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12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

Upload: others

Post on 01-Aug-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

Page 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産)

(官)

(學)

개요

「2018 서울연구논문 공모전」

협력기관(7)

• 행정자치부

• 통계청

• 기상청

• 국립환경과학원

• 국토지리정보원

• 도로교통공단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주최 : 서울특별시, 서울연구원

※ 공공데이터 협조

주관 : 서울연구원

Page 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3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2018.04.25

2018.08.24 (마감)

2018.10월 중 (예정)

2018.05.31 (마감)

논문제출

논문발표회

참가신청 (연구계획서접수)

공고

추진일정

2018.05.10 서울연구원연구지원설명회

2018.11월 중우수논문시상

Page 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4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참가신청

• 연구 범위 및 주제 선택

‐ 연구범위 : 서울 및 수도권을 지역범위로 하거나 서울 관련 데이터 활용

‐ 자유주제 : 제한이 없음

‐ 지정주제 : 2015 서울복지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한 논문

• 응모 부문 선택

‐ 학생부문 : 국내외 대학(원)에 재학 중인 학생 (공고일 기준)

‐ 일반부문 : 제한 없음 ※박사과정 수료자는 일반부문으로 간주함

• 제출 마감 : 2018.05.31.(목) 오후 6시

• 제출 방법 : 온라인 접수 (www.서울연구논문공모전.kr )

파일 등록 : ① 연구계획서 ② 학생부문 증빙서류 (재학증명서 등)

연구계획서 작성 방법

• 연구계획서 분량 : A4 용지 2~3매 내외 (“연구계획서” 서식 준수하여 작성)

연구계획서 작성 및 참가신청

Page 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5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최종 논문 제출

• 제출대상 : 참가신청(연구계획서 제출)한 연구자(팀)

• 제출 마감 : 2018.08.24.(금) 오후 6시

• 제출방법 : 온라인(http://www.서울연구논문공모전.kr)에 접속하여, 최종 파일 등록

① 논문 원문

② 논문 요약서

③ 논문제출 확인 및 활용 동의서

④ 윤리서약서

논문 작성 방법

• 논문 분량 : A4 용지 25매 내외

• 논문 작성방법 : “2018 서울연구논문 공모전 원고작성방법”을 준수하여 작성

※ 제출한 논문에 대하여 저작권 이양을 요구하지 않으며, 서울도시연구를 비롯한 학술지에자유롭게 투고 및 게재 가능하며 공모전 성과 파악을 위해 가급적 사사표기를 해 주시기 바랍니다.

논문작성 및 제출

Page 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6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논문발표회 (구술심사) 개최

• 우수논문 선정 : 논문 서면심사를 통해 선정

※ 지정주제를 포함한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우수논문 9편 선정

※ 서울연구원장상은 지정주제 응모작 중에서 2편 선정

• 우수논문 발표회

‐ 일시, 장소 : 2018. 10월 중, 서울연구원 (추후 변동가능)

‐ 발표 논문 편당 20분 (발표 15분, 질의응답 5분)

※ 발표 자료는 파워포인트 20쪽 내외로 준비하여, 사전에 이메일([email protected])제출

• 우수논문 시상 : 총 11편 (발표 당일 심사 및 시상)

논문발표회

시상 등급시상 편수

내 용학생 일반

최우수상 1편 서울특별시장 상장 및 시상금 5백만원

우 수 상 1편 1편 서울특별시장 상장 및 시상금 각 3백만원

장 려 상 3편 3편 서울특별시장 상장 및 시상금 각 1백만원

서울연구원장 상 1편 1편 서울연구원장 상장 및 시상금 각 3백만원

Page 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7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응모자 일반사항 및 저작권

유의사항 : 저작권 및 공공데이터 활용

• 응모자의 응모 논문 수는 제한이 없음- 단, 대표 응모자 중복 불가. 공동연구는 대표 응모자 포함 4인까지 가능

- ‘2018 공무원 시정연구논문 공모전’ 응시자격에 해당하는 서울시, 자치구 공무원, 서울시 투자 출연기관 직원 응모 제한

단, 연구를 주업무로 하는 연구직 공무원(직원)은 서울연구논문 공모전에 응모 가능

• 서울시와 서울연구원은 응모 논문의 저작권 양도 및 이전을 요구하지 않으며, 제출된 논

문파일 등은 반환하지 않음- 응모자는 제출 논문에 대하여 성과물 발간 및 홈페이지 공개 등의 배포 활용에 동의해야 함 (공개일정은 저자와 상호협의)

• 응모자는 윤리서약서를 제출해야 하며, 기발표작ㆍ대리작ㆍ표절작은 수상할 수 없고 ,

입상작으로 선정된 후에도 대리연구 또는 표절 등 연구윤리에 어긋나는 사항이 확인될

경우 수상을 취소하고 상금을 환수함

• 논문 내용에 대한 표절시비, 기타 저작권법 위반 여부에 대한 책임은 논문 제출자에게

있음

• 응모자는 응모한 논문을 논문발표회 이후 서울도시연구 등 학술지에 투고 가능

Page 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8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유의사항 : 책임과 의무

논문 제출

• 제출하는 논문은 연구계획서와 주제가 같아야 함

- 만약, 불가피하게 변경되는 경우는 변경 사유를 미리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 ‘2018 서울연구논문 공모전 원고작성방법’ 에 따라 논문을 작성하여야 하며,

편집규정에 준하지 않는 응모작은 심사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음

데이터 제공 및 파기

•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된 표, 그림 등에는 해당 자료의 출처와 자료명을 반드시 기재해

야 함

• 자료를 제공받은 응모자는 본 공모전에서 제공한 ‘공개자료 설명서’를 충분히 숙지해

야 하며, 논문의 분석 결과에 따른 모든 책임은 연구자에게 있음

• 제공된 자료는 ‘2018년 서울연구논문 공모전’을 제외한 다른 용도에는 사용할 수 없으

며 공모 이후에는 파기해야 합니다.

Page 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9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기타

• 응모 작품 수 및 응모작의 수준에 따라 시상 내역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본 공모전에 응모한 논문을 타 학회지 등에 게재할 경우 다음과 같이 사사 표기를 해

야 하며, 이를 서울연구원에 고지하여야 합니다.

(제출작인 경우) “본 논문은 서울특별시·서울연구원이 주최한 「2018 서울연구논문 공모전」에

응모한 논문(을 토대로 수정 보완한 논문)입니다.”

(수상작인 경우) “본 논문은 서울특별시·서울연구원이 주최한 「2018 서울연구논문 공모전」에서

수상작으로 선정된 논문(을 수정 보완한 논문)입니다.”

• 응모자는 논문공모전 관련 안내 및 공지를 위하여 서울연구원 메일링 회원으로 등록

유의사항 : 책임과 의무

Page 1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10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Q1. 연구진을 도중에 변경할 수 있나?

A) 공동연구진 변경 가능함. 변경된 응모자 정보는 논문제출시 수정하여야 함

자주하는 질문

Q2. 연구계획서와 제출하는 논문이 내용이 다르면 안되나요?

A) 연구주제와 범위가 동일하여야 함. 불가피한 변경시 사유를 고지하여야 함

Q3. 논문공모전이 진행되는 도중에 학회에 발표할 수 있나?

A) 공모전 종료 시(논문발표회 당일) 까지 투고할 수 없음

Page 1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11 / 11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자주하는 질문

Q4. 응모 논문이 기발표작이거나 표절 등 연구윤리에 위배된 경우는?

A) 당선작의 경우 추후 수상이 취소됨

Q5. 학생부문의 참가자격 ?

A) 재학증명서등 기타 재학 중임을 소명할 수 있는 자료를 발급받아 학생 증명이

가능한 경우에 응모 가능

Page 1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연구주제의 선정과

논문의 논리적 전개

일시: 2018-05-10

장소: 서울연구원

김기란 (홍익대학교 겸임교수)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연구지원설명회초 청 특 강

Page 1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1. 학술논문은 어떤 글인가?

* 설명과논증, 화제와주제, 작문과논문의차이를구분한다. 유의미한 문제제기(주제) « 독창성

과학적, 논리적 문제해결과정(논증/내적 타당도) « 정확성,

객관성

체계적 구성(체재) « 치밀성

간결하고 정확한 표현(표현)

학문의 공공장에서의 전달과 소통 가능성(독자/외적 타당도)

*윤리성(morality)

연구결과를 토대로 확장된 자신의 지식을 스스로 조직하는 연습

연구의 결과를 타인과 공유하는 공적 활동

나에게흥미롭고,

남에게도흥미로운문제를제기하고

그해결과정을과학적이고논리적으로제시하여

답을구하는글

Page 1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 학술논문의 내용

연구설계

(공학계열/양적연구,

통계와실험중심의연구설계)

* 연구목적, 연구대상, 연구방법을중심으로구성한다.

1. 연구 목적

1.1. 연구의 문제

1.2.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2.1. 선행 연구 현황 소개

2.2 연구 방향의 제시

3. 연구 원리 및 가설

3.1. 연구 원리

3.2. 연구 가설

4. 연구 방법

4.1. 실험 대상과 절차

4.2. 자료 처리 및 결과 분석

5. 연구 기간

6. 예상되는 결과 및 시사점

7. 참고 문헌

Page 1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3. 학술논문의 첫 번째 난관 : 주제 정하기

* 주제찾기는선행연구를비판적, 분석적으로검토하며유의미한질문을던지면서시작된다.

* 주제의다양한내용형식을인지한다.

* 선택한주제가처리가능한것, 행할수있는것, 해결가능한것인지검토한다.

