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39
초저온형 초저온형 초저온형 초저온형 LNG CARRIER LNG CARRIER LNG CARRIER 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 SEALING SEALING SEALING SEALING 2003. 09. . 2003. 09. . 2003. 09. . 2003. 09. . 지원기관 지원기관 지원기관 지원기관 :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한국화학연구원 지원기업 지원기업 지원기업 지원기업 : ( 유니테크 유니테크 유니테크 유니테크 )

Upload: others

Post on 02-Feb-2020

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초저온형 용초저온형 용초저온형 용초저온형 용LNG CARRIERLNG CARRIERLNG CARRIER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SEALINGSEALINGSEALING

2003. 09. .2003. 09. .2003. 09. .2003. 09. .

지원기관지원기관지원기관지원기관 :::: 한국화학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

지원기업지원기업지원기업지원기업 :::: 주주주주(((( 유니테크유니테크유니테크유니테크))))

산 업 자 원 부산 업 자 원 부산 업 자 원 부산 업 자 원 부

Page 2: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 -

제 출 문제 출 문제 출 문제 출 문

산 업 자 원 부 장 관 귀 하산 업 자 원 부 장 관 귀 하산 업 자 원 부 장 관 귀 하산 업 자 원 부 장 관 귀 하

본 보고서를 초저온형 용 접착 제품 개발에 관한 기술지“ LNG CARRIER SEALING

원 지원기간 과제의 기술지원성과보고서로 제출합니다”( : 2002. 07.~2003. 06.) .

2003. 09. .2003. 09. .2003. 09. .2003. 09. .

지원기관지원기관지원기관지원기관 :::: 한국화학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한국화학연구원

김 충 섭김 충 섭김 충 섭김 충 섭

지원기업지원기업지원기업지원기업 :::: 주 유니테크주 유니테크주 유니테크주 유니테크( )( )( )( )

이 성 호이 성 호이 성 호이 성 호

지원책임자 박 수 진지원책임자 박 수 진지원책임자 박 수 진지원책임자 박 수 진::::

참여연구원 진 성 열참여연구원 진 성 열참여연구원 진 성 열참여연구원 진 성 열::::

Page 3: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 -

목 차목 차목 차목 차

제 장 서론제 장 서론제 장 서론제 장 서론1111

제 절 기술지원 필요성제 절 기술지원 필요성제 절 기술지원 필요성제 절 기술지원 필요성1111

제 절 기술지원 목표제 절 기술지원 목표제 절 기술지원 목표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제 절 기술지원 내응제 절 기술지원 내응제 절 기술지원 내응제 절 기술지원 내응3333

제 장 본론제 장 본론제 장 본론제 장 본론2222

제 절 기술지원 성과제 절 기술지원 성과제 절 기술지원 성과제 절 기술지원 성과1111

제 절 기술지원 수행제 절 기술지원 수행제 절 기술지원 수행제 절 기술지원 수행2222

제 장 결론제 장 결론제 장 결론제 장 결론3333

부 록부 록부 록부 록

날짜별 기초 및 기계적 물성 실험 결과날짜별 기초 및 기계적 물성 실험 결과날짜별 기초 및 기계적 물성 실험 결과날짜별 기초 및 기계적 물성 실험 결과1.1.1.1.

혼합점도 및 혼합비중 시험혼합점도 및 혼합비중 시험혼합점도 및 혼합비중 시험혼합점도 및 혼합비중 시험2.2.2.2.

시험시험시험시험3. Gel Time3. Gel Time3. Gel Time3. Gel Time

내한 충격실험내한 충격실험내한 충격실험내한 충격실험4.4.4.4.

파단면 형태학적 특성파단면 형태학적 특성파단면 형태학적 특성파단면 형태학적 특성5. ( )5. ( )5. ( )5. ( )

시험 성적서시험 성적서시험 성적서시험 성적서6.6.6.6.

개발 진행 배합표개발 진행 배합표개발 진행 배합표개발 진행 배합표7.7.7.7.

연구 업적연구 업적연구 업적연구 업적8.8.8.8.

기술정보 제공 자료기술정보 제공 자료기술정보 제공 자료기술정보 제공 자료9.9.9.9.

Page 4: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4 -

제 장 서 론제 장 서 론제 장 서 론제 장 서 론1111

제 절 기술지원 필요성제 절 기술지원 필요성제 절 기술지원 필요성제 절 기술지원 필요성1111

의 저온 보냉을 하기 위한 핵심 부품인 의LNG CARRIER PoIyurethane Insulation

연결부위 사이 와 사이에 충진 접착 기밀 용도로 적용되Rigid Triplex Soft Triplex ,

는 초저온형 과 외판 부위인 과 사이에 보강 충Epoxy Glue Type Steel PIywood ,

진 접착 기밀 용도로 적용되는 를 전량 수입 적용되고 있는, Epoxy Mastic Sealer

것이 현 실정이므로 이들 제품을 개발함으로 써 수입 대체 및 원가 절감 효과를 얻

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하여 저온에 대한 기능 특성을 확보함으. ,

로써 타 산업분야에 대한 응용 확대 특히 자동차에 적용되는 및 접착제와, Sealant

보강제 등의 기술 개발 및 요구 물성을 향상시켜 국내 외 자동차 완성차 업체 및/

관련 산업 분야의 기술 향상을 도모하고 성장을 기대하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 추진하고자 하므로 해당 업체는 이에 대한 기술 지원이 절실히 필요하다.

해당업체의 주요 생산품 주 유니테크는 자동차용 실란트 접착제 선박용 오일- : ( ) , , ,

필터용 등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로서 주요 생산품목으로는 차체용SEALER

의 경우sealer spot weld sealer, mastic sealer, pre-cure sealer, hemming

및 를 도장용 로는adhesive structure adhesive , sealer PVC body sealer, under

수용성 및 를 방음제 보강제로는body coat, under body coat oiler sealer , / B.P.R.

도포형 강판 보강제 강성 충진제 수용성 제진제 및sealer ( ), PAD, piller , spray

를 의장용 로는 불건anti-vibration pad , sealer butyl type sealer, hot butyl sealer,

성 및 자연 건조형 등을 생산하고 있다sealer sealer .

