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63

Upload: kofid

Post on 08-Apr-2016

224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age 2: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age 3: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세계교육포럼(WEF) 준비를 위한

시민사회 역량강화 세미나(2차) 발표자료집

프로그램

자료집 목차

1. Post-2015맥락에서 본 세계시민교육(GCED)-------------------------------------------- 1

- 송지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팀 담당관)

2.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수-학습(GMR2005/2013)--------------------------------------- 15

- 박세영, 유은지 (HoE 교육팀 간사)

3. 영유아 보호와 교육(GMR2007)------------------------------------------------------ 33

- 윤보애 (굿네이버스 국제개발사업부 사업기획팀장)

4. 삶을 위한 문해(GMR2006)----------------------------------------------------------------------- 43

- 박진솔 (한마음한몸운동본부 국제협력팀 대리)

Page 4: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age 5: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ost-2015맥락에서 본 세계시민교육(GCED)

송 지 은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팀 담당관)

Page 6: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age 7: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KoFID 시민사회 역량강화 세미나

Post-2015 맥락에서 본 세계시민교육(GCED)

유네스코한국위원회 교육팀 송지은 담당관

목차

01

02

03

04

세계시민교육(GCED)?

Post-2015에서의 GCED

2nd UNESCO Forum on GCED

The Way Forward

- 3 -

Page 8: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세계시민교육?

Learning to Live Together

Teaching Respect for All

Education for Peace and Security

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세계시민교육?

글로벌교육우선구상(GEFI)과 연계돼 새롭게 조명 받아

- 4 -

Page 9: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세계시민교육?

세계시민? Citizenship Beyond Borders, Citizenship Beyond the Nation State, Cosmopolitanism,

인류와 지구 공동체에 대한 소속감과 책임감을 지니고, 평화롭고, 포용적이고(inclusive),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세상에 기여하는 사람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ims to empower learners to engage and assume active roles both locally and globally to face and resolve global challenges and ultimately to become proactive contributors to a more just, peaceful, inclusive, secure and sustainable world.

출처: Outcome document of the Technical Consultation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http://unesdoc.unesco.org/images/0022/002241/224115E.pdf

세계시민교육?

- 5 -

Page 10: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세계시민교육?

3가지 주요 구성요소

인지

사회 감성

행동

Learners have a sense of belonging to a common humanity and sharing values and responsibilities and holding rights

Learners show empathy, solidarity and respect for differences and diversity.

Learners act effectively and responsibly at local, national and global levels for a more peaceful and sustainable world

Learners have acquired knowledge, understanding and critical thinking about global issues and the interconnectedness/inter-dependency of countries and different populations

출처: Global Citizenship Education(GCED) UNESCO’s Approach http://www.unesco.org/new/fileadmin/MULTIMEDIA/HQ/ED/pdf/questions-answers-21jan-EN.pdf

Post-2015에서의 GCED

Muscat Agreement

- 6 -

Page 11: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ost-2015에서의 GCED

Proposal of UN OWG on SDGs

Post-2015에서의 GCED Post-2015에서의 GCED

APREC Statement

- 7 -

Page 12: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2nd UNESCO Forum on GCED

개요 Second UNESCO Forum 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Building peaceful and sustainable societies: preparing for post-2015

2015. 1. 28-30 / 유네스코 본부

국제기구 관계자, 정부 대표단, 시민사회, 학계 관계자 등 150여명

2.5일간 평화와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세계시민교육에 대하여

주요 내용

- 오늘날 세계시민교육의 필요성 - 세계시민교육 성과의 측정 - ESD, Peace Education 등과의 연계성 - 세계시민교육의 내포된 변혁성 - 세계시민교육의 실현 - 청소년의 참여 진작

2nd UNESCO Forum on GCED

- 8 -

Page 13: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2nd UNESCO Forum on GCED

- 보다 ‘연결된’ 세상이 되었지만, 동시에 새로운 갈등(cracks)도 나타나고 있는 현실(극단주의) - Radical ideology, racism, discrimination, violence 등에 대한 새로운 대응책이 필요한 시점 - 새로운 아이디어를 품는 laboratory 역할을 해온 유네스코가 제시하는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 GCED (cf. 들로르 리포트) - GCED를 하나의 새로운 stage로 인식해야 - 교육의 궁극적 목적: culture of peace에 기여 - GC: 서로에 대한, 지구에 대한 책임, 새로운 사고와 행동 (values, skills, knowledge 포함) - Post-2015 의제를 새로운 stage로 이끄는 GCED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

Global

Solution

Glocal

Citizenship 맥락화

연계 Youth

Engagement 측정

2nd UNESCO Forum on GCED

- 9 -

Page 14: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2nd UNESCO Forum on GCED

Global Solution

-언제/왜?

- 21세기의 새로운 글로벌 위기(기후, 경제, 빈곤 등)에 (Global Challenge – Global Solution) - Geopolitical Conflict 해결을 위한 새로운 global context 제공

- 극단주의에 대한 대응으로서의 교육 (양질의 교육만으로는 아이들의 극단주의 성향의 그룹에 recruit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교육으로 tolerance, solidarity 등 키워야) “Solidarity with Those who you don’t know”

2nd UNESCO Forum on GCED

Gloc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VS. Local Citizenship

-‘Broad Community’에 속하는 것의 의미 (Respect our Common Humanity) -Connectedness between the local/national/international 중요

- Think Globally, Act Locally (Revisit)

- 10 -

Page 15: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2nd UNESCO Forum on GCED

맥락화 -Global Citizenship이긴 하지만 모든 환경에 동일 적용할 순 없다!