3-1. 주제의다양한내용형식

-새로운학설(담론)의제시 / 문제제기형

-논증을통한사실확인 / 문제분석형

-검증된이론을현상에적용 / 해결방안제시형

Page 1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3. 학술논문의 첫 번째 난관 : 주제 정하기

3-2-1. 스스로질문을만들자

1) 내가주장하고자하는내용이공공의정보로필요한이유는무엇인가(주제)

2) 이러한논의가필요한이유는무엇인가 *so-what

3) 이전에비슷한논문이제출된적이있는가(선행연구검토) *분석적, 비판적

4) 주제를드러낼수있는객관적방법은무엇인가(연구설계)

3-2. 주제를찾기위한방법

Page 1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3. 학술논문의 첫 번째 난관 : 주제 정하기

3-2. 주제를찾기위한방법

3-2-2. 학과세미나와학술대회, 도서관의자료검색활용

* 유용하게이용할수있는전자자료(학술데이터베이스) 검색및검토

* 주제분류와상관없이핵심어를통해검색

Page 1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4. 주제, 논점, 관점 확정 방법 * 모든논문의전개기준은주장, 논점, 관점이다

* 핵심어-주제-주제문-서론-목차로확장된다

* 논문은인식의구조적설계를바탕으로전개된다

* 논문의제목은곧 (핵심어) 논문의주제(A는 B다)

4-1. 논문제목의좋은예와나쁜예

• 세포에관한연구

• 돌연변이에관한연구

• 지베렐린이옥수수의세포의크기에미치는영향

• R방사선에의한흰쥐의돌연변이유발

• UMTS 단말기의 Mobility Management의 2G와 3G시스템간의연동방안연구

• 기후변화레짐의형성과녹색중상주의국제정치

• 유아의부모표상과사회적의도귀인

• 자아분화수준과부부관계에대한비합리적신념과의관계

Page 1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4. 주제, 논점, 관점 확정 방법

4-2. 주제, 연구목적, 연구목표의관계

연구목적 연구목표

를이해하는데기여하다

에대한지식을늘리다

에대한지식을수집하다

현상을설명하다

논쟁을명확하게만들다

새로운어떤것을알리다

잊어버린어떤것을다시논의하다

새로운어떤것을시험하거나

더나은문제해결방안으로발전시킨다

규정된문제를해결하기

이미수행한연구의반박하기

연구대상을평가하기

주장을분석하여비판적으로검토하기

(두현상사이의) 연관성을조사하기

이론과입장등을비교, 대조, 평가하기

이론과입장등을입증하거나정당화하기

이론과입장에대한찬반논거를분석하기

사태, 이론, 대상을분석하기

현상, 사태, 사건을해석하기

주제영역(현실영역)을체계화하기

과학적방법을개발하고검증하고실험하고적용하기

Page 2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4. 주제, 논점, 관점 확정 방법

제목 아파트광고에나타난은유법과광고효과의상관관계고찰

연구주제(문)

연구목적및필요성/

선행연구검토

아파트광고에나타난은유법과그것이아파트구매소비자들에게미치는영향관계를고찰한다.

은유는시와같은문학작품에서뿐만아니라우리의일상언어, 광고등에서도중심적인역할을한다. 특히

광고문속에나타난은유적표현들은광고의대상을더욱돋보이게해주거나대상이가지고있는가치를

더욱높게표현해주는효과가있다. 본연구에서는한국아파트지면광고문구에사용된은유법이소비자

에게어떠한영향을주는지, 어떤은유가더강한의미를생성하는지등에대해살펴보고자한다.

연구방법 본연구의방법은수집한광고에대한분석, 기존이론에대한고찰, 문헌연구등을활용한다. 언어적텍

스트의구조완결성이높은지면광고를대상으로한다. 문헌연구를위해학술지, 학위논문, 연구보고서

등을수집, 참고한다. 기호학이론, 구조분석을위한의미분석이론등을적용한다.

4-3. 주제확정을위한연구계획서작성 예시) 연구계획서양식(인문/사회계열)

Page 2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4. 주제, 논점, 관점 확정 방법

4-3. 주제확정을위한연구계획서작성 예시) 연구계획서양식(인문/사회계열)

연구범위 연구시기와대상은 2007년부터현재까지아파트지면광고이다. 대상의표본으로는국내유명아파트

브랜드의지면광고를정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및필요성

1-2. 연구방법

2. 광고은유란무엇인가

2-1. 은유의개념

2-2. 광고의기능과은유

3. 광고에사용된은유분석

3-1. 분석의범주

3-2. 분석사례

4. 아파트광고에사용된은유법의효과

4-1. 은유적수사가광고에미친영향

4-2. 은유적표현과광고의설득력

5. 결론

참고문헌

Page 2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4. 주제, 논점, 관점 확정 방법

*국문초록예시) 부동산경기가철근가격에미치는영향분석

부동산 경기는 다양한 요소들에 영향을 받고, 부동산 경기는 특정한 제화인 철근가격에도 영향을 미친다. 이 논문에서는 부동산 경기를 구성하는 요소를

거시경제변수와 경기관련변수(건설업경기,부동산경기,일반경기)로구분하고, 부동산 경기가 철근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OLS 모델을 추정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00년 11월부터 2006년 3월까지의 기간이고, 공간적 범위는 서울,인천,부산,대구,광주,춘천,제주,수원,성남 9개

권역의 평균값을 실제 철근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철근 데이터는 대표값으로 이형철근(D19mm2.250(kg/m))을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연구를 위하여

종속변수로 이형철근 가격으로, 독립변수로는 (다양한) 거시경제 변수 및 경기관련 변수로원화대미환율, 종합주가지수, 통화량 M2, 발주자/공종별 건설수주액,

소비자물가지수,주택가격지수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결과는 loglinear 형태의 변수를 취한 모형과 변화율 형태의 변수를 취한 모형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내었다. 두

결과 모두 거시경제관련 변수들은 (-)의 상관 관계를, 경기 관련 변수들은 (+)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본 논문에서 고찰한 변수 중 (여기 쓰인 모든 변수가

철근가격에 영향을 미치지만,) 철근가격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통화량,소비자물가지수,주택가격지수이며, 작은 영향을 미친 변수는 건설수주액이다. 특수

재화인 철근은 건설업 및 부동산 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향후 더욱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 다중회귀분석, 철근가격, 거시경제관련 변수, 부동산 경기, 주택시장, 상호작용

Page 2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5. 목차 구성 원리 *구성상시작-중간-끝이있어야한다

*구성의원칙을중간에서변경해서는안된다

1.서론

2.내용

2.1 TAT :그림

2.2 MMPI :어문

3. TAT

3.1검사실시 :구두검사

3.2채점방법

4. MMPI

4.1검사실시 :지필

4.2채점방법 :객관적

5.결론

1.서론

2.내용

2.1 TAT :그림

2.2 MMPI :어문

3.검사실시

3.1 TAT :구두검사

3.2 MMPI :지필검사

4.채점

4.1 TAT :주관적

4.2 MMPI :객관적

5.결론

Page 2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5. 목차 구성 원리

1.서론 (검사별조직)

2. TAT

2.1내용 :그림

2.2검사실시 :구두

2.3채점방법 :주관적

3. MMPI

3.1내용 :어문

3.2검사실시 :지필

3.2채점방법 :객관적

5.결론

1.서론

2.내용

2.1 TAT :그림

2.2 MMPI :어문

3.검사실시

3.1 TAT :구두검사

3.2 MMPI :지필검사

4.채점

4.1 TAT :주관적

4.2 MMPI :객관적

5.결론

* 주제별로조직한다.

Page 2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감사합니다.

Page 2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5. 10

주요조사내용과자료활용방법

Page 2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01 조사개요

02 조사내용

03 조사설계

04 주요조사결과

05 자료이용방법과조사의한계

1

Page 2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5년서울복지실태조사

2

Page 2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배경 및 목적

배경

서울시 복지예산 비중 34.3%로 복지정책 비중 확대

세계20위권 글로벌 도시에 걸맞은 복지통계 부재

실증적 통계정보에 근거한 정책설계와 성과 모니터링 필요

3

목적

서울시민의 복지수준과 욕구의 변화 추이 파악

복지정책 설계를 위한 기초데이터 제공

복지정책의 성과 모니터링 지표로 활용

민선1기

•사회복지기초수요조사(1996)

- 300만가구전수조사- 저소득,여성,노인,청소년,장애인표본조사

민선3기

• •

•노인실태및욕구조사(2003)

•장애인실태및욕구조사(2004)

•저소득층복지수요조사(2005)

민선4~5기

•서울복지패널조사

(2009, 2011)

•민선5~6기

•서울복지실태조사

(2013, 2015)

Page 3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개요

4

요통계명 서울특별시 복지 실태조사(승인번호:201013)

주관기관 서울특별시 ∙ 서울연구원

조사주기 2년

모집단 2015년 현재 서울특별시에 거주하는 가구

목표 표본 3,000가구

표본추출틀 통계청 「2010년 인구주택 총조사」 표본 조사구

표본배분방식 다단계 층화 비례 배분

표본추출방법 계통추출법

표준오차 95% 수준에서 ±1.8%

조사방법 컴퓨터를 활용한 가구방문 면접조사( CAPI)

조사도구 구조화된 질문지

조사기간 2015. 08. 11 ~10. 09

Page 3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완료

5

5대 권역자치구

권역 표본수 구성비

도심권 164 5.4 종로, 중구, 용산

동북권 956 31.7성동, 광진,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노원

서북권 352 11.7 은평, 서대문, 마포

서남권 929 30.8

양천,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관악

동남권 618 20.5서초, 강남

송파, 강동

계 3,019 100.0

(단위: 가구, %)

