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5 e navigation

65
e-navigation 1. 개요 1.1. 기술개요 1.1.1. 중점기술 및 표준화 대상항목의 정의 e-navigation의 정의 e-navigation은 선박의 출항부터 입항까지 전 과정의 안전과 보안을 위한 관련 서비스 및 해양환경 보호 증진을 위해 선 박과 육상 관련 정보의 수집, 통합, 교환, 표현 및 분석을 융합하고 통일하여 수행하는 체계를 말함 - 선상(ship board): 선박 자체 센서, 정보 지원, 사용자 간 표준 인터페이스 및 가드존과 경보관리를 위한 포괄적 시스템의 통합을 통한 항해시스템을 핵심요소로 항해 정보의 산만함과 선원의 과로를 방지해 항해 절차에 있어 항해자가 가장 효 율적인 방법으로 당직을 수행하는 개념 - 육상(shore based): 보완된 규정, 협조 및 포괄적 데이터 형식의 교환을 통해 육상으로부터 선박의 안전 및 효율성을 지원 할 수 있도록 선박 관제 및 관련 서비스의 관리를 수행하는 개념 - 통신(Communications): 선상, 선박 간, 선상과 육상 간, 육상 기관 대 다른 대상에 인증되고 통일된 정보의 전달을 통해 잘못된 판단을 줄이도록 하는 통신정보 제공 인프라 개념 표준화 대상항목의 정의 348 ICT 중점기술 표준화전략맵 Ver. 2011 차세대 전자해도(S100) 전자해도 및 수로 데이타 표준으로서 프레임워크 표준의 정의, 레지스트리를 통한 표준화 항목관리 및 제품 제작 사양 개발과 같은 표준개발 구성요소 정의, 내용과 전송 분리 방안의 표준, Plug & Play 갱신 표준을 포함 S-Mode Presentation 항해장비 표현을 위한 S-Mode 그래픽 기술, UI 기술 Smart Conning System INS, IBS 성능 사양 결정, Display and Presentation GMDSS 조난 발신 절차 GMDSS를 통해 발신하는 조난신호의 구동 버튼 모양과 발신절차에 대한 표준화 선박에 사용되는 장비(특히 항해통신장비)의 상시운용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가용성/신뢰성 평가 기술의 평가 항목 및 방법에 관한 표준화 선내 경보 표시 기술 선박에 필요한 항해, 기관, 선체 등의 관련 정보들의 시각적/음향적 알람 및 경보에 관한 표준 PNT 통합 수신 기술 통합 수신기 성능 사양 데이터 형식 및 교환 프로토콜 사양 중소형 선박을 위한 선박 보고 데이터 포 안전, 해상 기상 정보, UMDM 해양 정보 수집 및 처리 기술 - 대규모 위성 정보 저장 표준 - 대규모 교통 정보 전송 표준 관제용 프리젠테이션 SW 사양으로, 일관성있는 화면 배치 표준, 화면 운용 분리 표준, 문자, 심볼, 전자해도정보, 색상 표준, 레이다, AIS 타겟 정보 표현 표준, 사용자 매뉴얼 표준, 표준 시험 방법 개발 및 표준 시험결과 사양, 3 차원 해저지형, 레이다 영상 및 위성 영상 데이터 저장 및 표현 표준, 증강 현실 표현 표준을 포함하며 HW 사양으 로 콘트라스트 및 밝기 조정 표준, 자기 영향 감소 방안 표준, 화면 크기 및 해상도 표준을 포함한다. Ship board Shore based 선박 장비 가용성/신뢰성 평가 기술 해상 정보 프리젠테이션 기술 선박 및 해양 교통 시설 정보 통합 기술 선박 보고(자동위치전송) 데이터 포맷/교환 기술 구분 표준화 대상항목 표준화 내용(세부 표준화 항목)

Upload: wesley-jang

Post on 08-Feb-2016

173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DESCRIPTION

05 e Navigation

TRANSCRIPT

Page 1: 05 e Navigation

e-navigation

1. 개요1.1. 기술개요

1.1.1. 중점기술및표준화대상항목의정의

e-navigation의정의

e-navigation은선박의출항부터입항까지전과정의안전과보안을위한관련서비스및해양환경보호증진을위해선

박과육상관련정보의수집, 통합, 교환, 표현및분석을융합하고통일하여수행하는체계를말함

- 선상(ship board): 선박자체센서, 정보지원, 사용자간표준인터페이스및가드존과경보관리를위한포괄적시스템의

통합을통한항해시스템을핵심요소로항해정보의 산만함과선원의과로를방지해항해절차에있어항해자가가장효

율적인방법으로당직을수행하는개념

- 육상(shore based): 보완된규정, 협조및포괄적데이터형식의교환을통해육상으로부터선박의안전및효율성을지원

할수있도록선박관제및관련서비스의관리를수행하는개념

- 통신(Communications): 선상, 선박간, 선상과육상간, 육상기관대다른대상에인증되고통일된정보의전달을통해

잘못된판단을줄이도록하는통신정보제공인프라개념

표준화대상항목의정의

348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차세대 전자해도(S100)전자해도 및 수로 데이타 표준으로서 프레임워크 표준의 정의, 레지스트리를 통한 표준화 항목관리 및 제품 제작사양 개발과 같은 표준개발 구성요소 정의, 내용과 전송 분리 방안의 표준, Plug & Play 갱신 표준을 포함

S-Mode Presentation 항해장비 표현을 위한 S-Mode 그래픽 기술, UI 기술

Smart Conning System INS, IBS 성능 사양 결정, Display and Presentation

GMDSS 조난 발신 절차 GMDSS를 통해 발신하는 조난신호의 구동 버튼 모양과 발신절차에 대한 표준화

선박에 사용되는 장비(특히 항해통신장비)의 상시운용성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가용성/신뢰성 평가 기술의 평가항목 및 방법에 관한 표준화

선내 경보 표시 기술 선박에 필요한 항해, 기관, 선체 등의 관련 정보들의 시각적/음향적 알람 및 경보에 관한 표준

PNT 통합 수신 기술 통합 수신기 성능 사양

데이터 형식 및 교환 프로토콜 사양

중소형 선박을 위한 선박 보고 데이터 포맷

안전, 해상 기상 정보, UMDM해양 정보 수집 및 처리 기술 - 대규모 위성 정보 저장 표준

- 대규모 교통 정보 전송 표준

관제용 프리젠테이션 SW 사양으로, 일관성있는 화면 배치 표준, 화면 운용 분리 표준, 문자, 심볼, 전자해도정보,색상 표준, 레이다, AIS 타겟 정보 표현 표준, 사용자 매뉴얼 표준, 표준 시험 방법 개발 및 표준 시험결과 사양, 3차원 해저지형, 레이다 상 및 위성 상 데이터 저장 및 표현 표준, 증강 현실 표현 표준을 포함하며 HW 사양으로 콘트라스트 및 밝기 조정 표준, 자기 향 감소 방안 표준, 화면 크기 및 해상도 표준을 포함한다.

Ship board

Shore based

선박 장비 가용성/신뢰성평가 기술

해상 정보 프리젠테이션 기술

선박 및 해양 교통 시설 정보통합 기술

선박 보고(자동위치전송) 데이터 포맷/교환 기술

구 분 표준화대상항목 표준화내용(세부표준화항목)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48

Page 2: 05 e Navigation

표준화대상항목의그린ICT 관련성및녹색기술수준

- GMDSS 조난발신절차와선내경보표시기술은그자체로는직접적인그린ICT 관련성은적다고할수있으나위급상

황에서의상황인식및조난요청, 선박정보에대한명확한인식을위한기술로향후녹색선박(오염저감및Emission

free)의출현에대비하여확보가필요한기술임

- 선박입출항에필요한운항경로최적화및대기정박시간단축으로약15% 온실가스저감및10% 연료유절감효과

- 2008년기준, 해양사고는265건에435.9㎘의유류유출이있었으며이중부주의에의한것이141건으로전체대비약

50%의오염사고를e-navigation 체계의인간오류저감기술을통해직접감소효과를기대할수있음

- 해양분야탄소배출저감의무화에따른녹색기술접목이필요가아닌의무가되면서관련기술을접목한e-navigation 기

술은세계적으로관심이높음

- 그린해양ICT기술의융복합적용으로기존사용자업무대비효율성개선

- 탄소배출저감을위한차세대항법기술및운항상태최적화기술개발등으로실질적인온실가스저감효과기대(현행대

비15%이상의저감효과기대)

- 해양교통환경의에너지절감및온실가스저감인식확산

- 선내무선네트워크구축기술은별도의물리적인제약이없이이용자가사용이가능하므로에너지절약과공간의효율적

이활용이가능하며, 가급적낮은전파출력을사용하여원활한통신이가능하도록장비및설치기술개발이진행중임

- 차세대선박자동식별기술은선박의고유정보및항해정보를효과적으로타선박및지상관제국인VTS(Vessel Traffic

System)에알림으로써인간이동의감소뿐아니라업무의고효율화가가능하여현재각국에서는정보제공범위를확대

하기위하여응용메시지(Application Specification Message)를개발하고있음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49

원격에서의 선박 운항 및 수리, 진료를 구현하기 위한 표준으로 육해상 기술데이터 교환 프로토콜과 프레임워크표준, 데이터 저장 및 전송 규격, 선박 운항 및 재고 관리 데이터 표준, 운 매뉴얼 표준,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 형식 및 교환 표준, 전자문서 형식 표준을 포함한다.

MITS네트워크 기술 선박 Shipboard Control Network 레벨에 탑재 되는 시스템의 성능기준과 평가방법에 관한 표준

선박의 Instrument Network 레벨에 탑제되는 장치의 성능기준과 평가방법에 관한 표준, NMEA2000프로토콜에서 백본 확장을 위한 브릿지의 성능기준과 평가방법에 관한 표준

선박 유선 네트워크 구축 기술 선박 내 장비간 접속을 위한 유선 네트워크 포설시 설치 지침 마련

선내 무선 네트워크 구축 기술 선박 내 장비간 접속을 위한 무선네트워크의 성능, 신뢰성, 안정성 기준 마련

중장거리 고속 해상 통신을 위한 디지털 HF 및 디지털 VHF 무선 통신 기술 표준

차세대 선박 자동 식별 기술 선박 항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AIS 장비의 전파 대역 규정 및 응용 메시지 규격 등을 제정

광대역 해상 통신 기술 지상파 통신 기술에 기반을 둔 연근해 광대역 디지털 해상통신 무선설비 기준 및 단절 없는 통신 유지와 사용자 중심 서비스를 위한 다중 매체 통신 스위칭 기술 표준

Shore based

Communications

선박 원격 관리 데이터포맷/교환기술

선박 장치 간 통신인터페이스 기술

해상 디지털 통신 데이터링크 기술

구 분 표준화대상항목 표준화내용(세부표준화항목)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49

Page 3: 05 e Navigation

<범례> -(관련없음) ○(소) ◐(중) ●(대)

1.1.2. 연관기술분석

연관기술관계도

350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표준화대상항목그린 ICT와연관특징(CO2 배출감소효과)

녹색기술수준

차세대 전자해도(S100) ◐ ○ - ○ ◐ - ● -IMO,IHO기준 만족

S-Mode Presentation - - ○ - - - ● -신속한 정보판단으로 불필요한 선박운항 차단 -IMO기준 만족

Smart Conning System - ○ ● ○ ◐ - ◐-IMO기준 및 국산화율 90%이상 달성

GMDSS 조난 발신 절차 - - - - - - ○ -조난신호 발생절차 표준화로 직접 연관 없음 -해당사항없음

선박 장비 가용성/신뢰성평가 기술

- - - - - - ● -해당사항없음

선내 경보 표시 기술 - ○ ◐ - - - ● -국산화율 90%이상

PNT 통합 수신 기술 ◐ - ○ - ○ - ◐ -최적항로 도출을 위한 PNT정보제공 -IMO기준 만족

선박 및 해양 교통 시설정보 통합 기술

- ◐ ○ ◐ ○ - ◐ -선박통항 항로 감소에 따른 연료절감 -국산화율 95%이상

선박 보고(자동위치전송) 데이터 포맷/교환 기술

- - ◐ - - - ◐ -비상시를 대비한 것으로 직접연관 없음 -IMO 및 국내법 기준 만족

해양정보수집및처리기술 - - ◐ ○ ○ - ○ -연료절감 및 운항효율화 정보 제공 -국산화율 90%이상

해상 정보 프리젠테이션- - - ○ ◐ - ◐

-IALA기준 및 국산화율 90%기술 이상

선박 원격 관리 데이터포맷/교환기술

- - ● - - - ◐ -국산화율 90%이상

MITS네트워크 기술 - - - - - - ○ -프로토콜 기술로 직접 연관 없음 -국산화율 90%이상

선박 장치 간 통신인터페이스 기술

- - ○ - - - ◐ -세부요소기술로 직접연관없음 -IMO/IEC기준만족

선박유선네트워크구축기술 - - ○ - - - ◐ -세부요소기술로 직접연관없음 -IEC/ISO기준만족

선내무선네트워크구축기술 ○ - ◐ - ◐ - ● -인간이동감소 및 공간효율화의 핵심기술 -IEC 및 선급기준 만족

해상디지털통신변환기술 - - - - ○ - ◐ -세부요소기술로 직접연관없음 -IMO/ITU기준만족

차세대선박자동식별기술 - - ○ ○ - - ◐ -자동정보교환으로 인간이동감소 효과 -IMO/IEC기준만족

광대역 해상 통신 기술 - - ◐ ○ - - ●-ITU/IEC 기준만족 및 국산화율 90%이상

물건의소비감소

전력·에너지

소비감소

인간의이동감소

물류의이동감소

공간효율화

폐기물감소

고효율화(업무효율화)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로계획으로 항로단축 및화석연료 절감

-선박운항 장비의 효율적 융합으로 연료절감에기여

-인간의 불필요한 액션 방지 및 에너지 낭비를사전차단

-경보의 확실한 인식을 위한 것으로 직접연관없음

-해상관제정보의 효율적 제공으로 최적운항가능

-현장관리를 대체하여 인력이동에 따른 에너지사용 저감

-해사업무정보 유통을 지원하여 에너지효율향상 가능

Shipboard

Shorebased

Commu-nications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0

Page 4: 05 e Navigation

연관기술분석표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51

차세대 전자해도TTA IHO, IALA 기획 기획 설계 설계(S100)

S-Mode Presentation 항해장비 표현을 위한 S-Mode 그래픽 기술, UI 기술 국토해양부 IMO, IALA 기획 항목승인 설계 구현

Smart Conning System INS, IBS 성능 사양 결정, Display and Presentation 국토해양부 IMO, IALA 제/개정 제/개정 상용화 상용화

GMDSS 조난 발신 절차기술표준원,

방송통신위원회 IMO, IEC 개발/검토 개발/검토 상용화 상용화

선박 장비 가용성/신뢰성 평가 기술

국토해양부 IMO 기획 항목승인 설계 설계

선내 경보 표시 기술 국토해양부 IMO 개발/검토 제/개정시제품/

프로토타입 상용화

PNT 통합 수신 기술 통합 수신기 성능 사양 국토해양부IALA, NMEA 시제품/SC-127 기획 개발/검토 기획 프로토타입

선박 및 해양 교통 시설 시제품/정보 통합 기술 데이터 형식 및 교환 프로토콜 사양 국토해양부 IALA, IMO 개발/검토 최종검토 구현 프로토타입

선박 보고(자동위치전송) IMO데이터 포맷/교환 기술 중소형 선박을 위한 선박 보고 데이터 포맷 국토해양부 IALA 개발/검토 제/개정 구현 구현

해양 정보 수집 및안전, 해상 기상 정보, UMDM

처리 기술- 대규모 위성 정보 저장 표준 국토해양부 IMO 개발/검토 최종검토 구현 시제품/

- 대규모 교통 정보 전송 표준 IALA 프로토타입

IALA, 해상 정보 프리젠테이션 IMO,

기술 TTA IHO, 개발/검토 최종검토 설계 구현

IEC

선박 원격 관리 데이터 한국해양대,포맷/교환기술 ETRI, TTA

Shipdex 기획 기획 설계 구현

MITS네트워크 기술 TTA IEC, ISO 항목승인 최종 검토 시제품 상용화

선박 장치 간 통신 시제품/인터페이스 기술

TTA IEC, ISO 개발/검토 제/개정 구현프로토타입

선박 유선 네트워크구축 기술 TTA, 기표원 ISO 기획 개발/검토 상용화 상용화

선내 무선 네트워크구축 기술 TTA, 기표원 IMO(IACS) 항목승인 개발/검토 구현 구현

해상 디지털 통신 데이터 ITU-R SG5 시제품/링크 기술 TTA WP8B 개발/검토 제/개정 구현 프로토타입

차세대 선박 자동기표원 IALA, IEC 기획 개발/검토 기획

시제품/식별 기술 프로토타입

광대역 해상 통신 기술 TTA, 포럼 ITU-R 최종검토 최종검토 시제품/ 시제품/SG5 WP5B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

전자해도 및 수로 데이타 표준으로서 프레임워크 표준의정의, 레지스트리를 통한 표준화 항목관리 및 제품 제작 사양 개발과 같은 표준개발 구성요소 정의, 내용과 전송 분리방안의 표준, Plug & Play 갱신 표준을 포함

GMDSS를 통해 발신하는 조난신호의 구동 버튼 모양과발신절차에 대한 표준화

선박에 사용되는 장비(특히 항해통신장비)의 상시운용성및 신뢰성 확보를 위한 가용성/신뢰성 평가 기술의 평가항목 및 방법에 관한 표준화

선박에 필요한 항해, 기관, 선체 등의 관련 정보들의 시각적/음향적 알람 및 경보에 관한 표준

관제용 프리젠테이션 SW 사양으로, 일관성있는 화면 배치 표준, 화면 운용 분리 표준, 문자, 심볼, 전자해도정보,색상 표준, 레이다, AIS 타겟 정보 표현 표준, 사용자 매뉴얼 표준, 표준 시험 방법 개발 및 표준 시험결과 사양, 3차원 해저지형, 레이다 상 및 위성 상 데이터 저장 및 표현 표준, 증강 현실 표현 표준을 포함하며 HW 사양으로콘트라스트 및 밝기 조정 표준, 자기 향 감소 방안 표준,화면 크기 및 해상도 표준을 포함

원격에서의 선박 운항 및 수리, 진료를 구현하기 위한 표준으로 육해상 기술데이터 교환 프로토콜과 프레임워크 표준, 데이터 저장 및 전송 규격, 선박 운항 및 재고 관리 데이터 표준, 운 매뉴얼 표준,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 형식및 교환 표준, 전자문서 형식 표준을 포함

선박 Shipboard Control Network 레벨에 탑제 되는 시스템의 성능기준과 평가방법에 관한 표준

선박의 Instrument Network 레벨에탑제되는장치의성능기준과평가방법에관한표준, NMEA2000프로토콜에서 백본확장을위한브릿지의성능기준과평가방법에관한표준

선박 내 장비간 접속을 위한 유선 네트워크 포설시 설치 지침 마련

선박 내 장비간 접속을 위한 무선네트워크의 성능, 신뢰성,안정성 기준 마련

중장거리 고속 해상 통신을 위한 디지털 HF 및 디지털VHF 무선 통신 기술 표준

선박 항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AIS 장비의 전파 대역 규정 및 응용 메시지 규격 등을 제정

지상파 통신 기술에 기반을 둔 연근해 광대역 디지털 해상통신 무선설비 기준 및 단절 없는 통신 유지와 사용자 중심서비스를 위한 다중 매체 통신 스위칭 기술 표준

