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30
동동동동동 동동동동 동동동동동 동동 동동 2010. 08. 12 - 동동동동동동동 / 동동동 동동 -

Upload: seung-min-shin

Post on 13-Jan-2015

2.806 views

Category:

Business


3 download

DESCRIPTION

2010년08월 작성본.작성자는 저와 함께 근무했던 이현주씨입니다.(이 친구 남자예용)

TRANSCRIPT

Page 1: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동남아시아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 조사

2010. 08. 12 - 마케팅사업본부 / 이현주 사원 -

Page 2: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Contents

1. 인도네시아

2. 태국

3. 필리핀

4. 말레이시아

5. 싱가포르

6. 베트남

Page 3: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3

1. 인도네시아

일반 현황

항목 내용 비고

국가개요

면적 190 만 km² 한반도의 9 배

인구 2 억 3,000 만 세계 인구 4 위

지리 섬 지형 주요 섬들은 세계에서 인구밀도가 제일 높음( 자바 , 수마트라 , 보르네오 , 파푸아 , 술라웨시 섬 )

경제지표

1 인당 GDP 2,200 달러

실업률 8.3% 2008 년

물가상승률 11.1% 2008 년

규제기관

방송위원회 2002 년 말 설립

세부지표

2008 년 2007 년 07 년 대비 성장률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ICT 이용

인구 100 명당 인터넷 이용자 7.9

0.39 106

5.8

0.25 111 56

36

인구 100 명당 유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0.2 0.1 100

인구 100 명당 무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3.5 1.5 133

ICT 접근성

인구 100 명당 유선전화 회선수 13.4

2.60 106

8.7

2.04 110 27

54

인구 100 명당 이동전화 가입건수 61.8 41.6 49

인터넷이용자 대비 국제 인터넷 대역폭 1,515 606 150

컴퓨터 보유 가구 비율 6.4 5.9 8

인터넷 접속 가능 기구 비율 1.4 1.3 8

ICT 활용 능력

중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79.4

6.33 95

75.8

6.19 99 2

5

고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18.5 18.0 3

성인 지식율 (literacy rate) 92.0 92.0 0

Page 4: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4

1. 인도네시아

방송산업 현황

인도네시아 방송 시장은 가장 정치적 규제가 심한 것으로 유명하며 , 정부의 정책 기조에 비판적인 방송사업자는 허가권을 파기 당할 수 있음

동남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TV 시청가구를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료 TV 보급률은 낮은 편이며 , 향후 발전 가능성은 매우 높을 것으로 평가 받는 국가임

유료 TV 시장의 경우 , 불법 시청 규모가 크고 유료서비스에 대한 거부감이 높아 성장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으나 점차 유료 TV 사업자의 CAS 도입이 증가함에 따라 불법 시청 규모가 감소하고 , 유료 TV 가입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

위성방송이 시장을 리딩하며 , PT MNC Sky Vision 社가 전체 유료방송 시장의 65% 를 차지함

구분 내용 비율 비고

인구 2 억 4,200 만 - 세계 인구 4 위

가구 수 6,150 만 - 가구당 3.9 인

TV 수신 가구 수 3,715 만 60%

지상파 3,585 만 96.5% TV 수신 가구 수 대비

유료방송 가구 수 130 만 3.5% Source: 아시아 위성 & 케이블방송사 협회 (CASBAA), 2010

케이블 40 만 1%

위성 88 만 2.7% Source: CASBAA, 2009 1Q / In-Stats, 2008 2Q

IPTV N/A -

2007 2008 2009 -

50

100

150

50 75

112

유료방송 가입가구 수Source: PricewaterhouseCoopers LLP

단위 : 만 가구

Page 5: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5

1. 인도네시아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지상파 1 개의 공영방송사와 , 다수의 민영방송사 체재로 시청점유율 측면에서 민영방송사의 영향력이 압도적

구분 가입자 수 주요 사업자

지상파 TV 3,228 만 TVRI, SCTV, Indosiar, ANTV, Global TV, RCTI, TPI, TransTV, MetroTV

케이블 TV 40 만 PT FirstMedia, TelkomVision, IndosatM2

위성 TV 88 만 PT MNC Sky Vision, TelekomVision, Astro Nusantara

IPTV N/A Telekom Indonesia

사업자 특징 내용

TVRI 유일한공영방송사

인도네시아 유일의 방송사였으나 , 1989 년 정부가 민영방송국 설립을 허용하면서 독점적 지위 상실 전국 23 개 지역방송국 및 376 개 중계소 보유 인구의 82% 커버리지 보유

SCTV 최대민영방송사

1990 년 설립 . 자카르타 및 주변 지역에 종합편성 방송 제공 전국 47 개 중계소 및 248 개 도시에 방송을 제공 전국의 79% 커버

In-dosiar

2 위민영방송사

인구의 80%, 국토의 75.8% 커버

RCTI 최초의민영방송사

1989 년 방송 개시 SCTV 와 시청률 1 위 경쟁 치열

Page 6: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6

1. 인도네시아

케이블 인도네시아 케이블 방송은 1995 년 부터 시작되었으며 , 현재 3 개 사업자가 있음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PT First Media 15 만 인도네시아의 대표 케이블 TV 사업자로 “ Home Cable” 브랜드로 서비스 제공 중 2010 년 8 월 ADB 사의 HD 양방향 STB 솔루션 채택 (MHP)

