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기술로드맵 2018-2020smroadmap.smtech.go.kr/download/2017_13.pdf · 2018-03-13 ·...

296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2018-2020 Technology Roadmap for SME - 안전 -

Upload: phamkhuong

Post on 01-Apr-2019

221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

TRANSCRIPT

중소기업�기술로드맵2018-2020

Technology� Roadmap� for� SME

-�안전� -

CONTENTS

전략분야

안전

1.� 개요 ····························································································································································· 1

2.� 국내외�정책동향 ········································································································································ 4

3.� 산업이슈�및� 동향 ···································································································································· 15

4.� 시장동향�및� 전망 ···································································································································· 22

5.� 기술동향�및� 이슈 ···································································································································· 31

6.� 중소기업�시장대응전략 ··························································································································· 46

7.� 주요�기술개발�테마 ································································································································ 47

8.� 중소기업�기술개발�테마 ························································································································· 49

기술개발�테마

미세먼지측정시스템

1.� 개요 ··························································································································································· 55

2.� 외부환경분석 ············································································································································ 59

3.� 기업�분석 ················································································································································· 67

4.� 기술개발�현황 ·········································································································································· 73

5.� 연구개발�네트워크 ·································································································································· 79

6.� 기술로드맵�기획 ······································································································································ 86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

1.� 개요 ························································································································································ 100

2.� 외부환경분석 ········································································································································· 104

3.� 기업�분석 ··············································································································································· 111

4.� 기술개발�현황 ······································································································································· 120

5.� 연구개발�네트워크 ································································································································ 128

6.� 기술로드맵�기획 ··································································································································· 133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

1.� 개요 ························································································································································ 143

2.� 외부환경분석 ········································································································································· 147

3.� 기업�분석 ··············································································································································· 154

4.� 기술개발�현황 ······································································································································· 159

5.� 연구개발�네트워크 ································································································································ 166

6.� 기술로드맵�기획 ··································································································································· 171

범죄�대응�시스템

1.� 개요 ························································································································································ 181

2.� 외부환경분석 ········································································································································· 184

3.� 기업�분석 ··············································································································································· 188

4.� 기술개발�현황 ······································································································································· 192

5.� 연구개발�네트워크 ································································································································ 199

6.� 기술로드맵�기획 ··································································································································· 203

센서형�식품�안전�관리�시스템

1.� 개요 ························································································································································ 213

2.� 외부환경분석 ········································································································································· 217

3.� 기업�분석 ··············································································································································· 224

4.� 기술개발�현황 ······································································································································· 229

5.� 연구개발�네트워크 ································································································································ 238

6.� 기술로드맵�기획 ··································································································································· 243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1.� 개요 ························································································································································ 253

2.� 외부환경분석 ········································································································································· 259

3.� 기업�분석 ··············································································································································· 267

4.� 기술개발�현황 ······································································································································· 275

5.� 연구개발�네트워크 ································································································································ 280

6.� 기술로드맵�기획 ··································································································································· 285

전략분야�현황분석

안전

▣�▣�안전�▣�▣

1

안전

1.� 개요

가.� 정의�

물리ㆍ기술ㆍ정보� 보안을� 유기적으로�결합한� 차세대� 융합보안으로�사회ㆍ자연의�위험으로부터�

대상을�예방하고�보호하는�것을�목적으로�함

▪ 자연재해와� 유해물질� 및� 감염확산을� 예방하고� 사회� 범죄를� 예방하며� 효율적인� 범인� 검거를� 위한�시스템을�구축하는�등의�역할을�함

최근�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지진ㆍ태풍ㆍ홍수ㆍ가뭄� 등� 자연재해를� 사전에� 방재하며,�

동시에�재해�발생�시에는�효과적으로�대비할�수� 있도록�하는�사회적�안전망을�의미함

각종� 유해물질� 및� 감염확산을� 예방하며,� 화재ㆍ응급상황ㆍ사고� 등� 일상생활에서의� 안전을�

확보하기�위한�장비�및� 기술을�의미함

IT기술과� 자동차,� 의료� 등� 전통산업의� 융·복합� 시� 발생되는� 보안� 위협을� 해결하기� 위해서도�

활용되고�있음

재난발생� 관련에� 대한� 위기� 대응체계� 구축과� 효과적인� 운용방안� 확립은� 인적·경제적� 손실� 및�

국가�신뢰도와�밀접하게�연관되어�있어,� 대외적인�국가�이미지의�중요한�척도임

빅데이터,� IoT� 기반의� 유비쿼터스� 환경이� 점점� 대중화됨에� 따라� 생활안전� 보안이� 차량,� 국방,�

의료,� 금융,� 건설,� u-물류ㆍ항만� 시스템� 등과� 연계되면서� 사회� 전반의� 안전과� 신뢰성을�

담보하는�핵심�요소로�자리�잡고�있음

생활안전�관련� 산업은� 고부가가치를�가진� 새로운� 성장� 산업,� 국가의� 안위와� 치안을�맡고� 있는�

방위�산업,� IT를�기반으로�한�미래지향적�산업의�특성을�가지고�있음

상업용� 보안� 시스템의� 상용화와� 더불어� 개인� 정보� 보안의� 중요성이� 주목� 받으며� 홈네트워크,�

가정용�감시카메라,� 스마트오디오�등과�같은� Home� Security� 산업�분야의�성장이�가속화됨

▣�▣�전략분야�현황분석�▣�▣

2

나.� 범위�및� 분류

(1)� 범위

생활시설� 안전사고는� 일상생활에� 이용되는� 공공� 및� 민간의� 시설에서� 발생하는� 화재� 및�

안전관련�사고로�인해�발생한�신체적ㆍ정신적ㆍ경제적�측면의�피해를�의미함

▪ 치료와� 대책을�위한� 유무선�긴급통신망,� 공공안전통신망,� 소방방재� 시스템,� 범죄예방�관제�등의� 기술�등을� 포함

생활환경� 안전사고는� 자연환경의� 오염이나� 자연재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산업� 및�

경제활동의�피해를�의미함

▪ 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재난� 시에는� 재난관리� 시스템이� 가동되는� 재난재해통신망,� 종합� 관제․대응�관련� S/W,� 모니터링ㆍ알람�제품을�들� 수� 있음

유해물질� 안전사고는�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의� 유통� 과정� 또는� 안전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물질이� 첨가된� 식품이나� 식중독에� 감염된� 음식물의� 유통으로� 발생하는�

안전사고�

▪ 유해물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RFID/USN� 활용� 안전/품질� 관리� 시스템,� 유통정보� 시스템,� 센싱�기술의�개발이�있음

사회적� 약자� 안전사고란� 일반인보다� 안전사고� 노출� 빈도가� 높고� 사고� 대처능력이� 부족한�

아동이나�노인,� 장애인,� 저소득층과�같은�사회적�약자층에서�발생하는�안전�사고를�뜻함

▪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실시간� 긴급� 통신망,� CCTV,� IoT� 접합� 휴대용� 구호물품� 등을� 들� 수�있음

교통생활� 안전사고란� 일상적인� 활동이� 이루어지는� 도로나� 주차장에서의� 자동차,� 자전거,�

보행자�등의�사고로�인한�생활안전�사고를�의미함

▪ 이에�대응하기�위한�기술로�차량용�블랙박스,� 지능형� CCTV,� 주차� 관제� 기술�등이� 있음

사이버� 범죄와� 관련하여� 금융피해,� 해킹,� 개인정보유출� 등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사이버�

재난대비�보안�기술,� 정보�유출방지�보안장치�등이�있음

생활시설�

안전사고

생활환경�

안전사고

유해물질�

안전사고

사회적�약자�

안전사고

교통생활�

안전사고

사이버�범죄�

안전사고

[� 생활안전�사고�범위� ]

▣�▣�안전�▣�▣

3

구분 범위

생활시설

안전사고

일상생활에�이용되는�공공�및�민간의�시설에서�발생하는�화재�및�안전관련�사고로�인해�

발생한�신체적ㆍ정신적ㆍ경제적�측면의�치료와�대책을�위한�유무선�긴급통신망,�

공공안전통신망,� 소방방재�시스템,� 범죄예방�관제�등의�기술

생활환경

안전사고

자연환경의�오염이나�자연재해로�인해�발생할�수�있는�산업� 및� 경제활동의�피해를�

최소화하고�재난�시에는�재난관리�시스템이�가동되는�재난재해통신망,� 종합� 관제․대응�관련� S/W,� 모니터링ㆍ알람�제품

유해물질

안전사고

인체에�유해한�화학물질의�유통� 과정�또는�안전에�대한�검증이�이루어지지�않은� 물질이�

첨가된�식품이나�식중독에�감염된�음식물의�유통으로�발생하는�안전사고�예방을�위한�

RFID/USN� 활용�안전/품질�관리� 시스템,� 유통정보�시스템,� 센싱�기술

사회적�약자�

안전사고

일반인보다�안전사고�노출�빈도가�높고�사고� 대처능력이�부족한�아동이나�노인,� 장애인,�

저소득층과�같은�사회적약자층에서�발생하는�생활안전을�위한�실시간�긴급�통신망,� CCTV,�

IoT� 접합� 휴대용�구호물품�등

교통생활

안전사고

일상적인�활동이�이루어지는�도로나�주차장에서의�자동차,� 자전거,� 보행자�등의�사고로�

인한�생활안전�사고에�대응하기�위한�블랙박스,� CCTV,� 주차�관제�기술� 등�

사이버�범죄�

안전사고

사이버�범죄와�관련하여�금융피해,� 해킹,� 개인정보유출�등의�피해를�최소화하기�위한�

사이버�재난대비�보안�기술,� 정보�유출방지�보안장치�등

[� 생활안전�사고�및� 대응�범위� � ]

(2)� 분류

구분 산업기술_대분류 산업기술_중분류 산업기술_소분류

안전

기계ㆍ소재 에너지/환경�기계시스템 대기오염�방지� 설비

전기ㆍ전자

계측기기 계측센서�및�부품

영상/음향기기 카메라�및� 캠코더

정보통신

RFID/USN

RFID기술,� USN기술,� 모바일-RFID,�

활용서비스�플랫홈�및� 응용SW,�

RFID/USN서비스

지식정보보안 물리보안,� 융합보안

바이오ㆍ의료

의료정보�및�시스템 원격�및� 재택�의료기기

치료기기�및�진단기기 생체신호�측정/진단기기

[� 안전� 분야의�산업기술분류� ]

▣�▣�전략분야�현황분석�▣�▣

4

2.� 국내외�정책동향

가.� 해외�정책�동향

각�나라�특성별로�다양화ㆍ전문화된�안전산업�구성

세계� 안전산업의� 주요� 특징� 중� 하나는,� 다양한� 수요� 중에서도� 각� 국가별� 자연환경과� 사회적�

특징에�따라�수요의�우선순위가�달라진다는�데�있음

◎�미국

미국은� 아메리카� 대륙의� 지리적� 규모로� 인해� 지상교통보다� 이동� 시간이� 단축되는� 국내선�

항공기�이용이�활발했으며�상대적으로�느슨했던�국내선�항공검색에�의해� 2001년� 9.11테러가�

발생한�만큼�미국�국토�전반과�항공업계의�보안�취약성이�이슈로�부상하였음

9.11테러� 이후� 국가� 재난관리시스템을� 재정비하고� 2002년� 국토안보부(DH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를� 신설했으며,� 관련� R&D� 예산을�지속적으로�확대�중임

▪ 1979년� 창설된� 기존의� 연방재난관리청(FEMA,�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은�자연� 및� 인적� 재난으로� 인한� 피해� 경감ㆍ대비ㆍ대응ㆍ복구를� 전문적으로� 담당하며,� 이후� 테러� 예방�

및�대응을�위한�국경,� 교통�및�국가핵심기반체계를�보호하는�조직인�국토안보부(DHS)에� 편입됨

교통안전청(TSA)의� 항공보안� 유지� 예산� 투자가� 증가하면서� 미국의� 전자보안� 시장이� 성장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2006년� 206억� 달러� 규모의� 예산에서� 2017년� 410억� 달러�

규모까지�성장할�것으로�예상됨

미국은� 또한� 재해재난에� 대비한� 안전무선망� 확보를� 위해� 자국의� 무선� TRS1)� 표준인�

APCO-P25나� iDEN망을�사용하여�재난관리�공공안전을�위한�무선통신망을�구축함

◎�네덜란드

네덜란드는� 국토의� 25%가� 북해� 해수면보다� 낮은� 지리적� 한계로� 강� 하구� 지역이� 취약한데,�

1953년� 75만여� 명의� 이재민을� 발생시킨� 남서부� 해안� 침수� 이후� 근본적인� 해결책을�

모색하게�되며,� 이후�대규모�토목공사(델타�프로젝트,� Delta� Works)를� 실시하게�됨

해당� 사업은� 간척지� 개발·관리,� 생태복원,� 수자원� 관리� 복합기술� 개발로� 이어졌으며,�

1950년대부터� 축적된� 노하우를� 바탕으로� 네덜란드는�세계� 1위의� 수자원� 관리� 기술을� 보유하게�

됨에�따라�궁극적으로�이는�네덜란드의�시스템�및�컨설팅�서비스�수출로�이어가고�있음

1)� TRS(trunked� radio� service)� :� 기존의� 자가무전기를�발전시킨�시스템으로,� 무선중계국의�많은�주파수를�다수의�가입자

가�공동으로�사용하는�무선이동통신

▣�▣�안전�▣�▣

5

◎�중국

중국은�방대한� 국토와�다양한� 지형에서�발생하는�전통적인�자연재해(황사,� 대지진,� 홍수�등)가�

급격한� 경제성장� 과정에서� 사회적� 재해로� 변모(베이징� 스모그� 등)하여� 정부가� 안전산업�

육성의�필요성을�인식하게�됨

국무원이� 발표한� ‘기업� 안전생산업무� 강화에� 관한� 통지’와� ‘제12차� 5개년� 계획’상� 안전생산에�

관한�통지를�통해�내수에�부응하는�동시에�국제�경쟁력을�확보하려고�노력하고�있음

▪ 단기적�목표로는�안전산업�시장과� 시스템기반,� R&D� 지원을� 추진하는�동시에� 장기적으로는�국제경쟁력을� 갖춘� 관련� 제조ㆍ서비스� 기업을� 육성하는� 동시에� 각종� 재해ㆍ재난� 사망률을�

20~30%�이상�감소시키는�목표를�가지고�있음

◎�일본

일본은� 화산지형� 위에� 위치한� 특성상� 화산,� 지진,� 해일� 등에� 대한� 방재� 산업기술과� 노하우가�

발달하였으나,�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일본의� 기술적� 위상이� 추락하는� 계기� 및�

일본�정부의�정책�재설정�계기가�됨

▪ 재해� 현장에� 투입할� 만큼의� 제품화된� 로봇이� 없어� 미국� 아이로봇� 사의� 팩봇이� 원자로에� 투입됨에�따라� 제품화와� 재해� 적기� 투입의� 중요성을� 인식한� 일본� 정부는� 공공� R&D의� 투자� 방향을� 제품화와�

인력양성으로�재설정하여�공격적인�투자를�실시함

*�출처� :�중앙일보

[� 일본� 원전에�투입된�미국� 아이로봇�사의�팩봇� ]

▪ 2013년� 미� DARPA2)� 재난구조로봇� 경진대회에서� 일본산� 제품이� 1위를� 차지하는� 등의� 성과를�거두었으며,� 이어� 2014년� NEDO3)에서는� 생활지원� 로봇� 실용화� 프로젝트의� 성과를� 발표하면서,�

ISO� 13482� 인증을�직접�제안하고�취득하는�성과를�거두게�됨

2)� 방위고등연구계획국(Defense�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을� 말하며,� 최첨단� 기술� 확보를� 위해� 상금을� 건�

경연대회를�실시.

3)� 일본�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개발기구(新エネルギー·産業技術総合開発機構)를� 말하며,� 각종� 원천기술� 및� 상용화� 기술에�대한�연구를�실시하는�기관

▣�▣�전략분야�현황분석�▣�▣

6

◎�독일

독일은� 세계� 최대� 규모의� 재난안전무선통신망인� ‘BOS� Net’을� 구축하여� 재해� 비상� 상황� 시�

경찰,� 소방�구조대�간� 전국에�걸친�상호통신�보장이�가능한� TETRA�시스템을�도입함

◎�호주

호주의� CSIRO(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sation),�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은� 슈퍼컴퓨터를� 이용해� 홍수,� 지진해일� 등의� 기상� 재난과� 재난재해�

관련�데이터를�분석하고�대비하는�시스템�구축에�노력�중임

[� 호주의� CSIRO� 와� 미국의� NASA� ]

나.� 국내�정책�동향

사회재난�발생�현황

[� 연도별�사회재난�발생�추이� ]

▣�▣�안전�▣�▣

7

▪ 최근� 사회재난은� 발생� 건수� 및� 인명� 피해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서� 부주의,� 안전� 불감증� 등이�주요한�원인으로�지적되고�있음

� � � �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3년� 평균

도로교통 226,863 221,711 223,656 224,076

화재 41,863 43,875 43,249 42,995

수난 2,267 2,393 3,954 2,871

해양 1,627 1,750 1,632 1,669

추락 1,365 2,699 10,119 4,727

총�발생건수 280,607 286,851 303,707 290,388

※출처� :�국민안전처,� (구)소방방재청�방재연보� 2012,� 2013

[� 주요� 사회재난별�발생건수�추이(2010-2012)� ]

� �

구분 2010년 2011년 2012년 3년� 평균

도로교통 5,505 5,229 5,392 5,375

화재 304 263 257 274

수난 360 489 632 493

해양 85 38 64 52

추락 104 189 333 208

총�사망자수 6,758 6,709 7,322 6,929

※출처� :� 국민안전처,� (구)소방방재청�방재연보� 2012,� 2013

[� 주요사회재난별�인명피해(사망)� 추이(2010-2012)� ]

▪ 특히� 사회재난� 가운데� 수난� 재해는� 발생건수� 대비� 사망자� 발생비율이� 17.2%로서,� 화재(0.6%),�추락(4.4%)� 등과� 비교하여� 사망자� 발생� 비율이� 월등히� 높아� 특별한� 관리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음

-� 3개년�평균� 사망자수� /� 3개년� 평균� 재난발생건수�비율(%)� � � � �

-� 교통사고:� 5,375� /� 224,076� =� 0.02399� (2.4%)� �

-� 화� � � � 재:� 274� /� 42,995� =� 0.00637� (0.6%)� � � � �

-� 수� � � � 난:� 493� /� 2,871� =� 0.17172� (17.2%)� � � � � �

-� 해� � � � 양:� 52� /� 1,669� =� 0.03116� (3.1%)� �

-� 추� � � � 락� :208� /� 4,727� =� 0.044� (4.4%)� �

▪ 이처럼� 사고발생대비� 사망자� 발생� 빈도가� 높은� 수난재해의� 경우� 발생원인� 또한� 매우� 다양해서,�실족,� 낚시,� 다슬기채취� 등이� 주요원인으로� 조사되었으며,� 계절은� 하절기에� 많이� 발생하였고,�

발생장소로는� 강,� 계곡,� 다슬기�채취장,� 캠핑장�등으로� 조사되었음.� 그림� 2-2는� 수난재해의�발생원인�

전체를�분석한�결과를�나타낸�것임

▣�▣�전략분야�현황분석�▣�▣

8

※출처� :� 국민안전처,� (구)소방방재청�재난연감� 2012

[� 수난사고�주요� 발생원인�분석� ]�

▪ 수난재해� 이외에도� 발생빈도는� 적지만� 화재,� 가스누출,� 붕괴� 등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인명피해�가능성이� 매우� 높은� 고층빌딩,� 지하철,� 쇼핑센터,� 체육관,� 지하상가� 등의� 다중이용� 시설에� 대해서는�

인명피해를�최소화�할�수�있는� 재난대응�방안�필요함

사회재난�대응체계�현황� �

▪ 안전관련� 정책의� 결정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제� 9조에� 따라� 국무총리가� 위원장이� 되는�"중앙안전관리위원회"를� 설치하여� 재난� 및� 안전관리� 정책을� 심의하도록� 하고� 있으며,� 실무검토를�

위하여� 하위에� 국민안전처� 장관이� 주관하는� 안전정책조정위원회,� 지역단위� 재난안전정책� 검토를�

위한� 지역위원회를�각각�두고� 있음

▣�▣�안전�▣�▣

9

[� 재난� 및� 안전관리�정책결정�체계� ]

▪ 자연재해를� 비롯하여� 대규모� 사회재난에� 대해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제� 14조에� 따라�국민안전처� 장관이� 본부장이� 되는� "중앙재난안전� 대책본부"를� 설치하여� 재해대응� 실무를� 총괄하도록�

하고� 있으며,� 사고수습을� 위한� 중앙� 및� 지역� 사고수습본부를� 설치하여� 시고� 및� 시군구� 단위의�

재난안전�대책본부를�지휘할�수�있도록�하고�있음

▪ 또한� 재난정보에� 대한� 공유를� 위하여� 중앙재난안전상황실과� 지역단위� 시도재난안전상황실과�시군구재난안전상황실을�연결시켜�재난상황�정보를�공유할�수� 있도록�체계를�구성� 하고� 있음

▣�▣�전략분야�현황분석�▣�▣

10

[� 대규모�재난이�발생한�경우의�재난대응체계� ]

▪ 일반적인� 사회재난에� 대해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3조(정의)에� 따라� 재난관리책임기관이�관리하도록� 되어� 있고,� 그� 내용은� 안전기준� 등에� 포함되어� 있어서� 그� 범위가� 매우� 광범위하며�

모호하게�정의된�문제가�있음

▪ 예를� 들면,� 교통과� 관련해서는� 경찰� 및� 국토교통부� 등이� 관리하며,� 화재와� 해양사고에� 대해서는�국민안전처� 내의� 중앙소방본부와� 해양경비안전본부에서� 각각� 관장하고� 있으나� 수난재해에� 대해서는�

하천관리� 기관이� 일차적으로� 관리� 권한과� 책임을� 가지지만� 사고가� 발생한� 경우� 경찰이� 사고조사� 및�

처리� 등을� 담당하는데�국가하천의�경우�중앙정부,� 지방하천의�경우�지방정부가�관리하게�되어�있음

▪ 따라서� 사고예방� 등� 선제적인� 안전관리� 조치가�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자체의� 여건에� 따라서� 예방�및�관리� 수준의�차이가�심할�뿐만� 아니라�대부분의�지자체에서는�적절한�관리방안을�갖고�있지� 못함

◎�정부�각� 부처별�생활안전�관련�기술�개발�및� 서비스�영역�확대

국민안전처는�국민�중심�재난ㆍ안전�정보�통합제공을�확대하고�있음

▪ 기존� 재난ㆍ안전� 관련� 6종의� 정보� 제공을� 2016년부터는� 폭발ㆍ황사� 등� 30종으로� 확대� 및� 타기관�관련� 서비스�연계� 추가

▪ 국민안전처� 16개� 정책� 소개를� 맞춤안전교육� 등� 30개� 정책으로� 확대� 및� 동영상ㆍ인포그래픽으로�제공

▪ 기존� 101종의�공공데이터�개방에서�재난문자ㆍ경보�등� 116종으로�확대

국민안전처는�생활안전지도를�전국적으로�확대구축�및�서비스를�개선할�계획에�있음

▣�▣�안전�▣�▣

11

▪ 2015년까지는� 생활안전지도� 4개� 분야4)에� 대해서� 115개� 시ㆍ군ㆍ구를� 대상으로� 서비스하였으나,�2016년� 1월부터는� 전국(229개)으로� 확대� 구축� 및� 서비스를� 시작하며� 추가� 4개5)� 분야에� 대해서도�

2016년부터�단계적으로�확대해�나갈� 계획�

▪ 교통사고� 돌발정보,� 미세먼지,� 대기지수� 등� 실시간� 정보를� 연계하고� 즐겨찾기� 및� 사용자� 검색기능�추가�등� 서비스�메뉴구조를�사용자�중심으로�개선하여�웹과�모바일�앱을� 통해� 제공�

*�출처� :� 국민안전처� -� 생활안전지도

[� 국민안전처�생활안전지도�및� 예시�화면� ]

각�지자체별로�안전사고로�인한�사망자를�감축하도록�하는�목표관리제를�추진�중에�있음

▪ 지역안전지수� 발표(’15.11.4)� 이후� 지자체� 책임성을� 바탕으로� 지역별� 안전사고� 사망자수� 감축목표를�설정,� 이행�사업을�추진�

▪ 각� 지자체가� 자율적으로� 설정한� 감축목표에� 따라� 지역적� 특성에� 맞는� 사업계획을� 자율적으로�수립하도록�유도

▪ 유관기관ㆍ관련부서� 및� 지역사회의� 구성원들이� 지역안전� 거버넌스를� 구성한� 뒤� 안전환경을�근원적으로�개선하는�것을�목표로�추진� 중

국민안전처는�재난안전산업의�현황�파악을�위한�실태조사를�실시함

▪ 재난안전산업의� 체계적� 육성을� 위해� 2016년부터� 재난안전산업� 특수� 분류를� 제정하고,� 이를� 토대로�재난안전산업�실태조사를�실시

▪ 올해� 처음으로� 실시된� 재난안전산업� 실태조사를� 통해� 국내� 재난안전산업의� 구조� 및� 규모,� 성장�전망,� 경제적·사회적�효과�분석이�가능해�질� 것으로�기대�

4)� 교통안전,� 재난안전,� 치안안전,� 맞춤안전

5)� 시설안전,� 산업안전,� 보건식품안전,� 사고안전

▣�▣�전략분야�현황분석�▣�▣

12

구분 이전 변경

재난ㆍ안전�정보�

통합제공�확대

•� 재난·안전� 관련정보의� 종합� 제공� 및�

국민안전처�정책�소개

•�재난·안전�관련� 6종의�정보제공�

•�국민안전처� 16개의�정책�소개�

•� 101종�공공데이터�개방�

•� 폭발,� 황사� 등� 30종으로� 확대� 및�

타기관�관련�서비스도�연계�

•� 맞춤안전교육� 등� 30개� 정책으로� 확대�

및�동영상ㆍ인포그래픽으로�제공�

•�재난문자ㆍ경보�등� 116종으로�확대�

생활안전지도�서비스�

개선

•�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대상지역� 및� 서비스�

메뉴구조�

•� 115개�시ㆍ군ㆍ구�

•� 4단계�이상�정보검색�

•�전국� 229개�시·군·구로�확대�

•� 쉽고� 간단한� 정보검색� 및� 제공� 단계로�

메뉴구조�개선(2단계�수준)�

안전사고�사망자수�

감축�목표관리제

•� 정성적,� 칸막이식,� 중앙부처� 중심의�

하향식(Top-down)�안전관리�

•� 정량적(안전사고� 사망자수)� 목표� 설정,�

유관기관ㆍ부서� 및� 지역� 공동체� 협업,�

지자체� 중심의� 상향식(Bottom-up)�

안전관리�

재난안전산업�

실태조사•�없음(신규사업)�

•�재난안전산업�실태조사�실시�

•� 재난안전산업� 기업체,� 종사자� 수,�

매출액� 등에� 대한� 통계자료� 수집을� 통한�

체계적인�육성정책�추진�

[� 2016년�국민안전처�안전정책�변경�사항� ]

� � � � *� 출처� :� 국민안전처� 2016년�이렇게�달라집니다(국민안전처,� 2016)

서울시는� 유사시� 신속한� 대응을� 위한� 55개� 재난유형별� 매뉴얼을� 운영하고� 있으며,� 대규모�

복합재난에�대비하기�위한�유관�부서�간�합동�실전훈련�및� SNS� 훈련�등을�실시하고�있음

또한,� 2016년부터는� 주요� 재난사고의� 재발방지� 및� 정보공유를� 위한� ‘재난사고� 개선� 보고회’�

개최�및� ‘재난사고�사례집’� 발간함

재난� 안전� 분야에� 대한� 총체적인� 관리를� 위해� 서울시는� 중장기� 예방적� 도시안전망� 구축을�

목표로� 자연재난,� 사회재난은� 물론� 시민� 안전사고를� 아우르는� 「서울시� 안전관리� 기본계획」을�

지자체�최초로�수립했으며,� 재난유형을�세분화해�안전대책�및�관리를�강화하고�있음

계 화재 교통 수난 약물 폭발 붕괴 기계 승강기 산악 자연 문잠김 추락 기타�

127,481 26,604 5,017 2,820 162 84 196 550 5,309 1,475 845 10,872 859 72,688

[� 2015년� 서울시�재난� 및� 안전사고�발생�수� ]

� � *� 출처� :�서울시�안전총괄본부(서울시,� 2016)

▣�▣�안전�▣�▣

13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도� 「제2차�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종합계획(2013~17)의� 5대�

추진� 전략,� 15대� 중점� 추진과제를� 이행하기� 위해� 국민안전처� 등� 13개� 부처에� 총� 6,978억�

원(2015년� 시행계획�취합금액)을�투자함

또한� 미래창조과학부는� 스마트� 기반의� 기술� 개발� 등을� 통해� 자연재해ㆍ사회재난� 위기대응,�

피해저감� 등을� 도모하는� 한편,� 예방ㆍ대응ㆍ복구체계를� 지원함으로써� 생활안전에� 대한� 지원�

확대�강화해나갈�예정임

선진국과의� 재난안전기술� 수준� 격차를� 좁히고� 재난현장에� 적용이� 가능한� 실용적인�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R&D)에도�지속적으로�투자(2016년�예산� 633억)하고�있음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2016년� 시행계획� 중� 하나로� 걱정� 없는� 안전사회� 구축을� 위한�

사회적�재난�대응체계�확보를�명시함

▪ 사회재난안전기술,� 재난상황관리기술6)� 등을�통해� 사회적�재난에�대한�선제적�대응�능력� 확보▪ 재난대응�기술개발�실용성�강화�및�협력체계�개선을�위한�리빙랩7)� 및� 다부처�협력사업8)� 지원▪ 감염병� 관리기술� 및� 감염병� 위기대응기술� 등� 국가가� 관리해야� 하는� 주요� 감염병의� 공익적� 기반기술�개발연구를�수행

범죄·테러� 등� 사회적�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하여� 국민안전처의� 사회재난� 안전기술�

개발과�환경부의�사회적�재난�대응체계�확보가�진행�중임

제3차� 과학기술기본계획의� 19대� 추진과제별� 예산� 현황� 중,� ‘걱정� 없는� 안전사회� 구축’�

부문에서� 생활안전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판단되는� 예산을� 선별한� 결과,� 총� 예산은�

2015년� 2,302억� 원에서� 2016년� 2,440억� 원으로�약� 138억�원�가량�증가함

6)� 스마트�재난상황관리기술�거점� 지자체�시스템�고도화�및� 활용도�콘텐츠�확대(부산시,� 대전시)

7)� 재난대응장비�현장실용성�강화를�위한�사용자(소방대원�등)� 참여형�연구개발�체계� 마련

8)� 재난용�무인항공기�융합시스템�구축�과제�등�다부처공동사업�발굴

▣�▣�전략분야�현황분석�▣�▣

14

구분 세부사업명15년�

예산

16년� 예산

부처일반�

예산

특별�

예산기금 합계

선제적

자연재해

대응과�피해

최소화

국민안전�확보�기술� 개발 6,552 5,101 5,101 안전처

자연재해�예측�및�저감연구�개발 13,351 11,840 11,840 안전처

기상업무�지원�기술�개발연구

('16년부터�국립기상과학원�사업� 통합)19,833 23,669 23,669 기상청

지진�기술�개발사업 4,250 5,025 5,025 기상청

한국형�수치예보�모델개발 8,529 8,912 8,912 기상청

사회적�재난

대응체계

확보

사회재난�안전� 기술개발 3,388 3,396 3,396 안전처

소방안전�및� 119� 구조�구급�

기술연구�개발17,333 19,600 19,600 안전처

재난상황�관리기술�개발 3,000 2,865 2,865 안전처

재난안전�기술� 개발�기반�구축 2,339 957 957 안전처

재난위험�저감기술�개발 5,445 4,666 4,666 안전처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R&D) 13,955 14,793 14,793 복지부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연구(R&D) 26,800 27,318 27,318 복지부

안전기술�선진화(R&D) 3,840 3,840 3,840 식약처

원자력�안전�연구개발 20,300 22,156 22,156 원안위

중장기�과학수사�감정기법�연구개발 4,809 5,290 5,290 행자부

사회적�재난�대응체계�확보�

(화학사고�대응환경�기술� 개발사업)5,000 10,200 10,200 환경부

식량안보와

식품안전

향상

가축질병�대응기술�개발사업 5,798�   7,598 7,598 농식품부

농림축산�검역검사�기술� 개발사업 19,867 21,003 21,003 농식품부

식품�등� 안전관리 29,230� 26,975 26,975 식약처

안전성�평가기술�개발연구 13,400� 14,553 14,553 식약처

축수산�안전관리(R&D) 3,201� 4,202 4,202 식약처

합계230,22

0243,959

[� 걱정�없는� 안전사회�구축을�위한� 예산� 현황� ]

(단위� :� 백만원)

� � � *�출처� :� 제� 3차�과학기술기본계획

▣�▣�안전�▣�▣

15

3.� 산업이슈�및�동향

가.� 산업이슈

◎�국민안전처�주도�안전개선사업�통합연계�모델개발

2014년부터�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는� 주민� 주도� 지역안전� 거버넌스를� 위한� 모델로써�

“생활안전생태계”� 조성을�위한�연구를�추진함

‘지역안전� 거버넌스‘란� 지역의� 안전개선사업을�공무원� 중심의� 관료적ㆍ하향식� 통제로� 추진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 거주� 주민들을� 주축으로� 공무원,� 관련� 전문가들이� 사업을� 추진하도록�

지원하고�참여를�독려하는�모델임

국민안전처의� “안전혁신�마스터플랜‘� 역시�이와�같은�주민주도�지역안전�거버넌스를�강조함

5대� 전략� 100대� 과제

5Cs� :� Command,� Capability,� Culture,� Continuity,� Creativity

전략� 1� Command� &� Coordination

재난�안전�컨트롤타워�기능�강화

1.� 재난현장�통합� 지원�컨트롤�타워�기능�강화

2.� 모든� 재난에�적용� 가능한�재난대응표준체계�확립

3.� 분야별�안전정책�총괄�관리ㆍ개선체계�구축

4.� 국가재난안전�정책방향�및�표준�설정

전략� 2� Capability

현장의�재난� 대응�역량�강화

1.� 지자체�재난대응�역량�및�책임성�강화

2.� 빈틈없는�대응을�위한�재난대비�교육ㆍ훈련�강화

3.� 육상(소방)� 구조구급�등� 현장대응�역량�강화

4.� 해상(해경)� 구조구급�및� 오염방제�역량�강화

전략� 3� Culture

생활�속�안전문화�확산

1.� 생애주기별�맞춤형�국민안전교육�강화

2.� 범국민�안전문화�전방위�확산

3.� 주민참여형�민관협력�거버넌스�구축

4.� 안전복지�정책� 강화

전략� 4� Continuity

재난�안전�예방� 인프라�확충

1.� 재난� 조사�및�평가ㆍ환류�체계� 강화

2.� 예방을�통한�기능ㆍ업무�연속성�확보

3.� 과학기술을�활용한�실효적�재난예방�실현

4.� 신성장�동력으로서의�안전산업�육성

전략� 5� Creativity

분야별�창조적�안전관리

학교,� 에너지,� 산업단지,� 감염병,� 의료서비스,� 유해화학물질,� 산업현장,�

시설물,�교통,� 해양,�원자력,� 가축질병,� 정보통신,� 기타(14개�분야)

[� 2016년�국민안전처�안전정책�변경�사항� ]

� � � � *� 출처� :� 국민안전처�안전개선사업�통합연계모델개발�및�지역안전�거버넌스�활성화�연구(국민안전처,� 2015)

▣�▣�전략분야�현황분석�▣�▣

16

◎�생활안전�및� 재난�안전�대책의�스마트�산업화

생활안전� 분야의� 트렌드가� 지능형� 카메라,� 스마트� 그리드� 보안� 등� 사회� 안전� 및� 시설�

보안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물리보안� 및� 기술보안� 기술과� 전통� 산업� 간의� 융합으로� 창출되는�

융합�산업�보안기술의�성격을�띄고�있음

진화하는�보안위협에�대응하여�지속적인� R&D가�필요한�분야이며,� 보안�위협의�대응과�우수한�

제품� 개발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정부는� 재난ㆍ안전� 분야� 정책� 및� 투자방향,� 재정상태� 등을�

고려하여�관련� R&D�투자규모를�단계적으로�확대할�예정임

빅데이터,� IoT� 기반� 산업의� 영향으로� ICT와� 타산업간� 융합이� 활발해� 짐에� 따라� 시설물� 관리,�

방범,� 방재,� 의료와� 관련하여� 사회� 전반적인� 분야가� IT와� 연결되고� 물리보안,� 정보보안,�

생활안전ㆍ보안�등�보안의�각� 분야도�융ㆍ복합화�되는�현상이�더욱�가속화됨

기존� 기업보안� 솔루션에� 에너지� 모니터링ㆍ제어� 기능을� 결합한� ‘통합보안솔루션’의� 등장과�

같이,� 정보유출ㆍ해킹�방지와�같은�기능�추가로�융합보안의�시장이�확대�중임

범죄�예방�활동을�수행하는�범죄예방단체의�육성�및� 활동을�지원하는�사회적�분위기�형성으로�

지역사회� 안전과� 시민의� 복리� 증진�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개인� 사생활에� 대한�

침해�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개인� 신변� 안전을� 위한� 영상감시� 통합� 솔루션의� 확대가�

필요하다는�인식이�높아지는�추세로�이어지고�있음

2014년� 세월호� 사고,� 2015년� 메르스� 발병은� 재난에� 대한� 범국민적� 의식� 재고와� 더불어�

통합적인� 재난대비� 시스템에� 대한� 필요성이� 확대되었으며,� 대규모� 개인정보유출,� 파밍,�

스미싱과�같은�정보통신�범죄�등은�생활안전의�새로운�위협으로�부상함

재난유형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산불 0 0 0 0 0 12.0 0 95.0 0 0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0 0 0 0 0 0 554.0 50.0 0 0

고속철도�대형사고 0 0 0 0 0 0 0 139.0 42.0 0

다중밀집시설�

대형화재12.0 2.0 801.0 22.0 7.1 0 0 989.7 162.1 365.1

다중밀집�건축물�

붕괴�대형사고0 0 0 0 0 0 0 0 4.8 0

가축질병 0 0 0 0 19,553.3 0 0 0 294.0 577.0

육상화물�운송 0 0 65,974.0 0 0 0 2,460.0 0 0 0

[� 10년� 간� 주요�사회재난�통계� ]

단위� :� 년,� 억� 원

� � � � *� 출처� :� 국민안전처�재난연감(국민안전처,� 2015)

� � � � *� 작성기준� :� 「재난�및�안전관리�기본법」 제3조제1호�나목에서�정한�피해�중�시군구재난안전대책본부�이상�운영된�재난

▣�▣�안전�▣�▣

17

◎�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의� 활용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란� 인간생활에� 필요한� 지리정보를� 컴퓨터� 데이터로�

변환하여�효율적으로�활용하기�위한�정보시스템을�의미함

▪ 정보시스템이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제반� 과정으로서� 정보를� 수집,� 관측,�측정하고� 컴퓨터에� 입력하여� 저장,� 관리하며� 저장된� 정보를� 분석하여� 의사결정에�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을�뜻함

▪ GIS는� 지리적� 위치를� 갖고� 있는� 대상에� 대한� 위치자료와(spatial� data)와� 속성자료(attribute�data)를� 통합ㆍ관리하여�지도,� 도표�및�그림들과�같은�여러� 형태의�정보를�제공함

▪ 모든� 지리정보가� 수치데이터의� 형태로� 저장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필요한� 형식에�맞추어� 출력할� 수� 있는� GIS는� 기존� 종이지도의� 한계를� 넘어� 삼차원� 이상의� 동적인� 지리정보의�

제공을�가능하게�해� 줌

GIS는� 또한� 인간의� 현실생활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모든� 자료를� 취급하므로,� 토지,� 자원,�

도시,� 환경,� 교통,� 농업,� 해양� 및� 국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산업� 전반에� 걸쳐� 빠르게�

발전하고�있는�추세임

GIS를� 활용하여� 다양한� 도형자료와� 속성자료를� 가지고� 있는� 수많은� 데이터� 파일에서� 필요한�

도형이나� 속성정보를� 추출하고� 결합하여� 종합적인� 정보를� 분석,�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수� 있음

분야 내용

토지정보�시스템

(Land� Information� System�

:� LIS)

•토지공간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위해� 각종� 토지자원�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저장,� 분석,�가공하여�토지정책에�대한�의사결정을�보조하는�정보시스템

•토지에� 대한� 실제� 이용� 현황,� 소유자,� 거래,� 지가,� 개발,� 이용제한� 등에� 관한�

정보를�통합하여�토지정책과�효율적인�행정업무를�지원

도시정보�시스템

(Urban� Information�

System� :� UIS)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시지역의�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통합� 및� 관리함으로써� 도시의� 계획과� 관리,� 운영� 등의� 업무를� 지원하는� 종합�

시스템

•도시안전체계� 및� 각종� 재난에� 대한� 효율적� 대응방안� 수립과� 행정업무의� 전산화를�

통하여�행정업무�향상,�대민�서비스�개선과�신뢰성�확보

•인구,� 자원,� 교통,� 건물,� 지명,� 환경,� 도시계획� 등의� 도시� 운영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체계화한�전산�시스템

•도시� 현황을� 파악하거나� 도시계획,� 도시� 정비,� 도시� 기반� 시설� 관리� 등을� 목적으로�

GIS� 기능을�활용하여�구축

[� GIS� 활용� 분야� ]

▣�▣�전략분야�현황분석�▣�▣

18

� *� 출처� :� 국토교통부�국가공간정보포털

◎�내진�설계�및� 자연�재해�예방�활동의�확대

최근� 경주�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우리나라가�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위기의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지진감지기술� 및� 내진설계가� 적용된� 건축물에� 대한�

수요와�관심이�높아지고�있는�추세임

기존� 건축물의� 내진설계를� 의무화� 및� 확대하는� ‘건축법� 시행령� 개정안’이� 9월� 22일�

입법예고를�거쳐� 2017년� 1월� 시행�예정임

분야 내용

도면�자동화�및� 시설물�

관리시스템

(Automated� Mapping�

and� Facility� Management

•도형� 해석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지형정보를� 생성,� 수정� 및� 합성하여�

시설물을�효과적으로�관리하기�위한�시스템

•건축,� 전기,� 설비,� 통신� 등� 도면� 자동화를� 통해� 구축된�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각종�

시설물을�시스템�상에�구축하여�시설물을�지도상의�위치정보를�연관시켜�관리

교통정보�시스템

(Transportation�

Information� System� :� TIS)

•교통개선계획,� 도로� 유지보수,� 교통시설물관리� 등� 종합적인� 도로관리� 및� 운영�

시스템

•지능형교통시스템�등의�교통정보�제공분야에�활용

환경정보�시스템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 EIS)

•동식물정보,� 수질정보,� 지질정보,� 대기정보,� 폐기물정보� 등의� 정보를� 구축하여� 각종�

환경영향평가와�혐오시설�입지선정�및�대형건설�사업에�따른�환경변화�예측에�활용

•하천� 수계별� 수질오염� 분석,� 오염물� 확산� 평가,� 매립장� 입지� 선정� 및� 영향� 평가,�

유해� 폐기물� 위치� 평가,� 생활� 환경,� 생태계,� 경관의� 변화� 예측� 등의� 체계적인�

환경정보�관리에�사용

국방정보�시스템

(National� Defence�

Information� System� :�

NDIS)

•적과� 아군에� 대한� 지형� 정보� 및� 전술,� 전략� 등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효과적인�

군사계획�수립�및�군사�활동을�지원하기�위한�시스템

재해정보�시스템

(Disaster� Information�

System� :� DIS)

•재해� 및� 재난,� 긴급구조� 등� 위험요소에� 대한� 사전� 예방,� 대비와� 상황� 발생� 시�

신속한�대응과�복구체계를�확립을�위한�정보화�지원�시스템

•재난감지� 시스템,� 일제지령� 시스템,� 차량동태� 관리시스템-종합상황실-신고자� 위치�

정보시스템,�현장지원�정보시스템,� 소방행정�전산화

지하정보�시스템

(Under� Ground�

Information� System� :�

UGIS)

•지하시설에� 대한� 관리를� 목적으로� 도시� 건축물,� 교통시설,� 도시� 공급처리시설� 등과�

같은� 기본도를� 가지고� 보이지� 않는� 공간을� 가시화하여� 시설물의� 3차원� 위치정보와�

속성정보를�분석하는�시스템

측량정보�시스템

(Surveying� Information�

System� :� SIS)

•측량기에� 의한� 수치지형도� 작성� 및� 수치표고모형� 데이터� 기반을� 구축하는� 측량� 및�

조사� 정보시스템과� GPS� 위성측량에� 의한� 3차원� 위치를� 결정하는� 측지정보� 시스템�

및�항공사진을�이용한�지형도를�생성하는�포괄적인�시스템

•위성� 영상의� 분석처리에� 의한� 자원탐사,� 환경� 변화를� 검출하는� 원격탐사� 정보�

시스템을�지원

자원정보�시스템

(Resources� Information�

System� :� RIS)

•농사자원,� 산림자원,� 수자원� 정보� 등과� 관련된� 시스템으로� 위성� 영상과� 지리정보�

시스템을� 활용하여� 농작물� 작황� 조사,� 병충� 피해� 조사� 및� 수확량� 예측,� 토질과�

지표�특성을�고려한�산림자원�경영�및�관리�대책의�수립을�수행하는�시스템

해양정보�시스템

(Marine� Information�

System� :� MIS)

•해저�영상,�해저�지질,�수심,�해상�정보�등을�포함한�시스템

•해류� 흐름의� 변동,� 수온� 분포� 변화� 조사,� 어로� 자원� 이동� 상황� 및� 어장� 현황�

예측을�다루는�시스템

▣�▣�안전�▣�▣

19

▪ 내진설계�기존� 3층�이상� 건축물에서� 2층� 이상� 건축물로�확대▪ 연면적� 500m²(약� 151명)� 이상,� 높이� 13m�이상,� 처마높이� 9m� 이상인�건축물�내진설계�의무화▪ 현재� 의무대상이� 아닌� 건축물에� 대해서는� 대수선� 및� 개ㆍ증축� 시� 건폐율� 용적률� 등� 건축규정을�완화해서�적용할�예정

2017년� 1월부터� 건축법상� ‘16층� 또는� 연면적� 5,000m²� 이상’인� 건축물의� 내진능력을� 공개할�

예정이며,� 향후� 도시� 관련� 지반이� 취약하거나� 보강이� 필요한� 지역의� 도시재생관련�

정비산업(재개발/재건축)� 및� 리모델링�사업이�확대될�전망임

또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태풍,� 폭염,� 폭설,� 국지성� 호우� 등의� 갑작스러운� 기후�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최근�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른� 정부ㆍ지자체의� 평상시� 조기� 탐지� 및�

재난�발생�시� 대응�능력의�필요성이�요구됨

[� 경주� 지진�및�지구온난화� ]

전� 지구적� 기후변화로� 인하여� 급증하고� 있는� 각종� 자연� 재해에� 신속히� 대응하고� 지속적인�

재난발생�지역�관측과�분석을�위한�관련기술의�개발이�요구되는�실정임

▪ 광범위하거나�접근이�어려운� 미계측�지역에�대한� 광역적�재난� 모니터링의�필요성이�대두되는�가운데�전방위� 감시� 기능의� 첨병으로� 인식되는� 인공위성� 자료의� 활용기술� 및� 활용기반의� 확대가� 요구되고�

있음

국내에서는� 광역적� 지역에� 대한� 재난� 관측� 및� 모니터링� 등에�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을� 위하려�

위성자료의�활용이�점차�증대되고�있음

▪ 국외의� 경우� 방재선진국인� 미국,� 유럽,� 일본은� 기후변화로� 인한� 경제ㆍ사회적�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다양한� 센서가� 탑재된� 인공위성을� 활용한� 재해ㆍ재난� 대응� 모니터링� 및� 정보체계� 구축에� 많은�

연구를�진행하고�있음

실시간� 센싱� 및� 상황분석을� 위해� 센서� 네트워크,� RFID,� LBS9),� CCTV� 등� IT� 기술을� 접목하여�

현장의� 정보를� 디지털화하고,� 결과를� 연결하여� 분석ㆍ예측함.� 환경� 감시,� 재난ㆍ재해� 예방�

방지,� 건강,� 국방�모니터링�시스템�등의�사회�안전�분야에�활용이�증가되고�있음

9)LBS(location� based� service)� :� 이동통신망이나� 위성항법장치(GPS)� 등을� 통해� 얻은�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이용자에게�

여러가지�서비스를�제공하는�서비스�시스템.

▣�▣�전략분야�현황분석�▣�▣

20

나.� 핵심플레이어�동향

◎� GIS,� 통신망,� 센서,� 영상감시�등과�관련된�해외�업체�동향

미국의� ESRI사는�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소프트웨어� 컨설팅� 회사로� ArcGIS� Desktop을� 비롯하여� 다양한� 제품을� 전세계� 시장에�

공급하고� 있으며� 전세계� 점유율� 1위로� GIS� 소프트웨어� 사용자� 80%의�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음

▪ ArcGIS,� ArcView,� ArcEditor,� ArcInfo,� ArcGIS� Server,� ArcIMS,� ArcSDE� 등의� 제품군을� 보유하고�있으며� 우리나라에는� 1998년� ㈜한국에스리(ESRI� Korea)라는� 기업명으로� 진출하여� 국내� 스마트�

커뮤니티�구축을�위한� ArcGIS� for� Korean� Local� Government(AKLG)� 솔루션을�제공하고�있음

▪ 또한� 매년� 국제� 사용자�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 7월� 이� 컨퍼런스에� 참여했던�인천시의� ‘플랫폼�기반� 스마트�도시관리�시스템’은�그�우수성을�인정받아�특별공로상을�수여받기도�함

IBM의�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솔루션� ‘IVA(Intelligence� Video� Analytics)’는� 범죄� 징후를�

파악하여� 치안� 감시용,� 범죄� 등� 관제� 서비스용으로�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경찰청�

업무와� 연계하여� 확장되고� 있으며,� 향후� 치안� 및� 방범영상� 정보,� 교통,� 기상정보� 등을�

활용하여�사회�안전�분야�전반에�대한�보안�서비스로써의�활용성이�기대됨

모토로라는� 재난안전무선통신망으로� 사용되는� 기술인� 공중� 무선망용� iDEN-TRS를� 자체�

개발하여�사업자망� TRS가� 활성화된�국가들을�중심으로�재난안전�무선통신망�서비스를�제공함

하니웰(Honeywell)은� 영상� 감시,� 출입� 통제,� 침입� 감지� 등의� 보안� 솔루션인� 디지털� 비디오�

매니저(Digital� Video� Manager,� DVM)를� 출시하여� 하니웰� 통합빌딩자동제어시스템(Enterprise�

Buildings� Integrator,� EBI)과�통합된�방범�시스템으로�운영하고�있음

생활안전�관련� 제품의� 부품소재에� 해당하는� 센서� 장치들은� Bartec,� Betzler� 등� 외국� 업체들이�

선점하고� 있으며,� 모니터링ㆍ알람장치� 등은� AIT� system,� Alarmforum,� Protection� One�

등이�강세를�보이고�있음

모니터링�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의� 대표� 해외� 기업인� Northrop� Grumman은� 자동식별� 기술�

활용(AIT)� 전문�기술�센터�운영�중이며,� 미국�국방�보안�위주�산업을�진행

▪ Northrop� Grumman사는� 무선� 주파수� 데이터� 수집(RFDC),� 바코드,� 능동� 및� 수동� 무선� 주파수�식별(RFID)� 스마트� 카드,� 생체� 인식,� 연락� 메모리� 버튼� 기술� 등의� 주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표적� 사업으로는� 미� 육군� 생체� 인식� 시스템� 엑세스� 시스템(BISA),� 전투� 탄약� 자동� 식별�

기술(CAS-AIT),� 남부국경�보안� 솔루션�등이� 있음

▣�▣�안전�▣�▣

21

◎�국내�생활안전�관련�기업들도�약진

국내에는� 약� 400만대의� 영상감시시스템(공공� 36만대,� 민간� 350만대)이� 설치되어� 있으며�

국내에서�활동하는� CCTV� 관련업체는� 200여개에�이름

▪ 그� 중� 대다수가� CCTV� DVR장비를� 제조하는� 중소업체들이며� 주요DVR� 업체들은� 네트워크� 기능을�보강한� DVR� 제품과� IP전용�단말기를�출시하고�있음

영상보안시스템� 분야의� 국내� 기술은� DVR� 제품에� 있어서는� 외국�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나� 그�

외의�기술에�대해서는�외국�기술과의�격차가�심화되고�있음

영상보안시스템� 분야의� 국내� 대부분� 업체가� OEM� 생산� 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기술적인�

측면에서� 보면� 각각의� 기술에� 대해서� 외국의� 기술을� 수입하여� 새로운� 기술로� 재가공하는�

형태를�주로�보이고�있음

▪ 삼성테크윈이� AT&T와� 시큐리타스에� 공급하는� 홈� 시큐리티� 카메라는� 최신� 기술인� 지능형�정보통신(IT)� 기술이� 적용된� 제품으로써�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연계한� 다양한� 스마트홈� 모니터링이�

가능하며�향후�스마트홈�제품�라인업을�확대해�영상� 감시�통합� 솔루션의�개발에�힘쓸� 예정임

국내� 주요� 생활안전� 관련� 서비스� 업체들은� 스마트폰� 위치정보,� GPS� 등� LBS� 기술을� 활용한�

이동체� 보안� 서비스� 사업을� 추진� 중이며,� 국내� 이동통신사의� 물리안전ㆍ보안� 시장� 진출로�

인해�시너지�효과가�클� 것으로�예상됨

▪ 와이즈맥스는� 2014년� 4-20mA� 신호� 원격� 모니터링과� 원격데이터� 수집기능,� 온도,� 습도,� 압력,�CO2� 등� 계측장비� 연동� 및� 별도의� PC� 설치가� 필요� 없이� 제품� 설치만으로� 사용가능한� 문자� 알람�

전송용�모니터링�시스템을�개발해�무선� 온ㆍ습도�모니터링�시스템을�구축함

▣�▣�전략분야�현황분석�▣�▣

22

4.� 시장동향�및�전망

가.� 세계시장

◎�세계�안전산업�시장은�지속적인�성장�전망

전체� 안전산업의� 규모는� 안전� 장비와� 안전� 서비스의� 규모를� 합한� 총액으로� 세계시장은�

2016년� 3,598억� 달러였던� 시장� 규모는� 2021년� 4,499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꾸준한�성장세를�보이고�있음

(단위� :� 백만�달러,�%)

*�출처� :� 안전산업의�주요국�육성사례와�우리의�발전방안(산업연구원,� 2014년)의�안전�장비/서비스�규모로�추정함

분� � 류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359,800� 384,300� 410,400� 438,300� 468,100� 499,931� 6.8

[� 세계� 안전산업�시장�규모�및�전망� ]

[� 세계� 안전산업�시장규모�추이� ]

▣�▣�안전�▣�▣

23

구분

안전�장비 안전�서비스

2011년 2016년 2021년연평균증감률

(2011~2021)2011년 2016년 2021년

연평균증감률

(2011~2021)

세계 829 1,163 1,570 6.6 1,708 2,435 3,370 7.0

미국 132 181 237 6.0 497 645 810 5.0

서유럽 274 418 607 8.3 393 473 563 3.7

중국 139 228 351 9.7 49 99 180 13.9

일본 54 68 83 4.4 97 123 148 4.3

한국 15 21 27 6.1 35 54 79 8.5

[� 세계� 안전산업�시장규모�추이� ]

(단위� :� 억� 달러,�%)

� � � � � � *�출처� :� 안전산업의�주요국�육성사례와�우리의�발전방안(산업연구원,� 2014년)�

2011년� 829억� 달러� 수준이었던� 안전� 장비� 시장은� 2021년까지� 연평균� 6.6%씩� 성장하여�

1,570억�달러�수준에�이를�것으로�예상됨

안전장비의� 원천기술� 보유량은� 선진국이� 압도적으로� 높으나,� 현� 상태를� 개선할� 수� 있을�

정도의� 저가� 제품이� 개발도상국에� 공급되면서� 시장의� 성장속도가� 선진국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남

안전서비스� 시장은� 안전� 장비� 시장의� 2배� 규모로써� 2011년� 1,708억� 달러� 수준이던� 규모가�

2021년까지� 3,370억� 달러�수준에�이를�것으로�예상되며�연평균�성장률은� 7.0%로�추정됨

우리나라� 안전산업� 시장이� 2013년� GDP의� 0.4%(6조� 7,000억� 원)� 수준에서� 2017년�

1%(17조� 4,000억� 원)� 수준으로� 성장할� 경우,� 생산은� 대략� 30조� 가량,� 일자리는� 13만�

5,000개�정도�창출될�것으로�추정됨

세계� 재난안전시장은� ’11년� 현재� 333조원(US� 3,327억$)이며,� ’22년� 547조원� (US�

5,465억$)� 규모로� 성장을� 전망� (연평균� 5.4%� 성장)� 사회재난시장은� 5.7%,� 자연재난시장은�

7.6%의�성장률로�성장을�전망

재난관리� 영역별� 시장� 규모인� 경우� 위험감시와� 예방진단평가� 시장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재난예방진단평가� 시장은� 연평균� 10%의� 고성장� 전망,� 주요� 제품군별로�

시장을� 분석한� 결과� 성장률이� 10%이상인� 제품기술군은� 빅데이터,� 클라우드기반� 보안,�

비군사무기,� 영상분석�순으로�높은�성장이�예상

� �▪ 전체� 세부기술별� 시장점유율� 및� 성장률을� 고려할� 때� 예방진단평가분야의� 사이버보안,�위험감시분야의�생체감지,� 영상분석기술이�현재�높은�시장점유율과�미래�고성장이�예상

▣�▣�전략분야�현황분석�▣�▣

24

▪ 현재�높은�시장점유�및� 미래�고성장�기술분야:� 사이버보안,� 생체감지,� 영상분석▪ 침입감지시스템,� 영상감시,� 재난� 조기경보� 및� 구조장비,� 통신� 시스템� 및� 장비� 등은� 현재� 시장의�규모는�크나�성숙단계인�기술분야

▪ 클라우드�기반�보안,� 폭발물�및� 무기감지,� 빅데이터,� RFID,� 비군사무기�등은�현재� 시장규모는�작으나�미래� 높은� 성장률로�시장�확대가�예상

세계� 주요국의� 재난안전시장� 규모는� 미국과� 중국이� 전체� 시장의� 31.4%를� 차지하여�

재난안전시장을�주도�

▪ (중국)� 홍수,� 지진�등�자연재난이�가장�심각하여�재난극복�국가계획�수립▪ (미국)� 9.11테러� 이후�테러·전쟁� 등� 국가적�위험과�불안감이�가장�큰�국가▪ 중동지역은�현재�시장규모는�적은�편이나,� 10%이상의�고성장�예상

빅데이터�시장�동향�

▪ IDC에서는� 차세대� IT환경인� 3세대� 플랫폼(모바일,� 소셜,� 클라우드,� 빅데이터� 주축)이� 전� 세계� ICT�투자의� 1/3을� 차지(증가율� 100%)� 할� 것으로�전망

▪ 2015년� 전세계� ICT� 투자는�올해� 대비� 3.8%� 늘어나,� 3조� 8,000억�달러에�이를�전망▪ 전�세계의�빅데이터�관련�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서비스�지출액이� 1,250억� 달러로�증가할�전망▪ 2015년� 세계�빅데이터�시장�규모� 전망� :� 약� 169억�달러(IDC)▪ 빅데이터에�대한�투자는� 30%� 증가한� 140억�달러로�클라우드�플랫폼�경쟁이�본격화될�전망

◎�세계�영상보안장비�시장�역시�꾸준한�성장�기조

한편,� 세계� 영상보안장비� 시장은� 시장조사전문기관의� 분석� 자료를� 기반으로� 2015년� 340억�

달러에서� 2021년에� 630억� 달러로�연평균� 10.8%�성장할�것으로�추정됨

지역별로� 보면� 2021년에� 아시아태평양� 지역(중국포함)이� 57.3%,� 북미� 20.4%,� 남미�

13.3%,� 유럽,� 중동�및�아프리카�지역이� 6.1%를�차지할�것으로�전망됨

▣�▣�안전�▣�▣

25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CAGR(%)

� 유럽,� 중동�및� � � �

� � � 아프리카37 39 42 45 53 57 61

10.8� 아시아�태평양 156 183 214 248 285 322 363

� 남미 40 46 53 60 68 76 84

� 북미 109 113 117 120 123 126 129

합계 342 381 426 473 529 581 637

[� 세계� 영상보안장비�지역별�시장규모�추이� ]

(단위� :� 억� 달러,�%)

� � *� 출처� :�지능형�영상보안장비(KISTI�Market� Report,� 2016년)�

[� 세계� 영상보안장비�지역별�시장규모�추이� ]

세계� 영상� 보안� 장비� 시장은� 매년� 11~13%� 정도로� 꾸준한� 성장� 추세에� 있으며,� 네트워크�

감시� 시장은� 연평균� 성장률� 27%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전체� 시장� 규모는� 2013년�

12,806백만�불에서� 2017년� 20,150백만�불� 규모로�성장할�것으로�예측됨

국내� 영상� 보안� 장비�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은� 13%임.� 2013년� 8,530억� 원,� 2015년�

10,700억� 원,� 2017년� 13,430억�원�규모로�성장할�것으로�예측됨

� � � � � � �

(단위:백만�불)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세계�시장� 규모 16,063 18,031 20,150

한국�시장� 규모 1,070 1,173 1,343

� *� 자료�근거� :� IMS� Research� 2010,� 시큐리티월드� 2010-12

� [국내외�영상�보안� 장비� 현황�및�전망� � ]

▣�▣�전략분야�현황분석�▣�▣

26

세계� Video� Management� SW� 시장은� 매년� 25%� 정도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전체�

시장� 규모는� 2015년� 900백만� 달러에서� 2017년� 1,495백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됨.� 국내�시장도�세계�흐름과�비슷하게�성장할�것으로�예측됨

� � � � � � �

(단위:� 백만�달러)

구분연도별�시장규모

2015년 2016년 2017년 2019년

세계 Video� Management� S/W 957 1,013 1,196 1,495

국내 Video� Management� S/W - - - -

� *�자료�근거� :� IMS� Research� 2010,�시큐리티월드� 2010-12

� � [VMS� 세계� 시장규모�현황�및�전망� ]

� � � � � � � �

수요처� 국명 수요량 관련제품

지방자치단체 대한민국운영중인�총� CCTV�

35만대�중� 40%지능형�영상감시

경찰청 대한민국 - 지능형�영상감시

하니웰 글로벌 334억달러�중� 60%� 스마트�시스템

타이코 글로벌 174억달러�중� 27% 지능형�영상감시

보쉬 글로벌 - 영상분석�서버

[� 국내․외�주요�수요처�현황� ]

◎�생활안전,� 산업안전�등을�위한�제품들의�지속적인�성장�및� 개발�기대

호주의� 경우� 작업복,� 작업신발� 및� 장갑,� 개인� 안전장비� 및� 병원이나� 공사현장,� 공장� 등에서�

사용되는� 표지판과� 같은� 각종� 안전장비� 유통시장은� 자원� 개발� 산업이� 붐을� 일으키던� 지난�

2014년까지�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 왔으나� 2015년� 대규모� 광산업의� 침체와� 함께� 큰� 폭으로�

하락한�모습을�보여줌

▪ 그럼에도� 불구하고� 2010~2015년� 기준,� 연평균� 성장률은� 약� 4.3%대,� 시장� 매출액은� 17억�호주달러의�규모를�보임

▪ 호주� 안전장비� 및� 소모품� 유통시장은� 2014~2015년� 기준� 17억� 호주달러의� 매출� 규모를� 가지고�있으며,� 품목은� 크게� 작업복,� 작업(보호)신발,� 개인� 안전장비,� 높이� 안전장비,� 창고� 안전장비,� 그리고�

안전� 표지판�등으로�구분할�수� 있음

▣�▣�안전�▣�▣

27

▪ 작업용� 안전� 장갑이� 포함된� 개인� 안전장비의� 경우,� 이� 시장� 매출� 규모의� 약� 18.8%를� 차지하며,�이는� 전체� 시장에서� 3번째로�높은� 매출� 규모를�가짐

중국은� 맞벌이� 부부� 비중이� 높으나�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 보육시설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며,�

연평균� 20만� 건의�영유아�실종�사건이�발생할�만큼�어린이�안전이�취약함

▪ 어린이� 안전을� 위한� 제품으로� 스마트� 워치� 이외에� 영유아용� 스마트� 침대,� 웨어러블� 디바이스,�스마트�젖병,� CCTV� 등�다양한�안전관련�제품이�출시되어�좋은�반응을�얻고� 있음

▪ 특히,� 올해� 5월� 출시한� 샤오미의� ‘미버니(Mi� Bunny)’는� 저렴한� 가격(299위안,� 약� 50달러)과�위치추적,� SOS,� 생활방수,� 위험지역� 알림� 등� 다양한� 기능으로� 소비자들의�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음

▪ 어린이� 스마트�워치� 외에도� 많은� 스마트� 안전� 상품들이� 개발� 중,� 스마트�침대,� CCTV,� 셔츠,� 우유병,�수영� 감시기� 등� 아이들의� 상태와� 움직임을� 스마트� 기기를� 통해� 간접� 파악함으로써� 어린이� 건강과�

안전을�수시로�파악할�수�있음

미국은� 2013년� 로봇로드맵에서� 국토의� 안전과� 보호를� 위한� 로봇기술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등� 재난대응�로봇과�관련된�기술개발에�국가적�지원�지속�추진�중에�있음

조기�예경보�시스템

▪ 쓰나미,� 토네이도,� 지진등� 재난� 예경보� 시스템은� 정부� 및� 지자체를� 중심으로� 구축하고� 있으며,� 경보�시스템�업체들은�공공�경보,� 개인�경보,� 엔터프라이즈�경보�등� 차별화된�솔루션�공급하고�있음

-� 미국� FEMA의� IPAWS-OPEN� 시스템과� 경보� 시스템� 업체의� 솔루션들은� OASIS의� CAP을� 준용하여�

개발하고�있음

-� 실내형인� In-door와� 실외형인� Out-door� 두� 가지� 형태의� 예경보� 시스템� 솔루션이� 있으며,� 인터넷�

및� 네트워크�기반의� SNS,� SMS,� e-mail,� PC� Alarm� 등의�서비스를�추가함

공급망 경보단말�장치�및� 시스템�서버

주요�내용 재난�재해�적용� 예경보�시스템

주요�제품/기술

민방위�경보시스템,� RDS� 경보� 시스템,재해문자전광판,�

자동우량경보시스템,자동음성통보시스템,� CBS� 재난문자,� DMB�경보시스템,� 산불�예경보�

시스템,� 지진�예경보�시스템,� 홍수�예경보�시스템,� 화재�경보�시스템,� ...

