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19
녹색교육센터 등록번호 013-15-02-01 숲을 살리는 재생종이로 만듭니다. 재활용을 위해 코팅을 하지 않습니다. (110-530)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35길 3 전화 02)6497-4855~6 팩스 02)6497-4920 홈페이지 www.greenedu.or.kr 숲을 살리는 재생종이로 만듭니다. 재활용을 위해 코팅을 하지 않습니다. (110-521) 서울시 종로구 혜화로 13 전화 02)6497-4855~6 팩스 02)6497-4920 홈페이지 www.greenedu.or.kr 014 2 녹색 교육센터 Annual Report 014 2 녹색 교육센터 Annual Report

Upload: greenedu

Post on 07-Apr-2016

229 views

Category:

Documents


8 download

DESCRIPTION

 

TRANSCRIPT

Page 1: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녹색교육센터 등록번호013-15-02-01

숲을 살리는 재생종이로 만듭니다. 재활용을 위해 코팅을 하지 않습니다.

(110-530)서울시 종로구 창경궁로 35길 3전화 02)6497-4855~6 팩스 02)6497-4920 홈페이지 www.greenedu.or.kr

숲을 살리는 재생종이로 만듭니다. 재활용을 위해 코팅을 하지 않습니다.

(110-521) 서울시 종로구 혜화로 13전화 02)6497-4855~6 팩스 02)6497-4920 홈페이지 www.greenedu.or.kr

0142녹색교육센터A n n u a l R e p o r t

0142녹색교육센터A n n u a l R e p o r t

Page 2: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4

ఠ는Үਭ

민간환경단체 녹색연합의 환경교육 전문기구로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위하여

시민들과 건강한 녹색철학과 생활방식을 나누고

생태감수성을 높이는

녹색교육운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

2004~2006

2007.11.16

2008.04.04

2009~현재

2009~현재

2010.11.30

2012.06.20

2012.10.01

2013.01.01

녹색연합 교육팀 활동

녹색교육센터 창립

비영리 민간단체 등록

KEEN(한국환경교육네트워크) 회원단체

초록교육연대 운영위원 단체

(사)녹색연합 녹색교육센터 비영리법인 등록

(사)녹색교육센터 등록

지정기부금단체 등록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위탁운영

단체연혁

2

4

21

23

24

30

32

33

인사말

2014년 녹색교육센터 주요활동

회원 활동

2015년 녹색교육센터 주요사업 소개

주요활동 내용어린이 절기환경여행, 그린잡 토크콘서트, 친환경놀이터 리모델링 사업

활동참여 후기

사무국 활동가 인사

함께하는 사람들 / 주요알림

߶

2 0 1 4ఠҮਭഝ ز ࠁ Ҋ ࢲ

Page 3: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2 3

㈡⭕⑹ 㑩ᢱ�ゕᣙ�㿭ㄽ䀅�ᰢ⭲៹㇊�ㆭ䀝

이사장 인사말 ┃ 2014년의 녹색교육센터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우리 녹색교육센터가 회원 여러분과 함께 새해를 맞게 되었습니다. 먼저 그동안의 관심과 후원

에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지난 한해를 뿌듯하게 마무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감사의 마음을 담아 <2014년 활동 보고>를 드립니다.

우리는 녹색 가치와 정신을 살리고 이를 펼치기 위해 꾸준히 일할 것입니다. 회색으로 더럽혀

진 오늘날의 문명과 우리의 삶을 지나치지 않고 이에 맞서 저항할 수 있는 녹색 감성을 키우고

다져가고자 합니다. 나아가, 이러한 뜻이 아이와 부모에게, 그리고 학교와 사회로 뻗어나가도

록 열심히 일하고자 합니다.

녹색 문명을 가꾸기 위해 회원 여러분과 함께 일하는 당찬 또 한 해를 맞고 싶습니다. 여러분의

한결 같은 성원과 참여를 기대합니다.

새해 맞아 회원 여러분의 건승을 빌면서,

2015년 1월 30일

녹색교육센터 이사장 박영신

말처럼 힘차게 뛰었던 2014년이 가고 또 한 해가 밝았습니다.

지난 봄, 우리 모두가 빠진 상처속에서는 이래도 시간이 흘러가나

싶었는데, 그래도 삶이 계속 이어지는 것을 보며 문득 거대한 세

상앞에 겸손해집니다.

그러나 순간 순간 잠긴 돌이 떠오르는 것처럼, 노란리본을 생각하

며 다시금 다짐해봅니다.

잊지 않았다고. 아니 않겠다고.

그 마음을 담아 2014년은 녹색교육센터가 어떤 활동을 해야하는지를 많이 고민했던 한해였습

니다. 그래서 녹색시민을 길러내는 <녹색길라잡이 양성과정>에서는 근본이 사라지고 사람이

아닌 돈이 중심인 세상, 그속에서 우리가 해야할 일들에 대해 치열하게 참가자들과 머리를 맞대

었었습니다. 또, 지난 2012년에 소외계층 아동들을 숲에서 만나는 <와숲>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서 학교에 남아 돌봄을 받아야하는 돌봄교실 어린이들에게 자연의 리듬과 즐거움을 함께 전하

는 <해-달-별과 떠나는 어린이 절기환경여행>을 시작했습니다. 더불어 자유학기제와 진로교

육의 확대속에 갈팡질팡하는 청소년들에게 녹색직업의 세계를 알리는 <그린잡 토크콘서트>를

개최하며 청소년 녹색진로교육을 시작했습니다. 지역활동으로는 수원시 우만동의 낙후된 놀이

터를 친환경놀이터인 <아낌없이 주는 나무놀이터>로 주민들과 함께 만들며 생활속에서 자연을

배울 수 있는 장으로서 놀이터를 새로이 바라보게 되었습니다.