3,019가구

(7,452명)

Page 3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5년서울복지실태조사

Page 3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내용

6

|

2013년 조사문항 재정리

• 전반적으로 조사문항 축소, 간소화

• 가구용과 가구주용 조사표를 하나로 통합

• 서울시 사례가 미미한 문항 삭제

• 서울시 정책 또는 역할과 무관한 문항은 최소화

정책 활용도가 높은 문항으로 구성

• 생활실태 문항 간소화, 정책 평가와 욕구 문항 강화

• 서울시 실무부서 요구사항 반영

서울시 특성을 반영한 문항 추가

• 서울시민복지기준 관련 체감형 성과지표 문항 추가

• 서울시 주요 복지사업에 대한 평가와 욕구항목 추가

•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등 복지전달체계 관련 문항 추가

대분류 중분류

서울시민의생활실태

1. 가구일반사항가구원 개인특성

주거실태

2. 경제생활

경제활동

소득과 지출

자산과 부채

3. 건강과 의료이용

가구원 건강상태

가구원 장애상태

의료서비스 이용

정신건강

4. 가족생활,

여가 및 사회활동

가족관계

출산과 일가정 양립

여가활동

사회활동

분야별 복지실태 5. 복지서비스 이용

기초생활보장

고용•금융서비스

아동•청소년복지

어르신 복지

장애인 복지

복지전달체계

서울시민 복지의식 6. 복지의식 및 욕구

삶의 질

복지의식과 정책방향

노후생활

2013년 조사문항의 문제점

• 한국복지패널 조사표를 이용해 서울에 부적합한 문항 다수

• 조사범위가 넓고 조사문항이 너무 상세함

Page 3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내용

7

|

서울시민의 생활실태

가구주 및 가구원 현황을 함께 조사

가구원 조사 항목: 일반사항(연령, 학력 등), 경제활동, 건강과 의료이용(만성질환, 장애 등)

Page 3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내용

8

|

아동 및 청소년 복지

만 0~18세(1997~2015년 출생) 아동 또는 청소년이 있는 가구

돌봄, 돌봄시설 만족도, 학교밖 청소년, 친환경 무상급식 만족도,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사업의 인지도

Page 3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내용

9

|

어르신 복지

만 65세이상(1950년 이전 출생자) 어르신이 있는 가구

급여수급, 어르신대상 복지서비스 인식여부, 어르신대상 사업 인식여부, 어르신 사회활동 시설 인식여부, 서비스 수요

Page 3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내용

10

|

장애인 복지

장애인(등록, 비등록 장애인 모두 포함)이 있는 가구

급여수급, 장애인대상 복지서비스, 자립생활과 취업지원, 장애인 가정을 위한 지원사업, 장애인 가구의 경제적 부담

Page 3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내용

11

|

복지전달체계

복지제도 및 서비스 인지여부, 정보습득 통로

동주민센터 방문경험, 도움정도, 상당과정,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인지여부 및 필요기능

Page 3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내용

12

|

복지의식 및 욕구

생활영역별 만족도, 삶의질 수준, 행복감 정도

복지정책의 방향과 실현방안, 복지시설의 공급혜택에 대한 의견 수렴

Page 4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내용

13

|

조사지침서 활용

조사지침서: 조사원 교육자료, 각 문항별 응답방법 및 추가 설명

연구원 자료 제공 시 함께 제공

Page 4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내용

14

|

조사지침서 활용

Page 4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5년서울복지실태조사결과

Page 4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설계

15

계조사 규모 결정

조사구 배분

• 목표 표준오차: 1.8%p• 서울시: 3,000 가구• 5개권역: 권역당 350가구

• 서울시 전체 300개 조사구• 임의할당 후 비례 배분• 조사구 당 10가구 조사

조사가구 추출• 서울시 전체 300개 조사구• 조사구 당 10가구 조사• 예비조사구, 가구 추출

실제조사

조사구

전국의 모든 지역을 일정한 규모의 가구수를 기준으로 나누어 표준화

한 조사 단위로 지리적 또는 가구특성 면에서 유사한 편임

통상 60가구(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조사구: 평균 57.7 )

조사구 내 가구 추출

일반적으로 10-20가구 설정

조사구 당 표본이 많으면, 무응답률, 거절률, 부재율 등으로 조사 어

려움

조사구 당 표본이 적으면, 표본 집락 수의 증가, 조사비용 증가

Page 4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설계

16

구분

모집단 표본배분

가구수 비중 비례배분제곱근

비례배분

우선할당후

비례배분

도심권 189,933 5.4% 16 32 38

동북권 1,109,658 31.7% 95 79 77

서북권 409,026 11.7% 35 48 48

서남권 1,078,819 30.8% 92 78 76

동남권 716,861 20.5% 62 63 61

전체 3,504,297 100.0% 300 300 300

• 5개권역별표본조사구수

구분 표본수

가처분소득 주택전용면적 가구생활비

평균상대표준

오차평균

상대표준

오차평균

상대표준

오차

도심권 405 3,659.0 4.25% 74.9 2.41% 284.9 4.76%

동북권 1,171 3,595.3 2.75% 72.1 1.42% 274.6 2.19%

서북권 441 3,814.4 4.12% 79.3 2.15% 285.8 3.60%

서남권 1,132 3,660.6 2.54% 71.7 1.60% 279.1 2.38%

동남권 649 5,248.8 3.75% 90.4 2.05% 400.9 2.99%

전체 3,798 3,982.2 1.57% 76.7 0.86% 303.7 1.33%

• 2013년서울복지실태조사주요조사항목추정값 및상대표준오차

표본 규모 설정 및 배분

2013 서울복지실태조사 추정값과 상대표준오차 현황: 5개 권역별로 최소한 350가구 이상의 표본 필요

권역별 통계의 안정적인 산출을 위해 각 권역에 대해서 30개 조사구를 우선적으로 할당한 후 가구 수 비례배분법을 적용

Page 4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설계

17

구분 가구수상대표준오차(예상)

가처분소득 주택전용면적 가구생활비

도심권 380 4.39% 2.49% 4.91%

동북권 770 3.39% 1.75% 2.70%

서북권 480 3.95% 2.06% 3.45%

서남권 760 3.10% 1.95% 2.90%

동남권 610 3.87% 2.11% 3.08%

전체 3,000 1.77% 0.97% 1.50%

• 2015 서울특별시 복지실태조사 주요 항목의 상대표준오차(예상)

표본 가구 추출 및 예상 표준오차

1차 추출단위인 표본 조사구의 추출은 50개 각 층 내에서 조사구를 행정구역 번호에 따라 정렬하여 확률비례계통추출법을 적용

2차 추출단위인 가구의 추출은 표본 조사구의 가구명부를 활용하여 조사구 당 10가구를 계통추출하여 조사하는 것을 원칙으로 함

예비표본은 표본 조사구(300개 조사구)와는 독립적으로 약 30%(60개 조사구) 추가 추출

Page 4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설계

18

권역 자치구모집단 비례배분

가구수 비중 조사구수 가구수

서울전체 3,504,297 100.0% 300 3,000

도심권 189,933 5.4% 38 380

종로구 57,807 1.6% 12 120

중구 45,656 1.3% 9 90

용산구 86,470 2.5% 17 170

동북권 1,109,658 31.7% 77 770

성동구 107,114 3.1% 8 80

광진구 133,468 3.8% 9 90

동대문구 128,042 3.7% 9 90

중랑구 144,951 4.1% 10 100

성북구 162,896 4.6% 11 110

강북구 117,072 3.3% 8 80

도봉구 118,947 3.4% 8 80

노원구 197,168 5.6% 14 140

권역 자치구모집단 비례배분

가구수 비중 조사구수 가구수

서북권 409,026 11.7% 48 480

은평구 154,923 4.4% 18 180

서대문구 112,701 3.2% 13 130

마포구 141,402 4.0% 17 170

서남권 1,078,819 30.8% 76 760

양천구 154,239 4.4% 11 110

강서구 193,629 5.5% 14 140

구로구 142,678 4.1% 10 100

금천구 86,533 2.5% 7 70

영등포구 138,637 4.0% 10 100

동작구 145,744 4.2% 10 100

관악구 217,359 6.2% 14 140

동남권 716,861 20.5% 61 610

서초구 136,840 3.9% 12 120

강남구 200,965 5.7% 17 170

송파구 219,426 6.3% 18 180

강동구 159,630 4.6% 14 140

• 5개 권역 내 자치구별 표본배분 현황

Page 4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5년서울복지실태조사결과

Page 4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가구특성

19

1세대

42.1%

2세대

54.3%

3세대 이상

3.6%

세대구성

1인

24.5%

2인

22.6%

3인

22.2%

4인

26.1%

5인 이상

4.7%

가구원수(2.66명)

