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정책과제 발굴...

165
2014- ( ) ( ) ( ) ( ) ( ) ( ) ( ) ( ) ( )

Upload: others

Post on 03-Jan-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 2014-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정책 과제 발굴

    연 구 책 임 자

    공 동 연 구 자

    협 력 연 구 진

    연 구 조 원

    김 이 경 (중 앙 대 학 교)김 경 회 (성신여자대학교)오 대 영 (가 천 대 학 교)최 돈 민 (상 지 대 학 교)김 용 (청주교육대학교)이 경 자 (경 상 대 학 교)김 지 혜 (중 앙 대 학 교)안 지 윤 (중 앙 대 학 교)김 현 정 (중 앙 대 학 교)

    교 육 부

  • 이 연구는 교육부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아 수행되었으며, 연구에서

    제시된 대안이나 의견 등은 교육부의 공식 의견이 아닌 연구진의 견해

    임을 밝혀둡니다.

  • - 1 -

    - 목 차 -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

    3. 연구 방법 ··········································································································5

    Ⅱ. 미래 교육환경 변화 전망 ····································································10

    1. 창의적 지식기반사회 심화 ··············································································11

    2. 교육시장 개방화 및 민간부문의 교육진출 확대 ···········································13

    3. 기술 및 지식의 융복합화 ···············································································16

    4. 산업구조 변화 가속화 ·····················································································17

    5. 저출산 고령화 사회의 고착화 ········································································19

    Ⅲ. 교육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22

    1. 분석 개요 ·········································································································22

    2. 설문조사 개요 및 결과 ···················································································24

    3. 분석 결과 ·········································································································35

    Ⅳ. 교육정책과제의 방향 및 추진전략 ····················································41

    1. 지식의 창출·활용 능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한 학교교육의 적합성 제고 · 42

    가. 창의적 수업활동 확대 ··············································································42

    나. 학생평가방식 개선 ···················································································51

  • - 2 -

    2.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공교육의 경쟁력 제고 및 이를 담당할 수 있

    는 교사 확보 ·································································································58

    가. 수요자의 교육선택권 확대 ······································································58

    나. 교직적성을 지닌 교사 선발 ·····································································64

    3. 융합형 인재양성에 적합하도록 초·중·고등교육 프로그램 개선 ···················70

    가.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 및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도입 ········70

    나. 대학의 전공/학과 간 융합교육 강화 ······················································79

    4. 직업교육의 변화 대응성 및 적합성 강화 ····················································101

    가. 산업구조 변화에 대한 직업교육의 대응성 강화 ···································101

    나. 직업교육과 산업현장의 연계성 강화 ····················································106

    5. 지속적 자기계발 및 경제활동 참여를 위한 평생학습 인프라 구축 ···········109

    가.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109

    나.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 강화 ························································116

    Ⅴ. 요약, 결론 및 제언 ·············································································122

    1. 요약 ················································································································122

    2. 결론 및 제언 ·································································································137

    참고문헌 및 부록 ·······················································································143

    참 고 문 헌 ·················································································································143

    [부록] 설문조사지 ·······································································································156

  • - 3 -

    표 차 례

    정책분석협의회 일정 및 안건 ········································································8

    설문조사대상 표집 및 응답 결과 ···································································25

    설문조사도구 문항 구성 ·················································································26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교원 ·········································································27

    창의적 인재양성 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 교원 ··········································28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 - 교원 ································30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학부모 ·····································································31

    창의적 인재양성 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 학부모 ·······································32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 - 학부모 ····························34

    학생과 대학에 제공되는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 정보 ···························53

    국내 대학들의 융복합 교양교육의 현황 ······················································83

    해외대학들의 융복합 교양교육의 현황 ························································88

    리버럴 아츠(liberal arts) 교육 실시 일본 대학·학부 사례 ··························90

    연도별 특성화고 취업자/진학자 추이 ······················································102

    시·도별 평생교육진흥원 관련 추진 현황 ···················································111

    평생교육 추진기관 소관내역 ·······································································112

    연도별 비형식 평생교육기관 프로그램수 ·················································117

    직업관련 비형식교육 참여율(2013년) ························································117

    일본 사회교육시설의 강좌 프로그램 분포 현황(2011. 10. 1기준) ···········120

  • - 4 -

    그 림 차 례

    [그림 1] 연구의 내용 및 방법 ·······················································································9

    [그림 2] 인터넷이용률 및 이용자수 변화 추이 ··························································12

    [그림 3] 사교육비 추이 ································································································14

    [그림 4] 입시학원 수 변화 ··························································································14

    [그림 5] 교육시스템에 대한 신뢰도와 PISA 순위 비교 ···········································15

    [그림 6] 한국과 선진 7개국의 제조업 고용 비중 추이 ············································18

    [그림 7] 한국과 선진 7개국의 서비스업 고용 비중 추이 ········································18

    [그림 8] 기술변화에 따른 과업의 변화 ·······································································19

    [그림 9] 학령인구 변동 추계 ·······················································································20

    [그림 10] 연령별 인구구성비 ·······················································································21

    [그림 11] 최종 정책과제 선정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과정 ······································23

    [그림 12] 정책과제의 실현 정도와 확대·강화 필요성 인식 간의 차이 - 교원 ·······36

    [그림 13] 정책과제의 실현 정도와 확대·강화 필요성 인식 간의 차이 - 학부모 ····· 37

    [그림 14] 10대 정책과제의 실현 정도와 확대·강화 필요성 인식 간의 차이 ············40

    [그림 15]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육정책과제의 방향 및 추진전략 ··········41

    [그림 16] 서울시 교육과정거점학교 5개 유형 ····························································75

    [그림 17] 도쿄 4개 대학 연합의 복합과정 개념도 ·····················································95

    [그림 18] 대학 입학자원 규모 전망 및 입학정원 변화 추이 ·····································97

    [그림 19] 정부의 사립대 퇴출 제도 방안 마련 움직임 ··········································100

    [그림 20] 일본의 평생학습 추진 체제 ·······································································114

    [그림 21]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육정책과제의 방향 및 추진전략 ········126

  • - 1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오늘날 사회는 지식정보화, 세계화, 다원화, 융복합화 등의 급격한 변화로인하여 이전 사회에서는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상황과 환경에 직면해 있

    음. 점차 예측이 불확실해 가는 시대 변화에 대응하고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음.¡ 이러한 세계적 추세에 따라 OECD 주요 선진국들은 국가 차원의 미래 연구

    를 통해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미래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국가 과제 선

    정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음. 우리나라 역시 주요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하여 미래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 개혁에 총

    력을 기울임. ¡ 특히 박근혜 정부 출범 이후 창조경제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창의적 인재 양

    성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함. 창조 경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창조 산업이 꽃을 피워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창조적 역량과 스킬을 지닌 인재를키워내야 하기 때문임. 그 동안 창의적 인재를 양성해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학교교육이 총체적

    으로 변화되어야 한다는 요구가 끊임없이 제기되었음. 특히 이번 정부는‘창조 경제’, ‘창의 인재’를 정책 기제로 내세우는 한편, 이를 구현하기 위한 범부처 간 전략이 국가적 관심사로 부상했다는 점에서 전례

    없는 중요성을 엿볼 수 있음. 창의인재란과학기술 활용과 상상력을바탕으로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

    한 융합을 시도하고, 글로벌 경쟁력 및 도전정신, 타인에 대한 배려심을바탕으로 한국 사회를 이끌어 가는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인재임.

  • - 2 -

    ¡ 하지만과연 우리나라 교육 정책의 현주소는 창의적 인재를 키워낼수 있는

    여건과 풍토 조성하기에 적합한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그리 긍정적이지

    못함. 박근혜 정부는 이명박 정부의 창의, 자율 등의 정책기조를 계승하여 지

    속적으로 관련 정책을 추진하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으나, 지난 정권부터의 현실을 적시해 볼 때 여전히 창의적 인재를 키워낼 만한 여건과 풍토

    조성이 미흡하다고 판단됨. 특히 수요자들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획일적 교육으로 학

    생과 학부모, 교원 모두가 학교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으며, 여전히 사교육 억제 및 입시 완화 등 규제지향적인 정책을 많이 활용하고 있음.

    이러한 모습의단면으로, 2013년 12월 3일에 발표된 2012년 OECD 국제학업성취도평가(PISA) 결과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지적 능력은 세계적으로 상위권에 속하는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지적흥미도는 OECD 국가 중 최하위권으로 나타나, 주입식 공부로 성적은 우수해도 미래를 꿈꿀 여유가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음(연합뉴스2013.12.4.일자).

    ¡ 이러한 국가적 관심사가단순한 구호나 선의의 시도로 그치지않고, 교육제도에 반영되어 실질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추진동력을 얻기 위해서는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함. 이런 점에서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정책이라 할지라도, 국민적 요구

    등을 반영하여 새로운 전략으로 접근할 필요성이 있고, 그러기 위해서는향후 정책과제를 적극 발굴해야 함.

