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사, 해외투자 늘려 공급과잉-‘성장절벽’...

Post on 16-Jul-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8 2016년 11월 2일철강 1

철강사들의 해외 현지 공장들의 수익구조 개

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최근 실적을 발표

한 포스코의 경우 해외 첫 고로인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포스코가 3분기 흑자로 전환했지

만 올 상반기 4000억원이 넘는 손실을 기록하

는 등 고전을 면치 못했다. 동국제강과 합작한

브라질 CSP제철소에서도 큰 손실이 발생했고

중국에 진출한 현지 법인들도 상반기 가격 급

등에도 적자를 보는 등의 실적 부진을 면치 못

했다.

◇ 포스코 동국 등 해외 현지공장 상반기 가

격 급등에도 손실

포스코는 국내 철강사 중 글로벌 시장 확대의

선봉장에 나선 독보적인 기업이다. 이구택 전

회장 시절 원료 확보를 위해 투자한 로이힐 광

산을 비롯해 정준양 전 회장, 권오준 현 회장까

지 이어진 자동차강판 현지 생산공장 등 해외

계열사 및 공동투자 기업은 총 73개에 달한다.

이 같은 투자로 포스코는 이미 글로벌 철강사

대열에 들어섰지만 실적은 좋지 못하다. 특히

상반기 글로벌 철강 가격 급등에도 불구하고 주

요 현지 법인들의 적자가 이어졌다.

올 상반기 기준 포스코의 해외 법인 73개 사

중 71%인 52개 법인이 당기순손실을 봤다. 그

규모는 2조원에 육박한 1조9760억원에 달했다.

21개 기업이 흑자를 냈지만 그 규모는 2726억

원에 불과했다. 해외 첫 고로 진출로 주목받은

인도네시아 크라카타우포스코는 3분기 흑자

로 전환했지만 상반기 4224억원의 손실을 봤

다. 20%의 지분을 투자한 브라질 CSP제철소

는 7219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CSP에 30%의 지분을 투자한 동국제강의 경

우 7183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이를 포함한 6

곳에서 총 8008억 원의 손실을 입었다. 대표적

인 중국 공장인 무석장강박판유한공사와 유니

온스틸차이나 역시 각각 754억원, 91억원의 손

실을 봤다.

◇ 멈출 수 없는 해외확장… 국내 공급과잉

성장한계 극복 세아그룹

포스코, 동국제강과 같은 핵심 기업조차 해외

사업에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지만 국내 기업

들의 해외 진출은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

한 대안으로 꼽히고 있다. 특히 미국 주도의 반

덤핑(AD) 등 글로벌 각국의 무역규제 강화, 국

내 공급과잉 심화와 철강 수요 부진 등이 계속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세아제강이 미국 휴스턴 소재의 OMK

TUBE 인수를 위해 협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

이 대표적인 사례다. 국내 강관 수요는 감소하

고 공급과잉은 심화되고 있다. 여기에 각국 무

역규제 등에 따라 수출이 타격을 받으면서 현

지 기업 인수로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세아제강의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은 2조1917

억원으로 전년 대비 10.7% 감소했다. 금액으로

는 2615억원이 증발했다. 이는 국내 강관 수요

부진도 문제지만 수출 감소가 직격탄이 됐다.

실제 한국철강협회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강

관 수출은 218만t으로 전년 대비 42.4%나 급

감했다. 줄어든 물량만 160만t에 달했다. 올해

1~3분기 수출도 143만t에 그쳐 전년 동기 대비

15.3%(26만t) 감소했다.

철강사, 해외투자 늘려 공급과잉-‘성장절벽’ 넘는다

포스코 등 철강사 해외사업 고전

상반기 제품가격 급등에도 손실

포스코의 자동차강판 해외 생산 공장포스코의 자동차강판 해외 생산 공장

법인명

POSCO-MEXICO 1CGL

POSCO-MEXICO 2CGL

광둥포항기차판유한공사

POSCO-Maharashtra

POSCO-TCS

중경포항중강기차판유한공사

소재지

멕시코 알타미라시

멕시코 알타미라시

중국 광동성

인도 마하라슈트라주

태국 라용주

중국

준공

2009.6월

2013.11월

2013.4월

2012.5월

2016.8월

미정

생산능력

40만t/년

50만t/년

45만t/년

45만t/년

45만t/년

45만t/년(예정)

포스코, 순손실 2조원 규모

수익구조 개선대책 마련 시급

포스코 해외 주요 법인 '16년 상반기 손실 현황

법인명

해외 출자법인 총 73개 기업 중 52개사 손실 1조9760억원

CSP - Compania Siderurgica do

ROY HILL HOLDINGS PTY LTD

PT.KRAKATAU POSCO

Zhangjiagang Pohang Stainless Steel Co., Ltd.

POSCO SS-VINA

POSCO Maharashtra Steel Private

Nickel Mining Company SAS

POSCO ASSAN TST STEEL Industry

POSCO-China Holding Corp.

