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기반학습과학(14주차)(외부용)

73
학교교육정보화의 실패(?)원인 미래 학습환경 8우수교사의 시사점 조규복 2014학습과학과 뇌기반 학습(14주차 강의) 1

Upload: kyubok-cho

Post on 14-Jul-2015

174 views

Category:

Education


0 download

TRANSCRIPT

학교교육정보화의 실패(?)원인

미래 학습환경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 조규복 2014년

학습과학과 뇌기반 학습(14주차 강의)

1

목차

1. 학교교육정보화의 실패(?)원인 (1) 학습과학의 부재 (2) 모순적 환경 - 동상이몽 - 서로 다른 혁신 관점 - 교육제도 - 오해, 예산 (3) 실패 극복방안 - 전략적 시도 (커뮤니티, 일상생활, 비교과수업) - 학습과학

2. 미래 학습환경 3.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 - 김경훈, 구선모, 박한샘, 정일주, 박효남, 김현진, 김미영, 김차명

1. 학교교육정보화의 실패(?)원인

After several years of attempting to “fix” schools with technology, a growing number of techno-skeptics have emerged (see Collins & Halverson, 2009 ). For example , in 2010 computer pioneer and visionary Alan Kay said that 30 years of technology in schools had failed (Cult of Mac, 2010 ). In 2012, Peter J. Stokes said, “The whole MOOC thing is mass psychosis, people just throwing spaghetti against the wall to see what sticks”; he was then executive director for postsecondary innovation at Northeastern University’s College of Professional Studies (Carlson & Blumenstyk, 2012 , pp. A4– A5). A U.S. government review of 10 major software products for teaching algebra, reading, and math found that nine of them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est scores (Gabriel & Richtel, 2011 ). 출처 : The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s (Cambridge Handbooks in Psychology) (2nd Edition)

1. 학교교육정보화의 실패(?)원인

미국의 ICT를 통한 교육혁신 but 실패

-경쟁 모델

(시장, 경쟁, 소비자, 평준화, 효율성)

-기업 모델

(사교육, 교육기부, NCLB)

1-1 학습과학의 부재

학교교육정보화의 실패 혹은 시행착오의 원인이

學習科學의 不在인가?

◯학교교육의 비과학적 상식적 전제(교수주의)

- 지식은 세계에 관한 사실과 문제를 해결하는 절차로 구성됨

- 학교교육의 목적은 이러한 사실과 절차를 학생들의 머릿속에 넣어주는 것임.

- 교사는 이러한 사실과 절차를 알고 있고, 그것을 학생들에게 전달함.

- 비교적 단순한 사실과 절차로부터 시작해서 차츰 복잡한 것을 배워감.

‘단순함’과 ‘복작함’의 기준과 정의 및 교재의 적절한 배열은 교사와 교과서 저자에

의해 혹은 수학자 및 과학자 역사학자와 같은 전문가에 의해 결정됨.

- 학교교육의 성공이란 학생들이 많은 사실과 절차를 습득하는 것이고, 그것은 시

험으로 측정됨.

6

1-2 모순적 교육환경(현장)

• 교사는 학생들의 과제 및 시험지에 코멘트해서 돌려주는가? 공유하는가?

• 교사는 수업을 녹화하여 학생과 다른 교사와 공유하는가?

• 교사는 재미(의미)있는 과제를 부여하고 있는가?

• 직소퍼즐 같은 학교체제에 (교육적 가능성이 있는) ICT가 도입되기 위한 가소성

은 어떻게 만드는가?

• 기술을 비난, 흡수, 무시하는 전략으로 내모는 권위적인 학교문화가 있는가?

1-2 모순적 교육환경(현장)

학교교육은 학생들의 학습을 충분히 촉진하고 있는가?

◯ 비계(스캐폴딩)

: 적극적으로 자신의 지식구축에 참여하도록 비계설정

즉,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달성하려고 할 때, 필요한 지원으로 가르치는 것이 아님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추가 수정 삭제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기회와 힌트 등이 포함됨

◯ 표현(외화)와 명시화

: 자신의 학습과정을 외화하고 명시화하는 것이 효과적임, 학습과 명시화는 상호강화관계

자신의 생각을 밖으로 내보내는 것(외화)이 조용히 배우는 것보다 신속하고 깊이있게 학습할 수 있음

어떻게 지속적으로 명시화를 유도하며, 어떤 명시화 형태가 효과적인가?