    지금까지 수많은 정책과제들이 형성 및 제시되었으나, 교육의 직접적 공급자와 수요자인 교원 및 학부모의 요구가 교육정책 형성과 집행에 어느

    정도 반영되어왔는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상당히 미흡하다고 판단됨.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육정책과제 발굴에 있어서 국민적 요구를 적극적

    으로 반영하고자 함.

  • - 3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 정부 정책과제에 대한 교원,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그간 추진해온 정부정책과 수요자들의 인식 간의 괴리

    가 있는지 확인하고 가장 미진하다고판단되는 정책과제부터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연구방법을 활용함.¡ 교육정책이 학교 현장에 구현되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정권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어야 하는 과제가 있고, 정부의 국정철학과 비전을 반영한 이니셔티브를 토대로 새롭게 추진되어야 하는 과제도 존재함. 과거에도 창의적 인재 양성을 지향하며 교육정책 과제들이 탐색되었으나, 새 정부 출범 후 1년이 경과하는 시점에서 창의적 인재 양성이라는 교육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정책 과제를 적극 발굴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정부 정책의큰방향 가운데창의적 인재 양성에 초점

    을 두고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특히 교육을 둘러싼 미래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의 관점에서 교원

    및 학부모의 인식과 전문가 협의 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우선적

    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를 발굴하고자 함.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이 연구는 크게 미래 교육환경 변화 전망, 교육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교육정책과제의 방향 및 추진전략으로 구분되며, 세 가지 영역의 연구 내용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제언을 제시함.

    1) 미래 교육환경 변화 전망

    ¡ 교육환경을 둘러싼 미래 변화를 예측하고, 각각의 의미와 현황을 제시함. 주요 교육환경 변화로 ⑴ 창의적 지식기반사회 심화, ⑵ 교육시장 개방

    화 및 민간부문의 교육진출 확대, ⑶ 기술 및 지식의 융복합화, ⑷ 산업

  • - 4 -

    구조 변화 가속화, ⑸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고착화 등 5개 변화를 제시함.

    2) 교육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 현재 우리나라 교육이 얼마나 창의적 인재 양성에 적합한가, 또한 각 정책과제들이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확대 및 강화될 필요가 있는가 등에 대

    한 교원 및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교육정책과제의 우선순위를 분

    석함. 이를 위해 창의적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이

    러한 정책들의 현재 실현 정도와 향후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 간의 괴리

    를 분석하여 미진하다고 판단되는 정책과제를 우선적인 과제로 제시함.¡ 또한 설문조사 결과와 더불어 정책분석협의회와 문헌분석 결과를 종합적으

    로 고려하여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의 관점에서 최종 정책과

    제를 선정함.

    3) 교육정책과제의 방향 및 추진전략

    ¡ 앞서 살펴본 미래 환경 변화 전망 및 우선순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선적

    으로 추진해야 할 10대 교육정책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전략을 탐색함.

    ¡ 각 정책과제의 필요성, 현황 및 문제를 살펴보고, 각 정책이 창의적 인재양성에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세부 과제를 제시함.

    ¡ 새로운 과제의 도입·적용과 관련하여 이를 이미 시행하고 있거나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해외 사례를 제시하여 정책과제의 실현가능성을 높임.

  • - 5 -

    3. 연구 방법

    ¡ 현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교육정책 가운데에서는 정책 수립 및 집행현황

    과 교육 현실 간의괴리를밝히는것이 중요하고, 아직 추진되지않은 정책의 발굴 및 구현을 위해서는 외국의 정책 사례를 탐색하는 등의 과정이 매

    우 중요하므로 교육정책을 다각도로 조망할 수 있는 방법론을 활용할 필요

    가 있음. ¡ 이에 문헌 분석을 통하여 선행연구 및 실태에 관한논의를 종합하고,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외국의 창의인재양성 정책 동향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및 정책분석협의회 등의 방법을 통하여 교육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이해관계자들의 의견을 분석하는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함.

    1) 문헌 분석

    ¡ 목적 : 주요 정책 진단및 평가를 위한 분석틀및 분석 내용을 도출하고, 최종 정책과제 선정의 참고자료로 활용

    ¡ 내용 : 국내외 정부 정책 문서 및 각종 연구자료 탐색 국내에서 발표된 정부 정책 문서, 교육부 업무보고 자료, 각종 연구보고

    서 및 논문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탐색

    해외에서 출판된 주요 서적, 외국 정부의 정책보고서, 외국 정부의 웹사이트에 탑재된 주요 제도 관련 정보 등을 통해 외국의 교육개혁 사례 분

    새정부 출범이후 실시된주요 정책을살펴보고 이와 관련한 연구 결과에대해 체계적으로 분석

  • - 6 -

    2) 해외사례 분석

    ¡ 목적 : 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새로운 교육개혁을단행한 국가의 제도 및 정책 개혁 사례 분석 및 시사점 도출

    ¡ 대상 : 일본, 중국, 독일, 미국, 영국, 핀란드 등의 관련 정책 사례¡ 내용 : 창의적 인재 양성과 관련하여 혁신적인 정책과제를 선도적으로 추진

    하고 있는 해외 주요국들의 사례 조사

    해당 국가의 맥락, 환경 등은 연구진 및 전문가 협의를 통해 숙지하고, 본 보고서에는벤치마킹가능한 정책 사안을 중심으로 사례를 간략히 정

    리함.¡ 방법 :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정책의 수립과 집행에귀감이 되는 주

    요 국가의 개혁 사례가 현장에서 적용되는 모습을 문헌과 현장 방문 및 관

    계자 면담을 통해 탐색

    특히 일본과 중국의 경우, 해당 국가의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협의회를 진행하고 원고 용역을 통해 창의적 인재 양성과 관련된 각국의 교육

    개혁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이후 연구진이 중국의 대학과 중등학교 및국가 교육정책 연구기관을 직접방문하여 관계자를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함.

    3) 설문조사

    ¡ 목적 : 향후 창의적 인재 양성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정책의 방향 및 세부과제를탐색․발굴하기 위하여 이해관계자들(stakeholders)을 대상으로 한 관련 정책의 실현 정도 및 확대․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조사 실시 이를 통해 창의적 인재양성과 관련된 정책과제들의 실현 정도와 개선의

    필요성 간의 괴리를 밝힘으로써 향후 정책과제의 우선순위 설정의 참고

    자료로 활용하고자 함.

  • - 7 -

    ¡ 대상 : 초․중․고등학교의 교원, 학부모 등 교육정책에 직․간접적으로 관여하는 이해관계자

    ¡ 내용 : 창의적 인재 양성과 관련된주요 교육정책의 실현 정도 및 확대․강화의 필요성 등 총 56문항

    ¡ 방법 : 비례유층표집을 통해 전국 초․중․고 503개 학교를 선정하고, 해당 학교 구성원(해당학교 교원 전원, 각학교당 학부모 10명) 등을 대상으로온라인 설문 조사 실시

    4) 정책분석협의회 개최

    ¡ 목적 : 연구목적 및 내용의타당성, 연구 결과의 적합성 및 실현가능성 등을검토하고 관련 주제 발굴 및 아젠다 형성을 위한 관계자 및 전문가 협의

    ¡ 대상 : 각교육정책의 수립, 집행에 참여하거나 분야 전문성이탁월한 학자, 연구자 및 현장 실천가와 더불어 외국 사례에 능통한 지역연구 전문가

    ¡ 내용 : 정책연구 추진 내용 및 과정의 적절성, 발굴한 정책과제 유형 및 내용의 창의인재 양성과의 관련성, 현재 추진 중인 정책과의 정합성, 최종 연구 결과의 실현가능성 등에 대한 의견 타진

    ¡ 방법 : 연구 진행 과정에서 총 11차에 걸쳐 정책분석협의회를 개최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시사점 도출

    ¡ 연구기간 중 개최된 정책분석협의회의 일정 및 안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

    음( 참조).

  • - 8 -

    회의일자 회의명 안건

    2013. 12. 16. 1차 협의회 Ÿ 정책연구 추진방향 논의

    2013. 12. 31. 2차 협의회 Ÿ 연구 내용 및 목차 설정

    2014. 01. 14. 3차 협의회 Ÿ 교육을 둘러싼 미래 환경 전망과 이에 대한 대응전략 탐색

    2014. 02. 18. 4차 협의회

    Ÿ 해외사례 분석 전문가 초청 및 연구방향에 관한 의견 청취

    Ÿ 교육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초․중등교육, 고등교육, 평생․

    직업교육, 교원분야 각 영역별 정책과제 선정

    2014. 02. 27. 5차 협의회

    Ÿ 교육부 기획담당관 및 담당 사무관 참석

    Ÿ 연구 개요, 목차 구성 협의

    Ÿ 정부 정책 추진내용에 관한 내용 공유

    Ÿ 각 영역별 정책과제 협의

    2014. 03. 07. 6차 협의회Ÿ 미래 환경 전망에 대한 대응전략 탐색

    Ÿ 각 영역별 정책과제에 대한 내용 공유

    2014. 04. 05. 7차 협의회 Ÿ 설문조사, 방문 및 면담조사 도구 개발

    2014. 05. 11. 8차 협의회 Ÿ 설문조사, 방문 및 면담조사 도구 확정

    2014. 05. 30. 9차 협의회 Ÿ 설문조사, 방문 및 면담조사 진행상황 확인

    2014. 07. 04. 10차 협의회

    Ÿ 교육부 기획담당관 및 담당 사무관 참석

    Ÿ 설문조사, 해외사례 분석 결과 종합 및 공유

    Ÿ 최종 분석 정책과제 선정을 위한 협의

    2014. 07. 21. 11차 협의회 Ÿ 최종 10대 정책과제 선정

    정책분석협의회 일정 및 안건

  • - 9 -

    ¡ 이상의 연구 내용 및 방법을 총체적으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음([그림 1] 참조).