TelkomVision 25 만 인도네시아 국영통신사업자“ Telekom Indonesia” 의 자회사 케이블뿐만 아니라 위성방송까지 서비스 인도네시아 11 개 지역에서 위성방송과 아날로그 케이블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중

Jakarta, Bandung, Surabaya 지역에서는 디지털 케이블방송 서비스를 제공

IndosatM2 N/A 인도네시아 2 위 통신사업자인 indosat 의 자회사로 , 케이블 TV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가입자 규모는 집계되지 않음 소규모로 추산됨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PT MNC Sky Vision

85 만 2 개의 위성 방송 서비스 브랜드 보유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하는 “ Indovision”과 , 보편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 Top TV”

Indovision 인도네시아의 대표적 방송 서비스로 , 1994 년 아날로그 방송 개시 후 1997 년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 . 가입자 규모는 81 만 (2009 1Q)

Top TV 가입자 규모 파악 안됨 NDS 우호적 파트너쉽 (CA, MW 채택 )

TelkomVision N/A 케이블 TV 와 함께 DTH(Direct to Home) 위성 서비스 “ Yes TV” 제공

PT Nusantara Vision

7 천 5백 2008 년 12 월 위성방송 서비스 “ OkeVsion” 런칭 2008 년 10 월 사업을 철수한 합작 법인회사 Astro Nusantara 가 재 진출한것으로

추정됨

AORA Televi-sion

2 만 3 천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최근에 출범한 유료 방송사업자

위성 Indovision 과 Astro Nusantara 체제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음

Page 7: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7

1. 인도네시아

IPTV 유선 브로드밴드 보급률이 1% 에 불과해 IPTV 서비스에 필요한 인프라가 매우 부족한 상황이나 , 정부는

Telekom Indonesia 에 IPTV 상용화 계획을 승인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Telekom In-donesia

없음 2008 년 8 월 산하 계열사 “ PT Indonusa Telemedia” 는 홍콩의 PCCW Interna-tional Limited 와 IPTV 서비스 제공을 위한 MOU 를 체결 및 공동 투자

Telekom Indonesia 는 IPTV 제공을 위한 인프라 업그레이드에 2009 년 11 월까지 1 조 루피아 (1 억 5백만 달러 ) 를 투자하였으며 , 상용 서비스는 2010 년 9 월 시작할 예정

서비스는 자카르타 , Surabaya, Medan, Bali 를 포함한 5 개 도시를 시작으로 점차 확대해갈 예정이며 , 서비스 개시 2~3 년 내에 Telkom 일반 유선전화 가입자의 40% 를 IPTV 가입자로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함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 DVB-T 방식 채택 및 2018 년 ASO(Analog Switch-Off) 계획 2008 년 8 월 인도네시아 공영방송 TVRI 는 자카르타에서 디지털 지상파 방송 (DTT) 시범서비스를 시작 2008 년 8 월 인도네시아 정부가 발표한 1 차 계획안에 따르면 , 2013 년부터 디지털 전환 작업을 시작하여 2014

년 경 주요 대도시 , 2018 년 경 전국 커버리지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음

시장 전망 수 많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지리적 특성상 유선 통신 시장보다 이동통신 시장이 발달 되어 있고 , 브로드밴드

보급율이 1% 에도 못 미쳐 IPTV 가 제대로 정착되기 쉽지 않아 보임 반면 위성 방송이나 모바일 방송 쪽의 전망은 밝음 리서치 기관 Media Partners Asia 에 따르면 인도네시아 유료방송가입율은 현재 3.5% 에서 2017 년 까지

16.3% 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Page 8: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8

2. 태국

일반 현황

항목 내용 비고

국가개요

면적 51 만 km² 한반도의 2.5 배

인구 6,350 만

경제지표

1 인당 GDP 4,100 달러

실업률 1.4% 2008 년

물가상승률 4.2% 2008 년

규제기관

국가통신위원회(NTC)

2004 년 10 월 설립

향후 NTC 의 기능을 통합한 NBTC(National Broadcasting Telecommunication Commission)을 설립할 계획이며 , 설립 전까지 NTC 까 방송 산업에 대한 감독 책임 부여

세부지표 2008 년 2007 년 07 년 대비 성장률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ICT 이용

인구 100 명당 인터넷 이용자 23.9

0.89 86

20.0

0.74 78 20

20

인구 100 명당 유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1.4 1.4 0

인구 100 명당 무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0.5 0 -

ICT 접근성

인구 100 명당 유선전화 회선수 10.4

3.41 80

10.5

3.05 81 12

-1

인구 100 명당 이동전화 가입건수 92.0 79.1 16

인터넷이용자 대비 국제 인터넷 대역폭 3,422 1,645 108

컴퓨터 보유 가구 비율 19.6 17.0 15

인터넷 접속 가능 기구 비율 8.6 7.3 18

ICT 활용 능력

중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86.9

7.74 52

83.5

7.56 52 2

4

고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51.4 49.5 4

성인 지식율 (literacy rate) 94.1 94.1 0

Page 9: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9

2. 태국

방송산업 현황

태국은 2008 년 1,545 만 TV 보급가구가 2009 년 9 월 1,790 만 가구로 증가 하였으며 , 이 같은 추세 속에 유료방송 시장도 급속히 성장하여 전체 TV 수신 가구 수의 26% 가 유료방송에 가입되어 있음

