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20
Issue&Trend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 콘텐츠 마케팅의 개념, 콘텐츠 마케팅 활용 현황과 트렌드 DMC REPORT 본 연구보고서는 DMC미디어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발췌하거나 인용, 또는 언론보도 시에는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야 하며, 출처 명기 시 다음 사항을 준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보고서는 DMC미디어에서 작성되었고, 디지에코에 공동 배포되었습니다.”

Upload: giru-jang

Post on 13-Jan-2017

455 views

Category:

Marketing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Issue&Trend

1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

콘텐츠 마케팅의 개념, 콘텐츠 마케팅 활용 현황과 트렌드

DMC REPORT

본 연구보고서는 DMC미디어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본 보고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발췌하거나 인용, 또는 언론보도 시에는 반드시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야 하며, 출처 명기 시 다음 사항을 준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본 보고서는 DMC미디어에서작성되었고, 디지에코에공동 배포되었습니다.”

Page 2: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2

Issue&TrendINTRODUCTION

본 연구보고서의 모든 저작권은 DMC미디어에 있습니다.보고서의 내용을 부분적으로 발췌하거나 인용할 시에는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관련 문의 : DMC미디어 MUD연구팀[email protected]

DMC MediaDigital Media Convergence Company

Ⅰ. 콘텐츠 마케팅 이해

1. 디지털 콘텐츠 개념 6

2. 콘텐츠 마케팅 개념 7

3. 콘텐츠 마케팅 시장 규모 8

Ⅱ. 콘텐츠 마케팅의 활용 현황

1. 콘텐츠 마케팅 이용 현황 10

2. 콘텐츠 마케팅 목적 11

3. 콘텐츠 마케팅 효과 12

4. 콘텐츠 마케팅 활용 채널/방법 13

5. 콘텐츠 마케팅 주이용 소셜 미디어 14

6. 마케팅 예산 중 콘텐츠 마케팅 비중 15

7. 활용 목적별 효과적인 콘텐츠 유형 16

Ⅲ.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및 사례

1.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 18

2. MCN 마케팅 19

3. VR 콘텐츠 마케팅 20

4. 콘텐츠 큐레이션 21

Table of Contents소셜 미디어 마케팅, 이메일 마케팅, 동영상 마케팅, 모바일 마케팅, 빅데이터 마케팅,

개인화 마케팅 등등 최근 중요하다 일컬어지는 온갖 마케팅의 공통점을 찾아보자. 표면

적인 공통점은 모두 ‘마케팅’이라는 것이고, 감춰진 공통점은 ‘콘텐츠’이다. 콘텐츠는

어디를 통해, 어떤 형태로, 어떻게 제공되든 마케팅에 있어 빠질 수 없는 요소이다.

콘텐츠는 그 자체만으로 마케팅 기법으로 주목받은 적은 별로 없다. 그러나 마케터의 시

야에서 벗어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늘 마케터가 기본으로 생각하는 패 중 하나였다.

마케팅의 기본 중의 기본으로 평가받는 콘텐츠에 다시 주목하는 이유는 콘텐츠 소비 환

경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모바일의 대중화와 다양한 플랫폼의 등장으로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가 널리 전파될 수 있게 된 것이다.

우리가 읽고, 듣고, 보는 모든 것은 콘텐츠가 될 수 있다. 모든 것이 콘텐츠가 될 수는 있

지만, 효과적인 마케팅을 위해 중요한 것은 목적에 맞는 콘텐츠의 형태와 제공 방법을

결정하는 것이다. 의사결정에 대한 두려움을 해소하는데 타인의 경험을 참고하는 것만

큼 좋은 방법을 없을 것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실제 마케터들이 콘텐츠 마케팅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를 소개함으로써 콘텐츠 마케팅의 활

용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Page 3: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Issue&Trend

3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

1. 디지털 콘텐츠 개념

2. 콘텐츠 마케팅 개념

3. 콘텐츠 마케팅 시장 규모

콘텐츠 마케팅의 개념, 콘텐츠 마케팅 활용 현황과 트렌드

Ⅰ. 콘텐츠 마케팅 이해

Ⅱ. 콘텐츠 마케팅의 활용 현황

Ⅲ.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및 사례

Page 4: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4

Issue&Trend

음원

게임

이북

이러닝

디지털 영상

이미지

1. 디지털 콘텐츠 개념

디지털 콘텐츠, 무한복제/융합용이/유통편리 → 부가가치 극대화 디지털 콘텐츠란 디지털화된 방법으로 제작, 유통, 소비되는 제품군을 의미함.

