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42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범 선 규* Ⅰ. 서론 Ⅱ. 강화도의 충적토와 농경지개발 Ⅲ. 강화도의 수리시설 Ⅳ. 강화도의 수리체계 Ⅴ. 요약 및 결론 Ⅰ. 서론 1. 연구목적과 방법 강화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을 구성하고 있는 많은 도서들의 모체와 같은 섬이다. 이 섬 의 면적은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거제도, 진도에 이어 네 번째로 넓다. 강화도에는 산지가 여기저기에 솟아있고, 골짜기에서 시작된 충적지는 해안의 방조제를 사이에 두고 바다와 만난다. 강화도의 충적지는 간석지였던 곳도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논으로 이용한 다. 강화도의 간석지는 고려시대 이후 농경지로의 개발이 본격화되기 시작했으며, 간척사 - 303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1 * 고려대학교 지리교육과 시간강사, 문학박사

Upload: hoangdieu

Post on 29-Aug-2019

223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Page 1: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범 선 규*

Ⅰ. 서론

Ⅱ. 강화도의 충적토와 농경지개발

Ⅲ. 강화도의 수리시설

Ⅳ. 강화도의 수리체계

Ⅴ. 요약 및 결론

Ⅰ. 서론

1. 연구목적과 방법

강화도는 인천광역시 강화군을 구성하고 있는 많은 도서들의 모체와 같은 섬이다. 이 섬

의 면적은 우리나라에서 제주도, 거제도, 진도에 이어 네 번째로 넓다. 강화도에는 산지가

여기저기에 솟아있고, 골짜기에서 시작된 충적지는 해안의 방조제를 사이에 두고 바다와

만난다. 강화도의 충적지는 간석지 던 곳도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주로 논으로 이용한

다. 강화도의 간석지는 고려시 이후 농경지로의 개발이 본격화되기 시작했으며, 간척사

- 303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1

* 고려 학교 지리교육과 시간강사, 문학박사

Page 2: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업은 20세기 이후에도 계속되었다. 인간에 의한 농경지의 개발은 지형과 토지이용의 변화

를 크든 작든 수반하는데, 여기에는 수리시설의 보급과 확충이 결정적인 역할을 해왔다.1)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에 관하여 고찰하 다. 수리시설의 보급과

확충은 농경지의 개발과 접한 관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특히 1970년 이후 최근까지

의 강화도의 농업수리 상황을 파악하는 데 관심을 두었다. 다만 고려∙조선 시 및 일제

강점기의 것도 주제와 관련해서 의미가 큰 것은 주의 깊게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지형학 분야에서도 일찍부터 수리시설 및 수리체계에 관심을 보 으며, 이들

연구는인간생활의무 인평야지형의이해에그목적을둔경우가많았다. 수리문제등지형

의변화에끼친인간의역할에관한연구는‘지형문화’에 한관심의표출이라할수있다.2)

오늘날의 수리시설 및 수리체계에 관한 연구 중에는‘개변’되거나‘개조’한‘인공지형’

을 상으로 한 일종의 지형문화지리 또는 지형역사지리의 측면에서 접근한 것도 적지 않

다. 최근에는 보다 포괄적인 개념인‘환경’의 주요 분야의 하나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인공지형과 직∙간접으로 관련된 수리에 관한 연구는 응용지형학(Applied

Geomorphology), 지형공학(Engineering Geomorphology), 환경지형학(Environmental

Geomorphology) 등 새로운 학문분야로 소개되기도 한다.3)

본 연구는 현지답사를 토 로 진행하 다. 수리시설 및 수리체계는 인간의 생활환경의

한 요소로서 중요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주민 생활에 한 관찰과 조사가 필요하다. 특히 본

연구처럼 당 의 상황에 초점을 둔 연구의 경우 서가에서 구할 수 있는 문헌자료가 풍부하

지 않기 때문에 현장조사의 필요성은 더욱 절실하다. 아울러 문헌자료에 한 검토도 병행

하 다. 특히 20세기 이후 발행 시기를 달리하면서 간행된 지형도는 매우 유용했다.

2. 연구지역의 개관

강화도는 남북의 길이가 약 27㎞이고, 동서간은 15~10㎞에 드는 섬이다. 그 면적은

- 304 -

2 「인천학연구」2-2호(2003. 12)

1) 범선규,「 산강유역의 농경지개발에 따른 지형의 변화」,『문화역사지리』(제14권 제3호, 2002), pp. 37-54.

2) 범선규,「‘지형문화’의 개념설정 가능성 연구」,『한국지형학회지』(제10권 제2호, 2002), pp. 175-194.

3) 日本地形學聯合, 『地形學から工學への提言』(東京: 古今書院, 1996), pp. 1-6

Coates, D. R., 「Geomorphic Engineering」, 『Geomorphology and Engineering』(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1980), pp. 3-4.

4) 전라남도, 『한국도서백서』(1996), p. 1846.

Page 3: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302㎢(강화군 전체면적은 411㎢)이며, 해안선의 연장은 91㎞이다.4) 이 섬은 2002년 1월

현재 행정구역이 1읍 9면(강화군 전체는 1읍 12면)으로 짜여져 있으며, 인구는 60,424명

(외국인 205명 포함)이 살고 있다.5)

강화도는 황해의 경기만에서 한강유역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자리한 섬으로, ‘왕도의 보

장처’‘서울의 목구멍’‘한반도의 배꼽’등에 비유되기도 했다.6) 한강하류 지역은 우리나

라 역사에서 주도세력간의 분쟁 또는 외세의 침략으로 인한 공방전이 치열했던 곳이다.

강화도는 북쪽의 강화만을 사이에 두고 북한의 황해남도 판문군∙개풍군∙배천군과

치하고, 동쪽의 염하를 사이에 두고는 경기도 김포시와 마주하고 있다.7) 한강과 임진강이

유입하는 강화만은 경기만에 딸린 좁은 해역으로 그 폭이 넓은 곳도 10㎞내외에 그치고,

좁은 곳은 1.8㎞에 불과하다. 군사분계선은 이 만을 동서로 가로 지른다. 강화만은 사실상

한강하구의 연장이나 다름없으며‘조강’으로 불리우기도 했다. 한강은 유로연장이 482㎞

이고, 유역면적은 26,219㎢에 이르며 한반도의 하천 중에 가장 많은 유역 인구를 가지고

있다. 법령, 즉 하천법 시행령( 통령령 제 16535호, 1999. 8.9)상의 한강은 충청북도 단

양군 가곡면 사평리(하일천 합류점)에서 시작되어 경기도 김포시 월곶면 용강리 유도의

산정(해발 31m)부터 동남쪽으로 그은 직선 수역에 이르는 하천구간이다.8)

강화도를 한반도에서 떼어낸 염하는 강화도 북단의 월곶나루부터 남단의 황산도에 이르

는 해역으로 폭은 400~1,500m이고, 약 20㎞의 길이를 가졌다. 이러한 염하의 자연조건

은 강화도를‘평범한 섬’이 아닌‘역사의 고장’으로 만드는데 직접적인 향을 주었다. 염

하도 한강의 유출수에 향을 직접 받아 때로는 한강지류와 같은 인상을 주기도 한다. 오

늘날 염하에는 북부에 강화 교(신강화 교)와 남단에 초지 교가 놓여 강화도를 한반도

에 연륙하고 있다.

- 305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3

5) 강화군, 『군정주요시책 및 통계현황』(2002), p. 25

6) 『광해군일기』177권 14년 5월10일 (을사)와 동국 학교 강화도학술조사단, 『강화도학술조사보고서 제1책』

(1977), p. 31

7) 이 택, 『최신 북한지도』(서울 : 우진지도문화사, 1992), p. 8 등.

8) 범선규,「법령과 자연지리-지형관련 용어를 중심으로」,『한국지형학회지』(제9권 제1호, 2002), pp. 15-35와

건설교통부, 『한국하천일람』(2000), pp. 676-677.

Page 4: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Ⅱ. 강화도의 충적토과 농경지 개발

1. 강화도의 충적토

강화도는 섬이라고는 하지만 북에서 남으로 이어지는 섬 중앙부를 따라 봉천산(해발

291m), 고려산(해발 436m), 혈구산(해발 460m), 퇴모산(해발 338m), 진강산(해발

443m), 마니산(해발 469m), 길상산(해발 336m)이 솟아 있고, 해안 가까이에도 북단부

에 별악봉(해발 167m), 서부지역에 별립산(해발 400m), 국수산(해발 193m), 상봉(해발

254m) 등의 산지들이 다가서 있어 농경지로 개발할 수 있는 면적이 그리 넓지 않다.

강화도의 지질은 크게 인산천~선행천의 이북인 북부지역과 길정천~온수천을 경계로 하

는 동남부지역, 그리고 이들 사이의 중∙서남부지역으로 크게 나뉜다. 북부지역에는 연령

이 25억년 이상 된 시생 의 퇴적암(sedimentary rocks)∙화산암(volcanic rocks)에서 기

원한 편마암(gneiss)계열의 기반암(AR1)이 분포하며, 여기에는 봉천산, 고려산, 혈구산 등

이 솟아 있다.

중∙서남부지역에는 중생 쥬라기와 트라이아이스기의 심성암(plutonic rocks) 암상인

보화강암(Jgr)이 널리 나타나는데, 진강산∙마니산 등이 높게 솟아 인상적이다. 이 암석

의 생성연 는 략 2억년 안팎이다. 동남부지역은 10~16억년 된 원생 중기의 퇴적

암∙화산암 암상인 연천군층(PR2)에 길상산이 마니산과 마주보며 솟아 있다. 한편, 북동부

갑곶리 일 는 중생 쥬라기~트라이아이스기의 동층군이 좁게 나타난다. 이 동층군

은 염하 건너 맞은편의 김포시 월곶면 문수산으로 이어진다.9) 이처럼 지질과 큰 상관관계

를 보이지 않은 산지들 사이로는 크고 작은 하천수계가 발달하 다.

