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생 생존가이드

60
공동 작성: 김진우, 성상현, 이승훈, 이주석(ㄱㄴㄷ순) 최종 편집: 이승훈 Graduate School Survival Guide.

Upload: postech

Post on 21-Apr-2017

392 views

Category:

Career


1 download

TRANSCRIPT

Page 1: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공동 작성: 김진우, 성상현, 이승훈, 이주석(ㄱㄴㄷ순)

최종 편집: 이승훈

Graduate School Survival Guide.

Page 2: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너란 어려운 개새끼...

Page 3: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너란 어려운 개새끼...

지옥에 온걸환영해요

Page 4: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렇다면

연구란 무엇인가

Page 5: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란 무엇인가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Page 6: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란 무엇인가

기존에있던문제를새롭게(더 좋게) 푸는 것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Page 7: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란 무엇인가

기존에있던문제를새롭게(더 좋게) 푸는 것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만약 풀만한문제가 없다면?

Page 8: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란 무엇인가

기존에없던문제를제시하는 것

기존에있던문제를새롭게(더 좋게) 푸는 것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만약 풀만한문제가 없다면?

Page 9: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란 무엇인가

기존에없던문제를제시하는 것

기존에있던문제를새롭게(더 좋게) 푸는 것

현재 사회에 존재하는문제를 해결하는 것

아직 인식되지않는(그러나 발생할) 문제를 제기하는 것

사실이나 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연구란사실이나원리를 발견하기위해 수행되는 특정 주제, 분야 또는 문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 방법

이제까지 해결되지않았고, 해결시 그 가치가분명한 문제를 대상으로 다양한이론 및 방법론을활용하여 본인이원하는 결과를 도출해내고 이를 발표하는 것

과학적인 방법을활용하여기존의 연구 결과 및 실험 결과들에대해 비판적으로고민함으로써, 새로운 가치 및 진리를 추구하는과정

결국연구는 과거와 현재의지식을 연결하는 작업

Page 10: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렇다면

연구자란 무엇인가

Page 11: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자란 무엇인가.

(앞서 설명한)연구(라고 불리는 것)를 하는 사람

Page 12: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자란 무엇인가.

(앞서 설명한)연구(라고 불리는 것)를 하는 사람(그러나, 이렇게 설명하면 너무 모호함)

Page 13: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우리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Page 14: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우리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오늘 논문을 읽은 사람

그리고

연구 문장을 쓴 사람연구자 =

Page 15: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오늘 논문을 읽은 사람

그리고

연구 문장을 쓴 사람연구자 =

사람의 직업은 특정 정의가아닌, 오늘한일로 결정(바쁠 때라도 abstract정도는 읽는 것은 습관화하는것이 중요)

우리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Page 16: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렇다면?

(대학원생 == 연구자)?

Page 17: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렇다면?

(대학원생 == 연구자)?

반은 맞고, 반은 틀림

Page 18: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냉정히말해서,

대학원생이 스스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능력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특히, 저년차의 경우)

Page 19: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냉정히말해서,

대학원생이 스스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능력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움

(특히, 저년차의 경우)

대학원생 = 연구자가 되기 위한과정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Page 20: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대학원생

(좁은 의미에서는) 교수님의 연구를 수행하는 사람

또한

자신이 속한 연구실의 기존 Context 하에서연구를 수행하는 사람

=

따라서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Page 21: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대학원생그냥

잘못된 선택을한사람=

어쩌면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Page 22: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럼 대학원생은 연구자인가?

대학원생그냥

잘못된 선택을한사람=

어쩌면

ㅠㅠ

Page 23: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어쨌든,

대학원생이 되면

연구를 해야함

Page 24: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어쨌든,

대학원생이 되면

연구를 해야함

그런데,

연구를 하려면

연구주제가 필요함

Page 25: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어쨌든,

대학원생이 되면

연구를 해야함

그런데,

연구를 하려면

연구주제가 필요함

따라서,

대학원생은

연구주제가 필요함

+ =

Page 26: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어쨌든,

대학원생이 되면

연구를 해야함

그런데,

연구를 하려면

연구주제가 필요함

따라서,

대학원생은

연구주제가 필요함

(소름 돋는 삼단논법)

+ =

Page 27: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일반적으로 대학원에서의 연구주제는 선배들의 연구 주제에서 심화

랩 선배들의 논문들(레퍼런스 포함)을 지속적으로 읽고 궁금한 점들, 한계점을명확히짚어나가는 것이 연구주제를찾는하나의방법

또한산업계/학계의최신분야를 지속적으로파악하는것이 필수적.

산업계 주요 동향을 파악하고, 현재 산업계에서 풀지 못하는 문제, 한계 등을파악(연구 주제 선정)하고, 자신이 어떻게새롭게 풀어낼 것인지계속 고민.

