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 ¢k ² : Ë Ñ Ë ³repository.kihasa.re.kr/bitstream/201002/7723/1/연구...연구보고서...

217
࠺ࢲझ ো ߑউ োҳ A study on service linkage plan for the disabled elderly people ӣ൞'൞'थഅ'Ү ೠҴѤഥোҳਗ ҳҊ2011-29

Upload: others

Post on 17-Jul-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A study on service linkage plan for the disabled elderly people

  • 연구보고서 2011-29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발 행 일저 자발 행 인발 행 처주 소전 화홈페이지등 록인 쇄가 격

    2011년 12월김 성 희 외김 용 하한국보건사회연구원서울특별시 은평구 진흥로 235(우: 122-705)대표전화: 02) 380-8000http://www.kihasa.re.kr1994년 7월 1일 (제8-142호)예원기획7,000원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ISBN 978-89-8187-805-4 93330

  • 머 리 말

    인구고령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장애인구 역시 고령화 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장애노인 인구

    의 증가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두드러진 현상이다. 장애인

    구의 고령화 현상은 전체적인 인구의 고령화와 맥을 같이 하며, 장애인

    들의 수명이 과거와 달리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장애노인의 개념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영역에 대하여 언급할

    필요가 있다. 1980년 이후 장애노인에 대한 연구는 ‘노화로 인한 장애’,

    ‘장애인의 노화’의 두 영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다. ‘노화로 인한 장

    애’의 경우 노인이 되면서 각종 노인성 질환으로 인하여 장애를 입게

    되는 경우이고, 결과적으로 많은 노인들이 장애인이 되어왔다. ‘장애인

    의 노화’의 경우 장기간 장애인으로 살아오면서 노인이 되는 경우로, 이

    러한 장애노인들의 경우 주로 장애인복지의 주요 관심 영역이 되어왔다.

    두 가지 영역의 장애노인 중, 초점을 어떻게 두는가에 따라 장애노인

    개념의 범위가 달라진다. 장애인 복지적 접근을 시도하기 위하여 우선

    ‘장애인의 노화’에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을 것이다. 노화와 장애는 생

    애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연속적 개념이기 때문에 장애인복지영역과 노

    인복지영역의 장애노인은 엄격히 구분될 수 없는 연속체로 생각될 필요

    가 있다는 것이다. 장애노인은 장애인으로서의 경험과 노화과정에서 야

    기되는 위험이 중첩되는 ‘이중위험’을 경험한다. 장애노인 영역은 노인

    복지와 장애인복지의 ‘공유영역’이기 때문에 두 영역의 서비스 공유영

  • 역 모색을 위한 서비스 연계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노인 대상 사회복지실천을 위하여 두 영역간 일치

    하지 않는 부분과, 공통적인 부분은 무엇인지에 대하여 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도출된 연구는 장애영역과 노인

    영역의 소비자중심 서비스 연계방안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보고서는 본 원의 김성희 부연구위원의 책임 하에 이송희 연구원,

    노승현 루터대 교수, 정일교 가톨릭상지대 교수에 의하여 완성되었다.

    연구진은 본 보고서를 읽고 유익한 조언을 해주신 우리 원의 선우덕 연

    구위원과 김미숙 연구위원에게 감사를 드리고 있으며, 또한 연구진행과

    정에서 성실하게 도와준 이수정 연구보조원과 김유진 자료정리요원에게

    감사를 표한다.

    끝으로 본 보고서는 우리 연구원의 공식적인 견해가 아니라 연구자의

    개별입장을 대변함을 밝혀 둔다.

    2011년 12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장

    김 용 하

  • 목 차 Contents

    Abstract ···················································································· 1

    요약 ···························································································· 3

    제1장 서 론 ············································································· 11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1

    제2절 연구내용 ············································································ 14

    제3절 연구방법 ············································································ 15

    제2장 이론적 고찰 ···································································· 19

    제1절 장애노인 ············································································ 19

    제2절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의 서비스 연계 ································· 31

    제3절 선행연구 고찰 ··································································· 42

    제3장 장애노인 서비스(돌봄서비스) 현황 ·································· 49

    제1절 장애인복지에서의 돌봄서비스 ············································· 49

    제2절 노인복지에서의 돌봄서비스 ················································ 51

    제3절 돌봄서비스 현황을 통한 시사점 ········································· 59

    제4장 국내외 장애노인서비스 연계 ········································· 63

    제1절 국내 장애노인서비스 연계 ················································· 63

    제2절 국외 장애노인서비스 연계 ················································· 79

    제5장 장애노인의 실태 및 FGI 결과분석 ······························· 145

    제1절 장애노인의 실태 ······························································ 145

    제2절 FGI 결과 분석 ······························································· 163

  • 제6장 결론 및 제언 ································································ 175

    제1절 결론 ················································································ 175

    제2절 제언 ················································································ 178

    참고문헌 ················································································· 185

    부 록 ······················································································ 197

    부록 1. 장애노인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관련 실무자 질의사항 ··· 197

    부록 2. 장애노인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관련 실무자(장애노인복지관)

    질의사항 ······································································· 199

    부록 3. 장애노인서비스 연계사례 검토를 위한 관련 이용자 질의사항 -

    장애인활동보조서비스(장애인활동지원제도)를 중심으로 - ··· 202

  • Contents표 목차

    〈표 2- 1〉노령화된 장애인 네트워크 저해요인 및 촉진요인·············35〈표 2- 2〉성공적 서비스 연계전략을 위한 요소 ·····························42〈표 4- 1〉장애인복지관 사업 예시··················································64〈표 4- 2〉노인복지관 사업구분·······················································67〈표 4- 3〉장애인복지관과 노인복지관의 사업 비교··························69〈표 4- 4〉장애인활동지원제도 제2차 시범사업 서비스 개념 및 종류··75〈표 4- 5〉장애노인 공통 서비스 및 서비스 네트워크 ·····················82〈표 4- 6〉고령화의 현상·································································99〈표 4- 7〉연령별 신체장애인수(재택)의 인구비례·························100〈표 4- 8〉일상생활에 영향이 있는 사람········································102〈표 4- 9〉65세 이상 고령자의 일상생활에 영향받는 비율····················102〈표 4-10〉제1호 피보험자(65세이상) 요개호도별 인정자 수 추이·103〈표 4-11〉요개호등 인정 상황·····················································104〈표 4-12〉개호보험서비스 이용상황(개호서비스 수급자)··············104〈표 4-13〉요개호정도별의 서비스 이용상황(수급자수)·················104〈표 4-14〉「주생활기본계획(전국계획)」에서의 고령사회대책에 관한 목표,

    성과지표 및 기본시책··················································115〈표 4-15〉고령자가 거주하는 주택의 설계에 관한 지침의 개요·····116〈표 4-16〉「오사카시 고령자 보건복지계획‧개호보험 사업계획」의

    구체적인 정책목표·······················································126〈표 4-17〉시영주택 모집 일람·····················································135〈표 4-18〉후기 고령자에 드는 의료비 부담의 구조·······················136〈표 4-19〉자기부담 한도액 일람표···············································138〈표 4-20〉입원시 생활요양비의 자기부담액··································138

  • 〈표 4-21〉고액 개호 합산 요양비················································139〈표 5- 1〉성별·············································································146〈표 5- 2〉연령별··········································································146〈표 5- 3〉학력·············································································147〈표 5- 4〉결혼상태······································································147〈표 5- 5〉건강보험가입 형태························································148〈표 5- 6〉수급여부 및 형태·························································149〈표 5- 7〉가구주여부···································································149〈표 5- 8〉장애유형······································································150〈표 5- 9〉장애등급······································································151〈표 5-10〉평소 일반적인 건강상태···············································151〈표 5-11〉3개월 이상 만성질환 여부···········································152〈표 5-12〉일상생활 도움정도·······················································152〈표 5-13〉도움주는 사람여부·······················································153〈표 5-14〉도움의 충분성·····························································153〈표 5-15〉외부도우미 필요여부····················································154〈표 5-16〉복지서비스 인지여부····················································155〈표 5-17〉복지서비스 이용여부····················································156〈표 5-18〉장애인복지 관련기관 인지여부·····································158〈표 5-19〉장애인복지관련기관 이용경험여부································159〈표 5-20〉장애인복지관련기관 이용희망여부································161〈표 5-21〉장애노인의 국가에 대한 요구사항(1순위)····················162〈표 5-22〉장애/노인영역의 서비스연계 촉진 및 저해요인 관련

    면접조사 내용·····························································164

  • Contents그림 목차

    〔그림 3-1〕장애인 활동보조지원 사업추진 체계 및 기능··················51〔그림 3-2〕노인돌봄기본서비스 사업추진 체계 및 기능····················52〔그림 3-3〕노인돌봄기본서비스 사업추진 체계도·····························54〔그림 3-4〕노인돌봄종합서비스 사업추진 체계 및 기능····················56〔그림 3-5〕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공급체계·····································58〔그림 4-1〕실버주택프로젝트························································118

  • 1

    Abstra

    ct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map out a service linkage plan for the disabled elderly people by finding different area and

    common area between disability welfare field and elderly

    welfare field. Since the disabled elderly welfare is related to

    both elderly welfare and disability welfare,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find out something in common in this two

    different areas.

