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29
전전전전 (Transition Education) 2008 전전전 2 전전 전전전전전전

Upload: dinos

Post on 24-Jan-2016

123 views

Category:

Documents


5 download

DESCRIPTION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2008 학년도 2 학기 인간재활학과. 전환교육 이란 ?.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데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교육 고등학교에서 성인기로의 진입 직업생활 / 고등교육 전반적인 적응과 성공 ( 사회적 , 개인적 , 직업적 ) 삶의 질 향상 학생으로서 주된 행동으로부터 지역사회에서 나타나는 성인역할을 가정하기까지의 상태 변화 (DCDT-CEC, 1994) 성인역활 :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Transition Education)

2008 학년도 2 학기

인간재활학과

Page 2: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 이란 ?•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데 필요한 지식

및 기술을 교육– 고등학교에서 성인기로의 진입– 직업생활 / 고등교육– 전반적인 적응과 성공 ( 사회적 , 개인적 , 직업적 )– 삶의 질 향상

• 학생으로서 주된 행동으로부터 지역사회에서 나타나는 성인역할을 가정하기까지의 상태 변화 (DCDT-CEC, 1994)– 성인역활 :

고용되기 , 중등이후 교육에 참여하기 , 가정생활 유지하기 , 지역사회에서 적절한 구성원 되기 , 성공적인 개인 / 사회적 관계 경험하기

Page 3: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의 IDEA 정의 장애학생이 학교를 떠나 성인생활에 적응하는 것을

돕는 “성과중심 교육과정”• 성인생활영역

고등교육 , 학교에서의 직업훈련 , 통합된 고용 (지원고용포함 )

계속적인 성인교육과 서비스 독립생활과 지역사회참여

장애학생의 학교에서 지역사회로의 전환 촉진하는 통합적 교육활동

장애학생의 교육적 요구에 기초 , 학생의 특성 흥미 , 기호 고려

필요에 따라 일상생활기술과 기능적 직업평가 포함

Page 4: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정의의 주요점 1) 장애학생의 다양한 교육과 서비스에 관련되는

구성원이 모두 참여 2) 부모의 참여는 필수적 3) 개 별 화 전 환 교 육 계 획 (ITP) 은 16 세

이전에 4) 전환과정은 계획되고 체계적 이어야 함 5) 질적인 직업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함

Page 5: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의 필요성

• 초 - 중등 문제의 깊은 연관성• 특수교육 중재와 성과에 대한 부정적인 결과 ( 전이교육 계획과 교수의 중요성 부각 )• 불완전환 교육과정 내용

(what,how,where)

Page 6: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 주요 배경• 1960 년대 협력적 직업학습 프로그램

• 1970 년대 Career education

• 1980~1990 년대 Transition education

Page 7: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즉 , 전환교육은 ?

• 전환교육은 정해져 있는 하나의 교육프로그램이 아니라 과정 (process)이다

• 장애개인을 위해 고안된 결과중심적 교육활동이다 .

• 우리나라 특수교육진흥법 “진로교육”

Page 8: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 모형

• Will(1984) 의 Bridge 모델• Halpern(1985) 의 지역사회적응모델• Wehman(1985) 의 직업전환모델• Clark(1990) 의 포괄적 전환서비스모델• Severson 외 (1994) 의 전환교육

통합모델• Sitlington 외 (2000) 의 종합적

전환서비스모델

Page 9: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의 모형

1) 학교에서 직업으로 다리모형 (Will, 1984)

고등학교

지속적 서비스

시간제 서비스취

일반적 서비스

Page 10: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취업

주거환경 사회 ․ 대인 관계기술

2) 지역사회 적응 모형 (Halpern,1985)

지역사회적 응

시간제한적서비스

일반적서비스

지속적서비스

고등학교

Page 11: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Ⅲ. 취업결과

Ⅱ. 과정

Ⅰ . 투입과 기초

3) 장애학생을 위한 3 단계의 직업전환모형 ) (Wehman, 1985)추후

1~2 년 후

직업적 결과1. 경쟁 고용2. 이동작업반 등 지원고용

개별화된 프로그램 계획1. 전화교육의 책임에 대한 공식화2.. 조기계획

소비자 투입1. 부모2. 학생

관련기관간의 협력1. 학교학생2. 재활3. 성인 수용프로그램4. 직업 - 기술 센터

중등특수교육프로그램1. 기능적 교과과정2. 통합된 학교환경3. 지역사회에 기초한 서비스 전달

Page 12: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4) 전환교육 통합모형 (1,2,3)severson 외 (1994)