무언가라도 열심히 해서 아픈 기억을 잊고 싶어서 였는지, 최소한의 기여라도 하고 싶어서였는

지, 지난해는 새롭게 시작한 활동들이 많았던 한해였습니다.

2015년에도 녹색교육센터는 지금 여기 이 자리에 필요한 녹색교육이 무엇인지 눈을 크게 뜨고

귀를 기울이며 걸어나가겠습니다!

잊지않고 마음모아 함께 걸어주실거죠?

녹색교육센터 소장 육경숙

tই՝হ�ח�աޖఠu�ѐधী߅�ࢲन�җ�নݽ� �ೠਮҳ� оزఠ�ഝҮਭ�

Page 4: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5미래세대 녹색지킴이 교육 ┃ 어린이 절기환경여행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য�ӝജৈ೯

진행시기 2014년 3~11월

참여대상 수도권 15개 초등학교 돌봄교실 570명

사업목적 자연에서 멀어진 도시아이들에게 우리 전통자연달력인 24절기를 테마로 자연의 흐름을 이해함으로써 지구환경과 나와의 관계를 알고 나아가 환경지킴이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 제공

세부프로그램

● 24절기 생태노래, 절기달력 만들기, 학교산책, 날씨일기 쓰기, 오감생태놀이, 공동체 놀이, 절기놀이, 벼농사(1년 프로젝트) 등

● 주제 흙속의 생명, 봄나물과 봄생명, 함께사는 생명, 나는야 농부, 곤충과 거미의 세상, 가을운동회, 가을걷이, 알록달록 나뭇잎, 씨의 여행 등

후 원 환경부

ఇ�Үਭ�ې

�����ᰢ⭲៹㇊⯥㯙�㎥ㄽ䄅Ẃ

4

Page 5: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6 7

Ӓ�షࢲ

진행시기 2014년 10월 13~15일

참여대상 수도권 청소년 1,500명

사업목적 녹색 직업인과의 만남을 통해 청소년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녹색직업에 대한 진로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 건강한 녹색시민으로 성장하는데 기여함

세부프로그램

● 녹색직업인과의 토크콘서트 및 심화활동 (5회)

- 지구를 살리는 녹색직업과의 만남

- 환경행정가, 동물학자, 환경운동가, 환경예술가, 생태건축가, 신재생에너지 전문가, 국제환경기구 활동가, 환경작가 등과의 토크콘서트 (박원순 서울시장, 박그림 환경운동가, 윤호섭 그린디자이너 외)

- 각 분야별로 주제심화 워크숍 활동

● 녹색 아트전시 및 아트체험 프로그램

- 녹색공감교실 Greencanvas : 국내 그린디자이너들의 환경아트전시

- 생기총총 아트워크숍 : 녹색을 주제로 한 음악, 미술, 문학 등 예술분야 체험프로그램

- 눈이 번쩍, 그린체험존 : 녹색 사회적기업, 환경 NGO 체험부스

후 원 HSBC 은행

미래세대 녹색지킴이 교육 ┃ 그린잡 토크콘서트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Page 6: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8

৬आ

진행시기 녹색교육센터 와숲 2014년 4~11월 / HSBC후원 와숲 9~11월

참여대상 지역아동센터 6개 기관 130여명 (녹색교육센터, 1개기관 / HSBC후원 5개기관)

사업목적 소외계층 어린이에게 아름다운 자연속에서의 즐거운 경험과 자연과 하나되는 직접적인 체험활동을 통해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끼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이를 계기로 서로 배려하고 협력하는 공동체 의식을 갖는 기회 제공

세부프로그램

● 녹색교육센터 와숲

- 월1회, 총 6회의 숲생태감수성 향상 프로그램

- 계절별 동네숲 생태프로그램

● HSBC후원 와숲

- 격주 1회, 총 6회 숲생태감수성 향상 프로그램

- 숲과의 소통, 토양생물, 오감감성놀이, 열매와 단풍여행, 나눔의 숲 등 가을과 겨울숲 활동

미래세대 녹색지킴이 교육 ┃ 와숲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9

Page 7: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10 11

য�ѹঠޛزࢤ

진행시기 2014년 1월 9~11일

참여대상 초등학생 2~6학년 25명

사업목적 깊은 겨울 설악산에서 자연의 경이로움을 느끼고 야생동물의 흔적을 찾아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생명의 소중함 이해

세부프로그램

● 설악산 야생동물 이야기

● 야생동물 공동체 놀이, 함께 만드는 야생동물 이야기

● 설악산 탐사 - 대승골/길골 야생동물 흔적 탐사

● 밤숲 산책, 겨울숲 놀이 등 생태감수성 활동

● 산양을 만나자 (종복원기술원 북부지원센터)

য�ਸࢤకޙച�ఐױ

진행시기 2014년 4~11월

참여대상 지역아동센터 3개 기관 초등 고학년 32명

사업목적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마을 생명들에 대한 관심을 갖고, ‘마을생태지도’라는 형식으로 표현함으로써 잠재된 생태문화감수성을 일깨우며, 마을에 대한 애정과 건강한 환경의식을 지닌 미래세대 양성

세부프로그램

● 월 2회 총 6회의 마을생태 프로그램

● 마을의 야생동물, 식물, 조류, 곤충 등을 주제로 골목길 탐사

● 탐사결과를 생태지도로 직접 그려 마을생태지도 제작 및 배포

후 원 서울시

미래세대 녹색지킴이 교육 ┃ 어린이 겨울야생동물캠프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Page 8: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12 13

ࠉ�оജ ীਗ؊�নҗ

진행시기 2014년 5, 9, 11월

참여대상 일반시민 47가족 총 178명

사업목적 가족의 참여를 통해 변화하는 환경현안에 대하여 관심을 갖고, 환경봉사를 직접 체험하면서 환경의식을 높이며 더불어 가족 사랑으로 만들어 내는 환경 나눔의 장을 마련