디지털 영상, 이미지, 음원, 이러닝, 이북 등 디지털 콘텐츠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유통 및 소비도 디지털로 이루어짐.

디지털 콘텐츠는 아날로그 콘텐츠와 달리 무한 복제가 가능하며 정보 간 융합이 용이함. 또한, 다양한 형태의 유통이 가능하여 부가가치 극대화가 가능함.

디지털 콘텐츠란?

출처: YTN,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 의식 제고 캠페인http://campaign.ytnplus.co.kr

디지털 콘텐츠 특성

디지털콘텐츠

용이한정보 융합

무한 복제가능

최신 정보제공

다양한 형태의유통

시공간초월

Page 5: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5

Issue&Trend2. 콘텐츠 마케팅 개념

소비자와의 교감과 신뢰 구축을 위한 콘텐츠 마케팅 콘텐츠 마케팅이란, 콘텐츠와 마케팅의 합성어로 콘텐츠를 활용해 브랜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관심을 유도하는 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음.

일각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해 소셜 미디어나 광고주 웹 사이트 등에 음악, 동영상 등을 업로드 하는 것으로, 기자가 뉴스를 작성하는 기법으로 콘텐츠를 생산하여 소비자에게 브랜드를 알리는 “브랜드 저널리즘(Brand Journalism)”으로 정의하기도 함.

브랜드 저널리즘의 관점에서 네이티브 광고와 자주 비교되나 네이티브 광고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판매를 목적으로 하는 반면, 콘텐츠 마케팅은 소비자와의 교감과 신뢰 구축을 목적으로 함.

콘텐츠 마케팅 개념

콘텐츠Content

마케팅Marketing

콘텐츠 마케팅Content Marketing

인터넷이나 컴퓨터 통신 등을 통하여 제공되는 각종 정보나 그 내용물

유ㆍ무선 전기 통신망에서 사용하기 위하여문자ㆍ부호ㆍ음성ㆍ음향ㆍ이미지ㆍ영상 등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처리ㆍ유통하는 각종 정보 또는 그 내용물

제품을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원활하게 이전하기 위한 기획 활동

시장 조사, 상품화 계획, 선전, 판매 촉진 등이 해당됨

출처: 네이버 사전

구분 네이티브 광고 콘텐츠 마케팅

목표(Purpose) 제품이나 서비스 판매

유용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장기적으로

소비자와 교감하고

신뢰를 구축

톤(Tone)

세일즈를 위한 톤

(pushy and salesy tone),

출판물의 문체를 모방한

거짓의 친근한 톤

(faux friendly tone)

제품 구입을 압박하지 않고

문제를 해결해주려는 진정성과

전문성을 모두 갖춘 톤

Page 6: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6

Issue&Trend3. 콘텐츠 마케팅 시장 규모

콘텐츠 마케팅 시장 연평균 15%대의 고성장 전망 시장조사기관 PQ미디어는 2015년 글로벌 콘텐츠 마케팅 시장 규모를 전년 대비 13% 성장한 26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함.

또한, 2019년까지 연평균 15% 이상의 고성장률을 기록하며, 540억 달러 이상의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음.

16.59

26.47

54.25

0

15

30

45

60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성장률 시장규모

20

15

10

5

0

(단위: 십억 달러, %)

출처: PQ Media(2015)