연관기술 내 용표준화기구/단체

국내 국외 국내 국외 국내 국외

표준화수준 기술개발수준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1

Page 5: 05 e Navigation

1.2. 중점기술의연도별주요현황및이슈

기술개발주요현황및이슈

- 아직e-navigation 정책이최종승인되지않았으나, 세계각국은자국의기술개발업체와협력하여e-navigation 정책대

응및관련표준활동에참여하고있음

- e-navigation 표준이후에개발되는기술, 장비, 서비스들은e-navigation이제시하는시스템구조와기준에맞게제공되

어야함

- 기술표준화는IMO 기준에대한초안및근거자료를마련하고국내단체표준개발을통한국제협약및규약에맞는대

안을제시해야함

- 하드웨어보다는소프트웨어정보관점에서특히성능기준, 기반기술의시험및검증관점에서접근할필요가있음

국내표준화주요현황및이슈

- 2008년이전까지조선분야는자체적인국내표준화활동없이국제표준진행상황을단순모니터링하는수준의소극적

국내표준화활동진행

- 2008년SRM 2009에서e-navigation 전담반을구성하여e-navigation 2009 보고서를발간하여늦게나마국제적으로표

준화가진행되고있는e-navigation 분야에대한전략을수립함

- 2010년에는TTA 정보통신표준화위원회에해상e-내비게이션프로젝트그룹을신설하고3차례의정기회의를개최하여국

내의전문가그룹참여확산

- 또한2010년5월에는e-navigation 대응전략포럼을구성하여산업체를중심으로민간차원의적극적인국제및국내표준

활동이진행되고있음

352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2

Page 6: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주요현황및이슈

- 2005년11월 국에서해상교통의안전향상을위해e-navigation 제안

- 2006년5월MSC 제81차회의에서e-navigation 작업제안

- 2006년12월NAV 제52차회의에서작업으로채택

- 2007년7월NAV 제53차회의에서e-navigation의핵심목적, 범위및정의에대한통신작업반의작업결과제출

- 2007년10월MSC 제83차회의에서사용자요구에근거한전략개발과이에따른추가작업을통신작업반에지시

- 2008년4월COMSAR 제12차회의에서잘못된조난경보를경감시키기위한척도인False Alert 의제제출

- 2008년6월NAV 제54차회의에서통신작업반작업보고서채택, S-모드논의, AIS장비와IALA의e-navigation 위원회

의논의결과를반 , e-navigation 로드맵제안, e-navigation 전략이행계획초안제출

- 2008년11월MSC 제85차회의에서e-navigation 전략이행계획승인

- 2009년7월NAV 제55차회의에서전략이행계획개발단계를수행할통신작업반구성후현재까지활발한논의진행

- 2010년7월NAV 제56차회의에서e-navigation의기능및서비스를포함하는초기아키텍처가승인되었고, 각분야별

사용자요구사항과초기격차분석(Initial Gap Analysis)이승인되었음

- 향후초기격차분석이전문위원회에서승인된사용자요구사항을기반으로선박, 육상, 수색구조및통신사용자까지그

범위가확대되어진행될예정이며, 통신작업반작업을통해수행될예정임

정책/산업주요현황및이슈

- 2007년부터조선기술과IT기술의융합을통하여전세계조선시장점유의1위를유지를위한R&D 시작

- IMO, IEC, ISO, IALA 등e-navigation 관련정책및표준화추진에관심을가지고적극대응기반마련

- 2010년7월국가과학기술위원회에서는국가융합기술발전기본계획에따른시행계획을수립하고융합기술기반산업고

도화등을추진

1.3. 추진경과및중점추진방향

추진경과

- e-navigation 표준화전략맵은‘e-navigation 표준화로드맵2009’부터시작되었음

- Ver.2009에서는표준화대상항목으로24개의대상항목중에서7개의중점표준화항목을선정하여e-navigation 2009

를정리하 음

- Ver.2010에서는‘e-navigation 2009’의기술체계분류를보완하여18개의표준화대상항목을선정하 고, 이중9개의중

점표준화항목을선정하여‘u-navigation 2010’로정리하 음

- Ver.2011에서는‘u-navigation 2010’의기술체계분류를보완하여 19개의표준화대상항목을선정하 고, 이중 9개의

중점표준화항목을선정하여‘e-navigation 2011’을정리하 음

버전별중점기술의변천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53

Ver.2009 Ver.2010 Ver.2011

‘Ver.2009’의 기술체계를 수정 및 보완하여 2012년 e-navigation 실현에 대비하여선박분야 전체를 대상으로 기술체계를 정리함 선박분야 전체를 대상으로 국가 표준화 e-navigation의 핵심기술 및 표준화 대상 항목을

로드맵에 반 선별하여 정리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3

Page 7: 05 e Navigation

중점추진방향

- Ver.2009, Ver.2010에서는선박전체에대한기술을분류하여기술개발및표준화항목을정리했으나, Ver.2011에서는

e-navigation 실현에대비하여ship-board, shore based, Communications 요소기술중핵심이되는기술들을표준화대

상항목으로선정하 음

- 2012년의e-navigation 실현에대비하여e-navigation의핵심기술분야발굴및국가·국제표준을개발하고, 표준의보

급을통하여품질경쟁력향상을목표로표준화를추진

- 조선기술과IT기술의융합으로전세계조선시장점유율1위를유지할수있는방향으로추진함

- 조선분야에서선박선조및수주뿐만아니고조선기자재부분에서의기술및시장선도를목표로함

- IT분야에서이미세계기술을선도하거나선도가능성이높은기술을우선적으로조선분야에적용

- 통신분야에서지상에서의유선및무선통신기술을해상에적용할수있는기술들을적극발굴하여조선분야의해상통

신에적용함

- e-navigation 중점표준화추진방향에선박·해양시스템분야의국가표준화로드맵을적극반 하려노력함

□선박의에너지효율향상

□선박의환경오염방지기술

□청정에너지의처리및수송시스템개발표준화

1.4. 표준화의 Vision 및기대효과

354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4

Page 8: 05 e Navigation

국제적인e-navigation 도입으로조선-IT 시장규모확대예상

조선기자재가 선박건조단가 중 차지하는 비중은 55~65% 정도이며, 이중에서 IT조선기자재는 컨테이너선박의 경우

7~8%, 탱커선은5%, LNG선은10% 정도이나, e-navigation이도입되면2015년이후에는15% 까지증가할것으로예측

2009년국토해양부는e-navigation으로인한세계시장규모가20조에이를것으로예상함

1.4.1. 표준화의필요성

e-navigation 실현에핵심이되는조선기자재를중심으로e-navigation 시대에부응하는새로운기능에관한기술표준

을제정하고외국의연구사례검토및연구방향을설정하여기술표준안을마련하여국제회의에반 함으로써우리나라

조선기자재업계가국제표준에적합한e-navigation 관련기자재를조기에개발하여시장진입을용이하도록하기위해서

표준화가필요함

조선및선박에관한국제협약은IMO가주관하고있으며, 국제협약은국제표준안을기반으로발기됨

2012년e-navigation의실현을목표로NAV에서국제표준을진행중에있음

56차NAV 회의에서는상세한육상기반사용자요구사항도출, 통합된방법으로사용자요구사항을지원할수있는기능

과서비스의도출등e-navigation 전략요구사항과시스템구조가확정될것으로예상되므로국내의표준화방향정립이

필요함

1.4.2. 표준화의목표

e-navigation의요소기술중핵심이되는기술을도출하여국제표준에반 하고조기에국내조선기자재업계에서기술

개발할수있도록국내표준진행

2011년까지항해사의사결정시스템, 감항성결정시스템, 항해기자재의네트워크및항해정보처리와표시를위한S/W 등

e-navigation 관련조선기자재의국내표준안을마련하고IEC TC 80을통한국제표준화추진

2012년까지지상파통신및교통정보관리및제공기술등에서e-navigation 관련국내표준안을마련하고IALA 등을통

한국제표준화추진

1.4.3. Vision 및기대효과

e-navigation의표준안에참여및반 으로표준화기술을조기에관련조선기자재업체에서개발함으로써고부가첨단

조선기자재산업의부흥

e-navigation의표준안은아직국제적으로확정되지않았음

e-navigation의국제적인실현에적극동참함으로서국제사회의 향력을확대하여조선산업제일국의위상을제고하고

조선산업우위를유지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55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5

Page 9: 05 e Navigation

2012년e-navigation 실현에적합한표준화기술개발과국제표준화활동을통하여국제표준안을마련하고, 이를관련업

계에반 하여조선기자재를개발함으로서첨단기자재의시장진입이용이

e-navigation 핵심구성품의표준화기술개발을통하여조선산업제일국의업적과시너지효과를배경으로실속있는고부

가첨단장비의개발이용이해지며, 시장진입으로조선산업의일등유지가가능

e-navigaton의표준화연구결과를460 ~ 700여종에달하는조선기자재에확산적용함으로서조선기자재산업의IT화에

선구적인역할을담당

356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6

Page 10: 05 e Navigation

2. 국내외현황분석2.1. 시장현황및전망

2.1.1. 국내시장현황및전망

e-navigation 시장은세계적으로도명확한형성이되어있지는않은상황임

세계조난안전시스템의도입에따른해상장비의국산화이후선박용항해장비에있어서는RADAR의개발이라는높은

벽에부딪쳐더이상의발전을기약할수없고육상인프라에소요되는다양한설비는기존해양교통시설사업자들의관심

이저조한상태임

국내해상통신산업의발전을위해서고급화된해상설비에대한많은관심을가져야하고FMCW 레이더와같이기존의

방식을탈피한새로운기술Microwave에대한높은기술력으로항해용레이더로접목이가능할것으로판단되고AIS에

대한원천기술을통해AtoN AIS 또한관심을가지고개발에참여한다면쉽게더앞선기술로구현가능

2012년IMO에서e-navigation 실현전략이완성되면많은제품이출시될것으로예상하고있으며지금은국내외모두관

련기술개발과국제표준의향방을탐색하며제품을준비하고있음

조선기자재가선박건조단가중차지하는비중은55~65% 정도이며IT조선기자재는이중컨테이너선박은7~8%, 탱커

5%, LNG 10% 정도임

국내시장과세계시장의규모는<표2-1-1>과같음

2008년도의시황은수주실적으로2007년의66% 정도이며건조실적은약간증가함.

그러나2009년의시황은지극히저조하며몇년간은수주잔량으로건조실적은유사할것으로판단되나세계조선시장은

조사기관에따라3-5년사이에다시좋아질것으로예측하고있어수주잔량의조절에따라건조량은약80% 정도일것으

로예상됨

<표 2-1-1> 세계/국내 시장규모

(단위 : 백만원)

※ 우리나라가 2006년 선박수주량은 498척, 건조량은 315척이며, 선종의 비중을 보면 탱커 50%, 컨테이너 30%, LNG 10%로서 이를 기준으로 경제적효과를 산정하면 다음과 같음- 4S다중매체통신스위칭서버 : 500척/년 x 1set/척 x 30,000천원/set = 150억원/년- MiTS M/W 및 G/W : 800억원/년·MiTS G/W : 500척 x 10set/척 x 5,000천원/set = 250억원/년·MiTS M/W : 500척 x 1set/척 x 10,000천원/set = 50억원/년·MiTS App : 500척 x 10set/척 x 10,000천원/set = 500억원/년- NMEA2000 SoC : 500척 x 200개/척 x 500천원/chip = 500억원/년

이상을 종합하면 년간 1,450억/년 의 시장이 예상※ 2012년 까지는 2009년의 실적을 지속하는 것으로 추정하 으며, 2012년은 e-navigation이 실현되는 초년이므로 이후부터 년간 10%상승하는 것

으로 추정함.※ 2006년도 우리나라의 세계선박 시장점유율은 38.3%이므로 세계시장은 우리나라시장의 약 2.6배임.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57

추정시기 년도 2009년도 2012년도 2014년도

계획 시세계 시장 규모 377,000 377,000 490,100

한국 시장 규모 145,000 145,000 188,500

수정수정 세계 시장 규모 301,600 301,600 392,080

수정 한국 시장 규모 116,000 116,000 150,080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7

Page 11: 05 e Navigation

2.1.1.1. ship board

- GMDSS 장비는조난신호(Distress Call)을구동하여전세계어디에서나자신의조난여부를알리고구호를요청할수

있는장비이나조난신호를발생시키는버튼의구동방법과절차가표준화되어있지않아항해사가정확한방법을숙지

하지못하고있는상황에서사고가발생하면당황한나머지조난신호구동을하지못하는사례가발생함

- 국내업계에서도동일한조난신호구동형태와절차를표준화하는시도가이루어진바없음(국제표준으로도규정되고

있지않음)

- 해양부문이외의육상기술분야에서는신뢰성및가용성평가기술이활발히개발되어여러기관에신뢰성평가센터가

구축된바있음

-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의경우, ISO/IEC, MIL, ASTM, ASP 및선진회사의규격을참고하여160여개품목을대상으로

하는신뢰성기준과평가장비및인증절차를개발하는사업을수행한바있으며이를통해신뢰성마크서비스를제공함

- 선내경보표시기술과관련하여INS 및알람모니터링장비의국내기술개발은주요업체위주의단편적인기술개발이

주류이며국제표준을따라가는형식을취함

- INS의경우, IMO의표준이제정되면그에따라자사의제품을개발하기때문에국제적인시장진출에어려움을겪는실

정이며보다인간공학적인표시기술의개발은뒤처지는실정임

- 국내 표준, 혹은 단체 표준을 제정하여 국제적 표준을 포함하면서도 보다 인간공학적 표시 기술을 개발한다면 e-

navigation 장비시대에선도적대응이가능할것으로전망

2.1.1.2. shore based

- 기술적인측면에서세계적으로새로운형태의해양교통시설과연계한각종통신인프라및위치, 파고, 수심, 풍향, 풍속

등을관측할수있는다양한센서, 고정도의위성항법장치등선박의안전한항해와효율적인관제에기여할수있는다

양한기술발전

- 우리나라연안해역에서선박의대형화, 고속화, 선박교통량의증가및항만과해양개발등으로해상교통환경이급속하

게변화하고있고, 이에따른해상교통시설의 확충에대한필요성급증

- 2002년부터국내에서는GICOMS를구축하여2010년현재고도화사업진행하고있으며선박교통량모니터링기능에

서재난대응까지그역할을확대해나가고있음

- 위성 상, 3차원항만데이터가적용된3차원관제시스템적용에대한요구가높아지고있음

- EEZ에서의국제분쟁증가로인한해상감시, 어업자원보호, 해상구조/수색지원, 해양오염사고예방및 수/ 입국감시

등이필수적이며국토해양부와해양경찰청을중심으로하여농림수산부, 지방항만청, 새관등정부기관에서위성기반

관제, CCTV 기반관제시스템등을도입하고있으며연50억이상의시장규모를형성하고있음

- IALA NET 등항로표지를이용한e-navigation 구축에대한관심이높아지고있으며우리나라도AtoN AIS를이용한항

로표지원격관리시스템구축이활발함. 연평균100억이상의시스템구축사업이진행되고있으며, AtoN AIS 장비및

파급효과를감안하면1000억이상의관련시장규모임

2.1.1.3. Communications

- 중소형선박의경우디지털VHF 장비를장착할수있는어선은약5만여척정도이며, 현재등록된요트는약900여척

이지만향후폭발적으로증가될것으로추정됨(해양레저장비산업활성화방안참조, 2009. 6, 지식경제부)

- 국내4S 통신시장은아직미형성단계이나디지털VHF/HF 방식의통신시스템이개발될경우연간150억내외규모의

358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8

Page 12: 05 e Navigation

시장이형성될것으로전망됨(IITA가전망한2007년국내4S 통신시장규모에국내선박용IT 시장의CAGR을적용)

- 이동통신망기술인Mobile WiMAX 기술, LTE 기술등을ship-to-shore 통신에적용하고자하는수요가발생하고있음

- 국내잠재적탑재가능선박은약10만척으로추정되며, 통신인프라구축시관련서비스콘텐츠를제공하는간접시장

의규모가직접시장규모의3배에달할것으로예상됨(해양수산부/한국해양연구원, 2007년)

2.1.2. 국외시장현황및전망

2012년IMO에서e-navigation 실현전략이완성되면많은제품이출시될것으로예상하고있으며지금은국내외모두관

련기술개발과국제표준의향방을탐색하며제품을준비중임

2.1.2.1. ship board

- IMO를중심으로GMDSS의디지털화등을포함한현대화계획을논의중이며GMDSS의조난신호구동형태와방법

및절차등을표준화해야선박과항해사안전을확실하게담보할수있다는공감대가서서히확산되고있음

- 다만, 전세계업체들의장비가이미나름대로의조난신호구동형태와절차로나와있는현실을감안할때, 장비의수정

이나교체가필요할수있는구동버튼형태와구동신호발생절차의표준화가국제적으로쉽게동의될가능성은낮은

현실임

- 국외에서도국내보다더활성화된신뢰성평가기술및센터의구축이보고되고있으며원자력, 정보기기, 화학, 전기시스

템등의여러부문에서신뢰성및가용성평가기술개발이진행된것으로파악됨(표준화현황참조)

- INS, Alarm monitoring 시스템과같이선내경보표시기술은국제적네트워크를갖춘국외업체가주도하고있으며

IMO의표준개정전에각사의기술개발을통한제품업그레이드가이루어지고있음

- e-navigation 출현에따라사용자인터페이스의인간공학적접근이지금보다활발해질것으로전망되므로국외기술개

발은지금보다진일보할것으로전망

- 일본과유럽의경우전통적으로해상의항해와통신분야에선도적인입장을유지해오고있고2000년경에국내해상항

해통신장비에대한다양한국산화시도에대응하여고속위성통신, VSAT, 복합형항해장비, SONAR, INS와IBS와같

은고급화된선박항해통신서비스를발전시켜후발주자와의기술격차강화추세

- 여기에e-navigation이란새로운개념의도입을계기로전자항해지원시스템(ENSS : Electronic Navigation Supporting

System), FMCW(Pulse Modulated Continuous Wave) Radar와같은선박설비와AtoN(Aids To Navigation) AIS, e-

Loran 수신기와같은육상인프라에대한발전방안을제시하여새로운시장개척및투자

- 최근국제해사기구에서 e-navigatin 전략은최신의고품질해도를기반으로하고있으며, 다양한해양지리정보와조석

조류등의해양관측정보및기상정보등을전자해도와통합적으로활용하고자하는수요가증대되고있음

- 향후에는이러한기술변화에대응하고기반기술확보와신뢰성있는해도서비스제공을위하여조석정보를적용한다

이나믹전자해도와정 한3차원해저지형정보를이용한고해상도전자해도등에대한기술개발이요구됨

- 현재조선기자재산업에서IT 분야비중은컨테이너7~8%, 탱커5%, LNG 10% 정도이나e-navigation 등국제적동

향으로향후15%까지증가가예상되며, e-navigation 도입에따른직접시장규모는10년간30조원으로예측되고있음

2.1.2.2. shore based

- 세계적으로해상교통관제서비스(VTS)에확대된개념으로해상교통관리체계(VTM: Vessel Traffic Management)가도

입되므로신개념의해상교통종합관리체계정립의필요성이대두되었으며실제와유사한3차원항만환경, 3차원해저지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59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59

