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시대와 호모파베르의귀환

1
| 김성원 적정·생활기술 연구자 [email protected] 아메리칸드림을 상징하는 조각상 ‘셀프 메이 드 맨(Self-Made Man)은 미국 전역에 세워 져 있다. 그런데 그 형상이 좀 기이하다. 근육 질의 한 남자가 한 손에 망치를, 다른 손에 정 을 들고 있다. 하반신 일부는 아직 바위 속에 묻혀 있다. 남자는 망치와 정으로 바위를 쪼며 아직 드러나지 않은 자신의 허벅지를 조각하 고 있다. ‘성공신화’라는 본래 상징과 달리, 조 각상은 내게 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인간은 자 신이 만든 도구와 기술로 자신의 정체와 삶을 조각하는 존재, 말 그대로 ‘셀프 메이드 맨’이 란 것이다. 인류가 등장한 이래 수만 년 동안 인간 자 신이 가진 능력을 확장하고자 발달시켜온 도 구와 기술은 인간의 삶을 규정하고 인간 정 체성을 변화시켰다. 도구와 기술은 생산과 작 업의 도구 이전에 인간성의 도구였다. 도구와 기계가 손으로부터 너무 멀어지지 않았을 때 까지, 작업과 생산이 집 마당을 벗어나지 않 은 수공예의 시대까지, 좀 더 나아가 대부분 나무로 도구와 기계들을 만들며 산업혁명을 준비하던 17세기 나무기계의 시대까지 인간은 제법 성공한 듯하다. 특히 공장제 대량생산이 특징인 산업혁명은 물건의 소비라는 측면에 서 과거 어느 시대보다 평등한 풍요로움을 선 사했다. 그러나 이때부터 진보하는 기술과 공장제 생산에 대한 불안 및 비판이 싹트기 시작했다. 산업혁명 시기 공예부흥운동을 주도하던 윌리 엄 모리스의 스승 존 러스킨은 제자와 함께 산 업혁명의 영향에 대해 실천적으로 저항하며 비 판했다. 러스킨은 “노동을 분할하면 사람일 수 없다. 갈가리 쪼개진 사람은 조각나버리고, 삶 은 부스러기가 된다”며 공장제 노동의 분업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현대에도 여전히 데이비드 왓슨 같은 이들이 기술지배문명을 강력히 반 대한다. 그는 “토착기술은 제한되고 다각적이 며 그 기술이 등장한 문화와 개인들의 특성이 새겨져 있다. 현대기술은 모든 토착적이고 개 인적인 조건을 기술 자체 이미지로 바꾼다. 그 것은 점차 획일화되고 거대해진다. 개성적이던 토착사회에 소외와 박탈을 낳고 사람들을 원자 화하며 기술을 상실한 단조로운 기술문명의 이 미지로 바꾼다”고 경고한다. 하지만 돌이킬 수 없을 것 같은 발전 및 진보를 거듭해온 기술과 기계, 생산 방식과 소비에 익숙한 현대인은 러 스킨이나 왓슨의 이 같은 경고를 간단히 무시 해왔다. 이 글을 읽는 대다수 독자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만드는 일은 인간의 본성” 상황은 바뀌었다. 이제 인간의 손은 로봇 손 으로 대체되고 있다. 1970년 이후 줄곧 추진된 생산자동화는 사실 인력 감축 기술이었다. 토 머스 프레이 미국 다빈치연구소 소장은 “2030 년 일자리 20억 개가 사라진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생산 및 서비스 활동은 인간이 갖 는 보편적 욕구와 필요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로봇에게 생산을 빼앗긴 인간의 손은 이제 무 엇을 해야 할까. ‘호모파베르(Homo Faber)’의 귀환, 만드는 인간을 다시 불러내야 한다. 그것 이 구원이다. 급격하게 근대화되던 1910년대 일 본에서 공예가 이데카와 나오키는 ‘인간부흥의 공예’를 통해 이렇게 호소했다. “모든 것을 공 장에 맡겨 그로부터 제조된 물건으로 생활을 때우고, 기기 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 일생 을 보내서는 안 된다. 현대인도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만들고 생각하고 꾸미고, 그리고 창조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그것이 인간이 며, 인간의 자연스러운 모습이기 때문이다.” 기업에 속하지 않은 지역공동체의 자가 제 작자 운동을 촉발한 ‘테크숍(Techshop)’의 마 크 해치 최고경영자(CEO)는 더욱 분명한 목소 리로 선언한다. “만드는 일은 인간 본성이다. 우리는 만들고, 창조하고, 느끼는 모든 것을 표 현해야만 한다. 만드는 일에는 뭔가 특별한 것 이 있다. 제작물은 우리 자신의 작은 부분이며 우리 영혼의 일부를 구성한다.” 