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26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Vol. 47, No. 3, pp. 1~26, 2008. < 요 약 >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 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지적장애아동의 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모 217명을 대상으로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모의 양육태도, 부의 양육참여도, 가족기능, 모 - 교사 간 상호작용, 사회적지원 정도, 모의 심리적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은 모의 양육태도, 가족기능, 사회적지원 정도, 모의 심리적행 복감에 의해 유의하게 예언되었다. 또한 하위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자율성영역에서는 가족기능, 모의 심리적 행복감이 운동성영역에서는 모의 양육태도, 가족기능, 모의 심 리적행복감이 의사소통영역에서는 사회적지원 정도, 모의 심리적행복감이 사회성영역에 서는 모의 양육태도, 모의 심리적행복감이 유의한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 지적장애아동, 적응행동, 예측변인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모의 지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the Mentally Disabled Child’s Adaptational Behavior 김 지 인 * Kim, Ji In * 동신대학교 사회복지과 외래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ongshin University

Upload: others

Post on 29-Dec-2019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Vol. 47, No. 3, pp. 1~26, 2008.

< 요 약 >

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지적장애아동의 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모 217명을 대상으로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모의 양육태도, 부의 양육참여도, 가족기능, 모 - 교사 간 상호작용, 사회적지원 정도, 모의 심리적행복감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은 모의 양육태도, 가족기능, 사회적지원 정도, 모의 심리적행복감에 의해 유의하게 예언되었다. 또한 하위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자율성영역에서는 가족기능, 모의 심리적 행복감이 운동성영역에서는 모의 양육태도, 가족기능, 모의 심리적행복감이 의사소통영역에서는 사회적지원 정도, 모의 심리적행복감이 사회성영역에서는 모의 양육태도, 모의 심리적행복감이 유의한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 지적장애아동, 적응행동, 예측변인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모의 지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the

Mentally Disabled Child’s Adaptational Behavior

김 지 인*Kim, Ji In

* 동신대학교 사회복지과 외래교수(교신저자 : [email protected])Department of Social Welfare, Dongshin University

Page 2: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 -

Ⅰ. 서 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간에게는 많은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대부분은 정상 범위 내에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상의 범위에서 벗어나는 차이점들은‘장애’로 인식되어 세인들의 특별

한 관심을 끌게 된다. 역사적으로 살펴볼 때 신체적, 정신적 그리고 행동적으로

차이를 보이는 사람들에 대하여 종교학, 심리학, 교육학, 의학 등 각 학문분야에

서 많은 연구를 해 왔으며 이러한 차이에 대해 정의를 내리고 있다. 지적장애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며 사회적, 상황적 요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친다(Drew &

Hardman, 2007).

미국의 경우 미국정신지체협회(AAMR)의 첫 번째 매뉴얼이 1921년에 출판

되면서 정신지체에 대한 정의가 등장하였으며 이후 여러 차례 개정을 통하여 현

재에 이르고 있다. 우리나라도 지적장애에 대해 1981년 장애인복지법 제정을

계기로 사회적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관심은 확대되었고 2007년 전

면개정으로 기존의 정신지체라는 개념대신 지적장애라는 개념을 수용하기에 이

르렀다(보건복지부, 2007).

최근 의학적 진단기법의 발달로 지적장애에 대한 원인들이 밝혀질 것으로 기

대되었으나 아직도 약 20% 정도만이 생물 의학적 요인에 기인하며 나머지

80%는 아직 정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다. 여러 학문 분야 중 심리학과

같은 행동과학의 경우 지능검사 도구의 개발로 지적장애를 진단하는데 기여하였

으며 특수교육학은 지적장애아동을 위한 교수학습 전략과 장애전반에 대한 총체

적 이해에 기여했다. 사회복지학의 경우는 중재방안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책입안에 영향력을 행사하여 왔다. 이렇듯 지적장애에 대해 각 학문 분야마다

다른 기여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적장애아동이 속해있는 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서는 의견을 함께 한다.

생애주기별 시각에서 볼 때 유아기 및 아동기의 성장과 발달은 인간의 발달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것은 유아기 및 아동기가 모든 아동에게 결정적 시기이

며 이 시기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는 것이다. 이 시기의 경

험에 의해 아동은 적절한 발달 잠재력의 획득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그렇지 않

을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지적인 기능이 충분히 강화되어 아동이 높은 단계의

능력을 활용할 수도 있고 발달단계에서 경험자극이 결여되어 영원히 낙후된 기

능을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이다. 유아기 및 아동기의 환경적 영향력은 그 이후의

Page 3: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3 -

어떤 단계보다도 훨씬 지속적이고 광범위하다(Berk, 2005; Broderick &

Blewitt, 2003). 따라서 이 시기에 속해 있는 지적장애아동의 환경맥락을 통합

적으로 탐색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는 판단으로 본 논문을 계획하게 되었다.

선행연구 검토결과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가정환경 변인을 탐색한

연구로는 부모의 종교, 장애발생 시기, 아동의 연령, 도덕문제, 자립문제가 지적

장애아동 모의 성격유형, 정서적 안녕감 그리고 가족체계의 응집력과 적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이용호 등(1999)과 여광응, 임지향(2000)의 연구가 있

다. 선행연구에서도 알 수 있듯 장애아동과 그 가족이 겪는 문제는 발달관련 문

제, 교육환경, 부모와 아동 간 정서적 불일치, 양육관련 문제, 가족갈등, 빈곤 등

다양하며, 이러한 문제들은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내재적으로 구조화되는 특성을

보인다. 특히 지적장애아동의 경우 아동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체계와의 상호작용

과 상호교류가 그들의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이와 관련된 변인들을

예측하고 영향력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지적장애아동의 적응이나 사회통합과 관련된 요인들을 다차원적인 맥락에서 분석

하는 실증적 연구는 미흡하여 임상영역에 적용하고 정책에 반영하는데 있어 아직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지적장애아동에 대하여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

동의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내에서 여

러 요인이 반영되는 다양한 변인을 함께 고려하는 접근이 필요하다. 이러한 접근

방법 중 대표적인 것이 Bronfenbrenner(1979)의 생태학 모형을 토대로 한 생

태체계적 접근방법이다. Bronfenbrenner는 인간이 관여하는 생태학적 환경은 일

련의 겹구조의 형태라고 정의하면서 인간발달과 관련하여 환경을 조직화 하는 틀

을 제시하였고, 이를 모형화하여 미시체계, 중간체계, 외체계, 거시체계로 구분하

였다. 가장 내부에 있는 수준은 미시체계(microsystem)라고 불리며 개인을 포

함한 즉각적인 장면(setting), 그 장면에 함께 있는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 그 관

계의 본질 그리고 그 관계가 직접적으로 그 개인을 다루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줌

으로써 발달하는 사람에게 간접적으로 주는 영향들이다. 주로 한 개인에게 친숙

한 장소인 가정이나 교실이 될 수 있으며 실험실이나 검사실도 여기에 속한다.