효과적인 성찰 유도

- 성찰

: 명시화가 학습에 효과적인 이유는 성찰, 메타인지 즉 자신의 학습과정과 지식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

- 구체적인 것으로부터 추상적인 것으로

: 피아제(구체->추상) 예)수학학습에 블록과 막대 사용

8

1-2 모순적 교육환경(현장)

학교교육은 공식적 학습에 치중한 나머지

비공식적 학습의 장점을 간과하고 있지 않은가?

◯ 비공식적 학습의 특징

- 개인지향, 개별주의

- 전통주의(연장자 우위)

- 감정과 지성의 융합

- 모방, 동일시, 협력

- 언어매개 학습이 아닌 관찰학습

- 활동 참가

- 스캐폴딩, 도제식 학습, 실천 커뮤니티에서의 정통적 주변참가

- 상호작용

- 아동의 학습 주도권

- 아동의 선행 지식

9

1-2 모순적 교육환경(현장)

학교교육은 ‘정형적 숙달화’에 치중한 나머지

‘적응적 숙달화’의 장점을 간과하고 있지 않은가?

◯ 정형적 숙달화 : 학교의 교수행위의 대부분은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문제를 정형화

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문제해결할 수 있도록 학생들이 특정 유형의 문제에 관한 스키

마를 습득하도록 지도

◯ 적응적 숙달화 촉진방법

① 지식의 진술보다는 구축

② 답을 도출하는 순서를 따르기 보다는 이론 구축과 반증을 중시하는 체계적 탐구

③ 혁신성을 높이기 위한 ‘스마트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 디자인’과 성찰과 메타인지

- 3가지 관점 : 생태적(환경), 사회적(상황), 문화적 관점(실천)

- 3가지 시사점 : 개인 초월, 감정, 개념 확장

10

1-2 모순적 교육환경(현장)

코디네이터,

Blended/Flipped,

과정중심 진단,

교수학습이력 ,

과제

교사,

수업,

시험,

교과서,

문제

1-2 모순적 교육환경(교육제도)

구성주의 인지주의 행동주의

평가

정책

PORT

FOLI

O

교육정보화

1-2 모순적 교육환경(교육제도)

교육제도

• 관료주의적 학교 시스템

• 시장모델의 확대 학교개선

• 중추적 사회센터로서의 학교

• 학습조직 중심으로서의 학교 학교혁신

• 학습자 네트워크

• 학교붕괴와 교사 탈출 탈학교

1-2 모순적 교육환경(동상이몽)

OECD School for tommorrow project(2002)

OECD의 미래학교(School for Tomorrow)Project (1)The ‘status quo continues’ Robust Bureaucratic school systems Extending the market model (2)The ‘re-schooling’ scenario Schools as core social centers Schools as focused learning organizations (3)The ‘de-schooling’ scenario Networks & the Network society Meltdown & Teacher exodus

1-2 모순적 교육환경(동상이몽)

CHAPTER 1 교육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CHAPTER 2 기술옹호론자의 관점 CHAPTER 3 기술회의론자의 관점 교육개혁이 실패하는 원인 학교에서 사용하는 기술의 장벽 통합: 학교와 기술 간의 양립 불가능성 CHAPTER 4 미국 학교교육의 약사 CHAPTER 5 새로운 교육제도의 씨앗 홈스쿨링 , 일터 학습, 원격교육 , 성인교육 , 학습센터, 교육용 TV와 비디오 컴퓨터 기반 학습 소프트웨어, 기술 자격증 인터넷 카페, 평생학습 CHAPTER 6 세 가지 시대의 교육 책임: 부모에게서 국가로 그리고 개인과 부모에게로 기대: 사회 재생산에서 만인의 성공으로 그리고 개인의 선택으로 내용: 실제적인 기술에서 학문적 지식으로 그리고 학습 방법의 학습으로 교수방법: 도제방법에서 강의방법으로 그리고 상호작용으로 평가: 관찰에서 시험으로 그리고 내장형 평가로 장소: 가정에서 학교로 그리고 어느 곳이든지 문화: 성인문화에서 또래문화로 그리고 세대 혼합문화로 관계: 개인적 유대에서 권위적 인물로 그리고 컴퓨터 중재 상호작용으로 교육의 중요한 변화

15

1-2 모순적 교육환경(동상이몽)