Page 13: 05 e Navigation

형, 및위성 상을통합한교통정보를표시하여교통상황을직관적으로이해할수있는3차원관제시스템개발의필요

성이커지고있음

- 고도화된해상교통관제시스템은막대한저장장소와전송속도를필요로하므로교통정보의수집교환을위한정보형

식의표준화, 정보저장및전송의표준제정이필요함

2.1.2.3. Communications

- 4S간원활한통신을위하여현행VHF 데이터통신망을통하여AIS에의존하고있으나AIS의폭넓은활용요구, AtoN

AIS기술도입, AIS 장착선박증가에따른채널과 화등으로VHF 대역에서의광대역정보교환을위한통신시스템

요구가증가하고있음

- ITU-R에서는항행안전과편의성을위하여데이터및e-mail 등을송수신하기위한디지털VHF/HF에대한권고를개

정하 으며, 음성위주의통신망에서멀티미디어데이터를처리할수있는디지털망으로의전환이점진적으로진행되고

있음

- 해상통신에서는MF/HF/VHF 대역및위성을통한장거리통신위주의기술을사용해왔으며주로음성통신에의존하

으나, 최근발달된통신기술을적용하여해상광대역디지털무선통신시스템의도입논의가활발히진행중임

- VTS와연계된광해역무선통신인프라개발에대한시장은세계적으로요구되고있는무선통신망기술이며, 사물통신

망의액세스망등다양한활용분야를가진기술로서e-nav의신규시장창출가능

- 해상무선인프라단말시장을보면, 전세계적으로200만척의소형상업어선이있을것으로예상함(유넵한국위원회,

www.unep.or.kr)

2.2. 기술개발현황및전망

2.2.1. 국내기술개발현황및전망

2.2.1.1. ship board

- 유무선기술을융합하여지능형선박에적합한Ship Area Network(SAN) 모델을제시하고, SAN에연결된엔진, 각종

센서와제어기를자율적으로구성관리하고원격제어를제공하는기술을ETRI와현대중공업에서공동개발하고있음

- 다양한유무선네트워크연동SAN-브릿지기술(WLAN, Zigbee, RFID, PLC, 광, 케이블, 이더넷등) 개발이시도되고

있음

- 이종센서, 제어기기를자율적으로구성관리, 상호연동, 원격제어하는자율SAN 구성관리기술등의필요성이제기되고

있음

- 연근해상실시간선박진단및유지보수용광대역무선통신인프라구축을위한기술개발이필요하며, 국내에서ETRI를

중심으로논의되고있음

2.2.1.2. shore based

- 국가적으로2D 기반의전자해도를이용한선박관제시스템을웹기반으로구축하여운 하고있으며, 위성 상과3차원

지형을적용한시스템을시범운 하고있음

- 국내의해상물표탐지용RADAR 시스템제조기술은(주)STX엔진에서만확보하고있지만, 선박운항관제분야에는거의

적용하지못하고있는현황임. 국내의선박운항관제센터에서사용하는RADAR는주로외국제품임. 이는선박운항관제

360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0

Page 14: 05 e Navigation

기술이단독기술보다는종합적인기술을요하기때문인것으로사료됨

- 선박위치정보의정보연계통합기술은국제해사기구(IMO)에서해양안전종합정보시스템(GICOMS)의사례발표를통하

여AIS 및위성을통한위치정보통합의기술적우위성을이미입증하 음

- 국내전체의선박의위치정보를수집하여, 선박의운항상태를분석하는기능은GICOMS에서충돌분석, 운항 집구역분

석, 운항로이탈및위반분석을시범적으로수행하고있음

- 해양GIS의3D 표출분야는해외에비교하면시작단계이며, 더많은기술적보완이요구되고있음

<표 2-2-1> 선진국 대비 국내 기술개발 수준

- 레이더 상정보처리및분석기술: (주)STX엔진에서GPS-98K 해안감시용레이더기술을보유하고있음. 현재우리

나라의군에서해안감시용, 독도주변감시용으로사용되고있으며X-Band의신호가가능하고, 72NM거리까지전시가

가능함. 학계에서는항공대학교및 남대학교에서항공분야에대한 상신호처리에대한연구를수행하고있음

- RADAR, AIS, TRS 등타겟정보연계통합기술: 국토해양부GICOMS시스템을중심으로AIS, TRS, 위성기반장거리

위치추적(LRIT), VHF/DSC 타겟을교통장비연동장치를통하여통합하고, VMS(Vessel Monitoring System) 전시장치

에통합표출하는기술개발중. 해군/해양경찰청에서는함정에서수신된선박의AIS 데이타를위성을통해송수신하는

것을검토하고있음. 국토해양부의VTS센터에서는RADAR 상정보를LAN을통하여송수신하는기술을적용하 음.

- AIS 다중기지국위치정보통합기술: 국토해양부에서관리하는30여개이상의AIS 기지국은그룹별로위치정보를통

합하여VTS센터로제공하며, 각그룹의통합된정보는GICOMS 센터로통합되어전국망을관리할수있는기술을개발

하여적용하고있음.

2.2.1.3. Communications

- 국제개방형규격의해상이동형VSAT 전송기술이원해해상에서사용되고있음

- MiTS 기술인IEC 61162-450 표준수용네트워크기술개발은ETRI와현대중공업, 한국해양대학교차세대IT 선박융합

기술센터와대양전기, 지노스, 비트벨리, 코리아컴퓨터, 신동디지텍등한국선박전자산업진흥협회회원사다수기업이개

발중에있으며2011년에연구개발이완료되면2012-2013년경에제품출시가가능할것으로예상됨.

- 한국해양대하교차세대IT선박융합기술센터는NMEA인증된NMEA2000 네트워크인터페이스칩을개발중에있으며

이것이완료되면한국선박전자산업진흥협회회원사및국내조선기자재기업에활용하게되면NMEA 2000 네트워크형

기자재의개발이빠르게확산될것으로전망됨

- AIS2.0 도입등으로인하여국내디지털VHF 시스템기술개발이시급한상황임

- 디지털VHF/HF 시스템구축에필요한변복조기술, 채널코딩기술등은갖춰져있는상태임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61

항 목 기술수준 (%)전문인력 인프라

보유정도(%) 구축정도(%) 비 고

3차원 지형 처리 50 % 100 % 100 %(지자체에서 관련 자료 보유) 도입단계

위성 상 처리 50 % 100 % 100 %(아리랑 위성 보유) 도입단계

RADAR 상 처리 80% 80% 80%(군부대 적용중) 다중RADAR처리 부족

TRS 데이터 처리 50% 100% 100%( 한국전력, 포스코 등 기업에서 사용 ) 성숙단계

최적(경제) 항로 계획 50 % 50 % 100 %(ECDIS 보급 활발) 성숙단계

충돌 방지 알고리듬 50 % 50 % 100 %(ECDIS 보급 활발) 성숙단계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1

Page 15: 05 e Navigation

- 국내에서는기개발된무선랜기술및이동통신기술을바탕으로기능/성능향상및추가개발을통하여해상무선통신

망구축에대한연구를진행중에있음

- 무선랜기술은IEEE 802.11의표준에근거하고있으며, 이동통신기술은3GPP와IEEE 802.16의표준으로구분할수

있음

- 우리나라에서는802.16e에근거한mobile WiMAX, WiBro-Advanced, 3GPP의LTE 및LTE-Advanced 시스템의개

발을완료하 음

- Wi-MAX

□본래802.16 기술표준의개발과활성화를위해비 리집단으로구성된단체의이름으로탄생한WiMAX는차세대무

선광대역통신기술로서기존의유선광대역망의보완재개념으로크게주목받으며등장하여점차이동성확대를통

해이동형단말통신까지지원하는방향으로발전하여802.16e 모바일WiMAX가표준이됨

□2.4GHz 또는2.5GHz대의주파수를가지며, OFDM 접속방식과x-QAM 변조방식채택하 으며최대70Mbps의전

송속도를구현

□WiFi가멀티셀환경에서복수사업자가사업에참여하는경우상호간섭의문제로인해사업에부적절한측면이존재

하는데비해WiMAX는프레임동기설정을바탕으로간섭문제가해결가능하여상대적으로우월하며주파수효율에

있어서도WiFi에비해일반적으로우수함

- WiBro

□2.3GHz 대역에서OFDM 접속방식을사용하여초기중저속의이동환경에서1Mbps 이상의고속인터넷서비스를제

공할수있는휴대인터넷서비스로시작하 으며현재70Km/H의이동성과함께 50Mbps 전송으로발전

□2006년세계최초로국내에서상용서비스시작되었으며전세계시장으로진출

□그동안음성채택불가입장에서이동전화번호010을부여하고규제완화

□전세계에서와이브로기술을도입하고있거나도입을추진중인국가는31개국, 기업으로는58개에달함

- Wireless LAN

□WiBro는광대역무선인터넷서비스를위한시스템으로서휴대폰처럼장소에구애받지않고이동하면서초고속인터넷

을이용할수있는반면Wireless LAN은고정형초고속무선인터넷서비스를위한통신기술

□세부 규격은 각각 IEEE802.11a/IEEE802.11b/IEEE802.11g이며, a는 5GHz대 주파수로 54Mbps, b/g는 모두

2.4GHz대주파수이고, b는11Mbps, g는54Mbps의최고속도를가짐

□100미터이내의커버리지를가지며이로인해많은액세스포인트를설치해도가용성에한계가있는단점이있음

- LTE

□비동기식유럽방식으로OFDM 접속방식과MIMO 기술을적용하여고속의이동환경에서100Mbps 이상의고속멀

티미디어서비스를제공할수있는WCDMA 다음세대의이동통신시스템

□현재ETRI에서LTE advanced 시스템으로250Mbps 이상의고속데이터전송에대한기술개발을진행중이며2010

년에서2012년중상용화기대

□세계LTE, 휴대전화시장규모가2012년8170만대에서2013년1억4970만대로2배이상늘어날것이라고전망(시장

조사기관스트레티지애널리틱스발표)

362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2

Page 16: 05 e Navigation

2.2.2. 국외기술개발현황및전망

2.2.2.1. ship board

- 해외에서는이미상용화된이동/위성통신시스템이운 되고있으며, EU에서는해상항해정보서비스사업이추진되어

안전하고효율적인항해를지원하기위한연구수행

- 일본등선진국의조선기자재업체에서선박의운항상태를모니터링할수있는통신관리시스템개발상용화

- IMO에서는항해중정보의판단오류를줄이고, 안정된항해를보장하기위한e-navigation 정책을2012년실행목표

추진

- 향후대부분의항해관련전자장비들은이와관련된표준화작업에맞추어개발되어야할것으로예상

- 외국의경우기존의조선기자재산업에진출하고있는많은기업(일본의 JRC, FURUNO, AIRMAR, MARETRON,

Raytheon, Northrop Gruman, SAM Electronics, Flir, Transas 등)이국제표준동향을추적하면서제품개발에준비하

고있으며상당히진척된것으로파악됨

2.2.2.2. shore based

- 2010년IALA에서VTS 센터간의Seamless 데이터교환을위해“the Inter-VTS Exchange Format (IVEF) Service”라

는 Recommendation을 제출하 다, 향후에는 다른 제조사에 의해 제작된 VTS 시스템일지라도 데이터 교환 표준

(IVEF)을준수하면서로간의데이터를상호호환적으로운용할수있도록VTS 센터간데이터표준안제정을위한활동

이시작되어진행되고있다.

- e-Navigation은고도화된전자해도인S-100을사용하게되는데S-100은항해정보뿐아니라해저지형및조석정보와

같은시공간적으로동적인정보를저장하고표현하는기준을제공함으로이러한정보를이용한차세대VTS 시스템개발

에대한관심이높아지고있다.

- 선박운항관제를위한Radar 상정보처리등정보를통합관리하는핵심기술에서국외기술력이국내기술력보다우위에

있으며, 이를바탕으로전세계시장을선점하여제품을판매하고있음.

- VTS 시스템솔루션은Radar와AIS의위치정보통합관리기술을위주로이루어지고있으며, TRS 및위성과같은다른

통신망및추가적인정보의적용및활용방안은미흡함.

- Konsberg Norcontrol사, 아틀라스사, VisSim사가 Radar 상정보처리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VTS 시스템을국내에공급하여적용하고있음.

- 노르웨이의Konsberg Norcontrol사는VTS 센터에서AIS 다중기지국위치정보통합기술및RADAR, CCTV, 기상센서

등의VTS 연계정보서비스기술을개발하여적용하고있음.

- 해양GIS의3D 표출분야는구 OpenAPI와같이위성및항공이미지를이용한지형전시기술을바탕으로선박정보표

출기술을개발하 으며, Norcontrol, Transas사에서는3D 선박조정시뮬레이션제품출시하고, VTS 시스템에서도적용

하여제품을출시할예정임.

- 자선을중심으로한충돌분석위주로되어있으며, 국내연안을대상으로하는충돌분석연구결과는현재까지미비함.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63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3

Page 17: 05 e Navigation

<표 2-2-2> 국외 주요 VTS 시스템

2.2.2.3. Communications

- 프랑스의KentA사에서는2007년부터HF대역에서OFDM방식을이용하여10 kHz 대역폭에서30kbps 전송속도를가

지며최대450 km 통화반경을갖는디지털 HF 무선통신시스템을개발하고있음

- ITU-R WP5B에서는HF 대역에서OFDM 방식을이용한디지털HF 무선통신시스템을위하여권고안M.1798을개

정하 으며, 추후대역재배치결과에따라보다높은전송속도가능토록함

- 노르웨이의MarinTek에서는대역폭25 kHz인VHF 채널을최대9개까지사용하여133kbps 전송속도를갖는디지털

VHF 무선통신시스템에대한연구결과를발표하 음

- 미국에서는25KHz VHF 채널4개를사용하여256kbps를지원하는광대역디지털시스템에대한연구결과를발표하

- ITU-R WP5B에서는VHF 대역에서최대4개의채널을묶어사용할수있도록권고M.1842를개정하 음

- 유럽의MarNIS 프로젝트에서는항만부근의광대역정보통신인프라구축을위하여WLAN과WiMAX 채택가능성을

검토하 으며WiMAX에대한시험시스템을구축하여운용하 음

- 국제e-navigation 위원회에서는아날로그VHF 및VHF-DSC를포함한1세대디지털기술, M.1371-3을기반으로하

는현재의AIS로대변되는2세대디지털기술을대체할새로운요구의3세대해양디지털통신기술에대한논의를활발

히진행중임

- 국제적으로도국내와비슷하게차세대무선LAN, IEEE 802.16m, LTE-Advanced 기술을지상통신용으로개발하고

있으며, 이러한시스템의해상적용에대한검토를진행중에있음

364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구 분 Norcontrol VisSim Transas

제품명 VTMIS 5060 VTMS 3000 NAVI Monitor VTS

시스템구성

- Radar, AIS - Radar, AIS - Radar, AIS 선박 - VHF / DF - VHF / DF - VHF / DF

- 기상센서, CCTV - 기상센서, CCTV - 기상센서, CCTV

- 다중추적기능 - 다중추적기능 - 다중추적기능- 레이다 상추출기술 - 레이다 상추출기술 - 레이다 상추출기술- 분석/알람 서버 - 분석/알람 서버 - 분석/알람 서버

구성 - 관제용 콘솔 - 관제용 콘솔 - 관제용 콘솔모듈 및 - 제어콘솔 - 제어콘솔 - 제어콘솔기능 - 센서통합서버 - 센서통합서버 - 센서통합서버

- 재생서버 - 재생서버 - 재생서버- 선박시뮬레이션 - 소프트웨어 자동업데이트 - 선박시뮬레이션

URL http://www.kongsberg.com http://www.vissim.no http://www.transas.com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4

Page 18: 05 e Navigation

2.2.3. IPR 보유현황및확보가능분야

2.2.3.1. ship board

- 국내외적으로GMDSS 조난신호구동버튼의형태나절차에관한 IPR 보유현황은파악된바없으나 IMO에서의논의

경과를고려할때IPR 보유여부가국내표준및국제표준으로의반 여부에걸림돌이될가능성은높지않음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65

출원번호 출원일 출원인 명 칭

한국/2008-0057003 2008.06.17 한국해양연구원 이종 통신 방식 간의 선박위치 정보제공 시스템

한국/2007-0089142 2007.09.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내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NETWORK SERVICE SYSTEM IN A VESSEL)

해상용 무선 메쉬 네트워크 장치 및 그 시스템과 그 네트워크 구성 방법(WIRELESS MESHNETWORK APPARATUS FOR MARINE AND SYSTEM THEREOF, AND METHOD FORCONFIGURATING THE NETWORK)

한국/2003422574 2003.12.19 (주)썬커뮤니케이션3상 3선식 델타 결선환경에서의 피엘씨 커플러(PLC COUPLER IN THE CONDITION OFTHREE PHASE THREE WIRES TYPE DELTA WINDING)

상이한 등급들 및 크기들의 저공해 표면 해상(해군)선박들을 위한 전력 생성, 분배 그리고온-보드 전력 공급 시스템(POWER GENERATION, DISTRIBUTION, AND ON-BOARDPOWER SUPPLY SYSTEM FOR LOW-EMISSIVE SURFACE MARINE (NAVY) SHIPS OFDIFFERENT CLASSES AND SIZES)

한국/2008-7032016 2008.12.30씨더블유에프 해 턴 앤드 해양 선박의 제어와 관련된 개선(IMPROVEMENTS RELATING TO CONTROL OF MARINE

컴퍼니 리미티드 VESSELS)

한국/2002-7016487 2002.12.03 니혼닷. 컴 씨오., 엘티디이동국을 이용하는 원격 서비스 지역용 모바일 네트워크(MOBILE NETWORK FOR REMOTESERVICE AREAS USING MOBILESTATIONS)

한국/2001-0046243 2001.07.31 (주)토스코 선박관리시스템(ship management system)

한국/2007-0065812 2007.06.29 주식회사 마크애니다수 개의 커널을 운 하는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Running MultipleKernels)

한국/2008-0093896 2008.09.24엘 쓰리 커뮤니케이션즈

견고한 항해 데이터 레코더(HARDENED VOYAGE DATA RECORDER)코포레이션

한국/2008-0012949 2008.02.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항해 보조 시스템(A SAILING ASSISTANCE SYSTEM OF SHIP)

해상 선박 및 잠수함, 특히 해안 설치용 선박 및 해안 설비의 전기 DC-네트워크 및 AC-네트워크에서 단락이 발생될 경우 즉각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장치(INSTANT TRIPPINGDEVICE FOR SHORT CIRCUITS IN ELECTRICAL DC AND AC NETWORKS OFSURFACE AND UNDERWATER VESSELS, ESPECIALLY COMBAT VESSELS, ANDOFFSHORE INSTALLATIONS)

한국/2007-7004954 2007.02.28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데이터 네트워크를 구비한 배(SHIP WITH A DATA NETWORK)

한국/2003-0102309 2003.12.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선박 항해기록 자동보고시스템 및 그 방법(ADVANCED SHIP NAVIGATION DOCUMENTREPORTING SYSTEM ANDMETHOD THEREOF)

한국/2009-0044549 2009.05.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2006-7012111 2006.06.19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한국/2003-7002300 2003.02.1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5

Page 19: 05 e Navigation

2.2.3.2. shore based

- e-navigation을지향하여해상선박의항해정보를수집하고처리하여운용자의편의성을고려한표현방법및절차등에

관한부분이국내표준및국제표준으로IPR 확보가능성이높음

366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원국/출원번호 출원인 명 칭

한국/2003-0010958 주식회사 사일릭스 데이터 방송을 이용한 해양 정보 제공 시스템

한국/2002-0080796 주식회사 팬택 휴대폰을 위한 디지털 전자해도 서비스 방법 및 그를 이용하는 지리정보서비스 제공 방법

한국/10-2000-0051607 한국해양연구원인공지능형 충돌, 좌초 예방 시스템 (collision, grounding avoidance system of artificialintelligence type)

