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Post on 14-Jan-2015

1.491 Views

Category:

Education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DESCRIPTION

연구를 인정받는다는 차원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저널 선택 시 참고하는 척도 중 하나는 바로 저널 임팩트 팩터입니다. 이 글에서는 저널 임팩트 팩터의 역사, 저널 임팩트 팩터를 산출하는 방법, 저널 임팩트 팩터를 사용하는 이유, 저널 임팩트 팩터에 의존할 시의 장단점, 그리고 대안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TRANSCRIPT

저널 임팩트 팩터

연구는 홀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 연구가 영향력을 가지고 , 연구자들이 더 큰 연구 공동체에 기여하고 , 또 이를 통해 배움을 얻기 위해서는 연구 결과를 공유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이는 주로 연구와 그 결과를 주제에 관련된 저널을 통해 발표하는 행위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따라서 각자의 분야에 종사하는 젊은 연구자들은 같은 분야의 동료들에게 인정받을 수 있도록 많은 독자들에게 논문을 읽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 이를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1) 여러분이 작성한 논문의 포맷 ( 예 : 리뷰/ 증례보고 / 원저논문 ) 에 맞는 저널을 선택하는 것과 (2) 여러분의 논문을 가장 많은 독자들에게 보여줄 수 있는 저널을 선택하는 것이 그것입니다 .

연구를 인정받는다는 차원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저널 선택 시 참고하는 척도 중 하나는 바로 저널 임팩트 팩터입니다 . 이 글에서는 저널 임팩트 팩터의 역사 , 저널 임팩트 팩터를 산출하는 방법 , 저널 임팩트 팩터를 사용하는 이유 , 저널 임팩트 팩터에 의존할 시의 장단점 , 그리고 대안들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이 글의 마지막에는 온라인 참고 자료 링크를 첨부했습니다 .

2

서론

유진 가필드 박사는 과학정보연구소 (ISI) 의 창립자이자 명예교수입니다 . 임팩트 팩터라는 개념은 가필드 박사가 1955 년 < 사이언스 > 에 발표한 논문에서 처음 제시되었습니다 . 60 년대에 셰어 (Sher) 와 가필드가 과학인용색인 (SCI) 이 저널을 선정하는 데 사용할 “저널 임팩트 팩터”를 창시했습니다 . 1975 년 ISI 는 SCI, 그리고 사회과학인용색인 (SSCI) 의 일부로서 < 저널 인용 보고 >를 발간하기 시작했습니다 .

3

역사

4

저널 임팩트 팩터란 무엇인가 ?

저널 임팩트 팩터란 특정 주제에 대해 저널이 가진 영향력을 양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테크닉입니다 . 이는 또한 각 저널간의 차이점을 비교하는 도구로도 쓰입니다 . 임팩트 팩터는 특정 기간 동안 저널이 인용된 횟수를 측정합니다 . 즉 , 저널 임팩트 팩터는 특정한 기간 내에 특정한 저널에 실린 논문들이 얼마나 잦은 횟수로 인용되었는가를 측정합니다 .

임팩트 팩터는 인용횟수 측정 시 규모가 큰 저널을 규모가 작은 저널보다 , 발행주기가 짧은 저널을 발행주기가 긴 저널보다 , 오래된 저널을 최근 저널보다 더 높이 평가하게 되는 편견을 제거했습니다 . 특히 오래된 저널의 경우 축적된 논문이 많기에 역시가 짧은 저널보다 훨씬 인용횟수가 많습니다 . 다른 모든 조건이 많을 시 현재까지 수록된 논문의 수가 많을수록 저널이 인용되는 횟수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

5

임팩트 팩터 측정 방법

저널 임팩트 팩터는 기본적으로 특정한 해에 해당 저널에 실린 모든 논문의 총 인용횟수를 특정한 기간 안에 해당 저널에 실린 인용가능한 논문의 총 건수로 나눈 비율입니다 . 이때 특정 기간이란 선택한 해에 선행하는 2 년간이 보통입니다 .

즉 2006 년 X 라는 저널의 임팩트 팩터는 아래와 같이 측정합니다 .

임팩트 팩터 X = 2004, 2005 년에 X 에 실린 논문이 2006년에 인용된 횟수 / 2004 년 , 2005 년에 X 에 실린 모든 인용가능한 논문

6

저널의 임팩트 팩터는어디에서 알 수 있습니까 ?

