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80
지식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변화와 특성 2002. 12 조동기/조희경 연구보고 0217

Upload: vuongnhan

Post on 17-Apr-2018

222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TRANSCRIPT

Page 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지식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변화와 특성

2002. 12

조동기/조희경

연구보고 02-17

Page 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서 언 1

서 언

1990년대 후반에 들어 본격적으로 진행된 지식정보화는 사회의 다양한 역에

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지식과 정보가 사회에서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잡아 가고, 특

히 정보통신 관련 산업의 급속한 성장, 정보기술의 활용에 따른 고용형태의 변화

등에 따라 직업구성도 크게 변화되어 왔습니다. 이에 따라 직업구조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식정보화와 관련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집단의 직업적 특성을 밝

혀낼 필요가 있습니다.

직업구조 및 직업구성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직업분류가 포함된 시계열

자료가 있어야 하는 바, 그 동안 거시적 자료의 부족으로 직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실증적 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으나 2000년 센서스 자료의 공개로 체계적

인 연구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우리 사회에서 급속하게

진행되어온 지식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특성과 변화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 습니다.

이 보고서의 서론에서는 지식정보사회와 직업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직업구조의

분석자료에 대해 기술하 습니다. 본론에서는 1999년에 개정된 표준직업분류방식

을 처음으로 적용한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통해 현재 우리 사회의 직업분포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직업구성에 대한 시계열적 분석을 통해 1990년대 후반들어 가

속화된 지식정보화의 효과를 거시적으로 살펴보았고, 정보직업군에 대한 다양한 분

석을 통해 정보직업의 규모와 특성을 고찰하 습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직업구조

변화의 특성을 정리하고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직업구조는 시대에 따라 변하며 사회변동의 양상을 잘 반 하고 있습니다. 따라

서 직업구조에 대한 분석은 직업 자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지식정보화에 따른

고용불안, 사회불평등 해소를 위한 정책적 방안의 모색을 위한 좋은 자료도 될 수

Page 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2

있을 것입니다. 특히 직업에 대한 사회정책적 분석은 산업이나 고용에 대한 경제적

분석을 보완하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표준직업분류체계의 변화에 따

른 분류의 일관성 및 비교가능성의 문제, 정보직업군 판별의 어려움 등으로 인한

본 연구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개선되어야 할 것입니다. 아무쪼록 이 보고서

가 정부나 관련 기관에서 가치 있는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본 연구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될 수 있었던 것은 연구진의 노고와 아울러 많은

분들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동안 좋은 연구가 될 수 있도록 격려와 도움

을 주신 많은 분들께 연구진을 대표하여 감사를 드립니다.

2002년 12월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원 장 윤 창 번

Page 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서 언 3

목 차

서 언·····················································································································1

요약문···················································································································13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29

제 1절 지식정보사회·······················································································29

제 2절 직업의 의미·························································································30

제 3절 직업의 분류체계··················································································32

제 4절 기타 직업관련 통계조사······································································37

제 5절 분석자료······························································································41

제 2장 직업의 분포····························································································44

제 1절 직업구성의 개관··················································································44

제 2절 전문·관리·기술 직업군···································································47

1.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47

2. 전문가·········································································································49

3. 기술공 및 준전문가····················································································51

제 3절 사무·판매·서비스 직업군·······························································53

1. 사무 종사자································································································53

2. 서비스 종사자·····························································································55

3. 판매 종사자································································································57

제 4절 농어업·생산직 직업군 및 군인·························································59

1.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59

2.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60

Page 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4

3.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62

4. 단순노무 종사자·························································································64

5. 군 인·········································································································66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68

제 1절 직업구성의 변화 개관·········································································68

1. 개 관·········································································································68

2. 1995∼2000년의 변화··················································································71

제 2절 사회경제적 특성별 구성의 변화·························································74

1. 성별 구성의 변화·······················································································74

2. 연령 구성의 변화·······················································································77

3. 학력 구성의 변화·······················································································82

4. 종사상의 지위 구성의 변화········································································87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90

제 1절 이론적 논의·························································································90

1. 정보기술과 직업구조에 관한 가설·····························································91

2. 정보화와 전문화·························································································93

3. 정보화와 <탈숙련화>··················································································94

4. 정보산업의 비중·························································································95

제 2절 지식정보산업과 지식정보직업·····························································97

1. 지식정보산업과 정보통신산업····································································97

2. 지식정보직업과 정보통신직업··································································100

제 3절 경험적 분석·······················································································105

1. 지식정보직업의 증가················································································105

2. 산업구조의 변화·······················································································107

3. 봉급·임금 근로자의 증가·······································································109

Page 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서 언 5

4. 탈숙련화····································································································111

5. 사무직의 여성화·······················································································112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116

제 1절 직업과 공간분석················································································116

제 2절 자료 및 분석방법··············································································118

제 3절 지식정보직업군의 시·도별 분포·······················································119

1. 지역별 분포 개관······················································································119

2. 지역별 분포의 유형화···············································································121

제 4절 지식정보직업군의 시·군·구별 분포··················································123

1. 지식정보직업군의 분포·············································································124

2. 정보기술직업의 분포················································································127

제 5절 도시내부의 직업분포: 서울의 경우···················································128

1. 지식정보직업군의 분포·············································································128

2. 지역별 직업의 분포··················································································130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134

제 1절 직업과 불평등구조·············································································134

제 2절 한국에서의 계층연구·········································································135

제 3절 계층구조의 변화와 특징····································································137

1. 계급범주의 조작화····················································································137

2. 계급구성의 변화·······················································································141

3. 계급별 사회인구학적 특성········································································143

제 7장 결 론···································································································148

제 1절 논의의 정리·······················································································148

제 2절 결론 및 정책적 제언·········································································150

Page 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6

참고문헌··············································································································154

<부록 1> 직업분포(소분류), 2000······································································163

<부록 2> 신·구 및 구·신 분류 연계표··························································170

Page 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서 언 7

표 목 차

<표 1-1> 지식정보사회와 정보통신산업··························································29

<표 1-2> 직업분류의 시기별 변화, 1960∼1999··············································33

<표 1-3> 직업분류체계(대분류) 비교, 1974∼1999··········································33

<표 1-4> 국제표준직업분류체계(대분류) 비교, 1968∼1988····························35

<표 1-5> 직무수행에 필요한 최소 직능(교육·훈련)수준·······························36

<표 1-6> 연도별 종사상의 지위 범주의 변화·················································37

<표 1-7> <인구및주택센서스>, <경제활동인구조사>, <고용구조조사>의

비교··································································································38

<표 2-1> 직업별 분포 및 성별구성, 2000························································45

<표 2-2> 직업별 연령구성, 2000······································································46

<표 2-3> 직업별 학력구성, 2000······································································47

<표 2-4>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48

<표 2-5>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의 학력구성··································49

<표 2-6> 전문가의 분포 및 성별구성······························································50

<표 2-7> 전문가의 학력구성············································································51

<표 2-8>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분포 및 성별구성·········································52

<표 2-9>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학력구성·······················································53

<표 2-10> 사무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54

<표 2-11> 사무 종사자의 학력구성·································································55

<표 2-12> 서비스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56

<표 2-13> 서비스 종사자의 학력구성······························································57

<표 2-14> 판매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57

<표 2-15> 판매 종사자의 학력구성·································································58

Page 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8

<표 2-1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59

<표 2-17>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의 학력구성·································60

<표 2-18>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61

<표 2-19>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의 학력구성·······································62

<표 2-20>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63

<표 2-21>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학력구성··································64

<표 2-22> 단순노무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64

<표 2-23> 단순노무 종사자의 학력구성··························································65

<표 2-24> 군인의 분포 및 성별구성·······························································66

<표 2-25> 군인의 연령구성··············································································66

<표 2-26> 군인의 학력구성··············································································67

<표 3-1> 직업구성의 변화, 1955∼2000···························································69

<표 3-2> 직업구성 변화의 유형······································································70

<표 3-3> 1992년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에 의한 직업구조 변화·······················73

<표 3-4> 1999년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에 의한 직업구조 변화·······················73

<표 3-5> 직업별 취업자 구성비, 1955∼2000(남성)········································75

<표 3-6> 직업별 취업자 구성비, 1955∼2000(여성)········································76

<표 3-7> 직종별 여성비의 변화, 1955∼2000··················································77

<표 3-8> 직업별 연령 중앙값의 변화, 1955∼2000(남성)································78

<표 3-9> 직업별 연령 중앙값의 변화, 1955∼2000(여성)································79

<표 3-10> 학력 변화추세, 1955∼2000(25세 이상 성인)·································82

<표 3-11> 학력 변화추세, 1960∼2000(취업자)················································83

<표 3-12> 전문·관리직 종사자 학력구성의 변화, 1960∼2000·····················84

<표 3-13> 사무·판매·서비스직 종사자 학력구성의 변화, 1960∼2000···········85

<표 3-14> 생산직 종사자 학력구성의 변화, 1960∼2000································86

<표 3-15> 농·임·수산업종사자 학력구성의 변화, 1960∼2000···················86

Page 1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서 언 9

<표 3-16> 종사상의 지위 구성비 변화, 1960∼2000·······································87

<표 3-17> 직업별 임금·봉급근로자 비율의 변화, 1960∼2000·····················88

<표 4-1> 지식·정보산업을 측정하는 범주의 비교········································96

<표 4-2> Lee and Has의 지식산업분류····························································98

<표 4-3> 한국노동연구원의 지식산업분류·······················································98

<표 4-4> OECD의 정보통신산업 분류·····························································99

<표 4-5>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정보통신산업분류·········································99

<표 4-6>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정보통신직업분류·······································101

<표 4-7> 통계청의 정보통신직업분류····························································102

<표 4-8> 주요 정보직업군의 크기·································································105

<표 4-9> 2000년도 정보통신직업···································································106

<표 4-10> 산업부분별 종사자 비율·······························································108

<표 4-11> 제조업과 서비스업(비농어업)························································108

<표 4-12> 직업별 종사상의 지위 구성, 1990∼2000······································109

<표 4-13> 직업별 학력구성, 1990∼2000·······················································111

<표 4-14> 직업별 여성구성비, 1990∼1995····················································114

<표 5-1> 시·도별 직업구성(2000년)·····························································120

<표 5-2> 시·도별 직업구성(1995년)·····························································120

<표 5-3> 직업분포의 유형화··········································································123

<표 6-1> <한국표준직업분류>(1974년도 개정)에 의한 계급분류···················138

<표 6-2> <한국표준직업분류>(1999년도 개정)에 의한 계급분류···················139

<표 6-3> 계급구성의 변화, 1960∼2000(남성)················································142

<표 6-4> 계급별 연령분포, 2000(남성)···························································143

<표 6-5> 계급별 학력분포, 2000(남성)···························································144

<표 6-6> 직업분류에 따른 계급분포, 2000(남성)···········································145

<표 6-7> 정보통신직업분류에 따른 계급분포, 2000(남성)·····························146

Page 1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0

그 림 목 차

[그림 2-1]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의 연령구성·······························48

[그림 2-2] 전문가의 연령구성········································································50

[그림 2-3]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연령구성···················································52

[그림 2-4] 사무 종사자의 연령구성·······························································54

[그림 2-5] 서비스 종사자의 연령구성····························································56

[그림 2-6] 판매 종사자의 연령구성·······························································58

[그림 2-7]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의 연령구성·······························59

[그림 2-8]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의 연령구성·····································61

[그림 2-9]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연령구성·································63

[그림 2-10] 단순노무 종사자의 연령구성·······················································65

[그림 3-1] 직업 구성의 변화(농·임·수산업 종사자 제외), 1955∼2000····70

[그림 3-2] 전문·관리·사무직 종사자의 성별 연령격차, 1955∼2000········80

[그림 3-3] 판매·서비스·생산·농·임·수산직 종사자의 성별

연령격차, 1955∼2000···································································81

[그림 4-1] 정보통신 인력에 대한 정의들간의 관계·····································100

[그림 4-2] 여성의 직업참여 비율, 1990∼2000·············································114

[그림 5-1] 지역별 직업분포의 유형, 1975∼2000·········································121

[그림 5-2] 전문·기술직의 공간적 분포, 1995·············································124

[그림 5-3] 전문·기술직의 공간적 분포, 2000·············································125

[그림 5-4] 행정·관리직의 공간적 분포, 1995·············································125

[그림 5-5] 행정·관리직의 공간적 분포, 2000·············································126

[그림 5-6] 정보기술직의 공간적 분포, 2000·················································127

Page 1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서 언 11

[그림 5-7] 서울특별시 지식정보직업군의 분포, 1995··································129

[그림 5-8] 서울특별시 지식정보직업군의 분포, 2000··································129

[그림 5-9] 서울특별시 정보기술직업의 분포, 2000······································130

[그림 5-10] 서울특별시 구와 직업의 관계형상, 1995··································132

[그림 5-11] 서울특별시 구와 직업의 관계형상, 2000··································133

[그림 6-1] 계층구성의 변화, 1960∼2000·····················································142

Page 1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요약문 13

요 약 문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1.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지식과 정보가 사회에서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그것을 다루는 데 관

련된 직업이 확장되고 전체 직업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산업은

디지털경제의 핵심적 산업으로서 국가경쟁력 향상에 중대한 향을 미치고, 여타

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도구가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

넷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기회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있기 때문에, 인터

넷산업은 우리 나라 경제 전반의 매출과 고용을 증가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정보와 지식이 부의 창출의

기반이 되는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정보통신산업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절대

적인 역이며, 그 중에서도 인터넷산업은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인터넷은

소위 닷컴(.com) 기업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전통적 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서도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의 확산과 더불어 우리 사회의 직업구조도 크게 변하고 있다.

2. 분석자료

직업구조 및 구성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직업분류가 포함된 시계열 자료

가 있어야 하며, 또한 시계열 비교가 가능하도록 직업분류에 있어서 일관성이 유지

되어야 한다.

현재 직업구조 및 구성에 대한 시계열 분석이 가능한 자료로는 <경제활동인구조

사>와 <인구주택총조사>가 있다. 단기간의 인력수급정책이나 노동정책을 수립하기

Page 1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4

위해서는 빈번하게 실시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보다 편리

할 것이다. 그러나 단기 경제정책이나 노동통계의 범위를 벗어나 <국민생활구조>의

장기적인 변화 추세를 분석하는 데는 자료의 포괄성이나 정확성을 고려할 때, <인

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나라에서 정부수립 후 최초의 인구센서스는 1949년에 실시된 <제1회 총인구

조사>이다. 그러나 그 결과보고서는 대부분 전쟁 중 소실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우리가 경험한 한국전쟁과 분단상황으로 인해, 남한만을 대상으로 한 직업구조 분

석에는 1949년의 자료가 부적절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대분류

수준에서 조사결과를 알 수 있는 1955년에 실시된 <제1회 간이총인구조사>부터 활

용하고자 한다. 그러나 1955년 센서스도 자료수집과정에서의 정확성이나 통계작성

의 치 성 등에 한계가 있어 본격적인 분석은 1960년도 이후 자료에 맞추어질 수밖

에 없다. 1955년에서 1990년까지는 그 동안 발간된 인구센서스 조사보고서를 활용

하고, 1995년과 2000년의 경우는 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를 분석하 다. 다만

1985년에는 <인구및주택센서스> 보고서 중 <경제활동 편>이 출간되지 않았기 때문

에 경제활동인구연보 중 1985년 자료를 대체하여 사용한다.

제 2장 직업의 분포

현재 우리 사회의 직업분포를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통해 분석하 다. 2000

년 인구센서스 자료는 1999년에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을 처음으로 적용한 센서스이

기 때문에 다른 연도의 센서스 자료와 비교하는데는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자료에 보다 충실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분류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직업의 분포

를 분석하 다. 주로 직업의 분포에 대해 기술하 는데, 대분류 수준에서 각 직업범

주의 분포를 살펴보고, 이어서 중분류 수준에서의 직업구성의 특성을 검토하 다.

1999년도에 개정된 직업분류체계는 직업을 대분류상으로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0), ‘전문가’(1), ‘기술공 및 준전문가’(2), ‘사무 종사자’(3), ‘서비스 종사

Page 1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요약문 15

자’(4), ‘판매 종사자’(5),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6),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7),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8), ‘단순노무 종사자’(9), ‘군인’(A) 등 11

개의 범주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범주에 기초한 직업의 분포와 각 직업 범주별 성

별, 연령별, 학력별 구성을 살펴보았다.

대분류 수준에서의 직업범주별 분포가 <표 1>에 나타나 있다. 2000년 현재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직업범주는 13.5%를 차지하는 ‘사무 종사자’와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이며, 그 뒤를 이어 ‘판매 종사자’(12.5%),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10.8%),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10.3%) 등의 순으로 나타난다.

반면에 ‘서비스 종사자’(9.6%), ‘전문가’(9.1%), ‘기술공 및 준전문가’(7.7%), ‘단순노

무 종사자’(7.5%),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5.2%), ‘군인’(0.4%) 등은 10%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표 1> 직업별 분포 및 성별 구성, 2000

구 분

직 업

전 체 성별(%)

N % 남 자 여 자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18,908 5.2 92.4 7.6

1 전문가 32,847 9.1 56.1 43.9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27,718 7.7 72.1 27.9

3 사무 종사자 48,821 13.5 55.6 44.4

4 서비스 종사자 34,627 9.6 36.7 63.3

5 판매 종사자 45,124 12.5 49.9 50.1

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48,918 13.5 52.1 47.9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37,221 10.3 80.6 19.4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39,034 10.8 83.3 16.7

9 단순노무 종사자 27,222 7.5 65.1 34.9

A 군인 1,434 0.4 99.4 0.6

계(전체) 361,874 100.0 62.3 37.7

Page 1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6

직업범주별 성별 구성을 보면 ‘서비스 종사자’와 ‘판매 종사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직업범주에서 남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

리자’범주에서는 남성의 비중이 92.4%로여성에비해월등히높은것으로나타났다.

이 외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범주에서도

남성의 비중이 80% 이상을 차지해 성별에 따른 직업범주간 불균형을 여실히 보여주

고 있다. 반면에 여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직업은 63.3%의 비중을 차지한 ‘서

비스 종사자’와 50.1%의 비중을 차지한 ‘판매 종사자’두 범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3장에서는 지난 45년간의 직업구조 및 내부구성의 변화와 그 특성을 고찰하 다.

각 직업범주별 인구학적 특성과 종사상의 지위에 따른 시계열적 분석을 시도하고,

특히 1995∼2000의 분석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두 직업분류체계(1992년, 1999년)를

비교·연계하여 직업구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취업자를 대상으로 1955∼2000년까지의 기간동안에 직업구조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개괄적인 윤곽을 그려보면 <표 2>와 같다. 한국사회 직업구성의 변화 중 가

장 두드러진 특징은 농·임·수산업 종사자가 급격하게 감소했다는 점이다. 1950

년대 중반 전체 취업자의 79.5%를 차지했던 농·임·수산업 종사자는 2000년 현재

13.9%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한국사회가 1차 산업 중심의 단계를 빠른 속도

로 탈피했음을 의미한다. 전체 취업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농·임·수산업

종사자의 비중이 줄어들면서 다른 직업범주는 비교적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

다. 먼저 1955년 8.7%에 그쳤던 생산직 비중이 1990년에는 30.3%로 큰 폭으로 성장

하 다. 그러나 생산직의 경우는 1990년대 이후 다시 그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사

무직의 경우 역시 1990년까지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 으나 1990년 이후 그 성장세

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 이처럼 생산직과 사무직이 1990년 이후 직업구성에서 차지

하는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값싼 IT의 도입이 단순노동을 대체하고 있기 때문

Page 1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요약문 17

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 다른 직업들은 잠시 성장이 둔화되는 시기가 있으나 대

체적으로 2000년 현재까지 조금씩 종사자 비중이 증가하는 양상을 띈다. 이러한 직

업구성의 변화는 생산과 사무 역 등에서의 컴퓨터화가 노동의 대체 및 고숙련 노

동에 대한 편향적 수요 증대로 일자리 소멸을 가속화하 지만, 동시에 새로운 제품

과 서비스의 확산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IT의 확산은 이러한 일자리소멸과 창출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문직, 판매직, 서비스직의 계속적인 성장은 고부가가치 상품의 창출을 지향하는

한국 사회의 발전상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표 2> 직업구성의 변화, 1955∼20001)

(단위: %)

직업군 1955 1960 1966 1970 1975 1980 19852) 1990 1995 20003)

전문직 1.6 2.4 2.8 3.2 3.3 4.5 5.8 7.4 10.5 13.3

관리직 1.2 1.3 0.9 1.0 0.8 1.1 1.5 2.1 4.3 5.2

사무직 2.4 2.6 4.3 5.9 6.7 9.5 11.5 15.4 14.5 14.6

판매직 4.5 8.3 10.7 10.2 10.5 12.1 15.5 14.0 15.8 15.0

서비스직 2.1 5.2 5.4 6.7 6.5 7.1 10.8 8.8 11.8 14.0

생산직 8.7 13.4 19.2 21.8 23.0 28.1 30.3 31.6 27.0 24.0

농·임·수산업 79.5 66.7 56.8 51.2 49.2 37.6 24.6 20.7 16.1 13.9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분류불능자 및 군인(1960, 1995, 2000년) 제외.

2)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3)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한국사회에서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산업화, 도시화, 관료제화에 따라

직업구성상에서도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났다. 4장에서는 1990∼2000년간의 직업

Page 1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8

구조의 변화를 정보화의 추세와 연관시켜 검토해 보았다.

1. 이론적 논의

직업구조의 변화와관련하여정보사회(information society)이론은다음과같은세가

지 가설을 내세우고 있다(Castells, 1996: 203-208). 첫째, 생산성 증가의원천은 지식의

생산에 있으며, 이는 정보처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활동에 관련되어 있다는

것이다. 둘째, 경제활동이 재화의 생산에서 서비스의 제공으로 이행하게 된다는 것이

다. 셋째, 새로운 경제활동은 고도의 정보와 지식을 가진 직업을 더 중요시하게 된다

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관련되는 다양한 논의들에 대해 다루어 보았다.

2. 경험적 분석

지식정보직업과 정보통신직업에 대한 정의는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문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인구 센서스의 경우 산업 및 직업 분류가 소분류(3

자리) 수준에서 제공되고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에서 제시하는 광의의 지식정보직

업이나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하는 협의의 정보기술직업을 판별하기 위해서

는 세분류 또는 그 이하 단위의 자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인구 센서스 자료에 근거

한 지식정보직업군의 자세한 측정이나 변화의 분석은 불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스 자료로 분석가능한 수준에서 정보산업 및 관련 직종의 성

장을 중심으로 한 직업구조의 변화를 검토해보았다. 이를 위해 구분류체계를 기초

로 전문·기술직, 행정·관리직,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 농·임·수산직, 그리

고 생산직 등으로 직업을 재구성하 다. 2000년에 적용된 새로운 분류 방식을 따르

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재 가용한 자료로는 연도간 비교기준을 일관되게 확보할 수

없어 이전의 방식을 따른 것이다.

한국의 직업구조에서 주요 정보직업군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의 10%미만에서

2000년에는 약 18%정도로 증가하 다. 이는 1991년의 미국에 비하여는 낮은 편이

지만, 1990년대에 들어와서 한국의 정보직업군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

Page 1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요약문 19

목할 필요가 있다.

<표 3> 주요 정보직업군의 크기

(단위: %)

직업군 한국(1990) 한국(1995) 한국(2000) 미국(1991) 일본(1990)

전문·기술직 7.5 10.5 13.3 16.9 11.1

행정·관리직 2.1 4.3 5.2 12.8 3.8

전 체 9.6 14.8 18.5 29.7 14.9

자료: 미국과 일본: Castells(1996); 한국: 1990,95년 및 2000년 센서스 2% 표본.

전문·기술직이나 행정·관리직과 같은 주요 정보직업군외에도 광의의 화이트

칼라 직종이라고 할 수 있는 사무직과 판매·서비스직도 정보화사회에서 중요한

직업군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판매직과 서비스직의 성장은 산업화가 진행

됨에 따라 자급자족적 재화와 용역의 생산이 줄어들고 시장을 위한 생산이 늘어나

고 있다는 것을 반 하는 것이다. 사회가 정보화되면서 분배체계가 정교화됨에 따

라 판매직 노동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게 된다. 수송, 통신, 신용거래의 확산에 따라

시장이 확대되어 왔고 새로운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전문화된 판매근

로자가 필요하다. 또한 늘어나는 정보의 기록, 처리, 및 저장에 필요한 사무직 노동

도 증가하 다. 사무직은 5년 사이에 약간 감소되고 있으나 판매직과 서비스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서비스직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다.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5장에서는 정보직업군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 다. 우선 앞에서 분석된 직업의

전반적인 분포와 변화의 특성들이 지역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 다. 일

반적으로 직업의 구성이나 구조에 대한 분석은 통계표나 간단한 그래프를 통해 이

루질 수 있으나 지역별 직업 분포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도를 활용하

Page 2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20

는 것이 좋을 듯하다(Henry 1995; Wallgren et al. 1996).

지금까지 직업의 공간적(spatial) 분포에 대한 분석은 시·도 단위 행정구역을 기

준으로 한 직업의 지역적(regional) 분포에 대한 분석이었다. 이러한 분석은 직업의

지역별 분포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밝히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각 지역 내부의

직업분포의 다양성을 밝혀주지는 못한다. 직업의 분포와 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

는 산업화, 도시화, 관료제화와 같은 사회변동의 일반적인 추세는 한 지역 내부에서

도 불균등하게 전개될 수 있다. 그에 따른 직업 분포의 다양성은 시·도 단위 분석

에서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이에 본 장에서는 시·군·구 단위 분석도 추가적으

로 시도하 다.

1. 지식정보직업군의 시·도별 분포

<표 4>에서와 같이 직업 대분류와 시·도별 행정구역을 교차시켜 보면, 지식정보

<표 4> 시·도별 직업구성(2000년)

(단위: %)

전문직 관리직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 생산직 농어업 합 계

서 울 18.1 6.4 18.4 20.3 15.7 20.9 0.3 100

부 산 12.2 5.3 16.5 17.4 16.3 30.3 1.9 100

대 구 12.6 6.1 15.1 16.9 15.8 30.6 2.8 100

인 천 12.9 6.0 15.1 16.2 13.4 32.6 3.8 100

광 주 17.6 5.5 16.4 17.6 14.3 23.9 4.6 100

대 전 18.7 6.1 16.5 17.9 15.9 22.6 2.3 100

울 산 13.8 3.4 16.1 12.6 13.3 35.2 5.5 100

경 기 14.8 7.3 16.7 14.4 13.8 27.0 6.0 100

강 원 10.0 2.9 11.5 13.7 17.3 19.1 25.4 100

충 북 10.4 4.1 11.5 12.0 13.1 23.5 25.5 100

충 남 8.6 3.6 9.4 10.0 11.1 19.3 37.9 100

전 북 9.9 3.5 10.3 11.3 11.4 19.2 34.5 100

전 남 6.8 2.6 8.0 9.6 9.6 15.6 47.9 100

경 북 8.7 2.5 9.9 9.5 11.7 21.4 36.2 100

경 남 10.5 4.0 11.5 11.1 12.4 24.1 26.4 100

제 주 10.0 2.7 12.1 11.7 14.4 16.2 32.9 100

전체 13.3 5.2 14.6 15.0 14.0 24.0 13.9 100.0

자료: 2000 인구및주택 센서스 2% 표본자료.

Page 2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요약문 21

직업군이라 할 수 있는 전문·기술직의 경우 대전이 18.7%로 가장 높고 그 뒤를 이

어 서울, 광주, 경기, 울산의 순으로 높다. 반면에 전남, 충남, 경북 등에서는 전문·

기술직의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크게 낮다. 행정·관리직의 경우 그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시·도는 7개 지역인데, 7.3%인 경기를 선두로 서울, 대구, 대전, 인

천, 광주, 부산의 순이다. 반면에 전국 평균보다 크게 낮은 지역은 경북, 전남, 제주,

강원 등이다.

지식정보직업군의 특성상 대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전문·기술직의 경우는 행정·관리직보다도 대도시 집중 경향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2. 지식정보직업군의 시·군·구별 분포

전문·기술직과 행정·관리직은 지난 10여 년 동안 대도시를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시·군·구 수준에서 살펴본 각 직업의 분포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먼저 전문·기술직의 분포를 보면 2000년 현재 그 비율이 가

장 높은 지역은 경기 과천시(33.6%)이고, 다음으로는 대전 유성구(32.6%), 서울 서초

구(30.8%), 강남구(29.0%), 경기 성남(분당, 27.8%) 순이다. 이 밖에 전문·기술직의

비중이 상위에 속하는 지역으로는 경기 수원시(팔달구), 서울 송파구, 경기 고양시

(일산구), 대전(서구), 서울 동작구, 경기 안양시(동안구) 등이다. 반면에 전문·기술

직의 비중이 낮은 지역으로는 경남 의령군(1.5%), 전북 임실군(1.5%), 전남 신안군

(2.1%), 경북 군위군(2.1%), 경남 산청군(2.2%) 등이 있다.

행정·관리직은 전체 직업구조에서 5.2%로서 그 비중이 가장 낮고 시·군·구

별 편차도 다른 직업에 비하여 적다. 2000년 현재 행정·관리직의 비중이 가장 높

은 지역은 경기 성남시(분당구)로 전체의 21.1%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울 서초구

(17.0%), 경기 과천시(16.8%), 서울 강남구(14.2%)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이 밖에

경기 고양시(일산구), 경기 고양시(덕양구), 대구 수성구, 경기 구리시, 인천 연수구

등의 지역에서도 행정·관리직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행정·관리

Page 2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22

직의 비중이 낮은 지역으로는 전남 함평군, 강원 고성군, 강원 화천군, 전남 나주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지역은 0.5% 미만이다.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

현대사회에서 직업에 따른 공식적인 차별은 없다. 그러나, 직업에 따라 제반 사회

적 보상이 다르기 때문에, 직업을 이용한 계층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6

장에서는 직업구조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 계층구조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 계층구조의 변화와 특징

먼저 직업을 이용한 계급분류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조작화의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홍두승(1983b)은 1974년에 개정된 <한국표준직업분류>를 이용한

계층분류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표 5>는 1992년 직업분류를 기준으로 계급분류를

시도한 홍두승(1983b)의 연구를 1999년 직업분류 기준에 새로이 적용하여 계급을

분류한 것이다.

<표 5> <한국표준직업분류>(1999년도 개정)에 의한 계급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피용/자자 업주

구분계 급

0. 의회의원, 고위

임직원 및 관리자

01 피용 Ⅱ. 중상

02, 03

021 피용/자 Ⅱ. 중상

023, 024, 030피용 Ⅲ. 신중간

자 자 관리직 Ⅳ. 구중간

1. 전문가

11-14

111, 120, 131-135,

112, 141-142피용/자 Ⅱ. 중상

143 피용 Ⅲ. 신중간

15151 피용 Ⅱ. 중상

152-157 피용/자 Ⅲ. 신중간

16-18

162-165, 171, 113,

72, 182-184피용/자 Ⅱ. 중상

181, 173 피용/자 Ⅲ. 신중간

Page 2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요약문 23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피용/자자 업주

구분계 급

2. 기술공 및

준전문가21-29

피용 Ⅲ. 신중간

자 자 전문직 Ⅳ. 구중간

3. 사무 종사자 31, 32피용 Ⅲ. 신중간

자 자 사무직 Ⅳ. 구중간

4. 서비스 종사자 41-44

431, 432, 421, 422,

411, 412-416

피용 Ⅴ. 근로

자 자 서비스직 Ⅳ. 구중간

441-444피용 Ⅲ. 신중간

자 자 서비스직 Ⅳ. 구중간

5. 판매 종사자 51, 52

530 피용/자 Ⅲ. 신중간

511, 512, 513피용 Ⅴ. 근로

자 자 상인 Ⅳ. 구중간

6. 농업, 임업 및

어업숙련 종사자61-63

피용 Ⅷ. 농촌하류

자 Ⅶ.독립자 농

7.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71-75

피용 Ⅴ. 근로

자 자 기능인 Ⅳ. 구중간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81-84

피용 Ⅴ. 근로

자 자 기능인 Ⅳ. 구중간

9. 단순노무 종사자

91, 51, 52,

93, 94

512, 521, 522,

911-915, 941, 942피용/자 Ⅵ. 하류

92 920 피용/자 Ⅷ. 농촌하류

A. 군인 A1 분류제외

실업자 업자고졸 미만 Ⅵ. 하류

고졸 이상 분류제외

2. 계급구성의 변화

1960년 이후 한국사회 계급구성변화에서 계급구성상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은

독립자 농계급과 농촌하류계급이다. 독립자 농계급은 1960년 40.0%에서 2000년

9.8%로 그 비중이 크게 감소하 으며, 농촌하류계급 역시 1960년 24.0%에서 2000년

1.7%로 계급 구성상의 비중이 감소하 다. 반면 신중간계급, 구중간계급, 근로계급

은 독립자 농계급이나 농촌하류계급과는 반대로 그 동안 규모가 매우 커졌다. 2000

년 현재 이들 세 계급은 전체 계급 구성의 약 3/4으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구중간계급은 1960년대에서 1980년까지 증가하다가, 1980∼90년 정체기간

을 거쳐 최근 들어 다시 증가하고 있다. 1960∼80년까지의 증가가 농업인구의 비

Page 2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24

농 자 업으로의 전환에 의해 주도되었다면, 1990년 이후의 증가는 신중간계급

및 근로계급으로부터 자 업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

다. 중상계급은 1960년 이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1990년 이후 다소 큰 비중으로 증

가하 다.

<표 6> 계급구성의 변화, 1960∼1995(남성)

(단위: %)

계급구분 1960 1970 1975 1980 1990 1995 2000

중상계급

신중간계급

구중간계급

근로계급

하류계급

독립자 농계급

농촌하류계급

0.9

6.6

13.0

8.9

6.6

40.0

24.0

1.3

14.2

14.8

16.9

8.0

28.0

16.7

1.2

15.7

14.5

19.9

7.5

28.2

12.9

1.8

17.7

20.8

22.6

5.9

23.2

8.1

1.9

26.1

19.6

31.3

4.2

13.0

4.9

3.6

25.5

22.2

27.7

8.2

12.1

0.6

5.8

26.3

22.7

25.9

7.7

9.8

1.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홍두승(1980b: 82); 홍두승·안치민(1995: 78); 2000년 인구센서스 2% 표본.

제 7장 결 론

한 사회의 직업구조는 시대에 따라 변하며 사회변동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는 점

에서 직업구조에 대한 분석은 직업 자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변동에 따른

고용불안이나 계층불평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이러한 직업구조의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이자 시

간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따라서 사회변동의 여러 추세에 따른 직업구조

의 변화에서 정보화에 의한 변화를 쉽게 분석해 내기란 쉽지 않은 작업이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이후에 가속화된 우리 사회의 지식정보화

의 결과에 대한 거시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본 연구의 전제는

1990년대 중반이후 한국 사회변동의 가장 핵심적인 동인이 정보화라는 것이다. 그

Page 2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요약문 25

러한 전제하에서 정보화의 효과가 직업구조에 반 된 결과를 여러 가지 지표를 통

해 분석하여 보았다.

지금까지 한국사회에서 직업구성의 변화 추세를 보면 생산직 비중이 1990년까지

크게 증가하다가 1990년대 이후 다시 그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사무직과 판매직의

경우도 1990년까지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 으나 1990년 이후 그 성장세가 다소 주

춤하고 있다. 지식정보사회에서 핵심적인 직업이라 할 수 있는 전문직과 관리직은

꾸준히 증가하여왔고 특히 1990년대 이후 상대적으로 증가의 속도가 더 높아지고

있다. 생산직과 사무직이 1990년 이후 직업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고 있

는 것은 값싼 정보기술의 도입이 단순노동을 대체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

다. 이러한 직업구성의 변화는 생산과 사무 역 등에서의 컴퓨터화가 노동의 대체

및 고숙련 노동에 대한 편향적 수요 증대로 일자리 소멸을 가속화하 지만, 동시에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확산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보기술의 확산은 향후에도 이러한 일자리 소멸과 창출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

로 전망된다. 특히 전문직, 판매직, 서비스직의 계속적인 성장은 고부가가치 상품의

창출을 지향하는 한국 사회의 발전상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직업구성의 변화는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 유형

은 산업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으며 앞으로도 그 감소의 폭은

줄어든다 하더라도 더 감소하게 되리라고 전망되는 직업군이다. 이 유형에는 농업,

임업, 수산업 종사자가 포함된다. 두 번째 유형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

는 직업군으로 전문직·기술직 및 관리직 종사자와 서비스직 종사자가 이에 해당

된다. 세 번째 유형은 다소의 증감은 있으나 큰 흐름에서는 변화하지 않고 정체된

형태를 보여줄 직업군으로서, 사무직 및 판매직 종사자가 이 유형에 속한다. 마지막

유형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앞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군으로 생산직

종사자가 여기에 해당된다.

지식정보화라는 사회변동의 추세는 지식 또는 정보의 생산과 유통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직업뿐만 아니라 다른 직업 내부의 구성, 공간적 분포, 계층적 분포 등도 상

Page 2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26

당히 변화시켜 왔다. 직업별로 종사상 지위에 따른 구성의 변화를 보면 산업화의

진전에 따라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었던 자 업주의 비율이 1995년 이후 다시 증가

하고 있다. 전문직, 관리직, 판매직, 생산직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변화는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소규모 가내사업(SOHO)의 성장과 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업의 공간적 분포를 보면 전문직과 관리직은 대도시 또는 신도시의 일부

지역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도시 내부에서도 전문직 및 관리직과 생산직 간의

분절(segregation)이 나타나고 있다. 지식정보화는 계층구조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

고 있지는 않지만 중상계급, 신중간 계급, 구중간 계급의 전반적 증가와 근로계급의

전반적 감소에 다소 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컴퓨터나 전기, 전자 공학 전문가

의 증가는 중상계급의 확대를 가져왔고, 정보기술 관련 준전문가나 관리자의 경우

는 중간계급의 크기를 증대시켰다. 전자장비 정비 종사자나 조립 종사자의 증가는

근로계급의 규모를 확대시켜 왔다.