    [그림 1]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 10 -

    Ⅱ. 미래 교육환경 변화 전망

    ¡ 미래 사회는 지식정보화, 세계화, 다원화, 융복합화 등의 심화로 인하여 변화의 속도가 매우 빠르고, 이전 사회에서는 경험할 수 없었던 새로운 상황과 환경에 직면할 것임. 점차 예측이 불확실한 미래 사회에 대응하여 세계각국은 국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사회에 부합하는 가치를 창출하기 위

    한 전략으로 창의적 인재 양성을핵심 과제로 설정하여 교육 체제의 변화를

    추진하고 있음.¡ 유럽연합(EU)에서는 개인의 성장 및 사회, 경제 발전에 있어서 창의성과 혁

    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2009년을 ‘창의성과 혁신의 해’로 선포한 바 있으며, 국제연합(UN)이 발간한 「2010 창조경제 보고서」에서도 창조산업

    (creative industries)의 도래와 함께일자리 창출, 혁신, 사회통합에 대한국가적 관심이 증대하면서 창의성, 지식, 문화,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됨(한국교육개발원 미래교육위원회, 2011).

    ¡ 우리나라 역시 과거 선진국 추격형 인재 양성으로 국가의 상당한 양적 성장

    을 이루었지만질적 성장의 한계에봉착하며주도형 인재 양성에 대한 요구

    에 직면함. 미래 주요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전략 중 하나로서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시스템 개혁의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으며, 이를 전략적으로 준비하기 위해서는 교육을 둘러싼 미래 환경 변화를 전망할

    필요가 있음. ¡ 이 장에서는 창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체제에 영향을 미칠미래 환경

    전망을크게다섯가지-1) 창의적지식기반사회의 심화, 2) 교육시장개방화및 민간부문의 교육진출 확대, 3) 기술 및 지식의 융복합화, 4) 산업구조 변화 가속화, 5)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고착화-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관련현황 및 변화 추이 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함.

  • - 11 -

    1. 창의적 지식기반사회의 심화

    ¡ 오늘날 지식, 정보, 기술 이용량의 폭발적 증가 및 시대와 국경을 뛰어넘는지식 공유로 인해 미래 사회는 지식기반사회로서 더욱 심화될전망임. 창의적 지식기반사회는 단순 지식, 정보, 기술의 양적 축적보다는 새로운 지식을 정의하고 상황에 맞게 지식을 활용 및 재구성할 수 있는 창의적 역량과

    스킬을 중요시하는 사회이며, 정보 기술의 발달로 창의적 지식기반사회는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임.

    ¡ 창의적 지식기반사회의 심화로 인해 인간의 두뇌나 빅데이터에 내장된 지

    식, 아이디어, 통찰력, 문제해결력 등이 사회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되며 창의적 두뇌력을 가진 인재가 미래 사회에서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됨(유현숙 외, 1999).

    o 정보 기술의 발달로 지식의 시·공간적 제약 극복

    ¡ 급속도로 진전된정보 기술의 발달은 PC, 휴대전화, 태블릿 PC 등의 기기를사용하여 시대와 국경을 뛰어넘는 지식 공유를 가능하게 만들었음. 현대의인간을 ‘호모 모빌리쿠스(homo mobilicus)’라 표현하듯, 지구 인구의 약80%가 인터넷을 사용하며필요한 지식, 정보, 기술 등을 습득할 수 있는 사회에 접어듦([그림 2] 참조).

  • - 12 -

    (단위: %, 천명)

    [그림 2] 인터넷이용률 및 이용자수 변화 추이

    1) 모바일 인터넷(이동전화 무선인터넷)을 포함

    2) 만3세 이상 인구를 대상으로 함

    ※ 출처: 방송통신위원회·한국인터넷진흥원(2011).

    o 지식을 창조하는 능력과 활용하는 능력이 각광받는 시대

    ¡ 지식이 다른 어떠한 생산요소보다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회로 접어듦

    에 따라 사회에 필요한 지식을 창조하는 능력을 가진 인재가 경쟁력을 가

    짐. 사회의 유행과 기술의 발달에 따라 지식의 가치가 끊임없이 변화하기때문에 한번 생성된지식의 가치는 가변적이고 일회적임. 과잉공급되는 정보 중에서 가치있는것을 선별하고 이를 활용하는 능력이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함. ¡ 또한 정보는 공개되는즉시누구든정보에접근할 수 있는 공공재적 성격을

    지니기 때문에 단순히 지식을 획득하는 능력만으로는 더 이상 시대를 선도

    하는 인재로 인정받지못함. 습득한 지식을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기존 지식을 재구조화하여 필요에 맞게 새로운 지식으로 변형할 수 있는 능력이 미래 사회에서는 무엇보다 중요함.

  • - 13 -

    2. 교육시장 개방화 및 민간부문의 교육진출 확대

    ¡ 과거 국민에게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던 국가 주도의 공교육은 교육의 독점

    적 영향력을 가졌으나(유현숙 외, 1997) 소규모화, 다양화, 특성화된 민간교육 체제의 등장과 교육수요자의 감소로 교육은 점차 국가주도 통제 모형

    에서 탈피하여, 시장 통제 모형으로 변화하는 추세임. 수요자의 교육 선택권이 중시되면서 교육시장의 개방화 및 민간부문의 교육 진출은 계속해서

    확대될 전망임. 만일 국가가 제공하는 공교육 서비스의 품질이 이를 따라가지 못한다면

    공교육 자체도 민간부분 및 사교육으로 대체될 가능성도 적지 않음. 이에 미래 사회에서 공교육이 위협받지 않고 경쟁력을 갖추려면, 수요자들의 교육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유연성과 대응성을 갖추는 것이 매우

    중요함. 미래에 대비하여 학생들이 창의적 역량과 스킬을 갖출 수 있도록 공교육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음.

    o 교육수요자의 다양한 교육적 요구가 보장받는 시대

    ¡ 저출산에 따른 학령인구 감소와 민간부문의 교육 시장 진출로 교육 수요자

    의 선택권이 확대되고 합리적 선택의 기회가 늘어남. 따라서 교육 공급자들은 수요자들의 요구를충족시키기못할 경우 도태될것이며, 수요자의 의사와 상관없이 제공되는 교육은 도외시될 것임(박재윤 외, 2010).

    ¡ 기존학교교육의 일방향성 및획일성과달리 민간 기관 교육의 개별맞춤형

    관리 및 컨설팅 등으로 민간 기관이 담당하는 교육의 수요는 늘어나고 그

    영향력 역시 커질 것임. 2012년 초·중·고등학교 사교육비 총액은 약 19조원으로 추산되었으며,

    1인당월평균사교육비는 23만 6천원이었음. 사교육 참여율과 사교육 지출비 증가에 따라 사교육기관의 수 역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임.

  • - 14 -

    [그림 3] 사교육비 추이

    ※ 출처: 양정호(2013)

    [그림 4] 입시학원 수 변화

    ※ 출처: 한국교육개발원(2012)

    o 창의적 인재를 키워낼 수 있도록 공교육 경쟁력 강화

    ¡ 빠르게변화하는 사회적 요구와 창의적 인재 양성에 대한 국민적 요구에 민

    감하게대응하려면폐쇄적이고 경직되어있는 공교육 체제를 유연하게전환

  • - 15 -

    하는 일이 시급함. 고등교육 진학과 취업 사이의 자유로운 선택과 이동을 보장하지 못하고

    국내외 사회적 변화에 대한 대응이 미흡하다는 비판이 계속해서 제기되

    는 가운데, 교육정책에 대한 국민의낮은만족도와 공교육 이외의 교육 대안에 대한긍정적인 반응과 참여는 공교육의 지위와 위상이 점차 하락하고 있음을

    보여줌. 한국은 전 세계에서 손꼽히는 높은 교육성취도를 보이지만, 공교육에 대

    해 점점 낮은 신뢰도를 보임([그림 5] 참조).

    [그림 5] 교육시스템에 대한 신뢰도와 PISA 순위 비교※ 출처: Varkey GEMS Foundation(2013)

    ¡ OECD(2006)는 공교육이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더욱 유연하고, 민첩하게대응하고, 투명하게운영하고, 높은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지속적으로 혁신할 때 미래 사회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 전망함.