세부프로그램

● 5월 <도시숲 흙살리기>

- 헌인릉, 흙교육 및 생태놀이, 개량제 배포

● 9월 <날아라! 도시꿀벌>

- 노을공원, 꿀벌과 생태계의 이해, 밀원식물 심기

● 11월 <야생동물은 내친구>

-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 청소 등 일손돕기, 가족친밀감 활동

후 원 교보교육재단

진행시기 2014년 3~11월 (상.하반기 총2회)

참여대상 상반기 수원시 학부모 35명 / 하반기 생태유아교육에 관심있는 시민 45명

사업목적 환경수도를 꿈꾸는 수원의 에코리더를 양성하여 환경의식 향상과 환경교육확산을 통해 수원시의 지속가능한 환경교육발전에 이바지

세부프로그램

● 상반기

- 학부모 대상의 환경기본 소양교육, 환경철학, 먹을거리 및 에너지 문제, 광교산 숲치유 체험 등

● 하반기

- 생태유아교육, 숲유치원의 필요성, 생태유아교육의 실제, 숲이 들려주는 생명의 노래 등

후 원 수원시

녹색시민교육 ┃ 다솜이 가족환경봉사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Үਭद

Page 9: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15

җ�নۄӡ

진행시기 2014년 9~10월

참여대상 환경교육에 관심있는 시민 28명

사업목적 건강한 환경의식과 생태철학, 녹색마인드와 실천력을 겸비한 녹색시민교사를 양성하여 지속가능한 환경교육 발전에 기여

세부프로그램

● 오리엔테이션, 설악산 워크숍

● 녹색시민과 삶, 배움과 나눔의 녹색교육철학, 사회환경교육의 역할과 비전, 에코티어링 등

후 원 서울시

녹색교육자양성 ┃ 녹색길라잡이 양성과정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14

Page 10: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16 17

ӝসhഥ�Үਭ�ഈ۱

ജఠ��؛ݽস

진행시기 2014년 1~10월

참여대상 수원시 팔달구 우만1동 주민

사업목적 낙후된 어린이놀이터를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놀이공간으로 리모델링하고, 조성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참여를 통해 정겨운 공동체 공간을 조성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쉼터와 더불어 어린이 생태교육 공간

세부프로그램

● 아낌없이 주는 나무놀이터 주민설명회, 놀이터 설계 및 시공

● 주민참여프로그램

- 타일벽화 그림그리기, 놀이터 꽃나무심기, 나무이름표 만들어달기

● 개장식

- 놀이터 조성과정 판넬전시 및 현판 제막식

- 나뭇잎 손수건 만들기

후 원 한국토지주택공사

기업·사회 녹색교육 협력 ┃ 친환경놀이터 리모델링 사업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Page 11: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18 19

�ӝزҕޛࡁ ز�ഝࠉഥ�ജ

진행시기 2014년 9월~2015년 8월

참여대상 서울시 성북구 정릉3동 주민

사업목적 빗물이용시설 설치 및 빗물교육자료 개발과 모니터링, 교육활동을 통해 지구적인 물문제를 지역단위에서 해결할 수 있는 시민실천사례를 조성

세부프로그램

● 빗물이용시설

- 빗물저금통 설치 및 모니터링

- 삼덕마을 내 초등학교 및 유치원, 복지관, 공동주택 등

● 빗물교육

- 유아, 초등, 중등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빗물교육자료 개발 및 교육 활동

후 원 HSBC 은행

진행시기 2014년 8월 13일

참여대상 한화생명 임직원 11명, 누리미지역아동센터 23명

사업목적 깊은 숲에서 점점 설자리를 잃어가는 새들에게 보금자리를 만들어주면 건강한 숲만들기에 기여하는 환경봉사활동

세부프로그램

● 오리엔테이션

- 남한산성 이야기, 마음열기, 짝꿍정하기

● 건강한 숲만들기

- 새집조립, 나무에 새집 달기, 숲길산책

기업.사회 녹색교육 협력 ┃ 빗물공동체 만들기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Page 12: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20 21

ਤఌ

ఠীցࢲ

사업목적 에너지 자립형 미래건축물 모델을 제시하고 에너지 제로의 실증적 구현과 에너지 자립도시의 꿈을 함께 나누고자 설립된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서 사람과 시민을 중심으로한 에너지 전시공간 및 교육프로그램 운영

세부프로그램

● 전시장

- 에너지패러다임 (씽크에너지, 신재생에너지, 에너지위기)

- 에너지드림 (제로에너지빌딩, 제로에너지 테크놀로지 및 모니터링)

- 에너지드림시티 (블랙아웃, 제로하우스, 원전하나 줄이기)

● 체험프로그램

- 출발 드림이, 에너지 드림맨, 그림자극장, 에너지 런닝맨, 이야기가 있는 에코투어, 태양광 자동차, 태양열 요리교실, 에너지와 놀자 등

● 홈에너지 컨설턴트

- 찾아가는 맞춤형 에너지 진단 컨설턴트 양성과정

위탁운영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ୡ۾ॿ�ജࠉ

진행시기 2014년 4월

참여대상 회원 및 가족 21명

사업목적 녹색교육센터 회원 대상으로 환경봉사활동 프로그램을 진행함으로써 회원의 소속감과 유대감을 증대시키고 환경에 기여하는 장 마련

세부프로그램

● 헌인릉 이야기

● 흙생태놀이, 흙살리기 활동 (토양개량제 배포)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䄵ㅹ䄅Ẃ

Page 13: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22 23

�ਕҮ

2014년 녹색교육센터의 주력사업인 “방과후 환경학교“ <해-달-별과 떠나는 어린이 절기환경여행> 과 ”소외계층

아동을 위한 숲생태감수성 향상 프로젝트“인 <와숲!> 프로그램을 한 해 동안 행복하게 이끌고 수고하신 녹색교사분

들과 함께 1박 2일 여정으로 충남 서천의 국립생태원으로 나들이를 다녀왔습니다.