이러한 직업구성의 변화가 던져주는 사회정책적인 시사점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

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기술과 관련된 직업의 변화되는 위상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 보상이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에서는 전통적으로 기술직에 대한 사회적 보상이 낮

은 편이었으나, 지식정보화에 따라 정보통신 관련 기술직의 사회적 위상이 커졌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장기적

인 대응이 없다면 현재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정보통신 분야의 전반적인

인력 과잉 속의 핵심적 IT인력의 부족이라는 딜레마는 해결되지 못할 것이다.

둘째, 컴퓨터와 통신망을 바탕으로 한 소규모의 자 사업 및 재택근무에 대한 정

책적인 대비가 요구된다. 이러한 형태의 사업이나 근로형태는 현재로서는 그 규모

도 미미하고 구체적인 형태도 잘 드러나고 있지 않지만, 앞으로 지식정보화의 진전

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사회에서 자 업의 경우 비공식

부문에 속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전체적인 규모가 커질 경우 공식 부문으로 흡수하

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재택근무의 경우 정보화 초기에 그 가능성만 논

Page 2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요약문 27

의되었으나 이제는 구체적인 근무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이에 대

한 정책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직업의 공간적 분절 및 계층적 양극화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요구된다. 공

간적 분절이나 양극화는 산업사회의 전형적인 결과로서 지식정보화에 따라 급속히

반전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정보기술의 사회경제적인 활용에 대한 적절한 정

책적 대응이 이루어진다면 공간적 분절이나 계층적 양극화는 완화될 수 있을 것이

다. 발전된 통신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대도시 중심의 집중구조를 분산시키

는 지역개발 정책이 구현될 필요가 있으며, 정보기술 숙련 훈련 강화 등을 통해 근

로계급이나 하류계급을 중간계급화시키는 정책도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Page 2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29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제 1절 지식정보사회

지식과 정보가 사회에서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그것을 다루는 데 관

련된 직업이 확장되고 전체 직업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인터넷산업은

디지털경제의 핵심적 산업으로서 국가경쟁력 향상에 중대한 향을 미치고, 여타

산업의 생산성과 효율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도구가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인터

넷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기회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있기 때문에, 인터

넷산업은 우리 나라 경제 전반의 매출과 고용을 증가시키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등 그 어느 때보다도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잡고 있다. 정보와 지식이 부의 창출의

기반이 되는 지식기반경제 하에서 정보통신산업은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하는 절대

적인 역이며, 그 중에서도 인터넷산업은 핵심적인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인터넷은

소위 닷컴(.com) 기업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비즈니스뿐만 아니라 전통적 산업의

효율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전략적 도구로서도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의 확산과 더불어 우리 사회의 직업구조도 크게 변하고 있다.

<표 1-1> 지식정보사회와 정보통신산업

지식정보사회 사회경제적 차원 및 정보통신 산물과 서비스를 활용하는 산업

지식 정보사회산업 컨텐츠 산업: 출판업, 시청각업, 광고업 등

정보통신산업정보통신 기술 관련 산업: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퓨터 서비스, 통신장비 및 서비스, 전자산업, 사무장비업

휴대전화기, 컴퓨터, 디지털 TV, 광케이블과 같은 하드웨어나 이동통신, 인터넷

Page 2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30

서비스, 시청각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를 포함한 정보통신산업은 지식정보사회의

업무나 여가를 포함한 모든 역에 침투되어 있다.

그 동안 정보통신정책연구원(2001)과 한국노동연구원(2002) 등에서는 미국 노동

통계국(BLS)의 산업 및 직업전망을 참고하여 정보통신산업분류 및 직업분류를 설

정하고 이를 토대로 인력수급실태 및 전망 연구를 수행하여 왔다. 통계청(2001)에서

는 정보통신 직업을 정보를 처리, 전달, 시현하는데 관련된 활동을 창조, 운 및 유

지하며, 물리적 현상을 검출, 측정 및 기록하거나 물리적 공정을 통제하기 위하여,

전자처리를 이용하는 제품의 생산, 설치 및 수리와 관련된 직업으로 정의하고 표준

직업분류를 이용한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제 2절 직업의 의미

<일>, <업무>, <직업> 등은 일상적인 대화에서 흔히 구별없이 사용되고 있는 용어

들이지만, 사회학적 관점에서 보면 각각이 지닌 의미는 다르다. 우선 <일(work)>은

“자신이나 타인에게 가치가 있는 재화나 용역을 창출해내는 활동”으로 정의된다

(Rothman, 1997: 7). 산업사회에서 일은 전형적으로 타인들에게 금전적인 가치가 있

는 재화나 용역의 생산을 지칭한다. 간단히 말해서 일은 고용주나 고객과 같은 타

인들을 위해 행한 바에 대하여 금전적인 보상을 해주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그

러나 일이 반드시 금전적인 보상과 관련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일은 가사노동과

같이 금전적인 보상이 없는 활동이나 자원봉사활동, 종교적 선교활동 등과 같이 금

전적인 보상의 중요성이 거의 없는 활동도 포함한다. 이 경우 “타인에 대한 가치”란

가족을 위한 일, 이타주의, 또는 사회에 대한 서비스 등과 같은 추상적인 관념을 포

함하는 것이다.

<업무(job)>는 일 중에서 실제적으로 수행하는 구체적인 과제를 지칭하는 것으로

근로자가 특정한 맥락에서 수행하는 기술적 및 사회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예

를 들어, 동일한 판매원이라는 직책을 가졌으면서 실제 업무의 내용에는 상당한 변

Page 3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31

이가 있을 수 있다. 의상실 판매원과 귀금속 판매원이 다르듯이, 각 업무는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업무의 조건이 산업, 지역, 조직 등에 특수한 것이기 때문

이다. 또한 근로자들은 상사, 동료, 부하직원과의 관계속에서 자신의 일의 내용에

대한 교섭능력을 가지고 있다.

한편 <직업(occupation)>은 일반적으로 어떤 사람이 수행하는 일의 유형을 지칭하

는 것으로(Hodson and Sullivan, 1995: 49), 재화를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활

동의 사회적 및 기술적 구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Rothman, 1997: 7). 추상적인 수준

에서 직업은 비교적 분명하다. 예를 들면, 치과의사직은 구강의 건강과 관련된 시술

을 하는 것이고, 판매직은 소매나 도매거래활동을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직

업은 핵심적인 직무를 사회적으로 조직화한 것이다. 예를 들어, 판매원은 정해진 옷

차림과 용모 기준을 따라야 하며 고객을 존중하고 매점과 상품에 대한 실제적인 지

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직업의 사회적 구성은 사회경제적 특성과 기술적 혁신의

향을 받는다. 예를 들어, 오늘날의 간호직은 19세기의 그것과 다를 뿐만 아니라

불과 몇 십년전과 비교해 보아도 크게 달라졌다. 한편 직업의 구성원은 “집합적 정

체성”(collective identity)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공유된 가치나 시각의 면에서 일치

를 보이기도 한다.

<한국표준직업분류>에서는 직업을 <개인이 계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제 및 사회활

동의 종류>라고 규정하고 있다. 여기서는 일의 계속성이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는

데, 이는 <주기적으로(매일, 매주 또는 매월), 계절적으로 행하고 있는 경우 또는 명

확한 주기가 없더라도 현재 하는 일에 대하여 의사와 능력을 갖고 행하는 것>을 말

한다. 따라서 ① 이자, 주식배당, 임대료(전세금, 월세금), 소작료, 권리금 등 재산수

입이나, ② 연금법이나 사회보장에 의한 수입에 의존하거나, ③ 자기집에서의 가사

활동, ④ 정규 주간 교육기관에 재학하고 있는 경우, ⑤ 법률위반행위(강도, 절도,

매춘, 수) 및 법률에 의한 강제노동(수형자의 활동) 등과 같은 활동은 직업으로

간주하지 않는다(통계청, 1992). 한편 한 사람이 두 가지 이상의 일에 종사할 경우

일반적으로 ① 취업시간이 많은 직업, ② 수입이 많은 직업, ③ 조사시 최근의 직

Page 3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32

업 등의 순서에 따라 개인의 직업을 판별하게 된다.

제 3절 직업의 분류체계

직업분류란 <생산적인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개별 근로자들에 의하여 수행되어지

는 각종 직무를 그 수행되는 일의 형태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한 것>(통계청,

1997: 5)으로, <한국표준직업분류>는 국내의 직업구조 및 실태에 맞도록 표준화한

직업분류라고 할 수 있다. 직업분류체계의 기본적인 조직은 대분류, 중분류, 소분

류, 세분류 등이며 각 분류수준별 직업의 수는 개정 때마다 변동되어 왔다(<표 1-

2> 참조).

우리 나라에서 직업분류를 체계적으로 작성하기 시작한 것은 1960년 당시 내무부

통계국에서 국세조사에 사용한 것이었다. <한국표준직업분류>는 1963년에 제정되

었고 1966년에 제1차 개정이 이루어졌다. 그 후 국제비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UN의 권고안을 중심으로 1970년에 제2차 개정이 이루어졌다. 1968년에 개정된 국

제표준직업분류는 세분류까지 분류되어 있었으나, 당시 한국은 직업분류의 역사가

짧고 많은 직명이 애매한 외래어로 통용되고 있어 실제 통계자료 수집상 문제가 많

아 소분류까지만 적용하 다.

1970년대 경제발전과 중화학 공업화의 추진으로 새로운 산업이 많이 생겨나고 일

의 전문화, 세분화 등이 진행되어 직종의 세분화가 요구되었다. 이에 따라 1974년

제3차 직업분류체계의 개정이 이루어졌는데, 소분류까지는 1970년 한국표준직업분

류와 원칙적으로 동일하지만 처음으로 세분류를 포함시켰다는 점에서 큰 변화라고

할 수 있다.

1992년에 이루어진 제4차 <한국표준직업분류>는 기본적으로 1988년에 개정된 국

제표준직업분류체계를 따른 것이다. 담당업무와 직업별 직능수준에 따라 대분류 10

개, 중분류 28개, 소분류 116개, 세분류 397개, 세세분류 1567개로 분류하 고(<표 1

-2>참조), 인구센서스에는 1995년에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소분류까지만 고려했을

Page 3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33

때, 1974년과 1992년 분류체계의 차이가 <표 1-3>에 비교, 제시되어 있다.

<표 1-2> 직업분류의 시기별 변화, 1960∼1999

연 도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적용 센서스 년도

1960 10 66 131 - - 1960

1963 10 57 260 - - 1966

1970 8 83 287 - - 1970

1974 8 83 286 1532 1975, 1980, 1985, 1990

1992 10 28 116 397 1567 1995

1999 11 46 160 447 1404 2000

자료: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통계청(2000)

앞에서 언급한 대분류상의 변화와 더불어 <기타 달리 분류되지 않은 종사자>(999)

에 대한 구분, 단순노무직 근로자에 대한 세분화 등이 두드러진다. 그러나 1992년 분

류체계가 1974년 분류체계를 단순하게 세분한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구 분류체계에서

판매직으로분류되었던 행상인과신문팔이, 서비스직으로 분류되었던가정부, 건물관

리인, 청소원, 경비원, 그리고 농·임·수산업 종사자로 분류되었던 농업노동자 등은

1992년도 분류체계에서 모두 단순 노무직 근로자로 통합되었다(<표 1-3> 참조).

<표 1-3> 직업분류체계(대분류) 비교, 1974∼1999(한국표준직업분류)

1974년도 1992년도 1999년도

0/1 전문, 기술 및 관련

직종사자

2 전문가 1 전문가

3 기술공 및 준 전문가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2 행정직·관리직 1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321 속기사, 타자원 및

전산 타자원411 비서, 타자원 및 관련 사무원 3 사무종사자

33 경리원, 출납원 및 관련

종사자42 고객봉사 사무직원

Page 3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34

1974년도 1992년도 1999년도

331 경리원 및 출납원

339 달리분류되지 않은 경

리원, 출납원 및 관련

종사자

421 대금수납원, 금전출납원 및 관련

사무원

40 도소매 관리자

41 도소매 자 자

50 요식숙박업 관리자

51 요식숙박업 자 자

12 법인관리자

13 종합관리자4 서비스 종사자

451 판매원, 점원및선전원 521 패션모델 및 기타 모델 5 판매 종사자

540 달리분류되지 않은

가정부 및 관련 가사

종사자

513 개인보호 및 관련 근로자

61 농업 및 축산종사자61 출하목적 농업 및 어업숙련근로자

62 자급농업 및 어업근로자

6 농업, 임업 및 어업숙련

근로자

7/8/9 생산 및 관련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8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 노무직 근로자 9 단순노무 종사자

331 표 수집원(60)1)

370 문서송달원(40)

9 단순 노무직 근로자

91 행상 및 단순서비스직 근로자

911 행상 및 관련 근로자

912 구두미화원 및 기타 단순

가두서비스직 근로자

913 가사 및 관련 조력원, 청소원 및

세탁원

914 건물 관리인, 창문 및 관련 청소원

915 배달원, 수하물 운반원, 경비원 및

관련 근로자

916 환경 미화원 및 관련 근로자

452 행상인(20)

신문팔이(40)

540 가정부(20)

객실종사원(50)

호텔포터(55)

551 건물관리인(30)

552 청소원(20)

589 경비원(40)

622 농업노동자(3)

624 목동(20)

92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자

921 농림어업 관련 단순 노무자

99993 채광, 건설, 제조 및 운수관련

단순노무자

X 분류불가능 0 군인 A 군인

자료: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통계청(2000)

1999년에 개정된 제5차 <한국표준직업분류>는 새로운 산업출현과 기술변화에 따

Page 3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35

른 직업구조의 변화를 반 하여 정보통신산업, 서비스산업 등에서 발생한 새로운

직업을 신설하 으며, 직업의 전문화·단순화를 반 하여 전문직은 세분하 고 생

산관련 직업은 통합하 다. 담당업무와 직업별 직능수준에 따라 대분류 11개, 중분

류 46개, 소분류 160개, 세분류 447개, 세세분류 1,404개로 분류하 고(<표 1-2> 참

조), 인구센서스에는 2000년에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한편 1988년에 UN 산하 국제노동기구(ILO)의 주도로 국제표준직업분류체계의 개

정이 이루어졌다. 1968년도의 분류체계에비하여 전반적으로 세분화되어, 대분류 <전

문·기술직> (0/1)1)이 <전문가>(2)와 <기술공 및 준전문가>(3)로 분화되고, <생산·

운수장비·단순노무자>로 혼합되어 있던 직군(7/8/9)이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8), <단순 노무직 근로자>(9)로 세분화되었다. 과거

에는 <분류불능>(X)으로 분류되었던 <군인>이 새로운 범주(0)로 설정되었다는 것도

주목할 만하다. 새분류체계와 구분류체계를 비교해보면 <표 1-4>와 같다.

<표 1-4> 국제표준직업분류체계(대분류) 비교, 1968∼1988

1968년도 1988년도

0/1 전문직·기술직2 전문가

3 기술공 및 준전문가

2 행정직·관리직 1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3 사무직 4 사무직원

4 판매직 5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

판매근로자5 서비스직

6 농·임·수산업 6 농업 및 어업숙련근로자

7/8/9 생산·운수장비·단순노무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8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9 단순 노무직 근로자

X 분류불능 0 군인

주: 1) 괄호안의 숫자는 세분류번호임.

자료: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통계청(2000)

1) 이하 괄호안의 숫자는 직업분류코드임.

Page 3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36

<표 1-5> 직무수행에 필요한 최소 직능(교육·훈련)수준

직업대분류 초등교육 중등교육기술전문

교육

대학·

대학원 교육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1)

1 전문가 2)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3 사무 종사자

4 서비스 종사자

5 판매 종사자

6 농업, 임업 및 어업숙련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노무 종사자

0 군인1)

주: 1)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와 군인은 직능수준과 무관하게 설정되어 있음.

2)음 으로 처리된 부분은 필요한 최소한의 교육수준을 가리킴.

자료: 통계청,「2000 인구주택총조사 한국표준직업분류」

한편 각 직업에는 직능수준 즉, 특정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직능수준은 교육·훈련의 정도에 따라 4가지로 구분되는데, 초등교육과정 정도의

제1직능수준, 중등교육과정 정도의 제2직능수준, 기술전문교육과정 정도의 제3직능

수준 그리고 대학 및 대학원교육과정 정도의 제4직능수준이 그것이다. 각 직업별로

요구되는 직능수준은 <표 1-5>와 같다. 전문가는 제4직능수준, 기술공 및 준전문

가는 제3직능수준, 사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농업·임업 및 어업숙련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기능종사자, 장치·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는 제2직능수준

그리고 단순노무종사자는 제1직능수준이 요구된다.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

자와 군인은 직능수준과 무관하게 설정된다는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센서스 연도별 종사상의 지위에 대한 범주 변화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표 1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1960년에는 사업주(고용주 및 자 업주), 무보수 가족종

사자, 유급의 고용자로 구분되었으나, 1966년에는 유급의 고용자를 상용고, 임시고,

Page 3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37

일고 등으로 분리하 다. 1970년 센서스부터는 고용주와 단독 자 업주간의 구분이

이루어졌고, 1980년부터는 피고용자를 임금·봉급근로자라는 하나의 범주로 분류

하 다. 1980년부터 적용된 고용주, 자 자, 무급가족종사자, 임금·봉급근로자의 분

류방식이 현재까지 적용되고 있다. 1985년 센서스에는 종사상의 지위에 관한 항목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종사상의 지위를 포함하는 통계의 연도간 비교에 어려움이 있

음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표 1-6> 연도별 종사상의 지위 범주의 변화

센서스

년도고용주 자 업주 가족종사자 피고용자

1960자기사업이나 자가 농 또는

단독 자유노동자

농가 또는 사업에 있어서

무보수 가족종사자

유급의 고용자

(개인의 고용자나 공무원)

1966 자 업주 가사협조 상용고 임시고 일고

1970 고용주 단독자 업주 가족종사자 상용고 임시고 일고

1975 고용주 세자 업주 무급가족종사자 상용고 임시고 일고

1980고용원을 둔

사업주(고용주)

고용원 없는

자 자무급가족종사자 임금·봉급근로자

19851) - - - -

1990고용원을 둔

사업주(고용주)

고용원 없는

자 자(자 업주)무급가족종사자 임금·봉급근로자

1995고용원을 둔

사업주(고용주)

고용원 없는

자 자(자 업주)무급가족종사자 임금·봉급근로자

2000고용원을 둔

사업주(고용주)

고용원 없는

자 자(자 업주)무급가족종사자 임금·봉급근로자

주: 1)1985년도 센서스조사에는 종사상의 지위에 관한 항목이 포함되어 있지 않음.

자료: 홍두승·김병조·조동기 (1999); 통계청(2000)

제 4절 기타 직업관련 통계조사

직업에 대한 통계조사는 기본적으로 경제활동인구에 대한 조사이다. 이에 관련된

조사는 1962년부터 시작하여 현재 매월 실시하는 <경제활동인구조사>와, 1983년에

Page 3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38

<표 1-7> <인구및주택센서스>, <경제활동인구조사>, <고용구조조사>의 비교

항 목 인구및주택센서스(2000) 경제활동인구조사 고용구조조사

조사

목적

경제활동상태, 산업, 직업

등 국민경제구조를 파악

하여 고용대책, 신규노동

력 수급대책, 산업구조개

선, 여성취업 확충, 노인

산업육성 등 각종 고용

정책 등의 수립에 활용(각

종 표본조사의 모집단으

로 활용)

취업, 실업, 노동력 등과

같은 인구의 경제적 특성

을 조사하여 노동공급, 가

용노동시간 및 인력자원의

활용정도를 파악하고 거시

경제분석과 인력자원의 개

발정책수립, 정부의 고용

정책 입안 및 평가에 필요

한 자료제공

(1) 산업, 직업, 지역 , 활동

상태간의 1년간 노동력 유

동상태를 파악하고,

(2) 취업의 질, 실업의 내

용 등에 관한 심층분석자

료를 생산하며,

(3) 지역별고용통계를 생산

하여 국가 및 지방자체단체

의 장·단기 인력 및 고용

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연혁인구: 1925년이래 16 차례

주택: 1960년이래 8차례

1962년 8월이후 실시,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

라 7차례 표본 개편

1983년이후 1992년까지

매 3년마다 실시되다가,

이후 매5년마다

실시하기로 변경

조사

대상

2000년 11월 1일 0시(조사

기준 시점) 현재 대한민

국의 행정권이 미치는

토내에 상주하는 한국인

과 외국인 및 이들이 거

주하고 있는 거처(주택 및

주택이외의 거처)

조사대상 주간을 기준으로

대한민국에 상주하는 만

15세이상인 자(1986년까지

는 14세). 현역군인 및 공

익근무요원, 형이 확정된

교도소 수감자, 전투경찰,

외국인 등은 제외

전국 및 시·도별 특성을

대표할 수 있도록 추출된

표본가구내의 15세이상인

구. 단, 군인, 전투경찰, 방

위병, 형의 확정을 받고 복

역중인 자, 해외취업자 및

외국인 제외.

표본수

전체(2000년 인구주택 총

조사에서는 10%표본조사

병행)

약 30,000 표본가구(1998년

1월 이후)약 140,000가구

조사

방법

조사원이 각 가구를 방문

하여 면접조사

조사원이 대상가구를 방문

하여 조사표를 직접 작성

하는 면접타계식

조사원이 대상가구를 방문

하여 조사표를 직접 작성

하는 면접타계식

경제활동

상태

(취업자)

조사대상기간중 15일이상

돈벌이 또는 생업에 주로

종사한 자.

조사대상 1주간의 경제활

동상태에 대한 노동력 접

근법

조사대상 1주간의 경제활

동상태에 대한 노동력 접

근법

자료: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시작되어 1992년까지 매 3년마다 실시되다가 이후부터는 매 5년마다 실시되는 <고

Page 3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39

용구조조사>가 있다.2)경제활동상태를 판단하는 데 있어, <경제활동인구조사>와 <고

용구조조사>는 노동력접근법을 취하고 있고, 인구센서스는 유업자접근법을취하고

있다(이 건, 1997).3)<표 1-7>에 <인구및주택센서스>와 <경제활동인구조사>, <고용

구조조사>가 비교, 제시되어 있다. <고용구조조사>의 조사방법은 <경제활동인구조

사>와 같기 때문에 <경제활동인구조사>와 <인구및주택센서스>를 중점적으로 비교

해 보기로 한다.

<경제활동인구조사>는 통계청에서 전국의 가구를 대상으로 매월 1회 실시하는

표본조사로, 취업, 실업, 노동력 등 우리 나라 인구의 경제활동에 관한 특성을 32개

항목(1999년 11월 이후)을 통하여 조사한다. <경제활동인구조사>는 15세 이상 인구

를 생산가능한 인구로 파악하여 이를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누고 전

자는 다시 취업자와 실업자로 구분한다. 취업자에는 ① 조사대상 주간 중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자, ② 자기에게 직접적으로 이득이나 수입이 오지 않더

라도 자기 가구에서 경 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높이는 데 도운 가족종사

자로서 주당 18시간이상 일한 자(무급가족종사자), ③ 직장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주간 중 일시적인 병, 일기불순, 휴가 또는 연가, 노동쟁의 등의 이

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 등이 포함된다. 실업자는 ① 조사대상 주간 중 수입

이 있는 일에 전혀 종사하지 못한 자로서, 즉시 취업이 가능하며 적극적으로 구직

활동을 한 자, ② 30일 이내에 새로운 직장에 들어갈 것이 확실한 취업대상자는 구

직활동여부에 관계없이 실업자로 분류한다. 비경제활동인구는 조사대상기간 중 취

2) 1983년부터 1992년까지는 <고용구조특별조사>라는 명칭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주

기적인 조사는 아니지만, 1974년에 약 13만 표본가구를 대상으로 <고용통계조사>가

실시된 바 있으며, 그 결과는 1976년 1974 특별고용통계조사보고 로 출간되었다.

3) 노동력접근법은 ILO에서 권장하는 기준으로 이에는 1주간 등과 같은 단기를 기준

으로 하는 현재상태접근법과 3개월, 1년 등을 기준으로 하는 평상상태접근법이 있

다. 노동력의 계절적 이동이 큰 경우에는 후자가 전자보다 대표성이 있기 때문에

ILO는 개발도상국가에서는 평상상태접근법을, 그리고 안정된 경제성장 단계에 있

는 국가에서는 현재상태접근법을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Page 3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40

업자도 실업자도 아닌 만 15세 이상인 자, 즉 집안에서 가사와 육아를 전담하는 가

정주부, 학교에 다니는 학생, 일을 할 수 없는 연로자와 심신장애자, 자발적으로 자

선사업이나 종교단체에 관여하는 자 등을 말한다.

2000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에서는 조사대상인구의 경제활동 상태를 3개의

범주로 구분하고 있다. 즉 ① 일하고 있음 ② 일을 하여 왔으나 휴가 등으로 잠시

쉬고 있음③ 일하고 있지 않음(가사, 학업 등) 등이다. 2000년 인구 및 주택 센서스

의 조사대상 분류에서는 ①∼②의 범주가 경제활동인구에 해당하고, ③은 비경제

활동인구에 해당된다고 할 수 있다.

그밖에 직업과 관련된 통계조사로 노동부에서 실시하는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

와 <노동력수요동향조사>가 있다.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는 근로자의 임금·근로

시간 등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을 직종 및 산업별로 조사 파악함으로써 제반 경제시

책과 기업의 임금체계 등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1968

년 이후 매년 실시되고 있으며,4)<노동력수요동향조사>는 근로자의 직종별, 산업별,

기술·기능정도별 현재 인원과 부족인원을 조사하여 대비함으로써 사업체의 전반

적인 노동력 수급사항을 파악하고, 고용증감현상을 전망하여 노동정책 입안자료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1976년 이후 매년 1회 작성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5)

이상의 두 조사는 앞의 조사와 달리 가구가 표본단위가 되는 것이 아니라 사업체

를 표본단위로 한다. 사업체를 대상으로 한 조사이기 때문에 조사편의상 산업분류

에서 농업·수렵업 및 임업, 어업이 제외되며, 민간부문을 대상으로 한 노동정책수

립이 목적이기 때문에 국가 및 지방행정기관, 군·경찰, 국·공립교육기관 등이 조

사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리고 나머지 산업의 사업체 중에서도 사용근로자 9인이하

4) 1991년까지는 “직종별임금실태조사”로 조사되었으나, 1992년부터 “임금구조기본통

계조사”로 바뀌었다. 이에 보고서 명칭도 직종별임금실태조사보고서 에서 임금

구조기본통계조사보고서 로 변경되었다.

5) 1994년까지는 “고용전망조사” 으나 1996년부터 “노동력수요동향조사”로 바뀌었

고, 보고서명칭도 고용전망조사보고서 에서 노동력수요동향조사보고서 로 변

경되었다. 또한 1977년부터 1980년까지는 매년 2회 작성되었다.

Page 4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41

의 사업체가 제외된다. 결과적으로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와 <노동력수요동향조

사>는 상용근로자 10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 중 층화계통표집방법에 의하

여 추출된 각기 2,700개 및 3,800개의 표본 사업체가 실제 조사대상이 된다.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와 <노동력수요동향조사>는 자 업자, 상용근로자 10인

미만 사업체 종사 근로자, 국가부문(또는 공공부문)에 종사하는 취업자가 제외된 조

사이기 때문에, 이들 조사의 조사결과를 특정 직종의 대표치로 사용하는 데는 매

우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그러나 <임금구조기본통계조사>는 임금과 관련

된 보다 상세한 정보를 내포하고 있어 보완적 자료로 그 효용가치는 매우 크며, 따

라서 직종, 연령, 교육수준 및 성별에 따른 임금격차를 시계열적으로 파악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또한 <노동력수요동향조사>도 산업별, 직종별, 사업체규모별로 직

업충원 및 이직경향이 시계열적으로 어떻게 변하 는지 연구하는데 사용될 수 있

을 것이다.

제 5절 분석자료

직업구조 및 구성 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직업분류가 포함된 시계열 자

료가 있어야 하며, 또한 시계열 비교가 가능하도록 직업분류에 있어서 일관성이 유

지되어야 한다.

현재 직업구조 및 구성에 대한 시계열 분석이 가능한 자료로는 <경제활동인구조

사>와 <인구주택총조사>가 있다. 단기간의 인력수급정책이나 노동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빈번하게 실시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자료를 분석하는 것이 보다 편리

할 것이다. 그러나 단기 경제정책이나 노동통계의 범위를 벗어나 <국민생활구조>의

장기적인 변화 추세를 분석하는 데는 자료의 포괄성이나 정확성을 고려할 때, <인

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나라에서 정부수립 후 최초의 인구센서스는 1949년에 실시된 <제1회 총인구

조사>이다. 그러나 그 결과보고서는 대부분 전쟁 중 소실되었을 뿐만 아니라, 이후

Page 4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42

우리가 경험한 한국전쟁과 분단상황으로 인해, 남한만을 대상으로 한 직업구조 분

석에는 1949년의 자료가 부적절한 측면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대분류

수준에서 조사결과를 알 수 있는 1955년에 실시된 <제1회 간이총인구조사>부터 활

용하고자 한다. 그러나 1955년 센서스도 자료수집과정에서의 정확성이나 통계작성

의 치 성 등에 한계가 있어 본격적인 분석은 1960년도 이후 자료에 맞추어질 수밖

에 없다. 1955년에서 1990년까지는 그 동안 발간된 인구센서스 조사보고서를 활용

하고, 1995년과 2000년의 경우는 인구주택총조사 2% 표본자료를 분석하고자 한다.

다만 1985년에는 <인구및주택센서스> 보고서 중 <경제활동 편>이 출간되지 않았기

때문에 경제활동인구연보 중 1985년 자료를 대체하여 사용하고자 한다.

뿐만 아니라 직업분류의 일관성 문제도 고려되어야 한다. <인구주택총조사>의 기

본 조사항목인 연령, 성, 교육수준, 종사상의 지위 등은 사회변동 여부에 크게 향

을 받지 않는 조사항목이기 때문에 일관성이 유지되고 있다. 그러나 직업분류는 그

자체가 사회변동 양상을 그대로 반 하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일관성을 유지하

기가 매우 어렵다. 1986년 10,451개 던 우리 나라의 직업 수는 1994년 현재 12,000

여개로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노동부, 1995). 이는 10년이 채 되지 않는 시기에 직

업수가 10%정도 증가한 것이다. 통계청이 1992년이래 사용해왔던 직업분류방식을

2000년에 전면 개정한 것은 바로 사회변동양상을 직업분류에 반 하고자하는 노력

의 일환이다.

시계열 분석이 과거로부터 현재까지의 변화추세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래

를 전망하는 것이라면, 현재 적용되는 직업분류를 기준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

다. 그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이전에 조사된 직업분류를 개정된 분류방식에 의거하

여 재분류해야 한다. 그러나 이 경우 현실적으로 각 년도 조사 원자료를 재분석해

야하는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방법론적으로도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직업이

란 특성상, 여러 직업이 하나의 직업으로 통합되기보다 하나의 직업이 여러 개로

분화되는 경우가 압도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직업에 대한 시계열 분석은 현재의

분화된 분류보다 과거의 미분화된 분류를 따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1995년 <인구

Page 4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1장 지식정보사회와 직업 43

주택총조사> 자료가 1992년말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을 따르고 있지만, 시계열분석

에서는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직업 대분류가 가장 간략한 1974년 분류기준으

로 재분류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1995년의 직업을 이전의 분류방식에 따라 재분류하기 위하여 <표 1-3>에 제시

된 틀을 기본적으로 따르되 몇 가지 세부적인 변화를 주어 조정하 다. 첫째로, 준

전문가로 분류된 <금융 및판매 준전문가>(341), <사업서비스대리인 및상품중개인>

(342)과 <단순 노무직 근로자>로 분류된 <행상 및 관련 근로자>(911)를 판매직(4)으

로 분류하 다. 둘째로, 준전문가로 분류된 <관리 준전문가>(343)와 <관세, 조세 및

관련 정부 준전문가>(344)를 사무직(3)으로 분류하 다. 셋째로, 준전문가로 분류된

<수사관>(345)과 단순 노무직 근로자로 분류된 <구두미화원 및 기타 단순 가두서비

스직 근로자>(912), <가사 및 관련 조력원, 청소원 및 세탁원>(913), <건물관리인, 창

문 및 관련 청소원>(914), <배달원, 수하물 운반원, 경비원 및 관련 근로자>(915), <환

경미화원 및 관련 근로자>(916)를 서비스직(5)으로 분류하 다. 마지막으로 단순노

무직 근로자로 분류된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자>(921)를 농·임·수산직으로 분

류하 다.

여기서 1995년 소분류에서 <종합관리자>(131)로 구분되어 있는 범주에는 판매직

으로 분류되어야 할 도·소매 관리자, 도·소매 자 업자와 서비스직으로 분류되

어야 할 음식·숙박업 관리자, 음식·숙박업 자 업자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종

합관리직을 포함하고 있는 대분류 행정·관리직의 변화를 검토하는 경우에는 이

점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 역시 1999년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을 따르고 있지

만, 시계열 분석상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1974년 분류기준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

다. 1999년 개정된 직업분류기준을 <부록 2>의 신·구 및 구·신 분류 연계표에

따라 1992년도의 직업분류코드로 변환하고 이를 또다시 <표 1-4>에 따라 1974년

분류기준으로 재분류하여 분석하 다. 따라서 세부적인 분류기준 상의 변화는 1995

년의 직업을 1974년 분류기준으로 재분류한 방식과 같다.

Page 4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44

제 2장 직업의 분포

이 장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의 직업분포를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를 통해 분석

해 보고자 한다. 2000년 인구센서스 자료는 1999년에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을 처음

으로 적용한 센서스이기 때문에 다른 연도의 센서스 자료와 비교하는데는 다소 문

제가 있을 수 있으나, 자료에 보다 충실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분류방식을 그대로

사용하여 직업의 분포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 장에서는 주로 직업의 분포에 대해

기술한다. 우선 대분류 수준에서 각 직업범주의 분포를 살펴보고, 이어서 중분류 수

준에서의 직업구성의 특성을 검토하고자 한다.

제 1절 직업구성의 개관

1999년도에 개정된 직업분류체계는 직업을 대분류상으로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0), ‘전문가’(1), ‘기술공 및 준전문가’(2), ‘사무 종사자’(3), ‘서비스 종사

자’(4), ‘판매 종사자’(5),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6),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7),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8), ‘단순노무 종사자’(9), ‘군인’(A) 등 11

개의 범주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범주에 기초한 직업의 분포와 각 직업 범주별 성

별, 연령별, 학력별 구성을 살펴본다.

대분류 수준에서의 직업범주별 분포가 <표 2-1>에 나타나 있다. 2000년 현재 가

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직업범주는 13.5%를 차지하는 ‘사무 종사자’와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이며, 그 뒤를 이어 ‘판매 종사자’(12.5%), ‘장치, 기계조

작 및 조립 종사자’(10.8%),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10.3%) 등의 순으로 나

타난다. 반면에 ‘서비스 종사자’(9.6%), ‘전문가’(9.1%), ‘기술공 및 준전문가’(7.7%),

‘단순노무 종사자’(7.5%),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5.2%), ‘군인’(0.4%) 등

Page 4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45

은 10% 미만을 차지하고 있다.

직업범주별 성별 구성을 보면 ‘서비스 종사자’와 ‘판매 종사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직업범주에서 남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범주에서는 남성의 비중이 92.4%로 여성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

났다. 이 외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범주

에서도 남성의 비중이 80% 이상을 차지해 성별에 따른 직업범주간 불균형을 여실

히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여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직업은 63.3%의 비중을

차지한 ‘서비스 종사자’와 50.1%의 비중을 차지한 ‘판매 종사자’두 범주인 것으로

나타났다.

<표 2-1> 직업별 분포 및 성별구성, 2000

구 분

직 업

전 체 성별(%)

N % 남자 여자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18,908 5.2 92.4 7.6

1 전문가 32,847 9.1 56.1 43.9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27,718 7.7 72.1 27.9

3 사무 종사자 48,821 13.5 55.6 44.4

4 서비스 종사자 34,627 9.6 36.7 63.3

5 판매 종사자 45,124 12.5 49.9 50.1

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48,918 13.5 52.1 47.9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37,221 10.3 80.6 19.4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39,034 10.8 83.3 16.7

9 단순노무 종사자 27,222 7.5 65.1 34.9

A 군인 1,434 0.4 99.4 0.6

전 체 361,874 100.0 62.3 37.7

직업범주별 연령구성을 보면 전체적으로 30대의 비율이 29.8%로 가장 높다. 범주

별로 살펴보면 ‘전문가’, ‘기술공 및 준전문가’, ‘판매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 기능

Page 4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46

종사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범주에서 특히 30대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난다.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와 ‘서비스 종사자’의 경우에는 40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사무 종사자’의 경우에는 20대 이하의 비중이 크다.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단순노무 종사자’의 경우는 50대 이상이 큰 비중

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표 2-2> 직업별 연령구성, 2000

연 령

직 업

20대

이하30대 40대

50대

이상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1 전문가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3 사무 종사자

4 서비스 종사자

5 판매 종사자

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노무 종사자

A 군인

4.1

32.9

30.5

39.0

19.4

19.3

2.9

18.1

19.4

12.5

25.2

30.2

36.8

38.7

35.6

29.2

32.7

9.3

34.7

33.4

21.7

41.4

40.1

20.4

21.4

18.5

34.2

28.9

18.6

32.4

31.8

28.1

27.6

25.7

9.9

9.4

6.9

17.2

19.1

69.1

14.8

15.4

37.7

5.7

전 체 20.5 29.8 26.5 23.3

학력구성을 보면 전체적으로는 고등학교의 학력이 40.2%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

타났다. 이를 직업별로 살펴보면, ‘전문가’의 경우는 대학이상의 학력이 89.3%로 가

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술공 및 준전문가’, ‘사무 종사자’의 경우에서도 대학이상의

학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 기

능 종사자’는 고등학교 학력의 비중이 크다. 반면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의 경우는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이 65.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age 4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47

<표 2-3> 직업별 학력구성, 2000

학력

직업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이상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1 전문가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3 사무 종사자

4 서비스 종사자

5 판매 종사자

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노무 종사자

A 군인

2.4

0.4

1.3

1.3

13.7

9.7

65.6

11.1

8.4

28.3

0.1

5.3

0.6

2.5

3.2

18.3

12.5

16.0

19.3

17.9

22.9

1.2

34.9

9.7

30.5

44.1

50.1

54.6

15.3

55.2

62.1

40.7

38.9

57.4

89.3

65.8

51.4

17.9

23.2

3.0

14.4

11.6

8.0

59.8

전 체 16.0 12.1 40.2 31.7

제 2절 전문·관리·기술 직업군

1.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직업대분류에서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는 법률과 규칙을 제정하고, 정

부를 대표·대리하며 정부나 특수이익단체의 정책을 결정하고 이에 대해 지휘·조

언한다. 또한 정부, 기업, 단체 또는 그 내부 부서의 정책과 활동을 기획, 지휘 및

조정한다(통계청, 2000).