그림 1는 강화도의 충적토양의 분포를 보여준다. 이 그림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가 1978년에 발행한 정 토양도 제64호(강화군)(축척 1:25,000)에 의거하여 작성한 것

이다. 이 정 토양도는 1977년 9월부터 11월까지의 조사 결과를 기초로 작성되었다.10) 그

림에서는 충적토를 크게 하해혼성충적층과 기타 충적층을 모재로 한 충적토양으로 구분

- 306 -

4 「인천학연구」2-2호(2003. 12)

9) 한국자원연구소, 『한국지질도』(축척 1:1,000,000)(서울 : 성지문화사, 1995).

한지질학회, 『한국의 지질』(서울 : 시그마프레스, 1999), p. 206.

Bong Kyun Kim∙Yong Ahn Park, 「Outlines of Geology of the Kanghwa Island」,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vol.4 No1, 1968), pp. 27-37.

10)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정 토양도 제64호(강화군)』(1978), pp. 3-4.

Page 5: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하여 도시하 다.

강화도에 분포하는 충적토 중에서 하해혼성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명은 광활 미사질

양토(토양부호; Gw), 만경 미사질 양토(토양부호; Mg), 전북 미사질 양토(토양부호; Jb)

이다. 이 토양들은 모두 0~2% 경사를 보이는 하해혼성평탄지를 이루고 있다. 하해혼성충

적토는 강화군 전체 면적의 40%를 점유하는데, 만경 미사질 양토가 26.8%인 6,795㏊, 전

북 미사질 양토가 10%인 2,541㏊에 분포한다.11)

기타 충적층은 하성충적층, 곡간충적층, 충적붕적층을 포함한다. 강화도의 토양 중에 하

성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명은 덕천 세사 양토(토양부호; Dq), 석천 양토(토양부호; SE),

가천 사양토(토양부호; Gq), 함창 미사질 양토(토양부호; Hb)이며, 이들은 모두 0~2% 경

사를 지닌 하성평탄지로 강화군 전체면적의 2.2%인 535㏊를 점유하고 있다. 곡간충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명은 사촌 사양토∙양토(토양부호; ScB, SfB), 예천 양토(토양부호; YdB),

옥천 양토(토양부호; OcB), 용지 양토(토양부호; YjB), 희곡 사양토(토양부호; HEB)이다.

이 토양은 2~7%경사의 곡간지를 이루고 있고, 강화군 전체면적의 12.6%인 3,194㏊에 분

포하고 있다. 충적붕적층을 모재로 한 토양명은 뇌곡 사양토(토양부호; NkB), 곡 양토(토

양부호; DkB), 백산 양토(토양부호; BeB), 지곡 자갈이 있는 사양토(토양부호 JoB) 등이며,

2~7%경사의 곡간 및 선상 지를 이루고 있으며 강화군 전체면적의 7.9%인 3,229㏊의 분포

를 보인다.

강화도의 충적토는 오늘날 부분 논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해수의 향을 크든 작

든 받았을 하해혼성충적층이 주로 하천에 의해 퇴적된 충적토보다 약 2배 가까이 넓다는

것이 주목된다. 다만 이러한 하해혼성충적토가 일반적으로 언급되듯이 모두 주민들에 의

한 간척사업의 결과로 얻어졌는가 하는 점에 한 판단은 세심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인

간이 거주하기 이전에 이미 기에 노출된 하해혼성충적층의 존재 가능성을 전적으로 부

정하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때문에 강화도의 간척관련 연구나 자료들이 하해혼성충적층

을 모두 인공, 즉 간척에 의해 조성된 육지로 보고 간척이전의 해안선을‘원지형’으로 소

개하는 경우 면 한 접근이 필요한 것 같다. 우선‘원지형’의 의미부터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고 믿어진다.

- 307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5

11) 앞의 곳과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증보 한국토양총설』(1992), pp. 27-44.

Page 6: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08 -

6 「인천학연구」2-2호(2003. 12)

그림 1. 강화도의 충적토

강화도의 충적토는‘들’을 이루고 있다. 하해혼성충적토가 내륙 깊숙이 들어가 있으며, 마니산이 솟

아 있는 서남부지역은 하해혼성충적층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 그림의 원도인 축척 1:25,000의 정

토양도에는 축척 1:50,000인 개략토양도와 다소 달리 기재된 지역도 보인다〔자료: 농촌진흥청 농업

기술연구소가 1978년에 발행한 정 토양도 제64호(강화군)〕

Page 7: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2. 강화도의 농경지 개발

강화도에서 가장 오래된 인간거주의 흔적으로는 B.C 6,000~3,500년의 신석기유적을

꼽을 수 있다. 선사유적으로는 하점면의 다송천과 삼거천의 분수계 주변 구릉지에 집중되

어 있는 150여기의 고인돌이 표적이다. 강화도는 한강유역의 지배자를 결정하는 데 큰

향을 주었던 해상교통로상의 길목에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오랫동안 교통∙군사적 요충

지로 인정되어 왔다. 특히 고려와 조선시 를 거쳐 한국전쟁에 이르기까지 한반도 중부에

서 있었던 수차에 걸친 전란은 강화도의 군사지리적 의미를 거듭 확인시켜 주었다. 강화도

는 고려 이후 주요 전란 때마다 이것을 극복해내는 전초기지 또는 주무 로 등장한 것이다.

고려의 몽항쟁기에는 임시 수도가 건설되어 40여년에 걸친 강화경(江華京)시 를 갖기

도 했으며, 이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큰 전란 때마다 그 중요성이 또 다시 확인되었다.12)

급기야 19세기 말이후 병인양요, 신미양요, 강화도조약,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세계인의

관심속에 역사의 전면에 나서게 된다. 강화도의 이러한 역사는 고려의 왕도 던 개성과의

거리가 약 30㎞에 불과하고, 조선시 이후 줄곧 한반도의 수도로서 역할을 지속해온 서울

과도 60㎞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강화도의 위치를 고려하면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다.13)

강화도는 이렇게 한반도가 전장으로 유린당하거나 왕도나 수도가 위기에 처할 때마다

그 존재가 크게 부각되었다. 반면에 국가가 평온한 시기에는 크게 주목을 끌지는 못했던

지역이었던 것 같다. 이것은 강화도가‘삶의 터전’이라는 측면에서 보면 호감을 줄 수 있

는 여건이 많지는 않았음을 반증하는 것일 수도 있다. 사실 생활을 농경에 절 적으로 의

존했던 시 에는 강화도가 인간이 거주하기에 좋은 조건을 갖추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림 2는 축척 1 : 50,000지형도에 표현된 강화도의 주요 수계를 토 로 하여 작성한 것

이다. 이들 수계 가운데 지방2급하천은 14개소, 소하천은 42개소가 지정되어 있다.14) 지방

2급하천은 숭릉천, 다송천, 덕하천, 교산천, 삼거천, 내가천, 삼흥천, 인산천, 덕교천, 길정

천, 온수천, 삼동암천, 동락천, 선행천이다. 이들 하천 각각의 유로 연장은 2.5~9.72㎞, 유

역면적은 4.5~33.2㎢의 범위 안에 들어 있다(표 1). 법정하천을 포함한 강화도 하천들의

유로연장 중에 상당한 구간은 과거 간석지상에 발달했던 갯골에서 연유한것이다.

- 309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7

12) 강화군, 『CD-ROM 신편 강화사』(서울: 동방SnC, 2003).

13) 강화군, 『CD-ROM 신편 강화사』(서울: 동방SnC, 2003).

14) 강화군, 『군정 주요 시책 및 통계현황』, (2002), p. 48.

Page 8: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강화도에는 한반도의 중부지역이 전장으로 바뀌거나 또는 군사적인 필요성에 의해서 반

도부의 인구가 유입되었을 것으로 믿어진다. 그런데 강화도에는 면적에 비해 상 적으로

높은 산지가 많은 지형조건상 농경지가 충분하지 못했다. 때문에 농경지 부족에 관한 책

으로 간척사업을 적극 추진했을 것이다. 특히 강화도의 역사상 가장 인구가 많았을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의 강화경시 15)에 간척이 가장 적극적으로 시행되었을 것으로 믿어진다.

그런데 강화도의 지형조건은 한강∙예성강 등에 의해 공급되었을 것으로 믿어지는16) 토사

가 주로 쌓인 간석지가 넓게 발달한 것을 제외하면 간척사업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지 못했

다. 무엇보다도 간척지의 소금기를 제거하고 논농사에 필요한 담수의 공급량이 절 부족

하고, 방조제를 축조하는데 다량 소요될 각종 자재의 공급도 반도부와 해상으로 격리되어

있어 수급에 불편이 따랐다. 또한 내륙 깊숙이 들어오고 입구가 좁아 간척에 유리한 해안

- 310 -

8 「인천학연구」2-2호(2003. 12)

15) 강화군, 『CD-ROM 신편 강화사』(서울: 동방SnC, 2003).

16) 권혁재, 「황해안의 간석지 발달과 그 퇴적물의 기원」,『 한지리학회지』(제10집, 1974), pp. 1-12.

———, 「한강하류의 충적지형」,『사 논집(고려 )』(제9집, 1984), pp .79-113.

하천명 유로연장(㎞) 유역면적(㎢) 들(평) 하구지형

숭릉천

다송천

덕하천

교산천

삼거천

내가천

삼흥천

인산천

덕교천

길정천

온수천

삼동암천

동락천

선행천

6.00

5.00

4.00

5.70

9.72

9.00

5.00

3.00

2.50

5.00

6.00

8.00

7.50

5.84

18.90

11.80

7.00

8.70

26.40

23.50

15.00

4.50

3.30

33.20

13.20

32.50

19.20

7.10

송정들

-

(교산들?)