CHAPTER 7 잃게 될 것과 얻게 될 것 CHAPTER 8 신기술에 대한 학교의 대응 방안 수행평가 새로운 교육과정의 설계 디지털 세계의 평등에 관한 새로운 접근 CHAPTER 9 신기술이 학교교육에 주는 의미 아동들은 기술에서 무엇을 배우고 있는가? 기술은 아동들의 학습과 사회생활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 기술은 우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CHAPTER 10 기술 세계의 교육에 대한 재고 학습의 재고 동기의 재고 학습내용의 재고 직업의 재고 학습과 노동 간의 이행에 대한 재고 교육 리더십의 재고 교육에 관한 정부 역할의 재고 미래에 대한 우리의 비전

16

1-2 모순적 교육환경(동상이몽)

상용화, 교체 정부중심, 기업중심, 기기중심 인터넷 중독 효과성

1-2 모순적 교육환경(오해, 예산)

학교에서의 인터넷 활용 효과에 대한 인식 낮음

18 OECD PISA 2012

-1

-0.8

-0.6

-0.4

-0.2

0

0.2

0.4

0.6

한국

일본

핀란

스위

아일

랜드

이탈

리아

헝가

그리

이스

라엘

네덜

란드

슬로

베니

슬로

바키

폴란

벨기

독일

오스

트리

터키

체코

호주

아이

슬란

뉴질

랜다

에스

토니

스페

포르

투갈

스웨

멕시

노르

웨이

덴마

칠레

1-2 모순적 교육환경(오해, 예산)

학교에서의 인터넷 이용비율 낮음

19 OECD PISA 2012

-1.2

-1

-0.8

-0.6

-0.4

-0.2

0

0.2

0.4

0.6

0.8

1

한국

일본

폴란

아일

랜드

터키

독일

에스

토니

벨기

이스

라엘

아이

슬란

이탈

리아

헝가

포루

투갈

스위

멕시

슬로

베니

오스

트리

핀란

칠레

스페

그리

슬로

바키

뉴질

랜드

스웨

체코

네덜

란드

호주

노르

웨이

덴마

1-2 모순적 교육환경(오해, 예산)

OECD PISA 2009

1-2 모순적 교육환경(오해, 예산)

1-2 모순적 교육환경(오해, 예산)

2006년에 없었던 것

- 타블렛PC(스마트패드)

- 스마프폰

- 앱스토어

- e-리더기(Kindle, Nook)

- MOOCs(Udacity, Coursera, edX, and FutureLearn)

- LMS(Moodle, Sakai)

- 플립 클래스(Youtube)

- 온라인 대학 학위(BA -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Georgia Tech)

교육정보화 양비론

22

1-2 모순적 교육환경(오해, 예산)

긍 정 부 정

ICT는 학교교육을 개선시킬 수 있다 ICT는 학교교육을 변화시킬 수 없다

ICT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효과적․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ICT로 가르칠 수 없는 능력이 있고,

한계가 있다

ICT는 교사의 업무를 수월하게 한다 ICT는 교사의 업무를 증대시킨다.

ICT를 통해 교사의 역할이 바뀌어야 한다 ICT는 교사의 권위를 낮춘다.

맞춤식 개별학습 중시 일제식 학습 중시

문제해결 중심의 적기학습 앞으로 필요할 수 있는 다양한 지식 습득

비용은 점차 줄어들고 있다 비용이 많이 든다

교실관리가 가능하다 교실관리가 곤란하다

사회는 변화하는데 학교는 뒤처지고 있다 학교는 사회보다 천천히 변화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조금씩 변하고 있다

(Collins&Halverson 2009)

・ 기기 : 무선인터넷 → 기기 교사1인당 1-3대 → 모듬별 1대 → 학생1인당1대 ・ 교실 : PC실 → 도서실, 복도 → 이동형 교실 → 일반교실 ・ 디지털 콘텐츠 : 통신 → 교수학습이력 → 교재 → 교과서 ・ 학교 : 연구학교의 자생력 + 수업연구(성찰,기록) ・ 위험 : 개인정보, 건강

1-3 실패극복방안(전략적 시도)

1-3 실패극복방안(전략적 시도)

・ 일상생활

- 수업외 : ICT생활화

(학교신문, 홈페이지, 수학여행, 선거) - 비교과수업 : ICT필수화 (도서실, 진로교육, 상담, 자매학교교류) - 기타 : 관점 확대 (급식, 알바, 협동조합, 마을만들기)

・ 교과수업 : ICT매력

(킬러 콘텐츠) (촬영, 그리기, 지도, 교과서만들기, 영어회화)