적용 제품 용 접착 및 제- : LNG CARRIER Sealing

기술 지원 범위- : 초저온형 의 배합 설계 및 개발 기술Epoxy Glue

의 분석 평가 및 조성 개발Hardener

의 배합설계 및 개발 기술Epoxy Mastic

의 분석 평가 및 조성 개발Hardener

개발 제품의 특성 평가 및 지원

Page 5: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5 -

제 절 기술지원 목표제 절 기술지원 목표제 절 기술지원 목표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최종 목표최종 목표최종 목표최종 목표(1)(1)(1)(1)

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용 접착 제품 개발Epoxy LNG CARRIER Sealing

저온 또는 초저온 에서 내구성을 유지 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 (-170 )℃

초저온에서 재료의 수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소재 및 첨가제의 개발*

제품의 분석 및 특성 평가*

시제품의 특성 평가 및 사업화 추진*

대량 생산을 고려한 개발* Lay-Out

의 개발의 개발의 개발의 개발(2) Epoxy Glue(2) Epoxy Glue(2) Epoxy Glue(2) Epoxy Glue

저온 및 초저온에서 성능을 발휘하는 의 개발* Polymer

피착제와 접착이 우수하고 초저온의 조건에서 내구성 및 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소재의 개발

초저온에서 피착제와 계면박리 없이 표면 접착이 우수한 접착 메카니즘의 설계*

초저온에서 재료의 수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첨가제의 개발*

의 개발의 개발의 개발의 개발(3) Epoxy Mastic(3) Epoxy Mastic(3) Epoxy Mastic(3) Epoxy Mastic

저온에서 인장강도 압축강도를 얻을 수 있는 재료의 개발*

나 에 우수한 접착을 얻을 수 있는 재료의 개발* PLYWOOD STEEL

내한충격성에 대한 탄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첨가제의 개발*

저온에서 재료의 수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첨가제의 개발*

초저온에서 상기 재료의 성능 확인을 위한 평가 방법 및 장비 시스템 개발초저온에서 상기 재료의 성능 확인을 위한 평가 방법 및 장비 시스템 개발초저온에서 상기 재료의 성능 확인을 위한 평가 방법 및 장비 시스템 개발초저온에서 상기 재료의 성능 확인을 위한 평가 방법 및 장비 시스템 개발(4)(4)(4)(4)

제 절 기술지원 내용제 절 기술지원 내용제 절 기술지원 내용제 절 기술지원 내용3333

기술의 특징 및 주요 내용기술의 특징 및 주요 내용기술의 특징 및 주요 내용기술의 특징 및 주요 내용(1)(1)(1)(1)

초저온형1) Epoxy Glue

접착 후 초저온에서 충진 보강 접착 성능을 유지하며 수축률을 최소화할 수 있* , ,

는 특성 기술 지원

Page 6: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6 -

접착 후 초저온에서 피착제와 접착 성능 유지 및 내 충격 성능 확보 및 내습성*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 기술 지원

2) Epoxy Mastic

피착제와의 접착 후 저온 및 상온에서의 접착 인장 압축 강도를 만족할 수 있는* , ,

특성의 재료 개발 기술 지원

세부 기술 지원 내용세부 기술 지원 내용세부 기술 지원 내용세부 기술 지원 내용(2)(2)(2)(2)

개발 내용 및 개발 범위*

수입 제품에 대한 분석 및 구조 해석*

재료 분석 및 해석*

기존 제품의 물성 분석 및 평가-

관련 자료 분석 및 특허 조사-

개발 제품에 대한 설계 및 개발 방향 설정*

개발 제품의 기초 설계-

개발 제품의 배합 공정 설계-

개발 제품에 대한 물성 평가*

조성에 따른 품질 성능 평가-

개발 제품에 대한 저온 평가-

개발 제품에 대한 저온 특성에 대한 접착 성능 평가-

제조 공정의 공정 기술 개발*

제조 공정 기술의 개발-

대량 생산을 고려한 개발- Lay-Out

Page 7: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7 -

제 장 본 론제 장 본 론제 장 본 론제 장 본 론2222

제 절 접착제의 기본 개요제 절 접착제의 기본 개요제 절 접착제의 기본 개요제 절 접착제의 기본 개요1111

접착제접착제접착제접착제1.1.1.1.

점 접착제란점 접착제란점 접착제란점 접착제란(1) ?(1) ?(1) ?(1) ?ㆍㆍㆍㆍ

접착상태란1) ?

점착이란 액체상태의 접착제가 어떤 작용으로 고체로 변환되어 접착강도를 발휘하

는 것을 말한다 피착제와의 사이에는 일차 결합이라고 하는 화학결합 물리적 결. “ ”,

합인 이차 결합 접착제의 분자구조에 의하여 발생하는 수(van der Waals force),

소결합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 상태로 하는 결합으로 나눌 수 있다

접착제란2) ?

접착현상을 유발시키는 모든 물질이며 주성분에 따라 유기접착제와 무기접착제로,

나눌 수 있으며 유기접착제는 천연접착제와 합성접착제로 분류된다 또한 경화방법.

에 따라 상온 경화접착제 용융형 접착제로 분류되고 기타 열경화 감압 반응형 접, , ,

착제 등이 있다.

접착의 이론3)

초기 접착강도가 높고 접착 후 사용 분위기에서 시간이 경과하여도 안정된 접착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접착제 피착제 계면에서 분자간의 계면 접촉/ (interfacial

이 필수적이며 또한 계면에서 고유접착력 이 있contact) (intrinsic adhesion force)

어야 한다 아울러 고유 접착력의 세기와 성질이 매우 중요하다 이같이 접착제 피. . /

착제의 계면에서 작용하는 고유의 힘 을 접착 메카니즘이라 하며(intrinsic force)

현재 다음과 같은 접착 메카니즘이 제안되어 있다.

기계적 맞물림* (Mechanical interlocking)

확산 이론* (Diffusion theory)

정전기 이론* (Electostatic theory)

흡착 이론* (Adsorption theory)

Page 8: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8 -

화학 결합* (Chemical bonding)

약한 계면층* (Weak boundary layer)

접착제의 분류접착제의 분류접착제의 분류접착제의 분류(2)(2)(2)(2)

주성분에 의한 분류1)

무기 접착제 시멘트류 규산소다 물유리 류 세라믹 기타* : , ( ) , ,

유기 접착제*

합성계-

수지계 열경화성 열가소성 고무계 등- : , ,

고무계 혼합계 페놀 에폭시계 등- : - ,

천연계 녹말계 단백질계 수지계 고무계 아스팔트지 등- : , , . ,

경화 방법에 의한 분류2)

실온 경화형 용제 건조 증발 휘산 형 수용매형 유기 용제형 촉매 경화형 습* : ( , ) , , , ,

기 경화형 혐기성형 등이 있다, .