로봇과 자동화가 인간의 설 자리를 위협 하는 시대, 역설적으로 만드는 개인이 늘어나 고 있다. 증가하는 귀촌자와 청년실업자들이 활로를 찾아 수공예, 생활기술 분야에서 자가 제작자 대열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2년 전부 터 한국에서는 매년 ‘수공예’ ‘핸드메이드’를 주제로 한 박람회와 전시회가 10여 차례 넘게 개최되고 있다. 대안장터, 프리마켓에서는 수 공예품과 자가 제작 물건을 판매한다. 전 세 계적인 현상으로 가히 신(新)공예부흥이라 할 수 있다. 신공예부흥을 선언하며 자가 제작의 흐름은 예술과 공예를 넘어 테 크놀로지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D.I.Y. 테 크놀로지’는 개인이 기본적인 전기, 전자, 컴 퓨터는 물론 조금은 전문적인 생산설비와 제 조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제품을 취미로 만들 거나 소량 생산한 제품을 판매하는 데까지 발 전했다. 디자인 장비, 3D(3차원) 프린터, 레이 저 커팅기 등 다양한 생산장비와 그 밖의 공 구류를 비치한 작업 공간을 함께 사용하자는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 운동이 세 계 전역으로 번지고 있다. 팹랩(fabrication laboratory·FabLap)은 대안적 제작 실험 공 방이다. 이곳은 창조적인 개인 엔지니어들을 위해 소규모 제작 실험실을 제공한다. 주로 다 양한 소재를 다룰 수 있는 디지털 제작 설비 를 갖추고 있다. 아직 산업적 대량생산과 경쟁 할 수는 없지만, 언제든 광범위하게 분산된 제 품을 생산할 때 경제적 규모를 이룰 수 있다.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개인이나 지역 요구 맞춤형 제품으로 변형 생산할 수도 있다. 매사추세츠공과대(MIT)가 작성한 공식 팹랩 목 록(www.fablabs.io)에 따르면 2016년 2월 기 준으로 전 세계에 총 610개 팹랩이 있다. 산업혁명 이후 공장제 생산의 거센 공격으 로 사라졌던 가내수공업이 전통적 소규모 생 산설비를 갖춘 지역공동체의 회원제 제작공 방과 생산협동조합, 마을기업을 통해 부활하 고 있다. 개인과 지역공동체가 다시 제작 생산 과정에 주인공으로 등장한 것이다. 신(新)호모 파베르족은 얼마나 자신들의 영토를 확장해 나갈 것인가. 이들이 만드는 세상은 또 어떤 모습일까. 앞으로 20여 년 동안 우리는 호모 파베르와 로봇의 대결을 손에 땀을 쥐고 바라 보게 될 것이다. 앞으로 이 연재를 통해 수공예와 쉽게 도전 해볼 수 있는 로테크(Low-tech), 지역 자원과 재료를 활용하는 로컬테크(Local Tech),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뿐더러 환경을 고려하는 적정기 술(Appropriate Tech)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만들고 도전하는 일을 하면서 오랜 본능을 충 족할 때 갖게 되는 행복감, 균형, 안정, 절제와 한계, 다양성을 느끼게 될 것이다. 기계문명을 비판해온 루이스 멈퍼드는 “기술 변화의 속도 는 우리가 적응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낸다. 변화에 중독돼 느리고 안정된 삶을 누릴 능력 을 잃었다”며 “기술의 목적은 노동 절약이 아니 라 노동에 대한 사랑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 팍 팍한 세상에서 우리가 일과 노동을 사랑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새 연재> 셀프 메이드 맨 flickriver.com web.mksnet.com Shutterstock 로봇시대와 호모파베르의 귀환 생산의 즐거움 빼앗긴 인간…만들고, 창조하고, 느껴라 보비 칼라일의 ‘셀프 메이드 맨’ 청동 조각상. 애리조나에 있는 파운틴힐 뮤지엄 야외에 설치돼 있다(왼쪽). 세계 최초로 생체공 학 손을 이식한 영국 여성 니키 애슈웰의 손. 김성원은 ‘전환기술사회적협동조합’을 설립해 에너지 자립 관련 워크숍을 열고 천연페인트, 흙미장, 석회미장 등 자급자족 생활기술을 보급 해왔다. 현재 전남 장흥에 살며 인간 삶을 회복 할 수 있는 기술 연구와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73 72