주요 저널들에 실리는 프로세스 관련최신 논문들을읽으면서 전체연구동향을파악

– 연구도 유행에 따라서변함.

– 물론 전체 연구동향을파악하는것은연차가 좀 쌓여야 가능함.

• 조급하게 생각하지 말 것.

Page 28: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사실, 연구주제만잘잡으면 정작 연구는쉬움

Page 29: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사실, 연구주제만잘잡으면 정작 연구는쉬움

다시 말하면,

연구주제를잡는 것이개어렵다는 소리

Page 30: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좋은 논문을 꾸준히 깊게, 많이비판적으로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보임(연구에는 정말 왕도가없음)

Page 31: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좋은 논문을 꾸준히 깊게, 많이비판적으로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보임(연구에는 정말 왕도가없음)(사실 나도잘안보이뮤ㅠ)

Page 32: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그렇다고,

연구를 너무 어려워해서는 안됨

Page 33: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그렇다고,

연구를 너무 어려워해서는 안됨

‘좋은 논문’을 쓰는 방향자체를 목적에,

처음부터 ‘좋은 논문’을 쓰려고 하면체함

Page 34: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일단 스스로 풀 수 있는아주 ‘작은 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풀어가며, 대학원 과정에서 자신감을 붙이는 것이 중요

Page 35: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연구 주제는 어떻게 찾는가.

일단 스스로 풀 수 있는아주 ‘작은 문제’를 설정하고, 이를 풀어가며, 대학원 과정에서 자신감을 붙이는 것이 중요

(수업 프로젝트들을활용하며 시험해보는것이 좋음)

Page 36: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논문은 어디서 어떻게찾는가

Page 37: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좋은 논문 찾는 방법.

1. (저년차에는) 연구실 선배들 논문을 읽으며 연구실 Context를 파악

필요하다면각 논문별로 Reference를확인해가면서읽을것

적당히읽지말고, 이 논문이 전달하려는 ‘메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

Page 38: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좋은 논문 찾는 방법.

2. (이제 아주 조금은 알겠거나, 혹은 지겹다 싶으면) Web-DB에서 검색

Google Scholar/Sciencedirect/Scopus에서연구실 주요 키워드로 검색

(개인적으로는)Google scholar가가장 유용함

– Google Scholar Alert: 주요 저자의 관련 논문게재 시 메일로 공지

Page 39: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좋은 논문 찾는 방법.

3. (연구주제가 어느 정도 명확해지면) Key-paper 중심으로 Back-tracking

연구자/연구기관/저널별로 Grouping하며 읽는 것이 중요

Page 40: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좋은 논문 찾는 방법.

4. (논문이 대략적으로 작성되었으면)논문 투고 Target 저널 중심으로 논문을 검색

그 동안 읽은 논문들이 주로 어떤 저널/컨퍼런스에 게재되었는지확인

Acceptance rate를 높이기 위해, target 저널 중심으로레퍼런스를 보완하는 것이 필요

Page 41: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Journal: 연구자가 연구분야에 맞게, 저널에 투고하고, 저널편집위원(reviewer)의 리뷰과정을 거쳐 수록되는 저널

SCI급: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인용색인

– 저널을 평가하여특정 기준을 통과한 저널들의 목록 ==> 괜찮은 저널 목록

– 그러나, SCI급이라고무조건 좋은 저널도, 아니라고 나쁜 저널도 아님.

• 저널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음.

SCOPUS급: SCI에 비해 조금 덜 괜찮은과학 저널 목록

Impact factor: 이전 2년 동안 해당 저널에 출판되었던 논문들의인용횟수평균값

Proceeding: Conference 발표 논문들이 게재되는 논문집

Page 42: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Journal: 연구자가 연구분야에 맞게, 저널에 투고하고, 저널편집위원(reviewer)의 리뷰과정을 거쳐 수록되는 저널

SCI급: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인용색인

– 저널을 평가하여특정 기준을 통과한 저널들의 목록 ==> 괜찮은 저널 목록

– 그러나, SCI급이라고무조건 좋은 저널도, 아니라고 나쁜 저널도 아님.

• 저널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음.

SCOPUS급: SCI에 비해 조금 덜 괜찮은과학 저널 목록

Impact factor: 이전 2년 동안 해당 저널에 출판되었던 논문들의인용횟수평균값

Proceeding: Conference 발표 논문들이 게재되는 논문집

Page 43: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Journal: 연구자가 연구분야에 맞게, 저널에 투고하고, 저널편집위원(reviewer)의 리뷰과정을 거쳐 수록되는 저널

SCI급: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인용색인

– 저널을 평가하여특정 기준을 통과한 저널들의 목록 ==> 괜찮은 저널 목록

– 그러나, SCI급이라고무조건 좋은 저널도, 아니라고 나쁜 저널도 아님.