  • - 16 -

    3. 기술 및 지식의 융복합화

    ¡ 첨단기술의 발달및 산업의 고도화, 융합화 추세가 심화됨에 따라 미래 사회의 기술 및 지식의 융복합화 현상은 더욱 가속화될 전망임. 이전 사회와는 전혀다른 차원의 문제들이 등장하고, 새로운 지식 및 학문 영역이탄생함에 따라 교육, 과학기술, 문화 등의 학제간 또는 다양한 분야간의 융합이계속해서 강조될 전망임(김규태, 2008). 고용 없는 저성장 시대에 진입함에 따라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노력으로단일기술의 한계를극복한 기술 및 지식의 융합

    과 통합 현상이 가속화되고 있음. 이에 다양한 기술 및 지식의 융복합적 시너지를 창조할 줄 아는 지식집

    약적 인재가 미래에 각광받을 것으로 전망됨.

    o 학문의 경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영역의 탄생

    ¡ 기존에 가지고 있던 지식의틀속에갇혀볼수 없었던패턴이깨지고 다른

    지식의 개념, 이론, 방법 등을 차용하고 새로운 연구 주제를 발견하고 새로운 분야를 개척함으로써새로운 지식이 계속해서탄생함(오헌석 외, 2012). 예컨대바이오공학과 인적자원개발의 통합으로 대학의바이오 전문 인력

    과 산업체의 신상품 개발 프로젝트를 연계하는 등의 사례가 보고됨. 생체정보처리(IT+BT), 지능형극미세전자기계시스템(IT+BT+재료), 메카트로닉스(IT+기계), 친화성재료기술(IT+재료) 등다양한형태의융합기술개발이 진전되는 상황임.

    o 인간이 해결하지 못한 난문제 해결책 제시

    ¡ 기후변화와 환경오염, 인구구조 변화, 핵문제, 대체 및 신재생 연료개발, 합성 생물학 등과 같이 미래사회에 접하게 되는 문제는 이전사회의것보다 복

    잡·다양하기 때문에 단일 방법으로는 문제 해결이 어려움(박상욱, 2012).

  • - 17 -

    이러한 문제들을 다룰수 있는 역량은 하나의 특정한 기술이나 지식으로양성되는것이 아니라 기술 및 지식 간 융합혹은 통섭적접근을 통해갖

    추어짐(박재윤 외, 2010). 기술 및 지식의 융합 능력은 단순히 여러 지식을 습득하는 데 머무르지않고 상황 맥락 속에서 지식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이해한 것을 또 다른지식과 결합하여 유연하고 유창하게 문제 상황에 적용하는 능력으로(김경자·온정덕, 2011) 미래 인재에게 요구되는 핵심 역량 중 하나임.

    4. 산업구조 변화 가속화

    ¡ 산업구조가 고도화되고, 그 변화속도가 더욱 빨라짐에 따라 노동시장에서는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전문지식과 숙련을 지닌 고급인재를 요구함. 과거에 성행했던 농업, 임업, 어업, 제조업 등에 종사하는 노동자는 지속

    적으로 감소하는 반면 서비스업, 과학기술산업 등에 종사하는 전문가에대한 수요는 더욱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임(박재윤 외, 2010).

    o 변화하는 산업구조에 대응하기 위한 민감성과 적응성

    ¡ 세계 경제의 통합으로 인한글로벌경제의 확대,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 등으로 산업구조는 매우 빠르게 변화되어옴. 과거 산업구조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제조업의 비중은 대부분의

    OECD 국가들 사이에서 하락하는 추세임. 한국 역시 1980년대까지 가장큰 비율을 차지했던 제조업이 빠른 속도로 쇠퇴해왔음([그림 6] 참조).

    OECD 국가들의 서비스업의 비중은 1980년대부터높아지기 시작함. 한국역시 이러한 추세를뒤따라가고 있으며 2020년을 전후하여 전체 산업 중서비스업 고용비중이 75% 이상을 차지할것으로 전망됨([그림 7] 참조).

  • - 18 -

    [그림 6] 한국과 선진 7개국의 제조업 고용 비중 추이

    ※ 출처: OECD STAN indicators database(2005); 안상훈(2006) 재인용

    [그림 7] 한국과 선진 7개국의 서비스업 고용 비중 추이

    ※ 출처: OECD(2005) STAN indicators database(2005); 안상훈(2006) 재인용

    ¡ 산업구조 변화에 따라 핵심직무역량 역시 변화하고 있음. 제조업의 비중이높았던 과거에는 정형적이고 반복적인 과업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단편적

    지식이나 기능의 숙지가 요구되었던 반면,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현재에는 비반복적이고 분석적 과업이 대부분을 차지하여 고도의 사고력과 창의

    적 문제 해결력 등이 요구됨([그림 8] 참조). 즉, 최근 고도기술과 지식기반

  • - 19 -

    서비스 산업이 주를 이루면서 직접지식을 창출하고 창출된지식을 실제 현

    장에 적용하는 역량이 중요시 되는 추세임(박노원·이상원·박영수, 2006). ¡ 인적자본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는 산업구조 속에서 인적자원의 숙

    련도를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는 가운데, 급속하게 변화하는 사회 및 상황을 민감하게 파악하는 능력과 적응하는태도가 중요한 문제로 등장함에 따라 창의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지닌 인

    재가 요구되고 있음.

    [그림 8] 기술변화에 따른 과업의 변화

    ※ 출처: Levy & Murnane(2005); King(2010); 한국교육개발원(2011) 재인용

    5. 저출산․고령화 사회의 고착화

    ¡ 미래학자들은 미래를 이끄는 결정적 힘이 개인에게 달려있다고 보았으며, 인구대국이 강대국으로발돋움할것이라 전망하였음(김희규 외, 2010). 하지만출산율의감소로 지구촌의 총인구는 2050년까지 최고치를달성한 후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평균 수명의 연장으로 많은 국가들이 고령화사회로접어들 전망임. 이로 인해 경제활동인구수는 지속적으로감소하고, 노동시장에 참여하는

  • - 20 -

    중장년층의 비율은 증가할 전망임. 이에 변화하는 노동시장 구조에 빠르게적응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 및 창의성을갖춘인재가 요구되며, 능동적으로 자신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적 인재가 요구됨.

    o 생애 전 과정을 통한 평생학습으로 지속적인 인적자원 개발

    ¡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의 지속적 감소에 대응하는 교원수급, 학교수급, 교육시설, 교육재정 등 학교 구조의 개편이 필요함. 1970년대 4.3명에달했던한국의합계출산율은 1980년대 2.9명, 1990년대

    1.6명, 2010년 1.23명으로초저출산수준이지속되고있음(이철희, 2012). 이에 따라 6~21세의 학령인구 역시 1980년부터지속적인감소 추세로접

    어들어, 2000년 1,138만명에서 2040년에는 669만명으로급감할 전망임([그림 9] 참조).

    (단위: 천명)

    [그림 9] 학령인구 변동 추계

    ※ 출처: 통계청(2010). 장래인구추계

    ¡ 평균수명증가로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음. 한국은 2000년

  • - 21 -

    고령화사회로 진입한 이후, 2018년 고령사회(14.3%), 2026년 초고령사회(20.8%)에도달할것으로예측됨([그림 10] 참조). 한국의고령화속도는세계 유례없는 빠른 속도임.

    (단위: %)

    [그림 10] 연령별 인구구성비

    ※ 출처: 통계청(2010). 장래인구추계

    ¡ 학령인구가 급감하고 고령인구가 급증함에 따라 전체 인구 중 생산가능인

    구(15~64세)의 비중은낮아지고 있음. 이러한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중장년층이 노동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임. 이들은 급변하는 노동시장에적응하고 노동력의 높은 질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것

    임. 이에 성인들의 교육시장은 학령기 교육 못지않게 성장할 것으로 추정됨.

  • - 22 -

    Ⅲ. 교육정책과제 발굴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1. 분석 개요

    1) 목적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인재 양성과 관련하여 미진하다고 판단되는 정

    책과제를 선별하고 최종 정책과제 선정의 참고자료를 확보하고자 각 과제

    의 우선순위를 분석함. 이를 위해 교원 및 학부모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정책분석협의회를 개최

    하였으며,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최종 10대 정책과제 추진전략을 선정함.

    2) 방법

    ¡ 창의적 인재양성 관련 정책과제의 우선순위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문헌분

    석, 정책분석협의회, 살문조사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였음.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 관련된 대통령 업무보고 자료, 교육부

    업무보고 자료, 정부 정책문서, 관련 학술자료 등 다양한 문헌을 분석함. 정책분석협의회를 통해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해 현재 추진 또는 논의되

    고 있는 정책과제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조사도구를 개발하

    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최종 정책과제를 선정함. 현재 추진 또는 논의되고 있는 창의적 인재양성 관련 정책에 대한 학교

    현장의 교원 및 학부모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함.¡ 정책과제의 최종 우선순위 분석에 있어서는 설문조사, 정책분석협의회, 문

    헌분석 결과 등을 참고하였으며 각 분야(초․중등교육 및 교원정책, 고등교

  • - 23 -

    육, 평생․직업교육)의균형과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성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음.

