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6 2018. 6월호 - 피그앤포크318 2018. 6월호 5년간 지역별 진단 실적은 충남,...

7
집중연구_질병 2018. 6월호 316 최근 국내 양돈산업은 구제역, 돼지열병, 아프리 카돼지열병(ASF) 등과 같이 이슈화되는 질 병들에만 모든 관심을 기울이는 쏠림 현상이 있다. 물론 양돈산업을 붕괴시킬 수 있는 국가재난형 질병의 근절 이나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간과될 수 있는 고질적인 돼지질병들의 저감 노력이 상대적으로 소홀해 짐에 따라 발생되는 생산성 저하와 피해 축적도 경계해 야 한다. 따라서 본인은 효율적인 국내 돼지질병 관리를 위하여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을 통해 수집 되는 돼지질병 정보 이외에 보다 현장 질병 상황을 정확 히 파악하고자 농림축산검역본부를 비롯한 돼지질병 진 단 서비스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는 대학 및 민간 질병진 단기관 3곳과 협력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진단된 질병 정보를 종합함으로써 국내 돼지질병 발생 동향을 분석하였다. 1. 돼지질병 진단 실적 및 검사 질병 4곳의 질병진단기관에 의뢰되는 가검물 중 한 가지 질병이라도 검출된 진단건만 취합하였다. 신규 의뢰 농 장에 대한 진단 실적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약 14%, 대 이 경 기 수의연구관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질병관리부 질병진단과 최근 돼지질병 진단 동향

Upload: others

Post on 07-Aug-2021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316 2018. 6월호 - 피그앤포크318 2018. 6월호 5년간 지역별 진단 실적은 충남, 경기, 경남, 경북 순으로 높아 도별 돼지 사육규 모와 유사한 경향을

집중연구_질병

2018. 6월호316

최근 국내 양돈산업은 구제역, 돼지열병,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등과 같이 이슈화되는 질

병들에만 모든 관심을 기울이는 쏠림 현상이 있다. 물론 양돈산업을 붕괴시킬 수 있는 국가재난형 질병의 근절이나 대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간과될 수 있는 고질적인 돼지질병들의 저감 노력이 상대적으로 소홀해짐에 따라 발생되는 생산성 저하와 피해 축적도 경계해야 한다. 따라서 본인은 효율적인 국내 돼지질병 관리를 위하여 국가동물방역통합시스템(KAHIS)을 통해 수집되는 돼지질병 정보 이외에 보다 현장 질병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고자 농림축산검역본부를 비롯한 돼지질병 진단 서비스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는 대학 및 민간 질병진단기관 3곳과 협력하여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진단된 질병 정보를 종합함으로써 국내 돼지질병 발생 동향을 분석하였다.

1. 돼지질병 진단 실적 및 검사 질병

4곳의 질병진단기관에 의뢰되는 가검물 중 한 가지 질병이라도 검출된 진단건만 취합하였다. 신규 의뢰 농장에 대한 진단 실적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약 14%, 대

이 경 기 수의연구관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질병관리부 질병진단과

최근 돼지질병 진단 동향

316-322 집중연구-이경기.indd 316 2018-05-22 오전 10:20:21

Page 2: 316 2018. 6월호 - 피그앤포크318 2018. 6월호 5년간 지역별 진단 실적은 충남, 경기, 경남, 경북 순으로 높아 도별 돼지 사육규 모와 유사한 경향을

◐ 최근 돼지질병 진단 동향

2018. 6월호 317

학이 약 26%, 민간기관이 약 60%를 차지하였으며, 대학과 민간기관은 재의뢰 진단 건수가 많아 전체 진단실적은 민간기관이 약 70%, 대학이 약 21%를 차지하였다. 2014년부터 신규 농장의 진단 건수는 약 1,200여건, 재의뢰 농장의 진단 건수가 약 800여건으로 매년 약 2,000여건이 진단되었다(표 1). 검사 질병으로는 임상증상 및 의뢰검사 항목에 따라 바이러스성 12종, 세균 13종 및 기생충성 1종을 포함하였다(표 2).