2000년도 현재 이 직업범주는 ‘일반관리자’(69.7%)와 ‘행정 및 경 관리자’(29.7%)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각 범주의 인구학적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성별 구성의

경우는 남성의 구성비가 압도적으로 높다. ‘의회의원 및 고위임원’의 경우는 남자가

97.2%를 차지함으로써, 성별 불균형이 극도로 심각함을 보여주고 있고, ‘일반관리

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여성의 비율은 단지 8.5%를 차지하는데 그치고 있다. 연령구

Page 4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48

성의 특성을 보면 40대와 50대 이상의 구성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의회

의원 및 고위임원’의 경우에는 50대 이상의 구성비가 50.0%로 상당히 큰 편이다.

<표 2-4>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01 의회의원 및 고위임원

02 행정 및 경 관리자

03 일반관리자

18,908

108

5,623

13,177

100.0

0.6

29.7

69.7

92.4

97.2

94.4

91.5

7.6

2.8

5.6

8.5

[그림 2-1]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의 연령구성

학력구성을 보면 중분류 범위 모두에서 대학이상의 학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행정 및 경 관리자’의 경우는 대학이상의 학력 비중이

67.0%를 차지한다.

Page 4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49

<표 2-5>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01 의회의원 및 고위임원

02 행정 및 경 관리자

03 일반관리자

2.4

2.8

1.1

2.9

5.3

7.4

3.3

6.2

34.9

29.6

28.6

37.6

57.4

60.2

67.0

53.3

2. 전문가

직업대분류에서 ‘전문가’는 물리, 생명과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전

문적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과학적 개념과 이론을 응용하여 해당 분야를 연구, 개

발 및 개선한다. 또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이용하여 의료 진료활동과 각급 학교 학

생을 지도하고 사업, 법률 및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며 예술적인 창작활동을 수행한

다(통계청, 2000).

중분류상으로 전문가는 ‘교육 전문가’가 41.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보건의

료 전문가’(15.7%), ‘공학 전문가’(14.1%), ‘컴퓨터 관련 전문가’(9.2%)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행정, 경 및 재정 전문가’(3.3%)와 ‘과학 전문가’(0.9)는 5% 미만인 것

으로 나타났다. ‘전문가’직업범주의 성별 구성을 보면 전체적으로 남성이 56.1%를

차지함으로써 여성에 비해 다소 높다. 그러나 ‘공학 전문가’의 경우는 남성이 94.3%

를, ‘보건의료 전문가’의 경우는 여성이 65.3%를 차지함으로써 전통적인 남성 전문

직과 여성 전문직 간 구별이 여전히 뚜렷히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외에도

‘행정, 경 및 재정 전문가’, ‘법률, 사회서비스 및 종교 전문가’범주에서는 남성의

비중이 크고 ‘교육 전문가’범주는 여성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구성을 보면 30대의 구성비가 대체적으로 높은 편이고, 그 중 ‘공학 전문가’

와 ‘과학 전문가’의 경우는 특히 높게 나타나고 있다. ‘컴퓨터 관련 전문가’와 ‘문화,

예술 및 방송관련 전문가’의 경우는 매우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해당분야의

Page 4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50

속성을 반 하듯 20대 이하의 구성비가 매우 크다.

<표 2-6> 전문가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1 전문가

11 과학전문가

12 컴퓨터 관련 전문가

13 공학 전문가

14 보건의료 전문가

15 교육 전문가

16 행정, 경 및 재정 전문가

17 법률, 사회서비스 및 종교 전문가

18 문화, 예술 및 방송관련 전문가

32,847

303

3,018

4,616

5,160

13,652

1,078

1,667

3,353

100.0

0.9

9.2

14.1

15.7

41.6

3.3

5.1

10.2

56.1

81.2

77.9

94.3

34.7

39.8

88.0

87.3

55.4

43.9

18.8

22.1

5.7

65.3

60.2

12.0

12.7

44.6

[그림 2-2] 전문가의 연령구성

과학전문가

법률, 사회서비스 및

종교 전문가

컴퓨터관련전문가

공학전문가

보건의료전문가

교육전문가

행정·경및

재정전문가

문화·예술및 방송관련

전문가

‘전문가’의 학력구성을 보면, 중분류 범위 모두에서 대학이상의 학력이 압도적으

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특히 ‘교육 전문가’는 대학이상의 학력이 95.1%를 차지하

Page 5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51

며, ‘과학 전문가’역시 대학 이상의 학력이 94.7%나 된다.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인

경우는 ‘법률, 사회서비스 및 종교 전문가’(2.6%)를 제외하면 중분류 전 범위에서 극

도로 낮은 0%대의 비중을 보인다.

<표 2-7> 전문가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1 전문가

11 과학전문가

12 컴퓨터 관련 전문가

13 공학 전문가

14 보건의료 전문가

15 교육 전문가

16 행정, 경 및 재정 전문가

17 법률, 사회서비스 및 종교 전문가

18 문화, 예술 및 방송관련 전문가

0.4

0.3

0.1

0.6

0.2

0.1

0.2

2.6

0.5

0.6

0.3

0.1

1.1

0.5

0.1

0.7

2.5

1.4

9.7

4.6

10.3

12.7

13.5

4.7

16.7

8.4

18.6

89.3

94.7

89.5

85.6

85.8

95.1

82.4

86.5

79.5

3. 기술공 및 준전문가

직업대분류에서 ‘기술공 및 준전문가’는 하나 이상의 자연·생명과학 및 사회과

학 분야에서 기술적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전문가의 지휘하에 조사, 연구, 의료, 경

및 상품거래에 관련된 기술적인 업무와 스포츠 활동을 수행한다(통계청, 2000).

중분류상으로 ‘기술공 및 준전문가’범주는 ‘경 및 재정 준전문가’(31.7%), ‘공학

관련 기술종사자’(25.2%), ‘교육 준전문가’(15.1%) 등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술

공 및 준전문가’의 중분류별 성별 구성의 특성을 보면, 남성의 구성비율이 월등히

높은 가운데 ‘전문가’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공학관련 기술종사자’와 ‘경 및

재정 준전문가’범주는 남성의 비율이, ‘보건의료 준전문가’와 ‘교육 준전문가’범주

는 여성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각 범주별 연령구성의 특성을 보면 20대 이하와 30대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Page 5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52

‘보건의료 준전문가’와 ‘컴퓨터관련 준전문가’범주는 20대 이하가 50% 이상의 매우

큰 비중을 가진다. ‘경 및 재정 준전문가’와 ‘공학관련 기술종사자’의 경우는 30대

의 구성비가 높다.

<표 2-8>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21 과학관련 기술종사자

22 컴퓨터관련 준전문가

23 공학관련 기술종사자

24 보건의료 준전문가

25 교육 준전문가

26 경 및 재정 준전문가

27 사회 서비스 및 종교 준전문가

28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

29 기타 준전문가

27,718

187

1,118

6,985

1,207

4,180

8,788

748

961

3,544

100.0

0.7

4.0

25.2

4.4

15.1

31.7

2.7

3.5

12.8

72.1

79.7

71.9

85.2

26.7

28.0

85.2

42.4

78.4

85.6

27.9

20.3

28.1

14.8

73.3

72.0

14.8

57.6

21.6

14.4

[그림 2-3]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연령구성

과학관련

기술종사자

컴퓨터관련

준전문가

공학관련

기술종사자

보건의료

준전문가

교육

준전문가

사회서비스

및 종교준전문가

예술·연예

및 경기준전문가

기타

준전문가

경 및재정

준전문가

Page 5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53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학력을 보면 중분류의 전 범주에서 대학이상의 학력이 높

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교육 준전문가’와 ‘컴퓨터관련 준전문가’범주에서

는 대학이상의 학력이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다만 ‘보건의료 준전문가’범주에서는

고등학교의 학력이 51.1%로 대학이상의 학력보다 다소 높은 비중을 보인다.

<표 2-9> 기술공 및 준전문가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21 과학관련 기술종사자

22 컴퓨터관련 준전문가

23 공학관련 기술종사자

24 보건의료 준전문가

25 교육 준전문가

26 경 및 재정 준전문가

27 사회 서비스 및 종교 준전문가

28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

29 기타 준전문가

1.3

1.6

0.2

1.8

0.8

0.3

1.7

2.9

1.4

0.5

2.5

2.1

0.4

3.2

1.7

0.7

3.3

3.7

1.9

1.7

30.5

20.9

22.6

32.7

51.1

15.2

35.2

20.1

43.1

27.3

65.8

75.4

76.7

62.3

46.3

83.8

59.8

73.3

53.7

70.5

제 3절 사무·판매·서비스 직업군

1. 사무 종사자

직업대분류에서 ‘사무 종사자’는 관리자, 전문가 및 준전문가를 보조하여 경 방

침에 의해 사업계획을 입안하고 계획에 따라 업무 추진을 수행하며, 당해 작업에

관련된 정보 기록, 보관, 계산 및 검색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금전 취급활동,

여행알선, 정보요청 및 예약업무에 관련하여 많은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사무적인

업무를 수행한다(통계청, 2000).

‘사무 종사자’의 중분류별 구성비는 ‘일반사무 관련 종사자’가 84.3%이고, ‘고객서

Page 5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54

비스 사무 종사자’가 15.7%이다.

‘사무 종사자’의 각 범주별 인구학적 특성의 구성을 보면, 성별의 경우 ‘일반사무

관련 종사자’는 남성이 59.6%로 여성보다 높은 반면에 ‘고객서비스 사무 종사자’의

경우에는 여성이 65.6%로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각 범주별 연령의 구성은

20대 이하와 30대가 대부분이며, 특히 ‘고객서비스 사무 종사자’의 경우에는 20대

이하가 44.3%를 차지한다.

<표 2-10> 사무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3 사무 종사자

31 일반사무 관련 종사자

32 고객서비스 사무 종사자

48,821

41,145

7,676

100.0

84.3

15.7

55.6

59.6

34.4

44.4

40.4

65.6

[그림 2-4] 사무 종사자의 연령구성

‘사무 종사자’의 학력구성을 보면, 고등학교와 대학이상의 학력이 대부분을 차지

Page 5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55

하며, ‘일반사무 관련 종사자’의 경우 대학 이상의 학력이 53.1%의 비중을 가진다.

<표 2-11> 사무 종사자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3 사무 종사자

31 일반사무 관련 종사자

32 고객서비스 사무 종사자

1.3

1.0

3.0

3.2

2.8

5.2

44.1

43.1

49.5

51.4

53.1

42.3

2. 서비스 종사자

직업대분류에서 ‘서비스 종사자’는 개인보호, 이·미용, 조리 및 신변보호에 관련

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를 수행한다(통계청, 2000).

이 직업범주는 ‘조리 및 음식서비스 종사자’(65.9%), ‘대인서비스 관련 종사자’

(25.0%), ‘보안서비스 종사자’(7.9%), ‘여행 및 운송 관련 종사자’(1.1%)의 순으로 구

성되어 있다.

‘서비스 종사자’의 중분류 범주별 인구학적 변수의 구성을 보면, 먼저 성별의 경

우 다른 직업과는 달리 여성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특히 ‘조리 및 음

식서비스 종사자’의 경우 여성의 비율이 71.5%로 매우 높으며, ‘대인서비스 관련 종

사자’의 경우에 있어서도 여성이 60.9%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다만 ‘보안서비스

종사자’는 남성이 95.9%의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함으로써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

산을 보호하여야 하는 등의 일을 수행하여야 하는 업무의 속성상 아직은 남성 우위

직업으로 분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령분포는 ‘대인서비스 관련 종사자’의 경우 20대 이하와 30대가 비중이 크며,

‘조리 및 음식서비스 종사자’는 40대, ‘여행 및 운송 관련 종사자’는 20대 이하, ‘보안

서비스 종사자’는 30대의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른 직업에 비해 직

업범주간 연령에 따른 차이는 그리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Page 5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56

<표 2-12> 서비스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4 서비스 종사자

41 대인서비스 관련 종사자

42 조리 및 음식서비스 종사자

43 여행 및 운송 관련 종사자

44 보안서비스 종사자

34,627

8,667

22,828

396

2,736

100.0

25.0

65.9

1.1

7.9

36.7

39.1

28.5

49.7

95.9

63.3

60.9

71.5

50.3

4.1

[그림 2-5] 서비스 종사자의 연령구성

중분류 범주에 따른 학력구성에 있어서는 고등학교와 대학이상의 학력 비중이 대

체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인서비스 관련 종사자’의 경우는 고등학교의 학력이

55.2%로 높게 나타나며, ‘여행 및 운송 관련 종사자’의 경우는 대학이상의 학력이

68.7%를 차지한다.

Page 5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57

<표 2-13> 서비스 종사자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4 서비스 종사자

41 대인서비스 관련 종사자

42 조리 및 음식서비스 종사자

43 여행 및 운송 관련 종사자

44 보안서비스 종사자

13.7

8.7

17.4

0.5

0.4

18.3

13.8

22.2

2.3

1.8

50.1

55.2

48.9

28.5

47.0

17.9

22.3

11.5

68.7

50.8

3. 판매 종사자

직업대분류에서 ‘판매 종사자’는 도·소매상점이나 유사 사업체 또는 거리 및 공

공장소에서 상품을 판매하며, 상품을 광고하거나 예술작품을 위하여 일정한 자세를

취하고 상품의 품질과 기능을 선전하는 등의 활동을 수행한다(통계청, 2000).

2000년 현재 이 범주는 중분류 3개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중 ‘도소매 판매

종사자’가 98.8%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성별 구성을 살펴보면 가장 큰 비

중을 차지하고 있는 ‘도소매 판매 종사자’의 경우 남성과 여성의 구성비가 동일하

며, ‘통신 판매 종사자’는 여성의 비중이 다소 높다. 그러나 ‘모델 및 홍보 종사자’의

경우는 여성이 72.3%로 남성보다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중분류별 연령구성을 보면 ‘도소매 판매 종사자’의 경우 30대, 40대의 비중이 높

<표 2-14> 판매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5 판매 종사자

51 도소매 판매 종사자

52 통신 판매 종사자

53 모델 및 홍보 종사자

45,124

44,569

353

202

100.0

98.8

0.8

0.4

49.9

50.0

45.9

27.7

50.1

50.0

54.1

72.3

Page 5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58

[그림 2-6] 판매 종사자의 연령구성

은 반면 ‘통신 판매 종사자’와 ‘모델 및 홍보 종사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20대 이하

의 비중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판매 종사자’의 학력구성을 보면 ‘도소매 판매 종사자’의 경우 고등학교의 학력이

54.6%, ‘통신 판매 종사자’의 경우는 대학 이상의 학력이 50.7% 그리고 ‘모델 및 홍

보 종사자’의 경우는 고등학교의 학력이 55.4%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표 2-15> 판매 종사자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5 판매 종사자

51 도소매 판매 종사자

52 통신 판매 종사자

53 모델 및 홍보 종사자

9.7

9.8

1.4

1.0

12.5

12.6

3.4

5.4

54.6

54.6

44.5

55.4

23.2

22.9

50.7

38.1

Page 5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59

제 4절 농어업·생산직 직업군 및 군인

1.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직업대분류에서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는 농산물, 임산물 및 수산물의

생산에 필요한 지식과 경험을 기초로 전답작물 또는 과수작물을 재배·수확하고 동

물을 번식·사육하며 산림을 경작, 보존 및 개발한다. 또한 물고기의 번식 및 채취

또는 기타 형태의 수생 동식물을 양식·채취하는 업무를 수행한다(통계청, 2000).

<표 2-1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61 농업 숙련 종사자

62 임업 숙련 종사자

63 어업 숙련 종사자

48,918

46,708

129

2,081

100.0

95.5

0.3

4.3

52.1

51.1

83.7

70.8

47.9

48.9

16.3

29.2

[그림 2-7]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의 연령구성

Page 5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60

2000년 현재 이 범주는 중분류 3개 범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중 ‘농업 숙련 종

사자’가 95.5%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성별 구성을 살펴보면 가장 큰 비중

을 차지하고 있는 ‘농업 숙련 종사자’의 경우는 남성과 여성의 구성비가 비슷하나,

‘임업 숙련 종사자’와 ‘어업 숙련 종사자’의 경우는 남성이 각각 83.7%와 70.8%로 여

성에 비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연령별 구성을 보면 중분류 전 범위에서 50대

이상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연령이 낮아질수록 종사자 비중 또한 줄어들고 있다.

학력구성을 보면 중분류 전 범위에서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 비중이 가장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특히 농업 숙련 종사자의 경우는 초등학교 이하 학력의 비중이 가

장 높다.

<표 2-17>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61 농업 숙련 종사자

62 임업 숙련 종사자

63 어업 숙련 종사자

65.6

66.5

37.2

47.2

16.0

15.5

15.5

27.4

15.3

15.0

31.8

22.9

3.0

3.0

15.5

2.5

2.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직업대분류에서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는 광공업, 건설업 분야에서 관련된

지식과 기술을 응용하여 금속을 성형하고, 각종 기계를 설치 및 정비한다. 또한 섬

유, 수공예 제품과 목재, 금속 및 기타 제품을 가공한다. 작업은 손과 수공구를 사용

하며 이러한 업무는 생산과정의 모든 공정과 사용되는 재료, 최종제품에 관련된 내

용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통계청, 2000).

중분류상으로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범주는 ‘추출 및 건설 기능 종사자’

(27.8%), ‘기계 설치 및 정비 기능 종사자’(25.7%),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 종사자’

Page 6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61

(12.3%) 등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성별 구성을 보면, 중분류 대부분의 범주에서

남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추출 및 건설 기능 종사자’범주는 남성

의 비중이 95.8%로 매우 높다. 각 범주별 연령의 구성을 보면, 30대와 40대의 비중

이 각각 30% 내외로 비교적 높다. ‘추출 및 건설 기능 종사자’범주는 40대가 37.1%

를 차지하며, ‘기계 설치 및 정비 기능 종사자’범주는 30대가 38.2%를 차지한다.

<표 2-18>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1 추출 및 건설 기능 종사자

72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3 기계 설치 및 정비 기능 종사자

74 정 기구, 세공 및 수공예 기능 종사자

75 기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37,221

10,351

4,561

9,581

3,113

9,615

100.0

27.8

12.3

25.7

8.4

25.8

80.6

95.8

94.1

96.7

74.3

44.0

19.4

4.2

5.9

3.3

25.7

56.0

[그림 2-8]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의 연령구성

정 기구·세공

및 수공예기능 종사자

추출 및 건설

기능 종사자

금속, 기계 및

관련기능종사자

기계 설치 및

정비기능종사자

기타 기능원및 관련

기능 종사자

Page 6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62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의 중분류별 학력구성을 보면, 중분류 전 범주에서

고등학교의 학력 비중이 가장 높다. 특히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 종사자’범주는

고등학교의 학력이 62.8%를 차지한다. 다만, ‘기계 설치 및 정비 기능 종사자’인 경

우는 대학 이상의 학력도 26.8%를 차지하고 있다.

<표 2-19>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1 추출 및 건설 기능 종사자

72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3 기계 설치 및 정비 기능 종사자

74 정 기구, 세공 및 수공예 기능 종사자

75 기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11.1

14.6

8.3

3.1

8.5

17.6

19.3

21.2

19.1

8.8

16.4

28.7

55.2

51.6

62.8

61.4

58.3

48.2

14.4

12.5

9.8

26.8

16.7

5.5

3.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직업대분류에서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는 대규모적이고 때로는 고도의

자동화된 산업용 기계 및 장비를 조작하고 부분품을 가지고 제품을 조립하는 업무

로 구성된다. 작업은 기계조작 뿐만 아니라 컴퓨터에 의한 기계제어 등 기술적 혁

신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포함하여 기계 및 장비에 대한 경험과 이해가 요구된

다(통계청, 2000).

중분류상으로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범주는 ‘운전원 및 관련 종사자’

가 44.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기계 조작원 및 관련 종사자’, ‘조립

종사자’, ‘고정기계장치 및 시스템 조작 종사자’의 순으로 나타난다. 성별 구성을 보

면, 중분류 전 범위에서 남성의 비중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나며, 특히 ‘운전원 및

관련 종사자’와 ‘고정기계장치 및 시스템 조작 종사자’범주의 경우 남성의 비율이

90% 이상에 달하고 있다. 연령별 구성을 보면, ‘운전원 및 관련 종사자’범주를 제

Page 6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63

외하고는 30대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중분류 전 범주에서 20

대 이하, 30대, 40대가 비교적 고른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표 2-20>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81 고정기계장치 및 시스템 조작 종사자

82 기계 조작원 및 관련 종사자

83 조립 종사자

84 운전원 및 관련 종사자

39,034

3,045

10,639

7,838

17,512

100.0

7.8

27.3

20.1

44.9

83.3

92.9

70.5

61.7

99.0

16.7

7.1

29.5

38.3

1.0

[그림 2-9]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연령구성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학력구성을 보면, 중분류 전 범주에서 고등학

교의 학력이 60% 안팎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중학교와 대학 이상의 학력

이 10% 내외로 비슷한 비중을 보이고 있다.

Page 6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64

<표 2-21>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81 고정기계장치 및 시스템 조작 종사자

82 기계 조작원 및 관련 종사자

83 조립 종사자

84 운전원 및 관련 종사자

8.4

7.6

12.3

6.9

6.8

17.9

13.0

18.5

14.9

19.8

62.1

59.2

57.6

65.3

63.9

11.6

20.2

11.6

12.9

9.5

4. 단순노무 종사자

직업대분류에서 ‘단순노무 종사자’는 주로 수공구의 사용과 단순하고 일상적이며,

어떤 경우에는 상당한 육체적 노력이 요구되고, 거의 제한된 창의와 판단만을 필요

로 하는 업무를 수행한다(통계청, 2000).

중분류상으로 ‘단순노무 종사자’는 ‘서비스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가 57.6%로 가

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광업, 건설 및 운송관련 단순노무자’(22.5%), ‘제

조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15.6%),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4.2%)의 순으

로 나타난다. 성별 구성을 보면, ‘서비스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와 ‘광업, 건설 및 운

송관련 단순노무자’의 경우 남성의 비중이 크며,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와

<표 2-22> 단순노무 종사자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9 단순노무 종사자

91 서비스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2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3 제조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4 광업, 건설 및 운송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27,222

15,689

1,145

4,254

6,134

100.0

57.6

4.2

15.6

22.5

65.1

63.8

37.6

35.8

93.7

34.9

36.2

62.4

64.2

6.3

Page 6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65

[그림 2-10] 단순노무 종사자의 연령구성

‘제조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의 경우 여성의 비중이 크다. 중분류별 연령구성을 보

면, ‘서비스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와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의 경우 50대

이상의 비중이 상당히 높으며, 그 외의 범주에서는 30대, 40대, 50대 이상이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인다.

‘단순노무 종사자’의 중분류별 학력구성을 보면 고등학교의 학력이 대체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의 경우에는 초등학교 이

<표 2-23> 단순노무 종사자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9 단순노무 종사자

91 서비스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2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3 제조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4 광업, 건설 및 운송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28.3

27.5

62.8

25.2

26.3

22.9

22.5

19.0

21.9

25.4

40.7

40.5

15.9

47.4

41.3

8.0

9.6

2.4

5.4

7.0

Page 6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66

하의 학력이 62.8%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대학이상의 학력 비중은 상당히

저조하다.

5. 군 인

직업대분류에서 ‘군인’은 의무 복무중인 사병을 제외하고 현재 군복무에 종사하

는 자로 민간고용이 자유롭지 못한 자를 말한다. 국방과 관련된 정부기업에 고용된

민간인, 경찰, 세관원 및 무장 민간 복무자, 국가의 요청에 따라 단기간 군사훈련 또

는 재훈련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소집된 자 및 예비군은 제외한다. 대분류의 범위를

정하는 직무능력에 관한 사항은 적용되지 않았다(통계청, 2000).

군인의 성별구성은 남성이 99.4%로 여성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

고 있다.

<표 2-24> 군인의 분포 및 성별구성

종사자수 성별(%)

N % 남자 여자

A 군인

A1 군인

1,434

1,434

100.0

100.0

99.4

99.4

0.6

0.6

군인의 연령구성을 보면, 30대가 가장 높은 41.4%의 비율을 차지하며, 다음으로

40대(27.6%), 20대 이하(25.2%), 50대 이상(5.7%)의 순으로 나타난다.

<표 2-25> 군인의 연령구성

20대

이하30대 40대

50대

이상

A 군인

A1 군인

25.2

25.2

41.4

41.4

27.6

27.6

5.7

5.7

Page 6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2장 직업의 분포 67

군인의 학력구성을 보면, 고등학교와 대학이상의 학력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그

중 대학이상의 학력이 59.8%를 차지한다.

<표 2-26> 군인의 학력구성

초등학교

이하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A 군인

A1 군인

0.1

0.1

1.2

1.2

38.9

38.9

59.8

59.8

Page 6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68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직업에 대한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분석대상자가 취업자에 한정된다. 그러나 모

든 사람이 직업을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어린이와 노인의 경우 비경제활동인구가

대다수다. 또한 가사활동의 경우 경제적인 의미가 충분히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

면서도 사회적 경제가치로 환산되지 못하고 직업활동으로도 간주되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6)그 밖의 여러 이유로 직업구조 밖에 있는 사람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직업구성은 취업자 내부의 관계, 또는 취업자와 실업자와의 관계에 의해서만 결정

되는 것이 아니다. 우리 사회에서 실업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지만, 구직단념자

가 광범위하게 존재한다(이 건, 1997 참조). 이 장에서는 지난 45년간의 직업구조 및

내부구성의 변화와 그 특성을 고찰하고 있다. 각 직업범주별 인구학적 특성과 종사

상의 지위에 따른 시계열적 분석을 시도하고, 특히 1995∼2000년의 분석에 있어서

는 서로 다른 두 직업분류체계(1992년, 1999년)를 비교·연계하여 직업구성의 변화

를 살펴본다.

제 1절 직업구성의 변화 개관

1. 개 관

먼저 취업자를 대상으로 1955∼2000년까지의 기간동안에 직업구조가 어떻게 변

화되어 왔는지 개괄적인 윤곽을 그려보도록 한다. <표 3-1>에 나타난 직업구성의

변화는 그 동안 진행되어온 사회변화의 과정을 요약해서 보여주고 있다. 한국사회

6) 최근 들어 <전업주부>라는 용어가 부분적으로 사용되고 있지만, 사회통념상 주부

는 직업으로 간주되지 않고 있다.

Page 6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69

직업구성의 변화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농·임·수산업 종사자가 급격하게 감

소했다는 점이다. 1950년대 중반 전체 취업자의 79.5%를 차지했던 농·임·수산업

종사자는 2000년 현재 13.9%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이는 한국사회가 1차 산업 중

심의 단계를 빠른 속도로 탈피했음을 의미한다. 전체 취업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던 농·임·수산업 종사자의 비중이 줄어들면서 다른 직업범주는 비교적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먼저 1955년 8.7%에 그쳤던 생산직 비중이 1990년에는 30.3%

로 큰 폭으로 성장하 다. 그러나 생산직의 경우는 1990년대 이후 다시 그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사무직의 경우 역시 1990년까지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 으나 1990

년 이후 그 성장세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 이처럼 생산직과 사무직이 1990년 이후

직업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것은 값싼 IT의 도입이 단순노동을

대체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그 외 다른 직업들은 잠시 성장이 둔화되

는 시기가 있으나 대체적으로 2000년 현재까지 조금씩 종사자 비중이 증가하는 양

상을 띈다. 이러한 직업구성의 변화는 생산과 사무 역 등에서의 컴퓨터화가 노동

<표 3-1> 직업구성의 변화, 1955∼20001)

(단위: %)

직업군 1955 1960 1966 1970 1975 1980 19852) 1990 1995 20003)

전문직 1.6 2.4 2.8 3.2 3.3 4.5 5.8 7.4 10.5 13.3

관리직 1.2 1.3 0.9 1.0 0.8 1.1 1.5 2.1 4.3 5.2

사무직 2.4 2.6 4.3 5.9 6.7 9.5 11.5 15.4 14.5 14.6

판매직 4.5 8.3 10.7 10.2 10.5 12.1 15.5 14.0 15.8 15.0

서비스직 2.1 5.2 5.4 6.7 6.5 7.1 10.8 8.8 11.8 14.0

생산직 8.7 13.4 19.2 21.8 23.0 28.1 30.3 31.6 27.0 24.0

농·임·수산업 79.5 66.7 56.8 51.2 49.2 37.6 24.6 20.7 16.1 13.9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분류불능자 및 군인(1960, 1995, 2000년) 제외.

2)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3)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Page 6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70

[그림 3-1] 직업 구성의 변화(농·임·수산업 종사자 제외), 1955∼2000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

청(2000).

의 대체 및 고숙련 노동에 대한 편향적 수요 증대로 일자리 소멸을 가속화하 지

만, 동시에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확산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IT의 확산은 이러한 일자리소멸과 창출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전문직, 판매직, 서비스직의 계속적인 성장은 고부가가치 상

품의 창출을 지향하는 한국 사회의 발전상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지난 45년간 한국의 직업구성의 변화를 살펴보면 <표 3-2>에서 보는 것과 같은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난다.

<표 3-2> 직업구성 변화의 유형

유형 변화추이 변화방향 직업군

Ⅰ 감소 감소 농업·임업·수산업 종사자

증가

증가 전문직·기술직·관리직 종사자, 서비스직 종사자

Ⅲ 정체(감소/증가) 사무직·판매직 종사자

Ⅳ 감소 생산직 종사자

자료: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Page 7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71

제1유형은 산업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으며 앞으로도 그 감

소의 폭은 줄어든다 하더라도 더 감소하게 되리라고 전망되는 직업군이다. 이 유형

에는 농업, 임업, 수산업 종사자가 포함된다. 한편 이들의 감소는 다른 직업군의 증

가를 가져왔다. 그러나 지금까지 증가해 온 직업군이라 하더라도 최근의 추세를 통

해 볼 때 앞으로 지속적으로 더 증가하거나, 아니면 정체되거나 오히려 감소하는

등 그 변화의 방향은 다양한 형태를 보일 것이다. 우선 제2유형은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예측되는 직업군으로 전문직·기술직 및 관리직 종사자와 서비스직 종

사자가 이에 해당된다. 제3유형은 다소의 증감은 있으나 큰 흐름에서는 변화하지

않고 정체된 형태를 보여줄 직업군이다. 사무직 및 판매직 종사자가 이 유형에 속

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 나라의 경우, 1985년 이후 사무직과 판매직 종사자가 약간

의 증감을 반복하며 정체된 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제4의 유형은 더 이

상 증가하지 않고 앞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군으로 생산직 종사자가 여

기에 해당된다.

이상과 같은 변화의 유형은 아직까지는 잠정적 구분으로 이해하는 것이 좋을 듯

하다. 단지 선진국들의 변화과정을 통해 유추해보건대 우리사회도 대체적으로 이러

한 방향으로 변화가 전개될 것이라는 점을 예측할 수 있다. 물론 선진국내에서도

이러한 유형이 반드시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농·임·수산업 종사자의

감소와 전문·기술·관리직 종사자의 증가, 그리고 생산직 종사자의 증가 후 감소

의 유형은 비교적 명료하게 드러나고 있다. 그러나 사무직·판매직·서비스직 종

사자의 경우에는 선진국내에서도 각 나라마다 상이한 변화의 유형을 보이고 있다.

2. 1995∼2000년의 변화

1992년 말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으로 조사된 1995년 직업구조와 1999년 개정된 직

업분류 방식으로 조사된 2000년 직업구조를 비교하여 분석해 보도록 한다.

먼저 두 직업분류방식의 가장 큰 차이를 보면, 1992년의 직업분류는 대분류를 10

단계로 구분하고 있으나, 1999년도의 직업분류는 11개의 대분류를 사용하고 있다.

Page 7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72

이러한 차이는 1992년 직업분류방식이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 판매 근로자’

(5)라는 대분류 항목을 두어 서비스 종사자와 판매 종사자를 하나로 묶고 있는데 반

해 1999년 직업분류 방식은 이를 각각으로 분리하여 ‘서비스 종사자’(4)와 ‘판매 종사

자’(5)로나누었기때문이다. 이외에중분류이하의분류에서약간의변동이있었다.

대분류 수준에서 하나씩 살펴보면, 1992년의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는 2000년도에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1992년 존

재했던 ‘전통적 촌장’(113)의 개념이 2000년에는 존재하지 않는 직업으로 분류되었

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신·구 분류간 연계 비교를 위해 1992년의 ‘전통적 촌장’

을 2000년의 ‘기타 부서 관리자’(024)항목에 넣어 분류하 다. 따라서 1992년과 1999

년 분류방식으로 조사한 1995년과 2000년 직업구조간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도에 다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1992년의 ‘전문가’는 1999년도에도 역시 ‘전문가’범주로 구분된다. 1999

년도 기준의 ‘전문가’범주는 1992년 기준보다는 다소 세분화되었으며, 이처럼 하나

의 기준이 다른 하나의 기준보다 세분화 된 경우에 본 연구에서는 이들 모두를

신·구 분류간 연계 비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신·구 분류간 매칭에 있어서

가장 처음에 나오는 부호를 따르기로 한다. ‘전문가’의 경우 1992년이나 1999년 기

준 모두의 경우에서 2000년에 ‘전문가’의 비중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1999

년을 기준으로 하 을 때, ‘전문가’가 차지하는 비중이 조금 더 높은 것은 1992년 기

준에는 ‘전문가’의 범주에 포함되어 있지 않던 항목들이 1999년 기준에서는 ‘전문가’

의 범주로 포함된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가령, 1992년 기준에서 ‘기술공 및 준전문

가’범주의 현대보건 준전문가, 간호제외(322)가 1999년 기준에서는 전문가범주의

‘치료 전문가(144)’에 포함됨). 이러한 이유로 ‘기술공 및 준전문가’범주는 1992년,

1999년 기준 모두에서 1995년 보다 2000년도에 그 비중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

나, 1992년도 직업분류방식을 기준으로 한 경우에 그 수치는 더 높다.

1992년 직업분류 기준 ‘사무직원’은 1999년 기준 ‘사무 종사자’로 명칭이 변경되었

으며, 2000년도에 그 비중이 증가하 다. 1992년 기준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

Page 7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73

<표 3-3> 1992년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에 의한 직업구조 변화

1992년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에 의한 직업구조 변화

1995년 2000년

N % N %

1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2 전문가

3 기술공 및 준전문가

4 사무직원

5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 판매 근로자

6 농업 및 어업숙련 근로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근로자

8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9 단순노무직 근로자

0 군인

15,255

20,321

39,401

41,007

71,349

56,715

48,844

38,535

24,319

1,484

4.3

5.7

11.0

11.5

20.0

15.9

13.7

10.8

6.8

0.4

18,908

32,047

28,518

48,821

79,751

48,918

37,221

39,034

27,222

14,34

5.2

8.9

7.9

13.5

22.0

13.5

10.3

10.8

7.5

0.4

전 체 357,230 100.0 361,874 100.0

<표 3-4> 1999년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에 의한 직업구조 변화

1999년 개정된 직업분류방식에 의한 직업구조 변화

1995년 2000년

N % N %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1 전문가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3 사무 종사자

4 서비스 종사자

5 판매 종사자

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9 단순노무 종사자

A 군인

15,255

25,069

34,252

41,007

31,200

45,023

56,715

48,844

38,535

19,846

1,484

4.3

7.0

9.6

11.5

8.7

12.6

15.9

13.7

10.8

5.6

0.4

18,908

32,847

27,718

48,821

34,627

45,124

48,918

37,221

39,034

27,222

1,434

5.2

9.1

7.7

13.5

9.6

12.5

13.5

10.3

10.8

7.5

0.4

전 체 357,230 100.0 361,874 100.0

Page 7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74

장 판매 근로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1999년에는 ‘서비스 종사자’와 ‘판매 종사

자’로 나뉘어졌으며, 신·구 연계 비교를 위해 1999년에 새로 등장한 ‘통신 판매 종

사자’(52)와 ‘전화통신 판매 종사자’(521), ‘통신 서비스 및 통신 재판매 종사자’(522)

는 1992년도 직업분류 기준인 ‘모델, 판매원 및 선전원’(52)과 ‘상점판매원 및 선전

원’(522)에 분류하 다. 이 범주는 1995년보다 2000년에 그 비중이 더 증가하 으며,

1999년 기준으로 하 을 때 수치가 조금 더 높은 것은 1992년 기준 ‘행상 및 관련

근로자’(911) 등과 같이 1992년 직업분류를 기준으로 하 을 때는 다른 범주에 속해

있던 것이 1999년을 기준으로 하 을 때, 서비스나 판매 종사자에 속하는 항목이

있기 때문이다.

1992년 직업분류기준에서 ‘농업 및 어업숙련 근로자’, ‘기능원 및 관련 기능 근로

자’,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은 1999년 직업분류에는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중 1992년 기준 ‘농업 및 어업숙련 근로자’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는 2000년 조사에서 그 비중이 많이 감소하 다. 1992년 기준 ‘단순노무직

근로자’는 1999년에는 ‘단순노무 종사자’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그 비중은 2000년

도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군인’의 경우는 대분류상 직업분류기준에 변화가 없으며, 1995년 2000

년 간 직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

제 2절 사회경제적 특성별 구성의 변화

1. 성별 구성의 변화

다음에서는 시대의 흐름과 성별의 차이에 따라 직업별 취업자의 구성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도록 한다.

