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누구인가 -...

Post on 29-Aug-2019

5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나는 누구인가?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학습성과

• 자아개념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교류분석, 기능분석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 자기개방과 조해리창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 자기이해의 중요성을 알고, 내가 보는 나, 남들이 보는 나, 되고 싶은 나를 확인하여 자신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자아개념

• 인간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

가운데 하나는 개인의 자아개념이다.

• 자아개념, 자아, 자신, 자아지식, 자아정체감,

자기이해, 자아상, 자존감, 현상적 자아 등과

동의어로 쓰인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자아가 발달하는 네 단계

자아에 대한 평가는 자신이 아닌 의미있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행해진다.

평가는 반복되는 패턴을 가지게 되어 자아로 통합된다.

영아는 평가에 맞추어 반응을 하기 시작한다.

각 발달단계에서 자아는 재평가를 위해 개방되어 있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자아개념

• 정체성

– 옛날 앨범을 들여다보면서 느끼는 일차적 이미지

• 자존감

– 그 이미지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느끼는가 하는 것

• 정체성과 자존감은 의사소통 방법에 중요

한 요인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1

자존감

능력에 대한 자신감

2

3 4

자기결단에 대한 자신감

도덕적 선에 대한 자신감

일체감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교류분석

• 교류분석 이론은 정신의학자 ‘에릭 번’에

의해 처음 세워졌고, 객관적으로 자기를

분석하는 훌륭한 이론들 중에 하나임.

• ‘사람을 만나고, 관계를 이루는 것을 교류

’라고 하며, 사람들간의 교류방법을 알아

보는 것이 교류분석(Transactional

Analysis)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자아상태 ※ TA의 개발자 에릭 번은 사람들마다 3가지 자아상태(P-A-C)를 갖고 있어,

어떤 자아상태가 주도하느냐에 따라, 또한 이 3가지가 어떻게 균형을 이루고

있느냐에 따라, 조직생활이나 가정생활에서 균형 있게 행동할 수 있음

어버이 (P)

성인 (A)

어린이 (C)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부모자아

• 출생시부터 약 5세 까지의 어린 시절에 부모나 부모 대리인과 같은 정서적으로 중요한 인물과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상호작용을 함으로써 발달하는 성격의 부분임

• 일종의 학습된 생활개념(윤리, 도덕, 규범, 지시) • 비판적 부모 자아: 훈계하고, 벌주고, 거절하고, 승인하

지 않고, 어린이에게 불편과 불안한 감정을 줌 • 양육적 부모 자아: 어린이를 도와주고, 지원하고, 안심

시키고 보호해주며, 보살펴주고, 칭찬하고, 안락하게 하고, 자주적이며, 창조적이고, 친절하게, 사려깊게 되도록 안정성을 제공함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부모자아(CP) Critical Parent

당연하지, 결코~, 시키는 대로 해, 말도 안 되는 소리, 그건 나쁘다, 혼날 줄 알아,

질문하지 마, 방해하지 마, 바보야

언어적 의사소통

이맛살을 찌뿌리고, 손짓하면서 비난하고, 눈을 위로 치켜뜨고, 허리에 손을 얹고, 팔짱

을 끼고, 성급하게 콧방귀를 끼는 행동

비언어적 의사소통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부모자아(NP) Nurturing Parent

해드리지요, 힘을 내세요, 걱정하지 마세요. 두려워하지 마, 너는 할 수 있어, 착한 사람

이 되어라.

언어적 의사소통

어깨를 두드려 주거나, 용기를 북돋아주는 미소를 머금은 표정

비언어적 의사소통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성인자아(A) Adult

6하 원칙을 전달하는 언어, 옳다, 그르다, 가능성이 있다, 조사해보자, 원인을 찾아보자,

통계에 의하면, 내 의견은

언어적 의사소통

손가락으로 무엇인가 가르키고, 관심을 나타내고, 경청하고, 냉정한 표정을 짓고, 자신만

만한 얼굴표정을 짓는 것

비언어적 의사소통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어린이 자아(C) Child

엄마, 하고 싶어, 난 몰라, 상관없어, 내가 더 크면, 최고로, 이것 좀 봐, 나 예쁘지요?

