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폐기물 광역 처리시설 본격 가동pdf.jejuilbo.net/2019/12/24/20191224-03.pdf ·...

Post on 17-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종합 32019년 12월 24일 화요일 | 제22345호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이하 센터)가 계획

된 지 7년여 만에 모든 공사를 마무리하고

본격 가동된다.

제주도는 26일 센터의 매립시설 및 소각시

설 준공식을 개최한다고 23일 밝혔다.

센터 준공은 2012년 폐기물처리시설 확충

입지선정계획 결정공고일로부터는 약 7년 3

개월, 착공일로부터는 약 3년 6개월 만에 이

뤄진 것이다.

센터 조성에는 사업비 2058억원이 투입

됐다. 센터는 지난 3월 준공된 불연성 폐기

물 매립시설과 가연성 폐기물 소각시설 등으

로 구성됐다. 센터의 매립시설은 약 15만㎡

면적에 242만㎡의 불연성 폐기물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조성됐으며 소각시설은 하루

500t의 가연성 폐기물을 소각할 수 있는 규

모로 조성됐다.

제주도는 이번 센터 준공으로 가연성 생활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모두 소각 처리하게

되면서 친환경 폐기물 처리체계를 갖추게 됐

다고 설명했다.

다만 제주도는 안정적인 소각시설 운영과

기존 소각장의 미처리 물량 반입으로 인한

일시적 과반입을 방지하기 위해 기존 소각장

에서 처리하지 못 한 가연성 폐기물은 다음

달 부터 반입할 계획이다.

제주도는 또 소각시설에서 발생하는 열을

활용해 연간 9만㎿의 전기를 생산·판매함으

로써 연간 106억원의 수익을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간 9만㎿의 전기 생산량은 도내 가정당

연평균 전기사용량을 감안할 때 연간 2만

5000가구가량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이와 관련, 박근수 제주도 환경보전국장은

“기존 소각시설 노후 및 용량 초과로 가연성

폐기물이 소각되지 못하던 운영상의 불가피

함을 센터 준공으로 해소하게 됐다”며 “제주

도의 미래를 위해 협조해 주신 인근 마을 주

민들에게 감사의 말씀들 드린다”고 말했다.

현대성 기자 cannon@jejuilbo.net

생활폐기물 광역 처리시설 본격 가동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준공

계획 후 7년여·착공 3년반 만

친환경·안정적 처리 토대 마련

제주시 화북상업지역 도시개발사업 체

비지 중 호텔용지가 또 팔리지 않았다.

23일 제주시에 따르면 호텔용지를 포함

한 화북상업지역 도시개발사업 체비지 총

13필지에 대한 2차 매각을 지난달 29일 공

고한 후 이날 입찰을 마감한 결과 11건이

접수됐다.

그런데 호텔용지는 매각 예정가격이 전

체 체비지 중 가장 비싼 478억여 원으로 입

찰 보증금(예정가 5%)으로 미뤄 응찰자가

없는 게 확실시되고 있다. 이로써 호텔용지

는 1차 매각 공고 당시 2차례 유찰에 이어

이번 2차 매각까지 사실상 모두 3차례 팔

리지 않았다.

호텔용지는 1만9432㎡에 가격이 500억

원 안팎인 만큼 매입 부담이 크기 때문으

로 풀이된다.

나머지 체비지는 대규모 상업용지 2필지

와 일반상업용지 10필지다.

제주시는 24일 개찰을 진행한 후 빠르면

다음 달 2일부터 유찰 체비지에 대한 2차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유찰 및 나머지

체비지에 대한 3차 매각은 내년 3~4월 이

뤄질 전망이다. 앞선 1차 매각에서는 체비

지 14필지 중 9필지가 매각됐다.

제주시 관계자는 “호텔용지는 2차 매각

공고기간 중 관련 문의가 3건 정도 이어지

는 등 매각 가능성은 충분하다. 다른 용지

매각도 순조롭다”고 말했다.