    ¡ 최종 교육정책과제 선정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 과정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음([그림 11] 참조).

    [그림 11] 최종 정책과제 선정을 위한 우선순위 분석과정

  • - 24 -

    2. 설문조사 개요 및 결과

    가. 설문조사 개요

    1) 조사 목적

    ¡ 학교 현장의 교원 및 학부모의 인식을 조사하여 현재 우리나라 창의인재양

    성 교육정책의 실현 정도를 진단하고, 향후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교육정책과제를 탐색함. 먼저 현재 우리나라 교육이얼마나 창의적 인재 양성에 적합한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현 수준을 진단함. 또한 창의인재양성을 위한 다양한 교육정책을 제시하고 각 정책의 현재

    실현 정도와 향후 강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조사하여 현 상황과 교원 및

    학부모의 요구 사이의 괴리를 밝힘. 조사 결과를 토대로 향후 정책과제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이를 10대

    최종 교육정책과제 선정의 참고자료로 활용함.

    2) 조사 대상

    ¡ 조사 대상은 전국 503개 초․중․고등학교의 교원 및 학부모임( 참조).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조사통계연구본부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전국

    초·중·고등학교 11,408개교 가운데 약 4.4%에 해당하는 503개교를 유층 표집함(지역, 학교급, 설립유형, 학급수 등 고려).

    표집대상 학교의 교원 전체와 학년을 고려하여 고루 선발한 각 학교별학부모 1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함.

    조사 응답률은약 32.6%로, 전체조사대상 24,038명(교원 19,008명, 학부모 5,030명) 가운데 7,848명(교원 6,104명, 학부모 1,744명)이응답하였음.

  • - 25 -

    구분학교급

    합계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학교(개교) 253 142 108 5031)

    교원(명)표집 9,656 6,549 2,803 19,008

    응답(응답률) 2,757(28.5%) 1,866(28.4%) 1,481(52.8%) 6,104(32.1%)

    학부모(명)표집 2,530 1,420 1,080 5,030

    응답(응답률) 1,050(41.5%) 438(30.8%) 256(23.7%) 1,744(34.6%)

    합계표집 12,186 7,969 3,883 24,038

    응답(응답률) 3,807(31.2%) 2,304(28.9%) 1,737(44.7%) 7,848(32.6%)

    설문조사대상 표집 및 응답 결과

    1) 전국 초·중·고등학교의 약 4.4%(2014년 4월 기준)

    3) 조사 기간 및 방법

    ¡ 설문조사는 2014년 5월 28(수)일부터 6월 15(일)일까지 총 19일간 시행됨.¡ 응답자가온라인 설문조사 사이트에접속하여 응답자별(교원, 학부모)로 개

    발된 조사지에 직접 답하는 방식을 활용함.

    4) 조사 도구

    ¡ 설문조사 도구는 연구진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음.

    ¡ 조사 내용은 3개 영역의 총 56문항(교원)과 54문항(학부모)으로 구성됨. 구체적으로살펴보면, 조사 내용은크게 1) 응답자 특성, 2) 창의적 인재

    양성 교육 전반에 관한 인식, 3)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의 3개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은 정책과제의 ① 현재 실현 정도에 대한 인식과 ② 확대·강화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볼 수 있음( 참조).

  • - 26 -

    구분 문항수

    응답자 특성

    § 직위(교원만 응답)§ 연령§ 지역§ 학교소재지

    § 학교급§ 학교설립유형§ 학급수(교원만 응답)

    7

    창의적 인재양성

    교육 전반

    § 창의 인재 양성 교육의 필요성§ 현재 우리나라 교육의 창의적 인재 양성 수준§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성 수준§ 현재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들의 창의성 수준§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성 수준§ 현재 우리나라 대학교 학생들의 창의성 수준§ 현재 우리나라 성인들의 창의성 수준

    7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제1)

    ① 실현 정도

    ② 확대·강화 필요성

    초·중등교육 및 교원정책 분야

    §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중⋅고등학교 유형의 다양성 (국제·과학·예체능 학교 등)§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 학생들의 교육선택권 (교과선택 등)§ 서술형 중심의 학생평가§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자율성§ 영재성을 키우는 교육§ 창의적인 수업활동§ 교직적성을 지닌 교사 선발§ 성과와 업무량에 기반을 둔 교원보수제도§ 성과에 기반을 둔 교사들의 근무희망학교 선택권§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24

    고등교육 분야

    § 대학의 학생선발권§ 사립대학 운영의 자율성§ 대학의 특성화§ 대학의 전공/학과 간 융합교육

    8

    평생 및 직업교육 분야

    § 전문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평생학습에 대한 국가 수준의 지원§ 산업구조변화에 대한 직업교육체제의 대응성§ 자격과 학력을 상호 인정하는 시스템§ 산업현장과 직업교육의 연계성

    10

    합계 교원: 56문항, 학부모: 54문항

    설문조사도구 문항 구성

    1) 각 정책과제마다 2개 문항으로 구성됨(실현 정도 1문항, 확대·강화 필요성 1문항).

  • - 27 -

    나. 설문조사 결과

    1) 교원 설문조사 결과

    가) 응답자 특성

    ¡ 설문조사에 응답한 교원은 총 6,104명으로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같음( 참조).

    구분 빈도(명) 비율(%)

    직위

    교장 182 3.0

    교감 221 3.6

    수석교사 39 0.6

    부장교사 1,497 24.5

    교사 4,165 68.2

    연령

    30대 이하 2,455 40.2

    40대 1,672 27.4

    50대 이상 1,977 32.4

    학교소재지

    특별광역시 2,036 33.4

    중소도시 2,671 43.8

    읍면 1,397 22.9

    학교급

    초등학교 2,757 45.2

    중학교 1,866 30.6

    고등학교 1,481 24.2

    학교설립유형국공립 4,831 79.1

    사립 1,273 20.9

    학급수

    10학급미만 939 15.4

    10~19학급 1,113 18.2

    20~29학급 1,760 28.8

    30~39학급 1,747 28.6

    40학급이상 545 8.9

    합계 6,104 100.0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교원

  • - 28 -

    나) 창의적 인재양성 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 교원들은 전반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교육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적

    합하지않으며(2.40),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매우 필요하다고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남(4.22)( 참조).

    ¡ 또한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의 생애주기별 창의성 수준을 묻는 질문에 대해

    서는 대체로 부정적으로 응답하였음(2.70)( 참조). 초등학생(3.17), 중학생(2.79), 고등학생(2.52), 대학생(2.62), 성인(2.42)의

    창의성을 묻는 질문에 초등학생에 대해서만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음. 중학생, 고등학생, 대학생, 성인의 창의성에 대해서는 모두 부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특히 성인의 창의성에 대해 가장 부정적으로 응답하였음.

    문항 평균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22

    현재 우리나라 교육은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40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3.17

    현재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79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52

    현재 우리나라 대학교 학생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62

    현재 우리나라 성인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42

    창의적 인재양성 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 교원

    다)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

    ¡ 문헌연구 및 정책분석협의회를 통해논의된창의적 인재양성 관련 21개 정책과제를 제시하고, 각 정책과제의 현재 실현 정도와 확대·강화 필요성에대한 인식을 조사함.

    ¡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창의적 인재양성 관련 교육정책의 현재 실현 정도(2.83)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응답하였고, 각 정책을 확대 또는 강화해야

  • - 29 -

    한다(3.66)는 데에는 긍정적으로 응답함( 참조).

    o 정책과제의 현재 실현 정도에 대한 인식

    ¡ 각 정책과제의 현재 실현 정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은2.84점으로 교원들은 대체로 현재 창의적 인재양성과 관련된교육정책과제들이제대로실현되지못하고있다고생각하는것으로나타남( 참조).

    ¡ 세부 영역별로는, 초․중등교육 및 교원정책 분야(2.84), 고등교육 분야(3.01)에 비해 평생 및 직업교육 분야(2.69) 정책과제들의 실현 정도가 가장낮다고 응답함( 참조).

    o 정책과제의 확대 및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 각정책과제가 확대 및 강화되어야 하는지를묻는질문에 대해 교원들은 대

    체적으로 긍정적으로 응답하였음(3.66)( 참조).¡ 특히 현재 실현 정도가 매우 낮다고 응답한 평생 및 직업교육 분야 정책과

    제들의 확대 및 강화 필요성에 대해 가장 공감하는것으로 나타남(3.93). 그다음으로는 초·중등교육 및 교원정책 분야(3.59), 고등교육 분야(3.54) 순으로 각 정책과제를 확대 및 강화해야 한다고 응답하였음( 참조).

