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압 / 저압 터보냉동기 비교

3
고고 / 고고 고고고고고 고고

Upload: kiayada-olson

Post on 30-Dec-2015

283 views

Category:

Documents


3 download

DESCRIPTION

고압 / 저압 터보냉동기 비교. ■ 고 , 저압 냉동기 특성 비교 (650R/T 기준 ). ■ 고압가스 안전 관리법에 의거 자격 선임 기준 ( 제 12 조제 3 항 관련 ). ■ 법적 정기점검 ( 년 1 회 )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제 16 조 -2 제 1 항. - PowerPoint PPT Presentation

TRANSCRIPT

Page 1: 고압 / 저압 터보냉동기 비교

고압 / 저압 터보냉동기 비교고압 / 저압 터보냉동기 비교

Page 2: 고압 / 저압 터보냉동기 비교

■ 고 , 저압 냉동기 특성 비교 (650R/T 기준 )■ 고 , 저압 냉동기 특성 비교 (650R/T 기준 )

구 분 R-134a ( 고압 ) R-123 ( 저압 ) 비고

사용압력고압 ( 운전중 증발기 압력이 대기압 이상 ) 저압 ( 운전중 증발기 압력이 대기압 이하 )

증발기 : 2~4 ㎏ / ㎠ G응축기 : 9~12 ㎏ / ㎠ G

증발기 : -500 ㎜ Hg응축기 : 0.5~0.9 ㎏ / ㎠ G

회전수 14,600rpm 3,600rpm

소비전력 436KW (RT 당 0.67KW) 489KW (RT 당 0.73KW) 성능 :8.2%↑

설치면적 9.52 ㎡ {4,387(L)*2,171(W)*2,631(H)} 11.25 ㎡ {4,715(L)*2,388(W)*2,642(H)} 면적 :15.3%↓

설치허가 사전 설치허가 필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 불필요

정기검사 고압가스 안전검사 ( 매년 ) 불필요

자격선임 국가 자격 취득자 선임기준 ( 붙임 참조 ) 불필요

장비금액 190,000 천원 145,000 천원 45,000 천원↑

장 점

- 동일 용량의 경우 냉동효과 大 : 약 8~9% ( 냉매 순환량 小 )- 장비 설치면적 小- 소요동력 小

- 저압 사용하므로 안전하고 취급 간편-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미적용- 자격증 선임 불필요 ( 인건비 절감 )- 유지관리비 감소

단 점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적용 ( 매년 안전검사 )- 자격증 선임에 따른 인건비 大- 유지관리비 증가 ( 부품단가 고가 )

- 소요동력 大 - 장비 설치면적 大- 냉매 생산량 단계적 규제 :2013 년 ~2030 년 ( 몬트리올 의정서에 의거 )

의 견 고압터보냉동기가 성능은 다소 우수하나 유지관리비가 많이 들고 법적검사 등이 필요하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저압터보냉동기 선정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 됨 .

Page 3: 고압 / 저압 터보냉동기 비교

■ 고압가스 안전 관리법에 의거 자격 선임 기준 ( 제 12 조제 3 항 관련 )■ 고압가스 안전 관리법에 의거 자격 선임 기준 ( 제 12 조제 3 항 관련 )

법 정 용 량 선임인원 자격 선임기준

냉동능력 300 톤 초과 ( 프레온을 냉매로 사용하는 것은 냉동능력 600 톤 초과 )

안전관리 총괄자 : 1 명

안전관리 책임자 : 1 명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안전관리원 : 2 명 이상

공조냉동기계기능사 또는 한국가스안전공사가 지식경제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실시하는 냉동시설안전관리 양성교육을 이수한 자 ( 이하 “냉동시설안전관리자양성교육이수자”라 한다 )

■ 법적 정기점검 ( 년 1 회 )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제 16 조 -2 제 1 항 ■ 법적 정기점검 ( 년 1 회 ) : 고압가스 안전관리법 제 16 조 -2 제 1 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