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39
1 | Julia Stenzel,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Presentation of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of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Kathmandu, Nepal and their Translation of the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his paper wa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from around the World,‖ organized by the Research Center for the Tibetan Buddhist Canon, Dongguk University, Gyeongju, South Korea, November 28-29, 2014. I wish to express my gratitude to Dr. Khenpo Ngawang Jorden,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Kathmandu, for his thoughtful guidance of our translation work, as well as to my translation colleagues, Ven. Ngawang Tenzin, Ven. Jampa Tenzin, and especially Christian Bernert whose comments to this paper were of great help. I would like to thank Mr. Dai Sung Han for translating the paper into Korean. Introduction In February 2014, coinciding with the Tibetan New Year, the ―84000-Translating the Words of the Buddha‖ published online the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as part of their ongoing translation project of translating the entire Tibetan Canon within one hundred years.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o accomplished this translation has worked with the 84000 from the initial stages of its online publications, providing the first pilot translations for the website. The purpose of my presentation is to provide som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translation work of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the 84000, drawing on our most recent experience with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first part of my presentation, I wish to give the necessary background information to our translation work, and to discuss the main features of the editorial policy of the 84000 which served as our guideline. The second part will focus on specific details of our translation process. I will discuss some of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in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and explain the various solutions we found.

Upload: ryi

Post on 25-Feb-2023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resentation of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of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Kathmandu Nepal

and their Translation of the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his paper was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from around the World organized by the Research Center for the Tibetan Buddhist Canon

Dongguk University Gyeongju South Korea November 28-29 2014 I wish to express my

gratitude to Dr Khenpo Ngawang Jorden director of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Kathmandu for his thoughtful guidance of our translation work as well as to my translation

colleagues Ven Ngawang Tenzin Ven Jampa Tenzin and especially Christian Bernert whose

comments to this paper were of great help I would like to thank Mr Dai Sung Han for

translating the paper into Korean

Introduction

In February 2014 coinciding with the Tibetan New Year the ―84000-Translating the Words of

the Buddha published online the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as part of their ongoing translation project of translating

the entire Tibetan Canon within one hundred years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o

accomplished this translation has worked with the 84000 from the initial stages of its online

publications providing the first pilot translations for the website The purpose of my presentation

is to provide some background information on the translation work of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larger context of the 84000 drawing on our most recent experience

with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first part of my presentation I wish to give the necessary

background information to our translation work and to discuss the main features of the editorial

policy of the 84000 which served as our guideline The second part will focus on specific details

of our translation process I will discuss some of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in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and explain the various solutions we found

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 ldquo84000 ndash Translating the Words of the Buddhardquo

History

A translation conference at Deer Park Institute in Bir India in 2009 was the first step of an

initiative that culminated in the founding of the ―84000 ndash Translating the Words of the Buddha

At this conference more than fifty senior translators of Tibetan scriptures headed by the Tibetan

teacher Dzongsar Khyentse Rinpoch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had been largely left up to individual translators and translation groups who

often had to struggle to find the financial and material support for their work The conference in

Bir resulted first of all in founding the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 which was later in

2011 renamed ―84000 ndash Translating the Words of the Buddha The project was thus initiated

by Dzongsar Khyentse Rinpoche and funded by the Khyentse Foundation1The foundation is a

registered global non-profit initiative that ―aims to translate all of the Buddhalsquos words into

modern languages and to make them available to everyone free of charge

The participants of the Bir conference also resolved to invite the participation of the masters and

holders of all lineages Today the list of 153 translators and 23 translator teams that have

participated so far in the 84000 project2 demonstrate that all major schools of Tibetan Buddhism

(Nyingma Kagyuuml Sakya Gelug) are represented thus making it a non-sectarian unified

enterprise

In their published vision statement the 84000 explains its motives3

It is said that the Buddha taught more than 84000 methods to attain true peace and

freedom from suffering Of these teachings only 5 have been translated into modern

languages Due to the rapid decline in knowledge of classical languages and in the

number of qualified scholars we are in danger of losing this cultural heritage and

spiritual legacy

Therefore the 84000lsquos declared goal is to translate the entire treasury of Tibetan Buddhist

literature within one hundred years The interim goals of five ten and twenty-five years

determine the order in which this goal is to be accomplished For now the 84000 focuses on

translating the more important texts of the Kangyur (bkarsquo rsquogyur) and to a lesser degree of the

Tengyur (bstan rsquogyur)

1http84000coaboutorigin

2―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3―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long and short-term goals are specified in the following chart

100 years To provide universal access to the Buddhist literary heritage

translated into modern languages

25 years To make all of the Kangyur and related volumes of the

Tengyur available in English and provide widespread

accessibility in multiple platforms

10 years To mak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Kangyur and

complementary Tengyur texts available in English and easily

accessible in multiple platforms

5 years To make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Kangyur and

Tengyur available in English and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necessary to accomplish the long-term vision

To realize its vision of translating the entire Tibetan Buddhist literary heritage the 84000 works

simultaneously in five domains These are

1 Translation grants The 84000 organizes the translations of important texts - mostly

sūtras so far - in the form of grant applications

2 Publication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accompanies and supervises the editing

process of the translated texts until their online publication on the website of the 84000

3 Fundraising The 84000 undertakes the necessary efforts to raise the funds for the

ongoing and future translation projects

4 Translation Tools The 84000 has start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is relevant to

pursuing its long-term goal by providing links to existing translation programs to

translation tools and other relevant information

5 Dharma Events The 84000 organizes dharma events in which the translated sūtras are

used for dharma practice such as the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 in Bodhgaya

(2012 2014) or New York (2012 2013) Apart from the meritorious aspect of such

practices these events certainly serve the purpose of publicizing the importance of

sponsoring the translation projects

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Some Facts Works Published and in Progress

Translations in Progress and Published Online4

Pages Commissioned for Translation

Pages Published

4http84000coabout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ors Supported

Translators

Translatorsrsquo Affiliations

Impact of the 84000rsquosWork The table below provides an overview of how often the translations provided by the 84000 have

been viewed5

Reading Room Hits 44 million hits

Text Downloads 110898 times

5―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ebsite Visitors 151813 visitors

ReadingRoom Visitors

81238 visitors

Readers Come From 135 countries

The Editorial Policy of the 84000

The 84000 have developed an editorial policy which all their translators have to follow Once a

year the 84000 invites translators to submit applications for the translation of preselected sūtras

To do so translators have to present a sample translation of 5 pages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team of translators and a budget The chosen teams may then start their translations based

on certain rules that have been postulated by the editorial team of the 84000 since their

beginnings in 2010 and expanded over the years

Source and Target Languages

As mentioned previously the 84000lsquos primary focus is on the translation of Tibetan scriptures

included in the Kangyur and Tengyur Translations are done primarily from the Tibetan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of extant Sanskrit originals or Chinese translations There is no

plan to translate canonical texts from Pāli and Chinese since such translations are already

undertaken by other organisations

The target language is English with the long term vision of including other modern languages

including Chinese when resources are available The target audience is an educated but non-

specialist readership Translators are asked to use a language that is accessible to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Texts Text Comparison and Critical Editions

The source text for most translations is the Tibetan text from the Degeacute edition For a large

majority of works no Sanskrit version has been found and the English translation will

necessarily be made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Only for a minority of works an original

Sanskrit version in a reliable edition is available In such cases the translators will take the

Sanskrit edition as the primary source

The translations ideally include textual comparison with and reference to differing versions

when they exist whether in Tibetan Sanskrit Pāli Chinese or other For the different Tibetan

editions this task is facilitated by the new comparative edition (dpe sdur ma) of the Kangyur and

Tengyur published in Beijing by the Tibetan Tripitaka Collation Bureau (bkarsquo bstan dpe sdur

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khang) of the China Tibetology Research Center (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6

Translators use the Pedurma Kangyur to trace variations of the different editions Only changes

that affect the meaning significantly should be marked in footnotes

Research

In addition to translating sūtras translators are required to do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and to

compose brief introductions notes bibliographies glossarie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 These

are publish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All publications are online free of charge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In their editorial policy the 84000 has formulated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translation work

Generally speaking the translations should possess the following qualities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consistency and flexibility7 What these principles entail the

editorial committee of the 84000 explains in the Guidelines for Translators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elaborate on some of these details Generally speaking one can say that

all rules aim at producing a text of easy readability As translators we should think to ―be kind to

our readers8

Setting standards naturally leads to the question of standardization ie to the idea that all

translators use the same vocabulary for recurrent technical terms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has expressed the wish to develop such translation standardization similar to the

Mahāvyutpatti project in Tibet Standardization however is not possible at the moment and it is

not clear to which degree it will be in the future The guidelines of the 84000 give rules as to the

spelling capitalization use of italics and punctuation but leave the vocabulary to the discretion

of the translators They demand however that each translation team develops a glossary

alongside their translation This is done in an excel sheet in which the Tibetan Sanskrit and

English terms are listed as well as a short English definition In the final publication the English

word is hyperlinked so that the reader can easily access the glossary entries

The challenge of and resistance to standardization are problems that are better understood when

we compare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translation endeavours now with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Buddhist literature into Tibetan Therefore I would like to deviate for a short moment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then return to a few concrete examples of the editorial guidelines of the

84000

6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7―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8This expression is borrowed from Dr David Bellos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Oct 2014

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s into Tibetan

The Tibetan Buddhist Canon is a translation of mainly the Sanskrit Canon of which many texts

have been destroyed or lost over the centuries Other translations were done from texts in

Chinese Khotanese Socdian or other languages of that time when these were believed to have

had a Sanskrit original that got lost

Whereas the Pāli Canon could be preserved or rather reconstructed in its entirety thanks to the

efforts of generation after generation copying individual manuscripts in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Sri Lanka Burma and Thailand -this is unfortunately not the case for the Sanskrit

teachings Many Sanskrit texts have only survived in Tibetan or Chinese translation

As for the translations to Tibetan there were two clearly distinguishable phases of Sanskrit-

Tibetan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of uptake in Buddhism known to Tibetan

historians as the ―early propagation (snga dar) and ―later propagation (phyi dar)The first a

―top-down movement lasted from the 7th

to the mid-9th

century and was an initiative based on

royal initiative and support In the 7th

century CE the newly united kingdom of Tibet was still

relatively young when its ruler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

decided to sponsor Buddhism and with it the translation of important texts from India Two and a

half centuries of prosperity were followed by a time of political collapse and religious crisis The

second ―new translation period (gsar lsquogyur) - also called the ―later dissemination of the

teachings (phyi dar) - between the 11th

and 14th

centuries was a fragmented movement that

sprung from the grassroots fuelled by teachers and adepts It was a period of great individual

achievements though less consistent in following uniform standards Such individuals were for

example Bari Lotsawa9 Drogmi Lotsawa

10and Rinchen Zangpo

11 - three translators that are

revered in the Sakya School with which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is affiliated

After the 14th

century Buddhism had mostly disappeared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no

further Sanskrit texts were translated into Tibetan In total 5250 texts 230000 folio sides were

translated from Sanskrit to Tibetan Over 870 translators and scholars were involved and their

translations have been praised by modern historians as a masterpiece of teamwork terminology

and consistency12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to Tibetan

Translating from Sanskrit into Tibetan had a unique feature because the Tibetans created a

Tibetan linguistic system that was modelled upon Sanskrit even though the two languages share

no direct linguistic relation Tibetan belonging to the Tibeto-Burmese language group However

Sanskrit was chosen as a benchmark in order to be able to translate Buddhist scriptures into

9 Ba ri lo tsA also called Rinchen Drak (rin chen grags) (1040-1111)

10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11 Rin chen bzang po (958-1055)

12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See also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ibetan13

Not only did grammarians attempt to conceptualize Tibetan through the lens of

Sanskrit noun cases syntax and verbal conjugation (albeit simplified) moreover by royal

commission the vocabulary and style of translations were highly regularized Standardization

became may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ranslation and the fabricated similarity of Tibetan

to Sanskrit facilitated transl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exts of high precision14

Lotsawa-Paṇḍita

As we know from colophons the translations were mostly carried out by a collaboration of

Indian scholars and Tibetan translators a model that received the name lotsawa-paṇḍita The

Sanskrit title paṇḍita designated mastery of the five sciences grammar logic medicine artistic

crafts and philosophy The title lotsawa was an honorific term for the native Tibetans involved

in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texts into Tibetan Some of them had travelled to India or a

Himalayan borderland had accompanied Indian paṇḍitas back to Tibet had invested health and

wealth effort and sacrifice to make translations happen Sinc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people

with two different skill sets has proven highly successful many translators today including my

own translation group try to emulate the lotsawa-paṇḍita model whe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into English

Translation Tools - The Mahāvyutpatti and Madhyavyutpatti

The Tibetan translations of Sanskrit sūtras show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n vocabulary This

is the result of an invested effort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It is documented in the

Mahāvyutpatti the Madhyavyutpatti and similar texts The Mahāvyutpatti (bye brag tu rtogs pa

chen po) or ―The Great Volume of Precise Understanding or Essential Etymology is a Sanskrit-

Tibetan lexicographical reference work with nearly 10000 entries which is still used by scholars

today The related Madhyavyutpatti (sgra sbyor bam po gynis pa)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ranslation technique These two volumes were created c 814 at the order of King Tride

Songtsen (khri lde srong btsan r 799-815) ie during the first translation period in Tibet with

the intention to standardize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into Tibetan These texts settled

issues of orthography grammar and translation rules and thus played a central role in achieving

a largely consistent standardized language for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 Students of Tibetan

language still refer to this compendium today15

In an address to the recent Tsadra Foundation

conference on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in October 2014 the scholar Peter Skillings

13

It is believed that the Tibetan script and texts on grammar date to the 7th

century Under the rule of king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the scholar and grammarian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 is credited by the

tradition to have created a script and composed the Root Verses on Grammar the so-called sum cu pa and the

Guide to the Signs (rtags kyi lsquojug pa) 14

For a detailed account see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15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 ldquo84000 ndash Translating the Words of the Buddhardquo

History

A translation conference at Deer Park Institute in Bir India in 2009 was the first step of an

initiative that culminated in the founding of the ―84000 ndash Translating the Words of the Buddha

At this conference more than fifty senior translators of Tibetan scriptures headed by the Tibetan

teacher Dzongsar Khyentse Rinpoch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had been largely left up to individual translators and translation groups who

often had to struggle to find the financial and material support for their work The conference in

Bir resulted first of all in founding the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 which was later in

2011 renamed ―84000 ndash Translating the Words of the Buddha The project was thus initiated

by Dzongsar Khyentse Rinpoche and funded by the Khyentse Foundation1The foundation is a

registered global non-profit initiative that ―aims to translate all of the Buddhalsquos words into

modern languages and to make them available to everyone free of charge

The participants of the Bir conference also resolved to invite the participation of the masters and

holders of all lineages Today the list of 153 translators and 23 translator teams that have

participated so far in the 84000 project2 demonstrate that all major schools of Tibetan Buddhism

(Nyingma Kagyuuml Sakya Gelug) are represented thus making it a non-sectarian unified

enterprise

In their published vision statement the 84000 explains its motives3

It is said that the Buddha taught more than 84000 methods to attain true peace and

freedom from suffering Of these teachings only 5 have been translated into modern

languages Due to the rapid decline in knowledge of classical languages and in the

number of qualified scholars we are in danger of losing this cultural heritage and

spiritual legacy

Therefore the 84000lsquos declared goal is to translate the entire treasury of Tibetan Buddhist

literature within one hundred years The interim goals of five ten and twenty-five years

determine the order in which this goal is to be accomplished For now the 84000 focuses on

translating the more important texts of the Kangyur (bkarsquo rsquogyur) and to a lesser degree of the

Tengyur (bstan rsquogyur)

1http84000coaboutorigin

2―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3―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long and short-term goals are specified in the following chart

100 years To provide universal access to the Buddhist literary heritage

translated into modern languages

25 years To make all of the Kangyur and related volumes of the

Tengyur available in English and provide widespread

accessibility in multiple platforms

10 years To mak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Kangyur and

complementary Tengyur texts available in English and easily

accessible in multiple platforms

5 years To make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Kangyur and

Tengyur available in English and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necessary to accomplish the long-term vision

To realize its vision of translating the entire Tibetan Buddhist literary heritage the 84000 works

simultaneously in five domains These are

1 Translation grants The 84000 organizes the translations of important texts - mostly

sūtras so far - in the form of grant applications

2 Publication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accompanies and supervises the editing

process of the translated texts until their online publication on the website of the 84000

3 Fundraising The 84000 undertakes the necessary efforts to raise the funds for the

ongoing and future translation projects

4 Translation Tools The 84000 has start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is relevant to

pursuing its long-term goal by providing links to existing translation programs to

translation tools and other relevant information

5 Dharma Events The 84000 organizes dharma events in which the translated sūtras are

used for dharma practice such as the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 in Bodhgaya

(2012 2014) or New York (2012 2013) Apart from the meritorious aspect of such

practices these events certainly serve the purpose of publicizing the importance of

sponsoring the translation projects

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Some Facts Works Published and in Progress

Translations in Progress and Published Online4

Pages Commissioned for Translation

Pages Published

4http84000coabout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ors Supported

Translators

Translatorsrsquo Affiliations

Impact of the 84000rsquosWork The table below provides an overview of how often the translations provided by the 84000 have

been viewed5

Reading Room Hits 44 million hits

Text Downloads 110898 times

5―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ebsite Visitors 151813 visitors

ReadingRoom Visitors

81238 visitors

Readers Come From 135 countries

The Editorial Policy of the 84000

The 84000 have developed an editorial policy which all their translators have to follow Once a

year the 84000 invites translators to submit applications for the translation of preselected sūtras

To do so translators have to present a sample translation of 5 pages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team of translators and a budget The chosen teams may then start their translations based

on certain rules that have been postulated by the editorial team of the 84000 since their

beginnings in 2010 and expanded over the years

Source and Target Languages

As mentioned previously the 84000lsquos primary focus is on the translation of Tibetan scriptures

included in the Kangyur and Tengyur Translations are done primarily from the Tibetan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of extant Sanskrit originals or Chinese translations There is no

plan to translate canonical texts from Pāli and Chinese since such translations are already

undertaken by other organisations

The target language is English with the long term vision of including other modern languages

including Chinese when resources are available The target audience is an educated but non-

specialist readership Translators are asked to use a language that is accessible to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Texts Text Comparison and Critical Editions

The source text for most translations is the Tibetan text from the Degeacute edition For a large

majority of works no Sanskrit version has been found and the English translation will

necessarily be made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Only for a minority of works an original

Sanskrit version in a reliable edition is available In such cases the translators will take the