그 다음 수준은 단일한 장면에서 벗어나 환경과 환경간의 관계를 보는 상호연결

성의 원리를 적용하는 수준으로 중간체계(mesosystem)라고 부른다. 세번째 수

준은 개인의 장면 내에 존재하지는 않지만 그것에 의해 심각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환경으로 외체계(exosystem)라고 불리운다. 마지막으로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환경수준을 모두 포괄하는 각 사회 하위문화권 내에 존재하는 가치나 이념,

철학을 거시체계(macrosystem)라고 불린다.

Page 4: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4 -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논함에

있어 모의 지각에 근거하였으며 지적장애아동이 관여하고 있는 환경을 미시체계

변인, 중간체계 변인, 외체계 변인으로 구분하여 탐색하였다. 미시체계 변인으로

는 모의 양육태도, 부의 양육참여도, 가족기능을 선정하였으며 중간체계 변인으

로는 모 - 교사간 상호작용을 외체계 변인으로는 사회적지원 정도와 모의 심리

적 행복감 변인을 선정하였다. 또한 도출된 연구결과는 바람직한 부모교육, 부모

- 자녀관계 향상 프로그램, 나아가 특수교육과의 연계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도록 하며 보다 효과적인 개입의 초점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

고 있다.

Ⅱ. 이론적 배경1. 지적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적응행동은 광범위한 아동의 사회적 차원에 대한 총체적 개념으로 일반적으로

환경에 적응하는 것, 환경과 효과적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대인관계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사회적응 혹은 적응행동에 대한 정의는 다양한 차원으로 구분되어 있지만

Nihara 등(1969)은 개인의 대처방법이라고 주장하면서 독립기능, 개인적 책임,

사회적 책임의 3가지 영역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인간은 출생 후 발달기를 거치면서 변화하는 환경안에서 적응과정을 거치면서

성장하게 되며 된다. 그러나 지적장애아동의 경우 장애의 특성상 비장애 아동에

비해 적응행동에 있어 많은 지체를 나타낸다. 특히 지적능력의 결함으로 인해

언어능력, 통찰력, 판단력 등이 결핍되어 있고 후천적인 경험도 어려워 사회성

발달에 많은 제한이 있다. 또한 또래와의 협동놀이에 어려움이 있고 성인과의

관계에서도 적절한 반응을 하지 못한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교류의 결함은 사회

적 행동의 습득을 방해하고 언어와 인지 및 학업기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이수경, 1996). 조혜선(1999)은 발달장애 아동의 경우 사회적 기술이 크

게 결여되어 다른 사람과 능숙하게 관계하지 못하며 효과적인 사회적 행동을 하

는데 필요한 복잡한 행동들을 습득하기 어렵고 또래로부터 거부 등을 경험하게

된다고 하였다. 또한 이러한 부정적인 경험은 대인회피반응을 강화하고 나아가

사회적 능력의 발달을 저해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아동의 적응행동 향상의 필요

성을 강조하였다.

Page 5: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5 -

지적장애를 포함한 발달장애아동의 적응행동과 관련된 주제를 탐색한 국내의

연구들 중 본 논문과 동일한 개념인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숙도를 측정한 연구

들로서 생활재활교사의 양육태도가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성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조해일(2005)의 연구가 있으며 부모와 발달장애아동의 상호작용 특성과

아동의 사회성숙과의 관계를 연구한 우주영, 장성숙(2005)의 연구가 있다.

사회성숙도 검사는 개인의 성장 또는 변화가 적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는 것을 인식하고(송영혜, 1998), 자조, 이동, 작업, 의사소통, 자기관리, 사회화

등과 같은 변인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능력 즉 적응행동을 평가 또는 측정하는

검사이다(김승국, 김옥기, 1995). 그동안 사회성숙 척도는 여러 학자에 의해 개

발되어 왔으며 하위요인은 학자마다 조금씩 다르게 구분하고 있으나 대체로 자

율성, 운동성, 의사소통, 사회성과 같은 네 가지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자율성

영역은 아동의 연령에 맞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행동 즉, 세면, 옷 입기, 책상정

리 등과 같은 행동을 자기의사에 따라 스스로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운동

성 영역은 아동이 주변 환경과 효과적으로 상호교류하고 일상적인 활동을 개인

적, 사회적으로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 요구된다. 의사소통영역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사회로부터의 자극을 교환하는 것이며, 사회성 영역은 사회에 적응하

면서 필요한 행동을 학습하는 과정으로 아동에게는 우정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사교성과 사회적 구성원과의 접촉을 통해 사회에서 요구되는 습관, 사고방식, 태

도 등을 배우는 행동을 포함하는 사회적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조혜선, 1999).

2. 지적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관련 예측변인 1) 모의 양육태도

인간은 태어나 성인이 될 때까지 부모의 보호를 받으며 성장하고 생활한다.

자녀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지식, 기술, 가치 등을 습득하고 대인관계의 기초를

형성하여 사회화를 이루며 성격이 형성된다. 따라서 수용과 애정적인 분위기를

경험하며 자란 아동은 부모에 대한 신뢰가 기초가 되어 타인에 대해서도 애정적

이며 수용적인 태도를 갖지만 거부적인 분위기를 경험하며 자란 아동은 항상 자

기방어를 하고 타인을 신뢰하지 못한다(Sears, 1965).