앞서 살펴본 전체적인 직업구성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성별에 따른 직업별 취업자

Page 7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75

구성에 있어서도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은 농, 임, 수산업 종사자의 비중이다. 성별

에 관계없이 농, 임, 수산업 종사자의 비중이 1995년에서 2000년까지 급격히 감소하

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남성보다는 여성이 이 부문에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직의 취업자 구성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으나 역시 시기에 따른 변화 추이는 비

슷하다. 서비스직의 경우는 직업에 따른 취업자 구성에 있어 여성이 남성보다 2배

정도 높은 비중을 가지며, 1985년도에 잠시 하락하 으나, 이후 다시 성장세를 이어

가고 있다. 여성의 판매직 비중은 증감을 반복하고 있고, 남성의 경우는 1995년에서

2000년 사이 다소 감소했다. 사무직의 경우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1990년대 이후

감소하는 것에 비해 여성의 비중은 비교적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어 대조를 이룬

다. 관리직의 경우 남녀 모두에서 그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나, 다른 직업들에 비해

그 비중은 매우 작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는 2000년 현재 관리직이 차지하는 비중이

1.1%에그치고있다. 남녀모두계속적인성장세를보이는것은전문직부문이다. 1995

년에서 2000년까지 단 한 차례도 그 비중이 감소하지 않았으며, 여성의 경우는 그

성장세도 비교적 높아 2000년 현재 전문직이 차지하는 비중이 14.9%에 이르고 있다.

<표 3-5> 직업별 취업자 구성비, 1955∼20001)

(남성)

(단위: %)

직업군 1955 1960 1966 1970 1975 1980 19852) 1990 1995 20003)

전문직 2.3 2.8 3.3 3.8 4.1 5.2 5.9 7.0 9.9 12.3

관리직 1.9 1.5 1.2 1.4 1.3 1.6 2.3 3.0 6.3 7.8

사무직 3.8 3.5 5.6 7.6 8.5 10.0 12.4 15.3 13.7 13.6

판매직 5.3 7.8 10.1 10.5 11.1 12.3 13.6 13.6 14.8 13.4

서비스직 1.8 3.4 3.4 4.5 4.6 5.4 6.9 6.4 8.5 10.2

생산직 12.5 15.9 21.6 25.7 27.4 32.9 36.0 37.0 33.9 31.2

농·임·수산업 72.4 65.2 54.7 46.3 43.0 32.5 22.7 17.5 13.0 11.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분류불능자 및 군인(1960, 1995, 2000년) 제외.

2)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3)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 (1999) 재인용; 통계

청(2000).

Page 7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76

<표 3-6> 직업별 취업자 구성비, 1955∼20001)(여성)

(단위: %)

직업군 1955 1960 1966 1970 1975 1980 19852) 1990 1995 20003)

전문직 0.6 1.5 1.8 2.1 2.1 3.5 5.3 8.3 11.8 14.9

관리직 0.1 0.8 0.0 0.0 0.0 0.0 0.1 0.2 0.6 1.1

사무직 0.4 0.5 1.5 2.8 4.0 8.6 10.2 15.5 16.0 16.3

판매직 3.2 9.7 11.8 9.6 9.5 11.6 18.3 14.6 17.7 17.5

서비스직 2.4 9.7 9.5 10.8 9.3 9.9 17.0 13.3 17.8 20.2

생산직 3.1 7.2 14.0 14.7 16.2 19.9 21.3 21.0 14.2 12.4

농·임·수산업 90.2 70.5 61.4 59.8 58.8 46.4 27.6 27.0 21.5 17.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분류불능자 및 군인(1960, 1995, 2000년) 제외.

2)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3)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 (1999) 재인용; 통계

청(2000).

이 기간 중에 발생한 변화 중의 하나는 전통적으로 남성의 직종이라고 간주되던

일부 직종에 여성의 진출이 높아졌다는 점이다(<표 3-7> 참조). 특히 그 현상은 전

문직과 사무직에서 두드러진다. 전문직의 경우 1960년에 여성비(남성 100명당 여성

의 수)가 20을 약간 상회하 으나 1990년에는 60을 넘고 2000년에는 73.5가 되었으

며, 사무직의 경우도 1960년에는 10을 약간 초과하 으나 2000년에는 73에 이르

다. 또한 농·임·수산업에서도 부분적으로는 여성화가 진행되었다. 1960년대에

50 남짓하 던 여성비가 1970년에 70을 넘게 되고 이후 1985년까지는 조금 줄어드

는 듯 했으나, 다시 높아져 2000년 현재 93.3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생산직과 같이 여성의 참여가 줄어드는 직종도 존재한다. 생산직은 1975

∼1985년까지의 기간에 여성비가 가장 높았으나 1980년대 중반 이후 감소하기 시

작했고, 1995년에서 2000년 사이에는 다소 정체된 현상을 보인다.

Page 7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77

<표 3-7> 직종별 여성비의 변화, 1955∼20001)

(단위: 여성비4))

직업군 1955 1960 1966 1970 1975 1980 19852) 1990 1995 20003)

전체 66.6 40.8 46.8 54.3 64.7 57.7 63.8 50.7 54.9 60.9

전문직 18.0 21.6 25.5 29.6 33.8 38.6 54.7 60.4 65.7 73.5

관리직5) 2.6 23.0 2.0 3.6 3.9 1.5 3.8 3.7 5.3 8.3

사무직 6.6 11.8 12.3 20.4 30.4 49.8 52.7 51.6 64.0 73.0

판매직 39.8 50.7 54.5 50.2 56.4 54.4 86.2 54.7 65.7 79.7

서비스직 84.8 116.4 128.8 131.5 132.8 105.1 157.5 105.5 115.1 121.3

생산직 16.6 18.4 30.2 31.5 38.8 35.0 37.9 29.0 23.0 24.2

농·임·수산업 83.1 43.9 52.5 70.8 89.6 82.2 77.6 78.7 92.3 93.3

주: 1)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분류불능자 및 군인(1960, 1995, 2000년) 제외.

2)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3)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4) 여성비는 남성 100명당 여성의 수로 산출됨.

5) 1960년의 경우 여성 관리직이 과도하게 잡힌 것으로 보임.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2. 연령 구성의 변화

성별 직업구성이 다르다는 점을 염두에 두고 성별로 직업별 연령구성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는 대표값으로 연령분포상의 중앙값을 제시

한다. 대부분의 직업이 젊어서 입직하고 나이가 들면 퇴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중앙값에 대한 검토는 직업별 연령구성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

게 할 뿐만 아니라, 각 직업마다 어떤 연령층을 중심으로 충원되는지도 함께 살펴

볼 수 있도록 한다.

<표 3-8>은 남성의 직업별 연령변화를 보여준다. 전체적으로 취업자의 연령 중

앙값은 1966년 이레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1995년에는 37세 던 연령

중앙값이 2000년에는 40세로 3세나 증가하 다. 이러한 변화추이는 우리나라 인구

구조의 성숙을 반 하고 있다 할 것이다. 그러나 직종에 따라서는 연령구조 변화에

Page 7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78

큰 차이가 있다.

먼저, 전문직, 관리직, 사무직의경우 1955년을예외로 한다면이 기간동안 큰변화

가없다. 비교적안정적인연령구조를갖고있다고할수있다. 이는이들직종은젊은

층이 유입되고, 나이가 들면 유출되는 구조가 변함없이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표 3-8> 직업별 연령 중앙값의 변화, 1955∼20001)(남성)

(단위: 세)

직업군 1955 19604) 1966 1970 1975 1980 19852) 1990 1995 20003)

전 체 35 - 34 34 34 35 36 37 37 40

전문직 32 - 35 35 36 36 36 36 35 36

관리직 31 - 42 42 42 42 44 43 42 43

사무직 27 - 36 34 34 33 34 35 35 36

판매직 37 - 37 36 36 36 38 42 42 39

서비스직 30 - 30 31 33 35 37 39 46 41

생산직 36 - 27 31 31 31 33 34 36 39

농·임·수산업 35 - 35 33 37 42 46 50 54 57

주: 1)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분류불능자 및 군인(1960, 1995, 2000년) 제외.

2)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3)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4) 1960년도 자료는 가용치 않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 (1999) 재인용; 통계

청(2000).

그러나 여타 직종에서는 유입구조나 유출구조상에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판매직의 경우 1980년대 이전에는 36∼38세 수준이었던 것이 1990년 이후 42세로

크게 높아졌다가, 2000년에는 다시 3세가 줄어든 39세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1980

년대 후반부터 90년까지의 기간에 중·장년층의 판매직 비중이 증가하 음을 시사

한다. 서비스직의 경우는 1970∼1995년의 기간 동안에 지속적으로 증가하 으며,

특히 1990∼95년 사이에는 39세에서 46세로 높아져 이 기간에 젊은 층의 서비스 직

종에로의 진입이 크게 줄어들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서비스 직종 역시 2000년

Page 7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79

에는 다시 41세로 크게 줄었다. 생산직은 1980년 이후 중앙값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다. 남성 농·임·수산업 종사자의 경우는 1970년 이후 연령이 지속적으로 크게

높아져서 2000년에는 중앙값이 57세에 이른다. 이는 1차 산업 종사자의 노령화를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이라 할 수 있다.

여성의 경우 역시 전반적으로 취업자의 연령은 계속적으로 증가 추세에 있다. 그

러나 직종에 따라 연령구조의 변화양상은 크게 다르다(<표 3-9> 참조).

<표 3-9> 직업별 연령 중앙값의 변화, 1955∼20001)(여성)

(단위: 세)

직업군 1955 19604) 1966 1970 1975 1980 19852) 1990 1995 20003)

전체 33 - 33 33 33 34 36 35 37 39

전문직 23 - 26 26 26 27 27 27 28 29

관리직 30 - 39 35 42 42 42 39 35 41

사무직 22 - 23 22 22 22 22 23 24 27

판매직 37 - 39 38 37 37 38 36 36 39

서비스직 21 - 22 22 24 32 37 38 40 42

생산직 28 - 24 22 20 21 30 29 38 40

농·임·수산업 37 - 36 37 39 43 47 51 55 58

주: 1)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분류불능자 및 군인(1960, 1995, 2000년) 제외.

2)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3)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4) 1960년도 자료는 가용치 않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여성의 경우 전문직 연령 중앙값은 1955년 이후 꾸준히 높아지고 있으나, 그 폭은

매우 작아 비교적 안정된 형태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가장 높은 2000년 연령 중앙

값이 29세로 여성 전문직 연령은 대체로 낮은 수준에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관리직

의 연령 중앙값은 시기에 따라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사무직은 전문직과 마찬가지

로 안정적인 성장을 계속하고 있으나, 연령 중앙값은 전체 직업군 가운데 가장 낮

Page 7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80

다. 판매직의 연령 중앙값은 가장 안정적이다. 서비스직은 연령 중앙값이 지속적으

로 증가하고 있는데 1960∼1970년대에는 20대 초반이었던 것이 2000년도에는 42세

까지 늘어났다. 생산직 종사자의 연령구조변화는 흥미롭다. 1955년부터 1975년까지

감소하다가 1980년대 이후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1980년대 이후 나타난 급격한 연

령상승은 젊은 층의 생산직 직종에 대한 기피현상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

다. 한편 농·임·수산업 종사자의 연령 중앙값 변화추이는 남성의 경우와 매우 유

사하며, 남성과 마찬가지로 노령화를 겪고 있다.

동일 직종내에서 나타나는 성별 연령격차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에 대한 그림

이 [그림 3-2]와 [그림 3-3]에 제시되어 있다.

먼저 [그림 3-2]에서 전문직, 관리직, 사무직에 대해 살펴보면, 전문직의 경우

남성과 여성의 연령격차가 9∼10세 존재하다가, 최근 들어 7세 정도로 줄어들고 있

다. 이는 남성전문직 연령이 다소 줄고, 여성 전문직 연령이 다소 늘었기 때문이다.

전문직 내에 존재했던 성별 격차가 점차 해소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

준다.

[그림 3-2] 전문·관리·사무직 종사자의 성별 연령격차, 1955∼2000

자료: 각 연도 인구및주택센서스 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Page 8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81

관리직의 경우는 성별 격차가 없는 해도 있고, 크게 늘어난 해도 있다. 이는 남성

측에 그 원인이 있다기보다, 그 수가 적은 여성측에 변동요인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여성 관리직은 그 수가 적기 때문에 부분적인 구성이 변해도 연령구조상에 큰

변화를 나타낸다. 한편, 사무직의 경우는 1955년을 제외하면 10세 이상의 연령격

차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고, 2000년에 다소 줄어든 9세의 차이를 보인다. 이

와 같이 일정한 연령차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은 일정 연령 이상이 되면 사무

직 종사자의 일부가 지속적으로 사무직을 이탈하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사

무직에 종사하는 여성의 경우는 젊을 때 채용되어 일정 연령에 이르면 결혼 또는

기타 이유로 직장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으며, 남성의 경우는 일정 연령 이상이 되

면 사무직에서 관리직으로 이동하거나, 판매 및 서비스직의 자 으로 전직하기

때문이다.

이어서 [그림 3-3]에서는 판매직, 서비스직, 생산직, 농·임·수산직의 성별 연

령 격차를 알아보았다. 판매직의 경우는 1985년까지 여성이 1∼2세 높다가 1985년

[그림 3-3] 판매·서비스·생산·농·임·수산직 종사자의 성별 연령격차, 1955∼2000

자료: 각 연도 인구및주택센서스 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Page 8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82

이후 남성 연령층이 갑자기 높아졌으나, 2000년 현재 성별 연령격차는 존재하지 않

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직과 생산직의 경우는 산업화 초기에는 성별 격차가 매

우 컸으나, 그 이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농·임·수산직의 경우는 성별 연령

격차가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노동시장의 성별 분절이 강화되면, 성별 연령격차가 커지고, 반대로 노동시장의

성별 분절현상이 완화되면 성별 연령격차는 줄어드는 경향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사무직에서 성별 노동시장 분절이 가장 명확함을 의미한다. 최근 들

어 남성 중·장년층이 판매직과 서비스직으로 진출하는 사례가 빈번해지나 이는

역으로 이 부문에서 노동시장의 성별 분절이 적어진다는 점을 뜻하기도 한다.

3. 학력 구성의 변화

1950년 이래로 전반적인 학력수준은 크게 높아졌다. <표 3-10>을 보면 1955년에

는 25세 이상 성인인구 중 중학교이상 교육을 받은 사람이 10%미만이었으며, 특히

대학이상 교육을 받은 사람은 1.3%에 불과하 다. 그러나 45년이 지난 2000년 현재

전 국민의 70% 정도가 고등학교 이상의 교육을 받았으며, 대학 이상의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도 30%를 넘게 되었다.

<표 3-10> 학력 변화추세, 1955∼2000(25세 이상 성인)

(단위: %)

학 력 1955 1966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초등학교이하 91.8 79.6 73.4 65.5 55.3 43.4 33.4 26.9 17.3

중학교 5.3 11.1 11.5 14.8 18.1 20.5 19.0 15.7 12.9

고등학교 1.7 5.6 10.2 13.9 18.9 25.9 33.5 36.3 39.1

대학이상 1.3 3.7 4.9 5.8 7.7 10.2 14.1 21.1 30.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통계청(1995);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2000).

학력의 변화추이를 취업자에만 국한시켜 보면 <표 3-11>과 같다. 전체 취업자의

Page 8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83

학력구성비는 25세 이상 성인인구의 학력구성과 유사하지만, 직업에 따라 그 직종

에 종사하는데 요구되는 노동의 질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직종별 학력수준에서는

큰 차이가 날 것이 예상된다.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직종에 취업하기 위해서는

그 활동을 하기 위한 최소한의 지식과 자격요건을 갖추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직종에서 그것에 상응하는 학력제한을 두고 있는 것이다.

<표 3-11> 학력 변화추세, 1960∼2000(취업자)

(단위: %)

학력 19601) 19662) 1970 1975 1980 19853) 1990 1995 20004)

불취학 44.7 32.8 23.8 19.1 14.837.7

6.4 4.6 3.9

초등학교 39.5 42.7 43.6 43.0 34.3 18.5 15.1 12.1

중학교 7.320.1 26.4 31.4 43.1

21.1 18.2 14.2 12.1

고등학교 6.2 30.9 38.1 41.5 40.2

초급대학2.4 4.4 6.1 6.5 7.9 10.3

4.7 5.1 11.0

대학이상 14.1 19.5 20.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 중퇴자, 재학자를 각급학교에 포함시킴.

2) 중퇴자 및 재학자는 제외시킴.

3)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4)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 (1999) 재인용; 통계

청(2000).

물론 직업에 따라 요구되는 학력수준의 미세한 차이는 직업 대분류보다는 중분류

이하에서 나타난다. 관행적 구분인 정신노동자와 육체노동자로 양분할 경우, 정신

노동자 직업군에는 전문직, 관리직, 사무직 등이 포함되고, 육체노동자 직업군에는

생산직 및 농·임·수산업 종사자가 포함된다. 판매직과 서비스직은 중간적인 성

격을 갖는 것으로 간주되고 있다. 그러나 여기서는 앞에서 분석한 직업구성의 변화

추세를 감안하여 전문·관리직을 함께 묶고, 생산직 종사자와 농·임·수산업 종

사자는 분리한 다음, 나머지 사무직·판매직·서비스직을 한데 묶어 학력수준의

Page 8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84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표 3-12>를 보면 전문·관리직 종사자의 학력이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체 취업자의 학력구성과 비교해 볼 때 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전체적으로는

대학이상의 학력 비중이 31.7%인데 반해 전문·관리직 종사자의 경우는 75.4%에

이르고 있다. 그러나 전문·관리직 종사자의 경우,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를 요구

하는 경우가 점차 많아지고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표 3-12> 전문·관리직 종사자 학력구성의 변화, 1960∼2000

(단위: %)

학 력 19601) 19662) 1970 1975 1980 19853) 1990 1995 20004)

불취학 7.3 1.7 1.3 0.9 0.64.3

0.2 0.1 0.1

초등학교 19.0 6.8 7.4 5.7 2.4 1.3 0.9 1.0

중학교 12.345.0 39.3 34.1 31.3

5.3 3.0 2.3 2.3

고등학교 35.8 28.8 20.4 24.4 21.1

초급대학25.7 46.5 52.0 59.2 65.7 61.6

11.9 10.5 19.1

대학이상 63.2 61.9 56.3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 중퇴자, 재학자를 각급학교에 포함시킴.

2) 중퇴자 및 재학자는 제외시킴.

3)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4)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사무·판매·서비스직 종사자의 경우 1966년에는 초등학교 학력자와 중·고등

학교 학력자의 구성비가 비슷하 으나, 이후 1990년까지는 점차 중·고등학교 학

력자가 늘어난다(<표 3-13>). 그러다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초급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자가 급속도로 늘어난다. 그 결과 2000년에는 초급대학이상 학력소지

자가 30%를 넘게 된다.

이는 그 동안의 사회변동과정에서 이들 직업활동을 수행하는데 요구되는 지식수

Page 8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85

준이 높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사무, 서비스, 판매근로자가 직업활동을 수

행하기 위해서는 중등학교과정 정도의 교육·훈련이 필요하다는 점에 비추어 본다

면 우리 사회의 학력 인플레 현상을 반 하는 것이기도 하다.

<표 3-13> 사무·판매·서비스직 종사자 학력구성의 변화, 1960∼2000

(단위: %)

학 력 19601) 19662) 1970 1975 1980 19853) 1990 1995 20004)

불취학 24.8 15.9 9.0 7.2 4.924.1

1.8 1.4 1.3

초등학교 41.7 38.1 35.0 31.1 22.8 10.4 9.1 7.7

중학교 12.936.2 43.5 49.0 60.7

19.0 14.5 12.7 11.1

고등학교 15.0 43.8 49.0 50.0 47.1

초급대학5.6 9.8 12.5 12.8 11.6 13.0

6.5 6.0 12.7

대학이상 17.9 20.9 20.0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 중퇴자, 재학자를 각급학교에 포함시킴.

2) 중퇴자 및 재학자는 제외시킴.

3)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4)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한편 생산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보면, 1960년도에는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을

가진 근로자가 80%를 상회하 지만 40년이 지난 2000년에 이르러서는 11.7%정도

로 그 수가 크게 감소하 다(<표 3-14>). 반면에 고등학교 교육 이상을 받은 사람

은 1960년에는 불과 8%에 머물 으나 2000년에는 69.1%에 이르고 있다. 이처럼 생

산직 종사자의 학력 수준은 꾸준히 증가하여 왔으나, 실제로 생산직 업무의 경우에

는 중등학교 정도의 교육·훈련만이 요구된다.

Page 8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86

<표 3-14> 생산직 종사자 학력구성의 변화, 1960∼2000

(단위: %)

학 력 19601) 19662) 1970 1975 1980 19853) 1990 1995 20004)

불취학 26.2 17.3 9.0 5.9 3.832.4

2.1 1.3 1.2

초등학교 53.9 50.6 48.1 44.9 34.6 16.1 13.6 10.5

중학교 11.630.2 39.9 46.3 59.3

33.6 28.9 22.4 19.2

고등학교 6.9 32.0 47.3 54.3 56.9

초급대학1.1 1.8 3.0 2.8 2.2 2.1

2.8 3.4 7.0

대학이상 2.9 4.9 5.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 중퇴자, 재학자를 각급학교에 포함시킴.

2) 중퇴자 및 재학자는 제외시킴.

3)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4)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끝으로 농·임·수산업 종사자의 학력구성 변화를 살펴보면, 여타 부문과 마찬

가지로 이들의 학력 역시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표 3-15>). 1960년대는

<표 3-15> 농·임·수산업종사자 학력구성의 변화, 1960∼2000

(단위: %)

학 력 19601) 19662) 1970 1975 1980 19853) 1990 1995 20004)

불취학 55.7 46.0 38.9 32.7 32.675.2

24.4 22.3 22.0

초등학교 37.2 44.1 49.0 51.4 47.7 45.9 46.1 43.6

중학교 4.69.4 11.5 15.3 19.2

13.8 15.9 15.8 16.1

고등학교 2.1 10.0 12.1 13.6 15.3

초급대학0.4 0.5 0.6 0.6 0.5 0.9

0.7 0.7 1.4

대학이상 1.0 1.5 1.6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 중퇴자, 재학자를 각급학교에 포함시킴.

2) 중퇴자 및 재학자는 제외시킴.

3)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4)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Page 8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87

90%이상이 초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수준이었으나, 2000년에는 65.6%로 줄어든

다. 그러나 농·임·수산업 종사자의 경우 여타 직종에 비해 학력수준이 크게 높아

지고 있지 않음에주목해야한다. 왜냐하면, 농·임·수산업 종사자의 학력수준 증가

는 고학력자의 유입에 의한 것이라기보다 저학력자의 감소에 의한 것이기 때문이다.

4. 종사상의 지위 구성의 변화

농·임·수산업 종사자의 급격한 감소는 바로 자 업주 및 가족종사자의 감소를

수반하고 있다. 우리 사회에서 농업 등 1차 산업이 주로 가족경 형태로 이루어지

고 있기 때문이다(홍두승, 1983c: 68-69).

<표 3-16>을 보면 1960년에는 전체 취업자 중 임금·봉급근로자가 아닌 고용주,

자 업주 및 가족종사자가 78% 으나, 1995년이 되면 그 비율이 40%로 감소한다.

직업구조의 변화는 개인이 수행하는 직업활동 내용 면에서 변화를 가져왔고, 직업

과 관련된 인간관계 면에서도 큰 변화를 주고 있다. 임금·봉급 근로자의 증가는

직업생활이 조직내 관계를 통해서 이루어짐을 보여주며 이는 우리 사회가 조직사

회화 되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가 되고 있다(김필동·김병조, 1995 참조).

<표 3-16> 종사상의 지위 구성비 변화, 1960∼20001)

(단위: %)

종사상의 지위 1960 1966 1970 1975 1980 19852) 1990 1995 20003)

고용주47.5 40.5

1.8 2.8 4.031.3

5.4 7.3 6.7

자 업주 33.0 28.0 31.4 24.2 22.1 22.3

가족종사자 30.9 27.3 26.2 28.5 21.1 14.6 10.6 10.7 9.2

임금·봉급근로자 21.6 32.2 39.0 40.7 43.4 54.1 59.7 59.9 61.8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주: 1)미상 및 군인(1960, 1995)제외.

2)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3)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Page 8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88

임금·봉급근로자의 비율은 직업에 따라 매우 다르다(<표 3-17>). 사무직 종사

자는 1960년이래 현재까지 95%이상이 임금·봉급근로자이며, 전문직은 85%정도로

큰 변화가 없다. 그러나, 판매직 종사자는 임금·봉급근로자의 비율이 대체로 점차

증가해왔고 반면 서비스직 종사자는 그 비율이 계속해서 감소해 오다가 2000년도

에 처음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판매직 종사자의 경우 1960년에는 임금·봉급

근로자 비율이 10%에도 미치지 못했으나, 1980년대에는 20%정도가 되었고, 1990년

이후에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결국 가족구성원으로 사업을 이끌어 나가는 세

자 업주의 역이 최근 들어 급격히 좁아져가고 있음을 반 하고 있다.7)

<표 3-17> 직업별 임금·봉급근로자 비율의 변화, 1960∼20001)

(단위: %)

직업군 1960 1966 1970 1975 1980 19852) 1990 1995 20003)

전체 21.6 32.2 39.0 40.7 43.4 54.1 59.7 59.9 61.6

전문직 85.7 86.2 - 84.6 85.6 85.8 86.1 85.8 85.6

관리직 23.1 59.4 - 38.8 37.2 20.2 13.4 39.7 47.6

사무직 97.8 96.7 - 97.5 97.2 97.9 98.5 95.4 91.6

판매직 8.6 13.5 - 20.7 17.7 21.3 35.2 43.8 44.9

서비스직 86.5 78.9 - 66.8 58.3 56.0 55.3 54.5 60.3

생산직 57.3 74.1 - 96.2 78.6 85.6 86.2 79.4 76.8

농·임·수산업 6.6 9.2 - 8.8 3.1 10.8 3.3 3.6 5.5

주: 1) 분석의 일관성을 위해 분류불능자 및 군인(1960, 1995, 2000년) 제외.

2) <경제활동인구연보>(1986)에서 작성.

3) 2000 인구센서스 2% 표본 원자료.

자료: 각 년도 인구및주택센서스 조사보고서,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재인용; 통계청

(2000).

서비스직 종사자의 경우는 이와는 다르다. 1960년에는 86.5%가 임금·봉급근로

자 으나, 그 비율이 1980년에 58.3%로 줄어들었다가, 2000년도에 처음으로 60.3%

7) 도·소매업의 대형화 및 세소매업의 위축에 대해서는 홍두승(1997)참조.

Page 8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3장 직업구성의 변화 89

로 증가하 다. 이는 산업화 초기 임금수준이 낮은 서비스 근로자가 생산직 및 사

무직 종사자로 전이하는 과정에서 임금·봉급근로자의 비율이 낮아졌기 때문인 것

으로 보인다. 특히 1990년대 서비스직에서 임금·봉급근로자의 비율이 정체하고

있었던 것은 판매직과는 달리 아직까지는 대형업체가 개인서비스업까지는 진출하

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2000년도 서비스직의 임금·봉급

근로자 비율이 1960년 이레 처음으로 증가함으로써 대형업체의 서비스업 진출에

대한 신호로 보여진다.

Page 8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90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한국사회에서 196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된 산업화, 도시화, 관료제화에 따라

직업구성상에서도 여러 가지 변화가 일어났다. 이러한 사회변동과 더불어 1990년대

중반이후 가속화된 정보화의 향을 고찰할 필요가 있다. 서비스직의 확대를 예측

한 후기산업사회론자들의 사회의 정보화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시되는 지표 중의 하

나도 바로 직업구조의 변화이다(Bell, 1973; Dordick and Wang, 1993; Castells, 1996).

여기에서는 1990∼2000년간의 직업구조의 변화를 정보화의 추세와 연관시켜 검토

해 보고자 한다.

제 1절 이론적 논의

직업구조의 변화와 관련하여 정보사회(information society)이론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가설을 내세우고 있다(Castells, 1996: 203-208). 첫째, 생산성 증가의 원천은

지식의 생산에 있으며, 이는 정보처리를 통해 이루어지는 모든 경제활동에 관련되

어 있다는 것이다. 지식과 정보가 생산성과 경제성장의 주요 원천이 되어왔는데, 이

는 정보기술이 혁명적으로 변화되고 사회의 광범위한 역에서 그것을 활용한 결

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경제활동이 재화의 생산에서 서비스의 제공으로 이행하게

된다는 것이다. 농업부문 고용이 쇠퇴하고, 제조업 관련 직업이 줄어들며, 궁극적으

로는 서비스직이 직업구조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경제활

동의 중심이 제조업에서 서비스 부문으로 이행하게 된다. 선진국에서는 서비스 부

문이 경제적 생산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분명한 추세인 것 같다.8)

8) 그러나 정보화와 서비스 부문의 확장의 관계를 보다 정교화시킬 필요가 있는데, 예

를 들어 제3세계에서 흔히 나타나는 과삼차화(over-tertiarization)는 정보화와 관련이

Page 9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91

째, 새로운 경제활동은 고도의 정보와 지식을 가진 직업을 더 중요시하게 된다는

것이다. 관리직, 전문직, 그리고 기술직과 같은 정보적 직업이 빠르게 증가하여 직

업구조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자리잡게 된다. 일부 이론가들은 이러한 추세에 수반되

는 또 다른 변화로서는 저숙련 서비스 직업이 늘어나게 된다고 주장한다. 다시 말해

서, 정보화사회의 직업구조는 상층의 정보적 직업과 하층의 저숙련 서비스직으로 양

극화되는 경향이있다는것이다. 이와같은내용을좀더상세히 살펴볼필요가있다.

1. 정보기술과 직업구조에 관한 가설9)

정보기술(IT)이 직업구성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는 다양한 경로나 과정을 통해 나타

날 수 있다. 어떤 측면을 보다 중요시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입장들이 개진되어 왔다.

(가) 단순노동 대체설: 1960∼70년대 자동화가 생산직 노동자들을 대체했듯이

1990년대의 정보기술은 중간관리층과 사무직 노동자를 대체한다는 것이다. 정보기

술의 도입비용이 저렴화됨에 따라 고비용의 관리직, 사무직, 생산직 노동을 쉽게 대

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보기술을 바탕으로 한 통신망은 거래비용의 감소로 이

어져 기업 내부에서 이루어지던 작업을 외주화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많은 수

의 생산직 노동자와 중간관리층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말단의 노동자들도 충분한

정보와 지식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자기관리가 가능해지고 상층 관리자들은 중간관

리자의 도움 없이도 이들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내 수직적 통합구조를 해

체하여 중간관리직 및 사무직의 비중을 감소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나) 고숙련노동 강화설: 디지털 기술은 복잡하고 독특한 업무보다 단순하고 반복

적인 업무의 자동화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때문에 기존의 생산공정과 사무과정을

자동화시켜 단순 직무의 대체를 촉진한다는 것이다. 컴퓨터 기술은 많은 생산공정

을 자동화하 고 사무실에서도 화이트 칼라 업무를 단순화(routinization)시키는 결

없기 때문이다.

9) 아래의 논의는 전병유(2002)에서 정리한 것임.

Page 9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92

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디지털 기술은 노동절약적인 성격을 넘어서 고숙련 노동에

대한 수요를 편향적으로 증대시키는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70년대 이후 숙

련노동자의 비중이 증가한 주된 원인도 컴퓨터를 이용하는 산업에서 숙련 노동자

에 대한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 기 때문이라고 본다. 인간의 판단과 노동을 컴퓨터

가 대체함으로써 사무직과 생산직의 중요성은 감소하고 관리직과 전문직의 중요성

은 증대된다는 것이다.

(다) 디지털 기술 성숙화설: 컴퓨터와 인터넷 같은 디지털 기술의 경우 도입 및

이행기에는 고숙련노동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지만 어느 정도 확산이 이루어져서

성숙화되고 일상화되면 고숙련노동의 상대적 이점이 줄어든다는 가설이다. 1990년

대 미국에서 숙련노동의 증가가 현저하게 떨어진 것이 이러한 성숙화 가설을 뒷받

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인터넷과 전자상거래의 확산도 대형 컴

퓨터의 도입이 확산되었던 1970년대나 개인용 컴퓨터의 확산이 이루어졌던 1980∼

1990년대 초반에 비해 직업구성에 미치는 향은 작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가설

은 최근 인터넷과 결합된 전자상거래가 초래하는 조직변화가 직업구성에 대해 만

들어내는 이행기적 충격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있다.

(라) 새로운 직업 창출설: 정보기술의 확산에 따라 새로운 재화나 서비스의 창출

에 대응하는 새로운 직업이 창출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라는 새로운 상

품수요에 대응하는 웹프로그래머라는 직업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재

화 및 서비스에 정보통신기술이 접목되어 새로운 성격으로 전화되는 직업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상거래 마케터는 기존의 도소매 판매업이 전자상거래 환경으로 전

환됨에 따라 직능이 웹 환경과 결합됨으로써 나타난 직업이라고 할 수 있다.

(마) 정보화 효과설: 정보통신기술은 고객들의 수요에 적합한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정보활용의 정도를 높이고 이는 자료나 정보를 추상적으로

관리하는 업무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노동자의 자율성과 통제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컴퓨터, 인터넷, 전자상거래 등과 같은 정보통신기술은 기존의 제품

이나 서비스보다 고객의 개별적인 선호에 부응할 수 있는 마케팅 관련 숙련이나 문

Page 9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93

제해결 능력을 가진 노동력을 증대시킬 것이고 고객의 수요에 맞는 서비스를 위해

많은 정보를 창조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보상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2. 정보화와 전문화

지식과 정보가 생산의 원천이 되는 정보화사회에서는 이와 관련된 직업이 늘어나

게 된다. 전문직, 관리직, 기술직 등을 정보직업군(informational occupations)이라고

하는 이유도 바로 이들 직업이 지식과 정보의 생산, 처리, 분배와 접히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전문직은 많은 지식과 정보를 필요로 하는 직업이다. 전문직은 전문

화된 공식교육을 통해서 전수되는 전문지식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전문직 종사자

는 흔히 국가시험이나 기타 절차에 따라 자격증을 획득해야 한다. 전문화된 지식,

업무의 자율성, 고객에 대한 권위 등을 특징으로 하는 전문직의 이러한 직업적 위

상은 높은 경제적 보상을 수반하게 된다.10)전문직화(professionalization)는 특정 직업

집단이 전문직의 특성에 접근함으로써 자기 직업집단의 지위를 향상시키는 과정이

다. 다른 한편으로 전문직화의 과정은 노동 조건의 통제를 위한 투쟁이라고도 할

수 있다(Friedson, 1970; Larson, 1977; Abbott, 1988).11)

10) 구조기능론적 입장에서는 전문직의 특징을, 추상적이고 전문적인 지식(knowledge),

자율성(autonomy), 고객에 대한 권위(authority), 이타주의(altruism)으로 규정하는

반면에, 갈등론적 입장에서는 이러한 특징이 권력관계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Macdonald, 1995).

11) 한편 탈전문직화(deprofessionalization)는 어떤 직업집단의 전문직적인 특성이 약화

되거나 제거되는 과정이다. 어떤 직업집단이 스스로 탈전문직화를 추구하는 경우

는 드물며, 대부분 정부, 조직체, 일반 대중들에 의해 탈전문직화가 시작된다. 탈

전문직화는 크게 일반 공중들에 의한 추상적 지식의 일상화, 정부에 의한 규제의

강화, 조직체에 의한 관리적 통제 등에 따라 진행된다. 일반 소비자들의 지식이

축적됨에 따라 지금까지는 신비화되었던 전문직의 지식이 일반적인 지식으로 변

화됨으로써 전문직의 향이 약화된다. 전문직에 대한 정부의 각종 규제는 전문

직의 자율성과 권위를 약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조직체의 관료제적 통제도 전문

직의 자율성과 권위를 침해할 수 있다.

Page 9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94

전문화는 또한 완전한 전문직으로서의 형식과 체계를 갖추지 못한 반전문직(semi-

professions)이 완전한 전문직으로 나아가는 과정을 지칭하기도 한다. 그러나 전문직

과 반전문직을 구별하지 않고 광의의 전문직으로 규정하는 경우, 전문화는 지식과

정보가 중요시되는 정보화사회에서 직업집단들이 전문지식과 자격의 기준을 보다

중요시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보사회론자들은 사회가 정보

화됨에 따라 직업구조에도 정보화가 진행된다고 주장한다. 즉 우리가 정보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전문직, 관리직, 그리고 기술직의 중요성이 커지게 되고 기능공과 조

작공의 비중이 줄어들며 사무직과 판매직의 비중이 커지게 된다는 것이다. 한편 정

보사회에 대하여 다소 비판적인 학자들은 전문직의 성장에 상응하는 반숙련 또는

비숙련 서비스직의 성장에 주목하여 왔다(Burtless, 1990).

전문직, 관리직, 기술직을 주요 정보직업군이라 할 때, 미국, 국, 캐나다 같은 선

진국가에서는 1990년대 초반에 이미 전체 노동력의 1/3을 차지하고 있다(Castells

and Aoyama, 1994: 21). 그러나 이러한 추세가 모든 선진국에서 일반적으로 관찰되

는 현상은 아니다. 예컨대 일본의 경우는 반대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후기산업사회

론 또는 정보사회론이 미국이라는 국가의 특수한 경험을 토대로 이론화한 것이라

는 비판이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3. 정보화와 <탈숙련화>

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논의 속에서 자주 제기되는 쟁점 중의 하

나가 바로 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양극화이다. 즉 정보화사회에서는 전문직, 관

리직과 같은 상위 직종과 기능직과 반숙련직 같은 하위직종이 동시에 팽창된다는

것이다. 앞에서 보았듯이 정보직업군이라고 할 수 있는 상위직종의 성장이 확인되

고 있다. 그러나 하위직종의 변화는 복합적인 양상을 띠고 있다.