부모+

자녀

52.8%단독가구

24.5%

부부가구

16.5%

기타

6.2%

가구구성

|

가구구성

2세대 54.3% > 1세대 42.1%,

부모+자녀 52.8% > 단독가구 24.5%

평균 가구원수 2.66명

자료출처 1인 2인 3인 4인 5인이상

서울복지실태조사(2015) 24.5 22.6 22.2 26.1 4.7

주민등록인구(2015.10, 서울) 36.7 19.9 18.6 18.9 5.9

인구주택총조사(2010, 서울) 24.4 22.3 22.5 23.1 7.8

장래인구추계(2015, 서울) 27 24.7 22.7 19.6 6

가구원수별 구성

평균가구원수: 2.66명

주민등록인구통계와 장래인구 추계에 비해 1

인가구 비중은 낮고, 4인가구 비중은 큼

Page 4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주거실태

20

아파트

41.1%

다가구

24.0%

단독주택

13.2%

다세대

11.0%

기타

10.6%

주택유형

자가

40.1%

전세

41.3%

월세

17.3%

기타

1.4%

점유형태

아파트 41.1%> 다가구 24% > 단독주택 13.2%

전세 41.3% > 자가 40.1% > 월세 17.3%

주택형태 • 점유형태

|

Page 5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연평균 가구소득

가구소득

가구주 성별 가구소득 가구주 연령별 가구소득

5,036

3,124

남자 여자

21

2,999

4,514

5,331 5,390

3,970

2,007 1,869

20대

이하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80대

이상

(단위 : 만원) (단위 : 만원)

2014년 기준 가구당 총소득은 연평균 4,538만원

2014년 가계동향조사와 2013년 서울복지실태조사의

가구소득보다 다소 높음

연간 가구소득

남성가구주 소득이 5,036만원 > 여성가구주 3,124만원의 약 1.6배

가구주 연령 40대, 50대에서 소득수준이 가장 높음

가구주 특성별

4,5384,505

4,485

4,394

4,492

4,332

총소득 경상소득

본조사 2013년 조사 2014년 가계동향조사

(단위 : 만원)

|

Page 5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자산과 부채

22

자산 부채

2억 5천

2천 9백1천 5백

부동산 자산 금융자산 기타자산

(단위 : 만원)

부채 용도

63.6%

17.8%10.1%

4.9% 2.8%

없음 5천만원

미만

5천-1억원 1억-1.5억원 1.5억원

이상

자산 총액은 가구당 평균 3억원

부동산 자산이 2억 5천 만원으로 대부분을 차지

자산

부채가 있는 가구는 36.4%.평균 부채액은 5천 8백 만원

부채 용도는 주택관련이 가장 많음

부채

49.0%

32.6%

4.5%

4.5%

2.8%

2.6%

1.5%

0.9%

0.7%

주택구입비용

보증금

교육비

생활비

투자 목적

사업 자금

자녀 결혼/분가 비용

이자지불, 부채상환

의료비

|

Page 5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가계 지출

비중이 큰 지출항목

23

5.1%

5.3%

6.4%

12.7%

13.9%

40.1%

경조사비

사회보장 부담금

의류・신발비

보건의료비

부채

외식비

세금, 공과금

공교육비

광열수도비

주거비

사교육비

식료품비

1.7%

9.4%

16.3% 17.0%

25.8%

17.4%

12.0%

50만원

미만

50-100

만원

100-150

만원

150-200

만원

200-300

만원

300-400

만원

400만원

이상

2014년 기준 가구당 월평균 227만원

(2014 가계동향조사 도시가구 평균 294만원)

200~300만원 지출하는 가구가 25.8%로 가장 많음

월평균 가계지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지출항목은 식료품비 40.1%

그 외에 사교육비 > 주거비 > 광열수도비 > 공교육비 > 세금·공과금 순

지출항목

월평균 가계지출

|

Page 5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인구 특성별 복지대상

가구특성

24

가구구성 특성별 복지대상 사회적 특성별 복지대상

24.5%

1.3% 0.1%

단독가구 편부모 가구 조손가구

2.5% 1.7%0.3% 0.2%

장애인

가구

장애인

가구주

다문화

가구

다문화

가구주

조사대상 가구 중 구성비

노인가구, 여성가구주, 단독가구 등은 높은 비중을 보임

편부모가구, 조손가구, 장애인, 다문화 가구 비중은 낮아 별도 분석에는 한계

주요 복지대상의 구성

15.0%12.3%

3.3%

12.0%

25.6%

노인

가구

노인

가구주

독거노인 영유아

가구

여성

가구주

|

Page 5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주관적 건강수준

건강실태

25

만성질환 보유율 정신건강

85.5%

9.2% 5.3%

건강양호 보통 건강불량

0.4%

6.4%

0.8%

10.3%

3~6개월 미만

투병, 투약 중

6개월 이상

투병, 투약중

가구원 전체 가구주 10.3%

3.3%2.7%

우울경험 자살충동

경험

자살시도

경험

85.5%가 주관적 건강수준이 양호하다고 인식

3개월 이상 만성질환 보유율은 가구원 전체 6.8%, 가구주 11.1%

건강수준

우울경험 가구원이 있는 가구 10.3%

자살충동, 자살시도 가구원이 있는 가구도 3.3%, 2.7%

정신건강

|

Page 5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개 이상 결핍 경험결핍 경험

기초생활보장

26

결핍경험

경제적인 이유로 결핍경험 가구 비율은 공과금 연체경험 9.7%, 난방 중단 9.2%로 높은 편

7개 항목 중 2개 이상 항목에서 결핍을 경험한 가구 비율은 6.2%, 가구당 평균 결핍 항목 수는 0.2개

9.7%9.2%

4.1% 3.9%

2.3%1.7%

0.6%

공과금

연체

난방

중단

의료서비스

미이용

집세

연체

결식/감식 건강보험료

미납

공교육비

미납

12.1%13.2%

6.0%

1.2%.6%

1.2%

1천만원

미만

1-3천

만원

3-5천

만원

5-7천

만원

7천

-1억원

1억원

이상

|

Page 5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가족복지

출산

전체 가구 중 9.7%가 희망하는 것보다 적게 출산, 비해당 가구를 제외하면 13.4%

희망 수준보다 자녀를 적게 낳은 이유는 경제적 부담, 건강문제 순으로 많고

엄마의 직장생활지장 5.3%, 보육시설/서비스 부족은 5%로 낮은 편

27

희망하는 만큼 자녀 갖지 않은 이유희망하는 수만큼 자녀 출산 여부

27.1%

63.2%

9.7%

비해당 (자녀 없음)

희망하는 만큼 낳았다

희망하는 것보다

적게 낳았다

44.8%

23.5%18.1%

5.3% 5.0%2.5%

경제적부담 건강문제 앞으로

출산계획

엄마의

직장생활

지장

적절한

보육시설/

서비스부족

자녀보다

부부생활

중요

|

Page 5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가족복지

일가정 양립

출산 이후 일을 그만둔 여성 가구원이 있는 가구는 전체의 14.3%

일을 그만 둔 이유는 ‘보육문제’ 67.4% 가장 컸고, ’일가정 양립이 어려워서’ 27.8%.

일가정 양립을 위해 출산휴가/육아휴직 제도 강화 요구 28.9%, 이어서 보육환경 개선 요구 19.7%

28

출산 후 경력단절 사유 일가정 양립을 위한 필요한 지원

67.4%

27.8%

2.0% 2.8%

보육문제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려워서

건강 등

개인문제

다른

가족들이

원해서

28.9%

19.7%17.7%

15.4%

10.8%

4.6%3.0%

출산휴가,

육아휴직제도

강화

보육환경

개선

보육비,

교육비 지원

여성 시간제

일자리 제공

유연근무제

확대

가족 친화적

직장문화

조성

사회 전반

인식 개선

|

Page 5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노인 만성질환 보유 비율

어르신복지

건강

65세 노인 중 3개월 이상 투병 중인 만성질환 보유율은 40.9%. 전체 가구원 평균 6.8%보다 높음

치매진단 또는 의심 노인은 4.6%

ADL 제약 노인 15.7%

치매 진단 노인 비율

29

ADL 제약 노인 비율

84.3%

12.3%

3.4%

도움 필요없음 부분적 도움필요 전적 도움필요

95.4%

2.2% 1.5% 0.9%

치매

없음

치매

의심

경증

치매

중증

치매

없음

59.1%

3-6개월

1.9%

6개월

이상

39.0%

|

Page 5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응답자 연령별

어르신복지

30

욕구 우선순위 – 노인복지사업

경제적 지원(47.6%) > 건강관련사업(18.8%) > 일자리 제공(15.4%) 순으로 요구도 높음

응답자의 연령별로 노후 경제적 지원 요구는 30-40대와 70대 이상에서 상대적으로 높음

20대는 경제적 지원만큼 사회공헌사업, 여가문화사업도 중요시

70대 이상은 건강관련 중요도를 상대적으로 높이 평가

응답자 전체

47.6%

18.8%15.4%

6.0% 5.2% 4.4% 2.5%

경제적 지원 건강증진,

장기요양

일자리 제공 여가,

문화사업

사회공헌

기회 제공

주거지원 평생교육

프로그램

0.0%

10.0%

20.0%

30.0%

40.0%

50.0%

60.0%

경제적 지원 일자리 제공 사회공헌

기회

건강증진,

장기요양

여가,

문화사업

평생교육

프로그램

주거지원

20대이하 30-40대 50-60대 70대이상

|

Page 6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장애유형

장애인복지

장애등급

31

장애특성

장애인이 한 명이라도 있는 가구는 2.5%, 장애인 가구주 가구는 1.7%

장애유형은 지체장애가 가장 많고 장애등급은 2등급이 가장 많음

장애인등록은 안 했지만 장애가 있다고 응답한 사례는 장애인 가구원 전체의 11.9%, 가구주의 15.7%

0.0%

10.0%

20.0%

30.0%

40.0%

50.0%

60.0%

지체

장애

뇌병변 시각

장애

청각․언어

장애

정신

장애

내부

장애

비동록

장애

가구원 전체 가구주

0.0%

5.0%

10.0%

15.0%

20.0%

25.0%

1등급 2등급 3등급 4등급 5등급 6등급

가구원 전체 가구주

|

Page 6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장애인복지

32

생활실태

15세 이상 장애인 중 경제활동 참가 비율 24.1% (전체 가구원 평균 경제활동참가율 61.8%)