    ⧠ One of the differences between elderly area and disability area of the disabled elderly people is that elderly welfare focuses

    on medical care and disability welfare emphasizes on social

    participation. The other difference is mediation and intervention

    of specialist. While elderly welfare field considers specialist's

    mediation and intervention importantly, disability welfare does

    not.

    ⧠ Common points between elderly area and disability area of the disabled elderly people are incapability of mobility and need

    for medical service such as nursing care and long-term care.

  • 2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 For the linkage plan among service providing agenc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network, share strategy and program,

    found linkage center, use common specialized term, provide

    diverse information and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dure.

    ⧠ As a linkage plan in long-term care service, it is important to choose services according to the client's own need. Also, we

    need to review a efficient linkage plan between Personal

    Assistance Service for the disabled and Long-term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 3

    요약

    요 약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 인구고령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전체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장애인구 역시 고령화 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음.

    ○ 장애인구의 고령화 현상은 전체적인 인구의 고령화와 맥을 같이

    하며, 장애인들의 수명이 과거와 달리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

    으로 추정됨.

    ⧠ 장애노인의 개념에 접근하기 위하여 장애노인의 두 가지 영역에 대하여 언급할 필요가 있음. 1980년 이후 장애노인연구는 “노화로 인

    한 장애(disability with aging)”, "장애인의 노화(aging with

    disability)"의 두 영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왔음.

    ○ “노화로 인한 장애”의 경우 노인이 되면서 각종 노인성 질환으로

    인하여 장애를 입게 되는 경우이고, 결과적으로 많은 노인들이

    장애인이 됨. 이러한 장애노인문제는 주로 노인복지 영역의 주요

    관심이 되어왔음.

    ○ “장애인의 노화”의 경우 장기간 장애인(person with long-term

    disability)인으로 살아오면서 노인이 되는 경우로, 이러한 장애노

    인들의 경우 주로 장애인복지의 주요 관심 영역이 되어왔음.

  • 4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 두 가지 영역의 장애노인 중, 초점을 어떻게 두는가에 따라 장애노인 개념의 범위가 달라짐.

    ○ 장애인 복지적 접근을 시도하기 위하여 우선 “장애인의 노화”에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을 것임.

    ○ 노화와 장애는 생애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연속적 개념이기 때문에

    장애인복지 영역과 노인복지영역의 장애노인은 엄격히 구분될 수

    없는 연속체로 생각될 필요가 있는데, 노령 장애인은 장애인으로

    서의 경험과 노화과정에서 야기되는 위험이 중첩되는 ‘이중위험’

    을 경험함.

    ⧠ 장애노인 영역은 노인복지와 장애인복지의 ‘공유영역’이기 때문에 양 영역의 서비스 공유영역 모색을 위해 노력할 필요가 있음.

    ○ 그러나 미시적 측면에서 보면 노인영역과 장애인 영역을 함께 접

    근하는데 어려운 점이 많음.

    ⧠ 따라서 장애노인 대상 사회복지실천을 위하여 두 영역간 일치하지 않는 부분과, 공통적인 부분은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

    요함.

    ⧠ 이에 본 연구는 소비자 중심 철학의 기초 위에서 노인영역과 장애영역의 공유영역과 차별적 영역을 모색하여 장애노인의 서비스 연계방

    안을 마련하고자 함.

    2. 연구 결과

    ⧠ 장애노인은 노화와 장애라는 ‘이중위험’을 공유함. 또한 노화와 장애

  • 5

    요약

    는 생애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연속체적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필요

    가 있음.

    ⧠ 장애노인의 노인과 장애영역간 차이○ 노인영역의 장애인들은 장애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장애영역은 자신을 장애인으로 정의하여 양 집단간 장애

    정체성의 차이를 보임.

    ○ 노인영역의 경우 의료적 보호를 강조하는 반면, 장애영역은 사회

    적 모델에 따른 사회 참여를 강조하고, 노인영역은 전문가의 중

    재와 개입의 역할을 중요시하는 반면, 장애영역은 전문가의 중재

    와 개입을 불신함. 그리고 노인영역은 시설보호에 대해 더 긍정

    적이나 장애영역은 지역사회 통합을 강조함.

    ○ 따라서 양 영역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연계노력은 양 영

    역의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것임.

    ⧠ 장애노인의 노인과 장애영역간 공유○ 서비스 욕구 측면에서 이동에 어려움이 있고, 와상상태인 중증장

    애인들의 경우 노인과 같이 요양과 간호서비스를 비롯한 요양 등

    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가 높아 공통적이었음.

    ⧠ 노인과 장애영역의 서비스 연계 촉진 및 저해 요인○ 연계 촉진요인: 행정적 지원(조직의 지원 및 오리엔테이션), 인식

    유사성(각 영역 소비자의 욕구공통성 인식), 강력한 협력구조 및

    전문적 투자, 잠재적 파트너의 지식 및 자원 등

    ○ 연계 저해요인: 행정적 제한(평가의 중복실시 및 예산의 분리처

    리, 직원의 참여가능성, 조직의 사명 고수), 인식의 차이(타 영역

  • 6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소비자에 대한 편견), 허약한 협력구조(열악한 협력 행정조직, 참

    여접근성 제한), 제한된 전문적 투자, 상이한 서비스 아젠다 등

    3. 제언

    ⧠ 서비스 제공기관간 연계방안○ 두 영역의 서비스 제공기관간 연계망 구축이 필요함.

    ○ 두 영역의 서비스 제공기관간 전략 및 프로그램의 공유가 필요함.

    ○ 두 영역의 서비스 연계를 위한 중간 연계기관이 필요함.

    ○ 두 영역간 공통의 전문용어 사용 및 검토과정이 필요함.

    ○ 전문적인 서비스 제공 및 연계를 위한 두 영역의 서비스 필요함.

    ○ 두 영역에서 상호 기관간 다양한 정보제공 및 안내를 실시하는

    것이 필요함.

    ○ 서비스 연계시 기관간 행정절차의 간소화가 필요함.

    ⧠ 서비스 내용(돌봄서비스)에서의 연계방안 ○ 장애노인의 장애상태 및 차별적인 욕구에 따라 서비스를 선택하

    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 노인과 유사 장기요양 욕구를 가진 중증와상장애인의 장애인활동

    지원제도와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와의 효율적인 연계방안 검토가

    필요함.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수급자가 되지 못한 장애노인에 대한 노

    인돌봄바우처제도나 지역의 보건복지서비스를 활용한 욕구충족방

    안 마련이 필요함.

  • 7

    요약

    ⧠ 기타 연계방안 ○ 두 영역의 서비스 차이와 공통점에 대한 이해를 통한 욕구에 기

    초한 서비스가 필요함.

    ○ 전반적으로 두 영역의 기관간 연계시 두 영역간 사회문화적 차이

    의 인정 및 장애에 대한 인식개선이 필요함.

    ○ 사회복지시설 평가시 장애노인 서비스 제공기관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 KIHASA01

    서 론

  • 11

    제1장 서론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인구고령화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0년 전

    체 인구 중 65세 이상 인구가 7%를 넘어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으

    며, 2019년에는 14%를 넘어서 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26년에는 20%

    를 상회하여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통계청,

    2005). 전체 인구의 고령화와 함께 장애인구 역시 고령화 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는데, 장애노인 인구의 증가는 우리나라 뿐 아니라 세계적으

    로 두드러진 현상이다(Glen, 2001). 장애인구의 고령화 현상은 전체적

    인 인구의 고령화와 맥을 같이 하며, 장애인들의 수명이 과거와 달리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1).

    장애노인의 개념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영역에 대하여 언급할

    필요가 있다. Louis & Yang(2002)은 1980년 이후 장애노인에 대한

    연구는 ‘노화로 인한 장애(disability with aging)’, ‘장애인의 노화

    (aging with disability)’의 두 영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왔음을 언급하

    였다. 먼저 ‘노화로 인한 장애(disability with aging)’의 경우는 노인이

    되면서 각종 노인성 질환으로 인하여 장애를 입게 되는 경우이다. 노인

    1) 그 동안은 낮은 생존율을 보이거나, 조기 사망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던 장애인들의 수명연장 현상이 세계적으로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장애인들의 수명이 증가하는 이유는 공공보건의 개선, 의료기술의 발전, 장애인들의 접근과 기회의 증진을 들 수 있다(McClean, 1997).

