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 그 이상의 가치, 친환경 급식” · 2015. 2. 26. ·...

Post on 25-Mar-2021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토론회] 성남 친환경 학교급식 현황과 과제

“상상 그 이상의 가치,

친환경 급식”

일시 | 2012년 10월 22일(월) 오후2시~3시 30분

장소 | 성남시청 3층 한누리

주최 |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3

목차

Ⅰ.� 토론회 진행계획 5

Ⅱ.� [주발제]� 배옥병 (서울시교육청 친환경무상급식 자문위원장)

� � � 희망의 밥상

� � � -� 먹거리 불안 위기의 먹거리!� 이제 희망을 만들어요 -

7

Ⅲ.� [제안토론1]� 이성윤 (수원시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센터장)

� � � � 수원시 친환경 급식지원센터의 사례와 제언29

� � � [제안토론2]� 박미진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담당주무관)

� � � � 경기도 교육청 학교급식 정책과

� � � � 학교습식지원센터 운영현황

39

� � � [제안토론3]� 양미화 (성남교육희망네트워크 운영위원장) 57

� � � [제안토론4]� 이윤우 (성남시의회 의원) 61

� � � [제안토론5]� 김해숙 (성남시의회 의원) 65

Ⅳ.� [소개]

� � � � 지방의제21과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69

Ⅴ.� [참고자료]�

� � � � 2012� 전국 급식지원센터 유형별 사례발표 대회 중 발췌79

4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5

토론회 진행계획

시 간 내 용

사회 : 유일환 (성남의제21 녹색사회경제위원)

13:30~14:00 접 수

14:00

개회

개회 사회자

14:00~14:05 인사말 한선미 성남의제21 녹색사회경제위원회 위원장

14:05~14:10 내외빈소개

14:10

좌장 유인상 성남의제21 상임회장, 가천대 교수

14:10~14:30

주발제 배옥병서울시교육청 친환경무상급식 자문위원장

(사)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 상임대표

14:30~14:35

제안토론

이성윤 수원시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센터장

14:35~14:40 박미진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담당주무관

14:40~14:45 양미화 성남교육희망네트워크 운영위원장

14:45~14:50 이윤우 성남시의회 의원

14:50~14:55 김해숙 성남시의회 의원

14:55~15:10 질의응답 및 상호토론

15:10~15:20 정리발언

15:20 폐 회

6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7

주발제.

희망의 밥상

먹거리 불안 위기의 먹거리! 이제 희망을 만들어요.

배 옥 병

✱ 서울시교육청 친환경무상급식 자문위원장

(사)학교급식전국네트워크 상임대표

8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9

10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11

12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13

14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15

16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17

18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19

20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21

22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23

24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25

26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27

28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29

제안토론1.

수원시 친환경급식지원센터의

사례와 제언

이 성 윤

✱ 수원시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센터장

30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31

급별전체현황 급식 실시 현황

비고학교수 학생수 직영 위탁 계

학교수 학생수 학교수 학생수 학교수 학생수초 93 72,752 93 72,752 - - 93 72,752중 54 46,184 53 45,322 1 782 54 46,104 비조리 3교

고 41 51,283 34 40,811 7 9,148 41 49,959비조리 3교, 외부운반 2교

특수 2 294 2 294 - - 2 294계 190 170,513 182 159,179 8 9,930 190 169,109

급별 자체조리교수

영양(교)사 현황 조리사 및 조리원 현황 비고교사 영양사 계 교특지원 수익자부담 계초 93 39 54 93 296 355 651중 51 16 35 51 51 336 387고 36 14 22 36 42 441 483 위탁 3교

특수 2 2 2 4 0 4계 182 71 111 182 393 1,132 1,525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수원시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의 사례와 제언

수원시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센터장 이성윤

1. 수원시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의 현황

❐ 수원시 학교급식 일반 현황

자료 : 수원 교육지원청(2012)

❐ 수원시 학교급식 인력 현황

자료 : 수원 교육지원청(2012)

32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구분(지원대상) 학교수 인원수 단가

(원) 지급일 지원액(천원)시비 교육청 계

유치원(만5세) 173 6,974 2,300 200 1,405,842 1,405,842 2,811,684 초등학교(전학년) 93 72,659 2,300 190 15,823,396 15,823,396 31,646,792 중학교

(2~3학년) 54 31,428 3,000 190 8,792,670 8,792,670 17,585,340 대안학교 1 62 2,950 190 34,751 -  34,751

계 321 112,808 26,056,659 26,021,908 52,078,567

구분 내용명칭 Ÿ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설치 근거

Ÿ 학교급식법 제5조 4항④ 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자치구의 구청장은 우수한 식자재 공급 등 학교급식

을 지원하기 위하여 그 소속하에 학교급식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

Ÿ 수원시 학교급식지원조례 제11조의2① 시장은 우수한 식재료 공급 등 학교급식을 지원하기 위하여 수원시 학교급식

지원센터(이하 "지원센터"라 한다)를 설치·운영할 수 있다.

