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effects revised

12
EFFECTS We live in an era where hardly a movie appears that doesn’t exhibit some sort of special effects; many blockbusters depends on novel effects to bolster their appeal. Effects can take days, weeks, or months to craft on the computer and in the film lab. Then they are cut into movie by the editor and finalized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that takes place after the editor turns in the final cut of the show. 스스스 스스스스 스스스스 스스 스스스 스스스스 스스스 . 스스 스스스스스 스스스스 스스스스 스스스 스스스스 스스 스스스 스스스스스 스스 스스스스 . 스 스스스스스 스스스스 스스 스스스 스스 , 스 스 스스 스 스스 스스스 스스스 스스 . 스스스 스스스스스스 스스스스 스스 스스스 스스스스 .

Upload: yeongchan-kang

Post on 05-Dec-2014

59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8.effects revised

EFFECTS

• We live in an era where hardly a movie appears that doesn’t exhibit some sort of special effects; many blockbusters depends on novel effects to bolster their appeal. Effects can take days, weeks, or months to craft on the computer and in the film lab. Then they are cut into movie by the editor and finalized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that takes place after the editor turns in the final cut of the show.

• 스패셜 이팩트가 가미되지 않은 영화를 보는것이 드물다 . 많은 블럭버스터 영화들은 보여지는 모습을 강화하기 위해 새로운 이팩트들에 많이 의존한다 . 이 이팩트들은 컴퓨터나 필름 랩에서 며칠 , 몇 주 또는 몇 달이 걸려서 만들어 진다 . 그리고 최종과정에서 편집자에 의해 영화로 삽입된다 .

Page 2: 8.effects revised

Subliminal cutSubliminal cut

매우 빠른 컷을 말한다 . 이미지가 단지 몇 프레임정도만 지속되는 것 이므로 관객은 잠깐동안 아주 잠시 응시를 하게 되나 , 관객이 의식하지 않는 동안 관객의 잠재의식에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서브리미널 컷은 효과적인 면에서 가장 자극적이고 유용한 툴이다 .

Is a cut that happens very quickly. The film cuts from the first image to a new, impact image, and then cuts back again. The new image last only a few frames, and the audience gets only a very brief glimpse of it. This technique works like a subliminal message, activating something in the viewer’s subconscious, but not necessarily registering at a conscious level;the viewers don’t have enough time to see the image, but its impact is greater. The subliminal cut is the single most provocative and useful tool.

Page 3: 8.effects revised

Flash FrameFlash Frame

한 두 프레임의 칼라 프레임으로서 샷과 샷 사이에 삽입 되는 것 . 어떠한 색 프레임에 따라 그것이 의미하는 바가 다를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이 플레시 프레임은 관객이 의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 플레시 프레임은 컷에 힘을 실어주고 앞에 진행되는 액션이 재빠르게 움직이게 한다 .

One or two frames putting between shots. Which color frames are used can give the different meaning to the text. The audience doesn’t notice a flash frame, but feels its power and it energizes the cut and zaps the action forward.

Page 4: 8.effects revised

Freeze frameFreeze frame

하나의 멈추어진 프레임으로 된 이미지가 계속되는 것 . 프리즈 프레임은 시간을 멈추고 관객의 마음속에 이미지나 생각을 멈추어 놓는 역할을 함으로써 관객을 집중시킨다 . 특히 영화 마지막에서 이러한 효과의 사용은 종종 영화를 미스터리하고 감정적인 상태로 남겨놓는다 .

is a single frame of film played continuously to create the effect of a frozen image. The most frequent use of this technique is to end films on a enigmatic or emotional note. This effect is usually employed as a period rather than a transition. Freeze frames stop time and hold an image, idea, or plot point in the audience’s mind.

Page 5: 8.effects revised

Sub-ClipSub-Clip

Picture-in-picture 효과와 같다 . 새로운 이미지를 컷을 사용하는 대신 주된 샷 의 위에 새로운 클립으로서 보여주는 효과로서 , 이 서브클립은 등장인물이 보고 있는 관련된 정보의 이미지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

is similar to the picture-in-picture effect. Instead of cutting to a new shot, the sub-clip opens on top of the main scene and plays through. This technique illustrates some relevant information, such as what a character is looking at.

Page 6: 8.effects revised
Page 7: 8.effects revised
Page 8: 8.effects revised

Split screen Split screen 화면 분할화면 분할

한 프레임에서 두개의 샷이 나란히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 교차 편집과 비슷하게 이 화면분할로 보여지는 두개의 샷 은 같은 시간에 일어나는 동시성을 부여한다 . 주로 1950 년대 60 년대에 주로 사용된 효과로서 전화대화 내용에서 흔하게 보여지는 효과이다 .

A split screen runs two shots side-by-side within a single frame. Like cross-cutting, split screen creates the idea of simultaneous action. Split screen was a staple of the 1950’s and 1960’s. It was often used to depict phone conversations.

Page 9: 8.effects revised
Page 10: 8.effects revised
Page 11: 8.effects revised

Superimposition Superimposition 수퍼 임포지션 또는 다중노출수퍼 임포지션 또는 다중노출

• 반 투명한 이미지를 주된 이미지에 겹치는 효과를 말한다 . 이러한 다중노출은 각 샷의 가치를 연장시키며 순간의 감정을 극대화 시킨다 . 주로 등장인물의 심리적인 상태를 반영하기 위해 흔하게 쓰이는 기법이다 ( 기억 , 환상 , 공포 등등 )

• This technique is accomplished by overlaying a scene with a secondary image that is semi-transparent. A superimposition prolongs the value of each shot and intensifies the emotion of the moment. Superimposition can also portray a character’s state of mind: memories, fear, or fantasies.

Page 12: 8.effects revised

Slow Motion

• 초당 24 프레임보다 늘려서 촬영하거나 후반작업에서 초당 프레임수를 늘려서 느린 움직임을 주는 효과 . 주로 드라마틱한 효과로서 사용되며 등장인물의 감정이나 생각을 들어내기 위해 강조적인 방법으로 사용된다 . 주로 비극이나 폭력 , 또는 로맨틱한 상황을 강조하기 위해 쓰인다 .

• Slow motion is usually created in camera by running the film through the gate faster than the standard 24 frames per second used to represent real time. This effect can create a number of heightened dramatic ideas: to reveal character’s thoughts and feelings or to leave the viewers gasping at the horror, tragedy, or violence of a sce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