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미컨] final project 1012848 김윤혜

11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FINAL PROJECT 시각영상디자인 1012848 김윤혜 그 많던 쓰레기는 다 어디로 갔을까?

Upload: -

Post on 05-Aug-2015

957 views

Category:

Design


5 download

TRANSCRIPT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FINAL PROJECT

시각영상디자인 1012848 김윤혜

그 많던 쓰레기는 다 어디로 갔을까?

그 많던 쓰레기는 다 어디로 갔을까?

오늘날 세계 각국은 인위적인 폐기물처리시설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님비증후군 문제와 투자비용 급증 등을 비롯한 엄청난 사회·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 국가간에도 폐기물처리 과정에서 발생한 대기 및 수질 오염 문제로 분쟁을 겪기도 하는데,

이를 위해 여러 가지 국제협약을 정해 예방과 해결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폐기물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성장 위주의 대량생산 및 소비 체제에서 자원순환형 사회경제체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사회 구성원들에게 폐기물에 대한 심각성을 제고하며

재활용의 중요성과 생활속의 재활용 방법을 인포그래픽화 하여 전달한다.

정보디자인 목적 데이터 수집 내용 데이터의 분석 내용시각적표현 방법 레퍼런스 자신의 정보디자인 사용자 피드백

대한민국 정부 한국환경공단 환경자원종합정보

정보디자인 목적

http://www.korea.go.kr/ http://info.keco.or.kr/

데이터 수집 내용 데이터의 분석 내용시각적표현 방법 레퍼런스 자신의 정보디자인 사용자 피드백

정보디자인 목적 데이터 수집 내용 데이터의 분석 내용시각적표현 방법 레퍼런스 자신의 정보디자인

2011년 폐기물 처리현황

생활폐기물 처리현황

생활폐기물 처리현황

생활폐기물 처리현황

사용자 피드백

다양한 분리수거 방법

정보디자인 목적 데이터 수집 내용 데이터의 분석 내용시각적표현 방법 레퍼런스 자신의 정보디자인 사용자 피드백

정보디자인 목적 데이터 수집 내용 데이터의 분석 내용시각적

표현 방법 레퍼런스 자신의 정보디자인 사용자 피드백

정보디자인 목적 데이터 수집 내용 데이터의 분석 내용시각적표현 방법 레퍼런스 자신의 정보디자인

그 많던 쓰레기, 다 어디로 갔을까?우리가 몰랐던 그것들의 뒷 이야기

우리에 의해 태어나고 소멸되는 그것들,

<쓰레기>가 처리되는 다양한 방식들을 알려드립니다

2011년도의 총 폐기물 발생량은 전년도에 비하여 약 2.2% 증가하였다.

폐기물 구성비는 건설폐기물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고 폐기물의 처리에 있어 주요 방법은 재활용이다.

재활용율은 전년대비 0.3%P 증가, 매립율은 전년대비 0.3%P 감소하였으며, 소각율은 전년대비 0.3%P 증가함.

매립재활용

23.7%

17.2%

59.1%

소각

2007

57.8%

23.6%

18.6%

2008

59.8%

20.3%

19.9%

2010

61.1%

18.6%

20.3%

2009

60.5%

17.9%

21.6%

2011

59.1%

17.2%

23.7%

생활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이다가 2010년 이후부터 소폭 감소

- 재활용율은 59.1%로 전년대비 1.4%P 감소

- 소각율은 23.7%로 전년도 21.6%에 비해서 2.1%P 증가

- 매립율은 2011년에 17.2%로 전년대비 0.7%P 감소하였으며, 매년 감소추세

매립

재활용

0.5% 1.4%

98.1%

소각

2009

98.3%

2008

97.5%

2010

97.8%

2007

97.5%

2011

98.1%

1.8%0.7%

1.7%0.8%

1.5%0.7%

1.2%0.5%

1.4%0.5%

건설폐기물의 처리방법은 재활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전년 대비 0.2% 소폭 감소함

- 재활용율은 98.1%로서, 전년대비 0.2%P 감소함.

- 소각율은 0.5%로서, 전년도와 동일함.

- 매립율은 1.4%로서, 전년대비 0.2%P 증가함.

매립

16.7%

재활용

73%

2007 2008 2010 2009 2011

6%

소각

4.3%해역배출

66.9%

19.6%

6.5%

7.0%

70.8%

18.6%

5.3%5.3%

66.5 %

22.3%

5.6%5.6%

72.3%

16.9%

5.8%5.0%

73%

16.7%

6%4.3%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은 재활용에 의한 처리비율이 다소 증가

- 매립에 의한 처리율은 16.7%로서, 전년도에 비해서 0.2%P 감소함.

- 재활용율은 73.0%로서, 전년도에 비해 0.7%P 증가함.

- 소각에 의한 처리율은 6.0%로서, 전년도에 비해 0.2%P 증가함.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 세계에서 7위

국내 CO2 배출량 6억 1000만톤

증가 속도 세계 3위

2011

!