열경화형 에폭시계 페놀계* : ,

핫멜트 형 핫멜트 에틸렌 초산비닐 공중합체 열가소성 수지 힛트* (Hot me)t) : ( , , ),

시일 (Heat seal)

감압형 콘텍트 시멘트* : , Self-seal, Delayed tack

재습형 수형 용제형* : ,

형태에 의한 분류3)

수용액형 용액형 에멀전 라텍스 형 페이스트상 분말상 필름상 고무계 고형, , ( ) , , , ,

강도 및 특성에 의한 분류4)

구조용 고온에도 높은 강도를 나타내며 장시간 동안 큰 하중에서 견딜 수 있는* : ,

것 자연환경에 노출되어도 자신의 접착력을 잃지 않는 석 제품의 기본적인 구조. .

또는 경화방법 등에 의해 결정된다.

Page 9: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9 -

종류 열경화성 수지 페놀 수지계 에폭시 수지계 와 혼합계 페놀 니트릴고무- : ( , ) ( -

계 에폭시 페놀계 가 있다, - ) .

비 구조용 온도 상승에 따라 접착력이 급속히 저하되는 특성이 있고 저온이 되* : ,

면 높은 강성을 나타낸다 상온 경화형이 대부분이다. .

종류 열가소성 수지 고무 천연계가 있다- : , , .

에폭시 접착제에폭시 접착제에폭시 접착제에폭시 접착제(3)(3)(3)(3)

구성 에폭시 수지 경화제 충진제 희석제 기타 첨가제: , , , ,①

에폭시 수지 에피크로 로히드린과 반응하는 형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된A. :

다.

볌용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와 반응a. - A

난연성 에폭시 수지 브롬화 비스페놀b. - A

경화제 경화제는 종류 및 투입량에 따라 가사시간 경화시간 경화 후 물성에B. : , ,

영향을 준다 작업시 사양성에 따른 배합비 준수 요망 희석제 점도를 조절하여 작. .

업성을 개선하며 접착제의 침투를 도와주고 차적인 물성 보완 효과도 있다 충진, , 2 .

제로 사용되는 충진제의 종류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는 매우 다양하다 즉 사용자. ,

또는 제품 제조자가 얻고자하는 목적에 따라 충진제의 종류 및 양을 변화시켜 그

목적을 달성하라 수 있다 사용되는 일반적인 목적은 경화시 수축감소 단가저하. , ,

제품의 기능성 향상이다.

특징으로는 자동차 전기 전자 토목 건축 등 전산업 분야에 걸쳐서 사용이 가, , , ,②

능하다.

접착력이 강하다- .

반응시 부생성물이 없다- .

상온에서 경화한다- .

사용용도 범위가 넓다- .

내충격성이 약하다- .

접착공법③

Page 10: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0 -

일반적으로 혼합 계량 토출 도포 경화장치가 필요하며 이 중에서 에너지 절약과, , , ,

작업 환경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경화방법이다.

고주파가열 자동차 모터 전구 등에 응용 으로 수초에서 초 이내- : , , . 4000 KHz 200

에 접착력이 발현됨.

마이크로파가열 악기 등에 이용됨- : .

초음파가열 좁은 면적에 매우 유효함- : .

산업용 접착제의 분류산업용 접착제의 분류산업용 접착제의 분류산업용 접착제의 분류(4)(4)(4)(4)

자동차용 용 항공기 구조용 건축 시공용 목가구용 전기 전자용 유통* , Laminate , , / , , / .

용 신발용 등이 있다, .

피착제에 따른 접착 방법피착제에 따른 접착 방법피착제에 따른 접착 방법피착제에 따른 접착 방법(5)(5)(5)(5)

피착제란1) ?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접착은 자동차 전기 토목 건축 목재 목공 플라스틱, , , , , , ,

포장 항공기 우주 개발의 로켓 차량 신발 의료 운동구 등에서부터 가정이나 산, , , , , ,

업에서 없어서는 안될 재료로 접착제가 차지하는 위치는 대단히 중요하다 특히 자.

동화 산업에 있어서 접착은 대량 생산을 하기 위한 중요한 가교적 역할을 한다 각.

산업에 있어서 설계상 어떤 피착제가 주어지면 그 접착을 위한 접착제의 선택이,

제일 중요하다 한편 가소화 의 는 가소제의 표면 이행 표면의 블로킹. , PVC leather ,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가소화 의 표면에 도료가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PVC leather .

접착제는 표면 도료에 대한 접착제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처럼 피착제의 종류나 표.

면 상태에 따라서 접착제의 선택이 달라짐을 알 수 있다

대표적인 피착제의 종류2)

목재 금속 섬유 종이 플라스틱 고무 세라믹 유리 등, , , , , , ,① ② ③ ④ ⑤ ⑥ ⑦ ③

이 있다.

접착제의 향후 전망접착제의 향후 전망접착제의 향후 전망접착제의 향후 전망(6)(6)(6)(6)

Page 11: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1 -

접착제 및 접착현상은 전 산업분야에 걸쳐 응용되고 있다 접착제는 가정에서 첨단.

사업 분야까지 그 적용 범위가 매우 넓으며 또한 피착제도 유기재료 금속재료 무, ,

기재료 등 광범위하다 항공기 자동차 등의 금속 및 섬유강화 복합재료의 접착에. ,

이용되는 구조용 접착제는 높은 하중에서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로 고강

도의 단단한 피착제와의 접착 피착제와 동일한 응력전달 및 실제 환경 하에서 장,

시간 접착강도의 유지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구조용 접착제는 주로 항공기 자동차. ,

조립공정에서 이용되는데 항공기 조립 공정에서는 각종 날개 등 기체의 안전과 관

련이 있는 부위의 접착 내벽 판넬 등의 구조 부위의 접착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 .

자동차 산업에서도 클러치 페달 브레이크 라이닝의 접착 등에 구조용 접착제가 이,

용되고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여러 가지 장점이 있으나 내열성의 한계 피착제의. ,

표면처리 비파괴 검사의 어려움 및 수명 예측이 곤란한 단점인 있어 최근에는 강,

인화를 위한 변성기술 내열성 수지의 개발 수명 예측기술의 발전 등이 이루어져, ,

위의 단점을 개량한 구조용 접착제로 에폭시 페놀 아크릴 및 우레탄 수지 등이 사, ,

용되고 있다.

