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기

12

Upload: icon-busan

Post on 20-Jun-2015

359 views

Category:

Documents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김문기
Page 2: 김문기

[괴물 3D 컨버젼 제작과정...]

Page 3: 김문기

Matte

Depth Map

In painting (Clean plate)

Rendering

Retouch

[ 괴물3D 제작과정]

- 일반적 Conversion 워크 플로어

Layout

- [괴물3D] 의 Conversion 워크 플로어

Lay out

Matte

Adjust (Retouch,In painting)

Rendering

Analysis

In painting L/O

Matte

Depth Map

Scene

Page 4: 김문기

1, 장면분석

A. 카메라의 움직임 (정량적) : Depth Map 자동추출 가능여부 판단.

B. Retouch, In painting추가 여부 판단.

C. 자연물에 대한 처리방법 강구 (눈, 비, 연기..) – VFX 추가여부 결정.

2, Lay out 구성

Page 5: 김문기

3, Matte 작업. A. In Paint : Mocha, Nuke, Aftereffects.

B. 일반 : Topaz Remask(Photoshop).

4, Depth map 추출.

A. 자동추출한 Depth map.

B. Matte 작업 데이터를 활용한 Depth map

Page 6: 김문기

5, Depth map Adjust.

A. 수직라인 보정.

B. 왜곡된 영역 보정

C. RGB 레벨 조정을 통한 Depth 수정.

6, Final L/R Rendering.

A. Aftereffect CS4 사용

A. DI- 필름 스캔받은 원본 영상간의 밸런스 확인.

B. S3D digital cinema package(DCP)

7, S3D Digital Mastering.

Page 7: 김문기

3D입체영화 VS “Realizing(3D) Movie”의 영상 개념.

Page 8: 김문기

3D입체영화 Realizing Movie(3D)

돌출감

기술적 개념,

공간감 & 깊이감

영상미학적 개념

- 인간의 망막을 기점으로 눈앞에 보여지는 사물들과 공간감은, 극장의 스크린을 기점으로 스크린 안으로 깊이 있게 표현되어지는 영상과 같고, 스크린 밖(관객)으로의 과도한 돌출은 망막 內로 물질이 이입(移入)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과도한 돌출은 입체모순을 유발시켜 몰입도를 방해하고 심한 시각 피로를 느끼게 한다.

[영상 개념의 차이]

Page 9: 김문기

3D입체영화 Realizing Movie(3D)

관객의 욕구를 충족 시키기위해 과장된 연출 과 의도적 상황을 만들어 내기도 함.

- 영화의 몰입도를 방해 할 수 있음. - 영화에서 가장중요한 이야기의 완성도를 떨어뜨릴 수 있음.

관객들은 맹목적으로 무엇인가 스크린 밖으로 돌출하거나 튀어나와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음.

말 그대로 “실감영화”란 뜻.

.

완성도 높은 영화에 사실적이고 생동감 있는 느낌을 주기위해…영상의 깊이와 무한한 공간을 입체적으로 잘 표현해 주는것. (* 한 장의 JPG 이미지를 자연스런 레이어 별 PSD 이미지로 …)

- 영화에 몰입도를 깊게 끌어 올려줌. - 영화에서 가장중요한 이야기의 완성도를 높여주고 극적인 재미를 느낄 수 있게해줌.

- 3D입체영화 와 리얼라이징(3D)무비 와의 차별성은 명칭에서 오는 관객들의 기대감과 관점이 다르다는데 있다.

[명칭에서 오는 기대의 차이]

따라서, 명칭의 변화를 이끌어 단순하게 3D효과의 좋고 나쁨으로 영화의 본질까지 평가하는 主客.이 전도되는 상황을 지양토록 하여야 한다.

Page 10: 김문기

리얼라이징 (3D)무비 (Realizing Movie 3D)란 ?

- “리얼라이징(3D)무비”는 촬영현장에서 보고 느꼈던 사실과 감정을 카메라안에 그대로 담아 view finder 넘어로의 세상을 관객들이 보고있는 평면의 스크린에 오롯이 옮겨놓는 것이다.

- “리얼라이징(3D)무비”는 관객들에게 공간의 깊이감과 스펙타클한 사실감을 느끼게 해 주어서

관람시 몰입도를 높여주고 영화 속에서 함께 체험하고 있는듯한 생생한 즐거움 을 주기위한 작업이다.

- “리얼라이징(3D)무비”는 관객들에게 최상의 영화 관람기회를 제공해주기 위해 제작자 와 감독이

취사선택해야 할 작업영역으로 인식되어져야 함.

- ” 리얼라이징(3D)무비”는 관객들의 눈은 편안하게 하고, 가슴은 요동칠 수 있도록 스크린 안으로

끝없이 숨어들어가는 장관을 느낄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 “리얼라이징(3D)무비 “ 에서의 3D컨버젼 작업은 한 장면 한장면 3D입체라는 올가미에 얽매여서 작업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 연출의 흐름 안에서 강약을 조절할 줄 하는 유연성을 가지고 작업을 하게 된다.

-“리얼라이징(3D)무비”는 실사촬영 위주의 한국영화에서 3D입체영화를 대체할 시각효과 작업이다.

Page 11: 김문기

*극적인 연출력

*훌륭한 배우들의 연기력

* 짜임새있는

구성

*재밌는 스토리텔링

-재미와 완성도가 높은 3D영화에는 상대적으로 관객들이 3D효과에 비교적 후한 점수를 주게 된다.

잘 만들어진 3D영화의 본질

* 3가지 구성이 잘 어울어져 만들어진 영화 위에 3D라는 효과가 얹어 졌을 때 비로소 관객들은 최상의 볼거리에 크게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3D입체로 보여진다는 것만으로 영화의 본질을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재미와 완성도가 떨어지는 영화에 3D효과를 얹게 되는 것은 “불 난 집에 기름을 붓는 것” 과 같다.

-관객들로 하여금 높은 관람료와 시간을 낭비했다는 심리가 더해져 불만이 더욱 높아지게 된다..

( - 악평이 혹평으로 발전한다.)

Page 12: 김문기

- 이미 스테레오 음향에 익숙한 현대인들이 모노 음향으로 되돌아 가려 하지 않듯이,

스테레오 영상을 접하고 익숙해진 사람들은 평평한 영상을 그리워하거나 되돌아

가려 하진 않을 것이다.

3D는 옵션일 뿐이다.

3D는 스펙타클만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자극하는 시각적 재미를 더해 주는 것이다.

3D는 스크린에서 툭 튀어나오는 장치가 아니라 우리를 다른 세상으로 인도하는 창이다..

3D는 작품의 질 이나, Creative한 표현을 증폭시키는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스토리 텔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