부모는 자녀를 키우는 과정에서 의식적으로든 무의식적으로든 자신의 지적,

정의적 특성을 아동에게 심어주기 때문에 아동의 성장발달에 있어 부모의 영향

은 지대하다고 할 수 있으며 특히 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출생과 더불어 일생

동안 매우 강력하게 작용한다고 할 수 있다. 모의 양육태도에 관련된 국내의 선

Page 6: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6 -

행연구로 정신지체 아동의 사회적응이 부모가 제공하는 사회적 경험의 수준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조용태(1995)의 연구가 있다.

인간의 행동은 심리적 상태에 좌우되므로 양육태도를 논의할 때 양육스트레스

를 간과할 수 없다. 기존의 연구들 또한 장애유형을 불문하고 모의 양육스트레

스에 중점을 두어 진행되어 왔다(홍지연, 2006: 이한우, 2002). Dyson(1993)

의 연구에 의하면 장애아동의 모는 아동 양육과정에서 가족관계의 문제와 불안

한 아동의 미래로 인해 높은 양육스트레스를 경험한다는 연구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며 Krauss(1993)는 연구대상으로 어머니뿐만 아니라 장애아동의 아버지를

포함시켜 이러한 부모의 양육 스트레스가 장애유형과 정도와 상관이 있다는 연

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아동이 속해있는 가장 근접 환경인 가족 내에서

모의 양육태도는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에 영향력이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본

변인을 가정환경 미시체계 변인으로 추출하였다.

2) 부의 양육 참여도부의 참여도는 아동양육에 함께 보내는 물리적ᆞ신체적 상호관계에 대한 참여

행동의 양적 정도를 의미한다. 최근 사회변동이나 가치관에 따라 부의 존재는

아동생활에 영향을 주는 주요 인물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아동양육

에 실제적으로 참여하도록 기대되고 있다(최경순, 오미경, 1992). Lamb(1975)

은 가정 내 부의 존재를 아동발달에 있어‘잊혀진 공헌자’라고 칭하면서 그동안

간과되어 온 자녀양육에 있어서 부의 역할을 중요하게 부각시켰다. 이를 계기로

부의 역할이 재조명되면서 많은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도

1980년대 이후 부의 역할이나 참여가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하는 작

업들이 진행되고 있다(이정미, 2006에서 재인용). 부의 참여도를 다룬 선행연구

는 공통적으로 부의 적극적이고 높은 참여는 아동발달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

라 장애아동 모의 부부적응과 양육스트레스에도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지현, 2007: 문미옥, 1983). 한편,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연구한 이숙

(1988)의 연구에서는 부의 양육 참여도가 높고 자율적이고 애정적인 양육행동

을 보일 때 그렇지 않은 아동에 비해 사회적 능력이 높다고 보고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의 양육참여를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에 영향을 미

치는 미시체계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Page 7: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7 -

3) 가족기능가족은 인간에게 있어 가장 중요하고 밀접하게 연결된 사회적 환경으로 출생

과 동시에 소속되어지며 가족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하나의 개인으로 성장해 간

다(임지향, 2000). 이러한 가족의 기능은 시대와 사회에 따라 변화하고 있으며

Olson(1989)은 균형적인 가족기능을 강조하면서 기능적 조화가 풍부한 가족이

위기 및 스트레스에 잘 대처해 간다고 하였다(최연실, 1996에서 재인용).

가족요인이 장애자녀를 둔 가정에서 아동의 발달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친다는

김정미의 연구(2004)는 가족이 장애아동의 성장과 발달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

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가족기능이 장애아의 적응에 영향력 있는 변인이라는

것을 예측하게 해준다. 이러한 측면에서 가족체계의 유연성을 의미하는 가족기

능에 대한 제고가 이루어진다면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과의 연관을 밝힐 수

있다는 판단으로 본 변인을 미시체계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4) 모 - 교사 간 상호작용모와 아동을 지도하고 있는 교사 간의 상호작용은 주로 그들간의 의사소통을

의미한다. 인간에게 있어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지만 특히 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모와 모를 대신해 일정시간 아동을 보호ᆞ지도하고 있는 교사간

의 의사소통은 아동의 성장발달과 학습 그리고 아동에 대한 정보제공이라는 측

면에서 특히 중요하다. 효과적인 모 - 교사 간 의사소통은 어머니에게는 자신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자신의 역할에 대해 긍정적으로 수용하게 되며, 가정과 학

교와의 협력관계가 강화되어 교육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박

성혜, 2002).

모 - 교사 간 의사소통의 유형은 형식적인 방법으로 부모협의회, 가정방문, 부

모모임, 통신문 등이 있으며 비형식적인 방법으로 편지, 쪽지, 전화통화 등이 있

다. Helen, Colin(2005)의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의 모 - 교사 간 의사소통은

아동의 등원 혹은 하원시간인 전이시간대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 유형별 빈도와

만족도를 살펴보면 어머니들이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대상인 지적장애아동의 경우 아동이 지닌 증상과 관련하여 비장애

아동보다 모 - 교사 간 의사소통이 중요하다는 사실과 실제로 지적장애 아동이

가정에만 머무르지 않고 교육기관에 정기적으로 다니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모 - 교사 간 상호작용은 비장애 아동에 비해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판단으로 본 변인을 중간체계 변인으로 추출하였다.

Page 8: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8 -

5) 사회적지원사회적 서비스는 기본적이며 보편적인 인간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한 서비스를

말한다. 티트무스(Titmuss)는 사회적 서비스를 사회복지와 동의어라고 정의했

으며 칸(Kahn)은 사회적 서비스의 영역으로 소득보장을 비롯한 의료, 교육, 주

택, 협의의 사회서비스 등을 들고 있다.