ISI 는 매년 SCI 와 SSCI 에 색인된 저널들의 임팩트 팩터를 측정한 뒤 저널 인용 보고서 (JCR) 를 통해 발표합니다 . (http://scientific.thomson.com/products/jcr/)

(URL: http://scientific.thomson.com/products/jcr/). 아래 링크를 통해 임팩트 팩터 목록을 볼 수 있습니다 .

2005 년 : http://gezhi.org/wp-content/uploads/2006/06/2005%20SCI.zip ( 엑셀 파일 )

인용횟수는 매년 연말에 결산되기 때문에 , 2006 년의 임팩트 팩터는 2007 년이 되어야 알 수 있습니다 .

저널 임팩트 팩터가 연구자들에게 갖는중요성은 무엇일까요 ?

1 여러분의 논문을 게재하기에 가장 적절한 저널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여러분은 같은 분야의 다양한 저널이 가진 임팩트 팩터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선택할 수 있는 저널의 수가 아주 많기에 , 임팩트 팩터를 통해 각 저널에 실린 이전 논문들의 질과 이 저널의 영향력을 보다 객관적으로 살펴볼 수 있을 것입니다 . 일반적으로 임팩트 팩터가 높은 저널이 더 저명한 것으로 여겨집니다 . 그러나 어떤 사서들은 임팩트 팩터 계산에 사용되는 각 숫자 자체가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

7

저널의 임팩트 팩터는 아래와 같은 기능을 할 수 있습니다 .

저널 임팩트 팩터가 연구자들에게 갖는중요성은 무엇일까요 ?

2 학술적 평가 연구자가 교수임용 , 연구지원 , 펀딩 등을 받는 시 학술적

평가과정에서 임팩트 팩터를 사용하는 것은 이제 일반적인 경향이 되었습니다 . 임팩트 팩터는 연구자가 논문을 발표한 저널의 명성을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 임팩트 팩터가 생산성 , 해당 연구자의 논문에 대한 개별적 인용 횟수 , 검토위원회의 의견 등 다른 요소들과 결합하는 것이 이상적인 평가방식입니다 . 학술적 평가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 오직 임팩트 팩터에 과도한 강조점을 두어 이루어져서는 안 됩니다 .

8

저널 임팩트 팩터가 연구자들에게 갖는중요성은 무엇일까요 ?

3 연구 집단 간의 비교 임팩트 팩터는 다양한 연구 집단들에 의해 이루어진

연구를 비교하기 위해 쓰일 수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같은 약물에 대한 다양한 연구팀의 실험 결과를 비교해 보고 싶은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 한 가지 방법은 이들이 발표한 연구가 과학 공동체에 얼마나 중요하게 받아들여지는지 평가하는 것입니다 . 이때 즉시 활용 가능한 방법이 바로 임팩트 팩터를 통해 이들이 논문을 발표한 저널의 중요도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

9

저널 임팩트 팩터가 연구자들에게 갖는중요성은 무엇일까요 ?

4 도서관에서 저널을 선택하기 위해 현재 피어 리뷰를 채택하고 있는 저널의 수는 세계적으로

16,000 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 따라서 도서관에서 이들 저널을 모두 구비하기는 어렵습니다 . 도서관 관리자는 임팩트 팩터를 통해 어떤 저널을 장서에 포함시킬지 , 어떤 새로운 저널을 추가해야 할지 결정할 수 있습니다 .

10

임팩트 팩터를 이해하고 활용할 때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1. ISI 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발표됩니다 . ISI 에서 만든 Web of Science (http://scientific.thomson.com/products/wos) 에서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임팩트 팩터가 높은 약 8,700 종의 저널에 대해 색인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2. 결과를 이해하고 사용하기가 쉽습니다 .

3. 저널 임팩트 팩터는 다른 측정방식에 비해 더 널리 수용되고 있습니다 .

4. 저널의 저명도에 대해 임의적으로 순위를 정하는 대신 저널 임팩트 팩터를 통해 특정 저널에 수록된 논문에 대해 양적이며 , 따라서 보다 객관적인 품질 척도를 얻을 수 있습니다 .