33.7만톤

35.9 만톤

35.7만톤

36.5만톤

37.3만톤

5.76.6

2.02.2

0.4

재활용 81%

매립11%

소각5% 해역배출

2%

2007

재활용 82%

매립11%

소각5% 해역배출

2%

2008

재활용 82%

매립11%

소각5% 해역배출

2%

2009

재활용 83%

매립9%

소각5% 해역배출

1%

2010

재활용 84%

매립9%

소각6% 해역배출

1%

2011

2007 2008 2009 2010 2011

생활 폐기물은 어떻게 처리될까? 사업장 폐기물은 어떻게 처리될까? 건설 폐기물은 어떻게 처리될까?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

새 수도권매립지의

건설이 늦어져 95m 높이의,

쓰레기산(山) 2개가 생겨났다.

이렇게 쌓인 쓰레기양은

8.5t 트럭 1300만대분인

9197만 2000㎥에 이른다.

01수도권 매립지

'김포쓰레기매립지'라고도 한다.

수도권 3개 광역자치단체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처리할 목적으로

1992년 2월 10일 개장되었다.

02제1매립장

6천4백만톤의

폐기물에 대한

매립이 완료

악취와 먼지,

침출수로 인한 오염,

각종 해충들

현재 매립 진행 중인

제2매립장

(371만 평방미터)

2016년 12월까지 활용

지역이기주의로인하여

해결에 어려움

해결방안 촉구

1980년대 후반

매립지

포화상태

악취,먼지

공해 심각 메탄가스,

침출수 등으로

환경 악화

2020년 이후 각종 구조물을

세울 터로 개발되기 전까지

생태공원이나 골프장등을

조성하여 활용할 계획

우리는 더 이상갈 곳이 없어요!

HELP US!

사용자 피드백

그 많던 쓰레기, 다 어디로 갔을까?우리가 몰랐던 그것들의 뒷 이야기

우리에 의해 태어나고 소멸되는 그것들,

<쓰레기>가 처리되는 다양한 방식들을 알려드립니다

2011년도의 총 폐기물 발생량은 전년도에 비하여 약 2.2% 증가하였다.

폐기물 구성비는 건설폐기물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였고 폐기물의 처리에 있어 주요 방법은 재활용이다.

재활용율은 전년대비 0.3%P 증가, 매립율은 전년대비 0.3%P 감소하였으며, 소각율은 전년대비 0.3%P 증가함.

매립재활용

23.7%

17.2%

59.1%

소각

2007

57.8%

23.6%

18.6%

2008

59.8%

20.3%

19.9%

2010

61.1%

18.6%

20.3%

2009

60.5%

17.9%

21.6%

2011

59.1%

17.2%

23.7%

생활폐기물의 재활용 비율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이다가 2010년 이후부터 소폭 감소

- 재활용율은 59.1%로 전년대비 1.4%P 감소

- 소각율은 23.7%로 전년도 21.6%에 비해서 2.1%P 증가

- 매립율은 2011년에 17.2%로 전년대비 0.7%P 감소하였으며, 매년 감소추세

매립

재활용

0.5% 1.4%

98.1%

소각

2009

98.3%

2008

97.5%

2010

97.8%

2007

97.5%

2011

98.1%

1.8%0.7%

1.7%0.8%

1.5%0.7%

1.2%0.5%

1.4%0.5%

건설폐기물의 처리방법은 재활용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전년 대비 0.2% 소폭 감소함

- 재활용율은 98.1%로서, 전년대비 0.2%P 감소함.

- 소각율은 0.5%로서, 전년도와 동일함.

- 매립율은 1.4%로서, 전년대비 0.2%P 증가함.

매립

16.7%

재활용

73%

2007 2008 2010 2009 2011

6%

소각

4.3%해역배출

66.9%

19.6%

6.5%

7.0%

70.8%

18.6%

5.3%5.3%

66.5 %

22.3%

5.6%5.6%

72.3%

16.9%

5.8%5.0%

73%

16.7%

6%4.3%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은 재활용에 의한 처리비율이 다소 증가

- 매립에 의한 처리율은 16.7%로서, 전년도에 비해서 0.2%P 감소함.

- 재활용율은 73.0%로서, 전년도에 비해 0.7%P 증가함.

- 소각에 의한 처리율은 6.0%로서, 전년도에 비해 0.2%P 증가함.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배출 세계에서 7위

국내 CO2 배출량 6억 1000만톤

증가 속도 세계 3위

2011

!

33.7만톤

35.9 만톤

35.7만톤

36.5만톤

37.3만톤

5.76.6

2.02.2

0.4

재활용 81%

매립11%

소각5% 해역배출

2%

2007

재활용 82%

매립11%

소각5% 해역배출

2%

2008

재활용 82%

매립11%

소각5% 해역배출

2%

2009

재활용 83%

매립9%

소각5% 해역배출

1%

2010

재활용 84%

매립9%

소각6% 해역배출

1%

2011

2007 2008 2009 2010 2011

생활 폐기물은 어떻게 처리될까? 사업장 폐기물은 어떻게 처리될까? 건설 폐기물은 어떻게 처리될까?