숙련기능직은 흔히 <노동귀족>으로 지칭되는데, 이는 이들이 누리는 경제적, 사

회적 이점을 암시하는 것으로, 다른 블루칼라 직업에 비해 평균 임금이 높을 뿐만

아니라 직업위신 척도상에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를 점하기 때문이다. 기능직

Page 9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95

근로자들은 자신들의 숙련과 자율성을 보호하기 위하여 오랫동안 노력하여 왔다.

이 과정에서 일부 기능직에 대한 여성들의 접근이 차단되어 왔다. 기능직 근로자들

은 경제적 이익뿐만 아니라, 기술적 혁신으로 침해되고 있는 자신들의 숙련과 자율

성을 지키려고 노력하여 왔다.

일부 이론가들은 정보화가 진행됨에 따라 이러한 기능직 업무들이 낮은 숙련도를

필요로 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브레이버만(Braverman, 1974)과 같은 이론가들이 주

장하는 탈숙련화명제(deskilling thesis)의 핵심적 논지는 기술과 기계가 발달함에 따

라 전통적으로 기능직 근로자들이 행하여 왔던 업무를 기계가 대신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능직 근로자 대신에 저임금의 저숙련 기계조작공과 단순 근로자들의 고용

이 늘어나게 된다는 것이다(Hall, 1994). 한편 탈숙련화 명제를 반대하는 이론가들은

양숙련(養熟練; enskilling) 명제를 주장한다(예, Penn and Scattergood, 1985). 이들은

기술이 근로자들을 탈숙련화시키고 자율성을 빼앗아가기 보다는 그들에게 힘을 부

여한다고 주장한다. 컴퓨터 기술이 단순하고 반복적인 업무를 처리해주기 때문에 기

능직 근로자들은 보다 높은 수준의 문제해결에 에너지를 투여할 수 있다는 것이다.

4. 정보산업의 비중

정보사회이론가들의 주장에 따르면 정보화사회에서는 전체 산업구조에서 <정보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전통적으로 중요한 부분이 되어왔던 제조업의 비

중이 축소된다. 그런데 <정보산업>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이론가마다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표 3-17> 참조).12)

1960대 초 경제활동에서 정보부분이 기여

하는 바에 관심이 있었던 매클럽(Machlup, 1962)은 교육, 커뮤니케이션, 정보생산 및

분배 부문이경제활동에서정보부문으로 분류될수있다고 보았다. 포랫과루빈(Porat

and Rubin, 1977)의 접근도 근본적으로는 매클럽의 그것과 유사한데 다만 제조업 부

12) 정보직업의 구성에서와 마찬가지로 정보산업의 측정은 매우 까다로운 문제이다.

많은 경우 연구자의 자의적인 판단이 개입되기 쉽고, 정확하게 한다고 하더라도

범주의 구분이 분명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기 때문이다(Webster, 1995).

Page 9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96

문에 속해 있으면서도 실제로는 정보활동에 관련된 부문을 밝혀내기 위해서 1차 정

보부문과 2차 정보부문을 구별하고 있다. 정보부문에 대한 벨(Bell, 1973)의 접근법

은 보다 사회학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는 특히 추상적 지식을 강조하면서

연구개발, 고등교육, 지적 재산으로서의 지식생산 등을 정보부문에 포함시키고 있

다. 1980년대에 OECD에서 설정한 정부부문은 교육, 투자, 소비, 무역, 시장 구조 상

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으로서 기본적으로는 포랫과

루빈의 분류틀을 따르고 있다.

<표 4-1> 지식·정보산업을 측정하는 범주의 비교

이론가 Machlup Bell Porat & Rubin OECD

범주의

내용

·교육

·연구개발

(R&D)

·통신매체

·정보기기

·정보서비스

·고등교육

·연구개발

(R&D)

·지적재산으로

서의 지식의

생산

·지식생산 및 발명산업

·정보분배 및 통신업

·위기관리 산업

·검색 및 조정산업

·정보처리 및 전송산업

·정보생산물 산업

·일부 정부활동

·정보산업 지원시설

·지식생산

·검색, 조정 및 위기

관리 산업

·정보분배 및 통신업

·소비재 및 중간재

·투자재

자료: Machlup(1962: 361), Bell(1973: 213), Porat and Rubin(1977: 50), OECD(1981: 18).

선진국에서 서비스업의 비중이 꾸준히 커지고 있고 대신 제조업의 비중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모든 국가가 동일한 유형을 보이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생산성의 증가나 사회적 안정성 또는 국제경쟁력이 반드시 서비스 관련 부문

또는 정보처리부문의 비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Castells, 1996: 216). 이 점을 중요시하는 까스텔스(Castells, 1996)는 서비스업의

팽창과 제조업의 쇠퇴가 선진 경제의 결과라기 보다는 각국의 문화적, 사회적, 정치

적 환경에 바탕을 둔 구체적인 정책과 전략의 결과로 보고 있다. 이는 국가경제와

노동력 구조를 변화시키려는 정책이 직업구조를 변화시키는 데에 큰 향을 미친

Page 9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97

다는 점을 보여준다.

제 2절 지식정보산업과 지식정보직업

1. 지식정보산업과 정보통신산업

지식정보직업을 지식과 정보를 주요한 생산요소로 하여 생산을 하는 분야의 직업

으로 정의하는 경우, 지식산업 또는 지식기반산업에 대한 이해가 먼저 필요하다. 지

식정보직업은 상대적으로 지식정보 집약적인 분야의 직업이나 정보통신 분야의 직

업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강순희 2002).

가. 지식정보산업

지식정보산업을 경험적으로 정의하는 경우 해당 분야의 연구개발(R&D) 집약도

나 R&D 인력비중이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는 R&D 자체가 지식을 활용하는 투자

활동일 뿐만 아니라 R&D를 통해서 경제의 지식 스톡(knowledge stock)이 증가한다

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R&D는 경제에서 지식의 생산이나 활용의 정도를 보

여주는 측정가능한 지표라는 이점도 있다. 그러나 R&D를 비교가능한 방식으로 측

정하는 과정에서는 측정단위나 방식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물적자본 자

체에 지식이 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물적자본에 대한 투자 비중도 지식집약도를 반

하는 지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지식정보산업을 정의하는 데 있어 지식 생산산업

과 지식 활용산업간의 구분도 중요하다.

Lee and Has(1996)는 R&D 및 인적자본 지표를 활용하여 지식정보산업을 구별하

고 있다. R&D 지표로는 R&D 집약도(총산출대비 R&D 집약도), 종업원중 R&D 인

력 비중, 종업원 중 전문 R&D 인력 비율 등을 사용하 고, 인적자본 지표로는 종업

원 중 고등교육(post-secondary) 교육 이수자 비중, 종업원중 지식노동자 비중, 총고

용중 과학기술자 비중 등을 사용하고 있다.

Page 9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98

<표 4-2> Lee and Has의 지식산업분류

분 류 산 업

상위지식산업 항공, 의학, 전자제품, 보건서비스, 사업서비스 등

중위지식산업 자동차, 수송장비, 음식료

하위지식산업 농림수산, 도소매, 음식숙박, 의복

한국노동연구원에서는 R&D 집약도(R&D/매출액), 전문기술사의 비중, 대졸자의

비중, 과학기술관련 전문기술직의 비중 등 네 가지 기준으로 지식산업을 구분하고

있다(강순희 외, 2001; 강순희 2002).

<표 4-3> 한국노동연구원의 지식산업분류

산 업 대분류 중분류

제조업

지식기반 제조업하이테크 제조업

기타 지식 기반 제조업

일반 제조업노동집약적 제조업

중화학공업

서비스업

지식기반 서비스업하이테크 서비스업

기타 지식기반 서비스업

일반서비스업SOC 관련 서비스업

기타 서비스업

자료: 강순희 외(2001)

나. 정보통신산업

정보통신산업은 지식정보산업중에서도 정보통신에 보다 직접적으로 연관된 산업

을 지칭한다. OECD의 정보통신산업은 제조업 중에서 정보를 처리, 전달, 시현하는

기능을 갖거나, 물리적 현상을 검출, 측정 및 기록하거나 물리적 공정을 통제하기

위하여 전자처리를 이용하는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과, 서비스업중에서 전자적 수

단에 의하여 정보를 처리, 전달 및 시현하는 산업을 포괄한다.

Page 9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99

<표 4-4> OECD의 정보통신산업 분류

업 종 분 류 명

제조업

3000 사무, 회계 및 계산기 제조업

3130 절연선 및 케이블 제조업

3210 전자관 및 기타 전자부품 제조업

3220 TV·라디오 송신기 및 유선전화통신, 유선전신용 도구 제조업

3230 TV·라디오 수신기, 음향 또는 상녹음 및 재생기기와 관련된

상품제조업

3312 산업공정 제어장비를 제외한 측정, 검사, 시험, 항해 및 기타 목적

용 기기 제조업

3313 산업공정 제어장비 제조

서비스업

5150 기계장비 및 소모품 도매업

7123 컴퓨터를 포함한 사무용 기계장비 임대업

6420 통신활동

72 컴퓨터 및 관련 활동

자료: 강순희(2002)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정의하는 정보통신산업은 다음과 같다(권남훈 외 2001).

<표 4-5>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정보통신산업분류

구 분 내 용

정보통신기기

사무계산 회계용 기기제조업

전자관 및 기타 전자부품제조업

통신방송장비제조업

방송수신기제조업

통신 및 방송서비스전기통신업

화, 방송 및 기타공연관련 산업

소프트웨어

컴퓨터설비자문업

소프트웨어자문업

자료처리업

데이터베이스업

기타정보처리 및 컴퓨터운용관련업

자료: 권남훈 외(2001)

Page 9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00

2. 지식정보직업과 정보통신직업

지식정보직업은 지식정보산업와 독립적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광의로 보자면 지

식정보직업은 지식과 정보의 생산, 유통, 활용과 관련된 직업으로 정의될 수 있다.

가. 정보통신인력

권남훈 외(2001)는 정보통신인력들간의 관계를 정리하고 있다. 정보통신산업 및

관련산업 종사자는 정보통신서비스, 기기, 부품, 소프트웨어산업 등과 정보통신 관

련 유통 및 설비업에 속하는 사업체 종사자로서 정보기술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추

지 않는 경우도 포함하고 있다. 핵심 IT 전문 인력은 CIO, 시스템 분석가, 프로그래

머 등 전문지식을 갖추고 정보통신 산업 발전 및 정보화를 이끌어 가는 핵심인력으

로 정의된다. 정보통신직업 종사자는 핵심 IT 전문인력은 물론 워드 프로세서 조작

원, 전자장비 조립원, 방송장비 조작원 등 일반 정보기술 지식을 바탕으로 관련 업

무에 종사하는 인력을 포괄하는 것이다.

[그림 4-1] 정보통신 인력에 대한 정의들간의 관계

핵심 IT전문인력

전산업 종사자

정보통신산업 종사자

정보통신 직업 종사자

자료: 권남훈 외(2001)

정보통신과 관련된 직업을 한국표준직업분류 세분류 단위에서 정리하면 다음과

Page 10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101

같다(권남훈 외 2001).

<표 4-6>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의 정보통신직업분류

직 종 직 업

컴퓨터 전문직

2131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및 분석가

2132 컴퓨터 프로그래머

2139 달리분류되지않은 컴퓨터전문가

2432 사서 및 관련 정보전문가

중저급 컴퓨터 관련직

3121 컴퓨터 보조원

3122 컴퓨터 조작원

4112 워드프로세서 및 관련 조작원

4113 자료입력기조작원

4114 계산기조작원

전자 및 통신 기술직2144 전자 및 통신 기술자

3114 전자 및 전기통신공학 기술공

생산, 조작 및 정비직

7242 전자설비원

7243 전자정비원 및 수리원

7244 전신, 전화설치원 및 서비스원

7245 전기배선원, 수리원 및 케이블 접속원

3132 방송 및 전기통신장비 조작원

8283 전자장비조립원

정보통신관련 관리직

1226 운수, 창고 및 통신업 생산부서 관리자

1227 사업서비스업 생산부서 관리자

1236 전산업무부서 관리자

1316 운수, 창고 및 통신업 종합관리자

1317 사업서비스업 종합관리자

자료: 권남훈 외(2001)

나. 통계청의 정보통신직업분류

통계청(2001)에서는 정보직업을 정보를 처리, 전달, 시현하는데 관련된 활동을 창

조, 운 및 유지하며 물리적 현상을 검출, 측정 및 기록하거나 물리적 공정을 통제

하기 위하여 전자처리를 이용하는 제품의 생산, 설치 및 수리와 관련된 직업으로

정의한다. 한국표준직업분류(KSCO)를 기초로 IT 직업과 관련된 항목 재분류하고,

Page 10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02

최협의(컴퓨터전문가)를 포함한 협의의 개념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리고 IT를 이용

하여 직무를 수행하는 경우-예: 전기공학 전문가, 기계공학 전문가, 워드프로세서

및 사무기기조작원, 도소매판매원 등-는 제외하고 있다.

<표 4-7> 통계청의 정보통신직업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이하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02 행정 및

경 관리자

023 생산 및 운 부서 관리자

0236 운수 및 통신업 운 부서 관리자

02363 통신업 운 부서 관리자

0237 사업서비스업 운 부서 관리자

02373 정보처리 및 컴퓨터운 업운 부서 관리자

024 기타부서 관리자

0246 전산업무부서 관리자

02460 전산업무부서 관리자

03 일반 관리자

030 일반 관리자

0306 운수 및 통신업 일반 관리자

03063 통신업 일반 관리자

0307 사업서비스업 일반 관리자

03073 정보처리 및 컴퓨터운 업 일반 관리자

1 전문가12 컴퓨터관련

전문가

120 컴퓨터관련 전문가

1201 컴퓨터시스템 전문가

12011 컴퓨터시스템 설계가 및 분석가

12012 데이터베이스 관리자

12019 기타 컴퓨터시스템 전문가

1202 네트워크관련 전문가

12021 컴퓨터네트워크 운 전문가

12022 인터넷 전문가

12029 기타 네트워크관련 전문가

1203 컴퓨터프로그램 전문가

12031 시스템 프로그래머

12032 응용 프로그래머

1204 멀티미디어자료제작 전문가

12040 멀티미디어자료제작 전문가

1209 기타 컴퓨터관련 전문가

12090 기타 컴퓨터관련 전문가

Page 10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103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이하

1 전문가 13 공학 전문가

132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전문가

1322 전자 및 통신공학 전문가

13221 통신 기술자

13222 반도체 기술자

13223 컴퓨터하드웨어 설계 기술자

13224 전자장비 기술자

13229 기타 전자 및 통신기술자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22 컴퓨터관련

준전문가

220 컴퓨터관련 준전문가

2201 컴퓨터관련 운 원

22010 컴퓨터관련 운 원

2202 컴퓨터 조작원

22020 컴퓨터 조작원

2203 산업용 로봇조종원

22030 산업용 로봇조종원

23 공학관련

기술종사자

232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기술종사자

2322 전자 및 통신기술 종사자

23221 통신 기술공

23222 컴퓨터설계 기술공

23223 전자장비 기술공

23229 기타 전자 및 통신 기술공

235 광학 및 전자장비 기술종사자

2352 방송 및 통신장비 기술종사자

23521 무선통신사

23522 전신장비 기사

23523 방송장비 기사

23524 송신장비 기사

23525 사기사

23529 기타 방송 및 통신장비 기사

26 경 및

재정 준전문가

262 판매 준전문가

2623 기술 및 상업판매 종사자

26232 전자장비 기술판매원

3 사무종사자31 일반사무

관련 종사자

317 사무지원 종사자

3172 자료입력 사무 종사자

31720 자료입력 사무원

Page 10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04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이하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3 기계설치 및

정비기능 종사자

733 전기, 전자장비 설치 및 정비 종사자

7332 전자장비 설치 종사자

73321 방송통신장비 설치원

73322 전자음향장비 설치원, 방송장비 제외

73323 신호장비 설치원

73324 의료장비 설치원

73325 컴퓨터 설치원

73329 기타 전자장비 설치원

7333 전자 정비 및 수리 종사자

73331 전자음향장비 수리원

73332 사무기기 수리원

73333 컴퓨터 수리원

73339 기타 전자 정비 및 수리원

7334 전신, 전화 설치 및 수리 종사자

73341 전신, 전화 설치원

73342 전신, 전화 수리원

7335 전기배선, 수리 및 케이블 가설 종사자

73351 송·배전설비 전기원

73352 지중전력설비 전기원

73353 통신케이블 가설원

73354 케이블 접속원

73359 기타 전기배선, 수리 및 케이블 가설원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82 기계조작원

및 관련 종사자

829 기타 기계조작 종사자

8291 전기·전자장비 제조기계 조작 종사자

82912 전자장비 제조기계 조작원

83 조립 종사자

832 전기 및 전자장비 조립 종사자

8321 전기 및 전자장비 조립 종사자, 가정용 제외

83212 상, 음향장비 조립원

83213 사무용기기 조립원

83214 전자정 기구 조립원

83219 기타 전기 및 전자장비 조립원

Page 10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105

제 3절 경험적 분석

지식정보직업과 정보통신직업에 대한 정의는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문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하는 인구 센서스의 경우 산업 및 직업 분류가 소분류(3

자리) 수준에서 제공되고 있다는 것이다. 통계청에서 제시하는 광의의 지식정보직

업이나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제시하는 협의의 정보기술직업을 판별하기 위해서

는 세분류 또는 그 이하 단위의 자료가 요구된다. 따라서 인구 센서스 자료에 근거

한 지식정보직업군의 자세한 측정이나 변화의 분석은 불가능하다.

여기서는 센서스 자료로 분석가능한 수준에서 정보산업 및 관련 직종의 성장을

중심으로 한 직업구조의 변화를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구분류체계를 기초

로 전문·기술직, 행정·관리직,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 농·임·수산직, 그리

고 생산직 등으로 직업을 재구성하 다. 2000년에 적용된 새로운 분류 방식을 따르

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재 가용한 자료로는 연도간 비교기준을 일관되게 확보할 수

없어 이전의 방식을 따른 것이다.

1. 지식정보직업의 증가

한국의 직업구조에서 주요 정보직업군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의 10%미만에서

2000년에는 약 18%정도로 증가하 다. 이는 1991년의 미국에 비하여는 낮은 편이

지만, 1990년대에 들어와서 한국의 정보직업군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

목할 필요가 있다.

<표 4-8> 주요 정보직업군의 크기

(단위: %)

직업군 한국(1990) 한국(1995) 한국(2000) 미국(1991) 일본(1990)

전문·기술직 7.5 10.5 13.3 16.9 11.1

행정·관리직 2.1 4.3 5.2 12.8 3.8

전 체 9.6 14.8 18.5 29.7 14.9

자료: 미국과 일본: Castells(1996); 한국: 1990년, 1995년 및 2000년 센서스 2% 표본.

Page 10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06

전문·기술직이나 행정·관리직과 같은 주요 정보직업군외에도 광의의 화이트

칼라 직종이라고 할 수 있는 사무직과 판매·서비스직도 정보화사회에서 중요한

직업군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적으로 판매직과 서비스직의 성장은 산업화가 진행

됨에 따라 자급자족적 재화와 용역의 생산이 줄어들고 시장을 위한 생산이 늘어나

고 있다는 것을 반 하는 것이다. 사회가 정보화되면서 분배체계가 정교화됨에 따

라 판매직 노동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게 된다. 수송, 통신, 신용거래의 확산에 따라

시장이 확대되어 왔고 새로운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전문화된 판매근

로자가 필요하다. 또한 늘어나는 정보의 기록, 처리, 및 저장에 필요한 사무직 노동

도 증가하 다. 사무직은 5년 사이에 약간 감소되고 있으나 판매직과 서비스직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서비스직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다.

<표 4-9> 2000년도 정보통신직업

정보통신직업(소분류) 백분율 유효백분율

023 생산 및 운 부서 관리자

024 기타 부서 관리자

030 일반 관리자

120 컴퓨터 관련 전문가

132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전문가

220 컴퓨터 관련 준전문가

232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기술 종사자

235 광학 및 전자장비 기술 종사자

262 판매 준전문가

317 사무지원 종사자

733 전기, 전자장비 설비 및 정비 종사자

829 기타 기계조작 종사자

832 전기 및 전자장비 조립 종사자

0.9

0.5

3.6

0.8

0.5

0.3

0.4

0.3

1.7

1.9

1.3

0.3

1.0

6.8

3.8

16.8

6.1

4.0

2.3

2.7

1.9

12.4

13.7

9.8

2.1

7.5

총 계 13.6 100.0

자료: 2000년 센서스 2% 표본

Page 10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107

통계청의 분류에 따라 2000년 센서스 자료로 정보통신직업의 규모를 측정해 보면

약 13.6%로 나타난다. 정확한 측정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세분류 또는 세세분류 수

준의 자료가 필요하기 때문에 소분류에 기초한 이 수치는 실제보다 크게 계산된 것

이다. <표 4-9>를 기준으로 볼 때 전체 정보통신직업 중에서 일반관리자(030)의 비

중이 제일 높고 사무지원 종사자(317)와 판매 준전문가(262)가 그 뒤를 잇고 있다.

2. 산업구조의 변화

기존의 산업분류를 근거로 한 싱겔만(Singelman, 1978)의 서비스 산업 유형화를

활용하고자 한다. 그는 클라크(Colin Clark) 이래 흔히 1차 및 2 차 산업에 대한 잔여

적 범주로 간주되어온 서비스업을 <분배서비스(distributive service)>, <생산자서비스

(producer service)>, <사회서비스(social service)>, <개인서비스(personal service)>라는 4

개의 하위범주로 구분한다. 분배서비스는 도·소매업, 통신, 수송을 지칭하고, 생산

자서비스는 경제에서 결정적인 투입(inputs)이라 할 수 있는 서비스를 포괄하는 것

이다. 사회서비스는 정부의 모든 활동과 집합체적 소비에 관련된 활동을 포함한다.

개인서비스는 오락에서 음식에 이르는 개인적 소비와 관련된 것이다.13)

<표 4-10>에서 2000년 현재 한국의 산업구조에서 서비스부문이 차지하는 비율

은 57.5%로 이는 1990년의 48.4%, 1995년의 51.3%에 비해 증가하 고, 특히 1990∼

95년간의 변화에 비해 1995∼2000년간의 변화가 더 크다.

13) 1999년에 개정된 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분배서비스는 G. 도소매업, I. 운수업, J.

통신업을, 생산자 서비스는 K. 금융 및 보험업, L. 부동산업 및 임대업, M. 사업서

비스업을, 사회서비스는 N.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O. 교육 서비스업, P.

보건 및 사회복지사업, R-91. 회원단체를, 개인서비스는 H. 숙박 및 음식점업, Q.

오락, 문화 및 운동관련산업, R. 기타 공공, 수리 및 개인서비스업(91 제외), S. 가

사서비스업을 각각 포함하는 것이다.

Page 10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08

<표 4-10> 산업부분별 종사자 비율

(단위: %)

산업부문 1990 1995 2000

추출 및 제조 51.6 48.7 42.5

서비스 48.4 51.3 57.5

분배서비스 19.9 22.1 21.6

생산자서비스 5.3 7.9 9.8

사회서비스 9.8 11.7 13.1

개인서비스 8.9 9.7 13.1

자료: 각 연도 인구 센서스 2% 표본

한편 산업을 정보처리(information-handling) 부문과 재화처리(goods-handling) 부문

으로 나누어 산업구조의 변화를 분석할 수도 있다(Hall, 1988 참조). 재화처리부문은

광업, 건설업, 제조업, 운수업, 도·소매업 등을 지칭하고, 정보처리부문은 통신, 금

융, 보험, 부동산, 정부와 기타 잔여 서비스업을 포괄한다. 산업 중분류를 이용하여

두 부문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가 <표 4-11>에 제시되어 있다.

<표 4-11> 제조업과 서비스업 (비농어업)

(단위: %)

산업부문 1990 1995 2000

제조업 44.0 38.7 33.2

서비스업 56.0 61.3 66.8

재화처리부문 74.9 71.8 65.6

정보처리부문 25.1 28.2 34.4

서비스업: 제조업 1.3 1.6 2.0

정보처리: 재화처리 0.3 0.4 0.5

자료: 각 연도 인구 센서스 2% 표본

2000년 현재 비농업부문에서 정보처리부문의 크기는 34.4%로서, 1990년의 25.1%,

1995년의 28.2%에 비해 상당히 증가하 다. 여기서도 1995∼2000년간의 변화가 1990

∼1995년간의 변화보다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Page 10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109

3. 봉급·임금 근로자의 증가

후기산업사회론자들이나 정보사회론자들은 자 업자들이 감소된다는 가설을 제

시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변화에 대한 검토는 종사상의 지위

에 대한 분석을 요구한다. 선진국의 경험을 볼 때, 미국의 경우는 이러한 가설에 대

체로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독일, 일본, 이탈리아 등과 같은 국가에서는 일

정한 유형을 찾아보기 힘들다(Castells, 1996; Castells and Aoyama, 1994). 그러나 선

진국에서 대부분의 경제활동인구는 봉급·임금 근로자라는 점은 분명하다.

<표 4-12> 직업별 종사상의 지위 구성, 1990∼2000

(단위: %)

종사상 지위

직 업

사업주 자 업주 무급가족 종사자 봉급·임금 종사자

1990 1995 2000 1990 1995 2000 1990 1995 2000 1990 1995 2000

전문·기술직 5.0 6.0 6.1 8.6 6.7 7.3 0.8 1.5 0.9 85.7 85.8 85.6

행정·관리직 85.2 55.5 43.3 - 4.5 8.3 0.0 0.3 0.8 14.8 39.7 47.6

사무직 0.0 1.0 2.0 0.3 0.8 2.6 1.2 2.8 3.8 98.5 95.4 91.6

판매직 9.3 9.0 8.3 46.0 35.5 36.5 9.7 11.7 10.4 35.0 43.8 44.9

서비스직 12.4 11.2 7.8 24.4 23.8 22.9 9.2 10.5 9.0 54.1 54.5 60.3

농·임·수산직 0.8 0.9 0.9 58.2 55.4 56.8 37.8 40.1 36.8 3.2 3.6 5.5

생산직 2.4 4.5 3.9 10.7 13.8 16.9 1.5 2.3 2.3 85.4 79.4 76.8

계 5.5 7.3 6.8 25.1 22.1 22.4 11.0 10.7 9.2 58.4 59.9 61.6

자료: 각 연도 인구 센서스 2% 표본

우리 나라의 경우 자 업주가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2000년 현재 경제활동

인구의 약 22%가 자 업주이고 특히 농·임·수산직과 판매직에 집중되어 있다.

특기할 만한 변화는 판매직에서의 자 업주의 감소와 봉급·임금 근로자의 증가이

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하여 주목해 볼 변화는 최근 몇 년 동안에 진행된 대규모 레

스토랑, 편의점 등의 체인점과 관련된 특판권(franchise)의 확장추세이다. 많은 특판

권의 구매자들이 사업권을 구입하거나 큰 비중의 자본투자를 통하여 자 업자로

남아있지만, 본사에 고용되는 형태로 특판점을 운 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Page 10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10

여기서 행정·관리직에서 봉급·임에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개인

사업자가 많았던 이들 분야에서 체인망이 형성되고 특판권이 확대됨에 따라, 사업

자들이 상위기업의 피고용인으로 위상변화를 하게된다고 볼 수 있다. 소규모 사업

의 경우 체인점이나 특판점의 형태로 운 되더라도 해당 사업주가 사업권을 획득

하여 사업주나 자 업자로 남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사업자들의 이러한 종사상 지

위의 변화는 주로 대형 사업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표 4-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00년에는 1995년에 비해 사업주의 비율이 줄고

대신 봉급·임금 근로자가 증가하 다. 봉급·임금근로자의 성장은 관료제적 조직

체의 확장 및 특판점의 확대와 관련하여 설명될 수 있지만, 사업주의 감소는 1990

년과 그 이후의 분류방식의 차이-앞에서도 설명되었듯이, 판매직으로 분류되어야

할 도·소매관리자, 도·소매 자 업자와 서비스직으로 분류되어야 할 음식·숙박

업 관리자, 음식·숙박업 자 업자가 1995년과 2000년에는 분리되지 않은 채 행

정·관리직으로 분류됨-를 감안할 때 쉽게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다. 그러나 앞에

서 보았듯이 시계열적으로 관리직 내부의 종사상의 지위 구성은 큰 변동폭을 보여

왔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가 단지 범주화에 따른 통계적인 문제로만 간주될 수

없는 실제적인 변화를 반 하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도 있다.

종사상 지위의 변화와 관련하여 주목해 볼 만한 또 하나의 측면은 전문직 종사자

들의 변화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가 조직화, 관료제화됨에 따라 정부와 일반 기업체

에 고용되는 전문직 종사자들이 점점 늘어나게 됨으로써, 전문직 종사자들 중에서

자 업주의 비율이 줄고 봉급·임금근로자의 비율이 증가하게 된다. 1995∼2000년

자료에서는 이러한 추세가 분명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1990년에 전문·기술직의

85.7%를 차지하 던 것이 1995년 85.8%, 2000년 85.6%로 정체되어 있다.

한편컴퓨터와통신기술의발달에따라등장하고있는소규모가내사업(Small Office

Home Office; SOHO)의 확산은 자 업주의 성장을 가져올 수도 있다. 조직체에 고용

된 근로자가 컴퓨터와 통신설비를 이용하여 가내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이른바 재

택근무(tele-work)와는 달리, 소규모가내사업은 개인이 집에다 사무실을 내어 통신판

Page 11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111

매와 같은 소규모 사업을 운 하는 형태이다. 자 업주의 경우 1990년에 25.1%이던

것이 1995년에 22.1%로 감소하 다가 2000년에 다시 22.4%로 다소 증가하 다.

4. 탈숙련화

1990∼2000년의 자료비교에서 탈숙련화 명제를 검증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작

업이다. 이는 1990년에는 생산 및 관련종사자, 운수장비운전사 및 단순노무자로 분

류되었던 것이 1995년과 2000년에는 기능원 및 관련기능근로자,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단순노무직 근로자로 구분되면서 각 범주간의 정확한 비교가 사실한 불

가능하기 때문이다. 탈숙련화 명제는 노동과정의 질적인 측면에 관련된 것이기 때

문에 센서스 자료로서 그 진위를 검증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탈숙련화 결과

생겨나는 직업구조의 양극화에 대해서는 간접적으로 확인을 해 볼 수 있다.

<표 4-13> 직업별 학력구성, 1990∼2000

(단위: %)

학 력

직 업

초등 이하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 이상

1990 1995 2000 1990 1995 2000 1990 1995 2000 1990 1995 2000

전문·기술직 1.0 0.7 0.6 1.4 1.5 1.1 15.8 18.9 15.7 81.9 78.9 82.6

행정·관리직 2.9 1.8 2.4 8.4 4.1 5.3 35.4 37.7 34.9 53.2 56.4 57.4

사무직 1.4 1.3 1.2 4.0 4.0 3.1 55.5 53.0 42.8 39.0 41.7 52.9

판매직 14.5 10.1 8.4 18.2 13.5 11.0 49.1 51.2 51.4 18.2 25.2 29.2

서비스직 24.6 22.4 18.0 25.4 22.1 19.6 41.1 44.4 47.1 9.0 11.0 15.3

생산직 69.8 68.5 65.5 15.4 15.8 19.2 12.8 13.6 56.9 1.8 2.2 12.2

농·임·수산직 17.4 14.9 11.7 26.9 22.4 16.1 49.7 54.3 15.3 6.0 8.4 3.0

계 24.9 19.6 16.1 17.4 14.2 12.1 39.0 41.5 40.3 18.8 24.7 31.6

자료: 각 연도 인구 센서스 2% 표본

2000년에 와서 생산직의 비중이 줄어들었다는 점은 탈숙련화 명제의 타당성에 대

한 몇 가지 단서를 제공하여 주고 있다. 먼저 전문직, 관리직, 기술직 등과 같은 상

위직종이 늘어나는 반면에 생산직은 오히려 줄어들고 있다(<표 4-13> 참조). 보다

Page 11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12

흥미로운 부분은 생산직의 학력에서 중졸 이하자의 비율은 줄어들고 있는 반면에

고졸이상자의 비율은 늘어난다는 점이다. 경제활동인구의 전반적인 학력의 변화를

반 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생산직의 감소가 주로 저학력층에서 일어나고 고

학력층에서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비숙련 노동자층이 확대된다는 양극화

명제를 간접적으로 부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생산직의 양적인 변화와 함께 질적인 변화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과거에는 생

산직이 건설, 인쇄, 기계 분야의 고숙련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증가하여 왔지만, 최

근에는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직업 범주에서 보다 중요한 변화는 기

능직의 구성에 있어서의 극적인 변화이다. 즉 자동차 기능공과 같은 새로운 직업이

생겨나고 재단공과 같은 오래된 직업은 기계화에 따라 대체되고 있는 점이다. 비숙

련 노동에 대한 경제의 수요 감소도 중요한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산업화 초기 과정

에서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하 던 단순노무근로자들의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결국 직업구조상의 변화로 이어져서 고숙련 기능공의 확대와 비숙

련 및 단순 근로자의 축소로 이어지게 된다.

요컨대 생산직의 전반적인 감소라는 것만 가지고 숙련기능직이 쇠퇴하면서 비숙

련 서비스직의 팽창한다는 탈숙련화의 명제를 긍정하거나 부정할 수는 없다. 그러

나 교육 변수를 통해생산직의 감소는 주로 저학력층에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간

접적으로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5. 사무직의 여성화

경제활동인구는 다양한 인구학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직

업구성도 매우 이질적이다. 개인의 특성에 따라 직업에 대한 구조적인 진입장벽이

존재할 때 소위 직업분절(occupational segregation)이 일어나게 된다. 직업에 대한 공

식적인 장벽들이 많이 제거되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직업분절이 분명히 존재하

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성별에 따른 직업분리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남성들은

전문직과 관리직을 지배적으로 차지하는 반면에 여성들은 하위 화이트칼라 직종과

Page 11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113

판매직, 서비스직, 그리고 교사와 간호사 같은 소위 <여성 전문직>에 집중적으로 종

사하게 된다. 관리직에서도 여성들이 늘어나고 있으나, 관리 역별로 남성은 자금

이나 생산부서의 관리자로 진출하는 반면에 여성들은 인사나 홍보부서의 관리자로

들어가는 경향이 있다.

정보화와 더불어 전문직, 관리직에로의 여성들의 진출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나

고위직으로 나아가지는 못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여성들의 노동력을 많이 필요로

하는 농·임·수산직과 남성들의 근력을 많이 요구하는 생산직을 제외하면, 판매

직과 서비스직에서 여성의 비율이 높은 편이다. 반면에 전문·기술직, 행정·관리

직, 사무직에서 남성들이 큰 우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기술직과 행정·관리직에

대한 여성들의 참여가 1995년에 비해 늘어났으나 남성 우위는 여전히 남아있다.

사무직종 내부에서 전문화가 진행됨에 따라 사무직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변

화가 일어나고 있다. 첫째는 전문화의 경향으로 이는 사무직에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만 진입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쟁으로부터 보호하려는 시도이다. 사무직의 전

문직화 경향은 회계, 인사관리, 보험통계 등 남성 우위 직종에서 흔히 나타난다. 역

사적으로 여성이 부기분야로 진출함에 따라 남성들은 부기업무를 회계로 전문직화

시킴으로써 여성들의 진입을 제한하게 된다. 사무직 변화의 두번째 경향는 특정한

사무기기의 조작을 전담하는 사무기기 조작공(clerical operatives)의 발달이다. 이들

의 업무는 지식보다는 자신들이 다루는 기기에 따라 결정된다. 컴퓨터 조작직의 성

별구성의 변화는 두 가지 경향이 흥미롭게 혼합된 예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들의 참여가 늘어나게 요인으로는 1) 보통교육의 확산으로 여성

들이 사무직 노동에 요구되는 훈련을 받게되고, 2) 전통적으로 남성들보다 낮게 설

정되는 임금구조를 여성들이 수용하고, 3) 사무직의 직업적 지위가 상대적으로 높

기 때문에 여성들의 참여를 유도하 기 때문이다. 여성들의 학력 수준이 높아지면

서 자격을 갖춘 여성노동력이 점점 늘어나게 된다. 전문·관리직에 대한 진입장벽

이 존재하고 남성우위적 사무직은 전문화를 통하여 여성들의 진입을 차단하게 됨

으로써, 차선으로 여성들은 사무직으로 진출하게 된다. 정보사회에서도 지식과 정

Page 11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14

보를 제대로 처리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여성들이 늘어나게 되지만 전문직·관리

직으로의 진출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사무직으로 집중되는 것으로 보인다.

<표 4-14> 직업별 여성구성비, 1990∼2000

(단위: %)

직 업 군 1990 1995 2000

전문·기술직 37.6 39.6 42.4

행정·관리직 3.3 5.0 7.6

사무직 34.1 39.6 42.2

판매직 35.6 53.5 44.4

서비스직 51.9 48.0 54.8

농·임·수산직 44.2 47.8 48.3

생산직 20.5 18.7 19.5

계 33.5 35.4 37.9

자료: 각 연도 인구 센서스 2% 표본

<표 4-14>에서 볼 수 있듯이, 사무직의 여성화는 전문·기술직이나 행정·관리직

에서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2000년의 직업구성에서 여성은 사무직의 42.2%를

차지하고 있고, 전체 여성노동력의 16.3%가 사무직에 종사하고 있다([그림 4-2]).

[그림 4-2] 여성의 직업참여 비율, 1990∼2000

사무직

15.4%

판매직

15.1%

서비스직

13.8%농림수산직

28.2%

생산직

18.9%

전문기술직

8.4%행정관리직

0.2%

1990년

Page 11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4장 정보화와 직업구성의 변화 115

사무직16.0%

판매직

17.7%

서비스직17.8%

농림수산직

21.9%

전문기술직

11.8%

행정관리직0.6%

생산직

14.2%

1995년

사무직16.3%

판매직17.5%

서비스직

20.2%

농림수산직

17.7%

생산직

12.4%

전문기술직

14.9%

행정관리직1.1%

2000년

요컨대 정보화에 따라 전문직·관리직의 확대와 더불어 고학력 노동력에 대한

필요가 증가하고 있지만, 상위 전문직·관리직에 대한 여성들의 진입장벽이 존재

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사무직으로 여성들이 몰림에 따라 사무직의 여성화가 진

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Page 11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16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본 장에서는 정보직업군의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앞에서 분석된

직업의 전반적인 분포와 변화의 특성들이 지역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한

다. 일반적으로 직업의 구성이나 구조에 대한 분석은 통계표나 간단한 그래프를 통

해 이루질 수 있으나 지역별 직업 분포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도를 활

용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Henry 1995; Wallgren et al. 1996).