• 저널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음.

SCOPUS급: SCI에 비해 조금 덜 괜찮은과학 저널 목록

Impact factor: 이전 2년 동안 해당 저널에 출판되었던 논문들의인용횟수평균값

Proceeding: Conference 발표 논문들이 게재되는 논문집

Page 44: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Journal: 연구자가 연구분야에 맞게, 저널에 투고하고, 저널편집위원(reviewer)의 리뷰과정을 거쳐 수록되는 저널

SCI급: Science Citation Index, 과학인용색인

– 저널을 평가하여특정 기준을 통과한 저널들의 목록 ==> 괜찮은 저널 목록

– 그러나, SCI급이라고무조건 좋은 저널도, 아니라고 나쁜 저널도 아님.

• 저널별로 고유한 특성이 있음.

SCOPUS급: SCI에 비해 조금 덜 괜찮은과학 저널 목록

Impact factor: 이전 2년 동안 해당 저널에 출판되었던 논문들의인용횟수평균값 ==> 그냥 높으면 좋은 저널.

Proceeding: Conference 발표 논문들이 게재되는 논문집

Page 45: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일반적으로는

(물론 특정학과는컨퍼런스가 저널보다 중요, 예를 들면 컴공)

Conference에서 발표된 논문이수정/보완/확장되어 Journal에 게재

(따라서, Proceeding이 조금 더 Trendy함)

Proceeding은 참고만 하고, Journal 중심으로 읽는 것이 좋음

Page 46: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일반적으로는

(물론 특정학과는컨퍼런스가 저널보다 중요, 예를 들면 컴공)

Conference에서 발표된 논문이수정/보완/확장되어 Journal에 게재

(따라서, Proceeding이 조금 더 Trendy함)

물론 특정학과(예를 들면 컴공)는Conference가 Journal보다 중요

Page 47: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Journal, Proceeding, SCI, Impact Factor

일반적으로는

(물론 특정학과는컨퍼런스가 저널보다 중요, 예를 들면 컴공)

Conference에서 발표된 논문이수정/보완/확장되어 Journal에 게재

(따라서, Proceeding이 조금 더 Trendy함)

Proceeding은 참고만 하고, Journal 중심으로 읽는 것이 좋음

Page 48: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럼 논문은 어떻게 하면잘 읽나요?

Page 49: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럼 논문은 어떻게 하면잘 읽나요?

지름길 같은 거, 그딴 거 없음.

Page 50: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럼 논문은 어떻게 하면잘 읽나요?

지름길 같은 거, 그딴 거 없음.

그래도 굳이 Tip을 주자면

Page 51: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1. 죄다영어라서 모르겠음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

둘 중에서 정답은?

Page 52: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1. 죄다영어라서 모르겠음(O)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O)

Page 53: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1. 죄다영어라서 모르겠음(O)

적응의문제, 연구자의길로 들어온 이상, 계속마주쳐야하는문제

틈틈히 영어 공부를계속 하는것밖에답이 엄슴

– 물론 많은 경우 영어실력의 문제가 아닌배경지식의 문제

Page 54: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O)

조급해 하지말고, 천천히읽는 것이 중요.

– 하나의 논문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접근.

• 논문은 정답이 아님. 하나의 가설임.

• 다만, 논리적으로 Detail하게까는 것이 중요함.

Page 55: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O)

정말모르겠으면, 한글로된 논문을 찾아서 전체내용을 훑어 보는 것이 편할 수도 있음

– 그러나, 영어로 지식을 습득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중요하므로, 가급적 비추천

Page 56: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처음에 논문이 낯설고 어려운 이유

2. 관련배경지식이 없어서(O)

어느 정도 논문 읽는 것에익숙해지면, 저자, 기관, 저널 등도 눈 여겨 볼 것

– 논문=‘특정 연구기관’의 ‘특정연구자’가 ‘특정저널’에 제출

연구자/연구기관/저널또한중요한 정보

Page 57: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그러나, 논문을 이해하는 건 어려워도,

까먹기는 너무 쉬움

Page 58: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논문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면

1. 논문 읽고의식적으로중요한내용을 정리

주요 문장, 주요 figure, Graphical Abstract 작성 등

이 부분은 저년차부터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음

2. 주기적으로과거에읽은 논문들을 Remind

3. 다양한 Tool(Evernote 등)을 활용

그러나 Tool은 Tool일 뿐.

Page 59: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Any Question?

Page 60: 대학원생 생존가이드

Feedback은언제나 환영합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