  • 12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들은 노화의 영향으로 각종 노인성 질환을 겪게 되며, 결과적으로 많은

    노인들이 장애인이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장애노인 문제는 주로 노인

    복지 영역의 주요 관심이 되어왔다. 둘째로 “장애인의 노화(aging with

    disability)"의 경우 장기간 장애인(person with long-term disability)으

    로 살아오면서 노인이 되는 경우로 과거에는 많은 장애인들이 낮은 생

    존율(척추손상)을 보였으며, 조기사망(발달장애)과 연관되기도 했다. 그

    러나 의료, 보건환경개선, 재활기술의 발전은 장애인들의 생존율과 수명

    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장애노인들의 경우 주로 장애인복지의 주요 관

    심 영역이 되어왔다.

    두 가지 영역의 장애노인 중, 초점을 어떻게 두는가에 따라 장애노인

    개념의 범위가 달라진다. 장애인 복지적 접근을 시도하기 위하여 우선

    “장애인의 노화(aging with disability)”에 관심을 집중시킬 수 있을 것

    이다. 이 경우 장애노인의 개념정의는 “생애초기에 장애인이 되어 노화

    과정을 경험하게 되어 노인이 된 사람”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러나 Louis & Yang(2002)은 이러한 구분은 고정관념에 기초한 것이

    라고 주장하였다. 노화와 장애는 생애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연속적 개

    념이기 때문에 장애인복지영역과 노인복지영역의 장애노인은 엄격히 구

    분될 수 없는 연속체로 생각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장애노인은 장애

    인으로서의 경험과 노화과정에서 야기되는 위험이 중첩되는 ‘이중위험’

    을 경험한다(Foreman, 1998). 장애노인 영역은 노인복지와 장애인복지

    의 ‘공유영역’이기 때문에 두 영역의 서비스 공유영역 모색을 위한 서

    비스 연계노력을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Campbell, 1996).

    최근 정책 제안자들은 행정 및 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성을 위하여

    노인과 장애인을 한 우산 아래에서 생각하려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거시적인 측면에서 보면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접근으로 생각될 수 있다.

    특히 늘어나는 소비자들과 제한된 재정을 고려하면 더욱 그러하다. 노

  • 13

    제1장 서론

    인영역과 장애영역은 노동, 건강, 가족지원, 지역사회참여 등의 영역에

    서 주요 이슈를 공유하고 있으며, 최근 장애인의 노화, 노인이 되면서

    장애인이 되는 사람의 문제는 두 영역의 협력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미시적 측면에서 보면 노인영역과 장애인 영역을 함께 접근하는데 어려

    운 점이 많다.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은 다른 정책형성의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서비스 이념 및 서비스 내용에서도 상이한 면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인 지원에 있어서 그들이 누구이며, 무엇을 필요로 하

    는지에 대해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Putnam, 2002). 따라서 장

    애노인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을 위하여 두 영역간 일치하지 않는 부분은

    무엇이며, 공통분모는 무엇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이념적 측면에서 장애인복지 영역의 자립생활철학과 노인 영역의 공

    유영역은 소비자중심철학의 기초 위에서 논의될 수 있다. 따라서 소비

    자 중심 철학의 기초 위에서 노인영역과 장애영역의 공유영역과 차별적

    영역을 모색하여 구체적인 서비스 연계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까지 국내에서 장애노인 영역에 대한 실증연구와 실천적

    노력은 부족한 실정이며, 장애노인은 사회적‧정책적 관심에서 배제되어

    왔었다. 최근에 와서야 장애노인의 생활실태와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연

    구가 진행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장애인복지적 견해에서

    추진된 장애노인 관련 연구는 노령 장애인의 특성에 관한 기술적 연구

    (김형수, 1996; 강철호, 1999; 윤경아‧이윤화‧이익섭, 2000; 김성희‧고

    선정, 2004), 노령 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김

    미옥, 2003; 손용진, 2004; 노승현, 2007; 노승현, 2009), 노령 지체장

    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 설명모형 연구(노승현, 2006), 노령 지체장애인

    지역사회통합 영향요인 연구(노승현, 2007), 노령 지체장애인의 장애수

    용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노승현, 2007) 등이 진행되었다.

    이상의 연구들은 장애노인 개인의 경험에 기초하여 장애노인들의 삶

  • 14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의 질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전략을 모색하는데 기여하였다. 그러나 장애

    영역과 노인영역의 차별성과 공통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는 전무한 실

    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와 장애인복지 두 영역의 공유영역과

    차별성을 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모색해 보고자 한다. 두 영역의 다양

    한 서비스 중 돌봄서비스로 한정하는 이유는 돌봄서비스가 대상자의 복

    지와 안녕에 대한 고려와 애정, 신뢰 등 심리적 요인이 중요한 가치로

    서 포함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장애노인의 욕구에 가장 부합할 수 있

    는 중요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노인영역의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와 장애영역의 장애인활동지원이 이에 해당된다고 하겠다. 이를 통

    해 도출된 연구는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의 소비자중심 서비스 연계방안

    을 구축하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제2절 연구내용

    본 연구는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

    는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의 개념을 검토하고, 이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특히 장애노인의 개념에 접근하는데 있어 ‘노화로 인한 장

    애’와 ‘장애인의 노화’의 두가지 영역을 파악하였다.

    제3장에서는 장애인노인서비스의 현황을 돌봄서비스 중심으로 제시하

    였다. 이를 위해 장애인복지에서의 돌봄서비스를 활동보조서비스 중심으

    로 제시하였고, 노인복지영역에서의 돌봄서비스 또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제공되고 있는 장애인복

    지 영역과 노인복지영역에서의 돌봄서비스의 공통영역과 차별적 영역을

    파악고자 하였다.

    제4장에서는 국내외 장애노인서비스 연계사례를 제시하였다. 먼저 국

  • 15

    제1장 서론

    내의 장애노인서비스 연계사례를 파악하기 위하여 장애인복지영역과 노

    인복지영역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를 이용시설인 장애인복지관과 노

    인복지관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영역과 노인영역의 복

    지관 등 서비스제공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의 공통영역과 차별

    영역을 파악하였다. 더불어 국내의 복지관 중 장애인과 노인을 동시에

    서비스 대상으로 하여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수행기관을 대상으로 서비

    스 제공 및 연계사례를 제시하였다. 국외의 장애노인서비스 연계사례의

    경우는 미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서비스 현황 및 연계사례를 검

    토하고 이에 따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장애노인의 실태 및 FGI 결과를 제시하였다. 먼저 장애

    노인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2008년도 장애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

    여 2차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대상은 장애발생시기가 65세 이전

    인 장애노인과 65세 이후인 장애노인으로 구분하여 두 장애노인집단의

    구체적인 실태 및 욕구 등을 비교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FGI 결과분

    석에서는 장애노인서비스 제공기관의 서비스 제공실무자와 당사자인 장

    애노인을 대상으로 주요 욕구, 두 영역간 서비스 연계촉진 및 저해요인

    등의 내용을 중심으로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제6장은 결론으로서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3절 연구방법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크게 4가지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첫째, 문헌연구로서 장애노인 관련 이론과 국내외 장애노인서비스를

    돌봄서비스 중심으로 문헌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장애학, 노년학 등의

    영역에서의 장애노인에 대한 이론고찰을 하였고, 국내 및 국외의 장애

  • 16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노인 대상 정책검토를 위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둘째, 2차자료 분석으로서 2008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

    여 장애노인의 생활 실태와 욕구 등을 파악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FGI(Focus Group Interview) 실시로 장애노인 당사자, 그리

    고 장애노인 관련 서비스 제공 실무자를 대상으로 각각 필요서비스 내

    용, 장애노인서비스 연계촉진 요인 및 저해요인 등을 파악하였다.

    넷째, 연구수행과정 중 워크숍 등을 실시하였다. 워크숍은 3회에 걸

    쳐 실시되었는데, 1회에서는 연구의 방향과 내용이 연구주제에 적합한

    지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였고, 2회에서는 연구 중간단계에서

    연구의 전반적인 진행내용과 향후 고려사항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3회에서는 연구 마무리 시점 단계에서 실시되었는데, 작성된 보고서에

    대한 검토와 향후 추진과제 등 정책과제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최종

    보고서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 KIHASA02

    이론적 고찰

  • 19

    제2장 이론적 고찰

    제2장 이론적 고찰

    제1절 장애노인

    1. 장애노인의 개념

    장애인구의 노령화와 함께 노화과정에서 장애를 경험하게 되는 노인

    인구의 장애화 또한 중요한 주제이다. 따라서 최근 노화와 장애의 문제

    를 함께 바라보기 위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노화와 장애에 대한

    학술적 연구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장애노인에 대한 용어 정의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는 현재 장애노인, 노령장애인, 노인장애인 등 다양한

    용어가 노년기에 경험하는 장애인과 장애인으로 살아온 사람들을 의미

    하는 용어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보통 장애노인이란 ‘장

    애를 가진 나이 많은 사람’ 또는 ‘노령으로 인한 장애인’으로 사용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 노화와 장애관련 연구는 두 가지 영역을 중심으로 진

    행되었다. 즉 "노인의 장애(disability with aging, aging into

    disability)"와 "장애인의 노화(aging with disability)"이다(Verbrugge

    & Li-shou, 2002). 먼저 “노인의 장애(disability with aging, aging

    into disability)의 경우 노화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장애이다. “노화로

    인한 장애”의 경우 노인이 되면서 각종 노인성 질환으로 인하여 장애를

    입게 되는 경우이고, 결과적으로 많은 노인들이 장애인이 되기 때문에

  • 20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이러한 장애노인문제는 주로 노인복지 영역의 주요 관심이 되어왔다.