11

저널 임팩트 팩터의 장점

저널 임팩트 팩터에 있어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점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1. ISI 가 만든 Web of Knowledge (http://isiwebofknowledge.com) 에서는 전 세계에서 출간되는 저널들을 수록하고자 하고 있지만 , 실제로 Web of Knowledge 를 통해 소개되는 저널들은 동등하게 분배되고 있지 않습니다 . 60 개국 이상의 저널에 대한 색인을 수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개발도상국의 저널의 수는 적으며 영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저널은 극히 적습니다 .

2. 저널의 인용횟수를 통해 저널의 수준 , 또는 저널에 수록된 논문의 과학적 의의를 평가할 수 없다는 관점 . 사실상 임팩트 팩터는 특정한 연구주제가 얻고 있는 인기 , 혹은 이 저널이 유통되는 범위를 보여줍니다 . 아주 전문적인 분야 , 혹은 특정한 질병만을 다루는 저널 등 발간부수가 적은 저널들은 높은 임팩트 팩터를 얻을 수 없습니다 . 그러나 특정한 주제를 가진 저널들끼리 비교할 때에는 임팩트 팩터가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을 것입니다 .

12

저널 임팩트 팩터의 단점

저널 임팩트 팩터에 있어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점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3. 2 년이라는 인용기한이 지나치게 짧다는 관점 . 한 분야의 고전이라고 할 수 있는 논문은 앞으로 몇십 년간 더 인용될 수도 있습니다 .

4. 연구자의 절대적인 숫자 , 각 논문의 평균 저자 수 , 각 분야의 연구결과의 속성 , 다른 학제 간의 인용 습관의 차이 등이 결합하여 각 과학자 집단 간의 임팩트 팩터를 비교하기가 어렵습니다 .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의학 분야 저널이 수학 , 공학 분야 저널보다 임팩트 팩터가 높습니다 . 따라서 저널 임팩트 팩터는 각각 다른 분야의 과학자나 대학 학과에 대해 연구비 산정 등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5. 임팩트 팩터의 절대값은 의미가 없다는 관점 . 2번에서 설명하였듯 임팩트 팩터는 저널의 주제영역에 영향을 받습니다 . 예를 들어 임팩트 팩터가 2 인 저널은 미생물 분야에서는 그리 주목받을 만한 것이 아니겠으나 해양학 분야에서는 높은 수치입니다 .

13

저널 임팩트 팩터의 단점

저널 임팩트 팩터에 있어서 가장 많이 언급되는 단점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6. 과학 외의 분야 ( 즉 출판계에서 STM 이라고 부르는 분야 ) 에 대해서 임팩트 팩터는 과학과 비슷한 출판 패턴을 가진 분야에서만 측정 및 활용이 가능합니다 . 즉 , 연구가 주로 다른 학술지 논문을 레퍼런스로 사용해 인용한 학술지 논문의 형태로 제시되는 경제학 등의 분야에서만 가능합니다 . 중요한 연구 결과가 주로 단행본의 형태로 발간되는 영문학 등의 분야에서는 임팩트 팩터가 의미가 없습니다 . ISI 가 인문학 분야에 대해서는 JCR 을 발간하지 않는 이유가 비로 그것입니다 .

7. 과학 분야에서조차도 특정 영역에서는 저널 임팩트 팩터가 완전히 유효하지는 않습니다 . 예를 들어서 학술대회 발표문 , 기술 보고서 , 혹은 특허 등을 통해 주요 결과물이 나오는 특정 공학 분야에서 그러합니다 .

14

저널 임팩트 팩터의 단점

다른 모든 도구와 마찬가지로 저널 임팩트 팩터는 현명하게 사용해야 하며 지나치게 의존해서는 안 됩니다 . 어떤 저널이나 연구자를 평가할 때는 특정 요소에 치중하지 않고 다양한 요소를 균형있게 고려해야 합니다 .

1. 최근 연구소 , 펀딩 기관 , 과학 협회 등에서 개별 연구자를 평가할 때 저널 임팩트 팩터를 고려하는 일이 늘어났다는 이유로 임팩트 팩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 각 연구자가 발표한 논문의 실제 인용 횟수보다 이 논문이 수록된 저널의 인용 횟수를 중시하는 경향 때문입니다 . 이 경향의 저변에 깔린 논리는 최근 발표된 논문은 아직 인용될 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기에 , 저널의 임팩트 팩터를 통해 이 논문의 인용 가능성을 측정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 즉 , 저널 임팩트 팩터는 개별 논문에 대해 예상되는 인용 비율을 예측하는 도구로 사용됩니다 . 이는 위험천만한 일입니다 . 저널의 영향력이 크더라도 이 저널에 수록된 논문은 영향력이 없을 ( 즉 인용횟수가 적을 ) 수 있기 때문입니다 . P. O. Seglen 의 실험에 따르면 저널의 임팩트 팩터의 90% 는 이 저널에 실린 논문의 불과 50% 를 통해 얻게 된 것입니다 .

