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철학가철성 42~52

11
개개 : 개개개개개 개개 개개개 개개개개개 개개 개개개개 개개 개개 개개 . 개개개 : 1. 개개개개개 개개 개개개개개개 개개개개개개 개개개개 개개개 개개개 개 개 . 2. 개개 (6 개개개개 ) 개개개 개개 3. 개개 개개개개 개개개개 개개개 개개 개개 총총총

Upload: -

Post on 16-May-2015

438 views

Category:

Education


4 download

TRANSCRIPT

Page 1: 보철학가철성 42~52

개요 : 잔존치아가 모두 결손된 무치악에서 다른 보철물에 비해 매우 불리 .

적응증 : 1. 모든치아가 전부 상실되었거나 잔존지연치를 지대치로 사용이 불가능 할 때 .2. 최근 (6 개월이내 ) 무치악 환자3. 오랜 기간동안 총의치를 장착해 왔던 환자

총의치

Page 2: 보철학가철성 42~52

종류 : * 사용목적에 의해 분류 : 본의치 ( 최종의치 ), 임시의치* 의치상 재료에 의한 분류 : 레진상 의치 , 금속상의치

기본구조 : * 의치상 : 조직면 , 연마면 , 의치변연 조직면과 의치변연은 최종까지 pollishing 을 하지 않는다 .* 인공치아

Page 3: 보철학가철성 42~52

특성 :* 적절한 지지 , 적절한 유지 , 적절한 근 균형 , 균형교합 – 효과적인 기능 발휘 소대를 피하여 설계 : 탈락 우려 , 후연까지 설계지지 (Support)지지조직에 전달되는힘이 최소가되게 설계 : * 의치상면적 최대로 -- * 인공치 교합면 면적 작게— * 의치지지조직 휴식 필요— * 이상기능 , 악습관 교정 -

유지 (Retention)) * 응착력 * 응집력 * 표면장력 * 모세관인력 * 기계적유지 * 변연봉쇄 및 대기압 * 구강및 안면근육

총의치환자의 특성의치하부조직 * 연조직의변화 - 점막조직의반응 , 과가동 ( 과유동성 ) 연조직 증식 유두상 증식 , 열구성 치육종 - 잘맞지 않는 의치변연으로 만성적인 자극의 결과 열구상피가 증식 , 의치성구내염 - 의치 내면 , 회백색이나 유백색으로 점이나 지도 모양의 종창 , 전염가능성 구각 ( 미란 ) 증 - 비타민 B2 부족 * 치조골의 변화

Page 4: 보철학가철성 42~52

연령증가에 따른 구강의 변화 * 구강점막과 피부의 변화 – 근욱 , 지방 , 피하근육 , 지방 , 결체조직등 모두 체적 감소 - 피부 주름 * 잔존치조골과 상 , 하악 관계의변화 – 흡수량 > 생성량 * 혀 및 미각의 변화 - 미뢰감소 , 미각의 변화 * 타액분비의 변화 - 타액선 위축 : 구강건조증 - 의치 장착에 어려움 * 하악관절과 저작근의 변화 - 저작근의 탄력부족 , 관절내에서의 퇴행성변화 * 안모의 변화 - 안모고경 감소 , 하악의 전방 돌출 경향

Page 5: 보철학가철성 42~52

문 81) 총의치의 유지와 지지에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① 취침 시 장착으로 변형을 감소시킨다 . ② 인공치의 교합면을 자연치보다 작게 한다 . ③ 의치상 면적을 가능한 크게 하는 것이 좋다 . ④ 총의치의 안정과 유지는 장착시간이 길수록 좋다 . ⑤ 총의치를 오래 장착하면 잔존치조제의 높이가 증가한다 .

Page 6: 보철학가철성 42~52

임상과정 - 진단 과 치료계획- 문진 : 치과 경험과 치료 중 불만사항 , 만족사항 청취 , 타 의료기관 험담금지 .- 구강 외 소견 : 구강외악습관 , 스트레스를 가진 직업 , 국소의치 - 총의치 , 여성경우 더 심한 치조골 퇴축- 구강 내 소견 : * 개구상태와 악관절 상태 : 치료우선 * 악의 크기와 잔존치조제 : 높고 넓고 균일한 치조제가 유리 * 구개전정과 골융기 : 상악 U-shape 유리 , 골융기 , 결절 제거 . * 구토반사 : 인상시 도포마취 , 상악의치 후연을 짧게 * 혀 : 혀의 크기와 위치 * 타액 : 분비가 많아야 유지에 유리- 방사선 소견 : * 잔존치근 , 미맹출 치아 , 종양성병변 * 치조능산의 날카로운 골편 * 잔존치 주위와 무치악부위에서의 골형태와 소실양 * 골 피개 점막조직의 상대적인 두께 * 치료계획 및 예후 - 총의치 제작을 위한 전처치 :

* 보존적 처치 ( 비외과적 ) 기존의치 제거 후 48-72 시간동안 회복 , 의치 세정제이용 , 손가락등으로 마사지 * 외과적 처치 : 골융기 , 결절 제거 , 소대 조정

Page 7: 보철학가철성 42~52

구개추벽 정중구개봉합선대구개공

전존치조정 ( 제 )상악결절절치공

Page 8: 보철학가철성 42~52

전존치조정 ( 제 ) 협붕 구후융기

악선골근선 하악설측골융기

Page 9: 보철학가철성 42~52

연구 ( 진단 ) 모형상에 개인트레이 제작을 위한 의치상 외형선을 기록하는데 , 이는 총의치 의치상의 외형에 기초한다 ( 실제는 의치상의 외형선보다 2~3 ㎜ 짧게 설정된다 ).

개인트레이 (individual tray) 제작

Block out 과 relief : 언더컷부는 block out, 의치상의 압박부위는 relief. 상악 하악① 절치공 , 소구개공 , 대구개공 ① 이공② 구개소와 -relief ② 악설골근선③ 구개융기 , 구개추벽 ③ 이극④ 소대 ④ 하악융기⑤ 익돌상악절흔 ⑤ 구후융기⑥ 소대

작업모형제작제작

Page 10: 보철학가철성 42~52
Page 11: 보철학가철성 42~52

기초상제작

기초상 (record base): base plate, temporary base, trial base 라고도 한다 .임시 형태의 의치상 . 적합성과 안정성이 높아 파절되지 않아야 한다 .

기초상 제작순서 .1. 외형선 설정2. 치조제정선 (crest line of ridge) 및 기준선 표시 1) 치조제정선 2) 기준선 표시 (1) 정중선 (2) 절치유두 기준선 (3) 구후융기와 하악결절 (4) Pound’s triangle3. 모형상의 relief 와 block 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