장애인가구의 가구소득은 약 2천 2백 만원 (본 조사 전체가구 평균소득 4천 5백 만원)

장애인연금 수급 비율 19.2%, 장애수당 수급 비율은 21.4%, 장애아동 관련 수급률은 1% 내외로 미미함

연금, 수당 수급 실태

19.2%21.4%

0.5% 1.1%

장애인연금 장애수당 장애아동수당 보육비 및

교육비 지원

가구 소득경제활동 상태

(단위 : 만원)

경제활동

참가

24.1%

비경제활동

75.9%

2182

4539

장애인 가구 전체 가구

|

Page 6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복지정보

응답자 중 정부의 복지제도/사업을 ‘알고 있다’는 응답은 48.6%

70대 이상, 20대 이하의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음

복지정보 구득경로는 인터넷 > 동사무소 > 가족∙친지 순

남성, 젊은 연령에서 인터넷 이용이 상대적으로 많고, 동사무소 방문은 여성, 중고령자층이 많음

복지정보 인지도

복지전달체계

복지정보 구득경로

33

모른다

51.5%

대체로 알고

있다

43.6%

잘 알고 있다

5.0%

42.5%

24.2%

14.0%

7.7%4.4% 3.2% 2.1% 1.8%

경험 없음 인터넷 동주민센터

방문 문의

가족, 친지 시청 또는

구청 방문

콜센터 통반장, 동대표

지역주민

복지시설

방문 문의

|

Page 6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동주민센터 복지정보 도움정도

복지전달체계

동주민센터 복지정보 문제점

34

동사무소 정보제공

최근에 복지정보를 얻기 위해 동주민센터를 방문한 경험자는 6.7%

방문하여 정보를 얻는데 도움을 받았다고 응답한 비율 45.6%

문제점으로는 정보는 얻었지만 본인에게 혜택이 있는 제도/사업이 없다는 불만이 가장 많음

4.3%

12.2%

37.9% 35.5%

10.1%

전혀

도움안됨

별로

도움안됨

보통 약간 도움 매우 도움

36.7%33.6%

16.3%

3.5%5.7%

3.1%

없음 혜택 있는

사업 없음

필요 정보

없음

직원 부족으로

대화시간 부족

직원 불친절 상담/대기

공간 부족

|

Page 6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중산층 기준

주관적 계층의식

전체 가구의 60%가 중간층, 39.3%가 하층으로 인식

중산층 기준은 수입이 월 555만원 이상은 되어야 한다고 인식

가구규모별로는 1인 477만원, 2인 517만원, 3인 764만원, 4인 이상 784만원

주관적 계층의식

생활수준

35

|

상, 0.7%

중상

16.3%

중하

43.7%

하상

29.6%

하하

9.7%

(단위 : 만원)

555477

517

764 784

전체 1인 2인 3인 4인이상

Page 6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시 최저생활비

생활수준

서울시 적정생활비

36

최저생계비 / 적정생계비

서울에서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생활비는 평균 약 230만원이라고 응답

서울에서 생활하는데 필요한 적정생활비는 평균 약 310만원이라고 인식

(단위 : 만원) (단위 : 만원)

230

164194

248

295

전체 1인 2인 3인 4인이상

310

227

269

336

387

전체 1인 2인 3인 4인이상

|

Page 6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강화 정책분야

복지의식

우선지원 대상

37

정책 우선순위

서울시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정책분야로는 복지 > 경제 > 교육 > 보건의료 순

서울시가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대상은 노인 > 저소득층 > 장애인 > 영유아 순

33.1%31.7%

10.0% 9.5%6.6%

2.8% 2.3% 1.5% 1.3% 0.7% 0.3%

복지 경제 교육 보건

의료

주택

정책

여가 문화 교통 도시

안전

환경

오염

공원

녹지

도시계획

도시개발

21.1%19.2%

13.6%12.2%

9.9%

7.1% 6.5%5.1% 4.4%

0.5% 0.2%

노인 저소득층 장애인 영유아 아동

청소년

베이비

부머

자녀있는

취업여성

한부모

가정

모든

여성

다문화

가정

청년

|

Page 6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5년서울복지실태조사결과

Page 6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자료이용방법

38

표준화가중치(s_wgt) 모수추정 가중치(fff_wgt)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평균 표준편차 최솟값 최댓값

도심권 0.43 0.41 0.11 3.70 500 472 122 4,293

동북권 1.24 0.99 0.11 4.91 1,441 1,143 130 5,704

서북권 0.73 0.59 0.11 4.74 849 687 123 5,496

서남권 1.22 0.91 0.11 4.85 1,416 1,058 126 5,634

동남권 0.99 0.69 0.14 4.74 1,147 803 159 5,503

가중치의 활용

표준화 가중치: 가중치의 합계를 표본크기에 맞춘 가중치, 분석결과를 본 조사 표본크기(3,019)로 제시하는 경우에는 표준화 가중치를 활용

모수 추정 가중치: 모집단 총수에 맞춘 가중치, 분석 결과를 모집단(서울시)로 추정하여 제시하는 경우에는 모수 추정 가중치 활용

Page 6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39http://data.si.re.kr/sisurvey2015er17

• 서울통계(기초분석 보고서)

• 국가통계포털(조사 개요 파일)

• 서울연구데이터서비스(조사표, 기초분석 보고서, 마이크로데이터)

자료이용방법자

Page 7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40

자료이용방법자

관련연구 – 2015년 서울복지실태조사 심층분석 리포트 ( 연구책임자: 김경혜) –

복지 수요 계층의 추정과 정책 수요 발굴을 위한 서울복지실태조사 마이크로 데이터 활용방법

베이비부머, 여성가구주 가구, 빈곤가구, 청년 NEET 족 등

Page 7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조사의 한계

41

조사의 목적과 범위

2013년 대비 간소화했음에도 여전히 조사범위가 포괄적이고 조사문항이 많음

조사표가 여전히 길어 현장조사가 어려움

2013년과 조사와의 차이

동일한 표본설계를 적용하였으나 2013년보다 가구소득이 높게 측정

2013년 조사가 한국복지패널 표본설계를 따라 고령의 저학력 가구 과다 표집

두 조사 결과를 직접 비교 어려움

구분 본조사2013

서울복지실태조사

2010 인구주택총조사

(서울)

2013 한국복지패널

(전국)

가구주

연령

20대이하 6.9 2.6 10.2 3.0

30대 23.7 15.0 20.7 16.9

40대 24.1 18.9 24.1 26.5

50대 22.3 20.6 22.1 25.5

60대 16.5 19.7 14.0 13.8

70대이상 6.5 23.4 8.9 14.2

가구주

학력

초졸이하 3.6 19.9 9.7 17.1

중학교 5.7 10.7 8.9 10.4

고등학교 38.7 30.3 30.5 32.8

전문대 12.2 5.4 10.9 9.1

대학교 35.8 26.9 31.1 26.2

대학원이상 3.9 6.7 8.9 4.5

소득 등 경제상태 조사의 한계

설문조사 방식으로 정확한 조사가 어려운 것은 공통적인 문제

다른 데이터와 비교하기 보다는 동일 데이터 내에서 계층간 비교에 활용해야

하위집단 분석의 한계

하위집단 사례수가 적어 대표성이 떨어짐

(예: 보육시설 이용사례 263가구, 사회적돌봄 이용가구 337가구)

자치구간 비교하기에는 표본규모가 적음

Page 7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Page 7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 생활인구』

2018. 5. 10.

Page 7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Intro

Page 7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생활인구정의

생활인구추계

서울 생활인구?

Page 7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UN 통계국권고

서울 생활인구?

Page 7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7,000,000

8,000,000

9,000,000

10,000,000

11,000,000

12,000,000

13,000,000

7,000,000

8,000,000

9,000,000

10,000,000

11,000,000

12,000,000

13,000,000

구정연휴 기간

(2/15~2/18)

주중

주말

분석기간 전체 시각 당 생활인구의 평균분석기간 : 2018년 1.1 ~ 3.31일

생활인구

주민등록인구

(2월 19일(월) 16시) (2월 16일(금, 설날) 14시)

주중

주말

서울 생활인구 결과

Page 7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 생활인구 결과

※ 분석기간 전체 시각 당 생활인구의 평균

※ 분석기간 : 2017년 10.1 ~ 12.31일

추석연휴 기간

(10/1~10/9)

주중

주말

생활인구

주민등록인구

주중

주말

(12월 20일(수) 14시) (10월 2일(월,임휴) 7시)

Page 7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7년추석연휴 (10/1~10/9)

내국인

추석 한글날주말대체휴일임시공휴일주말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서울 생활인구 결과

Page 8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 주민등록인구와 경제활동인구 추이

4,917

5,135 5,180

5,252 5,258

5,307

5,386

5,362

5,353 5,371

4,500

4,700

4,900

5,100

5,300

5,500

2000 2005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10,373

10,297

10,575 10,529

10,442

10,388 10,370

10,297

10,204

10,125

10,000

10,100

10,200

10,300

10,400

10,500

10,600

10,700

2000 2005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거주(주민등록)인구

* 자료: 서울시, 주민등록인통계(내국인+외국인)

경제활동인구

(단위:천명)

*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연 도 상주인구 유입인구 유출인구 주간인구 주간인구지수

2000 9,688 1,087 586 10,189 105.0

2005 9,632 1,174 612 10,194 106.0

2010 9,550 1,457 638 10,370 108.6

2015 9,516 1,500 733 10,284 108.1

* 자료 : 통계청, 인구총조사 * 주간인구=상주인구+(유입인구-유출인구

(단위:천명)