장애아동의 모는 자녀의 장애진단을 받는 순간부터 병원을 중심으로 상담소,

복지관등 사회적 서비스 기관 등의 공적인 기관에서 공식적인 지원을 받게 된

다. 그러나 실제 교육이나 치료기관을 비롯한 복지기관은 그 수가 제한되어 있

거나 장애 등급이나 유형에 따라 운영하기 때문에 부모들은 자신의 자녀에게 적

합한 기관을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서혜영, 1991).

본 연구에서 선정한 사회적 서비스 지원은 지적장애 아동을 돌보는 모에게 현

재 제공되고 있는 서비스의 유용성을 측정하고 나아가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토하고자 함이다.

6) 모의 심리적 행복감심리적 행복감은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한 개인이 얼마나 잘 기능하고 있는가

를 평가하는 것으로 개인의 긍정적인 측면의 건강과 안녕감을 측정함으로써 삶

의 질을 측정하는 적절한 개념으로 여겨지고 있다(Ryff, 1989). 그러나 장애아

동을 양육하는 모의 높은 스트레스 수준은 부모 - 자녀 관계뿐만 아니라 아동의

정서ᆞ행동적 발달에까지 영향을 미쳐 장애아동과 부모관계의 어려움이 상호 순

환적으로 반복된다고 한다(이한우, 2002). 따라서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모의 심

리적 상태는 아동을 향한 양육행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겠다.

지금까지 장애아동의 모에 대한 연구에서는 주로 부정적인 정서인 우울이나

양육 스트레스를 탐색하였으나 최근 들어 주관적 안녕감이나 심리적 안녕감(이

숙자, 2005: 이용호 등, 1999) 같은 긍정적인 정서에 대한 논의 또한 진행되고

있다. 과거 의료모델에 입각한 장애아동 모의 정서를 탐색하는 작업은 부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치료위주의 개입만 가능하게 하였으나 시각을 전

환하여 긍정적 측면에서 인간을 보고자 하는 시각은 안녕, 행복, 낙관, 희망, 삶

의 질, 만족 등과 같은 연구주제에 대한 탐색으로 전환되었다.

선행연구 결과(이경희, 1993: 배광웅, 송상천, 1986)를 통해 볼 때 장애의

모든 영향이 모든 가족원들에게 미치지만 특히 자녀의 일차적인 양육과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모의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할 것으로 파악되며 모

Page 9: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9 -

의 심리적 행복감은 간접적으로 아동에게 영향을 미치고 나아가 적응행동에도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판단되어 본 변인을 외체계 변인으로 추출하였다.

Ⅲ. 연구 방법1. 연구 대상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여 선정된 예측변인 중 지

적장애 아동의 적응행동에 영향력이 있는 변인을 밝히는 것으로서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지적장애아동의 모를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표집대상 선정을 위해 현

재 광주광역시에 있는 장애아동 관련 기관을 탐색해 본 결과 장애아 전담 어린

이집 11개소, 특수학교 5개소 그리고 장애인복지관 3개소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인적자원부, 2007: 보건복지부, 2005). 연구계획 초기에는 장애인복지관

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할 계획이었으나 실제로 지적장애아동들은 여러 곳

의 복지관과 치료실을 동시에 이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아 모집단의 규모를 정확

히 파악하기 어렵고 표본의 중복추출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따라

서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복지관을 조사대상에서 제외하고 장애아전담 어린이집

11개소와 지적장애 아동대상 특수학교 2개소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제 조사에

는 잦은 경영진의 교체로 보육과 운영면에서 문제점을 가진 것으로 지적된 장애

아 전담 어린이집 2곳을 제외한 9개소와 특수학교 2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작업이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표집대상은 다음과 같은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경우로 제한하였다.

첫째, 자녀가 취학 전 아동인 경우 광주광역시 소재 장애아전담 어린이집에 다

니고 있으며 둘째, 자녀가 취학아동인 경우 광주광역시 소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셋째, 자녀가 정신지체 아동 진단기준과 지능검사, 적응행동검사, 운동능

력 검사 등을 통해 의사나 관련 전문가에 의해서 지적장애로 진단받았으며 넷

째, 자녀의 어머니가 정신지체나 경계선 지능일 경우는 조사에서 제외하였으며

다섯째, 조사 전 최소 6개월 이상 부와 모가 자녀와 함께 살고 있는 아동의 어

머니들이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표 3-1>과 같다.

Page 10: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10 -

<표 3-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N=217)

변인 구분 대상자 수(%)

장애아 어머니

연령

35세 미만35 - 39세40 - 44세45 - 49세50세 이상

30(13.8)76(35.0)74(34.1)20(9.2)17(7.8)

학력

고등학교 졸업 미만고등학교 졸업대학교 졸업

대학원 졸업(석사) 이상대학원 졸업(박사) 이상

11(5.1)99(45.6)104(47.9)

2(0.9)1(0.5)

종교있다없다

120(55.3)97(44.7)

월 가구 소득

100만원 미만100만원 이상 - 200만원 미만200만원 이상 - 300만원 미만300만원 이상 - 400만원 미만

400만원 이상

9(4.1)56(25.8)74(34.1)50(23.0)28(12.9)

장애 자녀

성별남여

146(67.3)71(32.2)

연령

3 - 6세7 - 12세13 - 15세16 - 18세

52(24.0)117(53.9)37(17.1)11(5.1)

형제순위첫째둘째

셋째 이상

107(49.3)77(35.5)33(15.2)

2. 연구도구1) 적응행동 척도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해일(2005)이 사용한 척도를 사

용하였다. 사회성숙도 검사는 Doll에 의해 개발되어 김승국, 김옥기(1995)에 의해

표준화가 이루어진 검사도구가 있으나 문항수가 너무 많아 본 연구의 대상에게는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문항이 축소ᆞ수정된 척도를 사용하게 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사회적응 척도는 사회적응을 자율성, 운동성, 의사소통,

Page 11: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11 -

사회성의 4개 하위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6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은‘전혀 그렇지 않다’에서‘매우 그렇다’까지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

수가 높을수록 사회적응을 잘하는 것을 의미하며 조해일(2005)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계수는 하위요인별로 자율성 .88, 운동성 .96, 의사소통 .97, 사

회성 .93이었다.