2013년부터 5년간 월별 진단 실적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3월부터 7월까지는 진단 건수가 높았고, 12월과 재의뢰 건수가 없는 1월의 진단 건수는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2017년에는 3~5월, 8~9월 및 11~12월에 진단 건수가 많았다(그림 1).

(표 1) 연도별 질병진단 실적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합계신규 농장 진단 건수 872 1,250 1,186 1,265 1,254 5,827재의뢰 농장 진단 건수 377 866 775 714 871 3,603전체 진단 건수 1,249 2,116 1,961 1,979 2,125 9,430

(표 2) 돼지질병 원인체 및 검사 방법

구분 질병명 검사 방법

바이러스(12종)CSFV, PRRSV, PCV2, PEDV, TGEV, RotaV, SIV, 번식장애(PPV, ADV, JEV, EMCV), PDCoV

형광항체법, 유전자검사법,바이러스분리

세균(13종)E. coli, ST, SEP, Hps, Pm, App, S. suis, CpA, Law, SD, SE, Cd, A. suis

세균분리,유전자 검사법

기생충(1종) Coccidium 충란검사

CSFV(Classical Swine Fever Virus, 돼지열병바이러스), PRRSV(Porcine Reproductive and Respiratory Syndrome Virus, 돼지생식기호흡기증후군바이러스), PCV2(Porcine Circovirus, 돼지써코바이러스), PEDV(Porcine Epidemic Diarrhea Virus, 돼지유행성설사바이러스), TGEV(Transmissinble Gastro-enteritis Virus, 전염성위장염바이러스), RotaV(Rotavirus, 돼지로타바이러스), SIV(Swine Influenza Virus, 돼지인플루엔자바이러스), PPV(Porcine Parvovirus, 돼지파보바이러스), ADV(Aujesky Virus, 오제스키바이러스), JEV(Japanese Encephalitis Virus, 일본뇌염바이러스), EMCV(Encephalo-myocarditis Virus 뇌심근염바이러스), PDCoV(Porcine Deltacoronavirus, 돼지델타코로나바이러스), ST(Salmonella Typhimurium, 살모넬라감염증), SEP(swine enzootic pneumonia, 돼지유행성폐렴), Hps(Haemophilus parasuis, 글래스병), Pm(Pasteurella multocida, 파스튜렐라폐렴), App(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흉막폐렴), S. suis(Streptococcus suis, 연쇄상구균감염증), CpA(Clostridium perfringens A,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A), Law(Lawsonia intracellularis, 로소니아), SD(Swine Dysentery, 돼지적리), SE(Swine Erysipelas, 돼지단독), Cd(Clostridium difficile,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A. suis(Actinobacillus suis, 돼지엑티노바실러스감염증)

(그림 1) 연도별, 월별 질병진단기관의 진단 실적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316-322 집중연구-이경기.indd 317 2018-05-22 오전 10:20:22

Page 3: 316 2018. 6월호 - 피그앤포크318 2018. 6월호 5년간 지역별 진단 실적은 충남, 경기, 경남, 경북 순으로 높아 도별 돼지 사육규 모와 유사한 경향을

집중연구_질병

2018. 6월호318

5년간 지역별 진단 실적은 충남, 경기, 경남, 경북 순으로 높아 도별 돼지 사육규모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는 전국 돼지질병 발생 상황을 대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경남의 진단 건수가 많은 이유는 질병진단기관 1개소가 경남지역의 농장에 한하여 집중적으로 진단을 수행한 결과이며, 전남은 사육규모 대비 진단 실

적이 적었다(그림 2).2017년 연령별 진단 실적에서는 이유자

돈이 약 45%로 가장 많았고, 육성돈, 포유자돈, 비육돈, 모돈 및 후보돈 순으로 진단되었으며, 2016년에 비해 포유자돈 및 육성돈의 진단율이 약간 상승하였다(표 3).