글로벌 콘텐츠 마케팅 시장 규모 및 전망

Page 7: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Issue&Trend

7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

1. 콘텐츠 마케팅 이용 현황

2. 콘텐츠 마케팅 목적

3. 콘텐츠 마케팅 효과

4. 콘텐츠 마케팅 활용 채널/방법

5. 콘텐츠 마케팅 주이용 소셜 미디어

6. 마케팅 예산 중 콘텐츠 마케팅 비중

7. 활용 목적별 효과적인 콘텐츠 유형

콘텐츠 마케팅의 개념, 콘텐츠 마케팅 활용 현황과 트렌드

Ⅰ. 콘텐츠 마케팅 이해

Ⅱ. 콘텐츠 마케팅의 활용 현황

Ⅲ.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및 사례

Page 8: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8

Issue&Trend1. 콘텐츠 마케팅 이용 현황

콘텐츠 마케팅 활용, 국내에서는 B2B보다 B2C 영역에서 활발 콘텐츠 마케팅 기관 CMI와 미국의 마케팅 학회 MarketingProfs의 연구에 따르면, 글로벌 B2B 마케터의 88%와 B2C 마케터의 76%가 콘텐츠 마케팅을 활용하고 있음.

국내에서는 B2B 분야에서 82%, B2C 분야에서 87%가 이용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B2C 분야에서의 활용이 많음.

콘텐츠 마케팅의 활용 단계를 사람의 성장 단계에 빗대어 설명했는데, B2B는 청소년기, B2C는 성숙기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남.

유아기 : 콘텐츠 마케팅을 시작했지만, 아직 구체적인 계획은 없는 콘텐츠 마케팅의 첫 번째 단계아동기: 성장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단계로 콘텐츠 제작과 전략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단계청소년기 : 성공적 콘텐츠 마케팅을 위해 다양한 시도로 발전을 꾀하는 시기로, 콘텐츠 마케팅 성과 측정에 대한 고민도 동반됨성인기 : 콘텐츠 마케팅을 성공적으로 활용하는 시기로, 부서 간 협업에 대한 고민이 필요성숙기 : 콘텐츠 마케팅에 대한 정확한 성과 측정이 가능하고, 부서 간 역할 분담 또한 명확하게 이루어짐

콘텐츠 마케팅 이용 현황

출처: CMI & MarketingProfs(2015. 09), ‘B2B/B2C Content Marketing 2016 Benchmarks, Budgets, and Trends’

콘텐츠 마케팅 활용 단계_글로벌

88 76

B2B B2C

(단위: %)(단위: %)

12 11

2727

2429

2424

138

B2CB2B

출처: CMI & MarketingProfs(2015. 09), ‘B2B/B2C Content Marketing 2016 Benchmarks, Budgets, and Trends’/ Contenta(2016), ‘2016 B2B/B2C 콘텐츠마케팅 벤치마크보고서 대한민국’재구성

성숙기

성인기

청소년기

아동기

유아기

82 87

B2B B2C

글로벌

한국

Page 9: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9

Issue&Trend2. 콘텐츠 마케팅 목적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해 콘텐츠 마케팅 활용 콘텐츠 마케팅의 목적은 비즈니스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

글로벌 B2B에서는 리드 생성(85%), 세일즈(84%), 잠재고객관리(78%) 등을 위해 콘텐츠 마케팅을 활용하지만, B2C에서는 세일즈(83%), 고객관계 및 충성도 관리(81%), 인게이지먼트(81%) 등을 위해 콘텐츠 마케팅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남.

우리나라에서는 비즈니스 유형에 상관없이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해 콘텐츠 마케팅을 활용함.

콘텐츠 마케팅 목적

출처: CMI & MarketingProfs(2015. 09), ‘B2B/B2C Content Marketing 2016 Benchmarks, Budgets, and Trends’ / Contenta(2016) , ‘2016 B2B/B2C 콘텐츠마케팅 벤치마크보고서 대한민국’재구성

B2B B2C

85

84

78

77

76

74

61

58

68

75

89

81

86

61

리드 생성

세일즈

잠재고객 관리

브랜드 인지도

인게이지먼트

고객 유지/로열티 관리

브랜드 지지도 관리

상향 판매/크로스 판매

글로벌 한국

83

81

81

80

74

69

62

50

72

83

84

87

56

47

세일즈

고객 유지/로열티 관리

인게이지먼트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지지도 관리

리드 생성

잠재고객 관리

상향 판매/크로스 판매

글로벌 한국

(단위: %, 복수응답)

Page 10: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10

Issue&Trend3. 콘텐츠 마케팅 효과

콘텐츠 마케팅, B2C보다 B2B에서 더 효과적 콘텐츠 마케팅의 효과에 대해서는 B2B 마케터가 더 높게 평가하고 있음.