또한 반도체 산업에서도 접착은 많이 적용되고 있다 반도체 소자에는 회로를 형성.

하는 금속 금속 실리콘 웨이퍼와 회로 사이의 금속 무기재료 반도체 소자의/ , / ,

용 고분자와 회로 또는 실리콘 웨이퍼간의 금속 고분자 및 무기재료 고passivation , / /

분자와 용 고분자와 봉지제용 고분자의 고분조 고분자 등 여러 접착계passivation /

가 있다 이러한 반도체 공정에서의 접착제는 결합제의 열안정성 등이 떨어지는 단.

점이 있어 폴리이미드 주쇄내에 실록산 성분을 도입하여 경화반응 중 실리콘 웨이

퍼와 폴리이미드 사이의 화학결합을 형성시켜 접착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이 사용되

고 봉지제로 사용중인 에폭시 수지와 폴리이미드의 접착력 향상을 위한 많은 연구,

와 경화반응으로 생성되는 내부 응력에 의한 접착계면의 파괴를 막기 위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이외에도 접착의 응용은 전자산업에서 경량화 소형화를 위해 전자부품의 인쇄회로,

기판상의 표면실장 액정표시소자의 접착 비디오 오디오 필림에 자성물질 접착 등, , /

에 여러 가지 응용되고 있다.

향후의 접착제는 이러한 구조용 및 기능성 접착제 뿐만 아니라 인체에 완전히 무해

할 뿐만 아니라 내수성 내균성 등 다양한 성질이 요구된다 또한 최근 들어 모든, .

산업용품에 해당되는 환경규제에 대한 무공해형의 접착제로서 고기능성을 갖고 있

어야 하는 수용성 접착제 반응성 접착제 무용제형 접착제 등의 재료들의 개발이, ,

요구되고 있다.

Page 12: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2 -

2. LNG CARRIER2. LNG CARRIER2. LNG CARRIER2. LNG CARRIER

천연가스 특성천연가스 특성천연가스 특성천연가스 특성(1) /LNG(1) /LNG(1) /LNG(1) /LNG

가 천연가스의 물리 화학적 성질. /

천연가스의 화학적 구조1) (CH4)

탄화수소로 이루어진 혼합 가스로 메탄이 대부분을 차지함-

탄소수 증가 에탄 프로판 부탄 펜탄 등 포화 탄화수소 계열 파라핀류- , , , /→

부탄이상 구조 이성질체 존재 탄소의 공간적 결합 상태에 따라 분자식 화학식- = : /

은 같으나 화학적 성질이 다른 탄화수소가 된다.

천연가스 메탄가스 의 장점2) ( )

발화점이 높다-

공기보다 가볍다-

연소범위가 높다-

공해물질이 거의 없다-

편리하다-

나 특성. LNG

의 정의1) LNG

액화천연가스 의 약자로 유전에서 산출한 천연가스- (LIQUEFIED NATURAL GAS)

를 운송이 용이하도륵 액화장치에 의하여 액화한 것 액화시 부피가 로(NG) ( 1/600

준다)

상업적인 특성상 액화가스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주어진 온도에서 그 자신의-

로 평형을 유지하는 포화상태의 증기압이다 그러므로 액화가스에 대한 가장VAPOR .

전형적인 정의는 온도에 대한 증기압으로 규정되어져야 함.

에서 를 초과하는 증기압을 갖는 액체 로 정의37.8 2.8 Bar.A " .→ ℃

는 임계온도가 로서 압축만으로는 액화할 수 없고 압축 냉각의 두- LNG -82.5 /℃

가지를 혼합한 방식은 설계상 불리한 점이 많아 현재 완전 냉동방식이 채택되고 있

다.

Page 13: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3 -

의 성분2) LNG VAPOUR

여러 가지 물리적인 성분을 가진 액체가 증발할 때 휘발성이 높은 성분이 증발한-

다 반대로 냉각시에는 휘발성이 낮은 물질이 액화가 많아지므로 는. LNG VAPOUR

메탄이 주 성분이 되고 액체 중에는 에탄 프로판 부탄 등 휘발성이 낮은 성분이, ,

많아져 비점 밀도 및 중량당 발열량이 증가하는데 이를 농축 이라, (WEATHERING)

부른다.

의 질소와 의 메탄이 액상으로 존재하면 중에는 휘발성이 큰- 10% 90% VAPOUR

질소가 메탄이 로 되어 산지에서 를 싣는 시점에서의80% 20% LNG BOG (BOIL

는 질소 성분이 많으나 항해 중 비율이 감소하여 양하항 도착 시에는 메OFF GAS)

탄이 주종을 이룬다.

의 화학적 반응3) LNG

부식성이 없다 선박에서 사용되어지는 일반적 재료 및 청수 해수 공기와도 반- . , ,

응하지 않는다.

의 물리적 반응4) LNG

취성파괴 보통의 강재가 초저온 액체에 닿으면 저온취성이라는 성질이 있어 약- :

가 되면 급속히 부스러지기 쉽게 변한다-80 .℃

인체에 대한 동상-

(2) LNG CARRIER (TANKER)(2) LNG CARRIER (TANKER)(2) LNG CARRIER (TANKER)(2) LNG CARRIER (TANKER)

도시가스나 화력발전용으로 쓰이는 액화천연가스 는 엄청나게 많은 양이 소LNG ( )

비된다 이러한 를 운반하는 배를 탱커 유조선 라고 한다 는 매우. LNG LNG [ ] . LNG

저온이므로 탱커에는 저온상태를 유지하는 특별한 설비를 갖춰야 한다 이 때LNG .

문에 탱크 안쪽 면에는 저온에 강한 스테인리스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료가 사용

된다 또 단열 및 폭발 방지를 위해서 선체는 이중덮개로 둘러싸여 있다 구 모. . ( )球

양의 탱크를 여러개 연결하거나 금속막으로 밀폐한 탱크를 선체 안에 내장시키는

방식이 있다 는 사고로 바다에 유출돼도 증발해 버리기 때문에 원유처럼 환경. LNG

오염은 일으키지 않는다.