지금까지 직업의 공간적(spatial) 분포에 대한 분석은 시·도단위 행정구역을 기준

으로 한 직업의 지역적(regional) 분포에 대한 분석이었다. 이러한 분석은 직업의 지

역별 분포에 대한 전반적인 특성을 밝히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각 지역 내부의 직

업분포의 다양성을 밝혀주지는 못한다. 직업의 분포와 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산업화, 도시화, 관료제화와 같은 사회변동의 일반적인 추세는 한 지역 내부에서도

불균등하게 전개될 수 있다. 그에 따른 직업 분포의 다양성은 시·도단위 분석에서

는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이에 본 장에서는 시·군·구 단위 분석도 추가적으로

시도한다.

제 1절 직업과 공간분석

직업 및 산업구조의 변화의 토대가 되는 산업화나 도시화의 중요한 결과 중의 하

나가 사회의 공간적 재구조화라고 할 수 있다. 산업 공단지역을 중심으로 한 생산

직 근로자의 집중이나 농촌인구의 도시로의 유출에 의한 농업 종사자의 감소 등은

한 지역의 직업구성이 그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변화와 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

준다. 특히 1990년대에 들어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회적 활동의 지리적 공간에 대한 의존성이 감소됨에 따라 직업의 지역적 분포에

Page 11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117

도 상당한 변화가 예고되고 있다.

직업의 지역적 분포의 분석에서 지도를 활용한 공간적 분석은 그 동안 제한적으

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지리정보시스템과 같은 컴퓨터 기술의 발달과 공간

적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의 보급에 따라 비교적 용이하게 이루질 수 있게

되었다.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은14)데이터베이스와 지

도기술이 결합된 것으로 컴퓨터의 발달과 함께 그 처리속도와 능력이 급속하게 향

상되어 왔다.

그 동안 수치지도 및 컴퓨터의 처리능력의 한계로 GIS의 활용이 일부에 국한되어

왔으나, 최근 들어 이러한 제약들이 극복됨으로써 공간적 정보를 활용하는 연구들

이 새로운 가능성을 맞이하게 되었다. 따라서 많은 사회과학적 자료들이 수치지도

와 연결됨으로써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이를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며,15)우리 나라 센

서스 자료의 경우는 행정구역분류 코드를 통해 수치지도와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분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지리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에는 재분류, 중첩분석, 거리·연결성 측정, 그리고

근린특성분석 등이 있는데(DeMers 1997; Garson and Biggs 1992; Martin 1996), 여기

서는 주로 재분류 기능을 활용하고자 한다. 이 기능은 단일한 지도에 관련된 속성

적 정보를 변형시키는 것으로서, 지도상의 특성에 따라서 “채색하는”(coloring) 과

정이라고 할 수 있다(Martin 1996). 각 지역별로 특정 직업의 비율을 몇 가지 단계

14) 지리정보시스템(GIS)은 공간 정보 및 특성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하기 위한 정보

체계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GIS는 “수치지도(digital map)와 데이터베이스를

위상적 관계(topological relation)로 연결해 주고 이를 분석하여 활용하는 시스템”

(한국전산원, 1997: 7)으로 정의된다. 국내에서는 주로 국토계획, 자원관리, 사회안

전관리, 지도제작 등에 이용되고 있으며, 사회학 분야에서는 GIS를 이용한 연구가

거의 없다.

15) 1990년 미국 센서스 정보와 지리학적 정보를 결합시킨 TIGER(Topologically Inte-

grated Geographically Encoded Reference) 시스템은 GIS에 기초하여 수많은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획기적인 장을 마련하여 주었다.

Page 11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18

별로 구별되는 색으로 표시하여 봄으로써 직업분포의 전체적인 모양을 쉽게 포착

할 수가 있다. 또한 재분류 기능과 GIS의 검색기능을 결합시킴으로써 직업분포가

일정한 범위 내에 들어가는 지역을 선별하여 따로 표시하는 작업도 쉽게 해 볼 수

있다.

제 2절 자료 및 분석방법

이 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료는 1975년, 1985년, 1995년, 2000년 등 네 시점의 센

서스 자료이다. 자료의 기본 형태는 시·군·구 수준의 행정단위를 중심으로 한 전

국 240개 내외 단위의 직업 분포이다. 직업은 대분류 범주를 사용하 고 새로운 직

업분류 방식에 의한 1995년 및 2000년 자료는 이전 자료에 맞게 수정하 다.

지역별 직업분포 자료를 공간적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수치지도와 연결하여 지리

정보시스템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행정단위의 분류 코드와 수치지

도의 공간정보를 일치시켜 주었다.

채색지도(choropleth map)를 작성하는 경우, 급간(interval)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다른 그림이 제시될 수 있기 때문에 명확하고 일관성있는 분류기준을 사용하

는 것이 중요하다(Henry 1995; Martin 1996; Wallgren et al. 1996). 여기서는 각 직업

의 지역별 구성비의 순위를 기준으로 6개의 급간으로 구분하 다. 순위를 기준으로

한 급간의 구성은 각 급간이 비교적 비슷한 수의 지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순위변화

의 흐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16)

비교를 위하여 2000년의 순위에 바탕을

둔 급간 구분을 나머지 연도의 자료에도 동일하게 적용하 다.17)

16) 이 방식은 직업분포들간의 비교가 불가능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여기서는

직업들간의 비교보다는 각 직업 자체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17) 1995년의 한 직업의 비율이 2000년보다 큰 값을 가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마지

막 급간의 상한값은 두 연도 중 최대값을 사용하 다.

Page 11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119

제 3절 지식정보직업군의 시·도별 분포

지난 10여년 동안 직업의 지역별 분포에서 상당한 변화가 일어났다. 3장에서 살

펴본 바대로 직업구성의 변화는 전문직 및 관리직의 꾸준한 증가와 농어업직 종사

자의 급격한 감소, 그리고 생산직의 정체라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는 우선

시·도별 지식정보직업군의 현황과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1. 지역별 분포 개관

<표 5-1>에서와 같이 직업 대분류와 시·도별 행정구역을 교차시켜 보면, 지식

정보직업군이라 할 수 있는 전문·기술직의 경우 대전이 18.7%로 가장 높고 그 뒤

를 이어 서울, 광주, 경기, 울산의 순으로 높다. 반면에 전남, 충남, 경북 등에서는

전문·기술직의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크게 낮다. 행정·관리직의 경우 그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시·도는 7개 지역인데, 7.3%인 경기를 선두로 서울, 대구, 대

전, 인천, 광주, 부산의 순이다. 반면에 전국 평균보다 크게 낮은 지역은 경북, 전남,

제주, 강원 등이다.

<표 5-1>과 <표 5-2>를 통하여 1995∼2000년간 변화를 보면 전문·기술직의

경우는 평균적으로 2.8%p 증가하 는데, 특히 서울과 대전의 경우는 4.2%p으로

증가하 고 경기와 광주도 각각 3.5%p와 3.3%p 증가하 다. 행정·관리직의 경우

는 전문·기술직보다 변화의 폭이 다소 작은 편이며, 2.6%p 증가한 대전과 경기

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가 있었다.

지식정보직업군의 특성상 대도시지역을 중심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전문·기술직의 경우는 행정·관리직보다도 대도시 집중 경향이 더 크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별 직업구성의 특성을 보다 자세하게 분석하기 위해서 분포 양상을 몇

가지로 유형화시켜 볼 필요가 있다.

Page 11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20

<표 5-1> 시·도별 직업구성(2000년)(단위: %)

전문직 관리직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 생산직 농어업 합계

서 울 18.1 6.4 18.4 20.3 15.7 20.9 0.3 100

부 산 12.2 5.3 16.5 17.4 16.3 30.3 1.9 100

대 구 12.6 6.1 15.1 16.9 15.8 30.6 2.8 100

인 천 12.9 6.0 15.1 16.2 13.4 32.6 3.8 100

광 주 17.6 5.5 16.4 17.6 14.3 23.9 4.6 100

대 전 18.7 6.1 16.5 17.9 15.9 22.6 2.3 100

울 산 13.8 3.4 16.1 12.6 13.3 35.2 5.5 100

경 기 14.8 7.3 16.7 14.4 13.8 27.0 6.0 100

강 원 10.0 2.9 11.5 13.7 17.3 19.1 25.4 100

충 북 10.4 4.1 11.5 12.0 13.1 23.5 25.5 100

충 남 8.6 3.6 9.4 10.0 11.1 19.3 37.9 100

전 북 9.9 3.5 10.3 11.3 11.4 19.2 34.5 100

전 남 6.8 2.6 8.0 9.6 9.6 15.6 47.9 100

경 북 8.7 2.5 9.9 9.5 11.7 21.4 36.2 100

경 남 10.5 4.0 11.5 11.1 12.4 24.1 26.4 100

제 주 10.0 2.7 12.1 11.7 14.4 16.2 32.9 100

전체 13.3 5.2 14.6 15.0 14.0 24.0 13.9 100.0

자료: 2000 인구및주택 센서스 2% 표본자료.

<표 5-2> 시·도별 직업구성(1995년)(단위: %)

지역 전문직 관리직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 생산직 농어업직 총계

서 울 13.9 6.5 19.1 22.1 13.6 24.4 0.3 100.0부 산 10.4 5.1 15.3 18.5 13.7 34.7 2.3 100.0

대 구 10.9 5.0 14.9 17.9 12.6 35.7 3.0 100.0인 천 10.4 3.8 14.8 17.3 11.3 38.5 3.9 100.0

광 주 14.3 5.2 16.2 19.1 12.9 26.8 5.5 100.0대 전 14.5 3.5 17.0 18.9 15.2 27.8 3.1 100.0

경 기 11.3 4.7 16.1 15.9 11.8 31.8 8.5 100.0강 원 8.3 3.4 11.9 13.9 14.4 21.0 27.2 100.0

충 북 8.0 2.4 11.2 11.6 10.6 25.6 30.5 100.0충 남 6.2 1.1 8.7 8.9 8.5 19.2 47.3 100.0

전 북 8.3 1.8 10.5 10.9 9.4 19.1 40.1 100.0전 남 5.7 1.5 7.8 8.9 8.1 15.3 52.7 100.0

경 북 6.7 4.0 8.7 9.0 8.4 20.9 42.3 100.0경 남 9.7 3.1 13.0 11.2 10.3 28.3 24.3 100.0

제 주 6.8 1.8 12.1 13.4 12.3 18.4 35.1 100.0전체 10.5 4.3 14.5 15.8 11.8 27.0 16.1 100.0

자료: 1995 인구및주택 센서스 2% 표본자료.

Page 12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121

2. 지역별 분포의 유형화

지역별 직업분포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문·기술직, 행정·관리직, 사무직

으로 이루어지는 화이트칼라를 한 축으로 하고, 생산직으로 구성되는 블루칼라를

다른 한 축으로 하는 산점도를 그려보면 [그림 5-1]과 같다.

[그림 5-1] 지역별 직업분포의 유형, 1975∼2000

유형 I유형 II

유형 IV유형 III

서울대전

울산

인천부산

대구

경남충북

경북충남

강원제주

전북

전남

● 1975년 ▲ 1985년 1995년 ○ 2000년

경기광주

주: * 전문·기술직, 행정·관리직, 사무직, ** 생산직

이 그래프에는 1975년, 1985년, 1995년, 2000년 등 네 시점의 화이트칼라와 블루

칼라를 교차시킨 좌표평면상에서 각 지역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편의상 각 축에

서 25% 점에서 수직하는 선을 그어보면 4개의 역이 형성되는데,18)화이트칼라와

18) 보다 객관적인 기준으로 평균이나 중앙값을 사용할 수 있으나 네 연도간을 비교

Page 12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22

블루칼라가 모두 높은 역(유형 Ⅰ), 화이트칼라는 높고 블루칼라는 낮은 역(유

형 Ⅱ),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가 모두 낮은 역(유형 Ⅲ), 그리고 화이트칼라는

낮고 블루칼라는 높은 역(유형 Ⅳ) 등으로 구분된다.

<표 5-2>를 통하여 이를 정리하여 보면 1975년의 지역별 분포 유형은 크게 두

가지 인데, 하나는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가 모두 낮은 유형 Ⅲ으로서, 광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가 이에 속한다. 다른 하나는 화이트

칼라는 낮고 블루칼라는 높은 유형 IV로서,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이 여기에

포함된다. 1985년의 경우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 모두 평균보다 높은 유형 I에 속

하는 지역은 서울, 인천, 광주, 대전이고, 모두 낮은 유형 III에 속하는 지역은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이다. 부산, 대구, 경기는 화이트칼라는 낮

고 블루칼라는 높아서 유형 IV에 속하는 지역이다. 1985년의 경우 유형 II에 해당되

는 지역은 없다.

1995년의 경우에는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경남이 화이트칼라와 블루

칼라 모두 평균보다 높은 유형Ⅰ에 속하는 지역이다. 서울은 화이트칼라는 평균보

다 높고 블루칼라는 낮아서 유형Ⅱ에 속하는 지역으로 분류될 수 있겠으나 사실상

유형 I과 유사하다. 이들 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은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 모두

평균보다 낮은 유형 Ⅲ에 속하고 있다. 충북은 화이트칼라는 평균보다 낮고 블루칼

라는 높은 유형Ⅳ에 속하고 있으나 크게 보면Ⅲ과 근사하다. 2000년의 경우 부산,

대구, 인천, 울산, 경기가 유형Ⅰ에 속하고, 서울, 광주, 대전은 유형Ⅱ에 속한다.

나머지 시도는 모두 화이트카라와 블루칼라가 모두 낮은 유형 Ⅲ에 속하고 있다.

하기 위해서는 동일한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25%를 기준으로 한 것은 시각

적으로 각 축의 중간이 되기도 하지만 각 분포의 평균과 중앙값을 고려할 때 유

용한 기준점이 될 수 있다. 참고로 1985년의 화이트칼라와 생산직의 평균은 각각

18.2%와 25.4%이고 중앙값은 각각 14.6%와 24.9%이다. 1995년의 화이트칼라와

블루칼라의 평균은 각각 26.4%와 25.8%이고 중앙값은 각각 25.8%와 25.6%이다.

Page 12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123

<표 5-3> 직업분포의 유형화

유형화이트

칼라

블루

칼라1975 1985 1995 2000

Ⅰ 높음 높음 - 서울, 광주, 대전,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경기, 경남

부산, 대구, 인천,

울산, 경기

Ⅱ 높음 낮음 - - - 서울, 광주, 대전

Ⅲ 낮음 낮음

광주,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강원, 충남, 전북,

전남, 경북, 제주,

충북

충남, 충북, 전북,

전남, 제주, 경북,

경남

Ⅳ 낮음 높음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

부산, 대구, 인천,

경기- -

1975∼2000년간 지역별 직업분포 유형의 변화를 요약해 보자면 대체로 유형 Ⅲ

에서 시작하여 유형 Ⅳ와 유형Ⅰ을 거쳐 유형 II로 나아가는 형태를 보이고 있다.

기준시점인 1975년에 도시지역이었던 서울, 부산, 대구, 인천, 대전의 경우는 유형

Ⅳ에서 출발하여 유형 Ⅰ 또는 유형 Ⅱ로 나아가는 반면에, 당시에 농촌지역이었

던 나머지 지역들은 유형 Ⅲ에서 출발하여 유형 Ⅳ 또는 유형Ⅰ로 변화되고 있다.

유형 Ⅲ에서 유형 Ⅳ로의 변화는 산업화 및 도시화와 관련되어 있다면 유형 IV에

서 유형 I 또는 유형 Ⅱ로의 변화는 관료제화 및 정보화와 관련이 깊다. 각 지역별

로 이러한 사회변동이 각 지역에서 불균등하게 전개됨으로써 직업분포의 유형도

다양한 모습을 띠게 된다.

제 4절 지식정보직업군의 시·군·구별 분포

시·군·구 단위에서 나타나는 정보직업군의 분포의 특성과 변화를 그 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연관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크게 전문·기술직과 행정·

Page 12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24

관리직을 포함하는 지식정보직업과 정보기술직업으로 나누어 지역적 분포를 살펴

보고자 한다.

1. 지식정보직업군의 분포

앞에서도 보았듯이 전문·기술직과 행정·관리직은 지난 10여 년 동안 대도시를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하여 왔다. 시·군·구 수준에서 살펴본 각 직업의 분포에서

도 이러한 경향이 그대로 나타나고 있다. 먼저 전문·기술직의 분포를 보면 2000년

현재 그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경기 과천시(33.6%)이고, 다음으로는 대전 유성구

(32.6%), 서울 서초구(30.8%), 강남구(29.0%), 경기 성남(분당, 27.8%) 순이다. 이 밖

에 전문·기술직의 비중이 상위에 속하는 지역으로는 경기 수원시(팔달구), 서울

송파구, 경기 고양시(일산구), 대전(서구), 서울 동작구, 경기 안양시(동안구) 등이다.

반면에 전문·기술직의 비중이 낮은 지역으로는 경남 의령군(1.5%), 전북 임실군

(1.5%), 전남 신안군(2.1%), 경북 군위군(2.1%), 경남 산청군(2.2%) 등이 있다.

[그림 5-2] 전문·기술직의 공간적 분포, 1995

1995

1.5-4.34.3-6.76.7-10.210.2-13.113.1-15.715.7-33.6

전문기술직(1995)

Page 12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125

[그림 5-3] 전문·기술직의 공간적 분포, 2000

2000

1.5-4.34.3-6.76.7-10.210.2-13.113.1-15.715.7-33.6

전문기술직(2000)

[그림 5-4] 행정·관리직의 공간적 분포, 1995

0-1.61.6-2.72.7-3.73.7-5.15.1-6.26.2-21.1

행정관리직(1995)

1995

Page 12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26

[그림 5-5] 행정·관리직의 공간적 분포, 2000

0-1.61.6-2.72.7-3.73.7-5.15.1-6.26.2-21.1

행정관리직(2000)

2000

행정·관리직은 전체 직업구조에서 5.2%로서 그 비중이 가장 낮고 시·군·구

별 편차도 다른 직업에 비하여 적다. 2000년 현재 행정·관리직의 비중이 가장 높

은 지역은 경기 성남시(분당구)로 전체의 21.1%를 차지하고 있으며 서울 서초구

(17.0%), 경기 과천시(16.8%), 서울 강남구(14.2%)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이 밖에

경기 고양시(일산구), 경기 고양시(덕양구), 대구 수성구, 경기 구리시, 인천 연수구

등의 지역에서도 행정·관리직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에 행정·관리

직의 비중이 낮은 지역으로는 전남 함평군, 강원 고성군, 강원 화천군, 전남 나주시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지역은 0.5% 미만이다.

1995∼2000년간에 초점을 맞추어 전문·기술직과 행정·관리직의 변화를 보면

두 직업은 모두 전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증가하 음을 알 수 있다. 전문·기술직의

경우 충남논산시(계룡출장소)에서구성비가 가장 크게증가하 고(+9.1%p), 그 다음

으로 경기 용인시, 서울 서초구, 경북 칠곡군 등의 지역 순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

밖에 전문·기술직의 구성비 증가가 상위에 속하는 지역으로는 서울 중구, 경기 고

Page 12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127

양시(일산구), 경기 성남시(분당구), 서울 성동구, 경북 울릉군 등이 있다. 전문·기

술직이 전반적으로는 증가하 지만 시·군·구 수준에서 감소한 지역도 있는데,

인천 옹진군, 울산 울주군, 강원 양구군, 강원 삼척시, 울산 북구, 경기 연천군 등이

이에 포함된다.

행정·관리직의 변화를 보면 경기 과천시에서 구성비가 가장 크게 증가하 다

(+9.4%p). 경기 성남시(분당구), 경기 고양시(일산구), 경기 고양시(덕양구), 충남

아산시 등도 비교적 크게 증가한 지역이다. 전문·기술직과 마찬가지로 행정·관리

직도 전반적으로는 증가하 지만 경북 포항시( 일)(-5.4%p), 광주 남구(-3.4%p),

부산 중구(-3.4%p), 부산 금정구(-3.3%p)와 같이 감소한 지역도 있다.

2. 정보기술직업의 분포

앞장에서 보았듯이 통계청이 정보통신직업 분류에 따라 2000년 소분류 수준에서

[그림 5-6] 정보기술직의 공간적 분포, 2000

0.7-3.43.4-5.95.9-9.29.2-13.113.1-17.317.3-33

정보기술직(2000)

2000

Page 12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28

측정한 정보기술직업의 규모는 13.6%인데, 시·군·구별로는 경기 성남시(분당구)의

33.0%에서부터전남 함평군의 0.7%까지 다양하게분포되어 있다. 경기성남시와 함께

정보기술직업이 비교적 높은 지역으로는 서울 서초구(30.1%), 서울 강남구(28.6%),

경기 과천(28.1%), 경기 수원(팔달구, 27%), 경북 구미시(22.4%), 경기 시흥시(22.3%)

등이 있다. 반면에 전남 함평군과 함께 정보기술직업의 비중이 낮은 지역으로는 전

북 장수군(1.1%), 경북 예천군(1.2%), 전남 무안군(1.6%), 경북 예천군(1.6%), 전남 곡

성군(1.7%), 충북 괴산군(1.7%) 등이다.

제 5절 도시내부의 직업분포: 서울의 경우

직업구조의 변화는 도시내부에서도 전개된다. 계층적 지위에 따라 선호하는 거주

지가 달라지고, 또한 거주자의 계층적 특성이 거주지의 수준을 결정하기도 한다(홍

두승·김미희, 1998; 홍두승·이동원, 1993). 도시 내부의 정보직업군의 변화를 살

펴보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의 구별 직업의 분포를 자세히 살펴본다.

1. 지식정보직업군의 분포

우선 전문·기술직과 관리·행정직을 지식정보직업군으로 간주하고 1995∼2000

년간의 변화를 살펴본다. 2000년 현재 지식정보직업군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초구로서 전체의 47.8%에 이르고 있다. 그 다음으로 강남구 43.1%, 송파구 30.2%,

양천구 26.5%, 동작구 26.1% 등의 순이다. 마포구와 광진구도 25%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서 1995∼2000년간의변화를 보면서울의 모든 지역에서증가하 는데서초구

가 8.8%p 증가하여 가장 큰 변화를 보 고, 그 다음으로 중구(8.2%p), 성동구(8.0%p),

중랑구(6.3%p), 관악구(5.5%p), 성북구(5.4%p) 등의 순으로 높은 증가를 보 다. 반

면에 지식정보직업군의 증가가 적었던 지역은 강서구, 금천구, 동대문구, 은평구,

도봉구 등으로 모두 2%p미만으로 증가하 다.

Page 12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129

[그림 5-7] 서울특별시 지식정보직업군의 분포, 1995

16.3-19.419.4-20.420.4-2323-24.224.2-26.126.1-47.8

지식정보직업군(1995)

강서구 마포구

등포구양천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강남구

송파구

강동구광진구성동구

용산구

중구

종로구

서대문구

은평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중랑구

동대문구

성북구

[그림 5-8] 서울특별시 지식정보직업군의 분포, 2000

11.2-14.814.8-18.118.1-19.319.3-20.720.7-22.322.3-39

지식정보직업군(2000)

강서구 마포구

등포구양천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강남구

송파구

강동구광진구성동구

용산구

중구

종로구

서대문구

은평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중랑구

동대문구

성북구

Page 12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30

[그림 5-9] 서울특별시 정보기술직업의 분포, 2000

14.1-16.616.6-17.617.6-18.818.8-19.819.8-2121-30.1

정보기술직업(2000)

강서구 마포구

등포구양천구

구로구

금천구 관악구

동작구

서초구강남구

송파구

강동구광진구성동구

용산구

중구

종로구

서대문구

은평구

강북구

도봉구

노원구

중랑구

동대문구

성북구

통계청의 정보통신직업분류에 따라 2000년 현재 서울시의 구별 정보기술직업의

분포를 보면 서초구 30.1%, 강남구 28.6%, 송파구 21.9%, 관악구 21.0%, 구로구

20.4%, 광진구 20.0% 등의 순으로 높다. 반면에 동대문구 14.1%, 중랑구 14.2%, 강

북구 15.4%, 성동구 16.5% 등은 정보기술직업의 비중이 비교적 낮은 편이다.

2. 지역별 직업의 분포

아래에서는 대응분석(correspondence analysis)의 기법을 활용하여 도시 내부의 지

역과 직업의 관계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각 직업군과 직업의 관계

를 2차원으로 형상화시켜 봄으로써 잘 드러난다.

가. 대응분석

대응분석은 다변량 탐색적 분석기법의 하나로서 두 개의 이산변수의 범주간의 관

계(즉, 분할표)를 분석하는 것인데, 이 분석의 목적은 복잡한 자료를 보다 간결한

Page 13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131

형태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으로 그 결과는 시각적으로 나타나며 따라서 해석도 비

교적 용이하다. 간단히 설명하면 두 개 이상의 범주형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함에

있어 각 변수의 범주를 보다 저차원의 공간에 점으로 표시한다. 비슷한 분포를 갖

는 범주들은 공간에서 서로 가까운 곳에 점으로 나타나고, 상이한 분포를 갖는 범

주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 나타난다. 물론 차원은 가장 적은 수의 범주를 갖는 변수

의 범주수보다 최대 1이 작지만 대개 저차원에서 해석이 용이하다(Greenacre, 1993;

Clausen, 1998 참조). 비슷한 위치는 서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대응분석이

란 각 점에 가장 적합한 n차원의 공간을 찾아내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나. 구별 분포

2000년도 기준으로 서울시는 모두 25개의 구로 이루어져 있다. 서울의 경우, 모든

구에서 농업 종사인구는 1%미만이다. 중랑구(0.5%), 강동구(0.5%), 강서구(0.4%), 은

평구(0.4%), 노원구(0.4%) 등은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는 높은 편이지만 사실상 무시

할 만한 수치이다. 따라서 농어업 종사자를 제외하고 분석한다. 구 단위를 열로 하

고, 직업범주를 행으로 하여 분할표를 작성한 다음, 대응분석을 통해 분석하여 열

점수와 행 점수를 얻고 이를 평면에 그리면 [그림 5-10]과 같아진다.

그림에서 첫 번째 차원에 따르면 서초구와 강남구가 축의 한쪽 끝에 있고, 금천

구, 중랑구, 동대문구, 강북구가 또 다른 한쪽 끝에 있다. 그 상대적 위치는 관리직

-전문직-사무직-판매직-서비스직-생산직의 순서와 같이 하고 있다. 두 번째

차원에 따르면 용산구, 동작구, 마포구가 축의 한쪽을 차지하고 있고, 또 다른 끝에

는 금천구와 중랑구가 위치하고 있다. 직업의 순서는 사무직-판매직-서비스직-

전문직-생산직-관리직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 차원만으로 해석하기는 용이하지

않으나 판매직과 서비스직이 축의 한쪽 끝을 형성하고 있는 것은 자 업주의 상대

적 크기와도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두 차원을 평면상에서 동시에 고려했을

때에 직업분포에 있어 강남구와 서초구에는 전문직과 관리직 종사자들이 많이 거

주하고 있고, 반면에 성북구, 중랑구, 구로구, 강북구에는 특히 생산직 종사자가 많

이 거주하고 있다. 또한 강동구, 서대문구, 은평구, 관악구에는 사무직, 판매직, 서비

Page 13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32

스직 종사자가 많이 있다.

[그림 5-10] 서울특별시 구와 직업의 관계형상, 1995

서울 1995

대응분석의 결과를 통해 직업구조의 변화를 살펴보자. 이는 상이한 두 시점의 분

포를 제시한 그림을 비교해봄으로써 가능하다. 서울특별시의 변화를 보기 위하여

1995년도 인구센서스 자료를 사용하여 동일한 분석을 하고 그 결과를 [그림 5-

11]에 제시하 다. 1995년도와 2000년도의 자료를 비교하여 최근 5년간의 변화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1995년의 경우 서초구, 강남구에서 금천구, 중랑구로 이어지는 가로축, 용산구, 서

대문구에서 금천구, 구로구로 이어지는 세로축의 전체적인 윤곽은 2000년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1995년에는 세로축을 따라 비교적 흩어져 있던 판매직, 서비스

직, 사무직이 2000년에는 집중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판매직의 경우 1995년에는

Page 13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5장 정보직업의 공간적 분포 133

서대문구와 용산구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고 서비스직의 경우에는 은평구과 노원구

에 많이 분포되어 있었다. 등포구, 강동구, 동작구에는 사무직의 비율이 상대적으

로 높은 편이었다. 2000년에 와서는 이들 세 직업군의 거리가 좁아지고 구별 분포

도 유사하게 변화되고 있다.

요컨대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를 중심으로 분포되어 있는 행정·관리직과 전문·

기술직, 그리고 금천구, 중랑구, 구로구에 분포되어 있는 생산직의 구도는 큰 변화

없이 자리잡아 가고 있다. 반면에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의 구별 분포는 상대적

으로 유동적이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해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 5-11] 서울특별시 구와 직업의 관계형상, 2000

서울 2000

Page 13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34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

현대사회에서 직업에 따른 공식적인 차별은 없다. 그러나, 직업에 따라 제반 사회

적 보상이 다르기 때문에, 직업을 이용한 계층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장에서는 직업구조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 계층구조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먼

저, 1960∼2000년까지의 시계열적 변화를 살펴보고, 특히 2000년도의 분석에 있어

서는 연령과 학력에 따른 계층구성의 차이를 분석한다.

제 1절 직업과 불평등구조19)

직업적 분화는 단지 노동의 분업(division of labor)을 의미하며, 그 자체가 위계적

인 함의를 내포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어떤 직업을 가지는가에 따라 노동 상황이나

보수, 작업장과 직장내에서의 사회적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들

은 직업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직업상황을 고려하게 된다. 각 직업이 갖는 내적 특

성인 경제적 보상, 사회적 위신과 존경, 지위획득의 용이성 등이 직업의 위계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직업범주는 경제적 불평등과 높은 상관관계

를 맺게 된다. 결국 직업체계 그 자체는 비위계적 구조이지만 시장을 매개로 이루

어지는 직업선택과정에서 직업의 위계화와 접한 관련을 맺게 된다.

그 결과 직업은 단순한 생계유지수단을 넘어서서 물질적 보상, 사회적 지위, 생활

기회의 수준을 나타내는 가장 강력한 단일지표로 간주되고 있다(Blau and Duncan,

1967; Parkin, 1972; Haug, 1977; Crompton, 1993). 물론 직업을 통해 계층 또는 계급

을 측정하는 작업이 아무런 비판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20)직업의 집합적 구

19)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pp.125∼126 재정리

20) 이 장에서 <계급>은 <계층>의 포괄적 범주속에 포함시키고 있다.

Page 13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 135

성이 곧 계급이 되는 것은 아니며, 직업분류를 통해서 자본주의사회의 주요 세력인

자본가계급을 구분해 낼 수는 없다. 특히 마르크스계급론자들은 <계급>을 <직업집

단>과는 명백히 구분되는 개념으로 파악하고 있다. 마르크스의 <계급>은 계급의식

이나 계급행동과 분리되어 생각할 수 없고, 베버의 <사회계급>도 사회이동 가능성

여부를 고려한 계급상황의 총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계층 및

계급구조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대부분의 경우 개별 연구자의 이론적 입장과는 관

계없이 분석의 기초를 직업분류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본다.

제 2절 한국에서의 계층연구

우리 나라에서 계층분류 작업은 1970년대 후반부터 이루어져 왔다. 그리고 대부

분의 연구가 직업분류를 활용했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특히 한국의 표준직업분류가

제시된 통계청의 인구센서스 보고서가 계층에 대한 경험적 연구에 필수적인 자료

로 활용되었다.

우선 김 모(1982)는 종사상의 지위와 직업 대분류를 교차시켜 계급모형을 구성

한다. 직업 대분류중 전문·기술직, 행정·관리직, 사무직 종사자에 대해서 고용주

는 <자본가계급>에, 자 자는 <구중산층>에, 피고용자는 <신중산층>에 귀속시킨다.

판매직, 서비스직, 농·축·수산직 종사자에 대해서는 고용주 및 자 자는 전문·

기술·행정·관리·사무직 종사자와 같은 범주에 포함시키되, 피고용자는 <노동

자계급>으로 분류한다. 한편 기능공 및 노동자와 고용주는 <구중산층>에, 자 자 및

피고용자는 <노동자계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김 모의 분류는 생산수단 소유여부와 임노동 고용여부라는 고전적인 마르크스

의 계급구분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마르크스적 계급이론의 전통을 따른다

고 할 경우, 자 자를 노동자계급에 포함시킨 것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한편 피고용자의 계급구분에 대해서는 마르크스 계급이론의 전통내에서도 다양한

입장이 개진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논란은 화이트칼라의 계급적 위상과 관련되어

Page 13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36

나타난다(Abercrombie and Urry, 1983; Hyman and Price, 1983 참조).

1980년대 들어서서 홍두승(1983a)은 <부문> 및 <사회적 자원의 통제수준> 개념을

도입하여 계급분류를 시도한다. 구체적으로는 부문을 조직, 자 업, 농업 부문으로

3분하고, 각 부문마다 사회적 자원의 통제수준이 상, 중, 하로 구분됨을 상정하여 9

개의 가능한 범주를 설정한 다음, 농업부문의 상층을 제외한 8개의 계급집단을 식

별하고 있다. 농업부문에서 상층을 배제한 것은 농지개혁당시 농지의 개인소유의

상한을 3정보로 제한함으로써 농지의 대규모 소유가 불가능하다는 가정에서이다.

그 결과 조직부문은 <중상계급>, <신중간계급>, <근로계급>으로 구분되고, 자 업

부문은 <상류계급>, <구중간계급>, <도시하류계급>으로, 농업부문은 <독립자 농계

급>과 <농촌하류계급>으로 구분되었다. 그러나 상류계급의 경우는 이들이 가지는 사

회적 향력에 비추어볼 때 그 절대수가 매우 소수이기 때문에 센서스류의 자료에서

이들이 의미있게 파악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직업분류를 계급분류에 활용하는

경우 통상적으로 상류계급을 제외한 7계급으로 분석하고 있다. 경험적 연구에서 상류

계급은 중상계급이나 구중간계급에 포함되거나, 아니면 전면 배제되고 있다.

그 이후 마르크스적계급이론의 전통에서 직업분류를계급범주화한 연구로 서관모

(1987)를 들 수 있다. 그는 전후 일본에서의 계급연구(대표적으로 大橋隆憲, 1971),

라이트(Wright, 1978) 및 홍두승(1983a, 1983b) 등의 연구를 바탕으로 계급모형을 구

성하고 있다. <사회적 생산양식>을 기준으로 <자본재 부문>과 <소상품생산 부문>을

구분하고, 자본제 부문에서 <노동자계급>과 <자본가계급>이라는 두 기본 계급을 설

정한다.21)그리고 자본가계급과 노동자계급 사이에 <신중간 제계층>을 설정한다. 소

생산부문에 대해서는 비농업무문은 <쁘띠부르조아지>와 <노동자계급> 사이에 <반

프롤레타리아트층>을 두어 구분하고, 농업부문에는 경작규모에 따라 <부농·중농>,

<빈농> 및 <농업노동자>로 구분한다.

21) 두 계급 외에 나머지에 대해서는 계층으로 보는 데, 이는 자본주의사회에서 두 계

급만이 역사 변화의 추동력 역할을 한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Page 13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 137

구체적으로 직업분류를 계급범주화하는 작업에서는 종사상의 지위와 함께 계급

상황, 계급행동, 계급의식 등을 고려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는 계급구분에 경제적

관계 외에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관계를 포함시키는 플란차(Poulantzas, 1978)의 입

장을 실제로 계급분류에 활용하려는 노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직업분류를 이용하여 계층·계급구조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했던

연구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실제로 이들의 연구는 직업을 기반으로 계급구성표를

작성하고, 1960년부터 1980년 중반까지의 계급구성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사회의 계급구성 및 그 변화, 그리고 계급구조 변화에 대한 해석은 각자의 계

급모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여기서는 직업분류를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고안된

홍두승의 계급구분을 채택하여, 계층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제 3절 계층구조의 변화와 특징

1. 계급범주의 조작화

먼저 직업을 이용한 계급분류가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그 조작화의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홍두승(1983b)은 1974년에 개정된 <한국표준직업분류>를 이용한

계층분류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표 6-1>은 1974년 직업분류를 기준으로 그 내용

을 재구성한 것이고, <표 6-2>는 1992년 직업분류를 기준으로 계급분류를 시도한

홍두승(1983b)의 연구를 1999년 직업분류 기준에 새로이 적용하여 계급을 분류한

것이다.

