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삭도 시범사업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Post on 12-Jan-2020

2 Views

Category:

Documents

0 Downloads

Preview:

Click to see full reader

TRANSCRIPT

국립공원 삭도 시범사업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신청서

- 요 약 -

강원 도

기자설명회 보조자료

2015.4.29(수) 10:30

- 1 -

설악산 오색 케이블카 사업신청서

- 요 약 -

1. 변경요지

◦ 설악산 국립공원 공원시설(삭도) 신설

2. 변경의 목적 및 사유

◦ 국립공원 탐방객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탐방객을 분산 수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설의 도입이 필요함

- 지속적인 탐방객 증가로 탐방로에 인공구조물이 늘어나고 답압에 의한 공원 탐방로

훼손이 증가하고 있어 공원환경을 그대로 보전하면서 탐방객을 수용하고 국립공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로운 시설의 도입이 필요

- 유럽 등 환경보호 선진국에서도 삭도가 환경친화형 탐방시설로 일반화되어 있고 최근

기술향상 등으로 자연환경을 그대로 보존하면서 설치가 가능한 만큼 오색삭도 설치

사업의 적극적 검토가 필요

◦ 국립공원은 생태계 및 자연경관의 보호․관리가 최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하나, 세계화와 고령화 사회의 진입으로 증가하는 국민여가 및 관광․휴양 수요의 일부를 충족

시켜 나가 생태서비스를 제공하여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어야 함

- 지금까지 잘 보전되고 건강한 생태계의 국립공원이 우리 국민들이 바라던 기대가치

였다면 이제는 이를 통해 국민들이 적극적으로 혜택을 향유할 수 있는 탐방복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음1)

- 국립공원연구원의 2013 국립공원 탐방이용형태연구 결과2) 59.2%의 탐방객이 3시간이내의 탐방활동을 선호하고 있어 짧은 시간에 설악산의 자연환경과 경관을 동시에

체험 할 수 있는 시설 설치가 필요함

- 장애인·노약자 등 사회적 약자도 국립공원의 생태자연경관을 똑같이 향유할 수 있도록 하여 평등권과 행복권을 보장함으로써 선진 복지국가를 실현 하는데 기여함

◦ 설악-금강권의 새로운 관광자원을 조성하여 설악산을 세계적인 국립공원으로 육성

하고, 관광과 문화를 융․복합하여 부가가치를 극대화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 양양국제공항의 활성화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등을 계기로 설악산을 세계적인

국립공원으로 한 단계 상승시킬 수 있는 기회로 삼을 필요가 있음

1) 환경정책(2014.winter, issue & report, 국립공원 보전의 메카에서 복지의 메카까지)

2) 2013 국립공원 답방이용행태 연구(2014, 국립공원연구원)

- 2 -

3. 변경의 내용과 규모

1) 내 용

◦ 공원시설 변경 내역

구 분 공원시설명 기 정 변 경 증 감 비 고

교통·운송시설 삭 도 1 2 증)1 신설

(단위: 개소)

◦ 기존의 삭도 : 설악산 삭도(설악동 소공원~권금성) 1.2km 2) 규 모

구 분 내 역

위 치  강원도 양양군 설악산국립공원 남설악 오색지구

노 선  설악산의 오색리 466번지 ↔ 끝청 하단(해발1,480m)

총 길 이 3.5 km (수평거리 3,492m / 경사거리 3,673m)

계 3.4 km (3,399m)

공원자연보존지구 2.9 km (2,934m)

공원자연환경지구 0.5km (465m)

공원구역 외 0.1km (93m)

중간지주 6개

사업비 460억원 (국비 50%, 도비 15%, 군비 35% )

형식 1선식 자동순환식(Monocable Detachable Gondola),8인승

반기(cabin) 수 53+3대(상수,오폐수용)

운행속도 4.3m/s(15.48km/h), 편도 15분 11초

수송능력 시간당 최대 수송인원 825명

이격거리 대청봉에서 상부정류장까지 1,412m(직선거리)