-각 국가, 지역, 마을이 처한 환경에 적합한 GCED 구현 - Crafting Local Policies in the Global Context (Discrimination, Disempowerment 대응)

2nd UNESCO Forum on GCED

연계 -다른 교육과의 연계 Human Rights Educati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eace Education -다양한 stakeholders 간의 연계

(청년, 어른, 가족, 부모, 마을…)

- 11 -

Page 16: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2nd UNESCO Forum on GCED

Youth Engagement -인구의 절반이 25세 이하 청소년이지만 대부분이 직접 정치적 결정을 할 수 없는 구조. 우리가 그들을 ‘대신해’ 만든 결정을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하는 것은 GCED가 아니다!

-정치적인 책임, 평화의 중요성에 대해 잘 가르침과 동시에,

-그들 스스로를 참여하게 해야 한다!

- a Seat at the Table

Youth Statement

2nd UNESCO Forum on GCED

측정 -Technical Advisory Group on the Post-2015 education indicators

-아래 두 지침에 기반하여 지표 개발 중 1) alignment with concept(robustness) 2) global comparability(data availability) -Hierarchy of indicators: national-regional-global

-revised document를 2015. 3월까지 도출, 2016년 3월까지 지표 완성

- 12 -

Page 17: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2nd UNESCO Forum on GCED

출처: http://www.uis.unesco.org/Education/Documents/towards-indicators-for-post-2015-education-framework.pdf

Access Quality Orientation

The Way Forward

Global Education Discourse Trend:

Tasks and Challenges Ahead: -Curriculum Challenges -Participation of all Sectors and Stakeholders, Embracing related Initiatives -Effective Coordination Mechanism, Leadership at the High Level -Contextualization of Learning for Localized Delivery and Action -Creative and Crispy Message (vs. ‘too cozy & conventional UN language) -UNESCO’s rare Opportunity to contribute to the fundamental solution of conflict/intolerance/extremism -Monitoring, Evaluation, Financing

- 13 -

Page 18: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The Way Forward

남은 주요 일정:

-Post-2015 and Education Seminar (March, NY) -World Education Forum 2015 (May, Incheon) -Post-2015 Development Summit (Sep, NY)

Clearing House를 통한 정보 공유:

http://www.gcedclearinghouse.org/

“공식, 비공식, 형식, 비형식 교육을 통한 다양한 형태의 GCED를 실현해나가기”

감사합니다

[email protected]

- 14 -

Page 19: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수-학습(GMR2005/2013)

박 세 영 / 유 은 지

(HoE 교육팀 간사)

Page 20: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age 21: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GMR 2005

GMR 2013/4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수-학습

유은지 , HoE 교육팀 인턴

(서울대학교, 글로벌교육협력 전공 박사과정)

[email protected]

박세영 , HoE 교육팀 코디네이터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 박사 수료)

[email protected]

EFA GOAL 6 : QUALITY

- 17 -

Page 22: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WHAT IS QUALITY?

WHAT IS

EDUCATION QUALITY?

명사

- A distinctive attribute or characteristic

possessed by someone or something (특성, 속성)

- The standard of something as measured against

other things of a similar kind; the degree of

excellence of something (우수성의 정도)

형용사

- Of good quality; excellent (양질의)

출처 : Oxford Dictionary

QUALITY (질) 이란?

- 18 -

Page 23: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 교육의 양적 측면에 많은 관심 ex) UPE

- 교육에의 접근 즉, 양에서 어느 정도의 가시적인 성과가

있자,

교육의 질에 관심을 쏟기 시작

ex) EFA Goal 2: ‘양질의’ 무상의무 초등교육 보편화

EFA Goal 6: 교육의 ‘질’ 향상

교육의 질 (EDUCATION QUALITY)

결국, 교육의 질이

1) 학생들이 얼마나 많이, 그리고 잘 배웠는가

2) 개인적/사회적 목표 및 개발 목표들의 달성 정도

를 결정한다는 사실에 합의

교육의 질에 대한 단일한 정의는 無

다만, 이 보고서에서는 교육의 목적에 기반한

두 가지 요소 제시

1) 학습자의 인지적 발달 ; 모든 교육시스템의 주요 목적

- 교육시스템이 이를 달성했느냐가 교육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

상대적으로 측정하기 용이

2) 공유된 가치와 시민으로서의 태도 함양 및 창조적/정서적

발달

- 이러한 목적의 달성은 평가, 국가간 비교하기 어려움

교육의 질 (EDUCATION QUALITY)

- 19 -

Page 24: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학습자들의 다양성

인식

국가경제적/사회적

맥락

물류/인적

자원

교수와

학습 과정

교육의

결과와

혜택

교육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5가지 주요

요소

교육의 질 이해, 모니터링, 향상을 위한 틀

- 20 -

Page 25: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교육의 질을 측정하는

여러 지표들

정규 학교교육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는 햇수

(School Life Expectancy)

5학년까지 남아 있는 학생 비율

(Survival Rate to Grade 5)

교사당 학생 비율

전체 중 여교사 비율

전체 중 훈련된 교사 비율

GDP 대비 교육비 지출 비율

학생 1인당 교육비 지출액

시험 점수 등

교육의 질을 측정하는 지표들

- 21 -

Page 26: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국제사회의 책무와

국내 정책

현재의 원조실행으로는 교육의 질 향상이

어려움

1) 공여국들이 너무 많은 수의 국가들에 원조

2) 외부의 좋은 교육모델이

현지 사정과 환경에 맞지 않는 경우 多

국제사회의 책무

→ 공여국들간의 더나은 원조조화 및 조정, 재정관리가 취약한 정부에 대한 지원, 질적 차원에 대한 면밀한 모니터링이 요구됨

- 22 -

Page 27: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질은 공평성 또한 반영해야 함

- 성차별 혹은 특정 그룹, 종족, 문화에 대한 불평등이 존재하는 교육 시스템은 질적으로 높은 시스템이라 할 수 없음

학습자에 초점, 교수와 학습의 역동적 과정 강조

- 많은 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영유아보육/교육, 문해, 성 인지 및 포용 정책