<표 6-1>을 보면 과거의 계급분류는 하위 판매종사자를 제외하고는 직업 소분

류를 거의 활용하지 않고 대체로 직업 중분류와 종사상의 지위를 근간으로 작성되

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직업 중분류와 종사상의 지위를 통해서 계급구

분을 완벽하게 할 수 있었기 때문이 아니다. 단지 편의상 직업 중분류를 구성하는

직업중 대표적인 직업이 속한 계급범주에 직업 중분류 전체를 포함시켰기 때문이

Page 13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38

<표 6-1> <한국표준직업분류>(1974년도 개정)에 의한 계급분류

대분류 중분류 피용/자자 업주 구분

및 기타계급

0/1. 전문, 기술 및

관련직 종사자

고위전문직 피용/자 Ⅱ. 중상

(하위)전문·기술직피용 Ⅲ. 신중간

자 자 전문직 Ⅳ. 구중간

2. 행정 및 관리직

종사자

정부관리직 피용 Ⅱ. 중상

관리자피용 Ⅱ. 중상

자 자 관리직 Ⅳ. 구중간

3. 사무 및 관련직

종사자

사무원감독자 피용 Ⅲ. 신중간

정부행정공무원 피용 Ⅲ. 신중간

일반사무직피용 Ⅲ. 신중간

자 자 사무직 Ⅳ. 구중간

4. 판매종사자판매직 종사자

피용 Ⅲ. 신중간

자 자 상인 Ⅳ. 구중간

(하위판매종사자)1) 자 행상 등 Ⅵ. 도시하류

5. 서비스직 종사자

요식숙박업 종사자피용 Ⅴ. 근로

자 자 상인 Ⅳ. 구중간

보안업무종사자 피용 Ⅲ. 신중간

가정부, 가사종사자 피용 Ⅳ. 도시하류

건물관리원, 청소원 피용 Ⅳ. 도시하류

기타 서비스직피용 Ⅴ. 근로

자 자 서비스직 Ⅳ. 구중간

6. 농업종사자

자 5단보이상 Ⅶ. 자 농

자 5단보미만 Ⅷ. 농촌하류

피용 Ⅷ. 농촌하류

7/8/9. 생산 및 관련

종사자, 운수장비

운전사 및 단순

노무자

생산감독 피용 Ⅴ. 근로

생산관련 종사자피용 Ⅴ. 근로

자 자 기능인 Ⅳ. 구중간

운수장비 운전사피용 Ⅴ. 근로

자 자 기능인 Ⅳ. 구중간

단순노무자 피용 Ⅳ. 도시하류

실업자 실업자고졸미만2) Ⅳ. 도/농하류

고졸이상 분류제외

주: 1) 소분류까지 고려함.

2) 도시거주자는 도시하류계급에, 농촌거주자는 농촌하류계급에 각각 포함시킴.

자료: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Page 13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 139

다. 그에 반해 <표 6-2>는 중분류 뿐만 아니라, 소분류를 다수 활용하고 있다. 이

점에서 1999년에 개정된 <한국표준직업분류>가 사회경제적 특성을 보다 적절하게

반 하고 있고,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보다 유용함을 보여준다.

<표 6-2> <한국표준직업분류>(1999년도 개정)에 의한 계급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피용/자자 업주

구분계 급

0. 의회의원, 고위

임직원 및 관리자

01 피용 Ⅱ. 중상

02, 03

021 피용/자 Ⅱ. 중상

023, 024, 030피용 Ⅲ. 신중간

자 자 관리직 Ⅳ. 구중간

1. 전문가

11∼14

111, 120, 131∼135,

112, 141∼142피용/자 Ⅱ. 중상

143 피용 Ⅲ. 신중간

15151 피용 Ⅱ. 중상

152∼157 피용/자 Ⅲ. 신중간

16∼18

162∼165, 171, 113,

72, 182∼184피용/자 Ⅱ. 중상

181, 173 피용/자 Ⅲ. 신중간

2. 기술공 및

준전문가21-29

피용 Ⅲ. 신중간

자 자 전문직 Ⅳ. 구중간

3. 사무 종사자 31, 32피용 Ⅲ. 신중간

자 자 사무직 Ⅳ. 구중간

4. 서비스 종사자 41∼44

431, 432, 421, 422,

411, 412∼416

피용 Ⅴ. 근로

자 자 서비스직 Ⅳ. 구중간

441∼444피용 Ⅲ. 신중간

자 자 서비스직 Ⅳ. 구중간

5. 판매 종사자 51, 52

530 피용/자 Ⅲ. 신중간

511, 512, 513피용 Ⅴ. 근로

자 자 상인 Ⅳ. 구중간

6. 농업, 임업 및

어업숙련 종사자61∼63

피용 Ⅷ. 농촌하류

자 Ⅶ.독립자 농

7. 기능원 및

관련기능 종사자71∼75

피용 Ⅴ. 근로

자 자 기능인 Ⅳ. 구중간

Page 13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40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피용/자자 업주

구분계 급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81∼84

피용 Ⅴ. 근로

자 자 기능인 Ⅳ. 구중간

9. 단순노무 종사자

91, 51, 52,

93, 94

512, 521, 522,

911∼915, 941, 942피용/자 Ⅵ. 하류

92 920 피용/자 Ⅷ. 농촌하류

A. 군인 A1 분류제외

실업자 업자고졸 미만 Ⅵ. 하류

고졸 이상 분류제외

자료: 홍두승·김병조·조동기(1999: 139∼140) 참고 작성

계층구조의 변화를 일관되게 살펴보기 위해서는 가능한 한 계급분류방식에 일관

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면서도 사회구조적 변화에 따라 때로는 계급명칭의 수

정이 불가피한 경우도 나타날 수 있다. 특히 지난 30여년간 한국 사회의 변동과 관

련되어, 도시와 농촌의 지역적 구분이 현재에도 과거와 마찬가지로 명료하게 이루

어질 수 있겠는가 하는 질문이 제기될 수 있다. 1980년대 이전까지는 농촌과 도시

간 생활수준의 격차가 커서 이들간의 구분이 타당하 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농촌거주 및 농종사 인구의 비율이 크게 감소하면서 행정구역상 도시와 농촌의

구분도 모호해졌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기존의 명칭 중 <도시하류계급>은 <하류계

급>으로 수정하고, <농촌하류계급>은 농업적 특성을 고려하여 그 명칭을 그대로 사

용하기로 한다. 그러나 농촌하류계급이 농촌에 거주하는 하류계급의 의미보다는

농종사인구 중 하위층으로 이해되어야 하리라 본다. 따라서 고졸 미만의 실업자를

거주지역에 따라 도시하류계급과 농촌하류계급으로 구분했던 원래의 모형에 수정

을 가하여 이들을 모두 <하류계급>으로 분류하는 것이 좋을 듯하다. 왜냐하면 이들

중 상당수는 특정 지역에 머물기보다 일자리를 찾아 지역간 이동을 매우 활발히 하

기 때문이다(홍두승·김병조·조동기; 1999).

Page 14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 141

2. 계급구성의 변화

앞에서 제시된 기준에 따라 구분된 계급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표 6-3>은 남

성을 대상으로 작성된 계급 구성표이다. 여성을 배제시킨 이유는, 첫째로, 여성 경

제활동인구를 포함시키는 경우 60%이상 차지하는 여성 비경제활동인구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 하는 새로운 문제가 야기되며, 둘째로, 가구주가 아닌 여성의 경제

활동은 일반적으로 2차적인 것으로 간주되고 있기 때문이다(홍두승, 1983b).22)

1960년 이후 한국사회 계급구성변화에 나타난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

저 계급구성상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은 독립자 농계급과 농촌하류계급이다. 독

립자 농계급은 1960년 40.0%에서 2000년 9.8%로 그 비중이 크게 감소하 으며, 농

촌하류계급 역시 1960년 24.0%에서 2000년 1.7%로 계급 구성상의 비중이 감소하

다. [그림 6-1]에서 보듯이 농·임·수산업의 위축으로 인해 1960년 가장 큰 비

중을 차지하 던, 독립자 농계급과 농촌하류계급이 점차 줄어들어, 현재는 신중간

계급, 구중간계급, 근로계급보다도 그 비중이 크게 낮아졌음이 확인되고 있다. 농촌

하류계급은 2000년 기준 1.7%의 매우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둘째, 신중간계급, 구중간계급, 근로계급은 독립자 농계급이나 농촌하류계급과는

반대로 그 동안 규모가 매우 커졌다. 이들 세 계급의 비율을 합하면 1960년에 28.5%

던 것이 2000년에는 74.9%로 그 비중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2000년 현재 이들 세

계급은 전체 계급 구성의 약 3/4으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신중간계

급과 근로계급은 산업화과정에서 급속도로 성장한 계급이다. 그러나 1990년대에 들

어서면서 근로계급이 서서히 감소세로 돌아서고 있음은 2차 산업의 성장이 한계점

에 도달했음을 시사한다.

구중간계급은 1960년대에서 1980년까지 증가하다가, 1980∼1990년 정체기간을 거

쳐최근들어다시증가하고있다. 1960∼1980년까지의증가가농업인구의비농자

22) 계급분석에서 그 대상을 남성에 한정시키는 예로는 골드소프(Goldthorpe, 1980) 및

패인(Payne, 1987) 등을 들 수 있다.

Page 14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42

업으로의 전환에 의해 주도되었다면, 1990년 이후의 증가는 신중간계급 및 근로계

급으로부터 자 업으로 전환하는 경우가 늘었기 때문으로 추정되고 있다.

중상계급은 1960년 이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1990년 이후 다소 큰 비중으로 증가

하 다. 구성비에 있어서는 1960년에 0.9% 던 것이 2000년에는 5.8%로 6배 이상

증가하 다. 이는 전반적인 과학기술의 발전과 정보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 산업

조직의 성장둔화로 인한 전문직 선호성향의 증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표 6-3> 계급구성의 변화, 1960∼2000(남성)

(단위: %)

계급구분 1960 1970 1975 1980 1990 1995 2000

중상계급

신중간계급

구중간계급

근로계급

하류계급

독립자 농계급

농촌하류계급

0.9

6.6

13.0

8.9

6.6

40.0

24.0

1.3

14.2

14.8

16.9

8.0

28.0

16.7

1.2

15.7

14.5

19.9

7.5

28.2

12.9

1.8

17.7

20.8

22.6

5.9

23.2

8.1

1.9

26.1

19.6

31.3

4.2

13.0

4.9

3.6

25.5

22.2

27.7

8.2

12.1

0.6

5.8

26.3

22.7

25.9

7.7

9.8

1.7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자료: 홍두승(1980b: 82); 홍두승·안치민(1995: 78); 2000년 인구센서스 2% 표본.

[그림 6-1] 계층구성의 변화, 1960∼2000

Page 14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 143

3. 계급별 사회인구학적 특성

다음으로 연령 및 학력수준에 따른 계급별 특성을 2000년도 자료를 통해 살펴보

고자 한다. 먼저 연령과 학력에 따라 계급구성에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계급분류에 활용되었던 직업분류가 계급분류와 어느 정도 상관을 가지는지 알아보

고자 한다. <표 6-4>는 계급별 연령분포를 제시한 것이다.

먼저 중상계급과 신중간계급을 살펴보면 이 두 계급은 연령 분포가 매우 유사함

을 알 수 있다. 25∼34세 연령층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35∼44세 연령층에 많이 분

포하고 있다. 이 두 연령층(25∼44세) 사이에 70%이상이 집중되어 있다. 한편 구중

간계급은 중상계급, 신중간계급에 비해 연령이 다소 높은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

중간계급의 경우 35∼44세 연령층이 가장 많으며, 이어서 45∼54세 연령층과 25∼

34세 연령층에 분포하고 있다. 반대로 근로계급은 연령별 분포로 보아 가장 젊은

계급으로 25∼34세 연령층에 37.5%가 존재하고, 25세 미만의 연령대도 9.6%에 이

른다. 한편, 하류계급은 거의 모든 연령에 고루 분포되어 있다. 독립자 농계급은

가장 나이가 많은 계급으로 55세이상이 60.9%에 이르고 있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

록 그 비율이 높아지는 특이한 연령분포를 보이고 있다. 반면 농촌하류계급의 경우

독립자 농계급과 마찬가지로 농업에 종사하지만 연령분포는 매우 다르다.

<표 6-4> 계급별 연령분포, 2000(남성)

(단위: %)

계급구분 25세미만 25∼34세 35∼44세 45∼54세 55세이상 계

전체 4.4 28.0 32.8 20.0 14.7 100.0

중상 2.8 42.1 34.3 13.4 7.4 100.0

신중간 3.3 37.6 36.5 16.8 5.8 100.0

구중간 0.6 16.4 41.1 28.3 13.6 100.0

근로 9.6 37.5 31.4 16.1 5.3 100.0

하류 6.9 19.5 24.7 24.0 24.9 100.0

자 농 0.2 3.0 14.4 21.5 60.9 100.0

농촌하류 9.6 26.4 24.0 15.3 24.6 100.0

자료: 2000년 인구센서스 2% 표본.

Page 14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44

계급별 차이는 연령구성 뿐만 아니라, 학력구성에서도 확연히 드러난다(<표 6-

5>). 중상계급의 경우 대학 이상 학력소지자가 87.0%이며, 대학원 이상 학력소지자

도 26.5%에 이른다. 신중간계급은 고등학교 학력이 30.6%, 2년제 대학이상이 17.4%

로, 여타 계급보다는 학력수준이 높지만, 중상계급에 비해서는 크게 떨어진다. 구중

간계급은 고등학교가 50.3%로 가장 많고, 이를 중심으로 중학교 이하가 20.7%, 대

학이상이 29.0%로 비슷한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근로계급은 고등학교가 61.5%를

차지하여, 구중간계급과 마찬가지로 고등학교 학력자가 중심이지만, 대학이상의

학력이 19.1%로 구중간계급(29.0)보다 학력수준이 다소 낮다. 하류계급은 학력수준

이 낮아 고등학교 학력이 매우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초등학교, 중학교 학력소지

자의 비중도 높은 편이다. 자 농계급은 불취학자가 7.9%이며, 초등학교 학력소지

자도 24.2%나 되어 학력수준이 매우 낮은 편이다. 농촌하류계급 역시 대체로 학력

수준이 낮으며 고등학교의 비중이 크나, 4년제 대학의 비중도 20.1%나 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표 6-5> 계급별 학력분포, 2000(남성)

(단위: %)

계급구분 불취학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4년제미만4년제대학 대학원 계

전체 2.4 11.9 14.5 43.1 5.0 20.2 2.9 100.0

중상 0.1 0.4 1.0 11.6 14.2 46.3 26.5 100.0

신중간 0.1 0.7 2.3 30.6 17.4 40.5 8.3 100.0

구중간 0.6 6.5 13.6 50.3 9.9 17.3 1.8 100.0

근로 0.5 5.5 13.4 61.5 10.4 8.4 0.3 100.0

하류 2.4 17.7 22.1 46.9 5.6 5.2 0.2 100.0

자 농 7.9 24.2 18.6 38.6 6.5 4.0 0.3 100.0

농촌하류 1.9 9.1 11.2 42.3 11.1 20.1 4.3 100.0

자료: 2000년 인구센서스 2% 표본.

<표 6-6>은 같은 직업분류에 속한 사람이 어떤 계급에 분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

고자제시한표이다. 직업분류방식이바뀌었기때문에, 1974년도분류방식과 1999년도

Page 14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 145

분류방식 두 가지로 제시하 다. 전체적으로 보면 1974년 분류에서는 같은 직업대

분류에 속한 사람이 주로 3∼4개의 계급으로 구분되었으나, 1999년 분류에서는 주

로 2계급에 분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사한 직업군일 경우 1974년 직업분

류보다 1999년 직업분류에서 특정 계급과의 상관성이 높다. 이는 1999년 직업분류

개정이 계급분류에 보다 적합한 분류방식으로 개선되었음을 의미한다.

<표 6-6> 직업분류에 따른 계급분포, 2000(남성)

(단위: %)

직업분류 중상 신중간 구중간 근로 하류 자 농 농촌하류 계

구 직업분류

전문직 45.3 50.2 4.5 100.0

관리직 2.2 47.9 49.9 100.0

사무직 94.4 5.6 100.0

판매직 17.8 56.6 25.5 100.0

서비스직 11.5 27.1 17.4 44.0 100.0

농·임·수 85.0 15.0 100.0

생산직 등 23.1 66.5 10.4 100.0

신 직업분류1)

의회/고위/관리 2.2 47.9 49.9 100.0

전문가 67.9 31.9 0.2 100.0

기술공/준전문가 82.3 17.7 100.0

사무 종사자 94.3 5.7 100.0

서비스 종사자 20.6 48.4 31.0 100.0

판매 종사자 0.2 65.7 34.0 100.0

농/임/어업숙련 86.5 13.5 100.0

기능원 및 관련 27.4 72.6 100.0

장치/기계조작 24.2 75.8 100.0

단순노무 종사자 97.6 2.4 100.0

주: 1)군인제외

자료: 2000년 인구센서스 2% 표본.

그러나 <표 6-6>을 살펴보면 두 직업분류방식이 나타내는 계급분포가 크게 다

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1974년도 분류방식의 전문직은 1999년도 분류방식의 전문

Page 14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46

가 범주와 유사하며, 대개 상위계급에 분포하고 있다. 그 외 서비스나 판매직의 분

류방식별 범주도 두 분류 모두에서 신중간이나 구중간에 분포하고 있으며 특히

농·임·어업 종사자의 경우는 두 직업분류 모두에서 매우 비슷한 수치로 자 농

과 농촌하류 계급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 6-7> 정보통신직업분류에 따른 계급분포, 2000(남성)

(단위: %)

정보직업분류 중상 신중간 구중간 근로 하류 자 농농촌

하류계

023 생산 및 운 부서 관리자 78.4 21.6 100.0

024 기타 부서 관리자 92.9 7.1 100.0

030 일반 관리자 34.5 65.5 100.0

120 컴퓨터 관련 전문가 100.0 100.0

132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전문가 100.0 100.0

220 컴퓨터 관련 준전문가 91.7 8.3 100.0

232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기술 종사자95.0 5.0 100.0

235 광학 및 전자장비 기술 종사자 80.1 19.9 100.0

262 판매 준전문가 66.7 33.3 100.0

317 사무지원 종사자 97.4 2.6 100.0

733 전기, 전자장비 설비 및

정비 종사자16.5 83.5 100.0

829 기타 기계조작 종사자 5.3 94.7 100.0

832 전기 및 전자장비 조립 종사자 7.1 92.9 100.0

<표 6-6>이 전 직업분류를 대상으로 한 계급분포를 살펴본 것이라면 <표 6-7>

은 그 중 앞서 살펴본 정보통신직업만을 대상으로 한 계급분포를 나타낸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전체 직업분류에 따른 계급분포와는 다른 양상을 띠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표 6-7>에서와 같이 정보통신직업은 대개 신중간계급과 구중간계급

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류·자 농·농춘하류계급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특히 전 정보통신직업이 3계급에 분포하고 있는 것은 특정직업과 계급분포와

Page 14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6장 정보직업과 계층 147

의 상관성을 잘 보여준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같은 대분류에 속하고 있는 직업은 모

두 같은 계급분포를 보이고 있다. 가령 대분류가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0)’의 범주에 속하는 ‘생산 및 운 부서 관리자(023)’, ‘기타 부서 관리자(024)’, ‘일반

관리자(030)’는 모두 신중간과 구중간에 분포하고 있다. 특이할만한 것은 같은 정보

통신직업에 속한 경우라도 1974년도 분류기준의 전문직, 관리직, 사무직(관행적 구

분으로는 정신노동직)은 상위계층에 분포하며, 생산직(관행적 구분으로는 육체노동

직)인 경우는 상대적으로 하위계층에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표 6-

6>과 비교해 볼 때 지식 집약적이고 전문적인 분야에 해당하는 직업의 특성상 정보

통신직업은 대체로 상위계급에 위치하고 있다.

Page 14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48

제 7장 결 론

제 1절 논의의 정리

지식과 정보가 사회에서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잡음에 따라 그것을 다루는 데 관

련된 직업이 확장되고 전체 직업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직업구조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또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

에 대해 이론적 및 실증적 분석을 제시하 다.

직업구조 및 구성상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직업분류가 포함된 시계열 자료

가 있어야 하며, 또한 시계열 비교가 가능하도록 직업분류에 있어서 일관성이 유지

되어야 하는 바,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하

다. 분석을 위한 기본 자료는 그 동안 발간된 인구센서스 조사보고서 및 인구주택

총조사 2% 표본자료이다.

서론에 이어 제2장에서는 2000년 센서스에 나타난 직업구조를 분석하고 있다.

1999년에 개정된 직업분류가 처음으로 적용된 새로운 분류에 의한 분석은 다른 연

도의 센서스 자료와 비교하는데는 다소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자료에 보다 충실

한다는 점에서 여러 연도간 비교없이 2000년의 직업의 분포를 분석하 다. 2000년

도에 개정된 직업분류체계는 직업을 대분류상으로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

자’(0), ‘전문가’(1), ‘기술공 및 준전문가’(2), ‘사무 종사자’(3), ‘서비스 종사자’(4), ‘판

매 종사자’(5),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6),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7),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8), ‘단순노무 종사자’(9), ‘군인’(A) 등 11개의 범주

로 구분하고 있다. 이들 범주에 기초한 직업의 분포와 각 직업 범주별 성별, 연령별,

학력별 구성을 살펴보았다.

직업구성의 변화(제3장)에 대한 분석에서는 지난 45년간의 직업구조 및 내부구성

Page 14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7장 결 론 149

의 변화와 그 특성을 고찰하 다. 각 직업범주별 인구학적 특성과 종사상의 지위에

따른 시계열적 분석을 시도하고, 특히 1995∼2000년의 분석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두 직업분류체계(1992년, 1999년)를 비교·연계하여 직업구성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1990∼2000년간의 직업구조의 변화를 정보화의 추세와 연관시켜 검

토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센서스 자료로 분석가능한 수준에서 정보산업 및 관련

직종의 성장을 중심으로 한 직업구조의 변화를 검토해 보았다. 이를 위해 구분류체

계에 따라 전문·기술직, 행정·관리직, 사무직, 판매직, 서비스직, 농·임·수산

직, 그리고 생산직 등으로 직업을 재구성하 다. 2000년에 적용된 새로운 분류 방식

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재 가용한 자료로는 연도간 비교기준을 일관되게 확

보할 수 없어 이전의 방식을 따른 것이다. 한국의 직업구조에서 주요 정보직업군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의 10%미만에서 2000년에는 약 18%정도로 증가하 다. 이

는 1991년의 미국에 비하여는 낮은 편이지만, 1990년대에 들어와서 한국의 정보직

업군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성 변화를 보여주는 다른 지표로서 정보직업군의 공간적 분

포를 분석하 다. 정보직업군의 전반적인 분포와 변화의 특성들이 지역적으로 어떻

게 나타나는지를 지도 그래프를 이용하여 분석하 다. 일반적으로 직업의 구성이나

구조에 대한 분석은 통계표나 간단한 그래프를 통해 이루질 수 있으나 지역별 직업

분포를 효과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 지도를 활용하 다. 지금까지 직업의 공간적

(spatial) 분포에 대한 분석은 시·도 단위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한 직업의 지역적

(regional) 분포에 대한 분석이었다. 이러한 분석은 직업의 지역별 분포에 대한 전반

적인 특성을 밝히는데는 문제가 없지만, 각 지역 내부의 직업분포의 다양성을 밝혀

주지는 못한다. 직업의 분포와 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산업화, 도시화, 정보화

와 같은 사회변동의 일반적인 추세는 한 지역 내부에서도 불균등하게 전개될 수 있

다. 그에 따른 직업 분포의 다양성은 시·도 단위 분석에서는 쉽게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본 장에서는 시·군·구 단위 분석도 추가적으로 시도하 다.

현대사회에서 직업에 따른 공식적인 차별은 없다. 그러나 직업에 따라 제반 사회

Page 14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50

적 보상이 다르기 때문에, 직업을 이용한 계층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제6

장에서는 직업구조 분석을 통해 한국사회 계층구조의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960년 이후 한국사회 계급구성변화에서 계급구성상 가장 큰 변화를 보인 것은 독

립자 농계급과농촌하류계급이다. 독립자 농계급은 1960년 40.0%에서 2000년 9.8%

로 그 비중이 크게 감소하 으며, 농촌하류계급 역시 1960년 24.0%에서 2000년 1.7%

로 계급 구성상의 비중이 감소하 다. 반면 신중간계급, 구중간계급, 근로계급은 독

립자 농계급이나 농촌하류계급과는 반대로 그 동안 규모가 매우 커졌다. 2000년

현재 이들 세 계급은 전체 계급 구성의 약 3/4으로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외에도 연령 및 학력수준에 따른 계급별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계급분류에 활용

되었던 직업분류가 계급분류와 어느 정도 상관을 가지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 다.

특히 정보통신직업분류에 따른 계급분포를 살펴본 결과, 지식 집약적이고 전문적인

분야에 해당하는 직업의 특성상 정보통신직업은 대체로 상위계급에 위치하고 있음

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특정직업과 계급분포와의 상관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제 2절 결론 및 정책적 제언

한 사회의 직업구조는 시대에 따라 변하며 사회변동의 양상을 잘 보여준다는 점

에서 직업구조에 대한 분석은 직업 자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사회변동에 따른

고용불안이나 계층불평등과 같은 사회적 문제에 대한 단서를 제공해 주기도 한다.

이러한 직업구조의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들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의 결과이자 시

간적으로 장기간에 걸쳐 나타난다. 따라서 사회변동의 여러 추세에 따른 직업구조

의 변화에서 정보화에 의한 변화를 쉽게 분석해 내기란 쉽지 않은 작업이다. 그럼

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1990년대 중반이후에 가속화된 우리 사회의 지식정보화

의 결과에 대한 거시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해 보았다. 본 연구의 전제는

1990년대 중반이후 한국 사회변동의 가장 핵심적인 동인이 정보화라는 것이다. 그

러한 전제하에서 정보화의 효과가 직업구조에 반 된 결과를 여러 가지 지표를 통

Page 15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7장 결 론 151

해 분석하여 보았다.

지금까지 한국사회에서 직업구성의 변화 추세를 보면 생산직 비중이 1990년까지

크게 증가하다가 1990년대 이후 다시 그 비중이 감소하고 있다. 사무직과 판매직의

경우도 1990년까지는 꾸준한 성장세를 보 으나 1990년 이후 그 성장세가 다소 주

춤하고 있다. 지식정보사회에서 핵심적인 직업이라 할 수 있는 전문직과 관리직은

꾸준히 증가하여왔고 특히 1990년대 이후 상대적으로 증가의 속도가 더 높아지고

있다. 생산직과 사무직이 1990년 이후 직업구성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고 있

는 것은 값싼 정보기술의 도입이 단순노동을 대체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

다. 이러한 직업구성의 변화는 생산과 사무 역 등에서의 컴퓨터화가 노동의 대체

및 고숙련 노동에 대한 편향적 수요 증대로 일자리 소멸을 가속화하 지만, 동시에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의 확산을 통해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보기술의 확산은 향후에도 이러한 일자리 소멸과 창출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으

로 전망된다. 특히 전문직, 판매직, 서비스직의 계속적인 성장은 고부가가치 상품의

창출을 지향하는 한국 사회의 발전상을 가늠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직업구성의 변화는 몇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 유형

은 산업화 및 도시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으며 앞으로도 그 감소의 폭은

줄어든다 하더라도 더 감소하게 되리라고 전망되는 직업군이다. 이 유형에는 농업,

임업, 수산업 종사자가 포함된다. 두 번째 유형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

는 직업군으로 전문직·기술직 및 관리직 종사자와 서비스직 종사자가 이에 해당

된다. 세 번째 유형은 다소의 증감은 있으나 큰 흐름에서는 변화하지 않고 정체된

형태를 보여줄 직업군으로서, 사무직 및 판매직 종사자가 이 유형에 속한다. 마지막

유형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앞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직업군으로 생산직

종사자가 여기에 해당된다.

지식정보화라는 사회변동의 추세는 지식 또는 정보의 생산과 유통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직업뿐만 아니라 다른 직업 내부의 구성, 공간적 분포, 계층적 분포 등도 상

당히 변화시켜 왔다. 직업별로 종사상 지위에 따른 구성의 변화를 보면 산업화의

Page 15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52

진전에 따라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었던 자 업주의 비율이 1995년 이후 다시 증가

하고 있다. 전문직, 관리직, 판매직, 생산직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변화는 정보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한 소규모 가내사업(SOHO)의 성장과 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업의 공간적 분포를 보면 전문직과 관리직은 대도시 또는 신도시의 일부

지역으로 집중되는 경향이 있고, 도시 내부에서도 전문직 및 관리직과 생산직 간의

분절(segregation)이 나타나고 있다. 지식정보화는 계층구조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

고 있지는 않지만 중상계급, 신중간 계급, 구중간 계급의 전반적 증가와 근로계급의

전반적 감소에 다소 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컴퓨터나 전기, 전자 공학 전문가

의 증가는 중상계급의 확대를 가져왔고, 정보기술 관련 준전문가나 관리자의 경우

는 중간계급의 크기를 증대시켰다. 전자장비 정비 종사자나 조립 종사자의 증가는

근로계급의 규모를 확대시켜 왔다.

이러한 직업구성의 변화가 던져주는 사회정책적인 시사점을 몇 가지로 정리해 보

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기술과 관련된 직업의 변화되는 위상에 대한 적절한 사회적 보상이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국사회에서는 전통적으로 기술직에 대한 사회적 보상이 낮

은 편이었으나, 지식정보화에 따라 정보통신 관련 기술직의 사회적 위상이 커졌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사회적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장기적

인 대응이 없다면 현재 우리 사회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정보통신 분야의 전반적인

인력 과잉 속의 핵심적 IT인력의 부족이라는 딜레마는 해결되지 못할 것이다.

둘째, 컴퓨터와 통신망을 바탕으로 한 소규모의 자 사업 및 재택근무에 대한 정

책적인 대비가 요구된다. 이러한 형태의 사업이나 근로형태는 현재로서는 그 규모

도 미미하고 구체적인 형태도 잘 드러나고 있지 않지만, 앞으로 지식정보화의 진전

에 따라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 사회에서 자 업의 경우 비공식

부문에 속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전체적인 규모가 커질 경우 공식 부문으로 흡수하

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재택근무의 경우 정보화 초기에 그 가능성만 논

의되었으나 이제는 구체적인 근무형태로 수용할 수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이에 대

Page 15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제 7장 결 론 153

한 정책적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직업의 공간적 분절 및 계층적 양극화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요구된다. 공

간적 분절이나 양극화는 산업사회의 전형적인 결과로서 지식정보화에 따라 급속히

반전될 것으로 보이지는 않지만, 정보기술의 사회경제적인 활용에 대한 적절한 정

책적 대응이 이루어진다면 공간적 분절이나 계층적 양극화는 완화될 수 있을 것이

다. 발전된 통신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써 대도시 중심의 집중구조를 분산시키

는 지역개발 정책이 구현될 필요가 있으며, 정보기술 숙련 훈련 강화 등을 통해 근

로계급이나 하류계급을 중간계급화 시키는 정책도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Page 15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54

참 고 문 헌

<단행본>

강순희. 2002. “표준직업분류표를 위한 지식정보직업군 판별”, 연구세미나 발표 자료.

강순희·이병희·전병유·정진호·최강식·최경수. 2000, 지식경제와 인력수요

전망 . 한국노동연구원.

권남훈·이인찬·강순희·김성현·전병유·금재호·김종일·최강식·이상오.

2001, 정보통신 인력의 특성, 수급실태 및 전망 . 정보통신정책연구원.

김 모. 1979. “한국사회의 직업구조와 그 변동에 관한 연구”. 중대논문집 23집:

313∼335.

______. 1982. 한국사회계층연구 . 일조각.

김필동·김병조. 1995. “해방후 한국사회의 발전과 사회조직의 변화”. 광복50주년

기념논문집 4권(사회 편), pp.265∼329.

______. 1982. “여성노동시장의문제점과 남녀별 임금격차분석”, 한국개발연구

4(2). 59∼87.

박세일. 1985. “한국의 임금격차,”배무기 편. 한국의 임금 . 20∼41.

박훤구·박세일. 1984. 한국의 임금구조 . 한국개발연구원.

배무기. 1985. “한국의 임금수준,”배무기 편. 한국의 임금 . 42∼66.

산업연구원. 1998. 지식기반산업의 발전방안 . 산업연구원.

서관모. 1987. “한국사회계급구성의 연구”.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

원 사회학과.

윤혜란. 1988 학력이 직업기회와 소득에 미치는 향에 대한 연구 , 미간행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 건. 1997. “경제활동인구와 고용의 변화”. 홍두승 (편), 한국사회 50년: 사회변동

Page 15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참고문헌 155

과 재구조화 . 서울대학교 출판부.

전병유. 2002. “정보통신기술과 노동시장”. 연구세미나 발표 자료.

정보통신부·한국노동연구원. 1999. 정보통신분야의 직업분류에 관한 연구 . 정보

통신부·한국노동연구원

통계청. 2001. “정보통신 직업 분류”. 통계청

한국전산원. 1997. 국가지리정보체계(NGIS) 정책의 효율적 추진방안 연구 . 서울:

한국전산원.

한국지방행정연구소(편). 1998. 지방행정구역연감 . 한국도시행정연구소.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9. 지식·정보화에 따른 직종변화 .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국행정구역총람편찬회(편). 1998. 한국행정구역총람 . 한국행정구역총람편찬회.

홍두승. 1983a. “한국사회 계층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서울대학교 사회학연구회

(편), 한국사회의 전통과 변화 . 범문사, pp.169∼213.

______. 1983b. “직업분석을 통한 계층연구: <한국표준직업분류>를 중심으로”. 사

회과학과 정책연구 5(3): 69∼87.

______. 1983c. “직업 및 계층구조의 변화와 전망”. 한국사회학회 (편), 한국사회 어

디로 가고 있나 . 현대사회연구소, pp.65∼84.

______. 1988. “직업과 계급: 집락분석을 통한 계급분류”. 한국사회학 22 (겨울호):

23∼45.

______. 1991. “계층의 공간적 분화, 1975∼1985: 서울시의 경우.”서울대학교 사회

학 연구회 편, 사회계층: 이론과 실제 , 다산출판사, pp.567∼583.

______. 1992. “분배적 정의와 형평의식”. 황일청 (편),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형평 .

나남, pp.141∼170.

______. 1997. “사회발전과 직업구조의 변화”. 홍두승 (편), 한국사회 50년: 사회변

동과 재구조화 . 서울대학교 출판부.

홍두승·김미희. 1988. “도시중산층의 생활양식: 주거생활을 중심으로.” 성곡논총

19: 485∼533.

Page 15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56

홍두승·김병조·조동기. 1999. 한국의 직업구조 , 서울대학교 출판부

홍두승·안치민. 1995. “해방 50년 한국사회의 계층구조와 그 변화”. 광복50주년 기

념논문집 4권 (사회 편), pp.65∼96.

홍두승·이동원(편). 1993. 집합주거와 사회환경: 소형 아파트단지 과 의 사회적

함의 . 서울대학교출판부.

AP(Associated Press). 1993. “Too Few Farmers Left To Count, Agency Says,”The New

York Times (October 10): 19.

Abbott, Andrew. 1988. The System of Professions: An Essay on the Division of Expert

Labor.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Abercrombie, N., and J. Urry. 1983. Capital, Labour and the Middle Classes. London:

George Allen & Unwin.

Acker, J. 1973. “Woman and Social Stratification.”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78:

936∼945.

Bell, Daniel. 1977. The Coming of Post Industrial Society. New York: Basic Books.

Blau, P., and Duncan, O. D. 1967. The American Occupational Structure. New York:

John Wiley.

Bourdieu, P. 1990. 구별짓기: 문화와 취향의 사회학(상), (하) . 최종철(역), 새물결.

Braddock, Douglas. 1995. “What is a Technician?.”Occupational Outlook Quarterly.

(Spring): 38∼44.

Braverman, Harry. 1974. Labor and Monopoly Capitalism.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

Burgess, Ernest W. [1925] 1967. “The Growth of the City: An Introduction to a

Research Project.”In Robert E. Park et al. The C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p.47∼62.

Castells, M., and Y. Aoyama. 1994. “Paths towards the Informational Society: Employ-

ment Structure in G-7 Countries, 1920∼90.”International Labor Review 133: (1):.

Page 15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참고문헌 157

Castells, Manuel. 1996.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Cambridge, MA: Blackwell.

Clausen, Sten-Erik. 1998. Appli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ntroduction. Thousand

Oaks, CA: Sage.

Crompton, Rosemary. 1993. Class and Stratification. Cambridge: Polity Press.

Davis, K., and W. E. Moore. 1945. “Some Principle of Stratification.”American Socio-

logical Review 10: 242∼249.

DeMers, Michael N. 1997. Fundamentals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Dordick, H. S., and G. Wang. 1993. The Information Society: A Retrospective View.

Newbury Park, CA: Sage.

Drudy, Sheelagh. 1991. “The Classification of Social Class in Sociological Research.”

British Journal of Sociology 40(1): 21∼41.

Duncan, Otis D., and Beverly Duncan. 1955. “Residential Distribution and Occupation

Stratification.”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60(March): 493∼503.

Freidson, Eliot. 1970. Professional Dominance: The Social Structure of Medical Care.

New York: Atherton.

Garson, David G. and Robert S. Biggs. 1992. Analytic Mapping and Geographic Data-

bases. Sage University Paper Series, 07-087. Newbury Park, CA: Sage.

Gilbert, Nigel. 1995. “Geographical Computing for Social Scientists” in Raymond

Lee(1995),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Social Scientist. London: UCL Press.

Goldthorpe, John. H., and K. Hope. 1983. “Woman and Class Analysis: in Defence of

the Conventional view.”Sociology 17(4): 465∼488.

______. 1974. The Social Grading of Occupations: A New Approach and Scale. Oxford:

Calrendon Press.

______(with Llewellyn, Catrina and Clive Payne). 1980. Social Mobility and Class Struc-

ture in Modern Britain. Oxford: Calrendon Press.

Page 15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58

Greenacre, Michael J. 1993. Correspondence Analysis in Practice. London: Academic

Press.

Hall, Peter. 1988. “Regions in the Transition to the Information Economy.”Pp. in Ame-

rica’s New Market Geography, edited by G. Sternlieb et al. New Brunswick, NJ: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Hall, Richard. 1994. Sociology of Work. Thousand Oaks, CA: Pine Forge Press.

Haug, Marie R. 1977. “Measurement in Social Stratification.”Annual Review of Soci-

ology 3: 51∼77.

Henry, Gary H. 1995. Graphing Data: Techniques for Display and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Hodson, R., and T. A. Sullivan. 1996. The Social Organization of Work. 2nd. New York:

Wadswrth Publishing.

Hutchinson, Scott, and Larry Daniel. 1997. Inside ArcView GIS (2nd ed). Santa Fe, NM:

OnWord Press.

Hyman R., and R. Price, eds. 1983. The New Working Class? White-collar Workers and

Their Organizations. London: Macmillan Press.