4. 사업의 시행기간 : 2015년 ~ 2018년

◦ 실시설계 및 인허가 : 2015년 ◦ 조성공사 : 2016년 ~ 2017년 10월 ◦ 시운전 : 2017년 11월 ~ 2018년 1월

- 3 -

5. 노선현황

상부정류장EL 1,480m

하부정류장

지주1

지주2

지주3

지주4

지주5

지주6

하부가이드타워1,2

상부가이드타워

기존 탐방로(한계령-대청봉)

기존 탐방로(오색-대청봉)

구 분 X좌표 Y좌표

하부정류장 609050.0063 151782.9566

안전지주1 609080.0409 151784.3423

2 609087.1520 151784.6704

중간지주

1 609243.2707 151791.8730

2 609765.5751 151815.9701

3 610351.8515 151843.0185

4 610950.3885 151870.6326

5 611712.8223 151905.8082

6 61286.0505 151925.6410

안전지주 1 612505.8423 151942.3949

상부정류장 612570.4788 151945.3770

설악산 오색삭도 위치 좌표값

대청봉▲

상부정류장(1,480m)

끝청▲

하부정류장(공원구역 외

공원 외

3,492(3,673)

지주 단면도

- 4 -

◆ 노선의 선정

1) 1,2차 신청시 부결사유

가. 1차(오색~대청봉 인근) 부결 사유

◦ 심의시기 : 제97차 국립공원위원회(2012. 6. 26)

◦ 부결사유

- 상부지역은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아고산 식생대로서 학술적, 생물다양성 측면에서 보전

가치가 매우 높은 지역임

- 상부지역과 지주의 위치가 아고산식생대 보호를 위한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과 설악산

천연보호구역(천연기념물 제171호) 내에 위치

- 상부지역은 대청봉 스카이라인에 위치해 있어 탐방공간 설치시 스카이라인 훼손 우려됨

나. 2차(오색~관모능선) 부결 사유

◦ 심의시기 : 제105차 국립공원위원회(2013. 9. 25)

◦ 부결사유

- 멸종위기종 산양의 주요서식지로 보호 필요성 큰 것으로 판단

- 삭도 이용자의 경관적 만족도 미흡 및 대청봉 탐방 압력 가중 예상

- 오색지구는 지형적 입지여건이 협소하여 교통체증 유발 등 친환경 교통대책 미흡

2) 3차 신청 노선 선정

가. 선정사유

◦ 삭도설치 가이드라인 및 검토기준에 부합한 노선으로 선정

- 상부정류장이 주봉인 대청봉과 직선거리 1.4km 이격

- 상부정류장의 위치는 특별보호구역 및 아고산식생대를 회피

- 끝청 능선과 115m 고도차이로 스카이라인 보호

- 멸종위기종인 산양의 주요서식지를 피함

- 대청봉, 귀때기청봉, 서북능선, 동해, 주전골, 점봉산 조망이 가능하며 대청봉 탐방압력을

차단하는 폐쇄형 계획

나. 대안노선 선정

◦ 오색-끝청하단(해발1,480m)노선을 최종노선으로 선정

- 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 아고산식생대, 백두대간 마루금 등 보호구역을 회피한 지역

- 멸종위기종 산양의 출현빈도가 낮아(무인카메라 1회, 배설물 3회) 주요서식지를 회피한 지역

- 주봉(대청봉)과 이격거리가 충분(직선거리1.4km)하여 기존 등산로와 회피가 가능한 지역

- 법정보호종 식물이 발견되지 않음

※ 16개 대안노선을 원점에서 재검토(별첨, 16개 노선 참조)

- 5 -

6. 제원표

구 분 내 역 비고(2차신청)

정격수송용량 825 인/시간 977

운행속도 4.3 m/s 6.0

주행시간 15분11초 분 약 13분

반기(캐빈)간격 148.45 m 221

반기(캐빈)수량 53+3 대 41+2

반기(캐빈)정원 8 인 10

수평길이 3,492 m 4,411

경사길이 3,673 m 4,527

용도구역별 거리

(공원외/환경/보존)93 / 465 / 2,934 m 64/328/4,019

운행길이 3,673 m 4,527

고도차이 1,114 m 1,019

중간지주 6 개 6

지주

간격

(m)