  • - 30 -

    정책과제

    현재 실현 정도 확대강화의 필요성

    평균부문

    순위

    전체

    순위평균

    부문

    순위

    전체

    순위

    초중등

    교육

    교원

    정책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2.65 12 19 3.58 8 15

    중⋅고등학교 유형의 다양성 2.93 3 5 3.54 9 16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 2.67 11 18 3.65 5 12

    학생들의 교육선택권 2.78 7 10 3.60 7 14

    서술형 중심의 학생평가 3.04 1 3 3.44 10 17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성 2.95 2 4 3.70 4 11

    영재성을 키우는 교육 2.76 10 15 3.61 6 13

    창의적인 수업활동 2.77 9 13 3.85 2 6

    교직적성을 지닌 교사 선발 2.90 5 7 3.89 1 5

    성과와 업무량에 기반한 교원보수제도 2.88 6 8 3.20 12 21

    성과에 기반한 교사의 근무희망학교 선택권 2.93 3 5 3.24 11 19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2.78 7 10 3.76 3 9

    평균 2.84 3.59

    고등

    교육

    대학의 학생선발권 3.15 2 2 3.39 3 18

    사립대학 운영의 자율성 3.23 1 1 3.21 4 20

    대학의 특성화 2.87 3 9 3.78 1 8

    대학의 전공/학과 간 융합교육 2.78 4 10 3.76 2 9

    평균 3.01 3.54

    평생

    직업

    교육

    전문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2.77 1 13 3.90 4 4

    평생학습에 대한 국가 수준의 지원 2.71 3 17 3.93 3 3

    산업구조변화에 대한 직업교육체제의 대응성 2.61 4 20 3.98 2 2

    자격과 학력을 상호 인정하는 시스템 2.75 2 16 3.82 5 7

    산업현장과 직업교육의 연계성 2.60 5 21 4.00 1 1

    평균 2.69 3.93

    전체 평균 2.83 3.66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 - 교원

  • - 31 -

    2) 학부모 설문조사 결과

    가) 응답자 특성

    ¡ 설문조사에 응답한 학부모는 총 1,744명이며,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음( 참조).

    구분 빈도(명) 비율(%)

    연령

    30대 이하 445 25.5

    40대 1,165 66.8

    50대 이상 134 7.7

    학교소재지

    특별광역시 610 35.0

    중소도시 581 33.3

    읍면 553 31.7

    학교급

    초등학교 1,050 60.2

    중학교 438 25.1

    고등학교 256 14.7

    학교설립유형국공립 1,431 82.1

    사립 313 17.9

    합계 1,744 100.0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 학부모

    나) 창의적 인재양성 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 학부모들은 전반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교육이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적합하지않으며(2.29),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매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남(4.28)( 참조).

    ¡ 현재 우리나라 국민들의 생애주기별 창의성 수준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으로 응답하였음(2.60)( 참조). 초등학생(2.96), 중학생(2.65), 고등학생(2.46), 대학생(2.59), 성인(2.32)의

    창의성에 대해 모두 부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교원의 응답경향과 마찬

  • - 32 -

    가지로 특히 성인의 창의성에 대해서 가장 부정적으로 응답하였음.

    문항 평균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4.28

    현재 우리나라 교육은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는 데 적합하다고 생각하십니까? 2.29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학생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96

    현재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65

    현재 우리나라 고등학교 학생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46

    현재 우리나라 대학교 학생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59

    현재 우리나라 성인들은 창의적이라고 생각하십니까? 2.32

    창의적 인재양성 교육 전반에 대한 인식 - 학부모

    다)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

    ¡ 문헌분석 및 정책분석협의회를 통해 창의적 인재양성과 관련된 21개 교육정책과제를 제시하고, 각 정책과제의 현재 실현 정도와 확대·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

    ¡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창의적 인재 양성과 관련된 각 정책과제들의 현재실현 정도(2.66)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응답하였으며, 각과제를 확대또는강화해야 한다(3.91)는 데에는 긍정적으로 응답함( 참조).

    o 정책과제의 현재 실현 정도에 대한 인식

    ¡ 정책과제의 현재 실현 정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전체 평균은 2.66점으로 학부모들은 대체로 현재 창의적 인재양성과 관련된교육정책과제들

    이 제대로 실현되지못하고 있다고 생각하는것으로 나타남( 참조).¡ 세부 영역별로는, 초․중등교육 및 교원정책 분야(2.67), 고등교육분야(2.83),

    평생 및 직업교육 분야(2.51)의 정책과제들 가운데, 교원의 응답경향과 마찬가지로 특히 평생 및 직업교육 분야 정책과제의 실현정도가 가장낮다고 응

  • - 33 -

    답함( 참조).

    o 정책과제의 확대 및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

    ¡ 창의적 인재양성과 관련된 정책과제들이 확대 및 강화되어야 하는지를 묻

    는질문에 대해 학부모들은 상당히긍정적으로 응답함(3.91)( 참조).¡ 특히 세부 과제별로는 현재 실현 정도가 매우 낮다고 응답한 평생 및 직업

    교육 분야 정책과제들의 확대 및 강화 필요성에 가장 공감하는것으로 나타

    남(4.12). 그 다음으로는 초·중등교육 및 교원정책 분야(3.87), 고등교육 분야(3.77) 정책과제들 순으로 확대 및 강화될필요가크다고 응답하였음. 이러한 학부모의 응답경향은 교원의 응답경향과 동일하게나타나 전반적으로

    교원과 학부모의 요구 경향이 유사한 것을 알 수 있음( 참조).

  • - 34 -

    정책과제

    현재 실현 정도 확대강화의 필요성

    평균부문

    순위

    전체

    순위평균

    부문

    순위

    전체

    순위

    초중등

    교육

    교원

    정책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 2.67 7 10 3.81 8 15

    중⋅고등학교 유형의 다양성 2.73 5 7 3.87 5 12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 2.50 12 18 3.97 3 9

    학생들의 교육선택권 2.54 9 15 3.94 4 11

    서술형 중심의 학생평가 2.89 1 2 3.70 11 18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편성·운영 자율성 2.80 3 5 3.81 8 15

    영재성을 키우는 교육 2.58 8 13 3.87 5 12

    창의적인 수업활동 2.51 11 17 4.14 2 5

    교직적성을 지닌 교사 선발 2.54 9 15 4.22 1 1

    성과와 업무량에 기반한 교원보수제도 2.76 4 6 3.71 10 17

    성과에 기반한 교사의 근무희망학교 선택권 2.84 2 4 3.59 12 20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2.73 5 7 3.83 7 14

    평균 2.67 3.87

    고등

    교육

    대학의 학생선발권 2.89 2 2 3.62 3 19

    사립대학 운영의 자율성 3.08 1 1 3.44 4 21

    대학의 특성화 2.68 3 9 4.01 1 7

    대학의 전공/학과 간 융합교육 2.65 4 11 4.01 1 7

    평균 2.83 3.77

    평생

    직업

    교육

    전문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제공 2.56 2 14 4.13 4 6

    평생학습에 대한 국가 수준의 지원 2.46 3 19 4.15 3 4

    산업구조변화에 대한 직업교육체제의 대응성 2.44 5 21 4.16 2 3

    자격과 학력을 상호 인정하는 시스템 2.62 1 12 3.96 5 10

    산업현장과 직업교육의 연계성 2.46 3 19 4.18 1 2

    평균 2.51 4.12

    전체 평균 2.66 3.91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정책과제에 대한 인식 - 학부모

  • - 35 -

    3. 분석 결과

    ¡ 본 연구는 현 정부 정책의큰방향 가운데창의적 인재 양성에 초점을두고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를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특히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조사를바탕으로 미진하다고판단되는 정책과제를 우선적

    인 과제로 제시함. 이때 미진하다고 판단되는 정책과제란 현재 실현 정도와 확대 및 강화

    필요성 간의 괴리가 큰 과제를 의미함.¡ 최종 정책과제 선정 시에는 교원 및 학부모 설문조사 결과 뿐 아니라 정책

    분석협의회 결과, 정부 정책문서 등 문헌조사 결과 등을 함께고려하였으며특히 2장에서 제시된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의 관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음.

    가. 교원 설문조사를 통한 우선순위 분석 결과

    ¡ 교원 설문조사를 통한 21개 정책과제의 우선순위 분석 결과는 아래 [그림12]와 같으며, 각 정책의 현재 실현정도와 확대 및 강화 필요성 간의 인식차이가 큰 순서대로 나열하여 정리하였음. 정책과제의 확대 및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현재 실현 정도 간의 차

    이(확대․강화필요성 - 실현정도)는최대 1.39점에서최소 –0.02점으로나타남.

  • - 36 -

    [그림 12] 정책과제의 실현 정도와 확대·강화 필요성 인식 간의 차이 - 교원

    나. 학부모 설문조사를 통한 우선순위 분석 결과

    ¡ 학부모 설문조사를 통한 21개 정책과제의 우선순위 분석 결과는 아래 [그림13]과같으며, 각정책과제의 현재 실현정도와 확대 및 강화 필요성 간의 인식 차이가 큰 순서로 나열하여 정리하였음. 정책과제의 확대 및 강화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현재 실현 정도 간의 차

    이(확대․강화 필요성 - 실현정도)는 최대 1.72점에서최소 0.35점으로 나타났으며, 교원보다는 인식의 차이가 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남.