국립생태원 에코리움(Ecorium) 해설을 시작으로 철새탐조, 신성리갈대숲 탐방까지 서천지역의 곳곳을 누볐습니다.

더군다나 몇년만에 내린 서해안 폭설로 겨울왕국 눈꽃여인들의 웃음꽃이 여기저기서 만발하지 않을 수가 없었어요.

참 즐겁고 평화로운 워크숍이었답니다.

녹색교육센터의 철학을 사회의 낮은 곳과 학교 곳곳에서 전파하는 자랑스런 녹색샘들, 올 한해도 생생한 녹색 메아리

울려주시길 부탁드려요!

2 0 1 5�ఠҮਭਃস�ѐ

회원활동 ┃ 녹색교사 워크숍

어린이 절기환경여행

- 절기 따라 자연과 함께 성장하는 아이들을 위한 방과후 환경학교

- 텃밭농사와 연계한 3,4학년용 절기환경교육 프로그램

와숲

- 소외계층 아동을 위한 숲생태감수성 향상 프로젝트

- 봄,여름,가을,겨울 4계절의 숲을 1년동안 온전히 경험

빗물공동체 만들기

- 성북구 삼덕마을과 함께 빗물공동체 만들기

- 빗물저금통, 빗물이용시설 설치 및 모니터링, 빗물교육프로그램 진행

Page 14: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24 25

이신혜 (맑은샘)

2014년 녹색교육센터 첫 세미나 주제가 “24절기”였습니다. 재미있는 주제여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으로 만들면 좋겠다는

의견이 있었고 환경부 방과후 환경학교로 <절기환경여행>을 기획하였습니다. 초등학교 학년별 학습수준을 고려하여 1,2

학년-3,4학년-5,6학년 군으로 3차년 연개사업으로 진행하기로 하고 생태감수성 형성을 위한 오감체험 놀이활동을 중심

으로 저학년용 절기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습니다.

처음에는 24절기와 환경교육을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에 대해 많은 고민이 들었습니다. 일기예보를 통해 경칩, 처서, 입

동 등의 말은 들어봤지만 절기가 무엇인지 제대로 모르고 생활해왔기 때문이겠지요, 24절기를 알기 위해 많은 자료를 찾

아보면서 “때를 알고 때에 맞춰 살아가는 것”이 절기살이 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해와 땅 그리고 그 사이에서 살아

가는 모든 생명들. 해의 높낮이에 따라 땅의 기운이 변화하고 그에 맞춰 생명을 이어가는 우리의 삶. 매우 단순하지만 합

리적이며 과학적인 절기살이에 대해 알아 갈수록 자연에 순응하며 살았던 우리 조상님들의 지혜에 감탄할 수 밖에 없었

습니다. 그래서 절기에 따라 어떤 활동들이 적합한지, 절기를 느낄 수 있는 활동이 어떤 것인지 등을 고민하고 절기와 자

연변화의 흐름을 알 수 있는 활동 프로그램들로 구성하였습니다.

학교라는 제한적인 공간에서 제한된 시간 내에 절기환경교육의 내용을 담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었습니다. 일단 아이들

에게 생소한 24절기를 쉽게 알 수 있는 방법과 함께 환경교육은 재미없다

라고 생각하는 교사들의 인식전환도 필요했습니다. 저학년 아이들인만큼

재미있고 즐거운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계절별로 생태동요를 부르고 절기주

제에 맞는 생태놀이를 중심으로 활동하였습니다. 그리고 매번 학교산책을

진행함으로써 학교내 자연환경에 관심을 유도하고 변화하는 모습에 호기심

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고, 햇님인사-생태동요-학교산책-절기주제활동-

그림일기쓰기-차마시기 등 일련의 흐름을 담은 활동구성으로 전체 교육활

동이 리듬감을 갖고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생활속 환경교

육 프로그램의 지속성 및 효과증대를 위해 절기환경여행의 활동내용과 집

에서 함께 나눌 수 있는 환경이야기를 담은 가정통신문을 제작하였습니다.

절기의 뜻을 담은 24절기 노래를 부르고 녹색선서를 큰 소리로 읽고 교실

밖 자연(비록 학교안이지만)에서 햇살 아래 또는 빗속에서 우산을 쓰고 재잘재잘 떠들며 뛰어다니던 아이들. 봄에는 흙을

만지고 봄꽃과 봄나물을 먹었고, 여름에는 모를 심고 초록세상 나뭇잎과 놀았고, 가을에는 곤충과 열매를 친구삼아 놀고

벼 베고 쌀을 거뒀고, 겨울에는 낙엽 속에서 겨울나기 준비를 하였고... 돌아보니 1년 동안 참 많은 활동들을 했습니다. 그

리고 여름 소만에 심었던 작은 모가 가을 한로에 잘 여문 쌀을 품은 벼처럼 1년의 활동을 진행하면서 아이들의 몸과 마

음도 많이 자라 있었습니다.

활동후 설문분석 결과 생태감수성 환경교육이 아이들의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고 자연과의 즐거운 경험을 통

해 긍정적인 생활태도로 변화시킴을 알 수 있었습니다. 또한 협동과 배려 중심의 활동프로그램을 통해 자신감과 함

께 한다는 즐거움 및 공동체 의식을 가지게 되었고, 지속적인 학교산책은 자연을 친근하게 접함으로써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도를 높여주었습니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핸드폰 게임이나 장난감 놀이에 익숙한 아이들에게 자

연과 더불어 즐기는 놀이문화를 익혔다는 것입니다.

<절기환경여행>은 진행한 기획자의 입장에서도 참여한 강사선생님들에게도 환경교육의 내용과 확장가능성에 대해 많

은 것을 배우고 한 단계 성장할 수 있었던 소중한 기회가 되었습니다. 또한 동일대상에 20회라는 지속적인 교육활동이

이루어졌다는 것은 일회성 환경교육이 주를 이루고 있는 현 시점에서 매우 주목할 만한 결과입니다. 생태환경교육의 모

든 내용을 총집합한 종합선물세트인 <절기환경여행>은 1년 4계절을 아우르는 활동으로 환경교육의 이상적인 모

델을 제시하였고 다양한 분야와 접목시킴으로써 환경교육의 발전적인 모습을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습니다.