Sanskrit edition as the primary source

The translations ideally include textual comparison with and reference to differing versions

when they exist whether in Tibetan Sanskrit Pāli Chinese or other For the different Tibetan

editions this task is facilitated by the new comparative edition (dpe sdur ma) of the Kangyur and

Tengyur published in Beijing by the Tibetan Tripitaka Collation Bureau (bkarsquo bstan dpe sdur

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khang) of the China Tibetology Research Center (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6

Translators use the Pedurma Kangyur to trace variations of the different editions Only changes

that affect the meaning significantly should be marked in footnotes

Research

In addition to translating sūtras translators are required to do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and to

compose brief introductions notes bibliographies glossarie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 These

are publish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All publications are online free of charge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In their editorial policy the 84000 has formulated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translation work

Generally speaking the translations should possess the following qualities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consistency and flexibility7 What these principles entail the

editorial committee of the 84000 explains in the Guidelines for Translators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elaborate on some of these details Generally speaking one can say that

all rules aim at producing a text of easy readability As translators we should think to ―be kind to

our readers8

Setting standards naturally leads to the question of standardization ie to the idea that all

translators use the same vocabulary for recurrent technical terms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has expressed the wish to develop such translation standardization similar to the

Mahāvyutpatti project in Tibet Standardization however is not possible at the moment and it is

not clear to which degree it will be in the future The guidelines of the 84000 give rules as to the

spelling capitalization use of italics and punctuation but leave the vocabulary to the discretion

of the translators They demand however that each translation team develops a glossary

alongside their translation This is done in an excel sheet in which the Tibetan Sanskrit and

English terms are listed as well as a short English definition In the final publication the English

word is hyperlinked so that the reader can easily access the glossary entries

The challenge of and resistance to standardization are problems that are better understood when

we compare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translation endeavours now with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Buddhist literature into Tibetan Therefore I would like to deviate for a short moment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then return to a few concrete examples of the editorial guidelines of the

84000

6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7―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8This expression is borrowed from Dr David Bellos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Oct 2014

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s into Tibetan

The Tibetan Buddhist Canon is a translation of mainly the Sanskrit Canon of which many texts

have been destroyed or lost over the centuries Other translations were done from texts in

Chinese Khotanese Socdian or other languages of that time when these were believed to have

had a Sanskrit original that got lost

Whereas the Pāli Canon could be preserved or rather reconstructed in its entirety thanks to the

efforts of generation after generation copying individual manuscripts in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Sri Lanka Burma and Thailand -this is unfortunately not the case for the Sanskrit

teachings Many Sanskrit texts have only survived in Tibetan or Chinese translation

As for the translations to Tibetan there were two clearly distinguishable phases of Sanskrit-

Tibetan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of uptake in Buddhism known to Tibetan

historians as the ―early propagation (snga dar) and ―later propagation (phyi dar)The first a

―top-down movement lasted from the 7th

to the mid-9th

century and was an initiative based on

royal initiative and support In the 7th

century CE the newly united kingdom of Tibet was still

relatively young when its ruler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

decided to sponsor Buddhism and with it the translation of important texts from India Two and a

half centuries of prosperity were followed by a time of political collapse and religious crisis The

second ―new translation period (gsar lsquogyur) - also called the ―later dissemination of the

teachings (phyi dar) - between the 11th

and 14th

centuries was a fragmented movement that

sprung from the grassroots fuelled by teachers and adepts It was a period of great individual

achievements though less consistent in following uniform standards Such individuals were for

example Bari Lotsawa9 Drogmi Lotsawa

10and Rinchen Zangpo

11 - three translators that are

revered in the Sakya School with which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is affiliated

After the 14th

century Buddhism had mostly disappeared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no

further Sanskrit texts were translated into Tibetan In total 5250 texts 230000 folio sides were

translated from Sanskrit to Tibetan Over 870 translators and scholars were involved and their

translations have been praised by modern historians as a masterpiece of teamwork terminology

and consistency12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to Tibetan

Translating from Sanskrit into Tibetan had a unique feature because the Tibetans created a

Tibetan linguistic system that was modelled upon Sanskrit even though the two languages share

no direct linguistic relation Tibetan belonging to the Tibeto-Burmese language group However

Sanskrit was chosen as a benchmark in order to be able to translate Buddhist scriptures into

9 Ba ri lo tsA also called Rinchen Drak (rin chen grags) (1040-1111)

10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11 Rin chen bzang po (958-1055)

12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See also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ibetan13

Not only did grammarians attempt to conceptualize Tibetan through the lens of

Sanskrit noun cases syntax and verbal conjugation (albeit simplified) moreover by royal

commission the vocabulary and style of translations were highly regularized Standardization

became may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ranslation and the fabricated similarity of Tibetan

to Sanskrit facilitated transl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exts of high precision14

Lotsawa-Paṇḍita

As we know from colophons the translations were mostly carried out by a collaboration of

Indian scholars and Tibetan translators a model that received the name lotsawa-paṇḍita The

Sanskrit title paṇḍita designated mastery of the five sciences grammar logic medicine artistic

crafts and philosophy The title lotsawa was an honorific term for the native Tibetans involved

in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texts into Tibetan Some of them had travelled to India or a

Himalayan borderland had accompanied Indian paṇḍitas back to Tibet had invested health and

wealth effort and sacrifice to make translations happen Sinc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people

with two different skill sets has proven highly successful many translators today including my

own translation group try to emulate the lotsawa-paṇḍita model whe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into English

Translation Tools - The Mahāvyutpatti and Madhyavyutpatti

The Tibetan translations of Sanskrit sūtras show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n vocabulary This

is the result of an invested effort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It is documented in the

Mahāvyutpatti the Madhyavyutpatti and similar texts The Mahāvyutpatti (bye brag tu rtogs pa

chen po) or ―The Great Volume of Precise Understanding or Essential Etymology is a Sanskrit-

Tibetan lexicographical reference work with nearly 10000 entries which is still used by scholars

today The related Madhyavyutpatti (sgra sbyor bam po gynis pa)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ranslation technique These two volumes were created c 814 at the order of King Tride

Songtsen (khri lde srong btsan r 799-815) ie during the first translation period in Tibet with

the intention to standardize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into Tibetan These texts settled

issues of orthography grammar and translation rules and thus played a central role in achieving

a largely consistent standardized language for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 Students of Tibetan

language still refer to this compendium today15

In an address to the recent Tsadra Foundation

conference on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in October 2014 the scholar Peter Skillings

13

It is believed that the Tibetan script and texts on grammar date to the 7th

century Under the rule of king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the scholar and grammarian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 is credited by the

tradition to have created a script and composed the Root Verses on Grammar the so-called sum cu pa and the

Guide to the Signs (rtags kyi lsquojug pa) 14

For a detailed account see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15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long and short-term goals are specified in the following chart

100 years To provide universal access to the Buddhist literary heritage

translated into modern languages

25 years To make all of the Kangyur and related volumes of the

Tengyur available in English and provide widespread

accessibility in multiple platforms

10 years To make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Kangyur and

complementary Tengyur texts available in English and easily

accessible in multiple platforms

5 years To make a representative sample of the Kangyur and

Tengyur available in English and establish the infrastructure

and resources necessary to accomplish the long-term vision

To realize its vision of translating the entire Tibetan Buddhist literary heritage the 84000 works

simultaneously in five domains These are

1 Translation grants The 84000 organizes the translations of important texts - mostly

sūtras so far - in the form of grant applications

2 Publication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accompanies and supervises the editing

process of the translated texts until their online publication on the website of the 84000

3 Fundraising The 84000 undertakes the necessary efforts to raise the funds for the

ongoing and future translation projects

4 Translation Tools The 84000 has started to provide information that is relevant to

pursuing its long-term goal by providing links to existing translation programs to

translation tools and other relevant information

5 Dharma Events The 84000 organizes dharma events in which the translated sūtras are

used for dharma practice such as the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 in Bodhgaya

(2012 2014) or New York (2012 2013) Apart from the meritorious aspect of such

practices these events certainly serve the purpose of publicizing the importance of

sponsoring the translation projects

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Some Facts Works Published and in Progress

Translations in Progress and Published Online4

Pages Commissioned for Translation

Pages Published

4http84000coabout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ors Supported

Translators

Translatorsrsquo Affiliations

Impact of the 84000rsquosWork The table below provides an overview of how often the translations provided by the 84000 have

been viewed5

Reading Room Hits 44 million hits

Text Downloads 110898 times

5―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ebsite Visitors 151813 visitors

ReadingRoom Visitors

81238 visitors

Readers Come From 135 countries

The Editorial Policy of the 84000

The 84000 have developed an editorial policy which all their translators have to follow Once a

year the 84000 invites translators to submit applications for the translation of preselected sūtras

To do so translators have to present a sample translation of 5 pages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team of translators and a budget The chosen teams may then start their translations based

on certain rules that have been postulated by the editorial team of the 84000 since their

beginnings in 2010 and expanded over the years

Source and Target Languages

As mentioned previously the 84000lsquos primary focus is on the translation of Tibetan scriptures

included in the Kangyur and Tengyur Translations are done primarily from the Tibetan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of extant Sanskrit originals or Chinese translations There is no

plan to translate canonical texts from Pāli and Chinese since such translations are already

undertaken by other organisations

The target language is English with the long term vision of including other modern languages

including Chinese when resources are available The target audience is an educated but non-

specialist readership Translators are asked to use a language that is accessible to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Texts Text Comparison and Critical Editions

The source text for most translations is the Tibetan text from the Degeacute edition For a large

majority of works no Sanskrit version has been found and the English translation will

necessarily be made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Only for a minority of works an original

Sanskrit version in a reliable edition is available In such cases the translators will take the

Sanskrit edition as the primary source

The translations ideally include textual comparison with and reference to differing versions

when they exist whether in Tibetan Sanskrit Pāli Chinese or other For the different Tibetan

editions this task is facilitated by the new comparative edition (dpe sdur ma) of the Kangyur and

Tengyur published in Beijing by the Tibetan Tripitaka Collation Bureau (bkarsquo bstan dpe sdur

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khang) of the China Tibetology Research Center (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6

Translators use the Pedurma Kangyur to trace variations of the different editions Only changes

that affect the meaning significantly should be marked in footnotes

Research

In addition to translating sūtras translators are required to do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and to

compose brief introductions notes bibliographies glossarie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 These

are publish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All publications are online free of charge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In their editorial policy the 84000 has formulated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translation work

Generally speaking the translations should possess the following qualities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consistency and flexibility7 What these principles entail the

editorial committee of the 84000 explains in the Guidelines for Translators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elaborate on some of these details Generally speaking one can say that

all rules aim at producing a text of easy readability As translators we should think to ―be kind to

our readers8

Setting standards naturally leads to the question of standardization ie to the idea that all

translators use the same vocabulary for recurrent technical terms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has expressed the wish to develop such translation standardization similar to the

Mahāvyutpatti project in Tibet Standardization however is not possible at the moment and it is

not clear to which degree it will be in the future The guidelines of the 84000 give rules as to the

spelling capitalization use of italics and punctuation but leave the vocabulary to the discretion

of the translators They demand however that each translation team develops a glossary

alongside their translation This is done in an excel sheet in which the Tibetan Sanskrit and

English terms are listed as well as a short English definition In the final publication the English

word is hyperlinked so that the reader can easily access the glossary entries

The challenge of and resistance to standardization are problems that are better understood when

we compare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translation endeavours now with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Buddhist literature into Tibetan Therefore I would like to deviate for a short moment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then return to a few concrete examples of the editorial guidelines of the

84000

6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7―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8This expression is borrowed from Dr David Bellos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Oct 2014

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s into Tibetan

The Tibetan Buddhist Canon is a translation of mainly the Sanskrit Canon of which many texts

have been destroyed or lost over the centuries Other translations were done from texts in

Chinese Khotanese Socdian or other languages of that time when these were believed to have

had a Sanskrit original that got lost

Whereas the Pāli Canon could be preserved or rather reconstructed in its entirety thanks to the

efforts of generation after generation copying individual manuscripts in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Sri Lanka Burma and Thailand -this is unfortunately not the case for the Sanskrit

teachings Many Sanskrit texts have only survived in Tibetan or Chinese translation

As for the translations to Tibetan there were two clearly distinguishable phases of Sanskrit-

Tibetan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of uptake in Buddhism known to Tibetan

historians as the ―early propagation (snga dar) and ―later propagation (phyi dar)The first a

―top-down movement lasted from the 7th

to the mid-9th

century and was an initiative based on

royal initiative and support In the 7th

century CE the newly united kingdom of Tibet was still

relatively young when its ruler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

decided to sponsor Buddhism and with it the translation of important texts from India Two and a

half centuries of prosperity were followed by a time of political collapse and religious crisis The

second ―new translation period (gsar lsquogyur) - also called the ―later dissemination of the

teachings (phyi dar) - between the 11th

and 14th

centuries was a fragmented movement that

sprung from the grassroots fuelled by teachers and adepts It was a period of great individual

achievements though less consistent in following uniform standards Such individuals were for

example Bari Lotsawa9 Drogmi Lotsawa

10and Rinchen Zangpo

11 - three translators that are

revered in the Sakya School with which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is affiliated

After the 14th

century Buddhism had mostly disappeared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no

further Sanskrit texts were translated into Tibetan In total 5250 texts 230000 folio sides were

translated from Sanskrit to Tibetan Over 870 translators and scholars were involved and their

translations have been praised by modern historians as a masterpiece of teamwork terminology

and consistency12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to Tibetan

Translating from Sanskrit into Tibetan had a unique feature because the Tibetans created a

Tibetan linguistic system that was modelled upon Sanskrit even though the two languages share

no direct linguistic relation Tibetan belonging to the Tibeto-Burmese language group However

Sanskrit was chosen as a benchmark in order to be able to translate Buddhist scriptures into

9 Ba ri lo tsA also called Rinchen Drak (rin chen grags) (1040-1111)

10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11 Rin chen bzang po (958-1055)

12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See also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ibetan13

Not only did grammarians attempt to conceptualize Tibetan through the lens of

Sanskrit noun cases syntax and verbal conjugation (albeit simplified) moreover by royal

commission the vocabulary and style of translations were highly regularized Standardization

became may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ranslation and the fabricated similarity of Tibetan

to Sanskrit facilitated transl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exts of high precision14

Lotsawa-Paṇḍita

As we know from colophons the translations were mostly carried out by a collaboration of

Indian scholars and Tibetan translators a model that received the name lotsawa-paṇḍita The

Sanskrit title paṇḍita designated mastery of the five sciences grammar logic medicine artistic

crafts and philosophy The title lotsawa was an honorific term for the native Tibetans involved

in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texts into Tibetan Some of them had travelled to India or a

Himalayan borderland had accompanied Indian paṇḍitas back to Tibet had invested health and

wealth effort and sacrifice to make translations happen Sinc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people

with two different skill sets has proven highly successful many translators today including my

own translation group try to emulate the lotsawa-paṇḍita model whe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into English

Translation Tools - The Mahāvyutpatti and Madhyavyutpatti

The Tibetan translations of Sanskrit sūtras show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n vocabulary This

is the result of an invested effort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It is documented in the

Mahāvyutpatti the Madhyavyutpatti and similar texts The Mahāvyutpatti (bye brag tu rtogs pa

chen po) or ―The Great Volume of Precise Understanding or Essential Etymology is a Sanskrit-

Tibetan lexicographical reference work with nearly 10000 entries which is still used by scholars

today The related Madhyavyutpatti (sgra sbyor bam po gynis pa)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ranslation technique These two volumes were created c 814 at the order of King Tride

Songtsen (khri lde srong btsan r 799-815) ie during the first translation period in Tibet with

the intention to standardize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into Tibetan These texts settled

issues of orthography grammar and translation rules and thus played a central role in achieving

a largely consistent standardized language for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 Students of Tibetan

language still refer to this compendium today15

In an address to the recent Tsadra Foundation

conference on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in October 2014 the scholar Peter Skillings

13

It is believed that the Tibetan script and texts on grammar date to the 7th

century Under the rule of king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the scholar and grammarian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 is credited by the

tradition to have created a script and composed the Root Verses on Grammar the so-called sum cu pa and the

Guide to the Signs (rtags kyi lsquojug pa) 14

For a detailed account see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15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Some Facts Works Published and in Progress

Translations in Progress and Published Online4

Pages Commissioned for Translation

Pages Published

4http84000coabout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ors Supported

Translators

Translatorsrsquo Affiliations

Impact of the 84000rsquosWork The table below provides an overview of how often the translations provided by the 84000 have

been viewed5

Reading Room Hits 44 million hits

Text Downloads 110898 times

5―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ebsite Visitors 151813 visitors

ReadingRoom Visitors

81238 visitors

Readers Come From 135 countries

The Editorial Policy of the 84000

The 84000 have developed an editorial policy which all their translators have to follow Once a

year the 84000 invites translators to submit applications for the translation of preselected sūtras

To do so translators have to present a sample translation of 5 pages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team of translators and a budget The chosen teams may then start their translations based

on certain rules that have been postulated by the editorial team of the 84000 since their

beginnings in 2010 and expanded over the years

Source and Target Languages

As mentioned previously the 84000lsquos primary focus is on the translation of Tibetan scriptures

included in the Kangyur and Tengyur Translations are done primarily from the Tibetan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of extant Sanskrit originals or Chinese translations There is no

plan to translate canonical texts from Pāli and Chinese since such translations are already

undertaken by other organisations

The target language is English with the long term vision of including other modern languages

including Chinese when resources are available The target audience is an educated but non-

specialist readership Translators are asked to use a language that is accessible to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Texts Text Comparison and Critical Editions

The source text for most translations is the Tibetan text from the Degeacute edition For a large

majority of works no Sanskrit version has been found and the English translation will

necessarily be made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Only for a minority of works an original

Sanskrit version in a reliable edition is available In such cases the translators will take the

Sanskrit edition as the primary source

The translations ideally include textual comparison with and reference to differing versions

when they exist whether in Tibetan Sanskrit Pāli Chinese or other For the different Tibetan

editions this task is facilitated by the new comparative edition (dpe sdur ma) of the Kangyur and

Tengyur published in Beijing by the Tibetan Tripitaka Collation Bureau (bkarsquo bstan dpe sdur

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khang) of the China Tibetology Research Center (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6

Translators use the Pedurma Kangyur to trace variations of the different editions Only changes

that affect the meaning significantly should be marked in footnotes

Research

In addition to translating sūtras translators are required to do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and to

compose brief introductions notes bibliographies glossarie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 These

are publish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All publications are online free of charge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In their editorial policy the 84000 has formulated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translation work