삼성들

망월들

오상들

장지들

장지들

선두들

선두들

굴곶들

청들

조산들

조산들

시장곶돈

승천포돈

널다리돈

-

창후리선착장

-

-

삼흥천지류

-

선두포둑

덕진진

화도돈

갑곶돈

동락천지류

표 1. 강화도의 주요 하천과 들(평야)

자료 : 건설교통부, 『한국하천일람』(2000), pp. 282-283.

한 학회, 『한국지명총람 17(경기편)상』(1985), pp. 57-152.

Page 9: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11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9

그림 2. 강화도의 수계

1:50,000 지형도에 하천도식으로 그려져 있는 수계이다. (자료: 국립지리원이 1976년 또는 1984년

에 편집하여 1988~1991년 사이에 인쇄한 1 : 50,000 지형도 강화∙교동∙김포∙개성 도엽).

Page 10: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만입지형도 드물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최 의 조차를 보이는 경기만에 들어 있

어 조차에 따른 조류의 유속도 빨라 방조제를 축조하는 데도 어려움이 따랐을 것이다. 조

차가 5.5m 내외인 북부 해안보다 최 11m가 넘게 나타나는 남부해안에서 간척은 더욱

어려웠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생존을 위한 식량생산을 위해 불가피했을 방조제의 축조는 험난한 조건 속에서

도 진척되었으며, 몽항쟁기와 18세기의 간척사업은 정사 사료에도 그 흔적이 곳곳에 남

아 있다. 특히 18세기에 강화도 남부 선두포에서 시행되었던 방조제 축조 등과 관련된 간

척사업은 구체적인 기록이 남아 있다.17)

강화도의 간척과 관련해서 주목을 끄는 내용 중에는 오늘날 하나의 섬을 이루고 있는 강

화도가 본래는 독립된 여러 개의 섬으로 나뉘어 있었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견

해는 1930년 에 이미 널리 알려져 있었던 것 같다. 최남선은‘강화도가 본래는 하음산,

고려산, 혈구산, 별립산, 진강산, 길상산, 마니산 등으로 독립하 었는데, 한강의 유사(�

沙)가 이것들을 연결하여 드디어 하나의 섬을 만든 것이 아닌가 하는 설이 있다’고 했다.18)

그가 어떠한 자료를 근거로 이러한 설을 소개하고 있는지는 분명치 않지만 조선 후기에 제

작된 각종 지도류와 1970년 에 농업토양전문가들에 의해 이루어진 조사 성과를 토 로

제작한 정 토양도를 통해서 강화도의 분도설의 일부 내용은 확인할 수 있다.19)

강화도에서는 방조제인 선두포둑을 축조한 18세기 이후 일제강점기가 끝날 때까지 규

모가 큰 간척사업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특히 우리나라 서해안의 곳곳에서 농장과 수리

조합을 조직해가면서 규모의 간척사업을 추진했던 일본인들에 의한 간척사업도 강화도

에서는 눈길을 끌 만한 내용이 없었다. 주민들에 의하면 일본인은 강화도에서 신품종의 개

발과 이앙시 줄을 이용하는 줄모 등의 새로운 농법보급에 다소 공헌 했을 뿐이다. 다만 오

늘날 강화군에 속해 있는 교동도(수정면)에서는 일본인인 야마자키 도쿠가 1920년 6월 2

일에 논을 조성할 목적의 토지개량보조사업으로 간척허가를 받아 1929년 10월 14일에

준공을 보았을 뿐이다. 이 간척사업은 모두 150정보의 지구면적 가운데 115정보를 개답

하 으며, 공사비로 모두 326,012円을 지출했다. 이것은 간척농지 1정보당 2,835円을 지

- 312 -

10 「인천학연구」2-2호(2003. 12)

17) 김의원, 『한국국토개발사연구』(서울: 학도서, 1982), pp. 165-174.

18) 고려 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편,『육당 최남선전집 3』(서울 : 현암사, 1972), p. 421.

19) 강화군, 『강화 옛 지도』(2003)와 본고의 그림 1참조.

20) 朝鮮總督府, 『昭和 十二年度 朝鮮土地改良事業要覽』(1939), p. 182.

Page 11: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출한 셈이다. 이 공사비는 경기도 중남부 해안에서 비슷한 시기에 준공된 간척사업이 1정

보당 1,700~2,200円이 소요된 것에 비하면 상 적으로 많은 것이다.20)

강화도에서 일제강점기에 간척사업이 활발하지 못했던 점은 당시 강화도의 지형과 수문

(수리)이 간척에 결코 유리하지 않아 투자 효율성이 낮았다는 점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

했을 것으로 보인다. 강화도의 간척사업은 해방 이후에도 1961년에 유엔특별기금에 의한

한국간척적지조사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황산도 간척지 60㏊에 한 시범사업(1963년

11월~1966년 12월)과 길정천 하류의 동주농장 간척사업을 제외하면 주민들의 큰 관심

을 끌었던 사업은 없었던 것 같다.21)

강화군의 경지면적은 1965년에 17,469㏊(논 13,249㏊, 밭 4,220㏊)이던 것이 1975년

에는 17,805㏊(논 13,278㏊, 밭 4,527㏊)로 다소 증가했으나, 1985년 들어서는 17,042

㏊(논 13,433㏊, 밭 3,609㏊)로 감소했으며, 1999년에는 16,945㏊(논 12,967㏊, 밭

3,978㏊)로 더욱 줄어들었다. 반면에 미곡(쌀)생산량은 1965년에 28,435M/T에서 1999

년에는 60,231M/T로 급증하 다.22)

우리나라에서는 1990년 이후에 논농사와 직∙간접으로 관련된 농업환경이 악화되었

을 뿐만 아니라 쌀소비량의 급감 등으로 논농사가 새로운 위기에 닥쳐 있다. 오늘날 강화

도의 농민들은 이러한 시 적 난관을 극복해나가기 위해 미곡의 생산량 증 보다는 강화

쌀의 품질과 인지도를 높여, 판매량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다.23) 2003년 현재 강화도의

읍∙면에는 농협 등에서 농민과 소비자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한 벼의 건조장∙보관∙

도정∙판매를 일괄 처리하는 미곡종합처리장(RPC)를 운 하고 있다. 각각의 미곡종합처

리장에서는 고유한 상표를 붙인 포장 쌀 소위 브랜드 미(米)가 생산되고 있다(사진 1 ).

‘강화도 태양미’, ‘�花에 月白하고’, ‘강화도 꿈의 햇쌀’(이상 강화농산, 하점면 망월리),

‘生氣處 강화섬 마리쌀’(화도농협), ‘송해면 쌀’(송해면 두레회), ‘강화섬쌀’(강화읍∙강

화농협미곡처리장), ‘강화섬 으뜸쌀’(강화 삼도농협 미곡종합처리장), ‘무농약쌀’, ‘들국

화’(이상 강화농산 RPC, 내가면 외포리), ‘강화도 雪花’(강화농산, 하점면 망월리), ‘강화

도령쌀’(강서농협) 등이 그 예이다.24)

- 313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11

21) 강화문화원, 『증보 강화사(재판)』(강화 : 강화문화원, 1988), pp. 74-748.

22) 강화군(또는 인천광역시) 발행의 해당년도 통계연보와『CD-ROM 신편 강화사』(서울: 동방SnC, 2003).

23) 강화군 농업기술센터, 『강화섬쌀-우리가 지킬 수 있습니다』(2003), pp. 19~23.

24) 강화군 농업기술센터 내 강화농경문화관 전시자료.

Page 12: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사진 1. 미곡종합처리장과 포장쌀상표(강화군 하점면)

Ⅲ. 강화도의 수리시설

1. 보와 저수지

강화도의 농업수리시설 중에 전통적인 것으로 보(洑)가 있다. 보는 거의 전부 작은 하천

에 설치되는 수리시설로 우리나라의 다른 지역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보막이에는 흙∙나

뭇가지∙가마니 등을 사용했다. 보는 일반적으로 비교적 오래된 취락의 인근 하천에 설치

되고 일제강점기에 접어들어서도 초기에는 새로운 관개수원의 개발보다는 기존의 보를

개수하여 사용하는데 그쳤다.25)

강화도내에서 보가 설치되고 관개에 이용했던 곳은 주로 하천 중상류 연변의 논이었다.

이곳의 토양은 부분 하성충적층, 곡간충적층 등의 충적토이며, 하해혼성충적층, 즉 간석

지를 흐르는 하천유로구간에는 보를 설치하지 않았던 것 같다. 이것은 보가 기본적으로 고

도차를 이용해서 관개하는 수리시설인데 반하여 하해혼성층을 흐르는 하천의 유로는 물

- 314 -

12 「인천학연구」2-2호(2003. 12)

25) 범선규, 「 산강유역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문화역사지리』(제14권 제2호, 2002), p. 2.

Page 13: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매가 극히 완만하고, 농경지간의 비고차도 매우 작아 설사 보를 막는다고 해도 관개의 효

율성이 낮았기 때문일 것이다.

보를 설치했던 하천수계는 북동부의 다송천∙동락천, 북서부의 삼거천, 중동부의 삼동

암천이었다. 이 하천들의 중상류에는 략 1~3개의 보가 설치되어 있었다. 보는 부분

경지정리 사업이 시행되기 전까지 쌓았으며, 재료는 흙과 가마니를 사용했다. 보가 설치되

었던 하천연안은 강화도내에서도 주거의 역사가 오래며, 주변 구릉지에는 선사유적인 고

인돌이 집중되어 있기도 하다. 다만 이들 보는 반도부의 다른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보

보다 규모가 작았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강화도내의 하천의 크기가 작았기 때문이었다. 때

문에 주로 보에 의존했던 농경지는 사실상 하늘받이논(천수답)이나 다름없었으며, 보는

각 마을 단위 또는 수리계 단위로 관리했었다.