Page 14: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4 -

운송중에 탱크에서 조금씩 누출되는 는 그냥 방출하지 않고 보일러로 끌어와LNG

증기터빈을 가동시키는데 쓴다 최근에는 연료전지를 이용한 탱커가 개발 중. LNG

인데 이것은 를 연소시키지 않고 직접 전력으로 바꾸어 모터를 돌린다 모터선LNG .

은 제어가 쉽고 적은 인원으로 배를 운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림 선박 기술의 꽃 수송선그림 선박 기술의 꽃 수송선그림 선박 기술의 꽃 수송선그림 선박 기술의 꽃 수송선1. LNG1. LNG1. LNG1. LNG

수송선은 영하 백 도의 초저온에 견딜 수 있는 탱크를 설계 건조해야 하기LNG 1 62 .

때문에 조선공업 전반에 관한 최고 수준의 건조기술을 필요로 한다.

Page 15: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5 -

선은 크게 분류하여 방식과 왼쪽 독립 방식의 형LNG MEMBRANE ( ) TANK MOSS

오른쪽 두 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방식 중 방식에는( ) TYPE . MEMBRANE

방식과 방식이 독립 방식에는 구형 방GAZTRANSPORT TECHNIGAZ , TANK TANK

식이 신뢰성 있는 화물 격납 장치로서 확립되어 현재 해상 운송을 위한 선에LNG

채용되고 있다.

제 절 기술지원 성과제 절 기술지원 성과제 절 기술지원 성과제 절 기술지원 성과2222

해당기술 적용제품해당기술 적용제품해당기술 적용제품해당기술 적용제품(1)(1)(1)(1)

적용 제품명 용 접착 및 제o : LNG CARRIER Sealing

모델명 가스 운반용 의 용o : LNG Membrane Type Tank (GTT, MARK III) Load

Bearing Mastic & Epoxy Adhesive

Structure of GTT, Mark III PanelStructure of GTT, Mark III PanelStructure of GTT, Mark III PanelStructure of GTT, Mark III Panel

Page 16: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6 -

품질 및 가격품질 및 가격품질 및 가격품질 및 가격(2)(2)(2)(2)

구 분 경쟁 제품해당기술 적용제품

비 고지원전 지원후

경쟁제품 대비 품질

사의Ciba-Geigy

Mastic &

용Epoxy Glue

수지

저온 초저온/

물성 평가

불가능

저온 초저온/

물성 향상

사Ciba-Geigy

대비 동등 또는

향상10%

경쟁제품 대비 가격사의Ciba-Geigy

대비수입100% -

기술지원 성과기술지원 성과기술지원 성과기술지원 성과(3)(3)(3)(3)

지원항목지원내용

비고기술지원 前 기술지원 後

기술 정보 제공수지의 초저온 특성에Epoxy

관한 자료 및 이해 부족

수지의 초저온 특성에Epoxy

관한 이해와 분석 및 평가

기술 가능

회22

수입 제품 분석

및 평가

수입 제품 분석 불가능

수입 제품 평가 초저온

불가능

수입 제품 분석 및

초저온 평가 가능회5

개발 제품에 대한

배합 설계

개발 제품에 대한

관련 자료 및 이해 부족개발 제품에 대한 자료 재공 회10

개발 제품에 대한

물성 평가

개발 제품에 대한 저온 물성

평가 인장 굽힘 압축 전단( , , ,

등 일부분 가능)

개발 제품에 대한 초저온

물성 평가 인장 굽힘 압축( , , ,

전단 등 가능)

회20

제조 공정 기술 개발개발 제품에 대한 공정상

문제점 확인 미해결/

개발 제품에 대한 공정상

문제점 해결 및 물성 향상건3

대량 생산을 고려한

개발Lay-Out

개발 제품에 대한 대량 생산

설정 미흡Lay-Out

개발 제품에 대한 대량 생산

설정Lay-Out건1

Page 17: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7 -

원가절감 효과원가절감 효과원가절감 효과원가절감 효과(4)(4)(4)(4)

적용제품 시장전망 매출성과적용제품 시장전망 매출성과적용제품 시장전망 매출성과적용제품 시장전망 매출성과(5) ( )(5) ( )(5) ( )(5) ( )

구 분 당해연도 매출 차년도 예상매출전년대비

증가비율비고

내 수 백만원 년2,000 / 백만원 년3,000 / 150%

수 출 천달러 년- / 천달러 년- / - % 전량 수입

계 백만원 년2,000 / 백만원 년3,000 / 150%

수입대체효과수입대체효과수입대체효과수입대체효과(6)(6)(6)(6)

모델명 당해연도 수입액 차년도 수입액 수입 대체금액 비 고

Load Bearing

용 접착제Mastic천달러 년1,760 / 천달러 년2,000 / 천달러 년2,000 /

용Epoxy Glue

접착제천달러 년760 / 천달러 년1,000 / 천달러 년1,000 /

계 천달러 년2,520 / 천달러 년3,000 / 천달러 년3,000 /

해당기술의 기술력 향상 효과해당기술의 기술력 향상 효과해당기술의 기술력 향상 효과해당기술의 기술력 향상 효과(7)(7)(7)(7)

초저온형1) Epoxy Glue

접착 후 초저온에서 충진 보강 접착 성능을 유지하며 수축률을 최소화할 수 있* , ,

는 특성 개선

접착 후 초저온에서 피착제와 접착 성능 유지 및 내 충격 성능 개선*

내습성성을 만족할 수 있는 재료의 개발 가능성*

Page 18: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8 -

2) Epoxy Mastic

피착제와의 접착 후 저온 및 상온에서의 접착 인장 압축 강도 개선 및 이를 만* , ,

족할 수 있는 재료 개발 가능성

기술적 파급효과기술적 파급효과기술적 파급효과기술적 파급효과(8)(8)(8)(8)

용의 핵심 부품인 의 연결 부위에 기밀 접* LNG CARRIER Polyurethane Insulation ,

착 충진 용도의 초저온에서 내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지 개발, Epoxy

액형 초저온 접착제 개발에 따른 수입 대체 및 원가 절감 효과와 기술 개발에* 2

따른 품질향상 및 수출 가능성 확대

자동차에 적용되는 실란트 및 접착제의 개발 기술 및 생산 기술로의 확대*

저온에 대한 기능 특성을 확보함으로써 타 산업분야에 응용 효과 기대*

관련 산업 분야에의 기술 향상 가능 및 성장 기대*

제 절 기술지원 수행제 절 기술지원 수행제 절 기술지원 수행제 절 기술지원 수행3333

추진 방향추진 방향추진 방향추진 방향(1)(1)(1)(1)