Generally speaking the translations should possess the following qualities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consistency and flexibility7 What these principles entail the

editorial committee of the 84000 explains in the Guidelines for Translators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elaborate on some of these details Generally speaking one can say that

all rules aim at producing a text of easy readability As translators we should think to ―be kind to

our readers8

Setting standards naturally leads to the question of standardization ie to the idea that all

translators use the same vocabulary for recurrent technical terms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has expressed the wish to develop such translation standardization similar to the

Mahāvyutpatti project in Tibet Standardization however is not possible at the moment and it is

not clear to which degree it will be in the future The guidelines of the 84000 give rules as to the

spelling capitalization use of italics and punctuation but leave the vocabulary to the discretion

of the translators They demand however that each translation team develops a glossary

alongside their translation This is done in an excel sheet in which the Tibetan Sanskrit and

English terms are listed as well as a short English definition In the final publication the English

word is hyperlinked so that the reader can easily access the glossary entries

The challenge of and resistance to standardization are problems that are better understood when

we compare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translation endeavours now with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Buddhist literature into Tibetan Therefore I would like to deviate for a short moment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then return to a few concrete examples of the editorial guidelines of the

84000

6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7―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8This expression is borrowed from Dr David Bellos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Oct 2014

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s into Tibetan

The Tibetan Buddhist Canon is a translation of mainly the Sanskrit Canon of which many texts

have been destroyed or lost over the centuries Other translations were done from texts in

Chinese Khotanese Socdian or other languages of that time when these were believed to have

had a Sanskrit original that got lost

Whereas the Pāli Canon could be preserved or rather reconstructed in its entirety thanks to the

efforts of generation after generation copying individual manuscripts in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Sri Lanka Burma and Thailand -this is unfortunately not the case for the Sanskrit

teachings Many Sanskrit texts have only survived in Tibetan or Chinese translation

As for the translations to Tibetan there were two clearly distinguishable phases of Sanskrit-

Tibetan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of uptake in Buddhism known to Tibetan

historians as the ―early propagation (snga dar) and ―later propagation (phyi dar)The first a

―top-down movement lasted from the 7th

to the mid-9th

century and was an initiative based on

royal initiative and support In the 7th

century CE the newly united kingdom of Tibet was still

relatively young when its ruler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

decided to sponsor Buddhism and with it the translation of important texts from India Two and a

half centuries of prosperity were followed by a time of political collapse and religious crisis The

second ―new translation period (gsar lsquogyur) - also called the ―later dissemination of the

teachings (phyi dar) - between the 11th

and 14th

centuries was a fragmented movement that

sprung from the grassroots fuelled by teachers and adepts It was a period of great individual

achievements though less consistent in following uniform standards Such individuals were for

example Bari Lotsawa9 Drogmi Lotsawa

10and Rinchen Zangpo

11 - three translators that are

revered in the Sakya School with which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is affiliated

After the 14th

century Buddhism had mostly disappeared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no

further Sanskrit texts were translated into Tibetan In total 5250 texts 230000 folio sides were

translated from Sanskrit to Tibetan Over 870 translators and scholars were involved and their

translations have been praised by modern historians as a masterpiece of teamwork terminology

and consistency12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to Tibetan

Translating from Sanskrit into Tibetan had a unique feature because the Tibetans created a

Tibetan linguistic system that was modelled upon Sanskrit even though the two languages share

no direct linguistic relation Tibetan belonging to the Tibeto-Burmese language group However

Sanskrit was chosen as a benchmark in order to be able to translate Buddhist scriptures into

9 Ba ri lo tsA also called Rinchen Drak (rin chen grags) (1040-1111)

10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11 Rin chen bzang po (958-1055)

12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See also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ibetan13

Not only did grammarians attempt to conceptualize Tibetan through the lens of

Sanskrit noun cases syntax and verbal conjugation (albeit simplified) moreover by royal

commission the vocabulary and style of translations were highly regularized Standardization

became may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ranslation and the fabricated similarity of Tibetan

to Sanskrit facilitated transl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exts of high precision14

Lotsawa-Paṇḍita

As we know from colophons the translations were mostly carried out by a collaboration of

Indian scholars and Tibetan translators a model that received the name lotsawa-paṇḍita The

Sanskrit title paṇḍita designated mastery of the five sciences grammar logic medicine artistic

crafts and philosophy The title lotsawa was an honorific term for the native Tibetans involved

in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texts into Tibetan Some of them had travelled to India or a

Himalayan borderland had accompanied Indian paṇḍitas back to Tibet had invested health and

wealth effort and sacrifice to make translations happen Sinc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people

with two different skill sets has proven highly successful many translators today including my

own translation group try to emulate the lotsawa-paṇḍita model whe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into English

Translation Tools - The Mahāvyutpatti and Madhyavyutpatti

The Tibetan translations of Sanskrit sūtras show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n vocabulary This

is the result of an invested effort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It is documented in the

Mahāvyutpatti the Madhyavyutpatti and similar texts The Mahāvyutpatti (bye brag tu rtogs pa

chen po) or ―The Great Volume of Precise Understanding or Essential Etymology is a Sanskrit-

Tibetan lexicographical reference work with nearly 10000 entries which is still used by scholars

today The related Madhyavyutpatti (sgra sbyor bam po gynis pa)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ranslation technique These two volumes were created c 814 at the order of King Tride

Songtsen (khri lde srong btsan r 799-815) ie during the first translation period in Tibet with

the intention to standardize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into Tibetan These texts settled

issues of orthography grammar and translation rules and thus played a central role in achieving

a largely consistent standardized language for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 Students of Tibetan

language still refer to this compendium today15

In an address to the recent Tsadra Foundation

conference on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in October 2014 the scholar Peter Skillings

13

It is believed that the Tibetan script and texts on grammar date to the 7th

century Under the rule of king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the scholar and grammarian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 is credited by the

tradition to have created a script and composed the Root Verses on Grammar the so-called sum cu pa and the

Guide to the Signs (rtags kyi lsquojug pa) 14

For a detailed account see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15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ors Supported

Translators

Translatorsrsquo Affiliations

Impact of the 84000rsquosWork The table below provides an overview of how often the translations provided by the 84000 have

been viewed5

Reading Room Hits 44 million hits

Text Downloads 110898 times

5―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ebsite Visitors 151813 visitors

ReadingRoom Visitors

81238 visitors

Readers Come From 135 countries

The Editorial Policy of the 84000

The 84000 have developed an editorial policy which all their translators have to follow Once a

year the 84000 invites translators to submit applications for the translation of preselected sūtras

To do so translators have to present a sample translation of 5 pages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team of translators and a budget The chosen teams may then start their translations based

on certain rules that have been postulated by the editorial team of the 84000 since their

beginnings in 2010 and expanded over the years

Source and Target Languages

As mentioned previously the 84000lsquos primary focus is on the translation of Tibetan scriptures

included in the Kangyur and Tengyur Translations are done primarily from the Tibetan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of extant Sanskrit originals or Chinese translations There is no

plan to translate canonical texts from Pāli and Chinese since such translations are already

undertaken by other organisations

The target language is English with the long term vision of including other modern languages

including Chinese when resources are available The target audience is an educated but non-

specialist readership Translators are asked to use a language that is accessible to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Texts Text Comparison and Critical Editions

The source text for most translations is the Tibetan text from the Degeacute edition For a large

majority of works no Sanskrit version has been found and the English translation will

necessarily be made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Only for a minority of works an original

Sanskrit version in a reliable edition is available In such cases the translators will take the

Sanskrit edition as the primary source

The translations ideally include textual comparison with and reference to differing versions

when they exist whether in Tibetan Sanskrit Pāli Chinese or other For the different Tibetan

editions this task is facilitated by the new comparative edition (dpe sdur ma) of the Kangyur and

Tengyur published in Beijing by the Tibetan Tripitaka Collation Bureau (bkarsquo bstan dpe sdur

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khang) of the China Tibetology Research Center (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6

Translators use the Pedurma Kangyur to trace variations of the different editions Only changes

that affect the meaning significantly should be marked in footnotes

Research

In addition to translating sūtras translators are required to do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and to

compose brief introductions notes bibliographies glossarie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 These

are publish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All publications are online free of charge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In their editorial policy the 84000 has formulated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translation work

Generally speaking the translations should possess the following qualities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consistency and flexibility7 What these principles entail the

editorial committee of the 84000 explains in the Guidelines for Translators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elaborate on some of these details Generally speaking one can say that

all rules aim at producing a text of easy readability As translators we should think to ―be kind to

our readers8

Setting standards naturally leads to the question of standardization ie to the idea that all

translators use the same vocabulary for recurrent technical terms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has expressed the wish to develop such translation standardization similar to the

Mahāvyutpatti project in Tibet Standardization however is not possible at the moment and it is

not clear to which degree it will be in the future The guidelines of the 84000 give rules as to the

spelling capitalization use of italics and punctuation but leave the vocabulary to the discretion

of the translators They demand however that each translation team develops a glossary

alongside their translation This is done in an excel sheet in which the Tibetan Sanskrit and

English terms are listed as well as a short English definition In the final publication the English

word is hyperlinked so that the reader can easily access the glossary entries

The challenge of and resistance to standardization are problems that are better understood when

we compare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translation endeavours now with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Buddhist literature into Tibetan Therefore I would like to deviate for a short moment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then return to a few concrete examples of the editorial guidelines of the

84000

6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7―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8This expression is borrowed from Dr David Bellos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Oct 2014

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s into Tibetan

The Tibetan Buddhist Canon is a translation of mainly the Sanskrit Canon of which many texts

have been destroyed or lost over the centuries Other translations were done from texts in

Chinese Khotanese Socdian or other languages of that time when these were believed to have

had a Sanskrit original that got lost

Whereas the Pāli Canon could be preserved or rather reconstructed in its entirety thanks to the

efforts of generation after generation copying individual manuscripts in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Sri Lanka Burma and Thailand -this is unfortunately not the case for the Sanskrit

teachings Many Sanskrit texts have only survived in Tibetan or Chinese translation

As for the translations to Tibetan there were two clearly distinguishable phases of Sanskrit-

Tibetan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of uptake in Buddhism known to Tibetan

historians as the ―early propagation (snga dar) and ―later propagation (phyi dar)The first a

―top-down movement lasted from the 7th

to the mid-9th

century and was an initiative based on

royal initiative and support In the 7th

century CE the newly united kingdom of Tibet was still

relatively young when its ruler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

decided to sponsor Buddhism and with it the translation of important texts from India Two and a

half centuries of prosperity were followed by a time of political collapse and religious crisis The

second ―new translation period (gsar lsquogyur) - also called the ―later dissemination of the

teachings (phyi dar) - between the 11th

and 14th

centuries was a fragmented movement that

sprung from the grassroots fuelled by teachers and adepts It was a period of great individual

achievements though less consistent in following uniform standards Such individuals were for

example Bari Lotsawa9 Drogmi Lotsawa

10and Rinchen Zangpo

11 - three translators that are

revered in the Sakya School with which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is affiliated

After the 14th

century Buddhism had mostly disappeared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no

further Sanskrit texts were translated into Tibetan In total 5250 texts 230000 folio sides were

translated from Sanskrit to Tibetan Over 870 translators and scholars were involved and their

translations have been praised by modern historians as a masterpiece of teamwork terminology

and consistency12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to Tibetan

Translating from Sanskrit into Tibetan had a unique feature because the Tibetans created a

Tibetan linguistic system that was modelled upon Sanskrit even though the two languages share

no direct linguistic relation Tibetan belonging to the Tibeto-Burmese language group However

Sanskrit was chosen as a benchmark in order to be able to translate Buddhist scriptures into

9 Ba ri lo tsA also called Rinchen Drak (rin chen grags) (1040-1111)

10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11 Rin chen bzang po (958-1055)

12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See also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ibetan13

Not only did grammarians attempt to conceptualize Tibetan through the lens of

Sanskrit noun cases syntax and verbal conjugation (albeit simplified) moreover by royal

commission the vocabulary and style of translations were highly regularized Standardization

became may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ranslation and the fabricated similarity of Tibetan

to Sanskrit facilitated transl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exts of high precision14

Lotsawa-Paṇḍita

As we know from colophons the translations were mostly carried out by a collaboration of

Indian scholars and Tibetan translators a model that received the name lotsawa-paṇḍita The

Sanskrit title paṇḍita designated mastery of the five sciences grammar logic medicine artistic

crafts and philosophy The title lotsawa was an honorific term for the native Tibetans involved

in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texts into Tibetan Some of them had travelled to India or a

Himalayan borderland had accompanied Indian paṇḍitas back to Tibet had invested health and

wealth effort and sacrifice to make translations happen Sinc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people

with two different skill sets has proven highly successful many translators today including my

own translation group try to emulate the lotsawa-paṇḍita model whe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into English

Translation Tools - The Mahāvyutpatti and Madhyavyutpatti

The Tibetan translations of Sanskrit sūtras show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n vocabulary This

is the result of an invested effort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It is documented in the

Mahāvyutpatti the Madhyavyutpatti and similar texts The Mahāvyutpatti (bye brag tu rtogs pa

chen po) or ―The Great Volume of Precise Understanding or Essential Etymology is a Sanskrit-

Tibetan lexicographical reference work with nearly 10000 entries which is still used by scholars

today The related Madhyavyutpatti (sgra sbyor bam po gynis pa)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ranslation technique These two volumes were created c 814 at the order of King Tride

Songtsen (khri lde srong btsan r 799-815) ie during the first translation period in Tibet with

the intention to standardize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into Tibetan These texts settled

issues of orthography grammar and translation rules and thus played a central role in achieving

a largely consistent standardized language for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 Students of Tibetan

language still refer to this compendium today15

In an address to the recent Tsadra Foundation

conference on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in October 2014 the scholar Peter Skillings

13

It is believed that the Tibetan script and texts on grammar date to the 7th

century Under the rule of king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the scholar and grammarian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 is credited by the

tradition to have created a script and composed the Root Verses on Grammar the so-called sum cu pa and the

Guide to the Signs (rtags kyi lsquojug pa) 14

For a detailed account see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15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ebsite Visitors 151813 visitors

ReadingRoom Visitors

81238 visitors

Readers Come From 135 countries

The Editorial Policy of the 84000

The 84000 have developed an editorial policy which all their translators have to follow Once a

year the 84000 invites translators to submit applications for the translation of preselected sūtras

To do so translators have to present a sample translation of 5 pages along with an introduction

to the team of translators and a budget The chosen teams may then start their translations based

on certain rules that have been postulated by the editorial team of the 84000 since their

beginnings in 2010 and expanded over the years

Source and Target Languages

As mentioned previously the 84000lsquos primary focus is on the translation of Tibetan scriptures

included in the Kangyur and Tengyur Translations are done primarily from the Tibetan

language under consideration of extant Sanskrit originals or Chinese translations There is no

plan to translate canonical texts from Pāli and Chinese since such translations are already

undertaken by other organisations

The target language is English with the long term vision of including other modern languages

including Chinese when resources are available The target audience is an educated but non-

specialist readership Translators are asked to use a language that is accessible to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Texts Text Comparison and Critical Editions

The source text for most translations is the Tibetan text from the Degeacute edition For a large

majority of works no Sanskrit version has been found and the English translation will

necessarily be made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Only for a minority of works an original

Sanskrit version in a reliable edition is available In such cases the translators will take the

Sanskrit edition as the primary source

The translations ideally include textual comparison with and reference to differing versions

when they exist whether in Tibetan Sanskrit Pāli Chinese or other For the different Tibetan

editions this task is facilitated by the new comparative edition (dpe sdur ma) of the Kangyur and

Tengyur published in Beijing by the Tibetan Tripitaka Collation Bureau (bkarsquo bstan dpe sdur

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khang) of the China Tibetology Research Center (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6

Translators use the Pedurma Kangyur to trace variations of the different editions Only changes

that affect the meaning significantly should be marked in footnotes

Research

In addition to translating sūtras translators are required to do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and to

compose brief introductions notes bibliographies glossarie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 These

are publish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All publications are online free of charge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In their editorial policy the 84000 has formulated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translation work

Generally speaking the translations should possess the following qualities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consistency and flexibility7 What these principles entail the

editorial committee of the 84000 explains in the Guidelines for Translators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elaborate on some of these details Generally speaking one can say that

all rules aim at producing a text of easy readability As translators we should think to ―be kind to

our readers8

Setting standards naturally leads to the question of standardization ie to the idea that all

translators use the same vocabulary for recurrent technical terms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has expressed the wish to develop such translation standardization similar to the

Mahāvyutpatti project in Tibet Standardization however is not possible at the moment and it is

not clear to which degree it will be in the future The guidelines of the 84000 give rules as to the

spelling capitalization use of italics and punctuation but leave the vocabulary to the discretion

of the translators They demand however that each translation team develops a glossary

alongside their translation This is done in an excel sheet in which the Tibetan Sanskrit and

English terms are listed as well as a short English definition In the final publication the English

word is hyperlinked so that the reader can easily access the glossary entries

The challenge of and resistance to standardization are problems that are better understood when

we compare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translation endeavours now with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Buddhist literature into Tibetan Therefore I would like to deviate for a short moment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then return to a few concrete examples of the editorial guidelines of the

84000

6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7―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8This expression is borrowed from Dr David Bellos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Oct 2014

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s into Tibetan

The Tibetan Buddhist Canon is a translation of mainly the Sanskrit Canon of which many texts

have been destroyed or lost over the centuries Other translations were done from texts in

Chinese Khotanese Socdian or other languages of that time when these were believed to have

had a Sanskrit original that got lost

Whereas the Pāli Canon could be preserved or rather reconstructed in its entirety thanks to the

efforts of generation after generation copying individual manuscripts in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Sri Lanka Burma and Thailand -this is unfortunately not the case for the Sanskrit

teachings Many Sanskrit texts have only survived in Tibetan or Chinese translation

As for the translations to Tibetan there were two clearly distinguishable phases of Sanskrit-

Tibetan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of uptake in Buddhism known to Tibetan

historians as the ―early propagation (snga dar) and ―later propagation (phyi dar)The first a

―top-down movement lasted from the 7th

to the mid-9th

century and was an initiative based on

royal initiative and support In the 7th

century CE the newly united kingdom of Tibet was still

relatively young when its ruler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

decided to sponsor Buddhism and with it the translation of important texts from India Two and a

half centuries of prosperity were followed by a time of political collapse and religious crisis The

second ―new translation period (gsar lsquogyur) - also called the ―later dissemination of the

teachings (phyi dar) - between the 11th

and 14th

centuries was a fragmented movement that

sprung from the grassroots fuelled by teachers and adepts It was a period of great individual

achievements though less consistent in following uniform standards Such individuals were for

example Bari Lotsawa9 Drogmi Lotsawa

10and Rinchen Zangpo

11 - three translators that are

revered in the Sakya School with which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is affiliated