글로벌 B2B 마케터의 30%가 콘텐츠 마케팅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한 반면, B2C 마케터는 38%가 효과적이라고 응답함.

콘텐츠 마케팅의 효과는 국내에서 더 낮게 평가되고 있는데, B2B 마케터의 27%, B2C 마케터의 18%만이 효과적이라고 응답함.

콘텐츠 마케팅 효과

출처: CMI & MarketingProfs(2015. 09), ‘B2B/B2C Content Marketing 2016 Benchmarks, Budgets, and Trends’ / Contenta(2016), ‘2016 B2B/B2C 콘텐츠마케팅 벤치마크보고서 대한민국’ 재구성주 : 한국모름응답B2B 6%, B2C 8%

(단위: %)

■ 매우 효과적 ■

■ 효과적 ■

■ 보통 ■

■ 효과가 없는 편 ■

■ 전혀 효과가 없음 ■

4 7

22 16

4444

2424

63

글로벌 한국

4 6

1923

40

45

2816

10

2

글로벌 한국

B2B B2C

Page 11: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11

Issue&Trend4. 콘텐츠 마케팅 활용 채널/방법

콘텐츠 마케팅 = 소셜 미디어, 특히 국내 콘텐츠 마케팅은 소셜 미디어 의존도 높아 글로벌 B2B 분야에서는 평균적으로 13개의 채널/방법을 콘텐츠 마케팅에 활용하고 있으며,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채널/방법은 소셜 미디어로 나타남.

B2C 분야에서는 B2B보다 1개 적은 12개의 채널/방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가장 많이 활용하는 채널/방법 역시 소셜 미디어임.

국내 B2B, B2C 분야에서도 소셜 미디어를 가장 많이 활용하나 평균 이용 채널은 각각 3개로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것으로 조사됨.

콘텐츠 마케팅 활용 채널/방법

출처: CMI & MarketingProfs(2015. 09), ‘B2B/B2C Content Marketing 2016 Benchmarks, Budgets, and Trends’ / Contenta(2016), ‘2016 B2B/B2C 콘텐츠마케팅 벤치마크보고서 대한민국’ 재구성

B2B B2C

93

82

81

81

81

79

79

76

71

67

66

65

81

15

70

28

35

43

25

8

16

9

소셜 미디어

사례분석

블로그

e-뉴스레터

대면 이벤트

브랜드 웹사이트

동영상

이미지/사진

보고서

인포그래픽

웹캐스트

온라인 프레젠테이션

디지털 매거진

프린트 매거진

글로벌

한국

90

87

83

82

81

77

73

62

52

48

46

43

41

40

84

30

20

49

42

64

10

13

5

1

소셜 미디어

이미지/사진

e-뉴스레터

동영상

브랜드 웹사이트

블로그

대면 이벤트

인포그래픽

마이크로사이트

온라인 프레젠테이션

브랜디드 콘텐츠

모바일 앱

프린트 매거진

웹캐스트

디지털 매거진

보고서

사례분석

글로벌

한국

(단위: %, 복수응답)

Page 12: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12

Issue&Trend5. 콘텐츠 마케팅 주이용 소셜 미디어

소셜 미디어 콘텐츠 마케팅 글로벌은 페이스북&링크드인, 국내는 페이스북 글로벌 B2B 마케터는 평균 6개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으며, 링크드인(94%), 트위터(87%), 페이스북(84%)을 주로 이용함.

B2C 마케터는 평균 7개의 소셜 미디어를 이용하고 있으며, 페이스북(94%)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 트위터(82%), 유튜브(77%) 등의 순으로 많이 이용함.

소셜 미디어의 활용은 글로벌과 크게 다르게 나타났는데, B2B 분야에서는 상대적으로 페이스북과 인스타그램의 활용도가 높으며,B2C 분야에서는 페이스북의 활용은 글로벌과 동일하게 높게 나타난 반면, 트위터, 유튜브 등은 활용이 매우 저조한 편임.