해외�기업 WSI,� Athoc,

국내�기업이통사,� 에이앤디엔지니어링,� 삼호테크놀,디아이디,� 한성전자산업개발,� 제아정보통신,�

이콤,� 한울옵틱스,� KT,� SK

[� 국내․외�주요�수요처�현황� ]

▣�▣�전략분야�현황분석�▣�▣

28

-� 재난� 예경보� 시스템� 및� 공공통합� 경보� 시스템� 산업은� 점차�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관련� 시장의�

규모� 확대에�따라� 예경보�시스템�시장도�더불어�성장할�것임

-� Markets� and� Markets의� “Wireless� Broadband� in� Public� Safety-Advanced� Technologies� and�

Global� Market(2010-2015)”� 레포트에� 의하면� 무선통신을� 사용한� 공공안전� 관련� 시장은� 2009년�

152억달러에서� 2015년� 223억달러� (2010-2015,� CAGR� 6.5%)에� 이를� 것으로� 예상됨.� 또한�

2015년에서� 2020년까지� CAGR� 9.3%로� 가정한다면� 2020년에는� 347억� 달러으로� 예상할� 수�

있음

-� 유럽의� ETSI에서도� 차세대� PPDR� (Public� Protection� and� Disaster� Relief)시스템� 표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3년후에� LTE� (Long� Term� Evolution)기반� PPDR� 표준이� 완료되면�

각국에서� 광대역� PPDR� 서비스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됨.� 향후� 3년후� LTE� 이동통신� 기반의� 광대역�

멀티미디어�서비스가�국제적으로�활성화되면�국내�시장규모가�상당히�커지리라�예상됨

-� USN/능동형� RFID� 기술이� 적용되는� IT� 기반� 소방용� 핵심기술의� 세계시장은� 2012년� 2억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23%씩� 성장을� 하여� 2018년에� 8억달러� 시장�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국내시장은� 2012년� 61억원에서� 연평균� 36%씩� 성장하여� 383억원� 시장�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전망함.� 이와� 관련하여�경보�시장도�함께� 성장할�것으로�전망됨

-� 지향성이라는� 방향성을� 가지는� 스피커는� 기술� 구현의� 쉽지� 않아� 시장의� 도입기라고� 할� 수� 있으며,�

기존의� 미국A사(국내� 수입� L사),� 국내� J사,� D사� 등의� 개발된� 제품은� 높은� 가격� 부담과� 대부분�

고출력� 제품으로� 조류� 퇴치나� 국방� 무기� 해적� 퇴치� 등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재난재해� 조기� 예경보�

시스템으로�사용된�실적이�미비함

▣�▣�안전�▣�▣

29

나.� 국내시장

◎�국내�안전산업�시장은�최근�급성장�추세

국내� 영상보안장비� 시장의� 경우에는� 2016년� 8,774억� 원� 규모에서� 연평균� 25.6%� 성장하여�

2021년에는� 2조� 7,460억�원에�이를�것으로�전망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8,774� 11,021� 13,803� 17,334� 21,828� 27,460� 25.6

[� 국내� 영상보안장비�시장규모�추이� ]

(단위� :� 억� 원)

� � � *�출처� :� 지능형�영상보안장비(KISTI� Market� Report,� 2016년)을�바탕으로�추정한�값임(환율� 1,070원�적용)

전�세계적으로�테러ㆍ사회�안전에�대한�위협이�확산되어�물리보안제품에�대한�수요가�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범죄와� 테러위협,� 산업기밀� 유출,� 자연ㆍ사회적� 재난ㆍ재해� 예방� 수요�

증가로� CCTV,� DVR,� 출입통제시스템�등�물리보안제품에�대한�관심과�수요가�급격히�증가

▪ 국내� 2015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 7,600달러로� 3만� 달러에� 다가서면서� 국민들의� 복지�욕구� 및� 안전욕구�충족에�대한� 수요가�증가

▪ 메르스�사건,� 세월호�사고�등�각종� 대형사건�및� 사고�증가에�따라�안전에�대한�경제적�인식의�강화

국내� 안전� 산업은� 정보보안을� 중심으로� 산업이� 성장해� 왔으나,� 최근� 물리안전ㆍ보안� 및�

융합ㆍ보안� 분야가� 새로운� 성장� 축으로� 부상하며� 지식정보보안� 산업�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됨

국내� 재난·안전관리� 산업� 분류� 및� 통계가� 미확립되어� 정확한� 산업통계� 파악이� 곤란한� 상황인�

가운데� 과제의� 재난유형에� 포함된� 소방� 및� 방재시장,� 사이버보안관련� 시장,� 감염병관련�

시장을�중심으로�파악한�결과�약� 10조원�규모로�추정

전통적인� 소방․방재산업은� 영세기업� 중심으로� 많은� 기업들이� 소방방재분야� 외에� 겸업을� 하고�있으며�기술혁신형�기업이�절대�부족

소방시설공사업체가�전체�재난안전산업의� 50%를�차지하고,� 기술력�있는�기업은�극소수

반면�정보보호산업와�전염병/감염병�산업은�대기업을�포함하여�기술력을�갖춘�기업들이�존재

국내� 방재산업은� 풍수해,� 지진,� 설해,� 가뭄,� 황사� 등의� 재해� 유형별로� 분류되며� 이� 중� 풍수해�

관련�산업체가� 222개로�가장�많은�비중을�차지

� �

▣�▣�전략분야�현황분석�▣�▣

30

IoT� 시장�동향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부�공동으로�내년부터� IoT� 유망� 핵심센서·디바이스�기술개발에� 370억� 원,�민간� 매칭� 123억� 원을�포함하여�총� 500억원�투자

▪ 자기,� 관성,� 압력,� 영상,� 광학,� 화학,� 레이더,� 적외선� 센서� 등� 8대� 핵심소자와� 자동차,� 로봇,� 모바일,�보안,� 바이오,� 환경,�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등� 7대� 주력� 첨단센서� 상용화� 기술이� 주요�

대상

▪ 센서분야의� 수입의존도가� 높아� IoT� 서비스� 확대가� 무역역조� 현상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있음�

▪ 2020년까지� MEMS� 센서� 국내생산액은� 2,300억원,� 광역� 센싱� 디바이스� 분야는� 5,200억원으로�확대할�방침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RFID� 등� 센서� 시범사업’� 공모를� 거쳐� 총� 11개� 신규과제를� 사물인터넷�시범사업으로�선정했다고�발표�

▪ IoT� 시범� 사업� 사례-� RFID를� 반도체� 기판� 등에� 부착해� 자동으로� 제조� 이력� 관리� 및� 제조� 정보� 공유하는� 과제� ▲온도�

감지� � RFID� 통해� 채혈된�혈액� 팩의� 안전한�유통과�적정품질을�보장하는�과제

-� 가스� 누출� 시� � 경보를� � 관리자에게� � 자동으로� � 통보하고� � 119� � 등� � 유관기관에� � 사고� � 정보� � 중계� �

-� 삽입� � 가능한� RFID를� 통해�물류센터와�매장�간에�반품처리�속도�및� 정확도�향상�

-� RFID를� � LPG용기에�부착해�충전·검사·판매�등�전�과정� 이력� 관리

-� 충격센서·블랙박스� 정보� 등을� 바탕으로� 교통사고� 발생� 시� 유관기관에� 사고� 정보를� 자동� 전송하는�

차량�긴급구난(e-Call)� 실증� 서비스

-� 심야� 전력을�축적해�뒀다가�피크시간대에�활용하는�가정용�에너지�저장장치(ESS)� 실증�서비스

-� 설비·자재·작업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한� 공정� 프로세스�

최적화� � 서비스� �

-� 물류� � 관리를� � 스마트� � 안경에� � 내장된� � 카메라를� � 이용하는(Hands-free)� � 서비스�

-� 신경통·근육환자� 등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무선� 근전도� � RFID� 등)를� 활용한� 재활� 지원�

서비스�

-� 운동감지센서�등을�통한� 한국형�축산농가�소득증대�지원�서비스

▣�▣�안전�▣�▣

31

5.� 기술동향�및�이슈

강원도�무선원격수위�계측�시스템

▪ 강원도는� 기상이변에�따른�가뭄과� 집중호우�등으로부터�도민의�소중한� 생명과�재산을�보호하기� 위해�2004년� 강원도� 수방� 5개년� 계획� 수립� 후� 최근� 발생한� 수해� 규모� 및� 향후� 인적ㆍ물적� 피해�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교량� 상부� 구조물� 연석부에� 다중초음파방식으로� 수위계측기를� 도내� 14개� 수계�

98개소에� 도비� 1,490백만원을� 투자하여� 실시간으로� 도내� 하천� 수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무선원격수위계측시스템을�아래�표와� 같이� 구축하였으며�기능은�그림과�같음

구축년도 수계 수량 투자예산 설� � 치� � 수� � 계� � 명

계 15 98 1,490 -

2004 3 30 � � 300 한탄강,� 동강,� 오십천

2005 2 14 � � 200 강릉,� 양양�남대천

2006 4 27 � � 400 강릉,� 양양,� 북한강,� 소양강

2006 2 8 � � 200 한탄강,� 한강(수해복구�사업)

2007 4 19 � � 300 평창강,� 홍천강,� 주천강,� 한강

2008 3 12 � � � 90 한탄강,� 동강,� 오십천(측정방식�변경)

[� 강원도�무선원격수위계측시스템�구축�현황� ]

(단위� :� 개,� 개소,� 백만�원)

[강원도�무선원격수위계측기�기능�

▪ 이� 시스템은� 초음파� 수위계측시스템(WLMS)을� 기반으로� GIS와� 결합된� 하천정보를� 국내의�특허기술인� 데이터� 수집� 및� 무선통신� 장치(Warp-2000)를� 이용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하천의� 수위를� 비접촉으로� 측정하는� 초음파� 수위계측기를� 사용하여� 기존� 수위측정시스템의� 단점인�

직접� 측정시의� 장비� 손상,� 오차,� 과도한� 설치비� 등의� 문제를� 해결하였으며� 수위,� 유속,� 수질,�

▣�▣�전략분야�현황분석�▣�▣

32

우량관측기기를� 통해� 실시간� 감시� 및� 공간정보의� 분석과� 예측� 등을� 통하여� 의사결정� 지원을� 하여�

홍수에�대한�예·경보를�하고� 있음

▪ 강원도� 수위� 모니터링� 시스템� :� 강원도는� 2002,� 2003,� 2004년의� 태풍� 및� 폭우의� 영향으로�영동지역에� 대규모� 홍수가� 발생하여� 수백� 명의� 사상자� 및� 수조원읜� 재산피해를� 경험함.� 피해규모�

또한� 매년� 증가� 추세임에� 따라� 강원도는� 원격� 수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홍수로부터의�

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함.� 따라서� 강원도는� 도내� 주요하천� 98곳에� 수위계측센서를� 설치하였으며�

도청�상황실에�예·경보� 시스템을�구축하고� 18개� 지자체와�연계되는�통합�시스템을�운영하고�있음

[� 강원도�수위모니터링�시스템� ]

▪ 연천군� 홍수� 모니터링� 시스템� :� 연천군은� 재난예방� 및� 각종의� 사건․사고� 발생� 시� 신속한� 상황전파와�효율적인� 대응체제로� 군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피해복구� 및� 사후분석․평가업무를� 지원하는�첨단� 종합관제시스템� 구축으로� 완벽한� 재난대비� 만전을� 기하고자� 2007년� 재난� 상황실을� 구축하고�

현장실시간�모니터링�시스템을�구축

▪ 국가재난관리시스템(NDMS)-� 국가재난관리�전담기관인�소방방재청에서�구축,� 활용중인�범국가적�재난통신시스템

-� 재난에� 체계적인�예방,� 대비,� 신속한� 대응,� 복구� 업무지원�및� 화재,� 구조,� 구급� 등� 119� 서비스�업무�

전과정을� 정보화하여� 대국민� 재난안전� 서비스를� 제공.� 자동우량� 경보� 시설� 산불감지� 시설�

통합경보망� 시설,� 재난� 안전무선망,� 소방� 영상위성� 통신망� 등을� 하위� 시스템으로� 두고� 있으며,�

ku대역� 위성인� 무궁화� 위성� 5호를� 이용하여� 국가� 전역의� 재난,� 재해� 지역� 현장을� � 실시간으로�

감시하는�목적으로�위성�전용망도�구축�운영하고�있음

▣�▣�안전�▣�▣

33

IoT� 일반�동향�및� 재난�대응�동향

▪ 해당� 기술의� 경우는� IOT를� 통해서� 자연재해� 관련� 부분에서� 많은� 적용이� 이루어져� 있으며� 해당�분야의� 연구도� 활발한� 편임.� 하지만� 사회재난에� 대한� 적용� 부분은� 그� 수준이� 미비하다고� 볼� 수�

있음.� 사회� 재난의� 경우는� IT기술과� 접목하여� 좀� 더� 폭넓은� 의미의� 재난에� 대처하는� 형태로� 연구�

개발� 되어� 지고�있음

▪ IoT� 기술을�통한�재난� 예측� 및� 예방-� 2014년� 말에는� ‘재난�대응� 과학기술�역할�강화� 3개년�실천� 전략’을� 각� 관계부처가�합동으로�발표

-� 재난� 감시를� 위한� 이상� 징후� 실시간� 감지� IoT� 센서를� 개발하고� 융복합� 재난안전� 통합관리� IoT�

플랫폼�기술을�개발한다는�방침

-� 지능형� CCTV� 기반의�재난� 감시� 기술도�개발� 예정

-� 이를� 위해� 과기정통부와� 산업부는� 함께� 오는� 2017년까지� 재난� 감시용� 센서를� 연구개발하고�

실증하는�한편�센서계측�데이터�표준을�올해� 안으로�정립할�계획임.

-� 안전처와� 과기정통부,� 국토부는� IoT� 센서� 기반� 모니터링� 시스템을� 적용해� 노후교량� 및� 급경사지를�

대상으로�한� IoT� 모니터링�시스템을�개발해�올해안으로�실제�적용할�계획

-� 과기정통부는�융복합�재난안전� � IoT� 플랫폼�기술을�개발해�실제� 적용할�수�있도록�한다는�방침

-� 소방방재청� 역시� 가상,� 증강현실과� IoT융합� 기반의� 미래형� 소방방재� 기술개발(5년간� 180억원),�

IoT와� BIM� 융합� 기반의� 미래형� 소방시설� 정보� 관리� 기술� 개발(3년간� 90억원),� 다목적� IoT� 패턴을�

활용한�실시간�안전관리�서비스�모델� 개발(3년간� 100억원)� 등의� 중장기�계획을�발표함.

영상분석�일반�동향�및� 재난�대응�동향�

▪ CCTV� 기반�재난관리현황�-� 최근� 각� 지역의� CCTV는� 해당� 시군구� 소관� 업무� 부서별로� 운영하고� 있어� 통합� 관제센터와� 같은�

총괄적인� 상황� 관리를� 위한� 통합� 연계체계� 구축이� 필요할뿐만� 아니라� 최근�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CCTV를� 공동� 활용하기� 위한� 설치� 및� 운영,� 연계� 표준방안� 등의� 정립이� 필요하며� 실시간�

관측정보와� CCTV� 영상� 정보의� 연계를� 통해� 재난에� 대한� 감시� 기능을� 강화하고� 기존� 재난� 관리�

시스템을�보다�효율적으로�운영하기�위한�통합� 시스템�구축이�요구되고�있음

▣�▣�전략분야�현황분석�▣�▣

34

� [� CCTV� 재난관리�및� 운영현황� ]

� � � �

구�분 현�행 비�고

시,� 군,� 구

•재난�상황실에서만�모니터링•업무� 담당자� PC� 에서도� 모니터링� 할�

수�있는�기능�개발

•CCTV� 도입� 시점별로� 장비� 종류가�

달라�호환이�어려움

•CCTV� 종류에� 무관하게� 통합� 관리� 할�

수�있는�기반�구축

소방서

(119� 안전센터)

•CCTV� 모니터링�체계�없음

•일부는� 해당� 시,� 군,� 구� 홈페이지에서�

직접�모니터링�

•� 관할� 지역� 내� CCTV를� 통합� 모니터링�

할�수�있는�조회�프로그램�개발

시,� 도

(소방� 본부)

•대부분� 통합� 모니터링� 체계가� 부족한�

실정

•서울,� 경기,� 제주� 등은� 초보적인� 통합�

관리�수행

•인천� 소방� 본부의� 경우� 화재발생� 신고�

접수� 시� 자동으로� 해당� 지점� CCTV�

표출

•� 관할� 시군구에� 설치된� CCTV� 영상�

정보를� 통합� 모니터링하고� 타� 시도와�

공동�이용할�수�있는�체계�구축

소방방재청

(재난�상황실)

•행안부에서� 연계한� 철도,� 공항� 등�

26개�영상을�단순�모니터링

•국토부� 교통정보� 센터와� 전용선으로�

연계하여� 고속도로� 및� 국도상황을�

모니터링

•지자체� 및� 유관� 기관으로부터� 수집한�

영상� 정보를� 통합� 모니터링하고� 상호�

공동�이용할�수�있는�체계�구축

유관�기관

•산림� 및� 문화재� 관련� CCTV는�

지자체에서� 운영하며� 통합관리� 하지�

않음

•소관� 업무� 별� CCTV를� 통합� 관리� 할�

수�있는�체계�마련�및�지원

•대체로� 자가망으로� 설치하여� 타�

기관과의�연계가�어려움

•보안성� 검토를� 고려하여� 회선� 망� 연동�

방안�검토

[� 지방자치단체�재난영상정보�통합연계시스템�대상� CCTV� ]

449 107 0 23 25 39 54 277 590 153 206 59 153 104 124 56 2,419

▪ 특히� 자치단체� 및� 유관기관� 간에� CCTV� 정보를� 공동�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 개별� 구축에� 따른�중복투자� 방지로� 인한� 예산� 절감효과를� 기대하고� 관내� 설치된�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직관적� 상황�

판단� 및� 대응� 소요시간� 단축을� 통해� 단순� 영상� 모니터링의� 관제� 업무를� 벗어나� 과학적� 의사결정을�

수행할�수� 있는�수단이�점차�요구되고�있다(CCTV뉴스,� 2009)

▣�▣�안전�▣�▣

35

지향성�스피커�일반�동향�및�재난�대응�동향�

▪ 국내�조기�예,� 경보� 시스템�동향(방사형�스피커)-� 국민안전처� 및� 지자체를� 중심으로� 재난� 경보� 시스템이� 설치,� 운영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민방위�

경보시스템,� RDS� 경보시스템,� 재해문자전광판,� 자동우량경보시스템,� 자동음성통보시스템,� CBS�

재난문자,� DMB� 재난방송� 시스템,� 이� 있음.� 또한,� 국내� 센서� 노드� 및� 센서� 네트워크�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를� 중심으로� 방재� 센서� 및� 환경� 센서를� 활용하여� 모니터링� 및� 경보�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고�있으며,� KT,� SK� C&C등�대기업도�재난�경보� 시스템�사업에�진출하고�있음

-� 이기종� 예경보� 시스템,� 풍수해� 예경보� 시스템,� 산불� 예경보� 시스템,� 지진� 예경보� 시스템,� 홍수�

예경보�시스템,� 화재경보�시스템�등� 연구�및�구축사업이�활발하게�진행되고�있음

-� 자연재해,� 인적재난� 및� 사회적� 재난등� 다양한� 형태의� 재난이� 급증하고� 있어� 이와� 관련된� 시스템�

수요가� 늘어날� 것이며,� 다양한� 기술이� 접목된� 재난/재해� 조기� 예경보�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있음

재난재해�조기�예경보�시스템의�분류�관점의�범위

� � � � � �

중분야 세부제품

자연재난�조기�예�경보�시스템태풍�조기�예경보�시스템,� 지진�조기�예경보시스템,� 해일� 조기�예경보시스템,�

산불� 조기�예경보시스템,� 사면붕괴�조기�예경보시스템�

사회재난�조기�예�경보�시스템화재�조기�예경보�시스템,� 가스누출�예경보�시스템,� 교량/교각� 붕괴�예경보�

시스템

경보�장치

▪ 사이렌,� 문자� 안내방송,� SMS� 등� 재난재해�조기�예보� 방송� 및� 전파�장치

[� 정보� 장치� 예� ]

▣�▣�전략분야�현황분석�▣�▣

36

▪ 각�지자체�자동음성�통보시스템� (완도군� 16개소,� 울산시�남구� 49개소,� 연기군� 33개,� 세종시� 76개소�등등� 최근� 노후화�된� 음성통보�설비를�유지� 보수,� 구축� 사업이�진행� 중

▪ 강원도�산간계곡�자동우량�경보시설� 235개소▪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은� 산간계곡에� 갑작스런� 집중호우가� 내릴� 경우� 중․상류� 지역의� 강우상황을�실시간� 관측하여� 일정량� 이상의� 비가� 내리면� 자동으로� 하류지역의� 야영․행락객에게� 경보를�발령하거나� 대피안내방송을� 실시하는� 시스템.� 전국의� 산간계곡� 및� 하천변� 유원지� 등� 148개� 지구에�

설치

▪ 민방위�경보�사이렌�음성통보

피난유도�일반�동향�및� 재난�대응�동향

▪ 인천대학교�소방방재연구센터-�Multi� agent� system,� artisoc시뮬레이션을�활용해�자율적�판단� 및� 의사결정�시스템연구

-� 상용화�프로그램보다�앞선�대피�결과� 도출

▪ 영남대학교-� 교차로의�통행패턴�이용�대피모형개발,� Dijkstra� algorithm과� Genetic� algorithm을�사용

-� 최적의�대피경로를�찾는�대피모형을�개발,� 실제지역에서�검증

▪ 서울시립대학교-� 최적� 대피로를�산출하기�위해�유전자�알고리즘(GA)을� 이용,� 모형은� grid� cell을� 이용

-� 병목이�발생한�경우,� 우회하여�총�대피시간을�최소화하는�산출하는�기법을�제시

빅데이터�분석�관련�기술�동향

▪ 빅데이터는� 데이터� 수집� 기술,� 데이터� 저장� 및� 프로세싱� 기술,� 데이터� 쿼리기술,� 데이터� 분석� 기술,�및� 데이터�시각화�영역으로�구성됨

▪ 빅데이터� 분석은� 데이터� 저장� 방식,� 즉� 관계형� 또는� 비관계형� 방식에� 따라� 상이한� 기술이�발전했지만,� 최근에� 기존� 대형� IT� 밴더들이� Hadoop� on� SQL� 기술� 등의� 도입으로� 인해� 아키텍처�

관점에서�병행이�가능해�짐

▪ 대용량� 분산시스템� 도입으로� 인해,� 분산� 상황에서� 신속한� 분석을� 지원하는� 다양한� Open� source�프로젝트가� 발전하고� 있으며,� Facebook,� Twitter,� Amozon� 등의� IT� 기업에서� 자사의� 시스템을�

위해�개발한�도구를� Open� Source� 프로젝트로�전환하고�있음

▪ 데이터� 분석의� 핵심은� 기계� 학습� (Machine� Learning)방식이� 주도하고� 있으며,� 최근� Deep�Learning� 기법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최근� Amazon은� 클라우드� 기반의� 기계� 학습� API를� 서비스�

진행함

▪ 빅데이터� 실시간� 처리를� 위한� IT� 밴더� 중심의� 솔루션� 방식과� Open� source� 진영의� 기술이�활성화되고�있으며,� IoT� 플랫폼과�연계하여�구성하는�방식이�고려되고�있음

▣�▣�안전�▣�▣

37

[� 빅� 데이터�분석� 관련� 기술�연관도� ]

▪ 빅데이터의� 개념과� 재난관리의� 활용(국립재난안전연구원):� 분석을� 시작으로� 하는� 선순환� 재난관리�프로세스를�통한�재난관리�및� 전조감지,� 대응� 전파기술�개발�필요성�강조

▪ 빅데이터� 분석활용센터� 구축(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 및� 민간기관의� 빅데이터� 도입� 지원을� 위한�shared� service� 제공

▪ 안전한� 사회를� 위한� 빅데이터� 활용(행정자치부):� 도시내� 침수� 조기� 감지� 모델� 개발� 등� 빅데이터를�활용한�재난의�조기감지로�인명�및�재산피해�최소화

▪ 스마트빅보드� 시범사업(국민안전처)� 구축:� 부산,� 전북� 등�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재난대응시스템인�‘스마트빅보드’� 구축�

[� 국민안전처�스마트빅보드� UI� ]

▣�▣�전략분야�현황분석�▣�▣

38

◎�미래사회의�재난안전�변화�전망

비정형적�재난�및� 신종재난�발생�가능성�증가와�복합재난에�따른�피해가�확대되고�있음

▪ 폭염,� 폭설,� 화산� 등� 비정형적� 재난,�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 등� 신종재난� 발생에� 따른� 국민의� 불안감�확산� 및� 대처의�어려움�확대

▪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같이� 자연재해� 피해가� 사회재난으로� 확대되는� 복합재난� 발생� 가능성이�증가하고�있으며,� 이에� 따른� 대규모�인명ㆍ재산피해�발생

사회재난�발생원인의�복잡ㆍ다기화에�따른�기존�대처방안�활용의�한계성�발생�및� 일상생활�속�

위험성이�증대

▪ 도시화,� 글로벌화,� 기술화,� 다문화� 등� 사회재난� 발생� 원인이� 복잡하고� 다양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기존� 대처방안�활용의�한계� 봉착

▪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생활화학용품� 사용,� 위험성이� 높은� 레저� 활동� 및� 이동수단� 사용� 증가� 등�일상생활�속�위험성�증가

▪ 글로벌화,� 초연결사회화의� 영향으로� 재난피해� 상황이� SNS� 등을� 통해� 생중계,� 국민적� 불안감이�급속히�확대�및�재생산됨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무인항공기�등과� 같이�첨단과학기술을�이용한� 재난안전�문제�

해결에�대한�요구가�증대하고�있음

◎�국내와�세계�시장의�기술�수준�및� 격차�현황

2014년도� 우리나라� 재난안전� 분야� 기술수준� 및� 기술격차는� 최고기술국(미국)� 대비�

73.0%(추격그룹),� 6.0년으로�평가되고�있음

주요� 5개국의�기술수준은�미국(100.0%,� 최고)� >� 일본(94.3%,� 선도)� >� EU(92.4%,� 선도)� >�

우리나라(73.0%,� 추격)� >� 중국(65.8%,� 추격)� 순임

▪ 우리나라� 재난안전� 기초연구� 기술수준은� 미국� 대비� 72.0%,� 응용ㆍ개발연구� 수준은� 73.9%로�응용ㆍ개발연구의�기술수준이� 1.9%�높음

▪ ‘재난� 정보통신� 체계기술’(77.7%)� 등의� 기술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고� ‘사회적� 복합재난�예측ㆍ대응기술‘(66.4%)� 등의� 기술수준은�상대적으로�낮음

우리나라와� 주요국� 간� 기술격차는� 미국� 대비� 6.0년,� 중국� 대비� ­1.6년� (우리나라가� 1.6년�

앞섬)으로�나타남

▪ 우리나라� 재난안전� 기초연구� 기술격차는� 미국� 대비� 6.4년,� 응용ㆍ개발� 연구� 격차는� 5.5년으로�기초연구�기술격차가� 0.9년�높음

▪ ‘재난� 정보통신� 체계기술’(3.9년)� 등의� 기술격차가� 상대적으로� 작고� ‘기반시설� 기능유지� 및�복구ㆍ복원기술’(6.8년)� 등의� 기술격차는�상대적으로�큼

▣�▣�안전�▣�▣

39

국가전략�기술명기술수준(%) 기술격차(년)

평균 기초 응용 평균 기초 응용

재난안전�분야�전체 73.0 72.0 73.9 6.0 6.4 5.5

자연재해�모니터링ㆍ예측ㆍ대응기술 74.6 74.3 74.9 6.0 6.4 5.6

기상기후�조절기술 75.7 75.0 76.4 6.3 7.5 5.0

재난구조�로봇기술 69.6 68.6 70.6 5.4 5.6 5.2

재난�정보통신�체계기술 77.7 77.3 78.0 3.9 4.2 3.6

사회적�복합재난�예측ㆍ대응기술 66.4 63.9 68.9 6.5 7.1 5.9

기반시설�기능유지�및�복구ㆍ복원기술 74.1 72.2 76.0 6.8 7.4 6.2

재난현장�소방·구조� 장비�개발기술 72.7 71.3 74.0 6.3 6.8 5.8

범죄ㆍ테러�대응시스템기술 73.1 73.5 72.7 6.6 6.5 6.6

*�출처� :� � 2016년도�재난�및�안전관리기술개발�시행계획(안)

[� 재난안전�분야� 국가� 전략�기술별�기술수준�및� 기술격차(2014년)� ]

� �

▪ 안전한�생활환경에�대한�국민수요�급증�및� 사회변화에�따른�장기적�관점의�재난관리체계�필요� �-� 국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편안하고� 안전한� 생활환경을� 최우선시하는� 사회적� 풍토가� 확산되고�

있음

-� 인구의� 도시집중도가� 높아지면서� 도심지에서� 재난이� 발생하는� 경우� 대량인명피해가� 발생� 할�

가능성이�높음

-� 경제발전과� 함께� 레저스포츠� 인구의� 증가�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면서� 도시지역에� 집중되던� 사고발생�

영역이�확대되고�있음

-� 도시지역보다� 농촌지역의� 고령화� 속도가� 빨라� 재난대응� 취약지역이� 되고� 있어� 농어촌지역에� 대한�

장기적�관점의�재난대응�체계구축이�필요.�

-� 획일화된� 재난대응� 방식에서� 벗어나� 지자체별,� 지역별� 특성에� 맞게� 재난대응�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사회재난�유형의�다양화�및� 복합화�-�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을� 거듭하면서� 고도화된� 기술문명� 사회로� 급속히� 발전한� 결과� 과거와는� 달리�

지하철사고,� 가스폭발사고,� 화학물질� 분출사고� 등� 재난의� 유형이� 다양화� 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피해의� 양상� 또한� 복합·복잡화� 되고� 있어� 사회재난에� 대한� 종합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한�

실정임

-� 사회재난의� 발생� 횟수� 및� 규모의� 증가에� 따라� 직접� 피해뿐만� 아니라,� 간접� 피해로� 인한� 경제적�

피해� 규모�급증하고�있으며�이를�복구하기�위한�국가나�민간의�경제적�비용도�급증

-� 재난의� 발생유형이� 매우� 복잡해졌을� 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등� 예측� 불가능한� 불확실성� 요소들이�

증가하고� 있어� 정보통신기술들을� 활용해� 종합적으로� 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으며,�

예방중심의�재난대응�체계구축이�절실히�요구되고�있음

▣�▣�전략분야�현황분석�▣�▣

40

▪ 정보통신기술의�발달�및� 사회재난의�조기·사전�대비를�위한�첨단� 정보통신�기술적용-� 최근� 통신,� 영상,� 센서� 등의� ICT관련� 분야� 요소기술들의�눈부신� 발전으로�과거에는�구현이� 어려웠던�

기술들이� 현실화되고� 있으므로� 재난안전�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ICT기술을� 접목시켜�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인�사회재난�예방체계를�구축할�필요가�있음

-� 지자체의� 방재관련� 예산� 및� 인력� 부족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현장중심의� 재난관리가� 이뤄지기�

어려우므로� 자동화� 및� 정보� 기술을� 활용하여� 재난다발�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재난대응�

체계�구축이�요구됨

-� 재난발생시� 1차� 재난에� 대한� 적절한� 대응조치가� 이뤄지지� 못하는� 경우� 2차� 재난으로� 이어지는�

경우가�많아� 조기경보�및� 초기대응이�가능한�관리체계가�필요

-� 다중이용� 시설의� 증가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람들이� 밀집한� 장소로부터� 많은� 사람들을� 일시에�

대피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으로� ICT기술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피난을� 유도� 할� 수�

있는� 방법을�개발할�필요가�있음

-� 미국,� 유럽� 등의� 선진국에서는� 재난피해에� 대응하여� CCTV,� 지향성� 스피커,� IoT� 기반의� 예·경보� 및�

차세대�대응� 시스템을�통한�대국민�서비스�시범� 적용하는�추세임� � �

◎�미국은� ICT를� 반영한�실용적인�기술�개발�선도

국토안보부와� 연방재난관리청은� 9.11테러� 및� 잦은� 허리케인과� 같은� 재난상황을� 통합적이고�

효율적으로�관리하기�위한�표준체계인� NIMS10)를�도입함

▪ 연방정부와� 각� 부처,� 주정부는� NIMS� 가이드라인을� 준수하는� 재난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정보�관리� 및� 전달,� 시스템의� 상호� 운용성을� 위해� ANSI,� IEEE,� OASIS에� 정의된� 사고ㆍ자원관리� 및� 표현�

표준을�도입함

연방재난관리청은� 지진,� 허리케인,� 홍수에� 대한� 위험성� 지도� 기반의� 재해위험� 평가�

소프트웨어� HAZUS-MH11)를� 통해� 사고� 발생� 전에� 사고의� 영향� 평가,� 응급� 대응/복구� 계획�

수립�및�피해/손실�규모�추정이�가능함

연방정부는� 주정부,� 지자체� 간의�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고� 재난관리와� 공공안전을� 위해�

재난안전통신망을�구축함

산업계에서는�일본�후쿠시마�원전�사고를�계기로�실제�재난상황에�적용�가능한�실용적인�연구�진행

▪ 미국� iRobot사(현,� Endeavor� Robotics)의� 군용로봇� Packbot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에� 투입되어�원전�내부의�사고� 상황을�파악하는데�사용됨

▪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는� DARPA� Robotics� Challenge(DRC,� ‘13~‘15년)를� 개최하여�원전사고를�상정한� 8가지�미션�수행이�가능한�로봇� 기술�개발을�장려

▪ 구글은� 칠레와� 동일본� 대지진� 발생시,� Person� Finder� 서비스를� 제공하여� 사람들의� 안부� 확인과�실종자�수색정보를�제공

10)� NIMS:� National� Incident� Management� System

11)� 연방재난관리청(FEMA)에�의해� 개발�및�무료�배포된�재난�손실� 평가�프로그램

▣�▣�안전�▣�▣

41

학계� 및� 연구계에서는� 재난ž재해� 상황을� 사전에� 예측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모델� 및�

재난ㆍ재해�시뮬레이션�개발

▪ 해양대기청(NOAA)의� 대양환경연구소(PMEL)는� 보다� 빠르고� 신뢰성� 있는� 지진해일� 경보를� 위한�모델(Method� of� Splitting� Tsunami;� MOST)을�개발함

▪ 전기전자기술협회(IEEE)에서� 매년� 개최하는� 안전과� 보안,� 구조로봇에� 대한� 국제학술� 대회(SSRR)는�매년� 참여자가�확대되고�관심�증가하고�있음

미국�지진�예측

▪ 미국의�경우�지진을�예측하는데� IoT� 기술을�적극�활용� 중▪ 일반적으로� 지진은� 예측하기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미국� 지질연구소는� 캘리포니아� 지역�전체에�걸쳐�약� 300여개의�센서를�설치하고�지진을�미리� 알� 수� 있는데�활용하고�중

▪ 지진은� 시작되고� 난� 후� 퍼지는� 속도가� 음속� 수준으로� 빠르기� 때문에� 이를� 예견하는데는� 불과� 10초�밖에� 안� 됨

▪ 개인들이� 테이블� 밑으로� 숨는� 등의� 즉각적인� 예방� 대응을� 수행할� 수� 있어� 의미는� 매우� 큰� 것으로�평가되고�있음

[� 미국� ANSS의� 웹� 사이트�상의� 실시간�지진� 정보� ]

솔트레이크�시티의� IoT� 기반�산불�예방

-� 약� 193�에이커(78만� 1043㎡)에�달하는�방대한�지역의�숲에�대해�산불이�발생하는�징후들을�추적�중

▣�▣�전략분야�현황분석�▣�▣

42

-� 미국과� 캐나다� 전역의� 화재� 위치와� 규모를� 파악하는� 것은� 물론� 화재� 강도,� 고도에� 대한� 정보를�

입수해�국가적�대형�재난을�방지하고자�함.

FEMA&FCC,� PLAN(CMAS)

▪ 긴급�상황�발생�시�휴대폰에�경고메시지를�전달하는�대국민�경보시스템▪ 재해발생�지역에�대해서만�선별적으로�경고발송▪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연방재난관리청에서� 사회재난이� 발생할� 경우,�정해진� 데이터� 형식을� 지정해서� report� 형태로� 수집하여�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바탕으로�

필요한�수집�데이터�종류와�분석� 대상을�쉽게� 파악

[� 미국�연방재난관리청�데이터�분석�환경� ]

◎�일본은� ICT� 융합형�재난ㆍ재해� R&D� 발달

한신/아와지� 대지진(ʼ95년)� 이후� 일본의� 지진방재정보시스템(DIS)이� 도입되었으며,� 후쿠시마�

원전�사고(ʼ01년)� 이후�이를�해결하기�위한�극한작업로봇�관련� R&D가�다수�수행�중에�있음

▪ DIS를� 통해� 지진� 피해� 상황이� 수집되기� 전,� 지진� 관측� 정보와� 지형․지반․인구․건물� 등의�공간정보(GIS)을� 활용하여� 피해규모를� 사전에� 예측하여� 빠른� 초동대처가� 가능하며�

지진피해조기평가시스템(EES)과� 응급대책지원시스템(EMS)으로�구성되어�있음

▪ 기존의� 재난� 현장에서의� 인명� 탐색ㆍ구조로봇� R&D에서� 후쿠시마� 원전과� 같은� 극한�환경에서�동작�가능한�로봇� R&D로�연구의�흐름이�이동�중임

재난ž재해�상황에서�인명�탐색�및� 구조를�위한�다양한�형태의�로봇�개발�중임

▪ 도호쿠대학은� 건물과� 구조물� 잔해의� 좁은� 틈에서� 인명� 탐색을� 위한� 내시경� 형태의� ActiveScope�카메라와�울퉁불퉁한�잔해�위에서�이동이�가능한� Kenaf� 로봇� 개발�중임

▣�▣�안전�▣�▣

43

▪ 교토대학은� 장애물� 극복이� 용이한� 뱀� 형태의� 로봇� KOHGA와� 반자동� 플리퍼가� 채용된� 무한궤도�형태의� KOHGA� 2와� 3로봇을�개발함

▪ 세계로보컵연맹은� 매년� RoboCup� Rescue� League� 세계대회를� 개최하여� 학계의� 구조� 로봇�연구ㆍ개발을�독려함

▪ IoT를� 이용한�쓰나미�대응-� 바다에� 떠� 있는� 부유체에� GPS를� 장착해� 인공위성과� 교신하면서� 바닷물의� 높이,� 방향� 등의� 변수를�

측정해�쓰나미를�실시간으로�감시�중

◎�유럽은�다국적�협력을�활용한�다양한�재난ㆍ안전기술을�연구

유럽은�공동연구프로그램(FP,� Framework� Programme)에서� 다양한�기술개발�과제� 운영� 중에�

있음

▪ ICARUS� 프로젝트와� Sherpa� 프로젝트는� 무인항공기와� 무인차량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실종자� 수색�및�구조� 기술� 연구

▪ TRADR� 프로젝트와� NIFTi� 프로젝트는� 재난� 수습� 상황에서� 인간과� 로봇이� 서로� 협업하기� 위한� 기술�개발� 중임

기�확보된� CCTV� 인프라와�고도화된�영상분석기술을�바탕으로�지능형� CCTV� 기술�선도함

▪ 독일의� BOSCH� Security는� 공항,� 철도역사,� 발전소� 등의� 침입� 감지� 및� 폭발물� 의심� 물체를� 감지할�수�있는� 지능형�영상분석�기술을�개발하여�상용화�단계에�있음

▪ 영국� 내무부과학기술국(HOSDB)는�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 성능평가가� 가능한� i-LIDS� 인증절차를�구축하고,� 유럽의� 학계를� 중심으로� PETS(Performance� Evaluation� of� Tracking� and�

Surveillance)와� VOT(Visual� Object� Tracking)와� 같은� 영상추적� 및� 감시기술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 DB와�도구를�공개함

유럽은� 주파수공용무선통신시스템� 표준인� TETRA를� 설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재난안전�

통신망�구축함

▪ 독일은� TETRA� 기반의� 세계� 최대� 규모의� 재난안전통신망인� BOSNet을� 구축하여� 평시� 업무� 및� 비상�상황에�경찰,� 소방,� 구조대�간� 통신을�가능하게�함

▪ 영국은� TETRA� 기반� 재난안전통신망인� Airwave� 기술을� 개발하여� 형무소,� 육군,� 공군� 등� 350개�조직에서�운용

▣�▣�전략분야�현황분석�▣�▣

44

◎�기타�국가의�다양한�재난ㆍ안전기술을�연구

중국� Kwansei� Gakuin� Univ.� (기관,학교)

▪ 핸드폰을�활용한�실시간�피난� 경로�연구,� 경로�최적화를�위한� opportunistic� communication적용▪ 피난�유도시스템을�통한�대피시간과�일반대피시간�대비�대피시간�최대� 40%�감축효과

영국� The� Foresight� HSC(Horizon� Scanning� CentreO)는� 해수면상승,� 해안침식,� 홍수� 등�

잠재적� 위험에� 대한� 위험관리� 프로젝트를� 통해� 30~100년� 이후를� 대비한� 위험관리� 대책�

마련

싱가포르� RAHS(Risk� Assessment� and� Horizon� Scanning)는� 해안� 안전� 확립을� 위한� 해상�

상황인식(Maritime� Situational� Awareness)� 프로젝트로� 해상테러,� 해안침투� 등� 해안�

영역에서의�안전�확보

◎�우리나라는�국민안전처�중심의� ICT� 기술의�활용이�진행�중

국민안전처에서는�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을�운영하여�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 업무� 및�

화재ㆍ구조구급�등� 119� 서비스의�전� 과정을�정보화함

재난상황� 전파시간� 및� 재난상황� 파악시간을� 단축하고,� 3,800여개� CCTV� 재난영상� 정보를�

통합ㆍ연계하여�재난감지와�상황전파,� 대응복구의�효율성이�향상될�것으로�기대됨

▪� 국가재난정보센터(NDIC)와�재난안전데이터포털,�안전디딤돌�앱을�통해�온라인으로�국가�재난ㆍ안전데이터를�공개하고�이를�활용할�수�있는� OpenAPI를� 제공

▪ 2013년부터� 휴대폰� 탑재를� 의무화� 한� 재난문자방송시스템(CBS)을� 통해� 휴대폰의� 위치� 정보를�기반하여�맞춤형�긴급재난정보�제공�가능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은� 재난ž안전사고� 발생� 시� 기상청을� 비롯한� 12개� 유관기관의� 31개�

빅데이터와� 실시간� SNS� 정보를� 통합� 분석ㆍ표출할� 수� 있는� 스마트� 재난관리� 플랫폼�

스마트빅보드(Smart� Big� Board;� SBB)를� 개발함

학계�및�연구계는�첨단� ICT� 기술을�활용한�다양한�형태의� 재난ž안전기술�및�관련�요소�기술을�

연구�중에�있음

▪ KAIST는� 지능형영상센서를� 이용한� 구조안전모니터링� 시스템과� 연안� 해파리� 떼를� 제거할� 수� 있는�해양군집로봇� JEROS12)� 개발함

▪ ETRI� 및� 3개� 출연연의� UGS� 융합연구단은�싱크홀�및� 지하수�오염과�같은� 사회문제를�해결하기�위해�IoT� 기반의� 지하공간의� 지질환경,� 지하수� 분포� 및� 변화를� 통해� 이상� 징후를� 사전에� 예측,� 감지하는�

기술을�연구함

12)� JEROS:� Jellyfish� Elimination� RObotic� Swarm� (http://urobot.kaist.ac.kr/)

▣�▣�안전�▣�▣

45

▪ KAIST와� 서울대,� 로보티즈는� 후쿠시마� 원전과� 같은� 극한환경� 대응�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을�개발하여,� DRC(DARPA� Robotic� Challenge)� 본선에�참가하여�우수한�성적을�거둠

[� KAIST-� JEROS]

2014년에는� 국가� 재난안전통신망으로� PS-LTE(Public� Safety-LTE)� 기술이� 선정되었으며,�

민간의�관심도도�점차�제고되고�있음

▪ KT는� 일반� 통신이� 어려운� 재난� 상황에서� LTE� 기지국을� 탑재한� 드론을� 이용한� 통신망� 복구� 및� 재난�관제가�가능한�드론� LTE� 시범� 사업� 추진�중임

▪ 삼성전자는�세계�최초로� PS-LTE� 표준� 기반�재난안전통신망�시연에�성공함

▣�▣�전략분야�현황분석�▣�▣

46

6.� 중소기업�시장대응전략

Factor 기회요인 위협요인

정책

•정부� 각� 부처� 별� 생활안전� 관련� 기술� 개발� 및�

서비스�영역�확대

•�지자체별로�안전사고로�인한�사망자를�감축하도록�

하는�목표관리제를�추진

•타� 주력산업� 대비� 예산지원� 및� 관심은� 여전히�

미흡한�상태

•전문가를�위한�인력�양성�시스템�부재

산업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무인항공기�등과�

같이� 첨단과학기술을� 이용한� 재난안전� 문제�

해결에�대한�요구가�증대

•지식정보보안�산업�성장을�주도할�것으로�예상

•고령화,�지구온난와�등으로�인한�재난대비�시스템에�

대한�필요성이�확대

•예측�불가능한�자연�환경�변화를�대비하는�기술에�

대한�불확실성

•초미세먼지,� 에너지소비증가�등�환경문제�부각

•선진국의�고사양�제품과�중국�등의�저가�제품과의�

경쟁으로�시장점유율�하락

시장

•테러ㆍ사회� 안전에� 대한� 위협이� 확산되어�

물리보안제품에�대한�수요가�증가

•전�세계적으로�복합재난에�따른�피해�확대

•국가�별로�상이한�당면�과제�및�산업�구성

•제품의� 성능보다� 신뢰성,� 유지� 보수� 등의� 이유로�

글로벌�제품을�선호하는�경향

기술

•우리나라는� 국민안전처� 중심의� ICT� 기술의�

활용이�진행�중

•학계� 및� 연구계는�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형태의� 재난ž안전기술� 및� 관련� 요소�

기술을�연구�중

•해외에�비해�국내�기술력의�기술격차가� �상대적으로�큼

•차세대�기술에�대한�선�개발�의지가�부족함�

부처�별�

서비스영역�확대

안전사고�

목표관리제�

추진

재난�대비�

시스템�확대

재난안전�

문제해결�요구�

증대

물리보안�

제품의�수요�

증가

ICT�기술의� �

다양한�활용�

진행�중

중소기업의�시장대응전략

➜ 정부의�정책�확대�및�의무화�등으로�산업의�확장이�예상됨➜ 전�세계적으로�재난�안전에�대한� 수요가�증가하고�있으며�앞으로도�지속적인�성장이�전망됨➜ 글로벌�대비�우수한�기술력�확보로�경쟁력�제고➜ 시장에서�요구하는�기술을�선점하고�시장점유율을�확보하기�위한�기술� 개발�전략➜ 센서,� 저전력통신,� IoT,� 빅데이터를�활용한�새로운�제품� 구상➜ 고효율,� 고부가가치화�기술�확보를�통한� 시장경쟁력�강화

▣�▣�안전�▣�▣

47

7.� 주요� 기술개발�테마

가.� 기술개발�테마별�개요

기술개발�테마 개요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ICT,� 바이오기술,� 센싱기술� 등을� 활용해� 식품의� 이력,� 안전,� 품질과� 신선도� 등의�

각종�정보를�제공하고�효율적인�관리가�가능하도록�하는�차세대�식품�시스템

원격의료시스템•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지점에서� 각종� 통신수단으로� 의료� 정보ㆍ진료� 정보를�

즉석에서�송수신할�수�있는�시스템.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

시스템

•다양한� ICT� 기술과� 장비들을� 활용하여� 재난관리� 정보를� 사전에� 공유·전파하고�

피해를�최소화하기�위한�시스템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ICT� 및� 센싱기술을�바탕으로�최근�대형� 및� 고층화�된�건물에서�발생하는�화재를�

조기에�발견하고�신속하게�대응함으로써�피해를�최소화하도록�하는�시스템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

•유해물질이� 누출되었을� 경우,� 곧바로� 감지해� 통합� 모니터링을� 한� 뒤�

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해�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유독성물질�

누출로�인한�피해를�최소화하고�쾌적한�환경에서�작업하도록�도움

�미세먼지�측정� 시스템•심장과� 호흡기에�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로의�노출을�사전에�차단하고�실시간으로�경보하는�시스템

기상기후�조절시스템•일반적으로� 기상조절은� 의도적인� 기상조절을� 말하며� 인공강우나� 인공증설,�

안개소산,�우박�억제,� 폭풍우�완화�등이�이에�속함

범죄�대응시스템•요인암살,� 공중� 시설물� 폭파,� 항공테러,� 해상� 테러,� 생물화학� 테러� 등� 테러와�

범죄의�피해에�대응하기�위한�시스템

휴대용�안티�드론

•안티� 드론� 시스템은� 주로� 군사� 시설� 방어용으로� 쓰이며,� 원리는� 드론� 통신�

주파수나� 비행용으로� 드론을� 감지하고,� 주파수� 간섭� 혹은� 그물을� 포함한�

물리적인�방법으로�드론�비행을�제지하는�방식

▣�▣�전략분야�현황분석�▣�▣

48

나.� 기술개발�테마별�동향�및� 전망

기술개발�테마 동향�및�전망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RFID/USN을 활용한 안전/품질 관리, 유통정보 실시간 관리 및 최근에는

스마트 센서를 활용한 유통 중 품질 관리 기술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

원격의료시스템

•현재까지 심전도 전송, 페이스메이커(pacemaker) 펄스체크 시스템, X선

영상전송 시스템 등의 실용성 테스트가 실시되고 있으며 최근 고도 정보화

사회의 성숙과 컴퓨터기술의 발전으로 그 성과가 기대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

시스템

•홍수� 위험에� 대비해� 제방에 센서를 설치해 실시간으로 위험 정보를 수집,

분석해 경보를 전달하는 홍수조기경보시스템(Urban Flood) 등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 증대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최근 국내 건축물은 대형화, 복합화 되고 있는 반면, 화재안전에 관한

규정은 이를 따르지 못해 화재로 인한 피해가 증가하는 추세지만 내

화재안전 기술개발과 투자는 선진국에 비해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며, 그

결과 제도적, 기술적으로 낙후돼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

•「화학물질관리법」이 시행되어 모든 신규화학물질과 연간 1t 이상

제조·수입·판매되는 기존 화학물질은 유역환경청 또는 지방 환경청에

등록되어야 하고, 그 유해·위해성을 심사·평가를 필요함에 따라 관련 수요

증가와,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위협하는 화학물질 사고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예방의 필요.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미세먼지는 인류건강을 위협하는 글로벌 보건이슈로 우리나라도 최근

심각한 미세먼지로 인해 국민들의 우려와 걱정이 매우 크며, 이에 미세먼지

해결은 16년도 제 2차 과학기술전략회의에서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 중

하나로 선정

기상기후�조절시스템

•기후변화로 인하여 자연재해 예측에 한계 발생, 재난의 강도 및 피해

규모의 기하급수적 증가, 재난의 일상화·양극화 및 복합화 심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음.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한반도 기후현상에 대한 정보를

산출하고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기술개발 필요성의 증대

범죄�대응시스템•지능정보 핵심기술들이 융합해 새롭게 만들어낼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범죄테러대응시스템 개발 등에 대한 투자도 강화

휴대용�안티�드론

•관제권 내에서의 드론 비행, 국경에서 벌어지는 드론 밀수, 사생활 혹은 주요

시설을 염탐하는 스파이 드론 등 무인기의 악영향은 우려되며, 드론을 막는

안티 드론 기술이 조명 받음

▣�▣�안전�▣�▣

49

8.� 중소기업�기술개발�테마

가.� 중소기업�기술수요

중소기업,� 대기업‧공기업�등에�대하여�설문조사�및� 방문조사를�통하여�기술수요조사를�실시

주요� 기술� 분야별� 신청� 과제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여� 각� 분야별로� 중소기업이� 관심을� 갖는�

제품을�파악

▪ 융합보안� 분야에서는� 호기� 내� 가스� 분석을� 통한� 스마트� 현장� 진단기기-호기� 내에서� 발생되는�co,no,acetone등의� 가스� 분석을� 통해� 질병의� 발생� 유무를� 진단하는� 기술,� 위치� 감지� 및� 그에� 따른�

정보� 서비스� 제품,� 스마트� 파킹� 시스템,� 지진재난방지� 웨어러블� 스마트웨어,� 휴대형� 안티� 드론,�

실시간�재난관리�시스템�등에� 대한�기술개발�수요가�높은�것으로�나타남

▪ 물리보안� 분야에서는� 유해� 물질� 감지를� 위한�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Video� Wall� 모니터,� 레일형�CCTV시스템� ,� 영상처리�시스템�등에� 대한�수요가�높은�것으로�나타남

주요품목과제건수 점유율

(%)

평균증가율

(%)‘14 ‘15 ‘16 합계

융합보안 52 60 43 155 24.8 -0.09

물리보안 45 36 19 100 16.0 -0.35

합계 222 226 178 626 100.0 -0.10

[� 중소벤처기업부� R&D지원사업�신청과제�현황� ]

▣�▣�전략분야�현황분석�▣�▣

50

나.� 중소기업�기술개발�테마

기술개발�테마 개요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ICT,� 바이오기술,� 센싱기술� 등을� 활용해� 식품의� 이력,� 안전,� 품질과�

신선도� 등의� 각종� 정보를� 제공하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차세대�식품�시스템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

시스템

•다양한� ICT� 기술과� 장비들을� 활용하여� 재난관리� 정보를� 사전에�

공유·전파하고�피해를�최소화하기�위한�시스템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ICT� 및� 센싱기술을� 바탕으로� 최근� 대형� 및� 고층화� 된� 건물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도록�하는�시스템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

•유해물질이� 누출되었을� 경우,� 곧바로� 감지해� 통합� 모니터링을� 한� 뒤�

처리시스템으로� 전송해� 정보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시스템으로,�

유독성물질� 누출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작업하도록�도움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심장과� 호흡기에� 치명적인�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로의� 노출을� 사전에� 차단하고� 실시간으로�

경보하는�시스템

범죄�대응시스템•요인암살,� 공중� 시설물� 폭파,� 항공테러,� 해상� 테러,� 생물화학� 테러� 등�

테러와�범죄의�피해에�대응하기�위한�시스템

기술개발�테마�현황분석

미세먼지�측정�시스템

미세먼지�측정�시스템

정의�및� 범위

▪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실내․외의� 환경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를� 포집하여� 물리적,�화학적� 등의� 기타� 방법들을� 사용하여� 미세먼지의� 크기� 및� 농도를� 검출하고� 분석하여�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의미�

▪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50㎛� 이하인� 총� 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와� 입자� 크기가�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 10㎛� 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 보다�작은� 미세먼지(PM2.5)로� 나뉨

정부지원�정책

▪ 2016년� ‘제� 2차� 과학기술전략회의’를� 열고� 미세먼지� 해결기술� 개발을� 9대� 국가� 전략� 프로젝트� 중�하나로�선정

▪ 2020년까지�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의� 약� 10%인� 220만대를� 친환경� 자동차로� 보급할� 계획임.� 이를�위해� 행정,� 공공기관의� 저공해차� 의무� 구매율을� 현행� 30%에서� 5%씩� 늘려� 2020년에는� 50%까지�

높이고�의무구매�대상�기관도�단계적으로�확대

▪ 2016부터� 2025년까지� 초저배출기준� 보다� 오염물질을� 70%� 이상� 감소시킨� 극초저배출차량(SULEV)�기준을� 적용하여� 배출가스를� 단계적으로� 줄여� 나갈� 예정이며,� 2024년까지� 전기차� 등� 오염물질�

무배출차(ZEV,� zero� emission� vehicle)를� 비롯한� 친환경� 자동차� 개발에� 정부예산� 1천억� 원을�

투입할�예정

중소기업�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환경)�환경�악화로�관심�고조

•(기술)�우수한� IT� 인프라

•(정책)�산업지원�정책�수립

•(환경)�영세한�산업구조

•(기술)�핵심�원천기술�미흡

•(정책)�산업계�연계�미흡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환경)�제조�패러다임의�변화

•(기술)�기반기술�연구·개발

•(정책)�정부와�업계의�높은�니즈

•(환경)�생산지원�인프라�부족

•(기술)�글로벌�업체와의�기술격차

•(정책)�미시적� R&D�정책

중소기업의�시장대응전략

➜ 소형화·저가격화,� 초정밀� 광학·MEMS,� SoC� 기술,�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의� 기술을� 접목하여�초소형,� 고성능,� 지능형�센서� 제품� 개발로�시장� 대응

➜ 이종�환경�센서와�융복합을�통해�다기능�고부가가치�제품�개발

핵심요소기술�로드맵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55

1.� 개요

가.� 정의�및� 필요성�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이란� 실내․외의� 환경에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먼지를� 포집하여�물리적,� 화학적� 등의� 기타� 방법들을� 사용하여� 미세먼지의� 크기� 및� 농도를� 검출하고� 분석하여�

정보를�제공할�수�있는�시스템을�의미

� � � � 미세먼지�측정�시스템은� 감지기술,� 분석기술,� 모니터링�기술로�구성됨.� 먼지는� 입자의�크기에�

따라� 50㎛� 이하인� 총먼지(TSP,� Total� Suspended� Particles)와� 입자� 크기가� 매우� 작은�

미세먼지(PM,� Particulate� Matter)로� 구분함.� 미세먼지는� 다시� 지름� 10㎛� 보다� 작은�

미세먼지(PM10)와� 지름이� 2.5㎛� 보다�작은�미세먼지(PM2.5)로� 나뉨�

▪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미세먼지를� 고감도� 실시간� 감지를� 위한� 감지기술과� 감지된� 미세먼지�데이터를� 분석하고� 전달하기� 위한� 분석기술� 그리고� 감지� 및� 분석� 데이터를� 통해� 오염염의� 농도� 및�

성분을� 분석하고�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신뢰성이� 높은� 예보� 및� 모니터링� 기술로�

나눌� 수� 있음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기본� 구조� ]

▪ 감지기술에는� 미세먼지� 감지센서� 기술과� 미세먼지� 감지장치� 기술로� 구성되며,� 분석기술에는�미세먼지� 정보� 분석기술과� 감지센서� 네트워크� 기술로� 구성되며,� 모니터링� 기술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기술을�적용한�모니터링�및� 예보� 기술로�구성� �

미세먼지에� 의한� 환경오염� 심각성� 인식의� 증대와� 함께�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의�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시장의� 요구에� 따라� 기기의� 소형화,� 지능화,� 저가격에� 맞추어� 기술� 개발이�

진행되고�있음

▪ 국내의� 미세먼지� 환경오염� 증가로� 국민들의�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함께�미세먼지�센서�측정� 시스템과�환경�개선� 가전제품에�대한�관심이�높아지고�있음

▪ 공기정청기,� 에어컨� 등의� 환경� 제품의� 차별화를� 위해� 기업들은� 제품� 적용을� 위해� 미세먼지� 측정�시스템의�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으며,� 제품� 가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저가격� 생산을�

요구하고�있음

▪ IoT� 기술,�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과� 융합하기� 위해서� 저전력,� 지능화� 및� 네트워크� 기술� 개발을�요구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56

2016� 미국� 예일대와� 컬럼비아대에서� 발표한� ‘환경성과지수(EPI)’에서� 공기질� 수준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국이� 최하위권� 속에� 있으며,�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개발이� 우리나라를�

포함하여�중국�및�일본에서�중심으로�활발히�진행

▪ 중국은� 국내� 대기환경의� 심각성� 때문에�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에� 관심이� 높을� 뿐� 아니라� 가장� 큰�시장� 규모를�갖고� 있으며�최근� 중국� 기업들의�미세먼지�측정�기술은�많이�발전하고�있음

▪ 한국의� 미세먼지� 센서� 기술은� 몇몇� 기업에서� 개발� 및� 양산화를� 이루고� 있으며,� 새로운� MEMS� 등과�같은� 기술들을� 적용하려는� 기술� 개발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제품화� 및� 시장� 경쟁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남�

▪ 기술� 경쟁력과�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감지기술,� � 실시간�농도� 및� 성분� 분석기술과�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이� 결합된� 지속적인� 모니터링� 및� 예보기술� 등�

융복합�기술개발이�요구됨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57

나.� 범위

(1)� 제품분류�관점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미세먼지�발생을� 실시간으로�감지를� 위한� 감지기술,� 측정된� 미세먼지�

데이터를� 이용하여� 농도,� 성분� 등을� 통합� 분석하고,� 유무선으로� 분석�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는� 분석기술과� 사물인터넷� 등과� 연동하여� 확보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적용하여�

입체적인�미세먼지에�대한�정보를�모니터링하고�예보를�위한�모니터링�기술로�구성됨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사용� 대상과�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및� 응용되고� 있으며,�

사물인터넷� 기술� 발전과� 더불어� 환경� 모니터링과� 관련하여� 적용�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는�

기술임

분류 제품분류�관점 세부기술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감지�기술

미세먼지�

감지센서�기술•MEMS�기술,� 광학기술을�융합하여�미세먼지를�감지하는�센서�기술

미세먼지�

감지장치�기술

•기존� 고정� 측정� 장치� 포함� 차량� 및� 드론� 등을� 활용한� 이동관측�

플랫폼�응용�기술

분석기술

미세먼지�정보�

분석�기술

•미세먼지의� 실시간� 농도・성분� 측정�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미세먼지�정보를�통합�분석하는�기술

감지센서�

네트워크�기술

•미세먼지� 감지센서에서� 발생되는�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 센서�

네트워크를�형성�기술

모니터링

기술

미세먼지�예보�

기술

•육상뿐만� 아닌� 상공과� 해상을� 포함하는� 미세먼지� 정보를�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해외� 유입량,� 국내� 오염원별� 기여도를� 빅테이터,� 인공지능�

적용�등을�통해�모니터링하고�미세먼지를�예보하는�기술

[� 제품분류�관점� 기술범위�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58

(2)� 공급망�관점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환경오염� 주요� 물질인� 미세먼지를� 효과� 검출하여� 정보� 제공� 및�

경보해�줌으로써�환경�개선의�핵심�기술로�주목받고�있음

▪ 초정밀� 광학,� MEMS,� 네트워크,�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들이� 융합되면서� 초소형,� 지능형� 센서�발전이� 이루어지고� 사물인터넷� 기술과� 결합되어� 환경� 개선� 및� 국민� 건강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서비스�제공

분류 공급망�관점 세부기술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실내�공조기

•실내� 환경에서� 미세먼지�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 인자들을�

실시간� 수집� 분석하여� 실내� 거주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제어�기술

자동차•자동차� 실내의�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검출할�수�있는�센서를�장착하여�공조시스템과�연동할�수�있는�기술

드론•기존� 고정� 측정에서� 탈피하여� 광역적인� 공간에서� 미세먼지� 분포를�

측정할�수�있는�이동�관측�플랫폼�기술

�사물인터넷

•개개인의�공간�내의� �미세먼지�분포를� IoT�기술로�네트워크를�구성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빅데이터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여�

진단�및�예측을�통해서�다양한�서비스�제공�기술

[� 공급망�관점�기술범위�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59

2.� 외부환경분석

가.� 산업환경�분석

(1)� 산업의�특징

미세먼지� 측정� 산업은� 공간� 내에� 유입� 또는� 발생되는� 미세먼지를� 측정하기� 위한� 감지�

산업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을� 구성� 및� 적용하여� 실내외� 공조시스템� 산업� 등과�

같은�응용�산업을�포함하고�있음� � �

▪ 미세먼지� 측정� 산업은� 국내� 산업화� 발전에� 따른� 산업시설� 및� 자동차� 등의� 증가로� 미세먼지� 발생이�점진적으로�증가하여�환경�악화를�유발하고�있음�

▪ 미세먼지�증가로�인한�공기청정기,� 가습기,� 마스크�등의� 관련�시장이�지속적으로�성장하고�있음� �▪ 가전기기의� 사용자� 편의성을� 높이고� 지능화,� 복합화되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세먼지� 측정�시스템도�소형화,� 지능화되고�있음

▪ 기술�경쟁력을�높이기� 위해서는�첨단기술을�사용하여�지능화된�센서�개발과� 국산화를�통해�지속적인�세계�시장� 확보를�위한� 기술�개발� 전략이�요구됨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초정밀� 광학,� 초미세� 가공기술,� 복합� 신호처리� 기술,� 데이터� 분석�

기술�등의�하드웨어�및� 소프트웨어의�이종의�기술들이�복합화됨

▪ 레이저� 광원� 및� 초정밀� 렌즈� 기술을� 결합한� 초소형� 광학계는� PM2.5뿐만� 아니라� 보다� 작은�초미세먼지�까지도�분리� 검출할�수�있는� 기술을�제공

▪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다양한� 이종� 기술들이� 복합화된� 기술로� 제품화를� 위해� 높은� 기술장벽의�특성을�갖고�있기� 때문에�관련� 핵심� 기술�확보� 통해� 적용�제품� 시장� 확보에�유리� �

▪ 다양한� 주변� 환경� 인자를� 함께� 검출할� 수� 있는� 미세먼지� 측정� 기술이� 포함된� 환경� 복합� 센서�모듈은�보다�제품� 경쟁력을�높일�수� 있음�

▪ 초정밀� 광학,� 초소형� 가공기술,� 신호처리� 및� 데이터� 처리기술� 등의� 이종� 기술� 분야� 동반� 성장을�유도

미세먼지� 측정� 기술은� 협소한� 공간의� 고정� 측정에서� 벗어나� 광역의� 범위�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측정�장치의�플랫폼�개발�및�네트워크�기능�강화가�요구

▪ 협소한� 장소에서� 미세먼지� 분포� 정보� 획득에서� 광역적�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응용분야�개척�및� 서비스�제공� 가능

▪ 광역적� 미세먼지� 분포를� 측정하기� 위해� 드론,� 무인자동차� 등과� 같은� 무선� 또는� 자율� 제어가� 가능한�이동체에�탑재함으로써�시간적,� 공간적�제약에서�벗어날�수�있는� 측정장치�플랫폼�제공

▪ 유무선� 네트워크� 사물인터넷� 기술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에서� 연속적,� 광역적� 미세먼지� 정보를�수집하여� 빅데이터를� 형성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한� 예측� 기술� 통해� 사용자에게� 신뢰성이� 높은�

경보� 및� 대응� 기술�제시�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60

세계� 미세먼지� 측정� 시장은� IT� 기술의� 발전과� 센서� 시장의� 성장과� 함께� 급성장하고� 있으나,�

국내�산업의�경쟁력은�선진국�대비�취약한�상황

▪ IT� 기술� 발전과� 함께�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의� 기술�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 광원,� 광센서,� 신호처리�칩,� 알고리즘�기술�등은�필요한�요소�기술�

▪ 국내� 미세먼지� 측정� 기술은� 주로� 필요� 요소� 기술을� 국외에� 수급하여� 모듈� 제품화에� 비중이� 높기�때문에�선진�제품과�시장�경쟁에서�가격�경쟁력이�낮음�

▪ 이동� 관측을� 위한� 플랫폼에� 사용� 가능한� 무인� 자동차� 및� 드론� 기술은� 아직� 높은� 수준의� 제어가�요구되고�있기�때문에�현재� 플랫폼�기술� 개발이�요구됨

(2)� 산업의�구조

후방산업은� 미세먼지를� 검출하기� 위한� 감지센서,� 이동관측을� 위한� 드론,� 네트워크� 기술� 및�

빅테이터�및� 인공지능�기술�등이�있음� �

▪ 감지� 센서는� LED� 및� 반도체� 레이저,� 초정밀� 렌즈,� 고감도� 광센서� 및� 광학셀� 등을� 결합하여�모듈화가�필요하며,� 신호처리회로�및�알고리즘이�등이�있음

▪ 신호처리회로� 및� 알고리즘� 처리를� 위해� 증폭회로,� 필러링� 회로,� ADC� 및� MCU� 등의� 반도체�집적회로와�네트워크�기능�요구

▪ 광역�측정�및� 샘플링을�위한�중형급�이상�드론� 비행체�및�제어기술�개발▪ 사물인터넷�상에서�안정적이고�지속적으로�데이터�수집을�위해서�신뢰성�있는� 네트워크�보유▪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 기술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 및� 처리를� 통해� 환경� 변화� 예측,� 경보� 및� 대응�방안� 제공� 기술�개발

전방산업으로써�미세먼지�측정�분야는�환경�가전,� 자동차�전장,� 사물인터넷�등으로�구성

미세먼지�측정� 산업은� 환경� 모니터링에�중요한�측정� 요소를�사용되고�있으며,� 타� 산업에� 응용�

적용되어� 기존� 제품의� 성능과� 사용자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제품의�

부가가치�증대�창출

▪ 최근� 출시되는� 공기청정기,� 에어컨,� 청소기� 등의� 환경� 가전제품에� 미세먼지� 측정� 센서를�적용함으로써� � 사용자에게� 미세먼지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측정� 제공함으로� 만족도를� 높이고,�

함께� 부가가치를�높임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61

후방산업스마트팩토리�센서�및�화상처리�

기술�분야전방산업

LED� 및� 반도체�레이저,

초정밀�렌즈,� 광학셀

미세신호처리회로,� � 신호처리�

알고리즘�소프트,� 이동관측�플랫폼,�

유무선�네트워크

미세먼지�감지센서,

이동관측�플랫폼,

데이터�처리�알고리즘,

빅데이터,� 인공지능

환경�가전

자동차�전장

게임/모바일

IoT

[� 미세먼지�측정�시스템�기술� 분야�산업구조�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62

나.�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대기환경� 센서� 관련� 세계시장은� 2016년� 18.1억� 달러에서� 2021년� 23.0억� 달러� 규모로�

증가할�것으로�전망

▪ 사물인터넷� 기술� 발달로� 다양한� 환경센서� 수요� 증대와� 함께� 미세먼지� 센서� 시장이� 높은� 비율로�성장할�것으로�전망

� �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1,810 1,890 1,980 2,110 2,200 2,300 4.9

*�출처� :� BCC,� � 전자신문,� 2016으로�추정

[� 대기환경�센서�관련� 세계� 시장규모�및� 전망� ]

미세먼지의�심각한� 환경� 문제로� 대두되면서�실내� 공기정화기�시장이� 급속하게� 증가하고�있음.�

2015년� 실내� 공기정화기� 시장은� 81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2020년까지� 116억� 달러�

규모로�연평균� 7.4%로�성장할�전망

▪ 공기정화기� 성능개선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글로벌� 제조사들은� 실내� 오염물질을� 더욱�효과적으로�처리하기�위한�첨단�모니터링�및�처리� 기술들이�개발�진행�

� � (단위� :� 억� 달러,�%)�

구분 ‘15 ‘16 ‘17 ‘18 ‘19 ‘20 CAGR

세계시장 81 87 94 101 108 116 7.4

*�출처� :� Economy� insight,� � 2015

[� 공기청정기�관련�세계� 시장규모�및� 전망�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63

(2)� 국내시장

국내� 대기환경� 센서� 관련� 시장은� 세계시장의� 7%� 정도로� 예상하고� 있으며,� 2016년� 1,360억�

원에서� 2021년에� 1,734억� 원� 시장으로�성장할�것으로�전망�

▪ 국내의� 미세먼지� 센서� 시장은� 대기환경� 센서� 시장의� 10~20%� 정도로� 예측되고� 있으며,� 가스센서에�편중된�대기환경�센서�시장에서�미세먼지�센서�시장� 확대가�예상� � �

� � (단위� :� 억� 원,�%)�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1,360� 1,413� 1,488� 1,584� 1,659� 1,734� 5.0

*� 출처� :� BCC,� 전자신문,� 2016의� 세계시장에서� 국내시장� 규모를� 세계시장의� 7%를� 계상하여� 추정(환율� 1070.6원�

적용)

[� 대기환경�센서�관련� 국내� 시장규모�및� 전망� ]

업계� 취합� 자료에� 의하면�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과� 연관성이� 높은� 공기청정기� 시장을� 보면�

2013년�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은� 2.7억� 달러� 정도� 이었으며,� 2017년� 13.6억� 달러� 시장으로�

성장할�것으로�전망

(단위� :� 억� 달러,�%)�

구분 ‘13 ‘14 ‘15 ‘16 ‘17 CAGR

국내시장 2.7 3.6 5.5 10� 13.6 49.8

*�출처� :�업계�취합�자료

[� 공기청정기�기술�분야의�국내�시장규모� ]�

▪ 미세먼지� 측정� 기술� 적용과� 밀접한� 국내� 공기청정기� 시장은� 세계� 시장보다� 성장률이� 큰� 것으로�나타나고� 있음.� 이것은� 최근들에� 공기질� 악화에� 따른� 국민들의� 환경� 개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결과로�예측�

▪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미세먼지� 측정� 국내� 시장은� 세계� 시장� 보다�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으나�미세먼지�측정�기술의�국산률은�낮은�것으로�분석됨� �

▪ 최근� 중국의� 미세먼지� 센서� 업체들이� 기술� 발전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어� 가격과� 기술력을� 내세워�국내의�공기청정기�등의�응용시장�분야에서�선정�비율이�높아질�것으로�분석