주 유니테크 연구소 연구진을 축으로 하여 화학연구원은 저온 폴리머 및 재료 개( )

발 기술과 평가 기술을 지원하여 연구 개발을 추진하였다

Page 19: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19 -

기술지원 추진 일정기술지원 추진 일정기술지원 추진 일정기술지원 추진 일정(2)(2)(2)(2)

기술지원 수행 방법 실험 결과 및 고찰 구체적 기술기술지원 수행 방법 실험 결과 및 고찰 구체적 기술기술지원 수행 방법 실험 결과 및 고찰 구체적 기술기술지원 수행 방법 실험 결과 및 고찰 구체적 기술(3) ( )(3) ( )(3) ( )(3) ( )

수입 제품 분석 및 평가1)

가 실험 목적 기존 제품과 개발 제품을 비교하여 물성 차이를 확인하고자 함. : .

선박용선박용선박용선박용 STALERSTALERSTALERSTALER■■■■

분석 품목 유니테크 개발 품명 최종( ) 비고

주제XF 536M-1 ( ) ULBM-100Load Bearing Mastic

경화제XF 537-1 ( ) ULBM-200

주제XB 5032A ( ) UEA-100

Epoxy Glue경화제XB 5319 ( ) UEA-300

주제XB 5032A ( ) UEA-200 (New)

수입제품* : XF 536M-1: SA (=SP-A), XF 537-1: SB (=SP-B), XB 5032A: SC

(=SP-C), XB 5319: SD (=SP-D)

유니테크 제품* : XF 536M-1 (=UA), XF 537-1 (=UB), XB 5032A (=UC), XB 5319

(=UD)

나 실험 방법 및 결과.

기본 물성치 후 경화 상태 확인* setting

된 제품과 제품의 경화시간과 온도 비교* Setting standard

Page 20: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0 -

된 제품과 제품의 강도 측정* Setting standard

분석 결과 기본 물성분석 결과 기본 물성분석 결과 기본 물성분석 결과 기본 물성( )( )( )( )①①①①

분석 결과분석 결과분석 결과분석 결과A. XF 536M-1 (SP-A Series)A. XF 536M-1 (SP-A Series)A. XF 536M-1 (SP-A Series)A. XF 536M-1 (SP-A Series)

Page 21: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1 -

분석 결과분석 결과분석 결과분석 결과B. XF 537-1 (SP-B Series)B. XF 537-1 (SP-B Series)B. XF 537-1 (SP-B Series)B. XF 537-1 (SP-B Series)

Page 22: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2 -

분석 결과분석 결과분석 결과분석 결과C. XT 5032A (SP-C Series)C. XT 5032A (SP-C Series)C. XT 5032A (SP-C Series)C. XT 5032A (SP-C Series)

Page 23: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3 -

분석 결과분석 결과분석 결과분석 결과D. XB 5319 (SP-D Series)D. XB 5319 (SP-D Series)D. XB 5319 (SP-D Series)D. XB 5319 (SP-D Series)

Page 24: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4 -

열적 특성 및 화학적 조성 시험 일시 년 월 일( : 2002 09 02 )②

분석 결과A. DSC

Page 25: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5 -

분석 결과B. EA

예폭시 수지예폭시 수지예폭시 수지예폭시 수지----

Page 26: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6 -

경화제경화제경화제경화제----

제조 공정 기술2)

주제①

Page 27: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7 -

경화제②

개발 제품에 대한 물성 평가3)

기본 물성 점도 비중( , , T.I.)①

입수된 샘플의 기본 물성을 확인하여 목표 물성치를 설정하여 비교하고자 한다.

Page 28: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8 -

열적 특성 및 화학적 조성 (DSC, EA)②

가 분석. DSC

Page 29: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29 -

나 분석. EA

에폭시 수지 주제에폭시 수지 주제에폭시 수지 주제에폭시 수지 주제- ( )- ( )- ( )- ( )

경화제경화제경화제경화제----

기계적 물성 강도 측정 결과( )③

실험 목적 수입제품 시편과 유니테크 제품 시편을 경화 비율에 따라 경화시킨A. :

후 기계적 물성 인장강도 전단강도 굴곡강도 압축강도 내 충격강도 등 측정하( , , , , )

여 비교하고자 한다.

Page 30: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0 -

실험 방법 주제와 경화제를 경화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이를 사용하여 이B. : spec

요구하는 각각의 시험편의 규격에 맞는 시편으로 제작한 다음 시간 이상 방치 후10

물성 실험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요약 처음 측정시 과 기존 유니테C. : ULBM-100 ULBM-200 ( : UA+UB)

크 제품의 기본 물성 점도 비중 에서는 수입 샘플 기준 시편( , , T.1.) ( : XF 536M-1

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굴곡강도와 전단강도 시험(=SA)+XF 537-1 (=SB))

에서는 기준 시편과는 현격한 차이의 나타내었다 이는 기준 시편과 유니 제품 시.

편간의 경화 조건 및 방식에 따른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경,

화 후에도 유니제품 시편에서는 현상에 의한 표면 가 남아있어Amine Blush tacky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 ,

결하기 위하여 경화제 에 들어가는 원료인 액상 을 관능기ULBM-200 ( ) NBR

를 함유한 제품으로 대체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 시편의 경화 후에 발(-COOH) ,

생하는 표면 문제는 어느 정도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을 수가 있었으며 최tacky ,

종적으로 기준 시편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거나 거의 유사한 시험 결과 값을 가지

는 시험편을 제조할 수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물성에 대하여 방치 시간 즉 경화 시간에 따른 기초 물성 및 기계적, ,

물성에 대한 재현성을 평가한 결과 기초 물성은 기존과 동일하게 나타났으며 기계,

적 물성 값은 약 정도 감소를 하였다5% .

결론적으로 말하면 주 유니테크에서 만든 용 에폭시 접착제는 국, ( ) LNG CARRIER

내에 독점 공급하고 있는 사의 제품 기준 제품 보다 우수한 기계적 물Ciba-Geigy ( )

성과 재현성에 있어서 거의 유사한 결과 값을 가지는 우수한 제품으로서 초저온형

용 접착 제품에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LNG CARRIER sealing .