기존 방송법엔 위성 TV 와 케이블 TV 사업자 관련 규제가 없어 제대로 관리되지 못했으나 , 2007 년 7 월 신규 방송법 통과에 따라 관련규정이 신설돼 지역 별로 분산돼있던 유료 방송사가 양성 됨

유일한 전국권역사업자와 지역 케이블ㆍ위성방송사로 양분된 시장 구조이며 , 유료방송사업자의 광고 규제가 풀려 광고가 허용되고 있지만 그 수준은 아직 낮은 상황

태국도 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불법 시청이 유료방송 시장 성장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구분 내용 비율 비고

인구 6,470 만 -

가구 수 1,860 만 - 가구당 3.5 인

TV 수신 가구 수 1,790 만 94% Source: In-Stats 2009

지상파 1,330 만 78%

유료방송 가구 수 460 만 26% Source: AGB Nielsen Survey 2009. 08

케이블 310 만 18% Source: AGB Nielsen Survey 2009. 08

위성 150 만 9% Source: AGB Nielsen Survey 2009. 08

IPTV 3 천명 0.02%

Page 10: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0

2. 태국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구분 가입자 수 주요 사업자

지상파 TV 1,330 만 MCOT, Television of Thailand, TPBS, ABTV, BBTV, BEC

케이블 TV 310 만 True Visions 외 다수 지역케이블 사업자

위성 TV 150 만 True Visions UBC (United Broadcasting Corporation)

IPTV 3 천명 True, ADC, TT&T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BBTV N/A BANGKOK BROADCASTING & TV COMPANY 일 평균 40% 이상의 시청률을 자랑하는 태국 내 시청률 1 위 방송사

BEC N/A Bangkok Entertainment Co 26.1% 시청률의 태국 최대 민영방송사

지상파 BBTV, BEC 2 개 사업자의 압도적인 시청 점유율 장악

케이블 & 위성 합법적인 전국 커버리지 사업자로는 Truevisions 가 유일하며 , 499 개 지역 케이블 사업자와 양분된 시장 구조

형성 TrueVisions 케이블 가입자 160 만 , 위성방송 가입자 150 만 , 지역 케이블 가입자 150 만 태국케이블 TV 협회 300 개 회원사 보유 – 전체 유료 TV 시장의 74% 점유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True Visions 케이블 160 만 위성 150 만

태국 유일의 전국 커버 케이블 및 위성 TV 서비스 제공사 Kuband 상에서 디지털 MPEG2 압축 방식을 사용한 디지털 DTH 위성방송 서비스

제공 True 의 자회사인 True Multimedia 의 HFC 네트워크를 통해 디지털 ·

아날로그방식의 케이블방송을 제공 영화 , 스포츠 , 정보 , 뉴스 등을 유료로 제공하고 있으며 , 일부 무료 채널도 제공함 2008 년 초 PVR 서비스 제공을 위해 OpenTV 미들웨어 “ Core2” 및 Iderto CA

채택

Page 11: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1

2. 태국

IPTV IPTV 는 태국인들에게 인지도가 매우 낮은 편이며 , 대형 통신 기업을 중심으로 시장 도입 단계임 광대역 서비스의 확산과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수요 증대에 따라 IPTV 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높은 편임

시장 전망 기존 아날로그 방식으로 인해 불법 시청자 비중이 높았던 태국 유료 TV 시장은 보안이 어려운 안테나 기반에서

케이블 기반으로 설비전환을 가속화 하고 CAS 를 도입함에 따라 빠른 성장이 예상되며 특히 케이블의 성장이 주목됨 IPTV 는 유선 브로드밴드 인프라가 부족한 만큼 유료 TV 시장을 주도하기는 어려울 전망

디지털 전환 계획 DVB-T 방식 채택 , 2015 년 ASO(Analog Switch-Off)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True 3,000 명 (2008. 09)

2009 년 기준 15 개 채널을 비롯한 가라오케 온디맨드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으며 , 대중을 대상으로 하기보다는 상류층 및 외국인을 위한 프리미엄 서비스로 타깃을 잡고 있음

ADC N/A 통신사업자 AIS 와 TOT 의 합작법인으로 , 2006 년부터 방콕지역에서 TOT 의 DSL망을 통해 IPTV 서비스 제공

TT&T N/A ADC, True 에 이어 세 번째로 IPTV 를 출시 . 12 개 무료 채널 제공 IPTV 인프라 구축 및 콘텐츠 개발에 3백만 달러를 투자했으며 , 2009 년 말까지 2

만 가입자 확보 계획을 밝혔으나 가입자 규모는 파악되지 않음

Page 12: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2

3. 필리핀

일반 현황

항목 내용 비고

국가개요

면적 30 만 km² 한반도의 1.5 배

지리 섬 지형

인구 9,140 만

경제지표

1 인당 GDP 1,800 달러

실업률 6.3% 2008 년

물가상승률 9.3% 2008 년

세부지표 2008 년 2007 년 07 년 대비 성장률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ICT 이용