개소일 Ÿ 2012.03.19.인력 현황 Ÿ 센터장 1명, 팀장 2명

Ÿ 교육청소년과 계약직

주요 업무

Ÿ 학교, 교육지원청, 교육청과의 업무협의

Ÿ 친환경 무상급식 추진준비 및 단계별추진 검토(친환경 식재료 공급체계 구축)

Ÿ 학교급식 정책 마련 및 운영 방안 모색

Ÿ 학교급식 관련 교육 및 홍보

Ÿ 식생활교육 진행

Ÿ 시군 학교급식센터 간 업무 협의 및 발전 방안모색

위치 Ÿ 수원시 평생학습관 4층(팔달구 우만동 소재)

❐ 수원시 무상급식 추진 현황

자료 : 수원 교육지원청(2012)❐ 수원시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현황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33

2. 친환경학교급식지원센터 연구용역 결과

❐ 연구용역의 명칭

수원시 친환경급식방안 연구

❐ 연구용역의 기간 : 2012. 5. 14. – 2012. 8. 13

❐ 연구용역의 내용

❍ 수원시 학교급식 현황 분석

❍ 수원시 학교급식 식재료 조달 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수원시 친환경무상급식 식재료 조달체계 개선방안 도출

❍ 조달체계 개선 과제 및 단계별 조달체계 제안의 방향

❐ 연구용역의 결과

❍ 학교급식지원센터의 기능

- 정책ㆍ기획ㆍ교육 등 소프트웨어적 기능이 중심이 되는 컨트롤타워형

- 지자체의 책임성을 높이는 행정직영형 센터

- 행정자치 ­ 교육자치의 협력, 민 ­ 관 공동의 거버넌스 체계 강화

❍ 수원형 학교급식지원센터 업무

- 수원 친환경 식재료 지원정책 및 사업 확정, 집행

- 수원 친환경 무상급식 식재료 품질기준 수립

- 식재료 유형별 공동구매 조직화, 공급자 선정

- 교육, 홍보, 연구ㆍ조사 사업 진행

❍ 조달체계 개선 방안

- 단기적으로는 물류기능을 배제하고 광역별 물류체계 이용

- 중장기적으로 권역별 물류센터 설치 운영

3. 현재까지 추진 상황

❐ 친환경 학교급식 거버넌스 구축

❍ 수원시교육청, 학교장, 영양(교)사회, 급식운동본부, 식생활교육네트워크,

학부모회, 학교급식소위원회, 생산자단체, 공급자단체, 협동조합 등 급

식거버넌스 협력체계 추진

- 월례 정규포럼 진행(공공급식포럼): 관련단체 주제별 토의

- 학교급식소위원회 지역별 포럼 및 설명회 추진

- 수원급식운동본부, 식생활교육수원네크워크 회의에 참여하여 급식센터

활동보고 및 공동사업 협의

❍ 시교육청 평생교육건강과 급식계와 월1회 이상 정규월례회의 운영(시교

육지원팀, 급식지원센터 주관)

34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 경기교육청, 시교육청학부모지원센터, 수원영양사협회, 교장단협의회 방

❍ 수원시의회와 공동연구용역 진행 및 정책 토론회 진행

❍ 센터 활동 현황

∙3/08 수원식생활교육네트워크 창립에 기여

∙4/09 천일초 교장 현장 협의

∙4/17 호매실초 김영란 영영교사(수원영양사회 회장) 방문 협력강화 요청

∙4/18 신성초 박연수 영영교사 방문 협력강화 요청

∙5/03 시교육청 평생교육건강과 이연숙계장 업무협력 결정

∙5/08 시교육청 학부모지원센터 노경훈 학부모지원전문관 협력 결정

∙5/10 천천초 학교급식 현장 방문 김상원 영양교사(수영회부회장) 협의

∙5/16 수원시교육청 급식계와 급식지원센터 월례회의

∙5/24 경기도농림진흥재단 도농교류팀 협력강화 협의

∙8/23 수원시교육청 급식계와 급식지원센터 월례회의

∙9/25 수원시의회와 급식지원센터 급식관련 정책토론회 진행

❐ 학교급식 발전을 위한 소통체계 활성화

❍ 월1회 공공급식포럼 개최 운영

❍ 시민단체, 학교운영위원, 생활협동조합, 생산지작목반, 식생활교육네트

워크, 영양사 등이 모여 학교급식 전반에 관한 토론

❍ 센터 활동 현황

∙4/17 학교급식전달체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농촌경제연구원 국승용박사)

∙5/30 경기도 친환경 식자재 전달체계 개선 방안(경기도교육청 박미진주무관)

∙6/12 공동구매 사례를 통한 학교급식 개선방안(성북구급식센터 이빈파센터장)

∙7/13 학교급식이 아이의 미래를 바꾼다(EBS 김광호피디)

∙8/23 친환경무상급식과 공공급식의 현황과 과제(배옥병 전국급식네트워크대표)

∙8/30 영양교사직무교육: 방사능과 음식(김익중 동국대의대교수)