국내�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기술에서� 분석� 및� 모니터링� 기술은� 국내의� IT�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갖고�있으나�감지�기술�분야에서�선진국�대비�기술�수준이�낮은�것으로�추정� �

▪ 국내의� 감지센서� 기술� 분야는� 선진국� 대비� 80%� 수준이며,� 첨단센서� 기반기술을� 적용한� 기술�경쟁력이�높은�혁신� 제품�개발이�필요

▪ 감지센서�기술�발전을�위해� 초정밀�광학기술과�MEMS� 기술을�복합한�기술� 개발이�진행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64

(3)� 무역현황

무역현황은�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과� 관련성이� 높은� ‘공기청정기‘의� 무역현황으로�

살펴보았으며,� 공기청정기� 수출입은� 매년� 등락을� 보이며,� 최근� 수출� 감소와� 수입� 증가로�

수입특화상태로�나타남�

(단위� :� 천� 달러,�%)�

구분 ‘12 ‘13 ‘14 ‘15 ‘16 CAGR

수출금액 2,850 3,461 4,741 2,360 2,576 -2.5

수입금액 1,646 3,975 2,951 5,397 3,385 19.8

무역수지 1,204� -514� 1,790� -3,037� -809� -

무역특화지수* 0.27� -0.07� 0.23� -0.39� -0.14� -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

이며,� 1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뜻

*�자료� :� 2017년�관세청�수출입무역통계�HS-Code(6자리�기준)�활용

[� 공기청정기�무역현황� ]�

공기청정기�수출은�러시아,� 중국,� 홍콩�등이�최상위국으로�위치하고�있으며,� 중국은� ‘17년(8월�

누계)� 차상위국을�유지했으나�급격히�비중이�감소로�나타남

수입은� 미국이� 최상위국을� 나타내고� 있으며,� ‘16년까지� 꾸준히� 최상위국을� 차지하던� 중국은�

급격히�비중�감소로�차상위국에�위치함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65

다.� 기술환경�분석

시장� 조사기관(Yole� Development)에� 따르면� IoT� 응용서비스를� 위해� 가스센서,� 온도센서,�

광센서,� 압력센서,� 습도센서�등� 환경센서�수요가�전방위적으로�증가하고�있다고�분석�

환경센서에서� 가스센서에� 치우친� 제품� 상용화,� 연구개발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있음.�

아직�시장이�성숙하지�않은�미세먼지�센서�개발�지원으로�향후�증가할�수요를�대비�필요

2016년� 11월� ‘제� 2차� 과학기술전략회의‘를� 개최’를� 개최하여� ‘미세먼지� 대응� 기술� 개발’을�

9대� 국가�전략�프로젝트�중�하나로�선정

▪ 2017년부터� 3년간� 우선� 423억(정부안� 기준)을� 투장하여� 미세먼지� 대응� 기술개발을� 추진할� 범부처�단일사업단을�발족할�계획

▪ 부처별․사업별로� 소규모로� 분산되어� 진행되던� 연구를� 범부처� 단일사업단을� 중심으로� 결정하여�초미세먼지(PM2.5)� 2차� 생성� 메커니즘� 규명� 및� 유해� 성분� 분석,� 집진,� 저감� 기술의� 획기적� 성능�

개선� 등� 위해성�해소에�초점

▪ 전� 부처� R&D� 정보� 공유를� 통해� 성과를� 연계하고� 중복� 투자를� 방지하는� 등� R&D� 관리를� 강화해�나가고,� 기술개발� 및� 산업화� 촉진� 생태계� 조성을� 위해� 관계� 부처� TF� 및� 민관� 협의회� 등� 협업�

체계를�구축․운영할�계획

[� 미세먼지�대응�기술� 개발� 정부� R&D�중장기�분야별�투자� 방향� ]

대분류 중분류 중점�투자분야(예시)

현상�규명� 및�

예측

원인�규명 •분산된�영구역량�결집

현장진단�및� 측정․조사 •실시간�성분․농도�측정�원천기술�개발대기질�모델링 •예보�정확도�제고�등�정책현안�해결

미세먼지�

배출저감

고정�오염원 •초미세먼지�고효율�저감기술�확보

도로�이동�오염원 •초미세먼지�원인물질�저감�핵심소재․부품�국산화비도로�이동� 오염원 •소형(연안)선박�배출현황�조사�및�저감기술�개발

비산먼지 •도로비산먼지�저감수단�확보�

국민생활�

보호

건강영향�평가 •미세먼지�노출․독성․위해성�평가�장기�지원미세먼지�노출저감�기술 •신호재�필터�및�핵심부품(고감도�센서�등)� 개발

정책�및� 정보�서비스 •미세먼지�정보�공개�확대

*�출처� :� 미래창조과학부

▪ 국가� 전략� 프로젝트에� 따라� � (1)미세먼지� 대응� 중점기술� 개발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위기를� 새로운�기회로� 전환시키기� 위한� (2)기술산업화� 및� 글로벌� 협력,� 정부� 재정의� 효과적� 투자� 및� 성과� 창출�

극대화를�위한� (3)정부� R&D� 중장기�투장방향�등� 3대� 부문으로�구성�진행�

▪ 한국광기술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센서� 관련� 장비를� 보유한� 기관을� 지역�거점으로�지정·활용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66

▪ 국가� R&D� 역량을� 집중하여� ①발생․유입,� ②측정․예보,� ③집진․저가,� ④보호․대응� 등� 4대� 분야의�근본적․과학적�해결책�마련

▪ 정부는� ‘과학기술기반� 미세먼지� 대응� 전략’의� 추진을� 통해� 2023년까지� 사업체� 초미세먼지� 배출량을�절반으로�줄이고,� 총� 47조� 원의� 국내외�시장� 창출에�기여할�것으로�기대

� � � �

구분 ‘14년 ‘23

기술개발

초미세먼지�농도(서울) 25㎍/㎥ 20㎍/㎥

예보정확도(고농도)� 및�기간 62%,� 2일 75%�이상,� 7일

초미세먼지�배출량* 약� 170만톤 85만톤

신시장

창출**

국내�시장 6.2조원 17조원

해외�수출 3.3조원 30조원

일자리�창출** 3.7만명 10만명

*초미세먼지�배출저감�목표� :� 사업장� PM,� NOx,� SOx,� VOCs�총�배출량�기준

**시장․일자리� :� ‘대기환경산업’�기준(약� 70%�이상이�미세먼지�대응분야)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67

3.� 기업� 분석

가.� 주요기업�비교

온도,� 습도,� 압력,� 가스� 등� 생활� 주변의� 환경을�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환경센서는� IoT� 기술의� 확산과� 함께� 쾌적하고� 안전한� 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대하면서� 그�

수요가�급격하게�증가하고�있음

▪ 환경센서의� 대표적인� 것으로� 온도센서,� 습도센서,� 가스(화학)센서,� 바이오센서,� 소음� 센서� 등이� 있음.�온도� 센서는�대기,� 토양,� 수질� 오염을�모니터링하기�위해�시료의�온도를�측정하는데�사용됨

구분 해외업체 국내업체 응용분야

온도센서

Sensirion,� ST마이크로,�

실리콘랩스� Sensivision,�

Kamstrup,� Auxitrol,�

Temperatrue�

Specialists

오토닉스,�

GE써모텍,� 써머텍,�

SY하이텍

자동차,� 의료,� 환경,�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습도센서

Sensirion,� ST마이크로,�

Sensivision,� Able�

Instruments&Control,�

IST� AG

삼영에스앤씨,�

SY하이텍

자동차,� 의료,� 환경,�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화학(가스)센서

Honeywell,� Emerson�

Electric,� City�

Technology,�

Membrapor,� Figaro,�

Fis� Nemoto,� Riken�

Keiki

오토전자,�

신우전자,�

한국가스기기,�

세주실업,�

센텍코리아,�

㈜센코,�

유민에쓰티,�

이엘티센서

자동차,� 의료,� 환경,� 자동화공정,�

가정/사무,� 보안,� 모바일기기

바이오

센서

혈당�

센서

산쿄제약,� Sontra,�

Medical

아이센스,�

올메디쿠스의료,� 바이오

단백질�

센서

Ciphergen,� Genome�

Solutions

프로테오젠,�

파나진,�

바이오메드포토닉스

환경,� 의료,� 보안,� 바이오

DNA�

센서

Affymetrics,� 캐피털�

바이오,� Caliper�

Technologies

굿젠,� 네오딘,�

디스진,� 마이크로젠환경,� 의료,� 보안,� 바이오

세포칩마쯔시타전기,� Cephied,�

Applied� Biosystems제노프라 가정/사무,� 환경,� 의료,� 바이오

*�출처� :� KIAT� &� IITP,�스마트제조� R&D�중장기로드맵-스마트센서,� 2015.� 인용,� KISTI� 재작성

[� 환경센서�주요기업�비교]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68

국내�중소기업�사례

▪ 케이웨더의� ‘에어가드� K� OAQ� 스테이션'은� 공기의� 질� 모니터링� 및� 관리� 시스템으로� IoT기반의� 실외�미세먼지,� 총휘발성유기화합물�측정이�가능하며,� 실시간으로�측정값을�스마트�폰과� PC로� 확인� 가능�

▪ (주)동일그린시스는� 대기환경의� 오염상황� 및� 기상상황� 등을� 통합적으로� 연속� 측정하기� 위해� 설계된�대기측정� 모니터링� 시스템� 생산.� 건식측정방식의� 자동� 측정기로� 전자동� 감도교정기능,� 기상�

적정법에�의한�표준가스�조제기능,� 자기�동작� 체크기능�등을�장착

▪ knj엔지니어링은� 실내공기질� PM10,� CO,� CO2,� NOx� 실시간� 자동� 측정� 시스템,� 포름알데히드�휴대용�측정기�등� 실내� 공기질�모니터링(IAQ)� 제품을�생산�

▪ (주)누리런은� 공기질� 농도� 측정을� 위한� 휴대용� 관측시스템인� 'DUSTMATE',� 오염� 물질� 가스� 및�소음과� 같은� 외부� 센서들과� 함께� 환경센서등의� 대기질� 정보(TSP,� PM10,� PM2.5� 및� PM1)들을�

수집,� 관리� 및� 표출해주는� 응용소프트웨어� 'AirQ'� 등�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제공� 기업.�

미세먼지(PM2.5,� PM10)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미세먼지� 정보를� 컬러� LED� 전광판으로�

표시해주는� IoT� 적용� 실내공기질�측정�시스템� 'AirMango'을� '2017� 기상기후산업�박람회'에� 출품함

▪ 에이큐케이의� 실내� 공기질� 관리� 솔루션� 'AQK'는� 공기질� 센서를� 통해� 실내외� 공기정보를� 수집하고�비교해� 공조시스템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실시간� 공기� 케어� 시스템.� 공기질� 측정� 센서의� 확장을�

위해� 라돈센서와�이산화탄소�센서를�적용하는�연구를�진행� 중�

▪ (주)이쓰리의� ‘에어콕'은� 휴대가� 가능한� 미세먼지� 측정기(PM2.5)로� 집,� 야외,� 차량� 안� 등� 다양한�환경에서� 미세먼지� 측정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을� 통해� 측정� 결과� 확인� 가능.� 광학/적외선� 방식이�

아닌� 레이저�산광계측�방법을�쓰기�때문에�다른�제품에�비해�측정� 정확도가�높음�

국내업체 자산총계 매출액매출액

증가율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률 R&D집중도

케이웨더 7,441� 6,557� -19.8� -21.1� -21.1� 0.9�

(주)동일그린시스 5,829� 4,806� 0.3� 5.1� 5.2� 4.4�

knj엔지니어링 1,252� 1,527� -36.6� 5.1� 3.1� 0.2�

(주)이쓰리 647� 2,638� -20.2� -10.8� -6.7� 5.3�

[� 주요� 중소기업�비교� ]

(단위:� 백만� 원,%)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69

나.� 주요업체별�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Bosch,� Novasensor,� Honeywell,� Areescale,� Analog� Device� 등� 글로벌� 기업들이� 센서� 및�

스마트�센서� R&D를�주도

▪ 자동차용� 센서의� 경우,� Bosch,� Freescale,� Analoge� Device,� BEI� Tech� 등� 현재� 약� 40개� 이상의�글로벌�기업이�경쟁하고�있으며,� 가격,� 신뢰성,� 크기,� 정밀도�등이� 주요�경쟁요소

▪ 의료용� 센서의� 경우,� Novasensor,� Honeywell,� Measurement� Specialities� 등의� 기업이� 전세계�시장의� 50%� 이상을�차지하고�있으며,� 안전승인,� 장수명,� 신뢰성,� 정밀도,� 가격�등이� 주요� 경쟁요소

▪ 항공/군수용의� 경우,� Honeywell,� BEI� Tech,� Colibrys� 등� 현재� 약� 15개� 이상이� R&D� 및� 생산에�참여하고�있으며,� 검출범위,� 충격� 방지,� 저전력,� 장기� 안전성�등이� 주요�경쟁요소

▪ 민수용� 센서의� 경우,� Analog� Device,� ST� Micro,� Freescale,� Hitachi,� Bosch� 등� 현재� 약� 15개�이상의�글로벌�기업이�경쟁하고�있으며,� 가격,� 정밀도,� 크기�등이� 주요� 경쟁요소

가스센서�기업� Honeywell(미국)은� 가연성�가스,� 산소�및� 유독성�가스센서를�개발

▪ 세계� 휴대용� 가스� 검출기� 시장에서� 독보적인� 1위� 기업이며,� 전체� 가스센서� 시장의� 30%의� 비중을�차지

영국의� City� Technology는� 가스센서� 선도기업으로� 촉매입자를� 이용한� 전기화학식� 센서,�

적외선식�센서를�주력제품으로�함

바이오센서� 분야에서는� Graphene� Sensors� Inc(캐나다)와� Meditel� Technologies(인도)의�

조인트� 벤처인� Single� Member� LLC가� 그래핀� 바이오센서의� 개발과� 상용화를� 위해� 2015년�

3,600만�달러를�투자함

▪ 세계적인� 테러와� 생물학전의� 위협이� 증대하는� 가운데� 미국,� 중국,� 일본,� 영국,� 러시아� 등의� 국가와�주요기업들은�생물학�제제� 및� 병원균�탐지능력�향상을�위해� 투자를�늘리고�있음

먼지센서의� 제품� 경쟁력은� 내구성,� 동작� 안정성� 및� 가격에� 의해� 결정되는데,� 다른� 환경센서에�

비해�상대적으로�동작�성능�사양은�단순한�편임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70

제조사(국적) Sharp(일본) Shinyei� Technology(일본)Amphenol� Advanced�

Sensors(미국)

모델명 GP2Y1010AUOF PPD42NJ/PPD60PV SM-PWM-01A

제품사진

크기 46×30×18㎣59×45×22㎣� (PPD42NJ)

88×60×22㎣� (PPD60PV)59×45×18㎣

공급전압 5V 5V 5V

동작온도 -10~65℃ 0~45℃ -10~60℃

소모전류 최대� 20㎃� @5V90㎃(PPD42NJ),

최대� 150㎃(PPD60PV)100㎃

측정먼지 PM1.0,� PM2.5,� PM10PM0.5(PPD60PV),

PM1.0,� 2.5(PPD42NJ)PM1.0,� P2.5,� PM10

민감도 0.5V/(0.1㎎/㎥) - -

인터페이스 디지털� 디지털 아날로그(PWM)

*�출처� :� KIET� PD� Issue� Report,� 대기환경�센서�기술동향� June� 2016.

[� 먼지센서의�주요�제품�및�성능�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71

(2)� 국내업체동향

국내�센서�산업의�경우�삼성전자�등� 일부�대기업을�제외하고는�대부분의�기업이�영세

▪ 상당수의�기업이�수입된�센서를�기반으로�제품의�후가공,� 조립,� 패키징에�의한�모듈�생산에�의존▪ 일부� 품목을� 중심으로� 칩과� 프로토� 타입이� 개발되고� 있지만,� 기술� 격차도� 상당한� 수준인� 것으로�나타남

국내� 센서� 산업은� 기반기술� 부족으로� 센서� 칩을� 수입한� 뒤� 모듈화해서� 공급하는� 수준에�

그치고�있음

▪ 직접� 칩을� 개발해도� 시험·평가할� 수� 있는� 생산� 시설이나� 테스트� 기관이� 없는� 상황이며,� 기술� 특허는�양적·질적� 모두� 글로벌�평균� 이하인�상황임

▪ 휴대폰용� 이미지센서가� 선방해� 세계� 센서시장� 생산량의� 1.7%를� 차지했지만� 이후� 새로운�성장동력이�없는�실정

국내에서도�환경센서에�대한�기술�개발이�활발하게�진행되고�있음

▪ 삼영에스앤씨는�습도센서(저항형�및� 정전용량형),� 온습도센서�및� 먼지센서를�생산하고�있음▪ 센텍코리아는� 국내� 최고의� 반도체식� 가스센서� 회사로� 알콜,� LPG/LNG,� VOC,� CO� 등을� 측정하는�반도체식�가스센서와�이를�응용한�음주측정기�및� 가스경보기�제품을�생산

▪ 센코는� 국내� 최고의�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회사로� O2,� CO,� NO2,� H2S,� H2� 등을� 측정하는�전기화학식� 가스센서를� 중심으로� 다양한� 가스센서와� 이를� 응용한� 휴대형� 및� 고정식� 가스검지기를�

생산

▪ 이엘티센서는�국내�최고의� NDIR� 방식� 가스센서�회사로�이산화탄소�및� 메탄� 가스센서를�생산▪ 와이즈산전은� 반도체식� MEMS형� VOC� 가스센서,� IR� 방식� 온도센서� 및� MEMS� 마이크로히터를�광원으로�사용하는�광학식�가스센서를�상용화�개발

▪ 알앤에스랩은�전기화학식�MEMS형� 이산화탄소�가스센서를�상용화�개발� 중임

정부투자로�수행된�환경센서�관련�연구과제

▪ 환경/소비가전/자동차� 응용� 가스센서가� 가장� 많고,� 그� 외에� 자동차용� 온도센서,� 환경용� 습도센서� 및�먼지센서가�있음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72

[� 환경센서�관련�정부� R&D�과제� 추진� 현황� ]

출연처 사업명 과제명연구기관

(연구비)

주관

기관연구내용

중소

기업청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기상관측용�정전용량형

정밀�습도센서�및� 고분자�

감습막�소재� 개발

2013.11∼2015.10

(1.9억원�@2013년)

지비엠

아이엔씨

정전용량형

습도센서

산업통상

자원부

소재부품

기술개발

수분흡탈착�히스테리시

스�제어를�통한�유무기

하이브리드�습도센서�개발

2014.11∼2017.10

(5.4억원�@2014년)

지비엠

아이엔씨

저항형

습도센서

미래창조

과학부

선도연구

센터지원

고기능의�휴대형�환경

계측용�가스센서�개발

2008.09∼2015.02

(2.8억원�@2012년)경북대

색변환�광학식

VOC� 가스센서

환경부차세대핵심

환경기술개발

유해가스�측정용�고정밀

/고감도�가스센서�개발

2009.03∼2011.08

(2.7억원�@2010년)조선대

CO2,� NO2,

HCHO�가스센서

미래창조

과학부

글로벌

프론티어사업환경센서

2011.09∼2020.08

(8.6억원�@2014년)KAIST

헬스케어/

환경용가스�

센서,

환경용�중금속�

센서

미래창조

과학부

연구개발

특구육성

미세가공을�이용한�후막형�

반도체식�가스센서�사업화

2011.09∼2013.08

(4.7억원�@2012년)

센텍

코리아

반도체식

MEMS형�알콜

가스센서

중소

기업청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가스연료�차량용�저소비전력형

접촉연소식�가스센서�모듈

2011.06∼2013.05

(2.5억원�@2012년)

전자부품

연구원

접촉연소식

CNG/LNG

가스센서

중소

기업청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CO-CH4� 선택적�검지가�

가능한�일체형�듀얼� 가스센서�

및�모듈�개발

2012.06∼2014.05

(2.2억원@2013년)맥콘

CO/CH4

가스센서

산업통상

자원부

소재부품

기술개발

산업현장�유해가스�및�대기오

염�물질�누설여부�감지를�위한�

5%미만�상호간섭성과�

10%미만�정밀도의�

전기화학식�가스센서�기술개발

2013.10∼2016.09

(6.4억원�@2014년)센코

전기화학식

HF,� NO2,� SO2

가스센서

산업통상

자원부

에너지자원

융합핵심

기술개발

고분자화합물�코팅� 소재�및�

필름형� LNG� LPG� 가스센서�

개발

2013.12∼2016.09

(4.0억원�@2014년)

유민

에쓰티

반도체식

LNG,� LPG

가스센서

산업통상

자원부

소재부품

기술개발

칼코지나이드�나노구조체�기반

상온구동(25℃)� 초저전력� H2�

및� H2S� 감지�가스센서�개발

2014.11∼2017.10

(5.1억원�@2014년)가스트론

H2,� H2S

가스센서

중소

기업청

중소기업

기술혁신개발

휴대단말기용�근접센서�및�

조도센서�일체형� Chip� 개발

2014.12∼2015.12

(2.5억원�@2014년)

엔아이디

에스

PM2.5

먼지센서

산업통상

자원부

센서산업

고도화전문

기술개발

다종�나노소자�기반�초소형�

유해가스�센서�시스템�기술�

개발

2015.07∼2019.06

(10억원�@2015년)UNIST

반도체식

나노�가스센서

*�출처� :� KIET� PD� Issue� Report,�대기환경�센서�기술동향� June� 2016.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73

4.� 기술개발�현황

가.� 기술개발�이슈

미세먼지�센서�관련�연구�개발�동향�

▪ 최근� 초미세먼지(PM2.5)� 오염은�사회적� 이슈로� 크게� 부각되면서� 오염� 현상과�원인,� 대책� 등� 다양한�측면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 중국� 발생� 미세먼지의� 한반도� 영향과� 관련하여� 한중간� 국제협력이�

진행되고�있으며,� 국내� 미세먼지�발생�원인�규명에도�연구가�진행되고�있음

▪ 미세먼지� 정밀� 측정� 기술로� 질량농도� 측정은� 주로� beta� attenuation� 기술이� 사용되고� 있고,� 화학적�특성� 분석에� ion� chromatography,� 광역적� 측정에� 위성을� 이용한� 에어로졸과� 통계모델을� 활용한�

측정� 기술들이�사용되고�있음

▪ 일반� 사용자� 또는� 공기청정기와� 같은� 응용제품에� 활용하기� 위해서� 정밀� 측정� 기술들은� 한계를� 갖고�있기� 때문에�주로� 광산란�방식을�이용한�소형화�경량화된�미세먼지�센서들이�제품화가�이루어짐�

스마트� 기기의� 보급� 및� IoT� 기술의� 발전과� 더블어� 미세먼지� 센서의� 소형화� 경량화�

기술개발들이�활발한�진행이�이루지고�있음� �

▪ 광산란� 방식의� 미세먼지� 센서에� 사용되는� 광원� 및� 광학계를� 차별화여� 측정� 데이터의� 신뢰성을�높이고,�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PM2.5)� 선택적을�높이는�기술� 개발이�진행� �

▪ 휴대� 및� 웨어러블� 장착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 및� 사물인터넷에� 적용을� 위해� 초소형�정밀가공기술(MEMS)을� 사용한�보다� 소형화�경량화된�미세먼지�측정�센서� 기술�개발이�진행�

공기오염에� 의한� 직간접적� 피해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쾌적한� 생활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대기환경� 센서� 및� 모니터링� 기기에� 대한� 시장�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특히� 최근� 스마트� 홈/빌딩/공장� 구현을� 위한� IoT� 기반의� 환경� 모니터링� 및� 관리� 기술이�

부각되면서�향후�대기환경�센서에�대한�수요가�더욱�커질�것으로�전망됨

대기환경� 센서� 기술은� 저가격화,� 저전력화,� 고성능/고신뢰성화,� 소형화� 및� 디지털화를�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데,� 발전을� 위한� 핵심� 기반기술은� 다른� 센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MEMS� 및� 나노� 기술임.� 특히� 여러� 종류의� 개별센서를� 칩� 또는� 패키지� 레벨에서� 일체화한�

복합환경센서가�차세대�제품으로�주목받고�있음

▪ 가스센서는� 반도체,� MEMS� 및� 나노의� 융합기술� 기반으로�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반도체� 및�광학� 기술� 기반의�온습도센서�및� 먼지센서에�비해�발전� 가능성이�매우�높음�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74

나.� 특허동향�분석

◎�미세먼지�측정�시스템�특허�상� 주요�기술

주요�기술�

▪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은� 감지기술로� 미세먼지� 감지센서� 기술,� 미세먼지� 감지장치� 기술이� 있고� 분석�기술로� 미세먼지� 정보� 분석� 기술,� 감지센서� 네트워크� 기술로� 구성되며� 모니터링� 기술로� 미세먼지�

예보�기술이�존재함

분류 요소기술 설명

감지기술

미세먼지�감지센서�기술MEMS기술,� 광학기술을�융합하여�미세먼지를�감지하는�

센서기술

미세먼지�감지장치�기술기존�고정�측정� 장치�포함�차량� 및� 드론�등을�활용한�이동관측�

플랫폼�응용� 기술

분석기술

미세먼지�정보�분석기술미세먼지의�실시간�농도·성분� 측정�원천기술을�확보하고,�

미세먼지�정보를�통합� 분석하는�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미세먼지�감지센서에서�발생되는�정보를�유무선�통신망을�이용�

센서�네트워크를�형성기술

모니터링�

기술미세먼지�예보�기술

육상�뿐만아니�상공과�해상을�포함하는�미세먼지�정보를�

입체적으로�분석하여�해외�유입량,� 국내�오염원별�기여도를�

빅데이터․인공지능�적용�등을�통해� 모니터링하고�미세먼지를�예보하는�기술

◎�세부�분야별�특허동향

주요�기술별�국가별�특허동향

▪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의� 요소기술별� 주요� 국가별� 특허정보� 데이터� 입수하였으며,� 최근� 5년간의�특허데이터를�비교�분석함

분류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계

감지기술

미세먼지�감지센서�기술

84 231 3 57 366

미세먼지�감지장치�기술

분석기술

미세먼지�정보�분석기술

39 6 1 2 50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모니터링�

기술미세먼지�예보� 기술 47 10 1 2 67

합계 170 247 5 61 483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75

▪� 국가별� 요소기술별� 특허동향에서� 미국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한국,�유럽,� 일본�순으로�나타남

▪ 세부적으로� 감지� 기술분야에서는� 미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이� 상대적으로�적은�출원량을�보유하고�있음,�

▪ 분석� 기술� 분야는� 한국이� 가장� 많은� 특허출원�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유럽� 및� 일본이� 상대적으로�적은�특허출원을�나타내고�있음

▪ 모니터링�기술은�한국이�가장� 많은� 비중을�차지하고�있으며,� 유럽� 및� 일본은�최근� 5년간� 특허활동이�매우�저조한�편으로�나타남

주요�기술별�출원인�동향

분류 요소기술기술�

집중도주요출원인 국내�특허동향

감지기술미세먼지�감지센서�기술 ◕

FORD

DENSO

현대자동차�등

중소기업이�주도

비즈니스랩,�

평화엔지니어링�등�미세먼지�감지장치�기술

분석기술

미세먼지�정보� 분석기술

◔동의대학교

동국대학교

Johnson�

Matthey� PLC

대학이�주도

동의대학교,� 동국대학교�

등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모니터링�

기술미세먼지�예보�기술 ◔

Google� Inc.

Honeywell�

International�

Inc.

한국과학기술

연구원

공공기관이�주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환경부�등

감지기술�주요�출원인�동향

▪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은� FORD,� DENSO,� 현대� 자동차� 등� 자동차� 흡/배기� 내� 미세먼지� 측정� 관련�가장� 많은� 특허를�보유하고�있음

분석�기술�주요�출원인�동향

▪ 유해물질� 배출평가� 기술분야는� 동국대학교,� 동의대학교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 Johnson�Matthey�PLC� 등이�많은� 특허를�출원하고�있음

모니터링�기술�주요�출원인�동향

▪ 유해물질� 배출평가� 기술분야는� Google� Inc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Honeywell� International� Inc,� 비즈니스랩�등이�많은�특허를�출원하고�있음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76

◎�미세먼지�측정�시스템�분야의�주요�경쟁기술�및� 공백기술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미세먼지� 감지기술이고,� 공백기술은� 미세먼지�

분석기술로�나타남

▪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분야에서� 미세먼지� 감지센서� 기술이� 가장� 경쟁이� 치열할� 분야이고,� 미세먼지�정보�분석� 기술분야는�아직까지�출원이�활발하지�않은�공백기술�분야로�나타남

분류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감지기술

미세먼지�감지센서�기술

미세먼지�감지장치�기술

●분석기술미세먼지�정보� 분석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모니터링�기술 미세먼지�예보�기술 ●

※ ●: 50건 이상, ◕: 30~49건, ◓: 20~29건, ◔: 10~19건, ◯: 10건 미만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77

◎�최신�국내�특허기술�동향

분류 요소기술 최근�핵심기술�동향

감지기술

미세먼지�감지센서�기술

PM� 2.5이하�입자를�감자하는�휴대용�제품�출시

초미세먼지� (PM1.0)과�관련하여�입자의�전기적�이동도를�

이용한� SMPS7)와�WPS8)� 기술,� 및� 화학적�조성(탄소,�

질소,� 황,� 중금속�등)의�측정� 기술�개발�중

미세먼지�감지장치�기술드론,� 차량�등을�활용한�미세먼지의�모델링과�예측� 기술�

발전을�위한� 이동관측�플랫폼을�적용한�기술� 개발�진행�중

분석기술

미세먼지�정보�분석기술 미세먼지의�실시간�성분� 분석�및�농도측정을�위한�

원천기술�개발� 중

초미세먼지의�시공간적�다양한�조건별�측정자료�확보를�

위해서�상대�농도계에�의한� 간접측정방법인�광산란식�

측정기기의�신뢰성과�정확성�확보

IoT� 센서� 등을�활용해�스마트폰�앱과�연동하여�관리자�

뿐만�아니라�미세먼지�정보를�공개하는� S/W� 개발�중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모니터링�

기술미세먼지�예보� 기술 기상모델과�협업을�통한� 정확도�높은� 예보�모델�구축� 중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미세먼지� 감지� 기술은� 중소기업� 중심,� 분석기술은� 대학�

주도하고� 있으며,� 모니터링� 기술은� 공공기관이� 주도하여�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나타남

▪ 미세먼지� 감지� 센서� 기술은� 미세먼지의� 측정�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광� 산란법� 기반의�휴대용� 기술이� 출원� 되었으며� PM2.5� 이하의� 더� 작은� 초미세먼지에� 대응하기� 위해� SMPS7,� WPS8�

및� � 화학적�조성(탄소,� 질소,� 황,� 중금속�등)의� 측정� 기술�개발� 중에� 있음

▪ 미세먼지� 감지� 장치은� 초미세먼지의� 특성� 및� 내부발생� 특성을� 파악을� 위해� 전국� 단위의� 측정분석이�요구되고� 있어� 실시간� 초미세먼지의� 입자의� 입경별� 분포� 특성� 및� 초미세먼지의� 시공간적� 다양한�

조건별�측정자료�확보를�위해� 자동차,� 드론�등에� 접목되어�이동관측�플랫폼으로�발전하고�있음

▪ 미세먼지� 분석� 및� 네트워크� 기술은� 초미세먼지의� 시공간적� 다양한� 조건별� 측정자료� 확보를� 위해서�상대� 농도계에� 의한� 간접측정방법인� 광산란식� 측정기기의� 신뢰성과� 정확성� 확보하고� 있으며� IoT�

센서� 등을� 활용해�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여� 관리자�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정보를� 공개하는� S/W�

개발� 중임

▪ 미세먼지�모니터링�기술은�기상모델과�협업을�통한�정확도�높은�예보� 모델� 구축�중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78

◎�중소기업�특허전략�수립�방향�및� 시사점

미세먼지�측정�시스템�분야의�공백기술�분야는�미세먼지�분석�기술로�나타남

▪ 국내�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시장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할�수� 있도록� 대기질� 현황파악,� 환경기준� 초과여부의� 감시� 및� 국내․외� 배출원� 감시� 및� 미세먼지� DB�구축을�위한�정확한�분석�기술이�필요한�상황임

▪ 현재� 미세먼지예보는� 매우� 낮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개선하고�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수집한� 미세먼지� 데이터의� 물리.화학적� 성분,� 존재형태,� 배출원� 등� 특성을� 시공간적으로� 연계하여�

분석하기�위한�기술� 확보가�필요한�상황임

▪ 해당�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미세먼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 패러다임,� 분산� 병렬� 컴퓨팅,�빅데이터� 선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딥러닝과� 연계시킨� 미세먼지� 정보�

분석기술전략�수립이�필요함

▪ 따라서� 해당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이전받거나� 공동은� 연구개발하여�제품화하는�특허전략을�수립하는�바람직할�것으로�사료됨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79

5.� 연구개발�네트워크

가.� 연구개발�기관/자원

◎�연구개발�기관

스마트�센서�및�환경�센서�기술�분야�주요�연구개발�기관

▪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센터장�김재준�교수)-� 스마트센서�인터페이스,� 스마트센서�소자�및� 소재,� 웨어러블�스마트센서�등� 3개� 분야를�융합� 연구

-� 자동차,� 모바일,� 산업방재�등�분야별로�특화된�사업�중심의�기술�개발

-� 관련� 중소기업의�제품�설계에서부터�양산까지�적극�지원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이대성)-� 스마트센서연구센터를� 설립해� 나노/MEMS� 기반� 스마트센서,� 차세대� 입력디바이스� 및� 내츄럴�

UI/UX,� 집적광학센서� 및� 소자,� 환경/바이오센서� 및� 소자,� 무선전력� 등� 자립형� 디바이스� 기술,�

스마트센서�응용�시스템을�개발�중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SiP형� 온도/습도/가스� 복합환경센서를� 연구시제품� 수준으로� 개발하여� 중소기업에� 기술이전을� 통한�

상용화를�추진하고�있음

-� ETRI의� 복합환경센서는� 자체� 개발한� 반도체식� MEMS형� 폼알데하이드(HCHO)� 센서,� 전기화학식�

MEMS형�이산화탄소(CO2)가스센서�및� 온도센서가�내장된� ROIC� 칩을� 이용함

▪ POSCO-� ICT� 요소� 기술� 적용� 시도(빅데이터를� 활용한� 제품불량� 및� 압연기� 고장� 사전� 예측,� 냉연,� 열연코일,�

GPS,� Bluetooth� 및� 센서를� 활용한� 작업자� 안전관리,� 공장� 신설� 및� 증설� 시� 가상현실을� 통한� 검증�

등)

▪ 에이시에스-� 실시간� 생산정보화를� 위한�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을� 제공하며� MES� 솔루션,� IoT� 센서� 및�

디바이스까지�공장�전반에�걸쳐� 하드웨어,� 미들웨어,� IT� 서비스를�제공

*�출처� :� KIET� PD� Issue� Report,� 대기환경�센서�기술동향� June� 2016.

[� 전자부품�연구원(KETI)의� 온습도센서(좌)� 및� ETRI의� 온도/습도/가스�복합환경센서�연구시제품�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80

◎�연구개발�자원

국가�연구개발�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전략핵심소재기술개발사업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 산업엔진�프로젝트(19대�미래성장동력)

­� 차세대�스마트러닝�산업지원센터�구축사업

-� ‘14년� 「첨단� 스마트센서�육성계획」� 발표

-�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

▪중소기업진흥공단-� 인력양성� (컨설팅� 지원사업)� :�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여� 성장기‧정체기�기업의�지속성장을�위한�근본체질�강화�및�글로벌�경쟁력�확보

▪ K-ICT� 스마트�디바이스�육성방안(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업�혁신� 3.0전략�실행대책의�후속조치

-� 성장성·경쟁력� 등을� 고려해� 10대�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모듈기술� 및� 스마트� 센서� 핵심� 성능� 구현을�

위한� 공정·회로설계�기술�개발

-�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 개발·제작·테스트를� 위한� 단계별� 맞춤형� 지원� 및� 공통� 시설·장비� 등� 제작�

지원� 환경�구축

-� 투자유치·마케팅�진행� 및� 해외�시장진출�지원

-� 스마트�디바이스�분야의�석·박사급�전문인력�양성�및� 디바이스�제작�프로그램�개발·보급�등�저변확대

▪ IoT� 서비스�적용�스마트�센서�사업� 품목� 도출(미래창조과학부)-� IoT센서� ROIC� 등� 2개�분야로�각� 과제당� 30~40억/5년(3+2년)� 지원

-� 나노인프라�연계� 2015년� 45억� 확정

중소기업�대상�시설�및� 장비�지원

▪ 중소기업전용연구시설(Rental� La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동연구� 수행�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에게� 연구공간을� 제공하고,�

연구원�인프라(인력,� 장비� 등)를�활용한�근접�지원을�통해�기업의�생산성�및� 경쟁력을�높이고�있음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미래창조과학부)-� 장비활용� 종합포털사이트� ZEUS를� 통해�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활용� 극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체계화하고�모두가�편리하게�이용할�수�있도록�최상의�서비스를�제공

▪ 산업기술개발� 장비� 공동이용시스템� e-Tube�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e-Tube를� 통해� 산업기술� R&D에� 필요한� 연구장비를� 보다�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있도록�

적극�지원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81

▪ 첨단스마트센서�거점센터�구축사업((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경북지역�내�중소·중견기업�중�스마트센서�기업�및� 업종�다각화�희망기업�대상

-� 스마트센서�관련�제품개발�및� 조기�상품화를�위한�시제품�설계� 지원

-� 회로설계,� 전자기파�간섭�해석,� 소비전력�해석� SW� 지원

-� 수혜기업�기업부담금�없음�

▪ 공통서비스�인프라�구축·운영� 사업(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 중소기업이� R&D� 및� 상용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애로기술� 지원,� 시험� 측정장비� 지원� 및�

고주파�시험시설을�활용한�시험지원�등에�대한� 통합기술을�지원

-� 시험지원은� 고주파� 부품,� 모듈� 등의� 고주파� 특성,� PIMD,� 신뢰성� 시험지원� 및� 민간� 시험시설� 공동�

활용을�통한� 민간시험시설을�지원

-� 장비지원은�고가의�시험·측정� 장비를� IT� 중소기업에게�임대

▪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중소벤처기업부)-� 주관기관이�보유한�연구시설과�장비,� 소프트웨어를�중소기업이�공동�활용하도록�지원

-� 연구개발과�설계�및� 디자인,� 시제품�제작,� 성능평가,� 양산� 및� 마케팅에�이르는�원스톱�지원

-� 중소기업이�첨단�고가�연구장비를�쉽게�이용할�수� 있도록�지원

▪ 시제품�제작을�위한� 시설�및�제작장비�공동�활용(K-ICT� 디바이스랩)-� 지역� 인프라와� K-ICT� 디바이스랩의�장비와�시설�현황을�공유하고�연계�활용� 추진

-� 旣� 구축된� 시제품� 제작� 지원시설을� 연계·활용� 및� 웨어러블� 특화� 장비(유연소재� 3D프린터� 등)� 추가�

구축을�통해� 웨어러블�특화�시제품�제작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82

나.� 연구개발�인력

미세먼지� 측정� 시스템� 기술� 분야는� 전자부품연구원,�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등�기관에서�연구개발을�진행하고�있음

기관 성명 직급

전자부품연구원 이대성 센터장

전자부품연구원 김준철 센터장

전자부품연구원 김정곤 책임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박광범 수석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홍성민 팀장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김주영 센터장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추성중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우승탁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박재률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유종호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정상훈 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김재준 센터장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박재률 선임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유종호 책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송사광 실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육진희 실장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기술� 분야� 주요�연구인력�현황�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83

다.� 기술이전가능�기술

기술이전이� 가능한� 기관은�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등이�있음

이전�기술에�대한�세부�내용

분류 세부내용

기술명 •이종센서�정보�변환�및�연결기술

기술개요

•본� 기술은� 이종의� 다수� 센서를� 사용하는� 다중센서� 허브� 플랫폼� 기술에� 관한�

것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연결할수� 있는� 센서� 인터페이스,� 이들�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센싱�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 처리� 기능과� 최종� 정보를�

외부로�전송하는�통신�기능을�통합한� IoT센서용�센서�플랫폼�기술임�

기술이전�목적�및�필요성

•사물인터넷�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모든� 사물들은� 인터넷을� 통해� 상호� 연결되고�

있으며,� 특히� 정보의� 변화량을� 측정하는� 센서들은� 정보처리� 능력과� 통신기능을�

부가한� IoT�센서로�발전하고�있음

•사물인터넷에� 활용하는� 센서들은� 지속적인� 동작으로� 인해� 전력소모량이� 매우�

중요한� 반면에� 오픈소스로� 제공되는� 센서� 플랫폼들은� 사용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지� 않으며� 이로인해� 하드웨어의� 소형화� 및� 소프트웨어의� 최적화� 등의�

문제가�있음

•본� 기술의� 센서� 허브� 플랫폼은� MCU제품군� 중에서� 최저전력을� 지원하는� TI社�

의� MSP430� 제품에� 최적화� 되어� 있으므로,� 어떠한� 센서를� 활용한�

응용제품에서도� 저전력으로� 구현가능하며,� 다양한� 센서� 인터페이스를� 통해�

응용제품�개발이�용이함�

•본� 기술의� 센서� 허브� 플랫폼은� 센서로부터� 얻어진�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유무선� 환경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특히� PC기반의� 데이터� 분석을� 위한� 유선�

UART와�무선단말�기반의�데이터�분석을�위한� NFC�인터페이스를�지원함

•특히� NFC� 기반의� 전송� 프로토콜은� 소량의� 센서데이터를� 최소의� 전력으로�

전송하기� 위한� IoT� 디바이스에� 최적화된� 전송기술이며,� 관련된� 소프트웨어� 환경�

및�전송�프레임에�대한�규격도�제시함�

기술의�특징�및�장점

•IoT센서의�완전한�기능�제공

•사물인터넷�디바이스로�활용가능한� ‘센서+신호처리+통신’�기능�구현

•다양한�종류의�센서�구동�가능

•온도�센서�인터페이스

•압력센서�인터페이스

•습도센서�인터페이스

•기타�디지털�센서�인터페이스

•MSP�Micro-controller에�최적화된�다중센서�플랫폼

•외부�인터페이스를�통한�정보�전송�기능�제공

•유선전송을�위한� UART� 인터페이스

[� 이종센서�정보� 변환� 및� 연결기술�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84

•무선�전송을�위한� NFC통신�프로토콜�지원

•13.56MHz� NFC통신을�위한�MCU�기반의�소프트웨어�지원

•10cm�이내의�근거리�무선통신을�위한� NFC통신용� RF� 칩� 인터페이스�지원

•기타�무선�전송을�위한�인터페이스�지원

•BT�혹은� BLE지원을�위한�외부�인터페이스�지원�

기술성숙도(TRL) •단계:� 5

활용방안�및� 기대성과

•사용자�편의성을�위한�서비스

•차량용� 시트등에� 적용하여� 사용자와� 사용자의� 상태에� 따라� 차량내의� 다양한�

환경조건들을� 사용자에� 최적화된� 상태로� 제어하는� 서비스로써,� 최근에� 고급�

승용차내의� 운전차� 인식� 시스템� 혹은� 특장차의� 실내환경� 제어등의� 용도로�

개발중

•재난안전�대응장비�관리

•일상적인� 관리와�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 재난대응� 장비의� 모니터링을� 위하여�

다중센서�모듈을�활용한�움직임�및�교체주기�파악등의�서비스에�활용가능

•스마트�홈�및�가전�제품에�적용

•센서� 허브� 플랫폼을� 활용하여� 생체신호�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심전도,� 맥박� 및�

체온에�대한�모니터링을�통해�개인의�건강정보를�관리하는�제품에�응용�가능�

•착용형� IoT� 디바이스에�적용�제품에�적용

•별도의� 가속도,� 자이로센서등을� 활용하여� 개인의� 움직임을� 관찰하고� 활동량을�

모니터링하여� 생활습관을� 교정하고� 운동량을� 측정하는� 착용형� 디바이스� 제품에�

활용�가능

•대기환경,�실내오염�등�환경용� IoT� 디바이스�제품에�적용

•Co2,� Co� 및� 수질센서� 등� 다양한� 환경센서들과� 연계하여� 실내외� 환경� 및�

대기환경� 모니터링을� 통해� 오염환경을� 개선하고� 피드백을� 하는� 환경관리용� IoT�

디바이스에�활용가능� � �

기술이전�내용� 및� 범위

•Micro� Controller� 기반의�다중센서�허브�플랫폼�기술

•다중�센서인터페이스�기능

•MCU기반의�센서데이터�처리�및�정보추출�기능

•정보전송을�위한�통신�인터페이스�제어기능(UART,� NFC)

•센싱데이터별�정보전송�프레임�규격�및�전송기능

•플랫폼을�활용한�다중센서�신호처리�모듈�시제품

•온도�및�습도�센서를�위한�플랫폼�모듈

•가속도�센서�신호�처리를�위한�플랫폼�모듈

•생체신호�센싱을�위한�플랫폼�모듈

•Micro� Controller� 기반의� 초소형� 다중센서� 인터페이스,� 신호처리� 및� 전송�

플랫폼

•온도,� 습도�등의�이종의�센서�인터페이스�회로

•무선단말�기반의�정보분석을�위한� NFC프로토콜�소프트웨어

관련지적재산권 •특허� 2건� 1)� 무선�전력�전송�장치�및�방법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85

� � � (출원번호� :� 2015-0062740)�

•NFC� 태그를�이용한�다채널�심전도�감지장치�및�동작�방법

� � � (출원번호� :� 10-2014-0172363)�

•NFC를� 이용한� 생체신호� 센서태그� 등� 프로그램� 2건� 센서신호� 처리모듈� 회로도�

등�기술문서� 15건�

기술

이전�

조건

실시권�허용범위 •비독점적�통상실시권

계약기간 •계약체결일로부터� 5�년간

기술료조건

(부가세별도)

※경상기술료

구분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

착수기본료

(천원)28,000 57,000 57,000

매출정률

사용료(%)1.25 3.75 5

기술전수교육 •1�개월� � /� � 1,213.2�천원정(부가세별도)�

기타특기사항

•위� 기술료에는� 시제품� 2종이� 모두� 포함� (� 필요시� A� 또는� B� 중� 1개� 이상� 필수�

선택해야함)

� � � (단위/천원)

•A.�온도�및�습도센서를�위한�플랫폼�모듈�시제품� 1개

� � � � 중소기업� :� 2,500� � � � � � � � � � � � � 중견/�대기업� :� 5,000

•B.� 가속도�센서�신호처리를�위한�플랫폼�모듈�시제품� 1개

� � � � 중소기업� :� 2,500� � � � � � � � � � � � � 중견/�대기업� :� 5,000� � �

세부

문의

기술관련

•기술개발�발표당시�

•재난·안전IoT연구실�이강복

� � � 042-860-5142

� � � [email protected]

•현재�

•재난·안전IoT연구실�이강복

� � � 042-860-5142

� � � [email protected]

계약관련

•기술개발�발표당시�

•기술이전팀박찬호

� � � 042-860-5655

� � � [email protected]

•현재�

•기술이전실�서교웅

� � � 042-860-4981

� � � [email protected]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86

6.� 기술로드맵�기획

가.� 중소기업�핵심요소기술

(1)� 데이터�기반�요소기술�발굴

[�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키워드�클러스터링� ]

No 주요�키워드 연관도�수치 관련특허/논문�제목

클러스터

01

particulate,

air-quality4~6

1. MODULE� AND�METHOD� FOR� DETECTING� AIR� QUALITY

2. AIR� QUALITY� DETECTION�MODULE

3. AIR� QUALITY� NOTIFYING� DEVICE� CONNECTING� AIR� QUALITY�

MEASUREMENT� DEVICE� AND� WIRELESS� TERMINAL,� AND� AIR�

QUALITY� NOTIFYING�METHOD� THEREFOR

클러스터

02air,� particle 4~6

1. APPARATUS� AND� METHOD� FOR� NONINVASIVE� PARTICLE�

DETECTION� USING� DOPPLER� SPECTROSCOPY

2. MICROPARTICL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ICROPARTICLE� SENSOR

3. Design� of� a� High-Sensitivity� Ambient� Particulate� Matter� 2.5�

[�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분야� 주요�키워드�및� 관련문헌�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87

No 주요�키워드 연관도�수치 관련특허/논문�제목

Particle� Detector� for� Personal� Exposure�Monitoring� Devices

클러스터

03

particulate-

matter,�

sensor

4~6

1. RIGID� PARTICULATE�MATTER� SENSOR

2. Method� and� system� for� diagnostics� of� a� particulate�matter� sensor

3. System� and� method� of� conducting� particle� monitoring� using� low�

cost� particle� sensors

클러스터

04

diesel,�

exhaust-gas4~6

1. The�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earch� of� particulate� matter�

sensor� on� diesel� engine� with� diesel� particulate� filter

2. Area� monitoring� and� spot-checking� for� diesel� particulate� matter�

in� an� underground� mine

3. Particulate� matter� sensing� device� for� controlling� and� diagnosing�

diesel� particulate� filter� systems

클러스터

05detection 6

1. Particulate� matter� amount� detection� system

4. FILTER� FAILURE� DETECTION� DEVICE,� AND� PARTICULATE� MATTER�

DETECTION� DEVICE

5. Airborne� particulate� matter� classification� and� concentration�

detection� based� on� 3D� printed� virtual� impactor� and� quartz�

crystal� microbalance� sensor

클러스터

06

particle-size,�

sensor-contr

oller

4~6

1. Sensor� controller

2. Sensor� controller� and�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using� the�

same

3. Particulate� matter� sensing� device� for� controlling� and� diagnosing�

diesel� particulate� filter� systems

클러스터

07

sensor-electr

ode,�

electrode,�

particulate-fl

ow

4~6

1. Evaluation� of� Non-Contiguous� PM� Measurements� with� a�

Resistive� Particulate�Matter� Sensor

2. PARTICULATE� MATTER� SENSOR� WITH� TWO� PAIRS� OF� SENSING�

ELECTRODES� AND�METHOD� OF� USING� SAME

3. Electrode� 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sensor

클러스터

08

particulate-fi

lter4

1. FAILURE� DETECTION� APPARATUS� AND� FAILURE� DETECTION�

METHOD� FOR� A� PARTICULATE� FILTER

2. Method� for� determining� load� of� a� particulate� filter

3. Regeneration� of� a� particulate� filter� based� on� a� particulate� matter�

oxidation� rate

클러스터

09

fine-dust,�

measuremen

t-device

6~8

1. Photoacoustic� detector� for� measuring� fine� dust

2. On-line� size� measurement� of� fine� dust� through� digital� imaging

3. Monitoring� of� Fine� Dust� Pollution� of� Multistory� Buildings� Air�

Environment� as� an� Adoption� Factor� of� Town-planning� Decisions

클러스터

10

diagnostic-m

ethod2-4

1. Method� and� system� for� contamination� signature� detection�

diagnostics� of� a� particulate� matter� sensor

2. Particulate� matter� filter� diagnostic� techniques� based� on� exhaust�

gas� analysis

3. New� Leakage� Current� Particulate� Matter� Sensor� for� On-Board�

Diagnostics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88

(2)� 요소기술�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한�요소기술�도출

분류 요소기술 출처

미세먼지�감지센서�

기술

미세먼지�감지센서�기술 전문가추천,� 특허/논문�클러스터링

미세먼지�감지� 장치�기술 전문가추천,� 특허/논문�클러스터링

미세먼지�분석� 기술

미세먼지�정보� 분석�기술 전문가추천,� 특허/논문�클러스터링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전문가추천,� 특허/논문�클러스터링

미세먼지�모니터링�

기술미세먼지�모니터링�및�예보�기술 전문가추천,� 특허/논문�클러스터링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89

(3)� 핵심요소기술�선정

확정된�요소기술을�대상으로�중소기업에�적합한�핵심요소기술�선정

분류 핵심요소기술 설명

미세먼지�감지센서�

기술

미세먼지�감지센서�기술MEMS기술,� 광학기술을�융합하여�

미세먼지를�감지하는�센서기술

미세먼지�감지�장치�기술기존�고정�측정�장치� 포함�차량�및�드론�

등을� 활용한�이동관측�플랫폼�응용�기술

미세먼지�분석� 기술

미세먼지�정보�분석�기술

미세먼지의�실시간�농도·성분�측정�

원천기술을�확보하고,� 미세먼지�정보를�

통합�분석하는�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미세먼지�감지센서에서�발생되는�정보를�

유무선�통신망을�이용� 센서�네트워크를�

형성기술

미세먼지�모니터링�

기술미세먼지�모니터링�및�예보� 기술

육상�뿐만�아니라�상공과�해상을�포함하는�

미세먼지�정보를�입체적으로�분석하여�해외�

유입량,� 국내� 오염원별�기여도를�

빅데이터․인공지능�적용�등을� 통해�모니터링하고�미세먼지�예보하는�기술

[� 미세먼지�측정�시스템�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90

나.� 미세먼지�측정�시스템�기술로드맵

최종�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기술개발�방향성을�제시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91

다.� 연구개발�목표�설정

핵심요소기술별�최종목표는�아래와�같이�기술요구사항과�연차별�개발목표로�제시함

분류 핵심요소기술 기술요구사항연차별�개발목표

최종목표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감지기술

미세먼지�감지센서�

기술

미세�먼지�측정�

크기PM10 PM2.5 PM2.5이하

융복합�

미세먼지�센서�

고도화�개발

미세먼지�감지장치�

기술

장치�운영

효율화(%)

90%

이상

95%

이상

98%

이상

고정�및�이동�

관측� 플랫폼�

응용�개발

분석기술

미세먼지�정보�

분석기술

측정�

정확도(%)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농도,성분�정보�

통합� 실시간�

분석�기술개발�

감지센서�네트워크�

기술

센서�노드

확장(%)-

70%

이상

95%

이상

실시간�정보�

수집� 및� 효율성�

향상을�위한�

네트워크�기술�

개발� �

모니터링

기술

미세먼지�모니터링�

및� 예보�기술

예보�신뢰성

(%)-

70%

이상

90%

이상

입체적인�

비정형적�

상황에�대한�

모니터링�및�

예보� 신뢰성�

향상� 기술�개발� �

[� 미세먼지�측정� 시스템�분야� 핵심요소기술�연구목표�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92

라.� 핵심기술�심층분석

미세먼지�감지센서�기술

기술개발�

필요성

▪ 최근�세계적으로�대기오염에�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가장�심각하게� 다뤄지고� 있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측정하기� 위한�

기술�필요

기술개발전략

▪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 보급형� 센서� 개발을� 통해� 대기질� 측정범위를�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소형� 미세먼지� 측정기를� 개발하여� 휴대용� 미세먼지� 측정

에�대한�수요�충족을�위한�기술�개발�필요

▪ 여러� 논문,� 보고서의� 실험� 결과를� 보면� 미세먼지� 감지� 방법에는� 빛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해� 측정하는� ‘광� 산란법’� 방사선을� 이용하는� ‘베타선� 흡수법’� 미세먼지� 질량

을�저울로�측정하는� ‘중량법’� 등이�존재

▪ 광� 산란법은� 레이져를� 통해� 입자의� 사이즈별� 갯수를� 측정하며� 실시간� 미세먼지측정이� 가능하고,� 여러사이즈� 미세먼지측정이� 가능하며,� 다른� 실시간� 미세먼지측정�

방법에� 비해� 측정기� 단가가� 저렴한� 장점,� 소형화� 가능을� 보유하으로� 향후� 높은� 수

요가�기대

▪ 따라서�광�산란법의�신뢰성�제고할�수� 있는�기술개발이�필요

관련특허현황

No 명칭 출원인

1 미세�먼지� 감지용�센서장치암페놀센싱코리아�

유한회사

2정전용량형� 미세먼지감지센서� 및� 정전용량형� 미세먼지감

지센서제조방법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3 소형화된�광학식�미세�먼지� 센서 광전자�주식회사

4 복합�환경� 센서

재단법인�다차원�

스마트�아이티�

융합시스템�연구단

적용가능분야 ▪ 미세먼지�측정�장치

관련기업▪ 국내� :� 광전자주식회사,� 현대자동차�등▪ 국외� :� Honeywell� International� Inc.,� 암페놀센싱,� 등�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93

미세먼지�감지장치�기술

기술개발�

필요성

▪ 최근�세계적으로�대기오염에�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가장�심각하게� 다뤄지고� 있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측정하기� 위한�

기술�필요

기술개발전략

▪ 실효성� 있는� 미세먼지� 관리를� 위해� 기존� 집,� 도로변,� 등� 실제� 생활공간뿐만� 아니라� 드론,� 차량� 등을� 활용한� 미세먼지의� 모델링과� 예측� 기술� 발전을� 위한� 이동관측�

플랫폼�응용�기술�개발�필요

▪ 초미세먼지의� 특성� 및� 내부발생�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배경농도지역인� 백령도와�수도권지역,� 전국�단위의�초미세먼지�측정�분석이�요구

▪ 정확한� 분석자료� 확보를� 위해� 이동관측� 플랫� 응용기술의� 활용하여� 실시간� 초미세먼지의� 입자의� 입경별� 분포� 특성� 및� 초미세먼지의�시공간적� 다양한� 조건별� 측정자

료�확보를�위한�감지장치�개발이�필요

관련특허현황

No 명칭 출원인

1 감지성능을�향상시킨�미세먼지�감지장치주식회사�마루이엔지|

주식회사�랩죤

2 미세먼지�감지장치주식회사�마루이엔지|

주식회사�랩죤

3 조도센서를�이용한�미세먼지�측정�장치 홍서영

4미세먼지,� 온도,� 습도�측정센서를�기반으로�한� 공기질�

검출�시각화�장치

(주)에스에이치아이

앤씨

5마이크로�필터를� 이용한�미세먼지� 강제� 순환법과� 조도센서

를�이용한�미세먼지�측정�장노정훈

6 미세먼지�측정�장치한양대학교에리카산

학협력단

7틴달효과와� 전도도법을� 활용한� 기체상과� 액상의� 초� 미세먼지�

측정기박수정

8 드론을�이용한�이동식�다중�대기�측정장치�및�그의�측정방법 한국종합환경(주)

적용가능분야 ▪ 미세먼지�측정�장치

관련기업▪ 국내� :� 주식회사�랩죤,� 삼성전자,� 주식회사�비쥬드림�등▪ 국외� :� AirBeam,� EmiSense� Technologies,� LLC,� Honeywell� International� � 등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94

미세먼지�정보�분석기술

기술개발�

필요성

▪ 최근�세계적으로�대기오염에�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가장�심각하게� 다뤄지고� 있는�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측정하기� 위한�기

술�필요

기술개발전략

▪ 미세먼지� 측정을� 통한� PM2.5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 및� 생태계에� 미치는�영향을� 파악� 할� 수� 있도록� 대기질� 현황파악,� 환경기준� 초과여부의�감시� 및� 국내․외�배출원�감시�및� 미세먼지� DB� 구축을�위한�정확한�분석�기술�필요

▪ 현재� 낮은� 미세먼지예보� 정확도를� 보이고� 있는� 예보모델� 개선� 및� 신뢰성� 확보를�위해� 미세먼지� 데이터의� 물리.화학적� 성분,� 존재형태,� 배출원� 등� 특성을� 시공간적

으로�연계하여�분석하기�위한�기술�확보�요구

▪ 현재� 분석형태를� 개선하기� 위해� 알고리즘� 패러다임,� 분산� 병렬� 컴퓨팅,� 빅데이터�선결�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딥러닝과� 연계시킨� 미세먼지�

정보�분석�기술개발�전략�필요

관련특허현황

No 명칭 출원인

1실내�공기� 질� 예측� 제어�기능을�가지는�환기량�제어�

시스템(주)삼원씨앤지

2 도시�지역� 고농도�미세먼지의�발원지�추정� 방법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서울대

학교산학협력단

3 미세먼지�농도�측정시스템연세대학교산학협력

4 미세먼지농도�측정장치�및� 미세먼지농도�측정시스템 ㈜오션네트웍스

적용가능분야 ▪ 미세먼지�모니터링�및� 예보�시스템

관련기업▪ 국내� :� 삼원씨앤지,� 오션네트웍스�등▪ 국외� :� TOSHIBA,� Acme� Engineering� 등

▣�▣�미세먼지�측정� 시스템�▣�▣

95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기술개발�

필요성

▪ 최근�세계적으로�대기오염에�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가장�심각하게� 다뤄지고� 있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필요

기술개발전략

▪ 체계적인� 대기오염� 관리� 시스템,� 즉� 미세먼지� 관측을� 위해서� 통신을� 통해서� 여러�지점의� 시스템을� 원격으로� 관리하고� 측정기에� 발생하는� 데이터도� 원격으로� 관리�

가능한�기술�개발이�필요

▪ 사물인터넷� 기반� ICT� 융합� 기술을� 활용하여� 여러� 장소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수집�및�분석하여�실시간�대기질�현황분석과�오염물질�확산�동향�예측�서비스�제공�필요

▪ 또한,� 고해상도� 세부� 권역별�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국민� 체감형� 사물인테넷� 플랫폼�및� 대기질�통합�정보�서비스�구현을�위한�네트워크�기술�개발�필요

관련특허현황

No 명칭 출원인

1 스마트기기�연동�실내외�미세먼지측정장치 황윤식

2 미세먼지�표시장치이동화|최우진|송상

3 사물인터넷�기반의�실내�환경� 개선용�단말장치씨앤에치아이앤씨(

주)

4사용자� 주변� 미세먼지� 농도� 측정� 시스템,� 이를� 이용한� 사

용자�주변� 미세먼지�농도�제공�방법

동서대학교산학협력

단|문기석

5 미세�먼지�원격�측정�시스템 대한민국

6 RF� 신호를�활용한�미세먼지�모니터링�장치�및�방법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용가능분야 ▪ 미세먼지�모니터링�및� 예보�시스템

관련기업▪ 국내� :� 씨앤에치아이앤씨,� 오션네트웍스�등▪ 국외� :� ALSTOM� Technology,�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등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96

미세먼지�모니터링�및�예보� 기술

기술개발�

필요성

▪ 최근�세계적으로�대기오염에�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현재� 가장�심각하게� 다뤄지고� 있는�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를� 측정하기� 위한�

기술�필요

기술개발전략

▪ 체계적인� 대기오염� 관리� 시스템,� 즉� 미세먼지� 관측을� 위해서� 수집된�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입체적으로� 분석하여� 해외� 유입량,� 국내� 오염원별� 기여도를� 빅데이

터․인공지능�적용�등을�통해�모니터링하고�미세먼지�예보하는�기술�필요▪ 미세먼지는� 한� 가지� 성분으로� 단순� 측정·분석할� 수� 있는� 기술이� 아니며� NOx,�SOx� 등과� 복잡한� 인과관계를� 가지므로,� 이들에� 대한� 개별적� 현황뿐만� 아니라� 확

산·반응을�포함하는�통합적�상관관계�분석·예측�서비스�필요

▪ 또한� 타� 국가·지역과의� 대기질� 비교·분석,� 대기질� 현황,� 미세먼지� 및� 관련� 유발성분들에� 대한� 통합적� 상관관계� 분석하여� 오염� 물질의� 확산� 동향,� 대기질� 확산� 모델

링,� 시각화� 도구,� 대기질� 보조� 지수� 등� 국민� 체감도를� 획기적을� 개선시킬� 수� 있는�

모니터링�기술�및�예보�기술�필요

관련특허현황

No 명칭 출원인

1 스마트�환경� 센서�시스템 주식회사�비쥬드림

2 사물인터넷�기반의�공기청정�환풍기�시스템주식회사�

에스아이디허브

3 공기�상태� 기반� 환경�제어� 장치� 및� 방법 ㈜아이피티브이코리아

4 미세�먼지� 농도� 결정�시스템�및� 방법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적용가능분야 ▪ 미세먼지�모니터링�및�예보�시스템

관련기업▪ 국내� :� 비쥬드림,� ㈜아이피티브이코리아�등▪ 국외� :� IMB,� DELPHI� TECHNOLOGIES,� INC.� � 등

기술개발�테마�현황분석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

정의�및� 범위

▪ 정의:� ICT� 및� 센싱기술을� 바탕으로� 최근� 대형� 및� 고층화된� 건물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조기에�발견하고�신속하게�대응함으로써�피해를�최소화하도록�하는�장치

▪ 범위:�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은� 크게� 영상� 기반� 화재감시� 기술,� 센서� 기반� 화재감시� 기술,� �화재� 모니터링�및� 대응�기술� 포함�

정부지원�정책

▪ 소방산업의�진흥에�관한�법률� 제5조� (시행계획의�수립)▪ 소방산업진흥�기본계획(‘15~‘19)의� 2016년도�집행계획

중소기업�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IT� 보안� 기술력� 확보� 및� 산업� 인프라와� IT와의� 융합이�

많이�진행된�국내�환경

•LTE� 등�초고속�통신�망�활용�가능

•화재�감지�센서기술�확보

•영상인식�관련�기술�상당�수준으로�확보

•소방분야의� 모니터링을� 통한� 영상� 감시� 및� 알람�

업체들이� H/W� 중심으로� 편중되어� S/W기술� 개발의지�

부족

•글로벌�업체들에�비해�낮은�국내�장비�선호도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각종�대형� 화재로�인한� 인명피해�확대에�따른� 고기능의�

화재감지�및�대응제품에�대한�수요�증가

•환경� 변화� 영향으로� 자연재해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재난재해�방지에�대한�수요�증가

•산업간�융합화�분위기�고조

•정부의�소방산업�진흥의지�높음

•중국의� 저가� 화재감지기� 도전을� 받고� 있으며� 고가시장은�

선진국에�의해서�진입장벽이�높은�편

중소기업의�시장대응전략

➜ 화재관련� 경보기� 및� 대응시스템은� 중소기업에� 적합한� 업종으로� 적절한� 기술개발� 지원으로� 통해�성능과�품질� 향상을�추진하고�가격경쟁력�확보를�통한� 글로벌�진출� 가능

➜ 무선�화재감지기� 등� 신기술� 제품이� 적용될� 수� 있도록� 관련� 소방법� 개선이� 필요하고,� 공공의� 수요를�발생시켜�초기�시장의�제공� 필요

핵심요소기술�로드맵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00

1.� 개요

가.� 정의�및� 필요성�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은� ICT� 및� 센싱기술을� 바탕으로� 최근� 대형� 및� 고층화된�

건물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대응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첨단�시스템

▪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은� 실시간� CCTV� 영상� 인식기술과� 화재감지� 센서기술을� 바탕으로�자동으로�화염�및� 연기를�감지하고�경보발생,� 119신고� 및� 효과적인�대피안내�등을�수행함

▪ 화재를�조기감지�및� 광범위한�영역�감지가�가능하고�사용자가�모니터로�실제�화재� 발생� 유무를�확인�가능하여� 불필요한� 진압행위를� 줄여� 경제적� 비용을� 경감하고� 화재로� 인한� 재산� 및� 인명� 피해를�

감소시킴

� � � � � � � �

[�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예시)� ]

최근� 사회구조가� 도시화,� 고층화,� 조밀화� 되어감에� 따라� 화재의� 형태� 또한� 복잡� 다양해지고�

있으며�화재로�인한�인명�및� 재산�피해�역시�증가� (최근� 5년간�연평균� 10.4%�증가)

▪ 연소시� 발생되는� 독성� 가스(일산화탄소,� 이산화탄소,� 시안화수소,� 암모니아,� 아황산가스,� 염화수소�등)� 및� 농연에�의한� 구조대원의�시계�불량에�따라�현장� 활동에�장애� 발생

▪ 초기� 진압에� 실패할� 경우� 연소가� 확대되어� 이후� 많은� 소방력의� 투입이� 필요하게� 되고� 건축물� 붕괴�및� 구조물� 변형� 등� 2차� 재해� 발생� 위험성이� 대단히� 높아지기� 때문에� 초기� 감지� 및� 진압이� 매우�

중요함

▪ 화재� 현장은� 연기에� 의한� 시계� 불량,� 낙하물,� 연장된� 호스,� 소화수에� 의한� 미끄러짐,� 전기� 누전� 등�여러� 가지� 장애가�산적되어�진압대원�및� 구조대원의�안전사고�위험�요소가�많음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01

▪ 내화� 건물� 화재는� 기밀성이� 높아� 농연� 열기가� 충만하기� 때문에� 소화� 활동� 및� 검색� 구조� 활동이�곤란할� 뿐만� 아니라� 유독가스에� 의한� 중독사� 또는� 산소� 부족에� 의한� 질식사� 등� 단시간에� 많은� 인명�

피해� 양상을�보이고�있음

최근� 10년(2005∼2014년도)간� 화재사고� 평균� 발생건수는� 42,100건,� 인명피해는�

2,248명으로서�이중에서�사망자는� 372명,� 부상자는� 1,876명,� 사망비율은� 16.54%로�발생

구분 발생건수(건) 인명피해(명) 사망자(명) 부상자(명) 사망비율(%)

2005년 32,340 2,342 505 1,837 21.56%

2006년 31,778 2,180 446 1,734 20.46%

2007년 47,882 2,459 424 2,035 17.24%

2008년 49,631 2,716 468 2,248 17.23%

2009년 47,318 2,441 409 2,032 16.76%

2010년 41,863 1,892 304 1,588 16.07%

2011년 43,875 1,862 263 1,599 14.12%

2012년 43,249 2,223 267 1,956 12.01%

2013년 40,932 2,184 307 1,877 14.06%

2014년 42,135 2,181 325 1,856 14.90%

평균 42,100� 2,248� 372� 1,876� 16.54%

[�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 ]

*�출처� :� 2013년�재난연감�및� 2014년�재난연감�재가공

*�출처� :� 2014년�재난연감,�국민안전처,� 2014

[� 화재사고�장소별�사고� 발생현황� ]

*�출처� :� 2014년�재난연감,�국민안전처,� 2014

[� 화재사고�원인별�사고�발생현황�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02

나.� 범위�및� 분류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은� 크게� 영상� 기반� 화재감시� 기술,� 센서� 기반� 화재감시� 기술,� �

화재�모니터링�및�대응�기술로�구분할�수� 있음

(1)� 영상�기반�화재�감시�기술

영상�획득�기술

▪ 감시카메라,� CCTV를� 이용하여�현장의�영상을�획득하는�기술 지능형�영상처리�기술

▪ 영상�데이터를�분석하여�화염�및� 연기�감지� 기술�▪ 검출된�화염�발생� 정보에�관한� 통계� 분석�및�관리

[� 영상기반�지능형�화재감시시스템�기술� ]

영상�저장�기술

▪ HDD,� DVR� 등�고화질�영상을�압축,� 저장,� 삭제,� 관리를�자동으로�할�수�있는� 저장기술

(2)� 센서�기반�화재�감시�기술

화재�감지�센서�기술

▪ 열,� 연기,� 불꽃� 등을� 감지하여�화재�상황을�감지하는�센서�및�이의� 신호를�전달하는�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 화재감지기에서�발생되는�정보를�유무선�통신망을�이용�센서�네트워크를�형성기술

(3)� 화재�모니터링�및� 대응�기술

피해자�감지�기술

▪ 감시카메라,� 레이다,� 적외선� 등을� 통한� 화재초기� 및� 연기� 상황� 하에서� 화재� 현장에� 있는� 사람을�감지하고�통보하는�기술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03

피해자�유도�기술

▪ 화재�현장에�있는� 사람들을�안전하게�또는�피해를�최소화할�수� 있도록�최적의�경로로�유도하는�기술 화재감시�모니터링�기술

▪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에서� 각종� 지역에서� 발생되는� 영상을� 취득하여� 재난상황을� 파악,�신속한�조치를�할� 수� 있는� 중앙관제�기술

분류 제품분류�관점 세부기술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영상기반

영상획득�기술 감시카메라,� CCTV를� 이용하여�현장의�영상을�획득하는�기술

지능형�영상처리영상�데이터를�분석하여�화염� 및� 연기�감지�기술� 및� 검출된�

화염� 발생�정보에�관한�통계�분석� 및� 관리

영상저장HDD,� DVR� 등�고화질�영상을�압축,� 저장,� 삭제,� 관리를�

자동으로�할�수�있는�저장기술

센서기반

화재감지�센서열,� 연기,� 불꽃�등을�감지하여�화재� 상황을�감지하는�센서� 및�

이의�신호를�전달하는�기술

센서�네트워크화재감지기에서�발생되는�정보를�유무선�통신망을�이용�센서�

네트워크를�형성기술

화재모니터링�

및� 대응기술

바이오센서

피해자�감지기술감시카메라,� 레이다,� 적외선�등을�통한�화재초기�및�연기� 상황�

하에서�화재� 현장에�있는� 사람을�감지하고�통보하는�기술

피해자�유도기술화재�현장에�있는�사람들의�안전하게�또는� 피해를�최소화할�수�

있도록�최적의�경로로�유도하는�기술

화재모니터링

통신네트워크를�통하여�원격지에서�각종�지역에서�발생되는�

영상을�취득하여�재난상황을�파악,� 신속한�조치를�할�수�있는�

중앙관제�기술

[� 제품분류�관점� 기술범위�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04

2.� 외부환경분석

가.� 산업환경분석

(1)� 산업의�특징

단순� 화재감지� 및� 경보� 수준을� 벗어나� ICT� 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해� 조기� 화재감지� 및�

효과적인�경보,� 대응이�가능한�다기능,� 고성능�화재�감지�및� 대응�시스템이�개발되고�있음

▪ 타� 산업분야에� 산재되어� 있는� 관련� 제품들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 분야를� 창출하여� 특화된�산업육성이�이루어진다면�성장가능성이�매우�높음

▪ 각종� 시설의� 화재감지를� 위해� 정보� 통신기반� 상태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기능을� 통해� 산업재해가�발생시� 조기에� 감지하여� 관계자에게� 통보� 및� 알람할� 수� 있는� 설비로써�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하기�위한�필요� 장비이며�수요가�크게� 증가할�것으로�예상

▪ 산불,� 산사태,� 홍수� 등� 자연재해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데�자연재해로부터�피해를�최소화하고�예방할�수� 있는�자연재해�알람모니터링�장치의�수요에�대응

□� CCTV(IPTV)를� 활용한�지능형�화재�모니터링�시스템�적용에�대한�수요가�증가

▪ 지능형� 영상� 화재감지� 시스템� 도입을� 통해� 화재의� 조기� 감지의� 정확도를� 높이고,� 관제실에서� 실시간�화재� 여부를� 판단하고� 적절한� 대응을� 가능케� 함으로써� 골든타임을� 확보하여� 피해� 확산을� 최소화� 할�

수�있게� 함

▪ 시스템� 및� 서비스� 초기시절과� 달리� 현재의� 알람모니터링� 유지비용은� 상당히� 합리적인� 수준으로�하락했고�서비스�가격이�하락하면서�주거분야에서의�수요도�늘어나고�있음

▪ 영상� 화재� 모니터링� 기술은� 고해상도� CCTV/DVR� 환경� 기반의� 지능형� 영상보안� 기술에서� 파생되어�발전하고� 있으며� 감시� 범위를� 확대하고� 지능형� 인식에� 기반한� 감시/관제를� 위하여� 고해상도�

CCTV/DVR� 환경에서의�기술�개발이�활발히�진행되고�있음

(2)� 산업의�구조

전방산업은� 센서소재� 및� 소자,� 영상인식� 관련� S/W� 등이� 될� 것이고,� 후방산업으로는�

소방산업과�안전산업을�들� 수� 있음

후방산업 지능형�화재안전�시스템�분야 전방산업

센서소재/소자,

영상인식� S/W,�

화재감지센서,� 카메라,� 영상처리,�

대응서비스소방산업,� 안전산업

[� 지능형�화재안전�시스템� � 분야�산업구조� ]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05

나.�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세계의� 화재� 감지기� 및� 탐지기� 시장은� 2016년에� 30억� 달러� 규모에� 달했으며,� 2021년까지�

연평균� 10.8%�성장하여� 51억�달러�규모에�이를�전망

▪ 이� 시장은� 부품� 시장과� 서비스� 시장으로� 나뉘며,� 부품별� 시장� 중� 연기� 탐지기가� 52.8%의� 점유율을�차지하고�서비스·유지보수�부문이�서비스�시장의� 34.4%를�차지

▪ 건축물의� 개보수·리폼� 및� 안전� 규제� 강화� 등이� 화재� 감지기� 및� 탐지기� 시장의� 성장을� 촉진하고�있으며� 특히� 세계�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미국의� 경우,� 석유·가스� 산업� 및� 광업,� 에너지·전력�

산업에�대한�연방정부의�안전�규제�강화에�의해�화재� 감지기�및�탐지기�도입건수가�대폭�증가

� �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3,069� 3,400� 3,767� 4,174� 4,625� 5,125� 10.8

*�출처� :� Miroc�Market�Monitor(2015년� 6월)�자료로�추정

[�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분야의�세계� 시장규모�및� 전망� ]

◎�세계시장�동향

(독일)� 2013년� 독일� 화재경보기를� 포함한� 총� 화재경보기술� 시장규모는� 13억6,000만� 유로로�

전년�대비� 4.6%�증가했으며,� 지난� 3년간�성장세가�지속

▪ ‘12년� 10월부터� 일부� 지역에서� 집� 내부(방)에� 화재� 연기� 감지기의� 설치� 의무는� 독일� 전역으로�확대됐음.� 또한� ‘13년� 1월� 1일부터� 건설되는� 신규� 집에는� 반드시� 설치돼야� 한다고� 건설� 법에� 규정,�

독일� 전� 가정� 내� 화재경보기�부착이�의무화됨에�따라�관련� 수요뿐만�아니라�교체� 수요�역시� 기대됨

▪ 가격대는� 높으나� 화재� 발생� 시� 일부� 제조사� 등에� 자동으로� 신호가� 가는� 무선네트워크� 방식의�화재경보기에�대한�선호도도�증가�추세임

[최근� 3년간�독일�화재경보기술�시장�규모�및�성장률]

  (단위: 억 유로, %)

구분2011 2012 2013

규모 증가율 규모 증가율 규모 증감률

시장�규모�및�성장률 12 4.9 13.03 8.6 13.63 4.6

��*출처� :�World� Trade� Atlas

(중국)� Forney,� COEN,� DURAG,� Honeywell,� 웬둥(遠東)� 등� 불꽃감지기� 산업의� 주요�

경쟁기업에� 대한� 조사를� 거쳐� 시장조사업체� CVM가� 추산한� 데에� 따르면,� 2013년� 중국�

불꽃감지기시장�시장규모는�약� 20억� 위안에�달하며�전년대비� 20%�증가

▪ 전반적으로�중국에서�불꽃감지기�시장은�최근� 3년� 15%� 이상의�빠른� 속도로�성장하는�추세임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06

▪ 2013년� 중국의� 불꽃감지기� 수입� 규모는� 전년대비� 10.7%� 증가한� 17억� 1,500만� 달러를� 기록,�중국의� 불꽃감지기� 주요� 수입국은� 일본,� 한국,� 독일,� 미국,� 대만이며,� 일본이� 중국� 불꽃감지기� 전체�

수입에서� 20%�이상을�차지하며�독일,� 미국이�각각� 15%� 내외를�차지

[�최근� 3년간�중국�불꽃감지제품�시장�규모�및�성장률� ]

  (단위: 억 위안, %)

구분2011 2012 2013

규모 증가율 규모 증가율 규모 증감률

시장�규모�및�성장률 14.5 18 16.7 15 20.0 20

��*출처� :� CVM

(프랑스)� 프랑스� 정부는� 가정�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자� 1만� 명� 가운데� 600~800명이� 매년�

목숨을�잃는�것을�예방하기�위해� 2010년� 3월� 각� 가정에�연기�감지기를�의무적으로�설치하는�

법안을�마련하고� 5년�후인�지난� 8일부터�시행령을�적용하기�시작�

▪ 프랑스�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현재까지� 연기� 감지기를� 설치한� 가정은� 전체의� 10%에� 불과함.� 이에�따라� 프랑스의� 한� 화재� 감지기� 제조업체는� 약� 3,500만� 가정이� 앞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감지기를�구비할�것으로�보고� 있음�

▪ 프랑스에서� 판매되는� 연기� 감지기는� 10~30유로대로� 부담없이� 구매할� 수� 있으며� 제품에� 따라�핸드폰과� 연동된� 제품도�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 최대의� 연기감지기� 메이커인� 프랑스의�

라이프박스는�공장�풀�가동과�생산라인�증설

▪ 연기감지기� 설치와� 함께� 일산화탄소� 감지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데� 프랑스� 시장�진출을�위해서는� NF와� CE는�물론� NF-292,� EN-50291이� 필요

(인도)� 인도는� 자연� 재해로� 인하여� 전체� GDP의� 2%가량이� 인도� 경제에�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화재에� 대한� 인식강화와� 정부규정으로� 건물� 내에� 전자보안시스템� 설치가� 필수화되는�

추세로써� 쇼핑센터� 및� 국제기업진출,� 산업인프라� 개발로� 화재� 도난�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증가

▪ 전체� 경보보안장비� 시장은� 25%씩� 성장� 중으로� 전체� 시장의� 30%를�차지하는� 화재보안장비�시장은�24억� 달러이며� 2017년까지�연� 누적성장률� 16%를�보이며� 35억� 8,000만� 달러에�달할� 것으로�기대

▪ 현재� 약� 60개의� 기업이� 화재산업에� 진출해� 있으며� 중소기업은� 약� 1000개를� 넘으며� 인도� 내� 주요�도시의� 병원,� 공항,� 쇼핑센터� 중� 40%만이� 화재경보기를� 설치하고� 있어� 앞으로� 그� 시장이� 더욱�

커질� 전망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07

(2)� 국내시장

화재경보기류� 국내시장� 규모는� ‘16년� 8,818억� 원에서� ‘21년� 1조� 1,255억� 원으로,� 연평균�

5.0%�성장할�전망

� � (단위� :� 억� 원,�%)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8,818 9,259 9,722 10,209 10,719 11,255 5.0

*� 출처� :� 국민안전처(한국소방산업기술원)� 2014년도� 및� 2015년도� 소방산업통계집� (경보기류� 2013년� 5,731억원,� 2014년�

7,999억원�생산액�기준)�자료로�추정

[� 화재� 경보기류�국내시장� (생산액기준)� ]

국내� 화재감지기� 시장은� 아직� 열감지식과� 같은� 저가� 센서로� 위주로� 형성되어� 있지만,� 열,�

온도,� 불꽃감지,� 연기� 등� 복합감지� 기능을� 탑재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최근� 무선� 및� IoT�

기술을�적용하는�첨단�제품이�개발되고�있음

▪ 연립이나� 단독주택에는� 화재감지기를� 설치하지� 않고� 있다가,� 2011년� 8월에� 소방법을� 개정하여�이후에� 신축되는� 주택에� 대하여� 단독경보형� 화재감지기를� 설치하고� 있으나,� 세대내부에� 각� 실에�

설치된�감지기간의�연동경보를�하지�않고�있으며,� 배터리�등의�유지관리�상태를�확인할�수가� 없음

▪ 현재�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에는� 열식� 감지기를� 설치하고� 있었으나,� 2015년� 1월말에� 소방법이�개정되어�올해부터�설계하는�건물에는�연기감지기를�설치해야�함

▪ 대부분의� 건물에는� ON/OFF� 접점식� 구조의� 저가형� 화재감지기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비화재보의�발생비율이�높음

▪ 온도값� 또는� 연기농도에� 따라� 경보레벨을� 설정할� 수� 있는� 아날로그식� 화재감지기가� 생산되고�있으나,� 상대적으로� 고가이므로� 초고층건물� 또는� 특급호텔� 등을� 제외한� 일반건물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있는� 실정임

▪ 이에�따라� 2013년� 6월부터� 30층� 이상인� 초고층건물에는�아날로그식�감지기를�설치하도록�소방법을�개정하였지만�공동주택은�설치�대상에서�제외됨

국내� 소방업체� 현황으로는� 매출액� 및� 종사자수는� 2013년� 12월말� 소방산업� 매출액은� 12조�

1,143억원이고,� 종사자수는� 14만� 3,846명으로� 나타났으며,� 업종별로는� 「소방제조업」의�

매출액이� 2조� 5,805억원(21.3%),� 종사자수가� 1만� 3,976명(9.7%)으로�나타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08

[� 소방업체�업종별�매출액�및�종사자수� ]

매출액 종사자수

매출액(억원) 구성비(%) 종사자�수(명) 구성비(%)

전체 121,143 100.0� � � 143,846 100.0� � �

소방설계업 3,605 3.0� 11,825 8.2�

소방공사업 67,003 55.3� � � 92,130 64.0� � �

소방감리업 4,727 3.9� � � 10,194 7.1� � �

소방관리업 3,616 3.0� � � 5,356 3.7� � �

방염업 13,079 10.8� � � 9,130 6.3� � �

소방제조업 25,805 21.3� � � 13,976 9.7� � �

소방�도매� 및� 소매업 3,308 2.7� � � 1,236 0.9� � �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09

(3)� 무역현황

지능형�화재안전�대응의�무역현황�분석은�화재안전�관련�품목으로�살펴보았음

▪ 수출현황은� ‘12년� 3억� 3,800만� 달러에서� ’16년� 4억� 7,700만�달러� 수준으로�증가하였음▪ 최근� 5년(‘12~‘16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금액은� 연평균� 9.0%로� 증가하였으며,�수입금액은�연평균� 2.2%� 증가함

무역특화지수는� ‘12년(0.02)부터� ‘16년(0.15)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점차� 국내� 기업의�

수출량이�증가하고�있는�것으로�나타났음

(단위 : 천 달러, %)

구분 ‘12 ‘13 ‘14 ‘15 ‘16 CAGR

수출금액 338,511 479,511 466,192 526,867 477,112 9.0

수입금액 322,652 338,453 366,264 385,566 351,796 2.2

무역수지 15,859� 141,058� 99,928� 141,301� 125,316� -

무역특화지수* 0.02� 0.17� 0.12� 0.15� 0.15� -

�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산출되며,� 지수가� 0인�경우�비교우위는�중간정도이며,� 1

이면�완전�수출특화상태를�말함.�지수가� -1이면�완전�수입특화�상태로�수출물량이�전혀�없을�뿐만�아니라�수입만�한다는�뜻

� *�자료� :� 관세청�수출입무역통계�HS-Code(6자리�기준)�활용

[� 지능형�화재안전�대응�관련�무역현황�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10

다.� 기술환경�분석

국제화,� 개방화에� 따른� 무한경쟁시대를� 맞아� 소방용품에� 대한� 국제� 표준화� 활동이� 빠르게�

진행되는� 추세이고,� 재난양상의� 다양화,� 규모의� 대형화� 추세에� 비례하여� 첨단� 소방산업�

기기와�기술의�중요성�및� 역할�증대

화재� 경보� 및� 모니터링� 시스템은� 소방산업의� 제조업� 중� 경보기분야에� 해당되며,� 산업내�

비중은�약� 10%를�차지하며,� 국내�시장규모는�약� 2,800억� 원� 수준임

▪ 소방산업�중�제조업은�방염용품,� 소화기구,� 경보기구,� 기계장치,� 소방차량으로�분석

화재� 경보기의� 매출추이는� 건설경기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 2017년도� 건설� 경기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영세한� 소방용품� 제조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전망

독일의� 가정� 내� 화재경보기� 장착� 의무화는� 현재� 연방주별로� 시행� 중이며� 가정� 내� 침실,�

어린이�방� 그리고�비상통로로�이어질�수�있는�복도에�각각�화재경보기� 1개� 장착을�의무화

▪ 독일� 개인� 가정� 내� 화재경보기� 보급률은� 36%로� 미국(90%),� 영국(74%),� 스웨덴(70%)� 등� 일부�선진국가� 대비� 다소� 낮은� 수준이나� 일부� 연방주의� 경우� 최대� 2018년� 12월� 31일까지� 유예기한을�

두며�현재� 미� 시행�연방주�중� 베를린�역시� 2016년� 1월� 1일부터�의무화�시행이�예정

중국� 정부가� 소방산업에� 대한� 투자를� 지속� 확대되며� 소방� 관련� 법규도� 출범하는� 등� 중국�

소방산업의�시장의�성장을�견인함

▪ 도시화� 수준의� 꾸준한� 제고로� 관련� 소방공정� 수요가� 늘고� 있고� 국가에서� 화재경보에� 대해� 중시하고�있어,� 전체�소방� 설비� 시장규모의�성장속도가�빠르게�증가

▪ 소방산업에서� 가장� 빨리� 증가하는� 자동소화설비와� 비슷하게� 불꽃감지기� 시장도� 향후� 20%� 내외의�증가율로�빨리�성장할�전망

프랑스�가정의�연기�감지기�설치가�의무화됨에�따라�관련�수요가�급증�전망

▪ 프랑스� 정부는� 가정� 화재로� 인한� 인명� 피해자� 1만� 명� 가운데� 600~800명이� 매년� 목숨을� 잃는� 것을�예방하기� 위해� 2010년� 3월� 각� 가정에� 연기� 감지기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는� 법안을� 마련하고� 5년�

후인� 지난� 8일부터�시행령을�적용하기�시작

▪ 프랑스� 시장조사기관에� 따르면� 현재까지� 연기감지기를� 설치한� 가정은� 전체의� 10%에� 불과함.� 이에�따라� 프랑스의� 한� 화재� 감지기� 제조업체는� 약� 3,500만� 가정이� 앞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감지기를�구비할�것으로�봄

▪ 프랑스� 정부는� 아직까지� 연기� 감지기� 미설치� 가정에� 대한� 구체적인� 제재는� 발표하지� 않고� 있으나,�다만� 화재� 발생�시�연기� 감지기가�설치돼�있지� 않으면�보험사로부터�불이익을�받음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11

3.� 기업� 분석

가.� 주요기업�비교

단순� 화재감지� 및� 경보� 수준을� 벗어나� ICT� 기술과의� 융·복합을� 통해� 조기� 화재감지� 및�

효과적인�경보,� 대응이�가능한�다기능,� 고성능�화재�감지�및� 대응�시스템이�개발되고�있음

▪ 타� 산업분야에� 산재되어� 있는� 관련� 제품들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산업� 분야를� 창출하여� 특화된�산업육성이�이루어진다면�성장가능성이�매우�높음

▪ 각종� 시설의� 화재감지를� 위해� 정보� 통신기반� 상태정보를� 취득하여� 관리� 기능을� 통해� 산업재해가�발생시� 조기에� 감지하여� 관계자에게� 통보� 및� 알람해� 줄� 수� 있는� 설비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하기�위한�필요� 장비이며�수요가�크게� 증가할�것으로�예상

▪ 산불,� 산사태,� 홍수� 등� 자연재해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명,� 재산� 피해가� 늘어나고� 있는데�자연재해로부터�피해를�최소화하고�예방할�수� 있는�자연재해�알람모니터링�장치의�수요에�대응

지능형� 화재감지기� 및� 관련� 장치� 개발현황을� 보면� 영상카메라의� 결합과� 무선� 및� 인터넷�

기술을�적용한�기술개발이�활발함

▪ 보쉬시큐리티시스템즈가� 열악한� 환경에서도�즉각적으로� 감지하고� 높은� 신뢰성을� 지닌� 비디오� 기반의�화재� 감지� 카메라� ‘아비오텍(AVIOTEC)’을� 출시

▪ (주)창성에이스산업(대표� 이의용)의� 화재감지�열영상� 카메라� 시스템은� 1km� 이상의� 거리에서도� 30초�이내에�화재를�감지하는�최첨단�방재시스템

▪ ㈜에이치엠씨의�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은� 기존의� 광센서� 및� 온도센서의� 검출� 방식과� 달리�지능형� 영상처리�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감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신호의� RGB� 영상을� 변화가� 없는�

배경과� 검출� 대상인� 화염� 혹은� 연기를� 분리하여� 화재를� 검출하는� 시스템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경보�

및�영상을�전송하여�원격지에서도�확인이�가능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12

구분 제품분류별�주요기업

기술분류 영상화재감시기 화재감지기 화재관제/대응시스템

주요�품목�및�

기술

화재감지�카메라,� 적외선�

열상카메라,� 다파장�카메라,�

영상저장장치,� DVR/NVR,�

지능형�화재영상인식� S/W

열감지센서,� 연기감지기,�

불꽃감지기,� 자외선감지기,�

무선화재감지기,� 단독형�

화재감지,� 복합화재감지기,� IoT�

화재감지기

화재�관제시스템,� 영상보안�

복합�관제시스템

해외기업 보쉬시크리트

United� Technologies

Siemens� AG

Bosch� Security� Systems�

Tyco� International� Limited�

London� Security� PLC�

Johnson� Controls,� Inc.

Siemens� AG

국내기업

에이치엠씨

창성에이스산업

ZION

VON

나레IoT랩

인텍

금륜방재산업

리트코

지에프에스

케이텔

화인화이어

위니텍

[� 제품분류별�주요기업� ]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13

국내�중소기업�사례

▪ 창성에이스산업은� ‘적외선� 열영상� 화재감지기� 및� 이를� 이용한� 화재� 감지방법'� 특허를� 기반으로�열영상화재감지�카메라�시스템� 'Fire� Eye'� 생산�

▪� (주)지에프에스는� 자동화재� 탐지설비인� GR형� 복합식� 수신기부터� 중계반,� 중계기,� 아날로그�감지기까지� 건축물� 소화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종합방재시스템을� 생산·시공.� 2016년에는� 하노이�

LG디스플레이와� LG이노텍�공장�등�국내� 기업의�해외� 진출현장에�자동화재탐지설비를�일괄�수주함�

▪ 현대인프라코어는� 화재� 감지� 시스템',� '자가진단이� 가능한� P형� 수신기'� 등� 진단� 및� 감지� 특허를�보유하고� 있으며,� 수신기,� 중계기� 외에� 고성능써어미스터에� 의한� 정온식� 감지� 방식을� 적용하여� 자가�

진단과�원격감시가�가능한�스마트�감지기�어플리케이션� 'FMS-R2000-AC1'� 보유

▪ 주식회사� 다스코리아는� 실시간� 감지와� 소화설비,� 제연설비� 기능을� 갖춘� 사찰� 및� 문화재� 시설에서�발생하는� 화재� 무선통신� 신고시스템과� 주택의� 화재발생을� 감지하여� 음성안내와� 통보를� 해주는� 주택�

유무선�경보�시스템�개발

▪ (주)지에프아이는� 대형화재를� 자동� 감지,� 진압할� 수� 있는� 지능형� 화재� 방호� 안전장치를� 개발하여�'2017� 대한민국�안전기술�대상'에서�대통령상을�수상함

▪ 알에프비젼은� 불꽃,� 연기� 인식� 알고리즘이� 내장된� 지능형� 화재� 감지� 카메라로� 화재� 발생� 20초�이내에�감지와�분석,� 인식이�가능한� 'Fire-Q'� 제품�개발� 제공

국내업체 자산총계 매출액매출액

증가율영업이익율 당기순이익율 R&D집중도

창성에이스산업 21,203� 27,080� -12.2� 3.3� 3.7� 10.5�

(주)지에프에스 24,148� 35,559� 4.7� 6.9� 5.1� 1.3�

현대인프라코어 7,137� 3,758� 21.9� 18.3� 9.2� 12.0�

주식회사�

다스코리아1,046� 976� -13.6� -0.4� 7.7� 2.1�

알에프비젼 843� 922� -10.1� -19.1� -21.4� 14.1�

[� 주요� 중소기업�비교� ]

(단위� :� 백만� 원,%)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14

나.� 주요업체별�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샌디에이고� 슈퍼컴퓨터센터(SDSC)와� 퀄컴(Qualcomm)� 연구소,� 캘리포니아대학교�

샌디에이고캠퍼스(UC� Sandiego)� 등이� 함께한� WIFIRE� 프로젝트는� 빠르게� 확산할� 가능성이�

높은�산불에�대해�실시간으로�데이터�기반�예측�모델링�및� 분석을�지원함

▪ 위성� 데이터� 및� 날씨� 등의� 실시간� 원격�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여� 화재� 대응� 및� 자원� 관리를�지원하고� 산불의� 예방� 및� 대응을� 위한� 분석은� 물론� 식생� 관리까지� 수행하여� 신속한� 생태의� 복원을�

돕는� 구축� 사례임

독일� 마그델부르크-스텐달� 대학(University� of� Magdelburg-Stendal)은� 스스로� 산불을� 찾아�

초기에� 진화가� 가능한� 자율주행� 소방방재로봇인� ‘올루(OLE,� Off-road� Loescheinheit)’를�

개발하였음

▪ 올루는� 각종� 첨단센서와� GPS� 장치,� 소화약제를� 내장한� 채� 스스로� 산불을� 찾아� 초기에� 진화하며�또한� 무선통신시스템을� 통해� 화재� 발생� 사실과� 정확한� 장소를� 알려주어� 즉각� 소방헬기가� 출동할� 수�

있도록�지원함

▪ 냄새로도�화재를�알� 수� 있는�고성능�바이오센서�장착으로�최대� 800m� 밖에서�화재� 발견이�가능함

일본과�독일은�노인요양시설에�적합한�화재�감지�및� 대응�시스템을�구축하고�있음

▪ 일본� 도쿄의� 복합노인요양시설인� 하쿠스이노사토는� 화재가� 발생하면� 병실� 문이� 자동으로� 닫히도록�하는�장치를�설치

▪ 화재시� 유독� 가스가� 들어오지� 못하게� 차단하고� 치매� 환자들이� 복도에서� 배회하다� 화재에� 노출되는�것을�막기� 위함

▪ 베를린의� 복합요양시설� 플레게베르트의� 복도� 한� 쪽에는� 화재� 감지� 현황판이� 설치돼� 있어� 시설을�32개� 구역으로�나눠�불이�난�구역을�알려주고�이� 사실이�소방서에�자동으로�통보되도록�구현함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15

(2)� 국내업체동향

지능형� 화재안전� 분야는� 크게� 영상화재감지기,� 화재감지센서,� 화재관제� 및� 대응시스템으로�

구분할�수� 있으며,� 많은�국내�중소기업이�참여하고�있음

분야 기업명

영상화재감시기

에이치엠씨

인텍

보쉬시크리트

나레IoT랩

VON

ZION

창성에이스산업

화재감지기

금륜방재산업

리트코

지에프에스

케이텔

화인화이어

화재관제/대응시스템위니텍

지멘스

㈜FINEFIRE의� 지능형� 화재감지기는�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가스(LPG,� LNG,� CO)의� 누출�

여부를� 감지하는� 가스감지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 단일� 센서� 또는� 다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3가지�유형�모두를�감지할�수� 있는�복합제품의�생산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16

[� ㈜FINEFIRE� 지능형�화재감지기� ]

▪ 특히� 화재사고� 시� 인명사고의� 가장� 큰� 원인인� 일산화탄소(CO)� 감지하고,� LED를� 점등시켜�청각장애인을�포함한�누구라도�화재�여부를�알� 수� 있는� 알림�기능� 탑재

㈜인텍의�화재감지기는�자외선(UV)� 센서와� IP카메라라�결합된�제품을�출시

▪ 자외선� 센서방식은� 화재� 시� 발생되는� 불꽃감지기� 중에서� 가장� 신속하며� HD급� IP카메라를� 내장하여�연동시킴으로써� 화재� 순간의� 현장을� 통제실이나�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화재사고의�전/후를�확인� 가능

[� ㈜인텍� CCTV� 일체형�화재감시�센서� ]

▪ 화원에서� 발생되는� 자외선(UV)� 및� 적외선(IR)을� 감지하여� 실제� 화재인지를� 정확하게� � 파악하고�전달하므로� 신속한� 화재� 경보와� 더불어� 용접,� 할로겐등,� 난로의� 열기,� 그라인더� 불꽃� 등의� 비화재를�

걸러�낼� 수� 있음

㈜에이치엠씨의�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은� 기존의� 광센서� 및� 온도센서의� 검출� 방식과�

달리� 지능형� 영상처리�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감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신호의� RGB� 영상을�

변화가� 없는� 배경과� 검출� 대상인� 화염� 혹은� 연기를� 분리하여� 화재를� 검출하는� 시스템으로�

인터넷을�통하여�경보�및� 영상을�전송하여�원격지에서도�확인이�가능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17

[� ㈜에이치엠씨�화재감시시스템� ]

보쉬시큐리티시스템즈가� 열악한� 환경에서도�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높은� 신뢰성을� 지닌� 비디오�

기반의�화재�감지�카메라� ‘아비오텍(AVIOTEC)’을� 출시

▪ 시장에서� 검증된� 보쉬의� 스타라이트(Starlight)� 카메라� 기술과� 보쉬의� 인공지능� 영상�

분석(Intelligent� Video� Analysis)을� 활용한� 비디오� 기반의� 화재� 감시� 카메라아비오텍은� 층고가� 높아�

화재� 감지가� 어려운� 빌딩이나� 먼지가� 많은� 지역,� 혹은� 습한� 지역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솔루션임.�

또한� 화재� 감지와�더불어�격납고나�제재소�등� 넓은�공간의�보안�모니터링�용도로�사용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18

[� ㈜보쉬시큐리티�인공지능�기반�화재감시�카메라� ]

㈜나레IoT랩의� 전기아크화재� 감시시스템은� 전선이나� 전기제품의� 손상,� 전선의� 절연파괴,�

부적절한� 설치,� 접속� 결함,� 노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아크� 및� 스파크를� 감지하여�

스마트폰으로� 경보를� 알려주고� 자동� 또는� 스마트폰으로� 원격에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하여�전기화재를�사전에�예방할�수� 있는� IoT� 재난감시�시스템

[� ㈜나레IoT랩� 전기아크화재�감시예측시스템� ]

ZENESIS� 무선� 화재� 감지기는� 화재� 센서로� 부터� 입력된� 화재� 신호를� 다른� ZENESIS� 무선�

시스템으로� 무선� 전송하고,� 그룹에� 설치된� 모든� 무선� 감지기가� 동시에� 알람을� 울려,� 신속한�

대피�및�화재�초기�단계에서�화재�진압이�가능하도록�개발

▪ 저전력� 회로� 설계로� 자체� 내장된� 리듐� 건전지로� 긴� 수명을� 보장하며� Mesh� Network� 통신�시스템으로� 어떠한� 무선� 디바이스에� 통신장애가� 있어도� 다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알람� 연동이�

가능함.� 편리한�확장성과�기존�소방방재�시스템과의�호환성을�경제적으로�구성이�가능

▪ 소음지역,� 야간,� 노약자� 및� 청각� 장애우를� 위한� 음성� 알람은� 물론이고� 시각알람� 기능을� 동시에�가짐으로써�화재시�보다� 명확히�화재� 알람� 인지가�가능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19

[� ㈜ZION� 무선화재감지기� ]

(주)창성에이스산업(대표� 이의용)의� 화재감지� 열영상� 카메라� 시스템은� 1km� 이상의�

거리에서도� 30초� 이내�화재를�감지하는�최첨단�방재시스템

▪ 이� 시스템은� 기존� 화재감지시스템과� 달리� 적외선� 카메라에� 의한� 온도분석을� 통해� 발화점� 화재�온도값과� 주위� 온도값을� 비교분석하고� 개별� 온도값을� 숫자� 및� 색깔로� 별도� 표시해� 사용자가�

편리하게�감시하고�구체적인�분석도�가능

[� ㈜창성에이스산업�화재감지�열영상�카메라시스템�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20

4.� 기술개발�현황

가.� 기술개발�이슈

화재감지� 및� 경보시스템은� 기존의� 단순� 감지� 및� 경보수준에서� 지능화� 및� 복합화된� 첨단�

시스템으로�진화하고�있음

▪ 화재감지� 센서의�경우� 열감지,� 연기감지,� 불꽃감지�순으로�확대� 적용되고�있으며,� 내장카메라를�통해�모니터링과�판단�능력을�제고하고�있음

▪ CCTV를� 활용한� 화재의� 감시시스템은� 화재� 감지에� 있어서� 영상인식� 및� 자동� 대응� 시스템으로�기술발전을�이루고�있음

재난 현�황 대응�및� 개선사항

화재

•열감지+연기감지기�적용�필요

•요리시�발생연기와�구분

•오동작/경보�안�되는�센서�개발필요

•감도설정가능�화재감지기�보급�확대

•오동작이� 없는� 실제� 화재시� 작동되는� 고신뢰�

화재�감지기�개발과제�지원

•감도설정가능� 화재감지기의� 설치대상� 확대�

제도개선� (현행)� 30층이상� 빌딩� →� (개선)� 저층�

건물

(해외� 동향)� 보쉬시큐리티시스템즈가� 열악한� 환경에서도� 즉각적으로� 감지하고� 높은� 신뢰성을�

지닌�비디오�기반의�화재�감지�카메라� ‘아비오텍(AVIOTEC)’을� 출시

▪ 시장에서� 검증된� 보쉬의� 스타라이트(Starlight)� 카메라� 기술과� 보쉬의� 인공지능� 영상�

분석(Intelligent� Video� Analysis)을� 활용한� 비디오� 기반의� 화재� 감시� 카메라아비오텍은� 층고가� 높아�

화재� 감지가� 어려운� 빌딩이나� 먼지가� 많은� 지역� 혹은� 습한� 지역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솔루션임.�

또한� 화재� 감지와�더불어�격납고나�제재소�등� 넓은�공간의�보안�모니터링�용도로�사용

(국내� 동향)� 국내� 지능형� 화재감지기� 및� 관련� 장치� 개발현황을� 보면� 영상카메라와� 결합과�

무선�및�인터넷�기술을�적용한�기술개발이�활발함

▪ ㈜FINEFIRE의� 지능형� 화재감지기는� 열감지기,� 연기감지기,� 가스(LPG,� LNG,� CO)의� 누출� 여부를�감지하는� 가스감지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 단일� 센서� 또는� 다수의� 센서를� 사용하여� 3가지� 유형�

모두를�감지할�수� 있는� 복합제품의�생산

▪ ㈜인텍의� 화재감지기는� 자외선(UV)� 센서와� IP카메라가� 결합된� 제품을� 출시하여� 자외선� 센서방식은�화재� 시� 발생되는� 불꽃감지기� 중에서� 가장� 신속하며� HD급� IP카메라를� 내장하여� 연동시킴으로써�

화재� 순간의� 현장을� 통제실이나� 관리자의� 스마트폰으로� 즉각�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사고의�전/후를� 확인� 가능

▪ ㈜에이치엠씨의� 영상� 기반� 화재� 감시� 시스템은� 기존의� 광센서� 및� 온도센서의� 검출� 방식과� 달리�지능형� 영상처리� 프로세서를� 사용하여� 감시� 카메라의� 실시간� 영상� 신호의� RGB� 영상을� 변화가� 없는�

배경과� 검출� 대상인� 화염� 혹은� 연기를� 분리하여� 화재를� 검출하는� 시스템으로� 인터넷을� 통하여� 경보�

및�영상을�전송하여�원격지에서도�확인이�가능

▪ ㈜나레IoT랩의� 전기아크화재� 감시시스템은� 전선이나� 전기제품의� 손상,� 전선의� 절연파괴,� 부적절한�설치,� 접속� 결함,� 노후�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아크� 및� 스파크를� 감지하여� 스마트폰으로� 경보를�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21

알려주고� 자동� 또는� 스마트폰으로� 원격에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하여� 전기화재를� 사전에� 예방할�

수�있는� IoT� 재난감시�시스템

▪ ZENESIS� 무선� 화재�감지기는�화재�센서로�부터�입력된�화재� 신호를�다른� ZENESIS� 무선�시스템으로�무선� 전송하고,� 그룹에� 설치된� 모든� 무선� 감지기가� 동시에� 알람을� 울려,� 신속한� 대피� 및� 화재� 초기�

단계에서�화재�진압이�가능하도록�개발

▪ (주)창성에이스산업(대표� 이의용)의� 화재감지�열영상� 카메라� 시스템은� 1km� 이상의� 거리에서도� 30초�이내� 화재를�감지하는�최첨단�방재시스템�개발

◎�화재�감지�시스템

건축물에도� 다양한� IoT� 센서들이� 적용된� 지능형� 빌딩�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음.� 특히� 복잡한�

공간구조를� 가진� 대형� 시설의� 경우� 정확한� 대피로를� 전달하는� 것으로� 소방안전의� 근본적�

개선이�가능함

▪ 화재감지� 및� 대피안내� 시스템은� 각� 센서가� 화재를� 감지하고� 저전력�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황을�전파하며� 공간� 및� 상황� 별� 안전한� 대피� 경로를� 음성� 및� 시각으로� 제공하는� 스마트� 대피� 안내�

시스템�제공이�가능함

*�자료:� LGCNS�블로그,�재난과�안전,� IoT로�대비한다,� http://lgcnsblog.tistory.com/1273

[� 스마트�대피� 안내� 시스템� ]

IoT기술의� 발전으로�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한� 화재� 센서네트워크� 개발이� 용이해졌으며,� 신뢰성�

분야에� 대한� 다양한� 사례가� 축적되어� 소방분야에� 대한� 무선기술의� 적용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됨

▪ 소방분야는� 일반� 통신과는� 달리� 정보전송에� 대한� 신뢰성이� 더욱� 중요하게� 요구되기� 때문에�무선시스템의� 도입에�아직은�어려움이�있으며�현� 시점에서는�시험규격이�아직�마련되지� 않아� 출시가�

불가능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22

CCTV� 영상을� 분석하여�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시스템� 개발이� 진행되고� 있음.� 비교적� 넓은�

지역의� 감시가� 가능하고,� 행사시설� 등� 설치기간이� 짧은� 시설의� 화재감시나,�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공사장�등에�대한�감시에�적절한�기술임

▪ 영상�화재감지�기술이�이미� 개발이�진행되었으나�아직은�영상� 판독�오류가�있어�기술개선이�필요▪ 온도� 상승� 감시가� 필요한� 경우에는�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시험� 라벨을� 부착하고� CCTV를� 통해� 해당�위치의�화재�및�온도� 상승� 감시를�실행하는�기술이�개발되어�있음

◎�화재�모니터링�기술

u-방재시스템은� 화재발생시� 온도와� 연기를� 측정하여�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USN�

기반의�화재�모니터링�기술

▪ 화재발생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온도와� 연기를� 측정하여� 현장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독립적인�데이터�송수신�기능을�가지며,�시공간을�극복하여�현장상황을�실시간으로�모니터링�할�수�있음

▪ 시설물� 사용자는� 방재시스템의� LED� 전광판이� 안내하는� 상황별� 최적의� 대피경로를� 따라서� 화재로�부터� 탈출할�수�있도록�구성

대공간에서의�원거리�가스분석기술�개발은�적외선�광원과�적외선� 분석장치를�떨어뜨려놓고�그�

사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통째로� 분석하는� 것으로� 시료가스를� 채취할� 필요가� 없이� 가스를�

빠르게�분석할�수�있고�다중가스를�동시에�분석�가능함

▪ 기존� 가스분석을� 위한� 적외선분광� 분석기술은� 샘플가스� 채취하여� 분석기� 내부에서� 적외선을� 일으켜�샘플링한� 시료를� 분석� 장비� 안으로� 흡입하여� 분석하는� 방법임.� 기존� 방법은� 화재현장� 또는�

산업현장에서� 누출되는� 가스도� 보통� 대공간에서� 다량으로� 급속하게� 발생되는� 경우� 적용에� 한계가�

있음

▪ 개발된� 분석기술은� 또한� 시료� 분석면적이� 넓어서� 시료의� 대표성을� 확보할� 수� 있고� 독성가스가�장비에� 직접� 접촉하지� 않아,� 센서도� 오염되지� 않고� 측정자도� 독성가스에� 직접� 노출을� 피할� 수� 있는�

장점이�있음

� �

*�자료:�조남욱(2014),� 원거리�유해가스�검출�및�모니터링�기술개발,�가스안전,�한국가스안전공사

[� 대공간에서의�원거리�가스분석기술�개발� ]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23

나.� 특허동향�분석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특허�상� 주요�기술

주요�기술�

▪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은� 영상� 화재� 감지기술로� 영상� 획득기술,� 지능형� 영상처리� 기술,� 영상�저장기술,� 영상� 화재감지� 기술로� 구분되고,� 센서� 화재감지� 기술로� 화재감지� 센서기술,� 감지센서�

네트워크�기술이�있으며,� 모니터링�기술,� 화재대응�기술로�구분됨

분류 요소기술 설명

영상

화재감지

기술

영상�획득기술

가뭄,� 홍수,� 황사�관련�감지� 시스템�기술로서�진도정보,� 지형,�

지반,� 인구,� 건물�등의� 정보를� GIS상에�표시하고�피해규모�

정보를�표시하여�감시,� 지원체제�지원기술

지능형�영상처리�기술수위,� 우량정보,� 토사붕괴,� 토양오염�등� 하천,� 토양에서�

발생되는�관측정보를�분석,� 재해정보�모니터링�기술

영상�저장기술해양수위,� 방사선�관련정보�등을� 감지하여�이를�통합�분석하여�

재해정보로�판단� 대응체제�지원기술

영상�화재감지�기술공사현장,� 공장�시설물의�폭발,� 붕괴,� 기타� 사고�등을�

스마트센서를�활용해�실시간으로�모니터링·통합관리하는�기술

센서�

화재감지

기술

화재감지�센서기술열,� 연기를�감지하여�화재�상황을�감지하는�센서�및�이의�

신호를�전달하는�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화재감지기에서�발생되는�정보를�유무선�통신망을�이용�센서�

네트워크를�형성기술

모니터링�

기술화재감시�모니터링�기술

통신네트워크를�통하여�원격지에서�각종�지역에서�발생되는�

영상을�취득하여�재난상황을�파악,� 신속한�조치를�할� 수� 있는�

중앙관제�기술

화재대응

기술

화재현장�피해자�감지�및�유도기술

감시카메라,� 레이다,� 적외선�등을�활용,� 화재초기�및� 연기�상황�

하에서�현장에�있는�사람을�감지하고�화재�통보�또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최적의�경로로�대피를�유도하는�기술

화재대응�장비�기술기계장치�및� 무인�비행기,� 자동차,� 로봇�등을� 이용하여�화재�

진압� 가능�기술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24

◎�세부�분야별�특허동향

주요�기술별�국가별�특허동향

▪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의� 요소기술별� 주요� 국가별� 특허정보� 데이터� 입수하였으며,� 최근�5년간의�특허데이터를�비교�분석함

분류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계

영상

화재감지

기술

영상�획득기술

120 92 0 54 266

지능형�영상처리�기술

영상�저장기술

영상�화재감지�기술

센서�

화재감지

기술

화재감지�센서기술

221 120 39 52 432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모니터링�

기술화재감시�모니터링�기술 103 89 2 6 200

화재대응

기술

화재현장�피해자�감지� 및� 유도기술

91 68 0 21 180

화재대응�장비� 기술

합계 535 369 41 133 1,078

▪ 국가별� 요소기술별� 특허동향에서� 한국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미국,�유럽,� 일본�순으로�나타남

▪ 세부적으로� 영상� 화재감지� 기술� 분야에서는� 한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은� 최근�5년간�관련� 기술� 특허활동이�매우�소극적인�것으로�나타남

▪ 센서� 화재감지� 기술은� 한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미국,� 유럽� 순으로�나타남

▪ 모니터링� 기술은� 한국과� 미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국가는� 최근� 5년간�특허활동이�매우�저조함

▪ 화재대응�기술은�한국이�가장� 많은�비중을�차지하고�있으며,� 그� 다음으로�미국,� 유럽� 순으로�나타남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25

주요�기술별�출원인�동향

분류 요소기술

기술�

집중

주요출원인 국내�특허동향

영상

화재감지

기술

영상�획득기술

◔IC� REAL�

TIME

GUANGZHO

U� SAT�

아이넷테크

중소기업이�주도

아이넷테크� ,� 코어센스,�

다이나맥스�등

지능형�영상처리�기술

영상�저장기술

영상�화재감지�기술

센서�

화재감지

기술

화재감지�센서기술

◓HONEYWELL

Factory�

Mutual�

Insurance� Co

아이넷테크

중소기업이�주도

유일엔지니어랑,�

아이넷테크� ,� 코어센스�

등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모니터링�

기술화재감시�모니터링�기술 ◔

Tyco� Fire� �

Security�

Hochiki

HONEYWELL

다양한�기관이�

연구개발에�참여

대우조선해양,� 태산전자,�

목원대학교�등

화재대응

기술

화재현장�피해자�감지�및�유도기술

Tyco� Fire� �

Security�

XI'AN� J&R�

GelTech�

Solutions,�

Inc.

다양한�기관이�

연구개발에�참여

주식회사�포스코건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주)

수로텍�등화재대응�장비�기술

영상�화재감시�기술�주요�출원인�동향

▪ 영상� 화재감시� 기술은� IC� REAL� TIME,� 아이넷테크,� 코어센스� 등� DISICON,� GUANGZHOU� SAT� � 등�미국,� 중국,� 한국의�중소기업이�가장�많은�특허를�보유하고�있음

센서�화재감시�기술�주요�출원인�동향

▪ 영상� 화재감시� 기술분야는� HONEYWELL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Factory�Mutual� Insurance� Co,� 아이넷테크�등이�많은�특허를�출원하고�있음

모니터링�기술�주요�출원인�동향

▪ 모니터링시� 기술분야는� Tyco� Fire� Security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Hochiki,� HONEYWELL� 등이� 많은� 특허를�출원하고�있음

화재대응�기술�주요�출원인�동향

▪ 화재대응� 기술분야는� Tyco� Fire� Security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XI'AN� J&R� Emergency� Equipment,� GelTech� Solutions,� Inc.� 등이� 많은� 특허를�출원하고�있음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26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분야의�주요�경쟁기술�및� 공백기술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센서� 화재감시� 기술이고,� 공백기술은�

화재대응�기술로�나타남

▪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분야에서� 센서� 화재감시� 기술이� 가장� 경쟁이� 치열할� 분야이고,� 화재�대응�기술분야는�아직까지�출원이�활발하지�않은�공백기술�분야로�나타남

분류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영상

화재감지기술

영상�획득기술

●지능형�영상처리�기술

영상�저장기술

영상�화재감지�기술

센서�

화재감지기술

화재감지�센서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모니터링�기술 화재감시�모니터링�기술 ●

화재대응기술화재현장�피해자�감지�및�유도기술

●화재대응�장비�기술

※ ●: 50건 이상, ◕: 30~49건, ◓: 20~29건, ◔: 10~19건, ◯: 10건 미만

◎�최신�국내�특허기술�동향

분류 요소기술 최근�핵심기술�동향

영상

화재감지

기술

영상�획득기술

자동�대응�시스템�연계를�위한� 영상인식�정확도�제고

화재�초기�진압을�위해�정확도�높은�감지� 기술�요구

CCTV/DVR� 기술�고도화

지능형�영상처리�기술

영상�저장기술

영상�화재감지�기술

센서�

화재감지

기술

화재감지�센서기술 열감지,� 연기감지,� 볼꽃감지�순으로�확대�적용�중

ICT� 기술과�융복합을�통해�조기�화재감지�및�효과적�경보�

대응�연계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모니터링�

기술화재감시�모니터링�기술

IoT� 기술이�적용된�지능형�빌딩� 시스템�구축

기존�설치� CCTV의�영상� 분석을�통한� 모니터링�구축

화재대응

기술

화재현장�피해자�감지�및�유도기술

ICT� 및�고성능�화재�감지�시스템�연계화재대응�장비�기술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화재감지� 부분은� 중소기업� 중심으로� 연구개발� 되고� 있으며,�

모니터링� 및� 화재대응� 기술은� 대기업,� 공공연구소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이� 연구개발에�

참여하고�있음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27

▪ 영상� 화재감지� 기술은� IP카메라� 기능을� 결합하여� 화재에� 즉각적인�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기존�가시광뿐만�아니라�자외선,�적외선도�처리�가능하게�하여�보다�빠르고�정확한�화재감지�기능�탑재

▪ 센서를� 통한� 화재감지� 기술은� 열감지뿐만� 아니라� 연기감지,� 가스(LPG,� LNG,� CO)� 누출� 여부� 감지�기능� 등을� 추가하여�보다�정확한�현장�정보� 제공� 및� 추가�피해를�최소화하기�위한�제품� 개발�중임

▪ 모니터링� 및� 화재대응� 기술은� 소방산업과� 안전산업에� 포함되어� 있어� 공공연구소� 및� 대형� 인프라를�보유한� 대기업도� 해당� 분야에� 많은� 참여를� 하고� 있으며� 화재� 발생시� 적절한� 대응으로� 골든타임을�

확보하여�재산�및� 인명� 피해를�최소화하기�위한�방향으로�연구가�진행�중에� 있음

▪ 화재� 시� IoT� 기술이� 적용된� 화재센서를� 통해� 화재정보를� 수집하여� 최적화된� 대피경로를� 음성� 또는�방향� 지시,� 조명� 등으로�안내하는�화제대피�유도�시스템이�코너스톤즈테크놀로지에�의해�출시

◎�중소기업�특허전략�수립�방향�및� 시사점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분야의�공백기술�분야는�화재대응�기술로�나타남

▪ 국내� 화재감지기� 시장은� 아직� 열감지식과� 같은� 저가� 센서� 위주로� 형성되어� 있지만� 열,� 온도,�불꽃감지,� 연기� 등� 복합감지기능을� 탑재한� 제품이� 출시되고� 있으며� 최근� 무선� 및� IoT� 기술을�

적용하는�첨단�제품이�개발� 등� 관심이�높아지는�시장

▪ 또한� 최근� 건축물의� 개보수·리폼� 및� 안전� 규제� 강화� 등이� 화재� 감지기� 및� 탐지기� 시장의� 성장을�촉진하고�있음

▪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관련� 기술� 개발은� 영상� 및� 센서를� 통한� 화재감지� 기술의� 경우� 대부분�중소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는� 경쟁이� 매우� 치열한� 시장이며� 센서의� 경우� 최근� 저가의� 중국제품�

유입으로�중소기업이�경쟁력을�확보하기�어려운�분야임

▪ 하지만�화재�대응� 시스템은�현재� ICT기술과�영상� 화재감지�기술을�연계하여�시제품�도입이�진행되고�있는�신시장으로�경쟁자가�적은�기술� 분야임

▪ 따라서� 해당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이전받거나� 공동으로� 연구개발하여�제품화하는�특허전략을�수립하는�것이�바람직할�것으로�사료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28

5.� 연구개발�네트워크

가.� 연구개발�기관/자원

◎�연구개발�기관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센터장�김재준�교수)

▪ 스마트센서�인터페이스,� 스마트센서�소자�및� 소재,� 웨어러블�스마트센서�등� 3개� 분야를�융합� 연구▪ 자동차,� 모바일,� 산업방재�등�분야별로�특화된�사업�중심의�기술�개발▪ 관련�중소기업의�제품�설계에서부터�양산까지�적극�지원

전자부품연구원�스마트센서연구센터(센터장�이대성)

▪ 스마트센서연구센터는� 나노/MEMS기반� 스마트센서,� 차세대� 입력디바이스� 및� 내츄럴� UI/UX,�집적광학센서� 및� 소자,� 환경/바이오센서� 및� 소자,� 무선전력� 등� 자립형� 디바이스� 기술,� 스마트센서�

응용�시스템을�연구

4차산업혁신연구소� �

▪ 위험�경보/방재/복구,� 지진� 위험도�및�예측경보�시스템�연구

소방산업기술원�소방기술연구소

▪ 화재관련분야,� 소방� 안전분야,� 소방�화학분야,� 소방� 기계분야에�대한�연구� 수행

KISTI� 재난대응HPC연구센터(센터장�조민수)

▪ 재난·재해�관련� 데이터�분석� 및� 예측을�위한�M&S� 및�가시화�기술�개발▪ HPC� 기반의�대규모�실시간�데이터�처리� 기술� 개발�및�테스트�베드�구축

재난대응� HPC연구센터�재난예측기술연구실

▪ 재난�예측을�위한�M&S� 및� 가시화�기술� 개발▪예측�정확도�향상을�위한� HPC� 기반�차세대�M&S� 기법� 개발▪HPC� 기반의�대규모�실시간�데이터�처리� 기술�개발

국립재난안전연구원

▪ 재난관리기술�연구� ,� 예측/대비/대응�복구� 관련기술�연구�개발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29

소방안전기술개발사업단

▪ ‘소방안전�및� 119구조‧구급기술�연구개발�사업’을� 운영하고�있음▪ 2016년� 주요�기술개발�내용은�화재예방�및� 대응기술�개발�분야이고�상세내용은�아래와�같음-� 화재예방� 및� 경계기술개발사업� :� 화재의�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여� 화재를� 미연에� 방지하고� 향후�

발생되는�화재를�실시간�감지하여�인명피해를�최소화

-� 화재� 및� 특수재난� 진압·대응� 기술개발사업� :� 화재� 및� 특수재난을� 효과적으로� 진압·대응하기� 위한�

장비� 및� 설비기술�개발

-� 인명� 구조·구급� 및� 현장대응요원� 안전확보기술� 개발� :� 현장대응요원의� 안전확보� 및� 효과적인�

인명구조·구급활동을�위한�기술�개발

-� 소방공무원� 업무� 연속성� 확보기술� 개발� :� 소방공무원의� 건강� 추적관리,� 외상증후� 및� 소방공무원�

진압장비�성능향상위한�관련기술�개발

◎�연구개발�자원

국가�연구개발�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전략핵심소재기술개발사업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 산업엔진�프로젝트(19대�미래성장동력)

­� 차세대�스마트러닝�산업지원센터�구축사업

-� ‘14년� 「첨단� 스마트센서�육성계획」� 발표

-�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

▪ 중소기업진흥공단-� 인력양성� (컨설팅� 지원사업)� :�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여� 성장기‧정체기�기업의�지속성장을�위한�근본체질�강화�및�글로벌�경쟁력�확보

▪ K-ICT� 스마트�디바이스�육성방안(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업�혁신� 3.0전략�실행대책의�후속조치

-� 성장성·경쟁력� 등을� 고려해� 10대�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모듈기술� 및� 스마트� 센서� 핵심� 성능� 구현을�

위한� 공정·회로설계�기술�개발

-�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 개발·제작·테스트를� 위한� 단계별� 맞춤형� 지원� 및� 공통� 시설·장비� 등� 제작�

지원� 환경�구축

-� 투자유치·마케팅�진행� 및� 해외�시장진출�지원

-� 스마트�디바이스�분야의�석·박사급�전문인력�양성�및� 디바이스�제작�프로그램�개발·보급�등�저변확대

▪ IoT� 서비스�적용� 스마트�센서� 사업�품목� 도출(미래창조과학부)-� IoT센서� ROIC� 등� 2개�분야로�각� 과제당� 30~40억/5년(3+2년)� 지원

-� 나노인프라�연계� 2015년� 45억� 확정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30

▪ 소방산업기술원�소방기술�연구소�-� 국내외�소방전시회�참가�지원,� 마케팅�지원�등�소방산업�지원�업무� 수행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wc300프로젝트로�기업�성장에�필요한�중장기�미래전략과�원천�기술개발�지원,� R&D� 지원

-� 기술혁신형�중소기업�연구인력�지원

중소기업�대상�시설�및� 장비�지원

▪ 중소기업전용연구시설(Rental� La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동연구� 수행�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에게� 연구공간을� 제공하고,�

연구원�인프라(인력,� 장비� 등)를�활용한�근접�지원을�통해�기업의�생산성�및� 경쟁력을�높이고�있음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미래창조과학부)-� 장비활용� 종합포털사이트� ZEUS를� 통해�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활용� 극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체계화하고�모두가�편리하게�이용할�수�있도록�최상의�서비스를�제공

▪ 산업기술개발� 장비� 공동이용시스템� e-Tube�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e-Tube를� 통해� 산업기술� R&D에� 필요한�연구장비를�보다�쉽고,� 빠르고,� 편리하게�이용할�수� 있도록�

적극� 지원

▪ 첨단스마트센서�거점센터�구축사업((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경북지역�내�중소·중견기업�중�스마트센서�기업�및� 업종�다각화�희망기업�대상

-� 스마트센서�관련�제품개발�및� 조기�상품화를�위한�시제품�설계� 지원

-� 회로설계,� 전자기파�간섭�해석,� 소비전력�해석� SW� 지원

▪ 공통서비스�인프라�구축·운영� 사업(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 중소기업이� R&D� 및� 상용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애로기술� 지원,� 시험� 측정장비� 지원� 및�

고주파�시험시설을�활용한�시험지원�등에�대한� 통합기술을�지원

-� 시험지원은� 고주파� 부품,� 모듈� 등의� 고주파� 특성,� PIMD,� 신뢰성� 시험지원� 및� 민간� 시험시설� 공동�

활용을�통한� 민간시험시설을�지원

-� 장비지원은�고가의�시험·측정� 장비를� IT� 중소기업에게�임대

▪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중소벤처기업부)-� 주관기관이�보유한�연구시설과�장비,� 소프트웨어를�중소기업이�공동�활용하도록�지원

-� 연구개발과�설계�및� 디자인,� 시제품�제작,� 성능평가,� 양산� 및� 마케팅에�이르는�원스톱�지원

-� 중소기업이�첨단�고가�연구장비를�쉽게�이용할�수� 있도록�지원

▪ 시제품�제작을�위한� 시설�및�제작장비�공동�활용(K-ICT� 디바이스랩)-� 지역� 인프라와� K-ICT� 디바이스랩의�장비와�시설�현황을�공유하고�연계�활용� 추진

-� 旣� 구축된� 시제품� 제작� 지원시설을� 연계·활용� 및� 웨어러블� 특화� 장비(유연소재� 3D프린터� 등)� 추가�

구축을�통해� 웨어러블�특화�시제품�제작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31

나.� 연구개발�인력

지능형� 화재안전� 대응� 시스템� 기술� 분야는� 전자부품연구원,�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UNIST�

스마트센서� 연구센터,�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소방기술연구소� 등� 기관에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음

기관 성명 직급

전자부품연구원 이대성 센터장

전자부품연구원 김준철 센터장

전자부품연구원 김정곤 책임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박광범 수석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홍성민 팀장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김주영 센터장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추성중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우승탁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박재률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유종호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정상훈 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김재준 센터장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박재률 선임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유종호 책임연구원

소방기술연구소 정재한 소장

소방기술연구소 남동군 연구원

소방기술연구소 임우섭 연구원

소방기술연구소 홍승태 연구원

소방기술연구소 한용택 연구원

[�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기술�분야� 주요� 연구인력�현황�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32

다.� 기술이전가능�기술�

기술이전이� 가능한� 기관은�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등이�있음

이전�기술에�대한�세부�내용

분류 내용

기술명 •화재�감지� 센서�및�카메라를�이용한�화재�감지�방법� 및� 장치

응용분야 •�화재감시시스템,� CCTV응용,� 감시시스템

기술개발상태 •기술개발완료

희망이전�유형 •라이센스,기술협력,기술지도

판매자정보 •동명대학교�박성규(연락처:010-2622-4251)

연구개발자�정보 •동명대�배재환�교수

키워드 •화재감시,� CCTV,� 화재감지센서,� 화재감시시스템,� 감시시스템�

개요�및�특징

•해당� 기술은� 다양한� 화재� 감지�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화재�

감지� 센서들과�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분석하고� 조합하여� 화재�

검출의� 성능을� 높이고,� 화재가� 검출될� 경우�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단말로� 화재에� 대한� 정보를� 신속하게� 송신함으로써,� 화재� 피해를�

최소화하기�위한�방법�및�장치에�관한�것임.