수평거리 177/521/586/605/764/468/371 m 440/373/612/850/1039/624/473

경사거리 185/543/610/647/823/482/383 m 452/382/628/872/1067/640/486

지주높이(m) 32/47/56/34/32/39 m 47/47/32/33/32/47

삭도 폭 5.2 m 6.2

최대경간 764 m 1,039

구동장치 하부역사 하부역사

반전장치 상부역사 상부역사

반전활차(직경) 5,200 mm 6,200

출력(정상운행) 약 540 내외 kw 약 621

출력(설비용량) 약 710 내외 kw 약 845

긴장장치 유압식 유압식

예삭 직경 54 mm 52

- 6 -

7. 조 감 도

1) 상부정류장(공원구역)

상부정류장 층별 면적(㎡)

지하1층 발전실, 기계실 등 200.49

지상1층 승하차장, 운전실 등 539.91

지상2층 전망홀 160.21

소 계 900.61

2) 하부정류장(공원구역 외)

하부정류장 층별 면적(㎡)

지하1층 반기(캐빈)보관실 등 1,182.53

지상1층 승하차장 등 1,357.84

지상2층 판매/카페테리아 319.80

소 계 2,860.17

- 7 -

3) 산책로 계획(상부)

구 분 길이(m)

면적(㎡)

상부정류장 - 883

전망데크 - 1,175산책로

(W=2.0~4.5m h=2.0m) 655 1,581

원형녹지 - 16,260

계 655 19,900

산책로 단면도

전망데크 단면도

4) 노선 조감도

- 8 -

5) 상부전망대 전경사진

< 대청봉 >

< 점봉산 및 등선대 >

- 9 -

8. 사업의 규모 (단위: 백만원)

구 분 계 2015 2016 2017 2018

계 46,000 2,100 17,908 25,553 439

순공사비 41,761 - 16,208 25,553 -

1)삭도공사 27,108   11,249 15,859  

2)토목공사 824   824 -  

3)건축공사 7,951   3,644 4,307  

4)조경공사 3,288     3,288 -

5)전기공사 1,462   491 971  

6)소방통신공사 1,128     1,128  

기타사업비 4,100 2,100 1,700 - 300

1)설계조사비 3,800 2,100 1,700    

2)시운전/부대비용 300       300

취득세 139       139

9. 사업의 효과

1) 경제성 수익성 및 타당성(B/C NPV, IRR 등) ◦ NPV는 15,577백만원, IRR은 7.76%로 순현재가치(NPV)가 0이상이고, 내부수익률

(IRR)이 사회적할인율 5.5%를 상회하므로 본 사업은 사업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비용편익비율이(B/C Ratio) 1.124로 1보다 크게 나타나므로 본 사업은 타당성이 있음

탑승인원(2018년기준) 탑승요금 NPV IRR B/C

532,227명 13,144원 15,577백만원 7.76% 1.124

※ KEI 검증의뢰 : 2015. 3. 313)

2) 경제적 파급효과

◦ 건설에 따른 파급효과(2015년~2018년) 및 운영에 따른 파급효과(2022년-운영후 5년)를 분석하여 사회·경제적 파급효과를 추정함

구분

생산유발효과(억원)

고용유발효과(명)

부가가치유발효과(억원)

계 건설 운영 계 건설 운영 계 건설 운영

강원지역 676 576 100 706 561 145 308 258 50

강원 외 지역 401 356 45 227 204 23 1135 119 16

전국지역(계) 1,077 932 145 933 765 168 443 377 66

3) 객단가는 회귀분석 값인 14,500원에 노약자 등 할인율을 적용한 13,144원을 제시하였으며, 환경보존기금(운영수익의 15%)은 비용에 반영하여 분석의뢰함

- 10 -

3) 사회적 비용․편익효과가. 사회적 비용효과

◦ <생태환경적 비용> 삭도의 지주와 상하부정류장 공사시 장비에 의한 소음․진동 및

CO, NO2, SO2, 건설장비에 의한 폐유 등 오염물질이 배출되며 토사이동 및 토사적치시 비산먼지가 발생하는 등 생태환경적 비용 발생하며 이러한 요소들을 해소하기 위한

보존․복구비도 발생됨 ◦ <상부지역 탐방압력> 탐방객이 삭도의 상부지점에 집중되는 효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완벽한 정상통제 및 생태보존을 위한 각종 관리비용이 초래됨