  • - 37 -

    [그림 13] 정책과제의 실현 정도와 확대·강화 필요성 인식 간의 차이 - 학부모

    다. 우선순위 분석 종합 결과

    ¡ 문헌분석, 정책분석협의회, 설문조사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창의적 인재양성과 관련된정책과제들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 총 10대 정책과제가 선정되었음. 10대 정책과제 가운데 7개 과제는 설문조사 결과를 통해 선정되었고, 2

    개 과제는 설문조사와 정책분석협의회 결과를 함께고려하여 선정되었으

    며, 1개 과제는 정책분석협의회를 통해 추가 선정되었음.

    o 설문조사 기반 선정과제(7개)

    ¡ 교원과 학부모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정책과제는 ‘직업교육체제의 산업구조변화 대응성’, ‘산업현장과 직업교육의 연계성’, ‘평생학습에 대한

  • - 38 -

    국가 수준의 지원’, ‘교직적성을 지닌 교사 선발’, ‘창의적인 수업활동’, ‘전문화된 평생교육 프로그램 제공’, ‘대학의 전공/학과 간 융합교육’ 등 7개 과제로, 교원 및 학부모의 요구가 공통적으로 높은 과제들임. 위의 7개 과제 가운데 초․중등교육 분야 및 교원정책 분야의 정책과제로

    는 ‘창의적인 수업활동’, ‘교직적성을 지닌 교사 선발’ 2개 과제가선정되었음.

    고등교육 분야의 정책과제로는 ‘대학의 전공/학과 간 융합교육’ 1개과제가 선정되었음.

    평생 및 직업교육 영역의 정책과제로는 ‘직업교육체제의 산업구조변화대응성’, ‘산업현장과 직업교육의 연계성’, ‘평생학습에 대한 국가수준의 지원’의 4개 과제가 선정되었음.

    o 설문조사와 정책분석협의회 기반 선정과제(2개)

    ¡ 학부모와 교원 각각의 지지도는 높았으나, 공통적으로 학부모와 교원 모두의 지지를 얻지 못한 정책과제의 경우, 설문조사와 정책분석협의회 결과를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종 과제로 선정하였음.

    ¡ 먼저 설문조사 결과를토대로 교원 및 학부모각각의 입장을 고려하여 교원

    에게 많은 지지를 받았던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과제와 학부모에게 많은 지지를 받았던 ‘학생들의 교육선택권 확대’과제를최종 10대 정책과제에 일부 수정하여 포함하였음. 정책분석협의회 논의 결과, ‘교사들의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과제

    의 경우 정부 정책과의 연계성 및 미래 환경변화에의 대응성을 고려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 및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도입’이라는 과제로 최종 제시하였음.

    ‘학생들의 교육선택권’의 경우, 학부모만이 높은 지지를 보여주었으나‘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은 교원 및 학부모 모두에게 높은 지지를받았음. 따라서 정책분석협의회의 논의를 통해, ‘학생들의 교육선택

  • - 39 -

    권’과 ‘수요자의 학교선택권’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는 최종 정책과제로 ‘수요자의 교육선택권 확대’ 과제를 제시하였음.

    o 정책분석협의회 기반 선정과제(1개)

    ¡ 정책분석협의회를 통해 논의한 결과, ‘서술형 중심의 학생평가’ 과제를최종 10대 정책과제에 추가 선정하였음. 해당 과제는 전문가들이 여타 교육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해 반드

    시 함께 선정되어야 하는 과제라는 의견이 수렴되었음. 또한 현 정권 내에서의 실현 가능성과 미래 환경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의

    관점에서 해당 과제를 최종 정책과제에 포함해야 한다는데모두동의하

    였음.¡ 이상의 우선순위 분석 과정을 통해 최종 선정된 10대 정책과제는 ⑴ 창의적

    수업활동 확대, ⑵ 학생평가방식 개선, ⑶ 수요자의 교육선택권 확대, ⑷ 교직적성을 지닌 교사 선발, ⑸ 교육과정 운영의 자율성 확대 및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 도입, ⑹ 대학의 전공/학과 간 융합교육 강화, ⑺ 산업구조변화에 대한 직업교육의 대응성 강화, ⑻ 직업교육과 산업현장의 연계성 강화, ⑼ 평생학습 지원체제 구축, ⑽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전문성 강화임.

    ¡ 본 연구에서는 위 10대 정책과제 향후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정책 추진전략으로 보고, 과제의 유사성 및 미래 환경변화에의 대응성의 관점을 고려하여크게 5개의 정책방향으로 나눈후, 각방향별 추진전략으로 2개씩을제시하였음.

    ¡ 10대 정책과제에 대한 교원 및 학부모의 요구를 종합하여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음([그림 14] 참조).

  • - 40 -

    [그림 14] 10대 정책과제의 실현 정도와 확대·강화 필요성 인식 간의 차이

  • - 41 -

    [그림 15]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교육정책과제의 방향 및 추진전략

    Ⅳ. 교육정책과제의 방향 및 추진전략

    ¡ 본 연구에서는 우선순위 분석을 통해 선정된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10대교육정책과제 추진전략을 과제의 유사성 및 미래 환경 변화에의 대응성을

    고려하여크게 5가지 방향으로 나누고, 방향별로 2개의 추진전략을 제시함. ¡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전략으로 최종 선정된 교육정책과제의 방

    향 및 추진전략을 종합적으로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음([그림 15] 참조).

    ¡ 교육정책과제의 5가지 방향은 1) 지식의 창출 활용 능력을 지닌 인재양성을위한 학교교육의 적합성 제고, 2) 수요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공교육 경

  • - 42 -

    쟁력 제고 및 이를 담당할 수 있는 교사 확보, 3) 융합형 인재양성에 적합하도록 초․중․고등교육 프로그램 개선, 4) 직업교육의 변화대응성 및 적합성강화, 5) 지속적 자기계발 및 경제활동 참여를 위한 평생학습 인프라 구축등임.

    ¡ 위의 5개 방향에 따라 각각 2개씩 제시된 추진전략에 대해서는 필요성, 현황 및 문제, 세부과제를 제시하고, 벤치마킹할 수 있는 해외사례를 함께 제시함으로써 정책의 실현가능성을 담보하고자 하였음.

    1. 지식의 창출·활용 능력을 지닌 인재양성을 위한 학교교육의 적합

    성 제고

    가. 창의적 수업활동 확대

    1) 필요성

    o 학습환경 변화에 따른 수업활동 변화의 필요성

    ¡ 지식의폭발적 증대와 지식 활용 주기의단축으로 현대 사회는 지식을빠르

    게가공하고 재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인재를 원하고 있음. 이러한 시대적 변화는 기존의 교과 지식 전달위주의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 문제를제기하며 학교 수업현장에서 좀 더 다양하고 창의적인 수업활동을 전개하

    도록 요구함.¡ 학생의 창의적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학생 스스로 지적 호기심과 학습

    의욕을 가지고 문제에 대한 답을 찾아가도록 하는 창의적 수업활동을 확대

    할 필요가 있음. 이를 위해 실제로 창의적인 수업활동을 개발 및 준비하고, 실제로 진행하는 교사의 역량이 매우 중요함.

  • - 43 -

    2) 현황 및 문제

    o 학생의 참여와 흥미를 이끌어내지 못하는 교사 위주의 수업활동

    ¡ 학생들의 학습효과를극대화하기 위해 개별 학생의 수준과 능력에 따른 학

    습이 필요함. 그러나 여전히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 맞춤형 학습보다 교사위주의 강의 중심 수업이 진행되고 있어 수업활동에 대한 학생의 참여와 흥

    미가 낮은 문제가 심각함.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는 주로 대학을 중심으로

    ‘Flipped learning’을 적용하고 있음. 현재 많은 대학에서 학생이 수업활동에 활발히 참여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출할 수 있도록 미리 과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등의 방식을 활용함.

    교수자가 일방적으로 지식을 전달하고 학습자는 전달받은 지식을흡수하기 위해 과제 등을 수행하는 것과 반대로, 위와 같이 수업 전에 미리 관련 과제와 피드백을 제시함으로써수업시간 지식 공유 활동의질을높이

    고 수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음.

    o 활용자원 시스템 구축 미흡으로 인해 형식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창의

    적 체험활동

    ¡ 학생들이 주요과목 위주의암기식 수업에만치중하여 국제학업성취도 결과

    에서는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교과에 대한 동기와 흥미, 자신감 등과같은 영역에서는 최하위권에머무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적 체험활동을 하나의 핵심 내용으로 제시함.

    ¡ 하지만 학교의 여건이 그대로인 상황에서 형식적인 창의적 체험활동에 머

    무를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됨. 이에 지역사회의 자원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다양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지원하는 창의체험자원지도가 대두되게

    됨(김현철 외, 2012).