2) 모의 양육태도 척도지적장애아동 모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원영(1983)의 척도를 사용

하였다. 이 척도는 모의 양육태도를 절대적으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아동상담

소나 소아정신과에서 추상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개념들을 보다 구체적인 행동목

록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양육태도의 경향성을 상대적으로 나타내는 도구라고 할

수 있다. 총 2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문항은‘전혀 그렇지 않다’에서‘매

우 그렇다’까지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 양육행동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원영(1983)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계수는 .83이었다.

3) 부의 양육참여도 척도지적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Abidin(1990)이 개발

한 Parenting Alliance Inventory(PSI)이 하위척도인 Teamwork을 신숙재

(1997)가 번안ᆞ수정하여 사용한 남편의 협력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총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은 5점 리커트 척도로서‘전

혀 그렇지 않다’에서‘매우 그렇다’까지 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남편의 협력정

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신숙재(1997)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계수는 .85였다.

4) 가족기능 척도지적장애아동 가족의 기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가족사정도구를 기초로 하여

수정한 척도를 활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매우 그렇다’까지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

수록 가족기능이 높음을 의미한다. 박성혜(2002)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계

수는 .72였다.

5) 모 - 교사 간 상호작용 척도어머니 - 교사의 의사소통을 측정하기 위하여 National Academy of Early

Page 12: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12 -

Childhood Programs(NAEYC)에서 제시한 질 높은 유아교육 프로그램 준거

중 가정 및 지역사회와 연계 영역의 부모ᆞ교사 상호작용 문항을 수정, 보완하

여 이선영(2002)의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척도는 총 7문항으

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문항은‘전혀 그렇지 않다’에서‘매우 그렇다’까지의 5

점 리커트 척도이다.

이선영(2002)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계수는 .80으로 나타났다.

6) 사회적지원 척도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사회적 서비스 지원은 지적장애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

에 대한 서비스의 유용성을 측정하기 위해 정청자(1990)가 번역한 Bristol

(1978)의 Carolina Parent Support Scale(CPSS)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CPSS는 비공식적 서비스 지원 정도를 묻는 8문항과 공식적 서비스 지원 정도

를 묻는 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공식적 서비스 지원정도를

측정하는 8문항만을 사용하기로 한다. 이 척도는‘전혀 받고 있지 않다’에서

‘아주 많이 받고 있다’까지의 5점 리커트 척도로서 정청자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계수는 .87로 나타났다.

7) 모의 심리적행복감 척도지적장애아동 부모의 심리적 행복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Ryff(1989)가 개발한

PWBS(Psychological Well-Being Scale)를 사용할 것이다. 이 척도의 하위요

인은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지배력, 삶의 목적, 개인

적 성장의 6개이며 각 차원은 3문항으로 이루어져 있어 총 18문항으로 구성되

어 있다. 각 문항은‘전혀 그렇지 않다’에서‘매우 그렇다’까지 4점 리커트 척

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모의 심리적 행복감이 높음을 의미하며, 손덕순(2006)

의 연구에서 Cronbach’s α계수는 .61이었다.

3. 연구절차1) 예비 조사

본 조사에 앞서 질문지 문항에 대한 이해 정도, 응답률과 소요시간 등을 알아

보기 위해 2008년 4월 10일 - 4월 15일 동안 지적장애 아동의 어머니 1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Page 13: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13 -

2) 본 조사본 조사는 2008년 5월 1일 - 2008년 5월 20일 동안 지적장애 아동을 양육

하고 있는 모 2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여 실시하였다. 연구자는 장애

전담 어린이집과 특수학교의 담임교사를 통해 연구대상자들에게 미리 검사협조

를 요청하고 동의를 얻은 후,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조사를 수행하였다. 회수

된 236부의 설문지 중 응답이 불성실하여 자료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설문지

를 제외한 217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4. 자료 분석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SPSS 15.0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먼저 다변량 분석을 위한 사전분석으로 다변량분석의 기본 가정을 검토하였

다. 단일변량의 정규분포, 오차항의 정규분포와 독립성, 등분산성 가정, 다중공

선성이 충족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단일변량정규분포는 왜도(skewness)와 첨도

(kurtosis)를 사용하여 검증한 결과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모의 양육태도,

부의 양육참여도, 가족기능, 모 - 교사 간 상호작용, 사회적지원 정도, 모의 심리

적행복감 척도에서 왜도와 첨도가 1보다 작게 나타나, 모든 측정치들의 단일변

량 정규분포 가정이 충족되었다.

모의 양육태도, 부의 양육참여도, 가족기능, 모 - 교사 간 상호작용, 사회적지

원 정도, 모의 심리적행복감으로 구성된 여섯개의 독립변인과 적응행동을 종속

변인으로 하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잔차의 정규분포, 독립성, 등분산성을 검증

하였다. 잔차의 정규분포는 잔차에 대한 정상확률곡선(Normal P-P Plot)을 통

해 확인하였으며, 독립성은 Durbin-Watson의 통계량을 사용하였고, 등분산성

가정은 잔차 플롯을 통해 확인하였다. Durbin-Watson 값이 1.554와 1.699로

나타나 잔차의 독립성 가정도 충족되었다. 또한 잔차 플롯을 확인한 결과 대부

분의 값들이 골고루 산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등분산성 가정도 충족되었다.