한국/10-2008-00746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감시 레이더를 이용한 선박 관제 시스템 (SHIP TRAFFIC MANAGEMENT SYSTEM USINGSECONDARY SURVEILLANCE RADAR)

한국/10-2006-010558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AIS와 GPS가 내장된 TRS를 이용한 선박위치관제방법 (Method for monitoringlocation of ship by using AIS andTRS with a built-in GPS)

한국/10-2005-0103367 (주)이마린로직스TRS망을 이용한 소형선박용 자동인식시스템 (SMALL VESSEL IDENTIFICATIONSYSTEM USING TRS NETWORK)

한국/10-2005-0076687 주식회사 지오에스엠 선박자동식별장치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한국/10-1999-0031846 니혼무센 가부시키가이샤3차원레이더장치 및 3차원레이더화상표시방법 (Three-dimensional radar apparatus andmethod for displaying three-dimensional radar image)

한국/10-2000-0051607 한국해양연구원인공지능형 충돌,좌초 예방 시스템 (col l is ion, grounding avoidance system ofartificialintelligence type)

한국/10-2006-009645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레이다 추적장치 및 그 방법 (Radar Tracking Device and Method Thereof)

한국/10-2008-0031974 (주)지엠티사이버네틱스선박간 의도방향 송수신방법 및 시스템 (INTENTION DIRECTION COMMUNICATIONMETHOD AND SYSTEM IN THE SHIPS)

일본/199500032116 OKI ELECTRIC IND CO LTD SHIP TRAFFIC SERVICE SYSTEM

일본/10-175868 MITSUBISHI HEAVY IND LTD NAVIGATION CONTROL SYSTEM

미국/US6816782 Garmin Ltd.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NAVIGATION DATA TRANSFERBETWEEN PORTABLE DEVICES

일본/2003422574 SENAA KKDEVICE AND PROGRAM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WEATHER / MARITIMEMETEOROLOGY

국제/KR2008001407 LEE, Bong JooELECTRONIC VESSEL GUIDE METHOD AND SYSTEM FOR HARBOR AND NARROWCHANNEL

미국/20040946742 Kenneth Litvack Navigation assistance method and system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6

Page 20: 05 e Navigation

2.2.3.3. Communications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67

원국/출원번호 출원인 명 칭

2002-206502 Uniden America Co Mobile marine communications apparatus

2002-284830 Garmi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linking electronic marine components

2002-334499 You, Heung Ryeol Method for correcting NLOS error in wireless positioning system

2002-500598 Diao, XinxiMethod distinguishing line of sight (los) from non-line of sight (nlos) in cdma mobilecommunication system

2004-923093 Gundersen, Lars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2005-110566 Uniden America CoMobile marine communications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of same 2005-249704Thomas G. Faria Marine vessel monitoring and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2008-274766 SonyBEAM STEERING ALGORITHM FOR NLOS WIRELESS SYSTEMS WITH PREDEFINEDPARAMETERS

2002-202031 YAMAHA MARINE CO 선박의 정보 통신 장치 및 정보 통신 방법

2002-202032 YAMAHA MARINE CO 네트워크에 있어서 데이터 송신 방법

2002-265221 MITSUBISHI 네트워크 통신 장치

2002-314210 FURUNO ELECTRIC 선박용 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2003-334364 SPACE TAG 연해·해안 정보 시스템

2005-114622 JAPAN RADIO CO 선박 탑재 이용하고 DSC 무선 장치

2005-171205 UNIVERSAL SHIPBUILDING 선박용 통신·경보 시스템

2005-318641TOSHIBA MITSUBISHI-ELECTRIC

INDUSTRIAL SYSTEM 선내 설비 감시 제어 시스템의 웹 화면 표시 제어 방법

2006-103474 UZUSHIO ELECTRIC 기상·해마 정보 송신 시스템, 기상·해마 정보 송신 장치 및 선박용 통신 장치

2006-126323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COMMUNICATION SYSTEM OF SHIP FOR LAND-BASED STATION

2006-179924 MITSUBISHI 무선 통신 장치

2006-213783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NAVIGATION COMMUNICATION SUPPORTING DEVICE BETWEEN SHIPS

2006-349830 JAPAN RADIO CO 선박 무선 장치

2007-066957 MITSUBISHI 해상 이동체 통신 장치

2007-199561 FURUNO ELECTRIC 선박용 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용 단말 및 선박용 기기의 네트워크 시스템

2007-543886 ORANGE FRANCE항공기 또는 선박상의 이동 전화기를 조작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과 방법 및 이 시스템을 위한지상국 및 기지국

02706591 Huawei TechnologiesA METHOD DISTINGUISHING LINE OF SIGHT (LOS) FROM NON-LINE OF SIGHT(NLOS) IN CDM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05253443 NTT DoCoMo Wireless positioning approach using time delay estimates of multipath components

2003-0000424 SONG KI HONG고 전송률 이동통신을 위한 1:N 다중 접속 중계 시스템 (1:N Multiple Acess Repeater forHigh data rate mobile Communications)

2003-0010958 XILLIX CO데이터 방송을 이용한 해양정보 제공 시스템 (Maritime Information Supply System with DataBroadcasting Services)

2003-0021767 SEOULTEL ENGINEERING해양사고 방지를 위한 무선통신 중계서비스 방법, 중계처리 방법 및 중계 시스템 (A radiorelay service method and radio relay processor and radio relay system for prevent aaccident at sea by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2003-0024520 SEOULTEL ENGINEERING

동일채널 단파무선주파수에서의 다중네트웍접속서비스 방법, 다중네트웍 이용 방법, 다중네트웍처리 방법, 다중네트웍 무선통신 시스템 및 다중네트웍에접속 가능한 단말 장치 (A multi-network service methode & multi-network using method & multi-network controlprocessor & multi-network wireless-telecommunication system & multi-network a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7

Page 21: 05 e Navigation

368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원국/출원번호 출원인 명 칭

2004-0036127 KOREA TELECOMMUNICATION 선박용 이동 통신 중계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repeating system of vessel)

2004-0040075 KOREA TELECOMMUNICATION 해상 이동 통신 서비스 방법 (Method for maritim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2004-0067262 SK TELECOM이동통신 의해 상 중계 시스템 (MARINE REPEATER SYSTEM FOR MOBILECOMMUNICATION)

2004-0096803 ZINNOS INC다기능 NMEA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구현 방법 및 이를 위한 범용 NMEA 표시기와 NMEA제어기 (The embodiment method of Multi-function NMEA data Monitoring system, andUniversal NMEA monitor and NMEA controller)

2005-0003375 HYUN DAI HEAVY IND NMEA0183프로토콜 변환용 선박 통신제어 장치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2005-0020751 SAMSUNG ELECTRONICS다중 안테나를 사용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리앰블 생성 방법 및 장치 (Method andapparatus for generating preamble in broad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multiple antennas)

2005-0032202 JEONG SEOK YOUNG광역다중접속 무선통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원격제어 방법 (A RF telecommunicationremote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for wide area multiple connection)

2005-0078315 SK TELECOM해상용 이동통신 중계기 및 그 제어 방법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for Marine andControlling Method thereof)

2005-0078316 SK TELECOM해상용 이동통신 중계기 및 그 제어 방법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for Marine andControlling Method thereof)

2005-0103367 E MLX COTRS망을 이용한 소형선박용 자동인식 시스템 (SMALL VESSEL IDENTIFICATIONSYSTEM USING TRS NETWORK)

2005-0105106 HYUN DAI HEAVY IND선박용 항해장비 데이타 통합 장치와 이를 이용한 통합 항해 시스템 (Data union device andunion navigation system)

2005-0108821 AIRMEDIA CO무선 통신을 이용한 선박감시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Devices for Observing Vessels byUsing Mobile Communication and Recording Medium)

2005-0108822 AIRMEDIA CO무선 통신을 이용한 선박감시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기록매체 (System and Method forObserving Vessels by Using Mobile Communication)

2005-0108823 AIRMEDIA CO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선박감시 장치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Devices for ObservingVessels by Using Mobile Data Communication and Recording Medium)

2005-0108824 AIRMEDIA CO무선 데이터 통신을 이용한 선박감시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기록매체 (System andMethod for Observing Vessels by Using Mobile Data Communication and RecordingMedium)

2005-0121342 KOREA ELECTRONICS TELECOMMMIMO 채널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방법 (Method for Improving Accuracy of MultipleInput Multiple Output Channel Measure)

2006-0051367 LEE YOUNG SUB이동체 탑재용 이동통신 중계 장치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MOUNTINGMOVING OBJECT)

2006-0069915 SK TELECOM해상에서의 이동 통신 제공 방법, 장치 및 그 시스템 (METHOD AND APPARATUS FORPROVIDING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N THE OCEAN AND SYSTEMINCLUDING THE APPARATUS)

2006-0105584 HYUN DAI HEAVY INDAIS와 GPS가 내장된 TRS를 이용한 선박위치관제 방법 (Method for monitoringlocation of ship by using AIS and TRS with a built-in GPS)

2006-0106951 SK TELECOM해상전용 주파수를 사용하는 이동통신 시스템 및 운용 방법 (System and method forimprovement of coast quality using coastal private frequency in mobile communicationsystem) 출원번호 출원인 명칭

2007-0025193 KOREA OCEAN RES DEV INST티알에스와 에이아이에스 연동 선박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vessel idetification systeminteroperable with AIS and TRS)

2007-0027078 SK TELECOM해상 서비스를 위한 통합 서비스 기지국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해상 서비스 방법 (BaseTransceiver System for Marine Communication Service and Marine CommunicationService Using the Same)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8

Page 22: 05 e Navigation

- MiTS, NMEA2000 등선박장치간통신인터페이스원천기술은육상에서는많이활용되는기술을선박또는해상에적

용하는것이므로원천기술의IPR 보다는선박과조선에적용하면서발생하는유용한다수의IPR 확보가가능할것으로

사료됨.

- 해상용원거리이동통신분야의한국의특허활동은다른나라와비교하여비교적활발한상태이나아날로그방식의무

선전송기술에의존도가큼

- 전세계적으로디지털해상용원거리이동통신분야에대한출원특허는미비한상태임

- 따라서, 디지털해상용원거리이동통신분야의디지털HF 무선전송기술, 디지털VHF 무선전송기술, 광해역해상디

지털이동통신요소기술등에대한IPR 확보가가능함

- 디지털무선통신기술을이용한해상통신인프라를구축하고이를활용하여Web기반정보서비스를제공하는방향으로

발전할것으로예상되며이러한디지털전환기가상대적으로낙후한국내해상통신기술을발전시키고세계시장에진입

할수있는기회임

- 기존육상이동통신시스템을기반으로프레임포맷의적절한개선과향후국제적관점에서사용할수있는주파수및대

역폭에따른OFDM 파라메터및해당요소의재구성이필요함

- 이처럼기개발된육상의이동통신기술의기능향상및추가개발을통하여연근해해상통신망구축이가능하며이를

바탕으로IPR 확보할수있음

- IEEE가와이브로를근간으로하는mobile WiMAX를국제표준으로승인함에따라우리나라는차세대이동통신분야의

주도권을잡게되었으며국제적으로WiMAX를해상통신망으로유력하게고려하고있기에국제적기술우위및IPR 확

보가용이할것으로판단됨

- e-navigation의 로벌통신을위하여대역별디지털통신및위성통신을융합하는기술이필요하므로국내에서진행되

고있는이동통신, 무선랜, 위성및지상파DMB 등의융합기술을활용한IPR 확보가가능할것임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69

원국/출원번호 출원인 명 칭

2007-0040405 RF TECHWIN 선박조난신호 및 해양안전정보 수집 / 중계가 가능한 다중복합통신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해양안전정보관리 시스템 (A Management-system for gathering and relaying marine-information and distress-signal based on complex -communication method)

2007-0066075 SK TELECOM 해상에서의 통화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호 처리 변경 방법 (Service Redirection Method forEnhancing Communication Quality on the Sea)

2007-0089142 Samsung Heavy IND 선박내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NETWORK SERVICE SYSTEM IN A VESSEL)

2007-0125795 KOREA OCEAN RES DEV INST 분할된 안테나 구조를 갖는 해양 무선 통신 장치 및 방법 (ocean wireless communicationapparatus with sectored antenna structure and method thereof)

2007-0130043 KOREA ELECTRONICS TELECOMM 선박 내부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시스템 및 방법 (COMMUNICATION SYSTEM ANDMETHOD IN A SHIP AREA NETWORK)

2007-0131235 KOREA ELECTRONICS TELECOMM 선박용 통신 서비스 장치 및 탐색 구조 단말 장치 (Communication System and Search andRescue Terminal Device for Vessel)

2007-0141523 DAEGU GYEONGBUK INST SCIENCE 무선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한 지능형 수로관리 시스템 (On the design of intelligent WirelessNetwork for Canal Management System)

2007-7004954 SIEMENS AG 데이터 네트워크를 구비한 배 (SHIP WITH A DATA NETWORK)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69

Page 23: 05 e Navigation

2.3. 표준화현황및전망

2.3.1. 국내표준화현황및전망

2.3.1.1. ship board

- 수색구조를담당하고있는해양경찰을비롯한안전, 구난관련기관에서는동표준화대상항목에깊은관심을보이고있

으며e-navigation 논의의한대응방안으로고려하고있어향후국내표준화대응이활발할수있을것으로전망됨

- 국내신뢰성과관련하여신뢰성평가기관의운 에대한다음의체계가마련되어있음

- 선박기관실스마트센서용데이터수집모듈(Data acquisition module for ship engine room’s smart sensor)과관련신

뢰성향상위한기준제정안으로채택됨(자동차부품연구원)

- 선박자동화및첨단안전기술등의다양한분야로부터기능특성상, 시스템의성능및안정성확보를위한신뢰성향상에

초점을두고있음. 이와관련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에서스마트온도센서모듈의신뢰성평가기준을제정함

- 선내경보표시기술의국내표준은별도로마련된것은파악되지않고있으며INS 표준에대한국내표준으로의적용정

도가파악됨(국토해양부선박설비기준)

- 국내업체의수가많지않고시장점유율이높지않기때문에신속한표준제정이이루어지지못하고있는실정

- 선박의네트워크통합플랫폼미들웨어, 연동시스템통합플랫폼표준모델은개발되어있지않음

2.3.1.2. shore based

-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연구원, 해양수산연수원, 한국선급 등주요연구기관과(주)지엠티사이버네틱스, (주)장산아이

370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0

Page 24: 05 e Navigation

티와같은전문기업들이국토해양부와함께 IMO MSC, IALA 회의에적극참여하고있으며, TTA 산하 e-navigation

프로젝트그룹(PG 607)에서e-navigation 관련표준을제정하고있음

- 국립해양조사원을중심으로한국해양연구원에서전자해도표준화전문위원회를통해차세대전자해도표준을개발하고

있으며IHO 주관의국제수로회의에참여하고있음

2.3.1.3. Communications

- MiTS, NMEA2000 등선박장치간통신인터페이스기술에관한표준은2005년경부터각분야별로활발하게추진되

고있는상황으로국내에서는IEC 61162-1,2,3,4 분야, e-navigation 과관련하여IALA e-navigation 기술위원회등표

준및IMO 협약및regulation에관련하는Liaison 회의에참석하여관련표준동향을추적하고국내단체표준을제정하

는등활발한활동을하고있으며, e-navigation 대응전략포럼등에서관련분야전문가들이모여활동하고있는바, 장래

에는국제표준으로제안할사안도발생할것으로예상됨

- 해상디지털통신데이터링크기술에대한국내표준은아직없음

- 광대역해상통신기술에대한국내표준은아직없음

- 해상통신용지상파통신기술표준은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전파자원프로젝트그룹(PG309)산하해상통신실

무반(PG3092)에서다루고있으며, 이동통신기술표준은IMT Advanced 프로젝트그룹(PG701)에서다루고있음

- 또한 Mobile WiMAX 표준은 IMT WiBro 프로젝트그룹 (PG702)에서 다루고 있으나, 현재 IEEE 802.16의 Air

Interface를준수하고, IEEE와WiMAX 포럼과협력하여표준을추진하고있음

2.3.2. 국외표준화현황및전망

2.3.2.1. ship board

- IMO COMSAR 11차회의(2008)에GMDSS 조난신호구동버튼형태및절차를표준화하도록논의를제안하 으며

회원국들의반응은새로운논의작업으로지정하기위해MSC 위원회에의견을제출해주도록요청하 음

- GMDSS의성능표준을IMO(국제해사기구)가제정하고있으므로이표준화대상항목에대하여는IMO의논의및검토

가필요하나본격적인논의는아직진행되지못하고있으며e-navigation 이행에따라항해통신장비의사용자인터페이

스에대한사용자친숙도를높이는방향으로논의가진행된다면본표준화대상항목에대한논의도활발히진행될것으

로전망됨

- 선박장비의신뢰성및가용성평가를위해서육상부문과같이활발한표준화는진행되고있지않음

- 선박에설치되는장비의경우, IACS(국제선급연합회)의공통규칙을통해FMEA(Falut Mode Effect Analysis) 자료를

요구하여장비의신뢰성을확보하는방안등이검토되고있으나표준단계에는이르지못하고있음

- e-navigation 논의에따라IMO NAV 56차회의에일본이선박장비의가용성및신뢰성평가절차의필요성을주장하 고

이에많은나라의동의가있었으므로향후IMO의논의과정에서이부문에대한표준화가활발히논의될것으로전망됨

- ASTM F25 on Ships and Marine Technology

□New Standard

□Volume 01.07,2006: F 2446-04, Classification for Hierarchy of Equipment Identifiers and Boundaries for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 (Ram) Performance Data Exchange

- 선내경보표시기술과관련하여국외에서는다음과같은표준들이제정되어있음

□Alarm & Indicator / CODE ON ALERTS AND INDICATORS, 2009(IMO Resolution A.830(19) 업그레이드판)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7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1

Page 25: 05 e Navigation

·Audible presentation of alerts and calls

·Visual presentation of indicators and calls

□ IMO Resolution MSC. 252(83)

·General requirements

·Priorities and categories

·State of alerts

·Consistent presentation of alerts within the INS

·Central alert management HMI

·Acknowledgement and cancellation location

·Self-monitoring of alert management

·Interface requirements for alert related communication

·Integration of systems in alert management

- 선교경보기능과관련하여인간공학적범주로IMO에서는다음가이드라인을제시하고있음

□IMO MSC/Circ.982 Guidelines on Ergonomic Criteria for Bridge Equipment and Layout

- e-navigation에서추구하는인간공학적Human Machine Interface의요구에따라국제표준은 IMO를중심으로지속

개발될것으로전망

- 유무선음성통신및인터넷서비스가일반화되면서근거리무선통신(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기술

이다양하게개발되고있어IrDA, UWB, IEEE 802.11x, IEEE 802.16x, 60GHz 등에대하여국제표준진행

- 선박의네트워크통합플랫폼미들웨어및연동시스템은해군함정과관련하여유럽(Utla사)과미국에서개발되어있으

나, 함정에특화되어있고강력한기술보호가이뤄지고있어일반선박에적용되고있지않음

- 선박네트워크통합플랫폼표준모델은전세계적으로개발되어있지않은기술임

- 차세대전자해도표준은S-100의제정에대한논의중에있으므로국내기술개발을통해국제표준제안필요

2.3.2.2. shore based

- 2010년 IALA에서VTS 간자료교환을위한표준으로 IVEF(Inter VTS exchange format)을제안하고있음. IVEF는

VTS의기능정의, 데이터모델, 보안모델, 인터페이스모델, 품질관리, 시험방안등의내용을포함하고있음.