    이와 같이 노화로 인한 장애 또는 노인성장애인(lated-long disabled

    elderly)은 노령이 되어서 처음으로 장애를 경험하고 장애의 결과와 싸

    워야 하는 특수한 문제들을 경험하게 된다(박혜전‧이승욱, 2007). 즉,

    노후에 접어들면서 노인문제와 동시에 장애문제에 직면하여 사회적으로

    소외될 가능성이 높은 집단인 것이다.

    이러한 장애를 경험하는 이들을 노인성장애인이라 할 수 있다. 대부

    분의 노인들은 발달단계 이후 노화과정에서 각종 질환을 겪게 되며, 결

    과적으로 많은 노인들이 장애인이 된다. 이들은 주로 노인복지 영역의

    주요 관심이 되어왔다.

    반면 “장애인의 노화(aging with disability)"는 장기간 장애인

    (person with long-term disability)인으로 살아오면서 노인이 되는 경

    우를 말한다. 이들을 노인장애인(person aging with disability)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장애노인들의 경우 주로 장애인복지의 주요 관심 영역

    이 되어왔다. 즉, 노령장애인(life-long disabled elderly)은 출산 전 혹

    은 출생 시 장애 또는 중도 장애 등으로 노인이 되기 전에 젊어서 장애

    가 발생하여 장애인으로 현재 노령에 이른 사람들을 의미한다(박혜전

    외, 2007). 이들은 노인이 되기 전부터 장애문제로 인한 아픔과 슬픔을

    지닌 채로 노후에 발생하는 노인문제에 가중적으로 직면함으로써 사회

    적으로 고립된 가능성이 높은 집단이라고 할 수 있다(최은희, 2003).

    과거에는 많은 장애인들이 낮은 생존율(척추손상)을 보였으며, 조기사

    망(발달장애)과 연관되기도 했다. 그러나 의료, 보건환경개선, 재활기술

    의 발전은 장애인들의 생존율과 수명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노령화된

    장애인들은 주로 장애인복지의 주요 관심 영역이 되어왔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노화로 인한 장애’를 경험하는 사람들을 노

    인성장애인으로, ‘장애인으로 노인이 된 사람들’을 노령장애인으로 정의

  • 21

    제2장 이론적 고찰

    하고자 한다. 또한 장애노인의 경우 장애가 있는 노인을 의미하는 용어

    로 포괄적 의미를 가진 것으로 보아 노인성장애인과 노령장애인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하고자 한다. 즉, 본 연구에서는 이를 총칭하여

    ‘장애노인’으로 하고 칭한다. 즉, 장애노인을 상위개념으로, 노인성장애

    인과 노령장애인은 하위개념으로 정의하고자 한다.

    이상의 경우처럼 노인성장애인 및 노령장애인으로 구분하여 정의를

    시도하는 이유는 우선 연구 및 정책개발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

    다. Verbrugge & Yang(2002)은 장애발생시기를 중요하게 고려하여

    20세 이후 장애발생 노인을 노인성장애인(person with aging into

    disability)으로 20세 이전 장애발생 노인을 노령장애인(person aging

    with disability)으로 구분하였다. Sheets(1999)는 장애발생시기, 장애기

    간, 현재 연령의 효과를 모두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즉 두

    영역으로 명확히 구분되기 보다는 장애와 노화의 역동적 효과를 이해하

    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Verbrugge & Yang(2002)

    은 노인성장애와 노령장애를 구분하여 이해하는 것은 장애서비스와 노

    인서비스가 분리된 것이라는 고정관념에 기초한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구분은 장애노인 중 장애인으로서의 삶의 기간이 강조되는 인

    구(person aging with disability)와 노인으로서의 삶이 강조되는 인구

    (person with aging into disability)의 구분을 통해 장애영역과 노인영

    역의 차별적 경험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조금만 구체적으로

    생각하면 이들 인구는 이렇듯 명확히 구분될 수 없는데, 장애인으로서

    의 삶과 노인으로서의 삶은 차별성과 함께 공통성을 갖기 때문이다. 즉

    노화와 장애는 생애전반에 걸쳐 지속되는 연속적 개념이기 때문에 장애

    인복지 영역과 노인복지영역의 장애노인은 엄격히 구분될 수 없는 연속

    체로 생각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령, 장애가 발생한 시기,

    장애인으로 살아온 기간의 생애주기 요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점2)과 공

  • 22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통점이 있는지에 대한 이해에 기초하여 양자의 공유영역을 찾아갈 필요

    가 있다.

    즉 장애노인과 노인장애인의 개념정의는 언어적 정의를 통하여 간단

    히 구분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양자의 차별성과 공통성의 역동성을

    통하여 심층적으로 이해해야 할 개념이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두 영역

    의 차별성과 공통성을 밝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선 이들

    이 갖는 공통점은 노화와 장애라는 ‘이중위험’을 공유한다는 것이다

    (Foreman, 1998). 그러나 양자는 살아온 경험과 욕구에서 구체적인 차

    별성을 갖는다. 따라서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을 이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Campbell, 1996). 즉 공통점에 기초한 제도설계는

    장애인으로 오랜 기간 살아온 경험을 층분히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는다. 노령장애인들은 차별화된 서비스욕구를 갖는다. 장애와 노화를

    중심으로 노인영역과 장애영역의 연계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차별적

    경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비교적 최근에 논의되고 있

    는 노인장애인의 경험, 즉 오랜기간 장애인으로 살아온 사람들의 노화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자 한다. 두 영역의 서비스연계 모색

    을 위한 차별적 경험 이해에 기여할 것이다.

    2. 장애인의 노화경험

    본 연구는 노인성장애인과 노령장애인의 차별적 경험이해를 노령화된

    장애인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오랜 기간 장애인으로 살아온 노령장애

    인의 노화경험연구는 일반인구와 비교한 차별적 경험을 밝히기 위한 방

    향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이다. 아래에서는 노화에 따른 장애인의 변화경

    2) Louis M. V., & Li-shou Yang(2002)에 따르면, “aging with disability"를 경험하는 인구가 기능적인 장애는 더욱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적 참여는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23

    제2장 이론적 고찰

    험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신체적 변화, 심리적 변화, 사회적 변화로 요약

    하고자 한다.

    가. 노령 장애노인의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

    장애인의 신체적 기능변화와 관련하여 제기된 핵심이슈는 조기 노화

    (premature aging)이다. 조기노화(premature aging)3)는 오랜 기간 장

    애인으로 살아온 사람들의 경우 일반인에 비해 더 빠른 노화를 경험한

    다는 의미를 갖는 용어이며, 빠른 노화(accelerated aging)로도 언급된

    다. Trieschman(1987)은 장애 발생 후 30년 넘게 살아온 노인 척수장

    애인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노령장애인들은 일반

    노인에 비해 더욱 빠른 노화를 경험하는 점을 강조하였으며, 이러한 현

    상을 “조기노화(premature aging)"로 정의하였다. 또한 조기노화와 깊

    은 관계가 있는 생애주기 요인으로 장애기간의 효과를 주목하였다. 즉

    일반적으로 장애 이후 15년~20년 이상이 되면, 급격한 신체적, 심리적,

    사회‧환경적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고 언급하였다. 조기노화는 신체장애

    인 뿐 아니라 발달장애인의 경우에도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었다. 즉 다

    운증후군 장애인들의 조기노화현상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조기노화와 함께 오랜 기간 장애인으로 살아온 사람들의 경우 이차적

    상태(Secondary Condition)로 인한 변화를 경험한다. 이차적 상태는

    일차적 장애의 발생 이후에 새롭게 발생한 기능적, 건강적인 감퇴로 주

    요 손상과 직접적, 간접적으로 관련된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는 조기노

    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Capoor & Stein, 2005; Wilber,

    Mitra, Walker, Allen, Meyer, et. al., 2002). 즉 조기노화와 이차적상

    태는 오랜 기간 장애인으로 살아온 노령장애인들이 일반 노인성장애인

    3) 조로현상으로 번역하는 경우도 있으나, 조로증과의 구분을 위하여 본 연구는 조기노화현상으로 번역하였다.