After the 14th

century Buddhism had mostly disappeared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no

further Sanskrit texts were translated into Tibetan In total 5250 texts 230000 folio sides were

translated from Sanskrit to Tibetan Over 870 translators and scholars were involved and their

translations have been praised by modern historians as a masterpiece of teamwork terminology

and consistency12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to Tibetan

Translating from Sanskrit into Tibetan had a unique feature because the Tibetans created a

Tibetan linguistic system that was modelled upon Sanskrit even though the two languages share

no direct linguistic relation Tibetan belonging to the Tibeto-Burmese language group However

Sanskrit was chosen as a benchmark in order to be able to translate Buddhist scriptures into

9 Ba ri lo tsA also called Rinchen Drak (rin chen grags) (1040-1111)

10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11 Rin chen bzang po (958-1055)

12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See also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ibetan13

Not only did grammarians attempt to conceptualize Tibetan through the lens of

Sanskrit noun cases syntax and verbal conjugation (albeit simplified) moreover by royal

commission the vocabulary and style of translations were highly regularized Standardization

became may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ranslation and the fabricated similarity of Tibetan

to Sanskrit facilitated transl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exts of high precision14

Lotsawa-Paṇḍita

As we know from colophons the translations were mostly carried out by a collaboration of

Indian scholars and Tibetan translators a model that received the name lotsawa-paṇḍita The

Sanskrit title paṇḍita designated mastery of the five sciences grammar logic medicine artistic

crafts and philosophy The title lotsawa was an honorific term for the native Tibetans involved

in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texts into Tibetan Some of them had travelled to India or a

Himalayan borderland had accompanied Indian paṇḍitas back to Tibet had invested health and

wealth effort and sacrifice to make translations happen Sinc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people

with two different skill sets has proven highly successful many translators today including my

own translation group try to emulate the lotsawa-paṇḍita model whe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into English

Translation Tools - The Mahāvyutpatti and Madhyavyutpatti

The Tibetan translations of Sanskrit sūtras show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n vocabulary This

is the result of an invested effort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It is documented in the

Mahāvyutpatti the Madhyavyutpatti and similar texts The Mahāvyutpatti (bye brag tu rtogs pa

chen po) or ―The Great Volume of Precise Understanding or Essential Etymology is a Sanskrit-

Tibetan lexicographical reference work with nearly 10000 entries which is still used by scholars

today The related Madhyavyutpatti (sgra sbyor bam po gynis pa)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ranslation technique These two volumes were created c 814 at the order of King Tride

Songtsen (khri lde srong btsan r 799-815) ie during the first translation period in Tibet with

the intention to standardize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into Tibetan These texts settled

issues of orthography grammar and translation rules and thus played a central role in achieving

a largely consistent standardized language for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 Students of Tibetan

language still refer to this compendium today15

In an address to the recent Tsadra Foundation

conference on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in October 2014 the scholar Peter Skillings

13

It is believed that the Tibetan script and texts on grammar date to the 7th

century Under the rule of king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the scholar and grammarian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 is credited by the

tradition to have created a script and composed the Root Verses on Grammar the so-called sum cu pa and the

Guide to the Signs (rtags kyi lsquojug pa) 14

For a detailed account see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15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khang) of the China Tibetology Research Center (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6

Translators use the Pedurma Kangyur to trace variations of the different editions Only changes

that affect the meaning significantly should be marked in footnotes

Research

In addition to translating sūtras translators are required to do a certain amount of research and to

compose brief introductions notes bibliographies glossaries and other reference material These

are published along with the translations All publications are online free of charge

Standards and Standardization

In their editorial policy the 84000 has formulated the guiding principles for the translation work

Generally speaking the translations should possess the following qualities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consistency and flexibility7 What these principles entail the

editorial committee of the 84000 explains in the Guidelines for Translators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elaborate on some of these details Generally speaking one can say that

all rules aim at producing a text of easy readability As translators we should think to ―be kind to

our readers8

Setting standards naturally leads to the question of standardization ie to the idea that all

translators use the same vocabulary for recurrent technical terms The editorial board of the

84000 has expressed the wish to develop such translation standardization similar to the

Mahāvyutpatti project in Tibet Standardization however is not possible at the moment and it is

not clear to which degree it will be in the future The guidelines of the 84000 give rules as to the

spelling capitalization use of italics and punctuation but leave the vocabulary to the discretion

of the translators They demand however that each translation team develops a glossary

alongside their translation This is done in an excel sheet in which the Tibetan Sanskrit and

English terms are listed as well as a short English definition In the final publication the English

word is hyperlinked so that the reader can easily access the glossary entries

The challenge of and resistance to standardization are problems that are better understood when

we compare the historical contexts of the translation endeavours now with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Buddhist literature into Tibetan Therefore I would like to deviate for a short moment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 I will then return to a few concrete examples of the editorial guidelines of the

84000

6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7―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8This expression is borrowed from Dr David Bellos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Oct 2014

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s into Tibetan

The Tibetan Buddhist Canon is a translation of mainly the Sanskrit Canon of which many texts

have been destroyed or lost over the centuries Other translations were done from texts in

Chinese Khotanese Socdian or other languages of that time when these were believed to have

had a Sanskrit original that got lost

Whereas the Pāli Canon could be preserved or rather reconstructed in its entirety thanks to the

efforts of generation after generation copying individual manuscripts in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Sri Lanka Burma and Thailand -this is unfortunately not the case for the Sanskrit

teachings Many Sanskrit texts have only survived in Tibetan or Chinese translation

As for the translations to Tibetan there were two clearly distinguishable phases of Sanskrit-

Tibetan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of uptake in Buddhism known to Tibetan

historians as the ―early propagation (snga dar) and ―later propagation (phyi dar)The first a

―top-down movement lasted from the 7th

to the mid-9th

century and was an initiative based on

royal initiative and support In the 7th

century CE the newly united kingdom of Tibet was still

relatively young when its ruler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

decided to sponsor Buddhism and with it the translation of important texts from India Two and a

half centuries of prosperity were followed by a time of political collapse and religious crisis The

second ―new translation period (gsar lsquogyur) - also called the ―later dissemination of the

teachings (phyi dar) - between the 11th

and 14th

centuries was a fragmented movement that

sprung from the grassroots fuelled by teachers and adepts It was a period of great individual

achievements though less consistent in following uniform standards Such individuals were for

example Bari Lotsawa9 Drogmi Lotsawa

10and Rinchen Zangpo

11 - three translators that are

revered in the Sakya School with which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is affiliated

After the 14th

century Buddhism had mostly disappeared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no

further Sanskrit texts were translated into Tibetan In total 5250 texts 230000 folio sides were

translated from Sanskrit to Tibetan Over 870 translators and scholars were involved and their

translations have been praised by modern historians as a masterpiece of teamwork terminology

and consistency12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to Tibetan

Translating from Sanskrit into Tibetan had a unique feature because the Tibetans created a

Tibetan linguistic system that was modelled upon Sanskrit even though the two languages share

no direct linguistic relation Tibetan belonging to the Tibeto-Burmese language group However

Sanskrit was chosen as a benchmark in order to be able to translate Buddhist scriptures into

9 Ba ri lo tsA also called Rinchen Drak (rin chen grags) (1040-1111)

10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11 Rin chen bzang po (958-1055)

12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See also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ibetan13

Not only did grammarians attempt to conceptualize Tibetan through the lens of

Sanskrit noun cases syntax and verbal conjugation (albeit simplified) moreover by royal

commission the vocabulary and style of translations were highly regularized Standardization

became may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ranslation and the fabricated similarity of Tibetan

to Sanskrit facilitated transl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exts of high precision14

Lotsawa-Paṇḍita

As we know from colophons the translations were mostly carried out by a collaboration of

Indian scholars and Tibetan translators a model that received the name lotsawa-paṇḍita The

Sanskrit title paṇḍita designated mastery of the five sciences grammar logic medicine artistic

crafts and philosophy The title lotsawa was an honorific term for the native Tibetans involved

in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texts into Tibetan Some of them had travelled to India or a

Himalayan borderland had accompanied Indian paṇḍitas back to Tibet had invested health and

wealth effort and sacrifice to make translations happen Sinc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people

with two different skill sets has proven highly successful many translators today including my

own translation group try to emulate the lotsawa-paṇḍita model whe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into English

Translation Tools - The Mahāvyutpatti and Madhyavyutpatti

The Tibetan translations of Sanskrit sūtras show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n vocabulary This

is the result of an invested effort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It is documented in the

Mahāvyutpatti the Madhyavyutpatti and similar texts The Mahāvyutpatti (bye brag tu rtogs pa

chen po) or ―The Great Volume of Precise Understanding or Essential Etymology is a Sanskrit-

Tibetan lexicographical reference work with nearly 10000 entries which is still used by scholars

today The related Madhyavyutpatti (sgra sbyor bam po gynis pa)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ranslation technique These two volumes were created c 814 at the order of King Tride

Songtsen (khri lde srong btsan r 799-815) ie during the first translation period in Tibet with

the intention to standardize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into Tibetan These texts settled

issues of orthography grammar and translation rules and thus played a central role in achieving

a largely consistent standardized language for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 Students of Tibetan

language still refer to this compendium today15

In an address to the recent Tsadra Foundation

conference on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in October 2014 the scholar Peter Skillings

13

It is believed that the Tibetan script and texts on grammar date to the 7th

century Under the rule of king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the scholar and grammarian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 is credited by the

tradition to have created a script and composed the Root Verses on Grammar the so-called sum cu pa and the

Guide to the Signs (rtags kyi lsquojug pa) 14

For a detailed account see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15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s of the Buddhist Canons into Tibetan

The Tibetan Buddhist Canon is a translation of mainly the Sanskrit Canon of which many texts

have been destroyed or lost over the centuries Other translations were done from texts in

Chinese Khotanese Socdian or other languages of that time when these were believed to have

had a Sanskrit original that got lost

Whereas the Pāli Canon could be preserved or rather reconstructed in its entirety thanks to the

efforts of generation after generation copying individual manuscripts in neighbouring countries

such as Sri Lanka Burma and Thailand -this is unfortunately not the case for the Sanskrit

teachings Many Sanskrit texts have only survived in Tibetan or Chinese translation

As for the translations to Tibetan there were two clearly distinguishable phases of Sanskrit-

Tibetan transl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iods of uptake in Buddhism known to Tibetan

historians as the ―early propagation (snga dar) and ―later propagation (phyi dar)The first a

―top-down movement lasted from the 7th

to the mid-9th

century and was an initiative based on

royal initiative and support In the 7th

century CE the newly united kingdom of Tibet was still

relatively young when its ruler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

decided to sponsor Buddhism and with it the translation of important texts from India Two and a

half centuries of prosperity were followed by a time of political collapse and religious crisis The

second ―new translation period (gsar lsquogyur) - also called the ―later dissemination of the

teachings (phyi dar) - between the 11th

and 14th

centuries was a fragmented movement that

sprung from the grassroots fuelled by teachers and adepts It was a period of great individual

achievements though less consistent in following uniform standards Such individuals were for

example Bari Lotsawa9 Drogmi Lotsawa

10and Rinchen Zangpo

11 - three translators that are

revered in the Sakya School with which the Sakya Paṇḍita Translation Group is affiliated

After the 14th

century Buddhism had mostly disappeared from the Indian subcontinent and no

further Sanskrit texts were translated into Tibetan In total 5250 texts 230000 folio sides were

translated from Sanskrit to Tibetan Over 870 translators and scholars were involved and their

translations have been praised by modern historians as a masterpiece of teamwork terminology

and consistency12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Translation into Tibetan

Translating from Sanskrit into Tibetan had a unique feature because the Tibetans created a

Tibetan linguistic system that was modelled upon Sanskrit even though the two languages share

no direct linguistic relation Tibetan belonging to the Tibeto-Burmese language group However

Sanskrit was chosen as a benchmark in order to be able to translate Buddhist scriptures into

9 Ba ri lo tsA also called Rinchen Drak (rin chen grags) (1040-1111)

10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11 Rin chen bzang po (958-1055)

12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See also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ibetan13

Not only did grammarians attempt to conceptualize Tibetan through the lens of

Sanskrit noun cases syntax and verbal conjugation (albeit simplified) moreover by royal

commission the vocabulary and style of translations were highly regularized Standardization

became may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ranslation and the fabricated similarity of Tibetan

to Sanskrit facilitated transl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exts of high precision14

Lotsawa-Paṇḍita

As we know from colophons the translations were mostly carried out by a collaboration of

Indian scholars and Tibetan translators a model that received the name lotsawa-paṇḍita The

Sanskrit title paṇḍita designated mastery of the five sciences grammar logic medicine artistic

crafts and philosophy The title lotsawa was an honorific term for the native Tibetans involved

in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texts into Tibetan Some of them had travelled to India or a

Himalayan borderland had accompanied Indian paṇḍitas back to Tibet had invested health and

wealth effort and sacrifice to make translations happen Sinc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people

with two different skill sets has proven highly successful many translators today including my

own translation group try to emulate the lotsawa-paṇḍita model whe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into English

Translation Tools - The Mahāvyutpatti and Madhyavyutpatti

The Tibetan translations of Sanskrit sūtras show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n vocabulary This

is the result of an invested effort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It is documented in the

Mahāvyutpatti the Madhyavyutpatti and similar texts The Mahāvyutpatti (bye brag tu rtogs pa

chen po) or ―The Great Volume of Precise Understanding or Essential Etymology is a Sanskrit-

Tibetan lexicographical reference work with nearly 10000 entries which is still used by scholars

today The related Madhyavyutpatti (sgra sbyor bam po gynis pa)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ranslation technique These two volumes were created c 814 at the order of King Tride

Songtsen (khri lde srong btsan r 799-815) ie during the first translation period in Tibet with

the intention to standardize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into Tibetan These texts settled

issues of orthography grammar and translation rules and thus played a central role in achieving

a largely consistent standardized language for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 Students of Tibetan

language still refer to this compendium today15

In an address to the recent Tsadra Foundation

conference on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in October 2014 the scholar Peter Skillings

13

It is believed that the Tibetan script and texts on grammar date to the 7th

century Under the rule of king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the scholar and grammarian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 is credited by the

tradition to have created a script and composed the Root Verses on Grammar the so-called sum cu pa and the

Guide to the Signs (rtags kyi lsquojug pa) 14

For a detailed account see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15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ibetan13

Not only did grammarians attempt to conceptualize Tibetan through the lens of

Sanskrit noun cases syntax and verbal conjugation (albeit simplified) moreover by royal

commission the vocabulary and style of translations were highly regularized Standardization

became maybe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ranslation and the fabricated similarity of Tibetan

to Sanskrit facilitated translation and made it possible to produce texts of high precision14

Lotsawa-Paṇḍita

As we know from colophons the translations were mostly carried out by a collaboration of

Indian scholars and Tibetan translators a model that received the name lotsawa-paṇḍita The

Sanskrit title paṇḍita designated mastery of the five sciences grammar logic medicine artistic

crafts and philosophy The title lotsawa was an honorific term for the native Tibetans involved

in the translations of Sanskrit texts into Tibetan Some of them had travelled to India or a

Himalayan borderland had accompanied Indian paṇḍitas back to Tibet had invested health and

wealth effort and sacrifice to make translations happen Since the collaborative effort of people

with two different skill sets has proven highly successful many translators today including my

own translation group try to emulate the lotsawa-paṇḍita model when translating Tibetan

scriptures into English

Translation Tools - The Mahāvyutpatti and Madhyavyutpatti

The Tibetan translations of Sanskrit sūtras show a high degree of conformity in vocabulary This

is the result of an invested effort of standardizing terminology It is documented in the

Mahāvyutpatti the Madhyavyutpatti and similar texts The Mahāvyutpatti (bye brag tu rtogs pa

chen po) or ―The Great Volume of Precise Understanding or Essential Etymology is a Sanskrit-

Tibetan lexicographical reference work with nearly 10000 entries which is still used by scholars

today The related Madhyavyutpatti (sgra sbyor bam po gynis pa) provides a detailed account of

translation technique These two volumes were created c 814 at the order of King Tride

Songtsen (khri lde srong btsan r 799-815) ie during the first translation period in Tibet with

the intention to standardize the translation of Buddhist texts into Tibetan These texts settled

issues of orthography grammar and translation rules and thus played a central role in achieving

a largely consistent standardized language for translating Buddhist scripture Students of Tibetan

language still refer to this compendium today15

In an address to the recent Tsadra Foundation

conference on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in October 2014 the scholar Peter Skillings

13

It is believed that the Tibetan script and texts on grammar date to the 7th

century Under the rule of king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 the scholar and grammarian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 is credited by the

tradition to have created a script and composed the Root Verses on Grammar the so-called sum cu pa and the

Guide to the Signs (rtags kyi lsquojug pa) 14

For a detailed account see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15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dvised translators to study the Mahāvyutpatti attentively He even suggests that these texts be

taught in university seminars16

Apart from the royal supervision of the early translations in Tibet another factor facilitated the

creation of a standardized language Tibet unlike China did not have a well-developed

philosophical tradition prior to the arrival of Buddhism Therefore translators coined technical

terms that were assigned to Sanskrit expressions with little danger of being misunderstood in the

light of some other context Thus the Tibetan translations though literal and somewhat dense

and unnatural are considered relatively reliable in representing the Sanskrit originals They have

proven to be an invaluable source for the reconstruction of lost Sanskrit texts17

Language reforms

During the two translation phases three major language reforms (skad gsar bcad) took place

During these reforms numerous words were labeled ―old signs (brda rnying) and were replaced

with new terms These revision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ing standardized spelling

vocabulary and grammar The last reform dates to the 10th

century CE The literary language has

been more or less frozen since this time18

During each of these revisions older existing

translations were updated to reflect the new standards

Translation from Tibetan to English

Jumping forward in time now for about half a millennium the situation for translators looks very

different The first thing to note is that the translation of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or

other European languages) does not have a very long history At the Tsadra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Tsadra founder Eric Colombel shared his experience as a young student in

Paris France where the only books in French available numbered two and were very difficult to

understand However the interest in Indo-Tibetan Buddhism in the Western world progressed

very quickly from being the reserve of a few Indologists and Tibetologists in the 19th

century to

an accepted mainstream phenomenon 150 years later Older translations of texts often exhibited

some influence from the particular groups that were cultivating contact with Buddhist cultures

be it colonialists Christian missionaries or followers of Jungian psychology19

At present with the social and political situation in Tibet and in Tibetan exile communities

leading Tibetan masters have recognised the very real risk that in one or two generationslsquo time

there will simply be too few people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language or contents

