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방암 경험자와의 관리 -...

Post on 29-Aug-2019

21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의 관리

국리암센터 호스피스완화의료사업과 조 현 정

유방암 경험자 와의 동행

암 발생 확률

평균 수명까지 생존 시…

110 만명

암 경험자

2011년 암 발생률

10만명 당 발생률: 여자

유방암 발생현황

Num

ber

Year

연령군별 발생률: 여자

연도별 유방암 발병빈도

국가별 유방암 발병빈도

유방암의 병기

Year

Pro

port

ion(%

)

암 5년 생존율

주요 암의 5년 생존율

우리나라가 좋아요 ...

주요 암의 5년 생존율

우리나라 유방암

빠르게 증가함

젊은 나이에 발생

조기에 발견함

생존율이 높음

사회적 문제

유방암의 치료

유방암의 예후

유방암의 치료 합병증

유방암의 관리

유방암의 치료 및 관리

유방암의 치료

수 술

항암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

호르몬

요법

- 유방 전절제술 - 유방 보존술

- 즉시 복원 수술 - 지연 복원 수술

유방암의 수술

유방 수술

겨드랑이 수술

유방 복원 수술

- 겨드랑이 림프절 절제술 - 감시림프절 생검술

· 종양이 크거나 다발성인 경우

· 수술 후 방사선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유방 전절제술

· 유방암 조직과 주변의 정상조직 일부를 절제

· 방사선 치료와 병행 시 유방절제술과

생존율과 재발률에 차이

가 없음

유방 보존술

유방암의 수술

유방전절

제술 보존

그 외

(%)

겨드랑이 림프절 절제술

감시림프절 생검술

유방 복원 수술 - 즉시

복직근 이용

광배근 이용

유방 복원 수술 - 지연

항암 화학 요법

· 암세포 외에도 증식이 빠른 모든 세포에

작용

항암 화학 요법

· 표적 치료제: 허셉틴

· HER2 수용체 양성인 유방암 환자에서 사

· 3년 재발률을 50% 감소시킴

· 부작용: 심장 독성

방사선 치료

· 유방보존술 후, 유방전절제술 후 병기가 높은

경우

· 수술 또는 항암제 투여 3-4주 후

· 6-7주 간 매일 10-15분 동안 조사

· 부작용: 피부 변화 (가장 흔함),

림프부종, 방사선 폐렴 등

호르몬 치료

· 유방암의 원인인 에스트로겐 차단

· 호르몬 수용체가 있는 경우에만 시행

· 종류: 타목시펜, 아로마타제 억제제, 졸라덱스

· 부작용: 자궁내막암, 골다공증,

폐경 증상

예 후 = 재 발

· 재발률: 20 ~ 30%

· 재발 기간: 수술 후 3년 내 - 약 70%

유방암은 재발이 많은가요?

0

유방암 재발률

0 기

1 기

2 기

3 기 이상

0

10

20

30

40

50

60

70

60

(%)

5%

15%

20-25%

60%

수술 받은 쪽의 유방, 흉벽 겨드랑이 혹은 경부 림프절 등

뼈, 폐, 간, 뇌 등

재발의 유형

국소·구역 재발

전신 재발

종양의 소멸

장기 기능의 회복

생존 기간의 연장

재발의 치료 목적

· 유방절제술 후: 재발 부위 수술적 제거 + 방사선

치료

· 유방 보존술 후: 유방절제술

경우에 따라 재유방보존술

· 항암 치료: ? - 이전에 받지 않은 경우에는 시행

· 방사선 치료: 흉벽 포함

국소 · 구역 재발의 치료

전신 재발의 치료

의심부위의 조직 검사

양성 무증상, 느린 진행

호르몬 수용체 검사

음성 심한 증상, 기능 장애

항호르몬 요법

항암 화학 요법

타목시펜, 파레스톤, 아로마타제 억제제

안트라싸이클린 탁산, 허셉틴

재발이 되도 오래 살 수 있나요?

· 국소 재발 > 전신 또는 동시 재발

· 전신 재발 : 뼈, 폐 전이 > 간, 뇌 전이

· 호르몬 수용체 : 양성 > 음성

· 수술 후 재발까지의 기간 : 긴 경우 > 짧은

경우

· 첫 수술 시 : 초기 > 진행된 병기

생존 기간이 긴 경우

유방암의 재발률은 20~30%

수술 후 2~3년 내에 재발 위

험이 높음

유방암을 고혈압, 당뇨병처럼

평생 관리해야...

재발 방지 지침

1. 수술 후 재발을 방심하지 마라 !

수술 후 정기적인 추적 검사가

중요

병기가 높거나, 치밀 유방, 젊은

연령은 더욱 주의

재발 방지 지침

2. 재발을 빨리 발견해라 !

경제적 부담과 함께 건강을 해

칠 수 있음

균형 있는 식사와 충분한 수면

지방, 설탕, 소금, 알코올, 훈제

음식은 줄일 것

일주일 4시간 이상 가벼운 운동

재발 방지 지침

3. 건강보조식품, 민간요법 의존은 금물 !

재발 방지 지침

3. 건강보조식품, 민간요법 의존은 금물 !

인터넷, 주변 지인의 권유는 주

주치의와의 상담으로 자신에 맞

는 치료를 받아야…

재발 방지 지침

4. 담당 의사를 믿고 따라라 !

불안감은 건강을 해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림

나을 수 있다는 자신감과 긍정

적인 마음가짐이 중요

재발 방지 지침

5. 지나친 두려움과 공포는 금물 !