전통적인 흙보는 1980년 이후 지역별로 본격 시행된 경지정리 사업과 함께 하천정비사

업이 병행되면서 낙차공, 취입보 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로 체되었으며, 일부 보막이 자리

에는 제수문을 세워 보의 기능을 가지게 했다. 오늘날 강화도에서 관개에 크게 활용되는 보

는 거의 없다.26) 다만 행정기관의 현황자료에는 8개의 보가 파악되어 있다(그림 3).27)

강화도에서는 보보다 오히려‘계동막이’로 지칭되었던 수리형태가 더 많이 사용되었던

것 같다. 이 수리방법은 골짜기나 비고가 높은 논에 추수 후부터 담수를 하고 이앙기에는

가장 높은 곳의 논에서부터 이앙을 한 후 아래의 논으로 차례차례 물을 내리면서 모내기를

마치는 방식이다. 그리고 반 로 비고가 낮은 논이나 담수지에서 물을 용두레 등을 이용하

여 다단계로 퍼 올려가면서 관개용수를 확보했던 수리방법도 행해졌다. 1단계씩 양수하는

것을‘턱질’이라고 했으며, 많은 경우 6턱질, 즉 6단 양수까지 했다고 한다. 이러한 관개방

식은 일제강점기에 강화도에 들어온 일본인들도 감탄했던 방법이기도 하다. 그래서 주민

들 중에는 농업수리에 관한한 일본인들이 강화사람들에게 배워갔다고 믿는 사람도 있다.28)

강화도에는 저수지가 20개소가 있는데,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에서 11개소, 강화군에

서 9개소를 관리하고 있다(그림 3).29) 현재 수리시설로 사용하고 있는 저수지 중에 설치년

도가 가장 오랜 것은 박공재저수지(불은면 삼성리)이다. 이 저수지는 1950년에 준공되었

26) 농림부∙농업기반공사,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통계연보』(의왕:1999-2002)와 현지조사.

27) 강화군청 건설과 자료.

28) 길상면 초지리 거주 김만제(당 72세)님 등과의 면담.

29) 강화군청 건설과와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 현황자료(2003).

- 315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13

Page 14: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다. 박공재는 제당 높이가 5m이고, 길이는 96m이며, 수혜면적은 38㏊로 소류지에 가까운

것이다(사진 2). 이 저수지가 특이한 점은 제당의 중앙에 수문형의 여수토를 달고 있고, 모

내기 전과 후의 만수면적이 크게 달라진다는 점이다. 그것은 모내기 전에는 담수량을 최

한 늘려 관개용수로 사용하고 그 뒤에는 저수지의 외곽을 논으로 조성해 모내기를 하기 때

문이다.

- 316 -

14 「인천학연구」2-2호(2003. 12)

그림 3. 강화도의 보∙저수지

강화도의 저수지는 고려저수지와 길정저수지를 제외하면 수혜면적이 그리 넓지 않다. 저수지는 계

곡 뿐 만아니라 하구가까이에도 조성되어 있다. 보는 강화도의 북동부에 많았다(자료: 강화군청과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의 현황자료).

Page 15: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17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15

사진 2. 박공재저수지(강화군 불은면)

사진 3. 고려저수지(강화군 내가면)

Page 16: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또 다른 저수지 가운데 1950년 에 준공된 저수지는 고려저수지(내가저수지, 내가면 고

천리)와 이 저수지의 상류수계에 조성된 신선저수지(내가면 고천리)가 있다. 이들 저수지

는 모두 1950년에 착공하여 1957년에 동시에 준공한 것이다. 고려저수지는 강화도에서

가장 큰 저수지인데 유효저수량이 3,156천 톤으로 1,372㏊의 수혜면적을 가졌다(사진 3).

1960년 에는 길상 1∙2저수지(길상면 장흥리), 선행저수지(선원면 선행리)가, 1970년

에는 하일∙인산저수지 등 6개소의 저수지가 준공되었다. 길상 2저수지는 초지저수지∙

온수리저수지로 불리우기도 했으며 황산도 간척사업과 관련해서 축조된 것이다(사진4). 이

저수지의 축조로 강화도에서 유일하게 자염을 생산하던 염벗(등)이 수잠되었다.30)

1960년 에 축조된 저수지는 길상 2저수지를 제외하고는 거의 전부 50㏊미만의 수혜

면적을 가진 소류지나 다름없다. 1980년 에 들어서는 길정∙ 산 저수지가 축조되었는

데 이들 저수지는 수혜면적이 상 적으로 넓어졌다(표 2). 1990년 이후 모두 3개소의

저수지가 설치되었는데 수혜면적은 그리 넓지 않으며, 하점저수지(하점면 삼거리)는 현재

공사 중이다

그런데 강화도의 저수지와 관련해서 하점면 봉가지(奉哥池)를 1107년 이전에 축조되

었던 저수지로 보는 견해가 있어 흥미롭다. 현재 봉가지는 약 33㎡정도의 연못이 시멘트

조로 보수되어 강화군의 보호를 받고 있다(사진 5).31)

- 318 -

16 「인천학연구」2-2호(2003. 12)

30) 강화문화원, 『증보 강화사(재판)』(강화 : 강화문화원, 1988), p. 746.

31) 농업기반공사, 『한국수리시설의 변천과 문화유산』(2002), pp. 183-185.

명 칭 소재지 준공연도 수혜면적(㏊) 유효저수량(천톤)

고려

길정

인산

길상2

국화

내가∙고천

양도∙길정

송해∙숭뢰

양도∙인산

길상∙장흥

강화∙국화

1957

1989

1980

1977

1962

1978

1,372

724

289

259

241

101

3,156

4,623

1,218

530

1,325

1,132

표 2. 강화도의 주요 저수지 현황(수혜면적 100㏊ 이상)

자료 :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 수리시설현황(2003)과 강화군청 건설과 현황자료.

환경처, 『호소편람(부록)』(1994), p. 37.

Page 17: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19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17

사진 4. 길상2저수지(강화군 길상면)

사진 5. 봉가지(강화군 하점면)

Page 18: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20 -

18 「인천학연구」2-2호(2003. 12)

2. 하도저수지와 양수장

강화도내의 부분의 하천은 반도부의 하천과는 다른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하천

의 상류와 하류부가 급변하는 종단면을 갖는 하천이 다수이다. 숭릉천, 다송천, 길정천, 온

수천, 삼동암천 등이 그 예이다. 하천 하류부의 종단면이 극히 완만한 것은 이 구간이 과거

에 넓은 간석지에 발달한 갯골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석

지의 경사는 육지부 해안지역에 비해 완만하기 때문에 간석지에 방조제를 쌓고 간척을 한

다음 연장된 하계 유로는 극히 완만할 것으로 믿어진다.

두 번째로 하천규모에 비하여 넓은 연안의 농경지에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바다와

만나는 하구부에 배수갑문을 설치하고 하도의 중간에는 제수문을 설치하여 건기나 이앙

기를 앞두고는 수문을 폐쇄하여 하천유출량을 하도내에 담수하는 하도저수지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으며, 우기에는 수문을 모두 개방하여 홍수소통을 위한 하천으로서의 기능

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사진 6, 7).

하구부 배수갑문에는 수직인양 sluce gate 외에 자동문비인 flab gate를 추가 부착하여

바닷물의 역류를 차단하고 있다.32) 하도저수지는 강화도내 주요하천 하류구간에 조성되어

있으며, 하천경사를 반 하여 담수구간을 늘리고 하류쪽의 침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의

역할을 겸하는 제수문을 설치하여 수위를 높이고 저수량을 늘리기도 한다. 주요 하도 저수

지의 담수량을 보면, 화두배수갑문과 3개의 제수문을 구비한 삼동암천은 605천 톤, 숭릉

천( 산배수갑문)은 322천 톤이고, 길화배수갑문과 2개의 제수문을 설치한 길정천은

636천 톤, 덕하천은 76천 톤, 배수갑문과 1개의 제수문이 있는 다송천(당산배수갑문)은

267천 톤, 삼흥천(장지포배수갑문) 200천 톤을 담수할 수 있으며 구리포배수갑문만 설

치된 온수천의 하도 저수지에도 287천 톤의 담수능력이 있다.

하도 저수지 중에 일부는 연중 일정한 수위를 유지하여 수변 식생이 무성하다. 수변 식

생은 체로 갈 가 우점하고 있지만 그 외에 물억새, 띠, 줄 등의 키가 큰 벼과식물로 분

포하고 있으며 드물게 갯버들과 같은 관목류가 출현하기도 한다.33) 수변 생태는 어류의 서

식을 돕고 자원을 풍부하게 하여 낚시터로 이용되는 곳도 적지 않다.

32) 강화군, 『지방2급하천 하천정비기본계획』(2001), p. 36.

33) 강화군, 『지방 2급하천 하천정비 기본계획』(2001), p. 36과 p.74.