2. 돼지 법정전염병 진단 실적

5년간 1종 및 2종 법정전염병은 확인되지 않았고, 3종 전염병으로는 PED, TGE, SE가 진단되었다(표 4). PRRS의 경우 농가 자체의 모니터링에 한정하여 의뢰되는 건수가 많았기 때문에 타 질병보다 진단 실적이 월등히 높았다. PRRS가 국내에 만연되어 있고, 야외주 및 백신주 감별이 되지 않은 진단건이 대

(표 3) 질병진단기관의 돼지 연령별 진단 실적(2016∼2017년)

연도연령별 진단두수(%)

합계포유자돈 이유자돈 육성돈 비육돈 모돈·후보돈

2016 51(10.4) 290(59.1) 118(24.0) 20(4.1) 12(2.4) 491

2017 51(14.6) 161(46.1) 95(27.2) 23(6.6) 11(3.2) 341

※ 포유자돈(1∼24일령), 이유자돈(25∼70일령), 육성돈(71∼130일령), 비육돈(130∼180일령)

(표 4) 돼지 법정전염병 진단 실적

연도질병

확인 건수법정전염병 확인 건수

계PRRS

검색 건수PED TGE SE

2013 872 16 9 1 26 478

2014 1,250 149 3 0 152 679

2015 1,186 54 3 1 58 634

2016 1,265 15 3 2 20 762

2017 1,254 23 0 1 24 620

계 5,827 257 18 5 280 3,173

(그림 2)질병진단기관의지역별 진단 실적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316-322 집중연구-이경기.indd 318 2018-05-22 오전 10:20:22

Page 4: 316 2018. 6월호 - 피그앤포크318 2018. 6월호 5년간 지역별 진단 실적은 충남, 경기, 경남, 경북 순으로 높아 도별 돼지 사육규 모와 유사한 경향을

◐ 최근 돼지질병 진단 동향

2018. 6월호 319

다수이므로 본 분석에서는 법정전염병으로 분류하지 않고 PRRS 항원 양성으로만 파악하였다. 돼지유행성설사병(PED)은 2017년에 23건이 진단되어 2014년과 2015년보다는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전염성위장염(TGE)은 2013부터 2016년까지 산발적으로 발생하였으나, 2017년에는 진단되지 않았다. 돼지단독은 질병진단기관의 진단 실적은 매우 적었지만, KAHIS에는 꾸준한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3. 돼지질병 발생 양상

2017년 진단 실적을 질병 유형별로 분류한 결과, 호흡기 질병이 58%로 가장 빈

도가 높았고, 소화기 질병(31.1%), 전신성 질병(7.7%), 생식기 질병(3.2%)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2016년에 비해 호흡기 질병은 감소하고, 소화기 질병은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그림 3).

2017년 진단 실적을 원인체별로 분류한 결과, PRRSV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E. coli, PCV2, CpA, S. suis, SEP, Pm, Hps, Law, App 순으로 조사되었다(그림 4). 연도별로 원인체 진단 빈도의 증감 추이를 분석해 보면 2017년에는 전형적인 소모성질병인 PRRSV, PCV2 및 SEP가 2016년에 비해 감소한 반면, E. coli, CpA, PEDV, SD, Cd 등 소화기 질병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S. suis

(그림 3)질병진단기관의질병 유형별진단 결과(2016∼2017년)

(그림 4) 2017년도질병진단기관의

원인체별 진단 결과

2017년 2016년

316-322 집중연구-이경기.indd 319 2018-05-22 오전 10:20:22

Page 5: 316 2018. 6월호 - 피그앤포크318 2018. 6월호 5년간 지역별 진단 실적은 충남, 경기, 경남, 경북 순으로 높아 도별 돼지 사육규 모와 유사한 경향을

집중연구_질병

2018. 6월호320

는 2014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PPV와 EMCV와 같은 유사산 질병도 소폭 상승하였다(표 5).