인구 100 명당 인터넷 이용자 6.2

0.51 99

6.0

0.32 103 59

3

인구 100 명당 유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1.2 0.6 100

인구 100 명당 무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7.0 2.8 150

ICT 접근성

인구 100 명당 유선전화 회선수 4.5

3.30 86

4.4

2.83 93 17

2

인구 100 명당 이동전화 가입건수 75.4 64.6 17

인터넷이용자 대비 국제 인터넷 대역폭 8,393 1,887 345

컴퓨터 보유 가구 비율 21.0 18.3 15

인터넷 접속 가능 기구 비율 13.8 12.3 12

ICT 활용 능력

중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81.7

6.72 83

81.4

6.73 82 0

0

고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26.8 27.3 -2

성인 지식율 (literacy rate) 93.4 93.4 0

Page 13: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3

3. 필리핀

방송산업 현황

필리핀의 유료방송 가입자는 120 만으로 알려져 있으나 , 방송사업자들은 가입자 수 공개로 인한 세금 납부를 피하기 위해 가입자수를 제대로 공개하지 않음 (CASBAA 는 170 만 가구로 추정 )

유료 TV 가입자는 대부분 케이블 TV 가입자이며 , 2001 년 전국 600여 개 사업자가 난립했으나 , 현재 Sky Cable 과 Global Destiny Cable TV 등 2 개 사업자가 지배적 위치에 있음

미디어 그룹 소유자들은 정치 · 경제적 위협으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거대하고 강력한 가족 기업을 유지하고 있음

170

1,222

유료 TV 지상파 TV

필리핀 유료방송 가입자 현황

Source: CASBAA

구분 내용 비율 비고

인구 9,140 만 -

가구 수 1,780 만 - 가구당 5.1 명

TV 수신 가구 수 1,340 만 75% Source: In-Stats 2009

지상파 1,270 만 94.7%

유료방송 가구 수 약 120 만 9% Source: CASBAA 2009

케이블 113 만 8.4% 유료방송 가구 수의 대부분이 케이블 TV 가입자

위성 12 만 0.9%

IPTV N/A -

단위 : 만 가구

Page 14: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4

3. 필리핀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구분 가입자 수 주요 사업자

지상파 TV 1,270 만 국영 (PTNI, IBC, RPN) / 민영 (ABC, ABS-CBN, GMA-7)

케이블 TV 113 만 Sky Cable, Global Destiny Cable TV, Cable Link, Central CATV, Pacific CATV

위성 TV 12 만 PMSI

IPTV N/A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Sky Cable 50 만(2007)

전체 케이블 시장의 1/3 을 차지하는 대표 사업자 지상파 방송사이면서 글로벌 미디어 기업인 ABS-CBN 를 소유하고 있는 Lopez

그룹의 자회사로 , 2001 년 지배적 통신사업자 PLDT 의 케이블 부문 자회사였던 HomeCable 을 인수함

Global Destiny Cable TV

8 만 2003 년 필리핀 Destiny Cable 과 대만 Global Cable 이 합병하여 만들어진 사업자

케이블 1,500여 개 법인이 정부로부터 합법 승인 받음 높은 불법 시청가구 비율로 인해 합법적인 시청가구보다 불법 시청가구가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됨 디지털케이블 TV 는 수도인 마닐라 지역을 중심으로 확대되어 오다가 최근 들어 점차 인근 지역으로 확대 중 케이블 사업자들은 네트워크 투자 비용 등 자본 기반이 취약해 , Sky Cable, Destiny Cable 등 메이저

케이블사만이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마저도 서비스 지역이 마닐라 등으로 매우 제한되어 있음 필리핀케이블협회 326 개 사업자 가입

Page 15: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5

3. 필리핀

위성

IPTV IPTV 서비스는 PLDT 사가 유일하고 , 2008 년 사업 계획을 발표한 BayanTel 사는 아직까지 진척이 없는 상태 IPTV 의 기본 인프라인 인터넷 통신망 보급이 지연되고 있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 향후 IPTV 의 빠른 도입은

어려울 것으로 보이나 한국기업들이 교민을 상대로 IPTV 를 도입 운용하고 있어 여건이 성숙되면 바로 상용화 단계로의 전환이 가능할 것으로 보임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PMSI (Philip-pine Multi-Me-dia System, INC)

N/A 2001 년 4 월 필리핀 최초 디지털 위성방송 서비스 런칭 “DBS(Dream Broadcast System)” 라는 브랜드로 51 개 채널을 DTH(Direct-To-

Home) 방식으로 서비스 중

FUBC (First United Broad-casting Corp)

N/A Global Destiny Cable 과 Solar Group 조인트 벤처사인 GBMI(Global Broad-casting and Multimedia) 가 소유한 위성방송 사업자

2009 년 6 월 “ G-SAT” 런칭

Dream Satel-lite TV

4 만 5 천 Conjuangco家 소유의 위성방송 사업자 30 개 채널 서비스

Mediascape N/A 통신사업자 PLDT 그룹 계열의 미디어 투자회사이며 , 2009 년 7 월 위성방송 서비스 “ Cignal Digital TV” 런칭

NDS End-to-End 솔루션 (CA, MW, EPG) 채택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PLDT (Philip-pine Long Dis-tance Tele-phone Com-pany)

N/A 필리핀 제 1 위 통신사업자 2009 년 10 월 자사의 ‘myDSL’ 브로드밴드 가입자들을 대상으로

내셔널지오그래픽 등 7 개의 채널을 무료로 제공하는 IPTV 서비스 ‘Watchpad’ 출시

2009 년 상반기 기준 PLDT 의 'myDSL‘ 가입 가구 수는 51 만 가구임

Page 16: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6

3. 필리핀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 현재 디지털 지상파 방송 (DTT) 서비스 없음 필리핀의 디지털 전환 완료 시점은 2015 년이며 2010 년 이후 아날로그 TV 방송사 라이선스 발급을 중단할