Page 19: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21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19

사진 6. 삼동암천의 화두배수갑문의 담수상황(강화군 불은면)

사진 7. 삼동암천의 화두배수갑문의 배수상황(강화군 불은면)

Page 20: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한편 자연상태에서 하구의 한쪽에 기반암이 노출되어 단애부를 이루고 있는 하천의 하

구에는 갑문이 설치되어 곧바로 바다로 배수되는 경우가 많다. ‘~곶’으로 주로 불리우는

하구의 기반암부는 헤드랜드(headland)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헤드랜드와 해드랜드 사이

에는 간석지가 잘 발달되고 헤드랜드 위에는 진∙돈 등의 군사시설들이 거의 예외없이

들어서 있다. 강화도에는 해안을 따라 12진보 54돈 8포 가 설치되었는데 동부의 염하

와 북동부의 강화만에 특히 집중되어 있다. 이것은 이 구간에서는 헤드랜드와 헤드랜드 사

이가 가깝다는 것을 의미하며, 간석지를 간척하기 위해 쌓은 방조제의 규모가 강화도 서부

해안의 그것보다 짧다는 것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의 서부해안의 곶은 인근 곶과의 간격이

멀고 그 결과 간석지 개간을 위한 방조제도 길게 막았다. 그리고 하천의 하구도 부분 남

북으로 길게 축조된 방조제의 중앙부분으로 유도되어 갑문을 설치하기도 한다.

그런데 부분의 방조제는 제방 안쪽과 농경지 사이에 하도와 연결되는 수로가 조성되

어 하도저수지의 기능을 겸비하고 있다(사진 8, 9). 방조제가 조수를 차단할 뿐만 아니라

간척지에 담수를 공급하는 저수지 제방역할도 겸하고 있는 것이다. 방조제의 이러한 역할

은 강화도의 간척의 역사와 같이 했을 것으로 믿어진다. 담수가 충분하지 못한 강화도에서

간척과 농경지 개발을 위해서는 담수의 확보가 가장 중요했을 것임이 분명하다.

방조제를 수리시설의 하나로 인식한 것은 구한말에서도 마찬가지 던 것 같다. 1908년

에 조사한 결과를 1909년에 농상공부 농무국에서 간행한『제언조사서 제 1』에 의하면 강

화군에는 모두 11개소의 제언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다. 그런데 11개소가 모두‘~堰’

으로 되어 있어 주목된다. 제언명과 소재지를 예를 들면 굴곶언(초지동 굴곶평), 가리언

(선원면 신당동 신당평), 가릉언(상도면 하일동 가릉평), 청포언(길상면 선두동 선두

평) 등이다.34)

그리고 방조제가 방수와 함께 관개용수를 담수하는 중요한 수리시설이었음은 해방 후

1956년에 설립된 강화도내 8개 방조제수리조합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당시 강화도

에는 강화∙심도∙선원∙길상∙선두∙진남∙장지포∙양사∙송해 수리조합이 있었는데,

저수지를 관개수원으로 한 강화 수리조합을 제외하고 모두 방조제가 방수를 겸한 관개시

설이었다. 방조제 수리조합의 관할구역과 수헤면적을 살펴보면 심도수리조합은 동락천∙

- 322 -

20 「인천학연구」2-2호(2003. 12)

34) 農商工部 農林局, 『堤堰調査書 第一』(京城, 1909), p. 6.

Page 21: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23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21

사진 8. 하도저수지 1(강화군 내가면)

사진 9. 하도저수지 2(강화군 길상면)

Page 22: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24 -

숭릉천 유역의 송정들 299정보, 진남수리조합은 연내천∙능안천유역의 가능들 290정보,

선원수리조합은 삼동암천 유역의 청들 280정보, 장지포수리조합은 인산천유역의 장지

들 280정보, 선두수리조합은 길정천 유역의 선두들 254정보, 송해수리조합은 다송천유역

의 240정보, 길상수리조합은 온수천 유역의 굴곶들과 산뒤천 유역의 황산들 150정보, 양

사수리조합은 교산천유역의 삼성들 112정보이다.35) 이 같은 자료는 1950년 강화도의

방조제는 략 200~300정보의 농경지의 관개와 방수에 향을 주었음을 보여주는 것이

다. 각 방조제 조합의 조합원수는 156~422명 이었다. 이들 방조제 수리조합은 1961년에

강화수리조합에 병합되었다. 구 강화수리조합은 1950년에 신설되었다가 이때 방조제조

합들과 합병한 것이다. 강화수리조합에서는 1965년에 강화 및 간척지구를 분리해 고려토

지개량조합이 신설되었다.36) 이후 강화수리조합은 1970년에 강화농지개량조합, 2000년

에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로 개편되었다.

강화도에는 국가관리 방조제 12개소, 인천광역시관리 방조제 16개소, 강화군관리 방조

제 13개소가 있다.37) 국가관리방조제는 거의 전부 농업기반공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이것

은 강화도의 주요 방조제가 모두 농업수리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강화군에는 모

두 94개소의 방조제가 있으며, 그 길이는 119㎞에 달한다. 방조제에 의한 관개면적은

6,332㏊에 이르고, 배수갑문은 112개소에 190련이 있다.38)

양수장은 지형의 불리함, 즉 비고차를 극복하기 위한 수리시설이며, 수원이 풍부한 하천

의 공격면 또는 인공호수가 등에 설치된다.39) 강화도에는 수원이 풍부한 하천이나 호수가

드물다. 때문에 강화도의 양수장은 하구에 배수갑문을 설치하고 하도를 넓고 길게 파서 조

성한 하도저수지와 방조제 안쪽의 담수로의 물을 끌어 올리는 것이 부분이다. 즉, 강화

도의 양수장은 방조제, 배수갑문, 하도저수지와 결합된 형태를 띠고 있다. 강화도의 양수

장은 2003년 1월 현재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가 관리하는 것이 17개소, 군에서 관리하는

양수장 7개소 등 모두 24개소가 있다(그림 4). 농업기반공사에서 관리하는 양수장은 거의

22 「인천학연구」2-2호(2003. 12)

35) 경기사전편찬위원회, 『京畿事典』(1959), p. 76, pp. 431-432와 강화문화원, 『증보 강화사(재판)』(1988),

p. 674; 한수리조합연합회, 『토지개량사업통계연보』(1955), pp. 16-17.

36) 토지개량조합연합회, 『토지개량사업 20년사』(서울 : 1967), pp. 404-405, pp. 508-509.

37) 강화군청 건설과, 『방조제 현황』과『방조제 관리 장』( 2003).

38) 강화군, 『군정 주요 시책 및 통계현황』( 2002), p. 48.

39) 범선규,「하천공격면의(cut-bank)의 주변지형과 이용」,『2003동계한국지형학회 제30차학술발표요약문』

(2002), pp. 69-72.

Page 23: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25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23

그림 4. 강화도의 양수장과 배수관문

강화도의 양수장으로 길정양수장이 가장 중요하며, 망월들과 가릉들에 중규모의 양수장이 다수 설

치되어 있다. 양수장 중에는 저수지로 양수하는 것도 여럿 있다. 배수갑문은 강화도의 하천 하구에

거의 전부 설치되어 있다(자료: 강화군청과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의 현황자료).

모두가 1990년 이후부터 2002년 사이에 설치된 반면에 강화군관리 양수장은 거의 전

부 1970년 후반에 설치되었다.40) 양수장에 의한 수혜면적은 2,500㏊이다. 현재 이용되

고 있는 수혜면적 100㏊이상인 주요 양수장의 현황은 표 3과 같다.

40)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 『수리시설현황』(2003)과 강화군청 건설과 자료.

Page 24: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강화도에서 가장 넓은 수혜면적을 가진 길정양수장은 1989년에 길정저수지 축조와 함

께 설치된 양수장이다. 이 양수장은 펌프 400m/m ×3 와 전동기 225HP×3 의 설비를

갖추고 있으며, 하도저수지에 담수된 물을 약 30m 이상 끌어올려 길정저수지에 담는다

(사진 10). 이 외에도 하도저수지의 물을 끌어 올려 저수지에 담수하는 양수장으로 삼거

양수장(450m/m×2 , 600HP×2 ), 산양수장(400m/m ×2 , 40HP×2 ), 길상양

수장(300m/m×2 , 30HP×2 )이 있다(사진 11). 이들 양수장은 각 저수지 담수용량

의 30~60%를 채우고 있다.41)

현재 사용 중인 강화도의 양수장 중에서 설치한지가 가장 오래된 양수장은 신정2 양수

장(선원면 신정리, 200m/m×20HP)이다. 이 양수장은 1945년에 설치되었으며, 10㏊의

수혜면적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강화수리조합(강화군 내가면 소재)의 주된 수원공이

1954년 당시에는 양수기 다. 이 수리조합의 수혜면적은 900정보 는데, 관개에 양수기

의 역할이 상당했던 것 같다.42) 이후 1971년 초까지 양수장의 추가 설치는 없었으나

1972년부터 1981년까지의 사이에 모두 6개소에 양수장이 설치되었다.43) 양수장은 1990

년 이후 폭 확충되었다.

- 326 -

24 「인천학연구」2-2호(2003. 12)

명 칭 소재지 준공연도 수혜면적(㏊) 실양정(m)

길정

삼거

망월

이강

진남

창후

문산

길상∙온수

하점∙삼거

송해∙송뢰

하점∙망월

하점∙이강

양도∙능내

하점∙창후

화도∙문산

비 고

길정저수지로 양수

삼거저수지로 양수예정

산저수지로 양수

1989

1997

1980

1995

1997

1996

1994

2002

700

300

291

200

182

129

100

100

28.20

82.80

4.5

4.54

11.60

3.9

4.2

6.0

표 3. 강화도의 주요 양수장 현황(수혜면적 100㏊ 이상)

자료 :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 수리시설현황(2003)과 강화군청 건설과 자료.

41) 농업기반공사 강남지소장 김현배님, 강서지소장 조창현님과 송선근님 등의 제보에 의함.

42) 경기도지편찬위원회, 『경기도지 중권』(서울 : 1956), p. 568.

43) 농수산부∙농업진흥공사, 『수리시설물∙수원공일람표(5-1) 서울, 인천, 경기, 강원)』(1986), 5-12, 5-13.