Koo, Hagen. 1982. “A Preliminary Approach to Contemporary Korean Class Structure.”

pp.45∼66 in Society Transition: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edited by

Yunshik Chang, et al.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Larson, Magali S. 1977. The Rise of Professionalism: A Sociological Analysi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ee, F. and H. Has. 1996. “A Quantitative Assessment of High-Knowledge Industries

versus Low-Knowledge Industries,”in P. Howitt(ed.), The Implications of Knowledge-

Based Growth for Macro-Economic Policy, The Industry Canada Research Series,

Calgary, The University of Calgary Press.

Lee, Raymond M(ed). 1995. Information Technology for the Social Scientist. London:

Page 15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참고문헌 159

UCL Press.

Lipset, Seymour M., and Reinhard Bendix. 1959. Social Mobility in Industrial Socie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Lyon, David. 1988. The Information Society: Issues and Illusions. Cambridge, MA: Polity

Press.

Macdonald, Keith M. 1995. The Sociology of the Professions. Thousand Oaks, CA: Sage.

Machlup, F. 1962.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e United Stat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Marsh, Catherine. 1986. “Social Class and Occupation.”pp.123∼159 in Key Variables

in Social Investigation, edited by Robert G. Burges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Martin, David. 1996.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Socioeconomic Applications (2nd

ed). New York, NY: Routledge.

Massey, Douglas S. 1990. “American Apartheid: Segregation and the Making of the

Underclass.”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6(September): 329∼357.

Morrison, A. M., and M. A. Von Glinow. 1990. “Women and Monorities in Manage-

ment.”American Psychologist 45: 200∼208.

OECD. 1981. Information Activities,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ies.

Paris: OECD.

_____. 1996. Employment and Growth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OECD.

_____. 1997.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coreboard of Indicators. OECD.

_____. 1998. Data on Skills: Employment by Industry and Occupation, STI Working

Papers. OECD.

_____. 1998. Technology, Productivity, and Job Creation: Best Policy Practices. OECD.

Parkin. F. 1972. Class Inequality and Political Order. London: Paradin.

Parsons. T. 1940. “An Analytical Approach to the Theory of Social Stratification.”

Page 15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60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45: 841∼862.

Payne, Geoff. 1987. Employment and Opportunity. London: MacMillan Press.

Penn, Roger, and H. Scattergood. 1985. “Deskilling or Enskilling? An Empirical Investi-

gation of Recent Theories of the Labor Process.”British Journal of Sociology 36:

611∼630.

Porat, M. U., and M. Rubin. 1977. The Information Economy. Washington, DC: Gover-

nment Printing Office.

Poulanzas, N. 1978. Classes in Contemporary Capitalism. London: Verso.

Raelin, Joseph A. 1986. The Clash of Cultures: Managers Managing Professionals.

Boston: Harvard Business School Press.

Rothman, Robert A. 1997. Working: Sociological Perspectives.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Hall.

Routh, Guy. 1987. Occupations of the People of Great Britain, 1801∼1981. London:

MacMillan Press.

Singelman, Joachim. 1978. The Transformation of Industry: From Agriculture to Service

Employment. Beverly Hills, CA: Sage.

Vanneman, Reeve D. 1980. “U. S. and British Perceptions of Class.”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85(January): 177∼214.

Wallgren, Anders, Britt Wallgren, Rolf Persson, Ulf Jorner, and Jan-Aage Haaland. 1996.

Graphing Statistics and Data: Creating Better Charts. Thousand Oaks, CA: Sage.

Wieczorek, Jaroslaw. 1995. “Sectoral Trends in World Employment and the Shift Toward

Services.”International Labour Review 134(2): 205∼226.

Williams, F., ed. 1988. Measuring the Information Society. Beverly Hills, CA: Sage.

Wright, Eric O. 1978. Class, Crisis and the State. New Left Review.

______, 1980. “Class and Occupation.”Theory and Society 9: 177∼214.

______, 1985. Classes. London: Verso.

Page 16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참고문헌 161

Wright, 1989. “Woman in the class Structure.”Politics & Society 17(1): 35∼66.

大橋隆憲. 1971. 日本の 階級構成 . 東京: 岩波書店.

<통계자료>

경제기획원 조사통계국. 1963. 한국표준직업분류 .

. 1966. 한국표준직업분류 .

. 1970. 한국표준직업분류, 1970 .

. 1974. 한국표준직업분류, 1974 .

내무부. 1960. 단기 4293년도 국세조사용 직업분류 .

노동부. 직종별임금실태조사 .

______. 1995. 한국직업사전 , 제2판, 중앙고용정보관리소.

______. 직종별 임금실태조사보고서 . 각년도.

______. 임금구조 기본통계조사보고서 . 각년도.

통계청. 1955∼2000. 인구및주택총조사 결과보고서 .

______. 1986. 경제활동인구연보 .

______. 1992. 한국표준직업분류, 1992 .

______. 1995. 통계로 본 한국의 발자취 .

______. 1997. 1995 인구주택총조사: 한국표준직업분류 . 미간행 자료.

______. 2000. 한국표준직업분류, 2000 .

總務廳 統計局, 1996. 平成7年國勢調査抽出速報集計結果 .

General Register Office for Scotland. 1994. 1991 Census:Economic Activity. Vol. 2 of 2.

London: HMSO.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ILO). 1990.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ISCO-88.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______. 1996. Yearbook of Labour Statistics, 1996. Geneva: ILO.

Page 16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62

Jacobs, Eva E., ed. 1997. Handbook of U.S. Labor Statistics: Employment, Earnings,

Prices, Productivity, and Other Labor Data, 1st edition. Lanham, MD: Bernan

Press.

Office of Population Censuses and Surveys(OPCS), Great Britain. 1980.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and Coding Index. London: HMSO.

______. 1994. 1991 Census: Economic Activity. Vol. 2 of 2. London: HMSO.

Statistics Canada. 1995. 1991 Census Technical Reports: Occupation According to the

1991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Cat. No. 92-344E. Ottawa.

U.S. Department of Commerce, Bureau of the Census. 1993. 1990 Census of Population: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U.S. Department of Labor, Bureau of Labor Statistics. 1989. Handbook of Labor Sta-

tistics, August.

Page 16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부 록 163

<부록 1>

직업분포(소분류), 2000

직업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종사자수 구성 비 성 비

(N) (%) 남성 여성

전 체 351874 100.0 62.3 37.7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18908 5.2 92.4 7.6

의회의원 및 고위임원 108 100.0 97.2 2.8

의회의원 45 41.7 97.8 2.2

고위정부공무원, 의회의원 제외 24 22.2 100.0 0.0

특수이익단체 고위임원 39 36.1 94.9 5.1

행정 및 경 관리자 5623 100.0 94.4 5.6

기업 고위 임원 297 5.3 96.0 4.0

정부 행정부서 관리자 98 1.7 98.0 2.0

생산 및 운 부서 관리자 3339 59.4 94.7 5.3

기타 부서 관리자 1889 33.6 93.4 6.6

일반관리자 13177 100.0 91.5 8.5

일반관리자 13177 100.0 91.5 8.5

전문가 18433 9.1 56.1 43.9

과학 전문가 303 100.0 81.2 18.8

자연과학 전문가 76 25.1 93.4 6.6

생명과학 전문가 170 56.1 78.8 21.2

사회과학 전문가 57 18.8 71.9 28.1

컴퓨터 관련 전문가 3018 100.0 77.9 22.1

컴퓨터 관련 전문가 3018 100.0 77.9 22.1

공학 전문가 4616 100.0 51.5 48.5

건축 및 토목공학 전문가 1870 40.5 94.7 5.3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전문가 1985 43.0 96.0 4.0

화학 및 금속공학 전문가 436 9.4 88.5 11.5

측량 전문가 112 2.4 94.6 5.4

기타 공학 전문가 213 4.6 86.4 13.6

(계속)

Page 16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64

직업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종사자수 구성 비 성 비

(N) (%) 남성 여성

전 체 351874 100.0 62.3 37.7

보건의료 전문가 5160 100.0 34.7 65.3

의료진료 전문가, 간호 제외 1677 32.5 80.6 19.4

약사 667 12.9 45.0 55.0

간호 및 조산 전문가 2313 44.8 1.3 98.7

치료 전문가 246 4.8 40.7 59.3

양 전문가 257 5.0 2.3 97.7

교육 전문가 13652 100.0 39.8 60.2

대학 교수 1559 11.4 72.8 27.2

중등학교 교사 3747 27.4 56.4 43.6

초등학교 교사 2691 19.7 29.7 70.3

유치원 교사 1612 11.8 2.9 97.1

특수학교 교사 108 0.8 31.5 68.5

정규학교 이외 교육기관 전문가 3778 27.7 32.0 68.0

기타 교육 전문가 157 1.2 59.9 40.1

행정, 경 및 재정 전문가 1078 100.0 88.0 12.0

행정 전문가 297 27.6 89.9 10.1

회계 관련 전문가 266 24.7 88.3 11.7

인사 및 노사관계 전문가 42 3.9 92.9 7.1

금융·보험 전문가 229 21.2 87.3 12.7

사업서비스 관련 전문가 244 22.6 85.2 14.8

법률, 사회서비스 및 종교 전문가 1667 100.0 87.3 12.7

법률 전문가 284 17.0 89.4 10.6

사회서비스 전문가 91 5.5 42.9 57.1

종교 전문가 1292 77.5 89.9 10.1

문화, 예술 및 방송관련 전문가 3353 100.0 55.4 44.6

기록 보관원, 사서 및 관련 전문가 108 3.2 49.1 50.9

작가 및 관련 전문가 912 27.2 53.7 46.3

창작 및 공연예술가 2056 61.3 54.0 46.0

화, 연극 및 방송관련 전문가 277 8.3 74.0 26.0

기술공 및 준전문가 27718 7.7 72.1 27.9

과학 관련 기술종사자 187 100.0 79.7 20.3

자연과학 관련 기술종사자 59 31.6 83.1 16.9

생명과학 관련 기술종사자 124 66.3 78.2 21.8

사회과학 관련 종사자 4 2.1 75.0 25.0

(계속)

Page 16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부 록 165

직업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종사자수 구성 비 성 비

(N) (%) 남성 여성

전 체 351874 100.0 62.3 37.7

컴퓨터 관련 준전문가 1118 100.0 71.9 28.1

컴퓨터 관련 준전문가 1118 100.0 71.9 28.1

공학 관련 기술종사자 6985 100.0 85.2 14.8

건축 및 토목공학 기술종사자 1075 15.4 95.4 4.6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기술종사자 1342 19.2 94.6 5.4

화학 및 금속공학 기술종사자 293 4.2 89.4 10.6

제도 기술종사자, 캐드 포함 529 7.6 84.9 15.1

광학 및 전자장비 기술종사자 931 13.3 76.0 24.0

선박·항공기 조종사 및 기술종사자 381 5.5 99.0 1.0

안전 및 품질검사 종사자 2384 34.1 76.0 24.0

기타 공학관련 기술종사자 50 0.7 90.0 10.0

보건의료 준전문가 1207 100.0 26.7 73.3

의료 진료 준전문가 771 63.9 10.8 89.2

의료 기술종사자 382 31.6 52.9 47.1

안마사 및 전통의료 치료사 54 4.5 68.5 31.5

교육 준전문가 4180 100.0 28.0 72.0

대학 교육조교 및 초·중등학교 보조교사 485 11.6 36.3 63.7

정규교육 이외 교육준전문가 3347 80.1 22.8 77.2

기타 교육 준전문가 348 8.3 66.4 33.6

경 및 재정 준전문가 8788 100.0 85.2 14.8

금융·보험 준전문가 1046 11.9 80.9 19.1

판매 준전문가 6091 69.3 86.8 13.2

상품중개 및 사업서비스 대리 종사자 1651 18.8 81.8 18.2

사회 서비스 및 종교 준전문가 748 100.0 42.4 57.6

사회 서비스 준전문가 163 21.8 34.4 65.6

종교 준전문가 585 78.2 44.6 55.4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 961 100.0 78.4 21.6

예술 및 연예관련 준전문가 212 22.1 68.9 31.1

운동, 경기 및 체력 관련 준전문가 732 76.2 81.4 18.6

기타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 17 1.8 64.7 35.3

기타 준전문가 3544 100.0 85.6 14.4

관리 준전문가 1996 56.3 91.6 8.4

법률, 의료 및 관련사업 준전문가 665 18.8 79.8 20.2

관세, 조세 및 관련 정부 준전문가 883 24.9 76.3 23.7

(계속)

Page 16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66

직업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종사자수 구성 비 성 비

(N) (%) 남성 여성

전 체 351874 100.0 62.3 37.7

사무 종사자 27146 13.5 55.6 44.4

일반사무 관련 종사자 41145 100.0 59.6 40.4

일반사무 종사자 6912 16.8 76.1 23.9

기획 및 홍보사무 종사자 2659 6.5 77.9 22.1

정부행정 사무 종사자 2124 5.2 73.7 26.3

판매 관련 사무 종사자 3870 9.4 79.9 20.1

계수 사무 종사자 11921 29.0 32.6 67.4

자재, 생산 및 운송관련 사무 종사자 6202 15.1 87.3 12.7

사무 지원 종사자 6733 16.4 42.1 57.9

도서, 우편 및 관련 사무 종사자 724 1.8 53.2 46.8

고객서비스 사무 종사자 7676 100.0 34.4 65.6

대금수납 및 금전출납 사무 종사자 4905 63.9 35.1 64.9

안내 및 접수 사무 종사자 1379 18.0 30.3 69.7

고객관련 사무 종사자 1392 18.1 36.1 63.9

서비스 종사자 34627 9.6 36.7 63.3

대인서비스 관련 종사자 8667 100.0 39.1 60.9

개인보호 및 관련 종사자 706 8.1 9.1 90.9

이·미용 및 관련 서비스 종사자 3652 42.1 23.6 76.4

시중 서비스 종사자 591 6.8 46.7 53.3

장의 및 관련 서비스 종사자 48 0.6 89.6 10.4

오락 및 여가 서비스 종사자 3251 37.5 62.0 38.0

기타 대인 서비스 관련 종사자 419 4.8 30.1 69.9

조리 및 음식서비스 종사자 22828 100.0 28.5 71.5

음식조리 종사자 13577 59.5 26.7 73.3

음식서비스 관련 종사자 9251 40.5 31.2 68.8

여행 및 운송 관련 종사자 396 100.0 49.7 50.3

운송수행 종사자 216 54.5 55.6 44.4

여행 안내 종사자 180 45.5 42.8 57.2

보안서비스 종사자 2736 100.0 95.9 4.1

경찰 종사자 1708 62.4 96.5 3.5

소방 및 응급구조 종사자 387 14.1 95.9 4.1

교도 및 보도 종사자 172 6.3 93.0 7.0

기타 보안 서비스 종사자 469 17.1 94.9 5.1

(계속)

Page 16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부 록 167

직업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종사자수 구성 비 성 비

(N) (%) 남성 여성

전 체 351874 100.0 62.3 37.7

판매 종사자 22509 12.5 49.9 50.1

도소매 판매 종사자 44569 100.0 50.0 50.0

도매 판매 종사자 6711 15.1 79.5 20.5

소매업체 판매 종사자 30036 67.4 49.0 51.0

소매 방문판매 및 이동판매 종사자 7822 17.6 28.7 71.3

통신 판매 종사자 353 100.0 45.9 54.1

전화통신 판매 종사자 192 54.4 32.3 67.7

통신 서비스 및 통신 재판매 종사자 161 45.6 62.1 37.9

모델 및 홍보 종사자 202 100.0 27.7 72.3

모델 및 홍보 종사자 202 100.0 27.7 72.3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48918 13.5 52.1 47.9

농업 숙련 종사자 46708 100.0 51.1 48.9

전답작물 재배 종사자 38325 82.1 50.0 50.0

과수작물 재배 종사자 3712 7.9 50.9 49.1

정원사, 육묘 및 버섯 재배 종사자 639 1.4 70.4 29.6

복합 및 시설작물 재배 종사자 2116 4.5 51.7 48.3

동물사육 및 관련 종사자 1908 4.1 67.0 33.0

작물 및 동물 복합 생산자 8 0.0 50.0 50.0

임업 숙련 종사자 129 100.0 83.7 16.3

임업 숙련 종사자 129 100.0 83.7 16.3

어업 숙련 종사자 2081 100.0 70.8 29.2

어업 숙련 종사자 2081 100.0 70.8 29.2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37221 10.3 80.6 19.4

추출 및 건설 기능 종사자 10351 100.0 95.8 4.2

광원, 발파원, 석재 절단 및 조각 종사자 303 2.9 96.4 3.6

건물 골조 및 관련 기능 종사자 4218 40.7 97.9 2.1

건물 완성 및 관련 기능 종사자 4401 42.5 97.7 2.3

건물도장, 청결 및 관련 기능 종사자 1429 13.8 83.3 16.7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 종사자 4561 100.0 94.1 5.9

금속주형, 용접 및 관련 기능 종사자 3946 86.5 95.3 4.7

대장원, 공구제조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615 13.4 86.7 13.3

(계속)

Page 16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68

직업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종사자수 구성 비 성 비

(N) (%) 남성 여성

전 체 351874 100.0 62.3 37.7

기계 설치 및 정비 기능 종사자 9581 100.0 96.7 3.3

운송기계 정비 종사자 3221 33.6 96.8 3.2

농·공업용 기계설치 및 정비 종사자 1530 16.0 97.6 2.4

전기, 전자장비 설비 및 정비 종사자 4830 50.4 96.3 3.7

정 기구, 세공 및 수공예 기능 종사자 3113 100.0 74.3 25.7

금속 및 관련재료 세공 종사자 706 22.7 71.2 28.8

도공, 유리가공 및 관련 기능 종사자 928 29.8 82.0 18.0

목재, 섬유, 가죽 및 관련재료 수공예 종사자 523 16.8 52.8 47.2

인쇄 및 관련 기능 종사자 956 30.7 80.8 19.2

기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9615 100.0 44.0 56.0

식품가공 및 관련 기능 종사자 1812 18.8 50.7 49.3

목재처리, 가구제조 및 관련 기능 종사자 904 9.4 80.9 19.1

섬유, 의복제조 및 관련 기능 종사자 6314 65.7 34.8 65.2

펠트, 가죽신발제조관련 기능 종사자 585 6.1 65.5 34.5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39034 10.8 83.3 16.7

고정기계장치 및 시스템 조작 종사자 3045 100.0 92.9 7.1

채광 및 광물가공장치 조작 종사자 72 2.4 93.1 6.9

금속 가공장치 조작 종사자 851 27.9 94.8 5.2

유리가공장치, 도기로 및 관련장치조작종사자 170 5.6 81.2 18.8

목재가공 및 제지장치 조작 종사자 300 9.9 88.7 11.3

화학물 가공장치 조작 종사자 547 18.0 93.8 6.2

동력생산 및 관련장치 조작 종사자 840 27.6 98.2 1.8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작 종사자 265 8.7 80.0 20.0

기계 조작원 및 관련 종사자 10639 100.0 70.5 29.5

금속 및 광물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2158 20.3 89.7 10.3

화학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1052 9.9 78.5 21.5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1108 10.4 79.2 20.8

나무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78 0.7 83.3 16.7

인쇄, 제책 및 종이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959 9.0 83.0 17.0

섬유, 의복 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2982 28.0 52.6 47.4

식품 및 관련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1041 9.8 59.0 41.0

기호식품 및 음료 제조기계 조작 종사자 203 1.9 67.5 32.5

기타기계 조작 종사자 1058 9.9 64.5 35.5

(계속)

Page 16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부 록 169

직업분류(대분류, 중분류, 소분류)종사자수 구성 비 성 비

(N) (%) 남성 여성

전 체 351874 100.0 62.3 37.7

조립 종사자 7838 100.0 61.7 38.3

일반기계 조립 종사자 3288 41.9 82.0 18.0

전기 및 전자장비 조립 종사자 3702 47.2 44.2 55.8

금속, 목재 및 기타 제품 조립 종사자 848 10.8 59.4 40.6

운전원 및 관련 종사자 17512 100.0 99.0 1.0

철도 기관사 및 관련 종사자 223 1.3 98.7 1.3

자동차 운전 종사자 14871 84.9 99.0 1.0

건설 및 기타 이동장치 운전 종사자 2316 13.2 99.1 0.9

선박갑판 승무원 및 관련 종사자 102 0.6 98.0 2.0

단순노무 종사자 27222 7.5 65.1 34.9

서비스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15689 100.0 63.8 36.2

가사 및 관련 보조원, 청소 및 세탁 종사자 5374 34.3 22.6 77.4

건물관리, 경비 및 관련 종사자 3973 25.3 96.4 3.6

배달, 운반 및 검침 관련 종사자 4268 27.2 84.6 15.4

환경미화 및 관련 종사자 1696 10.8 69.5 30.5

기타 서비스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378 2.4 48.7 51.3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1145 100.0 37.6 62.4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1145 100.0 37.6 62.4

제조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4254 100.0 35.8 64.2

제조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4254 100.0 35.8 64.2

광업, 건설 및 운송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6134 100.0 93.7 6.3

광업 및 건설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5514 89.9 93.6 6.4

운수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620 10.1 94.5 5.5

군인 1434 0.4 99.4 0.6

군인 1434 100.0 99.5 0.5

장교 663 46.2 99.5 0.5

기타 군인 771 53.8 99.4 0.6

Page 16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70

<부록 2>

신·구 및 구·신 분류 연계표*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0 의회의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1 1 입법공무원, 고위임직원

및 관리자

0

01 의회의원 및 고위임원 11 11 입법, 고위정부공무원 01

011 의회의원 111 111 입법공무원 011

012 고위정부공무원, 의회의원

제외

112 112 고위정부공무원, 입법

공무원 제외

012

013 특수이익단체 고위임원 114 113 전통적 촌장 -

02 행정 및 경 관리자 12 114 특수이익단체 고위임직원 013

021 기업 고위 임원 121 12 법인관리자 02

022 정부 행정부서 관리자 12291 121 기관장 및 최고경 자 021

023 생산 및 운 부서 관리자 122 122 생산부서 관리자 023

024 기타 부서 관리자 123 123 기타 부서 관리자 024

03 일반관리자 13 13 종합관리자 03

030 일반관리자 131 131 종합관리자 030

1 전문가 2 2 전문가 1

11 과학 전문가 21 21 물리, 수학 및 공학전문가 11,12,13

111 자연과학 전문가 211

212

211 물리학자, 화학자 및 관련

전문가

111

112 생명과학 전문가 221 212 수학자, 통계학자 및

관련 전문가

111

113 사회과학 전문가 244 213 컴퓨터 전문가 120

12 컴퓨터 관련 전문가 21 214 건축가, 기술자 및

관련 전문가

131

120 컴퓨터 관련 전문가 213 132

13 공학 전문가 21 133

131 건축 및 토목공학 전문가 214 134

132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전문가

214 135

* 통계청(2000)

Page 17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부 록 171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133 화학 및 금속공학 전문가 214 22 생명과학 및 보건전문가 14

134 측량 전문가 214 221 생명과학 전문가 112

135 기타 공학 전문가 214 222 보건 전문가(간호제외) 141

14 보건의료 전문가 22 142

141 의료진료 전문가, 간호 제외 222 223 간호 및 조산 전문가 143

142 약사 222 23 교육전문가 15

143 간호 및 조산 전문가 223 231 대학 및 고등교육 교수 151

323 232 중 고등학교 교사 152

144 치료 전문가 322 156

145 양 전문가 322 233 초등 및 학령전 교육교사 153

15 교육 전문가 23 154

151 대학 교수 231 234 특수학교 교사 155

152 중등학교 교사 232 235 달리분류되지않은

교육전문가

157

153 초등학교 교사 233

331

24 기타 전문가 16,17,18

154 유치원 교사 233

332

241 사업 전문가 162,163,

164,165

155 특수학교 교사 234

333

242 법률 전문가 171

156 정규학교 이외 교육기관

전문가

232 243 기록 보관원, 사서 및

관련 정보 전문가

181

157 기타 교육 전문가 235 244 사회과학 및 관련 전문가 113

16 행정, 경 및 재정 전문가 24 172

161 행정 전문가 343 245 작가와 창작 및 공연

예술가

182

162 회계 관련 전문가 241 183

163 인사 및 노사관계 전문가 241 184

164 금융·보험 전문가 241 246 종교전문가 173

165 사업서비스 관련 전문가 241

17 법률, 사회서비스 및 종교

전문가

24

171 법률 전문가 242

Page 171: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72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172 사회서비스 전문가 244

173 종교 전문가 246

18 문화, 예술 및 방송관련

전문가

24

181 기록 보관원, 사서 및 관련

전문가

243

182 작가 및 관련 전문가 245

183 창작 및 공연예술가 245

184 화, 연극 및 방송관련

전문가

245

2 기술공 및 준전문가 3 3 기술공 및 준전문가 2

21 과학관련 기술종사자 31 31 자연과학 및 공학기술공 21,22,23

211 자연과학 관련 기술종사자 311 311 자연과학 및 공학기술공 211,231,

232,233

212 생명과학 관련 기술종사자 321 234

213 사회과학 관련 종사자 312 컴퓨터 준전문가 220

22 컴퓨터관련 준전문가 31 313 광학 및 전자장비 조작원 235

220 컴퓨터관련 준전문가 312 314 선박 및 항공기 조종사

및 기술공

236

23 공학관련 기술종사자 31 315 안전 및 품질 검사원 237

231 건축 및 토목공학

기술종사자

311 32 생명과학 및 보건

준전문가

24

232 전기·전자 및 기계공학

기술종사자

311 321 생명과학 기술공 및

관련 준전문가

212

233 화학 및 금속공학 기술

종사자

311 322 현대보건 준전문가,

간호 제외

144,145,

241,242

234 제도 기술종사자, 캐드 포함 311 323 간호, 조산 준전문가 143

235 광학 및 전자장비

기술종사자

313 324 전통의료 개업의 및 신앙

치료사

243

236 선박·항공기 조종사 및 기

술종사자

314 33 교육 준전문가 25

237 안전 및 품질검사 종사자 315 331 초등교육 준교사 153

238 기타 공학관련 기술종사자 311 332 학령전교육 준교사 154

Page 172: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부 록 173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24 보건의료 준전문가 32 333 특수교육 준교사 155

241 의료 진료 준전문가 322 334 기타 교육 준전문가 251, 253

242 의료 기술종사자 322 34 기타 준전문가 26,27,

28,29

243 안마사 및 전통의료 치료사 324 341 금융, 판매 준전문가 261,262

25 교육 준전문가 33 342 사업서비스 대리인 및

상품중개인

263

251 대학 교육조교 및 초·중등

학교 보조교사

331 343 관리 준전문가 291

252 정규교육 이외 교육준전문가 334 292

253 기타 교육 준전문가 334 344 관세, 조세 및 관련 정부

준전문가

293

26 경 및 재정 준전문가 34 345 수사관 441

261 금융·보험 준전문가 341 346 사회사업 준전문가 271

262 판매 준전문가 341 347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

281,282,

283

263 상품중개 및 사업서비스

대리 종사자

342 348 종교 준전문가 272

27 사회 서비스 및 종교

준전문가

34

271 사회 서비스 준전문가 346

272 종교 준전문가 348

28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 34

281 예술 및 연예관련 준전문가 347

282 운동, 경기 및 체력 관련

준전문가

347

283 기타 예술, 연예 및 경기

준전문가

347

29 기타 준전문가 34

291 관리 준전문가 343

292 법률, 의료 및 관련사업

준전문가

343

293 관세, 조세 및 관련 정부

준전문가

344

Page 173: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74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3 사무 종사자 4 4 사무직원 3

31 일반사무 관련 종사자 41 41 일반 사무직원 31

311 일반사무 종사자 419 411 비서, 타자원 및 관련

사무원

317

312 기획 및 홍보사무 종사자 419 412 계수사무원 315

313 정부행정 사무 종사자 419 413 재료기록 및 운송 사무원 316

314 판매 관련 사무종사자 419 414 도서, 우편 및 관련

사무원

318

315 계수사무 종사자 412 419 기타 사무직원 311

316 자재, 생산 및 운송관련

사무 종사자

413 312

317 사무 지원 종사자 411 313

419 314

318 도서, 우편 및 관련 사무

종사자

414 42 고객봉사 사무직원 32

32 고객서비스 사무 종사자 42 421 대금수납원, 금전출납원

및 관련 사무원

321

321 대금수납 및 금전출납

사무 종사자

421 422 고객안내 사무원 322

322 안내 및 접수 사무 종사자 422 323

323 고객관련 사무 종사자 422

4 서비스 종사자 5 5 서비스근로자 및 상점과

시장 판매 근로자

4, 5

41 대인서비스 관련 종사자 51 51 대인 및 보호서비스

근로자

41, 42,

43, 44

411 개인보호 및 관련 종사자 513 511 여행접대요원 및 관련

근로자

431,432

412 이·미용 및 관련 서비스

종사자

514 512 가사 및 음식 서비스

근로자

421,422

413 시중 서비스 종사자 514 513 개인보호 및 관련 근로자 411

414 장의 및 관련 서비스 종사자 514 514 기타 대인서비스 근로자 412,413,

414,415,

416

Page 174: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부 록 175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415 오락 및 여가 서비스 종사자 514 515 점성가, 예언자 및 관련

근로자

416

416 기타 대인 서비스 관련

종사자

514 516 보안업무 근로자 441,442,

443,444

515 52 모델, 판매원 및 선전원 51, 52, 53

42 조리 및 음식서비스 종사자 51 521 패션 및 기타 모델 530

421 음식조리 종사자 512 522 상점판매원 및 선전원 511

422 음식서비스 관련 종사자 512 512

43 여행 및 운송 관련 종사자 51 523 매점 및 시장판매원 513

431 운송수행 종사자 511

432 여행 안내 종사자 511

44 보안서비스 종사자 51

441 경찰 종사자 516

345

442 소방 및 응급구조 종사자 516

443 교도 및 보도 종사자 516

444 기타 보안 서비스 종사자 516

5 판매 종사자 5

51 도소매 판매 종사자 52

511 도매 판매 종사자 522

512 소매업체 판매 종사자 522

513 소매 방문판매 및 이동

판매 종사자

523

911

52 통신 판매 종사자

521 전화통신 판매 종사자

522 통신 서비스 및 통신 재판매

종사자

53 모델 및 홍보 종사자 52

530 모델 및 홍보 종사자 521

6 농업, 임업 및 어업 숙련

종사자

6 6 농업 및 어업숙련근로자 6

61 농업 숙련 종사자 61 61 출하목적 농업 및 어업

숙련 근로자

61

Page 175: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76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611 전답작물 재배 종사자 611 62

612 과수작물 재배 종사자 611 611 출하용 채소 및

작물재배자

611

613 정원사, 육묘 및 버섯

재배 종사자

6113 612

614 복합 및 시설작물 재배

종사자

611 614

615 동물사육 및 관련 종사자 612 612 출하용 동물생산자 및

관련 근로자

615

616 작물 및 동물 복합생산자 613 613 출하용 작물 및 동물

복합생산자

616

62 임업 숙련 종사자 61 614 임업 및 관련 근로자 620

620 임업 숙련 종사자 614 615 어업근로자 및 수렵원 618

63 어업 숙련 종사자 62 630

630 어업 숙련 종사자 615 62 자급농업 및 어업근로자 63

621 자급농업 및 어업근로자 617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 7 기능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

71 추출 및 건설 기능 종사자 71 71 추출 및 건축 기능근로자 71

711 광원, 발파원, 석재 절단 및

조각 종사자

711 711 광원, 발파원, 석재

부설원 및 조각원

711

712 건물골조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12 712 건물골조 및 관련

기능근로자

712

713 건물 완성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13 713 건물 완성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13

714 건물도장, 청결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14 714 도장원, 건물구조 청결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14

72 금속, 기계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2 72 금속,기계 및 관련

기능근로자

72

721 금속주형, 용접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21 73

722 대장원, 공구제조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22 721 금속주형원, 용접원,

판금원, 구조금속준비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21

Page 176: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부 록 177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73 기계 설치 및 정비 기능

종사자

72 722 대장원, 공구제조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22

731 운송기계 정비 종사자 723 723 기계 정비원 및 설비원 731

732 농·공업용 기계설치 및

정비 종사자

723 732

733 전기, 전자장비 설비 및

정비 종사자

724 724 전기, 전자장비 정비원 및

설비원

733

74 정 기구, 세공 및 수공예

기능 종사자

73 73 정 ,수공예,인쇄 및 관련

기능근로자

74

741 금속 및 관련재료 세공

종사자

731 731 금속 및 관련재료 세공원 741

742 도공, 유리가공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32 732 도공, 유리가공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42

743 목재, 섬유, 가죽 및 관련재료

수공예 종사자

733 733 목재, 섬유, 가죽 및 관련

재료의 수공예 근로자

743

744 인쇄 및 관련 기능 종사자 734 734 인쇄 및 관련 기능근로자 744

75 기타 기능원 및 관련

기능종사자

74 74 기타 기능원 및 관련 기능

근로자

75

751 식품가공 및 관련

기능종사자

741 741 식품가공 및 관련

기능근로자

751

752 목재처리, 가구제조 및

관련 기능종사자

742 742 목재처리원, 가구제조원

및 관련 기능근로자

752

753 섬유, 의복제조 및 관련

기능종사자

743 743 섬유, 의복 및 관련

기능근로자

753

754 펠트, 가죽신발제조관련

기능종사자

744 744 펠트, 가죽 및 신발제조

기능종사자

754

8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

종사자

8 8 장치,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8

81 고정기계장치 및 시스템

조작 종사자

81 81 고정장치 및 관련 조작원 81

811 채광 및 광물가공장치

조작 종사자

811 811 채광 및 광물가공장치

조작원

811

812 금속 가공장치 조작 종사자 812 812 금속 가공장치 조작원 812

Page 177: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78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813 유리가공장치, 도기로 및

관련장치 조작 종사자

813 813 유리, 도기 및 관련장치

조작원

813

814 목재가공 및 제지장치

조작 종사자

814 814 목재가공 및 제지장치

조작원

814

815 화학물 가공장치 조작

종사자

815 815 화학물 가공장치 조작원 815

816 동력생산 및 관련장치

조작 종사자

816 816 동력생산 및 관련장치

운전원

816

817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봇 조작종사자

817 817 자동조립라인 및 산업용

로보트 조작원

817

82 기계 조작원 및 관련종사자 82 82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82, 83

821 금속 및 광물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821 821 금속 및 광물제품용 기계

조작원

821

822 화학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822 822 화학제품용 기계 조작원 822

82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823 823 고무 및 플라스틱제품용

기계 조작원

823

824 나무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824 824 나무제품용 기계 조작원 824

825 인쇄, 제책 및 종이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825 825 인쇄, 제본 및 종이제품용

기계 조작원

825

826 섬유, 의복 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826 826 섬유, 모피 및 가죽제품용

기계 조작원

826

827 식품 및 관련제품용 기계

조작 종사자

827 827 식품 및 관련제품용 기계

조작원

827

828 기호식품 및 음료 제조

기계 조작 종사자

827 828

829 기타기계 조작 종사자 829 828 조립원 831, 832

83 조립 종사자 82 833

831 일반기계 조립 종사자 828 829 기타 기계조작원 및

조립원

829

832 전기 및 전자장비 조립

종사자

828 83 운전기사 및 이동장치

조작원

84

Page 178: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부 록 179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833 금속, 목재 및 기타 제품

조립 종사자

828 831 철도 기관사 및 관련

근로자

841

84 운전원 및 관련 종사자 83 832 자동차 운전원 842

841 철도 기관사 및 관련 종사자 831 833 농업 및 기타 이동장치

운전원

843

842 자동차 운전 종사자 832 834 선박갑판 승무원 및 관련

근로자

844

8321

83210

843 건설 및 기타 이동장치

운전 종사자

833

844 선박갑판 승무원 및 관련

종사자

834

9 단순노무 종사자 9 9 단순노무직근로자 9

91 서비스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1 91 행상 및 단순서비스직

근로자

91

911 가사 및 관련 보조원, 청소

및 세탁 종사자

913 51

912 건물관리, 경비 및 관련

종사자

914 52

913 배달, 운반 및 검침 관련

종사자

915 911 행상 및 관련 근로자 512

914 환경미화 및 관련 종사자 916 521

915 기타 서비스관련 단순

노무 종사자

912 522

92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2 912 구두미화원 및 기타 단순

가두서비스직 근로자

915

920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21 913 가사 및 관련 조력원,

청소원 및 세탁원

911

93 제조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3 914 건물관리인, 창문 및 관련

청소원

912

930 제조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32 915 배달원, 수하물 운반원,

경비원 및 관련 근로자

913

Page 179: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180

<신·구 연계표> <구·신 연계표>

신부호 항 목 명 구부호 구부호 항 목 명 신부호

94 광업, 건설 및 운송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3 916 환경미화원 및 관련

근로자

914

941 광업 및 건설관련 단순

노무 종사자

931 92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자

92

942 운수 관련 단순노무 종사자 933 921 농림어업 관련

단순노무자

920

93 채광,건설,제조 및

운수관련 단순노무자

93

94

931 광업 및 건설관련

단순노무자

941

932 제조 관련 단순 노무자 930

933 운수업 관련 단순노무자

및 화물 취급원

942

A 군인 0 0 군인 A

A1 군인 01 01 군인 A1

A11 장교 011 011 군인 A11

A12 기타 군인 011 A12

Page 180: Ë ³ Ñ ' À n 2Ò ¸ ³ D ø ì · K D ¨ Â ¿ ù ³ ... ( À n 2 Ù ... q hhhhhhhh

저 자 소 개

조 동 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 석사

·University of lowa 사회학 박사

·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조 희 경

·충주대학교 행정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행정학 석사

·현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위촉연구원

연구보고 02-17

지식정보화에 따른 직업구조의 변화와 특성

2002년 12월 일 인쇄

2002년 12월 일 발행

발행인 윤 창 번

발행처 정 보 통 신 정 책 연 구 원

경기도 과천시 주암동 1-1

TEL: 570-4114 FAX: 579-4695∼6

인 쇄 인 성 문 화

ISBN 89-8242-226-9 93320

보급가 10,000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