- 교육의 질/결과 향상에 직접적으로 작용

국내 정책

2013/14

EFA 세계 현황

보고서 모두를 위한

양질의 교수-학습

- 23 -

Page 28: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목 차

‘모두를 위한 교육 (EFA)’ 목표 점검

학습 위기를 끝내기 위한 교사 지원

Monitoring

progress

towards the

EFA goals

‘모두를 위한 교육 (EFA)’

목표 점검

- 24 -

Page 29: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목표별 달성 정도

2015년 유치원 총 등록률의 목표를

80%로 설정 .

141개국 중 21%의 국가가 1999년에

목표를 달성 ,

2011년 37%의 국가가 목표에 도달 .

2015년에는 48%의 국가가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 .

2015년 이후의 목표는 반드시 모든

아동이 유치원 교육을 받도록 명확한

목표점을 제시해야 하고 , 취약계층

집단의 진척을 누락 없이 평가하는

방법을 제공해야 함 .

목표 1 : 영유아 보육

및 교육

- 25 -

Page 30: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목표 2 : 초등교육 보편화

122개국의 초등교육 등록률은

1999년 30%에서 2011년 50%로

증가 .

2015년에는 56%의 국가가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추정됨 .

초등교육 보편화(UPE) 달성 여부의

평 는 아동이 초등교육을 마쳤는지

여부도 함께 평가해야 함 .

90개국의 데이터에 따르면 , 단

13개국에서만 2015년까지 97%

이상의 아동이 마지막 학년이 될

것으로 예상되며 , 이 중 10개국은

OECD 혹은 EU회원국 .

중학교 교육의 보편화는

2015년 이후 명시적인 목표가

될 예정이므로 2015년 세계의

현 주소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 .

82개국을 대상으로 한 평가에

따르면 , 1999년에는 26%,

2011년에는 32%의 국가가

중학교 교육의 보편화를 달성

2015년에는 이 수치가

46%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됨

목표 3 : 청소년 및 성인기술

- 26 -

Page 31: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87개국 중 21%는 2000년에

성인문해 보편화를 달성.

2000년과 2011년 사이

성인문해 보편화를 달성한

국가는 26%로 증가.

반면 , 2011년을 기준으로

26%의 국가는 성인문해

보편화 달성이 요원.

2015년에는 29%의 국가가

성인문해 보편화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37%의

국가는 여전히 성인문해

보편화와는 거리가 멀 것으로

예상됨 .

목표 4 : 성인문해

2015년까지는 70%의 국가가 목표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9%의 국가는 목표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

7%의 국가는 목표 달성이 매우 요원하며, 이 중 3/4은 사하라

이남의 아프리카 국가.

목표 5 : 양 성 평 등

- 27 -

Page 32: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목표 6 : 교육의 질

전 세계적으로 교사 대 학생 비율의 평균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수준에서 거의 변동이 없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교사 채용이 취학률 증가에 비해 뒤떨어져 교사 대 학생 비율이 부진해졌고, 현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수준의 교사 대 학생 비율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실정.

목표 6 : 교육의 질

162개국 중 26개국은 2011년 초등교육에서 교사 대 학생 비율이 40:1 을 초과하였고, 26개국 중 23개국은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지역에 위치.

교사가 효과적으로 수업하기 위해서는 양질의 학습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현재 많은 교사들이 교과서조차 가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 28 -

Page 33: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학습 위기를 끝내기 위한

교사 지원

학습 위기에 가장 크게 위협 받는 취약계층

•교육의 기회 제공 면에서 볼 때 지난 10년간에는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으나 교육의 질적 향상까지 동반하진 못함.

•많은 국가가 아동에게 가장 기초적인 읽기와 수학 능력조차 보장받지 못함

세계적인

교육 위기:

•학업성취에 관한 평균적인 수치들이 국가 내에 존재하는 불평등을 가려버릴 가능성

•아동의 학습량은 가정이 얼마나 부유한가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음

세계적 격차에

가려진

국내 불평등

•부유한 국가의 학업성취 수준은 전반적으로 높지만, 소외계층에

대해서는 실패하는 경향. (이민 가정 또는 토착민 학생 교육)

소외계층의

학습 보장의

실패

- 29 -

Page 34: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학습 위기에 가장 크게 위협 받는 취약계층

• 가난한 국가에서 초등학교 취학이 늘어나는 것은

종종 교육의 질이 저하됨을 의미하기도 함.

• 단순히 교육 기회의 확대와 연결되어 있다기보다는

교육 시스템에 깊이 내재되어 있는 문제.

교육 기회 확대

+ 학업 수준

향상

• 아동기에 받은 교육의 질은 청소년 비문해에 지대한 영향을 끼침.

• 빈곤층의 청소년일수록 문해력을 갖추기 어려우며,

아동이 읽고 쓸 수 있으려면 최소 4년의 학교 교육이 필요.

