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화론 발제

28
‘만들어진’ 일본인 20135093 채승

Upload: seung-che

Post on 23-Jun-2015

115 views

Category:

Education


4 download

DESCRIPTION

일본문화론 발제 -일본인-

TRANSCRIPT

Page 1: 일본문화론 발제

‘만들어진’ 일본인20135093 채승

Page 2: 일본문화론 발제

어떤 발표를 할 것 인가?

먼저...

Page 3: 일본문화론 발제

일본인의 특징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 ‘일본인’이라는 집합은 너무 크다(지역/세대간 격차도 심하다)!

>> 모두가 공유하는 명확한 특징을 찾기 힘들다

• 일본인에 대한 통념적인 인상을 단순히 나열하는 것

>> 학술적 가치가 부족하다!

!

>>> 전후 일본사회가 어떠한 모습의 일본인을 양성하려고 했는지 (즉 당시 교육의 이념을) 서술한 문건이 있다면 그걸 찾아보는게 어떨까?

그렇다면...

Page 4: 일본문화론 발제

期待される人間像(기대되는 인간상)‘<기대되는 인간상>은…(중략) 후기중등교육의 이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주체로서의 인간의 존재방식에 관하여 어떠한 이상형을 그릴 수 있는지를 검토한 것이다.’

그래서 찾은

Page 5: 일본문화론 발제

–고사카 마사아키(高坂正顯), 중등교육심의회 제19특별위원회 주사

‘<기대되는 인간상>은 교육 기본법을 일본인의 정신적 풍토에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쟁시기 파시즘 철학을 정립한 ‘교토학파’의 중심적 이론가

Page 6: 일본문화론 발제

‘만들어진’ 일본인부제: ‘기대되는 인간상(期待される人間像)’을 통해 전후 일본이 양성하고자

했던 ‘일본인 상’과 그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자

20135093 채승

다시 쓰는 첫 페이지

Page 7: 일본문화론 발제

목차• ‘바람직한’ 일본인?

• 2차대전 이후: 패전과 미국의 군사 점령기

• ‘기대되는 인간상’

첫 번째 요청

두 번째 요청

세 번째 요청

일본인에게 특히 기대되는 것

• 결론

Page 8: 일본문화론 발제

‘바람직한’ 일본인?동일본 대지진 당시 차례로 줄을 서서 배급품을 기다리는 일본인

들의 모습

‘바람직’ 한 모습인가?

Page 9: 일본문화론 발제

‘바람직한’ 일본인?

• 정부의 미숙한 대처가 되려 재난을 악화시켜도, 정부를 믿고 침착하게 자기 역할을 하는 ‘바람직한(?)’ 일본인

• 하지만 원전 사태 이후 도쿄전력과 정부에 대한 일본인들의 집단적인 항의는 미약하다.

Page 10: 일본문화론 발제

바람직하지 않은 모습?

사실 ‘바람직하다’는 것은 보는 입장에 따라 다르게 정의 될 수 있다!

Page 11: 일본문화론 발제

‘바람직한’ 일본인

이런 일본인들의 ‘바람직한’ 모습은 어떻게 탄생했는지

그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자!

Page 12: 일본문화론 발제

2차대전 이후: 패전과 미국의 군사점령기

일본사회는 새로운 민주적 주체상을 만들기 보다

시민들을 국가에 결속시키려 하였다

(마치 전쟁 이전의 국가주의 처럼)

왜? 그리고 어떻게?

Page 13: 일본문화론 발제

2차대전 이후: 패전과 미국의 군사점령기

• 새로운 민주주의 사회를 만드려는 운동이 추진됨 >> 국가주의의 근절을 위해 노력함

• 1960년, 미일안전보장조약 조인에 항의하는 집회 >> 대중의 정치적 참여가 극에 달함 (미증유의 사건!)

• 민주주의의 ‘과한’ 활기 >> 자민당 과두정부를 불안하게 하는 요소!

Page 14: 일본문화론 발제

• 새로운 방식의 사회화를 통한 경제 개선, 소비 촉진, 더 큰 사회적 통합! (당시-1960~1974년-의 고도성장 정책은 사상을 통제하는 수단이기도 했다)

• 과잉 열기를 다른 목표(물질적 번영, 개인의 행복, 사회적 유대)로 돌리게 함

• 생산주의적 열망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한 일본인’ -성실하고 착한, 질서정연한- 이미지를 주입

이러한 ‘과잉 활기’에 대한 대책으로 일본 정부는

이렇듯 새로운 사회화가 필요했던 당시의 상황에서 ‘기대되는 인간상’이 작성된다.