2015년 <절기환경여행>은 3,4학년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3,4학년 프로그램은 교과와 연계하여 생태감수성 발달

을 위한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벼농사와 텃밭농사, 그리고 다양한 절기놀이로 구성됩니다.

<절기환경여행>을 통해 절기에 따른 자연의 변화흐름을 알고 자연생명을 관찰하며 환경과 우리의 공존관계를 이해함으

로써 미래세대 어린이들이 아름다운 지구인으로 성장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주요활동내용1 ┃ 어린이 절기환경여행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ഝزղਊ�

해-달-별과 떠나는 어린이 절기환경여행

য � � � � ӝ � ജ � � ৈ � ೯

Page 15: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26 27

최윤선 (사자)

대학 입학을 지상의 과제로 삼는 우리나라 교육의 현실은 한세대 전과

별로 변한 것이 없이 경쟁은 더욱 치열해졌습니다. 최근 교육계에서도

진로교육을 강조하고 있기는 하나 여전히 진학중심의 지도와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 현실과 경직된 직업군의 선호도로 인하여 다

양한 직업교육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입니다. 지난 몇 년

동안 우리나라 청소년의 행복지수는 OECD 최하위를 보이고 있습니다.

성적 스트레스와 맞바꾼 청소년기의 행복과 과잉경쟁으로 인한 대인관

계와 전인교육의 실종, 그리고 스펙 쌓기로 전락해버린 체험학습 등 점점 암울한 미래로 치닫고 있는 악순환의 수레바퀴

속에서 청소년들이 자신의 삶을 행복하게 만들어 갈 수 있는 방법은 없는 것일까요?

그래서 녹색교육센터 활동가들은 청소년들과 ‘꿈(직업)’에 대하여 이야기 해보기로 했습니다. ‘돈’을 쫓는 직업이 아니라

‘생명’을 살리고 ‘지구’도 살리는 직업에는 무엇이 있을까 이야기 해보기로 했습니다.

청소년기 중요한 발달과업 중 하나는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인생 및 진로에 대한

고민을 나누고, 적절한 역할모델이 되어주는 조언자나 지지자를 확보하는 것은 청소년기를 지나 건강한 성인이 되어 자

신이 원하는 삶, 행복한 삶을 살아 갈 바탕을 만드는데 매우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겠지요.

청소년이 긴 호흡으로 자신의 진로를 탐색할 수 있도록 우리는 참신함과 유용성을 겸비한 진로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싶

었습니다. 녹색 멘토들을 통한 직업세계에 대한 다양한 인식과 탐색은 자연스럽게 청소년들의 진로비전을 수립하고 명료

한 삶의 목표를 갖게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기 때문이죠.

녹색 직업(Green Job)은 지구환경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공공성’과 다양한 영역에서 존재할 수 있는 ‘편재성’

으로 인하여 점차 그 의미와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환경과 생명 존중은 인류 전체의 행복과 지속가능한 삶을 보장

하는 길이며, 녹색직업은 이의 실현을 위해 행동(activities)하는 주체이기 때문입니다.

우리는 <Green Job 토크콘서트>라는 이름으로 2014년 10월 13일(월)부터 15일(수)까지 3일간 환경운동가, 해양학자, 야생

동물 수의사, 그린 디자이너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을 모시고 청소년들과 한자리에 모여 자신의 녹색 철학과 직업을

이야기 하고, 청소년들의 궁금증과 호기심을 해결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또한 토크 콘서트 외에도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그린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전시하는 ‘녹색공감교실 Greencanvas'와 녹색

직업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Green 체험부스’를 상설로 운영하면서 다양한 방법과 눈높이로 녹색 철학을 전하고

자 하였습니다.

Green Job 토크콘서트에 참가한 한 학생은 “나는 지금껏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을 고르고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생

명을 소중히 하는 분야를 알게 되었고, 이러한 가치를 중심으로 직업을 선택해야겠다. Green Job 토크 콘서

트를 통해 잘 알지 못했던 다양한 직업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오늘은 나의 꿈을 향해 한걸음 나아

간 하루였다.” 라고 소감을 남겼습니다.

청소년기의 진로탐색 기간을 ‘긴 항해’라고 했을 때, 폭풍우를 만나 지도와 나침반을 모두 잃어버린 상태에서 길을 안내해

주는 것은 ‘북극성’에 해당하는 ‘꿈’과 ‘가치’일 것입니다. 누구에게든 삶의 모델을 찾기란 쉽지 않습니다. 우리 사회의 다양

한 직업군에서 녹색이라는 철학을 기반으로 단단히 뿌리를 내리고 있는 녹색 멘토들을 만나는 <Green Job 토크콘서트>는

청소년들이 삶의 방향을 결정하고 직업을 찾는데 또 다른 통로를 만들어 주는 북극성 같은 길잡이 역할을 해줄 것입니다.

자, 곰곰이 생각해 봅시다.

“당신도 누군가의 북극성이 되어주고 있나요?”

ਃഝزղਊ�

당신도 누군가의 북극성이 되어주고 있나요?

Ӓ � � � ష � � � ࢲ �

주요활동내용2 ┃ 그림잡 토크콘서트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Page 16: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28 29

육경숙 (코끼리)

녹색교육센터의 놀이터 사업은 2012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한국

토지주택공사의 사회공헌사업인 <친환경놀이터 리모델링>사업에 참여하면

서 우리생활 주변의 놀이터에 대해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전국

에 있는 어린이 놀이시설은 총 6만 2989개로 적지는 않지만, 이중에는 오랜

기간동안 방치된 낙후된 놀이터들이 많습니다. 이 사업은 이렇게 낙후된 놀

이터를 리모델링할 때 가급적 여러 가지 요소에서 친환경적인 요소들을 반

영하고, 설치를 하는 기업이나 지자체만이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인근 주민, 마을 단위에서 함께 만들어가는 마을 공동

체사업입니다.