콘텐츠 마케팅 주이용 소셜 미디어

B2B B2C

94

87

84

74

62

37

29

25

8

23

90

52

13

7

48

5

39

링크드인

트위터

페이스북

유튜브

구글플러스

슬라이드쉐어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카카오스토리글로벌

한국

94

82

77

76

72

62

61

94

24

55

6

7

54

5

34

2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링크드인

구글플러스

인스타그램

핀터레스트

카카오스토리

슬라이드쉐어글로벌

한국

(단위: %, 복수응답)

출처: CMI & MarketingProfs(2015. 09), ‘B2B/B2C Content Marketing 2016 Benchmarks, Budgets, and Trends’ / Contenta(2016), ‘2016 B2B/B2C 콘텐츠마케팅 벤치마크보고서 대한민국’ 재구성

Page 13: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13

Issue&Trend6. 마케팅 예산 중 콘텐츠 마케팅 비중

콘텐츠 마케팅 전체 마케팅 예산의 30% 내외 차지 비즈니스 유형에 따라 콘텐츠 마케팅의 활용 목적이 다르고, 그 효과에 대한 인식 또한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마케팅 예산 중 콘텐츠 마케팅의 비중 또한 다소 차이가 있음.

글로벌 평균, B2B는 전체 마케팅 예산 중 약 28%가 콘텐츠 마케팅에 해당되는 반면, B2C는 이보다 높은 32%인 것으로 나타남.

국내에서는 B2B의 경우 9% 이하가 32%로 가장 많고, B2C 또한 9% 이하가 40%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됨.

마케팅 예산 중 콘텐츠 마케팅의 비중_글로벌

출처: CMI & MarketingProfs(2015. 09), ‘B2B/B2C Content Marketing 2016 Benchmarks, Budgets, and Trends’

B2B B2C

3

23

20

16

10

4

1

22

32

31

11

7

2

16

0%

1-9%

10-24%

25-49%

50-74%

75-99%

100%

미정글로벌

한국

3

22

17

12

10

7

3

28

40

5

9

6

1

19

0%

1-9%

10-24%

25-49%

50-74%

75-99%

100%

미정글로벌

한국

(단위: %, 복수응답)

Page 14: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14

Issue&Trend7. 활용 목적별 효과적인 콘텐츠 유형

인지도 제고-엔터테인먼트/교육 콘텐츠, 구매-설득/구매전환 콘텐츠 소비자는 크게 감성적 호소에 민감한 소비자와 이성적 접근에 호의적인 소비자로 구분되기 때문에, 이성적 콘텐츠와 감성적 콘텐츠를 고루 제공해야 함.

인지도 제고를 위해서는 바이럴 콘텐츠, 게임, 콘테스트 등 엔터테인먼트 요소가 강한 감성적 콘텐츠와 언론기사, 가이드, 트렌드 보고서 등 교육적 성격이 강한 이성적콘텐츠가 효과적임.

구매 전환율 제고를 위해서는 연예인 협찬, 고객 후기 등 설득의 성격이 강한 콘텐츠와 체험 제품, 제품 상세 정보, 고객 추천 등 이성적 성격이 강한 콘텐츠가 효과적임.

활용 목적별 효과적인 콘텐츠 유형

출처: Distilled(2014)

엔터테인먼트

세일즈 퍼넬의 상단에 위치한 소비자는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니즈를 느끼지 못함

제품 및 서비스에 직접적 연관이 없는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음바이럴 콘텐츠 게임 이벤트&박람회

브랜드 광고 콘테스트

연예인 협찬

회사 소개

고객 후기

블로그 언론 기사 E-Book 기업 뉴스 별점 사례 조사

제품 상세 정보

고객 추천

체험 제품

자주 묻는 질문 계산기

이용 약관 가격 정보

제품 소개 영상

백서

웨비나직접 반응 광고

가이드 트렌드 보고서

구매

엔터테인먼트

설득

교육

구매전환

감성적

인지도

이성적

설득

설득을 통해 구매 전환을 유도함

이성적 접근보다 감성적 호소가 더욱 효과적임

교육

교육은 엔터테인먼트와 유사한 목적으로 실행됨

엔터테인먼트가 감성적 접근이라면 교육은 이성적 접근으로, 소비자가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니즈를 느끼지 못할 때에도 교육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지속적 관계를 유지함