예정임 유럽 방식인 DVB-T/H 방식을 고려하다가 , 최근 ISDB-T 를 디지털 표준으로 선정

Page 17: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7

4. 말레이시아

일반 현황

항목 내용 비고

국가개요

면적 32 만 km² 한반도의 1.5 배

인구 2,770 만

경제지표

1 인당 GDP 6,896 달러

실업률 4% 2009 년 3 분기

물가상승률 1.3% 2009 년 2 분기

규제기관

The Malaysian Communications & Multimedia Commission (MCMC)

세부지표 2008 년 2007 년 07 년 대비 성장률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ICT 이용

인구 100 명당 인터넷 이용자 55.8

2.43 44

55.7

2.18 42 11

0

인구 100 명당 유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4.9 3.8 29

인구 100 명당 무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9.0 3.4 165

ICT 접근성

인구 100 명당 유선전화 회선수 15.9

4.38 62

16.4

3.89 63 13

-3

인구 100 명당 이동전화 가입건수 103 87.9 17

인터넷이용자 대비 국제 인터넷 대역폭 4,254 2,778 53

컴퓨터 보유 가구 비율 38.7 31.3 24

인터넷 접속 가능 기구 비율 21.1 15.2 39

ICT 활용 능력

중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69.8

6.19 98

69.1

6.19 98 0

1

고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24.3 24.9 -2

성인 지식율 (literacy rate) 91.9 91.9 0

Page 18: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8

4. 말레이시아

방송산업 현황

TV 보급률이 높으며 , 무료 지상파 TV 와 유료 위성 TV 가 대부분의 점유율 차지하고 있음 위성 TV 사업자가 유료 TV 시장에서 압도적 점유율 기록 , IPTV 가입자 수는 미미한 편이며 케이블 TV 의 경우

‘Mega TV’ 라는 서비스가 있었으나 , 위성방송의 벽을 넘지 못하고 서비스 중단

구분 내용 비율 비고

인구 2,770 만 -

가구 수 600 만 - 가구당 4.6 명

TV 수신 가구 수 533 만 89%

지상파 268 만 50%

유료방송 가구 수 265 만 50% Source: CASBAA 2009

케이블 N/A -

위성 265 만 50% Source: Astro 2009

IPTV N/A -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

50 100 150 200 250 300

143 159 180 196 212 265

유료방송 가입가구 수 Source: ASTRO

단위 : 만 가구

Page 19: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19

4. 말레이시아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구분 가입자 수 주요 사업자

지상파 TV N/A RTM, Media Prima

케이블 TV - -

위성 TV 265 만 Astro

IPTV N/A Telekom Malaysia, Network Guidance, REDtone International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RTM N/A 주요행사 방영 , 이슬람 종교 및 교육 /문화 관련 프로그램 집중 방영

Media Prima N/A 시청률 1 위 채널 TV3 를 비롯 , 지상파 채널 4 개를 보유하여 약 50% 의 시청점유율 차지

지상파

위성 유일한 사업자 Astro 가 위성 뿐만 아니라 유료방송 시장을 완전 장악하고 있음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Astro 265 만 (2009) 80여 개 채널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 제공 주식정보 , 이메일 전송 , 양방향 게임 , SMS 등의 부가서비스 제공 2009 년 12 월 HD 방송 , 개선된 EPG 등을 제공하는 차세대 서비스 “ ASTRO

B.yond” 를 야심차게 런칭함 본 서비스 도입을 위해 Pace STB, NDS MW, CAS 를 채택하였고 , 이는 Pace 의 첫 번째 아시아 HD 고객을 확보이기도 함

2010 년엔 세계 최초로 외장 하드 디스크에 비디오 녹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 향후 2 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DVR, VOD, IPTV 연동을 소개할 것이라고 밝힘

Page 20: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0

4. 말레이시아

IPTV

디지털 전환 계획 2007 년 3 월 DVB-T 를 디지털 지상파 표준으로 공식 채택하고 2015 년까지 디지털 전환을 완료할 계획 아직 아날로그 서비스만 제공되고 있어 디지털 전환 준비가 늦은 편이나 , 2012 년에 19 개의 디지털 지상파 채널을

송출할 계획

시장 전망 Astro 가 다년간 유료 TV 시장을 지배해왔음을 고려할 때 , 향후 디지털 지상파 서비스가 Astro 의 경쟁상대로

부각될 가능성이 높으나 Astro 의 지배력이 쉽게 약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임

구분 가입자 수 주요 사업자

Telekom Malaysia

N/A Kulim 지역 1 만여 가구 시범서비스를 거쳐 2009 년 4Q ‘Hypp. TV’ 브랜드 런칭 2010 년 3 월 HSBB(High Speed Broadband) 서 비 스 를 런칭 하 면 서 IPTV