Page 25: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27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25

사진 10. 망월양수장(강화군 하점면)

사진 11. 길상양수장(강화군 길상면)

Page 26: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28 -

26 「인천학연구」2-2호(2003. 12)

사진 12. 형관정(강화군 하점면)

사진 13. 소형관정(강화군 길상면)

Page 27: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29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27

강화군에는 ∙소형관정이 6,000여 개소에 이른다(사진 12, 13). 관정의 부분은 농

민 개개인이 관리하는 소형관정이고 형관정은 약150 개소이다. 형관정 중에서 양수

량이 많은 관정은 1988년 이후에 설치되기 시작했다. 이들 형관정은 펌프구경이 50

~300m/m이며, 전동기는 5~10HP으로 일일 총 양수량은 150~600㎥, 실양정은

50~122m에 이른다.44) 이들 형관정은 저수지와 양수장을 중심으로 짜여진 수리체계를

보완해 주고 있다. 개인이 설치하고 관리하는 소형관정도 그 수가 크게 늘면서 실질적인

수리시설로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Ⅳ. 강화도의 수리체계

1. 강화지구의 수리체계

강화지구는 강화도 서부인 하점면과 내가면 일 에 설치된 수리지구이며,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 강서지소(내가면 오상리 소재) 관내에 속한다. 지구 내에는 삼거천∙내가천이

별립산∙봉천산∙고려산∙혈구산∙퇴모산 등지에서 흘러내린 강우를 모으면서 서류하여

바다로 유입한다. 좁은 해협 건너 석모도에는 상주산(264m)이 솟아 있다. 삼거천에는 중

상류의 하점들과 하류의 망월들(망월평)이, 내가천에는 오상들이 펼쳐져 있으며 전체 논

면적은 략 15㎢이다. 이 지구는 수리체계가 갖추어지기 이전에 가뭄에 한 응이 들

에 따라 달랐다. 하성충적층인 하점들은 건답직파와 파 등을 실시 하 으나 간척지에 조

성된 망월들에서는 건답직파나 파가 불가능했다.

강화지구에는 저수지 4개소(공사 중인 1개소 포함), 양수장 6개소, 형관정 14개소, 방

조제 약 6㎞와 그에 딸린 배수갑문 5개소가 있다(그림 5). 저수지로는 강화도내 최 규모

인 고려저수지를 필두로 신선∙황청∙하점(공사중) 저수지가 있다. 고려저수지는 1950

년에 착공했으나 한국전쟁의 발발로 공사가 중단되었다가 1957년에야 준공을 보았다. 이

저수지는 제당길이는 463m, 높이 9.1m, 폭 5m 규모이며 3,260천톤을 저수하여 1,372㏊

의 논에 관개용수를 공급한다(사진 3 참조). 신선저수지는 고려저수지의 상 류 수계에 축

조된 저수지로 고려저수지와 함께 시공되었으며, 제당길이는 225m, 높이가 10.2m, 폭은

5m 이다. 황청저수지는 1990~1995년에 시공하 으며, 제당은 길이 297m, 높이 15m,

44)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 『수리시설현황』(2003).

Page 28: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0 -

폭 5m로 65.4㏊에 관개용수를 공급한다. 현재 하점저수지(하점면 삼거리)는 조성공사가

전행중이며 2004년에 준공할 예정이다.

양수장은 삼거∙이강∙망월∙창후∙창후보조∙오상 양수장이 설치되어 있다. 삼거양수

장(펌프: 450m/m×2 , 전동기: 600HP×2 )은 총양수량이 1.4T/S이다. 이 양수장의 실

양정고는 82.80m(전체양정 91.0m)이며, 수혜면적은 300㏊인데, 하점저수지에도 물을 끌

어 올려 담수할 예정이다. 이강양수장(350m/m ×2 , 80HP×2 ), 망월양수장(550m/m

28 「인천학연구」2-2호(2003. 12)

그림 5. 강화지구의 수리체계

이 지구의 수리체계는 고려저수지를 핵심 수원공으로 하고, 삼거천과 내가천의 하도 저수지를 중심

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림의 하점들의 수계는 경지정리 이전의 모습으로 오늘날에는 달라졌다(자료:

국립지리원이 발행한 1 : 50,000 지형도 강화∙교동 도엽과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 강서지부 현황

도 및 현지답사 등).

Page 29: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1 -

×1 , 500m/m×1 , 75HP×2 ), 창후양수장(450m/m ×1 , 60HP×1 )은 수혜면

적이 100~200㏊이다. 이 양수장들은 모두 1990년 중반에 설치되었다(표 3참조). 2000

년 에 들어서는 창후보조양수장(300m/m×1 , 75HP×1 )과 오상양수장(250m/m×

1 , 20HP×1 )이 설치되었으며, 각각 69㏊와 22㏊의 수혜면적이 딸려 있다.

형관정은 하점관정 1~12호와 신선관정1∙2호가 설치되어 있는데, 펌프구경은 부

분이 50m/m이지만 200~300mm인 것도 4개소가 포함되어 있다(하점관정 7∙3∙6∙9

호). 이 관정들에는 5~10HP의 전동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각각 하루 200~650톤의 물을

70~120m 높이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 이 곳의 형관정들은 1988년, 1997년, 2001년에

시행된 경지정리사업과 함께 집중적으로 설치되었다. 오늘날 이 지구에는 경지정리사업

이전에 설치된 관정도 군데군데 남아 있으며, 지금도 수리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구 관

정은 외관이 경지정리사업과 함께 설치된 관정과 눈에 띠게 다르며, 모두 개인이 관리하고

있다(사진 14).

강화지구에는 북단의 하점면 창후리 선착장에서 남단의 내가면 황청리까지 6㎞가 넘는

제1선 방조제가 축조되어 있다(사진 15). 이 곳에 규모가 큰 방조제를 축조하기 시작한 것

은 고려시 인 것으로 추정되며, 1860년 에는 황청리에 계룡언∙반월언을 축조하 다.

그리고 1957년에는 방조제 3조(연장: 6343m), 배수갑문 5개소(13련)를 축조하여 1,153

㏊를 매립하 으며, 1,071㏊에 수리혜택을 주었다.45) 이 사업은 '강화지구사업'으로 불렸

으며 오늘날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의‘강화지구’라는 지구명칭은 여기에서 유래한 것으

로 믿어진다.

오늘날 강화지구에는 국가(농업기반공사)가 유지와 관리의 책임을 지는 망월∙구하∙

황청방조제가 축조되어 있다. 망월방조제(하점면 망월리~창후리)는 연장이 3,292m, 높

이는 2.5m이며, 방조제의 외측인 바다쪽에는 방조제의 침식을 방지하기위한 수제공

(groin)이 설치되어 있다(사진 16). 이 방조제에는 북단부의 삼거천 하구에 창후배수갑문

(2.0m×2.5m×6련)이, 남단부인 내가천 하구에 망월배수갑문(2.0m×2.5m×8련), 그리

고 두 갑문의 중간에 망월간척지 배수갑문(1.5m×1.5m×1련)이 설치되어 있다(사진

17). 구하방조제(내가면 구하리)는 연장이 2,359m, 높이가 2.5m로 망월배수갑문에서 시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29

45) 농업기반공사, 『한국수리시설의 변천과 문화유산』(의왕 : 2002), pp. 166-169.

Page 30: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2 -

3 0 「인천학연구」2-2호(2003. 12)

사진 14. 하점들의 구 관정(강화군 하점면)

사진 15. 망원들과 방조제(강화군 하점면)

Page 31: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3 -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31

사진 16. 망월방조제에 딸린 수제공(groin)(강화군 하점면)

사진 17. 망월배수갑문(강화군 하점면)

Page 32: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4 -

작되며 남단부에 구하배수갑문(1.5m×1.5m×2련)이 달려 있다. 구하배수갑문 남쪽으로

는 길이가 692m이고, 높이는 2m인 황청방조제(내가면 황청리)가 축조되어 있으며 남쪽

끝에 황청1∙2배수갑문(1.5m×1.5m×3련, 1.5m×1.5m×1련)이 설치되어 있다. 망월

방조제와 구하방조제의 내측에는 하천수계와 연결되는 수로가 조성되어 있다.

강화지구의 수리체계는 사실상 고려저수지와 삼거천(창후배수갑문), 내가천(망월배수

갑문) 하류구간에 조성된 하도저수지가 골격을 이루고 있다. 고려저수지에서 시작되는 간

선수로는 체로 구릉과 충적지의 경계부를 따라 조성되어 관개용수 공급시 고도차를 이

용하는 내림형 관개체계를 갖추었다(그림 5 참조). 반면에 양수장은 충적지내에 설치하여

하도저수지의 물을 끌어 올려 관개하는 올림형 관개체제를 갖추었다. 망월양수장, 오상양

수장, 창후보조양수장이 표적이며, 창후양수장은 물을 구릉지까지 끌어올려 내림관개

를 한다. 그리고 양수장에서 끌어올려진 물은 고려저수지에 딸린 간선수로와 관개용수를

보충하기도 하는데 이강양수장, 삼거양수장에서 볼 수 있으며 이강양수장에는 지형의 고

도차를 극복하기 위한 긴 수로교도 딸려 있다. 그런데 고려저수지에 딸린 관개수로와 양수

장에 딸린 그것은 지선수로로 거의 전부 연결되어 저수지에서 내려 보내거나 양수장에서

끌어올린 농업용수가 합쳐져서 흐르는 수로구간도 길다.

형관정은 하점들로 불리우기도 하는 삼거천 중상류들에 집중되어 있다. 형관정은

략 5㏊미만에 관개하는데 저수지와 양수장에 의한 수리체계를 보완해주는 성격을 띠며,

용수는 기존의 저수지에 딸린 수로를 이용하지만 짧은 수로가 설치되어 있기도 한다. 이

곳의 형관정들은 하점저수지가 2004년에 준공되어 수리시설로서 역할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면 그 기능이 크게 약화될 것이다.