◦ <운영시 혼잡비용> 지역의 관광거점을 찾는 과도한 방문객으로 인한 혼잡비용 발생. 일반적으로 차량운행비용과 시간손실비용 즉 통행시간 비용이 발생하며 특히 통행시간

비용은 교통혼잡으로 인해 발생하는 시간손실비용을 의미하며 집중에 따른 불편으로

생활에 미치는 비용도 발생

나. 사회적 편익효과

◦ <생태복지 효과> 어린이, 노약자, 장애인에게도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감상할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사회적 형평성과 배려로 국민 전체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효과

◦ <재난․안전 효과> 국립공원 역시 공원탐방객들의 안전 확보를 위한 여건 조성이 필수적이므로 삭도 정류장 내 통신중계기를 설치함으로서 설악산 탐방객의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됨

◦ <홍보 및 소통활동 확대> SNS, GPS 등 다양한 통신기기를 활용하여 설악산 홍보활동, IT기술을 활용한 체험활동을 촉진하고 사회소통의 장을 마련하는 효과가 기대됨

◦ <올림픽 효과> 2018 평창동계올림픽 유치로 외국인에게 설악산 국립공원의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 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관광산업의경쟁력과 올림픽 유치의 효과가 확산

◦ <관광산업 활성화> 장기적으로는 설악-금강권 관광특구 조성에 기여하고, 설악-금강 관광특구의 글로벌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임

◦ <생태교육> 고지대의 생태환경 등을 직접 체험함으로 생태체험 학습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 ◦ <환경연구 효과>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환경연구 장비와인력 배치가 수월하고,

환경변화로 발생하는 동식물의 변화와 이동을 쉽게 관찰하고 연구할 수 있음

다. 가치측정

◦ 오색삭도의 건설 및 운영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1,077억, 부가가치유발효과 443억에 이르며 고용유발효과는 933명에 달함

◦ CVM기법을 응용한 삭도설치의 가치 측정4) 결과에 의하면 케이블카 설치시 편익가치는 457억~520억으로 설치하지 않았을 때의 29억~36억 보다 무려 15배 차이를 보임

◦ 향후 동서고속도로 개통, 동계올림픽 개최, 양양공항 활성화와 연계되면 효과가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설악-금강권 관광벨트 실현으로 글로벌 관광거점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큼4) 강정길. 박사논문(2010). CVM(가상가치평가법) 기법을 응용한 국립공원설악산의 관광자원 가치측

정에 관한연구-케이블카 설치 가부에 따른 측정을 중심으로-

- 11 -

Ⅱ. 주요과제 검토사항

1. 생태변화 모니터링 계획

1) 목적 ◦ 설악산국립공원 삭도 시범사업에 대한 생태계 변화 모니터링을 통해 사업평가 및 생태계

관리의 기초자료로 활용

2) 개요 ◦ 기간 : 총 8년간 시행(공사 전 1년, 공사 중 2년, 운영 중 5년 시행, 계절별 조사실시) ◦ 대상지역: 삭도 설치구간 및 인근 영향지역

◦ 공사 전후 24시간 생물음향 모니터링

- 야생조류, 포유류 등 생물음향이 잘 될 수 있는 지역을 선정하여 녹음장비 설치

- 분석내용 : 삭도 설치로 인한 야생조류, 양서류 번식기 영향 분석

◦ 피드백 : 매년 각 항목별 모니터링 결과 종합분석 및 평가 시행

3) 모니터링 방법

가. 포유류 영향 모니터링을 위한 무인카메라 설치

◦ 산양을 포함한 주요 포유류 모니터링을 위한 동영상 및 타임랩스 카메라 설치

◦ 인터넷 공유기 설치를 통한 실시간 동영상 전송 시스템 구축

◦ 분석내용 : 삭도 설치로 인한 산양, 삵 등 행동 및 서식처 영향 분석 나. 식물상 및 주요 식생군락 모니터링

◦ 식생군락 주요 지점별 타임랩스 카메라 설치를 통해 삭도 공사 영향 시계열 변화 촬영 ◦ 분석내용 : 식생군락 영향 분석 및 미기상 측정결과와 비교 분석

