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장 보조공학 - kocwcontents.kocw.net/kocw/document/2015/chosun/kimjeongyoun/13.pdf · 3....

20
14장 보조공학 1. 보조공학의 개념 2. 보조공학의 법적인 근거 3. 보조공학의 활용

Upload: others

Post on 01-Jan-2020

1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14장

보조공학

1. 보조공학의

개념

2. 보조공학의

법적인

근거

3. 보조공학의

활용

1. 보조공학의

개념

• AT (Assistive Technology)

란?

– 장애

학생들이

일반

환경

내에서

생활과

교육에

‘접 근’할

있도록

보조해

주는

– 장애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을

돕기

위해

지 원할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학

기술

1. 보조공학의

개념

• AT 활용의

필요성

– 장애학생의

능력을

지원, 확대, 보상을

하며, 장애를 상쇄시킬 수 있는 역할

– 일반

또래와의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고

상호작 용과

활동

참여

촉진

– 일상생활에서의

독립성

증가, , 타인의

의존성을

줄 여줌.

– 정보

수집

접근을

가능하게

– 여가활동의

가능성과

폭도

넓혀

준다.

– 학습

활동

참여

확대

– 직업활동에

참여

촉진

– 신체적인

발달에도

긍정적

영향

1)

보조공학

기기

• 장애를

가진

개인의

기능적

능력을

증진, 유지, 향상시키 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나

제작된

도구

• Ex: 소근육운동이

발달되지

않은

사람을

위해

고안된 컴퓨터

자판이나

음성인식

소프트웨어, 스크린

확대기,

화면

읽기

프로그램

1)

보조공학

서비스

• 보조

기기의

선정, 구입, 사용에

있어서

직접적으로

보조 하는

모든

서비스를

뜻하는

것으로

특수한

아이템, 장치,

생산

시스템

등의

요소가

포함된

개념

– Ex: 장애인 보조 기기 요구 평가

– 보조

기기

구입, 임대

등의

서비스

– 보조

기기의

선택, 설계, 조정, 맞춤, 변형, 적용서비스

– 교육재활

계획

프로그램

관련

치료, 중재

– 장애인, 필요한

경우

가족

구성원, 보호자

등을

위한 훈련, 또는 기술 지원

– 교육

재활전문가, 고용주를

위한

교육, 훈련, 기술 지원

• 저기술(low-technology)

– 전기적

구성

요소가

드물고, 대개

비용도

저렴

– 문을

쉽게

열거나

옷을

빨리

입게

주는

버튼

훅이 나

지퍼, 쉽고

빨리

먹을

있도록

도와주는

기기

– 소근육

기능을

보완해주는

잡기보조기기, 수정된

숟가 락이나

포크, 주방용

기기, 버튼식

형태의

치약

• 고기술(high-technology)

– 마우스스틱(mouth stick), 헤드스틱(head stick)

– 컴퓨터

등을

제어할

있는

스위치

2. 보조공학의

법적인

근거

• 국내

법률에

따른

장애인

보조

기기

– 일부

제한적인

품목에

한해서

지원

– 장애의

예방과

보완

기능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의지, 보

조기, 기타

보건복지가족부장관이

정하는

보장구와

일상생활의

편의

증진을

위하여

사용하는

생활용품으로

정의

– 즉, 개인치료용구, 훈련용구, 의지·보조기, 개인위생·보호

용구, 이

기기, 가사용구, 가구

건축물용

부대시설, 정보통신

신호

기, 환경개선

기기, 레크리에이션

용구

국제표준화기구(ISO)의

분류체계에

의해

제공함

– 보장구

유형별

상한액의

범위

내에서

실구입가의

80%는

정부

원, 기준액의

20% 및

상한액

초과금액은

장애인

본인이

부담

– 구체적인

지원

품목:

상하의지·보조기

48종, 전동

휠체어, 전동

쿠터, 정형외과용

구두, 저시력

보조안경·의안

6종, 보청기, 체외

인공후두

3. 보조공학의

활용

12장

참고

1)