PRRS 진단 건에 대한 타입(type)별 분석 결과, 2017년에는 북미형(NA)이 약 48%, 유럽형(EU)이 약 22%로 조사되었고, NA 및 EU 혼합형도 약 30%를 차지하였으며, 이는 2016년도 조사 결과와 매우 유사하였다(그림 5).

(표 5) 질병진단기관의 연도별 원인체 진단 빈도

진단 빈도(%)*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PRRSV 54.8 54.3 53.5 60.2 49.1E. coli 17.2 12.7 15.9 15.8 19.4PCV2 13.5 16.1 18.1 21.7 17.4CpA 6.8 3.5 3.9 10.0 12.2

S. suis 10.3 6.0 6.0 9.4 10.4SEP 7.7 1.7 1.1 11.1 9.2

PEDV 1.8 11.9 4.6 1.2 5.4RotaV 5.8 6.6 5.6 4.8 5.3

Pm 10.2 4.2 4.6 7.3 5.3App 10.3 4.0 3.8 5.6 4.2Law 5.6 4.3 5.7 3.0 3.8Hps 6.8 1.8 3.1 6.1 3.2ST 3.1 4.1 2.2 2.1 2.2SD 1.8 1.0 0.8 1.2 2.2Cd 0.6 1.5 0.5 1.3 1.8

PPV 0.0 0.8 0.5 0.3 1.5SIV 1.6 0.8 0.3 1.3 1.5

EMCV 0.0 1.4 0.4 0.2 1.4TGEV 1.0 0.2 0.2 0.2 0.1

SE 0.1 0.0 0.1 0.2 0.0

* 개별 원인체 진단 건수/전체 원인체 진단 건수×100

(그림 5) 질병진단기관의 PRRS 진단건에 대한 type 분석(2016∼2017년)

2017년 2016년

316-322 집중연구-이경기.indd 320 2018-05-22 오전 10:20:22

Page 6: 316 2018. 6월호 - 피그앤포크318 2018. 6월호 5년간 지역별 진단 실적은 충남, 경기, 경남, 경북 순으로 높아 도별 돼지 사육규 모와 유사한 경향을

◐ 최근 돼지질병 진단 동향

2018. 6월호 321

2017년 243건이 검색된 대장균감염증은 월별로 4월, 7월, 9~10월에 진단 빈도가 상승하였고, 12월과 1~3월에 감소하였으며, 연령별로는 포유자돈 구간에서 상승, 육성돈 구간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6).

2015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S. suis의 2017년 진단 결과에서는 월별로 진단 건수 편차가 심하였고, 연령별 진단 빈도가 2016년과 달리 이유자돈에서 상당히 증가하고 육성 및 비육돈에서는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그림 7).

(그림 6) 질병진단기관의 월별, 연령별 대장균 감염증 진단 빈도(2016∼2017년)

월별

연령별

2017년 2016년

316-322 집중연구-이경기.indd 321 2018-05-22 오전 10:20:23

Page 7: 316 2018. 6월호 - 피그앤포크318 2018. 6월호 5년간 지역별 진단 실적은 충남, 경기, 경남, 경북 순으로 높아 도별 돼지 사육규 모와 유사한 경향을

집중연구_질병

2018. 6월호322

PED는 2014년과 2015년에 비해 2016년 15건으로 상당히 감소하였으며, 2017년 봄과 하반기에 23건의 산발적인 발생이 확인되었으나(그림 8), KAHIS에는 104건이 보고되어 여전히 높은 발생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PED의 질병 재해보

험 적용으로 공식적으로 국가 진단기관에 의뢰되는 사례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2013년 이후부터 누적 통계에서는 충남, 경남, 경기, 경북 순으로 발생이 많아 전국 돼지 사육두수에 비례하여 발생이 확인되고 있다.

(그림 7) 질병진단기관의 월별, 연령별 S. suis 진단 빈도(2016∼2017년)

월별

연령별

2017년 2016년

(그림 8)질병진단기관의PED 진단 결과(2013년 10월~2017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316-322 집중연구-이경기.indd 322 2018-05-22 오전 10: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