다. 계절별 야생동물 출현현황 모니터링

◦ 분석내용 : 삭도 설치 영향권역 야생동물 영향 분석

라. 미기상 변화 모니터링

◦ 온도, 습도, 풍속, 풍향 등 데이터 로거 설치를 통한 미기상 변화 분석

◦ 분석내용 : 미기상 변화 결과와 동식물 변화간 상관관계 분석

4) 기대효과

◦ 생물음향, 동영상 촬영, 타임랩스 카메라 촬영을 통한 전수 생태변화 관찰 가능

◦ 모니터링 및 즉각적 생태계 관리 대응 가능

◦ 소음, 빛 등이 야생조류, 양서류, 포유류 등에 미치는 인위적 영향에 대한 평가 가능

◦ 삭도 영향지역 야생동물 출현시기, 번식활동 시․종점 자료 확보 가능

◦ 최첨단 모니터링 기법을 통한 삭도 영향지역의 생태계 현황 기초자료 구축

- 12 -

2. 산양서식지 실태분석 및 보호대책

1) 설악산국립공원 산양 조사 및 분석

가. 기존자료 분석

◦ 설악산국립공원 멸종위기 산양의 서식실태 정밀조사5)

- 2010~2011년까지 설악산국립공원 총4개구역(내설악, 외설악, 남설악, 장수대) - 크기가 다른 배설물을 GPS수신기를 이용하여 기록하고 분변단경의 크기별로

분류하여 설악산 산양의 개체수를 분석

◦ 설악산국립공원 산양의 서식조사6) - 조사방법으로는 분변 흔적조사 및 무인 센서카메라 조사를 병행하였음 - 설악산 산양 행동권은 암수 평균 0.88㎢7)로 분석됨 - 총445회 조사 실시 내설악 192회, 외설악 129회, 남설악 65회, 장수대 59회를 조사

- 산양배설물(1,014개)과 무인카메라 촬영 사진(6,700장) 판독 ◦ 2012 산양 및 멸종위기 야생동물 연구 보고서8) 재정리 - 카메라 트랩을 이용한 조사시 산양의 분변, 뿔질, 휴식처, 이동로 등에 총 86대의

무인 센서 카메라를 설치함

- 촬영설정은 1회 촬영시, 1분 후 재촬영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1회 작동시 3장이 연속 촬영되도록 설정하였고, 조사지역은 각 격자별(1㎞×1㎞)²로 최소 2대를 설치․운영

◦ 분석결과

조사시기내설악

(저항령)

외설악

(흑선동)

남설악(오색:온정골,독주골,설악골)

장수대 계

2011년 103 68 26 24 221

2012년무인카메라 100 19 24 12 155

배설물 105 69 28 30 232

2013년 105 69 36 40 250

- 삭도설이 계획구간이 포함된 남설악은 24개체~36개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됨

- 남설악의 경우 온정골과 독주골 및 설악골이 주요서식지로 확인됨 - 오색~끝청하단 구간은 배설물 및 카메라 노출 빈도가 적어 주요서식지가 아닌

것으로 분석됨

5)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조재운, 양정진, 임상진, 이안나, 박희복, 이성훈, 안효진, 이배근)(2012). 설악산국립공원 멸종위기 산양의 서식실태 정밀조사

6) 국립공원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2014) 7) 0.88㎢는 880,000㎡로(1000m×880m)평수로 환산하면 26만평 정도임

8) 종복원기술원(2013). 2012 산양 및 멸종위기 야생동물 연구결과 보고서(총괄(권철환) 연구총괄(송병철;북부복원센터장, 강호남;동물복원부장, 곽재훈;행정과장) 분야별 연구원(조재운;북부팀장, 석권희, 윤만진, 임상진, 박희복, 이성훈, 김규철, 김빛나, 안효진)

- 13 -

나. 현지 실태조사 분석 : 산양 조사도

◦ 조사방법 : 2014년 6월 ~ 12월 동안 총 4회에 걸쳐 조사(흔적 조사, 무인카메라 조사) ◦ 조사결과 - 1차 조사시 센서카메라 1회(5번과 6번 지주 사이), 2차 조사시 배설물 1곳, 4차 조사시