Upload: seongwon-kim

Post on 24-Jan-2017

506 views

Category:

Engineering


7 download

TRANSCRIPT

Page 1: 로봇시대와 호모파베르의귀환

| 김성원 적정·생활기술 연구자

[email protected]

아메리칸드림을 상징하는 조각상 ‘셀프 메이

드 맨(Self-Made Man)은 미국 전역에 세워

져 있다. 그런데 그 형상이 좀 기이하다. 근육

질의 한 남자가 한 손에 망치를, 다른 손에 정

을 들고 있다. 하반신 일부는 아직 바위 속에

묻혀 있다. 남자는 망치와 정으로 바위를 쪼며

아직 드러나지 않은 자신의 허벅지를 조각하

고 있다. ‘성공신화’라는 본래 상징과 달리, 조

각상은 내게 다른 의미로 다가왔다. 인간은 자

신이 만든 도구와 기술로 자신의 정체와 삶을

조각하는 존재, 말 그대로 ‘셀프 메이드 맨’이

란 것이다.

인류가 등장한 이래 수만 년 동안 인간 자

신이 가진 능력을 확장하고자 발달시켜온 도

구와 기술은 인간의 삶을 규정하고 인간 정

체성을 변화시켰다. 도구와 기술은 생산과 작

업의 도구 이전에 인간성의 도구였다. 도구와

기계가 손으로부터 너무 멀어지지 않았을 때

까지, 작업과 생산이 집 마당을 벗어나지 않

은 수공예의 시대까지, 좀 더 나아가 대부분

나무로 도구와 기계들을 만들며 산업혁명을

준비하던 17세기 나무기계의 시대까지 인간은

제법 성공한 듯하다. 특히 공장제 대량생산이

특징인 산업혁명은 물건의 소비라는 측면에

서 과거 어느 시대보다 평등한 풍요로움을 선

사했다.

그러나 이때부터 진보하는 기술과 공장제

생산에 대한 불안 및 비판이 싹트기 시작했다.

산업혁명 시기 공예부흥운동을 주도하던 윌리

엄 모리스의 스승 존 러스킨은 제자와 함께 산

업혁명의 영향에 대해 실천적으로 저항하며 비

판했다. 러스킨은 “노동을 분할하면 사람일 수

없다. 갈가리 쪼개진 사람은 조각나버리고, 삶

은 부스러기가 된다”며 공장제 노동의 분업을

강력하게 비판했다. 현대에도 여전히 데이비드

왓슨 같은 이들이 기술지배문명을 강력히 반

대한다. 그는 “토착기술은 제한되고 다각적이

며 그 기술이 등장한 문화와 개인들의 특성이

새겨져 있다. 현대기술은 모든 토착적이고 개

인적인 조건을 기술 자체 이미지로 바꾼다. 그

것은 점차 획일화되고 거대해진다. 개성적이던

토착사회에 소외와 박탈을 낳고 사람들을 원자

화하며 기술을 상실한 단조로운 기술문명의 이

미지로 바꾼다”고 경고한다. 하지만 돌이킬 수

없을 것 같은 발전 및 진보를 거듭해온 기술과

기계, 생산 방식과 소비에 익숙한 현대인은 러

스킨이나 왓슨의 이 같은 경고를 간단히 무시

해왔다. 이 글을 읽는 대다수 독자도 마찬가지

일 것이다.

“만드는 일은 인간의 본성”

상황은 바뀌었다. 이제 인간의 손은 로봇 손

으로 대체되고 있다. 1970년 이후 줄곧 추진된

생산자동화는 사실 인력 감축 기술이었다. 토

머스 프레이 미국 다빈치연구소 소장은 “2030

년 일자리 20억 개가 사라진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생산 및 서비스 활동은 인간이 갖

는 보편적 욕구와 필요를 반영하는 것이었다.

로봇에게 생산을 빼앗긴 인간의 손은 이제 무

엇을 해야 할까. ‘호모파베르(Homo Faber)’의

귀환, 만드는 인간을 다시 불러내야 한다. 그것

이 구원이다. 급격하게 근대화되던 1910년대 일

본에서 공예가 이데카와 나오키는 ‘인간부흥의

공예’를 통해 이렇게 호소했다. “모든 것을 공

장에 맡겨 그로부터 제조된 물건으로 생활을

때우고, 기기 스위치를 누르는 것만으로 일생

을 보내서는 안 된다. 현대인도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만들고 생각하고 꾸미고, 그리고 창조

하지 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그것이 인간이

며, 인간의 자연스러운 모습이기 때문이다.”

기업에 속하지 않은 지역공동체의 자가 제

작자 운동을 촉발한 ‘테크숍(Techshop)’의 마

크 해치 최고경영자(CEO)는 더욱 분명한 목소

리로 선언한다. “만드는 일은 인간 본성이다.

우리는 만들고, 창조하고, 느끼는 모든 것을 표

현해야만 한다. 만드는 일에는 뭔가 특별한 것

이 있다. 제작물은 우리 자신의 작은 부분이며

우리 영혼의 일부를 구성한다.”