- IALA 31차VTS 위원회회의내용에서보면VTS간연동(IVEF)은이미개발되었고, VTM을위한VTS 역할에따른정

의가2012년이내에새로이정의되어상당한변혁이예상됨.

- IALA 31차의 실무작업반에서 IVEF 서비스를 국가간 정보교환을 위한 구체적인 문서검토가 이루어졌으며, 현재의

Point-to-Point 접근하는수동적연결보다는디렉토리연계구조를통하여좀더 로벌연계구조를가져야하고, 보안

성또한확보되어야함을강조함

- IALA VTS Committee는 2012년까지 VTM에 대한 기능적 프레임워크에 대한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고, 2012년

VTS34 및2012년2월워크숍에서IALA 내부적컨센서스를어느정도이룰것으로예상됨.

- e-navigaion의 shore-based architecture의핵심으로분류되는VTM에대한관심이높아지고있음. 이는 IALA VTM

WG에대한참여및관심을통해알수있음.

- VTM에 대한 정의 및 VTM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대한 파악은 어느 정도 완료되었으며, 이를 문서화된 형태

(Basic Document와 Annex1-7)로 완료된상태로서, 개념적인부분을보강하기위한작업이토론을통하여문서보완

372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2

Page 26: 05 e Navigation

(Abstract VTM, VTS in VTM)이진행되고있음.

- IALA VTS31 WG4 회의에서는VTM의핵심을VTS로보고VTS의역할을VTM으로확대하기위한시도를진행하고

있음

- VTM의개념및범위정의는IALA 제45차이사회에서승인되었으나, VTM에서의VTS의역할과위치에대한지침초안

을완성하고해당문서를이사회에승인을요청함

- VTM에대한Global 컨센서스를이루기위한IALA의계획은2012년을목표로하고있는것으로보이며, 2012년9월터

키이스탄불에서열리는심포지엄에서그결과를발표할것으로보임. 따라서, IALA의내부컨센서스를완성하기위한

워크샵이2012년2월을목표로기획되고있음

2.3.2.3. Communications

- MiTS, NMEA2000 등선박장치간통신인터페이스기술에관한표준은2005년경부터각분야별로활발하게추진되

고있는상황으로유럽을중심으로IEC 61162-1,2,3,4 분야, e-navigation 과관련하여IALA e-navigation 기술위원회

등표준및IMO 협약및regulation에관련하는Liaison 회의에활발하게활동하고있음. 주된선도국으로는독일, 노르

웨이, 스웨덴, 국이며, 선박장치간통신인터페이스기술에관하여서는미국, 케나다등이있음. 관련표준은현재대부

분CDV 정도의진도이며, 2012년경에는대부분표준으로확정될것으로전망됨.

- 해상이동업무에분배된초단파주파수대에서새로운디지털기술을사용하기위해서ITU-R SG5의무선측위, 항공및

해상분야를다루는 WP5B에서포준화를진행하고있음

- WP5B 에서는현재위성을이용한AIS 신호수신, VHF/HF 대역에서의데이터통신, RFID 전파에대해논의중임

- 광대역해상통신기술에대한국제적논의는아직미미한상태이며지상파통신기술을적용하고자하는움직임만있음

- 지상파기술은ITU-R SG5의IMT 부분을다루는WP5D에서표준화를진행하고있으며, IMT-Advanced 기술의최소

한의스펙트럼, 기술및서비스요구사항을제시하여후보기술표준을선정중에있음

- 주요후보기술로3GPP의LTE-Advanced기술과IEEE 802.16m의Advanced Air Interface 기술이유력하며복수표준

이될가능성이매우높음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73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3

Page 27: 05 e Navigation

2.4. 표준화대상항목별현황분석

374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기술개발/표준화 수준: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표준화 특성: 선행(선표준화 후기술개발) - 병행(표준화 & 기술개발 동시추진) - 후행(선기술개발 후표준화)

e-navigation - ship board

차세대 전자해도(S100) S-Mode Presentation Smart Conning System GMDSS 조난 발신 절차

2012년 IMO에서 e-navigation 실현전략이 완성되면 많은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지금은 국내외 모두 관련 기술개발과 국제표준의 향방을 탐색하며 제품을 준비하고 있음

일본과 유럽의 경우 전통적으로 해상의 항해와 통신 분야에 선도적인 입장을 유지해오고 있고 국내의 해상 항해 통신장비에 대한 다양한 국산화 시도에 대응하여고속위성통신, VSAT, 복합형항해장비, SONAR, INS와 IBS와 같은고급화된선박항해통신서비스를발전시켜후발주자와의기술격차강화추

- 국내 업계에서도 동일한 조난신호 구동 형태와 절차를 표준화하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없음(국제 표준으로도 규정되고 있지 않음)-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의 경우, ISO/IEC, MIL, ASTM, ASP 및 선진회사의 규격을 참고하여 160여개 품목을 대상으로 하는 신뢰성 기준과 평가 장비및 인증 절차를 개발하는 사업을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신뢰성 마크 서비스를 제공함

- 국내 표준, 혹은 단체 표준을 제정하여 국제적 표준을 포함하면서도 보다 인간공학적 표시 기술을 개발한다면 e-navigation 장비 시대에 선도적 대응이가능할 것으로 전망

국외에서도 국내보다 더 활성화된 신뢰성 평가기술 및 센터의 구축이 보고되고 있으며 원자력, 정보기기, 화학, 전기시스템 등의 여러 부문에서 신뢰성및 가용성 평가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e-navigation 출현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간공학적 접근이 지금 보다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되므로국외 기술 개발은 지금 보다 진일보할 것으로 전망

설계 설계 상용화 상용화

설계 구현 상용화 상용화

없음 -1년 -1년 없음

- - - -

- - - -

전자해도 표현 및 저장 기술 기존 국제표준의 수정 대상이므로항해, 수로서지 분야 데이터 형식 선교 지원 시스템 분야 Smart Conning 분야 IPR확보 불필요

낮음 높음 높음 낮음

기술개발 수준: “기획 | 설계 | 구현 | 시제품/프로토타입 | 상용화”단계로 구분IPR 확보가능성: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으로 구분기술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현재 기술적인 태동으로 아직 만들어 지고 있지 않았으나 Radar를 처음을 구현 중에 있음(S-Mode Presentation) Smart Conning에 대한 개념 정립및 표준화 계획 필요(Smart Conning System)

현재 기술적인 태동으로 아직 만들어 지고 있지 않았으나 Radar를 처음을 구현되어 있음

없음 -1년 -1년 없음

기획 기획 제/개정 개발/검토

기획 항목승인 제/개정 개발/검토

TTA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기술표준원,방송통신위원회

IHO, IALA IMO, IALA IMO/IALA IMO, IEC

국립해양조사원, 해양연구원, (주)지엠티사이버네틱스 해양연구원, KR 해양연구원, KR 해양수산연수원, KR

보통 낮음 낮음 보통

보통 높음 보통 높음

표준화 수준: “기획 | 항목승인 | 개발/검토 | 최종검토 | 제/개정”단계로 구분국내 기여도, 국내 표준화 인프라 수준: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표준화 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국립해양조사원, 한국해양연구원, TTA 포럼, TTA 국토해양부, TTA TTA

산업계(㈜지엠티사이버네틱스,삼성중공업) 산업계 및 학계 산업체 산업체

표준개발은“포럼, TTA, 기표원”, 기술개발은“산업체, 학계, 연구소”로 구분

중점기술의현황

기술개발 수준

표준화 수준

-1.5년

-1년표준화 특성 선행

표준화대상항목

구 분

시장현황및전망

기술개발현황및전망

기술개발수준

IPR보유현황

표준화기구/단체

개발주체

표준화수준

IPR확보가능분야

IPR확보가능성

국내표준화의인프라수준

표준화현황및전망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기술격차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제

표준화격차

국 내

국 제

국 내

국 제

표준개발

기술개발

국내참여업체및기관

현황

국내기여도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4

Page 28: 05 e Navigation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75

e-navigation - ship board

선박 장비 가용성/신뢰성 평가 기술 선내 경보 표시 기술 PNT 통합 수신 기술

2012년 IMO에서 e-navigation 실현전략이 완성되면 많은 제품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지금은 국내외 모두 관련 기술개발과 국제표준의 향방을 탐색하며 제품을 준비하고 있음

일본과 유럽의 경우 전통적으로 해상의 항해와 통신 분야에 선도적인 입장을 유지해오고 있고 국내의 해상 항해 통신장비에 대한 다양한 국산화 시도에대응하여 고속 위성통신, VSAT, 복합형 항해장비, SONAR, INS와 IBS와 같은 고급화된 선박항해 통신 서비스를 발전시켜 후발주자와의 기술격차 강화추세

- 국내 업계에서도 동일한 조난신호 구동 형태와 절차를 표준화하는 시도가 이루어진 바 없음(국제 표준으로도 규정되고 있지 않음)-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의 경우, ISO/IEC, MIL, ASTM, ASP 및 선진회사의 규격을 참고하여 160여개 품목을 대상으로 하는 신뢰성 기준과 평가 장비및 인증 절차를 개발하는 사업을 수행했으며, 이를 통해 신뢰성 마크 서비스를 제공함

- 국내 표준, 혹은 단체 표준을 제정하여 국제적 표준을 포함하면서도 보다 인간공학적 표시 기술을 개발한다면 e-navigation 장비 시대에 선도적 대응이가능할 것으로 전망

국외에서도 국내보다 더 활성화된 신뢰성 평가기술 및 센터의 구축이 보고되고 있으며 원자력, 정보기기, 화학, 전기시스템 등의 여러 부문에서 신뢰성및 가용성 평가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e-navigation 출현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인간공학적 접근이 지금 보다 활발해 질 것으로 전망되므로국외 기술 개발은 지금 보다 진일보할 것으로 전망

기술기획 시제품/프로토타입 기획

설계 상용화 시제품/프로토타입

없음 -3년 -3년

- - -

유럽/일본 - -

다른 산업의 장비 분야 기술적용 가능 국제표준의 국내적용 분야 통합알고리즘의 개발

높음 낮음 보통

기술개발 수준: “기획 | 설계 | 구현 | 시제품/프로토타입 | 상용화”단계로 구분IPR 확보가능성: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으로 구분기술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표준화를 통한 기술의 선도의 필요성

국제표준을 위한 활동들이 이루어 지고 있음

-1년 -3년 -3년

기획 개발/검토 기획

항목승인 제/개정 개발/검토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IMO IMO IALA, NMEA SC-127

해양연구원, KR, 조선기자재연구원 INS 제조사 및 조선소 해양연구원, KR, 조선기자재연구원

낮음 매우낮음 매우낮음

보통 낮음 매우낮음

표준화 수준: “기획 | 항목승인 | 개발/검토 | 최종검토 | 제/개정”단계로 구분국내 기여도, 국내 표준화 인프라 수준: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표준화 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기표원 TTA 국토해양부

연구소 산업체 산업체, 학계

표준개발은“포럼, TTA, 기표원”, 기술개발은“산업체, 학계, 연구소”로 구분

표준화대상항목

구 분

시장현황및전망

기술개발현황및전망

기술개발수준

IPR보유현황

표준화기구/단체

개발주체

표준화수준

IPR확보가능분야

IPR확보가능성

국내표준화의인프라수준

표준화현황및전망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기술격차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제

표준화격차

국 내

국 제

국 내

국 제

표준개발

기술개발

국내참여업체및기관

현황

국내기여도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5

Page 29: 05 e Navigation

376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e-navigation - shore based

선박 및 해양 교통 시설 선박 보고(자동위치전송) 선박 원격 관리 데이터정보 통합 기술 데이터 포맷/교환 기술 해양 정보 수집 및 처리 기술 해상 정보 프리젠테이션 기술 포맷/교환기술

- 우리나라 연안 해역에서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 선박교통량의 증가 및 항만과 해양개발 등으로 해상교통 환경이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고, 이에 따른해상교통시설의 확충에 대한 필요성 급증

- 한국 등록선박의 세계점유비율은 3%, 선사, 기자재 및 기타업체 비율은 2% 정도이며 국내 시장규모는 1천 5백만 불 정도이다.

- 국제기준이 마련되어 있지만 자국내선이나 어선 등의 소형선박에 적용하게 될 것으므로 국가에 따라 사양이나 방식이 매우 달라 질수 있므며 우수한기술이 채택될 수 있으므로 해외시장도 적극적으로 개척할 필요가 있음

- 원격관리를 위한 Shipdex 시장은 2010년 11억 8천만불 정도이며 (Digital Ship Special Report, Oct. 2008)

- 현재 국제 기준 및 국내기준에 따라서 진행되고 있으며 곧 실용화가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새로운 방식을 개발하여 표준화하는 것도 필요함- 위성과 무선망을 이용하여 선박 대상의 이동형 통방융합 서비스 제공과 실시간 선박 유지보수 인프라 제공- Shipdex(Ship Data Exchange) Protocol 회의의 멤버로서 아시아에서는 Yanmar Diesel과 한국의 KJ Radio, 한국해양대학교 차세대 IT선박융합기술센터가 가입되어 있으며, 조선제일국의 위상으로 900여종, 154만여개 650여개의 기자재 기업체에 적용가능하며, e-navigation 시대의 육해상 데이터교환 프로토콜과 서비스 프레임워크 분야를 주도할 수 있음

- 현재 국제 기준 및 국내기준에 따라서 진행되고 있으며 곧 실용화가 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새로운 방식을 개발하여 표준화하는 것도 필요함- SHIPDEX Protocol은 선박업계에 사용되는 기술데이터의 생성 및 교환을 표준화하기 위해 S1000D™ issue 2.3을 적용해서 개발한 프로토콜이며, 40여개의 유럽 주요 기업과 해운회사가 모여 2009년 4월 20일 버전 1.1을 개발하 다.

구현 구현 구현 설계 설계

시제품/프로토타입 구현 시제품/프로토타입 구현 구현

-1년 -2년 -1년 -1 -1년

- - - - -

- - - - 유럽

시스템 통합 분야 휴대전화이용방식 등의 적용 정보 처리 분야 정보 시각화 분야S1000D의 육해상 데이터

교환 프로토콜과 관련된 분야

보통 높음 보통 보통 높음

기술개발 수준: “기획 | 설계 | 구현 | 시제품/프로토타입 | 상용화”단계로 구분IPR 확보가능성: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으로 구분기술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한국해양대, ETRI, 차세대 IT선박융합기술센터를 중심으로 기술 및 표준 개발 중

유럽 40여개 회사가 모여 Shipdex 프록토콜 개발 중

-1년 -2년 -1년 -2년 -1년

개발/검토 개발/검토 개발/검토 개발/검토 기획

최종검토 제/개정 최종검토 최종검토 기획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국토해양부 TTA 한국해양대, ETRI, TTA

IALA, IMO IALA, IMO IALA, IMO IALA, IMO, IHO, IEC Shipdex

(주)지엠티사이버네틱스 한국해양대학교 해양연구원 (주)지엠티사이버네틱스 한국해양대, ETRI, (주)장산아이티 해양연구원 (주)장산아이티 (주)장산아이티 (주)KJ Radio

보통 보통 낮음 매우낮음 낮음

보통 보통 보통 보통 낮음

표준화 수준: “기획 | 항목승인 | 개발/검토 | 최종검토 | 제/개정”단계로 구분국내 기여도, 국내 표준화 인프라 수준: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표준화 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국토해양부 TTA 국토해양부 TTA-PG607 한국해양대, ETRI, TTA

IT산업체 산업체 IT산업체산업체(㈜지엠티사이버네틱스,

㈜장산아이티) 산업계

표준개발은“포럼, TTA, 기표원”, 기술개발은“산업체, 학계, 연구소”로 구분

표준화대상항목

구 분

시장현황및전망

기술개발현황및전망

기술개발수준

IPR보유현황

표준화기구/단체

개발주체

표준화수준

IPR확보가능분야

IPR확보가능성

국내표준화의인프라수준

표준화현황및전망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기술격차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제

표준화격차

국 내

국 제

국 내

국 제

표준개발

기술개발

국내참여업체및기관

현황

국내기여도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6

Page 30: 05 e Navigation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77

e-navigation - Communications

MiTS네트워크 기술 선박장치간 통신 인터페이스기술 선박 유선 네트워크 구축 기술 선내 무선 네트워크 구축 기술

e-navigation 시장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몇몇 선도기업 중심으로 제품개발 중에 있어 향후 3-5년내에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FURUNO, JRC 등 일본 기업, MARETRON, AIRMAR, LORENCE,RAYTHEON, NORTHROP 등 선도 기업을 중심으로 상당한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2012년에 가까워질수록 제품출시 기업이 많아 지고 e-navigation 의 구체적인 환경인식이 클 것임으로 2012년을 기점으로 빠르게 시장이 확대 형성될것으로 전망됨

e-navigation 시장은 몇몇 선도기업을 중심으로 표준동향을 파악하고 기술개발중에 있으며 2-3년 내에 제품출시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2012년에 가까워 질수록 많은 기업이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를 출시할 목표로 기술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선도기업은 이들 제품에 국한되지 않고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 창출에 돌입할 것으로 전망됨

시제품 구현 상용화 구현

상용화 시제품/프로토타입 상용화 구현

-2년 -1년 없음 없음

- - - -

- - - -

시스템 성능기준과 평가방법 이기종 장비 간의 통신 분야 유선 네트워크 분야 무선 네트워크 분야

높음 높음 매우낮음 높음

기술개발 수준: “기획 | 설계 | 구현 | 시제품/프로토타입 | 상용화”단계로 구분IPR 확보가능성: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으로 구분기술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주로 외국표준을 준용하는 단체표준

각 분야 CDV 정도로 진행

-3년 -2.5년 -0.5년 -1년

항목승인 개발/검토 기획 항목승인

최종 검토 제/개정 개발/검토 개발/검토

TTA TTA TTA, 기표원 TTA, 기표원

IEC, ISO IEC, ISO ISO IMO(IACS)

신동디지텍/ETRI/해양대 신동디지텍/ETRI/해양대네트, 마린디지텍,

한국선박전자진흥협회, ETRI ETRI, 조선기자재연구원

보통 보통 낮음 매우낮음

낮음 낮음 높음 높음

표준화 수준: “기획 | 항목승인 | 개발/검토 | 최종검토 | 제/개정”단계로 구분국내 기여도, 국내 표준화 인프라 수준: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표준화 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포럼, TTA 포럼, TTA TTA, 포럼 TTA, 기표원, 포럼

산업체+학계+연구소 산업체+학계+연구소 산업체 연구소, 산업체

표준개발은“포럼, TTA, 기표원”, 기술개발은“산업체, 학계, 연구소”로 구분

표준화대상항목

구 분

시장현황및 전망

기술개발현황

및 전망

기술개발수준

IPR보유현황

표준화기구/단체

개발주체

표준화수준

IPR확보가능분야

IPR확보가능성

국내표준화의인프라수준

표준화현황및전망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기술격차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제

표준화격차

국 내

국 제

국 내

국 제

표준개발

기술개발

국내참여업체및기관

현황

국내기여도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7

Page 31: 05 e Navigation

378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e-navigation - Communications

해상 디지털 통신 데이터 링크 기술 차세대 선박 자동 식별 기술 광대역 해상 통신 기술

e-navigation 시장은 아직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몇몇 선도기업 중심으로 제품개발 중에 있어 향후 3-5년내에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FURUNO, JRC 등 일본 기업, MARETRON, AIRMAR, LORENCE,RAYTHEON, NORTHROP 등 선도 기업을 중심으로 상당한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며2012년에 가까워 질 수록 제품출시 기업이 많아 지고 e-navigation 의 구체적인 환경인식이 클 것임으로 2012년을 기점으로 빠르게 시장이 확대 형성될 것으로 전망됨