배설물 1곳과 목견 1회 확인됨

< 추가 정밀조사 > - 조사기간 : 2015년 3월 9일∼12일 - 조사지역 : 오색리에서 끝청구간의 능선을 중심으로 양쪽 약 1㎞ 범위 확대

- 산양 정밀조사 결과 독주골 능선과 계곡, 설악골 지역에서 많이 확인된 것으로 조사됨 - 121개의 배설물 분장 중 114개의 지점을 분석 : 독주골 81%, 설악골 11%,계획구간 8%

※ 조사결과 계획구간은 타지역에 비하여 산양의 배설물 등이 적어 주요서식지9)로 판단

하기 어려운 것으로 분석됨

다. 설악산국립공원 산양의 행동권 분석10) - 이 연구는 2010년 설악산 저항령에 방사한 산양(n=1)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1년 9월까지 수집된 위치좌표를 분석하였음

- 산양(SM-02)의 연간 행동권 크기를 분석한 결과

구분 연령 활동기간

행동권(㎢) 활동고도

(평균,m)95%MCP11) FK 95%12) FK 50%

SM-2 6‘10.5.2.~

‘11.9.6

1.407

(약42평)

0.488

(약13만평)

0.105

(약3만평)637.4

연간행동권(95%MCP, FK95%)

설악산 산양 이동행태

9) 서식지(habitat)는 생물이 생활하고 있는 일반적인 장소이며 주요서식지는 휴식처, 번식처, 먹이터를 포함하는 지역이라 할 수 있음

10) 종복원기술원(2013), 2012 산양 및 멸종위기야생동물 연구결과 보고서

11) MCP (Minimum Convex Polygon Method)는 추정된 위치지점들 중 가장 멀리 떨어진 최외각 점들을 연결시켜 다각형을 생성하는 방법이다(Mohr, 1947). 본 연구에서는 Floating Amean을 선택하여

95% MCP값을 구하였다. 이는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점들을 제외하며 요구하는 % 까지 산술평균

을 반복하여 면적을 계산하는 방식이다.12) Fixed Kernel Home Range Method는 점집합으로부터 확률 밀도를 계산하기 위해 비모수적 방법

(Nonparametric Method)을 사용하는 것으로서, 해당 개체의 공간 이용도를 밀도의 개념으로 표현한 선을통해 행동권이 도출된다.

- 14 -

2) 보호대책 ◦ 소음에 민감한 야생동물 특성상 공사시 소음 발생을 줄이고, 야생동물의 활동이 많은

일출·일몰 시간대에는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하여 서식지 교란을 최소화

◦ 삭도 공사시 헬기를 이용한 지주설치 공사는 산양의 주요 번식기 및 분만시기에는 공

사를 지양하고 주변지역에 서식하거나 이동하는 산양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

◦ 사업시행으로 인한 산양의 직접적인 훼손은 없으나, 산양의 보호를 위해 계획노선 인

근의 현지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산양의 주요 이동지역에 산양 먹이급이대를 설치하여

겨울철 먹이부족에 따른 산양의 피해를 최소화하고 기존의 이동통로이용을 유도

◦ 삭도 운영시 기존탐방로는 탐방예약제를 통해 산양의 서식지 안정화를 유도

◦ 공사 시작 전 야생동물의 서식 확인 및 공사 완공 후에 사후 모니터링을 실시

◦ 삭도 운영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해 삭도 인근에 겨울철 폭설로 인한 산양의 고립이

발생할 경우 국립공원관리공단과 협조하여 구조방안을 수립하여 산양 피해를 최소화

◦ 공사시 일시적으로 회피하였던 산양의 재이입을 유도하기 위해 삭도 공사 후 지주 구간의

토양층 식생복원 시 산양이 선호하는 식이식물을 동․식물 전문가가 참여하여 식재 등

서식환경 조성

◦ 산양 등 야생동물보호와 보전을 위해 야생동물보호기금 조성

3. 정상부(상부정류장)의 친환경 관리운영계획

1) 친환경 운영방안

◦ 탑승객의 집중적인 증가시 운영대책 - 캐빈(반기) 탑승인원을 조절하여 피크시 시간당 최대 이용객수 제한

- 성수기에는 사전예약제 시행으로 대기시간 확인 등 혼잡방지 프로그램 운영

◦ 상부정류장 유입객 증가에 따른 환경훼손 저감대책

- 전망대 및 산책로 데크를 설치하여 탐방객이 땅을 밟지 않도록 시설 설치

- 탐방활동 유도시설 설치 : 안전시설, 휀스, 안내판, CCTV, 방송설비 등 -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정상부 통제운영권 위탁