난지도 쓰레기 매립장

새 수도권매립지의

건설이 늦어져 95m 높이의,

쓰레기산(山) 2개가 생겨났다.

이렇게 쌓인 쓰레기양은

8.5t 트럭 1300만대분인

9197만 2000㎥에 이른다.

01수도권 매립지

'김포쓰레기매립지'라고도 한다.

수도권 3개 광역자치단체에서

배출되는 쓰레기를 처리할 목적으로

1992년 2월 10일 개장되었다.

02제1매립장

6천4백만톤의

폐기물에 대한

매립이 완료

악취와 먼지,

침출수로 인한 오염,

각종 해충들

현재 매립 진행 중인

제2매립장

(371만 평방미터)

2016년 12월까지 활용

지역이기주의로

인하여

해결에 어려움

해결방안 촉구

1980년대 후반

매립지

포화상태

악취,먼지

공해 심각 메탄가스,

침출수 등으로

환경 악화

2020년 이후 각종 구조물을

세울 터로 개발되기 전까지

생태공원이나 골프장등을

조성하여 활용할 계획

우리는 더 이상갈 곳이 없어요!

HELP US!

정보디자인 목적 데이터 수집 내용 데이터의 분석 내용시각적표현 방법 레퍼런스 자신의 정보디자인 사용자 피드백

대학생 K양 (24세)

1. 주제가 시사하는 바를 명확히 알 수 있나요? 처음 눈에 들어오는 부분은?

- 쓰레기라는 주제가 즉각적으로 인식이 됩니다.

 가장 처음 눈에 들어오는 부분은 co2배출 증가속도가 세계 3위라는 부분입니다.

2. 이 주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 현대사회에서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이기에 꼭 다뤄져야 할 주제라고 생각한다.

3. 심미성, 주제유용성, 정보전달, 공감도를 5점 만점으로 표현하면?

- 심미성 > 5점, 주제유용성 > 4점, 정보전달 > 3점, 공감도 > 5점

4. 만약 추가하거나 수정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 심각성까지만 다뤄진 부분이 아쉽다. 해결방안을 제안하는 부분도 추가되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

5. 다르게 표현하면 어떤 식으로 하면 좋았을까?

- 폐기물의 일대기? 같은 형식으로 제작해도 좋았을 듯!

정보디자인 목적 데이터 수집 내용 데이터의 분석 내용시각적표현 방법 레퍼런스 자신의 정보디자인 사용자 피드백

대학생 L군 (26세)

1. 주제가 시사하는 바를 명확히 알 수 있나요? 처음 눈에 들어오는 부분은?

- 상단에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제시가 되어서 폐기물과 CO2에 대한 주제라고 생각했습니다.

2. 이 주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 주제 자체는 나쁘지 않지만 여러 내용이 혼합되어 있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3. 심미성, 주제유용성, 정보전달, 공감도를 5점 만점으로 표현하면?

- 심미성 > 4점, 주제유용성 > 4점, 정보전달 > 3점, 공감도 > 4점

4. 만약 추가하거나 수정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 폐기물이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가보다 좀 더 심각성 부분을 강조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5. 다르게 표현하면 어떤 식으로 하면 좋았을까?

- 폐기물을 주제로 잡은 것은 좋으나 좀 더 사람들이 직접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 것이

 좋은가에 대한 해결점을 제시해주는 인포그래픽이었다면 더 좋았을 것입니다.

정보디자인 목적 데이터 수집 내용 데이터의 분석 내용시각적표현 방법 레퍼런스 자신의 정보디자인 사용자 피드백

주부 Y씨 (51세)

1. 주제가 시사하는 바를 명확히 알 수 있나요? 처음 눈에 들어오는 부분은?

- 네 쓰레기가 어디로 가는 지에 관한 정보라고 생각했습니다.

 가장 처음 눈에 들어온 부분은 트럭 이미지였습니다.

2. 이 주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 더욱 심각해지고 있는 사회문제이고 중요하게 다뤄야할 주제라고 생각합니다.

3. 심미성, 주제유용성, 정보전달, 공감도를 5점 만점으로 표현하면?

- 심미성 > 5점, 주제유용성 > 5점, 정보전달 > 4점, 공감도 > 5점

4. 만약 추가하거나 수정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

- 가정이나 개인이 어떻게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지, 또는 재활용을 어떻게 하면

 더 정확하게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분도 있었으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5. 다르게 표현하면 어떤 식으로 하면 좋았을까?

- 캐릭터들이 나와서 소개해주는 느낌으로 하면 더 시선이 가고 귀여웠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