다중공선성을 검토하기 위해 분산 확대인자(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값

을 확인한 결과, 모든 값이 1.0 - 2.0의 값을 보여 독립변인들간의 다중공선성

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과 하위영역(자율성,

운동성, 의사소통, 사회성)에 대한 예측변인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Page 14: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14 -

<표 4-1>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변인들의 상관, 평균, 표준편차, 범위

1 2 3 4 5 6 7 8 9 10 111 12 .913** 13 .919** .882** 14 .875** .687** .693** 15 .792** .546** .595** .740** 16 .192** .098 .196** .140* .272** 17 .120 .066 .123 .105 .145* .597** 18 .042 -.031 .022 .057 .133 .563** .623** 19 .016 -.029 .031 .022 .050 .256** .293** .216** 110 .093 .086 .070 .120 .050 .034 .098 .150* .158* 111 .236** .148* .212** .205** .295** .367** .301** .407** .216** -.043 1M 188.56 55.33 51.30 40.29 41.65 65.35 45.17 23.91 25.23 20.00 48.51SD 48.516 16.83 14.26 12.54 11.45 6.31 8.29 3.10 4.44 5.36 4.53Max 292 79 75 71 75 87 65 32 35 37 66Min 80 15 15 19 21 39 19 12 11 8 33

*p<.05, **p<.011. 적응행동 2. 자율성 3. 운동성 4. 의사소통 5. 사회성 6. 모의 양육태도 7. 부의 양육참여도 8. 가족기능 9. 모 - 교사간 상호작용 10. 사회적지원 정도 11. 모의 심리적행복감

Ⅳ. 연구 결과1. 연구변인들의 기술 통계치

본 연구의 예측변인들의 평균, 표준편차, 변수 간 상관계수는 <표 4-1>에 제

시되어 있다.

<표 4-1>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의 평균은

188.56이며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자율성은 55.33, 운동성은 51.30, 의사소통

은 40.29, 사회성은 41.65로 중위값 보다 낮게 나타났다. 또한 모의 양육태도

의 평균은 65.35, 부의 양육참여도의 평균은 45.17, 가족기능의 평균은 23.91,

모 - 교사 간 상호작용의 평균은 25.23, 사회적지원 정도의 평균은 20.00, 모의

심리적행복감의 평균은 48.51로 모든 변수의 평균이 중위값보다 낮게 나타났다.

연구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적응행동은 모의 양육태도와 모의 심리

적행복감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자율성 영역은 모

의 심리적 행복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나머지 운동성, 의사소통, 사회성

영역에서는 모의 양육태도와 모의 심리적 행복감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age 15: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15 -

<표 4-2>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변 인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F R²B 표준오차 Beta

모의 양육태도 .497 .223 .194 2.232*

부의 양육참여도 .098 .116 .077 .846

가족기능 -.462 .190 -.222 -2.433* 4.238*** .109

모-교사간 상호작용 -.108 .089 -.085 -1.218

사회적지원정도 .124 .061 .136 2.031*

모의 심리적행복감 .330 .095 .256 3.478***

*p<.05, ***p<.001

2. 지적장애 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대한 상대적인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표 4-2>에 제시되어 있다.

<표 4-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은 모의 양육태도

(t=2.232, p<.05), 가족기능(t=-2.433, p<.05), 사회적지원 정도(t=2.031,

p<.05) 그리고 모의 심리적행복감(t=3.478, p<.001)에 의해 유의하게 예언되

었다.

3. 지적장애아동의 자율성 예측변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자율성 예측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

아보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표 4-3>에 제시되어 있다.

<표 4-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적장애아동의 자율성은 가족기능(t=-2.593,

p<.05)과 모의 심리적행복감(t=2.645, p<.01)에 의해 유의하게 예언되었다.

Page 16: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16 -

<표 4-3> 지적장애아동의 자율성 예측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변 인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F R²B 표준오차 Beta

모의 양육태도 .437 .316 .123 1.384

부의 양육참여도 .176 .164 .100 1.071

가족기능 -.698 .269 -.241 -2.593* 2.634* .070

모-교사간 상호작용 -.180 .126 -.102 -1.429

사회적지원정도 .167 .087 .133 1.930

모의 심리적행복감 .356 .134 .199 2.645**

*p<.05, **p<.01

<표 4-4> 지적장애아동의 운동성 예측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변 인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F R²B 표준오차 Beta

모의 양육태도 .636 .263 .211 2.417*

부의 양육참여도 .137 .137 .092 1.002

가족기능 -.610 .224 -.249 -2.718** 3.926** .101

모-교사간 상호작용 .118 .072 .111 1.637

사회적지원정도 -.094 .105 -.063 -.894

모의 심리적행복감 .342 .112 .226 3.055**

*p<.05, **p<.01

4. 지적장애아동의 운동성 예측변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운동성 예측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

아보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표 4-4>에 제시되어 있다.

<표 4-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적장애아동의 운동성은 모의 양육태도

(t=2.417, p<.05), 가족기능(t=-2.718, p<.01), 모의 심리적 행복감(t=3.055,

p<.01)에 의해 유의하게 예언되었다.

Page 17: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17 -

<표 4-5>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예측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변 인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F R²B 표준오차 Beta

모의 양육태도 .299 .234 .113 1.275

부의 양육참여도 .087 .122 .066 .715

가족기능 -.316 .200 -.147 -1.583 2.918* .077

모-교사간 상호작용 .143 .064 .152 -.947

사회적지원정도 -.089 .094 -.067 2.221*

모의 심리적행복감 .298 .100 .224 2.991**

*p<.05, **p<.01

5.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 예측변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 예측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표 4-5>에 제시되어 있다.

<표 4-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적장애아동의 의사소통은 사회적 서비스 지

원정도(t=2.221, p<.05)와 모의 심리적 행복감(t=2.991, p<.01)에 의해 유의

하게 예언되었다.

6.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 예측변인에 대한 중다회귀분석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사회성 예측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

아보기 위해 실시한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표 4-6>에 제시되어 있다.

<표 4-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은 모의 양육태도

(t=2.972, p<.05)와 모의 심리적 행복감(t=3.654, p<.001)에 의해 유의하게

예언되었다.