•해당� 기술에� 의한� 화재� 감지� 방법은�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센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CCTV로부터� 영상�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센서� 신호를�

분석한�결과�및�상기�영상�정보에�소정의�화재�감지�알고리즘을�적용한�결과를�

조합하여� 감시� 대상� 영역에서의� 화재를� 감지하는� 단계,� 및�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의�무선� 단말로�감지된�화재에�대한� 화재� 정보를�송신하는�단계를�

포함

[� 화재� 감지�센서� 및� 카메라를�이용한�화재� 감지� 방법�및�장치� ]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33

6.� 기술로드맵�기획

가.� 중소기업�핵심요소기술

(1)� 데이터�기반�요소기술�발굴

[� �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분야� 키워드�클러스터링� ]

No 주요�키워드 연관도�수치 관련특허/논문�제목

클러스터

01

fire-detectio

n,informatio

n

6~8

1. Design� of� fire� detection� sensor� and� monitoring� system

2. A� new� fire� protection� system� of� power� cable� tunnel�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monitoring� system

3. Development� of� smart� phone� applications� linked� with� fire� alarm�

control� panel� in� automatic� fire� detection� system

클러스터

02

fire-protectio

n,� building4~6

1. Applications� of� the� fingerprint� identification� technology� in� the�

fire� protection� monitoring� system

2. Construction� of� urban� fire� protection�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based� on� Geographic� Information

[� �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분야�주요� 키워드�및�관련문헌�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34

3. Application� and� design� of� fire� protection� monitoring� system� for�

oil� tank� area

클러스터

03

detector,�

signal4~6

1. Optical� signal� transmitters� in� fire� alarm� systems� [Optische�

Signalgeber� in� Brandmeldeanlagen]

2. Directional� based� audio� response� to� an� external� environment�

emergency� signal

3. DEVICE� FOR� PRODUCING� WARNING� OR� INDICATING� SIGNALS,� IN�

PARTICULAR� A� RETAINER� FOR� A� FIRE� EXTINGUISHER,� AND� FIRE�

ALARM� SYSTEM� COMPRISING� SAID� DEVICE

클러스터

04

fire,� smoke,�

detection4

1. Fire� monitoring� system� and� smoke� detector

2. FIRE� AND� SMOKE� CONTAINMENT� AND� EXTINGUISHING�

APPARATUS

3. PRE-SMOKE� DETECTOR� AND� SYSTEM� FOR� USE� IN� EARLY�

DETECTION� OF� DEVELOPING� FIRES

클러스터

05

gas-detectio

n,�

fire-control

4~6

1. GAS� DETECTION� AND� FIRE� SUPPRESSION� SYSTEM� FOR�

HYDROGEN� SALT� CAVERN

2. Fire� and� gas� detection� system� hav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function� to� be� installed� in� dangerous� region

3. Fire� control� systems

클러스터

06

fire-preventi

on,�

thermal-man

agement

6

1. THERMAL� MANAGEMENT� AND� AUTOMATIC�

FIRE-EXTINGUISHING� SYSTEM� OF� AUTOMOBILE� BATTERY

2. FIRE� PREVENTION� OR� FIRE� EXTINGUISHING� IN� AN�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

3. THERMAL� CIRCULATING� FIRE� PREVENTION� SPRINKLER�

클러스터

07

heat,�

camera,�

fire-fighting

4~6

1. FIRE�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USING� COMPOSITE�

CAMERA

2. Smoke� Detection� System� and�Method� Using� a� Camera

3. Wireless� local� area� network� based� fire� monitoring� robot� design

클러스터

08

fire-monitori

ng,�

emergency-e

xit

4

1. Emergency� exit� route� illumination� system� and� methods

2. Active� emergency� exit� systems� for� buildings

3. FIRE�MONITORING� AND� SUPPRESSION� SYSTEM

클러스터

09

extinguisher,�

first-section4

1. Self-Fluffing� Vehicle� Fire� Extinguisher

2. Fire� Extinguisher� Mount� with� Communications� Component

3. Smart� Fire� Extinguisher

클러스터

10

sprinkler-hea

d,�

spray-head

6

1. SUPERVISED� NITROGEN� CYLINDER� INERTING� SYSTEM� FOR�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AND� METHOD� OF� INERTING� A�

FIRE� PROTECTION� SPRINKLER� SYSTEM

2. THERMAL� CIRCULATING� FIRE� PREVENTION� SPRINKLER� SYSTEM

3. Fire� sprinkler� with� flue-penetrating� non-circular� spray� pattern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35

(2)� 요소기술�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한�요소기술�도출

분류 요소기술 출처

영상

화재감지기술

가시광/적외선�등� 복합영상기반�화재� 감지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인공�지능기반�영상처리�및� 판단�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센서를�통한�

화재감지기술

열,� 불꽃,� 연기�복합센서�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영상/화재감지센서�복합화�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무선�화재감지�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Smart� Passive� 화재감지�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화재감시� IoT� 네트워크�및�인공지능�처리� 기술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특허/논문�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모니터링�기술

화재현장�피해자�감지�및�유도�기술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특허/논문�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지능형�화재�감시�및�대응� 시스템�기술 기술/시장�분석,� 전문가�추천

[�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36

(3)� 핵심요소기술�선정

확정된�요소기술을�대상으로�중소기업에�적합한�핵심요소기술�선정

분류 핵심요소기술 설명

영상

화재감지기술

가시광/적외선�등�

복합영상기반�화재�감지기술

감시카메라,� CCTV를�이용하여�현장의�영상을�

기반으로�화재를�감지하는�기술

인공�지능기반�영상처리�및�

판단�기술

CCTV� 등�감시카메라를�통한�실시간�영상을�분석하여�

화염�및�연기를�감지하는�기술

센서를�통한�

화재감지기술

열,� 불꽃,� 연기�복합센서�기술열,� 불꽃,� 연기를�감지하여�화재�상황을�감지하는�

센서�및�이의� 신호를�전달하는�기술

영상/화재감지센서�복합화�

기술

감시카메라,� CCTV를� 이용하여�화재를�감지하는�

기술과�열,� 불꽃,� 연기를�감지하여�화재를�감지하는�

센서의�복합화�기술

무선�화재감지�기술 무선화�및� 동작�동작수명�관련�기술

Smart� Passive� 화재감지�기술 Smart� Passive� 방식의�화재� 감시�기술

화재감시� IoT� 네트워크�및�

인공지능�처리�기술사물인터넷�기반�화재감시�및�인공지능�처리� 기술

모니터링�기술

화재현장�피해자�감지� 및� 유도�

기술

감시카메라,� 레이다,� 적외선�등을�통한�화재초기�및�

연기�상황� 하에서�화재� 현장에�있는� 사람을�감지� 및�

피해를�최소화할�수�있도록�최적�경로로�유도하는�

기술�

지능형�화재�감시�및�대응�

시스템�기술

통신네트워크를�통하여�원격지에서�각종�지역에서�

발생되는�영상을�취득하여�재난상황을�파악,� 신속한�

조치를�할�수�있는�시스템�기술�

[�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 ]

▣�▣� 지능형�화재안전�대응� 시스템�▣�▣

137

나.�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기술로드맵

최종�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기술개발�방향성을�제시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38

다.� 연구개발�목표�설정

핵심요소기술별�최종목표는�아래와�같이�기술요구사항과�연차별�개발목표로�제시함

분류 핵심요소기술 기술요구사항연차별�개발목표

최종목표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영상

화재감지

기술

가시광/적외선�등�

복합영상기반�화재�

감지� 기술

화재�영상�획득�

기술

다파장�

영상획득

다파장�

카메라의�

저가화

다파장�

카메라의�

최적화

화재영상�

다파장�카메라�

최적화

인공�지능기반�

영상처리�및�판단�

기술

화재�상황�

인식률인식율� 90 인식율� 95 인식율� 99 인식율� 99%

화재�감지�

센서

열,� 불꽃,� 연기�

복합센서�기술

감지대상의�

복합화를�통한�

감지율�향상� 및�

오감지율�감소

감지율� 95

오감지율�

5

감지율� 97

오감지율� 3

감지율� 99

오감지율� 1

화재� 감지율�

향상�및�

오감지율�감소

감지율� 99%

오감지율� 1%�

이하

영상/화재감지센서�

복합화�기술

감지대상의�

복합화를�통한�

감지율�향상� 및�

오감지율�감소

감지율� 95

오감지율�

5

감지율� 97

오감지율� 3

감지율� 99

오감지율� 1

화재� 감지율�

향상�및�

오감지율�감소

감지율� 99%

오감지율� 1%�

이하

무선�화재감지�기술

감지대상의�

복합화를�통한�

감지율�향상� 및�

오감지율�감소

감지율� 95

오감지율�

5

감지율� 97

오감지율� 3

감지율� 99

오감지율� 1

화재� 감지율�

향상�및�

오감지율�감소

감지율� 99%

오감지율� 1%�

이하

Smart� Passive�

화재감지�기술

감지대상의�

복합화를�통한�

감지율�향상� 및�

오감지율�감소

감지율� 95

오감지율�

5

감지율� 97

오감지율� 3

감지율� 99

오감지율� 1

화재� 감지율�

향상�및�

오감지율�감소

감지율� 99%

오감지율� 1%�

이하

화재감시�

IoT네트워크�및�

인공지능�처리� 기술

무선화�및

동작수명5년 7년 10년

무선하의�

동작수명

10년�이상

모니터링�

기술

화재현장�피해자� �

감지�및�유도�기술

화재�환경하의�

인체감지,�

경보�및�

안내기술�

연기�

환경하의�

인체감지,

최적� 경로�

탐색

고온�연기�

환경하의�

인체감지,

효과적�

피해자�

경보�기술�

고온연기�

및�불꽃�

환경하의�

인체감지,

최적경로로�

안전한�

유도

화재�

현장에서의�

인체감지,

화재�현장

피해자�최소화

지능형�화재�감시�

및� 대응�시스템�

기술

센서�네트워크�

및�영상� 기반�

화재� 대응�

시스템�기술

시스템�

구성

시스템�

구현

시스템

실증

시스템

실증

[� 지능형�화재안전�대응�시스템�핵심요소기술�연구목표� ]

기술개발�테마�현황분석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

정의�및� 범위

▪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이란� 유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유해물질� 누출을� 감지,� 누출시�파급효과� 등에� 대한� 분석,� 진단,� 확산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 피해를�

최소화하기�위한�경보� 및� 알림�기술을�의미�

▪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은�유해물질�검출을�위한� 물리적,� 화학적,� 생화학적,� 광학적�센서� 등의�센서� 기술과,� 감지센서� 네트워크� 기술,� 누출� 확산� 경보� 및� 알림� 기술,� 유해물질� 통합� 방제� 기술로�

분류�

정부지원�정책

▪ 4차� 산업혁명을� 앞두고� 산업의� 고도화로� 인해�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증가되고� 있으며,� 산업�전반에�걸쳐�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은�국민의�삶의� 질에� 직접적인�영향을�미치고�있음

▪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4차� 국가환경종합계획� 건강위해� 환경요인� 획기적� 저감을� 위해� “예방적� 환경�보건관리�강화”,� “대기위해물질관리�강화”,� “화학물질�사전위해성�관리�강화”를� 수립함

▪ 유해화학물질� 안전관리체계� 확립을� 위해�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을� 전면� 개정(“14)하여� 장외영향평가,�위해관리계획제� 도입․ 시행(”15).� 현재� 화학물질� 종합� 정보� 시스템� (icis.me.go.kr)에서� 화관법에�근거한�화학� 물질의�올바른�관리와�사용을�위한� 화학�물질� 종합� 정보�서비스�시행중임�

▪ 화학사고� 대응� 체계,� 화학물질� 정보공개� 등은� 아직� 시작단계로서� 화학사고� 발생� 시� 즉시� 신고�미이행,� 사고�대응� 지체� 및� 관련�기관과의�정보공유�부재,� 주민전파,� � 미흡�등�여러� 문제점�도출

중소기업�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유해물질�감지센서�적용분야�확대

•�유해물질�누출�피해�감소�파급효과�큼

•�유해물지�통합�모니터링�기술개발�활발

•�유해물질�검출�및�방제�중소기업의�선행기술개발�인식�

� � 부족

•�환경기업의� 3D�인식�지속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정부의�환경산업�지원정책�확대

•�전방산업의�성장에�따른�시장확대

•�수입대체효과�향상

•�글로벌�선진기업의�국내�진출

•�에너지절감�요구�확대

•�환경문제�인식�부족

중소기업의�시장대응전략

➜ 유해물질� 방제,� 대규모� 인명피해� 중요성� 인식� 증대에� 대응하여�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개발을�통한� 국내외�시장� 진출�

➜ 환경�산업의�국민�안전� 향상을�위한� 관련� 기술�개발➜ ICT기술과의�융복합화를�통한�국가� 인적� 물적�피해� 개선

핵심요소기술�로드맵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43

1.� 개요

가.� 정의�및� 필요성�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이란� 유무선� 센서� 네트워크를�형성하여�유해물질� 누출을� 감지,�

누출시� 파급효과� 등에� 대한� 분석,� 진단,� 확산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하여�피해를�최소화하기�위한�경보�및� 알림�기술을�의미�

▪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해물질� 검출을� 위한� 물리적,� 화학적,� 생화학적,� 광학적� 센서�등의� 센서� 기술과,� 감지센서� 네트워크� 기술,� 누출� 확산� 경보� 및� 알림� 기술,� 유해물질� 통합� 방제�

기술로�분류�

▪ 각종� 화학적� 유해물질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기� 위해� 질량변화� 등과� 물리적� 변화를� 이용한�방법과,� 화학� 반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화학적� 검출� 방법,� 항체,� 항원� 등� 바이오� 물질을�

이용한� 생물학적� 검출� 방법,� 자외선,� 가시광,� 적외선을� 이용한� 흡광,� 발광을� 이용한� 광학적� 검출�

방법� 등의� 원리를�이용한�센서� 기술이�적용됨

[�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구축]

유해물질� 누출� 분석� 및� 평가� 기술은� 감지� 센서를� 통해� 누출된� 유해가스의�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유해물질� 누출� 발생시� 배출량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인적,� 물적� 환경에� 어떠한�

파급효과가�발생할�것인지�분석,� 진단,� 확산�예측�기술

▪ 유해물질� 누출에는� 광범� 위적으로� 단시간에� 인적,� 물적� 피해를� 유발시킬� 수� 특징을� 갖고� 있기�때문에� 지엽� 및� 광역적으로� 설치된� 유해물질� 감지� 센서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 감지� 센서들로� 부터�

수집되는� 대용량의� 데이터의� 정보� 분석,� 진단� 및� 확산� 예측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한�

빅데이터�기술과�인공지능과�같은�첨단� ICT� 기술� 융합이�요구됨

▪ 4차산업� 진행의� 중심에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이� 위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알파고�이벤트� 이후�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기술은� 산업� 전반에� 적용하기� 위한� 개발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제조� 산업에�강점을�갖고�있는� 국내� 기술과�접목되어�새로운�발전� 기회가�예상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44

유해물질� 모니터링� 및� 방제기술은� 유해물질� 누출� 검출의� 정확한� 분석,� 진단,� 확산� 예측을�

위해서는�유무선� 통신이�가능한�센서�네트워크�기술과,�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한�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피해� 최소화를� 위한� 효과적인� 경보� 및� 알림� 기술,� 그리고� 발생� 유해물질�

정보에�따른�방제�방법�및� 현장�제어�시스템�구축�요구� �

▪ 감지센서� 네트워크� 기술은� 광역� 지역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 누출을� 실시간으로� 효과적으로�검출하기�위해서�다양한�감지� 센서들을�유기적으로�유무선�네트워크로�구성할�수� 있는�기술

▪ 유해물질� 통합� 모니터링� 기술은�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하여� 누출� 유해물질에� 대한� 전파� 경로�및�이에� 따른� 피해지역�및� 현장�제어를�위한�정보를�제공하는�기술

▪ 유해물질� 누출� 확산� 경보� 및� 알림� 기술은� 유해물질� 누출시� 센서� 정보와� 지리정보시스템� 정보를�통합하여� 분석� 평가� 및� 예측을� 통해� 인명� 피해� 및� 물적� 피해� 최소화를� 위한� 피해� 예상지역에�

대해서�스마트�폰,� 옥내외�디지털�사이니지(signage)� 통을� 통해� 경보�및�알림�

▪ 유해물질� 통합� 방제� 제어� 기술은� 사용자들에� 현재� 유해물질� 누출� 정보에� 따른� 정확한� 대응� 방법을�제공하고,� 대응� 정부기관에� 피해지역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제� 방법을� 전달하고,� 피해지역에�

대한�현장� 통제,� 구조,� 의료� 등� 다각적인�제어�시스템�구축

▪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은� 실시간� 운영되어야� 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감지센서� 및� 센서�네트워크,� 분석� 및� 진단� 예측,� 경보� 및� 제어� 시스템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한� 모니터닝� 제어�

시스템은� 단위� 시설,� 지역,� 국가� 적으로� 관리되어야하기� 때문에� 대용량� 정보처리가� 필요하며,� 이를�

효과적으로�수행하기�위해서는�빅데이터�기술,� 인공지능�기술�등과� 같은� ICT� 기술� 융합이�요구됨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45

나.� 범위

(1)� 제품분류�관점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은� 유해물질� 검출을� 센서기술,� 누출� 유해물질에� 대한�

분석,� 진단� 및� 예측을� 위한� 분석기술� 유해물질� 누출에� 대한� 대응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감지�센서트워크�기술,� 통합�모니터링�기술,� 경보�기술,� 통합�방제�및�제어�기술로�분류

▪ 감지기술에는�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광학적�센서�기술� 등이� 포함▪ 분석기술에는� 유해물질� 누출� 발생시� 배출량� 산정,� 이에� 따른� 파급효과� 등에� 대한� 분석,� 진단,� 확산�예측� 기술이�포함

▪ 모니터링� 및� 방제기술에는� 유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유해물질�통합� 모니터링� 기술,� 피해� 최소화를� 위한� 경보� 및� 알림� 기술,� 방제방법� 및� 현장� 제어� 시스템� 구축이�

포함�

분류 제품분류�관점 세부기술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감지�

기술

유해물질�

감지센서�기술•각종�화학적�유해물질을�감지하는�센서�기술

분석�

기술

유해물질�누출�

분석�및�평가�

기술

•유해물질�누출�발생시�배출량�산정,� 파급효과�등에�대한�분석,� 진단,�

확산�예측�기술

모니터링�

및�

방제기술

감지센서�

네트워크�기술

•유해물질�감지센서에서�발생되는�정보를�유무선�통신망을�이용�센서�

네트워크를�형성기술

유해물질�통합�

모니터링�기술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하여� 응급상황� 발생시� 이를� 대처할� 수�

있는�실시간�모니터링�기술

유해물질�누출�

확산�경보�및�

알람�기술

•유해물질� 누출� 시� 확산에� 따른� 2차�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주변에�

효과적인�경보�및�알람�기술

유해물질�통합�

방제�제어�

기술

•발생� 유해물질의� 종류에� 따른� 방제방법� 전달� 및� 현장� 제어� 시스템�

구축

[� 제품분류�관점� 기술범위�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46

(2)� 공급망�관점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제품� 분류� 관점에서� 분류� 외에�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을�

구성하는�공정�설계�기술,� 공정�기술,� 제품�적용�기술,� 장비�기술,� 관련�평가�기술,� 소재�기술�

등이�포함

▪ 감지기술에는� 각종� 화학적�유해물질을� 검출할�수� 있는� 센서� 기술� 외에� 관련� 장비� 기술,� 다양한� 제품�적용을�위한�공정� 설계� 기술�및�서비스�기술,� 관련� 평가�기술,� 소재�기술,� 부대설비�기술�등이� 포함

▪ 분석기술에는� 제품� 적용을� 위한� 빅데이터� 기술,� 인공지능기술� 설계� 기술� 및� 제품별� 서비스� 기술� 및�평가기술,� 부대설비�기술�등이�포함�

▪ 모니터링� 및� 방제기술에는� 센서� 네트워크,� 지리정보시스템� 통합,� 경보� 및� 알림을� 위한� 디지털�사이니지,� 공공망� 연동� 기술� 및� � 제품적용을� 위한� 설계� 기술� 및� 서비스� 기술,� 평가기술,� 부대설비�

기술�등� 포함

분류 공급망�관점 세부기술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설계�기술•감지�센서� 설계,� 감지� 센서�공정설계�및�제어�기술,� 시스템�설계�

기술

모니터링�장비� 기술 •감지센서�및�시스템�장비�기술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제작�기술

감지기술

•반도체식�센서,� 접촉연소식�센서,� 전기화학식�센서,� 바이오�센서,�

비분산적외선�센서,� 자외선�센서,� 스펙트럼광센서,� 감지물질�기술,�

표면처리�기술,� 식각기술,� 증착기술,� SoC� 기술,� 저전력�기술,�

알고리즘�기술,�

분석기술 •빅데이터기술,� 인공지능기술,� 딥러닝,� 머신러닝

모니터링�및�

방제�기술

•센서�네트워크,� 지리정보시스템,� 디지털�사이니지,� 데이터�

저장기술,� 공공망�연동�기술�

평가/관리�기술•요구물성�부합�평가기술,� 조직� 관리�기술,� 물성�평가기술,� 모니터링�

기술

[� 공급망�관점� 기술범위�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47

2.� 외부환경분석

가.� 산업환경�분석

(1)� 산업의�특징

전·후방산업과의� 연계성이� 높은� 산업으로� 부품산업과� 모듈� 및� 시스템� 산업� 등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있으며,� 공공� 안전과도� 직결되어� 있는� 산업으로� 산업의� 최종� 제품의� 품질� 및�

성능과�함께�산업�안전�영역에�중요한�산업

▪ 생산� 산업에� 기반을� 두고� 있는� 감지� 센서� 분야는� 소량� 다품종� 형태의� 생산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수요의�정확한�예측이�필요하며,� 전방산업의�정책적�선택에�의해� 여러� 가지�제약을�받음

▪ 생산�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위험도가� 높은� 유해물질의�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누출� 사고는� 인적,� 물적� 피해의� 규모를� 증대� 시키고� 있음.� 따라서� 이러한�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감지,� 분석�및�조치� 등� 관련� 산업의�유기적으로�발전이�필요한�분야임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일반� 제품� 생산� 산업� 기술과� 달리� 공공� 안전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으며,� 업체에서는� 수익성� 증대를� 위해� 안전� 관련� 비용� 투자를� 소홀히� 하는�

경향의�특징을�갖고�있기�때문에�정부�차원에서�법적�강제성을�부여하는�것이�요구됨�

▪ 공공� 안전을� 위해� 정부� 차원의� 강력한� 법적� 구속력은� 초기� 산업체의� 비용� 부담을� 발생할� 수� 있으나�향후� 산업체� 이미지� 향상과� 함께� 안전� 관련� 생산� 산업� 전반에� 걸쳐� 수요가� 창출됨으로써� 시장�

활성화와�함께�기술력�향상을�통해�수출� 증대� 효과가�나타날�것으로�전망

부품� 산업에서� 시스템� 산업� 전반에� 걸쳐� 연계되어� 있는� 분야이나� 국내의� 부품� 산업과� 시스템�

산업� 발전� 상태는� 비대칭을� 나타나고� 있는� 상황으로� 효율적인� 발정을� 위해서는� 부품산업의�

경쟁력�확보가�중요한�시점임

센서산업은� 센서� 제조를� 위한� 소재산업,� 소재를� 이용하여� 고유� 기능이� 구현된� 소자� 산업,�

여러�개의�소자를�사용하여�조립한�모듈�및�시스템형�산업을�포함하는�융복합�산업�영역임� �

▪ 센서산업은� 칩,� 패키지,� 모듈,� 시스템의� 단계를� 거쳐� 대부분의� 산업에� 활용되고� 있으며,� IoT� 시대의�도래에�따라�산업적�활용도는�대폭�증가할�전망

▪ 인간과� 기기� 간� 상호작용� 심화에� 따라� 모든� 기기가� 지능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센서의� 기능도�소형화·복합화�되고� 있음

▪ 저가형� 센서� 단가� 경쟁을� 통한� 후진국형� 경쟁� 구도를� 벗어나,� 첨단기기에� 사용되는� 지능화된� 센서의�개발과�국산화를�통해�세계� 시장에서�안정적으로�발전할�수� 있는� 전략수립이�필요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48

(2)� 산업의�구조

후방산업은� 스마트센서에� 사용되는� 주요� 핵심기술인� MEMS� 기술,� SoC(System-on-Chip,�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하나의� 칩에� 모아� 만든� 비메모리� 반도체)기술,� 하이브리드�

센서�기술,� � 하임베디드�소프트웨어�등이�있음�

▪ 스마트� 센서는� 마이크로� 센서� 기술에� 반도체� VLSI(Very� Large� Scale� Integration)� 기술을� 결합하여�컴퓨터가�갖는�데이터�처리� 능력,� 판단� 기능,� 메모리�기능,� 통신� 기능�등을� 보유� �

▪ 증폭회로,�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 MCU등의�반도체�회로와�결합한�형태로�센서와�집적화된� ROIC(ReadOut� Intergrated� circuits)� 기술�

▪ ROIC와�센서간의�이종�접합을�통한� 센서� 모듈�구현� 기술�▪ 센서�융합기술은�반도체,� MEMS등의�공정과�나노� 등의�재료개발�결합을�통해�활용

전방산업으로서� 반도체� 공정기기� 및� 시설� 등의� 대규모� 유해� 가스를� 사용하는� 산업� 및� 대규모�

옥내외�시설�화학�산업�시설�단지�

유해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에서� 주요� 산업은� 센서� 핵심부품의� 기술력이� 완성품의� 기능과�

성능을� 결정하고,� 타� 산업에� 적용되어� 기술들� 간� 융합의� 매개체� 역할을� 함으로써� 기존�

제품의�성능과�서비스를�첨단화하고�부가가치를�창출�

후방산업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

분야전방산업

반도체�설계�제조,� 나노,�

바이오설계,� 소재,�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반도체�방식의�가스�센서,� 광학식�

가스�센서,� 온습도�센서,� 비분산�

적외선�센서,� 바이오�센서,� 화학시�

가스�센서,� 스펙트럼�광센서,�

데이터�분석�및�이종센서�데이터�

링크,� 빅데이터�분석�

U-헬스케어

자동차전장

게임/모바일

스마트팩토리�구축

보안

[� 스마트팩토리�센서�및�화상처리�기술�분야� 산업구조�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49

나.�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2016년� 기준� 세계� 가스센서� 시장은� 3,046억� 달러� 규모이며,� 연평균� 4.4%로� 성장하여�

2021년에는�약� 3,786억� 달러�규모의�시장을�형성할�것으로�전망�

� � (단위� :� 백만�달러,�%)�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304,640� 317,380� 331,560� 347,080� 364,070� 378,630� 4.4

*�출처� :� � -� Frost� &� Sullivan(2015),� Type� of� Gas� Detected-Total� Gas� Sensors,� Detectors,� and� Analyzers�Market

� � � � � � � � �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가스센서�시장동향,� 2016으로�추정

[� 유해� 물질� 감지�센서� 기술� 분야의�세계� 시장규모�및� 전망� ]

전�세계적으로�화학�관련�산업체에서�빈번하게�발생하는�안전사고와�화학가스�누출�및�폭발로�

인한� 인명�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유해물질� 센서의� 사용은� 중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부품�소자�산업의�동반�상승이�예상됨

유해물질� 검지� 모니터� 관련� 시장은� 2017년에� 582억� 달러에서� 2020년에� 1,082억� 달러�

규모로�시장이�성장할�것으로�예측

기술구분에� 따른� 점유율은� 2014년� 기준으로� 전기화학식이� 52.4%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이어서� 적외선� 방식(23.1%),� 접촉연소식(11.8%),� 반도체식(9.4%),�

광이온식(3.3%)� 순으로�나타남�

*�자료:� -Frost� &� Sullivan(2015),� Type� of� Gas� Detected-Total� Gas� Sensors,� Detectors,� and� Analyzers� Market

� � � � � � � � -� 연구성과실용화진흥원,�가스센서�시장동향,� 2016

[ 유해물질 감지 센서 분류별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50

(2)� 국내시장

유해물질� 검출� 센서� 국내시장은� 2016년� 기준� 약� 2,297억� 원� 규모이며� 연평균� 6.5%�

성장하여� 2021년에는� 3,141억원�규모로�성장할�전망

(단위 : 억 원, %)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2,297 2,447 2,596 2,767 2,949 3,141 6.5

*� 자료:� 국내� 가스센서� 시장� 규모는� 세계� 센서� 관련� 시장� 중� 가스센서가� 차지하는� 비중(3.52%)을� 바탕으로� 추정하였으며,�

시장�성장률은� Frost� &� Sullivan(2015)� 자료의�아시아�시장�성장률을�반영하여�추정(환율� 1,068.5원�적용)

[ 유해물질 센서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국내� 유해물질� 네트워크� 및�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은� 시장� 특성상� 유해물질� 검출� 센서�

시장보다� 클�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2017년에� 29,918억� 원에서� 2021년에� 54,494억� 원�

규모로�성장할�것으로�전망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51

(3)� 무역현황

무역현황은� ‘센서부품’의� 무역현황으로� 살펴보았으며,� 수출량이� ‘12년(약� 207만� 달러)에� 비해�

’16년에� 327만� 달러로�증가함�

▪ 최근� 5년(‘12~’16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금액은� 연평균� 12.0%� 증가하였으며,�수입금액은�연평균� 13.6%�증가

무역특화지수는� ‘12년(-0.16)과� ’16년(-0.19)� 모두�수입특화상태로�나타남�

(단위� :� 천� 달러,�%)�

구분 ‘12 ‘13 ‘14 ‘15 ‘16 CAGR

수출금액 2,078� 16,343� 3,130� 2,387� 3,275 12.0

수입금액 2,896� 2,892� 5,371� � 4,269� 4,831 13.6

무역수지 -818� 13,451� -� 2,241� -� 1,882� -1,556 -

무역특화지수* -0.16 0.70 -0.26 -0.28 -0.19 -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

이며,� 1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뜻

*�자료� :� 관세청�수출입무역통계�HS-Code(6자리�기준)�활용

[� 센서� 관련�무역현황�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52

다.� 기술환경�분석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조업혁신� 3.0전략」� 실행의� 일환으로� 센서산업을� 미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위해�산·학·연·관을�포함한� ‘첨단센서� 2025포럼’을� 발족(‘15년� 11월)함

▪ 포럼은� 운영위원회와� 스마트기기,� 자동차,� 사물인터넷(IoT)․웨어러블,� 산업용․스마트공장� 등� 4개�분과위원회로�구성되며,� 각� 위원회별로�센서�수요기업,� 센서기업,� 학계,� 연구계�인사들로�구성

▪ ‘2025년까지� 센서� 4대� 강국(현재� 7위)� 진입’을� 목표로� 센서� 산업계,� 학계·연구계� 전문가들이� 뜻을�모아� 긴밀한�네트워크를�구축하고,� 협력의�장을� 마련함

-� 산업부는�첨단센서산업�육성을�위해� ‘15~’20년까지�총� 1,508억� 원을� 지원할�계획임

-� 10대� 핵심� 센서소자*를� 개발․국산화하고,� 센서� 전문� 중견기업� 육성�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확보한다는�계획

*� 10대� 핵심� 센서소자� :� 영상센서,� 자기센서,� 관성센서,� 압력센서,� 레이더센서,� 환경센서,� 광학센서,�

적외선센서,� 음향센서,� 바이오의료센서�

-� 산업부가� 추진� 중인�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 중� 자율주행� 자동차,�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은�

첨단센서산업과�관련성이�높은�사업들과�연계성을�높여�나간다는�계획임

[� 13개�산업엔진�프로젝트� ]

시스템�산업

•웨어러블�스마트�디바이스

•자율주행�자동차

•극한환경용�해양플랜트

•고속-수직이착륙�무인항공기

•국민�안전‧건강�로봇•첨단소재�가공시스템

소재‧부품�산업 창의�산업 에너지�산업

•탄소소재

•첨단산업용�비철금속�소재

•개인�맞춤형�건강관리시스템

•생체�모사�디바이스

•가상훈련�시스템

•고효율�초소형화�발전시스템

•직류�송배전시스템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 센서산업� 발전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시험·신뢰성� 평가,�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 하는� 「(가칭)센서�산업화�지원센터」� 구축을�별도로�추진

▪ 나노종합기술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센서� 관련� 장비를� 보유한� 기관을� 지역�거점으로�지정·활용

▪ 스마트센서� 전문기업이� 수요(세부분야,� 기술수준� 등)를� 제시하면�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이� 이에�맞는� 인재를�양성하는� ‘기업� 맞춤형�고급� 센서인력(연간� 60여명)� 양성’도� 본격적으로�추진할�계획

▪ 이번� 사업이� 정부� 차원에서� 첨단� 스마트센서를� 본격� 육성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인� 만큼,� 향후� 업계�및� 학계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사물인터넷(IoE)� 시대를� 대비한�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발전시켜�

나갈�계획

센서산업의� 경제적� 기대효과를� 분석한� 결과,� ’15년� 기준� 4조� 원의� 생산유발,� 1조� 1천억� 원의�

부가가치�유발�및� 13,800명�정도의�고용유발효과�창출�전망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53

▪ 산업부의� 계획대로� 국내� 생산액이� 증대될� 경우를� 가정하면,� ’20년� 기준으로는� 약� 8조� 3천억� 원의�생산유발,� 2조� 3천억� 원� 규모의�부가가치유발� 및� 2만� 8천� 명� 정도의�고용유발효과를� 가져올�것으로�

분석됨

[� 스마트�센서� 산업의�산업파급효과�분석� ]�

(단위:� 명)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생산유발효과 40,653 46,945 54,213 62,604 72,295 83,487

부가가치유발효과 11,526 13,310 15,371 17,750 20,498 23,671

고용유발효과 13,796 15,931 18,397 21,245 24,534 28,332

*�출처� :� 지식경제부(2012),� “센서�산업�발전�전략”�보도자료를�기반으로� ETRI� 산업전략연구부�추정

[� R&D� 정책� 방향� ]

분류 정부�정책�방향

산업통상자원부 •2015년부터� 2020년까지�총� 1,508억원(국비� 1,147.6억원,�민간� 360.4억원)을�투자할�예정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스마트� 센서� 수요의� 폭발적� 증가� 대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센서� 산업에� 대한� 정부의�

센서�관련�지원사업�현황을�진단하고�효과적인스마트�센서�개발을�위한�정부�정책도출

•IoT서비스:� 스마트헬스,� 홈,� 재난/재해,� 농업� 등� 4개� 분야� IoT� 서비스�대상� 스마트�센서� 품목�

도출(각�과제당� 40~50억/5년(3+2년),� 2016년�추진)

•공통기반:� 나노인프라,� IoT센서� ROIC� 등� 2개� 분야� IoT� 서비스� 적용� 스마트� 센서� 사업� 품목�

도출(각�과제당� 30~40억/5년(3+2년),� 2016년�추진),� 나노인프라�연계� 2015년� 45억�확정

•2015년도� 과제� 수주� 45억(센서생산공정),� 2016년부터� 신규� 원천� 스마트� 센서� 기술� 개발�

추진�예정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54

3.� 기업� 분석

가.� 주요기업�비교

빅데이터�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 등의� ICT� 기술과� 융합하여� 유해물질� 누출� 및� 각종� 환경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전파� 경로� 분석,� 피해� 정도를� 예측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통합�기술이�이루어지고�있음

▪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통합� 분석을� 하기� 위해� 온도,� 습도,� 기압,� 기류,�지형,� 사회밀집도� 등�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이�

요구됨�

국내의� 경우� 연구기관� 중심으로� 나노� 기술을� 적용한� 초고감도� 가스센서와� 다양한� 가스를�

측정하고�분석할�수� 있는�가스센서�어레이�개발에�연구�개발이�활발히�진행되고�있음

▪ 국내에서� 보건� 환경� 분야에서� 일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예측� 모델을� 만들어� 실제� 환경에서에서�결과와�비교하는�연구�보고가�진행됨

구분 제품분류별�주요기업

기술분류 감지�센서기술 분석�기술 모니터링�시스템

주요�품목�및�

기술

가연성�가스,� 유독성�가스센서,

전기화학식�센서,� 반도체식�

가스센서,� 접촉연소식�센서,

적외선�가스센서,� VOC� 센서,

CO,� CO2,� NO2,� SO2� 센서�

딥러닝�기술,� 클라우드

빅테이터,인공지능

센서�네트워크

서비스�플레임워크,

디바이스�플랫폼,

산업� 모니터링�시스템,�

CDMA�네트워크�서비스,

유무선�네트워크� IP

해외기업

Emerson� Electric� Co.,�

Honeywell,

Figaro,

Alphasense

Google,� IBM,� MS,�

Facebook,� Apple,� The�

BRAIN,� Oracle,� Zara,�

Amazon

IBM,� TI,� MS

Dust� Networks

국내기업

센텍코리아,� 신우전자,�

센코,� 성화전자

이엘티,� 유민에쓰티,

세주엔지니어링,

와이즈산전,

알앤에스랩

삼성,� LG,� 현대자동차,

SK,� KT,� 네이버,� 엔씨소프트,

바이아매크릭스,� 그루터

이지스,� 굿모닝아이텍,

이디엄,� 다이퀘스트,

데이터�스트림즈,�

솔트룩스,� 디오텍

맥스포,� 오타컴,� 에스원,

SKT,� KT,� 농심� NDS,

태광이엔시,� 케이웨더,

웨더아이

[� 제품분류별�주요기업�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55

국내�중소기업�사례

▪ 에니텍의� 악취예보시스템은� 악취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다수의� 사업장이� 모여있는� 공단� 등에� 대해서�점오염원,� 면오염원� 등의� 악취오염원에� 의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악취오염물질이� 주변지역으로�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는� 예보� 시스템.� 악취확산모델은� Puff� 모델을� 기본으로� 채택하고� 있으며,�

예보기상자료를� 이용하여� 내일의� 최대� 악취영향권� 등을� 계산하여� 사전에� 고농도� 악취발생가능성을�

예보함으로써�관리자의�제어에�의해� 고농도�악취발생사고를�미연에�예방하는�효과를�기대

▪ 센텍코리아는� 기존� 반도체식� 가스센서의� 단점을� 보완하여� 자체� 개발한� 센서� 'STK-SERIES'와� �유독성�가스센서,� 가연성가스센서를�장착한�가스누설�경보기�제품�생산

▪ (주)센코의� 가스센서�기반의� 실시간�자동� 악취� 측정기� 'SP-Odor'는� 산업� 현장이나�환경기초시설에서�발생하는� 악취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추적.� 황계열,� 아민계열,� VOC� 계열의� 가스들을� 실시간으로�

감지�가능

▪ 유민에쓰티는� 각종� 화학용액� 검출이� 가능한� 필름형� 액체감지� 센서를� 통해� 누액� 검출� 및� 온습도�모니터링이�가능�제공

▪ 케이웨더는� 포름알데히드� 측정기,� 실내� 일산화� 탄소� 측정기� 등� 대기측정� 장비를� 생산하며,� 'FG100�가연성� 가스� 누출� 감지기'는� 500� to� 6500ppm� 에서의� 액화가스(LNG)� 와� 액화프로판가스(LPG)�

높은� 전기회로망�감지�감도� 가청,� 가시� 알람� 4시간� 운용�가능� 제공

▪ (주)신우전자는�일본에�수입의존해온�가스센서를�개발

국내업체 자산총계 매출액매출액

증가율영업이익률

당기순

이익률R&D집중도

에니텍 392� 158� -44.2� -27.7� -19.6� 11.7�

센텍코리아 27,154� 12,270� 4.7� 14.8� 19.5� 10.7

(주)센코 14,321� 10,042� 23.7� 7.4� 3.7� 7.9

유민에쓰티 5,242� 2,214� -51.0� 6.7� 0.7� 14.7

케이웨더 7,441� 6,557� -19.8� -21.1� -21.1� 0.9

(주)신우전자 7,058� 8,880� 2.0� 2.5� 1.7� 2.7

[� 주요� 중소기업�비교� ]

(단위:� 백만�원,%)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56

나.� 주요업체별�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미국은� “국가나노기술전략(National� Nanotechnology� Initiative,� NNI)을� 통해� 나노소자� 및�

응용�기술�전반에�걸친�투자를�지속적으로�진행�중임

▪ 2014년에는� 17억� 달러를� 투자하였으며,� 2001년� ~� 2013년까지� 미국� 나노기술분야� 연구� 투자� 총�누적� 금액은� 174억� 1천만�달러를�기록함

▪ 미국은� 나노� 기술의� 경쟁력� 유지를� 위한� 혁신전략으로� 국가나노기술전략� 계획을� 집중� 추진하고�있으며,� 2012년에는�나노센서를�주요�분야로�선정함.

▪ 최근� 나노� 물질을� 이용한� 유해물질� 감지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해되고� 있으며,� 특히� 저온에서�동작되며�감도가�높은�초고감도�감지�센서� 연구가�이루어지고�있음

Emerson� Electric� company는� 최근� 가스� 모니터링� 업체들을� 인수함에� 따라� 센서의� 고감도,�

고기능의� 추구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직접� 연동� 가능한� 일체형� 센서� 개발에� 이르기까지�

연구영역을�확대하고�있음

Honeywell은� 가연성� 가스,� 산소� 및� 유독성� 가스센서를� 개발해� 왔으며,� 매년� 200만개� 이상의�

가연성� 가스센서와� 100만개� 이상의� 전기화학식� 센서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중� Sensepoint�

Pro는� 가연성� 가스,� 유독성� 가스,� 산소� 농도� 등을� 측정하는� 현장� 지시형� 감지기로써� 적외선�

리모콘을�이용하여�플러그�인� 센서를�사용하여�센서�교체가�편리하게�함

일본은� Figaros는� 30년� 이상의� 센서� 생산을� 하고� 있으며,� 반도체식고� 가스센서� 기술의�

선구자로서�산업용�목적보다�대부분�상업,� 건물�시장에�주력하고�있음

NEMOTO는� 전기화학식�가스센서�생산에� 주력하고�있으며,� NAP-505모델의� 경우에는�수명이�

5년� 이상으로�미국규격인� UL� 인증을�획득할�정도로�기술력을�인정받고�있음

Riken� Keiki는� 접촉연소식� 가스센서와� 열전도식� 가스센서의� 두� 가지� 기능을� 하나의� 시스템에�

집약하여�가연성�가스�농도의�거의�전� 영역을�검출하는�가스센서를�개발

유럽은� ECA라는� 유럽공동연구를�조직하여�실내공기오염� 문제에� 적극적으로�관여하고� 있으며,�

영국은� 차량과� 거리� 조형물� 등에� 무선� 센서를� 장착하여� 도시의� 대기오염에� 대한� 데이터를�

무선� 센서� 네트워크로� 수집� 갑시하는� 모바일� 환경� 센서� 그리드(PMESG,� pervasive� mobile�

environmental� sensor� grids)� 프로젝트를�수행함

스웨덴� OPSIS에서는� 광투과� 방식을� 활용한� DOAS(dedicated� outdoor� air� system)을�

상용화여�유럽�내� 350개�측정소에�보급함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57

영국� 맨체스터� 대학의� 퍼사우드� 교수는� 가스센서� 어레이를� 활용한� 전자코� 기술에� 대해� 최고�

권위자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공항이나� 가정의� 폭발성� 가스� 검출이나� CO�

검출용�흑연판�센서를�개발�중임

(2)� 국내업체동향

2015년�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시행� 및� ‘유해화학물질관리법’과� 관련하여�

화학업체들�사이에서�감지센서�수요가�증가하면서�더욱�주목받고�있는�상황임

최근� 국내에서도� 나노기술을� 이용한� 초고감도� 가스센서와� 다종의� 가스를� 동시에� 감지� 가능한�

가스센서�어레이�개발에�활발한�연구�개발이�진행�중임

▪ 나노� 기술을� 이용한� 초고감도� 기술� 개발은� 주로� 연구기관�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업체에서는� 기존� 센서의� 고도화,� 경량화� 등을� 제품� 개선을� 추진하고� 있으나� 국내� 센서� 시장의�

열악한�환경에서�고전하고�있음

▪ 센텍� 코리아,� 센코,� 유민에스티� 등� 소소의� 업체를� 제외한� 국내기업� 대다수는� 여전히� 영세한� 규모와�기술� 부족으로�센서�칩을�수입해�모듈화하는�수준에�그치고�있는� 실정임

[� 국내� 주요�업체� 생산� 감지�센서� 사례� ]

센텍코리아는� 국내� 최고의� 반도체식� 가스센서� 회사로� 알콜,� LPG/LNG,� VOC,� CO� 등을�

측정하는� 반도체식� 가스센서와� 이를� 이용한� 음주측정기� 및� 가스� 경보기� 제품을� 생산하고�

있음.� 최근� MEMS� 기술을� 이용한� 반도체식� 가스센서와� 적외선을� 이용한� 비분산� 적외선�

가스센서를�연구�개발�중임

센코는� 국내� 최고의� 전기화학식� 가스센서� 회사로� O2,� CO,� NO2,� H2S,� H2� 등을� 측정하는�

전기화학식� 가스센서를� 중심으로� 다양한� 가스센서와� 이를� 응용한� 휴대용� 및� 고정식� 가스�

감지기를�생산하고�있음

유민에쓰티는� 유해가스� 검출방식을� 기존� 케이블이� 아닌� 필름형� 센서를� 이용한� 유해가스� 검출�

방식을� 세계� 최초로� 개발하여,� 고정식� 검출기뿐만� 아니라� 휴대용� 검출기의� 비약적� 발전을�

이끌� 수� 있는� 핵심� 기술로� 인정받음.� 필름� 형태로� 바닥이나,� 파이프� 등� 원하는� 곳에�

양면접착제만으로도�설치가�가능하며,�기존에�비해�양산이�용이하고�가격도�저렴한�장점을�갖고�있음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58

신우전자는� 접촉연소식� 가스센서를� 적용한� 경보기� 및� 소호기� 분양에서� 2014년� 기준� 국내�

시장점유율� 60%� 이상을� 보유하고� 있으며,� 2010년� 접촉연소식� 가스센서를�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100%�수입대체를�실현함

이엘티센서는� 국내� 최고의� 비분산� 적외선� 방식의� 가스센서� 제조� 회사로� 적외선� 광원� 및�

적원선� 센서를� 제외한� 광학� 케비티� 기술� 및� 신호처리� 기술을� 자체� 보유하고� 이산화탄소� 및�

매탄�가스�검출용�비분산�적외선�가스센서�모듈을�생산하고�있음

와이즈산전� 및� 알앤에스랩� 등은� MESM� 기술을� 이용한� 광학식� 가스센서� 및� 전기화학식�

가스센서를�상용화�개발을�진행하고�있음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59

4.� 기술개발�현황

가.� 기술개발�이슈

휴대용�가스센서�슈요�중가에�따라�초소형�저전력�구동�가능한�센서�개발이�증가

▪ 휴대용� 검지� 센서는� 안전거리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적은� 설치� 비용과� 간소한� 크기로� 인한� 사용상�이점을�지님.

▪ 휴대용� 기기에� 대한� 수요� 증가는� 스마트� 검지� 센서의� 발달을� 가져와� 향후� 수년간� 검지� 센서�시장에서�주요한�부분을�차지할�것으로�예상.

▪ 기존� 검지� 센서는� 소비전력이� 크고� 크가가� 커서� 제한적인� 서비시만� 가능하여,� 이를� 대체하는� 초소형�저전력�구동�검지센서�양산개발이�진행중

▪ 소전력이� 저은� 온습도� 센서� 위로� 적용된� 기존� 네트워크� 센서� 노드는� 서비스� 범위가� 제한적이었으나�저전력� 검지센서가�개발되어�탑재될�경우� 다양한�기능이�가능하며�인터넷�기술과�결합하여� 환경� IoT�

분야에서� � 센서�네트워크�시스템�및� 서비스�산업에�활성화가�기대됨

사람의� 호흡� 가스� 검지를� 통한� 질병진단,� 식품� 안전� 진단� 센서,� 유독가스� 검지� 센서에� 확용을�

위한�극미량의�유해물질을�검지하기�위한�나노�기술을�확용한�초감도�센서�개발이�진행됨

▪ 질병� 진단� 및� 식품� 안전� 진단을� 유해물질은� 측정� 범위는� 기존� ppm� 수준의� 농도� 범위보다� 천배�또는� 백만배� 낮은� 수준의� 측� ppb� 또는� ppt� 수준의� 극미량� 유해가스� 검지를�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극미량의�유해물질을�검출하기�위한�나노� 기술을�이요한�센서� 개발이�진행됨

다종의� 유해물질을� 검지하기�위해� 센서의� 어레이화기술이� 진행되고�있으며,� 이들� 센서� 신호를�

패턴인식� 기술과� 융합함으로� 유해물질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는� 전자코에� 대한�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있음

▪ 어레이� 가스� 개발을� 위해서는� 특정� 유해물질� 검지용� 센서� 소자� 개발� 뿐만� 아니라� 어레이� 제조�공정기술,� 신호처리�및� 알고리즘을�위한� SoC� 기술�개발이�요구됨

빅데이터�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 등의� ICT� 기술과� 융합하여� 유해물질� 누출� 및� 각종� 환경에�

대한� 정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전파� 경로� 분석,� 피해� 정도를� 예측하여�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통합�기술이�이루어지고�있음

▪ 유해물질� 누출에� 따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통합� 분석을� 하기� 위해� 온도,� 습도,� 기압,� 기류,�지형,� 사회밀집도� 등�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으로� 처리할� 수� 있는� 빅데이터�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이�

요구됨�

▪ 구글의� 인고지능� 알파고의� 등장으로� 산업� 전반에� 인공지능과의� 융합을� 시도하고� 있으며,�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 시스템에� 인공지능� 기술의� 융합은�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 판단� 및�

전달함으로�피해를�최소화할�수�기술� �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60

◎�유해물질�검출�센서�기술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는� 주로� 화학약품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독성화학물질에� 대한� 통제와�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대기� 및� 수질� 모니터링� 분야를� 포함하고�

있음

▪ 식품의약품� 관련� 유해물질은� 전체� 유해물질� 분야� 중에서는� 보다� 전문적인� 분야로� 기술범위가�다르며,� 일반� 유해물질�분야는�화학물질을�그� 대상으로�하고�있음

▪ 최근의� 가습기� 살균제� 사고는� 일반� 유해물질� 통제와� 식물의약품� 분야� 통제� 간의� 사각지에서� 발생한�사고로�볼� 수� 있으며�따라서�이러한�구분은�상당히�중요하고�의미�있는� 분야임

유해물질� 검출기술� 분야는� 유해물질을� 실시간으로� 연속적으로� 측정모니터링� 분석하기� 위한�

기술로서,� 다양한�센서기술,� 신호처리기술,� 분석기술이�결합된�기술임

▪ 인체흡입� 경로로� 공기는� 크게� 실외,� 실내로� 나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정하기� 위한� 가스� 종과�측정해야하는� 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이를� 측정하기� 위한� 대상� 가스와� 농도하한에� 따라� 다른�

측정방식의�센서가�요구되고�있음

▪ 가스를� 측정하는� 센서는� 크게� 광학식과� 촉매물질을� 이용하는� 방식과� 분석시스템� 방식이� 있으며�최근에는� 이러한� 센서들을� 소형화,� 저전력화,� 고감도화� 뿐만� 아니라� 고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연구개발이�이루지고�있음

액상� 유해물질의� 경우� 측정하기� 위한� 대상� 오염원과� 농도하한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센서가�

요구됨

▪ 이러한� 센서는� 크게� 분석칩(Lab-on-a-chip:� LoC)� 방식과� 감지전극(probe,� 프로브)� 방식이� 있으며�센서들의� 반복사용에� 따른� 센서� 오염� 문제해결을� 위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감지전극용�

감지소재에�대한�연구가�이루어지고�있음

현재�환경관련�센서�발전�동향은�소형화,� 집적화,� 네트워킹으로�요약될�수� 있음

▪ 소형화� 및� 집적화는� 모바일� IT� 시대가� 도래하면서� 무엇보다도� 초소형의� 센서(CMOS,� MEMS)가�요구되고� 있으며� 벌크형� 센서와� 초소형� 센서가� 하나의� 다이� 안에� 집적화된� iMEMS� 센서,� 하나의�

칩으로� 동시에� 구현하거나� 두� 가지� 센서를� 하나의� 다이에� 통합하는� 융복합� 센서(Combo,� Multi)로�

발전하고�있음

▪ 센서의� 네트워킹은� 이른바� 센서네트워크,� USN,� 해외에서는� WSN으로� 불리움.� 센서노드� 사이의� 1,�2계층은� IEEE� 802.15.4가� 대표적이며� 3계층과� 그� 이상은� 지그비가� 대표적이며� 사물인터넷� 발전이�

가속화�되면서�대부분의�디바이스들�사이의�네트워크는� IP네트워크를�수용하는�움직임이�대세임

◎�유해물질�모니터링�시스템�기술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은� 검출(센스)� 기술에�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통신네트워크기술,� 데이터베이스기술,�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로� 구성되며,� 머지않아�

인공지능기술(AI)� 등이�적용될�것임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61

▪ 기존의�모니터링�시스템�기술은�대부분�제한된�공간�및� 단순� 표본� 수집에�의거하여�실시간적인�오염�감시� 및� 추적을� 다루고� 있으나� 수집된� 정보를� 활용한� 예측� 기술과� 신속한� 대응을� 위한� 체계적� 정보�

연계� 기술은�미흡한�실정임

▪ 따라서�다양한�감시대상�및� 확산� 특성을�갖고�유해물질별�능동적인�대응�기술과�광역의�실시간�상시�감시에�필요한�센서네트워크�등�필요함

환경� 분야의� 경우� 토양,� 수중,� 대기,� 해양� 등� 다양한� 감시대상� 및� 열악한� 전파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변� 전파환경을� 인지(Cognitive)하여� 능동적으로� 전파자원을� 활용하여�

신뢰성�있게�환경감시�정보를�전송하는�것이�중요함

▪ 광역의� 대규모로� 수집되는� 엄청난� 데이터로� 이를� 환경감시의� 의미� 있는� 정보로� 가공,� 처리,� 분류� 및�분석하는� 한편� 다양한� 사용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주는� 개방형� IT융합�

미들웨어�플랫폼�기술이�매우� 중요함

▪ 대기환경의� 오염물질은� 자동차� 또는� 산업시설로부터� 배출되는� 분진,� 화학물질� 및� 이로� 인한�광화학반응에� 의해� 분산되는� 유해물질을� 포함하며� 대기오염� 원격� 모니터링은� DOAS,� FTIR,� LIDAR�

등과� 같이� 지상에서� 과학적� 방법을� 이용한� 대기오염� 원격측정� 시스템에� 의한� 방법과� 인공위성� 등�

원격탐사�시스템에�의한�방법으로�측정되고�있음

◎�클라우드�기반�통합�환경�모니터링�및� 분석�시스템�기술

수집한� 환경정보를� 수요자와� 의사결정권자에게� 제공하거나,� 환경� 예측� 정보를� 현장� 이용자가�

쉽게� 활용하는� 등,� 정보의� 접근성� 및� 활용성� 향상을� 위해서는� 클라우드� 기반� 통합� 환경�

모니터링�시스템�기술의�개발이�필요함

▪ 해당� 기술은� 다양한� 센서� 및� 광역� 센서네트워크로부터� 수집된� 대기,� 수질,� 토양,� 해양� 등의�환경정보를� 시맨틱� 및� 빅데이터� 기반의� 처리,� 통합� 및� 생성,�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환경� 변화를�

예측하는�기술로서,� 환경� 정보를�통합적으로�모니터링/관리하는데�있어�매우� 중요한�기술임

▪ 환경� 정보는� 결과적으로� 국가의� 환경� 정책� 및� 환경� 법규를� 제정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므로,�환경� 정보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관리하는� 기술과� 해당� 기술을� 정책� 및� 법� 제정에� 활용할� 수�

있도록�하는�정보� 관리� 기술이�필요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62

나.� 특허동향�분석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특허�상� 주요�기술

주요�기술�

▪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은� 유해물질� 감지센서� 기술,� 유해물질� 배출평가� 기술� 및�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유해물질�통합�모니터링�기술로�구분되는�모니터링�기술로�구성됨�

분류 요소기술 설명

감지기술 유해물질�감지센서�기술각종�화학적�유해물질을�감지하는�센서기술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광학적�센서)

분석기술 유해물질�배출평가�기술유해물질�누출발생시�배출량�산정,� 파급효과�등에�대한� 분석,�

진단기술

모니터링�

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유해물질�감지센서에서�발생되는�정보를�유무선�통신망을�이용�

센서�네트워크를�형성기술

유해물질�통합�모니터링�기술지리정보시스템(GIS)과�연동하여�응급상황�발생시�이를�대처할�

수� 있는�실시간�모니터링�기술

◎�세부�분야별�특허동향

주요�기술별�국가별�특허동향

▪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의� 요소기술별� 주요� 국가별� 특허정보� 데이터� 입수하였으며,� 최근�5년간의�특허데이터를�비교�분석함

분류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계

감지기술 유해물질�감지센서�기술 153 20 24 6 203

분석기술 유해물질�배출평가�기술 537 144 117 34 839

모니터링�

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515 134 111 45 799유해물질�통합� 모니터링�기술

합계 1,205 298 252 85 1,840

▪ 국가별� 요소기술별� 특허동향에서� 한국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미국,�일본,� 유럽�순으로�나타남

▪ 세부적으로� 감지기술� 분야에서는� 한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이� 상대적으로�적은�출원량을�보유하고�있음,�

▪ 분석기술� 분야는� 한국이� 가장� 많은� 특허출원�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유럽이� 상대적으로� 적은�특허출원을�나타내고�있음

▪ 모니터링� 기술은� 한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국가는� 최근� 5년간� 특허활동이�한국�대비� 저조한�편으로�나타남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63

주요�기술별�출원인�동향

분류 요소기술기술�

집중도주요출원인 국내�특허동향

감지

기술유해물질�감지센서�기술 ◔

IBM

도요타�자동차

다이하츠�공업

중소기업이�주도

씨에스이,� 이엠씨,�

가스트로�등

분석

기술유해물질�배출평가�기술 ◓

현대자동차

대우조선해양

IBM

대학�및� 연구소가�주도

고려대학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과학기술원�등

모니터링�

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현대자동차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FUJI� 전기

대기업이�주도

현대자동차,� 포스코,�

현대중공업�등유해물질�통합� 모니터링�기술

감지�기술�주요�출원인�동향

▪ 유해물질� 감지센서� 기술은� IBM,� 도용타� 자동차,� 다이하츠� 공업� 등� 미국,� 일본의� 기업이� 가장� 많은�특허를�보유하고�있음

분석�기술�주요�출원인�동향

▪ 유해물질� 배출평가� 기술분야는� 현대자동차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대우조선해양,� IBM� 등이� 많은�특허를�출원하고�있음

모니터링�기술�주요�출원인�동향

▪ 모니터링시� 기술분야는� 현대자동차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한국건설기술연구원,� FUJI전기� 등이�많은� 특허를�출원하고�있음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분야의�주요�경쟁기술�및� 공백기술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분석기술이고,� 공백기술은� 유해물질�

감지�기술로�나타남

▪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에서� 유해물질� 배출� 평가기술이� 가장� 경쟁이� 치열할� 분야이고,�유해물질�감지센서�분야는�아직까지�출원이�활발하지�않은�공백기술�분야로�나타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64

분류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감지

기술유해물질�감지센서�기술 ●

분석

기술유해물질�배출평가�기술 ●

모니터링�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유해물질�통합�모니터링�기술

※ ●: 50건 이상, ◕: 30~49건, ◓: 20~29건, ◔: 10~19건, ◯: 10건 미만

◎�최신�국내�특허기술�동향

분류 요소기술 최근�핵심기술�동향

감지기술 유해물질�감지센서�기술

생산�산업의�안정성�확보를�위한�센서�기술연구�추진

화학적,� 생물학적(항원/항체),� 광학적�방법�외�나노물질,�

양자레이져�등�신�감지�기술� 도입�추진�중

센서의� IoT화를�위한� 위한�저전력,� 소형화�연구

분석기술 유해물질�배출평가�기술

배출량에�따른� 정확한�인적,� 물적�파급효과�연구

파급효과의�신속하고�정확한�분석을�위해�빅데이터,� � AI와�

같은� 기술�연구�추진

모니터링�

기술

감지센서�네트워크�기술 센서�네트워크�기술,� 지리정보시스템과�연동한�실시간�

모니터링�기술�발전

통합적인�모니터링을�위해� ICT,� 인공지능�기술을�융합한�

분석�기술� 도입유해물질�통합�모니터링�기술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유해물질� 감지기술은� 중소기업� 중심으로� 연구개발� 되고� 있으며,�

분석� 기술은� 대학� 및� 연구소에� 의해,� 모니터링� 기술은� 대기업에� 의해� 연구개발이� 주도되고�

있음

▪ 감지� 센서� 분야는� 생산�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위험도� 높은� 다양한� 유해물질� 사용� 빈도가� 높아지고�있어� 다품종의� 소량생산� 형태가� 적용되고� 있으며� 기존� 화학적,� 생물학적,� 광학적� 방법외� 센서의�

정확도� 제고� 및� 다양한� 유해물질� 감지를� 위한� 나노센서� 및� 양자� 캐스케이드� 레이저를� 적용한� 가스�

분석기�개발�등�신기술�도입이�추진� 중임

▪ 분석� 기술은� 빅데이터� 기술을� 활용한� 예측� 모델을� 만들어� 실제� 환경에서� 결과와� 비교하는� 연구가�진행되고� 있으며� 유해물질� 누출� 발생량에� 따른� 정확한�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대응방법에�대한�연구도�추진되고�있음

▪ 모니터링� 기술은� 각� 환경센서에� ICT� 기술을� 융합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수집� 및� 분석하는� 센서�그리드구축� 관련�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지리정보시스템(GIS)과� 연동하여� 응급상황� 발생시�

이를� 신속히�대처할�수� 있는�모니터링�기술들이�개발되고�있음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65

◎�중소기업�특허전략�수립�방향�및� 시사점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분야의�공백기술�분야는�유해물질�감지�기술로�나타남

▪ 국내�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시장은�기존� 센서기술을�이용한�모니터링�및� 진단� 시스템�관련�기술에� 대한� 연구개발을� 활발하나,� 다양한� 유해물질� 사용� 빈도가� 높아짐에� 따른� 다양한� 물질을� 감지�

가능한�센서�원천기술에�관련된�연구개발은�많이�이루어지지�않고�있음

▪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는� 전� 세계적으로� 화학� 관련� 산업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안전사고와� 화학가스� 누출� 및� 폭발로� 인한� 인명�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함으로써� 유해물질� 센서의�

사용은�증가하고�있으며�이에� 따라�부품� 소자� 산업의�동반� 상승이�예상됨

▪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기술은� 일반� 제품� 생산� 산업� 기술과� 달리� 공공� 안전� 성격을�내포하고� 있어� 법적� 강제성에� 의해� 시장이� 성장되고� 있으나� 분석� 및� 모니터링� 등� 전반적이� 산업을�

빠른� 속도로� 발전하고� 있으나� 부품� 즉,� 센서� 기술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효율적� 발전을� 위해서는�

센서�기술에�대한� 경쟁성�확보가�시급함

▪ 따라서� 유해물질을� 감지하고� 있는� 센서를� 연구하고� 있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이전받거나� 공동은�연구개발하여�제품화하는�특허전략을�수립하는�바람직할�것으로�사료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66

5.� 연구개발�네트워크

가.� 연구개발�기관/자원

◎�연구개발�기관

스마트�센서�및�환경�센서�기술�분야�주요�연구개발�기관

▪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센터장�김재준�교수)-� 스마트센서�인터페이스,� 스마트센서�소자�및� 소재,� 웨어러블�스마트센서�등� 3개� 분야를�융합� 연구

-� 자동차,� 모바일,� 산업방재�등�분야별로�특화된�사업�중심의�기술�개발

-� 관련� 중소기업의�제품�설계에서부터�양산까지�적극�지원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이대성)-� 스마트센서연구센터를� 설립해� 나노/MEMS기반� 스마트센서,� 차세대� 입력디바이스� 및� 내츄럴� UI/UX,�

집적광학센서� 및� 소자,� 환경/바이오센서� 및� 소자,� 무선전력� 등� 자립형� 디바이스� 기술,� 스마트센서�

응용�시스템을�개발�중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SiP형� 온도/습도/가스� 복합환경센서를� 연구시제품� 수준으로� 개발하여� 중소기업에� 기술이전을� 통한�상용화를�추진하고�있음

- ETRI의� 복합환경센서는� 자체� 개발한� 반도체식� MEMS형� 폼알데하이드(HCHO) 센서, 전기화학식�MEMS형�이산화탄소(CO2)가스센서�및� 온도센서가�내장된� ROIC 칩을�이용함

▪ POSCO-� ICT� 요소� 기술� 적용� 시도(빅데이터를� 활용한� 제품불량� 및� 압연기� 고장� 사전� 예측,� 냉연,� 열연코일,�

GPS,� Bluetooth� 및� 센서를� 활용한� 작업자� 안전관리,� 공장� 신설� 및� 증설� 시� 가상현실을� 통한� 검증�

등)

▪ 에이시에스-� 실시간� 생산정보화를� 위한�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을� 제공하며� MES� 솔루션,� IoT� 센서� 및�

디바이스까지�공장�전반에�걸쳐� 하드웨어,� 미들웨어,� IT� 서비스를�제공

*�출처� :� KIET� PD� Issue� Report,� 대기환경�센서�기술동향� June� 2016.

[� 전자부품�연구원(KETI)의� 온습도센서(좌)� 및� ETRI의� 온도/습도/가스�복합환경센서�연구시제품�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67

◎�연구개발�자원

국가�연구개발�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전략핵심소재기술개발사업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 산업엔진�프로젝트(19대�미래성장동력)

­� 차세대�스마트러닝�산업지원센터�구축사업

-� ‘14년� 「첨단� 스마트센서�육성계획」� 발표

-�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

▪중소기업진흥공단-� 인력양성� (컨설팅� 지원사업)� :�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여� 성장기‧정체기�기업의�지속서장을�위한�근본체질�강화�및�글로벌�경쟁력�확보

▪ K-ICT� 스마트�디바이스�육성방안(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업�혁신� 3.0전략�실행대책의�후속조치

-� 성장성·경쟁력� 등을� 고려해� 10대�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모듈기술� 및� 스마트� 센서� 핵심� 성능� 구현을�

위한� 공정·회로설계�기술�개발

-�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 개발·제작·테스트를� 위한� 단계별� 맞춤형� 지원� 및� 공통� 시설·장비� 등� 제작�

지원� 환경�구축

-� 투자유치·마케팅�진행� 및� 해외�시장진출�지원

-� 스마트�디바이스�분야의�석·박사급�전문인력�양성�및� 디바이스�제작�프로그램�개발·보급�등�저변확대

▪ IoT� 서비스�적용�스마트�센서�사업� 품목� 도출(미래창조과학부)-� IoT센서� ROIC� 등� 2개�분야로�각� 과제당� 30~40억/5년(3+2년)� 지원

-� 나노인프라�연계� 2015년� 45억� 확정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wc300프로젝트로�기업�성장에�필요한�중장기�미래전략과�원천�기술개발�지원,� R&D� 지원

-� 기술혁신형�중소기업�연구인력�지원

중소기업�대상�시설�및� 장비�지원

▪ 중소기업전용연구시설(Rental� La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동연구� 수행�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에게� 연구공간을� 제공하고,�

연구원�인프라(인력,� 장비� 등)를�활용한�근접�지원을�통해�기업의�생산성�및� 경쟁력을�높이고�있음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미래창조과학부)-� 장비활용� 종합포털사이트� ZEUS를� 통해�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활용� 극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체계화하고�모두가�편리하게�이용할�수�있도록�최상의�서비스를�제공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68

▪ 산업기술개발� 장비� 공동이용시스템� e-Tube�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e-Tube를� 통해� 산업기술� R&D에� 필요한� 연구장비를� 보다�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있도록�

적극�지원

▪ 첨단스마트센서�거점센터�구축사업((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경북지역�내�중소·중견기업�중�스마트센서�기업�및� 업종�다각화�희망기업�대상

-� 스마트센서�관련�제품개발�및� 조기�상품화를�위한�시제품�설계� 지원

-� 회로설계,� 전자기파�간섭�해석,� 소비전력�해석� SW� 지원

-� 수혜기업�기업부담금�없음�

▪ 공통서비스�인프라�구축·운영� 사업(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 중소기업이� R&D� 및� 상용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애로기술� 지원,� 시험� 측정장비� 지원� 및�

고주파�시험시설을�활용한�시험지원�등에�대한� 통합기술을�지원

-� 시험지원은� 고주파� 부품,� 모듈� 등의� 고주파� 특성,� PIMD,� 신뢰성� 시험지원� 및� 민간� 시험시설� 공동�

활용을�통한� 민간시험시설을�지원

-� 장비지원은�고가의�시험·측정� 장비를� IT� 중소기업에게�임대

▪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중소벤처기업부)-� 주관기관이�보유한�연구시설과�장비,� 소프트웨어를�중소기업이�공동�활용하도록�지원

-� 연구개발과�설계�및� 디자인,� 시제품�제작,� 성능평가,� 양산� 및� 마케팅에�이르는�원스톱�지원

-� 중소기업이�첨단�고가�연구장비를�쉽게�이용할�수� 있도록�지원

▪ 시제품�제작을�위한� 시설�및�제작장비�공동�활용(K-ICT� 디바이스랩)-� 지역� 인프라와� K-ICT� 디바이스랩의�장비와�시설�현황을�공유하고�연계�활용� 추진

-� 旣� 구축된� 시제품� 제작� 지원시설을� 연계·활용� 및� 웨어러블� 특화� 장비(유연소재� 3D프린터� 등)� 추가�

구축을�통해� 웨어러블�특화�시제품�제작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69

나.� 연구개발�인력

유해물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기술� 분야는� 전자부품연구원,�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등�기관에서�연구개발을�진행하고�있음

기관 성명 직급

전자부품연구원 이대성 센터장

전자부품연구원 김준철 센터장

전자부품연구원 김정곤 책임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박광범 수석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홍성민 책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김주영 센터장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추성중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우승탁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박재률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유종호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정상훈 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김재준 센터장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박재률 선임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유종호 책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송사광 실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육진희 실장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기술� 분야� 주요�연구인력�현황�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70

다.� 기술이전가능�기술

기술이전이� 가능한� 기관은�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등이�있음

이전�기술에�대한�세부�내용

분류 내용

기술명 •환경�감지� IoT�응용�기술

키워드 •스마트�모바일�생활환경�센서,�센서네트워크,�클라우드,�상황인지

기술의�개요

•모바일과� 연동� 가능한� 센서노드를� 포함하는� 환경� 계측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생활뿐만� 아니라� 산업기반시설에서� 사용자� 주위에� 발생되는�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무선네트워크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주위의�

센서�정보를�공유하는�프로그램�및�시스템�기술임

기술의�구현�수준(TRL) •시작품단계(6단계)

기술의�장점

•IoT�환경�센서를�활용한�지능적�개인화�서비스�제공

•위험시설물의�안전관리�강화

•원격�모니터링,�사용자�편의�기능�등을�포함

활용범위�및� 응용분야•환경�계측�센서�및�환경�감지�시스템�분야

•환경/안전�모니터링,� 관리�네트워크�및�관리�애플리케이션�응용�분야

이전�기관� 및� 연락처•전자부품연구원

•기술이전�및�사업화�담당�부서:�기업협력총괄실(연락처:031-789-7616)

[� 환경�감지� IoT� 응용�기술�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71

6.� 기술로드맵�기획

가.� 중소기업�핵심요소기술

(1)� 데이터�기반�요소기술�발굴

[�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분야� 키워드�클러스터링� ]

No 주요�키워드 연관도�수치 관련특허/논문�제목

클러스터

01

waste,� gas,�

hazard4~6

1. Hazardous-environmental� diving� systems

2. Integrated� valve� regulator� assembly� and� system� for� the�

controlled� storage� and� dispensing� of� a� hazardous� material

3.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THE� TREATMENT� OF� WASTE�

WATERS� WITH� A� VIEW� TO� COMBATING� THE� ENDOCRINE�

DISRUPTING� EFFECT� AND/OR� THE� TOXIC� OR� GENOTOXIC�

EFFECT� THEREOF

클러스터

02

environment�

control4~6

1. Intelligent� ventilating� safety� range� hood� control� system

2. Systems� and� arrangements� for� mitigating�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storm� water� carried� pollution

3. A� novel� index� based� framework� for� assessing� hazards� of� toxic�

[�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분야� 주요� 키워드�및� 관련문헌�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72

No 주요�키워드 연관도�수치 관련특허/논문�제목

and� flammable� gaseous� releases� in� process� plants

클러스터

03

chemical,�

pollution4

1.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DETECTION�OF� TOXIC�

AGENTS

2. Safety� System� For� Detection� And� Elimination� Of� Toxic� Gases

4. AUTONOMOUS� ANTI-POLLUTION� LIQUID� CONTAINER� FOR� ISOTOPE�

ANALYSING�OF� EARTH� SCIENCE� AREA

클러스터

04

hazardous-m

aterial4~6

1. HAZARDOUS�MATERIAL� HANDLING� REFERENCE� SYSTEM

2. Integrated� valve� regulator� assembly� and� system� for� the�

controlled� storage� and� dispensing� of� a� hazardous� material

3. SAFETY� CABINET,� IN� PARTICULAR� A� HAZARDOUS� MATERIAL�

CABINET

클러스터

05

pharmaceuti

cal-compositi

on

4~6

1. OXADIAZOL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E� THEREOF

2. Caffeoylquinic� acid� derivatives� containing� nitrogen,� and�

preparation� method,� pharmaceutical� composition� and� usage�

thereof

3.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PISTACIA�

WEINMANNIFOLIA� EXTRACT,� FRACTION� OF� SAME� OR�

COMPOUND� SEPARATED� FROM� SAME� FOR� PREVENTING� OR�

TREATING�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클러스터

06

toxic-gas,�

low-toxcity4

1. SAFETY� COMMUNICATOR� -� CONVERGENCE� OF� BODY� VITALS�

AND� TOXIC� GAS� PARAMETERS� INTO� SMARTPHONE� APP� TO�

ENHANCE� SAFETY�MONITORING

2. DETECTION� AND� PREVENTION� OF� TOXIC� GAS

3. Detection� of� toxic� waste� using� RFIDs

클러스터

07

safety,�

safety-syste

m

4

1. Safety� System�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Toxic� Gas

2. PREDICTIVE� RENAL� SAFETY� BIOMARKERS� AND� BIOMARKER�

SIGNATURES� TO�MONITOR� KIDNEY� FUNCTION

3. Safety� device� and� gas� container� provided� with� such� a� device

클러스터

08

acid-gas,�

polishing-slu

rry

4

1. Solution� for� forming� polishing� slurry,� polishing� slurry� and� related�

methods

2. USE� OF� CHLOROGENIC� ACID� IN� PREPARATION� OF� DRUG�

TREATING� PSORIASIS

3. Application� of� stack� emissions� data� from� tele-monitoring� systems�

for� characterization� of� industrial� emissions� of� air� pollutants

클러스터

09

water,�

liquid,�

product

6

1. METHOD� AND� INTEGRAL� SYSTEM� FOR� TREATING� WATER� FOR�

COOLING� TOWERS� AND� PROCESSESS� REQUIRING� REMOVAL� OF�

SILICA� FROM� THE�WATER

2. SYSTEM� FOR� TREATING� COAL� GASIFICATION� WASTEWATER,�

AND� METHOD� FOR� TREATING� COAL� GASIFICATION�

WASTEWATER

3. CABINET,� ESPECIALLY� SAFETY� CABINET� OR� HAZARDOUS�

SUBSTANCES� SAFETY� CABINET� FOR� STORING� LIQUID�

HAZARDOUS� SUBSTANCES

클러스터

10

water-pollut

ant-separati

on,

water-purific

ation

4~6

1. Land-use� based� stormwater� pollutant� load� estimation� and�

monitoring� system� design

2. Automatic� systems� for� control� of� water� purification� with� online�

monitoring� of� pollutants� at� key� points� of� the� flow� diagram

3.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pressure�

filter� and� pore-control� fiber� filter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73

(2)� 요소기술�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한�요소기술�도출

분류 요소기술 출처

감지기술

유해물질�검출�한계� 향상을�위한� 고감도�감지� 센서�기술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다종�유해물질�검출�선택성�및�신뢰성�향상을� � 위한�수명�

향상�감지� 센서�기술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분석기술유해물질�누출� � 상황� 분석�및�예측을�위한�빅테이터�및�

인공지능�융합� 기술기술/시장�분석,� 타부처로드맵

모니터링�및�

방제기술

효율화�향상을�위한�유무선�센서�네트워크�기술 기술/시장�분석,� 전문가�추천

지리정보시스템과�통합�및�경보�알림� 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유해물질�발생� 상황�따른�방제� 및� 제어�시스템�기술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74

(3)� 핵심요소기술�선정

확정된�요소기술을�대상으로�중소기업에�적합한�핵심요소기술�선정

분류 핵심요소기술 개요

감지기술

유해물질�검출�한계�향상을�위한�고감도�

감지� 센서�기술

유해물질�누출시�인체� 유해�가능한�농도�범위�이하�

농도까지도�감지할�수�있는�센서를�개발함으로�

미량의�누출� 단계에서도�검출할�수� 있는�센서�기술�

다종� 유해물질�검출�선택성�및� 신뢰성�

향상을� � 위한�수명� 향상�감지�센서� 기술

다양한�유해물질들을�효과적으로�측정하기�

위해서는�선택성�요구되며�또한� 제품화를�위해서는�

신뢰성�및�수명�향상� 기술이�요구됨�

분석기술유해물질�누출� 상황�분석�및�예측을�위한�

빅테이터�및�인공지능�융합�기술

센서�네트워크를�통해� 실시간으로�수집되어지는�

다양하고�대용량�데이터를�효과적으로�처리하고�

분석� 및� 예측할�수�있는� 기술

모니터링�및�

방제기술

효율화�향상을�위한� 유무선�센서�

네트워크�기술

유해물질�누출에�대한� 정보와�함께� 다양한�환경�

정보를�실시간으로�확보하기�위해서�광역적으로�

유무선으로�센서�네트워크�구성

지리정보시스템과�통합�및�경보� 알림�

기술

유해물질�누출시�전파경로와�피해�예상지역에�대한�

정보를�지리정보시스템과�통합하여�분석함으로�

신속한�대응이�가능하게�함

유해물질�발생�상황� 따른�방제�및�제어�

시스템�기술

신속하고�정확한�분석� 기술을�통해� 해당�지역의�

인적,� 물적�피해를�최소화하기�위한�방제� 방법과�

현장�상황� 제어�시스템이�필요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

▣�▣�유해물질�유통� 모니터링�시스템�▣�▣

175

나.�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기술로드맵

최종�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기술개발�방향성을�제시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76

다.� 연구개발�목표�설정

핵심요소기술별�최종목표는�아래와�같이�기술요구사항과�연차별�개발목표로�제시함

분류 핵심요소기술 기술요구사항연차별�개발목표

최종목표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감지기술

유해물질�검출�한계�

향상을�위한�고감도�

감지� 센서�기술

감지�감도

(ppm)