ICT를 활용하지 않던 교사가 사용하게 된 이유

(1)실제 ICT기기를 사용할 기회가 생겨서 (2)실제 ICT를 활용한 수업을 볼 수 있어서 (3)어떤 교재가 있는지 알게 되어서 (4)ICT활용 수업사례와 수업지도안을 알게 되어서 (5)ICT지원인력이 도와주어서 http://berd.benesse.jp/up_images/textarea/global/ICT_20140319_ReleasePaper.pdf

1-3 실패극복방안(전략적 시도)

Riel Miller(2006)

ICT는 활용하기 쉬어야 하고, 포괄적으로 적용되어야 함

1-3 실패극복방안(전략적 시도)

Jean-Michel Saussois(2006)

ICT는 개방적이고 사회적이어야 함

1-3 실패극복방안(전략적 시도)

2 미래학습환경

‘지금과 같은 학교는 없어질 것이다’

1. 1954 : 행동주의 B. F. Skinner ‘teaching machines’

2. 1980 : 구성주의 Seymour Papert 'mindstorm'

3. 1980 - 2010 : 컴퓨터 과학자(교육공학자)

4. 2010 : 학습과학 현장중심 융합

2 미래학습환경

‘교육과정’

- 소박한(순진한) 이론과 오개념

- 교수주의자가 아닌 학습과학자가 밑그림을 그려야 함

- 활동과 개념, 교재,

:상황적 실천속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깊이있게 지식을 구축하는지에 관한 연구 바탕

- 교육과정의 양이 중요한 것이 아님 -> 단원을 넘어가면 까먹게 됨

: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된 깊이 있는 지식을 배울 때 더 잘 배우게 됨

- 학년별 과목별 교육과정 내용을 설정 -> 융합적 논리적 교육과정

: 보다 소량의 단원과 내용에 보다 많은 시간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함(유도리 교육)

- 정치인과 학습과학자가 대립할 것임

2 미래학습환경

‘교사’

- 교사와 교수가 아닌 학생과 학습중심이 되어야 함

- 법률가, 의사, 기술자, 컨설턴트 등처럼 미래의 교사는 충분하고 질높은 전문가여야 함.

- 아이들이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한 기초 이론과 최근 지식을 이해해야 함

- 과학자, 역사가, 수학자 논리학자 등의 참실천에 익숙해야 함

- 깊이 있는 지식을 가르치는 신규교사 양성을 위해서는 이에 상응한 보수가 주어져야 함

- 보다 자율, 창의성, 콘텐츠 지식이 있어야 함

- 교사 강의 지식습득 중심에서 참 문맥화된 문제기반 활동으로 변화해야 함

- 조언, 활동을 돕는 환경 만들기, 모니터링, 협력

- 교육학적 지식과 ICT에 능숙해야 함

- 학생 팀을 리드하고, 즉석에서 질문에 응답하고, 매니저로서 모두가 참여하도록 유도해야 함

2 미래학습환경

‘but Bumber’<혁신 속도의 완충>

- 학습환경이 지식사회의 수요에 맞게 혁신되어야 함

- 학교는 변화에 저항할 것임

- 대안적 학습환경과 새로운 기술이 급속히 학교에 도전할 것임

2 미래학습환경

‘and 대립’<학교와 학습과학의 대립>

- 학습의 획일화와 개별화

- 만능 전문가와 다양한 지식 창고(통로)

- 표준화 평가와 개별 맞춤형 평가

- 톱다운 지식과 분산 지식

2 미래학습환경

‘과제’<그룹학습에 대한 부분적 시스템적 관점의 연계>

- 그룹학습 과정은 시스템적으로 관점으로 분석가능함

- 개인의 인지 과정은 부분적 관점으로 분석가능함(심리과정)

- 그룹 내 개인의 평가

2 미래학습환경

‘과제’<평가에 대한 책무성>

- 피상적 지식평가 vs 깊이 있는 지식과 오개념 진단

- 탈문맥화 vs 문맥

- 문제해결, 탐구능력

- 지식의 양 vs 과학적 실천에 대한 이해

- 학생개인PC사용이 새로운 평가의 가능성 제시 - 진단 소프트웨어 탑재

2 미래학습환경

‘과제’<의학 참고>

- 기초 조사(다양한 방법)

- 실행가능성. 어떻게 처치를 관리할 것인가? 어느정도가 적당한가? (다양

한 방법)