유방암의 치료 합병증

· 항암화학요법, 호르몬 치료에 의한 조기 폐

· 초기 증상: 안면 홍조, 열감, 불면증, 우울증

· 중기 증상: 빈뇨, 성교통, 질 출혈, 피부 노화 증

· 말기 증상: 골다공증, 심혈관, 뇌혈관 질환

갱년기 증상

· 정의: 뼈의 양이 줄고 뼈 사이사이에 구멍이 생겨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이 되는 상태

· 유방암 환자 - 항암제에 의한 조기 폐경

- 아로마타제 억제제

- 난소기능 억제 주사제

- 칼슘제와 비타민 D 섭취 부족

골다공증

☞ 매년 정기적인 골밀도 검사가 권장됨

· 식이 요법: 칼슘 섭취 (1,200~1,500mg/day)

단백질 섭취

· 운동 요법: 체중 부하 운동과 스트레칭

하루에 30분 이상, 1주에 3회 이상

· 약물 요법: 칼슘, 비타민 D, 비스포스포네이트

골다공증

· 정의: 겨드랑이의 림프절 절제로 인해 팔에 있는

림프액들이 정체되어 손과 팔이 붓는 현

· 발생 빈도

- 겨드랑이 림프절 절제술: 20~40%

- 감시 림프절 생검술: 5%

림프부종

· 치료: 마사지, 압박 스타킹, 림프 배출 운동

· 예방

- 수술 받은 쪽 팔에서 피를 뽑거나 혈압을 재지 않

- 손이나 팔에 상처(화상)를 입지 않도록 주의함

- 팔에 무리가 가는 힘든 운동은 피함

- 심한 온도 변화를 주는 사우나, 일광욕 등을 피함

- 수술 받은 쪽 팔로 무거운 것을 들지 않음

- 수술 받은 쪽 팔을 심장보다 높게 함

림프부종

· 발생 기전: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생장기 모발의

손상 · 증상

- 항암제를 맞는 환자의 약 70%에서 발생

- 1~3주째 시작되어 1~2개월째 완전히 일어남

- 대부분 일시적

- 항암제 종료 후 3~6개월 이후에 회복

탈 모

· 탈모 전 관리

- 순한 단백질 샴푸를 사용하고 두피를 마사지한다

- 드라이기, 세팅기 등을 피한다

- 모발을 건조시킬 수 있는 파마, 염색은 피한다

· 탈모 후 관리

- 가발, 두건, 스카프를 사용한다

- 두피는 보습제로 보호한다

탈 모

· 항암화학요법 후

- 말단 홍반, 발진

- 손,발톱의 박리와 농양

- 손발 증후군 (hand foot syndrome)

· 방사선 치료 후

- 피부 건조, 가려움증, 따끔따끔함, 각질

- 피부염: 진물이 나면서 피부가 벗겨짐

피부 변화

· 피부 관리

- 너무 뜨겁거나 찬 물에 손,발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 발에 꼭 끼는 신발을 신지 않는다

- 손,발에 무리를 주는 과도한 활동을 삼가 한다

- 방사선 조사 부위: 저자극성 비누, 보습제,

약한 스테로이드 연고

피부 변화

· 유방암 환자의 감정 상태

- 충격과 부정

- “왜 하필 내가?” 라는 분노

- 공포, 좌절, 우울증, 감정 조절의 어려움

- 두려움: 남편이나 자녀들에게 부담이 되지 않을까…

신체상의 변화로 여성스러움을 잃지는 않을까…

암 환자인데 사회 생활을 잘 할 수 있을까…

심리 변화

· 가족, 친구, 동료의 역할

- 유방암 환자의 두려움을 이해

- 서로의 감정에 대해 환자와 솔직하게 대화해야

- 가족간의 역할 분담이 필요

- 친구와 동료는 도움을 자청

심리 변화

유방암의 관리

· 발생 - 유방암 치료 후 2차암의 발생률: 1.25

- 젊은 유방암 환자에서 발생 위험도가 높

- 방사선 치료: 식도암, 폐암, 갑상선암, 백혈

- 타목시펜: 자궁내막암

- BRCA mutation 환자: 난소암

· 2차암 검진 - 일반 검진은 기본적으로 시행

2차암

유방암 발생 증가 식품

출처: American Institute for Cancer Research

· 편식 하지 말고 매일 다양한 음식을 섭취할 것

· 과일과 채소를 많이 섭취할 것

· 곡류를 충분히 섭취하여 탄수화물, 비타민, 전해

질,

섬유소 등을 공급할 것

· 지방, 설탕, 알코올, 훈제 또는 소금에 절인

음식

등은 너무 많이 섭취하지 말 것

유방암 환자의 식생활 권고안

출처: National Cancer Institute

“야채와 과일을 적극 섭취하고 술과

담배는 피하며,

단백질로 권장하는 영양 섭취

량을 준수하면서

적절한 운동을 병행하여 적

유방암 환자의 생활 원칙

▪ 30세 이후: 매월, 유방 자가검진

▪ 35세 이후: 2년 간격, 의사에 의한 임상검진

▪ 40세 이후: 1~2년 간격의 임상 진찰

유방촬영술

▪ 고위험군: 전문의와 상담

한국유방암학회가 권하는 선별검사

▪ 긍정적인 생각을 갖는다

▪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회복한다

▪ 자신의 즐거운 일을 찾는다

▪ 웃으며 산다

▪ 자신감을 갖는다

유방암을 이기는 생활

▪ 2013.01.15: 1차 연구 미팅

▪ 한국건강재단 정책과제 학술연구비

BREAST CANCER SURVIVORSHIP RESEARCH

한국인 유방암 생존자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공동 연구

BREAST CANCER SURVIVORSHIP RESEARCH

한국인 유방암 생존자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공동 연구

▪ 2013.12.07

▪ 숙명여자대학교 백주년 기념관

제 1 회 한국 유방암 생존자 연구회 세미나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