김현종 기자 tazan@jejuilbo.net

478억 화북 호텔용지 매각 불발

제주시, 상업지역 개발사업 체비지 2차 매각…응찰자 없어

서귀포시는 조건불리 수산직불제 지급 대

상 어가를 확정하고 1593어가에 10억3600

만원을 지급했다고 23일 밝혔다.

조건불리 수산직불제는 올 상반기에 1754

어가가 신청했다.

서귀포시는 이행점검 기간과 검증을 거쳐

161어가를 제외한 1593어가를 확정했다.

올해 지급 금액은 지난해 1283어가·7억

6900만원에 비해 어가수는 24%, 금액은

35% 증가했다. 한국현 기자 bomok@jejuilbo.net

수산직불제 10억3600만원 지급

서귀포시는 한국환경공단이 주관한 전국

지방자치단체 대상 영농폐기물 수거실적 달

성 평가에서 수거등급제 운영 등이 높은 점

수를 받아 우수 지자체로 선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서귀포시는 올해 영농폐기물 3719t(폐비

닐 3528t, 농약용기 191t)을 수거·처리했다.

한국현 기자 bomok@jejuilbo.net

제주시는 내년 3억9800만원을 들여 스포

츠강좌 이용권 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

혔다.

이 사업은 국민체육기금과 복권기금, 지방

비를 활용해 저소득층 유‧청소년에게 스포

츠강좌 수강료로 월 8만원을 지원하는 내용

으로 오는 27일까지 대상자 모집이 진행되

고 있다. 김현종 기자 tazan@jejuilbo.net

서귀포, 영농폐기물 관리 우수 선정

제주시 스포츠강좌 이용권 사업 추진

총선 브리핑

총선 예비후보 출사표

고병수 정의당 제주특별자치도당위

원장(55·사진)이 23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제주시 갑 선거구 예비후보로 등록

해 본격적인 표밭갈이 행보에 나섰다.

고병수 예비후보는 탑동365의원 원

장, 새로운사회를여는연구원 이사장,

정의당 제주도당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고 예비후보는 “당선된다면 어려운

제주 지역경제를 살리는 것을 최우선

과제로 삼을 것”이라며 “‘녹색 경제’를

기치로 제주를 보존

하면서 경제를 살

릴 방법을 고민하겠

다”고 강조했다.

이어 “더불어민

주당에서 16년 동

안 제주지역 국회의

원을 싹쓸이했지만 경제 활성화나 도민

갈등 해소에 미진한 모습을 보였다”라

며 “제주의 새로운 정치지형을 만들어

도민이 원하는 제주의 미래를 그릴 것”

이라고 피력했다.

현대성 기자 cannon@jejuilbo.net

임효준씨(47·사진)가 23일 제21대 국

회의원선거 제주시 갑 선거구 예비후보

로 등록해 본격적인 선거전에 뛰어들었

다.

임효준 예비후보는 한국청년회의

소(JC) 홍보 및 대외정책 과장을 지내

고 제주매일 등에서 기자로 근무했다.

2007년부터 현재까지 오마이뉴스 시민

기자로도 활동하고 있다.

임 예비후보는 “제주와 제주인의 존

엄을 위해 도민의 이름으로 선거에 나

서고자 한다”라며

“당선된다면 지방

분권 완성과 고도

의 지방자치 실현

을 위해 노력할 것”

이라고 출마의 변을

밝혔다.

이어 “제주특별자치도의 주인은 도

지사가 아닌 도민이라고 생각한다”라

며 “제가 정치를 통해 특별자치도의 의

미와 가치를 도민들께 말씀드리고자 한

다”고 강조했다.

현대성 기자 cannon@jejuilbo.net

“‘녹색 경제’ 기치…도민 원하는 미래 그릴 것”

“제주의 주인은 도민…고도의 지방자치 실현”

고병수(정의당·제주시 갑)

임효준(무소속·제주시 갑)

먹잇감 찾는 말똥가리   23일 제주시 애월읍 광령저수지에서 말똥가리가 나무에 앉아 먹잇감을 찾고 있다. 임창덕 기자 kko@jejuilbo.net

<정당·가나다 순>

<매립·소각>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가 26일부터 본격 가동된다. 사진은 제주환경자원순환센터 전경.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