- 디지털 VHF/HF 시스템 구현을 위한 핵심 전송 기술만 보유하고 있는 상태- 현재 디지털 VHF 시스템 구현을 위한 연구가 국책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음- 차세대 무선 랜 기술 및 LTE, LTE-Advanced 기술은 개발 완료 단계임- 육상 이동통신 기술의 해상 통신 적용은 요구사항 분석 및 기술 검토 단계임

- HF대역에서 KentA사에서 OFDM 방식을 이용한 시스템을 개발하 으며, 3.6kbps의 Pactor III, 2kbps의 Clover등의 시스템이 개발되어 상용 서비스중임- Telenor에서 디지털 VHF 시스템을 개발하여 제품화 하 음- 차세대 무선 LAN 핵심칩을 개발 완료하 으며 육상과 근해 선박간 다양한 정보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위한 지상파 통신 기술의 시범서비스를 개시하 음- Mobile WiMAX 기술을 활용하여 해상에서 시범서비스를 완료하 으며, LTE 기술을 해상통신 서비스로 적용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음

구현 기획 시제품/프로토타입

시제품/프로토타입 시제품/프로토타입 시제품/프로토타입

-2년 -1년 없음

- - WiBro 원천기술 보유 -

- - WiMAX, LTE 원천기술 보유

디지털 VHF/HF 무선전송기술, 용량증대를 위한 핵심요소기술 물리계층 통신 해상통신용 이동통신 기술 및 시스템 개발

보통 낮음 매우높음

기술개발 수준: “기획 | 설계 | 구현 | 시제품/프로토타입 | 상용화”단계로 구분IPR 확보가능성: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으로 구분기술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 해상 디지털 통신 데이터 링크 기술을 위한 표준 논의 중

- 디지털 VHF와 HF 시스템을 위해 ITU-R에서 각각 M.1842-1과 M.1798을 개정하 으며, ITU-R WP5B에서 해상용 디지털 통신을 위한 표준화를 진행하고 있음

3년 -1년 없음

개발/검토 기획 최종검토

제/개정 개발/검토 최종검토

TTA 기표원 TTA, 포럼

ITU-R SG5 WP8B IALA, IEC ITU-R SG5 WP5B

ETRI, KORDI GMTC, 장산IT, ETRI ETRI, 삼성, LG

낮음 낮음 보통

보통 낮음 높음

표준화 수준: “기획 | 항목승인 | 개발/검토 | 최종검토 | 제/개정”단계로 구분국내 기여도, 국내 표준화 인프라 수준: “매우낮음 - 낮음 - 보통 - 높음 - 매우높음”표준화 격차: 국내가 앞서고 있으면“+?년”, 뒤처지고 있으면“-?년”

TTA-PG309, PG601 포럼, TTA, 기표원 TTA-PG309, PG601

ETRI, KORDI, 산업체 연구소, 학계, 산업계 연구소, 산업체, 학계

표준개발은“포럼, TTA, 기표원”, 기술개발은“산업체, 학계, 연구소”로 구분

표준화대상항목

구 분

시장현황및 전망

기술개발현황및전망

기술개발수준

IPR보유현황

표준화기구/단체

개발주체

표준화수준

IPR확보가능분야

IPR확보가능성

국내표준화의인프라수준

표준화현황및전망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외

기술격차

국 내

국 외

국 내

국 제

표준화격차

국 내

국 제

국 내

국 제

표준개발

기술개발

국내참여업체및기관

현황

국내기여도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8

Page 32: 05 e Navigation

3. 표준화추진전략3.1. 중점기술의표준화환경분석

3.1.1. 표준화추진상의문제점및현안사항

문제점

- e-navigation 도래에대응하는국내표준화대응체계구축이미흡한실정임

- 국내조선및해운관련기관, 업체, 부품업체등의e-navigation 관련국제표준화기술위원회참여저조로인한네트워크

형성미비

- 국내대형조선사의경우선박건조의생산성향상에관심이크며, e-navigation 도래에대한관심이상대적으로저조한

실정임

- 국내조선기자재업체는대부분중소업체이며, 또한기계중심의업체로e-navigation과직접적으로관련이있는선박전자

산업은열세임

- 이로인하여관련기업의기술선도의지결여

- 또한국내조선관련인력에비하여IT조선인력이부족한실정임

현안사항

- e-navigation은안전하고효율적인항해를목적으로항해장비및전자장치를전체적이고시스템적으로이용하려는항법

체계의세계적표준임.

□2005년12월 IMO의MSC(Maritime Safety Committee, 해상안전위원회) 제81차회의에서일본, 마샬제도, 네덜란

드, 노르웨이, 싱가포르, 국, 미국등이공동의제로제출했음

□2006년5월공식채택되어2008년말까지e-navigation Strategy 개발을완성하 음

□2012년까지사용자요구사항정의, 구조정의, 갭분석, 구현등1 cycle을수행하는일정으로추진중임

- e-navigation의개념은선박의항해관련설비의성능을향상시키고사용자인인간중심으로통합시켜항해사고를감소시

키는것을목적으로기존의대표적인관련장비와기술개발목표는다음과같음

□선박자동식별장치(AIS :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 고신뢰도의전자위치신호시스템

□전자해도(ECDIS :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 선박의전운항지역을커버하는정 하고

종합적이며최신화된전자해도

□통합선교시스템(IBS/INS : Integrated Bridge System /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 본선및육상에서이러한

정보들의정확하고통합적이며사용자편의적인디스플레이

□레이더플로팅장치(ARPA : Automatic Radar Plotting Aids) : 성능향상및연관장치와인간중심통합으로해난사고

방지

□장거리식별추적장치(LRIT : Long-Rang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 성능향상및연관장치와인간중심통합으

로해난사고방지

□선박교통관제시스템(VTS : Vessel Traffic System) : 선박과육상사이의위치및항해정보의전송및선박간의전송

□전지구적조난안전시스템 (GMDSS :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 신기술도입을통하여현행

GMDSS 요건을축소하고신뢰성있는조난경보와해사안전정보의전달획득

- 선박에지능형통합항법시스템을구축하고육상의선박모니터링및안전항해지원시스템구축등e-navigation 도입에따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79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79

Page 33: 05 e Navigation

른직접시장규모가10년간30조원에육박할것으로예측되고있고, 또한e-navigation을장기작업과제로채택하여향후

도입될항해전자장비및통신장비에대한총체적이면서시스템적인개발및활용을위한전략을개발할필요가있음.

- 이러한전략을바탕으로국내IT조선산업에서는산학연이협동하여역대조선산업강국의지위를유지하기위하여표준

을제안하는데참여하고표준을구현한시스템의수출을통해 로벌경쟁력을마련하기위한다각적인노력이필요함.

3.1.2. SWOT 분석및표준화추진방향

현황분석을통한우선순위 : SO→WO→ST→WT

- SO전략: 선박건조부문에서의기술적우위를바탕으로조선기자재산업의경쟁력확보를추진하고이를위해선박의고

부가가치장비, 기술서비스개발에집중투자함. 또한국내의우수한IT 기술을융합하여새로운서비스를창출하고이러

한개발결과를국제표준에반 토록하여e-navigation 시장형성과동시에진출이가능하도록함

- WO전략: e-navigation의주대상이라할수있는선박전기전자장비에있어집중연구개발을통해국산화및패키지화

를추진하며국내외표준을선도적으로제정하여국제적인표준화에대항할수있는국내대책마련

- ST전략: 국내조선소의국제적경쟁력을바탕으로국내에서건조하는선박에우선적으로국내기술이진출할수있는국

가적지원정책마련이필요하며이를위한표준화방향으로국내표준(단체및국가) 제정과이의국제화에노력해야함

380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내역량요인

국외환경요인

강점요인 (S)

시장

선박의 경우, 전세계 신조물량 수주기준 최고물량을 확보

정보기술 분야와 초고속통신 분야에서 축적된 기술력 보유

산.학.연.표준단체 간의 긴 한 협조체제 구축

e-navigation 도입에 따른 기자재 시장의 고부가가치화 진행

전체적으로 기술표준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음

요구사항 명세 단계로 참여 기회가 많음

선박장비의 패키지화로 인해 개발기술의 시장진입이 어려움

유럽.일본의 전자장비 기술 선점 상황으로 기술격차가 점점 커질 우려가 있음

유럽 중심의 국제표준 진행으로 소외될 수 있음

시장

국내 전자장비업체 세성으로 핵심기술 확보및 시장주도 미비

항해전자장비의 핵심 기술들을 유럽 및 일본업체 등이 선점한 상태

IMO, IEC등의 관련 국제 표준 단체에서 선도적인 역할 미비

기술

기술

시장

현황분석에 의한 우선순위 : 1

- 국내에서 건조되는 선박의 고부가가치 장비부터국산화

- 국내 정보기술력을 전자장비 분야에 접목시켜 장비 개발과 동시에 국제 표준 반 (시장형성과 진출시기를 맞춤)

- 국내 조선 및 기자재 업체를 연계한 국제 표준 참여

현황분석에 의한 우선순위 : 3

- 고부가가치 미래 전자장비 분야 선점을 통한 조선강국 유지

- 기술표준에서 경쟁력있는 분야를 발굴하여 적극적으로 대처

- 국제표준 참여가 늦은 만큼 국내기관 간 긴 한협력을 통한 적극 대체

현황분석에의한우선순위 : 4

- 국내 소규모의 전자장비업체와 조선업체 간의 상호협력으로 Win-Win 전략 수립

- 표준화된 기술명세를 바탕으로 구현 가능한 기술력 개발에 집중

- e-navigation 국제표준이 초기단계이므로 적극적참여 필요

현황분석에 의한 우선순위 : 2

- 수입 의존도가 높은 고부가가치의 전자장비를 국산화함으로써 시장 대체 효과 발생

- 국제 표준 기반 장비 개발로 기존 선도 업체와 기술 격차가 좁혀짐

- 조선 강국 위상을 바탕으로 활발한 국제 표준 참여기술

표준

표준

(O)

시장

기술

표준

(T)

약점요인 (W)

SOSO전략 : 공격적전략(감점사용-기회활용) WO전략 : 만회전략(약점극복-기회활용)

ST전략 : 다각화전략(감점사용-위협회피) WT전략 : 방어적전략(약점최소화-위협회피)

WO

ST WT

전전략략

표준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0

Page 34: 05 e Navigation

- WT전략: e-navigation을위한해양IT정보산업계의 세한국내현실을타개할수있는지원책과조선소와의상호협력

방안마련이필요하며이를위해관련조선소및중소업체가모두참여하는표준화위원회활동을전개하고특정기술에

대한집중적인기술력개발이필요

표준화추진방향 : WT전략의중점추진을통한SO전략의보완

- 현재e-navigation 국제표준이확정되지않은상태이므로국제표준진행상황에맞게대처하고국내해양IT정보산업계의

기술이국제표준에적용될수있도록정부지원하에국내표준단체결성및워크샵활동지원등을통하여적극적지원체

제를구축함

- 국내조선기자재관련회사에서중점적으로개발하고있는e-navigation 관련선박전자제품이국제경쟁력을갖을수있

도록실질적인표준화기술개발추진

- 국내우수한IT기술이e-navigation 관련조선기자재제품에융합될수있도록기술개발을함과동시에해당기술이적용

된제품이국제표준을선도할수있도록지원

3.1.3. 표준화추진체계

e-navigation 정책의전략, 추진계획등의정책개발전반에대해서는IMO의MSC위원회산하NAV 전문위원회에서담

당하여작성추진

e-navigation 시스템의성능요구사항등주요결정사항에대해서도IMO에서결정

e-navigation 정책실현에필요한주파수및무선자원할당등은ITU에서주관

IEC에서는e-navigation 시스템의운용요구사항, 시험규격등을제정

IALA에서는e-navigation 전반에대한사용자가이드라인제시

- IALA는e-Nav위원회와VTS 위원회를운 하여정책결정에적극대처하고있음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8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1

Page 35: 05 e Navigation

3.2. 중점표준화항목선정

3.2.1. 표준화대상항목별우선순위분석

382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중점기술후보별전략적중요도및기술적파급효과분석

P1정부및산업체의지(국가산업전략과의연관성, 국내기업의표준화참여및관심도등)

P2공공성(사용자편리성, 중복투자방지등)

P3적시성(현재표준수요자의요구정도등)

P4기술적선도가능성(국제표준경쟁력, IPR확보등)

P5국제표준화이슈정도(국제표준화기구의표준항목채택등)

PI(Priority Index)

E1기술적중요도(원천성등)

E2타기술에파급효과(연관성, 활용성등)

E3시장파급성및상용화가능성(구현가능성등)

E4산업적파급효과(산업화로인한이득, 국내관련산업규모및성숙도등)

E5미래 향력(미래표준항목에의적용/응용성)

EI(Effect Index)

평가지표

전략적중요도(Priority) 기술적파급효과(Effect)

0.20 0.13 0.20 0.22 0.25 0.45 0.14 0.15 0.23 0.25 0.22 0.55

차세대 전자해도(S100) -2.07 3.38 2.00 2.50 2.88 4.25 0.62 3.13 2.75 3.50 3.00 2.63 0.60

S-Mode Presentation -1.36 2.13 1.38 2.75 4.50 3.38 0.60 3.00 2.25 4.50 3.00 3.13 0.65

Smart Conning System -1.79 2.15 2.63 2.75 2.88 3.25 0.55 3.88 2.75 3.63 3.25 2.75 0.65

GMDSS distress call process -0.93 3.09 3.25 3.00 3.25 3.63 0.65 2.38 1.75 2.88 2.50 4.25 0.57

선박 장비 가용성/신뢰성평가 기술 -1.64 2.13 2.00 3.00 3.00 3.25 0.55 3.25 2.88 2.75 3.63 4.13 0.67

선내 경보 표시 기술 -1.00 2.08 3.50 4.13 1.88 4.13 0.63 2.25 1.75 3.50 2.50 4.00 0.58

PNT 통합 수신 기술 -2.07 2.38 3.00 3.13 3.25 1.88 0.54 3.50 3.25 3.63 3.13 2.88 0.65

선박 및 해양 교통 시설정보 통합 기술 -1.36 4.50 4.00 2.25 2.00 3.38 0.63 1.88 2.13 3.25 3.25 3.63 0.59

선박 보고(자동위치전송)데이터 포맷 교환 -0.93 3.00 3.88 2.75 3.63 2.75 0.63 2.50 2.75 3.50 2.75 2.50 0.57

해양정보수집및처리기술 -1.71 3.38 3.63 2.13 3.25 3.00 0.61 3.13 2.38 3.50 2.88 2.75 0.59

해상정보프리젠테이션기술 -1.29 3.40 3.88 3.50 3.38 3.25 0.69 2.63 2.25 3.25 2.38 3.00 0.55

선박 원격 관리 데이터 포맷/교환기술 -1.07 3.13 3.25 3.25 3.38 2.75 0.63 2.75 2.25 3.75 2.88 2.63 0.58

MITS네트워크 기술 -1.14 2.38 1.88 3.75 3.38 2.88 0.59 3.63 3.38 3.88 2.88 2.00 0.62

선박 장치 간 통신인터페이스 기술 -1.14 2.13 2.38 2.88 3.38 3.38 0.58 3.63 2.63 3.50 3.25 2.88 0.64

선박유선네트워크구축기술 -0.71 2.63 2.38 2.75 3.25 3.25 0.58 3.88 2.75 3.00 2.88 3.25 0.62

선내무선네트워크구축기술 -0.93 2.38 2.50 2.63 3.50 3.38 0.59 3.63 2.38 3.50 3.00 3.13 0.63

디지털통신데이터링크기술 -1.07 2.50 1.75 2.88 3.88 2.63 0.56 3.63 2.50 3.25 3.50 3.50 0.66

차세대 선박 자동 식별 기술 -1.57 2.63 3.50 2.88 2.88 3.75 0.62 2.75 2.25 3.63 3.13 2.63 0.59

광대역 해상 통신 기술 -1.14 2.70 2.75 2.50 3.88 3.13 0.61 3.38 2.63 3.25 3.50 2.50 0.6

평가지표의중요도표준화대상항목

표준화격차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2

Page 36: 05 e Navigation

3.2.2. 중점표준화항목선정사유

전략적중요도및기술적파급효과의요소

- e-navigation 체계가일반화될수록IT 기술적용이심화될것이며이에따른장비의신뢰성및가용성평가는선박의안전

운항과관련하여반드시확보되어야할기술임

- 우리나라의기술및장비를국제적으로인정받기위해서는국제적인증을확보해야하며이러한인증확보를위해서도신

뢰성평가핵심기술을파악하여개발단계부터적용할필요가있음

- NAV 54차회의에따르면e-navigation은선박의안전항해를실현하기위한방법으로서‘IT기술이표준화없이선박에

적용됨으로써호환성, 복잡성이문제되어항해발전을저해하며, 해난사고의60%이상은휴먼에러에의한것으로항해사

의의사결정과정을도와줄수있는현대적툴이있으면10배이상의사고를방지할수있음‘이라는것이연구결과입증

됨으로선박에사용되는IT 기자재의표준화와항해사의의사결정을도울수있는도구개발이핵심임

- 또한e-navigation의최종실현목표는정의된바와같이해양환경보호, 항해안전과선박의안전이며, 이를실현하기위하

여서는선박과육상, 선박과선박이끊임없는신뢰할수있는정보교환을위한통신채널의유지임

- 이러한끊임없는통신채널을통하여육상은선박의사고를방지하기위한정보를제공하고선박의사고가즉각적으로육

상에의해감지되고인근항행선박에감지됨으로서사고의피해를감소할수있음

- 다양한해양지리정보와조석조류등의해양관측정보및기상정보등을전자해도와통합적으로활용하고자요구가증대

되고있으며향후에는이러한기술변화수요에대응하고, 기반기술확보와신뢰성있는해도서비스제공을위하여, 조석

정보를적용한다이나믹전자해도와정 한3차원해저지형정보를이용한고해상도전자해도등에대한기술개발이요

구되고있음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83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3

Page 37: 05 e Navigation

- 해상통신은디지털무선통신기술을이용한해상통신인프라를구축하고이를활용하여Web기반정보서비스를제공하

는방향으로발전할것으로예상되며이러한전환기가상대적으로열세인국내해상통신기술을발전시키고향후전개될

e-navigation 시장을선도할수있을것임

- 전략적관점에서e-navigation의핵심을ship-board, shore-based, communication 분야로구분하 으며, 이중에서전략

적으로접근해야할필요성이큰항목을표준화대상항목으로정했음

중점표준화항목별선정사유

- 전자해도는전자해도시스템의기본데이터로서, 다양한항해시스템을통합하는메인시스템이되며, 국제해사기구에서의

e-navigation 전략은최신의고품질해도를기반으로하고있음

- 선박장비의신뢰성및가용성평가기술은인증측면에서만중요한기술이아니며개발자측면에서도고려해야할기술로

장비의신뢰성확보를위한인증절차가거의대부분의선박장비로확대되어가고있는추세를반 하여중점표준화항목

으로선정하 음.

- 항해장비는선진해운국에의해개발되어시장점유율이크고대부분수입에의존하고있지만IT가융합되면서우리가주

도할수있는항목과기술개발측면에서늦었지만반드시따라잡아야할항목을선정함

- Shore-Based 측면에서는해상정보의획득및이를표현하는기술이중요한항목으로국내에서세계표준을선도할수있

는기술분야임.

