.75%)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다) 국

국의 백색 LED와 련한 수출입 황을 살펴보기 해 수출입 코드를 검색하

여 련이 높거나 유사한 품목으로 “85414000 Photosensitive semiconductor

devices,photovoltaic cells & LEDs”로 한정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구 분 2005 2006 2007 2008(2)

수출액 1,258,590 2,461,630 5,266,580 1,231,268

증가율 95.47% 95.59% 113.95% ─

수입액 2,565,263 3,000,885 3,832,014 665,733

증가율 24.33% 16.98% 27.70% ─

<표 2-19> 기타 발 다이오드 련 수출입 동향( 국)

(단 : 천불)

자료출처 : 무역 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2008, 3. ㈜밸류애드 재구성.

Page 27: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3 -

국의 기타 LED 련의 2008년부터 2005년까지 수출동향을 살펴보면, 2005년의

1,258,590천불이 가장 낮은 수출을, 2007년의 5,266,580천불이 가장 높은 수출을 기

록하 고, 수입의 경우 2005년의 2,565,263천불이 가장 낮은 수입을, 2007년의

3,832,014천불이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하 다. 최근의 수입과 수출을 비교해보면,

수입이 수출보다 103.82% 높았다.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액 비 국가명 액 비

1 Spain 1,427,091 27.10% Japan 1,530,747 39.95%

2 Germany 1,381,751 26.24% Taiwan prov. 867,034 22.63%

3 Hong Kong 607,505 11.54% China 542,818 14.17%

4 Belgium 274,732 5.22% Korea Rep 216,667 5.65%

5 Japan 235,692 4.48% Malaysia 171,599 4.48%

6 Italy 211,624 4.02% Germany 111,339 2.91%

7 Netherlands 208,886 3.97% Thailand 72,432 1.89%

8 United States 208,162 3.95% Indonesia 62,162 1.62%

9 Korea Rep 168,593 3.20% United States 55,800 1.46%

10 France 148,866 2.83% Hong Kong 51,916 1.35%

합계 10개국 합 4,872,902 92.52% 10개국 합 3,682,514 96.10%

체 5,266,580 100.0% 체 3,832,014 100.0%

<표 2-20>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 황( 국 - 2007년)

(단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국의 기타 LED 련의 2007년도 국가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체 수출액은

5,266,580천불을 기록하 고, Spain이 1,427,091천불로 2007년도 체 수출액의

27.10%로 가장 높은 비 을 나타내었고, Germany가 1,381,751천불(26.24%), Hong

Kong 607,505 천불(11.54%)의 순으로 분석되었고, 2007년도 국가별 수입을 분석해보

면, 체 수입액은 3,832,014천불 Japan이 1,530,747천불로 2007년도 체 수입액

의 39.95%로 가장 높은 비 을 나타내었고, Taiwan prov.이 867,034천불(22.63%),

China 542,818 천불(14.17%)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 국의 경우 수출입 면세 혜택으로 자국에서 수출, 수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음.

Page 28: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4 -

Germany,26.24%

Hong Kong,11.54%

기타,27.66%

Spain,27.10%

Japan,39.95%

기타,19.36%

China,14.17%

Taiwanprov.,22.63%

수출국 분석 수입국 분석

<그림 2-5>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분석( 국 - 2007년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액 비 국가명 액 비

1 강소성 2,849,203 54.10% 동성 1,934,005 50.53%

2 하북성 573,639 10.89%강소성 790,235 20.65%

3 동성 496,394 9.43%상해 417,280 10.90%

4 상해 456,407 8.67%천진 177,613 4.64%

5 천진 371,377 7.05%북경 93,124 2.43%

6 강성 263,470 5.00%산동성 89,433 2.34%

7 복건성 55,618 1.06%복건성 87,559 2.29%

8 하남성 47,757 0.91% 강성 67,871 1.77%

9 섬서성 47,741 0.91%요녕성 58,788 1.54%

10 산동성 30,918 0.59%섬서성 43,543 1.14%

합계 10개성 합 5,192,524 98.60% 10개성 합 3,759,451 98.22%

체 5,266,342 100.0% 체 3,827,442 100.0%

<표 2-21> 기타 발 다이오드 련 성(省)별 수출입 황( 국 - 2007년)

(단 : 천불)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국의 기타 LED 련의 2007년도 각 성(省)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체 수출액

은 5,266,342천불을 기록하 고, 강소성이 2,849,203천불로 2007년도 체 수출액의

54.10%로 가장 높은 비 을 나타내었고, 하북성이 573,639천불(10.89%), 동성

496,394 천불(9.43%)의 순으로 분석되었고, 2007년도 각 성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체 수입액은 3,827,442천불 동성이 1,934,005천불로 2007년도 체 수입액의