서비스도 부가서비스로 함께 제공

Network Guid-ance

N/A 브로드밴드 기반의 VOD 서비스 ‘ Fine TV’ 런칭 . 실시간 TV 는 지원하지 않으며 가입자 유치에 고전하는 것으로 알려짐

REDtone Inter-national

N/A 2010 년 2 월 ‘ DETV’ 런칭 . 앞으로 5 년 이내 가입자 10 만 명을 목표로 하고 있음

Maxis Com-munications

N/A 2010 년 5 월 Klang Valley 지역의 약 50여 가구를 대상으로 IPTV 시험방송 시도

Page 21: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1

5. 싱가포르

일반 현황

항목 내용 비고

국가개요

면적 690 km²

인구 460 만

경제지표

1 인당 GDP 37,293 달러 2009 년

실업률 2.3% 2008 년

물가상승률 6.5% 2008 년

세부지표 2008 년 2007 년 07 년 대비 성장률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ICT 이용

인구 100 명당 인터넷 이용자 73.0

5.81 5

69.2

4.84 8 20

5

인구 100 명당 유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21.7 20.0 9

인구 100 명당 무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65.3 42.8 53

ICT접근성

인구 100 명당 유선전화 회선수 40.2

8.02 10

41.5

7.81 10 3

-3

인구 100 명당 이동전화 가입건수 138 132 5

인터넷이용자 대비 국제 인터넷 대역폭 66,578 33,671 98

컴퓨터 보유 가구 비율 80.0 79.0 1

인터넷 접속 가능 기구 비율 76.0 74.0 3

ICT 활용 능력

중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74.1

7.07 71

74.1

7.07 68 0

0

고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43.8 43.8 0

성인 지식율 (literacy rate) 94.4 94.4 0

Page 22: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2

5. 싱가포르

방송산업 현황

싱가포르는 110 만 가구의 소규모이나 유료방송 가구의 비율이 높고 인근 국가에 비해 디지털 방송 비중이 높은 시장

지상파와 케이블방송은 독점사업자에 의해 운영되고 있으며 2007 년 IPTV 가 개시되며 케이블과의 경쟁구도를 갖춤

MediaCorp( 지상파 ), StarHub( 케이블 ) 두 사업자가 견고한 시장을 구축하고 있고 , 위성방송은 법으로 금지됨

싱가포르 정부는 별도의 신규방송사 인가 또는 경쟁 체제 구축보다는 소비자 권익보호 수준에 머무르고 있음 규제기관인 The Media Development Authority 는 유료방송사업자에게 무료 지상파 채널을 의무 전송하도록

규제하고 있음

구분 내용 비율 비고

인구 460 만 -

가구 수 110 만 - 가구당 4.2 인

TV 수신 가구 수 108 만 86%

지상파 108 만 100%

유료방송 가구 수 74 만 68% Source: StarHub, Singtel 2010

케이블 54 만 1 천 50% Source: StarHub 2010

위성 - -

IPTV 20 만 18.5% Source: Singtel 201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

20

40

60

80

32 38 39 41 48 50 53

62 74

유료방송 가입가구 수Source: CASBAA, SNL Kagan, StarHub, SingTel

단위 : 만 가구

Page 23: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3

5. 싱가포르

방송 플랫폼 별 사업자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 DVB-T 를 디지털 방송 표준으로 선정하고 MediaCorp 이 2006 년 6 월 HD 급 디지털 지상파 방송 시범서비스를 개시 ,

2007 년 11 월 HD 본방송 실시 2012 년까지 MediaCorp 의 전 채널을 디지털 방식으로 송출할 계획이나 별도의 아날로그 방송 중단 로드맵 발표는 없었음

기타 미디어 개발 위원회는 올 8 월 싱가포르에서 개최되는 “ 2010 청소년 올림픽 게임”을 모든 플랫폼 ( 지상파 , 케이

블 , IPTV, 온라인 ) 에 3D 로 방송할 계획

구분 가입자 수 사업자 내용

지상파 TV

108 만 MediaCorp 유일한 지상파 방송 사업자로 , 싱가포르 전체 TV 방송 서비스를 제공

케이블 TV

54 만 1,000명

(2010 1Q)

StarHub 2000 년 설립된 종합방송통신사업자로 , 케이블 TV 뿐만 아니라 , 통신부문 서비스도 제공

HFC망을 활용해 브로드밴드와 디지털케이블 TV 서비스를 제공중이며 , 2006 년 12 월 세계 최초로 DOCSIS 3.0 장비를 상용화해 100Mbps 급 브로드밴드 서비스를 제공 중

2010 년 1 분기 기준 가입자의 100% 가 디지털케이블 TV 가입자 모바일 TV 서비스 강화 : Triple-Play “hubbing” 전략의 일부분으로써

모바일 플랫폼 “ Intelligent Video Platform” 구축 SeaChange 의 “ Adrenalin” 모바일 비디오 시스템을 도입 기존 VoD 플랫폼 활용을 위한 back office software 도입 멀티 모바일 디바이스 지원을 위한 인코더 도입

위성 TV - - -

IPTV 20 만(2010. 04)

SingTel 2007 년 7 월 “ mio TV” 서비스 런칭 4 개의 지상파 HD 채널을 포함 총 42 개 채널을 제공하며 , 가입자는 원하는

채널을 선택적으로 구입해 시청 가능 마이크로소프트 “ MediaRoom” 플랫폼 도입 2009 년 1 분기 분기 순증가 가입자 측면에서 1 만 8 천 명으로 Starhub 의