교육의

낙후된 질과

문맹

수업의 질 향상을 국가적 우선순위로 삼기

•모두를 위한 학습(learning for all)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 계획에서 교사 관리와 교육의 질 향상 필요

•40개국 중 17개국만이 교육 계획에 교사교육 프로그램

향상 전략을 포함

•16개국만이 교사 교육자에 대한 심화 훈련을 고려

교육계획에

교육의 질에

대한

고려 포함

•많은 빈곤국에서는 교사의 부족 때문에 교육의 질이 뒤떨어진다

•초등교육 보편화를 위해 충분한 교사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2011년과 2015년 사이 520만 명의 교사—기존 인력을 대체하는 교사와 추가적으로 필요한 교사 포함—채용이 필요

충분한 수의

교사를

교실로

- 30 -

Page 35: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1. 교사 격차 메꾸기

2. 최상의 지원자를 교직으로 유인하기

3. 교사가 모든 아동의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훈련하기

4. 교사 교육자와 멘토가 교사를 지원하도록 준비시키기

5. 교사를 가장 필요로 하는 곳에 배정하기

6. 최고의 교사를 보유하기 위해 경쟁력 있는 직업 및 급여 체계 이용하기

7. 교사 관리를 개선해 효과 극대화하기

8. 학습 향상을 위해 교사가 혁신적인 교육 과정을 갖추도록 하기

9. 교실 평가를 발전시켜 교사가 배우지 않는 학생을 식별하고 지원하도록 돕기

10. 교사에게 더 나은 자료 제공하기

10가지 교사 개혁안

감사합니다

- 31 -

Page 36: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age 37: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영유아 보호와 교육(GMR2007)

윤 보 애

(굿네이버스 국제개발사업부 사업기획팀장)

Page 38: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age 39: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굿네이버스 국제개발본부 사업기획팀장 윤보애

Strong Foundations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EFA Global Monitoring Report 2007

Table 1.1. 개념정의 1.2. 영향 및 기여

1.3. 효과적 프로그램

1. 영유아 보육과 교육

3. 제언 3.1. EFA / Post-EFA

3.2. 향후 전망 및 과제

2.1. EFA / MDGs 2.2. EFA 목표 달성 현황

2. 주요현황

- 35 -

Page 40: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정의 ECCE는 출생부터 정규, 비정규 초등교육기관으로의 입학 전까지 보건, 영양, 위생, 인지, 사회성, 신체 및 정서적 발달을 포함하여 아동의 생존, 성장, 발달 및 학습을 지원한다.

1.1. ECCE(영유아 보육과 교육) : 개념정의

다양한 형태 - 양육 프로그램 - 지역기반 프로그램 - 시설 기반 프로그램 - 정규(의무) 교육 과정 (병설 유치원, 어린이집 등)

대상 - 0~3세 - 3세~초등학교 입학 전(보통 6~8세)

• 권리 UN 아동권리협약에 명시된 아동의 권리

• 아동의 삶의 질 향상

특히 극빈지역 및 5세 이하 아동 사망률이 높은 개발도상국

• 발달/학습능력 증진

이후의 학습을 위한 뇌 발달의 기반

• EFA 목표 및 MDGs 목표 달성에 기여 빈곤감소 및 교육과 보건분야 목표 관련 초등학교 1학년 학습성과 증진에 기여

• 평등

ECCE 분야에 대한 투자는 미래의 불평등 문제(특히 빈곤가정 아동) 상쇄함 비용효과적 투자, 투자대비 높은 산출

1.2. ECCE(영유아 보육과 교육) : 영향 및 기여

- 36 -

Page 41: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아연섭취, 구충제, 영양섭취가 아동의 학습발달에 영향

영양 및 교육의 결합을 통한 아동발달의 장기적 효과 증대

초등교육 입학/학습으로의

연결이 원활

초등학교 입학 이후 재학율 ▲, 유급율▼

언어발달능력 향상

1.2. ECCE(영유아 보육과 교육) : 영향 및 기여

영양-교육 간

상호 강화 효과 향후 교육효과성 증가

• 영양-보건-보육-교육의 통합적 접근 단일 측면의 개입보다 아동의 발달 및 복지 증진에 효과적

• 전통적인 보육 관행의 기반 위에 세워진 프로그램

아동의 언어적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

• 아동의 모국어를 사용하는 프로그램 국가의 공식적인 언어와 별도로, 아동이 어릴 적부터 사용해 온 언어가 효과적

• 전통적인 성(性)관념에 대한 문제 제기 • 아동과 ECCE 교사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프로그램

합리적인 교육환경 조성 필요 – 교사 1인당 학생수 축소, 적절한 교구 등

• 교사충원 및 임용, 커리큘럼, 부모 참여의 지속성을 담보하는 프로그램

초등교육으로의 원활한 연계 가능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효과적 프로그램

1.3.

- 37 -

Page 42: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목표 프로그램 예시

교육비(수업료, 등록금 등) 감소: 90개국 이상에서 수업료 부족이 기초교육의 접근의 장벽이 되고 있음

<브룬디> 초등교육 등록금을 2005년 폐지: 500,000명의 아동이 입학일 첫날 등록하기 위해 등교함

취약계층 및 부모가 없는 아동, HIV/AIDS 아동에 대한 지원 강화

<스와질랜드> HIV/AIDS 유병율이 가장 높은 국가. 정부가 2004년 $7.5 만 달러를 부모가 부재한 아동 및 다른 취약계층에 지원하여, 등록율이 유지되고 중도 퇴학율이 감소함.

아동노동 감소를 위한 현금 지원 <브라질> 출석상황에 따라 빈곤가정에 대한 수입 지원을 통해 500만명 이상이 학교에 등록함.