- 초기 효과. 잘 진행되는가? 유사실험 방법

- 무작위 통제 실험. 처치의 효과분석을 위한 기준과 통제된 실험이 필요함

- 분석과 추가 연구

2 미래학습환경

‘과제’<의학 연구방법을 교육학에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음>

- 학교교육의 목적 모색중 : 학생들의 습득하기를 바라는 인식적 사회적 최종목표(결과)물 - 모색단계에서의 실험연구는 미숙함 : 학습환경에 대해 연구중임, 복합 연구방법과 디자인 실험이 적합함. 실험연구 수행은 비용이 많이 듦. 안정적이고 잘 구안된 교육과정이 정착된 후에 실험연구가 사용되는 것이 적합함 - 새로운 학생중심 상호작용과 소프트웨어를 디자인 하기 전에 교실에서 1년 이상의 연구가 필요하고, 또한 실험후에 방대한 비디오 인터뷰 진단자료 분석을 위해 1년이상이 필요함 - 학습분석기술 개발되고 있음 디지털비디오 에스노그래피 연구방법 개발중 - 연구자 간의 협력과 거대한 학습과학 센터와 연구예산이 필요함 - ISLS - NAPLES 컨소시움 - 커뮤니티가 필요함(인지 뇌과학자 포함, 학습심리학자가 가장 중요함)

2 미래학습환경

‘미래학교 전망’

- 초기 인프라 비용이 소요되지만 그 후에는 교과서와 교재 소요되는 비용이 들지 않을 것임 - 교과서는 다시 작성되어야 함 - 개별화된 적기학습, - 나이별 학년, 학기 구분, 표준화된 시험은 사라질 것임 - 졸업과 대학입학 나이가 상이하게 될 것임 - 스포츠, 특별 활동, 학급 모임이 활성화될 것임 - 학교와 사회의 관계 변화, 학습자의 학교밖 세상과 연계를 ICT가 지원할 것임 - 학습 활동은 참되고 실제 세상의 실천과 융합될 것임 - 다른 주제(문제)로 각기 다른 학습자에 적합하고 깊이 있는 지식을 진단하는 평가로 변해야 함 - 교원양성대학에서부터 준비해야 함. 교사는 융합적 콘텐츠에 대한 전문성,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한 최근 연구에 대해 박식해야 하며 각 학습자를 지원에 대해 창조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함 - 최근 발전하고 있는 뇌과학도 학습과학과 연계되어져야 함 - 어떻게 학습하는지를 분석한 후, 학교 혁신을 사회전체적으로 도모할 것임

2 미래학습환경

‘Are today’s schools really the right schools for the knowledge society?’ Everything is subject to change: schools may not be physical locations where everyone goes, students may not be grouped by age or grade, students could learn anywhere at any time. Imagine a nation of online home-based activities organized around small neighborhood learning clubs, all connected through high-bandwidth Internet software. There would be no textbooks, few lectures, and no curriculum as we know it today. “Teachers” would operate as independent consultants who work from home most of the time, and occasionally meet with ad hoc groups of students at a learning club. Each meeting would be radically different in nature, depending on the project-based and self-directed learning that those students were engaged in. In fact, each type of learning session might involve a different learning specialist. The teaching profession could become multitiered, with master teachers developing curriculum in collaboration with software developers and acting as consultants to schools, and learning centers staffed by a variety of independent contractors whose job no longer involves lesson preparation or grading, but instead involves mostly assisting students as they work at the computer or gather data in the field (Stallard & Cocker, 2001 ). 출처: The Cambridge Handbook of the Learning Sciences (Cambridge Handbooks in Psychology)(2nd Edition)

3-1.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경훈)

1. 김경훈 목운초등학교 사회과 - a perfect model of smart education

https://drive.google.com/file/d/0Bz5-1Y7Gez9iSXE4ejM4OVktMm8/edit?usp=sharing

◯ 교구와 본질

- 교구는 부가적 도구 : 분필, 보드마크, 교과서, 지구본, 앱…

- 본질 : 학생의 창의 인성 협업 의사소통능력

◯ 본질을 위한 교구활용

- 지구본의 단점 : 하나를 가지고 4명이 다툼

- 세계지도 퍼즐 : 각 나라의 위치 및 위도경도 학습

- ICT : 방송수업(KBS 연예인이 교과서에 나오는 곳 탐험) -> 패드를 통한 사회조사

- 교과서는 단편적이며 네팔 등 특수국가에 대한 설명 부족

- 2인에 1대로 협동, 스마트패드는 저작이 안되어 활동지를 잘 만들어야.

