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fs 강연 140425_v2

Post on 09-Aug-2015

57 Views

Category:

Marketing

2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창의시대의 통역 / 번역사의 역할그리고 창의적 사고 하기

2014. 4. 26(Sat)

써클커넥션 대표이사 이정우

prologue – John, I’m hungry

분위기도 무겁고 재미도 없고감동도 없고

그냥쉽게 갈게요 ..

아랍어과 간다고 했을때 들었던 어떤 어머님의 한마디

밥은 벌어먹고 살겠늬 ?

먹고살더군요

심지어우리 누님없이는

두바이도 굶어죽을 기세

요기서 지냈어요

질문나갑니다

여담이지만이런 것만 잘 알아도남자분들…소개팅 때 좋습니다

통역사 /번역사가 ( 아직까지 )꼭 필요한 이유

제 생각에

아직은 집단지성이 세련되지는 않더군요( 최근 집단 지성은 많이 세련되어짐 )

‘ 발번역’ 도 넘쳐나고 있으니…

인간의 뇌가 온라인에 연결되는이런 세상이 열리면 또 모르겠지만

그렇다고 오고 있지 않은 것도 아닙니다

컴퓨터 , 인터넷 ,IT 가 하지 못하는 영역은틀림없이 있습니다만

인터넷 , 컴퓨터 , 집단지성은점점 진화하고 있죠

여러분 ‘직업’을조금씩압박해 오고 있다는 것

극단적으로 말하면

인간의 역할즉 , 통역 / 번역사의역할이 강해지려면( 경쟁력이 있으려면 )결국

이 문제를 해결해야 되지 않나 싶습니다

세계최고의 검색회사 구글도 해결하지 못한 문제

다음 중 시원하지 않은 것은 ?

‘ 잘했다’와 ‘잘 ~ 했다’의 차이 ?

과거의 통역 / 번역이언어를 전환하는 과정이었다면

앞으로의 통역 / 번역은 Context 를 전환하는 과정이 되지 않을까 ?

조심스러운

예측이라 ..

결국 문맥 , 그 이야기의 미묘함 , 뉘앙스를 알려면 내가 번역하고 통역하고자 하는 해당 국가의 ‘문화’ 에 대하여 아는 것이 대전제

타문화를 알면서 내가 속한 문화와의 차이를알아 가는 과정

그것이 창의적 사고의 시작

문화의 차이를 알아가는 것이 왜 창의성의 시작인가 ?

차이를 이해한다는 것 = 호기심

호기심을 가지는 것= 평범하던 것도 새로운 시각으로 봄

제가 생각하기에

우리나라는 안 그런데 저 나라는 왜 그럴까 ?

아 저 나라 사람들은 이럴 때 이런 말을 쓰고저럴 때 저런 말을 쓰는 구나

아 저 나라 언어는 이런 뜻을 기본으로 하고 있구나

저 말을 모르면 무슨 뜻인지 전달 할 수 없겠구나언어가 가지는 재미도 전달하지 못하겠구나

궁금해하면 할 수록 언어의 깊이는 깊어진다

Eligere선택하다 ( 라틴어 )

Eligere + ium ( 장소 )

Elysium 선택받은 자들이 사는 곳

멘붕

멘탈 ( 영어 )+

붕괴 ( 한국어 )

‘ 멘붕’이라는단어가 생긴

프로세스를 알아야‘ 멘붕’ 이 이해가 간다

모하메드는 몇살이에요 ?

84 년생이요응 ? 26 살이 아니고 ? 푸핫 !

친밀도가 3 점 상승하였습니다

차이를 발견했다설명하고 싶어졌다 (= 호기심이 생겼다 )그 차이를 설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그 나라의 말의 뉘앙스와 문화를 자동으로 해석하며설명할 수 있다

결국 , 커뮤니케이션이 더 진하고 명료해진다오류가 적어지고 , 실수가 줄어든다결국 , 커뮤니케이션 비용이 줄어든다정확한 정보를 제공한다

좋은 통역 ( 번역 )이다

좋은 통역과 번역은

그렇게출발하는 것이아닐까요

그럼 어떻게 하면창의력을높일 수 있을까요 ?

통역과 번역을 하는 여러분들은 창의적 사고를 더 많이 할 수 있는사람들입니다

수집되는 정보의 양 자체가 다르거든요

언어를 배운다= Resource 가 넘쳐나는 상황

시도와 습관

결론은

모공의 확장

그리고

무엇을 시도하고 무엇을 습관화 할 것인가 ?

영상보고가실게요

‘ 만약’ 이라는 호기심에서 시작한 재미있는

곧 끝남

Epilogue - 인생에 대한 새로운 시각

감사합니다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