아동노동 감소를 위한 유연성 있는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

<인도> 아동노동 비율이 가장 높은 Andhra Pradesh 지역에서 Baljyothi가 250개의 학교를 슬럼지역에서 운영하여 31,000여명의 학생을 수용함. 민-관 협력 프로그램.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효과적 프로그램

1.3.

목표 프로그램 예시

중등학교 여학생 출석율 향상을 통한 성평등 보장

<감비아> 여학생 장학 재단 (Girls’ Scholarship Trust Fund)이 등록율이 낮은 학교 대상 1/3의 학생 및 수학 과학 분야의 성적이 우수한 학생에게 수업료, 교재비, 시험 응시료 등 모든 비용을 지원. 16,000명 이상의 학생이 참여함.

정규 교육 시기를 놓친 청년 및 성인 대상 비정규 교육기회 제공

<온두라스> Educatodos 는 9년의 정규교육과정을 수료하지 못한 성인 및 학생을 대상으로 학습 센터, 관련 교육자료, 유동적인 학습 스케쥴 등을 통한 교육기회를 마련하여 50만명이 초등교육 프로그램에 등록함.

장애아동에 대한 포괄적 교육 제공 <우루과이> 장애아동에 대한 교육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일반학교에 지원금 제공. 39,000여명의 장애아동이 학교에 등록함.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효과적 프로그램

1.3.

- 38 -

Page 43: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주요현황 : EFA / MDGs

1. 극심한 빈곤과 기아의 탈출

2. 보편적 초등교육 달성

3. 성평등과 여성 자력화 촉진

4. 영유아 사망 감소

5. 산모 건강 증진

6. HIV/AIDS, 말라리아와 다른 질병 퇴치

7. 지속가능한 환경 보장

8. 개발을 위한 국제적 협력관계 구축

MDGs

1. Goal 1: 영유아보육 및 교육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2. Goal 2: 보편적 초등교육 Universal primary Education

3. Goal 3: 청년 및 성인 기술교육 Youth and adult skills

4. Goal 4: 성인문해 Adult literacy

5. Goal 5: 성평등 Gender parity and Equality

6. Goal 6: 양질의 교육 Quality of education

EFA Goals

*EFAEducation for All Dakar Goals

2.1.

2.2. 주요현황 : EFA 목표 달성 현황

Goal1 Goal2 Goal3 Goal4 Goal5

▼EFA 목표별 달성 국가 비율

- 39 -

Page 44: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2.2. 주요현황 : EFA 목표 달성 현황

1.전체 아동 영양상태 눈에 띄게 개선 5세 미만 영유아/ 필수영양소 만성적 결핍으로 성장발육 부진(25%)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세계 영양실조 아동의 1/3 거주

2. Since 2000,

학령 전 교육 등록율 급증: 33%50% 대륙간 편차/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18%에 미쳐

2015년까지 전세계 141개국 중 68개국만이 학령 전 교육 등록율 80% 상회

3.공공영역의 학령 전 교육 제공 의무화 필요성 체감율 낮음 사적영역의 학령 전 교육 제공 비율 33%, 우선순위가 낮음

학령 전 교육의 사적 영역 담당증가로 인한 비용 부담은 진입 장벽으로 작용

• 면역체계/인지능력 발달에 영향! • 신체발달 및 영양상태 재학연한에 영향!

*학령 전 교육: pre-primary education

제언 : EFA / Post-EFA

1. 영유아 보육/교육 • 남녀아동이 양질의 영유아교육에 참여

• 최소 1년의 무상의무 취학전 교육 포함

2. 기초교육

3. 성인 문해력/수리력

4. 직업생활을 위한 지식/기술 습득

5. 지속가능하고 평화로운 사회를 위한 지식/기술/가치/태도 습득

6. 교원확보

7. 교육재정

Post-EFA Goals

1. Goal 1: 영유아보육 및 교육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2. Goal 2: 보편적 초등교육 Universal primary Education

3. Goal 3: 청년 및 성인 기술교육 Youth and adult skills

4. Goal 4: 성인문해 Adult literacy

5. Goal 5: 성평등 Gender parity and Equality

6. Goal 6: 양질의 교육 Quality of education

EFA Goals

*EFAEducation for All Dakar Goals

3.1.

- 40 -

Page 45: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국가/국제적 차원의 주요 아젠다로 상정, 공론화 필요 - 주요 국가 정책 문서에 ECCE 관련 내용 포함 (국가 예산안, 부처별 계획, 빈곤감소전략 보고서 등)

•아동 및 ECCE 정책 담당 행정부처 또는 기관 지정 필요 - 기관 간 의사결정/조율을 위한 코디네이팅 구조 마련

- 지속적인 국내 및 국제적 데이터 수집, 모니터링 필요 - 관련 목표 달성 여부 점검을 위한 정기적 현황 파악 및 욕구 파악

•ECCE에 대한 공공분야 예산 확충

- 유관 분야 및 정부기관 간 행정적 책임 및 예산 마련에 대한 책무 - 취약계층/대상자(빈곤가정/농촌 거주/장애보유) 대상 특별 프로그램 마련 필요

•국가 차원의 표준 교육안 마련 필요

제언 : 향후 전망 및 과제(1)

3.2.

• 민관협력 분야의 원활하고 보다 강력한 파트너십 • ECCE 담당 직원/교사 역량 강화

- 유연한 채용전략, 적절한 교육 훈련, 교육의 질 표준화, - 훈련된 교사 유출 방지를 위한 적정한 수준의 보수

• 교육분야 중 ECCE분야에 대한 더 많은 관심과 펀딩 유도

• ‘평등’과 ‘참여’ 강조, 학령전 영유아교육의 보편성 강조 필요

제언 : 향후 전망 및 과제(2)

3.2.