로봇과 자동화가 인간의 설 자리를 위협

하는 시대, 역설적으로 만드는 개인이 늘어나

고 있다. 증가하는 귀촌자와 청년실업자들이

활로를 찾아 수공예, 생활기술 분야에서 자가

제작자 대열에 합류하기 시작했다. 2년 전부

터 한국에서는 매년 ‘수공예’ ‘핸드메이드’를

주제로 한 박람회와 전시회가 10여 차례 넘게

개최되고 있다. 대안장터, 프리마켓에서는 수

공예품과 자가 제작 물건을 판매한다. 전 세

계적인 현상으로 가히 신(新)공예부흥이라 할

수 있다.

신공예부흥을 선언하며

자가 제작의 흐름은 예술과 공예를 넘어 테

크놀로지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D.I.Y. 테

크놀로지’는 개인이 기본적인 전기, 전자, 컴

퓨터는 물론 조금은 전문적인 생산설비와 제

조기술을 이용해 다양한 제품을 취미로 만들

거나 소량 생산한 제품을 판매하는 데까지 발

전했다. 디자인 장비, 3D(3차원) 프린터, 레이

저 커팅기 등 다양한 생산장비와 그 밖의 공

구류를 비치한 작업 공간을 함께 사용하자는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 운동이 세

계 전역으로 번지고 있다. 팹랩(fabrication

laboratory·FabLap)은 대안적 제작 실험 공

방이다. 이곳은 창조적인 개인 엔지니어들을

위해 소규모 제작 실험실을 제공한다. 주로 다

양한 소재를 다룰 수 있는 디지털 제작 설비

를 갖추고 있다. 아직 산업적 대량생산과 경쟁

할 수는 없지만, 언제든 광범위하게 분산된 제

품을 생산할 때 경제적 규모를 이룰 수 있다.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지만 개인이나 지역

요구 맞춤형 제품으로 변형 생산할 수도 있다.

매사추세츠공과대(MIT)가 작성한 공식 팹랩 목

록(www.fablabs.io)에 따르면 2016년 2월 기

준으로 전 세계에 총 610개 팹랩이 있다.

산업혁명 이후 공장제 생산의 거센 공격으

로 사라졌던 가내수공업이 전통적 소규모 생

산설비를 갖춘 지역공동체의 회원제 제작공

방과 생산협동조합, 마을기업을 통해 부활하

고 있다. 개인과 지역공동체가 다시 제작 생산

과정에 주인공으로 등장한 것이다. 신(新)호모

파베르족은 얼마나 자신들의 영토를 확장해

나갈 것인가. 이들이 만드는 세상은 또 어떤

모습일까. 앞으로 20여 년 동안 우리는 호모

파베르와 로봇의 대결을 손에 땀을 쥐고 바라

보게 될 것이다.

앞으로 이 연재를 통해 수공예와 쉽게 도전

해볼 수 있는 로테크(Low-tech), 지역 자원과

재료를 활용하는 로컬테크(Local Tech), 비용이

많이 들지 않을뿐더러 환경을 고려하는 적정기

술(Appropriate Tech)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만들고 도전하는 일을 하면서 오랜 본능을 충

족할 때 갖게 되는 행복감, 균형, 안정, 절제와

한계, 다양성을 느끼게 될 것이다. 기계문명을

비판해온 루이스 멈퍼드는 “기술 변화의 속도

는 우리가 적응할 수 없는 상황을 만들어낸다.

변화에 중독돼 느리고 안정된 삶을 누릴 능력

을 잃었다”며 “기술의 목적은 노동 절약이 아니

라 노동에 대한 사랑에 있다”고 주장했다. 이 팍

팍한 세상에서 우리가 일과 노동을 사랑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새 연재> 셀프 메이드 맨

flick

river.com

web.mksnet.com

Shutterstock

로봇시대와 호모파베르의 귀환

생산의 즐거움 빼앗긴 인간…만들고, 창조하고, 느껴라

보비 칼라일의 ‘셀프 메이드 맨’ 청동 조각상. 애리조나에 있는 파운틴힐 뮤지엄 야외에 설치돼 있다(왼쪽). 세계 최초로 생체공

학 손을 이식한 영국 여성 니키 애슈웰의 손.

김성원은 ‘전환기술사회적협동조합’을 설립해

에너지 자립 관련 워크숍을 열고 천연페인트,

흙미장, 석회미장 등 자급자족 생활기술을 보급

해왔다. 현재 전남 장흥에 살며 인간 삶을 회복

할 수 있는 기술 연구와 교육 활동을 하고 있다.

73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