50.53%로 가장 높은 비 을 나타내었고, 강소성이 790,235천불(20.65%), 상해

417,280 천불(10.90%)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Page 29: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5 -

하북성,10.89%

광동성,9.43%

기타,24.18%

강소성,54.10%

강소성,20.65%

상해,10.90%

기타,16.14%

광동성,50.53%

각 성별 수출규모 분석 각 성별 수입규모 분석

<그림 2-6> 기타 발 다이오드 련 성(省)별 수출입분석( 국 - 2007년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라) EU

EU의 백색 LED와 련한 수출입 황을 살펴보기 해 수출입 코드를 검색하

여 련이 높거나 유사한 품목으로 “85414010 Light-emitting diodes, incl. laser

diodes”로 한정하여 분석을 실시하 다.

구 분 2004 2005 2006 2007(12)

수출액 655,540 653,935 708,762 719,882

증가율 20.39% -0.24% 8.38% 1.57%

수입액 973,435 979,507 982,473 1,043,611

증가율 28.70% 0.62% 0.30% 1.57%

<표 2-22> 기타 발 다이오드 련 수출입 동향(EU)

(단 : 천€)

자료출처 : 무역 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이용 2008, 3. ㈜밸류애드 재구성.

EU의 기타 LED 련의 2004년부터 2007년까지 수출동향을 살펴보면, 2005년의

653,935천€가 가장 낮은 수출을, 2007년의 719,882천€가 가장 높은 수출을 기록하

고, 수입의 경우 2004년의 973,435천€가 가장 낮은 수입을, 2007년의 1,043,611천

€가 가장 높은 수입을 기록하 다. 최근의 수입과 수출을 비교해보면, 수입이 수출

보다 44.97% 높았다.

Page 30: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6 -

구분수 출 수 입

국가명 액 비 국가명 액 비

1 Malaysia 117,451 16.32% Fr Germany 238,746 22.88%

2 Italy 77,046 10.70% Malaysia 161,253 15.45%

3 Fr Germany 51,775 7.19% Japan 143,208 13.72%

4 France 41,933 5.82% China 93,609 8.97%

5 Utd. Kingdom 38,891 5.40% USA 71,912 6.89%

6 Hungary 37,804 5.25% Netherlands 67,662 6.48%

7 Spain 37,763 5.25% Utd. Kingdom 60,482 5.80%

8 Czech Rep. 34,333 4.77% Taiwan 39,498 3.78%

9 USA 27,978 3.89% Hong Kong 16,599 1.59%

10 Netherlands 21,871 3.04% South Korea 15,685 1.50%

합계 10개국 합 486,845 67.63% 10개국 합 908,654 87.07%

체 719,882 100.0% 체 1,043,611 100.0%

<표 2-23>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 황(EU - 2007년)

(단 : 천€)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Italy,10.70%

FrGermany,

7.19%

기타,33.42%

Malaysia,16.32%

Malaysia,15.45%

Japan,13.72%

기타,35.02%

FrGermany,22.88%

수출국 분석 수입국 분석

<그림 2-7> 기타 발 다이오드 련 국가별 수출입분석(EU - 2007년)

자료분석 : ㈜밸류애드, 2008, 3.

EU의 기타 LED 련의 2007년도 국가별 수출을 분석해보면, 체 수출액은

719,882천€을 기록하 고, Malaysia이 117,451천€로 2007년도 체 수출액의

Page 31: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7 -

16.32%로 가장 높은 비 을 나타내었고, Italy이 77,046천€(10.70%), Fr Germany

51,775 천€(7.19%)의 순으로 분석되었고, 2007년도 국가별 수입을 분석해보면, 체

수입액은 1,043,611천€ Fr Germany이 238,746천€로 2007년도 체 수입액의

22.88%로 가장 높은 비 을 나타내었고, Malaysia이 161,253천€(15.45%), Japan

143,208 천€(13.72%)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3. 환경 분석

가. 경쟁 황

조명산업은 가정용, 산업용, 상업용 등 부분의 분야에서 안정 성장세를 유지

하고 있지만 수입조명 등으로 인하여 경쟁이 매우 심한 상태이다. 재의 조명은

발 효율, 연색성, 수명 등 성능의 지속 인 향상을 통해 많은 부분 인 개선이 이

루어지고 있지만, 고유가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외부환경 변화로 에 지 약

기능과 친환경성이 보다 강조되는 상황이다. 한 다국 조명업체 국을 비롯

한 동남아산의 가제품이 국내시장 잠식을 확 함에 따라 가격, 품질, 서비스 등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나. 정책ㆍ법 환경

LED는 에 지 감 효과가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생산과정에서 납과 같은 환