16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17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18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19

Roberta Paine mentions H Kernlsquos translation as an example for Christian influence in translation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Jungian influence can be found

for example in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or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 It contains a Psychological commentary by Carl Jung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e growing awareness of this risk has not only led to the founding of the 84000 but to a few

similar events that are concerned with the preservation of the Tibetan Buddhist literary legacy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

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Translator Types

Who are the people who participates in these events Apart from a few Tibetan teachers

committed to translating they are men and women mainly from Europe and America who have

a particular connection to Tibetan Buddhism culture and language During the latest conference

which I attended along with 200 other participants senior translator Wulstan Fletcher and others

discussed the distinction between two types of translators

1 Dharma practitioners who become translators and interpreters ndash they are often self-professed

or designated by a Tibetan teacher Often not subject to professional oversight their focus is

on the religious significance of a text the accessibility for the target audience of

practitioners andor the use of a text as practice liturgy As practitioners they are sometimes

bound by religious rules of samaya (dam tshig) and secrecy

2 Academics whose fields of expertise often include philology buddhology philosophy

anthropology religious studies etc - they are not necessarily trained as interpreters or

language experts The oversight of their translation work comes from within academia in the

form of peer-review Their focus in translating is on accuracy comparison of editions

historical and philosophical contextualization and significance Academics are not bound by

the traditionlsquos norms of secrecy but follow the code of critical investigation and unrestrained

curiosity

Both types of translators often work as individuals seeking occasional help from advisors or

colleagues A peculiar fact is that many translators that work with text translations cannot

necessarily speak colloquial Tibetan Both groups generally consider the literary language to be a

classical Tibetan which is distinct and separate from spoken Tibetan However the more

experienced translators and particularly those who have been immersed in Tibetan communities

for some tim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oral tradition Spoken Tibetan is not only

important for the collaboration with Tibetan scholars but also allows a richer understanding of

the subtleties of the language

Concluding Remarks

These glimpses into the history of the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however brief and over-

simplified they may be show sufficiently the different contexts in which translation has taken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place in the past and is taking place today The most important difference in my view is the fact

that translation started as a state-supported endeavour in Tibet which entailed a strong

centralizing and standardizing power right from the beginning In comparison todaylsquos

translation projects do not enjoy royal or state support and only a few efforts to centralize a

translation effort The 84000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of them The short but successful

story of the 84000 shows the importance of concerted efforts in this field The recent surge in

Tibetan Buddhist translation conferences worldwide is most likely another outcome of a shift in

thinking about translation a shift moving away from the individual achiever towards mutual

support and team efforts

There is another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anslation context then and now - a difference on

which I do not elaborate in this presentation because of time restrictions - and that is the

immense supply of translation tools available today Starting with digitized dictionaries digitized

and searchable texts online resources such as the TBRC ACIP or AIBS data bases cloud

search etc translators are able to benefit from the accumulated and recorded knowledge of

Buddhist scholarship like never before in history

In the second part of my presentations I would like to present and reflect upon my personal

experience as translator of the 84000 within the context that I have outlined so far

II The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summer of 2011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signed a contract with the 84000

for the translation of several sūtras among them the Ākāśagarbha Sūtra This sūtra is a text of 20

folios in the Dege Edition20

or 44 pages in the Pedurma edition Its complete name is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In the Catalogue of the Tibetan Buddhist Canons [Tokyo Tōhoku University 1934]

it is Tōh no 260 It was translated into Tibetan by the scholars Śākyaprabha and Ratnarakṣita

In the following I will present our translation work of this sutra I will briefly introduce the text

and our translation team and then focus on the challenges we encountered in the work process

as well as the solutions we found

Introducing the Sūtra

This sūtra is named after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in Tibetan Namkhe Nyingpo which

means ―essence of space or ―matrix of space The sutra tells of a situation in which Buddha

Śākyamuni resides in the Khalatika Mountains which refers probably to the Barabar mountains

near Bodhgaya Buddha Śākyamuni and his retinue are joined by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arrives displaying his magical powers At first a bright ray of light coming from the jewel

on top of his head transforms the whole of the world into a pure land Thereupon the bodhisattva

Maitreya requests Buddha Śākyamuni to give a teaching on the powers and capacities of

20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Bodhisattva Ākāśagarbha The answer of Buddha Śākyamuni forms the major part of the sūtra

The Buddha explained the qualities and the powers of Ākāśagarbha His particular power is his

ability to help practitioners purify their wrongdoings in the sutra called ―downfalls The

Buddha explains each of the twenty-three downfalls or transgressions separately in more or

less detail They include general unwholesome actions such as killing and stealing and also the

eight transgressions of bodhisattvas which are deeds like teaching emptiness to disciples that are

not mature enough for comprehending it or trying to convince somebody that the Mahāyāna

path is not the right path to practice or trying to deter somebody who wants to take the monastic

vows of self-liberation The Buddha also explains various methods of purification of these

negative deeds and transgressions such as praying to Ākāśagarbha giving special offerings

reciting dharaṇis and so forth A special emphasis is on a dream incubation type of practice The

person invites Ākāśagarbha to appear in her or his dream and to listen to the confession of

wrongdoings and it is in the dream that Ākāśagarbha purification will take place The sutra ends

with the Buddha giving a teaching on the emptiness of phenomena

Because of its systematic presentation of the twenty-three transgressions this sūtra has gained

special importance among Mahāyāna sūtras and is mentioned as reference work for Bodhisattva

ethics by masters such as Śāntideva Sakya Paṇḍita or Jamgon Kongtrul21

The famous

Bodhicaryāvatāra (translated as The Way of the Bodhisattva) by Śāntideva recommends the

Ākāśagarbha Sūtra as the first reference text to study for bodhisattva training

This sutra was translated by four members of the Sakya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hich

I will briefly introduce before turning to the work process of our translation group

Introducing Sakya IBA and its Translation Team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short IBA) is located in Kathmandu Nepal and was

established in 2001 by the late Khenchen Appey Rinpoche an eminent Sakyapa scholar and

teacher whose students include prominent teachers such as His Holiness the Sakya Trizin and

Dzongsar Khyentse Rinpoche22

In 2009 an intensive translator training program began that educated simultaneously Tibetan and

Western scholars to prepare them for collaborative translation programs in the future The

Tibetan monastic scholars who were admitted to the IBA all had completed seven to nine years

of philosophical studies at various Sakya monastic colleges such as Dzongsar Shedra (Bir

India) Sakya College (Dehradun India) Rimbik Shedra Sakya Chopelling (Darjeeling India)

or Sakya Institute (Puruwalla India) Thus all of them are highly qualified in Buddhist

philosophy and have attained either a Shastri (ka chu pa) degree - equivalent to a Batchelorlsquos

21

Śāntideva was an Indian master of Nalanda lived around the 8th

century Sakya Paṇḍita (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is one of the five founders of the Sakya School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is a renowned master of the Rimeacute (ecumenical) movement 22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degree - or an Acharya (slob dpon) degree equivalent to a Masterlsquos degree prior to entering the

IBA Their education at the monastic colleges had included extensive training in logic and

debate This discipline of philosophical debate has become so ingrained in the monkslsquo way of

thinking and speaking that even though not formally on the curriculum at the IBA debates can

often be witnessed during tea breaks and recreation time At the IBA the monkslsquo training

focuses on English language which most of them had received only to a very little degree before

arriving at the IBA

The non-Tibetan (mostly Western) students of the IBA translator program focused on studying

Tibetan language classical Tibetan (chos skad)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phal skad) Tibetan

exists as a diglossia ie as two different co-existing language ―habits namely classical literary

Tibetan which has seen very little change since the Buddhist canon itself was translated and

colloquial Tibetan spoken dialects which have continued to evolve into new usages of

vocabulary and grammar Both aspects of Tibetan intersect in the field of Buddha Dharma The

monastics at the IBA are familiar with both and therefore it is deemed necessary also for non-

Tibetan translators to study not only literary language but also its practical application in

conversations about Buddhist teachings as well as colloquial Tibetan At the IBA Tibetan

scholars also spoke Kham and Amdo dialects but these were not taught to non-Tibetan students

The non-Tibetan or Western students at the IBA come from various backgrounds some hold

academic degrees in Buddhist studies others have a strong affiliation with a Tibetan lama who

advised them to learn the skill of translation In a two year program they receive an education

consisting of three areas Tibetan grammar trans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and conversational

Tibetan They study Tibetan grammar (sum chu pa and rtags lsquojug pa) with Tibetan teachers ie

from a Tibetan perspective without the attempt to apprehend Tibetan grammar through western

grammatical concepts Translation into English is taught in workshop style with experienced

senior translators such as Gavin Kilty (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Dan Martin (PhD

independent researcher) Khenpo Jorden (PhD Harvard Director of the Institute) and others

Tibetan conversation is practised daily in one-on-one modules and informally during lunch and

tea breaks According to Gavin Kilty for translating a classical text you must have knowledge of

spoken Tibetan You need to discuss it not only with khenpos and lamas that you might ask but

with yourself

At the end of the first two year intensive program in 2011 a small number of students committed

to working in the two translation groups associated with the IBA the Chodung Karmo

Translation Group which focuses on the translation of specific commentaries of the Sakya

tradition and the Sakya Pandita Translation Group which translates sūtras and is funded by

grants of the 84000

Team Translation

The ideal model that these translation groups follow is that of the lotsawa-paṇḍita as explained

previously Since different text translations demand various ranges of language expertise the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ranslation teams are complemented with Sanskrit experts English editors and proof readers as

needed In the case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xt was translated into English by a team

consisting of the monastic scholars Jampa Tenzin and Ngawang Tenzin and the western

academics Christian Bernert and myself It was edited by Pamela Gayle White and the final

proof reading was done by Vivian Paganuzzi an English professor at the IBA Our team was

supervised by Dr Khenpo Ngawang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Challenge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sutra we faced different kinds of challenges Roughly speaking

one could group them into four categories [1] human resource challenges [2] structural

challenges[3] textual challenges and [4] challenges of the Tibetan language

1 Human Resource Challenges

Our first challenge consisted of the fact that we were junior translators The two Tibetan scholars

had no prior experience Christian Bernert and I had academic training both holding a MA in

Buddhist Studies but had each translated only a few shorter texts before embarking on this

project All four of us had studied Tibetan Buddhism for more than a decade albeit in different

contexts None of us had however focused particularly on the study of sūtras We were

therefore in many respects in a training process

The solution for this challenge was that we were very well framed The head of our translation

team was Khenpo Jorden the director of the IBA A student of Khenpo Appey Rinpoche he is

excellently trained in the Tibetan monastic college system as well as in the Western academic

System holding a PhD from Harvard He helped us with difficult passages and verified the end

result Moreover we were well connected via email with translators and editors of the 84000

who helped us with a number of problems An online community of translators has since started

a Google group which is regularly used for conversations on translation issues

2 Structural Challenges

Our second challenge could be called a structural challenge because it had to do with how we

structured our work flow We decided to divide the text in two parts Acharya Jampa Tenzin and

myself translated the first half Acharya Ngawang Tenzin and Christian Bernert translated the

second Afterwards we exchanged our translations and verified the section of the other party

The advantage of this work style was that we had a fresh new reading of our translated text by

two other translators which we hoped would reduce the amount of errors The challenge was

evidently to harmonize two different styles and to verify that passages that had the same

wording in Tibetan would have the same wording in English This work style was quite time-

consuming It elicited numerous discussions between the translators which were helpful for

gaining experience in translating but generally speaking we concluded that it would be

reasonable to have one text translated by only one pair of translators in the future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3 Text Edition Challenges

The translators of the 84000 are requested to research existing versions and editions of the sūtra

they are translating For the Ākāśagarbha Sūtra no Sanskrit version is available but there is in

the Chinese Canon the Sūtra on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translated by Buddhayaśas

between 403 and 413 CE The Chinese version of this text differs however significantly from

the Tibetan translation found in the Kangyur It has been translated into German from the Korean

and Chinese versions by the Korean monk and scholar Sunim Tenzin Tharchin together with

Elisabeth Lindmayer in 201023

Christian Bernert and I both read this translation but decided

that although the basic content of both texts is the same their structures are very different ie

the Chinese contains numerous passages not found in the Tibetan and vice versa

The solution to this challenge was simply to acknowledge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in the introduction to our translation but to treat our text as an

independent work We did not attempt to compare our translation with the translation from the

Korean-Chinese version

4 Challenges of Translating the Tibetan Language

The fourth and most important challenge in my list is found in the Tibetan language itself

Unlike the inflectional language of Sanskrit classical Tibetan is an agglutinating language that

uses particles or connectors (phrad) to express person number gender and case The particular

challenge in understanding Tibetan texts is due to the ―transcategorical and optional nature of the

use of case markers24

This means that the same particles (phrad) may designate different cases

or that particles may be omitted altogether This elliptical style that overrides rules of syntax was

dubbed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 by Stephan Beyer25

In order to produce an accurate

translation it is therefore indispensable to possess a large contextual understanding Knowing the

vocabulary and grammar rules alone is not sufficient the understanding comes from background

knowledge In a teamwork of paṇḍita-lotsawa it is often the Tibetan scholar who can provide

such a background

Specific Examples

4a Archaic Language

The first challenge that I would like to address among the many linguistic challenges in

translating Tibetan texts especially sūtras is the challenge of archaic language Even though we

do have wonderful resourcesmdashlexica dictionaries data bases and so onmdashthey are not able to

answer all of the translatorslsquo questions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Ākāśagarbha Sūtra we

had a few terms that posed a challenge even for learned Tibetan scholars Living at the

23

Tenzin Tharch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4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25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we were surrounded by Tibetan scholars with various fields of

expertise Still we had a few expressions that were unfamiliar to all of them One example is the

term phyag dar ba which occurred in the passage on the seventh and eights bodhisattva

transgressions The wordlsquos meaning that was familiar to native Tibetan speakers and which you

find in dictionaries is ―sweeper phyag dar meaning ―dust or ―rubbish In the Ākāśagarbha

Sūtra the term occurs in connection with ―advisors ministers soldiers and physicians To

translate the term as ―sweeper did not seem intelligible in the context of this sūtra

To solve this problem we spoke with various experts at the IBA and also consulted other texts on

the bodhisattva transgressions We read the corresponding Tibetan and Sanskrit passages in

Śāntidevalsquos Śikṣāsamuccaya This led us on to discover that phyag dar ba is the translation of

caṇḍālā in the Sanskrit text a term that means in general ―outcast person of lowest value

According to Monier Williams it can also mean ―a very low representative of something26

It

seems that the context for this secondary meaning could be found in brahmanical thought in

particular its hierarchy of pure versus impure occupations and the value judgement associated

with it

4b The Tone of a Translation

The second challenge I would like to discuss is the tone or voice of a translation The

Ākāśagarbha Sūtra contains several passages of poetry which were challenging to translate

because they were obscure and seemed to express several layers of meaning at the same time

Our translation group discussed the verses several times and finally opted for reading the passage

as describing the realization of Bodhisattva Ākāśagarbha We decided to keep the translation as

literal as possible In these verses (below) the Tibetan word kun gzhi means literally ―all-ground

This term refers in numerous other texts to the ālaya the eighth or so-called storehouse

consciousness in Buddhist psychology which in some schools of thought is associated with

tathāgatagarbha or Buddha nature However after some discussion we finally opted for

ignoring a possible philosophical reference and used a literal translation of the ―all-ground

The verses of obscure poetry on folio 265b read as follows

The Bhagavān replied27

―It is just as you have said

The place where the all-basis is heard

and where with wisdom sentient beings are established

that place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meditative concentration

―It is the sphere of activity

of the Bodhisattva Ākāśagarbha

who has demonstrat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free of appearances

26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27

Degeacute Edition F265b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and free of proliferations

―Whoever is attached to the two views

will later be in a realm of delusion

Attachment to permanence o annihilation

is utter delusion about here and there

―Those who wish to free themselves

completely from both of these views

should meditate on that which is inexpressible

thereby swiftly attaining the grounds

In Tibetan this passage reads as follows

Regarding our first translation of these verses the reviewer of the 84000 - whose identity was

kept anonymous by the editorial committee - pointed out that ―the meanings of the versified

teaching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this sutra are often obscure and lend themselves to

ambiguity However if the translation is rendered clearly and unambiguously the reader will

have no idea of the ambiguous nature of the text and will assume that the clarity of the English

reflects the clarity of the Tibetan This could lead the reader to believe that the translation is

definitive whereas future translations of the same sutra that carry contradictory readings will not

be seen as merely reflecting the obscurities inherent in the text but as either correction to the

original or mistaken readings of the Tibetan

The suggested solution for such problems was to insert a paragraph in the introduction on the

difficulties of translating these kinds of verses on the nature of reality in general and specifically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1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within this sutra Moreover specific instances of ambiguity could be annotated with footmarks to

the translation itself We opted for the first solution suggested here

4c Technical Terms and Treatment of Sanskrit

A third challenge concerns the numerous Buddhist technical terms Many or all of them

encompass meanings that cannot be accurately rendered with one single English term Whereas

the Tibetan translators in the 7th

century were reluctant to retain Sanskrit loan words in their

translation and rather translated nearly everything into Tibetan including names of people and

places English translators often resort to the original Sanskrit terms Tibetans did not shy away

from creating altogether new words rendering for instance the word ―Buddha with ―sangs

rgyas two words that both carry new meanings none of which directly found in the Sanskrit

radicbudh (to awaken) Since many English translators use Sanskrit terms over time English

readers got accustomed to certain words such as ―buddha bodhisattva dharma In accordance

with the 84000 guidelines we tried to find a middle way between the necessity for and the

overload of Sanskrit Our solution was to use Sanskrit whenever we could not find a satisfying

English term We tried to reduce the amount of Sanskrit as much as we could In our first draft

we had also bhikṣu parāmitā bhūmi saṃgha etc which you find now as English terms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etc - in the final published version The Sanskrit of these terms

can still be found in the online glossary which the reader can access by clicking on highlighted

terms in the translated text

We used Sanskrit terms in the following instances to describe [1] particular types of

practitioners (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particular types of beings that were

mentioned as part of the Buddhalsquos entourage (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and [3] for Buddhist

technical terms that encompassed a spectrum of meaning too vast to capture all meanings One

example for the latter category is dhāraṇī This term is used in various ways For instance it

refers to the mental capacity of not forgetting enabling one in particular to cultivate positive

forces and to ward off negativity It is also very commonly used as a term for mystical verses

similar to mantras the usage of which will grant a particular power There is no English

multivalent term bearing equivalent meanings Thus the use of Sanskrit remains a necessity as

long as no satisfying English translations have been determined and translation decisions have

to be taken in a case-by-case manner

4d Repetitions

Another challenge peculiar to translating sūtras pertains to repetitions The editorial policieslsquo

statement of the 84000 reads ―A great deal of repetition sometimes of stock phrases i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some Kangyur texts and in most cases it should be reproduced in full in

the translation

To give an example from our particular sutra We had several passages mentioning fear or the

absence thereof for example in the face of Ākāśagarbhalsquos magical displays In the original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hree verbs relate to ―being afraid lsquojigs pa dngangs pa and skrag pa In a first discussion we

opted for a translation closer to English speaking habits Arguing that the triple use of a word

simply meant to intensify the expression we wrote ―extremely afraid The reviewer of the