저널 임팩트 팩터의 오용 사례

15

2. 핀란드에서는 저널 임팩트 팩터에 대한 의존도가 극도로 높습니다 . 핀란드 정부에서는 “ publication points” 에 일부 기반하여 대학 병원에 지원금을 할당하는데 , 이는 병원에 소속된 연구자들이 논문을 발표한 저널의 임팩트 팩터에서 유래되는 지수입니다 . 즉 최근 편집 기준이 높으며 엄격한 피어 리뷰를 채택하는 , 높은 임팩트 팩터를 지닌 저널에 발표한 논문은 그 역시 높은 질을 가진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

3. 저널 임팩트 팩터를 오용하는 또 다른 영역은 자기인용입니다 . 임팩트 팩터를 높이기 위해 어떤 저널들은 논문을 승인하기 이전에 저자들로 하여금 해당 논문에 수록된 기존 논문을 인용하기를 종용하기도 합니다 .

4. BMJ 에 실린 한 논문에서 리처드 스미스 (Richard Smith) 는 어떤 저널에서 편집자가 논문을 투고한 저자에게 해당 저널을 통해 기존에 발표된 논문을 더 많이 인용하라고 종용한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 이를 통해 저널의 임팩트 팩터를 높이려는 것입니다 . 이는 저널의 임팩트 팩터를 조작해 저널의 명성을 높이려는 뻔뻔한 행위로 , 이 저널의 진정한 가치를 크게 훼손하는 일입니다 .

저널 임팩트 팩터의 오용 사례

16

5. 오늘날은 저널들 역시 학계에서 높은 저널 임팩트 팩터에 부여하는 중요성을 잘 알고 있습니다 . 따라서 , 오늘날에는 여러 저널들이 이후에 많이 인용될 만한 , 따라서 저널의 임팩트 팩터를 높이는 데 기여할 만한 논문들만을 게재하고 있습니다 . 어떤 평자들은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저널이 읽는 것보다는 인용의 목적으로 변질되게 되며 , ( 인용할 수 있는 ) 저자를 위한 것이지 ( 인용할 수 없는 ) 독자를 위한 것이 아니라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

저널 임팩트 팩터의 오용 사례

17

저널 임팩트 팩터의 광범위한 사용 , 그리고 연구실적 평가에서 이 저널 임팩트 팩터가 갖는 중요성이 늘어나면서 , 앞서 설명한 문제점들을 참조해 정보계량학 분야의 연구자들이 저널을 평가할 수 있는 대안적인 척도들을 제시하게 되었습니다 .

특정 분야의 모든 저널에 대해 순위를 매길 때 , 주제가 가진 성향에 대한 고려 없이 임팩트 팩터만을 비교하는 것은 적절치 않습니다 . 허스트 (Hirst) 는 학제 임팩트 팩터 (DIF) 라는 개념을 통해 이 같은 주제의 편향성을 극복하고자 했습니다 . DIF 는 SIC 데이터베이스 전체가 아니라 특정 주제 영역에서 논문이 인용된 횟수에 기반합니다 .

2006 년 조한 볼렌 (Johann Bollen) 등은 구글이 사용하는 페이지랭크 (PageRank) 알고리즘을 사용해 인용의 ‘질’을 구별하고 임팩트 팩터 측정을 향상시키를 권고했습니다 .

저널 임팩트 팩터의 대안

18

2006 년 조한 볼렌 (Johann Bollen) 등은 구글이 사용하는 페이지랭크 (PageRank) 알고리즘을 사용해 인용의 ‘질’을 구별하고 임팩트 팩터 측정을 향상시키를 권고했습니다 .