- 어스101(?)이라는 앱 - 전세계 주요 지형물을 확인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앱

- 2인 1조로 앱 활용이 중심이 아니라 의사소통을 통해 내용을 채워나감

- 어스 나우(?)라는 앱 : 실시간 날씨 이산화탄소 오존 등의 자료 확인 가능,

지구본 이상의 학습가능, 나라별 특성 파악 가능

3-1.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경훈)

1. 김경훈 목운초등학교 사회과 - a perfect model of smart education

◯ 게임 활용 - 학습에 맞는 게임 2인이 게임을 하며 학습 but 유료

◯ 본질을 위한 교구(ICT)에 활동연계1(참실천)

- 세계 여러나라의 광고 제작 - 미술교과와 통합수업

자신이 고른 국가의 광고제작(특산물 특성 파악 후 제작 및 QR코드로 작성)

관광책자를 QR코드로 제작

게시판을 활용해서 지도로 제작, 모듬별로 지역 할당 협력, 공유

게시판이 수업의 자료판이 됨, 스파트폰으로 확인 가능

나중에 내용을 음식 날씨 등 업데이트 가능

◯ 본질을 위한 교구(ICT)에 활동연계2(참실천)

- 카카오톡(스토리) 프로필 만들어 QR코드

꿈에 대해 그리고 좋아하는 배우에 대해

전학생이 오면 좋음, 핸드폰 반납

3-2.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구선모)

2. 구선모 서상초등학교 스마트스쿨 사업추진 smart education in experimental school: “smart tap simply replacing for books and notes” https://drive.google.com/file/d/0Bz5-1Y7Gez9ieTBDZEpGNEZGak0/edit?usp=sharing <사업추진 배경과 감상> - 부담감, 교장선생님의 의지, 동료교사의 생각 - 반응 : 나는 스마트기기가 들어와도 안 할 것이다, 나는 기계다루는 것이 서투른데, 스마트스쿨이 뭐예요? - 강원도는 농산어촌 ICT사업으로 활성화 - 학교가 낡아서 시작 70년대 마루바닥, 분필이 써지지 않는 칠판, 춘천 40개 초등학교 중 최하위 환경(사진 참고)

3-2.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구선모)

2. 구선모 서상초등학교 스마트스쿨 사업추진

<사업추진 배경과 감상>

- 연구학교 할 만한 능력 부족하기 때문에 삼성 스마트스쿨 사업밖에 없음

- 시골아이들에게 서울의 학교에서 하는 수업을 체험하게 하고 싶었음

- 삼성스마트 스쿨 2012 전남 섬지역 27개학급 599명, 2013년 강원도 21개학급 365명

2014년 400개 지원, 330개 심사대상, 대도시 및 서류미비 제외, 24개 서류, 인터뷰심사 후 전

국의 8개학교 선정

-지원내용

학생1인1디바이스,

75인치 초대형 전자칠판,

교사용PC와 태블릿,

컬러레이저프린터

3-2.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구선모)

2. 구선모 서상초등학교 스마트스쿨 사업추진

<사업추진 배경과 감상>-과정과 노하우

◯ 철학(전략적) : 특별한 것을 하지 않는다

◯ 시뮬레이션 : 노트나 도화지로 하는 것을 패드로 할 뿐

패드를 한 후 원래대로 몸을 움직이며 도화지에 함

ex)팔찌, 티셔츠 디자인 리폼을 막상 하려면 어려워 함 <- 패드에서 디자인 해 본 후 하면

실수 줄고 좋아함

◯ 참실천 : 편지 쓰기에서 종이를 주고 끝나지만, 실제 편지를 쓰고 메일로 보내기 때문에

실제 받는 사람에게 가게 됨

◯ 문맥(상황) : 고장의 자랑 - 춘천의 닭갈비와 막국수가 교과서에 안 나옴

◯ 자기주도적 과제중심 : 검색 -> 수합 -> 제작 -> 전시

(실제적 수업으로 흥미 향상, 학생중심)

◯ 실제적 공유 : 과학(동물의 한 살이) 실제 실험 관찰 기록을 사진 동영상을 통해 자유롭게

표현하게 됨, 아이들이 하는 것과 하고 싶은 것이 증가, 학업성취도 향상

3-2.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구선모)

2. 구선모 서상초등학교 스마트스쿨 사업추진

<사업추진 배경과 감상>- 어려운 점

- 자기 반을 넘어선 기기 점검 충전 에러 등 관리 등의 부담 문제

- 멀티컨센트로 인한 기기 손상 및 화재 발생 가능성, 과충전 문제로 전체 충전함 탈 수 있음,

인터넷 연결 곤란 수업중에도 다른 반 학생이 찾아옴,

- 이상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은 다른 교사들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 무상보증기간

활용. 여유장비 확보

- 학생들이 하기 싫어하는 경우와 잘 못하는 경우도 있음 : 화내지 말고 천천히 시간을 두면 아

이들이 금방 잘하게 됨.