구매전환

구매전환을 위한 강력한 콘텐츠가 필요

사실에 기반한 이성적 콘텐츠가 효과적임

Page 15: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Issue&Trend

15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

1.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

2. MCN 마케팅

3. VR 콘텐츠 마케팅

4. 콘텐츠 큐레이션

콘텐츠 마케팅의 개념, 콘텐츠 마케팅 활용 현황과 트렌드

Ⅰ. 콘텐츠 마케팅 이해

Ⅱ. 콘텐츠 마케팅의 활용 현황

Ⅲ. 콘텐츠 마케팅 트렌드 및 사례

Page 16: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16

Issue&Trend1. 브랜디드 콘텐츠 마케팅

인터넷 동영상 소비 증가로 새롭게 떠오른 브랜디드 콘텐츠(Branded Contents) 디지털마케팅연구회의 발표에 따르면, 브랜디드 콘텐츠 광고는 동영상 광고에 이어 2016년 주목해야 할 디지털 광고 2위에 선정됨.

브랜디드 콘텐츠란 네이티브 애드에 속한 하위 개념으로, 하나의 콘텐츠 속에 브랜드를 연계시켜 단편 영상, 웹툰, 게임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함.

인터넷 동영상 소비의 증가로 새로운 형태의 인터넷 광고인 브랜디드 콘텐츠가 주목 받기 시작함.

브랜디드 콘텐츠란?

출처: 인천정보산업진흥원(2016)

네이티브 애드

브랜디드 콘텐츠

특정 서비스 플랫폼에 적합한 방식으로기획, 제작된 광고로서언론사 홈페이지에서는 기사 형태로, SNS에서는 해당 SNS의 콘텐츠 형식으로제작됨

하나의 콘텐츠 속에 브랜드를연계시키는 것으로 이는단편 영상, 웹툰, 게임 등다양한 표현이 가능함

브랜디드 콘텐츠 사례_TNGT

출처: TNGT X 72초TV 콜라보레이션티져영상"나는오늘옷을한벌샀다" , TNGT 유튜브

72초TV 시즌3 특별 번외편 '나는 오늘 옷을 한 벌 샀다'편의 한 장면.

이 영상은 패션 브랜드 TNGT와 협력, 면접을 통해 입사한 신입사원의 고민을 코믹하게그려내 화제를 모음.

Page 17: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17

Issue&Trend2. MCN(Multi Channel Network) 마케팅

1인 미디어, 방송뿐만 아니라 광고까지 MCN이란 유튜브, 아프리카TV 등 동영상 사이트에서 1인 창작자의 콘텐츠 유통•판매, 저작권 관리, 자금 지원 등을 돕고 수익을 창작자와 나눠 갖는 미디어 사업으

로, 세계 MCN 시장 규모는 약 10조 원, 국내 시장 규모는 2,000-3,000억 원으로 추산됨.

TV 등 기존 전통 미디어에 머물러 있던 미디어파워는 ‘개인’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음.

미국 디지털 에이전시 리듬원(RhythmOne)이 지난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인플루엔서 마케팅에 1달러를 투자할 경우 여섯 배가 넘는 6.85달러의 미디어 효과를얻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됨.

MCN(Multi Channel Network)이란?

출처: 기획재정부(2016.04), 1인미디어시대MCN 열풍

MCN을 통한 인플루엔서 마케팅 사례_기네스 맥주

출처: 아이뉴스24(2016.04.23), MCN, 디지털마케팅과만나다

MCN이란 유튜브, 아프리카TV 등 동영상 사이트에서 1인 창작자의 콘텐츠 유통•판매, 저작권 관리, 자금 지원 등을 돕고 수익을 창작자와 나눠 갖는 미디어 사업

국내 톱 유튜브 스타 ‘대도서관’이 직접 기획, 제작한 유튜브 기네스 맥주 광고의 한 장면

크리에이터가 직접 제작한 대표적인 수익형 인터넷 동영상 콘텐츠로 꼽힘

Page 18: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18

Issue&Trend3. VR 콘텐츠 마케팅

VR 콘텐츠 시장 2020년까지 약 400억 달러 규모로 성장 시장조사 업체 수퍼 데이터(Super Data)의 발표에 따르면, 시장 도입기에는 성장 속도가 더딜 수 있으나 VR 콘텐츠 시장은 2020년까지 약 4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임.