케이블 TV 순 증 가입자 3 천 명을 따돌리고 빠르게 증가하고 있음

Page 24: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4

6. 베트남

일반 현황

항목 내용 비고

국가개요

면적 32 만 km² 한반도의 1.5 배

인구 8,800 만

경제지표

1 인당 GDP 1,059 달러

실업률 4.7% 2008 년

물가상승률 17.6% 2007 년

세부지표 2008 년 2007 년 07 년 대비 성장률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조사수치 발전지수 순위

ICT 이용

인구 100 명당 인터넷 이용자 23.9

0.93 83

20.8

0.77 74 21

15

인구 100 명당 유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2.4 1.5 60

인구 100 명당 무선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0 0 -

ICT접근성

인구 100 명당 유선전화 회선수 34.0

3.76 72

33.1

2.84 92 32

3

인구 100 명당 이동전화 가입건수 80.4 27.6 191

인터넷이용자 대비 국제 인터넷 대역폭 2,403 704 241

컴퓨터 보유 가구 비율 10.2 8.7 17

인터넷 접속 가능 기구 비율 6.5 5.0 30

ICT 활용 능력

중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69.6

5.85 105

69.6

5.83 104 0

0

고등교육기관 총 취학률 12.2 11.8 3

성인 지식율 (literacy rate) 93.8 93.7 0

Page 25: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5

6. 베트남

방송산업 현황

구분 내용 비율 비고

인구 8,800 만 -

가구 수 2,200 만 - 가구당 4 명

TV 수신 가구 수 1,890 만 86%

지상파 1,570 만 83%

디지털 지상파 200 만 10% Source: CASBAA 2009

유료방송 가구 수 320 만 17% Source: CASBAA 2009

케이블 210 만 11% Source: Directorate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Information, MIC

위성 20 만 1% Source: CASBAA

IPTV 2 만 0.1% 초기단계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발전 속도를 보이는 국가 중 하나로 , 글로벌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유료방송 시장은 2009 년도 5% 성장함

허가 받은 유료방송 사업자는 약 47여 개로 , 케이블의 폭발적인 성장이 유료방송 시장을 견인하고 있음 일부 케이블 방송사업자를 제외한 지상파 및 위성 방송사 대부분이 국영방송사임 주요 사업자들은 경기 회복기를 위한 대규모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어 글로벌 경기 회복에 따른 유료방송 시장 성장이

가장 기대되는 국가로 평가 받고 있으며 , 국민의 60% 가 25 세 이하인 점을 감안하면 시장은 더욱 커질 전망 그러나 불법 시청에 대한 수요도 많아 유료방송 시장 성장의 발목을 잡는 요소로 작용함 CASBAA 에 따르면 , 2009 년도 불법 방송 시장 규모는 1,500 만 $ 에 이르며 유료방송 시장 성장과 함께 동반

성장할 것으로 전망됨

Page 26: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6

6. 베트남

방송 플랫폼 별 주요 사업자

구분 가입자 수 주요 사업자

지상파 TV 1,570 만 VTV, VTC, BTV, 호치민 TV, 하노이 TV

케이블 TV 210 만 VCTV, HCTV, SCTV

위성 TV 20 만 VTC, VSTV, HTV, AVG, VTV

IPTV 2 만 VNPT, FPT Telecom, VTC Digicom

사업자 디지털지상파 서비스 내용

VTV (Vietnam Television)

O 정부에 의해 통제되는 방송사업자 지상파 방송뿐만 아니라 케이블방송 ( 자회사인 VCTV 활용 ), 위성방송까지

제공하며 시장 지배적 위치를 확보 유일의 전국 네트워크 방송으로서 현재 6 개 지상파 채널과 34 개 케이블 TV, 20 개

위성방송채널 운영 유일의 전국 네트워크 방송으로써 PAL 전송 방식 채택

VTC O 정보통신부 산하 디지털 방송사로 , DVB-T 플랫폼 이용

BTV O 빈즌성 인민위원회가 운영하는 방송국으로 , 현재 DVB-T 방식을 이용 빈즌성 메콩델타주 지역에서 24 개 채널 제공

호치민 TV O 호치민시의 공식 TV 채널로 , 전국 시청률 2 위 DVB-T 방식으로 7 개 채널 제공

지상파 40여 개의 무료 지상파 (Free-to-Air) 채널이 서비스 되고 있으며 , 디지털 지상파 가입 가구 수 200 만 보유

Page 27: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7

6. 베트남

케이블 2010 년까지 전국을 광케이블로 연결하고자 하는 정부의 초고속 국가 정보망 구축 계획에 따라 지속적으로 발전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VCTV (Viet-nam Cable Television)

N/A 베트남 북부의 대표적인 케이블 TV 사업자이자 , VTV 의 자회사 전국 대상으로 40 개 채널 제공

HCTV (Hanoi Cable Network Television)

N/A 하노이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60 개 채널 제공

SCTV (Saigon-tourist Cable TV)

N/A Saigontourist Holding Co 와 VTV(Vietnam Television) 의 조인트 벤처사로 , 베트남 남부의 대표적인 케이블 TV 사업자

2005 년 8 월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 개시

2003 ~ 2006 ~ 2008 2009 -

100

200

300

7.946

99

210

케이블 가입 가구 수Source: Directorate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Information, MIC

단위 : 만

Page 28: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8

6. 베트남

위성 2008 년 베트남 최초의 자체 인공위성 ‘ Vinasat-1’ 확보를 시작으로 시장 성장 중 인구의 70% 가 도시 바깥 지역에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타 플랫폼 대비 경쟁력이 충분히 있음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VTC (Vietnam Television Cor-poration)