- 1년에 2명의 교사가 변함, 이 좋은 것을 왜 안하느냐고 적대시하지 마시고 천천히 하면 됨

3-3.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박한샘)

3. 박한샘 전남 미력초등학교 농산어촌 학교

smart education in rural school: “we are doing something better”

https://drive.google.com/file/d/0Bz5-1Y7Gez9iUEp6ck5uLWFheE0/edit?usp=sharing

- 전국의 초등학교 수 5,913개, 전교생 60명 이하 1,896개교

- 도시는 스마트폰 몸살이라지만 농산어촌은 반도 안가지고 있음

-농산어촌 ICT활용 학습여건 개선사업 2013년 300교, 2014년 2000교, 2015년 4000교(예정)

학교당 ‘천만원’ 지원

3-3.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박한샘)

3-3.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박한샘)

3. 박한샘 전남 미력초등학교 농산어촌 학교

<미디어 영상을 통한 리터러시 능력 향상>

- 토론, 작곡, 체육 등에 활용

- 3R과 디지털 리터러시 도농 격차를 줄이기 위한 ICT

-(전략적) 방과후 ICT활용지도(정보습득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목적)

방과후 시간 등에 ICT활용 시간 확보로 스마트기기 활용 수업이 되지 않도록

-(전문성) 디지털네이티브를 고려한 독해능력과 글쓰기 문해능력 고민

영상표현이 재미있겠다 -> 자기주도적 학습, 촬영 편집 등 간단히 가능(스마트폰 소지),

창의력, 3R 부족해도 동영상 통해 전달 기회 가능(문해력<창의력)

- 글쓰기 글읽기 -> = 영상표현 해석 (미디어 영상 문해능력)

-(학생중심, 동기) 교과서의 콘텐츠를 동영상으로 제작, 영상감상문,

뉴스만들기, 캠페인 동영상 만들기,

-(참실천) 어버이날에 영상편지 작성해서 학부모 핸드폰으로 전송

3-3.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박한샘)

3. 박한샘 전남 미력초등학교 농산어촌 학교

<노하우와 감상>

- (협력 협동), 영상을 만드는 것은 여럿이 함께 차근차근해야. 의사소통해야.

- (모니터링) 반복과 각인 : 스스로 반복하고 모니터링하게 됨, 암기효과

- (지식 구성, 정보리터러시) 지식 구성 : 논리력 향상

- 성적 향상, 싫어했던 과목 좋아하게 됨(수학, 과학, 사회)

- 인터넷 중독 문제 해결 힌트, 학습 및 활용 방안 알려주고 타블렛PC 마인드맵 그려보라고

했더니 게임이나 안 좋은 것이 안 보임, 학습도구로 인식함

- (상호작용)선생님과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 촉진 도구, 사회 과학 등 암기과목 싫어하던 학

생이 성적이 오름

-(플립러닝, 전문성, 성찰)

성패요인 : 사전 수업 디자인, ICT가 필요한지 사용할지 고민으로 유의미한 학습

활동시간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플립러닝이 도입되어져야 함

-(학생중심, 디지털네이티브) : 학생들이 선생님들을 가르치고 학교를 안내

‘학생들에게 던져주고 나중에 선생님들에게 알려줄래?’

3-4.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정일주)

4. 정일주 적서초등학교 파주시 최북단소규모학교

happy classroom gym

https://drive.google.com/file/d/0Bz5-1Y7Gez9iaFFkdmNvcU5SYWc/edit?usp=sharing

-(참실천) 창체시간 활용해서 농사 장기프로젝트, 달력만들기 진행중

- 2013 교육청의 경기도 농산어촌ICT시범운영 750만원 예산(500만원 단말기 250무선랜)

- 갤럭시 노트, 미러링, 무선AP(KT)

- 짧은 운영시간이지만 보람

-(적은 예산) 2014년도 ICT활용 연구시범학교 운영 예산 400만원

- 계획서에 따른 성과 부담

-(전략적) 선진 학교방문 -> 원격연수 -> 교직원 연수(매주 2회, 어플활용중심)