  • 24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에 비해 경험하는 차별적 경험을 구성하는 주요 요인이 된다.

    장애인의 노화로 인한 신체적 변화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면,

    Zarb와 Oliver(1993)는 장애기간이 20년 이상인 40세에서 80세까지

    연령대의 지체장애를 경험한 125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였다. 연

    구결과 Trieschman(1987)의 조기노화이론을 지지하며, 지체장애인의

    경우 장애발생 후 20년 이후 비장애인에 비해 빠른 노화로 인한 변화

    를 경험한다고 보고하였다. Gerhart 등(1993)은 영국의 279명의 척수

    장애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연구대상 중 3분의 1이 신체적 기능의

    변화를 경험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구체적으로, 사지마비(tetraplegia)

    의 경우 평균연령 45세에 기능적 변화로 인한 부가적 욕구를 경험하며,

    하지마비(paraplegia)의 경우 평균연령 55세에 기능적 변화로 인한 부

    가적 욕구를 경험하였다. Kemp와 Thomson(1997)은 미국의 척수장애

    인협회 회원 150명을 연구하였는데, 5년 이상 장애를 경험한 사람들의

    26%가 노화에 따른 기능상의 변화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성

    마비 장애인의 경우(Murphy, Molnar, & Lankasky, 1995)와 류마티

    스 관절염(Campbell, Duffy, & Trousdale, 1998)의 경우에도 이러한

    신체적 기능의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Lewis(1992)는 15명의 소아마비 장애인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실시한 결과, 소아마비장애인들은 노화과정에서 ‘심각한 손상단계’, ‘안정

    기로의 회복’, ‘예측치 못한 후반기의 영향’, ‘기능감퇴의 심화’를 경험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체장애인들은 심각한 손상단계 이후 안정 기간

    을 통하여 기능의 회복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나 생애후반 노화로 인하여

    다시 기능감퇴를 경험하게 된다. 일차적 장애 이후에 노화의 영향과 관련

    하여 이차적 상태를 경험하게 되는 과정을 주목하여 설명하였다.

    Wenneberg와 Ahlstrom(2000)도 15명의 소아마비 장애인들을 대상으

    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노화과정에서 경험하는 다섯 가지

  • 25

    제2장 이론적 고찰

    주제가 도출되었는데, ‘심각한 질병 단계’, ‘능력회복의 재활단계’, ‘상대

    적인 안정단계’, ‘기능적 능력이 손실되는 이동단계’, ‘새로운 의존과 기

    술’이었다. 연구는 지체장애인들은 노화과정에서 신체적 변화를 경험하며,

    초기장애를 극복하는 데 사용한 동일한 전략을 새로운 신체적 변화에

    동일하게 적용하고자 한다고 지적한다. 그러나 새로운 장애는 이전과 동

    일한 방식으로 극복되지 않았음을 강조하였다. 노화로 인한 장애는 이전

    과는 다른 새로운 자원을 요구하게 된다고 지적하였다. Lewis(1992)의

    연구와 유사하지만, 노년기에 경험하게 되는 새로운 기능감퇴에의 적응을

    의미하는 ‘새로운 의존과 기술단계’가 추가된 연구이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조기노화와 이차적 상태는 노령장애인들의

    일반 장애노인과의 차별적 경험을 이해하는 핵심개념이라 하겠다. 소아

    마비, 척수손상, 뇌성마비 등의 노령장애인들은 장애발생 후 15년~20년

    후 혹은 연령상으로는 40~50대가 되면서 급격한 신체적 기능변화를 경

    험하게 되며 이러한 예측치 못한 문제들은 노령장애인들의 독립을 위협

    하고, 생산성을 줄이며, 주관적 삶의 질을 감소시키는 중요한 요인이 된

    다(Sheets, 1999).

    나. 노령장애인의 노화에 따른 심리적 변화

    노령장애인의 노화관련 심리적 변화로 주목되어온 변수는 우울이다.

    우울은 비장애노인 노화연구에서도 중요한 심리적 변화의 결과로서 지

    적되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따르면 지체장애인은 노화과정에서 비장애

    노인에 비해 2배에서 3배로 우울증을 경험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

    된다(Fuhrer et al., 1993; McColl & Walker, 1997). 노인지체장애인

    에게 있어 우울은 주관적 삶의 질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가 되기 때문

    에 더욱 중요한 문제이다.

  • 26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우울증상의 빈도는 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보다 2-3배 높게 나타났

    다. 우울장애의 빈도는 비장애인의 8%~11%에 비해 장애인의 경우

    25%에서 40%정도로 나타났다. 다른 말로 하면 장애인 3명 중 한 명

    이 약한, 혹은 심각한 우울증상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지역사회

    거주 비장애인과 비교할 때 4배나 높은 결과이다. 이러한 우울의 문제

    로 인하여, 장애와 일상적 문제에 대하여 부담을 느끼게 된다(Fuhrer et

    al., 1993). 그러나 Gerhart 등(1999)은 1990, 1993, 1996년에 걸쳐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종단적 연구를 실시한 결과, 비장애노인인구와

    노령장애인인구 간에 스트레스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

    는 것으로 보고하기도 하였다.

    노령장애인의 우울증상은 주관적 삶의 질을 위협하는 요인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RRTC on Aging with a Disability에서 진행된 노인장애인

    350명에 대한 연구에서 우울증점수와 주관적 삶의 질점수가 수집되었다.

    이 중에서 185명은 우울증세가 없었으며, 113명은 약한 우울증, 52명은

    심각한 우울증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의 47%가 우울증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집단 중, 우울증세가 없는 집단의 경우,

    평균 삶의 질 점수는 우울증세가 없는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질과 우울은 역상관계를 보

    인다는 것이며, 또한 우울증세가 없다면 삶의 질 점수는 장애인과 비장

    애인에게 동일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다(Kemp & Mosqueda, 2004). 즉

    노화에 따른 우울의 변화와 이로 인한 주관적 삶의 질의 변화는 노인장

    애인의 심리적 경험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변수이다.

    다. 노령장애인의 사회적 경험

    노령 장애노인의 노화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변화와 사회적 역할변

  • 27

    제2장 이론적 고찰

    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먼저 지체장애인들은 노화로 인하여 사

    회적 지지의 변화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지적되었다. 지체장

    애인의 경우 노화의 과정에 따른 연령상의 변화를 통해 지지체계의 변

    화를 경험하게 된다. 즉 배우자나 일차부양자가 사망하게 되는 등의 변

    화를 경험하게 되며 이러한 손실은 인생에 큰 위기가 된다. 또한 그들

    의 지원체계는 양적, 질적 측면에서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노령

    장애노인들의 유형적 지지와 무형적 지지의 변화 및 손실은 심각한 위

    기를 야기할 수 있다(Krause, 1996; Krause & Anson, 1997).

    McColl과 Rosenthal(1994)은 장애발생 후 15년 이상 되었고 45세

    이상인 척수손상장애인들과 심층면접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들은 참여자

    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변화는 노화, 노화에 대한 걱정, 성공적인

    노화의 유용한 자원과 관련된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또한 적절

    한 사회적 지지의 부족과 부적절한 재정적 자원이 장애인들의 노화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하였다. 즉 노화로 인한 변화 중 사회

    적 지지체계의 변화는 장애인들에게 중요한 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Iwakuma(2001)는 일본내 27명의 남성과 3명의 여성척수장애인의

    노화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에서 일차부양자의 사망 등으로 인한 사

    회적 지지체계의 변화가 큰 위험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그러나

    동료장애인들과의 유대는 장애인들의 노화경험을 위한 중요한 자원임을

    지적하였다. 그는 연구결과 6가지 주제를 제시하였다. 첫째, ‘시간에 따

    라 변화하는 손상’이었다. 둘째, 응답자들은 자신들의 신체가 노화관련

    변화에 어떻게 적응할지 염려하지만, ‘다른 노령 장애인들과의 접촉’으

    로부터 피드백을 받게 된다고 응답하였다. 다른 사람들이 노화에 적응

    하는 것을 보면서 젊은 장애인들은 미래에 대처하게 된다. 셋째, 장애

    인들은 자신들이 ‘비장애인들과 다르게 노화를 경험’한다고 느낀다. 넷

    째, 많은 응답자들은 ‘이전에 장애로 인한 경험’ 때문에 노화의 영향을

  • 28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더 잘 준비하게 된다고 응답하였다. 다섯째, 응답자들은 자신들의 ‘가족

    특히 배우자에 대하여 염려’하였는데, 그들의 케어에 상당히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들의 배우자가 노화되면서 신체적 변화를 경험함에

    따라, 자신들에게 의미하는 변화에 대해 염려한다. 끝으로, ‘비장애인에

    비해 신체적 기능감퇴에 대해 덜 두려워한다’는 것이다.