POSUK TITANIUM

취득일자

'11.08

'10.01

'10.08

'97.02

'10.05

'09.03

'06.06

'11.03

'03.11

'11.02

출자목적

브라질 상공정 CSP 합작투자

해외원료확보

철강 제조 및 가공

중국내 STS 생산 및 판매

철강재 제조 및 판매

인도내 냉연 및 자동차강판 생산기지

해외 원료 확보

터키 STS시장 진출

철강투자

티타늄 Ingot 확보

당기순손실-7,219

-4,927

-4,225

-1,164

-1,140

-805

-457

-293

-287

-225

포스코, 동국제강, 세아제강 등 주요 철강사

들이 생존을 위한 해외 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포스코가 해외에 처음으로 지은 크라카타우

포스코(PT-KP) 제철소에 열연 등의 하공정 설

비 건설에 추가 투자를 준비하는가 하면 세아

그룹 차원에서는 세아제강의 현지 기업 인수에

관심을 두고 있고 세아특수강은 포스코와 손

을 잡고 해외 합작사 설립에 속도를 내고 있다.

2010년 이전만 해도 철강사들의 투자는 시장

확대의 의미가 컸다. 하지만 최근에는 생존을

위한 의미가 짙어졌다. 투자의 형태도 현지 기

업 인수와 국내는 물론 다국적 기업과의 합작

으로 다양해졌다.

글로벌 입지를 굳힌 포스코의 투자는 상공정

에서 하공정 증설로 방향이 잡혔다. 해외 첫

고로인 크라카타우포스코 제철소에 열연 등

의 하공정 증설을 발표했다. 추후 시장 상황에

따라 냉연도금공장까지 투자도 예견되고 있

다. 주력인 자동차강판 공장 투자도 꾸준히 진

행하고 있다. 8월 태국에 POSCO-TCS(45만t,

3345억원)를 완공한 데 이어 중국 현지에는 중

경강철과 합작 형태로 중경포항중강기차판유

한공사(45만t, 493억원/지분 51%) 설립을 진행

하고 있다.

동국제강은 가장 최근인 올해 6월 브라질

CSP제철소를 완공했다. 현재는 초기 사업의

조기안정과 국내 후판공장에 고급 슬래브 소

재를 들여오기 위한 선급 인증을 연내에 완료

할 예정이다. 슬래브 사업이 성공적으로 안착

되면 열연 등의 하공정 건설도 논의될 가능성

이 높을 것으로 업계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다

만 지분 투자를 함께 한 브라질 발레(50%), 포

스코(20%)와의 협의가 필요한 만큼 비교적 긴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세아그룹은 세아제강이 미국 등 현지 강관사

인수, 세아특수강이 포스코와의 해외 합작사

설립에 힘을 쏟고 있다. 세아제강은 최근 미국

현지 러시아계 강관사인 OMK튜브 인수를 위

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세아특수강은 포스코와 작년 11월 태국

에 포스-세아 태국(POS-SeAH Steel Wire

Thailand) 선재 공장 건설을 시작, 7월 완공했

고 10월 본격 가동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세아와 포스코가 각 75%, 25%의 지분을 갖고

총 2400만 달러(약 280억원)를 투자했다. 포스

코는 선재 소재 공급을, 세아특수강은 전반적

인 운영을 각각 맡아 자동차시장을 공략한다.

앞서 세아특수강은 포스코와 중국 톈진에 포

스세아선재유한공사(POS-SeAH Steel Wire)

선재 공장을 건설, 2014년 10월부터 가동에 들

어갔다. 철강사들의 이 같은 투자는 국내 공급

과잉과 성장의 한계를 극복하는 차원에서 이

뤄지고 있다. 현대제철은 고로 건설 이후 열

연, 후판, 냉연도금 등 판재류 시장 점유율을

범 현대가의 자동차, 조선, 건설을 중심으로

대폭 넓혔다. 최근까지 투자가 이어지고 있는

특수강 투자로 관련 시장 점유율도 크게 높아

질 전망이다. 포스코는 이미 주력 시장이 자동

차강판을, 동국제강은 핵심이었던 후판 시장

에서 밀리게 됐다. 이제는 세아그룹 텃밭이었

던 자동차용 특수강 시장까지 위협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글로벌 각국의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반덤핑(AD) 등 무역규제에 적극적으로

나서면서 현지 공장 건설과 인수를 통한 현지

화 전략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저성장을 먼저 경험했던 일

본의 경우, 현재 우리나라 철강사들이 추진했

던 합작 등을 통한 현지화 전략에 나서왔다”며

“자체적인 구조조정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

만 기업 성장 차원에서는 해외 공장 건설, 인수

등이 다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말했다.

김종혁 기자 jhkim@

크라카타우포스코 제철소에

열연 등 하공정 설비 추가 투자

6월 브라질 CSP제철소 완공

연내 슬래브 공급 인증 완료

미국 현지 러시아계 강관사

OMK튜브 인수 협의 진행

● 포스코

● 동국제강

● 세아제강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