◦ 환경친화적 탐방해설 프로그램 운영

- 캐빈(반기)내 방송 및 상부정류장에서의 탐방해설 프로그램 운영

- 자연친화적 탐방활동 해설을 통한 탐방객의 자연환경 인식 증진

◦ 환경관리대책 수립 - 표토의 복원·녹화상태, 노선구간의 동물 산란율 변화 등에 대한 주기적 모니터링 등

- 쓰레기 무단투기 등 환경오염 방지활동(자원봉사, 환경단체 등)

- 15 -

2) 정상부 통제방안

◦ 상부정류장 및 산책로 운영 현황

- 탑승인원 : 시간당 825명(1일 6,600명) - 체류시간 : 1인당 1시간 - 체류공간 : 3,630㎡(1인당 : 4.4㎡) ◦ 상부정류장 운영 : 국립공원관리공단과 협약을 통한 위탁운영 관리

◦ 정상부 탐방객 관리 - 삭도 탑승전 탑승객에게 영상을 통해 주의사항 등 탐방의식 홍보

- 산책로 이탈금지 관리를 위한 전망대와 산책로에 CCTV설치 감시

- 산책로 이탈시 과태료 부과 등 엄격한 관리규정 운영

- 상시 감시원 배치 정상통제 활동

- 전망대 난간은 투명한 재질(유리 등)을 사용 난간을 넘지 못하게 설치

◦ 상부정류장 적정수용 인원 조정시스템 구축

- 상부정류장 및 산책로에 수용인원이 초과하지 않도록 계수기, 전자태그 등을 활용한탑승객 자동조정 시스템 운영

4. 탐방예약제 [남설악 탐방지원센터(오색) ~ 대청봉 구간] 시범방안

1) 개요 ◦ 개념 : 자연공원의 보호 등의 이유로 공원구역 중 일정한 지역을 자연공원 특별보호구

역 또는 임시출입통제구역으로 정하여 일정 기간 사람의 탐방객 수를 제한하여 운영

하는 제도

◦ 목적 - 증가된 탐방객의 답압에 의한 탐방로 훼손 및 표토의 유실 방지

- 탐방로로 분절된 생태계 연결

- 등반 및 하산탐방객 조절을 통한 탐방로 및 대청봉 훼손 저감

◦ 법적근거 : 자연공원법 제28조 1항 ◦ 시행검토구간 : 남설악탐방지원센터 ~ 대청봉(5km) 2) 오색지구 탐방객 이용 현황

◦ 탐방안내소(4개) 중 오색~대청봉 구간은 다른 탐방로에 비해 최단구간(5㎞)의 코스임 - 길고 볼거리가 많은 내․외설악의 탐방로는 경관중심 탐방행태를 보임

- 코스가 짧은 남설악의 탐방로는 대부분 정상등반 중심의 이용행태를 보임

◦ 연간 탐방객(2013년 기준)은 484,531명이며 이 중 등산 탐방객은 94,531명, 하반 탐방객은 390,000명(추정)임

- 16 -

- 타 지구에서의 대청봉 등반객이 무박1일 이용을 위하여 최단거리인 오색지구로의

하산이 많음을 의미하며, 하산 탐방객에 의해 탐방로 훼손 및 확폭의 원인이 됨

- 향후 탐방로의 훼손을 최소화하고 확폭을 줄여 생태축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하산 등산객에 한해 삭도의 이용을 허용하는 방안이 신중히 검토되어야 할 것임

◦ 성수기 등반객(10월) : 34,171명(1일 평균 등산객 1,139명) - 최대 성수기 1일 등반객 : 5,000명 ◦ 월별 탐방객 현황(2012년~2013년)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2년 5,313 2,916 293 - 9,508 10,541 5,772 5,430 7,941 36,661 3,100 3,006