- Communication 측면에서는국내의장점을활용하여광대역해상통신기술, 디지털통신변환기술, 선내무선네트워크구

축기술등에서한국이주도권을잡고나아갈수있는분야임

- 해상디지털통신데이터링크기술은표준수요자의요구정도가높으며디지털통신요소기술에의한IPR 확보가가능

한항목임

- 광대역해상통신기술은국제표준을리드하고있는육상이동통신기술을바탕으로기술적선도가능성및구현가능성

이높은항목이기에세계경쟁우위를점할수있는분야임

384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4

Page 38: 05 e Navigation

3.3. 중점표준화항목별세부전략(안)

3.3.1. 차세대전자해도(S100)

표준화-기술개발-IPR 연계분석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85

표준화-기술개발- IPR 연계방안

표준화특성 선행표준

S-100이 지원하는 기능은 Imagery and gridded data, High-density bathymetry, Seafloor classification, 3-D and time-varying data (x,y,z and time), Dynamic ECDIS, MIOs, Marine GIS, Web-based services 등인데, 국립해양조사원, 한국해양연구원, (주)지엠티사이버네틱스에서 기술 및 표준을 개발하고 있음. 2012년 ECDIS 탑재가 강제화 되면 전자해도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S-100, S-101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IMO, IHO 주관의 각 위원회에 적극 참여하여 우리 기술이 반 된표준을 제정함. 이를 위해 국내 표준화 기구가 주도하고 지원하는 표준화 활동을 활성화 하며, 정부의 적극적 지원, 기술 개발기업의 R&D 투자 등을 통해 관련 기술을 개발하고 특허를 선점 필요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5

Page 39: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전략목표및세부전략(안)

386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제표준화전략목표 국제표준 협력/경쟁(부분선도)(Ver.2011)

- 국외대비 국내 표준화 전략 : 차세대 전자해도 개발, 전자해도 전문가 위원회 구성, TTA 활동 강화

- 국외대비 국내 기술개발 전략 : 국제회의 적극 참가로 국제 표준의 수용 및 신규 안건 제시

- 국내 표준화 인프라 전략 : 기술 개발은 국립해양조사원 중심의 기술 개발에서 TTA 적극 참여로 표준화 위원회 구성, 전문가 Pool 구성 등표준화 활동의 강화

- 국제표준화 기여 전략 : 국제 회의 참가 및 주도적 활동, 표준안의 제안

- S-100, S-101은 국제 표준으로서 전자해도 표준 자체는 특허 대상이 아님.

- 국제 표준의 활용 방안에 대한 특허 획득 가능

- 전자해도 데이터 구축 방안 등 국제 표준이 아닌 관련 기술 분야 특허 확보 가능

Trace Tracking(Ver.2010 B→ 2011)

세부전략

IPR 확보방안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6

Page 40: 05 e Navigation

3.3.2. S-Mode Presentation

표준화-기술개발-IPR 연계분석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87

표준화-기술개발- IPR 연계방안

표준화특성 선행표준

S-Mode Presentation 기술은 사용자 편의성 및 훈련 등을 고려한 그래픽 기술로 Nautical Institute를 중심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아직 초기 단계임. 그래픽 기술은 IT기업들의 기술력이 높기 때문에 표준 제정이 되면 각국의 경쟁이 심할 것으로 예상됨.따라서 IALA 국제 표준에 적극 참여함과 동시에 기술 개발, IPR 확보가 필요함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7

Page 41: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전략목표및세부전략(안)

388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제표준화전략목표 국제표준 협력/경쟁(Ver.2011)

- 국외대비 국내 표준화 전략 : IALA의 e-nav committee의 논의 내용을 일부 수용한 후 국내 표준 추진

- 국외대비 국내 기술개발 전략 : 국내 그래픽 툴 개발 IT업체와 항해 장비 업체와 연계된 기술 개발 추진

- 국내 표준화 인프라 전략 : TTA 중심으로 전문가 Pool 구성 및 표준화 위원회 구성

- 국제표준화 기여 전략 : 사용자 편의 중심의 요구사항을 정리 후 국제회의 참가 및 표준안의 제안

- 표준화된 표시 및 제어 장치에 대한 특허 확보에 주력

Trace Tracking(Ver.2010 B→ 2011)

세부전략

IPR 확보방안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8

Page 42: 05 e Navigation

3.3.3. 선박장비가용성/신뢰성평가기술

표준화-기술개발-IPR 연계분석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89

표준화-기술개발- IPR 연계방안

표준화특성 선행표준

- 선박장치의 가용성/신뢰성(R.A.M.S) 분야는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 더 활성화된 기술 및 표준이 확대되고 있고 중요도가올라감

- IMO NAV56차 일본의 선박장치의 신뢰성/가용성 표준절차 필요성 발언에 따라 2012년에는 표준안 제정 또는 최종 검토 등이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 이에, 국내에서는 2013년 기술개발이 상용화 됨

-육상 부문에서의 설계 및 품질 요구사항 등에 관한 신뢰성/가용성 평가의 표준과 연계하여 선박분야에서의 평가절차 제정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89

Page 43: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전략목표및세부전략(안)

390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제표준화전략목표 국제표준 협력/경쟁(Ver.2011)

- 국내 수준 분석에 따른 전략 : 신뢰성/가용성 시험 기관의 표준화 추진 현황 분석

- 선박 외 부문에서의 표준 제정 분석 : 육상 부문에서의 원자력 발전소, 철도, 의료 전자장비 등의 기 제정된 표준화 항목 분석하여 선박에서의 신뢰성, 가용성 표준화 항목 당위성 및 타당성 필역

- 신뢰성, 가용성 규격 실태분석, 규격 통일화, 표준화 : 대상 규격 설정 및 분류 검토와 운용단계 신뢰성 평가 실태분석 및 체계 개념연구

- 신뢰성/가용성 규격 및 표준 지침서 개발 : 신뢰성/가용성 마스터플랜의 세부내용 완성 후 개발 및 생산위한 업무체계 구축

- 국내 신뢰성/가용성 평가 기관(센터)과 사전 협의 통한 표준화 도출 및 국제표준 부합화 조사

- 국내 신뢰성/가용성 관련 규격서 및 지침서의 DB화로 IPR 방안수립

- 신뢰성/가용성 규격 체계 인프라 확보 통한 평가 절차서(지침서) 수립으로 IPR 확보

- 신뢰성/가용성 전문가 네트워크 활용 국제표준화 추진 위한 개발방향 설정

Trace Tracking(Ver.2010 B→ 2011)

세부전략

IPR 확보방안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0

Page 44: 05 e Navigation

3.3.4. 선박및해양교통시설정보통합기술

표준화-기술개발-IPR 연계분석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91

표준화-기술개발- IPR 연계방안

표준화특성 선행표준

우리나라는 현재 해사안전분야에서 국제해사기구(IMO) 최상위 A그룹 이사국이므로 IMO 중심으로 국제표준을 추진함과 동시에 국내 정보 통합 기술을 활용하면 다른 나라에 비해 유리한 조건임. IPR은 정보 통합을 이용한 서비스 중심으로 확보할 필요가 있음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1

Page 45: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전략목표및세부전략(안)

392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제표준화전략목표 국제표준 협력/경쟁(Ver.2011)

- 국외대비 국내 표준화 전략 : 국내표준을 제정 후 국제표준에 제안하는 형태로 국제표준 선도

- 국외대비 국내 기술개발 전략 : 해사안전 서비스 시장 선점을 위해 국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기술 개발 후 국외 시장 진출

- 국내 표준화 인프라 전략 : 국토해양부와 TTA 중심으로 분야 별 전문가 Pool 및 표준화 위원회 구성

- 국제표준화 기여 전략 : IMO의 해사안전 분야에 적극적으로 표준안 제안

- 해사안전을 위한 선박 정보, 해양 교통 시설 정보를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IPR 확보 필요

Trace Tracking(Ver.2010 B→ 2011)

세부전략

IPR 확보방안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2

Page 46: 05 e Navigation

3.3.5. 해상정보프리젠테이션기술

표준화-기술개발-IPR 연계분석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93

표준화-기술개발- IPR 연계방안

표준화특성 선행표준

- 정보 프리젠테이션 관련 국제 표준으로는 IEC 62288, IMO MSC. 191(79), IMO SN/Circ.243:2004, ISO 80416-4:2005 등이 있으며, 아직 적용이 강제화되고 있지 않음

- 국제 표준을 파악하고 이를 적용한 시스템 개발이 필요

- 인간공학을 기반으로 하는 프리젠테이션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국제 표준으로 제안

- 프리젠테이션 표준 자체는 특허에 해당되지 않으나, 이를 적용하여 개발된 시스템은 특허 대상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3

Page 47: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전략목표및세부전략(안)

394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제표준화전략목표 국제표준 협력/경쟁(부분수용)(Ver.2011)

- 국외대비 국내 표준화 전략 : 제정된 국제 표준은 수용하고, 기획 중인 표준은 TTA 활동 강화, 전문가 위원회 구성 및 전문가 Pool 구축 등을 통해 의제 반 함

- 국외대비 국내 기술개발 전략 : 국외 대비 국내 기술은 뒤지지 않으므로, 정부의 지원 R&D 활성화, 산학연 협력 등을 통한 기술 개발

- 국내 표준화 인프라 전략 : 전문 인력 및 기관 구성은 외국에 뒤지지 않으므로 적극적 표준화 활동을 통해 국제 표준을 선도할 수 있음

- 국제표준화 기여 전략 : 각종 국제 회의 적극 참여 및 안건 발의로 우리 기술을 공유하고 적용할 수 있음

- 심볼 구성 및 프리젠테이션 기술을 특허 대상이 아님

- 표준 적용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하드웨어 개발하고 관련 기술 특허 등록 가능

- 위성 상 및 레이다 상 처리 관련 하드웨어 개발 기술 특허 등록 가능

Trace Tracking(Ver.2010 B→ 2011)

세부전략

IPR 확보방안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4

Page 48: 05 e Navigation

3.3.6. 선박장치간통신인터페이스기술

표준화-기술개발-IPR 연계분석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95

표준화-기술개발- IPR 연계방안

표준화특성 선행표준

선박장치간 통신인터페이스 기술은 미국에서는 레저보트를 중심으로 이미 상용화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대형선박 사용을 위하여 계속적으로 표준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국내에서는 한국해양대학교 차세대IT선박융합 기술센터에서 기술개발과 NMEA표준화작업에 동참하고 있으며, 한국선박전자산업진흥협회(MEIPA)가 NMEA와 제휴하여 국내인증, 기술문서번역/판매, 교육을수행하고 있어 2012년 경 상용화 및 이에 따른 IP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됨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5

Page 49: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전략목표및세부전략(안)

396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제표준화전략목표 국제표준 협력/경쟁(부분수용)(Ver.2011)

- 국외대비 국내 표준화 전략 : IEC 61162-1,2,3 의 원안인 NMEA 0183과 NMEA2000 은 최근 발전적인 표준확장 계획을 수립하고 있으며,이 기술기획위원회에 MEIPA 및 한국해양대학교에서도 동참하여 기획하고 있으므로 국제표준안 제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됨

- 국외대비 국내 기술개발 전략 : IEC 61162-3 NMEA2000 제품은 한국해양대학교에서 개발중에 있으며, 새롭게 마련되고 있는 IEC61162-450 CDV에 준하는 시스템은 ETRI와 한국해양대학교에서 개발중에 있으므로 구현에 따른 표준안 확장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을 사료됨

- 국내 표준화 인프라 전략 : 전문 인력 및 기관 구성은 외국에 뒤지지 않으므로 적극적 표준화 활동을 통해 국제 표준을 선도할 수 있음

- 국제표준화 기여 전략 : 각종 국제 회의 적극 참여 및 안건 발의로 우리 기술을 공유하고 적용할 수 있음

- 새롭개 마련되거나 또는 확장되는 표준안의 구현에 따른 IPR을 확보

- 확장되는 NMEA 2000 프로토콜의 구현에 따른 IPR을 확보

Trace Tracking(Ver.2010 B→ 2011)

세부전략

IPR 확보방안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6

Page 50: 05 e Navigation

3.3.7. 선내무선네트워크구축기술

표준화-기술개발-IPR 연계분석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97

표준화-기술개발- IPR 연계방안

표준화특성 동시표준

국내에서는 기존 선박 및 신조 선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구축시험 중에 있음. 그러나, 표준화 연계 추진은 미흡하므로 IMO (IACS) 에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기 위해서는 한국선급과 산업체연구소 등 개발 기관과 연계가 필요함. 관련 표준은 TTA 해상e-내비게이션 프로젝트그룹과 e-navigation 대응전략포럼 등에관심을 가지고 추진해야 될 필요가 있으며, 한국조선기자재연구원, ETRI 등 기술개발에 있어 IPR 확보 필요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7

Page 51: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전략목표및세부전략(안)

398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제표준화전략목표 국제표준 협력/경쟁(Ver.2011)

- 국외대비 국내 표준화 전략 : 국제 표준은 IACS를 중심으로 선박 무선 네트워크 기술 규격 등을 검토하고 있으므로 연구소, 산업체를 중심으로 표준화에 적극 참여

- 국외대비 국내 기술개발 전략 : 무선 네트워크 기술은 국외에 비해 거의 대등한 수준이므로 조선강국의 이점을 살려 적극 기축 선박 및 신조 선박에 적극 구축될 수 있도록 기술 고도화 추진

- 국내 표준화 인프라 전략 : 해상e-내비게이션 프로젝트그룹 및 산업체 중심의 e-navigation 대응전략포럼을 통해 해당 전문가를 결집으로인프라 구축

- 국제표준화 기여 전략 : 국내 표준화 단체를 통하여 논의된 표준안을 한국선급협회를 통하여 국제선급협회(IACS)의 표준 작성에 적극 참여하도록 하여 IMO의 정책에 반

- 산업체를 중심으로 개발 중인 선내 무선 네트워크 구축 기술을 선박에 적용하기 위한 기반 기술 관련 IPR 확보

- 연구소를 중심으로 해상 혹은 선박 무선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적극 개발하여 관련 IPR 확보

Trace Tracking(Ver.2010 B→ 2011)

세부전략

IPR 확보방안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8

Page 52: 05 e Navigation

3.3.8. 해상디지털통신데이터링크기술

표준화-기술개발-IPR 연계분석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399

표준화-기술개발- IPR 연계방안

표준화특성 선행표준

- 해상 디지털 통신 데이터 링크 기술은 유럽과 미국에서 이미 기술 개발이 완료되어 시스템 시험 단계임.

- 또한 표준으로 ITU-R 권고 문서가 개정되었으며, 유럽에서 해당 권고에 대하여 효율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진행 되고 있음

-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ETRI, KORDI 등이 시스템 개발을 진행 중이며, 표준화와 병행하여 효율 증대를 위한 요소 기술 연구를수행중이기에 구현 규격 및 요소 기술에 대한 IPR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399

Page 53: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전략목표및세부전략(안)

400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제표준화전략목표 국제표준 협력/경쟁(부분수용)(Ver.2011)

- 국외대비 국내표준화 수준 분석에 따른 전략 : 국외 표준개발이 국내보다 앞선 단계이므로 협력과 경쟁을 통한 표준화 추진 전략

- 국외대비 국내기술개발 수준 분석에 따른 전략 : 국내기술개발이 국외기술에 비하여 뒤지는 형태로 외국 업체와 적극적 협력하고, 국내기술개발 업체 및 연구소에 적극적 지원 전략

- IPR 확보가능성 분석에 따른 전략 : 국제 표준이 일정 수준 진행되고 있는 만큼 시스템 성능 개선을 위한 핵심 요소 기술 개발 및 관련 기술표준화 전략 필요

- 국내표준화 인프라 수준 분석에 따른 전략 : 국내 표준화 인프라 수준이 보통이므로 관련 업체, 연구소, 표준화 단체 및 포럼 등이 중심이되는 산학연 협동에 의한 표준화 전략

- 국제표준화 기여도 분석에 따른 전략 : 국내 표준화 인프라 구축정도에 비하여 국제 표준화 기여도가 낮으므로 국내 관련 표준화 단체 및산학연의 협력을 통하여 국제 표준화 회의에 적극적 참여 및 활동 전략

- IPR 확보를 위해 디지털 VHF, 디지털 HF에 대한 기술 개발 및 표준화 병행

- 시스템 성능 개선을 위한 핵심 요소기술 IPR 확보

- 국내 표준화 전문기관과 협력을 통하여 관련 국제 표준화회의에 적극적 참여 및 활동으로 IPR 확보

Trace Tracking(Ver.2010 B→ 2011)

세부전략

IPR 확보방안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0

Page 54: 05 e Navigation

3.3.9. 광대역해상통신기술

표준화-기술개발-IPR 연계분석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401

표준화-기술개발- IPR 연계방안

표준화특성 선행표준

- 광대역 해상 통신 기술은 지상 이동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해상용 고속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적합한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기술개발과 표준화가 병행하여 이루어짐

- 해외 기술과 국내 기술과의 격차가 거의 없어 표준화와 IPR 확보가 매우 유망함- 광대역 해상 통신 기술은 국제적 격차가 유사한 분야이기에 조속한 산학연 협동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국제 표준화 회의에 적극적 참여 및 활동을 통한 표준화 추진

- 차세대 이동통신 분야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는 만큼 연구소 및 산업계를 중심으로 기술개발을 통하여 국제적 기술 우위 및IPR의 적극적 확보

- TTA 등 표준화 단체를 통한 기술 표준화 추진 및 IMO 와 IALA 회의 등에 적극 반 하는 국제 활동 역량강화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1

Page 55: 05 e Navigation

국제표준화전략목표및세부전략(안)

402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국제표준화전략목표 국제표준 협력/경쟁(Ver.2011)

- 국외대비 국내표준화 수준 분석에 따른 전략 : 관련 표준 채택에서 벗어나 국내 기술의 국제 표준화 준비 전략- 국외대비 국내기술개발 수준 분석에 따른 전략 : 육상 이동통신 국내기술은 세계적으로 뛰어난 기술 수준을 갖추고 있는 만큼 해상 통신 분야에 적용하여 국가 해상 통신 인프라로 적극 육성

- IPR 확보가능성 분석에 따른 전략 : 와이브로, LTE-Advanced 등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광대역 해상 통신 분야의 핵심 IPR 확보 전략

- 국내표준화 인프라 수준 분석에 따른 전략 : 산학연이 적극 참여하는 표준화 추진 체계 정비- 국제표준화 기여도 분석에 따른 전략 : 산학연관의 유기적 협력과 연구소 및 산업계 중심의 적극적 기여 필요

- 해상 환경에 적합한 육상 이동통신 기반의 전송기술 개발 및 IPR 확보

- 요소기술 선행연구를 통한 핵심 요소기술 IPR 확보

- 광대역 고속 해상 통신 인프라 구축을 위해 관이 적극 지원하고 연구소 및 민간 기업이 적극 IPR 발굴

Trace Tracking(Ver.2010 B→ 2011)

세부전략

IPR 확보방안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2

Page 56: 05 e Navigation

3.4. 중장기표준화계획

3.4.1. 중점표준화항목별중기(’11~’13) 표준화계획

3.4.2. 장기표준화계획(10개년기술예측)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403

2005 2010 2015 2020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3

Page 57: 05 e Navigation

[국내외관련표준대응리스트]

404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구 분국내

추진기구국내

관련표준기구(업체)

제정연도

제개정현황

표준명표준화항목

Report of the Correspondence Group on e-navigation IMO NAV 2007 보고서 재정중 TTA

A method for identifying essential functions of shipboard system under the e-navigation strategy IMO NAV 2007 보고서 검토중 TTA

Position-Fixing for e-navigation IMO NAV 2007 보고서 검토중 TTA

IALA and e-navigation IMO NAV 2007 보고서 검토중 TTA

Display of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as an Aid to Navigation (AtoN) IMO NAV 2007 보고서 검토중 TTA