2. 길정지구의 수리체계

길정지구는 강화도 서남부인 화도면과 양도면 일 와 길상면의 일부를 포함하며, 농업

기반공사 강화지사 강남지소(길상면 길정리 소재) 관내에 속한다. 지구내에는 길정천, 능

안천이 북쪽의 진강산∙덕정산, 남쪽의 마니산∙정족산 등지에서 흘러내린 강수를 모으

면서 바다로 유입한다.

길정천은 강화도 남부를 동서로 양분하면서 남류하며, 바다 건너 남쪽의 신도∙심도∙

32 「인천학연구」2-2호(2003. 12)

Page 33: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5 -

동검도 등과의 사이에 넓은 간석지가 발달되어 있다. 능안천은 서류하여 바다로 유입하는

데 바다건너에는 석모도의 해명산(309m)이 우뚝 솟아 있다. 두 하천은 진강산자락의 도

장리와 마니산자락의 덕포리 사이에 10m가 조금 넘는 언덕을 경계로 하여 유역이 나뉜다.

그러나 이 분수계도 논으로 이용되어 실지로는 연속되는 들로 보인다. 길정천 유역에는 선

두들, 능안천∙연내천 유역에는 진남들이 펼쳐지며, 선두들의 남쪽 간척지에는 동주농장

들이 자리잡고 있다. 이 곳의 전체 논면적은 략 20㎢(동주농장들 포함)이다. 이 지구는

과거에 조수가 드나들던 좁은 해협이었던 곳으로 간척지가 부분이다. 간척농지의 경우

수리체계가 갖추어지기 전에는 큰 가뭄이 들면 파를 하지 못하고 방치해 두었으며 경우

에 따라서는 농가에서 사육하던 소를 풀어두기도 했던 것 같다.

이 지구에는 저수지 2개소, 양수장 5개소, 형관정 2개소, 방조제 3,306m와 그에 딸린

배수갑문 4개소가 있다(그림 6). 저수지는 길정저수지와 하일저수지가 있다. 길정저수지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33

그림 6. 길정지구의 수리체계

이 지구의 수리체계는 길정저수지를 핵심 수원공으로 하고, 능안천의 하도 저수지를 중심으로 구성

되어 있다. 선두들의 수계는 1997년에 시행된 경지정리사업 이전의 모습이며, 오늘날에는 달라졌다

(자료: 국립지리원이 발행한 1 : 50,000 지형도 강화도엽과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 강남지부 현황

도 및 현지답사 등).

Page 34: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6 -

34 「인천학연구」2-2호(2003. 12)

사진 18. 길정저수지(강화군 양도면)

사진 19. 길정양수장(강화군 양도면)

Page 35: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7 -

는 1982년에 착공하여 1989년에 준공하 다. 이 저수지는 제당 길이가 640m, 높이는

21.5m, 폭이 6m로 4,689천 톤을 저수하여 724㏊의 논에 관개용수를 공급한다(사진 18).

‘길정지구’라는 명칭은 이 저수지의 축조사업명에서 유래한 것 같다. 하일저수지는 제당

길이가 940m, 높이는 4.5m, 폭이 3m규모이며, 수혜면적은 60㏊이다. 이 저수지는 1975

년에 준공되었다.

양수장은 길정∙진남∙하일∙내리∙문산 양수장이 설치되어 있다. 길정양수장(펌프:

400m/m×3 , 전동기: 225HP×3 )은 강화도내 최 인 700㏊의 수혜면적을 갖고 있

다. 이 양수장은 총양수량이 1.0T/S이며 실양정은 28.2m이고, 길정저수지의 축조와 함께

1989년에 준공되었다(사진 19). 길정양수장은 길정저수지로 물을 끌어올려 저수하 다

가 관개에 이용한다. 진남양수장(250m/m×2 , 40HP×2 ), 하일양수장(200m/m×2

, 35HP×2 )은 각각 129㏊와 55㏊의 농경지에 관개용수를 공급할 수 있으며, 1990년

후반에 설치되었다. 내리양수장(250m/m×1 , 15HP×1 )과 문산양수장(350m/m

×1 , 75HP×1 )는 모두 2000년 이후에 설치되었으며, 각각 40㏊와 100㏊의 수혜면

적이 딸려 있다.

형관정으로는 내리관정과 능내관정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관정의 펌프구경은 모두

50㎜이고, 각각 5HP와 3HP의 전동기로 200~150톤의 물을 72m까지 끌어 올린다. 두

형관정은 모두 2001년에 설치되어 있다(사진 20).

길정지구에는 현재 능안천∙연내천 등이 유입하는 가릉들의 서단부에 가릉포 방조제와

후포방조제가 제1선에 축조되어 있다. 선두들과 가릉들로 구성되어 있는 길정지구에 규모

가 큰 방조제가 축조되기 시작한 것은 고려 때부터인 것으로 추정되며, 1665년에는 가릉

언, 1706년에는 선두언을 축조하 다. 1963년에는 진남지구(길상면)에 방조제 2조

(3,306m)와 배수갑문 6개소(11련)를 축조하 으며, 1980년에는 길화지구(길상면)에 방

조제 1조(2,166m)와 배수갑문 1개소(12련)을 축조하 다.46)

오늘날 길정지구에는 국가(농업기반공사)가 관리하는 가릉포∙후포방조제와 인천시가

관리하는 선두방조제가 축조되어 있다. 가릉포방조제(양도면 하일리~화도면 내리)는 연

장이 2,100m이고, 높이는 2.0m이다. 이 방조제에는 하일배수갑문(2.5m×2.5m×3련)과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35

46) 농업기반공사, 『한국수리시설의 변천과 문화유산』(의왕 : 2002), pp. 166-169.

Page 36: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8 -

36 「인천학연구」2-2호(2003. 12)

사진 20. 능내관정(강화군 양도면)

사진 21. 길정천의 길화배수갑문(강화군 길상면)

Page 37: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39 -

가릉포배수갑문(1.8m×2.0m×3련)이 설치되어 있다. 후포방조제(화도면 내리)는 연장

이 1,206m, 높이 2.0m이며, 후포2 배수갑문(1.5m×1.5m×2련), 후포3배수갑문(1.3m×

1.2m×2련, 1.5m×1.5m×2련, 1.1m×1.2m×1련)이 설치되어 있다. 선두방조제는 연장

이 3,290m에 이르는데, 지금은 이 방조제가 외측에 새로운 방조제를 쌓고 사 인 동주농

장이 조성되어 이제는 방조제로서의 기능은 상실하고 과거 조선시 간척의 역사를 말해

주는 유물로 바뀌었다. 이 농장에서는 선두포둑과 길정천 하구의 길화배수갑문간의 하도

저수지를 조성하여 관개용수를 확보하고 있다.가릉포방조제와 후포방조제의 내측에는 하

천수계와 연결되는 수로가 조성되어 있다.

길정지구의 수리체계는 길정저수지와 길정천, 능안천의 하류구간에 조성되어 있는 하도

저수지가 뼈 를 이루고 있다(그림 6). 길정저수지를 빠져나온 관개용수는 주로 산지의 말

단부를 따라 놓여 있는 간선수로를 흘러 내려 지선∙지거로 세분되면서 논의 필지로 공급

된다. 간선수로는 길정천과 능안천의 분수계 인근에 세워진 수로교를 건너 마니산 북쪽 산

자락을 휘감아 돈다. 길정천 수계에 설치된 저수지의 물이 유역을 넘어 능안천과 연내천 유

역에도 공급되게 수리체계가 짜여진 것이다. 그런데 실제로는 간선수로의 말단부까지 길

정저수지의 물이 충분하게 공급되지 못한다. 때문에 능안천∙연내천 하류의 간척지에는

진남∙후포∙하일 양수장을 설치하여 하도저수지의 물을 끌어 올려 관개용수로 사용한다.

양수장 중에는 물을 끌어올려 저수지에 담는 길정양수장과 간선수로에 물을 보충해주는

문산양수장 등이 있으며, 능내관정은 충적지의 관개에 이용된다. 길정천의 하류부(348번

지방도 남쪽)에는 규모가 큰 하도저수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이 물은 주변 논으로 퍼 올려

져 관개용수로 사용되고 하도저수지 구간은 유료 낚시터로도 개발되었다(사진 21).

그런데 길정저수지와 각 양수장에 딸린 수로는 말단부에서 연결되는 경우가 부분이

다. 수로 체계자체는 통합되어 있으며 이 수로에 공급되는 관개용수는 저수지물과 양수장

에서 끌어 올린 하도저수지물이 함께 흐르는 구간도 적지 않다. 다만 길정저수지가 축조된

이후 이 지구의 관개는 훨씬 안정화될 것이라는 점은 분명해 보인다.

Ⅴ. 요약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를 고찰하 다. 강화도는 인천광역시 강

화군을 구성하는 핵심 섬이며, 인구는 6,0424명(2002년)이다. 강화도의 면적은 302㎢로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37

Page 38: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40 -

91㎞의 해안선으로 둘러 싸여 있으며, 농경지면적은 약 120㎢(논이 86㎢)이다.