2013년 4,633 5,663 1,931 - 6,816 11,323 3,378 7,612 12,913 34,171 3,503 2,588

2014년 5,788 1,215 1,229 - 6,246 12,182 4,984 8,532 13,156 34,187 2,326 1,214

◦ 1일 평균 탐방객 현황(2012년~2013년)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2012년 177 97 10 - 317 351 192 181 265 1,222 103 100

2013년 154 188 64 - 227 377 112 253 430 1,139 116 86

2014년 192 40 41 - 208 406 166 284 438 1,139 77 40

3) 시행방안 ◦ 오색-대청봉 구간 탐방로는 공원관리청과 협약을 통해 탐방예약제 운영

◦ 입산 예약정원 : 1일 382명13) ◦ 운영기간 : 2개월(9월∼10월) ◦ 예약방법 -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 이용 - 접수기간 : 탐방예정일 1개월 전부터 2일전까지 ※ 예약 시 신청한 탐방 예정시간 2시간 이상 경과 후에도 현지 도착하지 않을 경우 예약은

자동 취소되며 예약불이행자(No-show)로 인한 결원은 현지 방문자에게 허용 ◦ 연간탐방객(2013년 기준) : 94,531명 - 가을성수기(10월) : 34,171명(1일평균 1,139명) - 하산객 : 390,000명 추정 ◦ 홍보방법 : 국립공원관리공단 홈페이지 및 각종 홍보 매체 활용

◦ 운영방법 - 2015년 : 탐방예약제 운영 설문조사 및 타당성 분석

- 2016∼2017년 : 시범 운영 및 이용자 모니터링 분석 평가 후 시행

13) 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국립공원수용력 관리시스템 연구. 상기 보고서에 의하면 국립공원 탐방로의 적정이용률은 탐방로 면적÷34㎡/인=인원수로 제시함

- 17 -

4) 탐방가이드제 시행(제안) 가. 시행개요 ◦ 일정코스(구간)을 관리 및 가이드(환경단체, 산악구조대)와 함께 탐방 ◦ 탐방가이드는 탐방객을 인솔 탐방로 이탈과, 안전사고예방, 쓰레기투지 방지 등 계도 ◦ 탐방가이드 비용은 삭도 운영수익에서 지원

나. 운영방안 ◦ 일정 인원을 사전예약(인터넷, 전화 등)으로 탐방시간 조정 및 지정 ◦ 탐방시간 지정후 가이드와 함께 탐방

◦ 가이드 인솔인원 : 1인당 50명내외 ◦ 가이드 운영 : 10명 이내(환경단체, 산악구조대, 지역주민 등) 5) 기대효과 가. 탐방예약제 운영시

◦ 등산로 훼손지 복원 - 성수기 탐방객 : 66.5%감소(1,139명/일 ⇒ 382명/일) 나. 탐방가이드제 운영시

◦ 탐방객 탐방로 이탈 방지(탐방로 훼손 예방) ◦ 탐방객 안전사고 예방 및 구조 활동

◦ 쓰레기 및 오물 투기 등 단속으로 환경오염 예방

◦ 가이드 활동으로 지역주민 등 소득 증대 기여

5. 친환경 교통체계 운영

1) 오색지구 주차장 분석 및 대책

◦ 오색지구 주차 가능대수 분석결과 - 공용주차 가능대수 : 227대(2014년 기준) ◦ 삭도 운영시(2018년 기준) 필요 대수 : 969대(대형 174대, 소형 795대) - 최성수기 주차 예측 대수 : 527대 / 삭도운영시 추가 수요 : 442대 ◦ 오색삭도 운영시 주차장 : 1,015대(대형 214대, 소형 801대) - 기존 공용주차대수 : 227대 / 신규 주차 조성 대수 788대

2) 성수기 교통체계 운영

◦ 오색삭도 운영시 대형버스는 관터 주차장에 주차하고 탑승객은 셔틀버스를 이용하여

삭도를 탑승할 수 있도록 유도함(셔틀버스 8대)

- 스마트폰 앱 개발로 실시간 주차현황 안내 - 주요 이동구간 상황 전광판 설치 알림

top related