1~10

ppm

0.1~1

ppm

0.01~0.1

ppm

0.01ppm�

고감도�센서�

기술개발

다종�유해물질�검출�

선택성�및�신뢰성�

향상을� � 위한�수명�

향상�감지�센서� 기술

선택성

(종류)3� 이상 4�이상 5�이상

유해물질�

5종�이상� 선택적�

감지

분석기술

유해물질�누출�상황�

분석�및�예측을�위한�

빅테이터�및�인공지능�

융합�기술

응답시간

(초)60초 40초 30초�이내

피해�예상을�

분석�및�예측�

시간�최소화

모니터링�

및�

방제기술

효율화�향상을�위한�

유무선�센서�네트워크� �

기술

센서노드

(수)20� 이상 50� 이상 100� 이상

에너지�사용량�

50%�이상�절감�

양산화

지리정보시스템과�

통합� 및� 경보�알림�

기술

알림�시간

(분)10분� 이내

6분�

이내

3분�

이내

3분�이내의�

피해예상�지역�

경보

유해물질�발생�상황�

따른� 방제�및�제어�

시스템�기술

효율성

(%)- 70%�이상 90%�이상

피해지역�

최소화를�위한�

지능형�시스템�

개발

[� 유해물질�유통�모니터링�시스템�분야� 핵심요소기술�연구목표� ]

기술개발�테마�현황분석

범죄대응�시스템

범죄�대응�시스템

정의�및� 범위

▪ 범죄� 대응� 시스템은� 공공의� 안전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요인암살,� 공중� 시설물� 폭파,� 항공테러,� 해상�테러,� 생물화학�테러�등�위험상황에�선제적으로�대응하기�위한�신속�대응�시스템을�의미

▪ 국내외로� 테러,� 납치� 등의� 강력� 범죄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범죄� 대응� 시스템은� 범죄� 예방�및� 범죄�상황에�대한�조기� 경보가�가능하며�상황�처리� 및� 범죄용의자에�대한�증거�확보가�가능�

정부지원�정책

▪ 정부에서는�재난안전�분야의�과학기술�발전을�위해�정부차원의�연구개발�사업을�지속적으로�추진�▪ 범죄·테러� 등� 사회적�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하여� 국민안전처의� 사회재난� 안전기술� 개발과�환경부의�사회적�재난� 대응체계�확보가�진행� 중임

▪ 국민안전처는� 2017년도� 재난안전기술� 연구개발� 사업� 중� ‘국민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 식분� 분석�기술�개발’에�총�연구비� 6,100만원�책정(연구기간� ‘17~‘21년도)

▪ 테러�등� 특수요원�중심의�현장적용�활용장비�및�안전� 기술� 개발을�주요� 연구내용으로�함

중소기업�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국가와�지자체의�지속적인�수요�증가

•�조기�경보�체계�등�예방에�초점을�둠�

•�재난안전�국가� R&D�투자�적음

•�고려해야하는�안전요소가�다양함� � �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범죄,� 테러�등�사회적�요구�급증�

•�범죄,� 재난�등�안전분야에�대한�예산�증가�전망

•�표준화�등�기술의�호환성�등에�관심이�적음�

•�주요�경쟁국의�관련�기술�능력�향상

중소기업의�시장대응전략

➜� AI� 기반�치안�기술�개발을�통해서�차세대�지능형�사회�안전�기술의�패러다임을�주도하고�글로벌�기술�경쟁력�제고➜ 아직�정규화되지�않은�첨단치안� AI� 핵심기술의�핵심�원천�특허와�알고리즘을�선점함으로써�글로벌�기술�방향�주도

핵심요소기술�로드맵

▣�▣�범죄�대응� 시스템�▣�▣

181

1.� 개요

가.� 정의�및� 필요성�

범죄� 대응� 시스템은� 공공의� 안전을� 위태롭게� 할� 수� 있는� 요인암살,� 공중� 시설물� 폭파,�

항공테러,� 해상� 테러,� 생물화학� 테러�등� 위험상황에�선제적으로�대응하기�위한�대응� 시스템을�

의미

▪ 지능형�영상분석�기술은�영상의�정보를�분석하여�자동으로�이상�행위를�탐지하는�기술

국내외로� 테러,� 납치� 등의� 강력� 범죄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음.� 범죄� 대응� 시스템은�

범죄�예방� 및� 범죄� 상황에�대한� 조기�경보가� 가능하며�상황� 처리�및� 범죄용의자에�대한� 증거�

확보가�가능�

현대사회변화의� 속도가� 빨라지고� 위험요인과� 복잡성이� 증가됨에� 따라� 테러위험� 증가,� 범죄�

첨단화와� 함께� 국민들의� 안전욕구와� 치안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신속하게� 변화에�

대응하여�의사결정을�할�수�있는�국가적�차원의�시스템적�대응능력이�요구되고�있음

다양한�범죄와�테러�위협�존재

▪ 폭발물� 테러는� 폭발물을� 이용하여� 사람을� 살상하거나� 건물과� 같은� 시설물과� 비행기� 등의� 장비를�파괴하는�행위

▪ 사이버테러형� 범죄는� 해킹,� 바이러스� 유포와� 같이� 고도의� 기술적인� 요소가� 포함되어� 정보통신망�자체에�대한�공격행위

*�출처:�인공지능�기반�범죄·테러�신속대응�시스템�상세기획연구�최종보고서,�치안정책연구소(2016)

[범죄·테러�신속� 대응시스템�개념도]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82

테러의� 하나인� 사이버테러란� 기관,� 민간,� 기업의� 정보� 시스템을� 파괴하여� 그� 주요� 기능을�

마비시킬� 수� 있는� 신종� 테러임.� 의도적인� 목적으로� 누군가� 컴퓨터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화�되어�있는�기관,� 민간,� 기업의주요�정보를�피싱,� 파밍,� 스미싱하여�네트워크를�

공격할�때� 이를�방지하기�위한�사이버테러�방지�시스템을�포함

[� 향후�사이버�테러�형태� ]

▣�▣�범죄�대응� 시스템�▣�▣

183

나.� 범위

(1)� 제품분류�관점

범죄�대응�시스템의�요소기술인�테러�용의자�추적을�위한�영상감시�통합�솔루션의�분류

[� 영상감시�통합�솔루션의�주요�제품� 및� 서비스�분류� ]

중분류 세부�부품

영상감시�촬영/변환� 모듈•CCTV,� IP카메라,� PTZ카메라,� Speed� Dome,� Sensors,� Encoder�

•지문인식,� 홍채인식,� 안면인식,� 정맥인증�등�바이오�인식�부품

영상저장/관리장치 •NVR,� DVR,� HDVR,� NAS,� VMS

영상감시�운영서버•Video� Server,� Data� Storage� Server,� Management� Server� &� Web�

Server�

지능형�영상감시� S/W기술

•영상분석기술(행동분석,�번호판분석,�화상분석�등)

•통합모니터링기술(위치정보,� 번호판인식(LPR),� 얼굴인식(Face� Recognition),�

모션인식,�카운팅,� 음성인식,� 원격제어,� 경보)

•프라이버시�마스킹� s/w

*�출처� :� KISA� 2014�국내�정보보호�산업실태조사

사이버테러� 방지� 솔루션은� 사이버� 테러에� 대비하기� 위한�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 복구� 백업�

솔루션�모두를포함

재난� 단계에� 따른� 분류� :� 재난� 단계별로� 분류하자면,� 재난� 예방,� 대비와� 테러에� 대응을� 하기�

위한� 네트워크보안� 솔루션,� 공격� 스캔� 기술,� 바이러스방지,� 악성코드� 차단,� 침입탐지� 및� 차단�

등� 보안� 기술과� 복구를� 위한클라우드� 방식의� 온라인� 데이터� 백업� 솔루션,� 재해복구를� 위한�

전문적인�백업�솔루션�등으로�나눌�수� 있음

공급� 단계에� 따른� 분류� :� 사이버� 테러대비� 관련� 솔루션의� 기반� 기술은� 망� 분리� 기술이�

대표적이며� 바이러스에� 대비하기� 위한� 백신� 프로그램,� 악성코드� 방지� 프로그램� 등이� 있으며,�

사이버� 재난에� 대비하기� 위한� 솔루션은� 기업ㆍ개인용� 솔루션으로� 구분� 가능.� 개인용�

솔루션과�기업용�솔루션에�따라�구분됨

▪ 개인용�솔루션� :� 바이러스에�대비하기�위한�백신� 프로그램,� 악성코드�방지�프로그램�등을�주로� 활용.�개인용컴퓨터(PC)나� 스마트폰이� 상대적으로� 가장� 해킹하기가� 쉽고� 방어시스템도� 취약하여� 개인용�

컴퓨터�및� 스마트폰�보안관리�강화성의�범위로�확대� 중

▪ 기업용� 솔루션� :� 좀� 더� 큰� 규모의� 네트워크를� 가진� 기업에서는� 전문적인� 공격� 방지� 솔루션� 등이�응용되고� 있음.� 네트워크� 보안� 및� 분산처리� 대책으로� 기업차원에서� 체계적인� 보안� 기능을� 충족하기�

위해서는�기업망(네트워크)에�대한� 보다� 세부적인�안전장치�마련이�필요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84

2.� 외부환경분석

가.� 산업환경�분석

정부에서는� 재난안전� 분야의� 과학기술� 발전을� 위해� 정부차원의� 연구개발�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국민안전처는� 2017년도� 재난안전기술� 연구개발� 사업� 중� ‘국민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

식분�분석�기술�개발’에� 총� 연구비� 6,100만원�책정(연구기간� ‘17~‘21년도)

▪ 특수재난환경�유형별�현장대응�복합훈련장�및� 필드테스트장�플랫폼�모델� 개발� 구축▪ 테러�등� 특수요원�중심의�현장적용�활용장비�및�안전� 기술� 개발을�주요� 연구내용으로�함

범죄·테러� 등� 사회적� 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하여� 국민안전처의� 사회재난� 안전기술�

개발과�환경부의�사회적�재난�대응체계�확보가�진행�중임

구분 세부사업명15년�

예산

16년� 예산

부처일반�

예산

특별�

예산기금 합계

사회적�재난

대응체계

확보

사회재난�안전� 기술개발 3,388 3,396 3,396 안전처

소방안전�및� 119� 구조�구급�

기술연구�개발17,333 19,600 19,600 안전처

재난상황�관리기술�개발 3,000 2,865 2,865 안전처

재난안전�기술� 개발�기반�구축 2,339 957 957 안전처

재난위험�저감기술�개발 5,445 4,666 4,666 안전처

감염병�관리기술�개발연구(R&D) 13,955 14,793 14,793 복지부

감염병�위기�대응기술�개발연구(R&D) 26,800 27,318 27,318 복지부

안전기술�선진화(R&D) 3,840 3,840 3,840 식약처

원자력�안전�연구개발 20,300 22,156 22,156 원안위

중장기�과학수사�감정기법�연구개발 4,809 5,290 5,290 행자부

사회적�재난�대응체계�확보�

(화학사고�대응환경�기술� 개발사업)5,000 10,200 10,200 환경부

합계 106,209 115,081

[� 걱정�없는� 안전사회�구축을�위한� 예산� 현황(사회적�재난대응체계�확보�예산)� ]

(단위� :� 백만� 원)

� *� 출처� :� 제� 3차�과학기술기본계획

▣�▣�범죄�대응� 시스템�▣�▣

185

나.�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세계� 지능형� CCTV로� 본� 범죄대응� 시스템� 시장규모는� ‘16년� 187억� 7백만� 달러로� 추정되며,�

향후�성장세를�지속하여� ‘21년에는� 331억� 2천� 9백만�달러�규모에�이를�전망

� �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18,707� 21,080� 23,645� 26,553� 26,553� 33,129� 12.1

*�출처� :� IMS� Research� 2014�활용�추정

[� 지능형�영상보안�기술�분야의�세계�시장규모�및�전망� ]

영상감시� 장치로서� CCTV�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확산되면서� 매우� 다양한� 분야로� 응용�

활용되고�있음

▪ 기능� 또한� 단순한� 주변상황� 감시형� 아날로그� CCTV에서� 최근에는�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CCTV로�빠르게�발전

▪ 지능형� CCTV� 시스템은� CCTV� 카메라로�촬영된� 영상� 중� 자동으로�사물이나� 사람의�특징적인� 객체를�인식/추적할�수� 있어�주변상황�감시�기능을�매우� 효과적으로�수행하고�있는�것으로�평가

실생활에서� CCTV의�활용도가�증가함에�따라�시장은�지속�확대될�전망

▪ 시장조사� 기관인� IHS에� 따르면,� 세계� CCTV� 시장� 규모는� 2013년� 1135억� 2,000만� 달러� 이었지만�2018년� 236억� 4,000만�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단순� CCTV� 시장은� 정체되는� 반면� IoT�

등을� 접목한� 지능형� CCTV� 시장은� 2019년� 까지� 연평균� 20.6%까지� 성장해� 2019년에는� 전체�

CCTV의� 70%�이상� 차지할�것으로�전망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86

(2)� 국내시장

전� 세계적으로� 테러ㆍ사회� 안전에� 대한� 위협이� 확산되어� 물리보안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범죄와� 테러위협,� 산업기밀� 유출,� 자연ㆍ사회적� 재난ㆍ재해� 예방�

수요� 증가로� CCTV,� DVR,� 출입통제시스템� 등� 물리보안제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증가

▪ 국내� 2015년�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 7,600달러로� 3만� 달러에� 다가서면서� 국민들의� 복지�욕구� 및� 안전욕구�충족에�대한� 수요가�증가

▪ 메르스�사건,� 세월호�사고� 등� 각종� 대형사건�및� 사고�증가에�따라�안전에�대한�경제적�인식의�강화

CCTV용� 카메라� 및� DVR� 장비� 등에서� 국내� 기업들은� 높은�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DVR은� 글로벌� 기술력을� 선도하고� 있으나� 지능형� 시스템으로의� 교체요구에� 대한�

수요니즈를�완전히�충족시키지�못하고�있는�실정

지능형� 영상보안�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는� ‘16년� 3조� 8,834억� 원에서� 연평균� 11.9%�

성장하여� ‘21년� 6조� 8,075억�원�규모에�이를�전망�

(단위 : 억 원, %)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38,834 43,617 49,397 54,979 61,191 68,075 11.9

*�출처� :� 지식경제부,�센서산업�고도화를�위한�첨단센서�육성사업�기획�보고서,� 2012.12로�추정

[� 지능형�영상보안�분야의�국내�시장규모�및�전망� ]�

지능형� 영상감시� 기술은� 대부분� 국내� 업체가� 외산� 기술을� 도입해� 사용하는� 현실이며� 소수의�

국내�기업만이� R&D를�통해�자체�기술력을�확보

▪ CCTV� 시스템� 설치구역� 내의� 변화감지,� 위치측정,� 대상추적,� 행위분석� 등� 지능적인� 기능들은�구현하고� 있으나� 지자체마다� 설치하고� 있는� 통합관제센터에� 적용하기에는� 아직은� 성능이� 미흡한�

상태

▪ 최근의� 동향은� 글로벌� 메이어� 업체들이� 지능형� CCTV� 관련� 전후방� 기술시장을� 주도하고� 있어� 국내�기업들의�기술개발이�시급하게�대두되고�있음

▣�▣�범죄�대응� 시스템�▣�▣

187

다.� 기술환경�분석

◎�테러�용의자�추적�관련�지능형� CCTV� 기술�환경

신속한� 범죄/테러� 관련� 용의자� 특정을� 위하여� 조명� 및� 환경� 요건� 변화에� 강인한� 이기종�

다수의� CCTV에서� handover를� 이용한�용의자�인식�및�동선�추적�기술의�적용이�필수적임

▪ 이는�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과� 결합하여� 시공간적으로� 사건을� 재구성� 하는데� 사용되며�현장에서는� 용의자� 동선� 추적� 및� 예상� 도주로� 차단으로� 신속한� 용의자� 특정� 및� 검거에� 기여할�

것으로�예상됨

인공지능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다양� 범죄� 관련� 정보� 시스템으로부터� 데이터를�

확보하여�통합하는�기술로�관련�데이터의�통합�시�신속한�범죄�대응이�가능함

신속한� 범죄/테러� 관련� 용의자� 특정을� 위하여� 조명� 및� 환경� 요건� 변화에� 강인한� 이기종�

다수의� CCTV에서� handover를� 이용한�용의자�인식�및�동선�추적�기술의�적용이�필수적임

▪ 이는�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과� 결합하여� 시공간적으로� 사건을� 재구성� 하는데� 사용되며�현장에서는� 용의자� 동선� 추적� 및� 예상� 도주로� 차단으로� 신속한� 용의자� 특정� 및� 검거에� 기여할�

것으로�예상됨

실시간� 용의� 객체� 검색� 기술� 분야는� 실적용� 가능한� 성능을� 보장하는� 용의� 객체인식의� 핵심�

기술�개발

◎�사이버�테러에�의한�보안�관심�증가

정보의�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수신� 도중에� 정보의� 훼손,� 변조,� 유출� 등을� 위한�

관리적,� 기술적� 방법을� 총칭하며� 정보시스템� 및� 데이터의� 취약점에� 대한� 해커들의� 공격�

방법이�지능화ㆍ고도화되면서�정보보안에�대한�관심이�고조됨

사회적으로� 사이버� 표적공격� 위협이� 이슈화되면서� 사이버� 테러가� 사회,� 국가적� 위협이� 될�

것으로�예상됨

▪ 사이버� 테러의� 공격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는� 목표� 대상이� 명확한� 조직적� 공격방법인� APT은� 주로�정부,� 기업을�대상으로�고객정보나�산업기밀,� 군사기밀�탈취를�목적으로�함

국제적� 사이버� 테러가� 증가되고� 있으며� 각종� 국내의� 기반시설� 보안이� 위협에� 노출.� 각� 지역�

내에서� 특정� IP� 공격� 지시에� 따라� 국내� 시설의� 마비� 등� 해당� 시스템� 가용성에� 많은� 문제를�

야기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88

3.� 기업� 분석

가.� 주요기업�비교

◎�테러�용의자�추적�관련�지능형� CCTV� 기술�환경

GIS,� 통신망,� 센서,� 영상감시�등을�활용한�범죄대응�시스템�개발

국내� CCTV� 카메라� 분야의� 기술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메이저� 업체로는� SK하이닉스,�

한화테크윈�및� ADT캡스�등을�들�수�있음

구� � 분 기술개발�동향

SK하이닉스•�중국�시장에서� CIS(CMOS� Image� Sensor)사업역량�강화

•� 2013.� 8월�중국�심천에서� “CIS쇼케이스� 2013”� 행사�개최

한화테크윈•� SDRAM을�활용한�멀티플�캡쳐(Multiple� Capture)방식의�카메라�개발

•� CCD�카메라�기반�수평주사� 2회�수행방식의�카메라�개발�

ADT캡스•�고화질� CCTV� 카메라�시스템에�고성능� DVR의�영상압축�기술을�접목

•�실시간으로�현장을�확인할�수�있는�첨단�영상감시�시스템(ADT뷰카드)개발

[� 국내� CCTV� 카메라�분야� 메이저�업체의�기술개발�동향� ]

◎�사이버�테러�방지�주요�기업�비교

구� � 분사이버�테러방지�시스템

부품사이버�테러방지�시스템 응용기기

주요�내용백업솔루션,� UTM,

프로그램인증시스템

디스크�스토리지,� 백업

소프트웨어,� Anti-Virus,

IDS/IPS

백업�어플라이언스,� UTM

통합보안

주요�제품/기술 넷백업�어플라이언스 V3,� ViRobotAPT� Chaser,� LX� UTM,

트러스트가드� UTM

해외기업 시스코,� 시큐아이,� 델, 델,� 시스코,� 키스퍼스키랩EMC,� 시만텍,� 포티넷,�

주니퍼,� 시스코

국내기업 퓨처시스템,� 안랩 안랩,� 하우리 안랩,� SGA,� 시큐아이닷컴

[� 사이버�테러�방지� 기업� ]

▣�▣�범죄�대응� 시스템�▣�▣

189

나.� 주요업체별�기술개발동향

◎�테러�용의자�추적�관련�지능형� CCTV�

IBM의� 지능형� CCTV� 통합관제� 솔루션� ‘IVA(Intelligence� Video� Analytics)’는� 범죄� 징후를�

파악하여� 치안� 감시용,� 범죄� 등� 관제� 서비스용으로� 범죄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경찰청�

업무와� 연계하여� 확장되고� 있으며,� 향후� 치안� 및� 방범영상� 정보,� 교통,� 기상정보� 등을�

활용하여�사회�안전�분야�전반에�대한�보안�서비스로써의�활용성이�기대됨

모토로라는� 재난안전무선통신망으로� 사용되는� 기술인� 공중� 무선망용� iDEN-TRS를� 자체�

개발하여�사업자망� TRS가� 활성화된�국가들을�중심으로�재난안전�무선통신망�서비스를�제공함

모니터링� 및� 알람� 서비스� 시스템의� 대표� 해외� 기업인� Northrop� Grumman은� 자동식별� 기술�

활용(AIT)� 전문�기술�센터�운영�중이며,� 미국�국방�보안�위주�산업을�진행

▪ Northrop� Grumman사는� 무선� 주파수� 데이터� 수집(RFDC),� 바코드,� 능동� 및� 수동� 무선� 주파수�식별(RFID)� 스마트� 카드,� 생체� 인식,� 연락� 메모리� 버튼� 기술� 등의� 주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표적� 사업으로는� 미� 육군� 생체� 인식� 시스템� 엑세스� 시스템(BISA),� 전투� 탄약� 자동� 식별�

기술(CAS-AIT),� 남부국경�보안� 솔루션�등이� 있음

군중들이�움직이는�환경에서�이상�행위를�탐지하기�위한�지능형�영상분석�기술에�대한�연구가�

진행

▪ 호주의� iOmniscient사는� 군중이� 움직이는� 환경에서� 밀도� 추적,� 카운팅과� 같은� 기술을� 개발하여�제품화

국내는� 연구소� 중심으로� 인공지능� 기반� 범죄·테러� 신속대응�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물체�추적이�가능한�지능형�영상시스템을�기업에서�개발�중에�있음

▪ 전자부품연구원은� 경찰� 범죄� 빅데이터� 분석� 기반� 딥러닝� 기술� 개발을� 통해� 도시� 위험상황에�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사람의� 인식� 한계를� 극복하는� 미래형� 첨단치안을� 위한� 범죄·테러� 신속� 대응�

시스템�개발�진행� 중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90

[� 개발과제의�범위� ]

구분 기술개발�내용

AI(시각기능,� 언어지능,� 음석지능)

핵심�플랫폼�기반�첨단�치안� AI

응용기술

•경찰�치안환경에�특화된�딥러닝�치안�응용�기술

� � *�용의자(사람,� 차량�등)�실시간�검색/추적,�실시간�위험상황�인식�등�포함

•타�사업을�통해�개발된� AI� 핵심�플랫폼을�기본�프레임워크로�활용

경찰�첨단치안�빅데이터�

구축/분석

및�활용�메커니즘

•旣� 구축된� 범죄자� 정보� 및� 위험� 상황� 메타데이터를� 통한� 치안� 빅데이터�

구축

•�메트로급� Crime�Map�관리�및�위험관리자�의사결정지원

경찰첨단치안�보안� 역기능�방지

기술�및�법제도

•공용망에서� 안전한� 개인정보� 전송,� 저장,� 접근� 등을� 보장하는� 보안�

프레임워크

•�개인정보�보호를�위한�관련�법제도�개선�및�대응기술

실환경�첨단치안�시범서비스�및

성능검증•첨단치안�대국민�시법서비스�구축,� 실증�적용�및�개선�사항�도출

◎�사이버테러�대응�

사이버�공격과�테러를�막기�위한�사이버�방어�솔루션�개발�

▪ NNHC는� 국내외� ICS용� 물리적� 단방향� 보안게이트웨이,� 제어망� 이상� 징후� 탐지시스템,� 제어망� 포트�이중화� 장치를� 개발,� 공급해왔고� NSHC는� ICS� 컨설팅� 및� 교육� 전문회사로� 국내� 및� 싱가포르에서�

사회기반시설에�대한�보안컨설팅,� 모의해킹,� 훈련� 및� 교육서비스�등을�제공하는

▪ 미사일� 요격체계� `아이언돔`으로� 유명한� 이스라엘� 국영� 방산업체� 라파엘이� 사이버� 방어� 솔루션�`스카다돔(SCADA� Dome)`을� 국내에� 공급함.� 이스라엘� 국가� 침해대응팀(CERT)� 입찰에� 선정돼� 국가�

사이버�방어�시스템으로도�활용�중

▪ 안랩(Ahnlab)이� 산업제어시스템을� 포함한� POS,� ATM� 등� 다양한� 산업의� 시스템을� 보호하는�특수목적�시스템�보안�솔루션� ‘안랩� EPS(Endpoint� Protection� System)’를� 개발

▣�▣�범죄�대응� 시스템�▣�▣

191

국내�중소기업�사례

▪ (주)태영정보는� 출입통제� 및� 대테러� 보안시스템� 등� 통합보안� 시스템� 제공� 업체.� 다수의� CCTV�카메라를� 공간적� 및� 기능적인� 통합을� 구현하여,� 사건/사고� 및� 재난/재해� 시� 즉각적인� 대처로� 피해를�

최소화하고� 2차�사고를�방지함

▪ 쿠도커뮤니케이션은� 카메라와� 비디오에� 입력된� 영상에서� 움직임이� 있는� 물체를� 감지,� 추적,� 분류해�정체를� 확인하는� '인텔리빅스'를� 개발.� 학습된� 사물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에� 추적하려는� 사물이나�

사람만을�추적할�수� 있음

▪ 유디피는� 일반� 카메라에� 잡힌� 물체� 중� 자동추적� 대상을� 추적� 카메라에� 전달해� 물체� 추적이� 가능한�시스템인� 'u� Track-멀티�트랙킹'� 생산

▪ (주)티이씨씨의� Terahertz� Inspection(테라헤르츠� 영상� 기술기반� 식품� 이물질� 실시간� 비파괴� 검사�장치)는� 테라헤르츠파를�이용하여�비파괴적인� 방법으로� 물체내부에� 은닉된� 이물질이나� 결함을� 2차원�

영상으로�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 위험물� 탐지� 폭발물,� 흉기,� 인화성� 액체,불법약물� 탐지(마약,�

각성제)� 등�탐지� 가능

▪ 주식회사� 이성의� GPR/MD� 복합센서� 내장� 위험물� 탐지기는� 생산.금속� 및� 배경� 매질과는� 다른�화약과�액체�성분의�위험�물질을�탐지하는�기술을�개발하여�적용

▪ 도담시스템스은� 무인경계시스템� 개발� 기업으로� 무인경계로봇� '이지스'는� 주·야간� 컬러� 카메라와�열영상카메라는�물론� 12.7mm� K-6� 중기관총을�장착해�경비행기테러�등을�막을�수�있도록�개발됨

국내업체 자산총계 매출액매출액

증가율영업이익률

당기순

이익률R&D집중도

(주)태영정보 6,472� 4,953� -18.4� 24.4� 19.2� 0.1�

쿠도커뮤니케이션� 24,446� 48,222� 1.3� 6.6� 8.4� 1.4�

유디피 9,470� 22,183� -36.1� -55.1� -113.7� 30.2�

(주)티이씨씨 26,859� 15,282� -35.7� 5.2� 2.0� 6.4

주식회사�이성 40,368� 32,407� -9.4� 4.7� 2.6� 1.5�

도담시스템스 24,877� 17,864� -31.0� -67.3� -106.4� 9.4�

[� 주요� 중소기업�비교� ]

(단위:� 백만�원,%)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92

4.� 기술개발�현황

가.� 기술개발�이슈

지능형� 영상분석�기술이란�영상의� 정보를� 분석하여� 자동으로�이상� 행위를� 탐지하는� 기술로써,�

일반적인� 구조는� 배경� 영역� 분리� 단계,� 객체� 식별단계,� 객체� 추적� 단계� 및� 사전� 정의된�

규칙을�기반으로�이벤트를�탐지하는�이벤트�탐지�단계로�구성

▪ 객체� 식별� 단계는� 배경� 영역에서� 전경� 영역으로� 판단한� 객체� 중에서� 탐지된� 물체가� 사람인지�사물인지�여부를�구분하는�과정

▪ 객체� 추적은� 연속되는� 영상에서� 식별된� 객체의� 이동경로를� 찾는� 과정으로,� 칼만� 필터,� 파티클� 필터,�CAMSHIFT(Continuously� Adaptive� Mean� Shift)� 등의� 다양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추적하는�

물체의� 특징을� 정의하는� 방법,� 추적하는� 알고리즘의� 조합� 방법� 등에� 따라서� 많은�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음

▪이벤트� 탐지� 단계에서는� 객체의� 식별� 정보� 및� 객체의이동� 정보를� 바탕으로� 보안� 관리자가� 정의한�규칙을� 위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벤트를� 탐지하고,� 탐지된� 정보를� 메타� 데이터� 형태로�

VMS(Video� ManagementSystem)나� 기타의�다른� 보안� 관리�서버로�전송

*�출처� :� 전자부품연구원,�지능형�영상분석�이벤트�탐지�기술동향

[지능형�영상분석�기술�구조도]

지능형� 영상분석� 기술의� 탐지� 이벤트로는� 보안이벤트,�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이벤트,� 객체�

인식�등이�있음

▪ 보안� 이벤트는� 영상에서� 객체의� 움직임,� 상태� 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정의한� 규칙에� 위반되는�행위�탐지

▪ 비즈니스�인텔리전스�이벤트는�영상에서�분석을�통하여�비즈니스에�유용한�통계�정보� 생성▪ 객체�인식은�영상에서�객체를�검출하고�인식하여�객체의�식별� 정보�생성

▣�▣�범죄�대응� 시스템�▣�▣

193

*�출처� :�전자부품연구원,�지능형�영상분석�이벤트�탐지�기술동향

[트립와이어�기반�이상행위�탐지(좌)와� BI를� 위한� 큐라인�분석(우)]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94

나.� 특허동향�분석

◎�범죄�대응�시스템�특허�상� 주요�기술

주요�기술�

▪ 범죄� 대응� 시스템은� 범죄·테러� 감지� 기술로� 영상� 획득기술,� 영상� 범죄·테러� 감지� 기술,� 유해가스� 및�병원균� 탐지� 기술로� 구분되고,� 범죄·테러� 분석� 기술로� 영상� 개선� 기술,� 지능형� 영상처리� 기술,�

범죄·테러� 용의자� 식별기술,� 범죄·테러� 식별� 기술이� 있으며,� 범죄·테러� 대응� 시스템은� 시시간�

범죄·테러� 대응� 기술로�구분됨

분류 요소기술 설명

범죄·테러

감지�기술

영상�획득기술 감시카메라,� CCTV를� 이용하여�현장의�영상을�획득하는�기술

영상�범죄·테러� 감지�기술CCTV� 등� 감시카메라를�통한� 실시간�영상을�분석하여�범죄�및�

테러를�감지하는�기술

유해가스�및� 병원균�탐지� 기술범죄·테러�현장에서�발생하는�각종� 유해가스�및� 병원균�탐지가�

가능한�기체�포집� 및� 센싱�기술

범죄·테러

분석�기술

영상�개선�기술 저조도,� 저해상도�영상�개선� 및� 영선�복원�기술

지능형�영상처리�기술 여러�지역의�영상을�취득하여�이를�통합�관리하는�기술

범죄·테러� 용의자�식별� 기술

사람의�경우�얼굴,� 키,� 걸음걸이�등�휴먼바이오�정보,� 옷색상�

등을�종합적으로�분석하며�차량의�경우� 번호판,� 색상,� 모델� 등�

차량�고유�특성을�기반으로�식별하는� S/W

범죄·테러�식별�기술기존에�보유하고�있는�범죄� 관련�정보들을�패턴화시켜�

범죄·테러를�식별하는�기술�

범죄·테러

대응�

시스템

실시간�범죄·테러�대응� 기술

범죄·테러의�예방�및�조기�대응을�위해�각�정보를�빅데이터�

기반으로�식별·분석하여�실시간으로�경찰에게�전달해�신속한�

대응�및�의사결정을�지원�하는�기술

▣�▣�범죄�대응� 시스템�▣�▣

195

◎�세부�분야별�특허동향

주요�기술별�국가별�특허동향

▪ 범죄� 대응� 시스템의� 요소기술별� 주요� 국가별� 특허정보� 데이터� 입수하였으며,� 최근� 5년간의�특허데이터를�비교�분석함

분류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계

범죄·테러

감지�기술

영상�획득기술

135 379 55 47 651영상� 범죄·테러�감지�기술

유해가스�및�병원균�탐지�기술

범죄·테러

분석�기술

영상�개선�기술

55 188 16 11 228

지능형�영상처리�기술

범죄·테러�용의자�식별�기술

범죄·테러�식별� 기술

범죄·테러

대응�

시스템

실시간�범죄·테러� 대응�기술 39 53 2 7 108

합계 229 620 73 65 987

▪ 국가별� 요소기술별� 특허동향에서� 미국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한국,�일본,� 유럽�순으로�나타남

▪ 세부적으로� 범죄·테러� 감지기술� 분야에서는� 미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이�상대적으로�적은�출원량을�보유하고�있음,�

▪ 범죄·테러� 분석기술� 분야는� 한국이� 가장� 많은� 특허출원�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유럽이� 상대적으로�적은�특허출원을�나타내고�있음

▪ 범죄·테러� 대응� 시스템� 기술은� 한국과� 미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국가는�최근� 5년간� 특허활동이�한국�대비� 저조한�편으로�나타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96

주요�기술별�출원인�동향

분류 요소기술기술

집중도주요출원인 국내�특허동향

범죄·테러

감지�기술

영상�획득기술

InVue�

Security�

Products� Inc.

Mobile� Tech,�

Inc.

HOOKKI�

Corporation

중소기업이�주도

성광유니텍,� 로보티어,�

멤버스�등

영상�범죄·테러�감지�기술

유해가스�및�병원균�탐지�기술

범죄·테러

분석�기술

영상�개선�기술

◔로보티어

Absolute�

Software�

Corporation

LIVESAFE

중소기업이�주도

로보티어,� 다움테크,�

사라다�등

지능형�영상처리�기술

범죄·테러�용의자�식별�기술

범죄·테러�식별� 기술

범죄·테러

대응�

시스템

실시간�범죄·테러� 대응�기술 ◔

LINQUET�

TECHNOLOGI

ES,� INC.

성광유니텍

III� HOLD�

INGS� 1,� LLC

중소기업이�주도

성광유니텍,� 로보티어,�

사라다�등

범죄·테러�감지�기술�주요�출원인�동향

▪ 범죄·테러� 감지� 기술은� InVue� Security� Products� Inc.� Mobile� Tech,� Inc.� HOOKKI�Corporation� 등� 미국,� 일본의�기업이�가장�많은�특허를�보유하고�있음

범죄·테러�분석�기술�주요�출원인�동향

▪ 범죄·테러� 분석� 기술분야는� 로보티어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Absolute�Software� Corporation,� LIVESAFE� 등이� 많은� 특허를�출원하고�있음

범죄·테러�대응�기술�주요�출원인�동향

▪ 범죄·테러�대응� 기술� 분야는� LINQUET� TECHNOLOGIES,� INC.가� 가장� 많은� 특허를�보유하고� 있으며�그�다음으로는�성광유니텍,� III� HOLDINGS� 1,� LLC� 등이� 많은�특허를�출원하고�있음

▣�▣�범죄�대응� 시스템�▣�▣

197

◎� � 범죄�대응�시스템�분야의�주요�경쟁기술�및� 공백기술

범죄� 대응� 시스템�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범죄·테러� 감시� 기술이고,� 공백기술은� 범죄·테러�

대응�기술로�나타남

▪ 범죄� 대응� 시스템� 분야에서� 범죄·테러� 영상획득� 기술이� 가장� 경쟁이� 치열할� 분야이고,� 범죄·테러�대응� 기술� 분야는�아직까지�출원이�활발하지�않은�공백기술�분야로�나타남

분류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범죄·테러

감지�기술

영상�획득기술

●영상�범죄·테러�감지�기술

유해가스�및� 병원균�탐지� 기술

범죄·테러

분석�기술

영상�개선�기술

●지능형�영상처리�기술

범죄·테러�용의자�식별�기술

범죄·테러�식별� 기술

범죄·테러

대응�시스템실시간�범죄·테러� 대응�기술 ●

※ ●: 50건 이상, ◕: 30~49건, ◓: 20~29건, ◔: 10~19건, ◯: 10건 미만

◎� � 최신�국내�특허기술�동향

분류 요소기술 최근�핵심기술�동향

범죄·테러

감지�기술

영상�획득기술 •영상기반� 상황인식을� 위한� 객체� 검출� 및� 배경추정� 기법을�

위한�알고리즘�개발

•범죄� 상황을� 실시간� 자동� 감지해� 경찰에� 알려주고,�

용의자와� 차량을� 식별해� 추적하는� 등�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된�치안용� CCTV�개발

영상�범죄·테러�감지�기술

유해가스�및�병원균�탐지�기술

범죄·테러

분석�기술

영상�개선�기술 •범죄·테러�용의자� � Identity� 식별을�위한�보안� S/W�개발

•저조도� 환경에서� 저해상도� 영상� 노이즈� 모델� 기술� 및�

제거� S/W�개발

•수집된� 범죄·테러� 용의자의� 식별정보와� 경찰� 보유�

범죄정보를�고속으로�매칭�가능한�알고리즘�개발

지능형�영상처리�기술

범죄·테러�용의자�식별�기술

범죄·테러�식별� 기술

범죄·테러

대응�

시스템

실시간�범죄·테러� 대응�기술

•사건� 예방� 및� 조기� 대응을� 위한� 지리적� 분석� 정보� 및�

경고,�범죄·테러�통합�모니터링�모델�구축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의사결정� 지원� 및� 범죄�

대응�솔루션�개발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198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범죄� 대응을� 위한� 범죄·테러� 감지,� 범죄·테러� 분석,� 범죄·테러� 대응�

시스템�기술은�중소기업�중심으로�연구개발�되고�있음

▪ 범죄·테러� 감지� 기술� 분야는� 범죄·테러� 위험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사람의� 인식� 한계를�극복하는�미래형�첨단치안�기술로�범죄·테러� 상황을�식별을�위한� 기존� CCTV� 영상에서�객체�검출�및�

배경추정� 기법을� 위한� 알고리즘� 개발이� 개발되고� 있으며� 추후� 대응을� 위해� 용의자� 및� 용의자� 차량�

추적이�가능한�지능형�영상보안�인큐베이팅�플랫폼이�연구되고�있음

▪ 범죄·테러� 분석� 기술은� 빅데이터� 및� AI기술� 기반� 사람의� 얼굴,� 키� 걸음걸이� 등� 휴먼바이오� 정보를�분석� 하여� 범죄자의� Identity� 식별을� 위한� 기술과� 저해상도� 영상으로부터� 원거리� 용의자� 또는�

차량(번호판)을� 식별하기� 위한� 고해상도� 영상� 복원� S/W가� 개발� 중임� 또한,�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수집된� 범죄·테러� 용의자의� Identity� 식별� 정보와� 경찰청에서� 관리하고� 있는� 대용량� 정보를� 고속�

검색� 가능한�알고리즘과�계층적�색인� S/W를� 개발�중에� 있음

▪ 범죄·테러� 대응� 시스템� 기술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을� 이용한� 실시간� 범죄에� 대응� 가능하도록�법죄·테러� 보고� 모델을� 통합하여� 군·경� 간� 활동� 진행� 경과별� 표출� 모델� 등� 직급에� 따른� 의사결정�

지원기술�등�대응� 시스템을�개발�중임

◎� � 중소기업�특허전략�수립�방향�및� 시사점

범죄�대응�시스템�분야의�공백기술�분야는�범죄·테러�분석�및� 대응�기술로�나타남

▪ 국내� 범죄� 대응� 시스템� 시장은� 기존� CCTV� 영상� 및� 각� 센서를� 사건·사고� 감지� 및� 추적� 시스템은�중소기업에� 의해� 어느정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나� 범죄·테러� 분석� 및� 이에� 따른� 실시간� 대응이�

가능한�기술에�대한� 연구개발은�현재�미흡한�상태임

▪ 범죄� 대응� 시스템� 분야는� 기존� 범죄·테러� 발생� 후� 사후� 분석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앞으로는�위험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 활용하고자� 하는�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실시간� 수집되고� 있는� 정보를�

분석하여� 범죄·테러를� 즉각� 감지하고� 위험상황� 실시간� 대응� 및� 용의자� 검거에� 연계될� 수� 있는�

범죄·테러� 대응� 분석�및�대응� 기술� 개발이�필요함

▪ 국내� 범죄상황을� 실시간� 자동� 감지하여� 경찰에� 알려주고,� 용의자와� 차량� 식별을� 통한� 추적을�지원하는� 인공지능� 기반� CCTV� 기술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에서� 개발되고� 있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기술을� 이전받거나� 공동� 연구개발하여� 제품화하는� 특허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됨�

▣�▣�범죄�대응� 시스템�▣�▣

199

5.� 연구개발�네트워크

가.� 연구개발�기관/자원

◎�연구개발�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시각지능�기반�지능형�도시� 감시� 기술�연구�-� 영상� 크라우드�소싱�환경에서�사회�안전서비스를�제공하기�위한�다양한�시각지능�기술을�연구개발

-� 영상� 크라우스� 소싱:� 다중� 영상� 디바이스� 연계형� 실시간� 위험상황� 인지� 및� 영상보안� 역기능� 방지�

기술

-� 지능형� 영상보안� 인큐베이터� 플랫폼:�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인식신경망� 인큐베이팅� 서비스� 플랫폼�

기술

-� 휴먼인식�기술:� 비제약/사용자�친화형�휴먼인식�및� 멀티팩터�인증�응용�기술

한국인터넷진흥원

▪ 모바일� 보안� 기술,� 악성코드� 자동� 분석� 기술,� 침해사고� intelligence� 분석� 기술,� IoT� 보안� 취약점�검색·공유� 및� 시험� 기술�개발,� 사이버�면역� 기술�등�보안기술�연구

전자부품연구원�지능형�영상처리연구센터

-� 영상기반�인식기술(객체,� 제스처,� 보행자,� 장면� 등)

-� 다중� 객체� 추적기술

-� 깊이정보�처리기술

-� 3D� 프린팅�그래픽�기술

-� 3D� 모델� 슬라이싱�기술

-� 영상/3D� 영상코덱,� 영상전처리기술

-� 미디어�신호처리�기술

-� UHD/3D� 영상코덱,� 영상전처리�기술

-� 영상처리� IP� 및� 칩설계기술

◎�연구개발�자원

국가�연구개발�지원사업

▪ K-ICT� 시큐리티� 2020� (미래창조과학부)-� 향후� 5년간� 정보보호산업의�육성을�위한� 제1차� 정보보호산업�진흥계획

-� 본� 계획을� 통해� 지능정보사회,� 융합� 보안� 추세에� 맞는� 국가� 사이버� 침해대응� 역량을� 강화한다고�

밝혔으며�범정부�협업을�강화하고�법제도를�개선할�계획임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00

-� 정보보호산업의�수출�규모가� 2015년도에� 1.6조�정도였으나,� 2020년� 4.5조원으로�확대할�계획

▪중소기업진흥공단-� 인력양성� (컨설팅� 지원사업)� :�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여� 성장기‧정체기�기업의�지속서장을�위한�근본체질�강화�및�글로벌�경쟁력�확보

▪ K-ICT� 스마트�디바이스�육성방안(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업�혁신� 3.0전략�실행대책의�후속조치

-� 성장성·경쟁력� 등을� 고려해� 10대�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모듈기술� 및� 스마트� 센서� 핵심� 성능� 구현을�

위한� 공정·회로설계�기술�개발

-�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 개발·제작·테스트를� 위한� 단계별� 맞춤형� 지원� 및� 공통� 시설·장비� 등� 제작�

지원� 환경�구축

-� 투자유치·마케팅�진행� 및� 해외�시장진출�지원

-� 스마트�디바이스�분야의�석·박사급�전문인력�양성�및� 디바이스�제작�프로그램�개발·보급�등�저변확대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wc300프로젝트로�기업�성장에�필요한�중장기�미래전략과�원천�기술개발�지원,� R&D� 지원

-� 기술혁신형�중소기업�연구인력�지원

중소기업�대상�시설�및� 장비�지원

▪ 중소기업전용연구시설(Rental� La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동연구� 수행�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에게� 연구공간을� 제공하고,�

연구원�인프라(인력,� 장비� 등)를�활용한�근접�지원을�통해�기업의�생산성�및� 경쟁력을�높이고�있음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미래창조과학부)-� 장비활용� 종합포털사이트� ZEUS를� 통해�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활용� 극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체계화하고�모두가�편리하게�이용할�수�있도록�최상의�서비스를�제공

▪ 산업기술개발� 장비� 공동이용시스템� e-Tube�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e-Tube를� 통해� 산업기술� R&D에� 필요한� 연구장비를� 보다�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있도록�

적극�지원

▪ 공통서비스�인프라�구축·운영� 사업(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 중소기업이� R&D� 및� 상용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애로기술� 지원,� 시험� 측정장비� 지원� 및�

고주파�시험시설을�활용한�시험지원�등에�대한� 통합기술을�지원

-� 시험지원은� 고주파� 부품,� 모듈� 등의� 고주파� 특성,� PIMD,� 신뢰성� 시험지원� 및� 민간� 시험시설� 공동�

활용을�통한� 민간시험시설을�지원

-� 장비지원은�고가의�시험·측정� 장비를� IT� 중소기업에게�임대

▪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중소벤처기업부)-� 주관기관이�보유한�연구시설과�장비,� 소프트웨어를�중소기업이�공동�활용하도록�지원

-� 연구개발과�설계�및� 디자인,� 시제품�제작,� 성능평가,� 양산� 및� 마케팅에�이르는�원스톱�지원

▣�▣�범죄�대응� 시스템�▣�▣

201

-� 중소기업이�첨단�고가�연구장비를�쉽게�이용할�수� 있도록�지원

▪ 시제품�제작을�위한� 시설�및�제작장비�공동�활용(K-ICT� 디바이스랩)-� 지역� 인프라와� K-ICT� 디바이스랩의�장비와�시설�현황을�공유하고�연계�활용� 추진

-� 旣� 구축된� 시제품� 제작� 지원시설을� 연계·활용� 및� 웨어러블� 특화� 장비(유연소재� 3D프린터� 등)� 추가�

구축을�통해� 웨어러블�특화�시제품�제작

나.� 연구개발�인력

범죄� 대응� 시스템� 분야는� 한국인터넷진흥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등의�

기관에서�연구개발을�진행하고�있음

기관 성명 직급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최병호 센터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진승헌 본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김건우 PL

한국인터넷진흥원 이승재 연구원

한국인터넷진흥원 황희훈 연구원

UST 한종욱 교수

UST 김건우 교수

[범죄� 대응� 시스템�분야� 주요�연구인력�현황�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02

다.� 기술이전가능�기술

지능형� 영상보안� 분야� 기술이전� 가능� 기관은� 한국인터넷진흥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등의�

이전�기술에�대한�세부�내용

분류 내용

기술명 •영상�정보� 수집�시스템�및� 이동�객체에�대한�영상�정보를�수집하는�방법

희망이전�유형 •기술매매

판매자정보 •서울대학교�송성훈(연락처:02-880-2030)

연구개발자�정보 •서울대학교�김수환

키워드 •영상�정보�

개요�및�특징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은� 자신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1�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위치� 전송� 장치,� 영상� 데이터를� 수집하여� 자체�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를� 수집한� 시점의� 시간� 정보� 및� 카메라의�

지향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식별�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 식별� 정보와� 상기�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2�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중� 상기� 위치� 전송� 장치의� 위치를� 촬영하는� 타깃� 카메라가� 존재하는지�

여부를�확인하는�서비스�서버를�포함한

[� 영상�정보� 수집� 시스템�및� 이동� 객체에�대한� 영상�정보를�수집하는�방법� ]

▣�▣�범죄�대응� 시스템�▣�▣

203

6.� 기술로드맵�기획

가.� 중소기업�핵심요소기술

(1)� 데이터�기반�요소기술�발굴

[� � 범죄� 대응�시스템�키워드�클러스터링� ]

No 주요�키워드연관도�

수치관련특허/논문�제목

클러스터

01theft,� alarm 4~6

The� research� and� implementation� of� anti-theft� monitoring� alarm�

system� based� on� MTK

Design� of� vehicle� anti-theft� alarm� system� based� on� DSP-GP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guard� against� theft� and� alarm�

system� with� embedded� telephone� access� and� KEELOQ� technique

클러스터

02

security,�

wireless4~6

Programmable�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merchandise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SECURITY� OF� VEHICLES

WIRELESS� SHELF� PUSHER� ACTIVITY� DETECTION� SYSTEM� AND�

ASSOCIATED�METHODS

[� � 범죄�대응� 시스템�분야� 주요� 키워드�및� 관련문헌�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04

No 주요�키워드연관도�

수치관련특허/논문�제목

클러스터

03

monitoring-s

ystem4

Theft-preventing� system� and� method� with� magnetic� field� detection

Safe� city� monitoring� system� :� GIS� web� based� application� in� crime�

monitoring� in� Malaysia

The� study� for� application� of� Zigbee� location� tracing� monitoring�

system� for� ATM� device� theft

클러스터

04

identification

,�

managemen

t-system

4~6

PERSONAL� IDENTIFICATION� AND� ANTI-THEFT� SYSTEM� AND�

METHOD� USING� DISPOSABLE� RANDOM� KEY

SYSTEMS� AND�METHOD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AND�

VERIFICATION

Method� for� Implementing� and� Integrating� Biometric� Markers,�

Identification,� Real-Time� Transaction� Monitoring� with� Fraud�

Detection� and� Anti-Money� Laundering� Predictive� Modeling� System

클러스터

05

vehicle-theft,

vehicle-alar

m

4~6

PORTABLE,� SELF-CONTAINED� ANTI-THEFT� VEHICLE� ALARM� SYSTEM�

WITH� AUTOMATIC� PROXIMITY� CONTROL

Vehicle� theft� alert� system

System� and� method� for� self-detecting� vehicle� theft

클러스터

06

theft-detecti

on,�

response

4

WIRELESS� THEFT� DETECTIO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cceleration-based� theft� detection�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with� combination� of� peak�

load� management� system� (PLMS)� and� theft� protection

클러스터

07

network,�

module,�

storage

4

EMERGENCY� INCLUDING� CRIME� BROADCAST� IN� A� NEIGHBORHOOD�

SOCIAL� NETWORK

Violence:� Heightened� brain� attentional� network� response� is�

selectively� muted� in� Down� syndrome

Undocumented� Latina� Networks� and� Responses� to� Domestic�

Violence� in� a� New� Immigrant� Gateway:� Toward� a� Place-Specific�

Analysis

클러스터

08

anti-theft-sys

tem,� sensor4

ELECTRONIC� DEVICE� AND� ANTI� THEFT�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ANTI-THEFT� SYSTEM� FOR� AN� AUTOMOTIVE� EXHAUST� COMPONENT

Crime� prevention� system� using� sensor� module

클러스터

09

alarm-system

,�

managemen

t-system

6

Security� alarm� system� device� and� component� for� securing� outdoor�

appliances

TIRE� THEFT� ALARM� SYSTEM

AUTOMATED� VOICE-TO-REPORT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VOICE� CALL-INS� OF� EVENTS/CRIMES

클러스터

10

crime,�

location,�

information

4~6

SYSTEM� AND�METHOD� FOR� REDUCING� CYBER� CRIME� IN�

INDUSTRIAL� CONTROL� SYSTEMS

eReceptionist� and� eNeighborhood� watch� system� for� crime�

prevention� and/or� verification

Secure� witness� or� criminal� participant� location� or� position� and� time�

recording� information� apparatus,� systemts� and� methods

▣�▣�범죄�대응� 시스템�▣�▣

205

(2)� 요소기술�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한�요소기술�도출

분류 요소기술 출처

테러�용의자�

추적

영상정보�활용�특정�객체� 판별�및�추적�기술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멀티카메라�추적기술/AI를�활용� 객체�판별�및�추적� 기술�

고도화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위험물질�감지 폭발물,� 화학물질�총포·도검�등의� � 정밀� 감지� � 기술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정보�공유�및�

테러� 대응

테러�정보�공유� 및� 대응�플랫폼� � 기술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사이버�테러� 감지�및�대응�기술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테러�대응�조직�운용� 기술�및�관제�시스템�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 범죄� 대응� 시스템�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06

(3)� 핵심요소기술�선정

확정된�요소기술을�대상으로�중소기업에�적합한�핵심요소기술�선정

분류 핵심요소기술

테러�용의자�

추적

영상정보�활용�특정� 객체�판별�및�추적� 기술

멀티카메라�추적기술/AI를�활용� 객체�판별�및�추적� 기술�고도화

위험물질�감지 폭발물,� 화학물질�총포·도검�등의�정밀� 감지� � 기술

정보�공유�및�

테러� 대응

테러�정보� 공유�및�대응�플랫폼� � 기술

사이버�테러�감지�및�대응� 기술

테러�대응�조직� 운용�기술�및�관제� 시스템�

[� 범죄� 대응� 시스템� ]

▣�▣�범죄�대응� 시스템�▣�▣

207

나.� 범죄�대응�시스템�기술로드맵

최종�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기술개발�방향성을�제시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08

다.� 연구개발�목표�설정

핵심요소기술별�최종목표는�아래와�같이�기술요구사항과�연차별�개발목표로�제시함

분류 핵심요소기술기술요구

사항

연차별�개발목표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테러�

용의자�

추적

영상정보�활용�특정�

객체�판별� 및� 추적�

기술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술

•지능형�

CCTV�

핵심장비�

기술

95%

이상

99%

이상-

실시간�테러�

용의자�추적�

기술�개발

멀티카메라�

추적기술/AI를� 활용�

객체�판별� 및� 추적�

기술�고도화

인공지능�

알고리즘�

기술

•지능형�

CCTV�

핵심장비�

기술

95%

이상

99%

이상-

실시간�테러�

용의자�추적�

기술�개발

위험물질�

감지

폭발물,� 화학물질�

총포·도검�등의�정밀�

감지�기술

선택성

(종류)3� 이상 4�이상 5�이상

위험물질�

5종�이상�

선택적�감지

정보�공유�

및�테러�

대응

테러�정보� 공유�및�

대응� 플랫폼�기술

정보�종합�및�

상황�전파10분�이내

6분�

이내

3분�

이내

테러대응�

플랫폼�개발

사이버�테러�감지� 및�

대응�기술

AI를�활용한�

상황�분석�및�

대응�기술

60초 40초 30초�이내

피해�예상을�

분석�및�예측�

시간� 최소화

테러�대응�조직�운용�

기술� 및� 관제�시스템�

효율성

(%)- 70%� 이상 90%�이상

피해지역�

최소화를�

위한� 지능형�

시스템�개발

[� 범죄� 대응�시스템�핵심요소기술�연차별�연구개발�목표� ]

기술개발�테마�현황분석

센서형�식품�안전�

관리�시스템

센서형�식품�안전관리�시스템

정의�및� 범위

▪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이란� 식품� 유해� 요소� 검출� 기술과� 유해� 요소의� 제거� 기술� 및� 추적� 관리�시스템� 기술을� 통하여� 식품의� 유통� 중에� 발생되는� 식품� 유해� 요소를� 선� 검출하고� 그� 요소를�

제거하여� 유통과정중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 및� 이를� 사용자가� 손쉽게� 접근하여� 위해� 요소에�

대한� 피해를�최소화�할� 수� 있는�경보� 및� 알림� 기술을�의미

▪ 센서형� 식품� 안전� 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위해요소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검출� 기술과�검출된� 위해요소를� 제거하는� 살균� 기술� 및� 식품의�유통� 이력을�추적� 관리� 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과�

이를�사용자가�쉽게�확인할�수� 있는� 모바일�관리� 시스템�기술로�분류됨

정부지원�정책

▪ 식품안전관리� 영역이� 확대됨에� 따라� 법무부,� 환경부,� 보건복지부등이� 참여하여� 수립된� 식품안전관리�기본계획은� 기본계획보다� 더� 폭넓은� 관점에서� 다양한� 세부사업� 을� 개발되어� 식품안전� 선진화를� 위한�

국가정책�추진�중�

▪ 1975년� 대비� 2013년� 외식비가� 51.7배� 가량� 증가하였으며,� 1990년� 대비� 외식업체수도� 두� 배� 이상�증가하여� 외식의� 위생적� 측면의� 관리� 강화가� 필요하며,� 2013년� 식중독� 발생건수는� 235건� (환자수�

4,958명)으로� 지난� 5년간� 감소추세에는� 있으나� 지속적인�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어� 지속적인�

정책방향을�설정하고�있음.� (� ‘16)

▪ 식품의약품안전처,�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에서는� 현재� 11종의� 표시와� 27종의� 인증을� 운용하고�있으며,� 부처별� 중복인증� 및� 소비자의� 활용도와� 활용예정도,� 인지도� 등이� 낮은� 식품인증의� 통폐합이�

진행중� 특히� � 수입식품� 증가에� 따른� 식품위해� 사전인지� 및� 수입차단� 신속화� 필요하며,� 국제적인�

식품� 사고� 증가에� 따른� 대응책이� 미흡하고� 1인� 가구의� 증대에� 따른� 식품� 유통에� 의한� 영향이�

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어� 관련� 문제점이�도출

중소기업�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식품내�이물질�센서�적용분야�확대

•식품�오염에�따른�피해�감소�파급효과�큼

•식품�유통�통합�모니터링�기술개발�활발

•식품� 유해� 인자� 검출� 센서� 및� 관련� 기술� 부족� 및� �

중소기업의�선행기술개발�인식�부족

•국민의� 식품안전에� 대한� 감성적� 판단� 팽배� 및� 관련�

업체�영세업체� 85%�이상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정부의�식품�유통�및�관련�지원정책�확대

•전방산업의�성장에�따른�시장확대

•수입대체효과�향상

•FTA� 확대� 등으로� 수입� 식품위해물질� 유입� 증가에� 따른�

선진�기업�국내�진출�

•HACCP� 등� 제도� 적용에� 따른� 사후관리� 미흡하며�

소비자�중심의�식품안전정책�추진�소홀

•사전예방적� 식품안전관리� 미흡� 및� 외식� 등� 증가하는�

식문화�환경에�대응�미비�

중소기업의�시장대응전략➜ 식품� 안전� 관련� 인명피해� 중요성� 인식� 증대에� 대응하여� 식품� 유통�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을� 통한�국내외�시장� 진출�

➜ 식품�안전�관련� � 국민� 안전�향상을�위한�관련� 기술� 개발➜ ICT기술과의�융복합화를�통한�국가� 인적� 물적�피해� 개선

핵심요소기술�로드맵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13

1.� 개요

가.� 정의�및� 필요성�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이란� 식품� 유해� 요소� 검출� 기술과� 유해� 요소의� 제거� 기술� � 및�

추적� 관리� 시스템� 기술을� 통하여� 식품의� 유통� 중에� 발생되는� 식품� 유해� 요소를� 선� 검출하고�

그� 요소를� 제거하여� 유통과정중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기술� 및� 이를� 사용자가� 손쉽게�

접근하여�위해�요소에�대한�피해를�최소화�할� 수� 있는�경보�및�알림�기술을�의미

▪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위해요소를� 검출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검출� 기술과�검출된� 위해요소를� 제거하는� 살균� 기술� 및� 식품의� 유통� 이력을� 추적� 관리� 할� 수� 있는� 통합�

시스템과�이를�사용자가�쉽게�확인할�수� 있는� 모바일�관리� 시스템�기술로�분류

▪ 각종� 식품� 위해� 요소를� 추적� 관리하기� 위하여� 광학적� 분광기,� 열영상,� 테라헤르츠(THz)� 카메라� 등의�영상� 감지기술을� 기반으로� 한� 식품� 내� 비금속� 이물질� 탐지기술과� 금속탐지기,� 초고감도� 자기장�

감지기�등을� 기반으로�한� 식품� 내� 금속� 이물질�탐지기술을�이용하여�식품내�이물질을�탐지할수�있는�

센서� 기술이� 적용되며,� 식품의� 유해균을� 검출하기� 위하여� Real� Time� PCR기법으로� 간편성과�

반응시작� 후� 몇� 시간� 이내에� 결과판정이� 가능한� � 검출기술과� 농식품� 품질� 비파괴� 센싱� 기술을�

적용함

[� 식품� 유해� 물질�검출� 센서� :� THz� sensor(좌)� 및� 식품� 독소� 검출�시스템(우)� ]

식품� 유해� 요소� 제거� 기술은� 감지� 센서를� 통해� � 정보를� 실시간� 수집하여� 유해물질� 양을�

예측하고,� 이에�따른�선/후속�조치로서�식품의�균을�제거�하는�기술�

▪ 식품의� 유해� 물질은� 이물질과� 균에� 대한� 오염을� 통한� 2차� 피해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유해물질에� 의하여� 광범위적으로� 단시간에� 인적,� 물적으로� 피해를� 발생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공역적으로� 설치된� 다양한� 감지� 센서� 및� 시스템으로부터� 수집되는� 정보� 분석,� 진단� 및� 확산�

예측을�신속하고�정확하게�처리하기�위해서는�유해�물질을�제거하거나�살균�기술이�필요함.�

추적� 및� 관리시스템� 기술은� � 검출의� 정확한� 분석,� 진단,� 확산� 예측을� 위해서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RFID� 등의� 위치감지� 기술을� 이용한� 식품�

유통이력� 추적,� 관리시스템과� � 발생� 유해물질� 정보에� 따른� 식품유통시� 각� 개별� 센서를�

이용하여�손쉽게�이력,� 품질을�확인할�수� 있는�모바일�기반� S/W� 시스템�구축�필요� �

▪ ICT융합� 유비쿼터스� 통합시스템� 기술은�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RFID� 등의� 위치감지�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14

기술을� 이용하여� 유해물질에� 대한� 전파� 경로� 및� 이에� 따른� 피해지역� 및� 현장�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식품�유통이력�추적,� 관리시스템�기술.