인장강도 실험 일시 년 월 일( : 2003 09 06 )■

실험방법 주제와 경화제를 경화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이를 사용하여 개 이상: 5→

의 시편을 각각의 시험편의 규격에 맞는 시편으로 제작한 다음 시간 이상 방치한10

후 를 사용하여Universal Testing Machine #1125, Lloyd LR 5K Tensile Tester

에 의거하여 인장 실험을 상온 및 저온에서 각각 행하였다 사용ASTM D638 M-93 .

한 는 로 고정하였다cross-head speed 500 mm/min .

Page 31: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1 -

굴곡강도 실험 일시 년 월 일( : 2003 09 06 )■

실험방법 주제와 경화제를 경화비율에 따라 혼합한 후 각각의 시험편의 규격에 맞:

는 시편으로 제작한 다음 시간 이상 방치 후 삼점 굴곡 실험을 행하였다 굴곡10 .

실험은 개 이상의 시편을 준비하여5 Universal Testing Machine #1125, Lloyd LR

를 사용하여 에 준해 측정하였다 지지대간 거리와5K Tensile Tester ASTM D790 .

시편 두께와의 비 는 는(span-to-depth ratio) 16:1, cross-head speed 2 mm/min

로 유지하였다.

인장 및 굴곡 강도 상온( )→

Figure 2.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of the specimens at room temperature.Figure 2.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of the specimens at room temperature.Figure 2.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of the specimens at room temperature.Figure 2.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of the specimens at room temperature.

(Specimens, 1: ULBM-100(A)+ULBM-200, 2: ULBM-100(b)+ULBM-200, 3:(Specimens, 1: ULBM-100(A)+ULBM-200, 2: ULBM-100(b)+ULBM-200, 3:(Specimens, 1: ULBM-100(A)+ULBM-200, 2: ULBM-100(b)+ULBM-200, 3:(Specimens, 1: ULBM-100(A)+ULBM-200, 2: ULBM-100(b)+ULBM-200, 3:

UEA-100(A)+UEA-200, 4: UEA-100(A)+UEA-300, 5: UEA-100(B)+UEA-200,UEA-100(A)+UEA-200, 4: UEA-100(A)+UEA-300, 5: UEA-100(B)+UEA-200,UEA-100(A)+UEA-200, 4: UEA-100(A)+UEA-300, 5: UEA-100(B)+UEA-200,UEA-100(A)+UEA-200, 4: UEA-100(A)+UEA-300, 5: UEA-100(B)+UEA-200,

and 6: UEA-100(B)+UEA-300)and 6: UEA-100(B)+UEA-300)and 6: UEA-100(B)+UEA-300)and 6: UEA-100(B)+UEA-300)

Page 32: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2 -

인장 및 굴곡 강도 저온( )→

Figure 3.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of the specimens at -25Figure 3.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of the specimens at -25Figure 3.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of the specimens at -25Figure 3.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s of the specimens at -25℃℃℃℃

(Specimens, 1: ULBM-100(A)+ULBM-200, 2: ULBM-100(b)+ULBM-200, 3:(Specimens, 1: ULBM-100(A)+ULBM-200, 2: ULBM-100(b)+ULBM-200, 3:(Specimens, 1: ULBM-100(A)+ULBM-200, 2: ULBM-100(b)+ULBM-200, 3:(Specimens, 1: ULBM-100(A)+ULBM-200, 2: ULBM-100(b)+ULBM-200, 3:

UEA-100(A)+UEA-200, 4: UEA-100(A)+UEA-300, 5: UEA-100(B)+UEA-200,UEA-100(A)+UEA-200, 4: UEA-100(A)+UEA-300, 5: UEA-100(B)+UEA-200,UEA-100(A)+UEA-200, 4: UEA-100(A)+UEA-300, 5: UEA-100(B)+UEA-200,UEA-100(A)+UEA-200, 4: UEA-100(A)+UEA-300, 5: UEA-100(B)+UEA-200,

and 6: UEA-100(B)+UEA-300)and 6: UEA-100(B)+UEA-300)and 6: UEA-100(B)+UEA-300)and 6: UEA-100(B)+UEA-300)

전단강도 실험일자 년 월 일Lap Shear Test ( ) ( : 2003 9 15 )■

실험 조건 방법/→

경화는 상온에서 조건의 기준이 되도록 를 유지하여 일간 경화하1. , spec. 23 15℃

였다.

상태 전단강도는 냉동 를 이용하여 그 안에서 실험하였다2. -40 chamber .℃

Page 33: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3 -

압축강도 실험일자 년 월 일( : 2003 9 15 )■

시험방법 수지의 실험방법으로 사의 카달로: LOAD MASTIC BEARING , VANTICO→

그와 의 시험방법 그리고 를 참고하였다 을 이용하여MH1004 , ISO 695 . UTM -25

와 에서 를 시행하는데 속도 조건은 이며 강도는 각 온도23 TEST 1.0 mm/min ,℃ ℃

에서 이상이어야 한다15MPa .

시편의 제작 가로 세로 두께 로 몰드를 사용하여 제: 10 mm, 10 mm, 30 mm→

작하였으며 경화시간은 에서 일이다 자료 중40 7 (vatico ).℃

경화조건 경화 후 상온에서 일 방치 후 를 실: 120 ×30' TEST, 14 TEST→ ① ℃ ②

시하였으며 내한 조건은 냉동 챔버에서 시간 방치 후 를 실시하였다, 3 TEST .

Page 34: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4 -

기타■

시간별 경화상태 비교 결과 시험 일시 년 월 일( : 2002 08 12 )→

실험 목적 수입 샘플과 유니테크 제품 샘플의 경화 상태를 비교하고자 한다- : .

실험 방법 주제와 경화제를 주어진 양만큼 분 내외로 혼합한다 실험 온도는- : 3 .

최고 발열 온도까지 만을 측정하여 상호 비교한다.

실험 결과 수입된 시편과 유니테크 제품간의 경화성 시험 결과 시간별 온도 차- :

이 경화 발열량 에서는 별 차이가 없고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

Page 35: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5 -

Figure 4. Maximum exothermic peak temperatures of the specimens as aFigure 4. Maximum exothermic peak temperatures of the specimens as aFigure 4. Maximum exothermic peak temperatures of the specimens as aFigure 4. Maximum exothermic peak temperatures of the specimens as a

function of curing time.function of curing time.function of curing time.function of curing time.