Page 8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SeoulPublicData

주민등록인구 ≠ 유동인구 ≠ 생활인구

Page 8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평일평균 1,173만명

수면시간 활동시간

최대 12,100천명(월요일 15시)

최소 11,142천명(일요일 7시)

주말평균 1,137만명

월요일

일요일

토요일

서울 생활인구 요일별ㆍ시간대별 추이

Page 8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월 26일(월) 14시)

의정부시(6만9천명)

남양주시(11만명)

고양시(15만3천명)

부천시(11만9천명)

성남시(14만7천명)

용인시(9만6천명)

⑥서울 생활인구 ′실거주 지역′

Page 8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0.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9.00%

M00 M10 M20 M30 M40 M50 M60 M70 M80 F00 F10 F20 F30 F40 F50 F60 F70 F80

생활인구 주민등록인구

생활인구(내국인) 성/연령별 분포

여남

서울 생활인구 성별ㆍ연령대별 분포

Page 8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 생활인구 성별ㆍ연령대별 분포

남 여남여

중 구 성북구

Page 8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 생활인구 성별ㆍ연령대별 분포

20대 (주중)

20대 (주말)

Page 8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0

100,000

200,000

300,000

400,000

500,000

600,000

700,000

800,000

900,000

강남

송파

서초

강서

노원

영등포구

관악

마포

강동

성북

은평

구로

동작

광진

양천

동대문구

서대문구

중구

중랑

종로

성동

용산

강북

도봉

금천

생활인구 주민등록인구

생활인구 VS 주민등록인구

자치구별 생활인구 vs 주민등록인구

Page 8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자치구 시간대별 생활인구

강남구

은평구

중랑구

중구 종로구관악구

시간대별생활인구

Page 8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행정동별 clustering

Page 9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주민등록인구2018년1월~3월평균

생활인구2017년12월말

마포구서교동(100,123명)

강서구화곡제1동(53,666명)

양천구신정3동(50,297명) 강남구역삼1동

(124,259명)

영등포구여의도동(96,742명)

은평구진관동(55,348명)

③①

①②

행정동별 주민등록인구와 생활인구 비교

Page 9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생활인구 밀도 (

Page 9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장기체류외국인 단기체류외국인

( 2018년01월~03월 13시평균)

장ㆍ단기 체류 외국인 분포

Page 9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① 중구 명동

② 마포구 홍대앞

③강남구 COEX

21

외국인 관광객 TOP3 region

Page 9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 생활인구 자료 … 활용 방안은?

Page 9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 생활인구 무료 공개

Page 9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시 빅데이터 캠퍼스

Page 9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빅데이터 캠퍼스 이용 안내

Page 9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빅데이터 캠퍼스 이용 안내

Page 9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 생활인구 작성과정

통화/문자기반 LTE시그널 기반

구분 데이터발생시점 데이터발생량 비고

LTE 시그널데이터기반

• 기지국 변경• 데이터 사용 등 (평균 5분간격

발생)

• 1인평균8,640건/월

사용유무와 관계없이레코드 발생

콜데이터(3G)

통화/문자 기반

• 통화 착/발신• 문자 수/발신

• 1인 평균120건/월

사용자가 휴대폰을사용하지 않으면 레코드없음

약 70배

Page 10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존재하는기지국 산출 방식

1 2 3 4 5

14:12A기지국

15:34B

17:24C

18:19C

19:41A

15시A기지국

16시B

17시B

18시C

19시C

20시A

LTE시그널

특정시점기지국에 존재

A기지국B기지국

C기지국

12

34

5

※ 검색범위 : 전국, 데이터 Size : 약 45억건/일

기지국생활인구의집계구배분

KT고객이시각별존재하는기지국산출

저연령/고연령대생활인구대체

생활인구보정계수적용

서울 생활인구 작성과정 (내국인)

Page 10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존재하는기지국 산출 방식

LTE가입률보정계수적용

(행정동*성*연령)

휴대폰 On비율보정계수적용

KT MS보정계수적용

1 2 3

성*연령비교추가보정

4

• KT의휴대폰시장점유율

(약30%) 역수

• KT 내휴대폰가입자중LTE가입자비중 (90%)

• KT 휴대폰On비율(93%)

(휴대폰OFF, 기기결함,

기지국통신결함등포함)

• 1~3단계보정후전국KT고객수와

전국주민등록인구와비교

기지국생활인구의집계구배분

KT고객이시각별존재하는기지국산출

저연령/고연령대생활인구대체

생활인구보정계수적용

서울 생활인구 작성과정 (내국인)

Page 10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기지국생활인구의집계구배분

KT고객이시각별존재하는기지국산출

저연령/고연령대생활인구대체

생활인구보정계수적용

기지국과집계구 교차지역 산출

집계구

기지국

※ 참고 : 서울시 집계구 19,153개, 기지국 6,000여개

1

2

3

①, ②, ③지역에 해당

기지국단위의생활인구 추정모형 개발

생활인구=

주민등록인구근무인구사업체수

대중교통승하차인구건물연면적도로면적토지유형

(주거지,준주거지 등)

f( )다중회귀모형

• 기지국 단위 생활인구 배분 통계모형개발

• 요일(7)×시각(24) = 총 168개 모형 개발(sub집계구)

서울 생활인구 작성과정 (내국인)

Page 10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고연령대(80세 이상)대체

기지국생활인구의집계구배분

KT고객이시각별존재하는기지국산출

저연령/고연령대생활인구대체

생활인구보정계수적용

저연령대(0~9세) 대체

행정동 주민등록인구 저연령대 생활인구 산출비율

10세미만(남자) 10~14세(남자) (남자 10~14세 대비 10세미만)

553 348 1.5891

집계구

10~14세(남자) 생활인구

100

집계구

10세미만(남자) 생활인구

159

• 10~14세 생활인구에 주민등록인구비율 반영 • 70~79세 생활인구에 주민등록인구비율 반영

곱한다

산출

행정동 주민등록인구 저연령대 생활인구 산출비율

80세이상(남자) 70~79세(남자) (남자 70~79세 대비 80세이상)

195 434 0.4493

집계구

70~79세(남자) 생활인구

100

집계구

80세이상(남자) 생활인구

45

곱한다

산출

서울 생활인구 작성과정 (내국인)

Page 10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KT의 외국인이동통신 이용정보

구분 설명

외국인 LTE시그널정보• 국내 휴대폰에 가입한 외국인의 이용정보• 외국인등록증이 있는 외국인

외국인 로밍정보• 자국이동통신을 이용하면서

국내의 로밍서비스를 받는 외국인

장기체류외국인추계

단기체류외국인추계

서울 생활인구 작성과정 (외국인)

Page 10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기지국생활인구의집계구배분

(내국인과동일)

KT고객이시각별존재하는기지국산출

(내국인과동일)

생활인구보정계수적용

국적별보정저연령대보정

• 휴대전화 사용률이 저조한 저연령대 보정 • 국적별 국내 체류외국인을 참고한 보정

※ 외국인정책본부, 2016년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연보

국내장기체류외국인(전국)

KT이용장기외국인(전국)

국적 10세미만 10세이상 저연령대 보정계수

중국 29,818 791,967 1.0377

일자 시각국적KT이용자

수2017102

509 중국 106,223

저연령대 보정계수 적용후

110,222

국내장기체류외국인(전국) KT이용장기외국인(전국)

국적 체류외국인수

중국 821,785

저연령대 보정계수 적용후

110,222

국적별보정계수7.4557

기지국단위KT고객수에반영외국인생활인구산출

서울 생활인구 작성과정 (외국인)

Page 10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검증지점특성

• 입장객수로 파악 안되는 지역

- A지역 : 선화예술고등학교

- B지역 : 육영재단어린이회관

집계구검증영역 집계구검증영역

10/21(토)

22(일)

23(월)

24(화)

25(수)

26(목)

27(금)

28(토)

29(일)

30(월)

최대8,971명

A

B

입장객수와생활인구 (05시~22시)

시간대별생활인구

생활인구 검증결과

Page 10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검증지점특성

• 입장객수로 파악 안되는 지역

- A지역에 마포구청/마포보건소 있음

- 월드컵 경기장 내에 홈플러스 할인마트 위치

집계구검증영역 집계구검증영역

8/31 21시월드컵최종예선대이란전

A

(참고) 경기진행시간(3시간) unique 생활인구수 : 63,049명경기시간전후1시간포함unique 생활인구수 : 66,561명

시간대별생활인구

경기일시 입장객수 경기시간집계구 생활인구

(21시)

8/31 21:00 63,124 3시간 46,035

최대46,035명 (8/31 21시)

8/31

생활인구 검증결과

Page 10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생활인구 발전방향

목적별생활인구 추계(향후)

생활인구생산기반마련

존재하는인구추계(인구통계학적접근)

학업을위한인구, 쇼핑하는인구

재난피해규모에대한인구

교통수단을이용하는인구

행정서비스에서요구하는인구

서울생활인구 추계(현재)