84000 however reminded us of keeping the repetitions in order to express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As you can see in the example below we used three words for

describing fear but we did not repeat the grammatical structure ie we did not repeat the

negation and the auxiliary verb (mi byed)

At that place the bodhisattvas dwelling on the tenth ground who had achieved the meditative

concentration of brave progression and who were bound by one more life and in their last

existence looked and saw 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because they

realized that all phenomena are by nature endowed with final reality suchness and emptiness

Therefore they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F265a]

These are but a few examples albeit representative ones with which I hope to have given a

glimpse into our translation work Translating the 20 folio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took

about one month for the translation itself and one year for the editing process including the

various exchanges between the reviewers and editors of the 84000 and the translators We were

not full time translators we had other projects and studies to pursue at the same time The long

period of one year also includes weeks or months of waiting for editors to work on our text

Conclusion

In sum I hope to have given a picture of our small translation group within the bigger project of

the 84000 which itself is part of the larger history of translating Tibetan Buddhist texts into

English which in turn is part of the even larger 2500 year old history of transmission and

translation of the Buddhalsquos teaching in the world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In this presentation I have tried to elucidate the editorial policies of the 84000and our personal

experience with it The challenges that we faced were partly specific to our team of junior

translators and partly general difficulties that all translators of the Tibetan language encounter

The solutions that we found have one feature in common in order to find solutions we had to

expand ndash we had to expand our pool of knowledge to include the intelligence and experience of

senior translators and we had to expand our focus beyond the limits of the text we were

translating in order to find information and ideas in other texts Generally speaking I can say that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Ākāśagarbha Sūtra would not have reached its level of quality

without the assistance of many scholars particularly the editors and reviewers of the 84000 In a

collaborative effort we have attempted to come close to their ideals of ―accuracy of meaning

clarity consensuality and consistency The organization of the 84000 demonstrates that in a

structured collaborative effort translations can be produced in quantity and quality that represent

much more than the sum of the individualslsquo work

Bibliography

Tibetan Texts

Ākāśagarbha nāma mahāyāna sūtra (Phags pa nam mkha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 Tōh 260 Degeacute Kangyur vol 66 ZA (mdo sde za) folios 264r4-283b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Secondary Literature

―84000 Editorial Policy v80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Beyer Stephan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k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Origi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origin

Raine Roberta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Progress Accessed Oct 10 2014 http84000coaboutprogress

Skillings Peter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Tharchin Tenzin and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Tournadre Nicolas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Welcome to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Weldon David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국제 불교 학회 (네팔) 사꺄28 빤디따 번역 그룹의 프레젠테이션과

대승허공장보살경(大乘虛空藏菩薩經) 역경

서언

2014년 2월에 티베트 신년을 맞음과 동시에 ldquo84000-부처님 말씀의 역경rdquo 프로젝트는 백 년 동안

티베트 대장경을 완전히 역경 하는 번역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온라인상에서 대승허공장보살경

(Mahāyāna Ākāśagarbha Sūtra rsquophags pa nam mkharsquoi 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rsquoi mdo) 을

출판하였다29

이 경을 번역한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프로젝트와 온라인 출판의 초기 단계부터

같이 일해 왔고 그 사이트를 위해 첫 시험 번역을 제공하였다 이 프레젠테이션의 목적은 84000

프로젝트의 큰 정황 안에서 가장 최근에 역경한 허공장보살경에 관한 경험을 사용하여 사꺄 빤디따의

역경작업에 관한 배경적 지식을 제시하는 것이다 프레젠테이션 첫 부분에서 나는 우리의 역경작업에

관한 필수적인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우리 작업의 지침인 84000의 편집 정책의 주요 특징들을 논하려

한다 둘째 부분에서는 우리 역경 과정에 대한 특정한 세부적 내용에 초점을 두려 한다 여기서 나는

허공장보살경을 번역하면서 직면한 난제들에 대해 논하고 우리가 발견한 다양한 해결책을 설명할

것이다

I 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 프로젝트

역사

2009년 인도 비르 지역에 있는 녹야원 승원에서 개최된 한 번역 학술회의가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

역경rsquo을 설립하는 역할을 한 첫 걸음이었다 이 학술회의에서 종사르 켄체 린포체의 선두 아래 50여명

이상의 티베트 경전의 역경가들이 티베트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논하였다 그들은

거기서 국제적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티베트 경전의 역경은 그 작업을 위해 금전적middot물질적

지원을 얻으려 고전하고 있던 개인 번역가와 번역 그룹에 떠넘겨져왔었다 비르에서 개최된 그

학술회의의 결과로서 우선적으로 lsquo불교 문헌 유산 프로젝트 Buddhist Literary Heritage Projectrsquo가

설립되었고 그것은 2011년에 lsquo84000 ndash 부처님 말씀의 역경rsquo이라고 개명되었다 이 프로젝트는 이렇게

종사르 켄체 린포체에 의해 창시되었고 켄체 재단이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30

이 재단은 ldquo모든 불법을

현대 언어로 번역하여 모든 사람들에게 무상으로 제공하는 목적rdquo을 가진 공인 글로벌 비영리 사업체이다

비르 학회 참여자들은 또한 모든 종단의 전승자와 스승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기로 결정하였다 오늘날

지금까지 84000 프로젝트에 참여해온 153명의 개인 번역가와 23 번역 팀의 명단31

은 티베트불교의

모든 주요 종파 (닝마 까규 사꺄 게룩)가 참석하였고 따라서 범종단적인 통일된 사업체가

구성되었음을 보여준다

28 역) 티베트 사대 종단 중의 하나 회색 자갈이란 뜻의 티베트어로서 사캬무니의 사캬와는 어원적으로 다르다 29 인터넷 웹사이트 www84000co 30 http84000coaboutorigin 31 ―Translators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translators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84000 프로젝트의 비전 선언문에서 그들의 동기가 설명되어있다32

붓다는 진정한 평화와 고로부터 해탈을 위해 팔만 사천여가지의 방편으로 가르쳤다고 한다

이 가르침은 단지 5만이 현대어로 역경되었다 고전 언어에 대한 지식과 전문적인 학자들의

수가 급격히 감소하여 현재 우리들은 정신적 유산과 문화적 전통을 잃을 위기에 처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공언된 목표는 티베트 삼장 전체를 백년 안에 역경하는 것이다 5년 10년 그리고

25년의 중간적 목표는 이 목표가 달성되어야 할 중간적 단계를 확정한다 현재 84000 프로젝트는 경장의

주요 본문을 역경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논장의 역경은 상대적으로 방치되어 있다

장middot단기의 목표는 다음 차트에서 상술되었다

100 년 현대어로 번역된 불교 문헌 유산을 모든 인류가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25 년 경장 전체와 관련된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에서

광범위한 접근성을 제공한다

10 년 상당한 분량의 경장과 부수적인 논장을 영어로 활용가능토록 만들고 다양한

플랫폼으로 쉽게 접근하게 만든다

5 년 대표적인 경장과 논장의 표본을 영어로 활용가능하게 만들고 장기적인

비전을 달성하는데 필수적인 기반환경과 자원을 정착시킨다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 전체를 번역하는 비전을 현실화하기 위해서 84000 프로젝트는 다섯 영역을

동시에 작업한다 그것들은 다음과 같다

1 역경비 84000 프로젝트는 주요 본문 번역을 연구금 신청 형식으로 편성하고 있다 ndash

지금까지는 대부분 경전들이다

2 출판 84000 프로젝트 출판 위원회는 번역된 본문을 84000 웹사이트에 온라인으로 출판될

때까지 편집 과정에 가담하고 감독한다

3 기금조성 84000 프로젝트는 현재 진행 중인 그리고 미래의 번역 사업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는데 필수적인 노력을 취한다

4 번역 도구 84000 프로젝트는 현존하는 번역 프로그램과 번역 도구 그리고 다른 관련 정보에

관한 연계를 제공함으로써 장기적 목표를 추구하는 데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다

불교 행사 84000 프로젝트는 보드가야(2012 2014)와 뉴욕 (2012 2013)에서의 lsquo부처님의 가르침이

울려퍼짐 Resounding of the Buddhalsquos Wordlsquo33

과 같은 역경된 경전들이 불법 수행에 사용되는 불교 행사를

조직한다 이런 법회식을 조직하는 공덕에 관한 고려와는 별도로 이런 행사는 분명히 번역 프로젝트의

후원의 중요성을 선전하는 목적에 공헌한다

32 ―Vision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vision 33 역) 티베트 사람들이 불교 축제 중에 여러 다른 경전을 큰 소리로 다함께 독송하는 행사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프로젝트 실태 출판되었거나 진행 중인 작업

온라인상에서 출판 되었거나 진행 중인 역경물

역경을 의뢰한 쪽 수

출판된 쪽 수

번역가 지원

번역가 수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번역가의 소속

다르마 센터 학술기관

84000 프로젝트 작업의 영향

아래 일람표는 84000 프로젝트에 의해 제공된 번역물들이 얼마나 자주 사용되고 있는가에 대한 개요를

제시한다34

도서관 접속 수 44 백만 건

경전 다운로드 110898 번

사이트 방문자 수 151813 명

도서관 방문자 수 81238 명

34 ―Impact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aboutimpact Information updated on January 1 2014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독자 소속 국가 135 개국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

84000 프로젝트는 모든 번역가들이 준수해야할 편집 정책을 발달시켜왔다 일 년에 한 번 84000

프로젝트는 이미 선정된 경전의 역경 지원서를 제출하도록 번역가들에게 공지한다 거기에 지원하기

위해 역경가들은 5 쪽의 표본 번역과 함께 팀의 역경가 소개서와 예산을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팀은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에 의해 제시된 2010년에 시작되고 매년 증장되는 특정한 규칙에 기반을

두어 역경을 시작할 수 있다

원전과 대상 언어 이미 언급했듯이 84000프로젝트의 주요 초점은 경장과 논장에 속해있는 티베트 경전의 역경이다

따라서 역경은 주로 티베트 어로부터 행해지며 현존하는 한문본과 범본의 해석을 포함해야 한다

대상언어는 영어이고 장기적으로 자원이 활용가능하면 중국어를 포함한 다른 현대 언어를 포함한다

대상 독자는 교양 있지만 전문가는 아닌 사람들이다 역경가는 학자들과 일반 신도 양자가 이용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하도록 요구된다

본문과 본문 비교 그리고 교정판 대부분 역경의 원전은 데게 판의 티베트 어 경전이다 상당한 분량의 작업들은 범어 판이 현존하지

않기 때문에 영어로 번역할 때 필수적으로 티베트 번역본으로부터 만들어 진다 오직 소수의 작업들에만

신뢰할 수 있는 범어 원전이 활용가능하다 그 경우 역경가는 범본을 원전으로 택해야한다 번역은

이상적으로 한자본과 범본 티베트본이 현존할 때 다른 판본의 본문 비교와 참조가 포함되어야 한다

티베트본의 이형에 관해서 이 업무는 베이징의 중국 티베트학 연구 센터(krung gorsquoi bod rig pa zhi rsquojug ste

gnas)의 티베트 삼장 대조국(bkarsquo bstan dpe sdur khang)에서 발행한 경장과 논장의 신대조판(dpe bsdur

ma)에 의해 쉽게 비교middot분석 할 수 있다35

역경가들은 신대조판 경장을 사용하여 다른 판본들의 이형을

추적하는데 사용한다 하지만 오직 의미에 중대한 영항을 끼치는 이형들만을 각주에 표기해야 한다

연구 경전을 역경하는 것과 더불어 역경가들은 그 경전에 관해 어느 정도 연구해야하며 소개문 각주

도서목록 부록과 다른 참고 자료를 작성하도록 규정되어있다 이것들은 그 역경물과 함께 출판된다

모든 출판물은 온라인상에서 출판되고 무료이다

표준과 표준화 84000 프로젝트는 편집정책에서 번역작업을 위한 지도 원칙을 세웠다 일반적으로 번역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져야한다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36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위원회는 이 원칙들이 수반하는 내용을 역경가의 가이드라인에서 설명한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이 세부사항들 중 일부를 상세히 논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자면 모든 방침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경전을 만드는데 목적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역경가로서 우리는 독자에게 친절함을

항시 염두에 두어야 한다

35 Dpe sdur ma Krung goi bod rig pai dpe skrun khang pe cin 2006-2009 par gzhi dang po 109 volumes accessed Oct 10 2014

httpwwwtbrcorgrid=W1PD96682 36 ―84000 Editorial Policy v80 IV A 7 accessed Oct 30 2014 http84000coresourcesgrants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준을 정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표준화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즉 모든 역경가들은 빈발하는 불교

용어들에 대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해야한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위원회는 과거에 티베트에서 한

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와 유사한 번역 표준화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싶어 하는 소망을 가지고

있음을 표명하였다 하지만 그런 표준화 사업은 현재에는 가능하지 않고 차후 언제 어떤 범위로 할지도

현재로선 명확하지 않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서는 철자법 대문자쓰기 기울임과 구두법에 관한

규칙을 정해주지만 단어 선택은 역경가들의 자유재량에 맡긴다 하지만 각각의 역경 팀은 번역하는

와중에 권말 용어 해설(glossary)을 만들어야 한다 이것은 엑셀 시트에 티베트 어 범어와 영어를

수록하고 짧은 영어 해설을 실어서 만든다 최종 출판 본에서는 영어 단어가 자동적으로 링크되어

독자들은 용어해설을 쉽게 볼 수 있다

표준화에 대한 난제와 거부감에 대한 문제는 현재와 범어 불교 문헌을 티베트 어로 번역할 때의 역사적

정황과 비교해 볼 때 더 쉽게 이해된다 따라서 나는 잠시 동안 티베트 불교 경전의 번역의 역사로 주제를

벗어나려 한다 그러고 나서 프레젠테이션 제 2부에서 84000 프로젝트 편집 지침의 구체적인 실례를

다시 다룰 것이다

불교경전의 티베트 어 역경 티베트 불교 경전은 지난 수십 세기 동안 대부분의 본문이 파괴되고 사라져버린 범어에서 역경되었다

다른 것들은 범어 원본이 사라졌다고 생각된 시기에 한자와 신장 지역의 코탄어와 소코도니안어 등의

언어로부터 행해졌다 반면에 빨리 경전은 완전하게 전해져왔거나 혹은 오히려 재건되었다mdash태국

미얀마 그리고 스리랑카와 같은 이웃 나라에서 각각의 필사본을 세대에 걸쳐 필사한 노고 덕분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범어경전은 이에 해당되지 않는다 수많은 범어 경전이 티베트 어와 한자

번역본으로만 현존한다

티베트 어 역경에서는 두 개의 뚜렷이 구분되는 범어-티베트 어 역경 형태가 있는데 그것은 티베트

역사가들이 말하는 lsquo초기 전법기(snga dar)rsquo와 lsquo후기 전법기(phyi dar)rsquo에 상당한다 처음으로 ldquo위에서

아래로rdquo운동은 7세기부터 9세기 중반까지 존속하였으며 왕권의 지도와 보호에 기반을 둔 사업이었다

기원 후 7세기에 새로운 티베트 통일 왕국은 송쩬감뽀왕(srong btsan sgam po 569ndash649605ndash649)이

불교와 인도에서 중요시된 불교 경전 역경을 지원했을 당시에도 여전히 상대적으로 신흥국가였다

정치적인 붕괴와 불교의 위기가 도래할 때 까지 두 세기 반의 황금기가 있었다 두 번째 ldquo신역경기(gsar

lsquogyur)mdash또는 후기 전법기(phyi dar)라고도 불린다mdash는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일어난 산발적인

운동이고 스승과 전문 학자들에 의해 불 지펴진 풀뿌리 운동이다 이것은 위대한 개인의

활약시기이지만 통일된 표준화를 따르는 것에는 상대적으로 일관성이 부족하다 예를 들어 바리

역경가37

드록미 역경가38

그리고 린첸 상뽀39

가 그런 역경가들의 일부였고 사꺄 빤디타 번역 그룹이

속해있는 사꺄파에서 추앙되는 세 명의 위대한 역경가이다

14세기 이후에 불교는 인도 아대륙에서 대부분 사라졌고 범어 본문이 티베트 어로 더 이상 번역되지

않았다 총 합 5250 본문과 230000 개의 경전 낱장이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 번역되었다 870여명

이상의 번역가와 교학자들이 관여하였고 그들의 역경물은 현대 역사가들이 팀워트와 전문용어 그리고

일관성에 있어서 걸작이라고 찬탄하고 있다40

37 Ba ri lo tsA wa(1040-1111) Rinchen Drak (rin chen grags)이라고도 불린다 38 Brog mi shakya ye shes (994-1078) 39 Rin chen bzang po (958-1055) 40 httpwwwthliborgencyclopediasliterarycanonsaboutwikitibetan20canons20introductionhtml Roberta Paine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또한 보라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2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티베트 장경 번역의 독특한 특색

범어에서 티베트 어로의 역경은 티베트 어가 티베트-버마 어족에 속해 그 두 개의 언어가 직접적인

언어적인 계통에 속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티베트 사람들이 범어에 기반을 둔 티베트 언어 체계를

구축하였기 때문에 독특한 특색을 가지고 있다 어쨌든 범어는 불교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하기위한

척도로서 선택되었다41

문법학자들은 범어의 명사 격변화 통어론 그리고 동사 활용mdash비록

단순화되었지만mdash의 렌즈를 통해 티베트 어를 개념적으로 해석하려 노력했을 뿐만 아니라 왕립

위원회는 단어 선택과 번역 문체를 고도로 체계화하였다 표준화는 아마 역경의 가장 중요한 특색이

되었고 티베트 어가 범어와 인위적인 유사함을 가지게 된 것은 번역을 용이하게 만들고 고도의

정확성을 가진 경전을 번역해 낼 수 있게 하는 밑거름이 되었다42

로짜와-빤디따 경전의 표지(刊記)에서 알 수 있듯이 번역은 대부분 티베트 번역가들과 인도 학자의 협력에 의해

행해졌고 이 양식은 로짜와-빤디따(lotsawa-paṇḍita)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빤디따라는 범어는 문법학

