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행행 면접발표

11
2014 UN공공행정포럼 서포터즈 지원 이용철, 이지영, 서희림, 김성미, 홍상문

Upload: christina-suh

Post on 14-Jul-2015

151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

TRANSCRIPT

2014 UN공공행정포럼 서포터즈 지원

이용철, 이지영, 서희림, 김성미, 홍상문

1

2

• 팀이름 ‘행행행’은 행정행복행이라는 말을 줄인

것으로, 시민들이 다소 멀게 느끼는 ‘행정’이 국민

들의 삶의 질을 높인다는 사실을 홍보하고 행정

에 긍정적인 이미지를 부여하기 위한 명칭입니다.

• 세종대왕상 앞에서 사진을 찍은 것은 세종대왕의

당시 통치 방향(행정작용)이 훌륭한 공공행정의

상징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 저희 팀은 다양한 연령대와 다양한 전공을 가진

대학생들의 모임으로서, 그만큼 다양하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팀원들의 전공분야

가 행정, 복지, 교육이어서 공공

행정정책과도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습니다.

3

강점 팀원 역할

저희 ‘행행행‘ 팀의 가장 큰 강점은

팀원들 모두가 정보수집뿐만 아니라

영상, SNS 등을 포함한 다양한 미

디어 매체 활용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또한 몇몇 팀원들은 학교

생활과 이전의 대외활동에서 다년간

의 기사작성 경험, UCC 제작 경험,

SNS 홍보활동 경험이 있어서 홍보

실무에서의 현실적인 감각과 실행력

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용철 – SNS(facebook, twitter,

blog) 운영을 통해 취재 내용 및 홍

보영상 확산

이지영 – 리포터로서 취재활동에서

시민들과 전문가들을 인터뷰

서희림 – 사진과 영상 촬영 내용 연

구, 체험수기 및 기사작성

김성미 – 사진, 동영상 촬영 및 편집

홍상문 – 체험수기 및 기사작성

4

온라인 설문조사와 설문지, 시민 인터뷰를 통해 우리나라 공공행정서비스와 공공행정포럼에 대한 인식 실태를 조사한다.1

팀원들이 파워블로거와 유사한 방식으로 직접 공공행정서비스를체험해보고 체험수기와 그에 대한 정보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달한다.2

행정 분야의 전문가, 교수님, 그리고 행정학을 전공하는대학생과의 인터뷰 및 면담을 통해 우리나라 행정정책의 방향과

우수성에 관한 전문적인 견해를 대중에게 전달한다.3

5

연령대별 다른 홍보 전략 장애인들을 위한 접근

• 10대- 영상, 웹툰- 카카오 스토리

• 20대 ~ 중년층- 영상, 웹툰, 브로셔- facebook, twitter, blog, 라디오

• 60대 ~- 영상, 브로셔- 방문, 라디오

영상 웹툰 SNS 방문브로셔 라디오

• 청각장애인- 홍보영상에 자막 삽입

• 시각장애인- 점자 브로셔

6

1. 정보 전달 방식

영상 도입부에 실생활

속의 행정 정책의 좋은

예들을 소개하여 호기심

을 유발하고, 우리나라

의 행정정책과 23차례

UN공공행정상을 수상

한 내역을 홍보함으로써

UN행정포럼에 대한 관

심을 환기한다.

2. 스토리텔링 방식

연인의 대화 상황과 내

용을 통해 2014년 UN공

공행정포럼 개최를 흥미

로운 방식으로 알리고,

더 나아가 실생활에서의

다양한 행정서비스를 소

개한다.

3. 튜토리얼 방식

전자 정부의 개념과 취

지를 텍스트를 통해 간

략하게 소개하고, 전자

정부 활용법을 인터넷과

스마트폰 어플 화면 튜

토리얼을 통해 보여준다.

7

웹 툰 브로셔

10대와 20대뿐만 아니라 중년층

까지 즐겨보는 웹툰 형식에 우리

나라의 행정정책과 2014년 UN

행정포럼을 소개하는 내용의 다

양한 상황극과 패러디 등을 접

목시킴으로써 시민들이 쉽게 이

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브로셔는 기본적으로 인터넷과

SNS와 같은 디지털 매체에 쉽

게 접근할 수 없는 시민들을 대

상으로 한다. 브로셔에는 행정

서비스 정보와 UN행정포럼에

대한 소개가 포함된다. 또한 시

각장애인들을 위한 점자 브로셔

를 함께 제작한다.

8

SNS

연령대별로 다양한 종류

의 SNS를 활용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카카오

스 토 리 , facebook,

twitter, blog 등을 고

루 사용한다. 또한 포털

사이트 검색어에 각

SNS 링크를 걸어 접근성

을 높인다.

방문

디지털 매체에 쉽게 접

근할 수 없는 어르신들

과 장애인과 같은 사회

적 약자를 직접 방문하

여 면대면으로 홍보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라디오

라디오 청취자 참여를

통해 우리나라 행정서비

스의 우수성과 올해 개

최되는 UN공공행정포럼

을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더 나아가 보이는 라디

오 출연을 통해 좀더 직

접적인 홍보방식을 모색

한다. 예)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