2012년 1차 사업에서는 강서구 방화동에 <해님와 바람의 에너지놀이터>를 만들었습니다. 기후변화와 에너지환경문제가

점점 심각해지는 것을 놀이터에 반영하여 생활에서 시민들이 놀이터를 통해 느낄 수있도록 하였습니다.

2014년 2차 사업에서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우수 놀이터 현황 조사를 통하여 현재 우리나라 놀이시설들의 수준과 방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조성될 마을의 현황조사를 철저히 하고 인근 주민들과의 소통에 많은 노력을 들였습니다. 사업대

상지인 수원 우만동 주민들과 논의하는 과정에 놀라웠던 점은 주민들이 놀이터(어린이 공원)에 매우 큰 관심을 가지고 있

다는 것이었는데요. 주민들중 아이가 다 커버린 분들은 조금 소극적이었지만, 어린아이가 있는 부모들은 너무 안전하기만

한 놀이공간보다는 활동적으로 놀 수 있는 공간을 희망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주민의견수렴과정을 거치면서 드디어 지

난해 10월 공원내 커다란 플라타너스 두 그루를 모티브로하여 <아낌없이 주는 나무놀이터>가 완공되었고 어린이서부터 노

인에 이르기까지 주민전체가 즐겁게 이용하는 우만1동의 중심공간으로 거듭

나게 되었습니다.

놀이터 사업을 진행하며 매우 보람있었던 점은 첫째로 마을에서 놀이터

라는 곳이 어린이들만의 공간이 아니라 마을의 중심공간으로서 매우

커다란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을 알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둘째로 놀이터

사업은 미래세대 녹색교육사업으로 매우 큰 의미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깨달

은 것입니다. 그동안 녹색교육은 주로 도시의 아이들을 자연생태공간으로 이동시켜 자

연을 느끼고 체험하는 교육으로 발전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생활이 이루어지

는 곳은 도시생활공간이며 일상속에서 놀이를 통해 사회와 자연의 리듬, 원리를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매우 소중한 곳이 바로 놀이터가 될 수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자연을 닮은 놀이터를

잘 조성하는 것은 자연속에서 진행하는 생태교육못지않게 중요한 교육효과와 의미가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놀이

터는 안전하지 않은 공간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최근 몇 년사이에 벌어진 대형사고들로 사회적으로 안전을 최우

선적으로 강조하게되는 분위기속에서 외형적인 안전에 관한 규율 강화가 교육내용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일

예로 세월호 참사이후 이전에 다양한 공간에서 이루어졌던 학교의 현장체험학습이 대형놀이공원으로 획일화 되고 있는

점은 매우 안타까운 현실입니다. 세상은 안전하지 않습니다. 물론 그러기에 정말 기본이 되는 안전규율은 확실하게 강화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안전규율로 세상을 둘러친다고 해도 100% 완벽하게 안전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가 자연을

찾고 그 경이로움을 느끼는 것은 어찌보면 자연이 뻔하지 않은 야생의 공간이기 때문입니다. 그 속에서 내가 어떻게 발

을 디뎌야 하는지, 내 몸은 어떻게 움직여야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지 자연스럽게 배울 수 있는 곳이 자연입니다. 도시의

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요즘 아이들은 예전보다 생활속 사고들에서 더 크게 다친다고 합니다. 학교과 학원등 실내위주

의 생활로 몸을 많이 움직이지 않게 때문에 자그마한 사고에도 더 크게 다친다는 겁니다. 또 게임과 스마트폰의 사용 증

가로 몸으로 하는 놀이활동이 크게 줄은 것도 원인입니다. 아이들이 야외공간에서 몸으로 친구들과 맘껏 뛰어논다는 것

에는 내 몸을 상황에 맞게 잘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운다는 아주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그래서 약간은 위험하고 행동을 조심해야 하지만 도전하고 싶은 자연의 원리를 닮은 놀이터를 만들고 아이들이 신나게

뛰어놀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미래세대들을 위한 녹색교육이라는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시민안전의식 강화 측면으로도 매

우 중요한 가치가 있습니다.

얼마전 기사에서 어린이 안전사고방지목적으로 놀이터안전검사를 강화하여 형편이 어려운 동네 놀이터들이 문을 닫게

되어 영세주택단지 아이들이 놀 공간이 없어졌다는 소식을 들었습니다. 이제는 놀이까지도 빈익빈 부익부가 되는 현실

입니다.

그래서 녹색교육센터가 할 일이 더욱 많아지는 2015년입니다!

ਃഝزղਊ�

놀이터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 ജ � � � � ఠ � � ݽ � ؛ � � � স

주요활동내용3 ┃ 친환경 놀이터 리모델링 사업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Page 17: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30 31

어린이절기환경여행따뜻한 봄에 시작했었는데 어느덧 차가운 바람이 부는 계절이 되었네요.

절기환경여행을 하면서 계절별 특징과 느낌을 더 세심하게 만끽한 것 같아

요. 그저 그렇게 스쳐 지나가던 자연의 흐름이 참 특별해졌어요. 아이들에

게 소중한 경험을 선물해 주셔서 감사드리고 늘 푸르게 발전하는 환경

지킴이 녹색교육센터가 되시길 기원합니다

/ 윤미나 (장월초 돌봄교사)

그린잡 토크콘서트우리의 미래 우리의 환경은 지금처럼 괜찮을까? 이런 의문을 한번쯤

해보았었다. 그래서 ‘환경을 생각하는 직업’이라는 주제를 보았을 때 바로

관심을 가졌다. 이번 기회를 통해서 그린잡 그리고 우리가 살고 있는 이

환경에 대해서도 한 번 더 느끼고 생각 할 수 있었던 뜻 깊은 시간이

된 것 같아서 좋았다.