지속적으로 삼성전자와 오큘러스 HTC 등이 다양한 VR디바이스를 출시하면서 대중이 VR을 쉽게 접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됨에 따라선도 기업들이 마케팅 혹은 광고용으로 VR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음.

글로벌 VR 시장 규모

출처: Super Data(2016.03)

VR 콘텐츠 마케팅 사례_환타

출처: 매일경제(2016.04.22), 짜릿한환타마시며짜릿한가상현실체험하세요

익스트림 VR영상 4종을 공개하고 VR 뷰어팩을 제공하는 온라인 이벤트를 진행

이탈리아 몬테브렌토 절벽에서 다이빙 하는 '윙수트', 미국 유타주 모압 협곡을 건너는 외줄타기 '하이라인', 강원도 인제 서킷서 레이싱카를 즐기는 '드리프트', 모압 협곡에서 로프를 타는'로프스윙' 등 세계 각지에서 익스트림 활동을 즐기는 네 가지 테마로 구성

1.6 2.64.6

8.6

16.3

0.8 2.0

3.0

5.8

8.5

1.21.8

4.5

8.3

15.6

2016 2017 2018 2019 2020

PC모바일콘솔

(단위: 십억 달러)

3.76.4

12.1

22.8

40.4

Page 19: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19

Issue&Trend4. 콘텐츠 큐레이션

콘텐츠도 소비자의 니즈에 맞게 제공해야 성공적 콘텐츠 큐레이션이란 온라인상의 수많은 콘텐츠를 특정 목적하에 수집하고 편집하여, 큐레이션 수요자의 니즈에 부합할 만한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함.

매스 미디어 시대에는 콘텐츠의 생산자와 수용자가 명확하게 분리되어 있었으나, 큐레이션 미디어 시대에 들어선 이후 콘텐츠 생산자가 동시에 수용자가 되는 쌍방향콘텐츠 유통 구조로 자리 잡음.

콘텐츠 큐레이션의 개념

출처: 명승은, 미디어2.0-미디어플랫폼의진화, 인포마스터(2016.06.10), 소비자는알짜배기정보만원한다-콘텐츠큐레이션시장의 대두재인용

콘텐츠 큐레이션 사례_미미박스

출처: 인포마스터(2016.06.10), 소비자는알짜배기정보만원한다-콘텐츠큐레이션시장의 대두

고객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화장품을 보내주는 구독형 큐레이션 서비스에서 출발

현재는 패션, 리빙, 식품까지 범위를 넓혀 총 11개의 메인 카테고리를 통해다양한 상품 큐레이션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구분 매스 미디어 큐레이션 미디어

메시지 생산 주체 생산자 ≠ 수용자 생산자 → 중개자 → 수용자

메시지 수용 형태 수동적 적극적 수용

유통 경로 일방향 단일 유통 쌍방향 다수 유통

브랜드 권위형 브랜드 신뢰형 브랜드

정보 흐름 정보 집중•배포 정보 순환•누적

정보 배열 종합 편집•편성 종합 수집, 집중 배열

Page 20: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_DMC_160629

20

Issue&Trend

본 내용은 ‘디지털 미디어&마케팅’의 이해 및 마케팅 가이드 정보의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보고서에 대한 모든 저작권은 DMC리포트에 있습니다.

내용의 발췌 또는 인용 시 반드시 당사의 사전 동의를 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보고서 제목 콘텐츠 마케팅 활용에 대한 이해

분류 Market Report > Study

S/N MA2016017

작성일자 2016.06.21

작성자 DMC MEDIA | MUD연구팀

관련 문의 [email protected] | 02-6230-6629

출처 DMC리포트 (www.dmcreport.co.kr)

Notice & Contact us

DMC리포트에서 더 많은 광고.마케팅.미디어 관련 전문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www.dmcreport.co.kr

Notice & Contac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