- 41 -

Page 46: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참고자료]

• UNESCO, EFA Global Monitoring Report(2007) Early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 UNESCO, EFA Global Monitoring Report(2013-2014) Teaching and Learning

• UNESCO, Sustainable development Begins with Education (How education can contribute to the proposed post-2015 goals)

• UNESCO, Position Paper on Education Post-2015

• UN,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Report 2014

감사합니다

- 42 -

Page 47: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삶을 위한 문해(GMR2006)

박 진 솔

(한마음한몸운동본부 국제협력팀 대리)

Page 48: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Page 49: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삶을 위한 문해 Literacy for life

The 2006 Education for All

Global Monitoring Report

한마음한몸운동본부 국제협력팀 박진솔 대리

왜 ‘문해’ 인가?

문해는 곧 인권

문해는 모든 학습/배움의 기본

문해는 개인과 사회 발전에 기여

문해는 빈곤 감소를 위한 중요한 문제

문해는 모두를 위한 교육의 모든 목표 달성을 위한 기폭제

여전히 성인 비문해자(15세 이상)가 7억7천 만명(771 million)으로 조사되고 있으나, 이들의 권리에 대한 관심은 매우 낮음.

- 45 -

Page 50: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이 보고서는 무엇인가

1. Education for All: Progress & Prospects

EFA 6개 목표 달성 현황 검토, 주요 국가 전략 점검

2. Why literacy matters

문해의 핵심 중요성 강조; 인권, 개발 동력

3. Literacy from past to present:

문해 도전과제 정리, 보다 정확한 측정을 위한 방법 모색

사회의 문해 보급 달성 방법 분석

4. Good Policy, good meeting the literacy

청소년 및 성인문해를 향상하기 위한 사업과 정책 요구

5. International commitments: time to act

EFA 예산 확보를 국제조약 점검

EFA(다카) & MDGs 목표

Goal 2: 보편적 초등 교육 실현

- 2015년까지 전 세계 모든 남녀

어린이들이 동등하게 초등교육 전

과정을 이수하도록 한다.)

Goal 3. 양성평등 및 여성능력의

고양

- 2005년까지 초등교육과

중등교육에 대한 성별 불균형을

없애고, 2015년까지 모든 수준의

교육에서 성별 균형에 도달한다.

1. 영유아 보육 및 교육 증진

2. 초등교육의 보편화(by 2015)

3. 청소년 및 성인 학습 기회 보장

4. 성인 비 문해율 50% 감소(by 2015)

5. 교육에서의 양성 평등(by 2015)

6. 교육의 질 향상

MDGs EFA Goals

‘문해’가 바로 핵심

- 46 -

Page 51: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28

49

46

전반 현황

Countries far from meeting the goals,

including 16 in sub-Saharan Africa

EFA 발전 지표(Education for All Development Index)

→ 4개 목표(양적), 123개 국가

0.95 ~ 1.00

0.80 ~ 0.94

0.80 미만

Countries have achieved the goals or are close to doing so

Countries i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se countries, quality of education is an issue, especially in Latin America. In the Arab States, low adult literacy is stalling progress

EDI is: 1) UPE 2) 성인 문해 3) 젠더 4) 교육의 질

더딘 진전: 많은 국가에서 유치원 입학률은 50%(GER)에 머무름.

취약계층의 아동일 수록 해당 교육에서 배제됨.

도시지역의 아동들이 농촌지역의 아동들보다 참석률(출석률)이 높음.

2007 EFA GMR 보고서 주제

향후 학교 활동에 중요한 영향,

여아의 초등학교 입학에 긍정적 영향

영유아 보육 및 교육: limited progress

- 47 -

Page 52: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UPE(Universal Primary Education) 진행 상황

역사적으로, 학교 교육은

문해 보급 달성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임.

47개국에서는 UPE를 달성했으며, 추가로 20개국에서 2015년까지 달성할 것으로 보임. 44개 국가에서는 2015년까지 UPE

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서남

아시아에서 입학률 증가 UPE 지표가 낮은 국가들에서

진행되고 있음.

89개 국가에서 유상교육으로 실시 → 가장 큰 장애물 HIV/AIDS는 교육 시스템에 영향을

미침.

아프리카, 서남아시아, 아랍국가 등에서는 학령기 인구가 증가함. 23개국에서는 NER(Net Enrolment

Ratios) 감소로 2015년까지 UPE 달성에 위험이 존재

-10

0

10

20

30

40

Central

Asia

Latin

America

Caribbean

N. America

W. Europe

Cent.

East.

Europe

Arab

States

East

Asia

Pacific

South

West

Asia

Sub

Saharan

Africa

mill

ions

Change in enrolment in primary education, 1998-2002

Out-of-primary school children, 2002

The enrolment challenge 서남아시아 및 사하라이남아프리카에서 초등학교 입학생이 증가함.

그러나 여전히 이 두 지역에서 1억(100 million)명의 아동들이 학교에 가지 못하며

이는 전 세계의 70%에 해당함.

- 48 -

Page 53: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Gender parity 여아의 학교 등록율이 낮은 국가들에서 나름의 진전을 이룸.

60개가 넘는 국가 내 초등교육 단계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이 존재함.

일부 국가의 중등교육 단계에서는 여성이 두각을 나타냄.

94개국에서 2005년까지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성 격차를 일소한다는 목표가

실종됨.

Gender

parity

Gender Parity Index (F/M), 2002

0.2

0.4

0.6

0.8

1.0

1.2

South West Asia

Sub Saharan Africa

Arab States

Centr. East.