  • - 44 -

    ¡ 하지만 현재는 지역사회기관과의 협조와 시스템 구축 미흡 문제 등 지역사

    회자원을 효율적으로 연계하여 학교 현장의 창의적 체험활동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채 창의체험자원지도 사업의 지속이 불투명

    한상태임(이기붕외, 2011). 무엇보다도 창의체험자원지도가 성공적으로자리 잡기 위해서는 지역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과제로 지적되고 있음.

    o 교사의 창의적 수업 역량을 판단하고 지원하기 위한 도구 부족

    ¡ 수업활동의 변화를 위해서는 교사의 수업 역량 자체가매우 중요하나, 교사들 간의 역량의 격차가매우큼. 또한 교사들의 창의적 수업 역량을 제고하려는 노력은 여전히 미흡하며 교사들은 자신의 역량을 제대로 진단조차 못

    하고 있음. ¡ 교사들의 창의적 수업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서는먼저 현 상황에 대한 체계

    적 진단이 수행되어야 함. 현재는 체계적이고객관적인 진단도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교사 자신의 역량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함.

    ¡ 교사들은 스스로의 진단을 통해 끊임없이 자신의 역량에 대해 반성하며 지

    속적인 학습과 수업에 대한 혁신을 통해 전문성을 발전시켜나갈 수 있음. 이러한 방안 중 하나로 최근 교원평가제도가 실시되고 있지만, 형식적으로이루어지고 있을 뿐 우수 교사를 판별하고 피드백을 제공하는 등의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 향상에 대한 지원이 되고 있지 않음.¡ 한국형 교사 CQ 개발하는 것은 실제 현장에서 창의성을 발휘하는 교사가

    담당한 직무를 위해 어떤태도, 기술, 지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타 교사들로 하여금 그들이 직무수행 시 우선적으로수행해야 할 요소와 달성 수준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강석주, 2004). 또한 개발된 한국형 CQ를 현직 연수프로그램에 활용한다면 연수의현장 적용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임.

  • - 45 -

    3) 세부과제

    가) ‘Flipped Learning’의 초중등학교 적용(시범학교)

    o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위한 한국형 Flipped Learning

    ¡ ‘Flipped Learning’이란 학생들이 학교에서 수업을 받은 후 집으로 돌아가 복습하던 기존 교육의 방식을 거꾸로 뒤집는 교수-학습방법임. (수업 전) 학생들은 수업을 받기 전 교사가 제작한 콘텐츠를 보고 새로배울 내용을 학습함. 이 때, 학습한 내용을 점검할 수 있도록 간단한 문제풀이 등을 시행하며, 모르는 내용이나 질문사항을 표기해 놓음.

    (수업 활동) 학생들은 개별적으로 전날 학습한 내용에 대한질문을 교사에게 하며, 교사는 이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함. 이 활동이 끝난 후 학습에서 익힌 내용을 적용해 볼 수 있는 토의와 토론, 문제해결, 프로젝트등과 같은 활동을 진행함. 이 때, 교사는 개인 혹은 팀별로 진행되는 활동 사항을살펴본 후잘못된부분이나잘된부분 등에 대해 조치를 취함.

    (수업 후) 교사는 수업 활동에서익힌내용을좀더 고차원적으로 학습할수 있도록 다양한 자원과 피드백을 지속적으로 제공함(이지연·김영환·김영배, 2014).

    ¡ ‘Flipped Learning’은 기존에 내용을 전달하는 강의시간을 수업 전으로옮김에 따라 공교육의 수업활동을 정상화하고 활성화하는데 기여함으로써

    학생들이 수업에 참여하고 몰입하게 만듦. 많은 선행연구에서도 ‘Flipped Learning’이 질문, 토의와 토론, 문제해결, 프로젝트 등과 같은 다양한 수업 방식으로 학생들을 흥미도와 이해도를 높이는 등 긍정적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남. 교사는 학습촉진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학생은 자기주도적 학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됨. 때문에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내적 동기가 더욱 강하게 유발되고 책임감이 강해지는 효과가 있음(김백희, 2013).

  • - 46 -

    학습내용에 대해 기존방식보다많이노출됨으로써학습경험이 축적되고심화학습이 가능해짐(이동엽, 2013).

    학습의 중심에 학생이놓임으로써학습자의 능력과 수준에맞게지식 습득이 가능해지며, 개별화 수업으로 인해 학생 간 실력 편차가 줄어듦(이동엽, 2013).

    교사의 일방적인 내용 전달에서 그치는것이 아니라 계속적인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으로 교사-학생 간 관계에긍정적 영향을 미침(Bergmann, Overmyer & Wilie, 2013; 이지연·김영환·김영배, 2014에서 재인용).

    ¡ ‘Flipped Learning’을 실제 초·중등학교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활용하여 학습할 수 있는 환경과 교사가 강의

    를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함. 때문에 Flipped Learning을 한국형 교육방식으로 받아들이기 위해 시범학교를 지정하여 이러한 환경을 만

    들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함.

    o 해외사례

    § 미국 콜로라도 주의 우드랜드 파크 고등학교의 화학 수업에서 flipped learning 학

    습 전략을 계획함. 교사들은 화학 수업 내용을 미리 동영상 강의로 제작하여 수업

    전날 학생들이 수강할 수 있게 함. 수업에서는 동영상 강의에 대한 질의응답과 해

    당하는 화학 문제 풀이를 한 후 개별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함. 그 결과 학생들의

    실질적인 학업성취도와 자율학습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교사와 학생간 관계가 눈

    에 띄게 좋아졌음.

    ※ 출처: 김진숙(2013)

  • - 47 -

    § 미국의 세일럼 스쿨에서는 6학년 전체 학생들에게 랩탑을 제공한 뒤 flipped lear

    ning을 시행함. 학생들은 수업 전 비디오로 제작된 강의를 시청하였으며, 수업 중

    에는 기존에 집에서 했던 과제를 하도록 함. 교사들은 강의를 직접 제작하였으며,

    수업 시간 중 학생들의 활동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기 때문에 학습 실패를 방지하

    였음. 이로 인해 학업 부진과 같은 문제가 상당히 줄어듦.

    ※ 출처: 김진숙(2013)

    나) 창의적 체험활동 지원 강화 (창의체험자원지도(CRM) 지원 확대 등)

    o 창의적 체험활동 활성화를 위한 창의체험자원지도(CRM) 지원 확대

    ¡ 창의·인성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점차 커지는 시점에서, 교사와 학생들이교과지식 위주의 학교활동에서 벗어나 다양한 진로탐색 활동, 동아리 활동등에 참여・활동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제도적 지원책이 시도되고 있음. 현재 창의적 체험활동, 중학교 자유학기제 등과 같은 참여・활동형 프로

    그램이 학교에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으나 아직 형식적인 차원에 머무르

    고 있어 이를 더욱 내실화할 수 있는 추가적인 지원이 필요한 상황임. ¡ 창의체험자원지도(CRM: Creative-Activity Resource Map)란 180개지역교육

    청 단위로 활용 가능한 지역의 모든 자원(시설, 프로그램, 인적 자원 등)을체계적으로 소개하는 매뉴얼임(교육과학기술부, 2009). 이 프로그램은 지역 내 교육자원들의 데이터 베이스(정보 수집 항목)를

    구축하고 교육자원의 소재지를 지도 형태로 제시하고 있음. 지역별, 영역별, 대상별, 날짜별, 과목별로 나누어져 있어 자신이 원하는 조건의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검색할 수 있음.

    창의인성교육넷 사이트에탑재된창의체험자원지도에는 2014년 현재 전국 19858여곳(체험시설 19,497개, 전시/공연시설 11개, 문화재/역사 1개, 관공서 348개, 기타 1개 등)의 ‘학교 밖 교실’들이 모여있음(창의인성교육넷 사이트, 2014).

  • - 48 -

    ¡ 창의체험자원지도를 통하여 교사, 학생, 학부모가 지속적으로 지역 내 모든교육자원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자원을 공유자원화하여 학

    교의 접근성을 높이고 부담을 덜 수 있어야함. 창의체험자원지도를 통해살펴본 현재 창의적 체험활동은 주로 체험시설

    과 전시공연에 주로 집중되어 있는 경향이 보임. 보다 다양한 지역사회자원 유형이 균등하게 운영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 특히 지역의 주요자원인 대학・전문대학 및 연구소 등의 연구시설, 기업・산업체 시설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 수가 현저히낮으므로 이들 기관의 보다 자발적인

    참여를 유발시켜야함(오해섭・조영아, 2013). 또한, 자원유형별로 특화된 대상 및 영역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부분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음. 예컨대 연구시설에서는 유・초등학생보다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동아리 및 진로활동 영역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

    이 보다 연구시설의 인적・물적 자원역량을 잘 활용하는 방법임((오해섭・조영아, 2013).

    o 해 외 사 례

    § ‘트라이 야르 워크’는 일본 효교현 공립중학교 2학년생 전원을 대상으로 한 1주일

    간의 체험활동임. 추진 위원회 설치 후 학부모와 지역 사회의 도움을 받아 학생들

    의 관심과 특기를 살릴 수 있는 체험 장소 및 지도자를 확보하여 1997년 이후 연

    간 5만 명 정도의 학생이 활동에 참여하고 있음.

    § 이를 추진하는 최상위 조직으로 ‘효고현 트라이 야르 워크 추진협의회’와 ‘효고현

    트라이 야르 워크 추진지원회의’, 시정 단위에 ‘시정 트라이 야르 워크 추진협의

    회’, 마지막으로 ‘중학교구 트라이 야르 워크 추진 협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