시험 일시 년 월 일Sag Flow Test ( : 2003 9 15 )→

실험 목적 수입 샘플과 유니테크 제품 샘플의 흐름 정도를 평가 비교하고자 한- : /

다.

Page 36: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6 -

실험 방법 주제와 경화제를 주어진 양만큼 혼합한 후 흐름 정도를 측정한다 시- : .

편의 규격은 길이 폭 두께 으로 하여 주제와 경화제를: 100 mm, : 60 mm, : 20 mm

섞은 후 온도를 를 유지하면서 시료가 완전히 경화되었을 시 흐른 길이를20 ±2℃

측정한다.

에 따라 흐른 길이는 까지가 최대점이다M1004 10±2mm .

실험 결과실험 결과실험 결과실험 결과----

구분XF536M-1 + XF537-1

수입 샘플( )

ULBM-100 +ULBM-200

유니테크 샘플

시험 결과 흐르지 않음 흐르지 않음

내한 충격강도 실험 일시 년 월 일( : 2003 09 15 )→

험 목적 입수 제품과 유니테크 제품의 내한에서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실험 실- :

시한다.

실험 방법 시편을 다음과 같이 총 개 형태로 준비한다- : 2 .

a. 25×150×0.8 mm3 크기의 시편 개를 시료 두께 로 도포한다3 0.8 mm .

b. 100×300×0.8 mm3의 시편에 시료 두께 로 도포한다0.8 mm .

상온에서 분간 방치 후 에서 분 완전 경화시킨다c. 30 80 120 .℃

경화 후 상온에서 분간 방치 후 냉동 을 이용하여 에서d. 30 CHAMBER -40 180℃

분간 넣어둔다.

시간이 모두 경과 후 시편은 내충격성 시험기를 이용하여 각도로e. 100×300 90°

회 충격을 가한다1 .

시편은 바닥으로 내리쳐 상태를 기록한다f. 25×150 .

참고로 이 시험은 자동차 관련 시험방법을 이용한 것으로 비교 시험을 실시하여g.

제품 수입 제품 과 유니테크 제품을 비교하고자 하였다STD ( ) .

Page 37: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7 -

실험 결과실험 결과실험 결과실험 결과----

대량 생산을 고려한 개발4) Lay-out

용에 적용되는 접착 제품 개발 관련 주제 및 경화제의 함량LNG CARRIER sealing

비 및 이에 따른 제조 공정 기술을 조절하여 대량으로 생산 가능하도록 한다.

기술 지원 결과 활용 방안기술 지원 결과 활용 방안기술 지원 결과 활용 방안기술 지원 결과 활용 방안(4)(4)(4)(4)

주 유니테크가 개발하고자 하는 제품은 용의 보온 보냉에 있어서 핵( ) LNG CARRIER

심부품인 의 연결 부위에 기밀 접착 충진 용도의 초저온Polyurethane Insulation , ,

에서 내구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수지를 이용한 액형 접착제로서 현재 외Epoxy 2

국 기업인 에서 전량 수입하여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선박 최대 생산CibaGeigy .

국인 한국에서 현재 용에 적용되는 접착 충전 용도의 초LNG CARRIER , SEALING,

저온 접착제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이미 개발한 당사 제품인 자동차에 적용,

되는 및 접착제의 개발 기술 및 생산 기술을 근거로 하여 금번SEALING LNG

용에 적용되는 초저온 접착제를 개발함으로써 수입 대체 및 원가 절감 효CARRIER

과를 얻음과 동시에 개발에 따른 품질향상 및 수출에도 기여할 것이다 또한 저온.

에 대한 기능 특성을 확보함으로써 타 산업분야에 응용효과도 기대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Page 38: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8 -

제 장 결 론제 장 결 론제 장 결 론제 장 결 론3333

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용 접착 제품 개발을 하고자Epoxy LNG CARRIER Sealing

하는 주 유니테크의 현재의 기술적인 애로사항은 의 저온 보냉을 하( ) LNG CARRIER

기 위한 핵심 부품인 의 연결부위 사이 와Polyurethane Insulation Rigid Triplex

사이에 충진 접착 기밀 용도로 적용되는 초저온형Soft Triplex , Epoxy Glue Type

과 외판 부위인 과 사이에 보강 충진 접착 기밀 용도로 적용되는Steel Plywood , ,

에 있어서 초저온에서 접착 성능을 유지하면서 기계적 물성이Epoxy Mastic Sealer

저하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의 개발 기술의 미흡한 점과 용sealer LNG CARRIER

접착제의 개발 전 후 이에 대한 물성 성능 평가 및 에 준한 신뢰성 평가기술/ , spec

이 확립되어 있지 않은 점 등이다 따라서 본 종합기술지원사업에서는 현재. ,

사에서 국내에 독점 공급하고 있는 초저온형 용 접착Ciba-Geigy LNG CARRIER

제품에 대한 대체 소재 개발 기술의 국산화를 지원하고자 하였으며 이에sealing ,

따라 주제와 경화제간의 적절한 혼합 공정비 및 샘플의 평가 기술을 도입하여 선박

최대 생산국이면서도 관련된 접착제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것에 대한 수입

대체 및 수출을 증대코자 하였으며 저온에 대한 기능 특성을 확보함으로써 타 산,

업분야에 응용 효과 기대 및 관련 산업 분야에의 기술 향상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

하고자 하였다.

주요 기술 지원 내용으로서는■

초저온형 및 의 배합 설계 및 개발 기술과 의 분석* Epoxy Glue Mastic Hardener

및 조성 개발 지원과 개발 제품의 특성 평가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지원 내용으로 기술 지원을 실시하였으며 차 년도에는 저온형, 1

및 의 배합 설계와 개발 제품의 특성 평가에 중점을 두고 기술Epoxy Glue Mastic

지원을 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차 년도에는 초저온에서 보다 접착성 및 기. 2

계적 물성이 우수한 수지 및 의 개발과 배합 공정 기술의 향상과Epoxy Hardener

이에 따른 개발 제품의 품질 성능 평가와 대량 생산을 고려한 제조 공정 기술의 개

발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자 하였다.

Page 39: 초저온형 용LNG CARRIER 접착 제품개발 기술지원SEALING · -5-제 절 기술지원 목표2222 (1)((11))(1) 최종 목표 Epoxy LNG CARRIER Sealing수지를 활용한 초저온형

- 3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