• 위에 언급한 세 모형을 통합함으로써 전환 통합모형을 제시

(1) 전환교육을 계획 / 선결조건(2) 전환 실행 (3) 전환 성과

Page 13: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기관 간 협력

1. 계획 / 선결조건 11. 전환 실행 111. 전환성과

학교교육의 견고한 토대1. 하향식 / 생태학적

지역사회중심교육과정 개발

2. 기능적 / 연령에

적합한 교육과정

3. 개별화 전환 계획

4. 조기계획

5. 통합환경

성인으로서의 적응

1. 직업

2. 주거환경

3. 지역사회

4. 여가생활

5. 중등과정 후의 교육

후 평

부모 / 학생 투입

일반적 서비스

시간 제한적 서비스

계속적 서비스

Page 14: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5) 종합적 전환 서비스 모형 Sitlington 외 (2000)

• 종합적 전환교육 모형의 차이점

- 습득이후 결과에 초점 - 발달단계에서 모든 Transiton 의 계획이

이루어져야함 ( 학령전부터 계획 ) - 의사결정시 상호 보완의 협력적 체계

필수 강조

Page 15: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 의사소통과 학업기술• 자기결정기술• 대인관계기술• 통합된 지역사회기술• 건강과 신체관리기술• 독립적 / 상호의존적 일상생활기술•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기술• 고용 기술• 후속교육과 훈련

Page 16: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생활통합 전환교육 모형 (Living Inclusion Transition Model)

생애발달 단계 진출 시점 / 전환점

영 유아 및 가정훈련 유아의 프로그램과 통합된 지역사회로 진출

유치원 및 가정훈련 초등학교 프로그램과 통합된 지역사회로 진출

초등학교 중학교 프로그램과 연령에 적절한 자기 결정과 통합된 지역사회로 진출

중학교 고등학교 프로그램이나 단순적 고용 연령에 적절한 자기 결정과 통합된 지역사회로 진출

고등학교 중등교육 이후의 교육이나 단순직 고용 , 성인 , 평생교육 , 전업주부 , 자기결정을 통합 삶의 질과 통합된 지역사회참여로 진출

중등교육 이후의 교육 특수분야 , 기술직 , 전문직 , 관리직고용 , 대학원이나 전문학교 프로그램 , 성인 평생교육 , 전업주부 , 자기결정을 통한 삶의 질과 통합된 지역사회참여로 진출

Page 17: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관련기관 및 전문가 / 부모 , 학생 , 교사간 협력

전환교육방안마련 기능중심 교육과정 마련

개별화된 전환교육 계획 (ITP) 조기수립

통합적인 전환교육 실시 방안 마련

교사의 양성과 연수

Page 18: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의 실시• 학생능력개발• 학생중심의 계획• 가족포함• 기관간의 협력• 프로그램의 구조와 관련요소

Page 19: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학생능력개발• 일상생활기술지도• 취업기술지도• 진로와 직업적 교과과정• 직업평가• 지원

Page 20: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학생중심계획• 14 세 이전에 계획 및 서비스 제공• IEP 개발• 학생참여• 조정과 계획전략

Page 21: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가족포함• 가족훈련• 가족포함• 가족권한부여 전략

Page 22: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기관간의 협력• 개별적 수준의 계획• 내부기관간의 구조• 협력적인 서비스 전달• 기관수준에서의 계획• 인적자원개발

Page 23: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프로그램 구조와 관련요소• 프로그램 철학• 프로그램 정책• 전략적 계획• 프로그램 평가• 자원 할당• 인적자원개발

Page 24: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 프로그램실시 단계• 전환교육계획수립을 위한 평가• 개별화 전환교육계획 (ITP) 수립

– IEP 에서 14 세 이상 학생에게 전환교육 서비스 포함– 성공적인 성인생활 적응과 관련된 교육과정과 교과목 초점 (ITP

예 , p486)– 종합적인 전환교육 계획 및 시행

• 조기 전환교육 시행가능• 장애학생과 가족의 요구반영• 미래계획에 근거한 성과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구성• 직업 , 추후교육 / 훈련 , 거주 , 레크리에이션 / 여가의 4

영역에서의 목적 및 교육성과를 구체적으로 기술 전환교육 결정관련 질문들 (p484)

• 전환서비스 실시

Page 25: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평가 (1)

• 개별적 진단방법 1) 배경정보분석 2) 면접 / 질문지 3) 심리측정검사 4) 작업표본 5) 교과중심진단 기술 6) 상황평가

Page 26: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전환교육평가 (2)

• 주거환경분석• 직무분석• 프로그램분석• 목표로 하는 환경 ( 미래작업환경 ) 분석

Page 27: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직업 ( 고용 )

• 경쟁고용 (competitive employment)

• 지원고용 (supported employment)

• 보호작업고용 (sheltered workshop)

Page 28: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 주거생활–어디에서 살 것인가 ?

• 중등이후의 필요한 교육 –대학교육 –직업훈련 및 교육지원 관련서비스

• 여가및 레크레이션

–질적인 삶

Page 29: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궁극적 목표• 삶의 질 향상

• 장애 편견과 오해의 차별 감소

• 자기주장– 자기옹호– 자기결정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