/ 한예진 (창북중)

와숲와숲에게.. 난 이 6주동안 너에게 많은 것을 배웠어. 동물, 곤충, 땅속에

사는 동물, 열매, 나뭇잎 많은 것을 배웠지. 오늘이 마지막이지만 다음에도

숲과 더 친해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어. 숲아, 그동안 고마웠어.

Thank you!!!

/ 연후 (이웃사랑일원)

다솜이 가족환경봉사더불어 사는 삶... 아이들에게 이웃을 돌보고 함께 가는 법을 알려주고 싶은

마음에 봉사체험을 신청하게 되었다. 이번 테마는 사고나 질병으로 자연속에

서 스스로 자생할 수 없는 동물을 치료, 보호하는 센터에서 봉사활동을 하는

것이었다. 더불어 사는 삶의 실천대상이 사람뿐 아니라 동물, 자연물에도 속

한다는 것~ 이번 활동을 통해 우리 부부도 배웠다~!!!

/ 우상희 (야생동물은내친구 참가자)

녹색길라잡이 양성과정많은 길이 있었다. 보이는 길, 보이지 않는 길, 가야할 길, 가고싶지 않은

길. 보고싶은 길, 보고싶지 않은 길. 가고싶은 길, 가야만 하는 길. 혼자 가

야 하는 길, 함께 가야 하는 길. 쉬어가는 길, 달려갈 길. 내가 지금 서 있

는 이 길은. 어디쯤, 어디에 있는 걸까? 많은 길 중 하나를 보았다. 초록 생

명의 길.

/ 박지예라 (꽃바람)

에코수원리더 양성과정에코리더과정엔 꼭 듣고 싶은 강의도 있었지만, 평소 관심두지 않았던

주제도 있었다. 그러나 돌아보니 그중의 어느 것 하나 나와 상관없는

주제는 없었다. 따져보면 모두 내 문제이고, 미래 내 아이가 살아갈 사회의

문제이고, 우리나라의 문제이며 지구촌 문제와도 가까이 맞닿아 있었다.

앞으로 아이를 어떻게 키워야할 것인가, 나는 어떤 엄마가 될 것인가에

대한 방향키를 찾게 해준 고마운 시간들이다.

/ 백재은 (4기 참가자)

마을생태탐사어린이 마을생태문화 탐사대는 ‘고생 끝에 찾아온 행복’이다.

동네에 참 많은 자연이 있는 것 같아 재미있었고 신기했다.

/ 유정민 (도깨비방망이)

어린이 겨울야생동물캠프내친구 산양아! 처음 설악산에 왔을 때 산양 너희들에게 들어가도 되냐고

물어봤더니 들어와도 된다고 한거 같았어. 너희들이 나를 받아주는 것 같아

서 기분이 좋았어. 고마워. 너희가 깨끗한 숲에서 자유롭게 살 수 있도록 너

희의 보금자리를 지켜줄게. 추운 겨울 건강하게 지내고 이곳 설악산에서 계

속 살아주길 바래.

/ 민지원 (반딧불이)

ഝزଵৈ�റӝ

활동참여 후기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Page 18: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32 33사무국 활동가 인사 ┃ 함께하는 사람들 2014 녹색교육센터 활동보고서

о�زҴ�ഝޖ ԋೞۈ�ח

�חо�ೞزఠ�ഝҮਭ

누구도 특별하지 않고 누구나 소중합니다!

올 한해도 <나무처럼> 꿋꿋하게 대지에 발을 딛고 세상을 향해 왕성한 가지를 뻗어 나가겠습니다!

녹색교육! 아리아리!! / 코끼리 육경숙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못한 그 꽃" 좋아하는 고은 시인의 詩 입니다.

올 한해는 매 순간 깨어있는 여유를 누리며 살아 보아요! / 자미 정미경

올해 녹색교육센터의 새내기 일꾼으로서 녹색교육센터 식구들과 회원 여러분들과 발을 잘 맞추며 걷겠습니다.

속도에 취약한 늦깍이 막내로서 일하며, 사랑하고, 희망으로 가는 방향을 찾아서 걷는 2015년의 여정에 회원여

러분들의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그럼 힘찬 외침으로 시작!! 아자~ 아자~ / 물매화 정윤숙

2015년 새해를 맞이한게 엊그제 같은데,, 벌써 2월 입춘날입니다.

봄이 오면 곧 여름, 가을 그리고 다시 겨울이 오겠지요~

올 한해도 절기 따라 때에 맞게 살아가는 녹색인이 되겠습니다.

/ 맑은샘 이신혜

2015년에는 보기만해도 기분 좋아지는 포근한 양처럼 따뜻하고 행복한 일들로 가득했으면 좋겠습니다.

/ 사자 최윤선

ש�ഥਗח��ॿਸ�х�����פ�ഥ࠺റਗױݺ�강대중 강민협 강희재 고대현 고덕경 고보성 고제헌 공태식 곽혜영 구오름 권기정 권대원 권병빈 권순민 권순현 권영두 권철현 권