Europe

Latin America Caribbean

Central Asia

East Asia

Pacific

N. America/ W. Europe

primary

secondary

Gender parity: 초등/중등

31

9

9

79

10

6

54 100

At risk of not achieving by 2015

Likely to be achieved in 2015

Likely to be achieved in 2005

Achieved in 2002

Primary education

Secondary education

Overall

86

8 6

49

- 49 -

Page 54: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교육의 질(Quality of learning)

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

U.

R.

Tanzania

(Main

land)

Mala

wi

Mozam

biq

ue

Uganda

U.

R.

Tanzania

(Zanzib

ar)

Zam

bia

Zim

babw

e

Kenya

Lesoth

o

Sw

aziland

Nam

ibia

South

Afr

ica

Mauritius

Bots

wana

Seychelles

Perc

enta

ge o

f G

rade 6

pupils

Percentage of Grade 6 pupils in classrooms where there are no books available, 2000

많은 국가에서 낮은 교육의 질이 문제로 남음.

교과서 부족은 빈곤한 교육 환경을 반영함.

교육의 질: 숙련된 교사 필요

입학생 수를 늘리고(입학률 GER 100%), 적정한 학생:교사

비율(40:1)을 맞추기 위해서는 더 많은 교사가 필요함.

-5

0

5

10

15

20

25

India

Bangla

desh

U.

R.

Tanzania

Guin

ea

Pakis

tan

Senegal

Buru

ndi

Eritr

ea

Eth

iopia

Chad

Burk

ina

Faso

Mali

Nig

er

Annual gro

wth

rate

of

teachers

(%

)

1998-2002 2015 PTR target=40:1, maintain current GER 2015 PTR target=40:1, GER=100%

- 50 -

Page 55: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Benefits: 문해의 중요성

자존감 형성 & 역량강화:

선택 영역 확장, 다른 권리에 대한 접근성

정치적 이익: 공동체 활동, 무역조합, 지역사회 정치에 대한 시민 참여 증가

문화적 이익: 규범과 사고방식에 대한 질문 → 문화적 영역에서의 참여 능력

증진

사회적 이익: 건강, 가족계획, HIV/AIDS 예방에 대한 이해 → 해당 부모들의

자녀에 대한 교육 가능성 증가

경제적 이익: 성인 문해 교육은 초등교육 수준에 투자한 수확과 유사

1970부터 2000년까지, 성인문해율이 증가함.

15-24세의 증가율이 가장 높음.

문해 전반 경향(Big trend)

성인 문해율은 1970년대 가장 높게 증가함.

- 51 -

Page 56: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5.3

-94.3

10.6

6.2

-1.5

-3.0

-5.4

-0.2

-2.5

-1.0

1.0

-1.3

34.6%

11.3%

6.8%

6.2%

2.9%

2.8%

2.4%

2.2%

1.9%

1.8%

1.7%

1.6%

India

China

Bangladesh

Pakistan

Nigeria

Ethiopia

Indonesia

Egypt

Brazil

Iran, Isl. Rep.

Morocco

D. R. Congo

전 세계 비문해 성인의 75%가 아래 12개 국가에 속함. Change from

1990 to 2000-2004 (millions)

문해 관련 주요 국가

소외된 그룹

여성: 남성 100명 대비 여성 88명이 문해자 – 서남아시아 66명, 아랍 69명, 사하라이남아프리카 76명

선주민: 정규교육에 대한 접근성 저하로 문해율도 함께 낮음.

장애인: 60억명(600 million)이 넘는 장애인 중 2/3이 저소득 국가에 거주하며 문해율이 낮음.

이민자: 국가 내, 국가 간 이주가 현저히 증가함.

농촌 거주자: 빈곤한 국가일수록 문해 전반 격차가 더 큼. (파키스탄의 경우, 농촌 44% vs 도시 72%)

빈곤율이 높을 수록, 문해율은 낮아지는 경향이 있음.

- 52 -

Page 57: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Evolving Understandings

문해에 대한 가장 보편적인 개념: 인지적 관점에서의 읽기와 쓰기 → 통상적인 수준의 문자해득을 의미하는 기초문해

기술적인 문해의 개념은 문해 능력의 적용 방법에 초점을 맞춤. 1978년 UNESCO가 내린 정의가 현재까지 사용됨. → 생활에 필요한 혹은 기초적 수준의 직업기술교육을 반영하는 기능문해

문해 개념 변화(transformative): 사회 인지 능력과 비판적 숙고에 대한 배움 과정 → 생활에 필요한 기능문해로의 전환과 기초문해와 기능문해간의 연계 강조

문해 능력은 넓은 관점에서 기술 습득의 연속체로서 이해됨.

풍요로운 문해 환경(학교, 도서 등)이 중요함.

지난 20년간 문해에 대한 정의는 확대되어 옴.

정확한 문해력 측정 방법 필요

형식적 측정 방법

국가 센서스로 측정

다음 사항에 의존: 스스로 측정 가구주, 가장의 보고 교육기간(학년)

문해/비문해로 구분

향상된 측정 방법

직접 조사로 측정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 조사 항목

문해 능력에 대한 보다 정확한 정보 제공

향상된 방법을 적용한 결과, 형식적 방법은 문해력 수준을

과장되게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함.

- 53 -

Page 58: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직접 조사가 필요한 이유

방글라데시, 니카라과, 모로코, 탄자니아의 패턴 → 간접조사를 통한 문해력은

직접조사를 통한 문해력보다 높게 나타남.