    즉 사회적 지지의 측면에서 보면 노년기에 가족 특히 배우자의 죽음

    은 큰 위기가 될 수 있음을 지적할 수 있는데, 그들의 보호에 많은 부

    분을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령장애인들은 주변의 동료들에

    게서 얻게 되는 정보와 가족의 지지가 중요한 자원이 됨을 알 수 있다.

    동료들을 통하여 미래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정보를 얻게 된다.

    사회적 지지와 함께 주목될 수 있는 변수는 사회적 역할 상실이다.

    Scheer와 Luborsky(1991)는 소아마비장애인 세명을 대상으로 노화에

    대하여 민속지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그들이 보고하는 노화

    과정에서의 중요한 문제는 의료적으로 정의된 상태 보다는 사회적 역할

    과 미래에 대한 목표의 조기상실이었다. 이 연구는 장애인들의 노화를

    이해하는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다. 노화를 경험하는 장애인의 경우

    노화 과정 속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역할상실이 가장 심각한 문제이며

    이로 인하여 삶의 목표를 상실하게 되는 문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Pentland 등(1999)의 경우에도 장애인의 노화에 따른 역할상실의 문

    제를 중요하게 지적하였다. 여성장애인들은 그들의 연령에 따라 변화하

    는 신체와 이것이 자신들의 사회적 역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

    해 우려한다고 하였다. 사회적 역할 상실은 필요한 보호에 접근하지 못

    하게 하여 결국 시간에 따라 더욱 건강문제가 증가하게 되는 요인이 됨

    을 지적하였다. 즉 사회적 역할상실은 비장애인의 노화과정에서 경험하

    는 심각한 문제이면서 지체장애인에게도 주관적 삶의 질을 위협하는 위

    기요인이 됨을 알 수 있다.

  • 29

    제2장 이론적 고찰

    라. 노인성 장애인과 노령장애인의 비교

    Verbrugge & Li-shou(2002)는 장애발생시기에 따라서 20세 이전

    장애가 발생한 사람들과 20세 이후 장애가 발생한 사람들을 비교하여

    연구하였다. 아동기 발생장애인의 경우 성인기 발생장애인보다 더 많은

    ADL, IADL 관련 장애를 가지고 있었지만, 사회적 참여정도는 성인기

    발생 장애인보다 더 높았다. 건강상태는 양 집단 모두에게 어려운 요인

    이 되었으며, 양 집단 모두에게 사회참여를 저하시키는 요인이었다. 그

    러나 아동기발생장애인들은 성인기발생 장애인에 비해 자신들의 건강상

    태를 더 양호하게 언급하였으며 건강의 부정적 영향을 덜 경험하는 것

    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발생 노령장애인의 경우 더 많은 기능장애를

    가지고 있었으며, 건강상태도 부정적일 가능성이 높지만, 건강상태에 대

    한 주관적 인식과 사회참여정도는 더 높았다. 이는 오랜기간 장애인으

    로 살아오면서 신체적 기능변화에 적응하였기 때문에 신체적 기능변화

    가 사회참여에 큰 영향은 미치지 않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노인성 장애인의 특성4)

    노인이란 육체적, 정신적으로 그 기능 및 능력이 감퇴되어 가고 있는

    시기에 있는 사람으로 생활기능을 정상적으로 발휘할 수 없는 사람을

    의미한다.

    장애를 가진 노인의 문제는 이중적으로 어려운 생활문제로 존재하며

    노인질환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노인 특유의 질병을 갖는다 ② 동

    시에 여러개의 질병을 갖는다 ③ 증상이 없거나 경과가 비전형적이다

    ④ 질병에 대한 위험인자와 관련이 약하다 ⑤ 의식장애를 일으키기 쉽

    4) 김정화, 제3회 RI KOREA 의료분과 세미나, 2008. 자료를 활용하여 정리함.

  • 30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다 ⑥ 속발증과 합병증이 잘 생긴다 ⑦ 수분과 전해질의 균형을 깨드리

    기 쉽다 ⑧ 약물에 대한 반응이 청장년과 다르다 ⑨ 여러 약물을 복용

    한다 ⑩ 노인병의 증상은 원인이 다발성이다 ⑪ 의식장애와 정신증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⑫ 사회‧경제적 요인이 중요하다 ⑬ 젊은 사람에

    비해 발생율이 높고 질병의 합병증 및 후유증에 더 고생한다 ⑭ 구축과

    욕창을 합병하기 쉽다. 또한 노인의 문제는 사회적 역할이 상실되고 이

    로 인한 수입의 감소가 초래되며 노화로 인한 건강약화로 유병장수하고

    노인부양의 책임이 가정에 있는 우리나라는 가족의 변화로 노인부양기

    능이 약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노인성장애인들은 다음고 같은 어려움을 가지게 된다. 첫

    째 노후 사회경제생활, 노인부양, 노인건강 등 매우 넓고 다양하지만 이

    중에서도 기본적인 신체기능의 유지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나라

    노인성 장애인들의 상당 부분이 수단적 일상생활 수행능력(IADL)이나

    일상생활수행능력(ADL)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둘째, 감각 및 인지장애

    로 인한 소외감을 겪고 있다. 즉, 60세 이후부터 장애출현율이 매우 높

    아지며 지체장애, 청각장애, 시각장애로 인한 어려움을 겪게 되나, 경제

    적 부담이나 전문적인 서비스의 제약 등으로 제대로 치료를 받지 못하

    고 있다. 우리나라 노인성 난청의 유병률은 37.8%이며, 노인성 난청의

    문제점은 사회에서의 소외, 건강상의 문제, 자신감 결여, 실생활에서의

    불편감 등이다. 셋째, 부양형태의 변화로 인한 노인과 세대간의 갈등이

    있다. 경제성장과 산업화사회로 인한 핵가족화로 인하여 부양형태가 변

    화되어 노인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인부양은 전통적인 가족부양의식

    의 변화로 노인부양에 부담을 갖게 되어 많은 노인들이 시설로 가게 되

    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넷째, 부양가족의 문제이다. 우리나라는 장애

    노인의 부양을 전적으로 가족이 전담하고 있는데, 노인성장애인의 만성‧

    퇴행성 질환의 특성상 장애정도에 따라 보호 내지는 수발이 장기간 필

  • 31

    제2장 이론적 고찰

    요하며 문제행동에 주의와 관심을 기울여야 하기 때문에 가족의 부양부

    담은 매우 크다. 가족의 심리적 부담, 재정과 경제상의 부담, 건강상의

    부담, 장애노인과의 관계 악화 등으로 가족생활의 변화가 생기게 되고,

    이러한 변화에 부양자와 가족이 적절하게 적응하지 못하면 가족이 스트

    레스를 경험하게 되어 가족의 생활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장애노

    인의 보호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심하면 노인학대, 유기, 죽음에

    까지 이르게 할 수 있어 과중한 부양부담의 경감을 위한 방안의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성장애인의 문제에 대해 소극적인 방

    안만을 강구하고 있을 뿐 가족에게 장애노인의 보호와 부양을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 대상의 재가서비스가 부족한 상황에서

    장기적이고 집중적인 장애노인 보호‧부양을 제공하여 가족부양에 따른

    어려움을 완화시켜주는 것이 노인복지의 중요 관심 영역이 될 것이다.

    제2절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의 서비스 연계

    1. 연계의 개념

    국내외의 선행연구에 따르면 연계(network)란, 대체로 연결(linkage),

    협력(cooperation), 조정(coordination), 협동(collaboration) 등의 개념

    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먼저 협력이란 “기관 혹은 사람들이 단순히 함께 일하는 것”을 말하

    는 것으로 여기서는 관련된 사람들에게 책임을 거의 요구하지 않으며

    최소한의 자원만을 투입하고 자원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둘째, 조정이란 협력보다는 복잡한 과정으로서 “기관들간에 정보를

  • 32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공유하고 공동계획의 수립을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여기서는 관련된

    사람들에게 일부의 공식적인 책임만을 요구하며 최소한의 변화를 이끌

    게 된다. Neugeboren(1985)는 조직간 조정이란 “공통의 목적을 달성하

    기 위해 필요한 보충적인 자원을 두 개 이상의 자율적인 기관들이 자발

    적으로 교환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Hasenfeld와 English(1983)은 “사

    회복지 관련조직간 조정(interonganizational coordination)이란 두 개이

    상의 조직들간에 나타나는 다양한 상호작용으로서 조직의 목표를 강화

    하기 위해 계획된다”고 하였다.

    셋째, 협동이란, “자원과 힘, 권위가 공유되고 한 사람 혹은 단일한

    기관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공동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람들이 함

    께 일하는 조직간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관련된 사람들이

    주요한 공식적인 책임을 공유하며 새로운 자원을 투입하고 새로운 체계

    를 이끌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Daka-Mulwanda et al.m 1995;

    Franklin & Streeter, 1995; 김재엽‧박수경, 2001:111).