해정 권혁상 권혜진 김강석 김건우 김경호 김광란 김광철 김국한 김나연 김나윤 김단비 김단희 김대홍 김도현 김두석 김미란 김민교

김민서 김민수 김민지 김민희 김보애 김 선 김선희 김성수 김수민 김수형 김순길 김시우 김연주 김영언 김옥희 김용상 김윤경 김은

수 김은숙 김정아 김정원 김정진 김정태 김정현 김정희 김제남 김종천 김준서 김준수 김준우 김준호 김채진 김철희 김타균 김태연

김태윤 김필근 김필자 김한덕 김한수 김현섭 김현자 김현준 김혜리 김혜성 김혜애 김호성 김효민 김효선 나호빈 나효우 남상민 남승

민 노상은 노우현 류재순 류창선 류태곤 문상은 문소연 박경학 박경호 박경화 박광열 박남주 박민철 박상수 박성수 박성철 박세영

박승희 박예진 박우현 박인옥 박제민 박종건 박주연 박준범 박준형 박지예라 박지혜 박창수 박현우 박형진 박혜영 박화순 박희준 백

마리 백승진 백인성 백인욱 백종우 서명순 서영대 서우성 서일석 서정환 석양정 설혜연 소준익 소채린 소 현 손병권 송동현 송명규

송수민 송용덕 송일현 송정희 신경민 신경아 신동은 신동철 신린경 신미라 신용남 신현욱 신혜정 심성준 안미경 안성숙 안은산 안정

희 안창현 안현숙 양명옥 양세현 양재훈 양회영 여남구 오선민 오여주 오옥분 오윤석 오종석 오혜성 우종영 원상훈 원진희 원택스님

원흥묵 유새하 유수민 유연주 유재형 육경숙 윤난형 윤예지 윤지선 이건호 이경자 이광문 이금희 이기수 이단비 이동철 이만재 이본

영 이상규 이상남 이상부 이상훈 이석재 이선구 이소현 이수경 이수현 이숙례 이순화 이승우 이승훈 이신혜 이영란 이용성 이용희

이유광 이유진 이윤찬 이장수 이재경 이정란 이정민 이정인 이주영 이지섭 이지원 이지현 이진호 이채빈 이채원 이태화 이해남 이해

울 이혜선 이혜영 이환승 이효은 인현주 임규리 임도경 임봉덕 임옥규 임지열 임지영 임훈영 장보명 장영준 장은석 장지영 장혜주

전승빈 전영임 전우현 전혜지 정경모 정교윤 정누리마루 정명옥 정미경 정보연 정석현 정선미(이몹쓸) 정소담 정영미 정영희 정윤숙

정은주 정지향 정진영 정하나 정현수 정혜주 정홍록 정화려 정희수 조근원 조명진 조봉학 조영금 조영장 조재학 조주현 조진형 조항

미 조해경 조현실 조환희 주형선 지인숙 지호중 지홍원 진길자 차봉준 최규연 최문섭 최보경 최상돈 최상명 최상호 최 솔 최윤선 최

재형 최정우 최종덕 최지은 최진우 최태영 최형렬 추아영 하수경 하태연 한경아 한광희 한기성 한보경 한수경 한영배 한은선 한의근

한지섭 한형철 허병철 허성미 허영재 허지훈 현채원 홍은미 홍은선 홍정욱 황경숙 황덕신 황혜림

평생회원 강문규 박영신 소진춘 양경모 정혜인 한윤구

정기총회(사)녹색교육센터 정관 제2장 제6조에 의거 회원정기총회를 개최합니다.

지난 1년의 활동을 되돌아보고 새로운 한해의 활동을 결정하는 뜻깊은 자리이오니 더불어 즐겁게 녹색의 꿈을 나눌 수

있도록 함께 해주시기를 바랍니다.

■ 일시 2015년 2월 25일(수) 늦은 7시

■ 장소 서울 종로구 혜화로 13 녹색교육센터

■ 총회원의 자격 총회일 기준으로 3개월 이상 연속회비 납부자

■ 총회안건 2014년 사업보고 결산심의 및 2015년 활동계회 예산 심의 승인 등

사무실이전녹색교육센터가 지난 여름 7년만에 보금자리를 이전하고

아늑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많은 분들을 맞고 있습니다.

대학로에 오시면 꼭 들려서 차한잔 하고 가세요~

주요알림

Page 19: 녹색교육센터 ar web 원본

www.greenedu.or.kr

(사)녹색교육센터가 지향하는 녹색교육은 사람과 사람, 사람과 자연과의 평화로운 공존을 위하여

시민들과 건강한 녹색철학과 생활방식을 나누고 생태문화적인 감수성을 높이는 교육운동입니다.

녹색교육센터는 배움과 나눔의 철학으로 시민들과 함께 초록빛 내일을 열어가겠습니다.

당신과 함께 우리는 초록빛 내일을 꿈꿉니다

후원문의 02)6497-4855~6 홈페이지 www.greenedu.or.kr

후원계좌 하나은행 274-910004-85505 녹색교육센터

(사)녹색교육센터 후원회원은

(사)녹색교육센터 회비와 후원금은 지정기부금에 해당되며, 개인 소득금액의 30%까지 종합소득산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법인 단체는 소득 10% 한도)

녹색교육센터에서 주관하는 모든 활동에 우선 참여기회와 참가비 15% 할인 혜택을 받습니다.

다양한 회원모임과 참여활동을 통해 회원들과 소통하는 자리가 마련됩니다.

ۆҮਭ삶에 대한 철학과 방식을 녹색으로 바꾸는 ‘생활교육’입니다.

미래세대에게 녹색의 씨앗을 심는 ‘희망교육’입니다.

‘다름’과 ‘소외’를 구분하지 않고 함께 하는 ‘나눔교육’입니다.

체험과 문화로 엮어내는 ‘통합교육’입니다.

남과 북을 포함한 지구촌 이웃 모두가 연대하는 ‘국제이해교육’입니다.

সఠ�ਃ�ҮਭҮਭ

미래세대 녹색지킴이 교육 ▶ 미래세대 섬환경캠프 ▶ 야생동물학교 ▶ 절기환경여행 ▶ 와숲

녹색시민 교육 ▶ 녹색교사 양성 ▶ 녹색시민강좌 ▶ 환경자원봉사

학교-사회 환경교육지원 ▶ 학교기관 녹색교사 지원 ▶ 시설기관 환경교육 위탁

녹색출판 및 환경자료 보금 ▶ 녹색교육자료 연구 개발 ▶ 녹색도서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