목적별생활인구로발전

의 LTE시그널데이터를 이용한

의관광인구개념반영

LTE시그널데이터의 시공간적패턴을분석하여

목적별생활인구개발

Page 10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THANK YOU

Page 11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1 / 10

분야 공공데이터 협력기관(출처) 공간범위 공간단위 시간범위

공간정보

집계구경계 · 최소통계구역경계(서울약19,400, 수도권약49,500 구역) 통계청 수도권 2016

행정구역경계 · 읍면동 (통계청)경계 통계청 수도권 2000-2016

국가기초구역경계 · 국민생활기초단위구역 (서울약5,600, 수도권약13,210 구역) 행정안전부 수도권 2017.12

도로명주소기본도 · 새주소시스템 (건물, 도로등포함) 행정안전부 수도권 2017.12

인구

집계구별인구/가구통계 · 인구주택총조사집계자료 통계청 수도권 2000, 2005, 2010, 2015, 2016

서울생활인구추정자료 · 통신자료를활용하여추정한특정시간, 특정지역의실제활동인구 서울시 서울 2018

국토통계지도 (인구) · 국가기초구역/격자기준 주민등록인구집계자료 국토지리정보원 수도권 2014-2017년 10월

주택

집계구별주택통계 · 인구주택총조사집계자료 통계청 수도권 2000, 2005, 2010, 2015, 2016

국토통계지도 (건축물/주택) · 국가기초구역/격자기준 주택집계자료 국토지리정보원 수도권 2014-2017년 10월

주택실거래가자료 · 주택매매및전월세실거래가격원자료 서울시 서울 2010-2017

토지개별공시지가자료 · 개별토지특성및단위면적가격원자료 서울시 서울 2010-2017

국토통계지도 (토지) · 국가기초구역/격자기준 개별공시지가집계자료 국토지리정보원 수도권 2014-2017년 10월

산업집계구별사업체통계 · 전국사업체조사집계자료 통계청 수도권 2000-2016

업종별인허가자료 · 지방자치단체에서관리하는190업종 인허가자료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서울 2018.05까지

교통

교통사고조사자료 · 경찰이공식처리한교통사고조사원자료 도로교통공단 수도권 2010-2017

공공자전거대여정보 · 서울시공공자전거(따릉이) 대여소및개별대여기록 서울시 서울 2017

대중교통통행자료 · 대중교통통합OD집계자료, 트립체인데이터 서울시 (연구성과물) 서울 2010, 2015

가구통행실태조사자료 · 수도권가구통행실태조사 (표본), 기준년도전수화자료 서울시 (연구성과물) 수도권 2010

환경

기상자료 · 일별, 시간별유인/무인관측소기상자료 기상청 수도권 2010-2017

대기오염측정자료 · 시간별대기오염물질 (SO2, PM10, PM2.5, O3, NO2, CO)측정자료 국립환경과학원 수도권 2010-2017

도시생태현황도 ·서울시도시생태파악을위한현장조사지도 (토지이용현황, 현존식생등) 서울시 서울 2015

사회 서울서베이자료 ·서울시도시정책지표조사 (가구조사) 서울시 서울 2005-2017

복지 서울복지실태조사자료 · 서울시민생활실태및복지욕구조사 서울시 (연구성과물) 서울 2015

서울연구원 | 제공가능 데이터 설명 (9개 분야 24종)

※ 공간단위 : 개별 ( ) 집계구 ( ) 국가기초구역 ( ) 읍면동 ( )

Page 11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2 / 10

행정구역 경계 1 (통계청 읍면동)

-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읍면동기준 통계구역 경계

- 서울 기준, 424동 (2016기준)

[ 출처 : 통계청, 시간범위 : 2000-2016, 공간범위 : 수도권 ]

도로명주소기본도

- 행정안전부에서 도로명주소 관리목적으로 운영하는 전자지도

- 건물, 도로, 철도/지하철선로, 공원, 하천/호수 등

- 건물 지번주소-도로명주소-국가기초구역번호 매칭테이블 공개

[ 출처 : 행정안전부, 시간범위 : 2017.12, 공간범위 : 수도권 ]

도로명주소기본도2013

※ 통계청 행정경계(읍면동)는행정안전부의 행정기관 관리구역 (일명 행정동)과 유사

분야별 데이터 소개공간정보

통계청 행정구역경계 2012

행정구역 경계 2 (행정안전부 법정동)

- 행정안전부 도로명주소 기본도. 시도/시군구/법정동 경계

- 서울기준, 467동 (2017.12기준)

[ 출처 : 행정안전부, 시간범위 : 2017.12, 공간범위 : 수도권 ]

Page 112: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 10

집계구 경계

- 통계청에서 제공하는 최소 통계구역 단위

- 집계구별 통계자료와 연계하여 시계열 분석 가능

- 읍면동의 1/30 규모 : 서울 약 19,400개, 경기 약 24,400개,

인천 약 5,700개 구역 (2016기준)

집계구경계 (서울시 강남구 일대)

[ 출처 : 통계청, 시간범위 : 2016, 공간범위 : 수도권 ]

※ 집계구 설정- 기준 : 인구수(약 500명), 주택유형, 평균지가 등- 경계 : 도로·철도·하천의 중심선 등

분야별 데이터 소개공간정보

국가기초구역

- 국민생활 기초단위지역(소방, 경찰, 학교, 선거, 우편 구획 등)

- 읍면동의 1/10 규모 : 서울 약 5,670개, 경기 약 6,240개,

인천 약 1,310개 구역 (2017.12기준)

- 자료연계 : 주택실거래가, 개별공시지가

국가기초구역경계 (서울시 강남구 일대)

[ 출처 : 행정안전부, 시간범위 : 2017.12, 공간범위 : 수도권 ]

※ 국가기초구역 설정- 기준 : 인구수, 주민수, 사업체 종사자 수, 건물 용도별 분포, 용도지역 등- 경계 : 도로·철도·하천의 중심선, 도시계획 경계 등

Page 113: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4 / 10

분야별 데이터 소개인구

서울생활인구 추정자료

[ 출처 : 서울시, 공간범위 : 서울, 시간범위 : 2018 ]

- 서울시가 2017년 구축. KT통신의 LTE시그널 데이터 활용

· LTE시그널 데이터는 사용자의 핸드폰 사용유무와 상관없이 5분단위로 위치파악 가능

- 특정시점(1시간 단위), 특정지역(집계구, 행정동)에 존재하는

‘현재인구 (De Facto Population)’

· 서울에 주소지를 둔 사람은 물론 업무, 관광, 의료, 교육 등 일시적으로

서울을 찾아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인구를 총칭

- 제공항목 (시간대별 인구수. 행정동/집계구/남/여 구분)

· 내국인 : 0~9세, 10~14세, 15~19세, …, 65~69세, 70세 이상

· 외국인 장기/단기 체류자 : 중국, 기타

· 대도시권 (인천경기 / 그외 구분) : 10세 이상 5세별 구분

- 구축방법

통신고객위치산출

보정

(공공데이터

활용)

블럭단위로

배분

저연령/

고연령층

재산정

서울생활인구추정자료를 활용한 2018년 2월 시간대별 평균인구밀도

※ 개인정보 비식별화를 위해 3명 이하는 “*”

Page 114: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5 / 10

국토통계지도 인구통계

분야별 데이터 소개인구

[ 출처 : 국토지리정보원, 공간범위 : 수도권 ]시간범위 : 2014/2015/2016/2017년 10월

- 국가기초구역 / (100M)격자 기준 주민등록인구 공간통계자료

· 주민등록인구의 생년과 성별을 이용하여 집계처리

- 제공항목 (인구 17개 항목, 전체/남/여 구분)

· 총 인구 수

· 연령계층별 인구 : 유소년(0~14세), 생산가능(15~64세), 고령(65세

이상) 인구수

· 학령별 인구 : 유아(0~7세), 초등학생(8~13세 ), 중학생(14~16세),

고등학생(17~19세) 인구 수

· 10세 연령별 인구 : 20대(20~29세), 30대, 40대, 50대, 60대, 70대,

80대, 90대, 100세이상

※ 국토정보플랫폼 (http://map.ngii.go.kr)에서 정보 다운로드 가능

※ 국토통계지도 이용시 유의사항

국토통계지도의 통계값의 전체 합은 행정안전부에서 제시하는 결

과와 다를 수 있음

: 주민등록인구(거주자, 거주불명자 포함)에서 재외국민과 주소매

칭이 되지 않는 인구는 제외 (2015년의 경우 대략 0.7% 해당)국가기초구역 인구통계를 활용한 총인구수 예시 (서울시 일대)

500 이하

501 – 1,000

1,001 – 1,500

1,501 – 2,500

2,501 – 3,500

3,501 – 4,500

4,501 – 6,000

6,001 – 8,000

8,001 – 15,000

15,001 이상

Page 115: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6 / 10

집계구별 인구 · 가구 · 주택 · 사업체 통계

- (2016년 집계구 기준)

인구주택총조사, 전국사업체조사 집계자료

- 총괄자료

· 인구총괄 : 총인구, 평균나이, 인구밀도, 노령화지수, 노년부양비, 유

년부양비, 총부양비

· 가구총괄 : 총가구수, 평균가구원수

· 주택총괄 : 총주택(거처)수

· 사업체총괄 : 총 사업체수

- 일반자료

· 인구자료 : 성/연령별(5세급간) 인구, 교육정도별 인구, 성/혼인상태별

인구

· 가구자료 : 방,거실,식당수별 가구, 점유형태별 가구, 세대구성별 가구

· 주택자료 : 연건평별 / 주택유형별 / 건축년도별 / 주택사용기간별 주

· 사업체자료 : 산업대분류별 사업체수, 종사자수

(2005년 이전: 8차, 대분류, 2006년 이후: 9차, 대분류)

[ 출처 : 통계청, 공간범위 : 수도권 ]시간범위 : 2000/2005/2010/2015/2016(인구,가구,주택), 2000-2016(사업체)

