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최종 드라마a (1) (1)

Post on 26-May-2015

428 Views

Category:

Documents

4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1

사극 속 새로운 인물상의 등장정통사극에서 퓨전사극으로

드라마 A조

이해솔 권태연 서희림 전지원 이미진

INDEX

2

1. 서론(1) 사극열풍의 시대(2) 사극의 정의(3) 정통사극과 퓨전사극의 차이

2. 퓨전사극 속 새로운 인물상1) 역사적 인물의 재해석

(1) 장희빈 vs 장옥정, 사랑에 살다(2) 대왕세종 vs 뿌리 깊은 나무

2) 비주류 직업에 종사하는 인물(1) 제중원(2) 왕과 나

3)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1) 장희빈(2002)(2) 대장금

3. 결론(1) 정통사극에서 퓨전사극으로의 변화 이유(2) 변화의 의의(3) 긍정적인 전망과 부정적인 전망

3사극 열풍의 시대

4

사극이란 ?

역사적인 사건이나 인물을 소재로 한 드라마

• 정통사극: 역사적 자료를 중심으로 하며 작가의 상상력을 가미하되 픽션과 현대적 감각을 자제

• 퓨전사극: 역사를 바탕으로 하되 현대적으로 재해석되고 창조되어 현대극과 유사하게 전개

5

정통사극

퓨전사극

6

정통사극 vs 퓨전사극

• 역사적 자료 중시

• 정치극, 전쟁극

• 중,장년 연기자

• 남성 왕 중심

• 자유로운 해석현대적 말투, 의상, 머리 포함

• 독특한 소재

• 젊은 연기자 등장

시청자 연령층 확대

• 인물을 보는 새로운 관점

7

역사적 인물의 재해석

초등교육과 1337003 권태연

8

내용순서

1. 장희빈 vs 장옥정, 사랑에 살다

: 기존 이미지의 변화

2. 대왕세종 vs 뿌리 깊은 나무

: 새로운 면모의 발견

9

숙종에 대한 지고지순한 사랑으로 인해 비극적 운명을 맞이하는 순정녀. 당쟁의 희생물로 그려짐.

장희빈의 재해석

악독하고 표독스러운 모습으로 어진 인현왕후를모질게 핍박해 몰아내는요부.

10장희빈의 재해석

11

장희빈의 재해석

•인현왕후전을 기반으로 한 기존의 사극에서 탈피1

•장희빈이 악녀가 된 이유를 시대 상황을 고려하여 서술2

•고정관념 속의 인물에 대한 새로운 접근3

12세종대왕의 재해석

13

세종대왕의 재해석

세종의 영웅화 : 백성들과 민족의 영웅

지배층의 시각

자애로운 세종대왕의 백성에대한 사랑

세종의 탈영웅화 : 인간적이고 평범한 이 도의 모습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공존

세종대왕의 백성에 대한애증관계

VS

14

세종대왕의 재해석

•업적이라는 결과보다 그 과정에 주목1

•세종대왕이라는 익숙한 칭호를 쓰기보다 ‘이도’라는 생소한 본명을 사용2

•현재의 우리에게 교훈을 주는 열린 결말3

15

비주류 직업에 종사하는 인물

교육공학과 1346013 서희림

16

내용 순서

1. 기존 사극 속의 직업 및 계층

2. 사극 속 직업의 다양화 추세

3. ≪제중원≫

4. ≪왕과 나≫

17

기존 사극의 직업 및 계층 묘사

• 왕족, 사회 지배층 중심

• 직업보다는 계급 중심의 인물묘사

- 왕, 중전과 후궁, 장군 등

19

1. 제중원

• 실제인물 박서양을

모티프로 한 드라마

• 백정 출신의 조선 최초의외과의사 황정

• 백정 → 제중원 의사

20

• 비교대상 : 허준(1999)

- 유명한 역사적 인물 중심

- 궁중 어의로서의 허준

1. 제중원

21

• 백정의 아들, 황정

1. 제중원

22

• 백정의 아들, 제중원 외과의사가 되다.

1. 제중원

23

• 조선시대 환관 김처선을

중심으로 한 드라마

• 환관의 일대기를 그린

최초의 사극

• 사랑하는 여인을 위해

스스로 거세한 내시의

감동적 일대기

2. 왕과 나

24

• 비교대상 : 왕과 비(1999)

- 세조의 왕위 찬탈부터 연산군의 폭정까지 그린 드라마

- 성종과 폐비윤씨, 인수대비 중심의 인물과 갈등묘사

2. 왕과 나

25

• 환관 김처선의 사랑이야기

2. 왕과 나

26

• 내시부의 충신 김처선

2. 왕과 나

27

비주류 직업 등장의 의의

•인물의 영웅성보다는 현실적인 유능함 부각1

•다양한 직업적 역할과 특징 묘사

→ 인물 소재의 다양성2

•사회적 차별과 편견 극복3

28

새로운 여성상의 등장

영어교육과 1340031 전지원

29

목차

1. 정통사극의 여주인공

1) 현모양처형

2) 악녀형

2. 퓨전사극의 여주인공

1) 운명 개척자형

30

1. 들어가는 말

31

새로운 여성상은 무엇일까?

⇒정통사극과 퓨전사극의 비교를 통해

32

2. 정통사극의 여주인공1) 현모양처형

• ①희생적 모습

드라마 <장희빈> 속 인현왕후

• ②음모에 당함

드라마 <꽃들의 전쟁> 속 세자빈 강씨

332. 정통사극의 여주인공

2) 악녀형

• ①성적 매력으로 남성을 유혹함

• ②음모를 꾸밈

드라마 <장희빈> 속 장희빈 드라마 <여인천하> 속 경빈 박씨

343. 퓨전사극의 여주인공

1) 운명 개척자형

드라마 <대장금> 속 장금 드라마 <선덕여왕> 속 선덕여왕

35

결론

정통사극에서 퓨전사극으로의 변화 이유퓨전사극에서 새로운 인물상 등장의 의의

퓨전사극 열풍 동향의 전망

교육공학과 1346022 이미진

36정통사극에서 퓨전사극으로의 변화 이유

사회적가치관의변화

시청자의수요변화

퓨전사극으로

추세 변화

37

퓨전사극에서 새로운 인물상 등장의 의의

여성상

비주류재해석

사극의 장르적 외연 확장

시청자의 욕망 충족 기회 확장

38긍정적인 전망

39부정적인 전망

40

Q & A

41

감사합니다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