강화도는 해상에서 한반도의 심장부인 한강하류유역으로 진입하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

어 역사이래 교통과 군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반도부가 큰 전란

에 휩싸일 때마다 강화도는 역사의 전면에 등장하여 오늘날‘역사의 고장’으로 불리우기

도 한다. 강화도가 지닌 이러한 역사적 배경은 여러 불리한 조건 하에서도 식량확보를 위

한 간척사업을 추진하게 하 으며, 고려의 몽고침략기와 조선 후기의 간척사업에 관한 구

체적인 기록이 남아있다. 간척과 그에 따른 농경지개발에는 수리시설의 보급과 확충이 매

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강화도의 수리시설로는 보(洑), 저수지, 양수장, 관정이 있다. 보는 전통적인 수리시설로

본래 흙을 담은 가마니를 이용해 막았으나 1970년 이후 점차 배수문으로 체되고 있

다. 저수지는 20여 개소가 있는데 1970년 이후 크게 확충되었다. 가장 중요한 수리시설

인 저수지는 약 3,600㏊에 관개용수를 공급한다. 양수장 가운데 중요한 것은 20여 개소이

며, 수혜면적은 2,500여㏊이다. 양수장은 거의 전부가 1990년 이후에 설치되었다. 그런

데 강화도의 양수장은 하구에 배수갑문을 설치하고 하도를 넓고 깊게 파서 조성한 하도저

수지와 방조제 안쪽의 담수로의 물을 끌어 올리는 것이 부분이다. 즉 강화도의 양수장은

방조제, 배수갑문, 하도저수지와 결합된 수리시설인 것이다. 양수장의 일부는 하도저수지

보다 고도가 높은 곳에 있는 저수지로 물을 양수하여 저수지에 딸린 관개수로를 이용하여

물을 공급한다. 강화도에는 ∙소형 관정이 6,000여개에 이른다. 관정의 부분은 개인이

관리하는 소형관정이고 형관정은 100여개인데 중요한 형관정은 1988년 이후 설치되

기 시작했다. 이들 형관정은 저수지와 양수장을 중심으로 짜여진 수리체계를 보완해주

고 있다. 소형관정도 그 수가 크게 늘면서 실질적인 수리시설로 점차 중요해지고 있다.

강화도의 수리체계는 크게 저수지의 물을 고도차를 이용해 흘려보내는 관개수로와 양수

장을 이용해 관개용수를 끌어 올려 공급하는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다만 강화도의‘들’이

그리 넓지 않아 두 가지 수리체계 방식에 의한 관개구역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고 저수

지, 양수장, 관정이 상호 보완적인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처계는 한국의 주요 섬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농업수리를 이해

하는데 나름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

38 「인천학연구」2-2호(2003. 12)

Page 39: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41 -

<참고문헌>

강화군, 『강화 옛 지도』(2003).

______, 『군정 주요 시책 및 통계현황』(2002).

______, 『보/저수지/방조제 관리 장』(2003).

______, 『지방2급하천 하천정비기본계획』(2001).

______, 『CD-ROM 신편 강화사』(서울: 동방SnC, 2003).

______, 『1966 / 1976 / 1986 / 1996 / 2000년판, 통계연보.』.

강화군농업기술센터, 『강화섬쌀-우리가 지킬 수 있습니다』(2003).

강화문화원, 『증보 강화사(재판)』(강화: 강화문화원, 1988).

건설교통부, 『한국하천일람』(2000).

경기도지편찬위원회, 『경기도지 중권』(서울 : 1956).

경기사전편찬위원회, 『경기사전』(1959).

고려 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편,『육당 최남선전집 3』(서울 : 현암사, 1972).

권혁재, 「황해안의 간석지 발달과 그 퇴적물의 기원」,『 한지리학회지』(제10집, 1974).

______, 「한강하류의 충적지형」,『사 논집(고려 )』(제9집, 1984).

김의원, 『한국국토개발사연구』(서울: 학도서, 1982).

농림부, 『1995농업총조사(경기도)』(1997).

______, 『1960농업국세조사(시∙군읍면통계)』(1963).

______, 농업기반공사, 『농업기반공사설립백서(전 3권)』(2000).

______, 농어촌진흥공사, 『1999/2000/2001,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통계연보』.

______, 토지개량조합련합회, 『1961 / 1966, 토지개량사업통계연보』.

농상공부 농림국, 『제언조사서 제일』(경성: 1909).

농수산부, 『1980농업조사(전국편, 경기도편)』(1982).

______, 『1970농업센서스7(경기도)』(1973).

______, 농업진흥공사, 『수리시설물』수원공일람표(5-1)』(1986).

농업기반공사 강화지사, 「수리시설현황」(2001/2003).

농업기반공사, 『한국수리시설의 변천과 문화유산』(의왕 : 2002).

농업진흥공사, 『한국농지개량사업삼십년사』(1976).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연구소, 『정 토양도 제64호(강화군)』(1978).

______, 『증보 한국토양총설』(1992).

한수리조합연합회, 『토지개량사업통계연보』(1955).

한지질학회, 『한국의 지질』(서울: 시그마프레스, 1999).

동국 학교 강화도학술조사단, 『강화도학술조사보고서 제1책』(1977).

범선규, 「 산강유역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문화역사지리』(제14권 제2호, 2002).

______, 「‘지형문화’의 개념설정 가능성 연구」,『한국지형학회지』(제10권 제2호, 2003).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39

Page 40: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42 -

______, 「법령과 자연지리-지형관련 용어를 중심으로」,『한국지형학회지』(제9권 제1호,

2002).

______, 「 산강유역의 농경지개발에 따른 지형의 변화」,『문화역사지리』(제14권 제3호,

2002).

______, 「하천공격면의(cut-bank)의 주변지형과 이용」,『2003동계한국지형학회 제30차

학술발표요약문』((2002).

서울시스템(주), 『CD-ROM 국역 조선왕조실록』(1998).

이 택, 『최신 북한지도』(서울 : 우진지도문화사, 1992).

전라남도, 『한국도서백서』(1996).

토지개량조합연합회, 『토지개량사업 20년사』(서울 : 1967).

한국자원연구소, 『한국지질도』(축척 1,000,000)(서울 : 성지문화사, 1995).

한 학회, 『한국지명총람17(경기편)(상)』(1985).

환경처, 『호소편람(부록)』(1994).

農商務省, 1907, 韓國土地農産調査報告.

日本地形學聯合, 『地形學から工學への提言』,(東京: 古今書院, 1996).

朝鮮總督府, 『昭和 十二年度 朝鮮土地改良事業要覽』(1939).

______,1927~1936, 朝鮮土地改良事業要覽(上)/(下),(太山文化社 1984年 影印).

Bong Kyun Kim∙Yong Ahn Park, 「Outlines of Geology of the Kanghwa Island」,

『The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vol.4 No1, 1968).

Coates, D. R., 「Geomorphic Engineering」, �Geomorphology and Engineering�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1980).

40 「인천학연구」2-2호(2003. 12)

Page 41: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43 -

<ABSTRACT>

Irrigation Facilities and System of Ganghwado

Beom, Seon-Gyu *

This research studied irrigation facilities and system of Ganghwado. Ganghwado is a crucial island of

Ganghwa-gun County in Incheon City. It had a population of 6,0424 as of 2002. Its area covers 302㎢,

surrounded by a 91㎞ coastline. Its cultivated oand area covers about 120㎢ (paddy field: 86㎢).

Ganghwado is located at the entrance to the downstream basin of the Hangang River which is situated at

the he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 island has served as a crucial area for traffic and military since

ancient times. In particular, whenever the Korean Peninsula was engulfed by great warfares in history,

Ganghwado was highlighted thus dubbed town of history. Such historical background of Ganghwado

made the island push ahead with reclamation projects aimed at securing food despite its numerous

unfavorable conditions. Records still remain until today on reclamation projects carried out when the

Goryeo Dynasty was invaded by Mongol and during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The

successful reclamation projects and subsequent development of cultivated land were attributed to the

spread and expansion of irrigation facilities.

Irrigation use facilities in Ganghwado include weirs('bo'), reservoirs, water pumping stations and tube

wells. Weirs are a traditional Irrigation facility, and were able to contain water originally using bags of

soil. They have been gradually replaced by sluices since the 1980s. There are some 20 reservoirs, and

they have been increased since the 1970s. Reservoirs, as the most important irrigation facility, supply

irrigation water to an area measuring about 3,600㏊. There are about 20 major water pumping stations,

which supply water to an area covering 2,500㏊. They were mostly installed since the 1990s. Pumping

stations in Ganghwado come in the types of riverbed reservoirs created by installing sluices at river

mouths and digging riverbeds wide and deep, and of pumping fresh-water from inside sea walls.

Likewise, pumping stations of Ganghwado is a facility combining a sea wall, a sluice and a riverbed

reservoir. Some of pumping stations are placed at an altitude higher than riverbed reservoirs and water is

pumped from them and supplied through irrigation channels attached to reservoirs. Ganghwado offers

some 6,000 small and large tube wells. Most of them are small types controlled by individuals while

there are 17 large tube wells with major large tube wells constructed since the 1988s. These large tube

wells complement the irrigation use system of reservoirs and pumping stations. Small tubed wells,

growing in number, are becoming important as actual irrigation facilities.

The Ganghwado irrigation system is divided into irrigation channels that let water flow from reservoirs

using altitude difference, and the water supply system pumping irrigation water using pumping stations.

Since 'Deul'(paddy fields) of Ganghwa are not so expansive, these two irrigation systems are not clearly

강화도의 수리시설과 수리체계 | 범선규 41

Page 42: 강화도의수리시설과수리체계 - isi.or.kr · 강화도는인천광역시강화군을구성하고있는많은도서들의모체와같은섬이다. 이섬 이섬 의면적은우리나라에서제주도,

- 344 -

distinguished, allowing reservoirs, pumping stations and tube wells to complement each other.

Irrigation facilities and systems in Ganghwado are significant in understanding agricultural irrigation

being conducted in major islands of Korea.

42 「인천학연구」2-2호(2003. 12)

Key words : Ganghwado, cultivated land, reclamation, weirs('bo'), reservoirs, water pumping

stations, tube wells, irrig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