※ 집계구별 통계 자료 이용시 유의사항

집계구는 통계공표의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전수조사(인구주택총

조사/전국사업체조사)시마다 경계가 변동됨

올해 제공하는 집계구별 통계자료는 2016년 집계구 경계자료와

연계하여 활용할 수 있음

(매년 조정하는 집계구 경계에 맞추어 모든 집계구별 통계 재집계)

통계적 비밀보호 처리로, 집계구별 일반항목의 5미만 값은 “NA”

처리됨 (총괄항목의 경우, 모든 값 표시)

집계구별 통계값의 전체 합은 통계청에서 제시하는 결과와

다를 수 있음

- 집계구별 인구자료 : 외국인, 특별조사구 등 제외됨

- 집계구별 사업체자료 : 사업체를 위치화 할 수 없는 개인운수

사업체 (개인택시)등 제외됨

2015, 2016 자료제공 특이사항

- 교육정도별 인구, 성/혼인상태별 인구, 점유형태별 가구,

건축년도별 주택은 자료제공항목에서 제외

(2015, 2016년 인구주택총조사 전수조사에서 제외됨)

개별 사업체 자료 참고 사이트

- 서울시 열린데이터광장(http://data.seoul.go.kr)

-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 통합서비스 (http://mdis.kostat.go.kr)

분야별 데이터 소개인구/주택/산업

Page 116: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7 / 10

주택실거래가 자료

- 주택 매매/전월세 실거래 신고자료 중 적정거래 판정 자료

· 매매 : 신고된 실거래가 중 거래구분이 매매이고 적정 판정된 자료

· 전월세 : 임차인이 전세거래 후 동 주민센터 또는 대법원에 확정일자

신고한 자료 (※ 대법원자료는 2015년 1월 1일부터 공개)

· (2017) 국가기초구역번호 부여

[ 출처 : 서울시, 시간범위 : 2010-2017, 공간범위 : 서울 ]

분야별 데이터 소개주택

※ 국가기초구역 경계는 도로·철도·하천의 중심선, 도시계획 경계 기준에 따름

따라서, 개별공시지가의 경우, 선형지목 및 기타지목은 연계에서 제외 처리

(임야, 도로, 철도용지, 제방, 하천, 유지, 수도용지 등 13개 지목)

※ 서울시는 접수일자기준 집계, 서울연구원 제공자료는 계약일자기준 추출

개별공시지가 자료

- 개별공시지가(1월 기준)에 일부 토지특성항목 포함

· 지번, 지가, 지목, 면적, 용도지역, 토지이용, 지형지세 도로조건 등

· (2017) 국가기초구역번호 부여

[ 출처 : 서울시, 시간범위 : 2010-2017, 공간범위 : 서울 ]

국토통계지도 건축물/토지 통계

- 국가기초구역 / (100M)격자기준

건축물대장/개별주택가격/개별공시지가 공간통계자료

- 제공항목 (건축물 23개, 토지 1개, 주택 2개 항목)

· 건축물 : 건축물 수, 시기별 건축물수(10년 미만, 15년 미만, …, 35년 미만, 35년 이상), 주거용건물 (단독/공동)용도별 건축물 수, 구조유형별 건축물 수, 평균 연면적/대지면적/건축면적 등

· 주택 : 평균 개별주택가격, 주거용도면적

· 토지 : 평균 공시지가

※ 국토정보플랫폼 개선 : 2018년 5월 21일 예정

· 건물군 지오코딩 방식 개선

· 격자크기(250m, 500m) 추가

[ 출처 : 국토지리정보원, 공간범위 : 수도권 ]시간범위 : 2014/2015/2016/2017년 10월

※ http://map.ngii.go.kr

Page 117: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8 / 10

분야별 데이터 소개산업

※ 서울이외 지역이 필요한 경우는 자료제공기관과 별도 협의 가능

지방자치단체 인허가 자료

- 지방행정데이터 개방시스템 ( http://www.localdata.go.kr )

- 190개 업종별 인허가 자료

(시도 행정정보시스템, 시군구 새올시스템 관리)

- 제공항목

· 업종/업태, 영업상태(영업,휴업, 폐업),인허가일자, 휴폐업일자, 주소,

위치정보(좌표)

[ 출처 : 한국지역정보개발원, 시간범위 : ~ 2018.5, 공간범위 : 서울 ]

1964~2018 서울시 커피숍 인허가 위치http://www.localdata.go.kr

Page 118: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9 / 10

대중교통 통행자료

- 대중교통 통합 기/종점(OD)집계자료

- 기/종점 위치정보 단위 : 행정경계(행정동)

- 트립체인 데이터

[ 출처 : 서울시(연구성과물), 시간범위 : 2010/2015, 공간범위 : 서울 ]

- 가구통행실태조사 설문조사 표본자료(22만 가구)

· 가구 현황 : 가구당 가구원수, 평균수입 등

· 가구원 특성 : 출생년도, 성별, 직업, 고용형태, 근무형태, 세대주

와의 관계 등

· 개인별 통행자료 : 조사당일 통행유무, 직장/학교위치, 이용 교통

수단 등

- 가구통행실태조사 전수화 OD 자료(목적별, 수단별 통행 등)

- 기/종점 위치정보 단위 : 행정경계(행정동), 전수화존

· 출근시간대 (07시~09시) 종로/중구/강남/서초/송파/영등포구도착통행 해당 데이터

· 기점, 종점, 환승횟수, 사용자구분, 승차시간, 교통수단조합 조건별 통행수· 사용자구분 (일반, 학생, 경로, 기타)교통수단 (일반버스, 광역버스, 마을버스, 지하철)

※ 참고 : 대중교통통합 OD, 트립체인이란?

분야별 데이터 소개교통

※ 현행화 자료는 국가교통데이터DB(http://www.ktdb.go.kr) 로그인 후 신청 가능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

[ 출처 : 서울시(연구성과물), 시간범위 : 2010, 공간범위 : 수도권]

교통사고조사 자료

- 경찰에서 공식적으로 처리한 교통사고 자료(경찰DB)

· 발생일시, 발생지(법정동), 사고유형, 법규위반, 사상자 수,

음주여부, 어린이보호구역 등

[ 출처 : 도로교통공단 통합DB처, 시간범위 : 2010-2016, 공간범위 : 수도권 ]

※ 사고위치 : 사망사고의 경우 제공

Page 119: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10 / 10

분야별 데이터 소개교통/사회/복지

2017년 서울시 공공자전거 이동량 시각화

서울시 공공자전거(따릉이) 대여이력 자료

[ 출처 : 서울시, 시간범위 : 2017, 공간범위 : 서울 ]

- 대여소 정보 : 대여소 주소, 경위도좌표, 거치대수

- 대여정보

· 이용권 종류(정기/일일/단체), 대여/반납 일시, 대여/반납 대

여소, 이용시간(분), 이동거리(m)

· 이용자 정보 : 회원 구분(비회원/회원/외국인),

10세 단위 연령(회원의 경우)

서울서베이 자료

- 서울시 도시정책지표 조사 자료

· 2014년 조사 표본크기: 2만 가구, 만15세 이상 가구원 15,496명

[ 출처 : 서울시, 시간범위 : 2005-2016, 공간범위 : 서울 ]

※ 자료 이용시 유의사항

행정구역 제공단위 : 시군구

패널조사 아님. 시계열 및 종단 분석시 유의

횡단 분석시, 가중치 설정 후 활용 : wt_a2(표준화 가중치)

서울복지실태조사 자료

- 서울시민 생활실태와 복지요구 변화 추적 데이터 구축목적

· 조사규모 : 총 3,019가구

· 가구일반사항, 건강·의료, 경제활동상태, 주거, 생활비, 소득,

복지서비스 이용, 서울시민복지기준 성과지표 관련 문항 등 조사

- 행정구역 제공단위 : 5개 권역코드

[ 출처 : 서울시(연구성과물), 시간범위 : 2015, 공간범위 : 서울시]

※ 1: 도심권(3개구), 2: 동북권(8개구), 3: 서북권(3개구),

4: 서남권(7개구), 5: 동남권(4개구)

Page 120: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11 / 10

기상자료

- 유인(ASOS)/무인 관측소(AWS) 측정자료

· 시간자료 : 기온, 풍향, 풍속, 강수량, 현상번호 등

· 일자료 : 기온(일평균, 일최저, 일최고), 기압, 풍속 등

[ 출처 : 기상청, 시간범위 : 2010-2017, 공간범위 : 수도권 ]

대기오염측정자료

- 시간단위 일반 대기오염물질 측정자료

· 측정항목 : SO2 (ppm. 아황산가스),

PM10 (㎍/㎥. 미세먼지),

PM2.5 (㎍/㎥. 초미세먼지. 2015.01.01 이후 제공),

O3 (ppm. 오존), NO2 (ppm. 이산화질소),

CO (ppm. 일산화탄소)

· 측정망 : 도시대기, 도로변대기, 국가배경, 교외대기

[ 출처 : 국립환경과학원, 시간범위 : 2010-2017, 공간범위 : 수도권]

도시생태현황도

[ 출처 : 서울시, 시간범위 : 2015, 공간범위 : 서울 ]

분야별 데이터 소개환경

- 현장조사도(토지이용현황도, 불투수토양포장도, 현존식생도)

- 조류분포도, 양서파충류 분포도

현장조사도 레이어의 현존식생유형 필드 추출(종로구 확대 표시)

※ 서울시 서울도시계획포털(http://urban.seoul.go.kr)참고

Page 121: · 2018. 05. 10 오후 2시 · 서울연구원—°구지원설명회 자료집.pdf2018 서울연구논문공모전 3/ 11 2018.04.25 2018.08.24 (마감)2018.10월중(예정) 2018.05.31

서울연구논문공모전은

여러분의 서울연구를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