Position fixing in e-navigation IMO NAV 2007 보고서 검토중 TTA

Comment on the report of the Correspondence Group on e-navigation IMO NAV 2007 보고서 검토중 TTA

Report from the e-navigation Correspondence Group IMO NAV 2008 보고서 검토중 TTA

The concept of S-Mode for onboard navigation displays IMO NAV 2008 보고서 검토중 TTA

A proposal to enhance th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hore-based AIS in maritime safety and environment IMO NAV 2008 보고서 검토중 TTAmanagement

IALA and e-navigation IMO NAV 2008 보고서 검토중 TTA

Road map for implementation of e-navigation strategy IMO NAV 2008 보고서 검토중 TTA

Evaluation of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ENC) Availability IMO NAV 2009 보고서 검토중 TTA

IALA’s work on e-navigation IMO NAV 2009 보고서 검토중 TTA

Satellite detection of AIS IMO NAV 2009 보고서 검토중 TTA

Results of a worldwide e-navigation user needs survey IMO NAV 2009 보고서 검토중 TTA

Methodology for developing e-navigation user needs using a task-based approach IMO NAV 2009 보고서 검토중 TTA

Report of the Correspondence Group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IALA shore-based user needs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IALA Maritime Radio Communication Plan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IALA World Wide Radio Navigation Plan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IALA proposed draft e-navigation Architecture-the initial Shore-based Perspective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IALA Aids to Navigation Information Exchange and Presentation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Evaluation of Availability of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s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Use of Multi-Hop Wireless Networks for Maritime Broadband Communication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Usability assessment methodology for navigational equipment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IALA Frequently Asked Questions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Findings of Canadian e-navigation User Needs Survey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Developing a Common Data Infrastructure for e-navigation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Considerations for the gap analysis of e-navigation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IEC 60092-101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101: Definitions and general requirements IEC TC 18 2002-08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의제

표준

NAV 53/13 -DEVELOPMENT

OF AN E-NAVIGATION STRATEGY

NAV 54/13 -DEVELOPMENT

OF ANE-NAVIGATION STRATEGY

NAV 55/11 -DEVELOPMENT

OF AN E-NAVIGATIONSTRATEGY

IMPLEMENTATIONPLAN

NAV 56/8 -DEVELOPMENT

OF AN E-NAVIGATIONSTRATEGY

IMPLEMENTATIONPLAN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4

Page 58: 05 e Navigation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405

구 분국내

추진기구국내

관련표준기구(업체)

제정연도

제개정현황

표준명표준화항목

Background of the Development of the preliminary draft guidelines for usability evaluation of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navigational equipment

Sample Images of Services and Functions of e-navigation IMO NAV 2010 보고서 검토중 TTA

IEC 60092-101-am1 Amendment 1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101: Definitions and general requirements IEC TC 18 1995-04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101-am1 Corr.1 Corrigendum 1 to Amendment 1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101: Definitions and IEC TC 18 1996-11 개정 채택 기술표준원general requirements

IEC 60092-201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201: System design - General IEC TC 18 1994-08 개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202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ie 202: System design - Protection IEC TC 18 1994-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202-am1 Amendment 1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ie 202: System design - Protection IEC TC 18 1996-0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204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204: System design - Electric and electrohydraulic steering gear IEC TC 18 1987-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1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1: Equipment - Generators and motors IEC TC 18 1980-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1-am1 Amendment 1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1: Equipment - Generators and motors IEC TC 18 1994-05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1-am2 Amendment 2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1: Equipment - Generators and motors IEC TC 18 1995-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2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302: Low-voltage switchgear and controlgear assemblies IEC TC 18 1997-05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3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3: Equipment - Transformers for power and lighting IEC TC 18 1980-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3-am1 Amendment 1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3: Equipment - Transformers for power and IEC TC 18 1997-09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lighting

IEC 60092-304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4: Equipment - Semiconductor convertors IEC TC 18 1980-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4-am1 Amendment 1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4: Equipment - Semiconductor convertors IEC TC 18 1995-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5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5: Equipment - Accumulator (storage) batteries IEC TC 18 1980-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5-am1 Amendment 1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5: Equipment - Accumulator (storage) IEC TC 18 1989-07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batteries

IEC 60092-306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6: Equipment - Luminaires and accessories IEC TC 18 1980-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307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307: Equipment - Heating and cooking appliances IEC TC 18 1980-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401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401: Installation and test of completed installation IEC TC 18 1980-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401-am1 Amendment 1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401: Installation and test of completed installation IEC TC 18 1987-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401-am2 Amendment 2 -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Part 401: Installation and test of completed installation IEC TC 18 1997-05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표준

TC 18 Electricalinstallations of ships

and of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TC 18 Electricalinstallations of ships and of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5

Page 59: 05 e Navigation

406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구 분국내

추진기구국내

관련표준기구(업체)

제정연도

제개정현황

표준명표준화항목

IEC 60092-501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501: Special features - Electric propulsion plant IEC TC 18 2007-08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502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502: Tankers - Special features IEC TC 18 1999-0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503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503: Special features - AC supply systems with voltages in the IEC TC 18 2007-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range of above 1 kV up to and including 15 kV

IEC 60092-504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504: Special features - Control and instrumentation IEC TC 18 2001-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92-506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506: Special features - Ships carrying specific dangerous goods IEC TC 18 2003-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and materials hazardous only in bulk

IEC 60092-507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507: Small vessels IEC TC 18 2008-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533 Electrical and electronic installations in ships -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IEC TC 18 1999-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1363-1 Electrical installations of ships and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 Part 1: Procedures for calculating IEC TC 18 1998-0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short-circuit currents in three-phase a.c.

IEC 61892-1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1: General requirements and conditions IEC TC 18 2001-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1892-2 ()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2: System design IEC TC 18 2005-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1892-3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3: Equipment IEC TC 18 2007-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1892-4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4: Cables IEC TC 18 2007-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1892-5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5: Mobile units IEC TC 18 2000-08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1892-6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6: Installation IEC TC 18 2007-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1892-7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7: Hazardous areas IEC TC 18 2007-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TR 62482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 Optimising of cable IEC TC 18 2008-0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installations on ships - Testing method of routing distance

IEC/PAS 60092-510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510: Special features - High-voltage shore connection systems IEC TC 18 2009-04 재정 채택 추진중 기술표준원

IEC 60945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General requirements - Methods IEC TC 80 2002-08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0945 Corr.1 Corrigendum 1 -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General IEC TC 80 2008-04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requirements -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23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Marine speed and distance measuring equipment (SDME) - Performance requirements, IEC TC 80 2007-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75 Loran-C receivers for ships - Minimum performancestandards -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TC 80 1991-07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표준

TC 18 Electricalinstallations of ships and of mobile and fixed offshore units

TC 80 Maritime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equipment and

systems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6

Page 60: 05 e Navigation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407

구 분국내

추진기구국내

관련표준기구(업체)

제정연도

제개정현황

표준명표준화항목

IEC 61097-1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1: Radar transponder - Marine search and rescue (SART)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IEC TC 80 2007-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97-2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2: COSPAS-SARSAT EPIRB - Satellite emergency position indicating radio beacon operating on IEC TC 80 2008-0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406 MHz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97-3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GMDSS) - Part 3: Digital selective calling (DSC) equipment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IEC TC 80 1994-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testing and required testing results

IEC 61097-4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4: INMARSAT-C ship earth station and INMARSAT enhanced group call (EGC) equipment - IEC TC 80 2007-10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97-6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6: Narrowband direct-printing telegraph equipment for the reception of navigational and meteorological IEC TC 80 2005-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warnings and urgent information to ships (NAVTEX)

IEC 61097-7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7: Shipborne VHF radiotelephone transmitter and receiver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IEC TC 80 1996-10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97-8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8: Shipborne watchkeeping receivers for the reception of digital selective calling (DSC) in the maritime MF, IEC TC 80 1998-09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MF/HF and VHF bands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97-9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9: Shipborne transmitters and receivers for use in the MF and HF bands suitable for telephony, digital selective calling (DSC) and narrow band direct printing IEC TC 80 1997-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NBDP)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97-10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10: Inmarsat-B ship earth station equipment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IEC TC 80 1999-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97-12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12: Survival craft portable two-way VHF radiotelephone apparatus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IEC TC 80 1996-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097-13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GMDSS) - Part 13: Inmarsat F77 ship earth station equipment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IEC TC 80 2003-05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108-1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 Part 1: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Receiver IEC TC 80 2003-07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equipment - Performance standard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108-2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 Part 2: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IEC TC 80 1998-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GLONASS) - Receiver equipment - Performance standard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표준

TC 80 Maritime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equipment and

systems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7

Page 61: 05 e Navigation

408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구 분국내

추진기구국내

관련표준기구(업체)

제정연도

제개정현황

표준명표준화항목

IEC 61108-4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s (GNSS) - Part 4: Shipborne DGPS and DGLONASS maritime IEC TC 80 2004-07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radio beacon receiver equipment -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162-1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Digital interfaces - Part 1: Single IEC TC 80 2007-04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talker and multiple listeners

IEC 61162-2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Digital interfaces - Part 2: Single IEC TC 80 1998-09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talker and multiple listeners, high-speed transmission

IEC 61162-3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Digital interfaces - Part 3: Serial IEC TC 80 2008-05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data instrument network

IEC 61162-400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Digital interfaces - Part 400: Multiple talkers and multiple listeners - Ship systems IEC TC 80 2001-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nterconnection - Introduction and general principles

IEC 61162-401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Digital interfaces - Part 401: Multiple talkers and multiple listeners - Ship systems IEC TC 80 2001-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nterconnection - Application profile

IEC 61162-402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Digital interfaces - Part 402: Multiple talkers and multiple listeners - Ship systems IEC TC 80 2005-09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nterconnection - Documentation and test requirements

IEC 61162-410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Digital interfaces - Part 410: Multiple talkers and multiple listeners - Ship systems IEC TC 80 2001-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interconnection - Transport profile requirements and basic transport profile

IEC 61162-420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Digital interfaces - Part 420: Multiple talkers and multiple listeners - Ship systems IEC TC 80 2001-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interconnection - Companion standard requirements and basic companion standards

IEC 61174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ECDIS)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IEC TC 80 2008-09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209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Integrated bridge systems (IBS)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IEC TC 80 1999-04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924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Integrated navigation systems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IEC TC 80 2006-05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993-1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Part 1: Shipborne automatic transponder system installation using VHF digital selective IEC TC 80 1999-04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calling (DSC) techniques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표준

TC 80 Maritime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equipment and

systems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8

Page 62: 05 e Navigation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409

구 분국내

추진기구국내

관련표준기구(업체)

제정연도

제개정현황

표준명표준화항목

IEC 61993-2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 (AIS) - Part 2: Class A shipborne equipment of the universal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 Operational and IEC TC 80 2001-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996-1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Shipborne voyage data recorder (VDR) - Part 1: Voyage data recorder (VDR) - Performance IEC TC 80 2007-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1996-2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Shipborne voyage data recorder (VDR) - Part 2: Simplified voyage data recorder (S-VDR) - IEC TC 80 2007-11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2065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Track control systems -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IEC TC 80 2002-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2238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VHF radiotelephone equipment incorporating Class “D”Digital Selective Calling (DSC) - IEC TC 80 2003-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2252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Radar for craft not in compliance with IMO SOLAS Chapter V - Performance requirements, IEC TC 80 2004-07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methods of test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2287-1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Class B shipborne equipment of the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 Part 1: Carrier- IEC TC 80 2006-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sense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STDMA) techniques

IEC 62288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Presentation of navigation-related information on shipborne navigational displays - General IEC TC 80 2008-07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2320-1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 Part 1: AIS Base Stations - Minimum operational and IEC TC 80 2009-05 재정 채택 추진중 기술표준원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2320-1-am1 Amendment 1 -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 Part 1: AIS Base Stations - IEC TC 80 2008-10 재정 채택 추진중 기술Minimum operational and 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2320-2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AIS) - Part 2: AIS AtoN Stations - Operational and IEC TC 80 2008-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performance 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IEC 62388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Shipborne radar - Performance IEC TC 80 2007-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requirements, methods of testing and required test results

표준

TC 80 Maritime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equipment and

systems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09

Page 63: 05 e Navigation

410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구 분국내

추진기구국내

관련표준기구(업체)

제정연도

제개정현황

표준명표준화항목

IEC 60068-1 Ed. 6.0 b KS C 0210 환경시험방법(전기?전자) 통칙) IEC TC 104 1988-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68-2-2 Amd.1 Ed. 4.0 b (KS C 0221 환경시험방법(전기?전자) 고온(내열성) 시험방법) IEC TC 104 1993-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KS C 0225 환경시험방법(전기?전자) 온도변화 시험방법 IEC TC 104 1990-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068-2-6 Ed. 7.0 b Environmental testing - Part 2-6: (KS C Tests - Test Fc: Vibration (sinusoidal) 0240 1988-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환경시험방법(전기?전자)-정현파 진동시험) IEC TC 104

16-1-4 KS C CISPR 16-1-4 전기자기장해, 내성 측정장비 및측정방법-제1-4부 : 전기자기장해, 내성 측정장비 - 보조장비 - IEC 2004-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복사성 방해

IEC 60092-101 Ed. 4.0b Electrical installations in ships - Part 101: Definitions and general requirements KS C IEC 1994-10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60092-101 선박용 전기설비-제101부 : 정의 및 일반 요구사항 IEC TC 18

IEC60533Ed.2.0en KS C IEC 60533 선박용 전기 설비 - 전기자기 적합성 IEC 2003-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IEC 60695-2-12 Ed. 1.0 b Fire hazard testing - Part 2-12: Glowing/hot-wire based test methods - Glow-wire flammability test method for materials (KS C IEC 60695-2-12 IEC TC 89 2000-10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화재 위험성 시험 - 제2부 : 시험방법 - 제2절 : 니들 플레임 시험)

IEC 61000-4-2 Ed. 2.0 b lectromagnetic compatibility (EMC) - Part 4-2: Testing and measurement techniques - Electrostatic discharge immunity test(KS C IEC 61000-4-2 IEC TC 77 2008-12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전기 자기 적합성(EMC))

IEC 62278, “Railway application -.The specification and demonstration of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and IEC TC 9 2002-09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Safety (RAMS)”, 2002

EN50126, “Railway application -.The specification and demonstration of Reliability, Availability, Maintainability and IEC 1999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Safety (RAMS)”, 1999

CLC/TR 50126-3 “Guide to the application of EN50126 for rolling stock RAMS”, 2006 IEC 20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CLC/TR 50126-2 “Guide to the application of EN50126 for safety”, 2007 IEC 2007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KS A IEC 60812:2003 IEC 20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KS A IEC 61025:2003 결함 나무 분석(FTA) IEC 2003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KS A IEC 61160:2006 설계 검토 IEC 2006 재정 채택 기술표준원

FMEA(Failure Mode and Effect Analysis) : 고장 향및형태분석 - - 재정 - 기술표준원

ASTM F2446:04(2010) Standard Classification for Hierarchy of Equipment Identifiers and Boundaries for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 (RAM) Performance Data ASTM 2010 재정 - -

Exchange

F25 on Ships and Marine Technology NEW STANDARD Volume 01.07, 2006 F 2446-04, Classification for Hierarchy of Equipment Identifiers and Boundaries for Reliability, Availability, and Maintainability IEC 2006-07 재정 - -(Ram) Performance Data Exchange REAPPROVAL OF STANDARD Volume 01.07, 2006 F 1099M-98 (2005)

표준

TC 80 Maritime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equipment and

systems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10

Page 64: 05 e Navigation

[참고문헌]

- 김 주, “21세기조선기자재산업발전전략,”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7년2월27일.

- 심우성, “선박해양 IT표준화를위한관련국제기구및현황소개”, 2008년3월, ETRI 전문가초청발표자료.

- 윤종구, “조선 해양및물류보안표준화정책,”2008년도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공동학술대회특별강연자료, 2008년5월

30일.

- http://site.ialathree.org/pages/FAQse-nav.pdf. u-navigation Frequently Asked Questions.

- 장동원 외, “유비쿼터스 해상통신망 구축을 위한 전파환경 연구”, UCT(Ubiquitous Convergence Technology) 2008,

July. 2008.

- 장동원외, “VHF 대역에서디지털해상통신망구축에관한연구”,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추계학술발표대회, 2007년 10월

- TTA 표준문서-TTAS_KO-06_0078

- TTA 표준문서-TTAS_KO-06_0079

- Guidelines for VTS (IMO Res. A. 857)

- 국토해양부, “국제해사기구(IMO) 제55차항해안전전문위원회최종보고서”, 2009년 8월.

- 방송통신위원회전파연구소, “ITU-R SG5 및 WP 5A, 5B, 5C 세부회의결과”, 2009년 6월.

- http://www.vtskorea.info/Service.do?id=intro02, 국토해양부해상교통관제센터

- 임숙희, “국내조선(선박) 및 해양플랜트자동화의현황과전망”, 해양과조선, 2009.5.13

- 송종호, “AIS(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의 Class B 타입의 CS-TDMA에대한표준화”, 2006.01.24

- TTA-07085-SA, 정보통신기술국제표준화연구

- 정보통신부“IT와타산업융합화전략심포지엄”, 한국해양대“IT-선박융합기술개발보고회”

- 국토해양부, “국제해사기구(IMO) 제56차항해안전전문위원회최종보고서”, 2010년 8월.

[약어]

ICT Standardization Strategy Map 2011

ICT융합 분야 | e-Navigation 411

약 어 전체 명칭 한 명칭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

AIS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선박자동식별장치

AtoN Aids to Navigation 항행지원설비

CGT Compensated Gross Tonnage 보정 총톤수

COMSAR Sub-Committee on Radiocommunications and Search and Rescue 무선통신 및 수색구조 전문위원회

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코드 분할 다중 접속

ECDIS Electronic Chart Display and Information System 전자해도표시시스템

EEZ Exclusive Economic Zone 배타적 경제수역

ENC Electronic Navigational Chart 전자해도

ETRI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ICOMS General Information Center of Maritime Safety & Security 종합항행안전정보시스템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11

Page 65: 05 e Navigation

412 ICT중점기술표준화전략맵 Ver. 2011

약 어 전체 명칭 한 명칭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

GMDSS Global Maritime Distress and Safety System 전세계 해상 조난 안전 시스템

IAC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lassification Societies 국제선급협회

IALA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Lighthouse Authorities 국제항로표지협회

IBS Integrated Bridge System 통합 선교 시스템

IEC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국제 전기기술 위원회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전미 전기·전자 기술자 협회

IHO 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국제수로국

IMO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국제해사기구

IMT InternationalMobileTelecommunication 첨단 이동 통신 시스템

INS Integrated Navigation System 통합 항해 시스템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국제표준화기구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국제전기통신연합

KORDI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한국해양연구원

LRIT Long Range Identification and Tracking System of Ships 장거리선박식별장치

MIMO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다중입출력 안테나

MITS Maritime IT Standards -

MSC Maritime Safety Committee 해사안전위원회

MarNIS Maritime Navigation and Information Services -

NAV Sub-Committee on Safety of Navigation 항해안전전문위원회

NM Nautical Mile 해리

NMEA National Marine Electronics Association 미국선박전자협회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직교주파수분할 다중화

PNT Positioning, Navigation & Timing -

TTA Teleco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VTM Vessel Traffic Management 해상 교통 관리

VTS Vessel Traffic System 해상 교통 시스템

WiBro Wireless Broadband 와이브로

WiFi IEEE 802.11-WLAN Wi-FiAlliance의상표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와이맥스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6-05e-Navigation 2011.1.29 6:42 PM 페이지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