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2020 it21 · 2020. 9. 23. · %jhjubmö /fxö %fbmö 5fdiopmphzö &ttfoujbmtö Ââ× ßö...

Post on 17-Oct-2020

0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Digital New Deal Technology Essentials

디지털 뉴딜 기술 핵심

IT21Global Conference2020

Session 2-3

Healthcare Interoperability (헬스케어 상호운용성)

김일곤 교수 (경북대학교)

[요약문]

헬스케어 상호운용성은 인공지능,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데이터 전달, 공유, 신뢰, 분석 필요성과 가능성을 충족시키기 위한 전제적 방법을 지칭하는 다른 한

편으로, 특정 컨텍스트(Context)를 의미있게 기술적으로 컴퓨터가 잘 전달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이고, 정보기술(IT)를 헬스/헬스케어 영역에 채택한 최종목표

이기도 하다. 헬스케어 상호운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온토로지(Ontology)를 근간으로 한 국제용어표준(SNOMED, LOINC, ICD 등)을 기본적으로 채택해야 하고, 헬스

케어 영역에서의 많은 이해당사자들이 추구하는 제각기 다른 목표들을 달성시켜 줄 수 있는 보건의료기술 국제표준들(ISO/HL7 V2 메시징, ISO/HL7 V3 CDA, HL7 FHIR,

ISO IDMP, DICOM, CDISC 등) 또한 채택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힘이 많이 든다. 하지만, 이런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국제표준 채택, 활용에 관한 기본인프라를 갖추지

않고, 활용하고 싶은 서비스 발굴, 분석, 예측을 노력한다고 해서 달성할 수 없다는 실제를 직시해야 한다.

[발표자 약력]

1980년 서울대학교 수학교육학 학사

1991년 서울대학교 계산통계학과 전산과학 박사

1992년~ 현재 경북대학교 IT대학 컴퓨터학부 교수

1997년~1998년 미국 죠지타운대학교병원 ISIS 연구소 방문연구자

2003년~2016년 지능형진료지원및정보공유시스템개발연구소장

2006년~2019년 국가기술표준원 보건의료정보 기술위원회 의장

2007년~2009년 한국정보과학회 인공지능연구회장

2017년~2018년 대한의료정보학회 부회장

관심분야 : 의료정보, 블록체인 헬스케어, 인공지능 등

- 407 -

- 408 -

- 409 -

- 410 -

- 411 -

- 412 -

- 413 -

- 414 -

- 415 -

- 416 -

- 417 -

- 418 -

- 419 -

- 420 -

- 421 -

- 422 -

- 423 -

- 424 -

- 425 -

- 426 -

- 427 -

- 428 -

- 429 -

- 430 -

- 431 -

- 432 -

- 433 -

- 434 -

- 435 -

top rel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