Page 18: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18 -

<표 4-6>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 예측변인에 대한 회귀분석

변 인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t F R²B 표준오차 Beta

모의 양육태도 .617 .208 -.255 2.972*

부의 양육참여도 -.008 .108 -.007 -.077

가족기능 -.224 .177 -.114 -1.264 5.343*** .132

모-교사간 상호작용 .068 .057 .079 1.198

사회적지원정도 -.071 .083 -.059 -.853

모의 심리적행복감 .323 .088 .265 3.654***

*p<.05, ***p<.001

Ⅴ. 결론 및 논의본 연구는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

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에서 지적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어머

니 217명을 대상으로 적응행동 척도와 생태체계 이론에 근거해 추출된 예측변

인들로 구성된 척도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을 활용하여 연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및 중다회귀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주요 결과를 요약하고 그 시사점을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에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은 모의 양육태도(t=

2.232, p<.05), 가족기능(t=2.433, p<.05), 사회적지원 정도(t=2.031, p<.05),

모의 심리적행복감(t=3.478, p<.001)순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양육태도는 양육스트레스와 함께 논의되어 왔다. 홍지연(2006)과

이한우(2002)의 연구에서 장애아동 모는 아동의 장애유형에 관계없이 높은 수

준의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일관되게 보고하고 있다. 조용태(1995)는 정신지

체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가정환경 변인으로 모의 양육태도가 사회적응

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이는 본 연구와 일치한다. 이

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지적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방안

Page 19: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19 -

과 자녀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양육방법을 부모역할 및 프로그램으로 체계화시

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가족기능은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에 영향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

으며 이러한 결과는 간질아동 및 가족을 대상으로 적응에 기여하는 요인 가운데

가족탄력성의 효과를 측정한 송자경(2003)의 연구와 장애아동가족의 가족기능

이 가족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김미옥(200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사회적지원은 주로 정부차원에서 제공되는 공식적인 지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회적지원에 관한 선행연구로 강선경(2002)은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지원이

부모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

해 지적장애아동의 적응에 가정환경과 부모자녀 관계에 기초한 미시체계 변인뿐

만 아니라 외체계변인인 사회적지원 또한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심리적행복감은 과거 장애아동 어머니의 부정적인 정서만을 연구하던 것에서

한차원 발전된 개념으로서 선행연구들에서는 모의 심리적행복감이 직접적인 형태

로 아동에게 영향력을 행사한다기 보다 모의 양육스트레스나 양육태도와 관련하

여 간접적으로 아동에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고 있다.(이한우, 2002; 이용호

등, 1999).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할 때 지적장애아동 모의 심리적행복감

증진을 위해서는 어머니들의 개인내적인 자원과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

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상담과 같은 사회적 서비스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자율성 영역에서는 가족기능

(t=-2.593, p<.05)과 모의 심리적행복감(t=2.645, p<.01)이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자율성은 신변관리와 같은 일상생활에 필요한 행동을 자신의 의사에 따라 스

스로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유아기과 아동초기의 문제로

진단되며 지적장애을 포함한 발달장애아동이 특히 취약함을 보이는 영역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는 가족기능, 모의 심리적행복감과 지적장애아동의 자

율성을 다룬 선행연구는 없으며 지적장애아동의 자율성에 관한 연구로서 정진자

(1991)의 개별 사회적응훈련이 정신지체아의 자율적 독립기능인 식사, 용변, 세

면과 같은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있다.

셋째,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운동성영역에서는 모의 양육태도

(t=2.417, p<.05), 가족기능(t=-2.718, p<.01)와 모의 심리적행복감(t=3.055,

p<.01)이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예측변인으로 확인 되었다.

운동성은 지적장애아동이 부모나 다른 가족구성원의 도움 없이 놀이에 필요한

행동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선행연구 검토결과 지적장애아동의 운

동능력과 관련하여 모의 양육태도, 가족기능, 심리적 행복감을 다룬 연구는 없으

Page 20: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0 -

며 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을 다룬 강인숙

(2007)의 연구는 모의 애정적이고 자율적인 양육태도가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운동지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넷째,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의사소통영역에서는 사회적지원

정도와 모의 심리적행복감이 유의한 영향력을 가지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의사소통은 주변사람들로부터 제공되는 언어적 자극에 반응하고 자기의 의사

를 타인에게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발달장애아에 대한 개별 사회적

응훈련 결과 아동의 언어능력이 증가하였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는 임준구

(2001)의 연구에서 나타났듯 지적장애아동의 경우 언어치료 관련 기관이나 프

로그램을 실제로 많이 이용하고 있으므로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이용

료 절감을 위한 사회적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다섯째,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하위요인 중 사회성 영역에서는 모의 양육

태도와 모의 심리적행복감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진 예측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성은 지적장애아동이 사회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사회구성원이 기대하거나

요구하는 행동을 하는 능력 또는 이 행동을 학습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본 연구

의 결과와 유사한 연구로 윤성희(2004)는 시설종사자의 양육태도가 정신지체아

동의 사회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조해일(2005)의

연구에서는 생활재활교사의 양육태도가 정신제체아동의 사회성발달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한편, 선행연구 검토 결과 지적장애아동의 사회성과 관련하여 모의 심리적 행

복감의 영향력을 다룬 연구들은 없었다.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 혹은 행복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 주를 이루었으며 연구결과

는 일관되게 부적관계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 왔다. 발달장애 아동 모의 스트

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개인적 특성이나 심리사회적 매개변인의

존재 가능성을 시사한 이숙자(2005)의 연구에 의하면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직접적으로 심리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지지와 적극

적 대처방식은 심리적 행복감을 매개하는 변인으로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과 사회성발달에 있어 매개변인의 존재를 무시하고 직

접적 영향력을 검증하여 볼 때 모의 심리적행복감이 적응행동과 하위영역 4가지

모두에서 영향력을 미치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난 결과는 지적장애아동을 양육하

고 있는 모의 심리적상태가 다른 어떤 변인들보다 중요하다는 새로운 결과를 제

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Page 21: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21 -

본 연구 결과는 그동안 발표된 선행연구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은 변인들을 생

태체계이론에 의해 재구성하여 적응력에서 가장 취약한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

동과 관련된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 가장

영향력 있는 예측변인으로 추출된 모의 심리적행복감 증진을 위해 어떤 측면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고 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지적장애아동 어머니만을 대상

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에 대해서는 신중을 기할 필요

가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척도들이 지적장애아동 모 개인의 지각에 기

초한 자기보고식 척도이기 때문에 객관적실체를 반영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연구결

과를 본 연구의 결과와 비교분석한다면 지역적 특성을 감안한 의미있는 연구결

과가 도출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생태체계이론에 의해 추출된 예측변인 간

인과관계와 경로를 제시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겠다.