-> 컴퓨터실 개조(400만원) -> 교육과정 구성, ICT활용 수업교육과정 추출, 수업지도안 작

성 -> 공개수업, 학부모 연수

-(전면적) 교과수업, 창체, 방과후 활동에 활용, 별가족 모임 및 활동 주제 선정(1-6학년 종단,

학교소개 지도),

-(무선중심) 교실별로 무선 공유기 설치

-(학습환경) 땅콩책상 : 앉아서 함께 학습공간

3-4.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정일주)

4. 정일주 적서초등학교 파주시 최북단소규모학교

- 별가족(1-6학년 선후배 관계)

3-4.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정일주)

4. 정일주 적서초등학교 파주시 최북단소규모학교 - Happy Class Gym : 체력향상, 다이어트, 비오는 날 활용

3-4.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정일주)

4. 정일주 적서초등학교 파주시 최북단소규모학교

- 교사의 전문성(정보기기 활용 능력,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

http://www.ted.com/talks/jay_silver_hack_a_banana_make_a_keyboard?language=ko

3-5.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박효남)

5. 박효남 삼척초등학교 특수교사 smart education just for disabled https://drive.google.com/file/d/0Bz5-1Y7Gez9iUU5nNjM3SElUYms/edit?usp=sharing

-(전문성, 학습과학) 왜 스마트러닝을 하는가? 접근성, 동기화

-자폐증 학생을 위한 플래시카드 어플 활용,

글자 조합 곤란, 플래시카드 어플로 새롭게 구성 가능, 터치짧고 길게,

소리와 사진 나타남, 글자 작성이 좋아짐, 발화유도

3-5.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박효남)

5. 박효남 삼척초등학교 특수교사

-(참실천)에버레드 방문 사전 사후 활동

3-6.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현진)

6. 김현진 근덕초등학교 스마트교육 연구학교 okmindmap in the classroom https://drive.google.com/file/d/0Bz5-1Y7Gez9iQlFVcmQwQ3J0elk/edit?usp=sharing - 모든 환경에서 사용가능한 학습도구 ICT, iOS vs 안드로이드, 윈도우(조달청) - 마인드맵 - OKMINDMAP 실시간 30명 협업 가능, 분류 개념파악 지식 구성

3-6.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현진)

6. 김현진 근덕초등학교 스마트교육 연구학교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7. 김미영 강원도 속초초 노천분교

where a question arises, learning begins

https://drive.google.com/file/d/0Bz5-1Y7Gez9idVlSeFFhaWV0TGs/edit?usp=sharing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7. 김미영 강원도 속초초 노천분교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7. 김미영 강원도 속초초 노천분교

- 철학 : 질문이 많은 아이 육성

- (전문성, 교수법)강의식 수업 + 토의토론, 문제해결, 지식구성학습

- (전문성, ICT활용)디지털교과서 위두랑 활용

- (지식구성)오개념을 빼기 위해서, 책 전에 실제 체험, 영상을 보면서 대화하면서 시작

(학생중심)그러다 질문이나 오개념이 보이면 그것을 가지고 수업이 시작

- (상호작용)본교 분교간 교류학습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7. 김미영 강원도 속초초 노천분교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7. 김미영 강원도 속초초 노천분교

-(공유) 위두랑(SNS) 활용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7. 김미영 강원도 속초초 노천분교

- 수업연구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7. 김미영 강원도 속초초 노천분교

- 수업연구

3-7.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미영)

7. 김미영 강원도 속초초 노천분교

- 첨단 실천

3-8.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차명)

8. 김차명 정황초등학교 ‘그림그리는 선생님’

drawing is the new literacy (visual thinking)

https://docs.google.com/file/d/0Bz5-1Y7Gez9iWTRKTjh6RFBxcVk/edit

http://chamssaem.tistory.com/

- (시뮬레이션, 시각화, 동기)그림을 통한 학생과의 소통, 학습

- (공유)종이 -> 디지털화 -> 선생님과 공유

3-8.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차명)

8. 김차명 정황초등학교 ‘그림그리는 선생님’

3-8.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차명)

8. 김차명 정황초등학교 ‘그림그리는 선생님’

- 비쥬얼을 통한 사고 및 학습 촉진

3-8.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차명)

8. 김차명 정황초등학교 ‘그림그리는 선생님’

- 연수

3-8. 8명 우수교사의 시사점(김차명)

8. 김차명 정황초등학교 ‘그림그리는 선생님’

- 연수

배공 아니면 거꾸로

https://www.facebook.com/photo.php?v=10200801703793486

8분과 같은 교사 +

학습과학자 +

KE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