이동성을

위한

보조공학

• “스스로

직접

움직이는

것은

아이들에게

사회적·물리적 세계와

교류할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며

이는

시기에

사회적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세계와의

상호작용의

경험과

기회= 독립성과

자신

감과

자기

동기화

가능한

조기에

보조공학

기기를

통해

강화

• 보조기

선정

유의사항

– 사용할

기간, 움직임, 기기의

물리적

내구성, 가정과

학 교, 지역사회의

환경

상태, 기기

구입

비용, 학교

배치,

치료와

교육적

목표

– 치료전문가와

의사, 부모, 교사, 학교관리자

등의

논의

2) 자세유지를

위한

보조공학

• 교과과정에

적절한

접근을

제공하기

위해

교사들은

바른 자세와

바르게

앉는

방법과

원리들을

이해해야

•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 그

밖에

바른

자세에

대한

조 언을 해 줄 수 있는 전문가, 교사와의

협력

안에서

보조

기기를

평가한

선택하고

적응시켜서

사용함

• 수업시간을

통해

학생의

자세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함

11장

참고

3)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공학

• 의사소통

장애인의

사회적·교육적

참여를

증진

•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개발

• 의사소통을

위한

보조공학

기기

9장

참고

4) 정보

접근을

위한

보조공학

• 정보에의

접근은

현대사회에서의

독립성에

영향을

미치 는

중요한

요소

• 다른

사람과

이메일을

주고받고

인터넷과

월드와이드웹 을

통한

서비스와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찾고

교육적

기회에

접근하는

• 신체

움직임이

가장

원활한

부위를

사용하여

전자

및 정보에

접근할

있도록

지원

• 입력을

지원하는

장애인

보조

기기

– touch screen, 확대키보드, 한

사용자

키보드, 미 니키보드, 화상키보드, 키가드(key guard), 스크린키보

– 헤드포인터나

헤드스틱, 마우스포인터이나

마우스스 틱, 손가락용

스틱

5) 학업

성과를

위한

보조공학

• 이런

행동이

자주

관찰된다면…?

– 일반적으로

제시되는

학습

자료

글자가

읽기에

너무

작다.

– 말하거나

듣는

있어

어려움이

자주

발생한다.

– 효과적으로, 또는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할

없다.

– 학습활동에

사용하는

조작자료들은

이용하기에

너무

어렵다.

– 주어진

시간에

스스로

읽는

것에

어려움이

있어서

누군가의

대독

필요하다.

– 글씨는

알아보기

힘들며

의미를

이해하기가

어렵다.

– 쓰는

속도가

매우

느려서

주어진

학습

과제를

완료하지

못한다.

– 학생의

능력을

보완하기

위해

현재

사용하고

있는

수정

방법들이

충분하지

않다.

보조공학의

도입을

고려!!

6) 일상생활을

위한

보조공학

• 좀

독립적으로

생활할

있도록

일상생활

속에서

환 경을

조절하고

제어하기

위해

보조공학을

이용한

전자

보조장치들이

필요함

• 독립성과

생산성을

증가

• 일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하고

개인의

안정과

생산성을 높이는

기여함

• ADL 보조

기기

– 한

사용자를

위한

도마와

칼, 형태가

다양하게

수정 되어

제작되는

식사

기기, 단추

끼우기

보조

기기, 전

화기

홀더, 필기

보조

기기, 책장

넘기는

기기, 전동가 위, 물건

집게, 높낮이

조절

침대와

세면대, 변기, 싱크

등의

생활의

편의를

지원하는

도구

7) 지역사회생활과

여가문화생활을

위한

보조공학

• 지역사회에서의

도로, 교통수단, 공공기관, 음식점

등의 이용과

여가문화활동을

참여를

지원함

• 특수하게

제작된

스포츠용

휠체어: 테니스, 농구, 하키, 럭 비

운동에

사용

• 경주용

휠체어: 초경량, 안정성과

속도를

강화한

합금

소 재

• 손으로

페달을

돌려

움직이는

자전거

– 농구용

휠체어

– 산악

휠체어

– 핸드

바이크(hand bike)

– 시각장애인용

점자

놀이

카드

2. 스포츠

휠체어

4. 경주용

휠체어

보편적

설계(universal design)

• 모든

사람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있게

하며, 장애인용 이라는

특별한

표찰이나

다른

사람의

도움이

없어도

여할

있는

경제적이고

융통성

있는

설계

• 신체의

적은

노력으로

사용과

접근이

쉬우며, 실수할

가 능성을

줄여

주고, 누구나

공평하게

사용

• 공공시설의

자동문과

경사로, 화장실의

손잡이, 미끄럼 방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건축

마감재의

사용, 높낮

조절이

용이한

책상과

의자

• 보편적

디자인의

주요

원리

– 공평한

사용

– 사용상의

융통성

–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

– 적은

물리적

노력

– 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

– 오류에

대한

포용력

–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