식품첨가물의 거짓과 진실(소혜순 식새왈교육서울네트워크 대표)

∙9/25 영양교사직무교육: 방사능과 음식(김익중 동국대의대교수)

❐ 지역별 친환경급식지원센터 네트워크 형성 및 선진지 벤치마킹

❍ 경기지역 급식지원센터 네트워크 논의

❍ 경기지역, 성북구청 등 선진지 벤치마킹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35

❍ 센터 활동 현황

∙3/14 경기지역 급식네트워크 모임

∙3/22 성북구청 수산물 공동구매 심사회 현장 방문

∙4/10 고양시 급식지원센터 현장 방문

∙4/12 안양 서초등학교 정명옥 영양교사 현장 방문

∙4/20 시흥시 급식지원센터 현장 방문

∙5/07 노원구청 급식센터팀 쌀ㆍ김치 품평회 벤치마킹

∙5/08 성북구청 급식지원센터 벤치마킹

∙5/29 당진시 학교급식지원센터(물류센터) 방문

∙5/29 화성시 농산물유통센터 및 학교급식지원센터 벤치마킹

∙7/12 경기도교육청 친환경무상급식 식자재구매개선 TF수련회

❐ 생산자, 생산지 현장협의 및 식자재 조달현장 방문을 통한 지역조달체

계 검증

❍ 지역생산지 및 생산자(작목반) 현장 방문을 통한 식자재 조달 협의

❍ 경기친환경농업인연합회, 광교산작목반, 농업기술센터, 시농정팀 협의

❍ 센터 활동 현황

∙3/28 경기도 친환경 농업인 연합회 방문 지역조달체계 협의

∙4/10 수원시농업기술센터 방문 협의

∙4/13 수원시 경제정책과 농업정책팀 방문 협조요청

∙4/28 도시농업네트워크 참여/광교산마을기업(대표 최융선) 협의

∙5/08 광교산작목반(대표 이찬성)/광교산마을기업(대표 최융선) 방문

∙8/29 수원원예농협 현장방문 전처리시설 방문

∙8/30 양평지방공사 전처리시설 방문

❐ 식생활교육 진행

❍ 학생, 급식소위원회 학부모, 영양교사 대상 식생활교육 실시

❍ 지역생산지, 가공단지, 식생활교육전문가 강의를 통한 체험 및 교육

❍ 식생활교육 학부모 전문가 양성과정 교육실시

❍ 센터 활동 현황

∙6/13 황곡초등학교 어린이 농촌체험(모내기) 행사실시

∙7/13 학교급식소위원회 학부모 대상: EBS 김광호PD 강연회

∙8/30 수원시 영양교사 직무연수 식생활교육 실시

∙9/06 ~ 11/29 수원시 안전먹거리지원단 양성교육 과정 진행중

∙10/5,12 수원시 초등학교 4개 학급 농촌체험 활동 진행 (양평, 화성, 수원)

36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4. 제언

❐ 센터 구성을 위한 체계 구축하여야 한다.

❍ 거버넌스 체계로서의 센터 추진위원회 구성

❍ 정책 지원을 위한 테스크포스(TF) 구성

❐ 제도적인 정책 지원을 시행하여야 한다.

❍ 조례 개정과 시행규칙 마련 : 센터 운영위원회, 분과위원회, 학교급식

심의위원회 등 급식지원센터의 운영과 관련한 사안에 대해 구체화

❍ 예산 확보 : 센터 운영 경비 및 사업비

❐ 친환경 급식을 위하여 성남시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

❐ 아이들의 미래를 위하여 지역사회의 의지를 표명하고 함께 친환경 급

식을 만들어 가야 한다.

❐ 기타 사항

❍ 학교급식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학교급식 시설에 대한 개선이 필요

5. 마무리하며

서양속담에 "I am what I eat"라는 말이 있습니다. '내가 먹는 것이 나'라는

뜻입니다. 먹는 것이 나라는 존재와 정체성을 결정한다는 이야기입니다. 학

교급식은 정견과 사상, 종교 등의 차이를 넘어 우리의 미래를 만들어 가는

일입니다. 오늘 이 자리를 통하여 우리 아이들의 행복하고 건강한 밥상을 만

들어 가는 길에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37

38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39

제안토론2.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 정책과 학교급식지원센터 운영 현황

박 미 진

✱ 경기도교육청 학교급식기획담당 주무관

40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41

42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43

44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45

46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47

48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49

50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51

52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53

54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55

56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57

제안토론3.

양 미 화

✱ 성남교육희망네트워크 운영위원장

58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59

60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61

제안토론4.

이 윤 우

✱ 성남시의회 의원

62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63

64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65

제안토론5.

김 해 숙

✱ 성남시의회 의원

66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67

68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69

지방의제21과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소개

70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71

72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73

74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75

76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77

78 성남 친환경급식 현황과 과제 토론회

성남의제21실천협의회 79

참고자료

TEL 031-752-2010 FAX 031-751-2110

www.snag21.or.kr snag21@chol.com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