논리학 의학 예술 그리고 철학이라는 다섯 학문에 통달한 이를 지시한다 로짜와라는 명칭은 범어

경전을 티베트 어로 역경한 티베트 본토인을 높여 부르는 용어이다 그들 중 일부는 인도 혹은 히말라야

국경을 여행하고 인도 빤디따와 티베트로 돌아와 건강과 재산 노고를 희생하여 역경하였다 다른 두

가지 능력을 가진 집단의 협동적인 노력이 매우 성공적이라는 것이 증명됨에 따라 우리 번역 팀을

포함한 오늘날 수많은 번역가들이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할 때 로짜와-빤디따 양식을 본뜨고 있다

번역도구-Mahāvyutpatti飜譯名義大集과 Madhyavyutpatti飜譯名義中集 범어 경전의 티베트 번역은 용어 선택에 있어 고도의 일관성을 보여준다 이것은 용어의 표준화에

투자한 노력의 결과이다 이것은 번역명의대집과 번역명의중집 그리고 그와 유사한 본문에 잘

분류middot정리되어 있다 번역명의대집(bye brag tu rtogs pa chen po)은 범어와 티베트 어의 용어를 비교middot참조한

작업으로 무려 10000 표제어가 수록되어 있으며 오늘날의 학자들도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그것과

연관된 번역명의중집(sgra sbyor bam gynis)은 번역기법의 세부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이 두 권은 티베트

어로 불교 경전의 표준화된 번역을 위해서 티데 송쩬왕(Khri lde srong btsan 재위 799-815년)의

명령으로 약 814년mdash즉 첫 역경기 동안mdash에 작성되었다 이 책들은 철자법과 문법 그리고 역경 규칙의

문제들을 해결하였고 따라서 불교 경전을 역경하는데 상당히 일관성 있고 표준적인 언어를 구사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였다 티베트 어 학생은 오늘날 여전히 이 개론서를 참조한다43

2014년 10월에

개최된 짜드라 법인의 lsquo역경과 전승Translation and Transmissionlsquo이라는 한 최근의 학회의 연설에서 피터

스킬링 박사는 역경가들에게 번역명의대집을 주의 깊게 공부하기를 권장하였다 그는 이 책들을 대학

세미나에서도 가르칠 것을 권장하였다44

티베트 초기 역경사에서 왕실의 감독과는 별개로 표준화된 언어를 용이하게 고안할 수 있었던 또 다른

요소는 중국과는 달리 티베트에서는 불교의 보급 이전에 잘 발달된 철학 전통이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번역가들은 다른 문맥에서 오해의 여지가 적은 범어 표현에 해당되는 기술적 용어들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따라서 티베트 경전들은 비록 직역(逐語譯)이고 얼마간 조밀하고 부자연스럽지만 범어 원전을

41 티베트 문법 경전과 본문들은 7세기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Songtsen Gampo (srong btsan sgam po)왕의 지도 아래 문법학자이자

교학자인 Tonmi Sambhota (thon mi sam bho ta)는 숨쭈빠와 딱기죽빠(rtags kyi jug pa)라는 문법책을 만든 저자라고 전통적으로

알려져왔다 42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1992 Delhi Sri Satguru Publications 1993)을

참조하라 43 David Weldon ―Guardians of the Sacred Word accessed Oct 10 2014 httpwwwasianartcomexhibitionscoversintro html 44 Peter Skillings ―Dr Peter Skillinglsquos address to the conference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videoshtml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0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표현하는데 상대적으로 신뢰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그것들은 또한 유실된 범어 경전들을 재구성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임이 증명되었다45

언어 개혁 두 역경 기간 동안에 세 번의 주요한 언어 개혁(skad gsar bcad)이 있었다 이 개혁기 동안 수많은

용어들이 lsquo舊譯(brda rnying)rsquo으로 분류되었고 새로운 용어들에 의해 교체되었다 이 개정들은 표준화된

철자법과 단어 문법을 확립하는 수단이 되었다 마지막 개혁은 10세기에 행해졌다 문어(文語)는 이

시간 이후로 다소간에 고착화되었다46

이 개정 각각의 기간에 오래된 존속하던 번역들은 새로운

표준으로 갱신되었다

티베트 어에서 영어로의 역경 지금으로부터 500여 년 전의 시간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번역가들의 상황은 아주 다르게 보인다 첫

번째로 주지해야할 사항은 티베트 불교 경전을 영어(또는 다른 유럽 언어)로 역경한 역사는 오래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콜로라도 키스톤의 짜드라 학회에서 짜드라 설립자 에릭 콜롬벨은 프랑스 파리에서

미숙한 학생으로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거기서는 불어로 번역된 책이 단지 두개 있었는데 아주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했다 어쨌든 서양 세계의 인도-티베트 불교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의 몇몇의 인도학자와

티베트학자의 비축품으로부터 150년 후 일반적인 주류 현상으로 급격히 진전되었다 구역 경전들은

식민주의자와 기독교 선교사 혹은 융 심리학의 추종자와 같은 불교문화와 교류를 증진해가는 특정

단체의 영향을 종종 보여 왔다47

선두적인 티베트 불교의 스승들은 현재 티베트와 티베트 망명 사회의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상황에선

한 두 세대의 시간 안에 순전히 티베트 어와 그 내용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이 아주 적어질

것이라는 실질적인 위기를 인지하였다

이 위기에 대한 증가되는 인식은 84000 프로젝트의 자금지원뿐만 아니라 티베트 불교 문헌 유산의

본존과 관계된 사업으로 이어졌다

2008 Light of Berotsana Colorado USA httpwwwberotsanaorgconference-of-translators

2009 BLHP 84000 Bir India http84000coaboutorigin previously mentioned

2011 Tengyur Translation Sarnath India httpwwwaibscolumbiaeduconferencehtml

2014 June Translation Conference and Workshop at University of Vienna Austria httpbuddhismtibetan-

translationcom201405translating-and-transferring-buddhisthtml

2014 October Translation and Transmission Conference in Keystone Colorado USA

httptranslationandtransmissionorgindexhtml

번역가의 종류

이 역경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역경에 종사하는 티베트 스승들과는 별개로 그들은 주로

티베트 불교와 문화적이고 언어적으로 특별한 관계가 있는 유럽과 미국의 남성과 여성들이다

45 Roberta Raine ―Translating the Tibetan Buddhist Canon Past Strategies Future Prospects Forum 92 (2011) 157-186 46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Treasury of Knowledge Buddhisms Journey to Tibet (Ithaca NY Snow Lion

Publication 2010) 220 47 Roberta Paine은 H Kernlsquos translation을 번역에 있어서 전형적인 기독교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언급한다 (in ―The Translator in Tibetan

History Identity and Influence Forum 82 (2010) 133-161) 융학파의 영향은 예를 들어 Evans-Wentz W Y Tibetan Book of the Dead

혹은 The After-Death Experiences on the Bardo Plane Oxford Clarendon Press 1927에서 볼 수 있다 이것은 칼 융의 심리학적 주석을

포함하고 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1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0여명의 다른 참여자들과 함께 참석한 최근의 그 학회에서 선임 번역가인 울스탄 플렛쳐와 다른

이들은 두 가지 종류의 역경가들의 구분에 관해 논의하였다

불교 수행자가 통역가와 번역가가 된 경우 이들은 대게 자칭 번역가이거나 티베트 스승에 의해

지명된 사람이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전문적인 감독의 대상이 아니며 주요 관심사는 경전의

종교적인 중요성 수행자인 대상 청중의 접근성 그리고또는 경전의 종교적 예불문으로서의 사용에

있다 수행자로서 그들은 때때로 종교적인 규칙(samaya dam tshigs)과 비밀서약에의해 행동이

규제되어 있다

전공이 문헌학 불교학 철학 인류학 종교학 등인 학자의 경우 이들은 반드시 역경가나 언어

전문가로 훈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이들의 역경 작업에 대한 감독은 동업자 평가의 형식으로 학계

내에서 진행된다 역경에서 그들의 관심사는 정확도와 판본비교 역사적middot철학적 문맥과 의미

파악이다 학자들은 전통적인 비밀의 규칙에 구애되지 않으며 비판적 연구와 억제되지 않은

호기심이라는 규정을 따른다

이 두 종류의 역경가들은 종종 개인으로서 작업하며 고문이나 동료로부터 임시적인 도움을 구한다

역경에 종사하는 다수의 역경가들은 사실 티베트 구어체를 반드시 아는 것은 아니다 그 역경가들은

티베트 고전어는 일반적으로 문어를 가리키고 티베트 구어와는 다르고 차별적이라고 한다 어쨌든

능숙한 번역가들 특히 티베트 사회에서 얼마간 섞인 이들은 구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티베트 구어체는

티베트 학자들과 협력을 하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티베트 어의 미묘함을 깊이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결론

불교 경전의 역경사를 아주 간략하고 단순하게 개요(一瞥)하였지만 과거와 현재의 역경 사업이 처한

다른 상황을 충분히 보여주었다고 생각한다 내 생각으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티베트에서는 역경이

국가적으로 지원된 사업으로서 시작하였기에 시작부터 강력한 중앙집권화와 표준화가 수반되었지만

대조적으로 오늘날의 번역 작업은 왕가나 국가의 지원을 누리지 못하고 단지 역경 사업의 중앙집권화에

대한 최소한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것이다 84000 프로젝트는 아마 그런 노력을 기울이는 단체

중에서 가장 중요한 사업체이다 짧지만 성공적인 84000 프로젝트의 내력은 이 영역에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최근 세계적으로 급증하는 티베트 경전 역경에 관한 학회는 주로 개인적 성취에서

상호 지원적이고 집단적 노력으로 옮겨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역경에 대한 생각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시간제한 때문에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상세화 할 수 없는 역경에서 과거와 지금의 또 다른 중대한

차이는 오늘날 활용 가능한 방대한 번역 도구의 지원이다 디지털화된 사전으로 부터 시작해서

디지털화되고 검색 가능한 경전과 TBRC ACIP 혹은 AIBS 데이터베이스 같은 온라인 자료들과 클라우드

검색 등을 통해서 역경가들은 역사상 존재하지 않던 불교학의 집적되고 기록된 지식으로부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제 2부 프레젠테이션에서 나는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로서 지금가지 내가 개설해 왔던 정황 안에서

내 개인적 경험에 대해 보여주고 그에 대해 사색할 수 있는 기회를 갖고자 한다

II 허공장보살경 역경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2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2011년 여름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와 허공장보살경을 포함한 여러 경전의 역경에

관한 계약을 맺었다 이 경전은 데게 판에서 20 낱장48

뻬두르마 판에서 44쪽에 달하는 본문이다 이

경전의 완전한 이름은 虛空藏名大乘經 (Ākāśagarbha-nāma-mahāyānasūtra Phags pa nam mkhaisnying po

zhes bya ba theg pa chen poi mdo)이다 티벳 불교 삼장 경전목록[Tokyo Tōhoku University 1934]에서

이것은 Tōh 제 260경이다 이것은 사캬프라바와 라트나락시따에의해 티베트 어로 역경되었다

나는 앞으로 이 경전의 역경 과정의 일부를 보여주려한다 나는 이 경전과 우리 번역 팀을 간단하게

소개하고 그 다음 번역 과정에서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과 우리가 발견한 해결책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경전 소개 이 경전은 범어로는Ākāśagarbha 티벳어로는 Namkhe Nyingpo인 허공장보살의 이름을 따랐다 이 경전은

석가모니불이 보드가야 근처의 아마 바라바르 산을 지칭하는 칼라띠까 산에 머무를 때의 상황을

설명한다 석가모니불과 비구대중에 신통력을 보이며 도착한 허공장보살이 합류하였다 처음에는 그의

머리위의 마니주에서 나오는 밝은 광명이 온 세계를 정토로 변화시켰다 거기서 미륵보살이

석가모니불께 허공장보살의 힘과 능력에 대한 가르침을 청하였다 이때 석가모니불의 대답이 이 경전의

주요 부분을 형성한다 붓다는 허공장의 특성과 능력에 대해 설하였다 그의 특별한 능력은 경전에서

파계라 불리는 수행자의 악업을 정화하는 것을 돕는 힘이었다 붓다는 23개의 악업과 파계를 각각

다소간에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그것은 살생과 투도 같은 일반적인 불선업 뿐만 아니라 근기가 되지 않는

제자에게 공을 가르치는 행위 혹은 대승이 올바른 수행의 도가 아니라고 설득하는 행위 그리고 별해탈

계율을 받으려는 사람을 방해하는 것 등의 보살의 여덟 가지 파계를 포함한다 붓다는 또한

허공장보살에게 기도하거나 특별한 공양을 바치는 것 다라니를 암송하는 것 등 악업을 정화하는 다양한

방법을 설한다 또한 꿈배양 종류의 수행에 관해 특별히 강조한다 만약 어떤 이가 꿈에 허공장보살이

나투시도록 기도해 악업에 대한 참회를 들으면 꿈에서 허공장보살의 정화가 일어난다 이 경은 붓다가

공에 대한 가르침을 설하는 것으로 끝난다

이 경전은 23가지 파계에 대한 체계적인 설명 때문에 대승 경전 중에서 특별한 중요성을 가지며

따라서 샨티데바나 사꺄 빤디따 혹은 잠곤 꽁툴49

과 같은 스승들에 의해 보살 계율의 참고서로

언급되었다 샨티데바는 입보리행론에서 허공장경을 보살도를 위한 첫 참고 서적으로 추천한다 이 경은

내가 우리 번역 그룹의 작업과정으로 돌아가기 전에 간략히 소개할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의 네

구성원에 의해 역경되었다

사꺄 국제 불교 아카데미와 역경 팀 소개 국제 불교 아카데미(약호 IBA)는 네팔의 수도 카트만두에 위치해있고 2001년에 종정 사꺄 티진

린포체 종사르 켄체 린포체와 소걀 린포체 등과 같은 기라성 같은 저명한 스승을 키워낸 사꺄종의

위대한 학자이자 스승인 고 켄첸 아뻬이 린포체에 의해 설립되었다50

2009년 역경가 집중 훈련 프로그램은 미래에 협력적 역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기 위해 티베트와 서양

학자를 동시에 교육시킴으로써 시작되었다 IBA에 입학한 티베트 승려 학자들은 종사르 세다(Bir India)

사꺄 컬리지(Dehradun India) 림빅 세다 사꺄 최펠링(Darjeeling India) 혹은 사꺄 학원 (Puruwalla India)와

48 Degeacute Kangyur vol ZA folios 264r4-283v2 49 샨티데바는 나란다의 위대한 인도 스승이고 대략 8세기 경에 살았다 사꺄 빤디따(chos rje sa skya paN Di ta kun dga rgyal mtshan)

(1184-1251) 는 사꺄 종의 다섯 창립자 중 한 사람이다 잠곤 꽁툴 Jamgon Kongtrul (jam mgon kong sprul blo gros mtha yas) (1813-1899)

은 전법운동(Rimeacute)으로 유명한 스승이다 50 the International Buddhist Academy accessed October 10 2014 httpinternationalbuddhistacademyorgabout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3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같은 다양한 사꺄 승가 대학에서 7년에서 9년간의 철학 과정을 마친 사람들이다 따라서 그 모든

사람들은 IBA에 입학하기 전에 불교 철학에 고도로 능숙하고 학사학위와 동등한 논사학위(ka chu pa)나

석사학위와 동등한 아짜리야 학위(slob dpon)를 이미 수여받았다 철학 토론은 IBA의 교육과정에

정식적으로 들어있지 않지만 승려들의 사고와 말에 깊이 배어있어 차 마시는 시간이나 쉬는 시간에조차

토론이 종종 행해짐을 볼 수 있다 IBA에서 승려들의 교육은 그들이 IBA에 오기 전에 단지 아주 조금만

교육받은 영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IBA 번역 프로그램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생들mdash주로 서양인mdash은 티베트 어 공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고전 티베트 어(chos skad)와 구어체 티베트 어(phal skad) 티베트 어는 이중으로 존재한다 즉

동시에 존재하는 두 가지 언어 습관을 지칭하는데 그것은 불교 경전이 번역된 이후로 아주 작은

변화만이 관찰된 이름하여 고전 혹은 문어체 티베트 어와 새로운 용어와 문법의 사용으로 지속적으로

진화된 구어체 티베트 어 구술 방언이다 이 두 가지 형태의 티베트 어는 불교 교학에서 필연적으로

만나게 된다 IBA의 승려들은 양자에 모두 능숙하기 때문에 티베트 사람이 아닌 번역가 또한 구어체와

함께 문어체 언어를 단순히 배우는 정도가 아니라 불교 가르침에 대한 대화에서 이것이 실용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공부한다 IBA에서 티베트 학자들은 캄 방언과 암도 방언을 사용하지만 티베트 사람이

아닌 학생에는 가르쳐지지 않는다

IBA의 티베트인이 아닌 학자 혹은 서양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에서 오는데 그들 중 일부는 불교학

학위를 가지고 있고 다른 이들은 번역 기술을 배우도록 설득한 티베트 스승과 강한 유대관계를 가지고

있다 2년의 교육과정에서 그들은 세 가지 분야를 아우르는 교육을 받는다 티베트 문법 역경 그리고

티베트 회화 그들은 전통적인 티베트 문법(sum chu pa 와 rtags lsquojug pa) 을 티베트 스승으로부터 배운다

즉 티베트 문법을 서양 문법적 개념을 통해 이해하지 않는 전통식 티베트인의 관점으로부터 배우는

것이다 영어 역경은 가빈 킬티(Institute of Tibetan Classics) 댄 마틴(박사 개별 연구자) 켄뽀 조던 (박사

교장)과 같은 경험 많은 선임 역경가와 다른 사람들이 워크샾 형식으로 가르쳐진다 티베트 회화는

일대일 단위로 매일 학습하고 점심시간과 차 마시는 시간에도 비공식적으로 행해진다 가빈 킬티에

따르면 고전 경전을 번역하려면 구어체 티베트 어 지식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번역을 위해서는 티베트

어로 학승이나 라마승과 논의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에게 [티베트 어로] 물어봐야 한다

2011년 첫 이년 과정의 집중 프로그램의 마지막에 IBA와 연합한 두 번역 그룹에서 소수의 학생들이

역경에 참여하였다 최둥 까르모 역경 그룹은 사꺄 전통의 특정한 주석서들을 번역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있고 사꺄 빤디따 역경 그룹은 84000 프로젝트의 수여금에 의해 출자된 경전들을 역경한다