간접조사와 직접조사 간의 차이는 교육 수준이 낮고, 학교 교육의 질이 낮은 곳에서

가장 높게 나타남.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문해력 설문조사를 설계하는 개발도상국들이

증가함. (브라질, 보츠와나, 중국, 에티오피아, 가나, 라오스, 니카라과)

향상된 방법을 적용한 결과, 형식적 방법은 문해력 수준을

과장되게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함.

국가 내 관련 기관 간의 협력 및 조율

파트너십

문해 교육 교사 확보

좋은 커리큘럼

언어 정책

공적 분야 지출

3가지 접근

1. 아동 대상 보편 기초

교육

2. 청소년 및 성인 대상

문해 교육 확대

3. 풍요로운 문해교육

환경 조성

수업료 감축

교사 확보

성 평등(Gender)

언어 다양성 포용

건강 및 영양

공적 분야 지출

교과서

현지 신문

도서 출판

방송 및 미디어

도서관

정보접근성

강력한 정치적 약속이 가장 먼저 필요함.

- 54 -

Page 59: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보다 나은 프로그램을 위해 고려할 사항

학습자의 문해 기술 습득을 위한 동기는 무엇인가? 커리큘럼은 사람들의 삶과 이들의 요구와 관련이

있는가?

교수법은 참여적인가? 교육시간은 충분한가? 학습자들은 문화 및 사회규범에 대해 민감한가? 학습자들은 체계적인 교육 자재를 충분히 갖고 있는가? 프로그램들은 모국어로 진행이 가능한가?

문해교육자의 낮은 지위(low status)

보다 전문적인 발전이 반드시 필요함.

훈련: 너무 짧거나 너무 길어 장황함. 보통 비정규 교육은 1~2주,

정규 교육은 1~3년 정도 소요됨.

인증 제도 및 실습 지원 필요

급여: 대부분의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교 교사의 1/4 ~ 1/2

수준임.

ICT(I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과

원격교육 분야의 발전에 대한 잠재성

- 55 -

Page 60: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언어-문해 간 결합

언어다양성은 대부분의 국가에서 직면한 도전임.

성인 문해 교육 프로그램에서 모국어 사용은 교육학적으로 바람직함.

지역사회공동체의 조직화 및 사회발전 촉진: 정치적 목소리 내는 데 도움.

모국어 이외의 언어를 습득하는 것은 보다 넓은 사회 및 경제적 참여가 가능함.

다음의 중요성 강조

학습자의 욕구 지역사회와의 논의 지역에서 생산된 교육자재 추가 언어 학습의 기회 제공

공적 분야 지출을 통한 재원 조성

70개 국에서 국가 수입 중 교육에 편성되는 예산의 규모는 증가함.

중등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들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국가들이 해당 재원

조성 대한 압박을 받고 있음.

성인문해: 보통 전체 교육예산의 1% 가 문해교육 예산으로 편성

문해교육에 대한 예산 증액이 반드시 필요함.

이는 질 좋은 교육을 위한 투자의 일환임.

- 56 -

Page 61: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문해교육 비용

1인당 평균 비용 계산:

아프리카 US$47, 아시아 US$30, 라틴아메리카 US$61

전반 비용을 표준화하기 어려움: 착수비용, 교사 훈련, 교육 자재 마련,

운영비

2015년까지 EFA의 문해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5억 5천명(15세

이상 성인)에게 문해 교육(400시간)이 필요, 이를 위해 최소한 연간 예산

25억불(US$2.5 billion)이 필요함.

공여국가 및 개발은행의 조사에 따르면 문해 교육에 대한 원조정책은

찾아보기 어려움.

평균적으로 문해교육 비용은 초등교육 비용과 비슷한 수준임.

현황

1998년 ~ 2003년, 기초 교육에 대한 양자 원조금액이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전체 원조금액의 2% 미만의 수치임.

0.0

4 0.2

7

0.5

4

0.5

6

0.4

7 0.5

8

0.7

8 0.8

9

1.0

9 1.1

6

0.4

2 0.4

9 0.5

7

0.9

4

0.5

6

0.3

9

0.0

0.2

0.4

0.6

0.8

1.0

1.2

1.4

1993 1994 1995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0.0

0.5

1.0

1.5

2.0

2.5

Total bilateral aid to basic education (left scale)

Total multilateral aid to basic education (left scale)

Basic education as % of total bilateral ODA (right scale)

- 57 -

Page 62: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A funding gap remains

장기적 관점에서의 원조 계획이 필요함.

기초 교육에 대한 원조는 기존 2.6%에서 5%까지 증액이 필요함. 교육에 대한 수요 및 욕구에

맞춰 원조가 집행되어야 함. G8의 FTI(The Fast Track

Initiative) 지지는 협력의 첫 발걸음으로써 의미가 있으나, 원조액이 크게 증가하지는 않았음. $0.9

$1.2

$1.2

$7.0

$3.7

Total aid

$2.1 billion

G8 pledge

multilateral

bilateral

Funding gap

Required to achieve UPE and gender

Billions of US$

EFA 달성을 위해 남은 도전들

학교에 다니지 않는 1억명

이상의 아동

여아 및 청소녀: 차별 및 불평등

요소

수업료

HIV/AIDS

낮은 교육의 질

7억7천명 이상의 성인 문맹자

저소득 국가에서 이룬 상당한 발전

다인구 국가에서의 문맹률 감소

교육에 대한 공공 지출 증가

원조국들의 원조규모 증대에 대한

약속

- 58 -

Page 63: 2차 세미나자료집 최종

Contact Information

EFA Global Monitoring Report Team c/o UNESCO

7, place de Fontenoy 75352 Paris 07

France

[email protected]

www.efareport.unesco.org

- 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