    이와 관련하여 Bruner(1991)는 협동(collaboration)을 구성하는 3가

    지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 첫째는 관련 기관들간에 공동의 목적과 방향

    을 설정하고 이에 동의하는 것이고, 둘째는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

    해 책임을 공유하는 것이며, 셋째는 각 협력자들이 전문성을 발휘하여

    공통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함께 일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또한 Gray(1989:5)는 연계를 하나의 협동적 과정(collaborative

    process)으로 규정하고 협동이란, “특정 문제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을

    갖는 사람들이 건설적으로 그들의 상이점을 밝혀내고 각자가 가지고 있

    는 한계를 뛰어넘어 함께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연계의 용어는 조정 혹은 협동이라는 말로 자주 쓰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연계한다”는 말은 기관간 관계의 목적

    과 정도에 따라서 “조정한다” 혹은 “협동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 33

    제2장 이론적 고찰

    있는 것이다(박미은,2002). 본 연구에서는 위에서 제시된 개념 중 ‘조

    정’의 개념에 기반한다.

    2.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의 서비스연계

    가.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의 문화적 차이

    노인영역과 장애영역의 서비스 연계노력 논의시 두 영역의 문화적 차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Eustis, 2000; Torres-Gil & Putnam, 2005;

    Zolar, 1988). 문화적 차이의 일차적 영역은 서비스 전달체계 철학의

    차이, 장애에 대한 신념차이, 장애와 노년의 사회구조에 대한 신념차이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문화적 차이는 노인과 청년장애인 간, 혹은 청년

    장애인과 노령장애인 간 이데올로기의 차이에 대한 논쟁을 둘러싸고 있

    다(Dijikers, Whiteneck, & El-Jaroudo, 2000; Kane & Kane, 2001;

    Simon-Rousinowitz, Bochanik, Mahoney, Marks, & Hect, 2000).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의 문화적 차이를 몇 가지로 요약하여 제시하면,

    먼저 노인영역의 장애노인들은 ‘장애’라는 용어를 잘 사용하지 않는 경

    향이 있다. 예를 들어 법적으로 청력손실이 있거나 혹은 휠체어를 사용

    하게 된 80대의 노인들은 자신을 장애인으로 정의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유사한 문제를 경험하는 65세 이하의 장애인

    들의 경우 자신을 장애인으로 정의하는 경향이 있다. 즉 양 집단의 장

    애정체성에서 주요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둘째, 노령장애인들의 경우 서비스 영역에서 자기옹호를 더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장애서비스 영역의 사회적 모델에 따른 장애운동이

    강조되는 경향과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노인 영역의 경

    우 장애영역에 비해 의료적 보호가 강조되는 분위기이다.

    셋째, 장애영역의 경우 노인영역에 비해 전문가들의 중재와 개입을

  • 34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더 불신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장애영역에서의 당사자주의의 확산과

    관계가 있다. 노인영역의 경우 장애영역에 비해 전문가의 역할이 더 강

    조되는 편이다.

    넷째, 장애영역의 경우 노인영역에 비해 지역사회통합을 강조하며, 대

    중교통수단, 공공시설물 접근성, 보조기구의 지원을 주장한다. 노인영역

    의 경우 상대적으로 지역사회통합을 덜 강조하는 편이다. 또한 시설보

    호에 대해서 장애영역에 비해 더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는 편이다. 위의

    두 영역의 비교고찰이 절대적이라 할 수는 없으나, 두 영역의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노화와 장애 서비스 네트워크 간의 문화적 차이가 전문적, 실용적,

    정책적 장벽이 되고 있다(Campbell, 1997; Torres-Gil & Putnam,

    2004). 노인영역과 장애영역의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서비스 연계노력은

    두 영역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이 될 것이다(Berkobien

    & Davis, 2000). 물론 이상에서 언급한 내용은 전체적인 경향의 차이

    일 뿐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전체적인 문화적 경향의 고찰

    은 두 영역의 서비스 연계를 위하여 중요한 정보가 될 것이다.

    나.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의 서비스 연계 저해 및 촉진요인

    Putnam(2002)은 미주리 주의 발달장애인, 지체장애인, 노인 실무자

    를 대상으로 서비스 네트워크 촉진요인 및 저해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

    행하였다. 미주리 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13.5%로 전국 자료의

    12.4%보다 다소 높은 것이다(U.S Census Bureau, 2005). 미주리 주

    의 경우 다른 지역과 유사하게 노인성장애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Area Aencies on Aging, Centers for Independent Living,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offices 등의 기관이 활동

  • 35

    제2장 이론적 고찰

    하고 있다. Putnam(2002)은 미주리 주의 발달장애인, 지체장애인, 노인

    서비스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57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아래의 과 같이 연계 촉진요인 및 저해

    요인에 대한 주제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 연계 저해요인으로는

    조직특성으로 행정적 제한, 인식의 차이가, 동맹유지 측면에서는 허약한

    협력구조, 제한된 전문적 투자가, 환경측면에서는 상이한 서비스 아젠다

    및 철학이 포함되었다. 반면 서비스 연계 촉진요인으로는 조직특성 측

    면에서 행정적 지원, 인식유사성이, 동맹유지측면에서는 강력한 협력구

    조 및 전문적 투자가, 환경측면에서는 잠재적 파트너의 공통흥미 및 자

    원 등이 포함되었다.

    〈표 2-1〉노령화된 장애인 네트워크 저해요인 및 촉진요인

    저해요인 촉진요인

    조직특성

    ◦ 행정적 제한

    - 직원의 참여가능성 - 참여시간 - 조직의 사명고수◦ 인식차이

    - 타 영역에 대한 지식제한 - 최근 소비자 이슈에 대한 지식부족 - 타 영역 소비자에 대한 편견

    ◦ 행정적 지원

    - 조직의 지원/조직의 오리엔테이션 - 기관의 잠재적 협력파트너 발굴◦ 인식유사성

    - 타영역 소비자에 대한 지식 및 인식 - 각 영역 소비자의 욕구공통성 인식

    동맹유지

    ◦ 허약한 협력구조

    - 강력한 리더쉽 부재 - 열악한 협력 행정조직 - 이해당사자 참여접근성 제한◦ 제한된 전문적 투자

    ◦ 강력한 협력구조

    - 강력한 협력 리더쉽 - 이득이 정의된 협력 - 강력한 조직구조 - 협력에 대한 재정지원◦ 강력한 전문적 투자

    - 전문가들의 협력에의 투입 - 조직과 소비자의 협력노력

    경험- 협력조직이 목적에 저해가 됨- 과거의 협동노력의 성과부족

    환경

    - 재정경쟁과 소비자경쟁- 상이한 서비스 아젠다- 상이한 철학

    - 잠재적 파트너의 공통흥미- 잠재적 파트너의 지식 및 자원- 낮은 협력 위험부담

  • 36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다.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의 성공적인 서비스 연계방향

    1)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needy person에서 needs로)

    Putnam(2002)은 장애영역과 노인영역의 문화적 차이를 극복하기 위

    한 대안으로 두 영역의 문화적 변화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아래에서

    그 견해를 종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노인영역과 장애영역은 서로 매우 다르고 양자 간 갈등도 있다. 장애

    서비스는 노인서비스에 비해 소비자주도와 자기결정 프로그램을 더 강조

    하는 편이다. 또한 장애의 문제를 개인의 선천적 결함이 아닌 개인과 환

    경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이해한다. 따라서 개인에 대한 개입과 함께

    환경 및 사회적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중요하다. 반면 노화서

    비스는 의료적 모델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으며, 개인의 결함이나 손상

    에 초점을 두고 개인능력향상을 위한 구조화된 개입을 강조하는 편이다.

    두 영역은 어떻게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 서비스연계노력을 활성화할

    수 있을 것인가? 이는 문화적 변화를 통하여 성취될 수 있다. 즉 욕구

    를 가진 개인(needy person)에서 욕구(needs)로의 관점변화가 중요하

    다. 즉 개인의 특성에서 욕구를 평가하여 개입전략을 모색하는가(개인의

    범주화), 욕구특성(욕구의 범주화)에 기초하여 개입전략을 모색하는가에

    따라 매우 다른 프로그램이 구성될 수 있다. 개인에 대한 초점을 두었

    을 때, 연령, 성별, 장애유형, 등에 주목하게 되며 개인의 진정한 욕구

    는 배제될 수 있다. 반면에 욕구에 초점을 두며 욕구를 가진 모든 이들

    을 폭넓게 포함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욕구에 초

    점을 두었을 때 연령, 장애, 고용특성과 무관하게 빈곤, 교육, 고용, 의

    료적 사회적 서비스, 주거지원, 이동, 잠재적인 프로그램 기회 제공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괄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욕구에 초점을

    두게 되면 불필요한 서비스경쟁으로 인한 비효율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 37

    제2장 이론적 고찰

    사실 우리는 장애에 대한 정의와 노화에 대한 현재의 정의가 실용적

    인지에 대해 다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연령은 공공정책에

    서 판별의 명확성 때문에 유용한 지표가 된다. 연령 척도의 하한선은

    의무교육, 범죄책임성, 계약 및 결혼능력, 술 구입, 자동차 운전, 선거

    등에서 유용한 지표가 된다. 이는 또한 퇴직연령, 의료보험에서 유용한

    지표가 된다. 그러나 연령기준을 배식, 점심프로그램, 도시락 가정배달

    프로그램, 지역사회 여가센터 프로그램에 사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

    의 여지가 있다.