언어적 의사소통

고개를 갸우뚱하고, 기쁨의 표정, 장난치기, 손톱 깨물기, 킬킬거리는 것, 실컷 먹고, 재미

있게 놀고 하는 것

비언어적 의사소통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망상

편견

자아상태의 오염

• P, A, C의 자아상태가 균형을 이루지 못하고 서로의 경계 속으로 침범하여 혼란을 일으킬 때를 말한다. • P로부터의 A의 오염, C로부터의 A의 오염과 P와 C로부터의 A의 이중 오염

1

2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기능분석

• 이고그램을 통한 자기분석

• 자아상태가 일상생활의 실제 장면에서 어떻

게 기능을 발휘하느냐를 분석해보는 방법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이고그램을 통한 자기분석

비판적 부모 자아(CP)

• 강: 나는 아이들이나 부하에 대하여 엄하고, 시간이나 금전에 대하여 엄격하고, 과오를 용서하지 못하는 편이다.

• 약: 나는 주위 사람에게 후하며, 책임을 그다지 추궁하지 않고, 완벽주의를 추구하지 않는 편이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양육적 부모 자아(NP)

• 강: 나는 아이들이나 다른 사람들을 보살피는 것을 좋아하고, 어려운 형편에 있는 사람들을 도와주거나 위로하는 것을 좋아하는 편이다.

• 약: 나는 다른 사람을 돌보거나, 헤아려주거나, 동정하는 것을 싫어하는 편이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성인 자아(A)

• 강: 나는 현상을 관찰하거나 분석하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타인의 의견을 참고로 하여 냉정한 결정을 내리는 편이다.

• 약: 나는 다른 사람들의 의견에 끌려 다니거나 즉흥적으로 행동하며, 비능률적인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편이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자유 어린이(FC)

• 강: 나는 감정을 자유로이 표현하고, 말하고자 할 때 자유롭게 표현하는 편이다.

• 약: 나는 내가 하고 싶은 말이나 감정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하는 편이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순응적 어린이(AC)

• 강: 나는 무리를 해서라도 부모의 말이나 다른 사람의 기대에 부응하려고 하며, 다른 사람이 마음에 걸려 내 주장을 제대로 펼치지 못하는 편이다.

• 약: 나는 내 자신이 가치 있다고 믿으며, 나를 희생시키지 않으면서 일하려고 하고, 진정한 나를 살리면서 생활하는 편이다.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1) 자기부정-타인긍정(I’m not OK, You’re OK)

• 유아는 부모의 애정 어린 인정자극들을 경험하므로 타인에 대한 긍정성을 인정한다. 그러나 욕구충족에 있어 거의 무능한 상태에 있으므로 타인과 비교하여 많은 좌절을 겪는다.

• 유아가 좀더 자발적이고 싶어서 취하는 입장으로 부모의 인정자극이 점점 줄고 긍정적인 보살핌도 없어지며, 어린이가 보잘것없는 자아 영상을 지니게 되며, 타인과 주위 세계에 대해 적의와 성난 감정을 지닌다.

2) 자기부정-타인부정(I’m not OK, You’re not OK)

네 가지 생활자세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3) 자기긍정-타인부정(I’m OK, You’re not OK)

• 부모와 타인으로부터 어린이가 무시를 당하거나 비난을 받으면, 어린이는 자기주위 모든 사람에게 불신을 가지게 된다.

• 어린이-부모 상호작용의 결과로 생활초기에 형성되며, 의식적, 합리적, 언어적, 건강하고 희망찬 자세이다.

4) 자기긍정-타인긍정(I’m OK, You’re OK)

네 가지 생활자세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자기개방

• 자기 자신의 여러 가지 신체적인 조건, 능력, 생각, 감정, 태도, 가치관 등

모든 것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이해해야 한다.