N/A 2009 년 홍콩의 위성통신사 AsiaSat 과 제휴하여 베트남 최초로 HD DTH 서비스 런칭

30 개 HD 채널과 70 개 SD 채널 서비스 제공 VTC 에 따르면 최근 월 가입자가 전월 대비 150% 씩 증가하고 있다고 함

VSTV (Viet-nam Satellite Digital Televi-sion)

N/A 케이블 방송사업자 VCTV 와 Canal+ 가 설립한 합작 조인트 벤처 회사 2009 년 6 월 , 케이블 방송사업자 VCTV 는 프리미엄 DTH 패키지 제공을 위해

프랑스의 Canal+ 와의 5,400 만 달러 규모의 합작 조인트 벤처를 설립 계획 발표 2010 년 1 월 “ K+” 라는 브랜드명으로 50여개 이상의 채널로 런칭 나그라 CAS 도입 Canal+ 에 따르면 , 2009 년 폴란드 , 베트남 순 가입자 25 만 9 천명을 모집했다고

HTV (Ho Chi Minh City TV)

N/A Vinasat-1 방송 라이선스를 획득한 사업자

AVG (AUDIO VISUAL COMPANY JSC )

- An Vien Goup 의 합작지주회사이며 , NSS-6 위성을 통한 DTH 서비스를 런칭 계획 발표

2010 년 4Q 를 타겟으로 80여개 채널을 서비스할 계획

VTV N/A 2004 년 10 월 말레이시아의 위성을 사용하여 DTH 서비스 개시 현재 VTV 1~5 채널 ( 무료 ), 과 11 개 채널 ( 유료 ) 제공

Page 29: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29

6. 베트남

IPTV ISP 라이선스 보유 업체는 총 18 개 사업자로 , 이중 VNPT, FPT, Viettel, EVN, SPT 등 5 개 업체가 주요

플레이어임 브로드밴드 가입자 연간 150% 성장 및 3백만 돌파에 따라 , 통신사업자들의 IPTV 진출 러쉬 시작

사업자 가입자 수 내용

FPT Telecom 2 만 2009 년 4 월 정식 서비스 “ iTV” 런칭 호치민 , 하노이 , 투다우모트 , 비엔호아 등 4 개 도시에서 45 개 채널 , VOD, 뉴

스 , 라디오 , 스토리지 , 메신저 , 투표 등의 서비스를 지원하는 IPTV 서비스 상용화 2011 년까지 1백만 가입자 확보 예상

VNPT (The Vietnam Posts and Telecom-munications Group)

N/A 2009 년 9 월 하노이 지역에 정식 서비스 “ MyTV” 런칭 오디오 채널 , Time-Shift TV, VoD, 게임 , 노래방 등 서비스 제공 브로드밴드 시장 지배력을 기반으로 ( 점유율 60%) 가장 영향력 있는 IPTV

사업자로 성장할 전망이며 유료방송시장 내에서도 강력한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됨

ZTE 의 end-to-end IPTV 채택 Verimatrix 의 Content Security “VCAS” 및 “ VideoMark” 채택

Viettel N/A IPTV 시장 진출 계획 발표

VTC (Vietnam Television Cor-poration)

N/A 2010 년 7 월 자회사인 Saigon Post and Telecommunications Services Corpo-ration (SPT) 를 통해 “ LamSonTV” 런칭

15 개 HD 채널을 포함한 86 개 채널과 VOD, PVR, 음악 , 노래방 서비스 제공 Minerva 의 “ iTVManager” 플랫폼 채택

Page 30: 동남아시아 주요국가 방송사업자 현황(2010)

30

6. 베트남

디지털 전환 추진 현황 베트남 정부는 2001 년 3 월부터 하노이를 중심으로 DVB-T 송출을 시작했으며 , 이후 호치민으로 범위를 확대해

시범서비스를 통한 기술검증을 실시해 왔음 이후 VTC 가 2005 년 4 월 , 정식으로 DTT( 디지털지상파 TV) 라이선스를 확보해 3 년 간 현지 및 해외

프로그램을 방영하기 시작했으며 , 이어 SCTV 가 DVB-C 기반 디지털케이블 TV 를 , BTV 와 HTV 가 각각 DTB-T 와 DVB-C 서비스를 개시

베트남은 방송 제작과 송출이 모두 정부의 계획 하에 관리되며 2020 년 100% 디지털 전환을 목표로 함

국내업체 교류 현황 2006 년 10 월 IPTV 및 홈네트워크 전문업체인 유빌리온이 베트남 국영기업과 호치민시에 공동 R&D센터

설립을 통해 IPTV셋톱박스와 DTV+IP셋톱박스 복합 제품의 출시를 추진한 바 있음 2008 년 포스데이타 컨소시엄이 Viettel 과 필드테스트를 진행했으며 , 포스데이타는 관련장비 및 단말을 제공

시장전망 VTV 와 VTC 에 의해 진행중인 케이블 TV 와 위성 TV 의 디지털화가 촉진됨에 따라 국제 호텔과 정부기관 등을

중심으로 디지털 TV 수상기 교체수요가 대거 발생할 전망이라고 함 지상파 , 케이블 , 위성 , IPTV 까지 모두 정부의 통제를 받는 구조상 방송의 공공재적 성격은 지속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