    우리는 20세기에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방식에서 문화적 혁명을 경험

    하였다. 즉 사회복지서비스의 생산품은 범주화되고 전문화되었다. 그러

    나 이제 청년, 중년, 노년 장애인을 위한 장기보호에 대한 사회복지 사

    고에서 유사한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다. 즉 문화적 변화를 통하여 욕구

    (needs)에 초점을 둔 영역 간 서비스 연계노력이 필요하다.

    2) 성공적 서비스 연계를 위한 핵심요소

    Ansello 등과 Wood(1997) 및 Janicki & Ansello(2000)은 발달장

    애인 서비스 네트워크와 노인 네트워크 간의 연계사례에 기초하여 성공

    적 서비스 연계를 위한 핵심요소를 구조적 요소, 필수요소, 유지요소로

    구분하여 설명하였다.

    가) 성공적 서비스연계를 위한 구조적 요소

    먼저 성공적 서비스연계를 위한 구조적 요소는 이 수준 협력, 아웃리

    치, 능력형성을 포함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 38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① 이 수준 협력(Bi-level Collaboration)

    성공적 연계를 위하여 상위수준(정부, 지자체)과 풀뿌리 수준의 이

    수준 협력이 전제되어야 한다. 미국의 경우 많은 주(예를 들어 뉴욕, 메

    릴랜드, 버지니아, 플로리다, 텍사스)에서 장애 및 노인영역 서비스연계

    를 공식적 문서로 인정하였다. 주정부 수준에서 노인부서와 발달장애부

    서는 상호협력을 증진하기 위한 동의되어 서명된 각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동의는 시간적으로 제한이 있으며, 이후의 행정부서에

    의해 망각되는 경우도 있다. 즉 공공정책에서 그러한 지자체의 행동은

    실제적이기 보다는 상징적인 경우가 많다. 플로리다의 경우는 예외인데,

    Aging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ragency Effort(ADDIE)

    는 주정부의 세 개 부서 간의 협력을 위한 동의 뿐 아니라 훈련프로그

    램과 컨퍼런스를 지원하며, 부서 직원들이 상호 간에 업무접촉을 하는

    실제적인 수단으로 기능하였다. 지역(local) 수준에서는 Area Planning

    과 Services Commitee(APSC)가 연계를 지원하였다. 플로리다 프로젝

    트는 이를 Florida Local Action Group(FLAG)로 부르며, the North

    Carolina Task Force on Aging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는

    주정부 범위로 가능하며 여러 지역사회에 소집단을 만들었다. 이러한

    집단들은 APSC로서 행동한다. 이러한 이 수준 연계는 문제해결을 위

    한 공조분위기를 만드는데 도움이 된다.

    ② 아웃리치

    고령발달장애인과 그들의 가족보호자들 중 휴먼서비스 시스템에서 배

    제된 경우가 있다. 따라서 고령 발달장애인을 보호하는 나이든 가족 보

    호자들은 자신의 노화와 자녀의 노화를 이중적으로 경험하게 되며, 외

    부의 지원 없이 스스로 지역사회 안에서 기능하는 법을 배우게 된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현재 이러한 지역사회생활 패턴을 유지할 수 있

  • 39

    제2장 이론적 고찰

    도록 도와줄 지원이다. 여러 주의 APSC는 가족보호자들에게 가장 중

    요하며 필요한 세 가지 R을 중요하게 고려한다. 즉 그들이 자신들의 보

    호를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인정(recognition), 강화

    (reinforcement), 믿을만한 자원(reliable resources)이다. APSC는 이웃

    리치를 수행하여, 기대되는 이용자들에게 정보를 보낼 수 있게 하며, 이

    들 이용자로부터 정보를 수집할 수 있게 한다. 또한 APSC는 노인 발

    달장애인과 가족의 지역사회생활 유지와 관련된 다양한 지역사회자원을

    제공하는 이벤트 개발을 주도하고 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③ 능력형성(Capacity Building)

    APCs는 노령장애 영역의 주요 참여자의 지식과 기술형성을 위한 다

    양한 수단에 참여하는데, 그것은 노인소비자와 가족보호자가 자기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며(Janicki & Ansello, 2000), 직

    접서비스 제공자가 의미 있는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다. APSCs는 일상

    적인 수단이 노령장애인 영역의 원리에 대한 지식과 기술개발에 매우

    효과적이라는 것을 밝혔는데, 노인영역과 장애영역의 관련 문제들, 즉

    시스템의 역사, 용어정의, 철학, 실천초점, 재정흐름, 서비스 우선순위,

    지역사회자원에 관하여 노인영역 및 장애영역 간 상호훈련; 노인소비자

    와 가족보호자의 현재 서비스, 법, 기회에 관하여 자기옹호훈련; 노인센

    터 등의 서비스에 통합지원; 구체적인 주제관련 지지집단 구성(예를 들

    어 평생계획, 신탁, 대안적 의사결정)등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매우 효

    과적이었던 대안은 상호 간 미니 인턴쉽 프로그램이었다. 인턴십 프로

    그램은 인턴에 의해 목적이 제시되며, 특정한 시간동안(대부분 2일이나

    4일 동안) 상호적으로 인턴십프로그램을 진행한다(Ansello & Coogle,

    2000).

  • 40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나) 협력의 시작 및 유지를 위한 필수적 요소

    체계 간 협력은 다른 체계의 강점과 약점을 노출시키며, 성공적인 서

    비스를 위해 필요한 신중한 계획을 만들어낸다. 그러나 어떻게 협력을

    시작할 것인가? 아래의 내용이 시작을 위해 필수적이다.

    ① 중간 연계자(Neutral Broker)

    많은 사례(뉴욕, 메릴랜드, 켄터키, 앨라배마, 로드아일랜드, 플로리다)

    에서 서비스연계노력은 직접서서비스 전문가, 노년학자, 장애학자들의

    기득권 없는 개인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성공적 연계의 일반적 특성은

    중간 연계자이다. 장애학자 및 노년학자들은 인턴, 실습학생, 연구자, 평

    가자를 위한 훈련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② 스파크(spark)

    성공적인 연계노력에는 현상유지를 넘어서 체계 간 협력과 옹호를 위

    하여 노력한 사람들이 있다. 이러한 열심당원들은 초기에 모임이 이루

    어지도록 도화선의 역할을 한다.

    ③ 구체적인 문제(Specific Problem)

    스파크를 일으킨 사람은 다른 사람들보다 분명하게 어떤 장벽이나 문

    제가 합의된 노력을 통하여 극복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한 사람이다.

    조기 노화를 경험하지만 아직은 젊어서 노인서비스 대상이 아니거나,

    연령이 증가하면서 장애서비스에서 배제되는 사람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문제의 사례가 될 것이다.

  • 41

    제2장 이론적 고찰

    ④ 보상(Incentive)

    스파크는 다양한 조직의 사람들이 협력의 잠재적 이득을 볼 수 있게

    한다. 이들은 소비자의 선택권 확대, 공유된 자원, 전문적 기술에 대한

    자유로운 접근, 기관의 미래 계획 등을 포함한다.

    ⑤ 초점(Focus)

    성공적인 연계는 즉각적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작은 발걸음에서 시작

    되는 경향이 있다.

    ⑥ 목적(Objective)

    성공적 서비스연계는 특정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목

    적이 없다면, 서비스연계는 결국 초기의 열정을 소진하게 될 것이다.

    ⑦ 공식적 승인(Approval in Writing)

    개인적 차원에서 열변을 토하는 방식의 연계노력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활동은 상급자에 의해 공유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으며, 기관에 의한 계약을 대리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

    다. 만약 이러한 열정적인 실무자가 기관을 떠나거나 책임이 변화된다

    면, 어떤 일이 발생하겠는가? 조직의 공식적 승인을 통한 활동은 성공

    적 연계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다) 연계의 지속적 요소

    연계를 유지하는 5가지 요인을 제시하면 아래와 같다.

    ① 주인의식(Ownership) : 구성원들은 연계를 자신의 것으로 보아야

    한다. 주인의식은 지속성을 이끌어낸다.

  • 42

    장애노인 서비스 연계방안 연구

    ② 적합(Fit) : 실천적 수준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