1) 자기이해

• 자기 자신의 신체적 조건이나 생리적 현상, 자신의 느낌, 생각, 행동,

가치관, 성격, 자신이 처한 상황 등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태도

2) 자기수용

•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다른 사람에게 내 보이는 것

• 개인이 의식적으로 언어적 혹은 비언어적 수단을 통하여 자신의 생각,

감정, 경험 등 자신에 관한 정보를 타인에게 알려주는 것

3) 자기개방(자기노출 self-disclosure)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Johari Window

2. 남에게만 알려진 영역 1. 자기 자신 및 남에게 알려진 영역

4. 자기 자신 및 남에게 알려지지 않은 영역

3. 자기 자신에게만 알려진 영역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1) 개방된 영역(공개적 부분)

• 나도 알고 다른 사람들도 아는 나의 모습임(이름, 성별, 직업, 가족사항)

개방된 영역이 클수록 공감대가 형성됨

• 다른 사람들은 잘 알지만 나는 잘 모르는 나의 모습임(나의 이상한 습관이나 버릇, 특이한 성격, 어울리지 않는 복장, 헤어스타일, 촌스러운 옷차림), 상대방은 나의 감정이 상할까 봐 나에게 어떠한 말을 해 주기를 주저하므로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함

2) 지각하지 못하는 영역(눈먼 영역)

Johari Window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3) 감춘 영역(비공개적 부분)

• 나는 잘 알지만 다른 사람들을 잘 모르는 나의 감취진 모습임(나의 비밀, 몰래 지은 죄, 내가 특별히 무서워하는 것)

• 나도 모르고 다른 사람들도 모르는 자신의 모습(충격적인 경험이나 심리치료를 받은 경우), 아하 경험임

4) 알려지지 않은 영역(미지적 부분)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 자기개방도 없고 상대방에게 피드백되는 정보도 없는 유형

- 상대방에게 자기 개방은 많이 하지만 이에 대해 상대에게서 정보를 얻지 못하는 유형

- 자기개방을 하는 체하지만 실제로는 자기 선전형과는 반대로 자기개방은 거의 하지 않고 상대방의 정보를 얻는 데에만 급급한 유형

- 주도적으로 자기를 개방하고 자신을 개방한 만큼 상대의 정보도 피드백을 받아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해 나가는 유형

2) 자기 선전형

인간관계 유형

1) 고립형

3) 신중형 4) 개방형

Johari Window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1) 고립형

• 인간관계에 소극적, 혼자 있는 것을 즐김, 고립된 생황 - 고집이 세고, 주관이 강함 - 부적응적인 삶 -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태도가 필요

• 기분과 의견을 잘 표현, 자신감, 솔직성 - 타인의 반응에 무관심, 둔감하여 독단적 - 타인의 말에 귀를 기울이는 노력이 필요

2) 자기 선전형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3) 신중형

• 타인에 대해 수용적, 자신에 대해서는 함구 - 내면적인 고독감 - 현대인의 유형 - 넓고 깊은 교류가 필요

• 인간관계 원만, 적절한 자기표현, 타인에 대한 경청, 타인과의 친밀성 - 말이 많고 주책, 경박성

4) 개방형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정리

• 자아개념, 정체성, 자존감 용어 정의

• 교류분석, 기능분석

• 자기개방과 조해리창

• 자신의 유형을 찾아보기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참고문헌

1. 안효자 외.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경기도 : 수문사,

2013.

2. 이광자. 의사소통과 간호. 서울 : 신광출판사, 2001

3. 이경순 외. 인간관계와 의사소통. 서울 : 현문사, 2012.

4. 이미형. 인간관계론 실습. 서울 : 현문사. 2002.

5. 임숙빈 외. 쉽게 배우고 실천하는 간호실무 의사소통.

서울: 엘스비어 코리아, 2012.

건양대학교 의과대학 간호학과

효율적인 의사소통

다음시간에 배울 내용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