단체 역경 역경 그룹들이 따라야 할 가장 이상적인 모델은 이전에 설명했던 것처럼 로짜와-빤디따이다 역경은

다양한 범위의 언어 전문가가 요구되기 때문에 역경 팀은 범어전문가와 영어 편집자 그리고 교정가가

필요에 따라 상호 보완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잠빠 뗀진과 악왕 뗀진 그리고 크리스탄 베르네트와

내 자신이 이룬 팀으로 영어로 역경되었다 이것은 빠멜라 게일 와이트에 의해 편집되었고 IBA의 영어

교수인 비비안 파가누찌에 의해 최종적으로 교정되었다 우리 팀은 IBA의 교장인 켄뽀 악왕 조덴 박사에

의해 지도되었다

각종 난제들

경전을 역경하는데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난제들에 직면했었다 간략하게 말하자면 혹자는 그것들을

네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1] 인적 자원의 난제 [2] 구조적 난제 [3] 경전적 난제 [4] 티벳어의 난제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4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1 인적 자원의 난제

우리의 첫째 난제는 우리가 신참 역경가들인 사실에 기인한다 두 티베트 학자는 사전 역경 경험이

없었다 크리스티안 베르네트와 나는 둘 다 불교학 석사학위를 갖고 있어 학술적 훈련을 받았지만 각각

이 프로젝트를 시작하기 전에 단지 몇 개의 짧은 경전을 번역해보았을 뿐이다 비록 다른 환경에서지만

우리 네 명 모두는 티베트 불교를 십년 이상 공부해왔다 어쨌든 우리 모두는 경전 연구에 특별히

집중하지 않았었다 따라서 우리는 여러 면에서 아직 역경 훈련 과정 중에 있다

이 난제의 해결책은 우리 팀이 아주 잘 구성되었다는 것에 있었다 우리 역경 팀의 팀장은 IBA의

교장인 켄뽀 조르덴이다 켄뽀 아뻬이 린포체의 제자인 그는 티벳 승가 대학 제도에서 뿐만 아니라

하버드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아 서양 학술 제도에서도 최상으로 훈련되었다 그는 어려운 경구를

도와주었고 최종 결과물을 검증해주었다 더욱이 우리는 수많은 문제들을 해결해 준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와 편집자와 이메일을 통해 잘 소통하고 있다 또한 번역가들은 구글 그룹을 통하여 온라인

공동체를 결성한 이래로 대화와 번역 문제 해결을 위해 이것을 정기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2 구조적 난제 우리의 두 번째 난제는 우리 작업의 순환 구조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구조적 난제라 부를 수 있다

우리는 경전을 두 부분으로 나누고 잠빠 뗀진 법사와 나 자신은 첫 부분을 맡고 악왕 뗀진 법사와

크리스티안 베르테르트는 뒷부분을 번역하기로 결정하였다 그 후 우리는 우리의 번역본을 상호

교환하여 다른 패의 번역 부분을 검증하였다

우리가 오류의 양을 줄일 수 있을 거라 기대했던 이 작업 양식의 장점은 다른 두 번역가들에 의해

우리의 번역된 본문을 신선하고 새롭게 판독할 수 있었던 것이다 난제는 명백하게 다른 두 양식의

번역을 조화시키고 같은 절에 쓰인 티베트 말씨가 같은 영어 말씨로 쓰였는가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작업 양식은 시간을 아주 많이 소비한다 이것은 경험을 얻게 하는 수많은 논의를 번역가 사이에서

이끌어냈지만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우리는 이후에 한 경전을 오직 한 패의 번역가들에 의해 번역하는

것이 합리적일 거라고 결론 내렸다

3 경전 판본에 관한 난제 84000 프로젝트의 번역가들은 자신들이 번역하는 경전의 현존하는 다른 판본을 연구해야한다

허공장보살경의 경우 범어 본은 존재하지 않지만 기원 후 403년에서 412년 사이에 붓다야사스에 의해

번역된 한자본이 있다 어쨌든 이 한자 본은 티베트 경장의 번역본과는 상당히 다르다 이것은 한국

스님이자 학자인 뗀진 타르친 스님이 엘리자베스 린드마예르(Elisabeth Lindmayer)와 2010년에 한자본과

한글 본으로부터 독일어로 번역하였다51

크리스티안 베르테트와 나는 이 번역본을 읽었는데 비록 이

경전들의 기본적 줄거리는 같지만 구조는 전혀 다르다고 결론 내렸다 즉 한자 판은 티베트 판에 없는

수많은 경구들이 있고 티베트 판도 마찬가지이다

이 난제에 대한 해결책은 단순히 두 다른 허공장보살 판본이 존재함을 우리 번역본의 서문에 공지하고

우리 본문을 독립적 작품으로 다루는 것이다 우리는 한글-한자 본으로부터 만든 번역본과 우리의

번역본을 대조하지 않기로 했다

4 티베트 어 번역의 난제

51 Tenzin Tharchin과 Elisabeth Lindmayer Das Akashagarbha- Sutra Allumfassende Liebe und Weisheit Heilend und Wunscherfuumlllend

(Muumlnchen Diamant Verlag 2010)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5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목록에서 네 번째이자 가장 중요한 난제는 티베트 어 자체에 있었다 어형이 변화하는 범어와는

달리 고전 티베트 어는 인칭과 성수격을 표현하는데 접사나 연결사(phrad)를 사용하는 교착언어이다

티베트 경전을 이해하는데 특별한 난제는 lsquo초범주적이고 선택적 성질의 격변화사 사용rsquo때문이다52

이것은 동일한 접사(phrad)가 다른 격을 지시하거나 그 접사가 아예 생략된다는 것이다 통어법의 문법을

무시하는 이 생략법적인 양식은 스테펜 베예르에의해 lsquo티벳 전신 원리 The Tibetan Telegram Principlersquo라는

별명을 얻었다53

따라서 정확한 역경을 위해서는 상당한 경전적 사전지식을 가지는 것이 필수적이다

단순히 용어와 문법을 아는 것만으로는 역경하는데 충분치 않은데 왜냐하면 경전의 이해는

배경지식으로부터 생겨나기 때문이다 빤디따 로짜와의 팀워크에서 그러한 배경지식을 제공하는 것은

티베트학자이다

구체적인 실례들

4a 고대어 티베트 본문을 번역하는데 특히 경전을 번역하는데 생겨나는 여러 언어적 난제들 중에서 내가 말하고

싶은 첫 난제는 티베트 어가 고대어이라는 난제 이다 비록 우리는 용어집 사전 데이터베이스 등의

훌륭한 자료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든 번역가들의 질문들을 대답해 줄 수 없다 허공장경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학식 있는 티베트 학자들에게 조차 난제인 몇몇 용어를 발견했다 IBA에 사는 우리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인 티베트 학자들에 둘러싸여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들 모두에게

친숙하지 않은 몇몇 표현을 발견하였다 예를 들어 phyag dar ba라는 용어는 일곱 번째와 여덟 번째

보살의 범계에 대한 절에서 나타난다 티베트 본토인들이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사전에 나오는 그 용어의

의미는 phyag dar가 lsquo먼지rsquo 혹은 lsquo쓰레기rsquo를 의미하기에 lsquo청소부rsquo이다 허공장보살경에서 그 용어는

lsquo조언자 장관 군인 그리고 의사rsquo와 관련해서 나타난다 이 용어를 lsquo청소부rsquo로 번역하는 것은 이 경전의

문맥에 들어맞지 않는 듯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우리는 IBA의 여러 전문가와 상의했고 보살의 파계에 관한 여러 경전을

탐독하였다 우리는 샨티데바의 대승집보살학논(Śikṣāsamuccaya)중에서 해당 부분의 티베트본과 범본

구절을 탐독하였다 이것은 phyag dar ba가 범본의 일반적으로 lsquo불가촉천민rsquo을 의미하는 용어인 caṇḍālā 의

번역임을 발견하도록 이끌어주었다 모니어 윌리엄스에 따르면 이것은 또한 lsquo어떤 것의 아주 낮은

표현rsquo이라는 것을 의미한다54

구체적으로 이것은 청정하고 부정한 직업의 귀천과 그것에 연관된

가치판단에 관한 브라만적인 사고에서 발견할 수 있는 이 두 번째 의미에 대한 정황인 듯하다

4b 번역의 어조 두 번째로 논의하고 싶은 것은 역경의 성조와 어조에 관해서이다 허공장경은 몇몇 게송을 포함하고

있는데 그 의미가 모호하고 동시에 여려 겹의 속뜻을 나타내는 듯 하여 번역하기에 난제였다 우리 번역

그룹은 이 게송에 대해 여러 번 토론하였고 최종적으로 그 구절을 허공장보살을 마음속으로 그리는

염불로 판독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우리는 그 번역을 가능한 직역하기로 결정했다 아래 게송에서 kun

gzhi는 문자 상으로는 lsquo모든 바탕rsquo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다른 수많은 유식 경전에서 제 팔식인

아뢰야식을 지시한다 이것은 또한 일부 학파에서 여래장이나 불성과 연관되어있다 어쨌든 얼마간의

토론 끝에 우리는 결국 철학적 의미를 무시하고 lsquo모든 바탕rsquo이라는 직역을 택하기로 했다

52 Nicolas Tournadre ―The Classical Tibetan Cases and their Transcategoriality From sacred grammar to modern linguistics Himalayan

Linguistics 2010 Vol 9(2) 87-125 53 Stephan Beyer The Classical Tibetan Language 195 54 Monier Williams Sanskrit-English Dictionary 3833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6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낱장 265b 에 있는 그 불명확한 게송은 다음과 같이 판독된다

세존께서 대답하셨다

ldquo이것은 네가 말한 그대로이다

그곳은 모든 [식의] 바탕을 들어 알고 지혜를 모든 중생이 함유하니 거기는 삼매행의 처소이노라

이곳은 無相三昧와 無生三昧를 가르친

허공장보살 행동의 영역이다rdquo

누구든 이 두 견해에 집작한 이는 나중에 번뇌의 세상에 날 것이다 상과 단에 집착은 피안과 차안의 완전한 번뇌이다

이 견해로부터 완전히 해탈하고자 하는 이는 지위를 즉시 얻게 되는 불가설不可說에 대해 명상하여야 한다

이 번역본에 해당하는 티베트 원전은 다음과 같다55

55 Degeacute Edition F265b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7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 게송의 초벌번역에 대해 신분이 편집 위원회에 의해 공개되지 않은 84000 프로젝트의 한

검사관은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ldquo게송의 가르침에 대한 의미는 사실상 종종 불명료하고 애매모호하다

어쨌든 만약 이 번역이 명료하고 애매하지 않게 번역된다면 독자는 이 경전의 모호함을 인지하지 못할

것이고 영어 번역본의 명료함은 티베트 경전의 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라 생각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독자에게 이 번역본이 확실한 것이라 믿게 만들 것인데 동일한 경전이 애매한 의미를 가진 채 차후에

다시 번역될 때 이것은 원전에 본래 있는 불명료함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티베트 원전을 교정하였거나

잘못 판독했다고 여길 것이다rdquo

이런 문제의 해결책으로 제시된 것은 서문에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게송 그리고 특히 이 경전의

번역의 사실상 어려움에 대해 한 문단을 추가하는 것이다 더욱이 어떤 특정한 경우에는 그 번역본

자체에 모호하다는 것을 각주로 주해할 수 있다 우리는 여기서 제안된 첫 번째 해결책을 따르기로 했다

4c 교학적 용어와 범어 취급 세 번째 난제는 수많은 불교 교학 용어들에 관계되어있다 다수의 혹은 그 모든 것들은 한 영어 단어로

정확히 번역될 수 없는 의미를 망라하고 있다 7세기의 티베트 번역가들은 그들의 번역본에 범어에서

빌린 용어들을 그대로 쓰고 싶어 하지 않았기에 사람들의 이름과 장소를 포함한 거의 모든 것들을

티베트 어로 번역하였는데 반하여 현대의 영어 번역가들은 종종 원래 범어 단어 그대로 사용하는 것에

의지한다 티베트사람들은 전혀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내는 것을 전혀 개의치 않았다 예를 들어 붓다라는

범어를 ldquo밝힘이 퍼짐 sangs rgyasrdquo이라는 원래 어근 radicbudh(깨치다)에는 직접적으로 없는 새로운 의미의

두 단어로 번역하였다

다수의 영어 번역가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범어 용어를 그래도 사용했기 때문에 영어 독자들은 lsquo붓다

보살 다르마rsquo와 같은 특정한 범어 용어에 이미 익숙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지침에 따라 우리는

범어사용에 있어서 필수적임과 지나침의 중도를 찾으려 노력 중이다 우리의 해결책은 어떤 범어 단어에

우리가 만족스러운 영어 단어를 찾지 못할 때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다 우리는 범어 용어를 가능한 한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의 초벌 번역에는 비구 바라밀 부미 상가 등의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최종 출판 본에는 monk perfection ground assembly 등의 단어로 대체되었다 이 범어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8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용어들은 번역본에서 밝게 처리(high-light)된 용어로 번역되었는데 클릭하면 온라인 주해에서 원래

단어를 볼 수 있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 범어 용어를 그대로 사용한다 [1] 특정한 수행자의 종류(mahāsattva śrāvaka pratyekabuddha) [2] 붓다의 수행원의 부분으로 언급된 특정한 중생의 종류(deva nāga yakṣa gandharva asura garuda

kinnara mahoraga kimbhāṇḍa preta piśāca pūtana kaṭapūtana) [3] 모든 뜻을 포함하기는 너무 방대한 의미의 범위를 망라하는 불교학 용어

마지막 범주의 실례는 다라니이다 이 용어는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것은

마음속으로 염하는 정신적 능력을 지시하고 세부적으로는 혹자가 긍정적인 힘을 배양하고 부정적인

것을 날려 버릴 수 있게 한다 이것은 또한 가장 일반적으로 특별한 힘을 부여하는 만트라와 비슷한

신비한 게송을 위한 용어로 사용되었다 우리는 그 용어에 해당하는 영어 다의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범어 용어의 사용은 만족스러운 영어 번역이 정해질 때까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번역어 결정은

개별 사건별로 처리되어야 한다

4d 반복 역경을 하는데 또 다른 특유의 난제는 반복에 관련되어있다 84000 프로젝트의 편집방침 공고는

다음과 같다 lsquo때때로 정형구인 엄청난 양의 반복 어구는 경장의 일부 경전 특유의 특색이고 대부분의

경우 역경에서 그대로 완전히 번역되어야 한다rsquo

우리의 구체적인 경전으로부터 한 실례를 들겠다 예를 들어 허공장보살의 신통력을 나투는 문맥에서

공포를 언급하는 여러 경구가 있고 거기서 그것의 생략이 있었다 원전에서 세 가지 동사가 공포와

연관되어 있다 lsquo겁먹고 무서워하고 놀라다(jigs pa dngangs pa 그리고 skrag pa)rsquo 첫 논의에서 우리는

영어식으로 말하는 관습에 더 가까운 번역을 선택하였다 거기서 우리는 유의어를 삼중으로 쓴 것은

단순히 그 표현을 강조하는 것을 의미한다고 판단했기에 우리는 단순히 lsquo아주 공포스러웠다rsquo고 적었다

하지만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은 어쨌든 원전의 특성과 특색을 표현하기 위해서 그 반복 어구는

그대로 유지되어야한다고 일깨워주었다 아래의 실례에서 볼 수 있듯이 우리는 공포를 묘사하기 위해 세

단어를 사용하였지만 문법 구조를 반복하지는 않았다 즉 우리는 부정사와 조동사(mi byed)를 반복하지

않았다

그곳에서 勇健三昧를 얻고 한 생만이 남은 존재의 마지막인 십지에 머무르는 보살이 보고 주시하고

나서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데(yet were not at all frightened afraid or terrified)

그것은 그들이 일체법이 자성에 의해 진실의 변(邊)과 여실함과 공성임을 깨닫기 때문에 그들은 전혀

겁먹지도 무서워하지도 놀래지도 않는다

해당하는 티베트 본은 다음과 같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39 | J u l i a S t e n z e l T h e S a k y a P a n d i t a T r a n s l a t i o n G r o u p

이것들은 우리 역경 작업을 개략적이나마 볼 수 있도록 기대하여 보여준 대표적인 몇 가지 실례들이다

대승 허공장 경의 낱장 20장을 역경하는 것은 번역 그 자체에 대략 한 달이 걸렸고 84000 프로젝트의

검사관과 편집자 그리고 번역가들에게 다양한 교환을 포함한 편집과정에 대략 일 년이라는 시간이

걸렸다 우리는 전업 번역가가 아니다 그래서 우리는 다른 프로젝트를 하는 동시에 그것에 종사하기

위해 공부하였다 일 년이라는 긴 세월은 편집자들이 우리의 번역본을 편집하는 작업을 기다리는 여러 주

혹은 여러 달이라는 시간 또한 포함되어 있다

결론

요약하자면 나는 2500년의 전 세계 불법의 역경과 전승의 오랜 역사의 일 부분인 티베트 경전을

영어로 역경 하는 위대한 역사의 일부분을 이루고 있는 거대한 84000 프로젝트 안에 있는 우리의 작은

역경 그룹의 정황을 보여주려 했다

나는 이 프레젠테이션에서 84000 프로젝트의 편집 정책과 우리의 개인적 경험을 명료하고 쉽게

설명해주려 노력하였다 우리가 직면했던 난제들은 부분적으로 미숙한 우리 번역가에 기인하는 것이고

부분적으로는 모든 티베트경전의 역경가들이 맞는 일반적인 어려움들이다

우리가 찾은 해결책에는 한 가지 공통적인 특색이 있다 해결책을 찾기 위해서 우리는 확장했어야 했다

mdash 우리는 선임 번역가들의 지성과 경험을 받아들이기 위해 지식의 저장고를 확장했어야 했고 우리는

우리가 역경하는 경전의 한계를 넘어 다양한 정보와 생각을 얻기 위해 다른 본문으로 우리의 시야를

확장했어야 했다 허심탄회하게 말하자면 허공장 보살경의 영어 번역은 여러 학자들 특히 84000

프로젝트의 편집자와 검사관의 도움이 없었다면 지금의 품질 수준에 도달하지 못하였을 것이다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여 우리는 84000 프로젝트의 이상인 lsquo의미의 정확함 명료함 합의성 일관성

그리고 융통성rsquo에 더 다가가려 노력하였다 84000 프로젝트의 유기적 조직체는 구조화된 협력적인

노력을 통하면 개개인의 작업의 합보다 훨씬 더 대량의 양질 역경이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