경오염 물질의 오염 험이 없다. 각국 정부는 바로 이런 LED조명의 특성에 주목하

고 LED조명을 보 , 확산시킨다는 정책을 극 추진 이다. 미국이나 EU, 호주 등

은 2~3년 내에 효율이 낮은 백열램 를 퇴출시킨다는 계획을 추진 이며, 그 과정

에서 체 조명의 30% 정도를 LED조명으로 체한다는 목표를 세워 추진 에 있

다. 기존의 조명을 빛 환 효율이 높은 LED조명으로 교체하면 기존 조명 비 최

고 90%까지 에 지 감이 가능하고, 기존 조명의 30%를 LED로 체할 경우 연간

1조6000억원, 원자력발 소 2기 분에 해당하는 력을 감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한 無수은, 長수명, 높은 안 성을 지닌 LED조명은 환경규제나 기후변화 약

등에 응할 수 있는 미래의 신환경산업이다. 그런 만큼 LED조명의 사용이 확 되

면 자연스럽게 환경규제와 기후변화 약이란 장애물을 극복할 수가 있다. 정부로

서는 LED조명이야말로 일석삼조, 일석사조의 효과를 노리기에 가장 합한 아이템

이다. 그 기 때문에 각국 정부에서는 략 차원에서 LED조명을 육성, 발 시키

기 한 정책을 펴고 있다.

LED와 련된 법령이나 정부의 규제와 련해서는 해당사항이 없으나, 수출 련

Page 32: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8 -

하여 유해물질 사용과 련된 규제가 있다.

유럽시장은 2006년 7월부터 납(Pb), 수은(Hg), 카드뮴(Cd), 6가 크롬, 롬계 난

연제 물질 2종(PBB PBDE)의 총 6종의 물질이 포함된 기· 자제품에 해서

매를 지하는 유해물질사용제한지침(RoHS:Restriction Of the use of certain

Hazardous Substances)이 시행되고 있다.

다. 업체 황

지 까지 백열등기구나 형 등기구를 생산하던 국내 업체들 가운데 상당수가

LED 주택용 조명기구 생산에 돌입했거나 개발에 착수했으며, 가로등을 생산하던

업체들 다수가 LED 개발에 돌입한 실정이다. 경 조명의 경우, 이미 LED조명

이 세를 굳혔으며, 사인조명 분야에서는 정부의 간 정비 사업에 힘입어 기존의

형 램 용 간 을 LED 간 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활발하게 추진되면서 많은 업체

들이 LED조명에 진출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주목되는 부분은 기, 자, IT와 같이 그 동안 조명과는 련이

없는 것으로 여겨지던 분야에 종사하던 업체들이 LED조명을 계기로 삼아 속속 조

명산업에 뛰어들고 있다는 이다. 그런 표 인 업체로는 삼성 기, LG이노텍,

KDT, 다노테크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업체들의 LED조명 진출은 LED조명의 미래

나 성장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을 실감하게 만드는 사례들이다.

이런 새로운 업체들의 참여 못지않게 기존 조명업체들의 LED조명 사업 진출도

활발하다. 오스람, GE, 필립스 같은 로벌 기업들은 이미 LED조명 사업에 뛰어들

었고, 호 기나 필룩스 같은 조명 선도기업들도 LED조명 사업을 시작했다. 여기

에 견 조명업체나 소규모 업체까지 가세하면서 LED조명은 빠르게 변을 넓

가고 있다.

2006년 국내에서 LED조명에 참여하고 있는 업체는 약 450개 정도로 추산된다.

이 가운데 65%가 수도권에 몰려 있고, 주에 18.5%, 경상 충청권 등지에 16.5%

가 산재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기존의 조명업체 가운데 LED조명에 뛰어

드는 업체가 많고, 조명 이외의 사업체를 운 하다가 새로운 고부가가치, 고수익 시

장을 찾아서 LED조명에 진출하는 업체들이 속속 나타나는 상황이어서 앞으로 LED

조명업체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Page 33: 초박형 다중 PCB를 활용한 LED 디지털 조명 - Egloospds13.egloos.com/pds/200906/22/46/pcb_led.pdf기술정보유통의 중심 First Step to Technology Information 기술시장정보

- 29 -

[참고문헌]

[1] ㈜밸류애드, www.valueadd.co.kr.

[2] 무역 회, “무역정보네트워크 서비스”, 2008.

[3] 무역 회, “품목별해외시장동향”, 2008.

[4] 통계청, “ 공업통계조사보고서”, 1991~2003.

[5] 통계청, “표 산업분류항목표”, 2003.

[6] 루미마이크로, “사업보고서”, 2008.

[7] 서울반도체, “사업보고서”, 2008.

[8] 자부품연구원, www.eic.re.kr.

[9] www.dt.co.kr

[10] www.kotra.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