Page 15: 일본문화론 발제

‘기대되는 인간상’을 살펴봅시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고려해서

Page 16: 일본문화론 발제

‘기대되는 인간상’

• ≒ ‘국민 교육 헌장’

• ≒ ‘메이지 교육 칙어’

• 제 1부 ‘당면한 이론인의 과제’ 와 제 2부 ‘일본인에게 특히 기대되는 것’ 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란 무엇인가?

우선

Page 17: 일본문화론 발제

–고사카 마사아키(高坂正顯), 중등교육심의회 제19특별위원회 주사

‘<기대되는 인간상>은 교육 기본법을 일본인의 정신적 풍토에 정착시키기 위한 것이다.’

전쟁시기 파시즘 철학을 정립한, ‘교토학파’의 중심적 이론가

Page 18: 일본문화론 발제

‘기대되는 인간상’

• 자연과학의 발흥으로 인한 많은 혜택을 인정

• 그러나 현대문명의 폐해(이기주의와 향락주의)를 지적

• 산업기술 발달과 함께 인간성 향상을 요구함

현대문명의 특색과 첫 번째 요청

Page 19: 일본문화론 발제

‘기대되는 인간상’

• 전후 새로운 이상(‘민주적 주체상’)을 ‘추상론에 머문다’며 비판함

• 패전 이 전의 일본인의 존재방식을 긍정함

• ‘우리는 일본인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오늘날의 국제정세와 두 번째 요청

Page 20: 일본문화론 발제

‘기대되는 인간상’

• 계급투쟁적인 입장에서 출발하여 민주주의를 생각하는 입장을 비판 >> 법적 질서를 지키고 점진적인 방법론의 민주주의를 옹호

• ‘사회적 지성’의 개발 강조

일본의 존재방식과 세 번째 요청

Page 21: 일본문화론 발제

‘기대되는 인간상’• 개인으로서:

1. 자유로울 것

2. 개성을 신장시킬 것

3. 자기를 소중히 여길 것

4. 강한 의지를 지닐 것

5. 경외의 마음을 지닐 것

일본인에게 특히 기대되는 것

Page 22: 일본문화론 발제

‘기대되는 인간상’

• 가정인으로서:

1. 가정을 사랑의 장으로 삼을 것

2. 가정을 쉼터로 삼을 것

3. 가정을 교육의 장으로 삼을 것

4. 열린 가정으로 만들 것

일본인에게 특히 기대되는 것

Page 23: 일본문화론 발제

‘기대되는 인간상’

• 사회인으로서:

1. 일에 전력 할 것

2. 사회 복지에 기여할 것

3. 창조적일 것

4. 사회 규범을 중시할 것

일본인에게 특히 기대되는 것

Page 24: 일본문화론 발제

‘기대되는 인간상’

• 국민으로서:

1. 바른 애국심을 지닐 것

2. 상징(천황)에 대해 경애의 마음을 것

3. 뛰어난 국민성을 신장할 것

일본인에게 특히 기대되는 것

Page 25: 일본문화론 발제

• 새로운 방식의 사회화를 통한 경제 개선, 소비 촉진, 더 큰 사회적 통합! (당시-1960~1974년-의 고도성장 정책은 사상을 통제하는 수단이기도 했다)

• 과잉 열기를 다른 목표(물질적 번영, 개인의 행복, 사회적 유대)로 돌리게 함

• 생산주의적 열망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바람직한 일본인’ -성실하고 착한, 질서정연한- 이미지를 주입

아까 전 그 슬라이드

다시 보니 어떤가요?

Page 26: 일본문화론 발제

결론

• 오늘날 일본인들의 모습 -‘바람직한’ 모습-은 패전 이후 집권층이 당시 사회에 만연한 ‘지나친’ 민주주의를 통제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 하지만 ‘기대되는 인간상’ 만으로 ‘일본인’을 탐구하는 것은 부분적이며 (‘한국인’의 정체성에 대해 공부할 때 ‘국민 교육 헌장’만 가지고는 전반적인 탐구의 어려움이 있듯이) 현재는 이로 설명할 수 없는 경향도 적지 않으니, 다양한 방면에서 부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Page 27: 일본문화론 발제

참고문헌

• Harry Harootunian, 정기인 이경희 역, 『The Good Japanese: Discipling Democracy (착한 일본인의 탄생: 전후 일본의 민주주의 교육과 국민형성)』 , 제이앤씨(J&C), 2011.

• 문부성, 이경희 역, 『期待される人間像 (기대되는 인간상)』, 대장성 인쇄국, 1966.

Page 28: 일본문화론 발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