▪ 식품품질� 관리를� 위한� 모바일� 관리� 시스템� 개발기술은� 사용자가� 쉽게� 식품� 유통시� 각� 개별� 센서를�이용하여� 손쉽게� 식품의� 이력,� 품질을�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기반� S/W로서� � 경보� 및� 알림� 기능을�

사용자�개인에게�직접�빠르게�대응조치를�취하는�기술�

� �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15

나.� 범위

(1)� 제품분류�관점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기술은� 식품의� 이물질� 탐지가� 가능한� 탐지� 센서� 기술과� 식품의�

오염도를� 측정이� 가능한� 오염검출� 센서칩/부패� 검출� 기술을� 포함한� 식품� 유해� 요소� 검출�

기술,� � 식품의� 균� 제거를� 위한� 살균� 기술을� 이용한� 식품� 유해� 요소� 제거� 기술� 그리고� 식품의�

안정적인�대응과�모니터링을�위한�추적�및� 관리�시스템�기술로�분류

▪ 살균�기술에는�초고압,� 대기압�상에서의�비가열을�통한�식품� 살균�기술� 등이� 포함▪ 추적� 및� 관리� 시스템� 기술에는� � 지리정보시스템과� 연동할� 수� 있는� 유해물질� 통합� 모니터링� 기술,�피해� 최소화를�위한�개인�사용자에게�경보�및� 알림�제어� 시스템�구축이�포함�

분류 제품분류�관점 세부기술

센서형�식품�

안전관리�

시스템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

식품�비금속�이물질�

탐지기술

•광학적� 분광기,� 열영상,� 테라헤르츠(THz)� 카메라� 등의�

영상� 감지기술을� 기반으로� 한� 식품� 내� 비금속� 이물질�

탐지기술

식품�금속� 이물질�탐지기술•금속탐지기,� 초고감도� 자기장� 감지기� 등을� 기반으로� 한�

식품�내�금속�이물질�탐지기술

식품�살균기술 •초고압,� 대기압�상에서의�비가열을�통한�식품� 살균기술

PCR을�이용한�각종�유해균�

검출기술

•Real� Time� PCR기법으로� 간편성과� 반응시작� 후� 몇�

시간�이내에�결과판정이�가능한�식품�유해균�검출기술

식품오염�검출�센서칩�기술•인공항체�등을�이용한�요염독소�검출용�센서기술

•농식품�품질�비파괴�센싱�기술

냉장형�신선품의�부패�검출�

기술

•부패요소� 인자� 검출� 센서� 및� 신선품의� 품질� 숙성� 및�

부패�검출이�가능한�센싱�기술�

식품�

유해요소�

제거기술

유해물질�누출� 분석�및�

평가� 기술•초고압,� 대기압�상에서의�비가열을�통한�식품� 살균기술

추적�및�

관리시스

템�기술

ICT융합�유비쿼터스�

통합시스템�기술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RFID� 등의�

위치감지�기술을�이용한�식품�유통이력�추적,� 관리시스템

식품품질�관리를�위한�

모바일�관리�시스템�

개발기술

•식품유통시� 각� 개별� 센서를� 이용하여� 손쉽게� 이력,�

품질을�확인할�수�있는�모바일�기반� S/W

[� 제품분류�관점� 기술범위�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16

(2)� 공급망�관점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 제품� 분류� 관점에서� 분류� 외에� 식품내� 이물질� 및� 균을�

검출하는� 기술을� 구성하는� 공정� 설계� 기술,� 공정� 기술,� 제품� 적용� 기술,� 장비� 기술,� 관련�

평가�기술,� 소재�기술�등이�포함

▪ 감지기술에는� 각종� 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센서� 기술� 외에� 관련� 장비� 기술,� 다양한� 제품� 적용을�위한� 공정� 설계�기술� 및� 서비스�기술,� 관련�평가� 기술,� 소재� 기술,� 부대� 설비� 기술�등이� 포함

▪ 모니터링� 기술에는� 각� 센서를� 통한� � 경보� 및� 알림을� 위한공공망� 연동� 기술� 및� � 제품적용을� 위한�설계� 기술� 및� 서비스�기술,� 평가기술,� 부대� 설비�기술� 등� 포함

분류 공급망�관점 세부기술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

설계�기술•감지� 센서� 설계,� 감지� 센서� 공정설계� 및� 제어� 기술,� 시스템� 설계�

기술

장비�기술 •감지센서�및�시스템�장비�기술

식품�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제작�기술

감지기술

•광학적� 분광기,� 열영상,� 테라헤르츠(THz)제작� 기술,� 자기장� 센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식품� 내� 비금속� 이물질� 탐지기술,� 바이오� 센서�

기술,� SoC� 기술,�저전력�기술,�알고리즘�기술,�

분석기술 •유해�인자�감별�기술�및�안전�관리�기준을�통한�알람�알고리즘�

모니터링�및�

시스템�제작�

•유해� 인자� 감별� 및� 그에� 따른� 후속� 조치� 기술,� 각� 센서와� 대응�

기술을�결합한�시스템�제작�기술�

평가/관리�기술•요구물성� 부합� 평가기술,� 조직� 관리� 기술,� 물성� 평가기술,� 모니터링�

기술

[� 공급망�관점� 기술범위� ]�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17

2.� 외부환경분석

가.� 산업환경�분석

(1)� 산업의�특징

전·후방산업과의� 연계성이� 높은� 산업으로� 부품산업과� 모듈� 및� 시스템� 산업과� 연계되어�

있으며,� 공공� 안전과도� 직결되어� 있는� 산업으로� 산업의� 최종� 제품의� 품질� 및� 성능과� 함께�

삶의�전반적인�영역에서�안전을�결정적인�산업

▪ 생산기반� 산업은� 다양한� 분야에� 소량다품종� 형태의� 생산이� 적용되는� 경우가� 많아� 수요의� 정확한�예측이�어렵고,� 전방산업의�정책적�선택에�의해� 여러�가지� 제약을�받음

▪ 소비재� 성격과는� 달리� 공공� 안전과� 성격이� 포함되� 있어� 산업의� 수익성� 창출에� 비용� 부담을� 줄이기�위해� 투자를� 소홀히� 하는� 경향의�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법적으로� 일부� 강력한�

강제성을�부여하는�것이�요구됨�

▪ 정부차원의� 강력한� 법적� 구속력은� 초기� 수요� 업체의� 비용� 부담을� 발생할� 수� 있으나� 관련� 생산� 산업�전반에�걸쳐� 수요가�창출됨으로써�시장�활성화와�함께�기술력�향상을�통해� 수출� 증대� 효과가�나타날�

것으로�전망

부품� 산업에서� 시스템� 산업� 전반에� 걸쳐� 연계되어� 있는� 분야이나� 국내의� 부품� 산업과� 시스템�

산업� 발전� 상태는� 비대칭을� 나타나고� 있는� 상황으로� 효율적인� 발정을� 위해서는� 부품산업의�

경쟁력�확보가�중요한�시점임.�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18

(2)� 산업의�구조

후방산업은� 스마트센서에� 사용되는� 주요� 핵심기술인� MEMS� 기술,� SoC� (System-on-Chip,�

여러� 가지� 기능을� 가진� 시스템을� 하나의� 칩에� 모아� 만든� 비메모리� 반도체)기술,� 하이브리드�

센서�기술,� � 하임베디드�소프트웨어�등이�있음�

▪ 스마트� 센서는� 마이크로� 센서� 기술에� 반도체� VLSI(Very� Large� Scale� Integration)� 기술을� 결합하여�컴퓨터가�갖는�데이터�처리� 능력,� 판단� 기능,� 메모리�기능,� 통신� 기능�등을� 보유� �

▪ 증폭회로,� ADC(Analog� to� Digital� Conversion)/DAC(Digital� to� Analog� Conversion),� MCU등의�반도체�회로와�결합한�형태로�센서와�집적화된� ROIC(ReadOut� Intergrated� circuits)� 기술�

▪ ROIC와�센서간의�이종�접합을�통한� 센서� 모듈�구현� 기술�▪ 센서�융합기술은�반도체,� MEMS등의�공정과�나노� 등의�재료개발�결합을�통해�활용

후방� 산업인� 장비� 산업� 중� 최근� 금속/비금속� 검출기술을� 이용한� Thz장비는� 영상� 촬영을� 통해�

1mm� 이상의� 금속,벌레� 및� 플라스틱등� 경질성� 이물과� 연질성� 이물� 모두� 검출이� 가능� 하도록�

개발되었으며,� 국내․외에서는� 현재까지� 알려진� 테라헤르츠파� 영상장치는� 1초에� 1cm측정도�어려운�실정이며�수시간�연속�측정�또한�보고된�바� 없으므로�상대적으로�경쟁력이�있음�

다종의� 유해물질을� 검지� 하기� 위해� 센서의� 어레이화� 기술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들� 센서�

신호를� 패턴인식기술과� 융합함으로� 유해물질의� 종류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있음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분야� 산업구조� ]

후방산업 �안전�관리�시스템�분야 전방산업

센서�소재,� 센서�공정�장비� 및�

부대시설,� 유무선�네트워크�장비�및�

부대시설,� 지리정보,� 빅테이터,

인공지능,�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RFID� 등의�

위치감지�기술,� 모바일�기반� S/W

반도체�공정�기기� 및� 시설

재료�개발� 기반�시설�

바이오�시험�설비�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19

나.�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식품안전검사(Foodsafetytesting)에� 대한� 전� 세계� 시장� 규모는� 2016년에는� 약� 33억�

달러이며,� 2021년에는� 11.5%의�성장률을�보이며� 57억� 달러를�넘어설�것으로�전망�

� �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3,323 3,706 4,133 � � � 4,609 5,140 5,731 11.5

*�출처� :� � BCC� Research,� Global� Markets� and� Technology� for� sensors,� 2013.�활용하여�추정

[� 식품안전검사�세계�시장규모�및� 전망� ]

2018년� 세계� 식품� 시장의� 규모는� 6.3조� 달러로� 성장� 예상하며� 아/태� 식품� 시장이� 유럽� 지역�

식품� 시장규모/비중� 초월함.� 아태� 식품� 시장은� 연평균� 5.9%의� 성장세로� 매년� 확대� 되며�

향후�세계� 1위�시장으로�고착�예상� (datamonitor� 2015)

2018년� 식품� 유해� 화합물� 검사� 시장은� MarketsandMarkets에� 의하면� 약� 2조� 6천� 억�

규모로� 판단되고� 그� 시장은� 식품� 시장의� 변화에� 맞게� 연평균� 5.8%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됨�

식중독� 병원체� 검출� 센서는� 전기� 화학적� 센싱� 방법의� 바이오� 센서로,� 검출� 소요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검출한계도� 낮아,� 간편한� Point-of-care-testing(POCT)으로� 적극활용될� 수�

있음

바이오센서의� 경우� ‘14년� 102억� 달러에서� 연평균10.4%의� 성장률을� 보이며� ’19년에는�

169억� 달러의�규모로�성장�할� 전망

세계의� 테라헤르츠� 방사선� 디바이스� 및� 시스템� 시장은� 2013년과� 2014년에� 각각� 5,340만�

달러,� 5,47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시장은� 2019년까지� 40.4%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성장을�지속해� 2019년에는� 2억9,850만� 달러에�이를�전망임

▪2024년까지� CAGR� 32.3%로�성장을�지속해� 2024년에는� 12억�달러에�이를�것으로�예측(BCCResearch:�Terahertz� Radiation� Systems:� Technologies� and� Global� Markets� 2015�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20

(2)� 국내시장

동물� 및� 농업� 분야� 무선인식기술� RFID로� 본�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 국내시장� 규모는� �

2016년� 기준� 119억� 규모이며,� 연평균� 10.3%�성장해� 2021년에� 194억�규모에�이를�전망�

(단위 : 억 원, %)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119 137 157 161 186 194 10.3

*� 출처� :� KISTI,� 마켓리포트� 2017,� ‘무선인식기술� RFID’,국내� RFID� 시장� 규모에서� 세계� RFID� 중� ‘동물� 및� 농업’� 분야� 비중을�

적용하여�추정

[국내 식품 관련 RFID 시장 규모 및 전망]

품질�및�안전관리� /� 위해인자�검출�및� 추적

▪ 전반적으로�국내시장에서는�식품위해인자�검출�및� 추적기술의�산업화가�미비한�상태임▪ 각종� 식품위해인자의� 증가로� 새로운� 제어법이� 요구되고� 있으나� 국내� 식품산업현장에서는� 제한된�범위의�미생물적�위해인자�제어�기술이�적용되고�있음

▪ 국내� 바이오센서� 기업들의� 주력� 제품� 분야는� 90%� 이상이� 의료용� 바이오센서로,� 아직� 식품�분석용과�환경용�및� 그밖에�다른� 분야의�바이오센서에�대한�관심� 정도가�상대적으로�낮은�상태�

▪ 신선·편이� 식품� 시장은� 현재� 6,000억대� 시장으로� 성장하였으며,� 특히� 외식� 업체� 및� 가정용� 제품이�계속� 증가할�것으로�예상됨1)

▪ 국내�식재료�세부� 시장별�규모는� '08년� 기준� 외식용�식재료�시장이� 약� 70%,� 급식용�식재료�시장이�약� 30%를�차지함

▪ 전체� 시장의� 약� 95%는� 중소� 또는� 영세규모� 기업이� 점유하여� 품질및� 안전의� 효과적인� 보증� 기술이�절대적으로�부족함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21

(3)� 무역현황

무역현황은� ‘센서부품’의� 무역현황으로� 살펴보았으며,� 수출량이� ‘12년(약� 207만� 달러)에� 비해�

‘16년에� 327만� 달러로�증가함�

무역특화지수는� ‘12년(-0.16)과� ’16년(-0.19)� 모두�수입특화상태로�나타남�

(단위� :� 천� 달러,�%)�

구분 ‘12 ‘13 ‘14 ‘15 ‘16 CAGR

수출금액 2,078� 16,343� 3,130� 2,387� 3,275 12.0

수입금액 2,896� 2,892� 5,371� � 4,269� 4,831 13.6

무역수지 -818� 13,451� -� 2,241� -� 1,882� -1,556 -

무역특화지수* -0.16 0.70 -0.26 -0.28 -0.19 -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

이며,� 1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뜻

*�자료� :� 관세청�수출입무역통계�HS-Code(6자리�기준)�활용

[� 센서� 관련�무역현황�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22

다.� 기술환경�분석

'11년도� ‘농림축수산물� 품질관리� 및� 유통기술’� 관련� 사업은� 총� 16개� R&D사업,� 2,947억�

원으로,� 농림수산식품�분야�전체� 55개� R&D사업,� 6,509억� 원의� 45.3%를�차지

▪ 농식품� :� 5개� R&D사업,� '10년도� 예산� 912억� 원,� '11년도�예산1,150억원� (26.0%� 증액)▪ 농진청� :� 11개� R&D사업,� '10년도�예산� 1,680억� 원,� '11년도� 예산1,797억� 원� (7.0%�증액)

농식품� ‘농림축수산물�품질관리�및� 유통기술’� 직접관련�투자현황

▪ 총� 3개�세부분야(▸품질�및�안전성관리기술�분야,�▸식품위해인자�검출�및�추적� 기술� 분야,▸유통기술�분야),� 4개� 사업,� 45개� 과제에�투자

▪ '약� 37억� 원(관련� 사업전체� 투자액� 885억원� 대비� 4%),� � 약� 51억� 원(913억원� 대비� 5%),� '11년�약� 28억� 원(1,150억�원�대비� 2%)

▪ 위� 3개� 분야에서� 관련� 사업전체� 투자액� 대비� '12년� 4%� →� '14년� 5%� →� '15년� 2%로� 투자되어�중요성에�비해�절대� 투자액의�규모도�작고,� 투자� 비중도�감소하는�추세임

농진청� ‘농림축수산물�품질관리�및� 유통기술’� 직접�관련�투자현황

▪ 총� 2개� 분야(▸수확� 후� 관리� 및� 가공기술� 분야,� ▸농식품� 경영� 및� 마케팅� 분야),� 11개� 사업의�세부내역으로�투자

▪ '09년� 약� 89억� 원(관련� 사업전체� 투자액� 1,188억� 원� 대비� 6%),� '10년� 약� 92억� 원(1,680억� 원�대비� 6%),� '11년�약� 122억�원(2,947억� 원� 대비6%)� 투자됨

▪ 위� 2개� 분야에서� 관련� 사업전체� 투자액� 대비� '09년� 6%� →� '10년� 6%� →� '11년� 6%로� 투자되어�중요성에�비해�투자규모도�작고,� 투자비중도�정체해�있음

지원분야

▪ 최근� 3년간�식품관련�정부부처과제(NTIS과제)� 중� 약� 3.2%인� 78건을�품질유통�관련연구�지원▪ 전처리,� 저장� 유통관리기술�분야는� '07년� 17%,� '08년� 32%,� '09년� 6%로�감소� 추세임▪ 최근� 3년간� 유통시스템� 개발� 분야는� 21%,� 포장기술� 분야는� 18%로� 지속적인� 연구� 수행이�이루어지고�있음

▪ 스마트� 유통기술� 분야는� 기존의� 단순� 이력관리� 기술을� 벗어나� 최근� IoT를� 융합한� 품질� 유통시스템�개선연구가�지원되어�과제당�연구비가�증대됨

지원내용

▪ 최근� 3년간� 국내� 신선식품� 품질유통� 분야의� 연구에서� 농식품부� 지원연구� 수는� 20.5%를� 차지하고�있으나� 연구비� 규모는� 44.1%임� -� 지경부,� 교과부,� 식약청,� 중소벤처기업부의� 경우� 식품� 품질·유통�

분야의�연구비�지원은�단위기술과제�위주로�지원이�이루어짐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23

휴대가� 간편하고� 고감도� 검출이� 가능한� 나노바이오센서� 장치� 개발에� 연구의�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진단� 및� 연구용� 나노바이오칩� 및� 어레이� 기술� 분야는� 현재� 시장은� 크지� 않지만�

급격하게�발전하고�있어서�고부가가치를�창출한다는�측면에서�지속적인�연구개발이�필요함�

나노바이오센서의� 신호변환기� 소재� 기술은� 이미� 상당히� 발전되어� 있기� 때문에,�

나노바이오센서� 분야의�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큰� 걸림돌은� 신호변환기� 소재가� 아닌� 생물학적�

소재이며,� 현재� 개발된� 생물학적� 수용체는� 표적물질� 다양성이� 낮고� 소재의�

안정도·선택성·결합력·생산비용�측면에서�개선�필요�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24

3.� 기업� 분석

가.� 주요기업�비교

식품�안전�감지�기술�개발

▪ 식품이� 부패할� 때�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양을�감지하여�식품의�신선도�및� 부패여부를�조기에�검출� 가능함

▪ 전자코�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냄새� 물질을� 효과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정교한� 성능의� 센서를�만드는�것임

▪ Real� Time� PCR(Polymerase� chain� reaction)은� 유전자� 증폭기술(PCR)의� 산물을� 프로브나�intercalator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해석하는� 방법으로,� 기기와� 시약의� 성능이�

발달됨에�따라�급속히�확대되고�있음

식품�안전을�위한�신� 공정기술�개발

▪ 식품� 본연의� 품질을� 최대한� 간직하면서� 동시에� 유통�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식품가공기술�역시�지속적으로�연구되고�있음

▪ 신개념� 살균� 방식으로� 초고압� 살균� 공정(HPP)� 기술이� 부상.� HPP� 살균� 기술은� 열� 대신�6000바(barㆍ기압)� 정도의� 높은� 압력을� 이용해� 유해균과� 미생물을� 제거하는� 첨단� 가공기법으로�

식품기술에�있어�가장�혁신적인�기술�중� 하나로�평가받고�있음�

▪ 화학적� 살균법인� 저온� 플라즈마� 살균방식은� 의료용� 살균방식으로� 적용하고� 있으며,� 최근� 식품분야에�적용이�증가하고�있음

구분 제품분류별�주요기업

기술분류 식품�내�이물질�검출�센서 식품내�균� 센서� 식품�살균�

주요�품목�및�

기술Thz� imaging� system�

Paper� strip

Naked� eyes

RT-PCR

PCR�

초고압,� 대기압�상에서의�

비가열을�통한�식품�살균기술

해외기업

tera� sense

teraview

adventest

Neogen

Liofilchem�

R-biopharm

Veredus� laboratories

Avure

Astell

Benchmark� Scientific

INTEGRA� Biosciences

국내기업 ㈜티이씨씨(TECC)

바이오포커스

바이오니아�

나노바이오시스

동양� F&B

해진물산(주)

풀무원

한국후지테크

한빛산업

한서기계

한솔자동기

한수기계

[� 제품분류별�주요기업� ]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25

국내�중소기업�사례

▪ (주)티이씨씨의� Terahertz� Inspection(테라헤르츠� 영상� 기술기반� 식품� 이물질� 실시간� 비파괴� 검사�장치)는� 테라헤르츠파� (또는� 테라파)를� 이용하여�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물체내부에� 은닉된�

이물질이나� 결함을� 2차원� 영상으로�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기술로� 식품� 검사� 성분� 판별,� 분류,�

시간변화�추적,� 이물질�검사,� 손상� 검사에�적용� 가능

▪ 바이오니아의� ‘Exicycler™� 96’은� � 동시검출방식의� Real-Time� PCR� 장비로� 빠른� 식품� 유해균� 검출�및�분자진단이�가능

▪ 코젠바이오텍은�식중독�유발�병원체를�검사할�수� 있는� Real-time� PCR� 유전자분석�키트�제공▪ 씨젠의� ‘CFX96� real-time� PCR� detection� system’은�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허가받은� 장비로,�D.각각의� well에서� 나오는� 형광물질의� 에너지를� 하나씩� 측정하기� 때문에�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있음

▪ 텔트론의� 세균측정기� '클린큐'는� � 실시간� ATP(Adenosin� Tri-Phosphate)측정기로� 조리종사자,�조리기구,� 기타� 주변�환경의�세균오염도를�측정�가능

▪ 큐바이오센스는� ‘노로바이러스� 및� 식중독균� 현장� 진단� POCT� 기술',� '항생제� 처방� 적합성� 판별� 칩�기술',� '현장에서� 혈액을� 완벽하게� 분리하여� 백혈구� 내의� 핵을� 파괴한� 후,� DNA� 분석을� 통해� 각종�

전염병�및� 질병을�진단하는� POCT� 기술'� 등� 바이오�진단� 기술�보유

국내업체 자산총계 매출액매출액

증가율영업이익률

당기

순이익률R&D집중도

(주)티이씨씨 26,859� 15,282� -35.7� 5.2� 2.0� 6.4�

바이오니아 63,510� 20,975� 3.4� -59.0� -69.0� 47.2�

코젠바이오텍 8,134� 7,665� 12.5� 9.7� 16.8� 16.3�

씨젠 203,732� 58,186� 8.0� 18.2� 15.2� 12.5�

텔트론 2,010� 1,302� -9.8� 4.9� 13.2� 17.8�

큐바이오센스 555� 0� - - - -

[� 주요� 중소기업�비교� ]

(단위:� 백만� 원,%)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26

나.� 주요업체별�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미국의� Neogen은� 시료를� 증균� 후� 3~4� 방울을� device에� 떨구어� 결과� 판독� 띠가� 하나면�

음성,� 두� 개면�양성�판정하며,� 배양시간이�오래�걸리며,� 별도의� ELISA� reader기� 필요함

이탈리아� Liofilchem� 시료� 액을� Kit에� 접종� 후� 배양하여,� 색깔변화를� 관찰하고� 배양시간이�

오래�걸리며,� 검출한계가�좋지�않음

독일R-biopharm� RT-PCR기반� 측정� 시스템으로� 식중독� 균� 및� 바이러스의� 신속한� isolation�

및� extraction� 수행하며�별도의� RNA� &� DNA� extraction� kit� 필요함

미국은� 2004년� 에너지성(DOE)과� 국립과학재단(NSF),� 국립보건원(NIH)� 및� 10개� 대학� 등이�

‘테라헤르츠�과학기술�네트워크’를� 결성하고�다양한�분야의�응용�기술�개발을�선도하고�있음�

▪ Emerson� Electric� company는� 최근� 가스� 모니터링� 업체들을� 인수함에� 따라� 센서의� 고감도,�고기능의� 추구뿐만� 아니라,� 시스템에� 직접� 연동� 가능한� 일체형� 센서� 개발에� 이르기까지� 연구영역을�

확대하고�있음

일본� 동북대,� 오사카대� 및� 국립연구소(NICT)가� 연대하여� 결성한� ‘테라� 테크놀로지�

포럼’(2003년)을� 중심으로� 테라헤르츠� 분광·영상기술,� 신호원� 기술,� 근거리� 통신� 기술� 등의�

개발에�연간� 100억엔을�투자하여� 2005년부터�연구개발�시작

▪ 니콘사,� 아이스펙사에서� 소재� 분석,� 생체� 및� 제약� 분석,� 분광실험용으로� 테라헤르츠�

분광시스템(Pulse� ITS� 1000/2000)을�개발하고�상용화에�돌입

유럽� 신호원� 개발,� 테라헤르츠파� 검출� 및� 이미징� 계측� 기술� 등� 2000~2002년까지� 영국의�

리드대학� 외� 오스트리아,� 독일,� 네덜란드� 등� 6개국� 7개� 기관이� 공동으로�

‘테라비젼(TERA-VISION)’� 사업을�실시

▪ (주)테라뷰(캠브리지� 첨단� 바이오벤처� 센터� 소재)는� 테라헤르츠� 기술관련� 상용제품(TPI:� THz� Pulse�Imager,� TPI-1000/2000/3000� 모델)을�개발,� 시판

▪ 이태리� NEST-INFM� &� Scuola� Normale� Superiore의� R.� Kohler과� 영국� 케벤디쉬� 연구소의� H.E.�Beere� 등은� 양자구조에� 전자를� 주입함으로써,� 4.4THz의� 주파수에서� 2mW� 급의� 출력을� 생산하는�

반도체�기반의�양자종속레이저를�개발(프로토�타입,� 2002년)

영국의� 벤처기업� ARS랩이� 선보인� 페레스(Peres)라는� 제품은� 온도와� 습도는� 물론� 암모니아와�

휘발성�물질의�함량을�측정하는�센서를�통해�식재료가�부패했는지를�쉽게�감별할�수� 있음

▪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여� 각종� 육류의� 신선도를� 측정.� 페레스는� 120달러라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에�출시돼�전자코가�낯선�일반인들에게도�큰�인기를�얻고�있음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27

▪ 페레스가� 선보인� 전자코는� 현재는� 푸드스나이프(http://www.myfoodsniffer.com)가� 129.99�달러에�판매하고�있음.

*�자료:�조미현(2014.05.19.)�음식물�부패�측정하는�휴대용�전자코�나온다,�한국경제

[� 부패�식품� 감별용�휴대형�전자코�제품� ]

일본� 다카라(www.takara-bio.co.jp)에서� 시판� 중인� Real� Time� PCR� 기기(Thermal� Cycler�

Dice� Real� Time� System)와� 관련� 검사� 시스템은� O157이나� O26� 등의� VT유전자를�고감도로�

검출할�수� 있음

▪ 이� 시스템의� 장점은� PCR에� 필요한� components가�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번거로운� 시약� 조제�불필요하고� 반응� 시간은� 약� 1시간� 30분,� 반응� 종료와� 동시에� 결과판정이� 가능,� 반응� tube의� 뚜껑을�

열지� 않으므로�증폭�산물에�의한� 실험실�오염� 방지가�가능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28

(2)� 국내업체동향

친환경� 살균기술을� 보유한� ㈜플러스는� 화학제품의� 사용� 없이� 플라즈마를� 활용한� 친환경�

살균기술을�활용하여� ‘아쿠아버블’을� 제작해�매출을�올리고�있음

▪ 아쿠아버블은� 물을� 분해해� 균을� 제거하는� 기기인� 만큼� 활용범위가� 매우� 다양함.� 농업분야에서는�지하수� 및� 배관을� 통해� 공급되는� 농업용수를� 살균해� 농작물의� 병해로부터� 예방이� 가능하고� 이는�

농약을�대체하는�효과가�있어� 친환경�농산물�재배까지�가능함

▪ 수산업분야는� 양식어장의� 물을� 살균하고� 수소수를� 공급하면� 바이러스� 및� 수생균� 살균으로� 어병을�예방하고�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음.� 또한� 포르말린� 등� 독성� 물질을� 대체하는� 친환경� 살균기술�

적용을�통해�내항생제�등의�약품을�대체할�수� 있는�효과가�있음

바이오포커스� 항원/항체를� 이용� Human의� 분변에� 있는� Virus� 항원을� 검사하는� 체외진단용�

시약을�개발하였으며� paper� strip타입으로서�간편하지만,� 검출한계가�좋지�않음

바이오니아� RT-PCR� Virus의� RNA를�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연쇄반응� 기법을� 통해� 정성�

검출하는�체외진단분석기용�시약

나노바이오시스� RT-PCR� DNA� 정제� 과정이� 필요하지� 않은� Direct� PCR방법을� 통해� 빠르고�

손쉽게�식품의�오염�여부를�검사할�수� 있음

코젠바이오텍� RT-PCR� Real-time� PCR로� 높은�정밀도와�특이도를�가짐

㈜티이씨씨(TECC)는� 테라헤르츠파� 기반� 실시간� 식품품질� 검사기술을� 이전받아� 연구� 및� 제품�

개발�진행

▪ 전파의� 투과� 특성과� 빛의� 물질� 고유� 흡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파장� 대역인� 테라헤르츠파의�특성을� 활용,� 영상� 촬영을� 통해� 1mm� 이상의� 금속,� 벌레� 및� 플라스틱� 등� 경질성� 이물과� 연질성�

이물� 모두� 검출이�가능하도록�개발된�검사� 장치

▪ 기존� 방사선� 검사기에서� 탐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식품� 속의� 벌레,� 머리카락� 등� 연질성� 이물을�고속으로� 검출할� 수� 있어� 식품� 안전성� 향상에� 획기적인� 개선이� 이루어� 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향후� 식품� 분야뿐만� 아니라� 플라스틱� 비파괴� 검사,� 우편물� 탐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기술로�평가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29

4.� 기술개발�현황

가.� 기술개발�이슈

품질�및�안전관리� /� 위해인자�검출�및� 추적

▪ 국내� 농축수산물� 품질� 및� 안전성� 관리� 기술� 수준은� 선진국대비� 68%수준으로� 약� 5-6년의�기술격차를�보임

▪ 특히� 사료� 및� 축산물의� 유해� 물질� 제어기술� 분야(선진국대비� 63.5%� 수준,� 기술격차� 6년)와� GAP�제도� 지원기술�분야� (선진국대비� 66%수준,� 기술격차� 7년)가� 취약

-� 식품� 특성에�맞는� GAP� 제도� 개선� 필요

-� 농업인을�대상으로� GAP의� 필요성,� 우수성�홍보� 및� 교육기관�확대�필요

-� 우리나라� 식품안전은� 「식품위생법」에� 따라� 규제위주로� 관리되어� 왔고� 국가차원의� 식품안전기술�

개발이나�연구�지원은�부족한�상태

-� 연구개발� 예산에� 비해� 과제수가� 너무� 많고,� 대부분이� 1년� 단위의� 단기과제로� 추진되어� 기존� 기술의�

한계를�극복하고�새로운�기술을�확보하기�어려움

위해인자� 검출� 및� 추적� 분야의� 경우는� 대상물질이� 농약과� 중금속에� 치중되어� 다른� 화학적�

위해인자나�생물학적�위해요소의�위생관리기술�개발이�저조함

▪ 현재� 선진국에서는� 식품내부에� 침투한� 식중독균에� 의한� 식중독� 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한국에서도�이에�대한� 준비가�필요

정부출연기관�등에서�바이오센서�기술을� 이용한�식중독균�신속검출기술�연구� 개발이�시도되고�

있으나�기반기술이�취약함

▪ 신속�검출법�보급:� 현장에서�신속,� 용이한�유해물질의�검출기법�등� 개발� 및� 보급▪ 수입식품/원료의�증가로�원산지�신속평가�및� 다양한�식품� 원료의�위변조�판별기�술� 개발�필요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세계� 최초로� 다종의� 식품� 독소나� 암� 진단을� 위한�

마커(marker)를� 반도체칩� 하나로� 검출할� 수� 있는� ‘다중� 검사� 바이오센서� 칩� 및� 자동� 검출�

시스템’을� 개발

▪ 식품� 독소� 분석은� 주로� 시료� 준비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고가장비와�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만�이루어짐

▪ 앞으로는� 일반인들도� 쉽게� 휴대형� 바이오� 칩을� 통해� 식품� 독소를� 감지할� 수� 있어,� 검역소뿐� 아니라�요식업소,� 급식소�및�일반� 가정에서도�식품안전성의�현장�검사기로�활용이�가능

한국식품연구원의� 식품안전연구단� 최성욱� 박사� 연구팀은� ‘16년� 6월� 식품� 속� 식중독균을�

고속으로�분리‧농축할�수�있는�식품시료처리�자동화�시스템을�개발하였음▪ 식품연에� 따르면� 식중독균� 검사를� 위해� 배양과정을� 통하는� 기존� 식중독균� 검사법은� 24~48시간이�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30

소요되며� 숙련된� 전문가와� 균� 배양� 시설이� 필요하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식중독균�

배양과정을�생략�또는� 최소화하는�방법으로�식중독균을�검출할�수� 있는� 식품전처리�자동화�시스템을�

자체�개발하였다고�밝혔음

▪ 이�시스템의�대상�시장은�여름철�식중독균�배양이�필요� 없이� 최대� 2~3시간�이내에�식중독균�검출을�필요로� 하는� 기관으로� 대형급식소(28,000여� 개소),� HACCP� 의무� 적용� 업체(8,300여� 개소)� 등이�

있음

건국대� 수의과대학� 서건호� 교수� 연구팀이� 금나노입자의� 응집반응을� 제어함으로써� 식중독균을�

단시간�내에�검출할�수� 있는�기술을�개발하였음

▪ 연구팀은� 앱타머(aptamer)와� 표적� 세균의� 결합하는� 과정을� 규명하고� 금나노입자� 응집여부에� 따른�비색변화� 과정을� 분리시키는� ‘투� 스테이지� 앱타센싱� 플랫폼’(Two-stage� aptasensing� platform)을�

최초로� 구현하여� 영유아에�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는� 크로노박터� 사카자키� 식중독균� 검출에�

성공하였으며�추후�다양한�세균·식품에도�활용�가능함

한국식품연구원의� 저장유통연구단� 정문철� 박사� 연구팀은� ‘16년� 11월� 유기농� 과실� 및�

채소류에� 적용할� 수� 있는� 가온� 나노� 마이크로� 버블� 살균세척기술을� 개발하고�다양한� 과실� 및�

채소류를�대상으로�그� 효과를�확인하였다고�밝혔음

▪ 국내� 유통� 중인� 유기농� 신선� 농산물은� 살균세척처리를� 하지� 않는� 실정임.� 그래서� 연구팀은� 유기농�신선� 농산물의� 오염된� 미생물수를� 감소시키고� 신선도를� 연장할� 수� 있는� 살균세척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물의� 온도와� 물의� 입자를� 변화시켜� 살균세척하는� 연구를� 진행해� 유기농� 신선� 농산물의�

살균효과가�염소계�화학제보다�탁월한�기술을�개발함

품질관리�유통기술개발

▪ 신선식품의� 품질관리를� 위한� 전처리,� 저장,� 유통관리� 기술은� 비교적� 활발히� 연구개발이�수행되었으나� 이는� 선진국의� 70%� 수준으로,� 고품질� 신선식품� 유통체계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기술개발이�필요함

▪ 농림축수산물의� 효율적인� 유통을� 위한� 기능성� 포장재� 분야는� 온도감지형� 잉크(thermochromic�inks),� 생체반응센서(bio-sensors),RFID,� 반도체� 플라스틱(plastic� semi-conductors)을� 이용한� 여러�

형태의�고부가가치기술�개발이�필요함

▪ 농식품� 분야의� RFID/USN를� 적용한� 기술은� 대부분� 단편적인� 기술� 개발이나� 시범사업의� 형태로�현장에�적용되어�산업화된�기술은�미비함

-� RFID� 기반의� 쌀� 이력추적관리시스템� 시범사업,� 장수군의� 농산물산지유통센터� 통합� ERP� 구축,�

수의과학검역원의� 수입쇠고기� 추적� 서비스,� CJ� 시스템즈의� 식품이력추적관리� 적합성� 검증� 시스템�

개발,� 식품공업협회� RFID� 기반� 식품안전정보관리�공통시스템�개발�등의�시범사업이�수행됨

-� 기존� 지원사업의� 경우,� 전� SC(supply� chain)이� 아닌� 단위� 거점� 위주로� 수행되었고� 게다가�

정보통신업체�등� IT� 전문가가�주도적으로�추진하여�실제�관련� 식품산업�현장에�적용되지�못하였음

식품이� 부패할� 때�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VOC,�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양을�

감지하여�식품의�신선도�및�부패여부를�조기에� � 검출�가능함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31

▪ 1980년대� 후반부터� 유럽을� 시작으로� 2000년대� 초반까지� 주로� 측정기� 또는� 계측장치로� 음식의�맛과� 냄새� 테스트,� 공장의� 배출가스� 감시,� 유해성분� 분류,� 폭발물� 검사� 등� 주로� 식품� 및� 환경�

부분에�다양하게�사용되고�있음

▪ 일명� 전자코로� 알려진� 센서는� 식중독� 예방,� 과일� 숙성도� 체크�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호기(呼氣)를� 이용한� 암� 진단을� 비롯한� 의료용� 질병� 진단기술로� 발전하고� 있음.� � 전자코� 개발에서�

가장�중요한�것은� 냄새� 물질을�효과적으로�탐지할�수� 있는� 정교한�성능의�센서를�만드는�것임

▪ 아주� 경미한� 양이라도� 정확히� 분석해� 어떤� 종류의� 냄새인지� 찾을� 수� 있는� 센서의� 탑재가� 전자코의�성능과� 직결됨.� 또한� 저렴한� 가격의� 제품을� 출시해� 대중성을� 갖추는� 것� 또한� 전자코� 저변� 확대의�

중요� 과제임

▪ 전자코� 센서를� 만들기� 위해� 기존의� 실리콘� 대신� 그래핀과� 같은� 우수한� 성능의� 소재를� 사용하거나�부품을� 보다� 정밀하게� 만들� 수� 있는� 미세전자기계(MEMS)� 기술� 등� 첨단� 반도체� 기술을� 적용해�

전자코�성능을�개선하려는�움직임도�있음

▪ 후각� 수용체를� 이루는� 단백질� 세포를� 사용해� 인간에� 버금가는� 수준을� 지닌� 바이오� 전자코도�연구되는� 등� 미래의� 전자코는� 점차� 인간� 수준에�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Real� � Time�

PCR(Polymerase� � chain� � reaction)은� 유전자� 증폭기술(PCR)의� 산물을� 프로브나� intercalator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해석하는� 방법으로,� 기기와� 시약의� 성능이� 발달됨에� 따라� 급속히�

확대되고�있음

▪ Real� � Time� � PCR� � 기기와� 시약만� 갖추고� 있으면� 초보자라도� 간편하게� 실험할� 수� 있는� 간편성과�반응시작� 후� 몇� 시간� 이내에� 결과판정이� 가능한� 신속성,� 그리고� 검사에서� 중요시되는� 반응� 특이성이�

증가되어,� 식품� 검사나�미생물�검사� 등에서도�보편적인�방법으로�이용할�수�있게� 되었음

▪ 다카라가� 개발한� Real� Time� PCR� 제품은� 실제� 검사현장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대장균인� O157과�O26� � 등에� 대한�검출이�가능함

식품위해균� 균� 분리� 배양을� 배제하고� 대신� 균� 특이적인� DNA나� 단백질� 같은� 바이오마커를�

이용해�신속히�분리해�내는�방법으로�진행�

▪ 식품공전에� 따라� 식품� 수십g이� 균질화� 된� 수백mL의� 용액� 중� 수mL� 샘플� 내의� 모든� 균을� 전자석�기반의� magnetic� separation으로� 분리� 및� 농축하고� (100배),� 센서� 바닥에� 위치한� 별도의� 전자석과�

미세유체�순환�펌프를�이용한�고효율�고정화�기법

▪ 전기화학� 증착법을� 이용하여� 넓은� 표면적을� 갖는� 3차원� 전극표면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표지자� 없이�label-free� 방법으로� 식중독� 병원체를� 검출할� 수� 있음.� 짧은� 시간� 내에� 현장에서� 병원체의� 유무� 및�

농도� 검출을�진행

▪ 사전에� 식품� 혹은� 음식� 공급� 전에� 현장에서� 식중독� 병원체� 유무를� 판단하는� 것이� 중요함.� 이런�상황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신속한� 실시간� 검출법,� 전처리� 자동화,� 다중분석,� 고민감도와� 특이도,�

소형화된�장비를�이용한�현장적용이�필수

▪ CMOS� � 제작공정을� 이용한� 탑다운(top-down)� 방식으로� 실리콘� 나노채널� 형성하여� 나노채널�표면에서� 일어나는� 항원-항체� 결합을� 전기적으로� 감지하는� 센서� 및� 리더기� 제작기술이� 진행중 3차원� 비파괴� 분자� 영상� 및� 분광을� 위한� 테라헤르츠� 연속파� 시스템은� 펄스파에� 비하여� 피크� 출력이�

낮으며�주파수�대역폭을�조절할�수�있는� 장점을�이용

▪ 전파의� 투과� 특성과� 빛의� 물질� 고유� 흡수� 특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파장� 대역인� 테라헤르츠파의�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32

특성을� 활용,� 영상� 촬영을� 통해� 1mm� 이상의� 금속,� 벌레� 및� 플라스틱� 등� 경질성� 이물과� 연질성�

이물� 모두� 검출이�가능하도록�개발

식품�안전을�위한�신� 공정기술�개발

▪ 식품� 본연의� 품질을� 최대한� 간직하면서� 동시에� 유통�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새로운� 식품가공� 기술�역시� 지속적으로�연구되고�있음

▪ 주목� 받고� 있는� 미생물제어기술로는� 초고압(High� Pressure� Processing,� HPP),� 고전압� 펄스�자기장(high-voltage� pulsed� electric� field,� PEF),� 광펄스(high-intensity� pulsed� light)� 등의� 물리적�

방법

▪ 이산화탄소,� 오존,� 박테리오신,� 양이온�다중� 고분자(polycationic� polymer)� 등의� 화학적�방법이�있음� 신개념� 살균� 방식으로� 초고압� 살균� 공정(HPP)� 기술이� 부상.� HPP� 살균� 기술은� 열� 대신�6000바(barㆍ기압)� 정도의� 높은� 압력을� 이용해� 유해균과� 미생물을� 제거하는� 첨단� 가공기법으로�

식품기술에�있어�가장�혁신적인�기술�중� 하나로�평가� 받고� 있음�

▪ 초고압� 기술의� 산업적� 이용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기� 시작한� 것은� 2000년대� 이후로� 신선함과� 천연을�강조하는� 보존료� 무첨가� 육가공품,� 과채가공품� 및� 프리미엄� 과채주스� 중심으로� 적용이� 확산되고�

있으며�고품질�구현을�위한� 보편화된�기술로�자리매김�하고�있음

▪ 2014년�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에� 소개된� ‘초고압� 처리가� 우유의� 미생물학적� 및� 이화학적� 특성에�미치는� 영향’이란� 논문에서� 우유를� 4℃에서� 3분간� HPP(6000바)� 처리한� 결과� 일반세균수가� 4.09�

log� � CFU/㎖(세균집락형성단위)에서� 0.85� log� CFU/㎖로� 현저히� 줄어들었음을� 확인.� 대장균의� 경우�

비살균� 우유에서� 3.04� log� CFU/㎖로� 검출되던� 것이� 처리� 후엔� 미검출� 화학적� 살균법인� 저온�플라즈마�살균방식은�의료용�살균방식으로�적용하고�있으며,� 최근�식품분야에�적용이�증가하고�있음

▪ 농식품� 분야에� 활용� 가능한� 플라즈마는� 온도가� 낮아� 이온,� 전자,� 활성종,� 자외선� 등� 여러� 가지�구성원소를�가지고�있어� 그� 특성이�매우� 다양하고�살균�기능을�농식품에�활용할�수�있음

▪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은� 현미에� 저온� 플라즈마를� 20분� 동안� 처리했을� 때� 미생물을� 2.30Log�CFU/g� � 감균시키고,� 시판되고� 있는� 선식의� 유통�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저온� 플라즈마를� 처리한� 결과�

20분� 처리� 시� 1.70Log� CFU/g이� 감소돼�현미를�기본으로�한� 쌀� 가공품의�유통�안전성�확보에�이용�

가능성을� 확인했음.� 우리나라는� 현재�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수입쇠고기,� 식품이력제� 등� 각� 부처별�

이력� 추적관리�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음.� 분산관리� 중인� 식품� 분야별� 이력정보는� 최종적으로는�

통합관리가�이루어�질�것임

▪ 2008년� 한미FTA� 협상을� 계기로� 수입� 쇠고기� 유통경로� 관리에� 필요한� 거래기록이� 의무화되면서�본격적으로� 시작되어� 현재� 국내로� 수입되는� 외국산� 쇠고기는�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수입쇠고기�

유통이력관리시스템(www.meatwatch.go.kr)을� 통해�이력관리가�이루어지고�있음

식품�이력�추적관리�시스템

▪ 농촌진흥청은� 과수� 재배� 시� 생육,� 기상,� 병해충� 정보들� 스마트폰에서� 손쉽게� 확인할� 수� 있는과수�생육·품질관리�시스템을�개발함

▪ 최근� 기후변화� 등으로� 과수� 재배현장에서� 고품질� 과실� 생산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위해�실시간�과수� 생육� 및� 재배�정보들을�제공할�목적임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33

▪ 생육·품질관리� 시스템은� 2016년� 감귤을� 시작으로� 2017년에는� 배,� 2018년에는� 사과에� 대한� 정보를�제공할� 예정임.� 감귤� 시스템은� 과수� 생육,� 품질� 관리,� 기상·기후,� 병해충,� 농업기술� 등� 총� 5개의�

정보� 분야로�구성

식품의� 이력� 추적과� 유통관리를� 위해서는�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RFID� 등의�

위치감지�기술을�이용한�기술이�필수적임

▪ 식품� 품질� 유통� 관리시스템� 기술은� 식품기술(품질정보� D/B,� 품질예측모델),� 플랫폼기술(IoT,�빅데이터,� 클라우드),� 센서기술(RF� 센서태그,� 센서� 네트워크),� 센서의� 컨트롤기술,� 스마트�

력정보/환경제어,� 실시간�모니터링�기술이�융합된�복합�기술임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34

나.� 특허동향�분석

◎�센서형�식품�안전관리�시스템�특허�상� 주요�기술

주요�기술�

▪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은�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로� 식품� 이물질� 탐지기술,� 식품� 살균기술,�PCR을� 이용한� 각종� 유해균� 검출기술,� 식품오염� 검출� 센서칩� 기술로� 구분되고,� 추적� 및� 관리� 시스템�

기술로� ICT융합� 유비쿼터스� 통합시스템� 기술,� 식품품질� 관리를� 위한� 모바일� 관리� 시스템� 개발기술로�

구분됨

분류 요소기술 설명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

식품�이물질�탐지기술광학적�분광기�또는�카메라�등의�영상� 감지기술을�기반으로�한�

식품� 이물질�탐지기술

식품�살균기술 초고압,� 대기압�상에서의�비가열을�통한� 식품�살균기술

PCR을� 이용한�각종� 유해균�검출기술Real� Time� PCR기법으로�간편성과�반응시작�후� 몇� 시간�이내에�

결과판정이�가능한�식품� 유해균�검출기술

식품오염�검출�센서칩�기술인공항체�등을�이용한�요염독소�검출용�센서기술

농식품�품질� 비파괴�센싱� 기술

추적�및�

관리

시스템�

기술

ICT융합�유비쿼터스�통합시스템�기술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RFID� 등의�위치감지�

기술을�이용한�식품� 유통이력�추적,� 관리시스템

식품품질�관리를�위한�모바일�관리�

시스템�개발기술

식품유통시�각�개별�센서를�이용하여�손쉽게�이력,� 품질을�

확인할�수�있는�모바일�기반� S/W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35

◎�세부�분야별�특허동향

주요�기술별�국가별�특허동향

▪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의� 요소기술별� 주요� 국가별� 특허정보� 데이터� 입수하였으며,� 최근�5년간의�특허데이터를�비교�분석함

분류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계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

식품�이물질�탐지기술

16 357 11 56 440식품� 살균기술

PCR을�이용한�각종�유해균�검출기술

식품오염�검출� 센서칩�기술

추적�및�

관리

시스템�

기술

ICT융합�유비쿼터스�통합시스템�기술

57 232 16 11 316

식품품질�관리를�위한� 모바일�관리� 시스템�

개발기술

합계 73 589 27 67 756

▪ 국가별� 요소기술별� 특허동향에서� 미국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한국,�유럽,� 일본�순으로�나타남

▪ 세부적으로�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분야에서는� 미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이�상대적으로�적은�출원량을�보유하고�있음

▪ 추적� 및� 관리� 시스템� 기술� 분야는� 미국이� 가장� 많은� 특허출원� 비중을� 보이고� 있으며,� 유럽이�상대적으로�적은�특허출원을�나타내고�있음

주요�기술별�출원인�동향

분류 요소기술

기술�

집중

주요출원인 국내�특허동향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

식품�이물질�탐지기술

Whirlpool�

Corporation

The� Climate�

Corp

CNH�

Industrial�

중소기업이�주도

컴투루,� 동인써모,�

세브에스아�등

식품�살균기술

PCR을�이용한�각종�유해균�검출기술

식품오염�검출�센서칩�기술

추적�및�

관리

시스템�

기술

ICT융합� 유비쿼터스�통합시스템�기술

SureHarvest,I

nc.

The� Climate�

Corp

Parkland�

Center�

공공기관이�주도

식품의약안전처,�

한국식품연구원�등식품품질�관리를�위한�모바일�관리�시스템�

개발기술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36

식품�유해요소�검출기술�주요�출원인�동향

▪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은� Whirlpool� Corporation,� The� Climate� Corp,� CNH� Industrial� 등� 미국�기업이�가장�많은� 특허를�보유하고�있음

추적�및�관리시스템�기술�주요�출원인�동향

▪ 추적�및� 관리시스템�기술분야는� SureHarvest,Inc.,� The� Climate� Corp,� Parkland� Center� 등이� 미국�기업들이�많은�특허를�출원하고�있음

◎�센서형�식품�안전관리�시스템�분야의�주요�경쟁기술�및� 공백기술

센서형�식품�안전관리�시스템�분야의�주요�경쟁기술은�식품�유해요소�검출�기술이고,� 공백기술은�

추적�및� 관리�시스템�기술로�나타남

▪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 분야에서� 식품오염� 검출� 센서칩� 기술이� 가장� 경쟁이� 치열할� 분야이고,�ICT융합� 유비쿼터스� 통합시스템� 기술� 분야는� 아직까지� 출원이� 활발하지� 않은� 공백기술� 분야로�

나타남

분류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식품�유해요소�

검출기술

식품�이물질�탐지기술

●식품�살균기술

PCR을�이용한�각종�유해균�검출기술

식품오염�검출� 센서칩�기술

추적�및� 관리

시스템�기술

ICT융합�유비쿼터스�통합시스템�기술●

식품품질�관리를�위한� 모바일�관리� 시스템�개발기술

※ ●: 50건 이상, ◕: 30~49건, ◓: 20~29건, ◔: 10~19건, ◯: 10건 미만

◎�최신�국내�특허기술�동향

분류 요소기술 최근�핵심기술�동향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

식품�이물질�탐지기술 •광학적� 분광기,� 테라헤르츠(THz)� 카메라� 등� 영상� 감지�

기술�기반�식품내�이물질�탐지�기술�개발

•Real� Time� PCR� 기법� 활용� 간편성과� 신속성을� 확보한�

비파괴�센싱� 기술�개발

•검출� 소요� 시간� 및� 검출한계를� 높일� 수� 있는�

바이오센서를�활용한�식품오염�검출�방법� 개발

식품�살균기술

PCR을� 이용한�각종� 유해균�검출기술

식품오염�검출�센서칩�기술

추적�및�

관리

시스템�

기술

ICT융합�유비쿼터스�통합시스템�기술•식품� 위치추적을� 위해�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

(LBS),� RFID� 등을�활용�

•IoT� 센서� 등을� 활용해� 스마트폰� 앱과� 연동하여� 관리자�

뿐만� 아니라� 일반� 소비자에게도� 식품� 정보를� 공개하는�

S/W�개발�중

식품품질�관리를�위한�모바일�관리�

시스템�개발기술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37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은� 중소기업� 중심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식품� 추적� 및� 관리� 시스템은� 공공기관� 주도로� 연구개발하고� 있는�

것으로�나타남

▪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은� 식품� 부패� 및� 식중독� 및� 병원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검지하기� 위한�바이오센서,� Point-of-care-testing(POCT)� 등이�개발되고�있으며� � 1mm�이하�이물질�검출을�

위한�테라헤르츠(THz)� 카메라�상용화를�위한�노력이�이어지고�있음�

▪ 추적� 및� 관리� 시스템� 기술은� 빅데이터� 및� AI기술,� ICT� 기술과� 융합하여� 식품� 유통� 경로를�실시간으로� 수집하고� 전파� 경로� 분석,� 피해�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통합�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효과적인� 추적을� 위한�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RFID� 기술을� 접목하고� 있음.�

또한� 추적한� 위치� 및� 상태정보는� 통합관리� 및� 소비자에게� 제공하여� 식품관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S/W�기술이�개발�중임

◎�중소기업�특허전략�수립�방향�및� 시사점

센서형�식품�안전관리�시스템�분야의�공백기술�분야는�식품�유해요소�검출기술로�나타남

▪ 국내� 센서형� 식품� 안전관리� 시스템� 시장은� 국내에서� 우수한� 기술력을� 확보한� ICT� 기술� 및�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RFID� 기술� 등을� 활용한� 식품� 정보�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취합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하고� 식품사고� 발생� 시� 역학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관련� 기술은� 다수�

확보하고� 있으나� 식품의� 정확한� 상태� 파악을� 위한� 식중독� 검출� 기술,� 이물질� 검사� 장비� 관련�

기술개발은�미흡한�상태임

▪ 식품� 유해요소� 검출기술의� 경우� 대부분� 미국� 등� 선도� 국가의� 기술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으며�최근들어� 일부� 중소기업에서� 식품사고� 예방을� 위한� 나노입자를� 통한� 식중독균� 검출� 기술,� RT-PCR�

기술� 및� 유해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바이오센서� 등� 위주로� 개발이� 진행되어� 왔으나,� 식품품질�

제고를�위한�테라헤르츠파�기반�이물질�검사�장치� 관련� 기술은�아직� 상용화된�기술이�존재하지�않음

▪ 최근� 식품품질� 관련� 이력� 및� 정보공개를� 요구하는� 소비자의� 수요는� 높아지고� 있어� 식품� 유해요소의�정확한�검출을�위한� 기술�개발이�필요한�상황임

▪ 따라서� 해당분야를� 연구하고� 있는�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이전받거나� 공동은� 연구개발하여�제품화하는�특허전략을�수립하는�바람직할�것으로�사료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38

5.� 연구개발�네트워크

가.� 연구개발�기관/자원

◎�연구개발�기관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센터장�김재준�교수)

▪ 스마트센서�인터페이스,� 스마트센서�소자�및� 소재,� 웨어러블�스마트센서�등� 3개� 분야를�융합� 연구▪ 자동차,� 모바일,� 산업방재�등�분야별로�특화된�사업�중심의�기술�개발▪ 관련�중소기업의�제품�설계에서부터�양산까지�적극�지원

전자부품연구원�스마트센서연구센터(센터장�이대성)

▪ 스마트센서연구센터는� 나노/MEMS기반� 스마트센서,� 차세대� 입력디바이스� 및� 내츄럴� UI/UX,�집적광학센서� 및� 소자,� 환경/바이오센서� 및� 소자,� 무선전력� 등� 자립형� 디바이스� 기술,� 스마트센서�

응용�시스템을�연구

한국식품연구원

▪ 식품안전연구단-� 식품위해인자�신속감지�및� 정밀검출�기술

-� 식품위해인자�위험평가�기술�

-� 고위험�식품,� 체인단계의�위험관리시스템�개발

▪ 스마트유통시스템연구단-� IoT� 기반� 스마트�안전유통시스템�및�식품품질이력관리�기술

-� u-Food� 시스템�기반� 구축

▪ 저장유통연구단-� 지능형�포장기술(식품위해인자�및�오염인식�기능�등)

KISTI

▪ 한국식품연구원과�공동연구�진행-� 빅데이터�데이터베이스�구축�및�식품� 안전� 예측�기술� 개발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39

◎�연구개발�자원

국가�연구개발�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전략핵심소재기술개발사업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 산업엔진�프로젝트(19대�미래성장동력)

­� 차세대�스마트러닝�산업지원센터�구축사업

-� ‘14년� 「첨단� 스마트센서�육성계획」� 발표

-�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

▪중소기업진흥공단-� 인력양성� (컨설팅� 지원사업)� :�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여� 성장기‧정체기�기업의�지속성장을�위한�근본체질�강화�및�글로벌�경쟁력�확보

▪ K-ICT� 스마트�디바이스�육성방안(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업�혁신� 3.0전략�실행대책의�후속조치

-� 성장성·경쟁력� 등을� 고려해� 10대�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모듈기술� 및� 스마트� 센서� 핵심� 성능� 구현을�

위한� 공정·회로설계�기술�개발

-�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 개발·제작·테스트를� 위한� 단계별� 맞춤형� 지원� 및� 공통� 시설·장비� 등� 제작�

지원� 환경�구축

-� 투자유치·마케팅�진행� 및� 해외�시장진출�지원

-� 스마트�디바이스�분야의�석·박사급�전문인력�양성�및� 디바이스�제작�프로그램�개발·보급�등�저변확대

▪ IoT� 서비스�적용�스마트�센서�사업� 품목� 도출(미래창조과학부)-� IoT센서� ROIC� 등� 2개�분야로�각� 과제당� 30~40억/5년(3+2년)� 지원

-� 나노인프라�연계� 2015년� 45억� 확정

중소기업�대상�시설�및� 장비�지원

▪ 중소기업전용연구시설(Rental� La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동연구� 수행�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에게� 연구공간을� 제공하고,�

연구원�인프라(인력,� 장비� 등)를�활용한�근접�지원을�통해�기업의�생산성�및� 경쟁력을�높이고�있음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미래창조과학부)-� 장비활용� 종합포털사이트� ZEUS를� 통해�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활용� 극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체계화하고�모두가�편리하게�이용할�수�있도록�최상의�서비스를�제공

▪ 산업기술개발� 장비� 공동이용시스템� e-Tube�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e-Tube를� 통해� 산업기술� R&D에� 필요한� 연구장비를� 보다�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있도록�

적극�지원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40

▪ 첨단스마트센서�거점센터�구축사업((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경북지역�내�중소·중견기업�중�스마트센서�기업�및� 업종�다각화�희망기업�대상

-� 스마트센서�관련�제품개발�및� 조기�상품화를�위한�시제품�설계� 지원

-� 회로설계,� 전자기파�간섭�해석,� 소비전력�해석� SW� 지원

-� 수혜기업�기업부담금�없음�

▪ 공통서비스�인프라�구축·운영� 사업(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 중소기업이� R&D� 및� 상용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애로기술� 지원,� 시험� 측정장비� 지원� 및�

고주파�시험시설을�활용한�시험지원�등에�대한� 통합기술을�지원

-� 시험지원은� 고주파� 부품,� 모듈� 등의� 고주파� 특성,� PIMD,� 신뢰성� 시험지원� 및� 민간� 시험시설� 공동�

활용을�통한� 민간시험시설을�지원

-� 장비지원은�고가의�시험·측정� 장비를� IT� 중소기업에게�임대

▪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중소벤처기업부)-� 주관기관이�보유한�연구시설과�장비,� 소프트웨어를�중소기업이�공동�활용하도록�지원

-� 연구개발과�설계�및� 디자인,� 시제품�제작,� 성능평가,� 양산� 및� 마케팅에�이르는�원스톱�지원

-� 중소기업이�첨단�고가�연구장비를�쉽게�이용할�수� 있도록�지원

▪ 시제품�제작을�위한� 시설�및�제작장비�공동�활용(K-ICT� 디바이스랩)-� 지역� 인프라와� K-ICT� 디바이스랩의�장비와�시설�현황을�공유하고�연계�활용� 추진

-� 旣� 구축된� 시제품� 제작� 지원시설을� 연계·활용� 및� 웨어러블� 특화� 장비(유연소재� 3D프린터� 등)� 추가�

구축을�통해� 웨어러블�특화�시제품�제작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41

나.� 연구개발�인력

센서형식품� 안전관리� 시스템� 분야는� 전자부품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한국식품연구원�등에서�연구�진행중

기관 성명 직급

전자부품연구원 이대성 센터장

전자부품연구원 김정곤 책임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박광범 수석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홍성민 팀장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김주영 센터장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추성중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우승탁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박재률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유종호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정상훈 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김재준 센터장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박재률 선임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유종호 책임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김종훈 단장

한국식품연구원 최성욱 단장

한국식품연구원 임민철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김주성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최성욱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장현주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우민아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옥경식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임정아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김윤지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김종훈 연구원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42

다.� 기술이전가능�기술�

기술이전이� 가능한� 기관은�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

울산과학기술원�등이�있음

이전�기술에�대한�세부�내용

분류 내용

기술명 •세균�검출용�식품�포장�키트

응용분야 •�식품� 포장�방법�또는� 키트�

기술개발상태 •기술개발완료

희망이전�유형 •기술매매,라이센스,기술협력,기술지도,기타

판매자정보 •특허법인다나�이영주(연락처:02-6957-3136)

연구개발자�정보 •동국대�이영주

키워드 •식품�포장�키트,� 세균�검출,� 세균�특이적�항체�지시계�

개요� 및� 특징

•해당�기술은�세균�특이적�항체�지시계와� QR코드�및� 바코드를�포함하는�식품�

포장� 키트� 및� 이를� 이용하여� 식품의� 세균� 오염� 여부를� 현장에서� 식별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임.� 해당� 기술의� 식품� 포장� 키트를� 이용하여� 유통된�

식품의� 식중독균에� 의한� 오염� 여부를� 소비자가� 구매� 현장에서� 식별할� 수�

있음.� 또한,� 해당� 기술의� 식품� 검사� 시스템에� 의하여� 식품의� 대량� 유통�

단계에서도� 식품의� 식중독균에� 의한� 오염� 여부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검출할�

수�있음

[� 세균�검출용�식품�포장� 키트� ]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43

6.� 기술로드맵�기획

가.� 중소기업�핵심요소기술

(1)� 데이터�기반�요소기술�발굴

[�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키워드�클러스터링� ]

No 주요�키워드 연관도�수치 관련특허/논문�제목

클러스터

01

food,�

control,�

system

4~6

1. Appliance� for� cooking� food� under� pressure� with� improved�

unlocking� control

2. Temperature� controlled� food� display� system

3.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mizing� and� Controlling� Food�

Processing� System� Performance

클러스터

02

container,�

refrigeration4

1. Control� assembly� for� controlling� the� transfer� of� harvested�

agricultural� goods� from� a� harvester� to� a� transport� vehicle� with� a�

loading� container

2. Food� packaging� container

[� � 센서형�식품�안전관리�시스템�분야�주요� 키워드�및�관련문헌�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44

No 주요�키워드 연관도�수치 관련특허/논문�제목

3. REFRIGERATION�MONITOR� UNIT

클러스터

03

sensor,�

managemen

t� system

4~6

1. Continuously�monitored� core� temperature� sensor� and�method

2.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END-TO-END�

PREPARATION� AND�MANAGEMENT� OF� FOOD

3. Macronutrients,� food� groups,� and� eating� patterns�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2010

클러스터

04

monitoring-s

ystem,�

temperature

6~8

1. Food� Container� Induction� Heating� System� Having� Power� Based�

Microbial� Lethality� Monitoring

2. METHOD� AND� SYSTEM� FOR�MONITORING� STATE� OF� FOOD

3.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ROW�

AGRICULTURAL� IMPLEMENT� CONTROL� AND�MONITORING

클러스터

05

agricultural�

machine,�6

1. COMPUTER-BASED� SYSTEM� FOR� TRACKING� AND� OPTIMIZING�

PRODUCTIVITY� OF� AGRICULTURAL� PRODUCTS

2. SYSTEM� FOR� MANAGEMENT� OF� DATA� FILES� FOR�

AGRICULTURAL�MACHINES

3. AGRICULTURAL� PROD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ERVER� DEVICE,� AND� PROGRAM� FOR� AGRICULTURAL�

PRODUCTION� INFORMATION�MANAGEMENT

클러스터

06

monitoring,�

identification4~6

1. Wearable� Imaging� Member� and� Spectroscopic� Optical� Sensor� for�

Food� Identification� and� Nutrition�Modification

2. Method� for� automatic� location� identification� of� electronic� devices�

on� agricultural� implements

3. Method� for� Ordering,� Receiving,� and� Paying� for� Drink� and� Food�

Services� Using� a� Smart� Phone� to� Scan� a� Mobile� Vehicle� Tag�

Providing� Identific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클러스터

07

food-intake,�

weight,�

information

4~6

1. FOOD� INTAKE� CONTROLLING� DEVICES� AND�METHODS

2. DEVICE� AND�METHOD� FOR�MONITORING� FOOD� INTAKE

3. Functionalities� and� input� methods� for� recording� food� intake:� A�

systematic� review

클러스터

08

food-safety,

safety4

1. Development� of� Risk-based� Food� Safety� Systems� for� Foodborne�

Infections� and� Intoxications

2. Context� factors� affecting� design� and� operation� of� food� safety�

management� systems� in� the� fresh� produce� chain

3. MANAGEMENT� SYSTEM� FOR� FOOD� SAFETY� AND� A� MANAGING�

METHOD� FOR� THE� SAME

클러스터

09

smart-phone,

tempature-s

ensor

6~8

1. SYSTEMS� AND� METHODS� FOR� LEVERAGING� SMARTPHONE�

FEATURES� IN� 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2.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grain� bin� condition� data�

to� a� smartphone

3. Smart� quality� monitoring� during� distribution� of� fresh� food�

materials� using� RFID/WSN� technology

클러스터

10

food-product,�

food-inventory4

1. Smart� inventory� management� system� of�

food-processing-and-distribution� industry

2. Agricultural� Inventory� Management� System

3. Food� freshness� notification� from� personal� food� inventory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45

(2)� 요소기술�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한�요소기술�도출

분류 요소기술 출처

식품 위해 요소 검출 기술

식품�이물질(금속/비금속,� 연질성�물질)� 고감도�감지�

센서� 모듈�기술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특허/논문�클러스터링,� 전문가�

추천

유해균�검출�센서� 모듈�기술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특허/논문�클러스터링,� 전문가�

추천

식품 위해 요소 제거 기술

초고압,� 대기압상에서�비가열을�통한�식품� 살균�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추적 및 관리 시스템 기술

효율화�향상을�위한�센서�모듈의�네트워크�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지리정보시스템과�통합� 및� 경보�알림�기술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유해물질�발생상황에�따른�방제�및�제어� 시스템�

기술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46

(3)� 핵심요소기술�선정

확정된�요소기술을�대상으로�중소기업에�적합한�핵심요소기술�선정

분류 핵심요소기술 개요

식품 위해 요소 검출 기술

식품�이물질(금속/비금속,� 연질성�

물질)� 고감도�감지� 센서�모듈�기술

식품내에�금속/비금속�농도�범위� 이하�농도까지도�

감지할�수�있는� 센서를�개발함으로�소량의�

이물질단계에서도�검출할�수� 있는� � 센서�기술�

유해균�검출� 센서�모듈�기술초고압,� 대기압�상에서의�비가열을�통한�식품�

살균기술

식품 위해 요소 제거 기술

초고압,� 대기압상에서�비가열을�통한�

식품�살균�기술

다양한�위해균에�대하여�효과적으로�처리하고�

안정된�살균� 처리가�가능한�기술�

추적 및 관리 시스템 기술

효율화�향상을�위한�센서�모듈의�

네트워크�기술

유해물질�감지센서에서�발생되는�정보를�유무선�

통신망을�이용� 효율화�향상을�위한�센서� 네트워크�

형성기술

지리정보시스템과�통합�및�경보�

알림� 기술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RFID� 등의�

위치감지�기술을�이용한�식품�유통이력�추적,�

관리시스템�및� 경보�알림�기술

유해물질�발생상황에�따른�방제� 및�

제어�시스템�기술

유해물질�발생상황에�따른� 방제�및�제어�시스템�

기술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

▣�▣� 센서형�식품� 안전관리�시스템�▣�▣

247

나.� 센서형�식품�안전관리�시스템

최종�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기술개발�방향성을�제시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48

다.� 연구개발�목표�설정

핵심요소기술별�최종목표는�아래와�같이�기술요구사항과�연차별�개발목표로�제시함

분류 핵심요소기술 기술요구사항연차별�개발목표

최종목표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식품�유해�

요소�검출�

기술

식품�

이물질(금속/비금속,�

연질성�물질)� 고감도�

감지�센서�모듈� 기술

감지�크기

(mm)

5

mm

3

mm

1

mm

1mm�크기의�

금속/비금속�등의�

이물질�검출�센서�

기술� 개발�

유해균�검출� 센서�

모듈�기술

선택성

(종류)3� 이상 4�이상 5�이상

유해균

5종�이상�선택적�

감지

식품�유해�

요고�제거�

기술�

초고압,� 대기압상에서�

비가열을�통한�식품�

살균�기술

살균�정도

(%)95 98 99이내

유해균에�대하여�

초고압,� 대기압�

상에서의�비가열을�

통한�식품의�

살균기술99%이상

의�살균� 정도�

추적� 및�

관리�

시스템�

기술

효율화�향상을�위한�

센서� 모듈의�네트워크�

기술

시스템

시스템�

시제품�

제작

추적�및� 관리�

시스템을�위한�

센서�모듈의�

네트워크�기술

지리정보시스템과�

통합� 및� 경보�알림�

기술

시스템

시스템�

시제품�

제작

지리정보(GIS),�

위치기반서비스(LBS),� �

RFID� � 등의�

위치감지�기술을�

이용한�식품�

유통이력�추적,�

관리시스템

유해물질�발생상황에�

따른� 방제�및�제어�

시스템�기술

시스템

시스템�

시제품�

제작

지능형�유해방제�

및� 제어�시스템�

기술유

[� 센서형�식품� 안전� 관리�기술� 분야� 핵심요소기술�연구목표� ]

기술개발�테마�현황분석

안전사고�대응�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정의�및� 범위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이란�다양한�센서� 및� 영상정보�등을�활용한�스마트�모니터링과�신뢰성� 높은� 상황분석� 기술을� 기반으로� 안전사고를� 신속하게� 파악하여� 경보하고� 상황을� 전파하여�

적절한�대응·조치가�가능케�하는�시스템을�의미

▪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안전사고를� 인식하기� 위한� 정보취득� 기술과� 정보를�분석해� 상황을� 종합적으로� 인식하는� 기술,� 그리고� 안전사고� 상황을� 경고·경보하고� 전파하여�

적극적으로�사고에�대응하고�사람의�안전을�확보할�수� 있게�하는� 기술로�구성됨�

정부지원�정책

▪ 재난안전에� 대한� 국민� 관심의� 집중으로� 투자가� 강화되고� 있으며,� 범부처� 재난안전� 연구예산은� ‘15년�5,542억� 원,� ‘16년� 6,031억� 원,� ‘17년� 7,816억� 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행정안전부의�

경우� ‘17년� 302억� 원에서� ‘18년에는� 437억� 원으로� 45%� 연구예산�증가�

▪ 우리나라의� 재난� 및� 안전관련� 대응� 수준은� OECD� 34개국� 가운데� 22위로� 평가되고� 있으며� 국민소득�3만� 불� 시대에�접어들면서�본격적인�재난안전�투자�확대시기에�접어들고�있음�

▪ 정부에서는� “제3차�재난�및�안전관리기술개발종합계획”,� “제4차�과학기술기본계획”,� “국민생활연구진흥방안”�등을� 마련하고� ‘18년부터�시행하여�재난�및�안전관련�연구를�체계적으로�진행

▪ 경주� 및� 포항지진,� 태풍치바,� 메르스,� 세월호� 침몰사고� 등의� 신종,� 대형,� 복합� 재난� 및� 안전사고의�증가로�다양한�대응기술�개발�수요가�지속적으로�증가하고�있어�정부에서는�재난안전�산업화를�적극�지원

중소기업�시장대응전략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 (환경)�핵심기술�보유기업�시장접근�용이� � �

•� (기술)�우수한� ICT�인프라�보유

•� (정책)�정부의�재난안전�산업화�

•� (환경)�기업의�연구개발�투자부족�

•� (기술)�핵심�원천기술�확보�미흡�

•� (정책)�시장�활성화�부족� �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

•� (환경)�재난증가로�다양한�사회적�요구�

•� (기술)� 4차�산업혁명�기술응용분야�확대

•� (정책)�국가�재난안전�관리체계�강화

•� (환경)�국내�전문�기술인력�부족�

•� (기술)�글로벌�기업과의�기술력�차이�

•� (정책)�문제�해결형의�연구개발� �

중소기업의�시장대응전략

➜ 재난안전사고를� 특정하여� 활용� 가능한� 접촉� 및� 비접촉� 센서,� 고화질� 영상정보,� laser� radar정보� 등을� 선정하고�효율적으로�모니터링�할� 수� 있는�모듈을�개발하여�시장요구에�대응

➜ 안전사고�발생�생황에�맞춤형�모듈과�모니터링�정보의�신뢰성�높은� 재난상황�및�의사결정�융합분석이�가능하도록�AI� 및� 빅데이터를�기반으로�하는�해석알고리즘을�개발�

핵심요소기술�로드맵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53

1.� 개요

가.� 정의�및� 필요성�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이란� ICT�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여,�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시스템과�

모니터링�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 및� 안전사고� 발생� 위험을� 경고·경보하고� 정부관련� 기관� 및�

지자체�등에�신속하게�전파하고�적절하게�대응·조치할�수� 있게�하는�통합관리�시스템을�의미�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활용범위는� 직접적인� 인명피해를� 유발할� 수� 있는�

자연재난의� 발생� 여부,� 대규모� 장치� 및� 설비의� 이상상황� 파악� 그리고� 그� 밖에� 인적피해를�

유발할�수� 있는�재난의�모니터링과�경보,� 적절한�대응조치� �

▪ 안전사고� 감시관측� 시스템은� 다양한� 환경� 및� 상태감지� 센서류와� 영상� 정보� 등을� 융합하여� ‘기상,�지진정보� 감시시스템’,� ‘하천,� 토양재해� 정보시스템’,� ‘해양� 안전사고� 관리시스템’,� ‘방사선� 감시� 및�

경보시스템’,� ‘산업� 안전사고� 모니터링� 시스템’,� ‘발전� 및� 화학� 등� 대형� 플랜트� 안전사고� 감시시스템’�

등을� 개발하여�안전관리�서비스� � � �

▪ 재난안전정보� 경보� 및� 전파� 시스템은� ‘재해� 판단,� 이력관리� 등의� 데이터베이스’,� ‘재난발생시� 알림,�통보� 등� 정보공유�시스템’� 등이� 해당되며�기관별�운영환경을�고려하여�개발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

사회� 복잡화,� 재난� 및� 안전사고� 대형화� 등의� 영향으로� 효과적인� 재난안전사고� 모니터링� 및�

정보�공유를�통한�종합적인�재난·안전사고�대응�시스템�필요� � �

▪ 과거� 풍수해� 중심의� 재난안전� 관리에서� 최근에는� 지진� 및� 쓰나미� 등의� 자연재해� 증가와�인적재난사고의� 증가로� 안전사고� 관리� 범위가� 확대되고� 있으며,� 그� 대상에� 있어서도� 도시시설물,�

전기� 및� 가스� 등의� 에너지시설물,� 석유화학� 및� 가스� 등의� 화학플랜트시설물,� 건축� 및� 토목� 공사현장�

등�다양하며�기술수요가�증가하고�있음에도�관련�기술개발�발전은�더딘� 상황�

▪ 정부에서는� 3,000여� 개의� 정부기관을� 지정하여�재난안전� 정보� 모니터링� 및� 필요� 정보를� 공유하도록�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54

하고� 있으나,� 각� 기관에서� 모니터링하고� 있는� 정보는� 기관의� 재난� 및� 안전사고� 대응에도� 부족한�

수준의�정보가�모니터링�되는�경우가�대부분� �

▪ 재난안전� 분야는� 산업기반이� 약하여� 대기업의� 시장� 접근이� 어려운� 분야로서� 중소중견기업이�담당해야하는� 분야가� 대부분이나� 중소기업의� 경우� 연구개발력과� 자금력이� 부족하여� 적은� 수의�

기업들만�계속해서�참여해�옴� �

우리나라는� 1994년� 10월� 성수대교� 붕괴사고와� 1995년� 6월� 삼풍백화점� 붕괴사고� 등� 일련의�

대형� 사고를� 계기로� 국가와� 국민� 사이에� 재난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대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재난안전정보의� 종합적인� 관리를� 위한� NDMS시스템�

도입과�재난�및� 안전사고�정보�수집�및� 관리체계�확대�추진

▪ 동시에� 국민의� 안전을� 저해하는� 각종� 위험요소에� 대한� 사전예방에서부터� 사후수습까지�국가재난관리의�전�분야를�효과적으로�지원할�수� 있는�정보시스템의�구축�필요성이�대두

▪ 1996년� 내무부에서는� ‘안전관리� 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1997년부터� 재난분야� 정보화�시범사업을�실시

▪ 재난정보시스템�도입을�위하여�정부는� ‘04년� 7월부터� ‘05년� 3월까지� 2단계�정보화전략계획(BPR/ISP)을�수립하여�시스템�개발�

▪ 과학적인� 재난예방을� 위하여� 표준화된� 재난정보� DB를� 구축하는� 등� 국가재난관리� 정보� 시스템의�고도화를�추진�

▪ 소방방재청� 설치� 이후� 재난정보의� 종합적인� 관리를� 위한�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National�Disaster� Management� System)이� 개발되었으며� 풍수해관리시스템과� 119긴급구조시스템� 등이�

구축되었고,� 세월호�사고� 이후�대폭적으로�시스템을�개선함� �

▪ 그러나� NDMS는� 정부시스템으로� 민간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하고� 사람이� 자료를� 입력하는� 형태이며�지자체�등�일부기관은�인력부족�등으로�재난�및� 안전사고�발생�시�상황을�적절히�파악하기조차�힘든�

상황임.� 따라서� ICT기술을�활용한�재난�및�안전사고�상황�모니터링이�절실한�상황� �

▪ 또한� 대응의� 효율성� 향상을� 위하여� 국민에게� 재난� 정보를� 제공하고� 국민� 참여를� 유도하는� 쌍방향�종합정보�소통체계를�구축�및� 현장중심의�재난관리�대응시스템을�마련하는�방향으로�개선� �

▪ ‘08년� 2월에� 발생한� 숭례문� 화재� 시,� 5시간� 만에� 국가의� 상징물인� 문화재가� 전소되는� 참사가�발생하여,� 현장에서�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기관이� 숭례문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았다는�

문제점이�발견되어�소방기관과�문화재청�간의�정보�공유� 및� 전달의�미흡이�발견�

▪ 국립재난연구원은� ‘09년� 임진강� 상류� 무단방류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여� 수위자동감지시스템을�설치�운영하고�담당자�부재� 시� 위험신호의�자동�문자발송�서비스�도입�

다양한� 안전사고� 상황정보를� 정확하게� 수집할� 수� 있도록� 스마트센서와� 지능형� 영상분석을�

융합하여�활용할�수� 있는�기술개발이�필요�

▪ 안전사고의� 유형에� 따라� 온도,� 습도,� 유해화학물질,� 가스,� 진동,� 가속도� 등의� 다양한� 환경정보�가운데�현장에�필요정보를�효율적으로�선별�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이�필요함�

▪ CCTV� 등을� 활용해� 취득한� 영상정보에� 대한� 지능형� 영상분석을� 통하여� 정확한� 사고� 상황파악� 및�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55

사고대응�필요한�정보들을�분석�제공할�필요�있음�

▪ 스마트� 영상분석의� 경우� 전통적인� 서버에서� S/W를� 활용한� 시스템에서� CCTV나� DVR/NVR단에서�구현가능한�기술이� 발달되면서� 소형화�지능화되고�있고�전통방식보다�더� 많은� 카메라�영상을� 처리할�

수�있음

▪ 그러나�딥러닝�등� AI기술을�활용해서�객체추적�기술을�구현하는�경우�학습속도나�영상처리에�한계가�있어� 처리속도를�높이고�추적� 신뢰성을�높일�수�있는� 알고리즘�연구가�필요� � � � �

*�출처� :� Sensor� online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56

*� 출처� :� Che-i� Wu,� Sensor� onlineAn� intelligent� slope� disaster� prediction�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WSN�

and� ANP,� Jounal� of� Expert� system�with� Application�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57

나.� 범위

(1)� 제품분류�관점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크게� 감시� 관측� 시스템과� 재난관리� 정보공유�

시스템으로� 구분되며� 제품관점에서는� 안전사고의� 유형� 및� 발생장소� 등을� 고려한� 서비스� 모델�

형태를�기준으로�분류� � �

▪ 감시� 관측� 시스템은� 기상,� 지진정보� 감시시스템� 기술,� 하천,� 토양재해� 정보시스템� 기술,� 해양,�방사선� 감시시스템� 기술,� 산업� 안전/사고� 모니터링� 기술,� 기타� 대형� 플랜트� 감시시스템� 기술� 등을�

포함

▪ 재난관리� 통보� 시스템은� 재해� 판단,� 이력관리� 등의� 데이터베이스� 기술,� 재난발생시� 알림,� 통보� 등�정보공유�시스템�기술로�분류

분류 제품분류�관점 세부기술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감시�관측�

시스템

기상,� 지진정보�

감시� 시스템�기술

가뭄,� 홍수,� 황사�관련�감지� 시스템�기술로서�진도정보,� 지형,�

지반,� 인구,� 건물�등의� 정보를� GIS상에� 표시하고�피해규모�정보를�

표시하여�감시,� 지원체제�지원기술

하천,� 토양재해�

정보시스템�기술

수위,� 우량정보,� 토사붕괴,� 토양오염�등� 하천·토양에서�발생되는�

관측정보를�분석,� 재해정보�모니터링�기술

해양,� 방사선�

감시시스템�기술

해양수위,� 방사선�관련정보�등을� 감지하여�이를�통합�분석하여�

재해정보로�판단·대응체제�지원기술

산업�안전/사고�

모니터링�기술

공사현장,� 공장�시설물의�폭발,� 붕괴,� 기타� 사고�등을�

스마트센서를�활용해�실시간으로�모니터링·통합� 관리하는�기술

기타�대형�플랜트�

감시시스템�기술

대형�플랜트�진행,� 관리�시�각종�센싱� 정보를�분석하여�사고�

발생�시�신속한�대응체제�지원�기술

재난관리�

통보�

시스템

재해�판단,�

이력관리�등의�

데이터베이스�기술

재난�전용�네트워크를�사용하여�여러�재난�관련� 당국�및�

정부기관들을�연결·통합관리를�위한� 데이터베이스�기술

재난발생시�알림,�

통보� 등� 정보공유�

시스템�기술

다양한�종류의�재난� 정보를�하나의�동일한�터미널�상에서�조합,�

첨가하여�각기�다른�기관들이�정보공유�할�수�있는� 기술

[� 제품분류�관점� 기술범위�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58

(2)� 공급망�관점

재난�및�안전�관리관�등� 수요기관을�중심으로�국민�안전에�대한�요구기능�접근�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재난을� 자연재난� 및� 사회재난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발생요인을�중심으로� 구분하고� 관리주체와� 대응방법을� 달리하고� 있어�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요기관은�관리�및� 관련�업무주체�구분� �

▪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기술은� 목표하는� 안전사고� 감시에� 적정한� 센서의� 선정� 또는� 개발,�센서노드�개발,� 통신네트워크�구축,� 운용� 및� DB서버구축,� 분석알고리즘�및� 프로그램�개발�등이� 포함� �

▪ 안전사고는�상황에�따라� 대응방법을�달리해야하는�문제가�있어� 재난� 및� 안전� 분야에서는� 발생요인과�영향을�중심으로�시스템의�기능�및�성능을�정의� �

� � � � � � �

분류 공급망�관점 세부기술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자연

재난

풍수해�

관측·경보

•태풍,� 강풍,� 호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홍수,� 침수,� 강풍피해� 등의�

발생상황에� 대하여� 강우,� 풍속,� 수위변화� 등을� 모니터링� 하고� 피해지역,�

위험지역�등의�정보를�GIS상에�종합�표출�기술

지진�

감시·경보

•저수지,� 댐� 등� 붕괴� 시� 피해가� 큰� 시설물에� 지진계를� 설치하고� 지진�

발생시�시설물의�상태를�함께�모니터링�하여�경보하는�기술�

•해저지진을�감지하고�쓰나미를�예측하여�경보하는�기술�

황사� 및�

미세먼지�

관측·경보

•공기� 질에� 영향을� 미치는� 황사� 및� 미세먼지� 발생�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예보�및�경보하는�기술

산사태�

관측·경보

•산사태�위험사면�지역에�강우,�사면변위,�지하수위변화�등을�모니터링�하여�

경보하는�기술

기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으로� 연안재해� 증가에� 대비� 강� 하구둑,� 항만,�

수로갑문�등에서� 조석간만을� 포함한�해수면� 변동을� 모니터링하여�경보하는�

기술

인적

재난

붕괴사고•도로,� 교량,� 터널,� 항만� 시설물과� 건축물� 등의� 붕괴촉발� 주요� 부위� 등의�

상시적�변위,�가속도�등을�모니터링�하고�경보하는�기술�

폭발사고

•석유화학플랜트,� 가스시설,� 발전소� 등에서� 휘발물질이나� 폭발물질이�

취급과정� 유출되거나� 관리� 소홀이� 발생하지� 않도록� 감시하는� 기술,� 공장,�

건물,� 일반가정�등�사용자의�부주의를�모니터링�하는�기술�

화생방사고

•화학물질관리법에서� 규제하고� 화학물질� 및� 중간제품� 등으로부터� 유해한�

화학물질이� 생산,� 유통,� 소비� 과정에서� 유출� 및� 확산� 되는� 것을� 모니터링�

하는�기술

방사선사고•원자력발전소� 등� 방사능물질� 취급� 시설에서� 방사선이� 누출되는� 것을�

모니터링�하고�위험을�경보,� 시설을�구획별로�차폐하는�기술� �

현장�

안전사고

•공사장,� 제조공장� 등에서� 작업자의� 추락,� 전도� 등의� 안전사고� 위험지역을�

감시하고�위험상황을�경고하는�기술�

•크레인,� 백호,� 도저� 등의� 중장비의� 가동상황과� 작업자� 작업� 반경� 진입�

등을�모니터링�하고�위험상황을�판단해�작업자의�안전을�확보하는�기술�

환경오염

(해양,� 토양,�

지하수�하천�등)

•하천� 및� 해양에� 대한� 오폐수� 방류,� 오염물질� 유입� 등을� 감시하고,� BOD,�

COD와� 같은� 수질상태� 모니터링� 및� 토양과� 지하수의� 오염상태� 등을�

감시하는�기술

[� 공급망�관점� 기술범위� ]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59

2.� 외부환경분석

가.� 산업환경�분석

(1)� 산업의�특징

안전사고� 대응� 모니터링� 시스템은� 위치상� 수요자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공급하는� 단계에�

해당하며� 앞� 단계에서� 지능형CCTV,� 스마트� 센서,� 통신장비� 등의� H/W� 공급과� 데이터� 분석�

및� 운영을� 위한� S/W개발이� 적절히� 결합� 되는� 것이� 중요하며,� 안전사고의� 종류� 및� 적용�

환경에�맞춰�요구품질,� H/W선정�및� S/W개발이�이뤄짐� �

▪ 수요자� 요구중심의� 서비스� 산업으로써� 수요기관의� 시스템� 도입� 및� 운영정책� 결정에� 의해� 좌우되는�경향이� 크나� 한번� 도입된� 시스템은� 지속적으로� 성능� 개선� 또는� 노후� 장비� 교체� 등을� 위한� 수요가�

형성됨� �

▪ 국내� IT인프라의� 투자로� 안전사고� 대응� 모니터링� 시스템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은� 충분히� 갖춰져�있으나,� H/W의� 경우� 최근� 국내의� 재난� 및� 안전분야� 모니터링� 관련� 부품� 및� 제품의� 공급� 시장이�

해외에�의존하는�경향이�커지고�있음�

▪ 안정적인�부품�및�제품� 공급�사슬을�형성시키고�국제적인�경쟁력을�갖추기�위해서는�부품�및� 제품을�안전� 분야에�국한시키지�않고�유사분야와�부품�및� 제품을�공유하여�시장에�접근�

스마트�영상분석�등의�원천기술�보유기업의�부족� � � �

▪ 국내� 스마트� 영상분석� 기술� 연구가능� 기업을� 포함하여� 완성품� 형태의� 재난안전� 대응� 모니터링�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제작� 및�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은� 많지� 않으며,� 각� 분야별로� 특화된� 기업들이�

성장해� 시장을� 선점하고� 있으나� 연구개발� 보다는� 제품을� 구매해� 공급하는� 기업이� 대부분이므로�

원천기술�보유�및� 완성품�제작공급�능력�보유가�중요� �

▪ 주로� SI사업을� 통해서� 추진되는� 경우가� 많으며,� 제품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한� 저가�사양추구보다는�제품의�스마트화를�통한�서비스�질�향상과�경쟁력�강화에�초점을�맞춰�시장� 접근

▪ 원자력발전소,� 화력발전소,� 화학플랜트,� 석유가스시설� 등에는� 안전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이� 적용되고�있는�경우도�있지만�상당수가�제대로�작동을�하지� 않거나�오래된�시스템� � �

유선통신에서�무선통신으로�진화하며� AI� 및�빅데이터를�활용한�스마트�의사결정�

▪ 대규모� 철강,� 제조,� 발전� 등의� 설비상태� 모니터링은� 센서� 및� 영상� 장비가� 유선으로� 연결되어�있었으나� 최근� 무선통신의� 급속한� 발전으로� 무선화가� 진행되고� 있어� 모니터링� 시스템의� 무선화가�

중요(예:� 포스코�포항� 및� 광양공장�집진설비�상태�무선모니터링�시스템)� �

▪ 대규모�공장이라�하더라도�관리�인력이� 지속적으로�감소하고�있어�모니터링과�함께�안전상황�파악과�대응판단� 등을� 인공지능을� 적용하여� 스마트화� 하거나� 전자매뉴얼을� 활용해서� 신속학고� 적절한�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을�요구� (예:� 서부발전�배관�모니터링�시스템,� 남도발전�안전�매뉴얼� 활용체계)� �

� �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60

(2)� 산업의�구조

후방산업은� 공공서비스� 및� 산업생산� 등의� 안전� 수요처로써� 안전� 확보를� 통해� 사회� 안정과�

연속적인�제화�생산,� 안전�서비스�연속성�확보를�위하여�수요자와의�밀접한�관계유지가�중요� �

▪ 안전사고� 모니터링을� 통해� 국가� 및� 공공기관의� 대국민� 신뢰성� 유지,� 개별� 기업에서는� 안전사고를�방지하고�신속한�대응을�통해� 손실�최소화

▪ 장비의� 안정성과� 신뢰성은� 물론� 공급된� S/W에� 따라� 시스템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영향력이� 높은�문제점이�있고�장기간의�현장최적화�기간을�통해� 적정한�서비스�수준에�도달� � � �

▪ 운영조직� 및�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재난� 및� 안전사고의� 특성상� 한꺼번에� 유지보수� 수요가� 몰리지�않도록� 전략적으로� 서비스� 할� 수� 있도록� 원격서비스� 기술� 등을� 개발하여� 수요자의� 만족도� 향상이�

요구됨(예:� 국립공원� 경보시스템은� 장마,� 태풍으로�전국의� 시스템이� 동시다발적으로� 고장을� 일으키는�

경우가�많으나�적은� 인력으로�관리하여�유지보수�지연�등으로�유지보수�기업과�수요자�모두� 불만)� �

전방산업은� 모니터링� 시스템에� H/W를� 공급하는� 부품� 및� 제품� 공급분야로� 적정한� 가격의�

후방산업의�요구�성능을�만족시킬�수�있는�공급라인�형성이�중요�

후방산업안전사고�대응�모니터링�시스템�

분야전방산업

공공�안전행정,�

에너지안전,�

상하수도(생활)� 안전�등�

스마트�센서

� � 스마트�영상분석�및�추적,�

상황판단�및�전파,� 무선통신

상황관제

CCTV,� 센서

IoT서버

드론�등

[� 안전사고�대응�모니터�시스템�분야� 산업구조� ]

*�자료:�가스안전공사�배관검사�시스템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61

나.� 시장환경�분석

(1)� 세계시장

세계� 스마트� 환경센서� 시장의� 규모로� 본�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는�

2016년� 29.3억�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8.3%로� 성장하여� 2021년� 43.6억� 달러에� 이를�

전망

(단위� :� 백만�달러,�%)

*�출처� :� KISTI� 마켓리포트� 2017,� ‘스마트�환경센서’

분� � 류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2,930� 3,160� 3,420� 3,720� 4,020� 4,360� 8.3

[� 세계�스마트�환경센서�시장�규모� 및� 전망� ]

미국,� EU는� 과거� 자연재해� 중심의� 방재정책에서� 9.11테러� 이후� 방재를� 포함한� 국가적� 안전�

확보를�위한�정책을�펴고�있음.� 즉� 테러를�포함하여�사회재난에�대한�관리를�강화하고�있음

2013년� 오바마� 정부� 국토안보부(DHS)의� 연구예산만� 약� 8.13억� 달러� 정도이며,� 일본은�

재해예방� 예산으로만� 2005년에� 23조� 엔을,� 피해복구에는� 7.3조� 엔을� 투자하였고� 재난안전�

능력�강화를�위해�연평균� 20조�엔에�가까운�예산을�예방사업에�투자하고�있음

전체� 안전산업의� 규모는� 안전� 장비와� 안전� 서비스의� 규모를� 합한� 총액으로� 2016년� 3,598억�

달러였던�시장�규모는� 2021년� 4,999억� 달러로�예상되며�꾸준한�성장세를�보이고�있음

(단위� :� 백만�달러,�%)

*�출처� :� 안전산업의�주요국�육성사례와�우리의�발전방안(산업연구원,� 2014년)의�안전�장비/서비스�규모로�추정함

분� � 류 ‘16 ‘17 ‘18 ‘19 ‘20 ‘21 CAGR

세계시장 359,800� 384,300� 410,400� 438,300� 468,100� 499,931� 6.8

[� 세계� 안전산업�시장�규모�및�전망�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62

일본은� 고령화� 저출산의� 영향으로� 노후화하고� 있는� 인프라� 유지관리� 업무에� ICT� 및� 로봇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에서� 축척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해외진출�하려는�전략적인�접근을�시도�중

▪ ICRT:�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Robot(IRT:Information� and� Robot�Technology)

모니터링한� 재난안정� 정보를� 소셜네트워크을� 비롯하여� 타� 통신망과� 연계하여� 가정은� 물론�

교통,� 농업�등�다양한�사회분야에�활용할�수� 있도록�연계활용을�연구

� � � � � �

� *� 자료:�일본�NICT(정보통신연구기구)�발표자료� (2015년)

재난안전사고� 대응시스템은� 주요산업이� 되기에는� 사용범위와� 파극효과가� 크지� 못한� 한계점이�

있어� 대부분의� 국가가� 자국에� 필요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형태로� 활용되고� 있으며,�

경제적으로�어려운�국가의�경우에는�원조를�받거나�시스템�도입을�하지�못함

▪ 북미와� 유럽시장을� 중심으로� 재난안전사고� 대응� 기술연구가� 많이� 이뤄지면서� 관련시장� 규모도�아시아시장보다�크게�형성되어�있음�

▪ 최근� 재난안전� 이슈가� 많은� 중국,�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국가들이� 적극적으로� 도입을� 추진하고�있으며� ASEME은�협업� 시스템을�구축해�활용� � � �

국가별로�처한�재난안전사고�환경이�달라�전략적인�접근이�필요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63

(2)� 국내시장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관련� 제품인� 스마트� 환경센서로� 본� 국내시장� 규모는�

2016년� 799억� 원에서� 연평균� 성장률� 10.5%로� 성장하여� 2021년� 1,316억� 원에� 이를�

것으로�전망

(단위 : 억 원, %)

구분 ‘16 ‘17 ‘18 ‘19 ‘20 ‘21 CAGR

국내시장 799 882 975 1,078 1,191 1,316 10.5

*�출처� :� KISTI� 마켓리포트� 2017,� ‘스마트�환경센서’

[ 스마트 환경센서 분야의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

행정안전부가� 재난안전산업� 활성화를� 위하여� ‘16년에� 조사� 발표한� ‘15년�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안전시스템�개발�및� 관리업의�규모는� 약� 1.1조� 원� 규모이며�해당�분야에� 종사하는�기업�

수는�약� 1,100여� 개인�것으로�조사되었으며�지속적으로�성장예상� �

▪ 스마트시티� 사업을� 통해� 안전도시� 건설� 등을� 추진하고� 있어� 안전사고� 모니터링� 시스템의� 수요는�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현재의� 시장만을� 놓고� 보면� 재난안전� 시장의� 특성상� 직접적인�

해외기업과의�경쟁은�거의� 없는�편이며�국내�기업� 간의� 경쟁이�치열함� � �

▪ 정부는� 재난안전산업의� 육성� 및� 타� 산업분야와의� 연계� 강화를� 위하여� ‘18년부터는� 연구개발사업을� �다부처사업으로�추진하며,� 별도의�산업화�연구비를�투입� �

*�출처� :�행정안전부(구�국민안전처)

[� 국내� 재난안전산업규모�매출액(2015)� (단위:� 조원)�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64

(3)� 무역현황

무역현황은� ‘센서부품’의� 무역현황으로� 살펴보았으며,� 수출량이� ‘12년(약� 207만� 달러)에� 비해�

‘16년에� 327만� 달러로�증가함�

▪ 최근� 5년(‘12~‘16년)간� 연평균� 성장률을� 살펴보면� 수출금액은� 80.1%로� 증가하였으며,� 수입금액은�5.2%로�증가하였으나�전체�무역수지는� 12.8%감소한�것으로�나타남�

무역특화지수는� ‘12년(-0.16)에� 비해� ‘16년(-0.19)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점차� 수입특화�

상태로�수입량이�증가한�것으로�나타남

(단위� :� 천� 달러,�%)�

구분 ‘12 ‘13 ‘14 ‘15 ‘16 CAGR

수출금액 2,078� 16,343� 3,130� 2,387� 3,275 12.0

수입금액 2,896� 2,892� 5,371� � 4,269� 4,831 13.6

무역수지 -818� 13,451� -� 2,241� -� 1,882� -1,556 -

무역특화지수* -0.16 0.70 -0.26 -0.28 -0.19 -

*� 무역특화지수� =� (상품의� 총수출액-총수입액)/(총수출액+총수입액)으로� 산출되며,� 지수가� 0인� 경우� 비교우위는� 중간정도�

이며,� 1이면� 완전� 수출특화상태를� 말함.� 지수가� -1이면� 완전� 수입특화� 상태로� 수출물량이� 전혀�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입만�

한다는�뜻

*�자료� :� 관세청�수출입무역통계�HS-Code(6자리�기준)�활용

[� 센서� 관련�무역현황� ]�

재난안전사고� 대응� 모니터링� 시장의� 확대를� 위하여� ODA� 사업을� 통한� 지속적인� 해외진출을�

추진�중이나�괄목할�만한�실적을�올리고�있지는�못함� � �

▪ 센서,� 카메라,� 드론� 등� 관련� 부품� 및� 제품� 수입은� 제조공장이� 많은� 중국으로부터� 꾸준히� 수입이�증가하고�있는�추세임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65

다.� 기술환경�분석

산업통상자원부는� 「제조업혁신� 3.0전략」� 실행의� 일환으로� 센서산업을� 미래�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위해�산·학·연·관을�포함한� ‘첨단센서� 2025포럼’을� 발족(‘15년� 11월)함

▪ 포럼은� 운영위원회와� 스마트기기,� 자동차,� 사물인터넷(IoT)․웨어러블,� 산업용․스마트공장� 등� 4개�분과위원회로�구성되며,� 각� 위원회별로�센서�수요기업,� 센서기업,� 학계,� 연구계�인사들로�구성

▪ ‘2025년까지� 센서� 4대� 강국(현재� 7위)� 진입’을� 목표로� 센서� 산업계,� 학계·연구계� 전문가들이� 뜻을�모아� 긴밀한�네트워크를�구축하고,� 협력의�장을� 마련함

-� 산업부는�첨단센서산업�육성을�위해� ‘15~‘20년까지�총� 1,508억� 원을� 지원할�계획임

-� 10대� 핵심� 센서소자를� 개발․국산화하고,� 센서� 전문� 중견기업� 육성�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확보한다는�계획

-� 10대� 핵심� 센서소자� :� 영상센서,� 자기센서,� 관성센서,� 압력센서,� 레이더센서,� 환경센서,� 광학센서,�

적외선센서,� 음향센서,� 바이오의료센서�

-� 산업부가� 추진� 중인� ‘13대� 산업엔진� 프로젝트’� 중� 자율주행� 자동차,�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은�

첨단센서산업과�관련성이�높은�사업들과�연계성을�높여�나간다는�계획임

[� 13개�산업엔진�프로젝트� ]

시스템�산업

•웨어러블�스마트�디바이스

•자율주행�자동차

•극한환경용�해양플랜트

•고속-수직이착륙�무인항공기

•국민�안전·건강�로봇

•첨단소재�가공시스템

소재‧부품�산업 창의�산업 에너지�산업

•탄소소재

•첨단산업용�비철금속�소재

•개인�맞춤형�건강관리시스템

•생체�모사�디바이스

•가상훈련�시스템

•고효율�초소형화�발전시스템

•직류�송배전시스템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 센서산업� 발전의� 기반을� 조성하기� 위해� 시험·신뢰성� 평가,� 시제품� 제작� 등을� 지원� 하는� 「(가칭)센서�산업화�지원센터」� 구축을�별도로�추진

▪ 나노종합기술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등� 센서� 관련� 장비를� 보유한� 기관을� 지역�거점으로�지정·활용

▪ 스마트센서� 전문기업이� 수요(세부분야,� 기술수준� 등)를� 제시하면�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학이� 이에�맞는� 인재를�양성하는� ‘기업� 맞춤형�고급� 센서인력(연간� 60여명)� 양성’도� 본격적으로�추진할�계획

▪ 이번� 사업이� 정부� 차원에서� 첨단� 스마트센서를� 본격� 육성하기� 위한� 최초의� 시도인� 만큼,� 향후� 업계�및� 학계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여� 사물인터넷(IoT)� 시대를� 대비한�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발전시켜�

나갈�계획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66

센서산업의� 경제적� 기대효과를� 분석한� 결과� ‘15년� 기준� 4조� 원의� 생산유발,� 1조� 1천억� 원의�

부가가치�유발�및� 13,800명�정도의�고용유발효과�창출�전망

▪ 산업부의� 계획대로� 국내� 생산액이� 증대될� 경우를� 가정하면,� ‘20년� 기준으로는� 약� 8조� 3천억� 원의�생산유발,� 2조� 3천억� 원� 규모의� 부가가치유발� 및� 2만� 8천명� 정도의� 고용유발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분석됨

[� 스마트�센서� 산업의�산업파급효과�분석� ]�

(단위:� 명)

구분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생산유발효과 40,653 46,945 54,213 62,604 72,295 83,487

부가가치유발효과 11,526 13,310 15,371 17,750 20,498 23,671

고용유발효과 13,796 15,931 18,397 21,245 24,534 28,332

*�출처� :� 지식경제부(2012),� “센서�산업�발전�전략”�보도자료를�기반으로� ETRI� 산업전략연구부�추정

[� R&D� 정책� 방향� ]

분류 정부�정책�방향

산업통상자원부 •2015년부터� 2020년까지�총� 1,508억�원(국비� 1,147.6억�원,�민간� 360.4억�원)을�투자할�예정

과학기술정보

통신부

•스마트� 센서� 수요의� 폭발적� 증가� 대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국내� 센서� 산업에� 대한� 정부의�

센서�관련�지원사업�현황을�진단하고�효과적인�스마트�센서�개발을�위한�정부�정책도출

•IoT서비스:� 스마트헬스,� 홈,� 재난/재해,� 농업� 등� 4개� 분야� IoT� 서비스�대상� 스마트�센서� 품목�

도출(각�과제당� 40~50억/5년(3+2년),� 2016년�추진)

•공통기반:� 나노인프라,� IoT센서� ROIC� 등� 2개� 분야� IoT� 서비스� 적용� 스마트� 센서� 사업� 품목�

도출(각�과제당� 30~40억/5년(3+2년),� 2016년�추진),� 나노인프라�연계� 2015년� 45억�확정

•2015년도� 과제� 수주� 45억(센서생산공정),� 2016년부터� 신규� 원천� 스마트� 센서� 기술� 개발�

추진�예정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67

3.� 기업� 분석

가.� 주요기업�비교

최근� 국내� 재난안전사고� 발생� 빈도� 및� 피해규모가� 커지면서� 관련� 시장에� 대한� 확대를� 기대한�

기업의� 진출이� 늘고� 있으나� 진출기업의� 수에� 비하여� 시장� 확대는� 더디고� 폐쇄적인�

시장운영으로�경쟁이�치열함� � � � �

▪ 많은� 기업들이� 기존에� 해왔던� 업무와� 유사한� 시장으로� 확대하는� 측면이� 강하며� 안전사고� 대응�모니터링시스템에� 대해서도� 유사한� 형태이나� 많은� 기업들이� 기존의� 재난안전� 시장의� 특성에� 대한�

이해부족,� 시장상황에�대한�지나친�낙관�등으로�시장�진입에�실패하는�경우가�많음� �

▪ 재난안전관련� 분야는� 오랜� 기간� 풍수해나� 지진� 등� 토목� 분야� 기업이� 업무영역을� 확대하여� 접근하는�경우가� 많으며� 그� 밖에� 영상이나� 계측관련� 기업이� 신사업� 영역으로써� 사업영역을� 확대하는� 경우�

등이� 있으며� IT기술만� 가지고� 자연재해에� 접근하기� 힘든� 측면이� 있음으로� 산업응용� 분야를� 시작으로�

접근하는�것이�용이�

구분 제품분류별�주요�기업

기술분류 원자력,� 발전 풍수해재난안전사고정보�

전파� 및� 관제

주요�품목�및�

기술

3D카메라,

가속도센서

온도센서,�

가스�센서

다축진동계측기

영상분석시스템

강우센서

풍속,� 온도,� 습도� 센서

수위계

경보용�스피커

CCTV,

경보용스피커

영상분석시스템

해외기업도시바,

텍사스인스트루먼트도시바,� OKI -

국내기업 KLES 노아 KIT벨리

[� 제품분류별�주요기업�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68

국내�중소기업�사례

▪ (주)지오시스템리서치는� 자체� 개발� 데이터로거� 통합� 및� 통합� 컨트롤러를� 활용하여� 양방향� 무선통신�기반의� 실시간� 해양/기상관측� 시스템� 개발� 및� 구축.� 원전주변�해양환경� 모니터링과� 어장환경정보시스템�

구축�및� 관리� 제공.� '2017� 한국해양�수산산업�대상�해양엔지니어링부문'� 수상� 기업

▪ (주)한일에스티엠은� 하천이� 인접한� 도로� 또는� 산악지형이나� 절개면이� 인접한� 도로변의� 재난/재해를�감시하는� 시스템으로� 지진,� 악천우,� 폭우,� 장마� 등으로� 인하여� 재난/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도로변에�

설치.� 시스템은�감시카메라,� 검지장치,� 현장제어장치,� 압력�센서,� 방송제어장치�등으로�구성됨

▪ 이제이텍은� 지진계측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진과� 지진해일을� 관측·예방.� 한국� 수자원� 공사� 31개�다목적댐�및�용수댐�지진계측�시스템을�구축함

▪ 소암컨설턴트는� 댐(저수지)누수� 탐지� 및� 모니터링� 장비인� 'SDL-K'생산.� 하나의� 케이블에� 여러� 개의�온도센서를� 장착하여� 다점온도센서케이블을� 데이터로거� SDL-K에� 연결하면� 모든� 센서위치에서�

온도가�동시에�측정되고�반복측정이�가능함

▪ (주)희송지오텍은� 실시간� 지진감시를� 목적으로� 지진감시�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여� 제공.� 경기도청과�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공급관리소에�지진계측�시스템을�구축한�실적� 보유�

▪ (주)화진티엔아이는� ‘자가진단이� 가능한� 강우량� 계측� 장치를� 활용한� 기상관측� 시스템',� '자가진단이�가능한� 재난요소� 계측장치� 내장� 비상재해재난� 경보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에� 대한� 특허� 등� 관측� 및�

경보시스템�관련�특허를�바탕으로�통합방재�시스템,� 홍수� 예·경보� 시스템�등� 제품� 공급�

국내업체 자산총계 매출액매출액

증가율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률 R&D집중도

㈜지오시스템

리서치9,987� 14,621� -5.4� -0.4� 0.2� 8.1�

(주)한일에스티엠 8,184� 27,573� 50.5� 3.0� 7.8� 5.6�

이제이텍 18,901� 21,381� -10.0� 3.3� 2.8� 4.2�

소암컨설턴트 6,332� 1,172� -25.5� 8.2� 2.8� 76.2�

(주)희송지오텍 7,393� 7,277� -24.8� 0.9� -0.8� 9.6�

[� 주요� 중소기업�비교� ]

(단위:� 백만�원,%)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69

나.� 주요업체별�기술개발동향

(1)� 해외업체동향

주요국의�재난�안전� R&D� 연구는�자국의�주요�재난�극복을�중심으로�발전하고�있음

▪ 일본은� ‘전주기� 재난대응� 방재과학기술분야� R&D� 추진방안(‘12년� 수립)’을� 중심으로� 지진,� 재해에�초점을� 두고� 기술개발� 추진하고� 있으며� 지진관측� 및� 분석기술,� 재난관리� 전자지도� 고도화,�

첨단기술의�재해경감�활용기술,� 실시간�재해정보�전달기술�등에�중점을�두고� 있음

▪ 미국은� ‘국가재난과학기술� 10개년� 전략계획(‘08~‘17)’을� 중심으로� 협업시스템을� 활용한� 전재해�접근법(All-Hazard� Approach)에� 집중하고� 있으며� 초대형� 재해대응,� 사이버보안,� 바이오테러,� 현장�

대응기술,� 위험요인�경감기술�등에�중점을�두고� 있음

◎�일본의�재난관리� ICT� 현황� �

▪ 지진발생�시,� 지진피해�파악지연이�초동체제�구축지연으로�연계되지�않도록�구축▪ 지진피해조기평가�시스템(EES)과� 응급대책지원�시스템(EMS)으로�구성

*�자료:�해외�주요국의�재난관리� ICT�동향과�시사점,�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11

[� 일본의�지진방재정보�시스템� ]

◎�미국의�재난관리� ICT� 현황� �

미국은� 2002년� 9.11사태와� 같은� 테러에� 대한� 근원적인� 대처를� 위해� 국토안보부법을�

제정하여� 국가재난관리시스템의� 기능강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구축.� 이를� 기초로�

2003년에는�국토안보부(DHS:�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를� 설립함

▪ 미국� 국토안보부는� 테러의� 예방,� 대응기술� 개발� 및� 향상을� 위한� R&D� 프로그램을� 통하여� 효율적인�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70

총괄�조정기능을�담당

▪ 미국의� 재난관리� 관련� 정보시스템은� 전사적범위시스템(Enterprise-wide� Systems)과� 다수의�프로그램중심시스템(Program-centric� Systems)으로� 구성됨.� 그� 중� NEMIS는� 미국의� 국가안전관리�

정보시스템으로� 인적지원,� 인프라지원,� 예방� 및� 완화,� 비상조정� 및� 비상지원� 등의� 업무를� 지원하는�

통합된� 시스템으로� 디지털화된� 자료를� 제공하며� 재난과� 관련된� 타기관의� 시스템과� 인터페이스로서의�

역할�등을� 수행

구분 프로그램 내용

전사적범위

시스템

(Enterprise-

wide� Systems)

NEMIS •인적�지원,�•인프라�지원,� •예방�및�완화,� •긴급조정,�•긴급지원

Enterprise�

GIS

•지형공간데이터,� •홍수지도

•예방,�대비�대응�복구를�지원하기�위한� GIS� 정보

PRISM•인력�가용성�및�준비�자료,�•지원활동�인력자원,� •긴급대응팀�당번

•급여�자료,�•숙소�설명�등

LIMS •재고/자본/국채�관리,� •시스템�관리�및�보안

FMS•시설물� 관리� 데이터� :� 작업계획추적,� 작업요청,� 시설목록조정,� 취득물,� 재정관리,� 수취�

및�배분,�활동추적

IFMIS•통합�재정�관리�데이터,�•GPRA�재정�기록�데이터,�•회계�및�예산�조정,�

•조달�•관련�재정�데이터,� •취득,�•보조금,�•인원,�•재무�제표,�•외상�매출금

기타�시스템�및�

데이터베이스

•국가홍수보험프로그램�데이터베이스(National� Flood� Insurance� Program� data� base)

•대비,�교육�및�훈련�시스템(Preparedness,� Training,� and� Exercises� (PT&E)� systems)

•국가긴급조정센터(National� Emergency� Coordination� Center� (NECC))

•모바일운영센터(Mobile� Operating� Centers)

•화재사고기록시스템(National� Fire� Incident� Reporting� System� (NFIRS))

•세부서비스(Internal� Revenue� Service)

•Small� Business� Administration� (SBA)� 등

� *� 자료� :�정재동(2014),� 해외주요국의�재난관리� ICT�동향과�시사점,� KISTEP

[� 미국의�국가안전관리�정보시스템�현황� ]

(국가긴급관리정보시스템,� NEMIS)� 인적자원,� 인프라지원,� 예방� 및� 경감,� 비상조정� 및�

비상지원� 등의� 업무를� 지원하는� 통합시스템으로,� 전체� 재난의� 통합적� 관리와� 자동화된�

자원을�제공하며,� 재난관련�타�시스템들과의�인터페이스�지원�등의�기능을�제공

▪ 인적지원� :� 피해자들에�대한�정보확인,� 분석,� 결정� 및� 지원상황에�대한�정보제공과�각종�복구비�산정�및�결정� 등의� 기능

▪ 인프라지원� :� 재난의� 피해상황에� 대한� 조사� 및� 이를� 바탕으로� 복구를� 위한� 재정적� 지원을�확정·시행하는�기능

▪� 예방�및�완화� :� 재난피해를�줄이기�위한�대비활동으로�자료조사,�정보�수립�및�분석,�계획수립�등의�기능▪ 긴급조정� :� 재난에�대한�대응,� 의사결정의�지원�및� 각종� 재난관련�정보를�수집·보고하는�기능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71

▪ 긴급지원� :� 재난관련�인원,� 장비,� 지원품,� 재정관리�등에�관한�기능 (FEMA의� 지리정보시스템,� GIS)� 재난관리에� 필요한� 지리정보뿐만� 아니라� 인구,� 실시간�

재난정보,� 복구� 및� 구조를� 위한� 등록자� 정보� 등� 재난관리에� 관련된� 모든� 데이터베이스의�

연계�및�통합을�위한�핵심�기술로�사용�중

▪ GIS� 관련� 자료의� 제작과� 공급,� 관리를� 위하여� 지도제작� 분석센터� (GIS� Mapping� and� Analysis�Center)를� 설립하였으며� MAC-GIS에서는� 다양한� 방재관련� GIS� 데이터� 제공과� 함께� 침수위� 분석을�

포함한�모델링의�지원과�피해산정자료�등을�포함하는�다양한�자료로�제공

(재난� 통신을� 위한� 시스템)� 미국� 연방정부는� 공공의� 안전을� 효율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통신수단을� 확보하고,� 지자체,� 주정부,� 연방정부들� 간의� 상호� 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통신서비스를�이용

◎�기타�스마트�안전관리�해외사례

싱가포르는� RAHS� 시스템을�통하여�발굴된�각종�위험�정보를�수집�및� 가공

▪ 수집위험정보는�시뮬레이션,� 시나리오�기법�등을� 통해� 분석되어�사전에�위험을�예측� 및� 대응� 모색 미국� 구글은� 검색어를� 분석,� 세계� 각국의� 독감� 트렌드를� 예측하였고� 대부분의� 국가에서�

실측데이터�통계와�일치하는�것으로�나타남

▪ 이를�이용한�테러,� 질병�등�다양한�사회적�위험을�사전에�감지�가능

*�자료:� https://blog.naver.com/atom_eng/220572010456

[� 싱가포르의� RAHS(좌측)와� 미국� 구글의�독감� 트렌드�예상(우측)� ]

케냐의� 우샤히디(Ushahidi)는� 이메일,� 트위터,� 휴대폰� 등으로� 다양하게� 취합된� 재난현장�

정보를�웹지도상에서�보여주는�네트워크� IT� � 활용� Smart� 플랫폼

▪ 우샤히디는�아이티�지진,� 러시아�산불,� 칠레지진,� 영국� 지하철�파업� 등� 다양한�재난현장에서�활용

영국의� 패치베이(Pachube)는� 공공기관,� 민간기업,� 개인� 등이� 보유하고� 있는� 전력,� 환경� 등의�

센서정보를�개방·공유하는�플랫폼임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72

▪ 개방된�소스로�재난안전관리�시스템들간�상호연계를�지원▪ 공유데이터를�기반으로�웹프로그램,� 스마트폰앱�개발�등에� 응용� 및� 활용

*�자료:� https://blog.naver.com/atom_eng/220572010456

[� 케냐의�우샤하디(좌측)와� 영국의�패치베이(우측)� ]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73

(2)� 국내업체동향

국내의� 재난관리체계는� 재난관리� 모든� 단계의� 기능� 및� 효율성� 확보보다는� 재난� 발생� 시� 대응�

및� 진압단계에�초점을�맞춘�관리방식임

▪ 이와� 같은� 방식은�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으로� 이미� 발생한� 재난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는� 있지만�예방,� 대비단계의�점검을�통한�재난� 발생요인의�제거�및�재난규모의�축소를�기대하기는�어려움

국내의� 재난관리방식은� 재난이� 발생한� 후의� 상황수습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예방,� 경보,�

상황처리,� 복구지원,� 분석�및� 평가�등� 재난에�대한�총체적인�관리에는�문제가�있음

▪ 재난� 발생시의� 대응체계는� 재해상황에� 따라� 유형별로� 다원화� 되어� 있는데� 반해,� 관련� 주무부처간의�재난�관련� 정보의�연계가�미비하여�재난상황�발생�시� 효과적이고�유기적인�대응에�한계�

선진국의� 경우� Enterprise� GIS,� 통합� GIS� 등� 국가지리정보� 서비스� 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

과거의�재난기록�등을�재난상황�파악에�이용

▪ GIS기반의�재난피해예측,� 피해조기추정�등의�예측시스템을�구축�운영하여�신속하고�정확한�의사결정을�지원

기존의� 방식과� 같이� 재난이� 발생한� 이후의� 대응에� 초점을� 맞추는� 것뿐만� 아니라,� 축적된�

대규모� 재난정보를� 분석⦁예측할� 수� 있는� 재난� 빅데이터� 활용� 및� 분석의� 기술적� 기반을�마련하는�것이�필요� �

▪ 축적된�재난정보를�활용한�각종� 재난� 시뮬레이션을�통해�사후� 대응보다는�사전�재난� 예측� 및� 예방에�초점을�맞추는�정보기술�개발�및� 투자가�시급

*�자료:�국립재난안전연구원(참조-https://blog.naver.com/atom_eng/220572010456)

[� 스마트�빅보드�개념� ]

국가의� 담당� 부처별로� 개별� 재난유형별� 정보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보다는� 범정부적� 재난관리�

플랫폼을�기반으로�필요한�재난정보를�탑재하여�운용하는�것이�필요

▪ 재난안전연구원의� 스마트빅보드는� 플랫폼� 기반의� 재난관리� 통합� 시스템이라는� 점에서� 기존의�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74

정보시스템과�차별성�보유

*�자료:�국립재난안전연구원(참조-https://blog.naver.com/atom_eng/220572010456)

[� 소셜빅보드를�이용한�빅데이터�재난안전관리� ]

재난� 발생� 시� 전국� 단위의� 통신망� 확보를� 위한� 재난통신망을� 구축� 및� 운영하여� 국민이�

안심하고�생활�할�수�있는�사회를�실현해야�함

▪ 국가� 재난� 통신망� 구축� 시� 기존에� 구축된� 재난망과� 단말기에� 대한� 활용률에� 대해서� 면밀한� 검토를�시행하여� 기존� 장비의� 재활용을� 제고하고,� 정책적� 및� 경제적� 타당성뿐만� 아니라� 기술적� 타당성을�

함께� 검토하여� 구축하고자� 하는� 재난망이� 향후� 신기술�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토도�

필요할�것으로�예상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75

4.� 기술개발�현황

가.� 기술개발�이슈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그리고� 문제해결형� 접근을� 필요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영상�

모니터링이나� 분석이� 필요� 없는� 경우도� 있음으로� 요구자의� 접근에� 쉽게� 접근할� 있도록�

제품을�모듈화�하여�가변적으로�사용이�가능하도록�접근

유선으로� 시스템이� 구현되는� 경우도� 있으나� 광범위한� 지역에는� 무선이� 적극�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므로� 통신환경이� 좋지� 않은� 곳에서도� 대응이� 가능한� LoRa통신� 활용� 등� 통신네트워크�

강화�필요

*�자료:�에스엠인스트루먼트� ­�울진원전�진동�모니터링�시스템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76

나.� 특허동향�분석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특허�상� 주요�기술

주요�기술�

▪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은� 감시관측� 시스템� 기술로� 기상,� 지진정보� 감시� 시스템�기술,� 하천� 토양재해� 정보시스템� 기술,� 해양� 방사선� 감시시스템� 기술,� 산업안전/사고� 모니터링� 기술,�

대형� 플랜트� 감시시스템� 기술이� 있으며,� 재난관리� 통보시스템� 기술로� 재해� 판단,� 이력관리� 등�

데이터베이스�기술,� 재난발생시�알림,� 통보� 등� 정보�공유� 시스템�기술로�구분됨

분류 요소기술 설명

감시�관측�

시스템

기상,� 지진정보�감시�시스템�기술

가뭄,� 홍수,� 황사� 관련�감지�시스템�기술로서�진도�정보,� 지형,�

지반,� 인구,� 건물�등의� 정보를� GIS상에�표시하고�피해규모�

정보를�표시하여�감시,� 지원체제�지원기술

하천,� 토양재해�정보시스템�기술수위,� 우량정보,� 토사붕괴,� 토양오염�등� 하천,� 토양에서�

발생되는�관측정보를�분석,� 재해정보�모니터링�기술

해양,� 방사선�감시시스템�기술해양수위,� 방사선�관련정보�등을� 감지하여�이를�통합�분석하여�

재해정보로�판단·대응체제�지원기술

산업�안전/사고�모니터링�기술공사현장,� 공장�시설물의�폭발,� 붕괴,� 기타� 사고�등을�

스마트센서를�활용해�실시간으로�모니터링·통합� 관리하는�기술

기타�대형�플랜트�감시시스템�기술대형�플랜트�진행,� 관리�시�각종�센싱� 정보를�분석하여�사고�

발생�시�신속한�대응체제�지원�기술

재난관리

통보

시스템

재해�판단,� 이력관리�등의�

데이터베이스�기술

재난�전용�네트워크를�사용하여�여러�재난�관련� 당국�및�

정부기관들을�연결·통합관리를�위한� 데이터베이스�기술

재난발생시�알림,� 통보�등�정보공유�

시스템�기술

다양한�종류의�재난� 정보를�하나의�동일한�터미널�상에서�조합,�

첨가하여�각기�다른�기관들이�정보공유�할�수�있는� 기술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77

◎�세부�분야별�특허동향

주요�기술별�국가별�특허동향

▪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의� 요소기술별� 주요� 국가별� 특허정보� 데이터를� 입수하였으며,�최근� 5년간의�특허데이터를�비교�분석함

분류 요소기술 한국 미국 일본 유럽 계

감시�관측�

시스템

기상,� 지진정보�감시� 시스템�기술

344 344 98 74 860

하천,� 토양재해�정보시스템�기술

해양,� 방사선�감시시스템�기술

산업�안전/사고� 모니터링�기술

기타�대형�플랜트�감시시스템�기술

재난관리

통보

시스템

재해�판단,� 이력관리�등의�데이터베이스�기술

148 24 7 5 184

재난발생시�알림,� 통보�등�정보공유�시스템�기술

합계 492 368 105 79 1,044

▪� 국가별� 요소기술별� 특허동향에서� 한국이� 가장� 활발한�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미국,�일본,� 유럽�순으로�나타남

▪ 세부적으로� 감시� 관측� 시스템� 기술� 분야에서는� 미국과� 한국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유럽이�상대적으로�적은�출원량을�보유하고�있음

▪ 재난관리�통보�시스템�기술은�한국이�가장�많은�비중을�차지하고�있으며,� 유럽이�상대적으로�적은�출원을�보이고�있음

주요�기술별�출원인�동향

분류 요소기술기술�

집중도주요출원인 국내�특허동향

감시�

관측�

시스템

기상,� 지진정보�감시�시스템�기술

◕IBM

FUJI� 전자

ROCKWEL�

AUTOMATION�

TECHNOLOGIESL

국가기관(공공연구소)이�

주도

국방과학연구소,�

원자력연구소�등

하천,� 토양재해�정보시스템�기술

해양,� 방사선�감시시스템�기술

산업�안전/사고�모니터링�기술

기타�대형� 플랜트�감시시스템�기술

재난관리

통보

시스템

재해�판단,� 이력관리�등의� 데이터베이스�기술

◔대한민국-행정안

전부

㈜다울

Minimax� GmbH

국가기관(공공연구소,�

대학� 등)이� 주도

행정안전부,�

국방과학연구소,� ETRI� 등재난발생시�알림,� 통보� 등� 정보공유�시스템�기술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78

감시�관측�시스템�주요�출원인�동향

▪ 감시� 관측� 시스템은� IBM이�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ROCKWELL�AUTOMATION� TECHNOLOGIES� INC,� FUJI� 전자� 등이�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등� 미국� 및�

일본� 회사들이�주류를�이루고�있음

▪ 주요�출원인은�주로� IT시스템�통합,� 전자,� 자동차�분야로�나타남

재난관리�통보시스템�주요�출원인�동향

▪ 재난관리� 통보시스템� 기술분야는� 대한민국-행정안전부가� 가장�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다음으로는�㈜다울,� ALARMCOM,� GOOGLE� 등이� 많은� 특허를�출원하고�있음

▪ 재난관리� 통보시스템� 기술분야� 국내� 주요� 출원인은� 공공기관인� 행정안전부와� 공공기관,� 대학이�주도하고�있으며,� 기업의�경우는�대부분�중소기업이�연구개발이�활발한�것으로�나타나고�있음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분야의�주요�경쟁기술�및� 공백기술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 분야의� 주요� 경쟁기술은� 감시� 관측� 시스템� 기술이고,�

공백기술은�재난관리�통보�시스템�기술로�나타남

▪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 분야에서� 감시� 관측� 시스템� 기술이� 가장� 경쟁이� 치열할�분야이고,� 재난관리� 통보� 시스템� 기술분야는� 아직까지� 출원이� 활발하지� 않은� 공백기술� 분야로�

나타남

분류 요소기술 기술�집중도

감시�관측�

시스템

기상,� 지진정보�감시�시스템�기술

하천,� 토양재해�정보시스템�기술

해양,� 방사선�감시시스템�기술

산업�안전/사고�모니터링�기술

기타�대형�플랜트�감시시스템�기술

재난관리

통보

시스템

재해�판단,� 이력관리�등의�데이터베이스�기술

재난발생시�알림,� 통보�등�정보공유�시스템�기술

※�●:� 50건�이상,�◕:� 30~49건,�◓:� 20~29건,�◔:� 10~19건,�◯:� 10건�미만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79

◎�최신�국내�특허기술�동향

분류 요소기술 최근�핵심기술�동향

감시�

관측�

시스템

기상,� 지진정보�감시�시스템�기술각�센서와� IoT� 기술의�융합

인공지능,� 빅데이터를�활용한�모니터링�지원

GIS� 활용� 확대

설비안전,� 항공안전�등의� 관리�및�제어시스템

하천,� 토양재해�정보시스템�기술

해양,� 방사선�감시시스템�기술

산업�안전/사고�모니터링�기술

기타�대형�플랜트�감시시스템�기술

재난

관리

통보

시스템

재해�판단,� 이력관리�등의�데이터베이스�기술 통신서비스�고도화

민방위,� 재난경보,� 지진해일�경보�등�독립� 시스템의�

통합화재난발생시�알림,� 통보�등�정보공유�시스템�기술

국내� 특허동향을� 살펴보면� 공공기관은� 재난관리� 통보� 시스템� 기술을,� 중소기업은� 감시� 관측�

시스템�기술에�요구되는�센서�관련�기술을�집중적으로�연구개발하고�있는�것으로�나타남

▪ 감시� 관측� 시스템� 기술은� 공공분야로� 분류되어� 국가기관이� 지진,� 기상� 등� 예측� 및� 하천� 수위� 경보�장치� 등의� 센싱� 기술개발을� 선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중소기업과� 협력하여�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무인항공기·자동차�등� 첨단과학�기술을�이용한�안전사고�감시를�위한� 기술개발�노력�중

▪ 재난관리� 통보� 시스템� 기술� 분야는� 민방위� 경보,� 지진해일� 경보,� 재난경보,� 자동우량� 경보,� 자동음성�통보,� 재해문자�전광판,�라디오�재해경보�등이�각각�독립적인�시스템의�통합과�국가재난정보센터(NDIC)와�

재난안전데이터포털� 안전디딤돌� 앱을� 통해� 온라인으로� 국가� 재난ㆍ안전데이터를� 공개하고� 이를�

활용할�수� 있는� OpenAPI를� 제공하고�있음

◎�중소기업�특허전략�수립�방향�및� 시사점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분야의� 공백기술�분야는� 재난관리�통보� 시스템� 기술로,�

중소기업의� 시장진입이� 상대적으로� 수월한� 분야는� 안전사고의� 빅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기술로�나타남

▪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 분야는� 이제� 시장이� 형성되는� 단계이며� 정부부처에서�지속적으로�예산을�늘려가고�있는�분야

▪ 특히� 2016년� 경주지진,� 2017년� 포항지진� 등� 자연재해로� 인한� 잇따른� 안전사고가� 증가하여�해당분야�기술에�대한�관심� 및� 수요가�폭증하고�있음

▪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시스템� 관련� 기술� 개발은� 국가기관� 및� 공공연구기관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지진� 및� 강우� 감지� 등� 센서� 관련� 기술은� 중소기업이� 많이� 참여하고� 있어� 경쟁자가�

많은� 상태이며� 재난� 관리� 통보를� 위한� 시스템은� 통신사� 등� 대규모� 기업가� 연계하여� 진행되어�

중소기업�진입이�어려운�분야

▪ 하지만�재난�관련�빅데이터�분석�및� 의사결정�기술은�현재� 시장이�시작되고�있는�태동기의�시장으로�경쟁자가� 적어� 진입장벽이� 낮으며� 향후� 관련� 기술을� 연구하는� 기술을� 공공연구기관의� 기술을�

이전받거나�공동으로�연구개발하여�제품화하는�특허전략을�수립하는�것이�바람직할�것으로�사료됨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80

5.� 연구개발�네트워크

가.� 연구개발�기관/자원

◎�연구개발�기관

스마트�센서�및�환경�센서�기술�분야�주요�연구개발�기관

▪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센터장�김재준�교수)-� 스마트센서�인터페이스,� 스마트센서�소자�및� 소재,� 웨어러블�스마트센서�등� 3개� 분야를�융합� 연구

-� 자동차,� 모바일,� 산업방재�등�분야별로�특화된�사업�중심의�기술�개발

-� 관련� 중소기업의�제품�설계에서부터�양산까지�적극�지원

�▪ 전자부품연구원(센터장�이대성)-� 스마트센서연구센터를� 설립해� 나노/MEMS기반� 스마트센서,� 차세대� 입력디바이스� 및� 내츄럴� UI/UX,�

집적광학센서� 및� 소자,� 환경/바이오센서� 및� 소자,� 무선전력� 등� 자립형� 디바이스� 기술,� 스마트센서�

응용�시스템을�개발�중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SiP형� 온도/습도/가스� 복합환경센서를� 연구시제품� 수준으로� 개발하여� 중소기업에� 기술이전을� 통한�상용화를�추진하고�있음

- ETRI의� 복합환경센서는� 자체� 개발한� 반도체식� MEMS형� 폼알데하이드(HCHO) 센서, 전기화학식�MEMS형�이산화탄소(CO2)가스센서�및� 온도센서가�내장된� ROIC 칩을�이용함

▪ POSCO-� ICT� 요소� 기술� 적용� 시도(빅데이터를� 활용한� 제품불량� 및� 압연기� 고장� 사전� 예측,� 냉연,� 열연코일,�

GPS,� Bluetooth� 및� 센서를� 활용한� 작업자� 안전관리,� 공장� 신설� 및� 증설� 시� 가상현실을� 통한� 검증�

등)

▪ 에이시에스-� 실시간� 생산정보화를� 위한�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을� 제공하며� MES� 솔루션,� IoT� 센서� 및�

디바이스까지�공장�전반에�걸쳐� 하드웨어,� 미들웨어,� IT� 서비스를�제공

*�출처� :� KIET� PD� Issue� Report,� 대기환경�센서�기술동향� June� 2016.

[� 전자부품�연구원(KETI)의� 온습도센서(좌)� 및� ETRI의� 온도/습도/가스�복합환경센서�연구시제품� ]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81

◎�연구개발�자원

국가�연구개발�지원사업

▪ 산업통상자원부-� 전략핵심소재기술개발사업

-� 산업융합원천기술개발사업

-� 산업엔진�프로젝트(19대�미래성장동력)

­� 차세대�스마트러닝�산업지원센터�구축사업

-� ‘14년� 「첨단� 스마트센서�육성계획」� 발표

-� 센서산업�고도화�전문기술�개발

▪중소기업진흥공단-� 인력양성� (컨설팅� 지원사업)� :� 중소기업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하여� 성장기‧정체기�기업의�지속성장을�위한�근본체질�강화�및�글로벌�경쟁력�확보

▪ K-ICT� 스마트�디바이스�육성방안(미래창조과학부,� 산업통상자원부)-� 제조업�혁신� 3.0전략�실행대책의�후속조치

-� 성장성·경쟁력� 등을� 고려해� 10대� 스마트� 디바이스� 부품·모듈기술� 및� 스마트� 센서� 핵심� 성능� 구현을�

위한� 공정·회로설계�기술�개발

-� 스마트� 디바이스� 제품� 개발·제작·테스트를� 위한� 단계별� 맞춤형� 지원� 및� 공통� 시설·장비� 등� 제작�

지원� 환경�구축

-� 투자유치·마케팅�진행� 및� 해외�시장진출�지원

-� 스마트�디바이스�분야의�석·박사급�전문인력�양성�및� 디바이스�제작�프로그램�개발·보급�등�저변확대

▪ IoT� 서비스�적용�스마트�센서�사업� 품목� 도출(미래창조과학부)-� IoT센서� ROIC� 등� 2개�분야로�각� 과제당� 30~40억/5년(3+2년)� 지원

-� 나노인프라�연계� 2015년� 45억� 확정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wc300프로젝트로�기업�성장에�필요한�중장기�미래전략과�원천�기술개발�지원,� R&D� 지원

-� 기술혁신형�중소기업�연구인력�지원

중소기업�대상�시설�및� 장비�지원

▪ 중소기업전용연구시설(Rental� Lab)�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동연구� 수행�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하는� 중소·중견기업에게� 연구공간을� 제공하고,�

연구원�인프라(인력,� 장비� 등)를�활용한�근접�지원을�통해�기업의�생산성�및� 경쟁력을�높이고�있음

▪ 국가연구시설�장비�진흥센터� (미래창조과학부)-� 장비활용� 종합포털사이트� ZEUS를� 통해� 국가연구시설·장비의� 활용� 극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체계화하고�모두가�편리하게�이용할�수�있도록�최상의�서비스를�제공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82

▪ 산업기술개발� 장비� 공동이용시스템� e-Tube�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 e-Tube를� 통해� 산업기술� R&D에� 필요한�연구장비를�보다�쉽고,� 빠르고,� 편리하게�이용할�수� 있도록�

적극� 지원

▪ 첨단스마트센서�거점센터�구축사업((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경북지역�내�중소·중견기업�중�스마트센서�기업�및� 업종�다각화�희망기업�대상

-� 스마트센서�관련�제품개발�및� 조기�상품화를�위한�시제품�설계� 지원

-� 회로설계,� 전자기파�간섭�해석,� 소비전력�해석� SW� 지원

-� 수혜기업�기업부담금�없음�

▪ 공통서비스�인프라�구축·운영� 사업(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통신� 중소기업이� R&D� 및� 상용화� 제품� 개발에� 필요한� 애로기술� 지원,� 시험� 측정장비� 지원� 및�

고주파�시험시설을�활용한�시험지원�등에�대한� 통합기술을�지원

-� 시험지원은� 고주파� 부품,� 모듈� 등의� 고주파� 특성,� PIMD,� 신뢰성� 시험지원� 및� 민간� 시험시설� 공동�

활용을�통한� 민간시험시설을�지원

-� 장비지원은�고가의�시험·측정� 장비를� IT� 중소기업에게�임대

▪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사업� (중소벤처기업부)-� 주관기관이�보유한�연구시설과�장비,� 소프트웨어를�중소기업이�공동�활용하도록�지원

-� 연구개발과�설계�및� 디자인,� 시제품�제작,� 성능평가,� 양산� 및� 마케팅에�이르는�원스톱�지원

-� 중소기업이�첨단�고가�연구장비를�쉽게�이용할�수� 있도록�지원

▪ 시제품�제작을�위한� 시설�및�제작장비�공동�활용(K-ICT� 디바이스랩)-� 지역� 인프라와� K-ICT� 디바이스랩의�장비와�시설�현황을�공유하고�연계�활용� 추진

-� 旣� 구축된� 시제품� 제작� 지원시설을� 연계·활용� 및� 웨어러블� 특화� 장비(유연소재� 3D프린터� 등)� 추가�

구축을�통해� 웨어러블�특화�시제품�제작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83

나.� 연구개발�인력

안전사고� 대응� 지능형� 모니터링� 시스템� 분야는� 전자부품연구원,� (재)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등�기관에서�연구개발을�진행하고�있음

기관 성명 직급

전자부품연구원 이대성 센터장

전자부품연구원 김준철 센터장

전자부품연구원 김정곤 책임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박광범 수석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홍성민 책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김주영 센터장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추성중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우승탁 선임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박재률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유종호 연구원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정상훈 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김재준 센터장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박재률 선임연구원

UNIST� 스마트센서�연구센터 유종호 책임연구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송사광 실장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육진희 실장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기술� 분야� 주요�연구인력�현황�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84

다.� 기술이전가능�기술

기술이전이� 가능한� 기관은� 경북IT융합산업기술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부품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울산과학기술원�등이�있음

이전�기술에�대한�세부�내용

분류 내용

기술명 •환경�감지� IoT�응용�기술

키워드 •스마트�모바일�생활환경�센서,� 센서네트워크,�클라우드,�상황인지

기술의�개요

•모바일과� 연동� 가능한� 센서노드를� 포함하는� 환경� 계측센서� 모듈을� 사용하여�

생활뿐만� 아니라� 산업기반시설에서� 사용자� 주위에� 발생되는� 환경변화를�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고,� 무선네트워크와� 클라우드� 서버를� 통해� 주위의�

센서�정보를�공유하는�프로그램�및�시스템�기술임

기술의�구현� 수준(TRL) •시작품단계(6단계)

기술의�장점

•IoT� 환경�센서를�활용한�지능적�개인화�서비스�제공

•위험시설물의�안전관리�강화

•원격�모니터링,�사용자�편의�기능�등을�포함

활용범위�및�응용분야•환경�계측�센서�및�환경�감지�시스템�분야

•환경/안전�모니터링,�관리�네트워크�및�관리�애플리케이션�응용�분야

이전�기관�및�연락처•전자부품연구원

•기술이전�및�사업화�담당�부서:�기업협력총괄실(연락처:031-789-7616)

[� 환경�감지� IoT� 응용�기술� ]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85

6.� 기술로드맵�기획

가.� 중소기업�핵심요소기술

(1)� 데이터�기반�요소기술�발굴

[� � 안전사고�대응� 지능형�모니터링�분야�키워드�클러스터링� ]

No 주요�키워드 연관도�수치 관련특허/논문�제목

클러스터

01

safety�

device,�

control

6~8

1. SAFETY� SYSTEM� AND� CONTROL� DEVICE

2. The� save� me� project� real-time� disaster� mitigation� and� evacuation�

management� system

3. SAFETY� CONTROL� APPARATUS,� SAFETY�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클러스터

02

disaster-infor

mation6

1. A� Speculative� Control� Mechanism� of� Cloud� Computing� Systems�

Based� on� Emergency� Disaster� Information� Using� SDN

2.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user� authentication� operation�

and� power� state� that� are� controlled� depending� on� alarm� level� of�

disaster� information

3.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DISASTER�

[� � 안전사고�대응� 지능형�모니터링�분야�주요� 키워드�및� 관련문헌�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86

No 주요�키워드 연관도�수치 관련특허/논문�제목

INFORMATION� SYSTEM,� MANAGEMENT� METHOD� FOR� DISASTER�

INFORMATION,� AND� PROGRAM� FOR� MANAGING� DISASTER�

INFORMATION

클러스터

03

safety,

detection4~6

1. Power� management� in� hazard� detection� systems

2. Storm� top� detection� and� prediction

3. EARS� (earthquake� alert� and� report� system):� A� real� tim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earthquake� crisis� management

클러스터

04

natural�

disaster,�

hazard,

sensor

4~6

1. Networked� series� of� sensors� having� distributed� measurement� and�

control� for� use� in� a� hazardous� environment

2. Construction� of� a� sensor� network� to� forecast� landslide� disasters:�

Sensor� terminal� development� and� on-site� experiments

3. SYSTEM� FOR� MULTI-PHASE� MANAGEMENT� OF� A� NATURAL�

DISASTER� INCIDENT

클러스터

05

disaster-

recovery,

recovery4~6

1. Method� and� apparatus� for� seamless� management� for� disaster�

recovery

2. Developing� a� system� of� systems� management� framework� fo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recovery

3. Relief� network� model�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and�

disaster� recovery

클러스터

06

wireless-com

munication,

message

4

1. Networked� series� of� sensors� having� distributed� measurement� and�

control� for� use� in� a� hazardous� environment

2. Wireless� sensor� network� in� disaster�management

3. Efficient�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using� wireless�

communications� technology� to� aid� disaster� victims

클러스터

07

safety-mana

gement,

power-mana

gement

6

1. Software-framed� interface� of� GIS-aided� system� of� decision� and�

management� for� planning� of� urban� hazard� prevention

2. Lack� of� safety� management� system� led� to� fatal� explosion

3. Development� of� the� three-Dimensional� hazard� and� risk�

assessment� methodology� for�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systems� in� petroleum� industry

클러스터

08

storm-water,

notification4~6

1. Flow� control� device� for� a� storm� water� management� system

2. Intelligent� safety� deposit,� safety�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3. System� and�method� for� temporary� storm� water� drainage� control

클러스터

09

hazard�

detection,�

program

4

1.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 APPLICATION�

PROGRAM� FOR� A� SAFETY� CONTROLLER

2. POWER� MANAGEMENT� IN� LINE� POWERED� HAZARD� DETECTION�

SYSTEMS

3. Apparatus� and� Method� of� Configuring� and/or� Programming� a�

Safety� Control

클러스터

10

application-p

rogram,

remote-cont

rol

4

1. System� And� Apparatus� For� Item� Level� Inventory� Management�

Within� A� Virtual� Warehouse� Established� For� Short-Term� And�

Long-Term� Disaster� Relief� Operations

2. MULTI-THREADED� SERVER� CONTROL� AUTOMATION� FOR�

DISASTER� RECOVERY

3. SYSTEMS� AND� METHODS� FOR� SAFETY� LOCKING� OF� OPERATOR�

CONTROL� UNITS� FOR� REMOTE� CONTROL�MACHINES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87

(2)� 요소기술�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한�요소기술�도출

분류 요소기술 출처

스마트�센서� 및�

영상� 기술

스마트�센서�및�영상�정보� 모니터링�기술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재난안전�사고� 정보�융합처리용�플랫폼�개발�기술

기술/시장�분석,� 기술수요,�

전문가추천,�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사고�상황�인식�

기술

AI를�활용한�안전사고�상황�분석� 및� 종합인식�기술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빅데이터�기반�안전사고�예측� 기술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사고�대응�기술 안전사고�정보� 종합�및�상황�전파기술/시장�분석,� 특허/논문�

클러스터링,� 전문가추천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88

(3)� 핵심요소기술�선정

확정된�요소기술을�대상으로�중소기업에�적합한�핵심요소기술�선정

분류 핵심요소기술 개요

스마트�센서� 및�

영상� 기술

스마트�센서�및�영상�정보�

모니터링�기술

다양한� IoT센서로부터�입력되는�데이터를�체계적으로� �

모니터링�하여�서버에�저장�및�관리하고�분석시스템에서�

융합하여�활용� 가능하도록�저장하는�기술� �

재난안전�사고�정보�

융합처리용�플랫폼�개발�

기술

센서정보와�영상정보를�유연하게�연결시켜주기�위한�통합�

플랫폼기술로써�영상분석이�형상� 및� 컬러�정보에�의존하는�

한계점을�해결해�주는� 기술� �

사고�상황�인식�

기술

AI를� 활용한�안전사고�상황�

분석�및�종합인식�기술AI를�활용하여�안전사고�발생�및�전조�상황을�인식하는�기술

빅데이터�기반�안전사고�

예측�기술

축척된�센서� 및� 영상정보를�빅데이터�기법을�활용�분석하여�

재난발생�패턴을�찾고� 발생�가능성이�높은�상황을�예측하여�

경보하는�기술�

사고�대응�기술안전사고�정보� 종합�및�상황�

전파

안전사고�정보�공유� 표준을�정립하여�모니터링�된�정보�

가운데�수요기관에�정보를�공유하고,� 정보� 제공에만�그치지�

않고�사고초등�대응을�포함한�단계적으로�안전사고에�

대응하는�기술� �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

▣�▣�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

289

나.� 안전사고�대응�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기술로드맵

최종�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기술/시장� 니즈,� 연차별� 개발계획,� 최종목표� 등을� 제시함으로써�

중소기업의�기술개발�방향성을�제시

▣�▣�기술개발�테마� 현황분석�▣� ▣

290

다.� 연구개발�목표�설정

핵심요소기술별�최종목표는�아래와�같이�기술요구사항과�연차별�개발목표로�제시함

분류 핵심요소기술 기술요구사항

연차별�개발목표

최종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스마트센서�

및�영상

스마트센서�및�

영상정보�모니터링�

기술

감지�감도

(ppm)

1~10

ppm

0.1~1

ppm

0.01~0.1

ppm

0.01ppm�

고감도�센서�

기술개발

재난안전�사고�정보�

융합처리용�플랫폼�

개발�기술

표준화�유형 1개�분야 2개�분야 4개�분야

실시간�안전�

관리�플랫폼�

기술�개발

사고�상황�

인식

AI를�활용한�안전사고�

상황�분석� 및�

종합인식�기술

응답시간

(초)60초 40초 30초�이내

피해�예상을�

분석�및�예측�

시간�최소화

빅데이터�기반�

안전사고�예측�기술

응답시간

(초)60초 40초 30초�이내

피해�예상을�

분석�및�예측�

시간�최소화

사고�대응안전사고�정보�종합�

및�상황�전파

알림�시간

(분)10분� 이내

6분�

이내

3분�

이내

3분�이내의�

피해예상�지역�

경보

[� 안전사고�대응� 지능형�모니터링시스템�핵심요소기술�연구목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