참 고 문 헌강선경 (2002). 장애자녀를 둔 부모의 태도, 스트레스 및 사회적 지원이 그들의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14, 7-35.

강인숙 (2007).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다중지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 논문, 제주대학교.

교육인적자원부 (2007). 특수교육실태조사서.

김미옥 (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김승국, 김옥기 (1995). 사회성숙도 검사.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김정미 (2004). 가족요인과 어머니 상호작용유형이 장애아동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2), 35-48.

문미옥 (1983). 유아기 자녀의 아버지 역할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박성혜 (200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미시체계변인 탐색.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배광웅, 송상천 (1986). 장애아동 부모와 일반아동 부모의 스트레스 비교연구,

성지재활연구, 13-35.

Page 22: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2 -

보건복지부 (2005).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07).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서혜영 (1991). 장애아 어머니의 적응과 사회적 지원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

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손덕순 (2006). 노인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강남대학교.

송영혜 (1998). 심리검사: 제작 및 사용지침서.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송자경 (2003). 간질아동과 가족의 적응에 관한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신숙재 (1997).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원과 부모 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여광응, 임지향 (2000). 가족변인에 따른 정신지체아 어머니의 성격유형과 가족

체계 분석. 특수교육연구, 23(1), 113-135.

우주영, 장성숙 (2005). 발달장애 아동의 사회성숙도 증진을 위한 놀이치료 사례

연구. 특수교육저널, 6(1), 129-146.

윤성희 (2004). 시설종사자의 양육태도가 장애아동의 사회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목원대학교.

이경희 (1993). 장애아동의 가족 스트레스와 적응의 구조모형.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대학교.

이선영 (2002). 생태체계 관점에서 본 정신장애인 삶의 질 영향요인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서울여자대학교.

이수경 (1996). 움직임 교육 교수유형이 정신지체아동의 부적응행동 및 사회성

숙도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이 숙 (1988).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이화여지대학교.

이숙자 (2005).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전남대학교.

이용호, 정용균, 구영진, 조수철 (1999). 장애 아동 행동특성과 가족환경이

어머니의 정서적 안녕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소아ᆞ청소년 정신의학,

10(1), 100-112.

이원영 (1983).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이정미 (2006). 아동이 지각한 부모간의 갈등, 어머니의 양육행동, 사회적 지지

및 안녕감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Page 23: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23 -

이지현 (2007). 발달장애아동 어머니가 인식한 부부적응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이한우 (2002). 발달장애아동 가족지원 특성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임준구 (2001). 발달장애아동의 개별 사회적응훈련에 관한 실증적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경기대학교.

임지향 (2000). 정신지체아 부모가 지각한 가족기능과 일상스트레스 대처방식.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정진자 (1991). 구강운동훈련이 뇌성마비아의 식사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정청자 (1990), 장애아 가족의 긴장과 적응에 관한 일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조용태 (1995). 정신지체아동의 가정환경 변인과 또래수용도와의 관계. 미간행

박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조해일 (2005). 생활교사의 양육태도가 장애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성결대학교.

조혜선 (1999).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사회성숙도 및 사회문제 해결

전략.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최경순, 오미경 (1992).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부산여대논문집, 32(1), 355-402.

최연실 (1996). 가족적응력ᆞ응집성 평가척도(FACES)에 관한 연구고찰. 한국

가정관리학회지, 14(1), 131-145.

홍지연 (2006). 발달장애 아동 어머니가 지각한 가족기능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연제대학교.

Berk, L. E. (2005). Development through the lifespan (5th ed.). Boston:

Allyn & Bacon.

Broderick, P. C., & Blewitt, P. (2003). The life span: Human

development for helping professionals.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Prentice Hall.

Bronfenbrenner, U. (1979).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Drew, C. J. & Hardman, M. L. (2007). Intellectual disability across the

lifespan(9th ed). Pearson /Prentice Hall.

Page 24: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4 -

Dyson, L. L. (1993). Response to the presence of a child with

disabilities: parental stress and family functioning over time.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8(2), 207-218.

Helen H. & Colin G. (2005). Preparation for teacher-parent partnership:

A practical experience with a family. Journal of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n. 26(2), 115-126.

Krauss, M. W. (1993). Child-related and parenting stress: similarities

and between mothers and fa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merican 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7(4), 393-404.

Nihara, K. (1969). Factional dimensions of adaptive behavior in adult

retardation.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73-75.

Olson, D. H. & Portner, J. (1989). Family adaptability and cohesion

evaluation scales. Marriage and Family Assessment. University of

Minnesota.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6), 1069-1081.

Sears, R. R. (1965). Patterns of child rearing. (The Child Psychology,

ed), Jersild, A. T., Englewood Cliffs NY: Prentice-Hall, Inc.

Page 25: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 25 -

<Abstract>

A Study on Predictive Factors of the

Mentally Disabled Child’s Adaptational Behavior

Kim, Ji In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factors which can predict the

adaptational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elay. To achieve the

mentioned purpose of this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from the scales

of the adaptational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elay, a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degree of father’s participation on

child-rearing, family function, interactions between mother and her

child’s teacher, degree of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mother.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217 mothers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elay residing in Kwang-Ju city.

The data was analysis in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15.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daptational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elay has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psychological

happiness of mother, a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family function

and degree of social support. And I have verified that autonomy in

subordinate dimension of adaptational behavior has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family fun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mother and

locomotion in subordinate dimension of adaptational behavior has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family

function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mother. Also, I have verified

that communication in subordinate dimension of adaptational behavior

has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degree of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mother and socialization in subordinate

dimension of adaptational behavior has been significantly influenced by a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and psychological happiness of mother.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limitation and further

research was discussed.

Page 26: 지적장애아동의 적응행동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risers.daegu.ac.kr/common/fileDown.aspx?f=01-%B1%E8%C1%F... ·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特殊敎育再活科學硏究(第47卷 第3號)

- 26 -

논문접수 : 2008. 8. 04 / 수정본 접수 : 2008. 9. 09 / 게재 승인 : 2008. 9. 17

Key Words : children with intellectual delay, adaptational behavior, predictive

varia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