저널 임팩트 팩터의 대안

No ISI 임팩트 팩터 페이지랭크 ISI 임팩트 팩터1 52.28 Annu Rev Immunol 16.78 Nature 51.97 Nature

2 37.65 Annu Rev Biochem 16.39 J Biol Chem 48.78 New Engl J Med

3 36.83 Physiol Rev 16.38 Science 19.84 Science

4 35.04 Nat Rev Mol Cell Bio 14.49 PNAS 15.34 Cell

5 34.83 New Engl J Med 8.41 Phys Rev Lett 14.88 PNAS

6 30.98 Nature 5.76 Cell 10.62 J Biol Chem

7 30.55 Nat Med 5.70 New Engl J Med 8.49 JAMA

8 29.78 Science 4.67 J Am Chem Soc 7.78 Lancet

9 28.18 Nat Immunol 4.46 J Immunol 7.56 Nat Genet

10 28.17 Rev Mod Phys 4.46 Appl Phys Lett 6.53 Nat Med

19

저널 임팩트 팩터의 대안

위키피디아에서 인용한 위 표는 ISI 임팩트 팩터 , 페이지랭크 , 그리고 (2003 년 데이터에 근거해 ) 이 두 가지를 결합한 시스템에 의해 측정한 상위 10 개 저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가장 명성이 높은 <네이처 > 와 < 사이언스 > 는 결합된 시스템에서 최상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 이 표를 통해 <뉴잉글랜드 의학저널 > 이 <네이처 > 와 < 사이언스 > 보다도 인용 횟수가 높음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 이는 <뉴잉글랜드 의학저널 > 에는 원저 논문 외에도 리뷰 , 서신교환 등이 실리며 , 따라서 보다 광범위하기에 더 많은 독자들에게 다가가기 때문입니다 .

20

결론

저널 임팩트 팩터는 저널 평가의 유용한 도구이지만 현명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원고를 투고할 저널을 선택할 때는 저널의 내용 ( 즉 , 리뷰만 게재하는 저널인지 , 원저 논문과 리뷰를 함께 게재하는지 , 서신교환도 실리는지 , 다양한 범위의 주제를 다루는지 등 ), 연구의 분야 , 저널을 통해 발표된

개별 논문의 학술적 가치 등을 잘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 초점이 제한적인 ( 예 : 아주 특수한 주제만을 다룸 ) 저널은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저널보다 임팩트 팩터가 낮을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십시오 . 저널 임팩트 팩터는 앞서 설명했던 한계를 내재하고 있기에 , 연구자 개인의 임용 , 연구비 지원 등을 심사할 때 지나치게 크게 고려해서는 안 되며 , 전체적인 평가를 이루는 한 부분으로서만 활용해야

합니다 .

21

22

1. Garfield E. Citation indexes to science: a new dimension in documentation through association of ideas. Science 1955;122:108-11.Free Full Text: http://garfield.library.upenn.edu/essays/v6p468y1983.pdf

2. Garfield E.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journal impact factor. JAMA 2006; 295:90-93. Free Full Text: http://garfield.library.upenn.edu/papers/jifchicago2005.pdf

3. The ISI Impact Factor. This essay was originally published in the Current Contents print edition of 20 June 1994, when Thomson Scientific was termed ISI. http://scientific.thomson.com/free/essays/journalcitationreports/impactfactor/

4.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URL: http://en.wikipedia.org/wiki/Impact_factor

5. The ISI Web of Knowledge.URL: http://isiwebofknowledge.com/

References

23

6. Sloan P and Needleman I. Impact Factor. Br Dent J 2000;189:1.Free Full Text: http://www.nature.com/bdj/journal/v189/n1/full/4800583a.html

7. Seglen PO . Why the impact factor of journals should not be used for evaluating research. BMJ 1997;314:497-502. Free Full Text: http://www.bmj.com/cgi/content/full/314/7079/497

8. Dong P, Loh M, Mondry A. The "impact factor" revisited. Biomed Digital Libraries 2005;2:7.Free Full Text: http://www.bio-diglib.com/content/2/1/7

9. Smith R. Journal accused of manipulating impact factor. BMJ 1997; 314:416.Free Full Text: http://www.bmj.com/cgi/content/full/314/7079/461/d

10. Smith R. Commentary: The power of the unrelenting impact factor? Is it a force for good or harm? Int J Epidemiol 2006; 35:1129-30.Free Full Text: http://ije.oxfordjournals.org/cgi/content/full/35/5/1129

References

에디티지의 학술출간정보를 다양한 채널에서 만나보세요 !

24

http://blog.naver.com/editage_kr

https://www.youtube.com/user/editageinsightskorea

http://www.twitter.com/editagekorea

http://www.linkedin.com/company/cactus-communications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